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8-31)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2008-08-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인터넷의 이해

1. 인터넷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2. 인터넷의 효시는 상업적인 목적으로 개발된 NSFNET이다.
  3. 인터넷은 TCP/IP 표준 프로토콜로 연결된 네트워크들이 결합하여 이루어졌다.
  4.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넷의 효시는 상업적인 목적으로 개발된 NSFNET이 아니라 ARPANET입니다. ARPANET은 미국 국방성에서 연구를 위해 개발한 것으로, 인터넷의 시초가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터넷의 양적 팽창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수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IP주소를 가지고 있으면서 이름이 네임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컴퓨터 수를 의미하는 것은?

  1. 호스트 수
  2. 리눅스 서버 수
  3. 인터넷 이용자 수
  4.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수
(정답률: 72%)
  • 인터넷의 양적 팽창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수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IP주소를 가지고 있으면서 이름이 네임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컴퓨터 수를 의미합니다. 이를 호스트 수라고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인터넷의 양적 팽창을 나타내는 지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인터넷 도메인 네임을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국가표시
  2. 기관의 이름
  3. 기관의 구분
  4. 웹 브라우저 종류
(정답률: 80%)
  • 인터넷 도메인 네임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는 국가표시, 기관의 이름, 기관의 구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도메인 네임의 식별성과 구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웹 브라우저 종류는 도메인 네임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인터넷의 다양한 정보 자원을 사용자들이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한 문서는?

  1. FAQ(Frequently Asked Questions)
  2. FYI (For Your Information)
  3. IRG (Internet Resource Guide)
  4. RFC (Request for comments)
(정답률: 50%)
  • IRG는 인터넷의 다양한 정보 자원을 사용자들이 쉽게 찾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문서이다. FAQ는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모아놓은 문서이고, FYI는 정보를 제공하는 문서이며, RFC는 인터넷 프로토콜과 관련된 기술 문서이다. 따라서, IRG가 가장 적절한 답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하나의 IP주소에 여러 개의 도메인 이름을 매핑시켜 여러 개의 홈페이지를 각각 별도로 운영 할 수 있는 서비스는?

  1. 리얼 웹 서비스
  2. 멀티 웹 서비스
  3. 버추얼 웹 서비스
  4. 버추얼 도메인 네임 서비스
(정답률: 6%)
  • 버추얼 웹 서비스는 하나의 IP주소에 여러 개의 도메인 이름을 매핑시켜 각각 별도로 운영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개의 웹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어서 비용과 관리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국내 도메인에서 교육기관을 위한 2단계 도메인 연결에서 옳지 않은 것은?

  1. kg : 유치원
  2. ps : 초등학교
  3. ms : 중학교
  4. hs : 고등학교
(정답률: 77%)
  • "ps : 초등학교"가 옳지 않은 것은 2단계 도메인에서 "ps"는 "postscript"의 약어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등학교를 나타내는 도메인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해외 도메인 구조에서 국가별 최상위 도메인 연결이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au : 호주
  2. fr : 프랑스
  3. de : 독일
  4. nk : 북한
(정답률: 34%)
  • "nk : 북한"은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않는 국가이기 때문에, 국가별 최상위 도메인 연결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국가들이기 때문에 해당 국가의 최상위 도메인 연결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IP주소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 수의 규모에 따라 A클래스에서 E클래스까지 나뉘어지는데, IP주소가 225.225.225.255는 어떤 클래스에 해당되는가?

  1. B 클래스
  2. C 클래스
  3. D 클래스
  4. E 클래스
(정답률: 알수없음)
  • IP주소가 225.225.225.255는 D 클래스에 해당된다. 이는 첫 번째 옥텟이 224~239 사이의 범위에 속하기 때문이다. D 클래스는 멀티캐스트 주소를 사용하기 위해 예약되어 있으며,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IPv6의 주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2Bit 주소체계
  2. 라우팅과 주소지정 기능 확장
  3. IP-SEC 탑재로 인증ㆍ보안기능 동시 제공
  4.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광대역폭 확보
(정답률: 70%)
  • IPv6는 128Bit 주소체계를 사용하므로 "32Bit 주소체계"는 옳지 않은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전자우편에서 메시지의 머리글만 우선 전송해 오고, 본문은 서버에 남겨두었다가 나중에 제목을 선택하여 본문을 다시 전송하는 것은?

  1. IMAP
  2. POP3
  3. SMTP
  4. PDF
(정답률: 알수없음)
  • IMAP은 전자우편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로, 메시지의 머리글만 먼저 전송해 오고, 본문은 서버에 남겨두었다가 나중에 제목을 선택하여 본문을 다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OP3는 메일을 다운로드하여 클라이언트에 저장하는 방식이고, SMTP는 메일을 보내는 프로토콜입니다. PDF는 문서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메일링 리스트 본문에 쓰는 용어의 종류에 내용과 알맞지 않은 것은?

