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13)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2010-03-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인터넷의 이해

1. 다음 중 인터넷의 정의를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1. 전 세계의 윈도우를 사용하는 컴퓨터들이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2. 많은 서버들이 클라이언트에 연결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통신망이다.
  3. TCP/IP로 연결된 네트워크들이 결합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이다.
  4. 미국 국방성이 군사적 목적으로 구축한 NSFNET에서부터 처음 시작된 통신망이다.
(정답률: 60%)
  • 인터넷은 TCP/IP로 연결된 네트워크들이 결합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이다. 이는 전 세계의 컴퓨터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며, 많은 서버들이 클라이언트에 연결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통신망이다. 미국 국방성이 군사적 목적으로 구축한 NSFNET에서부터 처음 시작된 통신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터넷 프로토콜에 대한 내용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터넷의 표준 프로토콜은 TCP/IP이다.
  2. 인터넷의 표준 프로토콜은 컴퓨터가 정보를 주고받을 때,따라야할 통신규약이다.
  3. 인터넷의 표준 프로토콜은 1979년에 도입 되었다.
  4. TCP/IP는 빈트 서프와 로버트 칸이 처음 설계하였다.
(정답률: 59%)
  • 가장 거리가 먼 것은 "TCP/IP는 빈트 서프와 로버트 칸이 처음 설계하였다."입니다.

    인터넷의 표준 프로토콜은 컴퓨터가 정보를 주고받을 때, 따라야할 통신규약이며, TCP/IP가 그것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1979년에 도입되었고, 빈트 서프와 로버트 칸이 설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인터넷의 양적 팽창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수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IP주소를 가지고 있으면서 이름이 네임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컴퓨터 수를 의미하는 것은?

  1.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수
  2. KR 도메인 수
  3. 인터넷 이용자 수
  4. 호스트 수
(정답률: 77%)
  • 정답은 "호스트 수"입니다. 이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IP주소를 가지고 있으면서 이름이 네임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컴퓨터의 수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인터넷의 양적 팽창을 나타내는 지수와는 관련이 있지만, 호스트 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해설요구문서(RF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컴퓨터 통신 및 인터넷과 관련된 표준 규격을 제시하는 문서이다.
  2. 출판된 RFC 문서는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3. 모든 RFC 문서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검색은 가능하나 다운로드할 수 없다.
  4. 한글로 번역된 RFC 문서 정보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정답률: 56%)
  • 해설요구문서(RFC)는 컴퓨터 통신 및 인터넷과 관련된 표준 규격을 제시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이 가능하며, 모든 RFC 문서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검색은 가능하지만 다운로드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한글로 번역된 RFC 문서 정보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영문 도메인에 관련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언더바(_)나 공백(space)을 사용할 수 있다.
  2. 영문자 대ㆍ소문자의 구별이 있다.
  3. 기관의 이름,기관의 성격,국가 표시 등으로 구성된다.
  4. 도메인의 각 부분은 콜론(:)으로 구분한다.
(정답률: 40%)
  • 도메인은 인터넷 상에서 웹사이트를 식별하는 주소이며, 기관의 이름, 기관의 성격, 국가 표시 등으로 구성됩니다. 이 주소는 언더바(_)나 공백(space)을 사용할 수 없으며, 영문자 대소문자의 구별이 있습니다. 도메인의 각 부분은 콜론(:)으로 구분하지 않고, 점(.)으로 구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사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개인 도메인으로 옳은 것은?

  1. co
  2. com
  3. pe
  4. go
(정답률: 53%)
  • "pe"는 페루의 국가 코드이며, 개인이나 비영리 단체 등 사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이다. 따라서 개인적인 블로그나 포트폴리오 사이트 등에 적합하다. "co"와 "com"은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도메인이고, "go"는 정부 기관이나 군대 등에 사용되는 도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최상위 도메인(TLD)이 아닌 것은?

  1. com
  2. pro
  3. gov
  4. or
(정답률: 40%)
  • "or"은 최상위 도메인(TLD)이 아니라,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일반적인 최상위 도메인(TL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기존에 사용되어 온 IPv4 주소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주소체계는?

  1. A클래스
  2. NIDA
  3. IPv6
  4. 버추얼 도메인 네임
(정답률: 88%)
  • IPv6는 128비트 길이의 주소체계로,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더 많은 기기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웹 사이트가 IP주소로는 접속이 되나 영문 주소로는 접속이 되지 않는다면 가장 문제되는 부분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DNS(DomainNameSystem)
  2. IPv4
  3. ISP(InternetServiceProvider)
  4. TLD(TopLevelDomain)
(정답률: 54%)
  • 정답은 "DNS(DomainNameSystem)"입니다.

    DNS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시스템으로, 사용자가 영문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찾아서 사용자에게 전달합니다. 따라서 DNS에 문제가 생기면 영문 주소로 접속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Pv4는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체계 중 하나로, 컴퓨터나 기기들이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주소입니다. ISP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TLD는 최상위 도메인으로, 도메인 이름의 가장 끝에 위치하는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FTP(FileTransferProtocol)전용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AL_FTP
  2. WS_FTP
  3. Cute_FTP
  4. Telnet
(정답률: 알수없음)
  • Telnet은 FTP 전용 프로그램이 아닌 터미널 에뮬레이터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Telnet은 원격 호스트에 로그인하고 명령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FTP 전용 프로그램은 파일 전송을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전자우편 보안을 위한 암호화 도구는?

