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6-15)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2019-06-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인터넷의 이해

1. 다음 중 국제 인터넷 기구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APNIC, CERT
  2. CERT, NIS
  3. IMR, IRG
  4. ISOC, IMR
(정답률: 54%)
  • APNIC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인터넷 주소 할당과 관리를 담당하는 국제 인터넷 기구이고, CERT는 컴퓨터 보안 대응 기술 및 정보를 제공하는 국제 인터넷 기구이다. 따라서 두 기구는 서로 관련이 있지만, 나머지 보기들은 국제 인터넷 기구와 다른 조직이나 기술과 짝지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에서 설명하는 IPv6의 특징은 무엇인가?

  1. 확장된 주소 공간
  2. 향상된 서비스의 지원
  3. 헤더 포맷의 단순화
  4. 보안과 개인 보호에 대한 기능
(정답률: 43%)
  • IPv6는 기존의 IPv4 주소 공간을 대폭 확장하여 더 많은 기기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고, 또한 향상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IPv6는 QoS(Quality of Service)를 지원하며, 패킷 우선순위 설정, 트래픽 클래스 분류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IPv6는 헤더 포맷을 단순화하여 라우터의 처리 속도를 높이고, 보안과 개인 보호에 대한 기능도 강화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IPv4의 A클래스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초대형 네트워크에 사용된다.
  2. 1과 128로 시작하는 주소는 특수 목적의 IP주소로 사용한다.
  3. 많은 호스트를 가진 네트워크에 주로 사용한다.
  4. 기본 넷마스크는 255.0.0.0 이다.
(정답률: 56%)
  • 잘못된 설명은 "1과 128로 시작하는 주소는 특수 목적의 IP주소로 사용한다." 이다. 이는 오히려 옳은 설명이다. 1과 128로 시작하는 주소는 특수 목적의 IP주소로 사용되며, A 클래스는 초대형 네트워크에 사용되고 많은 호스트를 가진 네트워크에 주로 사용되며 기본 넷마스크는 255.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IPv4의 등급을 나타내는 클래스 등급 구간을 바르게 구성한 것은?

  1. A클래스 ~ E클래스
  2. A클래스 ~ F클래스
  3. A클래스 ~ C클래스
  4. A클래스 ~ D클래스
(정답률: 60%)
  • 정답은 "A클래스 ~ E클래스"입니다.

    IPv4의 등급을 나타내는 클래스는 A, B, C, D, E로 총 5개가 있습니다. 각 클래스는 첫 번째 옥텟의 범위에 따라 구분됩니다. A 클래스는 첫 번째 옥텟이 0~127까지, B 클래스는 128~191까지, C 클래스는 192~223까지, D 클래스는 224~239까지, E 클래스는 240~255까지입니다. 따라서 A 클래스부터 E 클래스까지의 범위를 "A클래스 ~ E클래스"로 나타내는 것이 올바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차상위 도메인 네임과 성격이 잘못 구성된 것은?

  1. or – 비영리 기관
  2. re – 연구 기관
  3. kg – 국방조직 기관
  4. go – 정부조직 기관
(정답률: 70%)
  • 정답은 "kg – 국방조직 기관" 입니다. "kg"는 국방기관을 나타내는 약어이지만, 도메인 네임에서는 "kg"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며, 국방기관을 대표하는 도메인 네임으로는 "mil"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IPv6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는 무엇인가?

  1. 가 - 128 나 - 8
  2. 가 - 128 나 - 16
  3. 가 - 256 나 - 8
  4. 가 - 256 나 - 16
(정답률: 69%)
  • IPv6는 128비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 - 128"이 맞습니다. 또한, IPv6에서는 16진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각 자리수는 4비트씩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128비트를 4비트씩 묶으면 32자리가 되며, 이를 16진수로 표현하면 8자리가 됩니다. 따라서 "나 - 8"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소셜미디어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제도적인 통제수단이 적다.
  2. 중독 가능성이 높다.
  3. 개인 사생활이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높다.
  4. 음란물 여과가 쉽다.
(정답률: 74%)
  • 음란물 여과가 쉽다는 것은 소셜미디어에서 사용자들이 음란물을 올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링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소셜미디어의 단점이 아닌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서비스 프로비저닝은 서비스 제공업체가 실시간으로 자원을 제공한다.
  2. 전산자원에 대한 과금 체계를 정립하기 위한 기술은 자원 유틸리티이다.
  3. SaaS를 제공하는데 필수 요소로 꼽히는 기술은 다중 공유모델이다.
  4. 여러 대의 전산 자원을 반드시 한 대처럼 운영하는 기술은 가상화 기술이다.
(정답률: 61%)
  • 여러 대의 전산 자원을 반드시 한 대처럼 운영하는 기술은 가상화 기술이 아니라 컨테이너 기술이다. 가상화 기술은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서 여러 개의 가상 서버를 운영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설명에서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는 무엇인가?

