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9-04)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2010-09-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인터넷의 이해

1. 인터넷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Windows, UNIX, Linux 등의 운영체제와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2. HTTP 표준 프로토콜로 연결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이다.
  3. 전 세계 누구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개방형 구조이다.
  4. 최초의 인터넷 효시는 ARPANet이다.
(정답률: 46%)
  • 인터넷은 HTTP 표준 프로토콜로 연결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가 아니라, 다양한 프로토콜로 연결된 전 세계적인 컴퓨터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국내외의 교육기관과 정부기관 등을 상호 연결하고 효율적인 정보 교환의 수단을 제공하여 교육 및 학술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전산망은?

  1. KREONET
  2. KORNET
  3. KREN
  4. NATIS
(정답률: 43%)
  • KREN은 국내외의 교육기관과 정부기관 등을 상호 연결하고 효율적인 정보 교환의 수단을 제공하여 교육 및 학술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전산망으로, KREONET과 KORNET의 통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KREN은 교육 및 학술연구 분야에서 전문적인 정보교환을 위한 전산망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컴퓨터 통신과 인터넷에 관련된 상세한 기술적인 절차와 규격을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제작한 문서는 무엇인가?

  1. I-Ds
  2. RFC
  3. IMR
  4. FYI
(정답률: 49%)
  • RFC는 Request for Comments의 약자로, 인터넷 표준화를 위해 제안된 기술적인 절차와 규격을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제작한 문서이다. 이 문서는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며, 인터넷 프로토콜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따라서 RFC는 인터넷의 기술적인 발전과 표준화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어떤 사항에 대해 자주 질문해 오는 내용과 답변을 정리해 놓은 문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IRG
  2. FYI
  3. RFC
  4. FAQ
(정답률: 65%)
  • FAQ는 "Frequently Asked Questions"의 약어로, 자주 질문해 오는 내용과 답변을 정리해 놓은 문서를 의미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IRG, FYI, RFC는 FAQ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약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의 선정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문 대ㆍ소문자 구별이 없으며, 하이픈(-)으로 끝날 수 있다.
  2. 길이는 최소 2자부터 최대 63자까지 가능하다.
  3. 콤마(,)나 언더바(_) 등의 기호를 사용할 수 없다.
  4. 전 세계적으로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주소로 사용된다.
(정답률: 52%)
  • 영문 대소문자 구별이 없으며, 하이픈(-)으로 끝날 수 있다는 것은 옳은 원칙입니다. 이는 도메인 이름을 입력할 때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하이픈으로 끝나도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example.com"과 "EXAMPLE.COM"은 동일한 도메인 이름으로 인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2단계 도메인(Second Level Domain)의 표기가 올바른 것은?

  1. es(고등학교)
  2. re(연구기관)
  3. kg(초등학교)
  4. ne(비영리 기관)
(정답률: 55%)
  • 정답은 "re(연구기관)"입니다.

    2단계 도메인은 국가 코드 상위에 위치하는 도메인으로, 국가별로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co.kr", "or.kr", "go.kr" 등이 대표적인 2단계 도메인입니다.

    "re"은 "research"의 약어로, 연구기관을 나타내는 도메인입니다. 따라서 연구기관에서 사용하는 도메인으로, 예를 들어 "kaist.re.kr"은 한국과학기술원의 연구기관 도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최상위 도메인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com
  2. net
  3. kr
  4. org
(정답률: 60%)
  • "kr"은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으로, 한국을 나타내는 도메인이다. 반면에 "com", "net", "org"는 국가와 상관없이 사용되는 일반 최상위 도메인이다. 따라서 "kr"은 다른 도메인과는 달리 국가를 나타내는 도메인으로 성격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IPv4의 임의의 주소를 나타낸 것이다. 밑줄 친 부분이 의미하는 것은?

  1. 네트워크 ID
  2. 호스트 ID
  3. 클래스 ID
  4. 도메인 ID
(정답률: 43%)
  • 주어진 IPv4 주소에서 밑줄 친 부분은 네트워크 ID를 나타낸다. 네트워크 ID는 해당 IP 주소가 속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역할을 한다. 호스트 ID는 해당 네트워크 내에서 개별적으로 할당되는 호스트를 식별하는 역할을 하며, 클래스 ID와 도메인 ID는 IPv4에서 사용되지 않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하나의 IP주소에 여러 개의 도메인 이름을 매핑시켜 여러 개의 홈페이지를 별도로 운영할 수 있는 서비스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리얼 웹 서비스(Real web service)
  2. 멀티 웹 서비스(Multi web service)
  3. 버추얼 웹 서비스(Virtual web service)
  4. 버추얼 도메인 네임 서비스(Virtual domain name service)
(정답률: 37%)
  • 하나의 IP주소에 여러 개의 도메인 이름을 매핑시켜 여러 개의 홈페이지를 별도로 운영할 수 있는 서비스를 "버추얼 웹 서비스(Virtual web service)"라고 한다. 이는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개의 도메인을 호스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 각각의 도메인은 서로 독립적인 홈페이지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는 각각의 도메인에 접속하여 다른 홈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가상 호스팅(Virtual hosting) 기술로,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개의 가상 서버를 생성하여 각각의 도메인을 호스팅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여러 사람에게 동시에 같은 내용의 메일을 보낼 때 수신자에게는 다른 사람의 메일 주소가 표시되지 않게 하는 전자우편의 헤더 구성 요소는?