  1. info : 특정 메일링 리스트의 주제를 알려고 할 때
  2. lists : 리스트 서버에서 운영하는 리스트 목록을 얻으려 할 때
  3. who : 메일링 리스트의 그룹 명단을 얻으려 할 때
  4. subscribe : 특정 메일링 리스트에서 탈퇴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ubscribe : 특정 메일링 리스트에서 탈퇴할 때"입니다. subscribe는 특정 메일링 리스트에 가입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unsubscribe는 특정 메일링 리스트에서 탈퇴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FT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클라이언트 전용 프로그램으로 WS_FTP, Cute FTP 등이 있다.
  2.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여 FTP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3. Anonymous FTP 이용 시 패스워드는 전화번호만을 사용한다.
  4. 파일의 송ㆍ수신 등을 할 수 있다.
(정답률: 57%)
  • "Anonymous FTP 이용 시 패스워드는 전화번호만을 사용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Anonymous FTP는 패스워드 없이 접속이 가능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파일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되며, 사용자가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FTP 관련 명령어 중 여러 개의 파일을 자신의 컴퓨터로 다운로드하기 위한 것은?

  1. mput
  2. mget
  3. put
  4. get
(정답률: 64%)
  • "mget"은 여러 개의 파일을 한 번에 다운로드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mput"은 여러 개의 파일을 한 번에 업로드하기 위한 명령어이고, "put"은 하나의 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한 명령어이며, "get"은 하나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따라서, 여러 개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해서는 "mget"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유즈넷의 모 그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omp : 컴퓨터, 시스템 등
  2. biz : 사업, 상품, 서비스 등
  3. rec : 예술, 오락, 취미 등
  4. soc : 과학, 수학 등
(정답률: 알수없음)
  • 유즈넷의 모 그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없습니다. 모 그룹은 주제별로 분류되어 있으며, "soc" 그룹은 사회과학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그룹입니다. 따라서, "soc : 과학, 수학 등"이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유즈넷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포스팅(posting) : 뉴스그룹에 글을 등록하거나 파일을 올리는 것
  2. 다이제스트(digest) : 중재 그룹에서 기사를 요약한 것
  3. 헤더(header) : 자신이 쓴 글을 각 뉴스그룹 마다 해당 기사를 각각 반복해서 올리는 것
  4. 가입(subscribe) : 특정한 뉴스그룹을 보거나 해당 그룹에 글을 등록하기 위해 뉴스그룹에 참여하는 것
(정답률: 59%)
  • 헤더(header) : 자신이 쓴 글을 각 뉴스그룹 마다 해당 기사를 각각 반복해서 올리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헤더는 뉴스그룹에 올라간 기사의 제목, 작성자, 작성일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메신저를 사용하여 상대방과 대화를 나눌 때 자신의 감정을 아스키(ASCII) 문자로 표현할 수 있다.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두문자어(Acronym)
  2. 이모티콘(Emoticon)
  3. 채널(Channel)
  4. 아바타(Avatar)
(정답률: 82%)
  • 이모티콘은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아스키 문자를 이용한 것으로, 이모티콘을 사용하면 글자만으로는 전달하기 어려운 감정이나 표현을 간단하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는 웃는 얼굴을 나타내며, :(는 슬픈 얼굴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화상채팅 시 가장 필요한 장비는?

  1. 스캐너
  2. PC 카메라
  3. 플로터
  4. 아날로그 카메라
(정답률: 60%)
  • 화상채팅은 상대방과 실시간으로 영상 통화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방이 볼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PC 카메라가 가장 필요하다. 스캐너는 문서나 사진을 스캔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이고, 플로터는 큰 크기의 그래픽 작업물을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이며, 아날로그 카메라는 디지털 영상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화상채팅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자상거래 시장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시간과 공간적인 제한이 있다.
  2. 중개인이 불필요한 완전시장이다.
  3. 거래비용이 거의 ZERO에 가깝다.
  4. 중간 유통 과정이 축소되고, 상품가격이 저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간과 공간적인 제한이 있다."는 전자상거래 시장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전자상거래가 오프라인 상거래와 달리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물리적인 거리나 시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상품 배송이 늦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보기>에서 이용자 관점의 전자상거래 절차 내용에 해당되는 것은?

  1. A, B, C, F
  2. A, C, D, E
  3. B, C, D, F
  4. B, D, E, F
(정답률: 58%)
  • 이용자 관점에서의 전자상거래 절차는 다음과 같다.

    A. 상품선택 및 주문
    C. 결제수단 선택 및 결제
    D. 배송지 정보 입력
    E. 주문완료 및 결제승인

    위 보기에서 A, C, D, E가 이용자 관점에서의 전자상거래 절차에 해당된다. B와 F는 이용자 관점에서의 전자상거래 절차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자서명법에 대한 사항 중 올바르지 않는 것은?