  1. 가 - Java 나 - HDFS
  2. 가 - Hadoop 나 - HDFS
  3. 가 - Hadoop 나 - NTFS
  4. 가 - Java 나 - NTFS
(정답률: 48%)
  • 이 그림은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분산 시스템인 Hadoop의 아키텍처를 보여줍니다. Hadoop은 자바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HDFS(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는 Hadoop의 분산 파일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 - Hadoop 나 - HDF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무엇인가?

  1. 프라이빗 클라우드
  2.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3. 모바일 클라우드
  4. 퍼블릭 클라우드
(정답률: 63%)
  • 퍼블릭 클라우드는 인터넷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말합니다. 따라서 대중적으로 이용되는 서비스로, 일반적인 사용자들이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것은?

  1. 초기 구입비용은 많이 소요되나 지출이 적다.
  2.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작업한 문서 등을 열람할 수 있다.
  3. 외부 서버에 자료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4. 저장 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정답률: 59%)
  • "초기 구입비용은 많이 소요되나 지출이 적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올바른 설명은 "운영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초기 구입비용이 적게 들지만, 사용량에 따라 지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의 서버를 운영하는 비용보다는 저렴하며, 유지보수나 업그레이드 등의 추가 비용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클라우드 컴퓨팅의 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것은?

  1. 개별 정보의 물리적 위치 파악이 어렵다.
  2. 통신 환경이 열악하면 서비스 받기 힘들 수 있다.
  3. 서버가 공격당해도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4. 재해로 서버 데이터가 손상되면 백업하지 않은 정보는 복구하지 못할 수 있다.
(정답률: 85%)
  • "서버가 공격당해도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에서는 서버가 공격당하면 개인 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므로 보안에 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개별 정보의 물리적 위치 파악이 어렵다는 것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는 데이터가 여러 대의 서버에 분산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통신 환경이 열악하면 서비스 받기 힘들 수 있다는 것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느리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재해로 서버 데이터가 손상되면 백업하지 않은 정보는 복구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백업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NFC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안에 적합한 값과 내용은 무엇인가?

  1. 가 - 13.56MHz 나 - 접촉식
  2. 가 - 13.56GHz 나 - 접촉식
  3. 가 - 13.56MHz 나 - 비접촉식
  4. 가 - 13.56GHz 나 – 비접촉식
(정답률: 57%)
  • NFC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주파수 대역은 13.56MHz이며, 칩과 리더 사이에 접촉이 필요하지 않고 비접촉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가 - 13.56MHz 나 - 비접촉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추측이나 루머와 같이 부정확하고 잘못된 정보의 확산으로 치명적인 위기를 초래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1. 인포데믹스(Infodemics)
  2. 네카시즘(Netcarthism)
  3. 인포러스트(Infolust)
  4. 스턱스넷(Stuxnet)
(정답률: 54%)
  • 정답은 "인포데믹스(Infodemics)"이다. 인포데믹스는 정보와 전파의 역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추측, 루머, 허위 정보 등이 빠르게 확산되어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위기를 초래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코로나19 대유행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허위 정보를 믿고 전파하는 문제가 대두되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주제와 관련된 용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실세계에 3차원 가상물체를 겹쳐서 보여주는 기술은 무엇인가?