  1. To
  2. Cc
  3. Bcc
  4. Reply-To
(정답률: 42%)
  • Bcc는 Blind Carbon Copy의 약자로, 수신자에게 다른 사람의 메일 주소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헤더 구성 요소입니다. 따라서 여러 사람에게 동시에 같은 내용의 메일을 보낼 때, 수신자들은 서로의 이메일 주소를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메일을 사용하는데 사용하는 통신 규약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SMTP
  2. POP3
  3. IMAP
  4. COMP
(정답률: 62%)
  • 정답은 "COMP"입니다. "SMTP", "POP3", "IMAP"은 모두 메일을 주고받는데 사용되는 통신 규약이지만, "COMP"는 존재하지 않는 규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특정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하기 위한 파일 전송 프로토콜인 FTP의 전용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PineTerm
  2. WS_FTP
  3. Ace FTP
  4. AL FTP
(정답률: 59%)
  • "PineTerm"은 터미널 에뮬레이터로, 파일 전송 프로토콜인 FTP의 전용 프로그램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인 "WS_FTP", "Ace FTP", "AL FTP"는 모두 FTP 전용 프로그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FTP 서비스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웹 브라우저를 이용할 경우 별도의 FTP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2. 텍스트 전송과 이진 파일 전송의 두 가지모드를 지원한다.
  3. 전송이 중단된 경우 중단 시점부터 재전송이 가능하다.
  4. 파일은 전송이 가능하나 폴더는 전송할 수 없다.
(정답률: 45%)
  • "파일은 전송이 가능하나 폴더는 전송할 수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FTP 서비스는 파일 뿐만 아니라 폴더도 전송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은 유즈넷(Usenet)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설명한 것이다. 올바르게 설명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정답률: 22%)
  • - FAQ: Frequently Asked Questions의 약자로, 자주 묻는 질문들을 모아놓은 문서를 의미한다. (ㄱ)
    - Flame: 다른 사용자를 공격하는 글을 쓰는 것을 의미한다. (ㄹ)
    - Netiquette: 인터넷에서의 예의와 규칙을 의미한다. (ㄱ)
    - Spam: 광고성 메일이나 게시물을 지속적으로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ㄴ)

    (ㄱ) FAQ와 Netiquette는 유즈넷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
    (ㄹ) Flame은 유즈넷에서 금기시되는 행동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유즈넷의 모 그룹의 주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oc : 사회 과학, 종교, 문화, 역사, 사회와 관련된 주제
  2. talk : 취업, 어린이, 건강 등 특정 그룹에 속하기 어려운 다양한 주제
  3. biz : 비즈니스, 상품, 서비스와 관련된 주제
  4. comp : 컴퓨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언어, 시스템에 관련된 주제
(정답률: 46%)
  • "talk : 취업, 어린이, 건강 등 특정 그룹에 속하기 어려운 다양한 주제"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실 talk 그룹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지만, 특정 그룹에 속하기 어려운 주제라는 제한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글자를 타이핑하는 시간을 줄이고 대화의 속도를 지연시키지 않기 위해 메신저 등에서 약어로 표현하는 문자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이모티콘
  2. 두문자어
  3. 아바타
  4. 스마일리
(정답률: 44%)
  • 메신저 등에서 글자를 빠르게 입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어로, 두 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단어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ㅇㅋ"는 "오케이"를 의미하며, "ㅇㅈ?"는 "응, 좋아?"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두문자어는 대화의 속도를 빠르게 하고, 글자 수를 줄여서 효율적인 대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메신저에 새롭게 추가되고 있는 기능으로 텍스트 메시지를 사운드로 읽어주는 기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TTS
  2. AOL
  3. UCC
  4. ICQ
(정답률: 57%)
  • TTS는 Text-to-Speech의 약자로,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해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메신저에서 텍스트 메시지를 읽어주는 기능을 TTS라고 부른다. AOL, UCC, ICQ은 모두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TTS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제품의 설계, 개발, 생산에서 유통, 폐기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Life Cycle 전반에 관련된 데이터를 통합하고 공유, 교환하여 비용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추구할 목적으로 기업 활동 전반을 전자화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는?

  1. EDI
  2. CALS
  3. SOHO
  4. CRM
(정답률: 25%)
  • CALS는 Computer-Aided Acquisition and Logistics Support의 약자로, 제품의 전 과정을 전자화하여 비용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는 기업 활동 전반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CALS와는 다른 분야나 개념을 나타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업과 소비자간의 전자상거래로써 사이버몰을 통한 전자 소매업을 뜻하는 것은?

  1. B to B
  2. B to C
  3. G to B
  4. G to C
(정답률: 63%)
  • B to C는 "Business to Consumer"의 약어로, 기업과 소비자간의 전자상거래로써 사이버몰을 통한 전자 소매업을 뜻합니다. 즉,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B to C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인터넷 상에서 주민등록번호를 대신하여 신분 확인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식별번호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i-PIN
  2. SET
  3. STT
  4. PGP
(정답률: 73%)
  • i-PIN은 인터넷 개인식별번호(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의 약자로, 주민등록번호 대신 인터넷 상에서 개인 신분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번호이다. SET은 안전한 전자상거래를 위한 보안 프로토콜, STT는 음성인식 기술, PGP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암호화 기술을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이들은 i-PIN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데이터베이스 제작자의 권리는 데이터베이스의 제작을 완료한 때부터 발생하며, 그 다음 해 부터 기산하여 몇 년간 존속되는가?