  1. 공인인증기관이 인증한 전자 서명에 대하여 법적 효력을 부여한다.
  2. 전자서명이란 전자 문서를 작성한 자의 신원과 전자 문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국가간 인증서에 대해서는 어떤 경우에도 상호 인정하지 않는다.
  4. 전자서명생성정보라 함은 전자서명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전자적 정보를 말한다.
(정답률: 57%)
  • "국가간 인증서에 대해서는 어떤 경우에도 상호 인정하지 않는다."가 올바르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국제전자상거래에 관한 협약(UNCITRAL Model Law on Electronic Commerce)에서는 국가간 인증서에 대한 상호 인정을 권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가간 인증서에 대해서도 상호 인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공공기관의개인정보보호에관한법률의 적용을 받지 않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정보주체의 동의가 있거나 정보주체에게 제공하는 경우
  2. 조약 기타 국제협정의 이행을 위하여 외국 정부 또는 국제기구에 제공하는 경우
  3. 통계작성 및 학술 연구 등의 목적을 위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기타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정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지 않는 정보는 "기타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정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입니다. 이는 방송통신위원회가 특정한 상황에서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제외할 수 있는 규정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규정은 법률의 적용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본문의 내용과는 상관없는 악의적인 리플을 반복해서 달아놓는 사람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스패머
  2. 악플러
  3. 크래커
  4. 리플러
(정답률: 67%)
  • 악플러는 "악의적인 리플을 반복해서 달아놓는 사람"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스패머는 스팸 메일을 보내는 사람, 크래커는 컴퓨터 보안을 침해하는 사람, 리플러는 블로그나 게시판 등에 댓글을 달아주는 사람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전자서명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서명의 효력을 규정한 전자서명법의 가장 핵심적인 규정이다.
  2. 전자거래의 활성화를 위하여 공인인증기관이 인증한 전자서명에 대하여 법적 효력을 부여하고 있다.
  3. 전자서명은 서명 또는 기명날인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4. 전자서명은 아직까지 문서 성립의 진정성의 확보와 문서의 증거력이 없다.
(정답률: 79%)
  • "전자서명은 아직까지 문서 성립의 진정성의 확보와 문서의 증거력이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전자서명법은 공인인증기관이 인증한 전자서명에 대하여 법적 효력을 부여하고, 전자서명은 서명 또는 기명날인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는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서명은 문서 성립의 진정성과 문서의 증거력을 확보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네티켓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네티즌이 네트워크 상에서 지켜야할 예절을 말한다.
  2. 인터넷을 사용할 때는 동격의 상대이므로 특별한 예절이 없이 막말을 사용한다.
  3. 인터넷은 가상공간이므로 그에 따른 규범과 약속이 필요하다.
  4. 인터넷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네티켓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넷을 사용할 때는 동격의 상대이므로 특별한 예절이 없이 막말을 사용한다." 이것은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인터넷을 사용할 때에도 상대방에 대한 예의와 존중이 필요하며, 네티켓을 지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즈넷의 네티켓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뉴스를 올리기 전에 이미 게시된 내용을 미리 살펴본다.
  2. 기사는 주제에 알맞은 그룹의 게시판에 올리도록 한다.
  3. 자신이 도움을 받았다면 다음에는 자신이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도록 노력한다.
  4. 유즈넷 게시판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개 게시판으로 개인적인 용도로만 사용한다.
(정답률: 88%)
  • "유즈넷 게시판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개 게시판으로 개인적인 용도로만 사용한다."가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유즈넷의 네티켓 중 하나인 "유즈넷은 비영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메신저를 사용할 때 네티켓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올바른 언어를 사용한다.
  2. 상대편이 자신보다 나이가 어리면 프라이버시에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3. 만나고 헤어질 때는 인사를 한다.
  4. 약자를 적절히 사용하면 대화 속도를 빨리 할 수 있다.
(정답률: 82%)
  • 상대편의 나이와는 상관없이 모든 상황에서 프라이버시를 존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나이가 어린 상대라도 개인정보를 존중하고, 예의를 갖추어 대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연산장치
  2. 디지타이저
  3. 플로터
  4. ROM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손글씨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인 디지타이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Windows X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Windows 2000의 단점을 보완한 안정성을 갖춘 운영체제이다.
  2. 동시에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을 지원한다.
  3. 개인 사용자용으로 한 대의 컴퓨터를 오직 한 사람만이 사용할 수 있다.
  4. GUI 기법의 사용자 중심 운영체제이다.
(정답률: 46%)
  • "개인 사용자용으로 한 대의 컴퓨터를 오직 한 사람만이 사용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Windows XP는 다중 사용자 운영체제로,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유닉스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중 작업은 불가능하다.
  2.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컴퓨터를 사용 할 수 있는 멀티유저 시스템이다.
  3. 트리 구조의 파일 시스템을 갖는다.
  4. C언어로 대부분 구성되어 타 기종에 이식성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중 작업은 불가능하다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유닉스는 다중 작업을 지원하는 운영체제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되고 사용자가 동시에 작업할 수 있다. 이식성이 좋고, 트리 구조의 파일 시스템을 갖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파일 압축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AlZIP
  2. Auto CAD
  3. WinZip
  4. WinRAR
(정답률: 64%)
  • Auto CAD은 파일을 압축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2D 및 3D 디자인 및 도면 작성을 위한 CAD 소프트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전용선을 이용한 인터넷 연결의 환경설정에서 꼭 필요한 정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IP 주소
  2. 서브넷 마스크
  3. NetBEUI
  4. 게이트웨이
(정답률: 39%)
  • 정답: NetBEUI

    NetBEUI는 전용선을 이용한 인터넷 연결에서 필요하지 않은 정보입니다. NetBEUI는 Microsoft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용선을 이용한 인터넷 연결의 환경설정에서 꼭 필요한 정보는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은 ISDN의 접속 장비 중 어느 것에 해당 되는가?