  1. 증강현실
  2. 가상현실
  3. 스마트 그리드
  4. 엔스크린
(정답률: 77%)
  • 증강현실은 실제 세계에 가상의 3차원 물체를 겹쳐서 보여주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카메라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실제 세계를 인식하고, 그 위에 가상의 물체를 합성하여 보여준다. 따라서 실제 세계와 가상의 물체가 함께 존재하는 형태로 보여지며, 이를 통해 현실 세계에서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모든 인증이 하나의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통합 인증 방식을 의미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1. One Sign On(OSO)
  2. Multi Sign On(MSO)
  3. Single Sign On(SSO)
  4. Hipass Sign On(HSO)
(정답률: 52%)
  • SSO는 사용자가 한 번 로그인하면 여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러 번 로그인할 필요 없이 하나의 인증으로 여러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보안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SSO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는 지능형 기술을 의미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1. Cloud
  2. Big Data
  3. AI
  4. IoT
(정답률: 67%)
  • 정답은 "IoT"이다. IoT는 Internet of Things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모든 사물을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IoT와 관련된 기술이지만, IoT는 모든 사물을 연결하는 기술 자체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저작권의 기술적 보호 방법 중 적극적 보호 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암호화 기술
  2. DRM
  3. 디지털 워터마킹
  4. 접근 제어
(정답률: 52%)
  • 디지털 워터마킹은 저작물에 식별 정보를 삽입하여 원본을 보호하는 기술이지만, 적극적 보호 기술은 저작물의 불법 복제 및 배포를 막기 위해 접근 제어, 암호화 기술, DRM 등을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워터마킹은 적극적 보호 기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저작권법에서 저작인격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공표권
  2. 배포권
  3. 성명표시권
  4. 동일성유지권
(정답률: 43%)
  • 배포권은 저작물을 복제하여 배포하는 권리를 말합니다. 이는 저작인격권이 아닌 저작재산권에 해당합니다. 저작인격권은 저작자의 인격과 관련된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며, 공표권, 성명표시권, 동일성유지권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저작권법에서 저작재산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복제권
  2. 공연권
  3. 공표권
  4. 전시권
(정답률: 43%)
  • 저작재산권은 저작물을 이용하는 다양한 권리를 포함하는데, 그 중에서도 공표권은 저작물을 대중에게 공개하는 권리를 말합니다. 하지만 이 권리는 저작물의 내용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대중에게 저작물을 알리는 것에 해당하기 때문에 저작재산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저작물을 공개할 때는 저작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지만, 이 권리는 저작자의 동의 없이도 일부 예외적인 경우에는 허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저작권법에서 보호받는 저작물이 아닌 것은?

  1. 법원의 판결
  2. 백과사전
  3. 번역
  4. 컴퓨터 프로그램
(정답률: 71%)
  • 법원의 판결은 저작물이 아니라는 것은, 법원의 판결은 법률적인 결정이기 때문에 저작물로서의 창작성이나 독창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작권법에서 보호받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저작권법에서 저작권에 이웃하는 권리로 실연자, 음반제작자, 방송사업자 등의 권리는 무엇인가?

  1. 저작재산권
  2. 저작인접권
  3. 공중송신권
  4. 2차저작물작성권
(정답률: 47%)
  • 실연자, 음반제작자, 방송사업자 등은 저작물을 이용하거나 배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권리를 저작인접권이라고 합니다. 이 권리는 저작재산권과는 다르게 저작물 자체에 대한 권리가 아니라, 저작물을 이용하거나 배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익에 대한 권리입니다. 따라서 이 권리는 저작물의 저작자와는 별개로 존재하며, 저작물의 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저작권의 기술적 보호 방법 중 이미지 및 오디오 파일에 중요한 파일이나 메시지를 숨겨 전송하는 기법은 무엇인가?

  1. 디지털 워터마킹
  2. 스테가노그라피
  3. 스마트 그리드
  4. 데이터 마이닝
(정답률: 44%)
  • 스테가노그라피는 이미지나 오디오 파일에 중요한 파일이나 메시지를 숨겨 전송하는 기술적 보호 방법이다. 이는 파일의 일부분을 변경하여 숨겨진 정보를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일을 보호하면, 외부에서는 파일이 일반적인 이미지나 오디오 파일로 보이지만, 내부에는 중요한 정보가 숨겨져 있어 보안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스크립트 언어가 아닌 것은?

  1. JSP
  2. PHP
  3. ASP
  4. C++
(정답률: 51%)
  • C++은 컴파일러 언어이며, 스크립트 언어는 인터프리터 언어이기 때문에 C++은 스크립트 언어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전자금융 거래 시마다 새로운 비밀번호를 사용함으로써 비밀번호 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보안 수단은 무엇인가?

  1. OTP
  2. SOHO
  3. P2P
  4. ISP
(정답률: 78%)
  • OTP는 One-Time Password의 약자로, 한 번 사용하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일회용 비밀번호를 말합니다. 전자금융 거래 시마다 새로운 OTP를 사용하면 이전에 사용한 비밀번호가 유출되어도 다음 거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그래픽 기반의 HTML 저작 도구가 아닌 것은?