  1. PGP
  2. From
  3. Date
  4. Webmail
(정답률: 39%)
  • PGP는 Pretty Good Privacy의 약자로, 전자우편 보안을 위한 암호화 도구 중 하나입니다. PGP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전자우편을 암호화하고, 인증서를 통해 보안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PGP를 사용하면 전자우편의 내용이 해킹이나 스팸 메일 등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인터넷 상에서 전자우편을 이용하여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 정보나 의견을 주고 받기 위해 이용하는 서비스는?

  1. 메일서버
  2. Telnet
  3. FTP
  4. 메일링리스트
(정답률: 62%)
  • 메일링리스트는 인터넷 상에서 전자우편을 이용하여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 정보나 의견을 주고 받기 위해 이용하는 서비스입니다. 다른 보기인 메일서버, Telnet, FTP는 메일링리스트와는 다른 서비스입니다. 메일서버는 전자우편을 주고받는 서버, Telnet은 원격 접속 프로토콜,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AnonymousFTP서비스를 이용할 때 입력해야 하는 ID로 옳은 것은?

  1. 본인의 전자우편 주소
  2. 가입시 본인이 입력한 ID
  3. anonymous
  4. 본인의 주민등록번호
(정답률: 34%)
  • AnonymousFTP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사용자가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사용하는 서비스로, 사용자가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접속할 수 있도록 제공됩니다. 이때 입력해야 하는 ID는 "anonymous"입니다. 이유는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실제 ID를 입력하지 않고도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대신, 사용자는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여 파일 제공자가 필요한 경우 연락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본인의 전자우편 주소"나 "가입시 본인이 입력한 ID"나 "본인의 주민등록번호"는 AnonymousFTP서비스를 이용할 때 입력해야 하는 ID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FTP 서비스 이용 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파일 뿐만 아니라 폴더 전송도 가능하다.
  2. 웹 브라우저로 FTP 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별도의 FTP전용프로그램이 필요 없다.
  3.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접속 가능한 특정 FTP서버는 웹 브라우저로 이용할 수 없다.
  4. 웹 브라우저로 FTP 서버에 접속하여도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정답률: 58%)
  • "웹 브라우저로 FTP 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별도의 FTP전용프로그램이 필요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FTP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웹 브라우저로 FTP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는 있지만,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웹 브라우저로 FTP 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별도의 FTP전용프로그램이 필요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유즈넷(USENET)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NNTP
  2. 뉴스서버
  3. 뉴스리더
  4. IRC
(정답률: 50%)
  • IRC는 유즈넷과는 별개의 인터넷 프로토콜로, 유즈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가 아닙니다. NNTP는 유즈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뉴스서버는 유즈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뉴스리더는 유즈넷에서 게시된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뉴스그룹의 대표적인 모그룹이 아닌 것은?

  1. com
  2. news
  3. soc
  4. talk
(정답률: 35%)
  • 정답은 "com"이다. "com"은 상업적인 목적을 가진 그룹으로, 뉴스그룹의 대표적인 모그룹이 아니다. "news", "soc", "talk"은 각각 뉴스, 사회, 대화를 주제로 하는 대표적인 모그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웹 상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메신저에서 일반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닌 것은?

  1. 쪽지 보내기
  2. 파일 전송하기
  3. 메일 보내기
  4. 실시간 다국어 번역
(정답률: 79%)
  •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메신저 서비스 중에서는 "실시간 다국어 번역"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공되는 특별한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정부와 소비자와의 전자적 거래로 인터넷을 통하여 민원서류신청,세금납부 등이 가능한 전자상거래 유형은?

  1. BtoB
  2. BtoC
  3. G toB
  4. G toC
(정답률: 57%)
  • 정부와 소비자 간의 전자적 거래를 의미하는 G toC는 정부와 개인 간의 거래를 의미하며, 민원서류신청, 세금납부 등과 같은 공공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전자상거래 유형이다. 따라서 정부와 소비자 간의 거래를 의미하는 G toC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무선주파수 인식 통신 기술이라 하며,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품의 판촉,추적,관리 할 수 있는 기술은 무엇인가?

  1. RFID
  2. Escrow
  3. CRM
  4. ERP
(정답률: 62%)
  • RFID는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약자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품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상품의 위치, 이동 경로, 재고 등을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상품의 판촉, 추적,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것은?

  1.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남학생 + 2009년 2학기 학과 수석한 학생
  2.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여학생 + 18세 이상 학생
  3. 서울시 진리아파트 거주 고등학생 +공부를 잘하는 학생
  4. 서울시 대학생 +김씨 성을 가진 여학생
(정답률: 45%)
  • 정답은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남학생 + 2009년 2학기 학과 수석한 학생"입니다. 개인정보보호법에서는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개인정보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름,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모두 개인정보에 해당합니다.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남학생 + 2009년 2학기 학과 수석한 학생"은 이름이나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개인정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3
  2. 5
  3. 10
  4. 50
(정답률: 53%)
  • 주어진 그림에서는 3번째 칸에 있는 동그라미 안에 있는 숫자가 "3"으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UN 전문기관의 하나로 지적재산권에 관한 국제조약을 제정하는 기구는?