  1. Network Terminator
  2. S-card
  3. U-card
  4. Terminal Adaptor
(정답률: 37%)
  • 이 그림은 ISDN 접속 장비 중 Network Terminator(NT)에 해당한다. NT는 ISDN 회선을 종단시키는 장비로, ISDN 회선을 받아들이고,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 장비에 전달한다. 따라서 NT는 ISDN 회선과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중개 역할을 수행한다. S-card와 U-card는 ISDN 터미널 어댑터(TA)에 사용되는 카드이며, TA는 NT와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ADS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존 전화선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유동 IP주소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3. 원격진료, 원격회의, 영상회의 등의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4.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이라 부른다.
(정답률: 50%)
  • 정답은 "일반적으로 유동 IP주소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이다. ADSL은 고정 IP주소 방식과 유동 IP주소 방식 모두 채택할 수 있다. ADSL은 다운로드 속도가 빠르고 업로드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원격진료, 원격회의, 영상회의 등의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터넷 자원 탐색

34. 전용선과 전송속도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T1 : 3.048Mbps
  2. E1 : 8.544Mbps
  3. T2 : 12Mbps
  4. T3 : 45Mbps
(정답률: 34%)
  • 전용선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전용 회선으로, 전송속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3은 다른 보기에 비해 전송속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전용선과 바르게 연결되어 더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xDSL을 이용한 접속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ADSL : 비대칭형 서비스로 상향에 비해 하향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단방향 서비스에 적합하다.
  2. HDSL : 비대칭형 서비스로 T1/E1급 위주의 고속 전송에 사용되며, 화상회의에 적합하다.
  3. SDSL : 자원이용 효율이 높아 경제적이나 통신거리가 3Km이내여서 사내 화상회의 등에 사용한다.
  4. VDSL : VOD, 멀티미디어, 원격교육 등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적합하다.
(정답률: 47%)
  • HDSL은 비대칭형 서비스가 아니라 대칭형 서비스이므로, "HDSL : 비대칭형 서비스로 T1/E1급 위주의 고속 전송에 사용되며, 화상회의에 적합하다."가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URL 구성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접근할 포트 번호
  2. 해당 서버 내의 추가적인 경로
  3.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
  4. 인터넷 웹브라우저의 가격
(정답률: 54%)
  • URL은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자로, 인터넷 상의 자원을 가리키는 문자열이다. URL 구성 요소에는 프로토콜, 호스트명, 포트번호, 경로, 쿼리스트링, 프래그먼트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인터넷 웹브라우저의 가격"은 URL 구성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다. URL은 인터넷 상의 자원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인터넷 웹브라우저의 가격과 같은 정보는 URL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웹 문서에서 색깔을 지정할 때, 검정색을 나타내는 것은?

  1. #FF0000
  2. #000000
  3. #FFFFFF
  4. #0000FF
(정답률: 58%)
  • 검정색은 모든 색상의 조합 중 가장 어두운 색상이기 때문에 모든 색상 값이 0인 RGB 값인 "#000000"으로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잘 알려진 포트번호에 대한 연결로 틀린 것은?

  1. HTTP : 80
  2. NNTP : 119
  3. FTP : 21
  4. DNS : 73
(정답률: 67%)
  • DNS의 포트번호는 53번이며, 73번은 다른 프로토콜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DNS : 73"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크래커가 시스템에 침입한 후 자신이 원할 때, 침입한 시스템을 재침입하거나 권한을 쉽게 획득하기 위하여 만들어 놓은 일종의 비밀 통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전자서명
  2. SMS
  3. 백도어
  4. 바이러스
(정답률: 알수없음)
  • 백도어는 크래커가 시스템에 침입한 후 자신이 원할 때, 침입한 시스템을 재침입하거나 권한을 쉽게 획득하기 위하여 만들어 놓은 일종의 비밀 통로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백도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내용에 해당되는 것은 무엇인가?

  1. 웹 시스템
  2. URL
  3. POP3
  4. echo
(정답률: 50%)
  • 이미지에는 "http://"로 시작하는 주소가 있으며, 이는 인터넷 상에서 웹 페이지를 찾기 위한 주소인 URL이다. 따라서 정답은 "UR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CSS(Cascading Style Sheet)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운영체제나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관계없이 웹페이지의 레이아웃을 효과적으로 처리 할 수 있다.
  2. 배경이미지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3. 여러 문서에서 똑같이 불러 쓸 수 있기 때문에 통일성 있는 웹페이지 제작이 가능하다.
  4. 확장자로 .wrl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확장자로 .wrl을 사용하는 것은 CSS와 관련이 없는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파일의 확장자이다. CSS는 웹페이지의 스타일을 정의하는 언어로, HTML과 함께 사용되며 운영체제나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관계없이 웹페이지의 레이아웃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배경이미지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여러 문서에서 똑같이 불러 쓸 수 있기 때문에 통일성 있는 웹페이지 제작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웹 서버관련 검색 명령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SLOOKUP : 특정 도메인 이름의 호스트에 부여된 IP 주소를 검색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이다.
  2. PING : 특정 호스트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에 대한 동작 여부를 점검하는 명령이다.
  3. FINGER :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조회하거나 다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이다.
  4. TRACERT : 특정 기관에 등록된 사용자나 호스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명령이다.
(정답률: 47%)
  • TRACERT 명령어는 특정 기관에 등록된 사용자나 호스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명령어가 아니라, 목적지 호스트까지 패킷이 전송되는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HTML의 태그로 공백(space)을 삽입하는 것은?