  1. 핫도그
  2. 나모 웹 에디터
  3. 플래시
  4. 드림위버
(정답률: 62%)
  • 정답은 "핫도그"입니다. 핫도그는 그래픽 기반의 HTML 저작 도구가 아니며, 실제로는 핫도그 프로와 같은 웹 개발 도구입니다. 나모 웹 에디터, 플래시, 드림위버는 모두 그래픽 기반의 HTML 저작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HTML 태그 중 하이퍼링크를 구성하기 위한 태그는?

  1. <A>
  2. <P>
  3. <link>
  4. <tr>
(정답률: 40%)
  • 하이퍼링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A>" 태그를 사용합니다. "<A>" 태그는 "anchor"의 약자로, 다른 웹 페이지나 같은 페이지 내의 특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생성하는 태그입니다. "<A>" 태그는 href 속성을 사용하여 링크 대상의 URL을 지정하고, 링크 텍스트를 삽입하여 사용자가 클릭할 수 있는 링크를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폼(FORM) 관련 태그가 아닌 것은?

  1. <FORM>
  2. <INPUT>
  3. <SELECT>
  4. <LI>
(정답률: 63%)
  • <LI>는 리스트 아이템을 나타내는 태그로, 폼과 관련이 없다. <FORM>은 폼을 생성하는 태그, <INPUT>은 폼 안에 입력 필드를 생성하는 태그, <SELECT>는 드롭다운 메뉴를 생성하는 태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HTML 태그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것은?

  1. 속성과 속성의 구분은 공백으로 구분한다.
  2. 확장자로 htm, html을 사용한다.
  3. 모든 태그는 시작 태그와 닫기 태그로 구성된다.
  4. 태그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정답률: 40%)
  • "확장자로 htm, html을 사용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HTML 태그는 <시작태그> 내용 형식으로 구성되며, 시작태그와 닫기태그는 서로 짝을 이루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태그로 감싸진 내용이 어디까지인지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속성과 속성값은 공백으로 구분하며, 태그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HTML 파일의 확장자로는 .html 또는 .htm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비디오 파일 형식이 아닌 것은?

  1. AVI
  2. RAM
  3. DVI
  4. ASF
(정답률: 79%)
  • RAM은 비디오 파일 형식이 아닌 것이다. RAM은 RealAudio 파일 형식으로, 오디오 파일 형식이다. AVI는 오디오와 비디오를 모두 포함하는 파일 형식이며, DVI와 ASF는 주로 비디오 파일 형식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신문, TV, 인터넷 등의 다양한 매체를 이해하고, 분석 및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은 무엇인가?

  1. DRM
  2. 디지털 워터마킹
  3. 미디어 리터러시
  4. 하이퍼미디어
(정답률: 65%)
  • 미디어 리터러시는 다양한 매체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DRM과 디지털 워터마킹은 디지털 콘텐츠 보호 기술이지만, 미디어 리터러시는 이러한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하이퍼미디어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링크와 같은 기술이지만, 미디어 리터러시는 이러한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양한 매체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키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3차원 물체의 각 면에 색깔이나 음영 효과를 넣어 화상의 입체감과 사실감을 나태내는 용어는?

  1. 메조틴트
  2. 렌더링
  3. 디더링
  4. 모델링
(정답률: 54%)
  • 렌더링은 3차원 모델링된 물체를 2차원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색깔, 음영, 광원 등의 효과를 추가하여 입체감과 사실감을 나타내는 작업을 말합니다. 즉, 3차원 모델링된 물체를 실제로 보는 것처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교과과정과 소프트웨어의 합성어로 시스템과 학생과의 상호 대화식 방법의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교육용 소프트웨어는 무엇인가?

  1. 가상현실
  2. 증강현실
  3. 코스웨어
  4. 키오스크
(정답률: 60%)
  • 코스웨어는 교과과정과 소프트웨어의 합성어로, 학생과 시스템이 상호 대화식으로 학습하는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멀티미디어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과 같은 용어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키오스크"는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기기를 말하며, 교육용 소프트웨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터넷 자원 탐색

34. 그림은 웹 브라우저의 아이콘이다. 이 브라우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애플이 개발한 웹 브라우저이다.
  2. 원래 리눅스용으로 개발하였다.
  3. 구글의 오픈소스 웹 브라우저이다.
  4. 첼로 브라우저의 상업용 버전이다.
(정답률: 57%)
  • 그림은 사파리(Safari) 웹 브라우저의 아이콘이다. 사파리는 애플이 개발한 웹 브라우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웹 브라우저 적용 기술은?

  1. CCD
  2. CSS
  3. DRM
  4. Adblock
(정답률: 55%)
  • 이 기술은 영상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구글 크롬에서 특정 사이트의 쿠키만 삭제하고자 할 때 활용하는 메뉴는?