  1. WTO
  2. ISO
  3. NIDA
  4. WIPO
(정답률: 30%)
  • WIPO는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의 약자로, 세계 지적재산권 기구로서 국제적으로 지적재산권 보호와 관련된 국제조약을 제정하고 이행을 촉진하는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전자서명법에서 전자서명 생성정보가 가입자에게 유일하게 속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증명하는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날인
  2. 서명
  3. 인증
  4. 심의
(정답률: 38%)
  • 전자서명 생성정보가 가입자에게 유일하게 속하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증명하는 행위를 "인증"이라고 한다. 이는 전자서명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절차이며, 인증기관이 이를 수행한다. 인증기관은 가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전자서명 생성정보가 가입자에게 유일하게 속하는지 검증하여 인증서를 발급한다. 이를 통해 전자서명의 진위성과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인터넷에서 네티즌들과 대화를 할 때 사용하지 않아야하는 것은?

  1. 상투어
  2. 이모티콘
  3. 명확한 언어
  4. 약어
(정답률: 44%)
  • 정답은 "상투어"입니다. 인터넷에서는 대화 상대와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명확하고 간결한 언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상투어는 공손함을 나타내기는 하지만, 대화 상대와의 소통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넷에서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인터넷에서 대화시 사용하는 다음과 같은 기호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약어
  2. 속어
  3. 이모티콘
  4. 신조어
(정답률: 50%)
  • 위의 기호는 이모티콘이라고 부릅니다. 이모티콘은 감정이나 상황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그림이나 기호로, 인터넷에서 대화를 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우리나라는 2007년부터 인터넷 실명제 시행으로 주민등록번호나 아이핀 등으로 신분이 확인된 사람만 온라인 게시판에 정보를 올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목적에 가장 가까운 것은?

  1. 스팸 메일 차단
  2. 안전한 인터넷 사용
  3. 광고 메시지 차단
  4. 온라인 전자상거래
(정답률: 69%)
  • 인터넷 실명제는 온라인 상에서의 개인정보 유출과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고, 불법적인 정보 유통을 막기 위한 제도이다. 따라서 이를 통해 안전한 인터넷 사용을 촉진하고,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컴퓨터 CPU(중앙처리장치)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캐시메모리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DRAM
  2. SRAM
  3. VRAM
  4. ROM
(정답률: 42%)
  • SRAM은 접근 시간이 빠르고 전력 소모가 적어 CPU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캐시 메모리에 주로 사용됩니다. 반면 DRAM은 접근 시간이 느리고 전력 소모가 많아 CPU의 성능 향상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VRAM은 그래픽 처리에 사용되는 메모리이며, ROM은 읽기 전용 메모리로 CPU의 성능 향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가 주기억 장치에 로딩되어 사용자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까지의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부팅
  2. 실시간처리
  3. 플러그앤플레이
  4. 멀티태스킹
(정답률: 72%)
  • 부팅은 컴퓨터를 켜서 운영체제가 주기억 장치에 로딩되어 사용자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까지의 과정을 말합니다. 즉,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처음에 실행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하나의 명령으로 여러 개의 명령을 수행하도록하는 기능을 통하여 문서를 읽을 때 감염되는 바이러스로,마이크로소프트사의 엑셀과 워드 파일에 주로 감염되는 바이러스는?

  1. 부트 바이러스
  2. 팜 바이러스
  3. 매크로 바이러스
  4. 웜 바이러스
(정답률: 48%)
  • 매크로 바이러스는 엑셀과 워드와 같은 문서 파일에 숨어서 실행되는 바이러스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문서 내부에 포함된 매크로 명령어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명령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서를 열면 자동으로 실행되어 감염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성격이 다른 프로그램은?

  1. ALZIP
  2. WinRAR
  3. WinPLE
  4. WinZIP
(정답률: 47%)
  • WinPLE은 파일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프로그램으로, 다른 세 개의 프로그램과는 목적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인터넷 전용회선은 속도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다음 중 전용회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T3
  2. E1
  3. T1
  4. S7
(정답률: 60%)
  • "S7"은 인터넷 전용회선의 종류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T3, E1, T1은 모두 전용회선의 종류로, 각각 45Mbps, 2Mbps, 1.5Mbps의 속도를 제공한다. 하지만 S7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회선 종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전용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때 필요한 장비가 아닌 것은?

  1. 랜 카드
  2. 허브
  3. 사운드카드
  4. 라우터
(정답률: 59%)
  • 전용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때 필요한 장비는 "랜 카드", "허브", "라우터"입니다. 이들은 인터넷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장비로, 랜 카드는 컴퓨터와 전용선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허브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장비, 라우터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비입니다. 반면, 사운드카드는 컴퓨터에서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 인터넷 연결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사운드카드는 전용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때 필요한 장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xDSL을 이용한 접속 종류중 상향속도와 하향속도가 같은 것은??