  1. &nbsp;
  2. &copy;
  3. &lt;
  4. &amp;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nbsp;"이다. 이유는 HTML에서 공백을 그대로 표시하면 무시되기 때문에, 공백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nbsp;"라는 특수 문자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non-breaking space"를 의미하며, 공백을 삽입하면서도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도록 보장한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copy;"는 "copyright"를, "&lt;"는 "<"를, "&amp;"는 "&"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제목의 글자크기를 변경하는 <Hn>태그에서 적용되는 n값의 범위는?

  1. 0부터 6까지
  2. 1부터 6까지
  3. 1부터 7까지
  4. 0부터 7까지
(정답률: 55%)
  • <Hn>태그에서 적용되는 n값은 1부터 6까지의 범위를 가집니다. 이는 HTML에서 제공하는 6단계의 제목 크기를 나타내며, n값이 작을수록 큰 제목을 나타냅니다. n값이 0이나 7보다 작거나 크면 유효하지 않은 값이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파일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xt는 아스키 문자를 저장한 메모장 파일을 의미한다.
  2. *.gul은 그래픽 작업을 한 이미지 파일을 의미한다.
  3. *.pcx는 비트맵 화상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일 포맷이다.
  4. *.hwp는 한글 문서를 저장한 워드프로세서 파일을 의미한다.
(정답률: 70%)
  • 정답은 "*.gul은 그래픽 작업을 한 이미지 파일을 의미한다." 이다. 이유는 "*.gul"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파일 형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올바른 파일 형식은 "*.txt는 아스키 문자를 저장한 메모장 파일을 의미한다.", "*.pcx는 비트맵 화상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일 포맷이다.", "*.hwp는 한글 문서를 저장한 워드프로세서 파일을 의미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의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1. MP3
  2. PPT
  3. WMF
  4. JPG
(정답률: 54%)
  • 이미지 파일 형식 중 하나인 JPG(JPEG)는 고화질의 이미지를 작은 용량으로 압축하여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웹에서 많이 사용되며, 이러한 특징 때문에 위의 보기에서 정답이 "JPG"로 선택되었다. MP3은 음악 파일 형식, PPT은 프레젠테이션 파일 형식, WMF는 벡터 이미지 파일 형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멀티미디어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비선형성(Non-Linear)
  2. 양방향성(Interactive)
  3. 아날로그(Analog)
  4. 통합성(Integration)
(정답률: 67%)
  • 아날로그는 디지털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멀티미디어의 특징으로 볼 수 없습니다. 멀티미디어는 비선형성, 양방향성, 통합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웹(Web)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이루어진 분산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이다.
  2. 웹에서 사용하는 기본 프로토콜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3. 웹은 텍스트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멀티미디어 파일 형태를 지원한다.
  4. 웹은 클라이언트 단독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단독 시스템 구조이다.
(정답률: 54%)
  • 웹은 클라이언트 단독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단독 시스템 구조이다. (이 설명은 올바르지 않다.) 이유는 웹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상호작용하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보내는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파일을 압축하게 되면 얻을 수 있는 효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하이퍼미디어와 하이퍼텍스트를 웹에서 표현할 수 있다.
  2.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을 수 있다.
  3.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4.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전송에 트래픽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하이퍼미디어와 하이퍼텍스트를 웹에서 표현할 수 있다."

    압축은 파일의 크기를 줄이는 효과를 가지지만, 이는 파일 전송에 트래픽을 줄이고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을 수 있게 해주는 등의 이점을 가져옵니다. 하지만 하이퍼미디어와 하이퍼텍스트를 웹에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은 압축의 핵심적인 효과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이는 웹에서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와 텍스트를 표현할 수 있는 기술적인 발전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파일의 확장자와 실행 프로그램의 연결로 가장 잘못된 것은?

  1. ASF - Windows Media Player
  2. PPT - Microsoft Word
  3. RA - RealPlayer
  4. MOV - QuickTime
(정답률: 알수없음)
  • PPT 파일은 Microsoft PowerPoint 프로그램으로 실행되어야 하지만, "PPT - Microsoft Word"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잘못된 것이다. Microsoft Word는 문서 편집 프로그램으로, PPT 파일을 열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인터넷 검색 중 수학 문제 모음 파일인 math.pdf을 찾았다. 이 파일을 선택해서 내용을 확인하려고 하였으나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다. 어떤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이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가?