  1. 5년
  2. 10년
  3. 30년
  4. 50년
(정답률: 39%)
  • 이유는 저작권법 제39조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제작자의 권리는 데이터베이스의 제작을 완료한 때부터 발생하며, 그 다음 해 부터 기산하여 5년간 존속된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는 저작물에 해당하는 것은?

  1. 조례, 규칙
  2.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ㆍ공고
  3. 사실을 전달하는 시사보도
  4. 건축물ㆍ건축을 위한 모형 및 설계도서
(정답률: 44%)
  •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는 저작물은 창작성이 있고 고정된 형태로 표현된 것으로, 건축물ㆍ건축을 위한 모형 및 설계도서는 창작성이 있고 고정된 형태로 표현되기 때문에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는 저작물에 해당한다. 반면 조례, 규칙,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ㆍ공고, 사실을 전달하는 시사보도는 창작성이 없거나 고정된 형태로 표현되지 않기 때문에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을 수 없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전자문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그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전자서명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함으로써 국가 사회의 정보화를 촉진하고 국민생활의 편익을 증진을 목적으로 제정한 법은 무엇인가?

  1. 전자서명법
  2. 개인정보 보호법
  3. 저작권법
  4. 프로그램 보호법
(정답률: 53%)
  • 전자서명법은 전자문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그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자서명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하는 법으로, 국가 사회의 정보화를 촉진하고 국민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다른 보기들은 개인정보 보호, 저작권, 프로그램 보호와 관련된 법이지만, 전자서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FTP를 사용할 때 지켜야 할 네티켓으로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파일을 송ㆍ수신할 때는 시간 절약을 위해 업무 시간에 하는 것이 좋다.
  2. 파일을 업로드 할 때는 사전에 바이러스 검사를 한다.
  3. 상업용 프로그램을 업로드하지 않는다.
  4. 필요한 자료만 다운로드 한다.
(정답률: 60%)
  • "파일을 송ㆍ수신할 때는 시간 절약을 위해 업무 시간에 하는 것이 좋다."는 네티켓으로서는 올바르지 않은 내용이다. 파일 송수신은 업무 시간에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보기가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유해정보 차단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그린 I-Net 서비스
  2. MIRC
  3. NCAPatrol
  4. YOUTH KEEPER
(정답률: 50%)
  • 정답은 "MIRC"입니다. "그린 I-Net 서비스", "NCAPatrol", "YOUTH KEEPER"는 모두 유해정보를 차단하거나 관리하는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이지만, MIRC는 인터넷 릴레이 채팅 프로그램으로 유해정보 차단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IRC 사용 시에 지켜야 할 네티켓으로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만나고 헤어질 때는 간단하게 인사를 나눈다.
  2. 대화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약자를 많이 사용한다.
  3. 너무 길지 않은 문장을 사용하도록 한다.
  4. 다른 사람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는 질문은 가급적 자제한다.
(정답률: 39%)
  • 대화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약자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은 네티켓입니다. 이는 다른 사용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특히 외국인 사용자들에게는 더욱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한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문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인터넷에서 주로 프리웨어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할 때 자동으로 함께 설치되며, 사용자의 각종 개인정보를 유출시키는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쉐어웨어 (Shareware)
  2. 스파이웨어 (Spyware)
  3. 미들웨어 (Middleware)
  4. 그룹웨어 (Groupware)
(정답률: 70%)
  • 스파이웨어는 사용자의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 기록, 개인정보, 비밀번호 등을 수집하고 이를 제3자에게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주로 프리웨어나 무료 소프트웨어와 함께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며, 사용자가 알지 못하는 채로 작동합니다. 이러한 스파이웨어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유출시키는 위험성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리눅스(Linux)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닉스의 간이 버전인 미닉스(Minix)를 기반으로 개발된 운영체제이다.
  2. 멀티 플랫폼, 뛰어난 이식성, 네트워크 기능, 다양한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3. 파일 구성, 시스템의 기능, 핵심 커널 부분은 모두 유닉스를 기반으로 한다.
  4. 1991년 핀란드 대학생 Linus Torvalds에 의해 개발된 소스가 공개된 운영체제이다.
(정답률: 10%)
  • 리눅스는 유닉스의 간이 버전인 미닉스를 기반으로 개발된 운영체제이며, 멀티 플랫폼, 뛰어난 이식성, 네트워크 기능, 다양한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하지만 파일 구성, 시스템의 기능, 핵심 커널 부분은 모두 유닉스를 기반으로 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리눅스는 유닉스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체적인 개발과 기능을 추가하여 발전해온 운영체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파일명의 확장자가 나타내는 프로그램의 종류는?