  1. HDSL
  2. ADSL
  3. RADSL
  4. VDSL
(정답률: 28%)
  • HDSL은 High-bit-rate Digital Subscriber Line의 약자로, 상향속도와 하향속도가 모두 같은 대칭형 xDSL 접속 종류입니다. 이는 전송 속도가 대칭적으로 분배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다른 xDSL 종류들은 대부분 상향속도와 하향속도가 다르게 분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터넷 자원 탐색

34. 국내에서 시행되는 초고속 인터넷 품질보장제도(SLA)의 취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최저 속도 보장
  2. 장애 발생시 처리 기준 강화
  3. 개통 기한 보장
  4. 인터넷 사용료 안정
(정답률: 30%)
  • 인터넷 사용료 안정은 SLA의 취지와는 관련이 없는 요소입니다. SLA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보장을 의미하며, 최저 속도 보장, 장애 발생시 처리 기준 강화, 개통 기한 보장 등이 해당됩니다. 인터넷 사용료 안정은 서비스 가격에 대한 안정성을 의미하며, SLA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케이블 TV망의 장단점이 아닌 것은?

  1. 케이블 모뎀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므로 전화선과 별도로 사용할 수 있다.
  2. 고정 IP주소 방식을 사용한다.
  3. 가입자 증가로 인해 전송속도는 감소된다.
  4. 케이블 TV망이 설치된 지역에서만 서비스가 가능하다.
(정답률: 22%)
  • 고정 IP주소 방식을 사용하는 것은 케이블 TV망의 장단점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정답이 아닙니다.

    고정 IP주소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들이 항상 동일한 IP주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원격 접속이나 서버 운영 등에 필요한 경우에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 )안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8080번
  2. 88번
  3. 80번
  4. 21번
(정답률: 44%)
  • 주어진 그림은 TCP/IP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포트 번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80번"은 HTTP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포트 번호입니다. HTTP 프로토콜은 인터넷 상에서 웹 페이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므로, 이 그림에서 정답은 "80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1989년 CERN의 팀 버너스에 의하여 개발되었으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에서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은 무엇인가?

  1. Internet
  2. USENET
  3. TCP/IP
  4. WWW
(정답률: 36%)
  •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에서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이를 가능하게 한 것이 WWW(World Wide Web)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WW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웹의 작동 순서를 가장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1. 가-나-다-라
  2. 다-나-라-가
  3. 나-다-라-가
  4. 라-다-나-가
(정답률: 55%)
  • 웹의 작동 순서는 먼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보내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라-다-나-가"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 먼저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 (라)
    -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처리를 하고,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합니다. (다)
    -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받은 응답을 해석하고, 웹 페이지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 (나)
    - 사용자는 웹 페이지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다시 요청을 보내거나 다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가)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웹 서버의 서버 프로그램에 포트번호를 89로 지정하고 이 웹 사이트에 접속하려고 할 때 가장 옳은 것은?

  1. 도메인 주소에 반드시 포트번호를 ‘:89’로 입력해야만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2. 도메인 주소 앞에 포트번호 ‘80:89’로 입력해야 한다.
  3. 포트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접속이 가능 하다.
  4. 포트번호는 입력하지 않아도 되나 ID와 비밀 번호는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
(정답률: 36%)
  • 웹 서버의 서버 프로그램에 포트번호를 89로 지정했기 때문에, 접속 시에도 해당 포트번호를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도메인 주소에 반드시 포트번호를 ‘:89’로 입력해야만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HTTP,FTP,SMTP는 ISO에서 제정한 OSI7계층 중 어느 계층에 속하는가?

  1. 응용계층
  2. 물리계층
  3. 전송계층
  4. 서비스계층
(정답률: 42%)
  • HTTP, FTP, SMTP는 모두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형식과 의미를 결정하는 응용계층에 속합니다. 이들 프로토콜은 사용자가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하거나 파일을 전송하거나 이메일을 보내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되며, 이를 위해 응용계층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포맷 등을 정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회사 홈페이지를 구축하려고 할 때 홈페이지 구축 과정을 가장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1. 나-가-마-다-라
  2. 마-라-다-가-나
  3. 라-나-마-다-가
  4. 라-나-마-가-다
(정답률: 72%)
  • 홈페이지 구축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획 단계 (라)
    2. 디자인 단계 (나)
    3. 개발 단계 (마)
    4. 테스트 및 검수 단계 (다)
    5. 배포 및 유지보수 단계 (가)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라-나-마-다-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웹의 표준인 HTML 문서로 저장 할 수 없는 것은?

  1. MSPowerPoint
  2. MSWord
  3. 그림판
  4. 한글 2007
(정답률: 45%)
  • 그림판은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HTML 문서로 저장할 수 없습니다. MSPowerPoint, MSWord, 한글 2007은 모두 HTML 문서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태그 명령어 중 문단 나누기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1. <p>
  2. <a>
  3. <font>
  4. <hr>
(정답률: 37%)
  • 정답: <p>

    설명: <p>는 문단(paragraph)을 나누는 태그로, 문단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 태그를 사용하면 문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목록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태그가 아닌 것은?