  1. 파워포인트
  2. 엑셀
  3. 알집
  4. 아크로뱃 리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아크로뱃 리더

    이유: math.pdf 파일은 PDF 형식으로 작성된 파일이므로, PDF 파일을 열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아크로뱃 리더는 Adobe사에서 제공하는 무료 PDF 뷰어로,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거나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math.pdf 파일을 열기 위해서는 아크로뱃 리더를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AT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TM에 대한 규정은 CCITT에서 권고한 것이다.
  2. ATM은 B-ISDN에서 사용된다.
  3. ATM셀은 100바이트인데, 그 중 헤더가 60바이트이고 정보 필드가 40바이트이다.
  4. ATM에서는 모든 정보를 ATM셀이라는 고정 길이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이것을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정답률: 34%)
  • ATM셀은 100바이트인데, 그 중 헤더가 60바이트이고 정보 필드가 40바이트이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ATM은 CCITT에서 권고한 것이며, B-ISDN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ATM에서는 모든 정보를 ATM셀이라는 고정 길이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이것을 순차적으로 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웹 브라우저는 WWW에서 모든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미디어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다음 중 텍스트 기반 웹브라우저는?

  1. Mosaic
  2. Samba
  3. HotJava
  4. Opera
(정답률: 40%)
  • 정답은 "Samba"이다. Samba는 텍스트 기반 웹 브라우저로, 그래픽 사용 없이 텍스트 기반의 웹 페이지만 볼 수 있다. Mosaic, HotJava, Opera는 그래픽 기반의 웹 브라우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의 [보기]→[도구 모음] 메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표준 단추
  2. 주소 표시줄
  3. 상태 표시줄
  4. 연결
(정답률: 24%)
  •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의 [보기]→[도구 모음] 메뉴에서 "상태 표시줄"은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창 하단에 위치하는 툴바로, 현재 웹 페이지의 로딩 상태, 링크 주소 등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툴바는 [보기]→[상태 표시줄] 메뉴를 통해 활성화/비활성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바 애플릿의 실행을 지원한다.
  2. 윈도우와 매킨토시 운영체제만 지원하고 있으며 유닉스 운영체제는 지원하지 않는다.
  3. CSS와 DHTML을 지원한다.
  4. ActiveX 컨트롤을 통해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정답률: 40%)
  •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은 윈도우와 매킨토시 운영체제만 지원하고 있으며 유닉스 운영체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이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된 윈도우 운영체제와 매킨토시 운영체제에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닉스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다른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의 보기 메뉴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소스 : 브라우저 화면에 보여지는 글꼴의 크기를 지정한다.
  2. 개인정보보고서 : 페이지의 전송을 중지한다.
  3. 텍스트크기 : 웹 페이지의 문자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4. 새로고침 : 웹 서버에 다시 접속하여 페이지를 전송해 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새로고침 : 웹 서버에 다시 접속하여 페이지를 전송해 온다."가 올바르다. 이는 현재 보고 있는 웹 페이지를 다시 불러오기 위해 웹 서버에 다시 접속하여 페이지를 전송하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최신 정보를 얻거나 변경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에서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지 않은 웹 사이트의 절대 주소를 알아 보려고 한다. 이 때 [파일] 메뉴에서 선택해야 할 항목은?

  1. 새로 만들기
  2. 속성
  3. 페이지 설정
  4. 가져오기 및 내보내기
(정답률: 36%)
  • 정답은 "속성"입니다. 이는 해당 웹 페이지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는 항목으로, 절대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항목들은 새로운 파일을 만들거나 페이지 설정, 가져오기 및 내보내기와 관련된 기능이므로 절대 주소를 확인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의 환경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등급을 사용하여 볼 수 있는 인터넷 내용을 제한할 수 있다.
  2. 웹 브라우저의 접속 시 시작페이지의 설정을 바꿀 수 있다.
  3. 웹 페이지의 고유의 글꼴을 사용자 정의로 바꿀 수 있다.
  4. 열어본 페이지의 보관일수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
(정답률: 46%)
  • "열어본 페이지의 보관일수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다. 사용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의 설정에서 열어본 페이지의 보관일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 설정은 "인터넷 옵션" 메뉴에서 "일반" 탭의 "기록" 섹션에서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에서 사용되는 단축키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열기 : Ctrl + O
  2. 모두선택 : Ctrl + A
  3. 전체화면 : F11
  4. 인쇄 : Ctrl + C
(정답률: 60%)
  • 정답은 "인쇄 : Ctrl + C"입니다. 인쇄 단축키는 "Ctrl + P"입니다. "Ctrl + C"는 복사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에서 웹 페이지의 특정 단어를 빨리 찾을 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보기]-[이동]
  2. [보기]-[소스]
  3. [편집]-[이 페이지에서 찾기]
  4. [즐겨찾기]-[즐겨찾기 구성]
(정답률: 알수없음)
  • "[편집]-[이 페이지에서 찾기]"는 현재 보고 있는 웹 페이지에서 특정 단어를 빠르게 찾을 수 있는 기능이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페이지 내에서 원하는 단어를 검색하여 바로 찾아볼 수 있다. 다른 보기나 즐겨찾기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에서 ‘즐겨찾기 구성’ 메뉴에 있는 기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폴더 복사
  2. 이름 바꾸기
  3. 삭제
  4. 폴더 만들기
(정답률: 38%)
  •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에서 '즐겨찾기 구성' 메뉴에 있는 기능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폴더 복사"입니다. 이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능을 사용하려고 하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인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현재 페이지를 다시 읽어 들이는 기능
  2. 이미지 수정ㆍ편집 기능
  3. 인쇄 미리보기 기능
  4. 전자메일로 페이지 보내기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에서는 이미지 수정ㆍ편집 기능이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기능들과는 달리 해당 기능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미지 수정ㆍ편집 기능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검색엔진’이라는 키워드를 검색하여 특정 검색 엔진에서 검색된 정보가 80개이고, 이 중 40개가 적합한 정보로 판정되었다면 이 검색엔진의 정확율은?