  1. 실행 프로그램
  2. 라이브러리 프로그램
  3. 압축 프로그램
  4. 오피스 프로그램
(정답률: 53%)
  • 파일명의 확장자가 .zip으로 끝나므로 이 파일은 압축 프로그램으로 압축된 파일이다. 압축 프로그램은 파일이나 폴더를 압축하여 용량을 줄이거나 여러 파일을 하나로 묶어서 전송하거나 저장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압축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파일을 압축하게 되면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2.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을 수 있어 데이터의 백업과 관리가 용이하다.
  3.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전송에 트래픽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4. 국산 압축 프로그램인 알집은 게스트소프트가 개발하였다.
(정답률: 71%)
  • 국산 압축 프로그램인 알집은 게스트소프트가 개발한 것이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알집은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한 국내 압축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인터넷 전용 회선의 종류에 따른 채널수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T1 : 24개
  2. E1 : 60개
  3. T2 : 93개
  4. T3 : 700개
(정답률: 43%)
  • E1 회선은 30개의 시간슬롯을 가지고 있으며, 각 시간슬롯은 64Kbps의 속도를 가지므로, 총 30 x 64Kbps = 1.92Mbps의 대역폭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E1 회선은 60개의 채널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른 기종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비로, 인터넷에서 물리적 망들을 상호 연결하고 데이터 전송의 최적 경로를 설정해주는 네트워크 장비는?

  1. 브리지(Bridge)
  2. 허브(Hub)
  3. 라우터(Router)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률: 42%)
  • 라우터는 다른 기종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비로, 인터넷에서 물리적 망들을 상호 연결하고 데이터 전송의 최적 경로를 설정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라우터는 다른 장비들과 달리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브리지는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비이고, 허브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장비입니다.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아래 그림은 윈도우즈 XP 운영체제에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인터넷 프로토콜(TCP/IP)에서 네트워크 환경을 등록 할 때 필요한 정보가 아닌 것은?

  1. IP 주소
  2. 서브넷 마스크
  3. 게이트웨이
  4. NetBEUI
(정답률: 58%)
  • NetBEUI는 인터넷 프로토콜(TCP/IP)이 아닌 다른 프로토콜이므로, TCP/IP에서 네트워크 환경을 등록할 때 필요한 정보가 아니다. TCP/IP는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등은 TCP/IP에서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할 때 필요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터넷 자원 탐색

34. 케이블 TV망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케이블 TV망이 설치된 지역에서만 서비스가 가능하다.
  2. FDSU라고 불리기도 한다.
  3. 동시 접속자의 수가 많아지면 속도가 저하된다.
  4. 다운로드 속도에 비하여 업로드 속도는 다소 느린편이다.
(정답률: 21%)
  • 정답은 "FDSU라고 불리기도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케이블 TV망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은 FTTx(Fiber to the x) 기술 중 하나인 HFC(Hybrid Fiber Coaxial) 기술을 사용합니다. FDSU는 HFC 기술에서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이지만, 케이블 TV망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자체를 FDSU라고 부르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xDSL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디지털 가입자 회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2. 구리선을 사용하면서도 Mbps급의 전송 속도를 자랑한다.
  3. 반이중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
  4. ADSL, HDSL, SDSL 등 여러 종류의 기술이 있다.
(정답률: 48%)
  • 반이중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니라, 전송 방향이 대칭적이지 않아서 단방향으로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FTP 명령어 중 현재 디렉토리의 위치를 알기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1. ping
  2. TRACERT
  3. get
  4. pwd
(정답률: 53%)
  • 정답은 "pwd"이다.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위치를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URL의 기본 구성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프로토콜
  2. 포트번호
  3. 디렉토리명
  4. 키워드
(정답률: 40%)
  • URL의 기본 구성 요소는 프로토콜, 호스트명, 포트번호, 경로명, 쿼리스트링 등이 있습니다. 키워드는 URL의 구성 요소가 아니며, 검색 엔진에서 검색어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키워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약자가 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WWW : World Wide Web
  2.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3.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4. CGI : Client Gateway Interface
(정답률: 59%)
  • CGI : Client Gateway Interface가 바르지 않은 약자이다. 올바른 약자는 "Common Gateway Interface"이다. CGI는 웹 서버와 외부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준 프로토콜이다. 이를 통해 웹 서버는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HTML에서 사용되는 태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u>...</u> : 문자열을 밑줄 형식으로 출력하는 태그
  2. <b>...</b> : 문자열을 굵게 출력하는 태그
  3. <IMG SRC=""> : 그림파일을 클릭하면 페이지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태그
  4. <A HREF=" ">...</A> : 링크를 클릭하면 페이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태그
(정답률: 40%)
  • "<IMG SRC=""> : 그림파일을 클릭하면 페이지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태그"는 틀린 설명입니다. <IMG SRC="">는 이미지를 삽입하는 태그이며, 이미지를 클릭하면 페이지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은 추가적인 JavaScript 코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웹문서의 색상을 지정할 때 녹색을 나타내는 색상코드는 무엇인가?

  1. #000000
  2. #00FF00
  3. #0000FF
  4. #FFFFFF
(정답률: 47%)
  • 녹색은 RGB 색상 모델에서 빨강(Red)과 파랑(Blue)의 값이 0이고, 초록(Green)의 값이 최대인 00FF00으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00FF00"은 녹색을 나타내는 색상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홈페이지 저작도구 중 위지윅(WYSIWYG) 기반이 아닌 것은?