  1. <dl>
  2. <ul>
  3. <li>
  4. <br>
(정답률: 43%)
  • 정답은 "<br>"입니다. "<br>"은 줄바꿈을 위한 태그이며, 목록을 만드는 태그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멀티미디어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텍스트
  2. 이미지
  3. 웹브라우저
  4. 비디오
(정답률: 36%)
  • 웹브라우저는 멀티미디어 자체가 아니라 멀티미디어를 보여주는 도구이기 때문에 멀티미디어의 구성요소가 아니다. 멀티미디어의 구성요소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멀티미디어의 3차원 이미지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1. 그림판
  2. 하이퍼터미널
  3. 워드패드
  4. 3D MAX
(정답률: 71%)
  • 3D MAX는 3차원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전문적인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도구와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렌더링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의 3차원 이미지를 만드는데 가장 적합한 소프트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오디오/비디오 포맷 압축 방식으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용 스트리밍 기능이 있는 것은?

  1. WMV
  2. MPEG
  3. MOV
  4. ASF
(정답률: 14%)
  • 정답은 "WMV"입니다. WMV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오디오/비디오 포맷 압축 방식으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용 스트리밍 기능이 있습니다. MPEG, MOV, ASF는 각각 다른 회사나 기관에서 개발한 오디오/비디오 포맷이며,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도 지원하지만 스트리밍 기능은 WMV에 비해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이미지 파일 형식이 아닌 것은?

  1. GIF
  2. AVI
  3. JPG
  4. PNG
(정답률: 65%)
  • AVI는 동영상 파일 형식이며,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이미지 파일 형식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GIF, JPG, PNG은 모두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이미지 파일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스트리밍 기술을 적용하는 예로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의 크기가 커서 메모리에 저장이 어려운 경우
  2. 웹 상에서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경우
  3. 인터넷 회선 속도가 느리고 자주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4. RemoteSite에서 데이터를 실행하는 경우
(정답률: 30%)
  • 인터넷 회선 속도가 느리고 자주 끊기는 경우는 스트리밍 기술을 적용하는데 가장 옳지 않은 예입니다. 이는 스트리밍 도중에 데이터 전송이 끊어지거나 지연되어 사용자가 영상을 원활하게 시청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아이폰과 같이 운영체제(OS)가 내장되어 있어서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컴퓨터처럼 사용 할 수 있는 핸드폰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스마트폰
  2. 플러그인폰
  3. WCDMA폰
  4. CDMA폰
(정답률: 75%)
  • 스마트폰은 운영체제가 내장되어 있어서 인터넷이나 다양한 앱을 사용할 수 있는 핸드폰을 말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운영체제와는 관련이 없는 기술이나 통신 규격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대표적인 플러그 인 프로그램으로 미국 어도비 시스템스에서 개발한 AcrobatReader로 작성한 파일 형식은 무엇인가?

  1. SWF
  2. PDF
  3. PPT
  4. ASF
(정답률: 65%)
  • 정답은 "PDF"이다. AcrobatReader로 작성한 파일 형식은 Portable Document Format의 약자인 PDF이다. PDF는 다양한 운영체제와 프로그램에서 동일한 형식으로 문서를 표시할 수 있으며, 보안성이 높아서 인터넷에서 문서를 공유할 때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플러그 인 프로그램이 필요한 가장 적절한 이유는 어느 것인가?

  1. 웹 브라우저가 자체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2. 파일 용량이 너무 커서 실행이 어렵기 때문에
  3. 인터넷 회선 속도가 너무 느려서 실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4. 공개 자료실을 이용하여 쉽게 다운로드 할 수 없기 때문에
(정답률: 알수없음)
  • 웹 브라우저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나 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실행하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플러그 인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웹 브라우저로 사용할 수 없는 서비스는?

  1. WWW(WorldWideWeb)
  2. Telnet
  3. FTP(FileTransferProtocol)
  4. IRC(InternetRelayChat)
(정답률: 16%)
  • IRC(InternetRelayChat)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접속해야 하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로 사용할 수 없는 서비스입니다. 다른 세 가지 서비스는 모두 웹 브라우저에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웹(We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피어-투-피어(PeertoPeer)구조로 이루어진 집중 네트워크이다.
  2. HTTP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3.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MS윈도우즈만의 전용 브라우저이다.
  4. 웹 브라우저에서 전자우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정답률: 54%)
  • HTTP 프로토콜은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규약이기 때문에, 웹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브라우저들 중에서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링스(Lynx)
  2. 모자익(Mosaic)
  3. 핫자바(HotJava)
  4.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Explorer)
(정답률: 53%)
  • 링스(Lynx)는 텍스트 기반 브라우저로, 그래픽 사용이 불가능하며 웹 페이지를 텍스트로만 보여줍니다. 따라서 다른 브라우저들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모자익(Mosaic), 핫자바(HotJava),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Explorer)는 그래픽 기반 브라우저로, 웹 페이지를 그래픽과 텍스트로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웹 브라우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이전에 접속한 홈페이지를 다시 방문할 경우 로딩하는 시간은 처음 접속보다 적게 소요된다.
  2. 동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대부분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한다.
  3. 모든 홈페이지의 텍스트와 이미지는 저작권 보호를 위해 절대 인쇄할 수 없다.
  4. 웹 브라우저를 여러 개 실행하여 브라우저 마다 각각 다른 홈페이지를 접속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정답률: 48%)
  • "모든 홈페이지의 텍스트와 이미지는 저작권 보호를 위해 절대 인쇄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부 홈페이지는 인쇄 기능을 제공하며,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제한 기능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모든 홈페이지가 인쇄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추가 설명: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제한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인쇄 버튼을 클릭하면 인쇄가 되지 않거나, 인쇄된 문서에 물음표나 기호 등이 포함되어 출력된다. 이는 인쇄된 문서를 복사하여 무단 배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989년 NCSA(NationalCenterforSupercomputing Application)에서 개발한 최초의 그래픽용 웹 브라우저는?