  1. 40%
  2. 50%
  3. 60%
  4. 80%
(정답률: 46%)
  • 정확율은 적합한 정보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 경우 정확율은 50%이다. 검색된 정보 중 적합한 정보가 40개이므로, 적합하지 않은 정보는 40개이다. 따라서 전체 검색된 정보는 80개이므로, 정확율은 40/80 = 0.5 =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정보 검색식을 수립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키워드는 선정시 주제와 관련하여 다양하게 고려한다.
  2. 논리 연산자와 인접 연산자의 사용법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에 사용한다.
  3. 영어의 대ㆍ소문자는 전혀 고려할 필요가 없다.
  4. 필요에 따라 절단 검색 기능도 적절히 활용한다.
(정답률: 36%)
  • 정보 검색식에서 영어의 대소문자는 고려해야 합니다.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으면 검색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apple"과 "Apple"은 다른 단어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검색식을 작성할 때 영어의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작성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검색엔진의 구성요소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1. 로봇, 색인기, 검색엔진 소프트웨어
  2. 캐시, 프레임, 검색엔진 소프트웨어
  3. 로봇, 프레임, 검색엔진 소프트웨어
  4. 로봇, 캐시, 검색엔진 소프트웨어
(정답률: 알수없음)
  • 검색엔진은 크게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첫 번째는 로봇입니다. 로봇은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검색엔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 두 번째는 색인기입니다. 색인기는 로봇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색어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검색엔진의 데이터베이스에 색인화합니다. 마지막으로 검색엔진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검색어를 받아 색인화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결과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로봇, 색인기, 검색엔진 소프트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바람직한 정보검색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여러 검색엔진을 사용해서 비교해 본다.
  2. 가능하면 키워드는 구체적으로 입력한다.
  3. 각 검색엔진별 도움말을 참고한다.
  4. 검색 연산자는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검색 연산자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부적절한 정보검색 방법이 아니라 오히려 바람직한 방법이다. 하지만 검색 연산자를 사용하는 방법이 다른 방법들보다 더 복잡하고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보자나 일반 사용자들은 검색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검색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터넷 윤리

67. 웹 페이지의 헤더(Header)에 다음의 메타 태그를 넣었다면 무엇을 하기 위함인가?

  1. 로봇의 접근을 부분적으로 허용한다.
  2. 로봇의 접근을 모든 부분에서 허용한다.
  3. 로봇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다.
  4. 로봇의 접근을 최대한 유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를 넣은 것은 검색 엔진 로봇이 해당 페이지를 수집하지 않도록 막기 위함이다. 따라서 "로봇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구글코리아(http://google.co.kr)의 메인페이지 상단에서 별도로 지원하지 않는 검색메뉴는?

  1. 카페
  2. 이미지
  3. 블로그
  4. 뉴스
(정답률: 42%)
  • 구글코리아의 메인페이지 상단에서는 이미지, 블로그, 뉴스 검색메뉴를 지원하지만, 카페 검색메뉴는 별도로 지원하지 않습니다. 카페는 구글의 검색결과 중에서도 커뮤니티와 같은 사용자들이 정보를 공유하는 공간으로, 별도의 검색메뉴가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구글 검색결과에 자주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국내에서 개발된 검색엔진으로 바르게 짝지어 것은?

  1. 구글, 익사이트
  2. 야후, 구글
  3. 엠파스, 네이버
  4. 야후, 고
(정답률: 알수없음)
  • 엠파스와 네이버는 모두 국내에서 개발된 검색엔진이기 때문에 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구글과 익사이트는 모두 외국에서 개발된 검색엔진이며, 야후와 구글, 야후와 고는 국내에서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대부분의 검색엔진들이 제공하는 검색엔진으로, 주제별 디렉토리 서비스와 키워드 검색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검색엔진을 뜻하는 용어는?

  1. 로봇 검색엔진
  2. 하이브리드형 검색엔진
  3. 멀티쓰레드 검색엔진
  4. 지능형 검색엔진
(정답률: 알수없음)
  • 하이브리드형 검색엔진은 주제별 디렉토리 서비스와 키워드 검색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검색엔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워드 검색을 통해 빠르게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으며, 동시에 주제별 디렉토리를 통해 관련된 정보를 더욱 체계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엠파스에서 제공하는 블로그 서비스 메뉴가 아닌 것은?