  1. 나모 웹 에디터
  2. 메모장
  3. 프론트 페이지
  4. 플래쉬
(정답률: 43%)
  • 메모장은 텍스트 편집기로, HTML 코드를 직접 작성해야 하며 WYSIWYG 기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홈페이지 저작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WYSIWYG 기능을 제공하는 홈페이지 저작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하이퍼미디어(Hypermedi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하이퍼텍스트, 하이퍼미디어, 다른 미디어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2. 문서 중간 중간에 특정 키워드를 두고 문자나 그래픽, 동화상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만든 문서
  3. 정보의 저장과 관리를 위해 그래픽, 음성, 영상 등이 결합되어 있는 정보
  4.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디지털 컨텐츠에 암호, 특정 코드 또는 패턴을 삽입하여 불법 복제를 막는 기술
(정답률: 27%)
  • 정보의 저장과 관리를 위해 그래픽, 음성, 영상 등이 결합되어 있는 정보입니다. 하이퍼미디어는 다양한 미디어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링크를 통해 다른 문서나 미디어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CGI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자사의 웹서버인 IIS와 Windows NT 기반에서 CGI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어플리케이션이다.
  2.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 웹 서버 사이의 상호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3. 방명록과 게시판, 자료실 등 대화형 웹페이지 작성 시 주로 이용된다.
  4. 일반적인 CGI 작성 프로그램 언어로는 C, Java, Perl 등이 있다.
(정답률: 7%)
  •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자사의 웹서버인 IIS와 Windows NT 기반에서 CGI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어플리케이션이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CGI는 웹 서버와 외부 프로그램 간의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 인터페이스이며, 특정 회사나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CGI를 사용하는 웹 서버와 프로그래밍 언어는 서로 호환되어야 하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IIS와 Windows NT 기반에서도 CGI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웹페이지의 본문이 작성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HTML 태그(tag)는 무엇인가?

  1. <body>...</body>
  2. <head>...</head>
  3. <title>...</title>
  4. <html>...</html>
(정답률: 45%)
  • 정답은 "<body>...</body>" 이다. 이는 웹페이지의 실제 내용이 들어가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실제로 볼 수 있는 부분이다. "<head>...</head>"는 웹페이지의 메타데이터를 담는 부분이고, "<title>...</title>"은 웹페이지의 제목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html>...</html>"은 HTML 문서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멀티미디어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다양하게 표현 가능한 미디어를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멀티미디어 응용분야는 인터넷 방송 및 주문형 비디오로 극히 제한적이다.
  3.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저장 및 전송을 위하여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4. 여러 종류의 미디어를 이용하여 정보가 표현되는 모든 것을 멀티미디어라고 한다.
(정답률: 54%)
  • "멀티미디어 응용분야는 인터넷 방송 및 주문형 비디오로 극히 제한적이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 멀티미디어는 인터넷 방송, 주문형 비디오뿐만 아니라 게임, 교육, 예술, 의료,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응용분야는 굉장히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서로 같은 형태의 파일 형식으로 짝지어진 것은?

  1. PCX, BMP, GIF
  2. ASF, MOV, JPEG
  3. ASF, WMF, MPEG
  4. WAV, AI, MP3
(정답률: 38%)
  • PCX, BMP, GIF은 모두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비트맵 방식으로 이미지를 저장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형태의 파일 형식으로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동영상 파일의 확장자로 틀린 것은?

  1. AVI
  2. MPEG
  3. WAV
  4. ASF
(정답률: 37%)
  • 정답은 "WAV"입니다. WAV는 오디오 파일의 확장자이며, 동영상 파일의 확장자가 아닙니다. AVI는 Windows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영상 파일 형식이며, MPEG는 인코딩 방식 중 하나이며, ASF는 Microsoft에서 개발한 동영상 파일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오디오 파일의 확장자로 틀린 것은?

  1. CDR
  2. FLAC
  3. MP3
  4. AAC
(정답률: 30%)
  • 정답: CDR

    설명: CDR은 오디오 파일의 확장자가 아니라, CD-R 디스크의 확장자이다. CD-R 디스크는 오디오 파일을 저장할 수 있지만, 파일 자체의 확장자는 CDR이 아니라 WAV, MP3, AAC 등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웹 브라우저의 기능을 확장해 주는 외부 프로그램과 관련된 파일 형식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Acrobat reader : mp3
  2. Windows Media Player : xls
  3. QuickTime : mov
  4. Gom player : pdf
(정답률: 56%)
  • QuickTime은 주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며, mov는 QuickTime에서 지원하는 동영상 파일 형식이다. 따라서 QuickTime과 mov 파일은 올바르게 연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실시간 멀티미디어 방송을 지원하지 않는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1. Shockwave Flash
  2. Gom Player
  3. Windows Media Player
  4. Real Player
(정답률: 42%)
  • "Shockwave Flash"는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플러그인이지만,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멀티미디어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실시간 멀티미디어 방송을 지원하지 않는 플러그인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멀티미디어의 발전배경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초고속 통신망의 대중화
  2. 압축 기술의 발달
  3. 아날로그 기술의 발전
  4. 효과적인 인터페이스 기술 발달
(정답률: 41%)
  • 아날로그 기술은 디지털 기술과는 전혀 다른 분야이기 때문에 멀티미디어의 발전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멀티미디어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가능해졌으며, 디지털 기술은 아날로그 기술과는 대조적인 개념입니다. 따라서 아날로그 기술의 발전은 멀티미디어의 발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PDF 형식의 파일을 오픈 하려고 할 때 필요한 프로그램은?