  1. 타사 쿠키 차단
  2. 모든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보기
  3.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만 로컬 데이터 유지
  4. 사이트에서 쿠키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도록 허용(권장)
(정답률: 57%)
  • 정답은 "모든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보기"입니다. 이 메뉴는 구글 크롬에서 특정 사이트의 쿠키만 삭제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이 메뉴를 선택하면 모든 쿠키와 사이트 데이터를 볼 수 있으며, 원하는 사이트의 쿠키만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쿠키와 관련된 설정이나 기능을 제공하지만, 특정 사이트의 쿠키만 삭제하고자 할 때는 "모든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보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크롬 브라우저에서 '동기화를 사용 설정' 시 동기화 대상을 고른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률: 38%)
  • 정답은 "㉠, ㉢" 입니다.

    ㉠은 '즐겨찾기'를, ㉢은 '확장 프로그램'을 동기화 대상으로 선택한 것입니다.

    즐겨찾기는 자주 이용하는 웹사이트를 저장해두는 기능이며, 확장 프로그램은 브라우저 기능을 확장시켜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를 동기화 대상으로 선택하면 자주 이용하는 웹사이트와 브라우저 기능을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크롬 브라우저의 도구는?

  1. 개발자 도구
  2. 작업 관리자
  3. 확장 프로그램
  4.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정답률: 51%)
  • 이 도구는 웹 개발자들이 웹 페이지를 디버깅하고 수정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로, HTML, CSS, JavaScript 등의 코드를 검사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발자 도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크롬 브라우저의 '북마크 및 설정 가져오기'에서 'Microsoft Edge'를 선택 시 가져올 수있는 항목은?

  1. 검색 엔진
  2. 저장된 비밀번호
  3. 즐겨찾기/북마크
  4. 인터넷 사용기록
(정답률: 60%)
  • 크롬 브라우저의 '북마크 및 설정 가져오기'에서 'Microsoft Edge'를 선택 시 가져올 수 있는 항목은 해당 브라우저에서 저장된 정보들입니다. 이 중에서도 '즐겨찾기/북마크'는 해당 브라우저에서 사용자가 저장한 즐겨찾기나 북마크 목록을 가져올 수 있는 항목입니다. 다른 항목들은 검색 엔진, 저장된 비밀번호, 인터넷 사용기록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개발자 도구'를 실행하기 위한 익스플로러와 크롬의 단축키가 옳게 연결된 것은?

  1. 익스플로러 : F10, 크롬 : F11
  2. 익스플로러 : F12, 크롬 : F11
  3. 익스플로러 : F11, 크롬 : F12
  4. 익스플로러 : F12, 크롬 : F12
(정답률: 44%)
  • 정답은 "익스플로러 : F12, 크롬 : F12"입니다. 이는 두 브라우저 모두 개발자 도구를 실행하기 위한 단축키로 F12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F10은 익스플로러에서 메뉴바를 열고 닫는 단축키이고, F11은 크롬에서 전체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Firefox 환경 설정에서 '개인 정보 및 보안'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은?

  1. Firefox 계정을 생성하거나 관리
  2. Firefox를 기본 브라우저로 설정
  3. 콘텐츠 차단 및 비밀번호 관리 방식을 설정
  4. Firefox 업데이트 기록 확인 및 설정 변경
(정답률: 52%)
  • '개인 정보 및 보안' 메뉴에서는 Firefox 브라우저의 보안과 개인 정보 관리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콘텐츠 차단 및 비밀번호 관리 방식을 설정"은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보여지는 콘텐츠를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방식과, Firefox가 저장하는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방식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보안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Firefox 기능 중 이미 만들어져 있는 웹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은?

  1. IE-Tab
  2. Web Developer
  3. Video Downloader
  4. Greasemonkey
(정답률: 40%)
  • Greasemonkey은 Firefox의 확장 기능으로, 사용자가 이미 만들어진 웹 페이지를 스크립트로 수정하거나 개선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다른 보기들은 웹 개발자나 사용자들이 웹 페이지를 디버깅하거나 동영상을 다운로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Greasemonkey는 사용자가 직접 웹 페이지를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크롬 브라우저의 '고급' 메뉴에서 설정할 수있는 기능은?