  1.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Explorer)
  2. 모자익(Mosaic)
  3. 삼바(Samba)
  4. 핫자바(HotJava)
(정답률: 44%)
  • 1989년 NCSA에서 개발한 최초의 그래픽용 웹 브라우저는 모자익(Mosaic)입니다. 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더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이미지와 텍스트를 함께 표시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인터넷 익스플로러, 핫자바, 삼바 등 다양한 웹 브라우저가 개발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웹 브라우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1. 웹 서버로부터 정보를 요청하고 불러와서 사용자 컴퓨터 화면에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2. 웹 서버에 있는 자료의 주소를 URL 또는 URI라는 형식으로 이용한다.
  3. 텍스트 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형식의 파일을 지원한다.
  4. 서버 컴퓨터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는 프로그램이다.
(정답률: 39%)
  • 서버 컴퓨터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는 프로그램이다. - 이 설명이 적절치 못하다. 이유는 웹 브라우저는 서버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인터넷 익스플로러 7. 0의 기능과 그에 대한 올바른 설명을 짝지은 것은?

  1. 자동 찾기 기능 -URL이나 키워드를 입력 할 때 이전 입력된 내용에서 첫 글자가 같으면 자동으로 나머지 글자들을 완성시켜주는 것
  2. 히스토리 기능 -최근 열어본 페이지 목록을 주소 표시줄 아래쪽에 표시하는 것
  3. 목록보기 기능 -최근 접속했던 사이트의 URL들을 저장해 두는 것
  4. 프레임 인쇄 기능 -웹 페이지에서 프레임 단위 인쇄를 지원하는 것
(정답률: 23%)
  • 프레임 인쇄 기능은 웹 페이지에서 프레임 단위로 구성된 부분들을 개별적으로 인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입니다. 즉, 하나의 웹 페이지 안에 여러 개의 프레임이 있는 경우, 각각의 프레임을 선택하여 인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체 페이지를 인쇄하는 것보다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인쇄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인터넷 익스플로러 7. 0의 브라우저를 전체 화면으로 키워서 보려고 한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단축키로 적절한 것은?

  1. F1
  2. F5
  3. F6
  4. F11
(정답률: 58%)
  • 정답: F11

    설명: F11은 인터넷 익스플로러 7.0에서 전체 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단축키입니다. 이를 누르면 브라우저 창이 모니터 화면 전체를 채우게 되어 더 큰 화면에서 웹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인터넷 익스플로러 7. 0으로 접속한 홈페이지에서 텍스트를 검색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단축키는?

  1. Ctrl + A
  2. Ctrl + P
  3. Ctrl + O
  4. Ctrl + F
(정답률: 63%)
  • "Ctrl + F" 단축키는 현재 열려있는 페이지에서 원하는 단어나 문구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단축키입니다. "Ctrl + A"는 전체 선택, "Ctrl + P"는 인쇄, "Ctrl + O"는 파일 열기와 관련된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자주 방문하는 홈페이지 주소를 등록해 놓고,다음에 접속할 때 바로 선택 클릭하는 방식으로 손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은?

  1. 즐겨찾기
  2. 오프라인
  3. 동기화
  4. 새로고침
(정답률: 63%)
  • 즐겨찾기는 자주 방문하는 홈페이지 주소를 등록해 놓고, 다음에 접속할 때 바로 선택 클릭하는 방식으로 손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검색엔진 로봇(Robot)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1. 크롤러,웜,방랑자,카탈로그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2. 인터넷 상의 웹 사이트 등을 주기적으로 검색하고 정보를 수집해서 웹 서버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프로그램이다.
  3. 로봇은 주기적으로 정보를 수집한 사이트를 재방문하기 때문에 이전에 수집한 정보와 현재 웹 사이트와의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다.
  4. 로봇이 어떤 웹 사이트를 방문할지는 각 로봇마다 구현된 정책이나 전략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정답률: 3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검색엔진 로봇이 웹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평소 접속이 잘되지 않는 웹 사이트에 잦은 접속시도를 일으켜 클라이언트들의 원활한 접속을 돕는다.
  2. 네트워크상의 불필요한 트래픽과 로봇의 잦은 검색은 관계가 없다.
  3. CGI프로그램 소스에 의해 로봇이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
  4. 성능이 뒤떨어지는 PC나 MAC 서버의 경우 로봇으로 인해 시스템이 다운되기도 한다.
(정답률: 9%)
  • 로봇이 웹 사이트를 크롤링하면서 많은 트래픽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성능이 뒤떨어지는 PC나 MAC 서버의 경우 로봇으로 인해 시스템이 다운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로봇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방문하는 곳이 아닌 것은?