  1. Acrobat reader
  2. AL FTP
  3. WINZIP
  4. DEMON
(정답률: 56%)
  • PDF 파일은 Adobe Systems에서 개발한 파일 형식으로, Adobe Acrobat Read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열 수 있습니다. Acrobat Reader는 무료로 제공되며, PDF 파일을 읽고 인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DF 형식의 파일을 오픈 하려고 할 때 필요한 프로그램은 Acrobat Read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인터넷 익스플로러 7.0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URL을 입력하고 접속된 사이트의 URL을 보여주는 곳은?

  1. 메뉴 표시줄
  2. 상태 표시줄
  3. 주소 표시줄
  4. 제목 표시줄
(정답률: 45%)
  • 주소 표시줄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현재 접속 중인 사이트의 URL을 보여주는 곳이다. 사용자가 접속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URL을 입력하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며, 이동한 사이트의 URL도 주소 표시줄에 표시된다. 따라서 정답은 "주소 표시줄"이다. 메뉴 표시줄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메뉴를 보여주는 곳이고, 상태 표시줄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상태를 보여주는 곳이며, 제목 표시줄은 현재 창의 제목을 보여주는 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인터넷 익스플로러 7.0에서 인터넷옵션에서 홈페이지로 등록해놓은 사이트로 바로 접속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표준단추는 무엇인가?

  1. 뒤로
  2. 중지
  3. 새로 고침
(정답률: 64%)
  • 정답은 "홈"이다. "홈" 버튼은 인터넷 익스플로러 7.0에서 홈페이지로 등록해놓은 사이트로 바로 접속할 수 있는 표준단추이다. 다른 버튼들은 뒤로 가기, 중지, 새로 고침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인터넷 익스플로러 7.0에서 웹페이지의 문자 세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전 세계 여러 나라의 문자 세트 중 하나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은 무엇인가?

  1. 새로 고침
  2. 즐겨찾기
  3. 동기화
  4. 인코딩
(정답률: 58%)
  • 인터넷 익스플로러 7.0에서 웹페이지의 문자 세트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은 "인코딩" 입니다. 이는 전 세계 여러 나라의 문자 세트 중 하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즉, 해당 웹페이지에서 사용하는 문자 세트를 선택하여 올바르게 표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터넷에 연결된 웹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미디어 정보를 불러와서 사용자의 컴퓨터 화면에 보여 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웹툰(Webtoon)
  2. 웹 브라우저(Web Browser)
  3. 웹 호스팅(Web hosting)
  4. 웹하드(Webhard)
(정답률: 74%)
  • 정답은 "웹 브라우저(Web Browser)"입니다.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에 연결된 웹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미디어 정보를 불러와서 사용자의 컴퓨터 화면에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 상의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고, 웹사이트를 방문하며, 이메일을 확인하고, 온라인 쇼핑 등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 두는 장소로 브라우저에서 사용자가 자주 찾는 웹 사이트를 매번 접속할 때마다 문서를 새로 가져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량의 디스크 용량을 PC에 설정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쿠키(Cookie)
  2. 캐시(Cache)
  3. 스타일시트(Style Sheet)
  4. P2P(Peer to Peer)
(정답률: 27%)
  • 캐시는 브라우저에서 사용자가 자주 찾는 웹 사이트의 문서를 임시로 저장해 두는 장소입니다. 이를 통해 매번 문서를 새로 가져오는 것을 방지하여 더 빠르게 웹 사이트를 로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캐시(Cach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인터넷 익스플로러 7.0의 메뉴 중 [도구]-[인터넷 옵션]-[일반] 탭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홈 페이지
  2. 팝업차단
  3. 임시 인터넷 파일
  4. 열어본 페이지 목록
(정답률: 34%)
  • 팝업차단은 인터넷 익스플로러 7.0에서 새 창이나 팝업으로 뜨는 광고나 알림 메시지 등을 차단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불필요한 광고나 알림 메시지를 보지 않아도 되어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웹 브라우저를 두 개 이상 동시에 실행시킬 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동시에 두 개의 이상의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면 통신 속도가 약간 떨어질 수 있다.
  2. 서로 다른 주소의 문서를 검색 할 수 없다.
  3. 반드시 같은 회사의 제품의 웹 브라우저만 동시에 실행시킬 수 있다.
  4. 하나의 웹 브라우저에 문서 전송이 완료 되어야 다른 웹 브라우저에 문서가 전송된다.
(정답률: 66%)
  • 정답은 "동시에 두 개의 이상의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면 통신 속도가 약간 떨어질 수 있다." 이유는 컴퓨터의 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입니다. 여러 개의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면 CPU, 메모리, 네트워크 등의 자원을 공유해야 하므로 각각의 웹 브라우저가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통신 속도가 약간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웹 브라우저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첼로(Cello) : 미국의 코넬 대학의 토마스 브루스가 만든 웹브라우저
  2. 아라크네(Arachne) : 체코의 대학생이 마이클 폴락이 만든 브라우저
  3.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웹 브라우저
  4. 파이어폭스(Firefox) : 썬마이크로시스템즈사에서 개발한 웹 브라우저
(정답률: 12%)
  • "파이어폭스(Firefox) : 썬마이크로시스템즈사에서 개발한 웹 브라우저"가 틀린 설명입니다. Firefox는 Mozilla Foundation에서 개발한 웹 브라우저입니다. Sun Microsystems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다른 브라우저에 비해 작고 가볍고 다양한 기능과 빠른 속도를 자랑하며 1990년 노르웨이에서 개발된 브라우저는 무엇인가?