  1. 브랜드 블로그
  2. 블로그 피플
  3. 블로그 산책
  4. 테마 스토리
(정답률: 10%)
  • "브랜드 블로그"는 엠파스에서 제공하는 블로그 서비스 메뉴가 아닙니다. 이는 기업이나 브랜드를 대상으로 한 전문적인 블로그 서비스로, 엠파스에서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대신 "블로그 피플", "블로그 산책", "테마 스토리" 등 다양한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인물 정보를 대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전자우편 주소 등의 정보를 제공해주는 사이트를 일컫는 용어는?

  1. 비비시모(Vivisomo)
  2. 옐로우페이지(Yellow Page)
  3. 옐로우북(Yellow Book)
  4. 화이트페이지(White Page)
(정답률: 19%)
  • 화이트페이지는 전화번호부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인물 정보를 대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전자우편 주소 등의 정보를 제공해주는 사이트를 일컫는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전화번호부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화이트페이지는 인물 정보와 관련된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검색어로 사용되는 단어의 유어의/동의어/반의어 등을 계층적인 관계와 종속적인 관계로 나타내주는 용어사전은?

  1. Perl
  2. Thread
  3. Thesaurus
  4. Mobile
(정답률: 37%)
  • Thesaurus는 검색어와 관련된 유의어, 반의어, 상위어, 하위어 등의 계층적인 관계와 종속적인 관계를 나타내주는 용어사전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검색관련 용어 중 검색되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검색어의 사용으로 누락된 정보를 일컫는 말은?

  1. 패치
  2. 리키지
  3. 스푸핑
  4. 크롤러
(정답률: 40%)
  • 리키지는 잘못된 검색어의 사용으로 검색되었어야 할 정보가 누락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검색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누락된 정보를 나타내는 용어는 리키지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 ? 등으로 절단 검색 등에 사용하여, 하나 또는 많은 문자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키보드 문자를 뜻하는 용어는?

  1. 와일드 카드 문자
  2. 구문 문자
  3. 자연어 문자
  4. 인접 연산자
(정답률: 50%)
  • 와일드 카드 문자는 검색어에서 일부 문자를 대체하는 데 사용되는 문자로, *와 ?와 같은 특수 문자를 말합니다. 이러한 문자는 구문 문자나 자연어 문자와는 달리 정확한 검색어를 찾는 데 사용되며, 인접 연산자와는 다르게 검색어의 일부를 대체하여 더 넓은 범위의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지식검색 기능이 없는 검색사이트는?

  1. 야후(http://kr.yahoo.com)
  2. 엠파스(http://www.empas.co.kr)
  3. 네이버(http://www.naver.com)
  4. 고(http://www.go.co.kr)
(정답률: 60%)
  • 고(http://www.go.co.kr)는 검색 기능이 없는 포털 사이트이다. 대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검색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중에서 지식검색 기능이 없는 검색사이트는 고(http://www.go.co.k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국내의 인터넷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할 수 있는 정보영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특정 기업의 날짜별 주가 변동 추세
  2. 언론매체에 게재된 기사 내용
  3. 개인 홈페이지에 등록한 이미지 파일
  4. 포털 사이트에 가입된 회원의 전자우편 본문 내용
(정답률: 67%)
  • 포털 사이트에 가입된 회원의 전자우편 본문 내용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법적 제한이 있기 때문에 검색엔진에서 검색할 수 없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가장 거리가 먼 정보영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IRC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글자를 타이핑하는 시간을 줄이고 대화 속도를 지연시키지 않기 위해서 메시지를 약어로 표현한 것은?

  1. 스마일리
  2. 이모티콘
  3. 두문자어
  4. 아바타
(정답률: 58%)
  • IRC에서는 대화 속도를 높이기 위해 글자를 줄이는 약어를 사용하는데, 이 중에서도 두 글자로 이루어진 약어를 두문자어라고 부릅니다. 스마일리나 이모티콘은 그저 감정이나 표현을 나타내기 위한 그림이나 기호이고, 아바타는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정보 검색사의 역할 중 고객의 요구에 알맞은 정보를 검색, 분석하여 제공하는 역할은?

  1. 정보 공개인 역할
  2. 정보 중개인 역할
  3. 정보 상담자 역할
  4. 정보 분석가 역할
(정답률: 30%)
  • 정보 검색사는 고객의 요구에 맞는 정보를 검색하고 분석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를 위해 정보 분석가 역할을 수행하여 검색된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합니다. 따라서 "정보 분석가 역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1차 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논문
  2. 초록지
  3. 보고서
  4. 잡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초록지"입니다.

    "논문", "보고서", "잡지"는 모두 어떤 주제나 연구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1차 정보의 형태입니다. 하지만 "초록지"는 1차 정보가 아니라, "초록"이라는 형태의 2차 정보입니다. "초록"은 논문, 보고서, 잡지 등의 1차 정보에서 요약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1차 정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