  1. “Yellow Pages"처럼 여러 홈페이지들의 정보를 모아둔 곳
  2. “What'sNew"와 같이 새로운 홈페이지를 소개하는 곳
  3. “CoolSite"에 등록된 인기 사이트
  4. “EventPage"와 같이 업데이트나 변경이 잦은 사이트
(정답률: 34%)
  • 로봇은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거나 변경하지 않는 곳에서 획득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EventPage"와 같이 업데이트나 변경이 잦은 사이트는 로봇이 방문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검색엔진 로봇으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무의미한 사이트에 로봇이 검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1994년 제안된 것은?

  1. 로봇 배제 표준(RobotExclusionStandard)
  2. 메타 태그 검색 표준(MetaTagStandard)
  3. 로봇 설계 표준(RobotDesignStandard)
  4. 특정 로봇 배제(SpecificRobotExclusion)
(정답률: 37%)
  • 로봇 배제 표준은 웹사이트 소유자가 검색엔진 로봇에게 어떤 페이지를 검색할 수 있는지, 어떤 페이지를 검색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규약입니다. 이를 통해 검색엔진 로봇이 무의미한 페이지를 검색하지 않고, 웹사이트 소유자는 로봇에게 검색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터넷 윤리

67. 검색엔진의 검색 결과 평가 척도에서 재현율(Recall Ratio)과 정도율(Precision Ratio)의 차이는?

  1. 재현율은 보유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유효한 검색을 실행한 비율이고,정도율은 검색결과에서 적합한 정보가 차지하는 비율이다.
  2. 재현율은 검색결과에서 적합한 정보가 차지하는 비율이고,정도율은 보유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유효한 검색을 실행할 비율이다.
  3. 재현율은 검색결과에서 유효한 검색의 빈도발생 비율이고,정도율은 보유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요약정보의 정확도이다.
  4. 재현율은 보유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요약 정보의 정확도이고,정도율은 검색결과에서 유효한 빈도발생의 비율이다.
(정답률: 42%)
  • 정답은 "재현율은 보유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유효한 검색을 실행한 비율이고,정도율은 검색결과에서 적합한 정보가 차지하는 비율이다."이다.

    재현율은 실제로 존재하는 정보 중에서 검색 결과에서 찾아낸 정보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보유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유효한 검색을 실행한 비율을 나타낸다. 즉, 검색 대상이 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얼마나 많은 정보를 찾아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반면에 정도율은 검색 결과에서 적합한 정보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검색 결과에서 찾아낸 정보 중에서 실제로 유용하고 적합한 정보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재현율과 정도율은 서로 다른 측면에서 검색 결과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재현율은 검색 대상이 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아낸 정보의 비율을 나타내고, 정도율은 검색 결과에서 유용하고 적합한 정보의 비율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검색엔진이 갖추어야할 요건이 아닌 것은?

  1. 데이터베이스의 양이 많고 자주 갱신되어야 한다.
  2. 사용하기 편하고 검색 속도가 빨라야한다.
  3. ActiveX와 같은 추가 프로그램의 기능을 반드시 활용해야만 한다.
  4. 다양한 검색 옵션으로 효과적인 검색을 지원해야 한다.
(정답률: 64%)
  • ActiveX와 같은 추가 프로그램의 기능은 필수적이지 않다. 다른 요건들은 검색엔진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요건들이지만, ActiveX와 같은 추가 프로그램의 기능은 선택적인 요건이다. 또한, 이러한 추가 프로그램은 보안 문제와 호환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활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메타(Meta) 태그를 사용해 로봇이 해당 웹 페이지에 접근해 인덱스하는 것을 방지하려고 한다. 올바르게 작성된 코드는?

  1. <METAname="search_engine"content="index">
  2. <META name="robots"content="noindex">
  3. <METAname="search_engine"content="noindex">
  4. <META name="robots"content="index">
(정답률: 55%)
  • 정답은 "<META name="robots"content="noindex">"이다.

    이유는 "robots"는 검색 엔진 로봇이 해당 페이지를 인덱싱할 때 사용하는 지시어이다. "noindex"는 해당 페이지를 인덱싱하지 말라는 지시어이다. 따라서 이 메타 태그를 사용하면 검색 엔진 로봇이 해당 페이지를 인덱싱하지 않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검색엔진의 구축 방식인 매뉴얼 인덱스와 에이전트 인덱스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매뉴얼 인덱스 방식은 홈페이지를 작성한 사람이 자신의 홈페이지를 해당 분류에 직접 등록한다.
  2. 매뉴얼 인덱스 방식은 에이전트 인덱스 방식에 비해 정보의 양이 많은 편이다.
  3. 에이전트 인덱스 방식으로 수집된 정보는 갱신이 어려워 정보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4. 에이전트 인덱스 방식은 로봇을 이용하므로 수집된 정보의 질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정답률: 24%)
  • 매뉴얼 인덱스 방식은 홈페이지를 작성한 사람이 자신의 홈페이지를 해당 분류에 직접 등록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검색엔진에서 사용되는 논리 연산자 중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자료를 검색하는 것은?