  1. 모질라
  2. 오페라
  3. 모자익
  4. 삼바
(정답률: 35%)
  • 오페라는 작고 가볍고 다양한 기능과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브라우저로, 1990년 노르웨이에서 개발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인터넷 익스플로러 7.0의 도구메뉴에서 인터넷 옵션을 클릭할 때 존재하지 하지 않는 탭은?

  1. 보안
  2. 연결
  3. 인코딩
  4. 고급
(정답률: 62%)
  • 인터넷 익스플로러 7.0의 도구메뉴에서 인터넷 옵션을 클릭할 때 존재하지 않는 탭은 "인코딩"입니다. 이는 인코딩 설정이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따로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인코딩은 웹 페이지에서 사용되는 문자 인코딩 방식을 설정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는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검색엔진이 갖추어야 할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베이스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2.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신뢰성을 제공해야 한다.
  3. 검색 옵션은 다양하지 않아도 된다.
  4.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한다.
(정답률: 59%)
  • "검색 옵션은 다양하지 않아도 된다."는 검색엔진이 갖추어야 할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검색 옵션이 많다고 해서 검색엔진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워질 수 있으며, 검색엔진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검색 옵션은 필요한 만큼만 제공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검색엔진의 구성 요소 중 인터넷 상에 있는 웹 사이트나 뉴스 그룹을 주기적으로 검색 후 자료를 정리하고 웹 서버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하는 프로그램은?

  1. Socket
  2. JAVA
  3. CSS
  4. Robot
(정답률: 70%)
  • 검색엔진의 구성 요소 중에서 웹 사이트나 뉴스 그룹을 주기적으로 검색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프로그램은 "Robot"입니다. 이는 검색 엔진이 웹 상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류하는 데 필요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Socket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라이브러리, JAVA는 프로그래밍 언어, CSS는 웹 페이지 디자인을 위한 스타일 시트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바람직한 정보검색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여러 검색엔진을 사용해서 비교해 본다.
  2. 가능하면 키워드는 추상적으로 입력한다.
  3. 각 검색엔진별 도움말을 참고한다.
  4. 검색엔진의 특성별 검색 연산자를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70%)
  • "가능하면 키워드는 추상적으로 입력한다."가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이다. 이유는 추상적인 키워드는 검색 결과가 너무 많아져서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 검색 결과를 좁히고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엠파스와 한국라이코스를 인수한 SK커뮤니케이션즈에서 운영하는 검색엔진은 무엇인가?

  1. 네이버(www.naver.com)
  2. 네이트(www.nate.com)
  3. 파란(www.paran.com)
  4. Zip!(www.zip.org)
(정답률: 55%)
  • 엠파스와 한국라이코스를 인수한 SK커뮤니케이션즈에서 운영하는 검색엔진은 네이트이다. 이는 주어진 보기 중에서 SK커뮤니케이션즈가 인수한 엠파스와 한국라이코스의 검색엔진이 네이트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터넷 윤리

67. 검색엔진을 구성하는 3가지 요소는 무엇인가?

  1. 로봇, 사이트, 데이터베이스
  2. 로봇, 불용어, 검색엔진소프트웨어
  3. 로봇, 스마일리, 데이터베이스
  4. 로봇, 색인기, 검색엔진소프트웨어
(정답률: 69%)
  • 검색엔진을 구성하는 3가지 요소는 로봇, 색인기, 검색엔진소프트웨어입니다. 로봇은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색인기에 전달합니다. 색인기는 수집된 웹페이지를 분석하여 검색어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검색엔진소프트웨어에 저장합니다. 검색엔진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검색어를 받아 색인된 정보를 검색하여 결과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검색엔진에서 특정한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된 정보가 200개이고 이 중 80개의 정보가 적합한 정보로 판정되었다면 이 검색의 정확률은?

  1. 20%
  2. 40%
  3. 80%
  4. 100%
(정답률: 64%)
  • 정확률은 적합한 정보의 수를 전체 검색된 정보의 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80을 200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면 정확률이 나온다. 계산하면 40%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네이버에 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지식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2. 1999년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3. NHN에서 운영하고 있다.
  4. 프랑스어와 스페인어로 된 사이트를 자동으로 번역해 준다.
(정답률: 60%)
  • 프랑스어와 스페인어로 된 사이트를 자동으로 번역해 주는 것은 네이버의 주요 기능이 아니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정확한 정보검색을 위한 정확률과 재현율의 관계가 올바르게 표현된 것은?

  1. 정확률의 수치는 높고 재현율의 수치는 낮아야 한다.
  2. 정확률의 수치는 낮고 재현율의 수치는 높아야 한다.
  3. 정확률과 재현율의 수치가 둘 다 높아야 한다.
  4. 정확률과 재현율의 수치가 둘 다 낮아야 한다.
(정답률: 56%)
  • 정확률은 검색 결과 중 실제로 찾고자 하는 정보가 얼마나 많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고, 재현율은 실제로 찾고자 하는 정보 중 얼마나 많은 정보를 검색 결과에서 찾아냈는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확한 정보검색을 위해서는 정확률과 재현율의 수치가 둘 다 높아야 합니다. 즉, 검색 결과가 정확하면서도 찾고자 하는 정보를 빠뜨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로봇(Robot)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색인화 하기
  2. HTML 태그 체크하기
  3. 인기 사이트 생성하기
  4. 신규 사이트 체크하기
(정답률: 38%)
  • 로봇의 역할은 주로 인터넷 상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처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기 사이트 생성하기"는 로봇의 역할이 아니다. 로봇은 주로 검색 엔진에서 사용되며, "색인화 하기", "HTML 태그 체크하기", "신규 사이트 체크하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검색엔진은?

  1. 네이버
  2. 파란
  3. 다음
  4. 야후
(정답률: 62%)
  • 이 검색엔진의 로고가 "다음"이기 때문에 정답은 "다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검색엔진 구글(Goog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Google Toolbar 서비스를 제공한다.
  2. Google Earth 서비스를 제공한다.
  3. Gmail 서비스를 제공한다.
  4. 유즈넷 관련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는다.
(정답률: 37%)
  • "유즈넷 관련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구글은 구글 그룹스(Google Groups)라는 유즈넷과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총 61개의 검색 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으며 웹 최초의 인터넷 기계 번역 서비스인 Babel Fish를 자랑하는 국외 검색엔진은 무엇인가?

  1. 라이코스(Lycos)
  2. 알타비스타(Altavista)
  3. 야후(Yahoo)
  4. 인포시크(Infoseek)
(정답률: 34%)
  • 알타비스타는 61개의 검색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Babel Fish라는 웹 최초의 인터넷 기계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여 유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사용자의 검색 의도와 질의어의 의미를 분석하여 가장 부합되는 정보를 주제별로 제공해 주는 네이트의 검색 서비스는?

  1. 시맨틱 검색
  2. 동영상 검색
  3. 이미지 검색
  4. 주소창 검색
(정답률: 40%)
  • 네이트의 검색 서비스는 사용자의 검색 의도와 질의어의 의미를 분석하여 가장 부합되는 정보를 주제별로 제공해주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시맨틱 검색"이다. 시맨틱 검색은 검색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검색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는 검색 기술이다. 따라서, 네이트의 검색 서비스는 시맨틱 검색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레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만든 세계 최대의 인터넷 검색엔진으로 최근 메일을 통해 인터넷 전화시장에 진출한 검색엔진은?

  1. 안드로이드(Android)
  2. 야후(Yahoo)
  3. 메타크롤러(Metacrawler)
  4. 구글(Google)
(정답률: 37%)
  • 구글은 레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만든 세계 최대의 인터넷 검색엔진으로, 최근에는 인터넷 전화시장에도 진출하였다는 내용이 메일을 통해 전해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정보검색의 목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각종 검색엔진의 성능을 시험하는 것
  2. 데이터베이스를 이해하는 것
  3. 대량의 정보 중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는 것
  4. 정보의 바다를 서핑하면서 여러 정보를 찾아 보는 것
(정답률: 44%)
  • 정보검색의 목적은 대량의 정보 중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정보검색의 방법이나 도구에 대한 것이지 목적에 대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현재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자료에 대해 범위를 좁혀가면서 좀 더 자세히 검색하는 방법은?

  1. 절단 검색
  2. 불완전 용어 검색
  3. 구문 검색
  4. 결과내 재검색
(정답률: 39%)
  • 결과내 재검색은 현재 검색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더 자세히 검색하기 위해 이전 검색어를 유지한 채로 검색 범위를 좁혀가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욱 정확한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절단 검색은 검색어의 일부분만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방법이고, 불완전 용어 검색은 검색어의 철자나 표현이 부족한 경우에 대한 검색 방법이다. 구문 검색은 검색어의 문법적 구조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정보검색의 기본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색엔진 도움말의 변경 사항을 수시로 점검한다.
  2. 전문 DB의 검색 대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검색에 임해야 한다.
  3.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방법이나 기능을 비교,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4. 검색엔진은 인터넷상에 있는 모든 정보를 찾아준다.
(정답률: 58%)
  • "검색엔진은 인터넷상에 있는 모든 정보를 찾아준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검색엔진은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정보 중에서 일부만을 수집하고, 그 중에서도 알고리즘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해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검색 결과의 완전성과 정확성은 보장되지 않는다.

    검색엔진은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정보 중에서 일부만을 수집하고, 그 중에서도 알고리즘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해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검색 결과의 완전성과 정확성은 보장되지 않는다. 이를 고려하여 검색어의 선택과 조합, 검색 결과의 분석 등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검색엔진 도움말의 변경 사항을 점검하고, 전문 DB의 검색 대상을 파악하는 등 정보검색의 기본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정보검색 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검색엔진에서 지원하는 연산자의 종류와 연산기호를 정확하게 파악한다.
  2. 유명하거나 인기있는 검색엔진 한가지만을 이용하여 검색해서는 올바른 정보를 찾아 낼 수 없으므로 정보의 형태에 따라 적합한 검색엔진을 선택한다.
  3. 리키즈(Leakage)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검색한다.
  4. 개비지(Garbage)를 최대화 할 수 있도록 검색한다.
(정답률: 62%)
  • 정보검색 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개비지(Garbage)를 최대화 할 수 있도록 검색한다." 이다. 개비지란 검색어와 관련 없는, 쓸모없는 정보를 말하는데, 이를 최대화하는 것은 올바른 정보를 찾는 것과는 반대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비지를 최소화하고 올바른 정보를 찾기 위해 검색어를 정확하게 선택하고, 검색엔진에서 지원하는 연산자와 연산기호를 파악하며, 적합한 검색엔진을 선택하고 리키즈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