  1. AND
  2. OR
  3. NOT
  4. XOR
(정답률: 55%)
  • "AND" 연산자는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자료를 검색하는 논리 연산자입니다. 예를 들어, "apple AND banana"라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 엔진은 "apple"과 "banana" 두 단어가 모두 포함된 자료를 검색합니다. 따라서 "AND" 연산자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검색엔진의 검색 결과 제공방식 중에서 정보의 주제에 따라 자체로 분류한 카테고리를 보여 주어 사용자가 찾아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1. 디렉토리
  2. 사이트
  3. 웹 문서
  4. 지식 검색
(정답률: 50%)
  • 디렉토리는 검색 결과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카테고리화하여 제공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주제의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정보를 찾아 들어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검색엔진에서 제공해주는 검색 결과의 한 방식으로 일반적인 검색으로 찾기 어려운 내용이나 궁금한 사항에 대한 질문과 답변 형식의 결과를 통해 사용자 간에 정보를 공유하도록 해주는 것은?

  1. 모바일 검색
  2. 키워드 검색
  3. 디렉토리 검색
  4. 지식 검색
(정답률: 48%)
  • 지식 검색은 사용자들이 질문과 답변 형식으로 정보를 공유하며, 일반적인 키워드 검색으로는 찾기 어려운 내용을 찾을 수 있도록 검색 엔진에서 제공하는 검색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검색엔진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가 아닌 것은?

  1. 색인기
  2. 검색엔진 프로그램
  3. 카테고리
  4. 로봇
(정답률: 48%)
  • 카테고리는 검색엔진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니라 검색 결과를 분류하거나 정렬하는 방법 중 하나일 뿐입니다. 검색엔진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는 색인기, 검색엔진 프로그램, 로봇입니다. 색인기는 검색 대상 문서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검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검색엔진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검색 요청을 받아 색인된 문서에서 검색어와 일치하는 결과를 찾아내는 역할을 합니다. 로봇은 인터넷 상의 웹 페이지를 수집하고 색인기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검색 방식에 따른 검색엔진의 종류로 적절치 못한 것은?

  1. 주제별 검색엔진
  2. 단어별 검색엔진
  3. 메타 검색엔진
  4. 하이퍼 검색엔진
(정답률: 36%)
  • 주제별 검색엔진, 단어별 검색엔진, 메타 검색엔진은 검색 방식에 따른 검색엔진의 종류로 적절한 것이지만, 하이퍼 검색엔진은 존재하지 않는 용어이기 때문에 적절치 못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네이버에서 제공하고 있는 어린이 전용 포털 서비스는?

  1. 키즈짱
  2. 꾸러기
  3. 아이디스크
  4. 쥬니어네이버
(정답률: 67%)
  • 쥬니어네이버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어린이 전용 포털 서비스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효과적인 인터넷 정보검색의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분야별 전문 검색엔진을 사용하기 보다는 범용 검색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2. 복잡한 검색식을 사용하는 것을 지양하고 단순한 키워드로 검색을 한다.
  3. 한글보다는 외국어로 검색어를 바꾸어서 검색한다.
  4. 1차 검색결과가 많을 경우 “결과내 검색” 기능을 이용해 검색결과를 추린다.
(정답률: 53%)
  • 정답은 "1차 검색결과가 많을 경우 “결과내 검색” 기능을 이용해 검색결과를 추린다." 이다. 이유는 1차 검색결과가 많을 경우,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검색어를 수정하거나 검색 조건을 변경하는 것보다 "결과내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검색결과를 좁히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정보검색과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개비지(Garbage)-부적절한 키워드나 연산자의 사용으로 검색 결과에서 누락된 정보
  2. 시소러스(Thesaurus)-검색어의 유의어/동의어/반의어 등을 계층적 관계로 나타내주는 용어 사전
  3. 리키즈(Leakage)-정보검색 결과로 표시되는 불필요한 정보
  4. 불용어(NoiseWord)-키워드로 사용할 경우 기본적으로 반드시 포함하는 단어나 문자열
(정답률: 47%)
  • 시소러스(Thesaurus)는 검색어의 유의어/동의어/반의어 등을 계층적 관계로 나타내주는 용어 사전입니다. 즉, 사용자가 검색어로 입력한 단어와 관련된 다른 단어들을 제시하여 검색 결과를 더욱 정확하고 다양하게 만들어줍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라는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시소러스를 이용하면 "차량", "승용차", "트럭" 등과 같은 유의어들도 함께 검색 결과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정보관리사가 갖춰야 할 기본적인 소양 및 능력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보검색의 절차를 이해하고 있다.
  2. 분야별 우수 데이터베이스가 무엇인지 알고 있다.
  3. 검색엔진의 검색방식을 알고 있다.
  4. 크래킹,해킹,바이러스 제작 등의 다양한 IT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정답률: 58%)
  • 정보관리사는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크래킹, 해킹, 바이러스 제작 등의 다양한 IT 경험을 보유하는 것은 정보보호와는 거리가 먼 능력입니다. 이는 오히려 정보를 침해하거나 파괴하는 행위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보관리사는 이러한 행위를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문장들을 그대로 검색엔진에서 검색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구문 검색
  2. 자연어 검색
  3. 절단 검색
  4. 결과내 재검색
(정답률: 60%)
  • 정답: 자연어 검색

    일상에서 사용하는 문장들은 자연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검색어로 입력하여 검색하는 것을 자연어 검색이라고 한다. 구문 검색은 문장의 구조나 문법적인 규칙에 따라 검색하는 것이고, 절단 검색은 검색어를 일부만 입력하여 검색하는 것이다. 결과내 재검색은 이미 검색된 결과에서 추가적인 검색을 수행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