  1. 검색엔진
  2. 다운로드
  3. 자동 완성
  4. 기본 브라우저
(정답률: 24%)
  • 크롬 브라우저의 '고급'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는 기능 중에서 "다운로드"는 다운로드 경로를 설정하거나 다운로드 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등 다운로드 관련 설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검색엔진 설정, 자동 완성 설정, 기본 브라우저 설정과 관련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크롬 브라우저에서 홈 버튼의 표시 여부를 설정하는 메뉴는?

  1. 모양
  2. 언어
  3. 사용자
  4. 시작 그룹
(정답률: 46%)
  • 크롬 브라우저에서 홈 버튼의 표시 여부를 설정하는 메뉴는 "모양"이다. 이는 홈 버튼이 브라우저 창의 모양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인 "언어", "사용자", "시작 그룹"은 홈 버튼과는 관련이 없는 설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익스플로러에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 하기위한 단축키는?

  1. F7
  2. Alt + 왼쪽 화살표
  3. Alt + 오른쪽 화살표
  4. F11
(정답률: 71%)
  • "다음 페이지로 이동"은 보통 웹 브라우저에서 스크롤을 내리거나 마우스로 클릭하여 이동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Alt + 오른쪽 화살표 단축키를 사용하면 더 빠르게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익스플로러에서 뒤로가기와 앞으로 가기 기능을 수행하는 단축키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에이전트 인덱스 방식에 대한 올바른 설명을 고른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률: 38%)
  • 에이전트 인덱스 방식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덱스를 사용하여 검색 속도를 높이는 방식 중 하나이다. 이 방식에서는 인덱스 테이블을 생성하여 인덱스를 관리하며, 인덱스 테이블에는 검색할 열의 값과 해당 값이 존재하는 레코드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다.

    ㉠, ㉡은 에이전트 인덱스 방식에서 인덱스 테이블을 생성할 때, 인덱스 테이블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인 "분할 인덱스" 방식을 의미한다. 이 방식은 인덱스 테이블을 여러 개의 작은 테이블로 분할하여 저장하고, 검색할 때는 분할된 테이블 중에서 필요한 테이블만 검색하여 속도를 높이는 방식이다.

    ㉡, ㉢는 에이전트 인덱스 방식에서 인덱스 테이블을 생성할 때, 인덱스 테이블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인 "압축 인덱스" 방식을 의미한다. 이 방식은 인덱스 테이블에서 중복된 값을 제거하여 저장하고, 검색할 때는 압축된 값을 해제하여 검색하는 방식이다.

    ㉡, ㉣은 에이전트 인덱스 방식에서 인덱스 테이블을 생성할 때, 인덱스 테이블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인 "클러스터 인덱스" 방식을 의미한다. 이 방식은 인덱스 테이블을 레코드의 물리적인 저장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저장하고, 검색할 때는 정렬된 순서대로 검색하여 속도를 높이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키워드 배치 전략은?

  1. 키워드 돌출
  2. 키워드 연관
  3. 키워드 무게
  4. 사이트 링크 순위
(정답률: 48%)
  • 이 배치 전략은 "키워드 돌출" 전략입니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특정 키워드를 크게 강조하여 눈에 띄게 표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해당 키워드의 무게를 강조하고, 검색 엔진에서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검색어들과의 연관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키워드 연관"과 "키워드 무게"는 이와 관련된 전략이지만, "키워드 돌출"은 특정 키워드를 강조하는 것에 초점을 둔 전략입니다. "사이트 링크 순위"는 다른 전략과는 관련이 없는 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키워드 연관 전략에 관한 설명 중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CSS
  2. HTML
  3. META
  4. Keyword
(정답률: 45%)
  • 키워드 연관 전략은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해 사용되는 전략 중 하나로, 검색어와 관련된 다양한 키워드를 찾아내어 해당 키워드를 웹 페이지에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써 검색 엔진에서 해당 웹 페이지를 노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때 META는 웹 페이지의 메타 데이터를 의미하며, 검색 엔진에서 해당 웹 페이지를 분석할 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META는 키워드 연관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SS"와 "HTML"은 웹 페이지의 디자인과 구조를 결정하는 요소이며, "Keyword"는 검색어 자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설명이 해당하는 정보 검색 관련 상식은?

  1. CPC
  2. SEO
  3. 옐로우 페이지
  4. 링크 우선순위
(정답률: 49%)
  • 이미지에서 보이는 광고는 "CPC" 광고이다. CPC는 "Cost Per Click"의 약자로, 광고주가 광고를 클릭한 횟수에 대해 지불하는 광고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사례에서 재현율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32%
  2. 40%
  3. 50%
  4. 80%
(정답률: 70%)
  • 재현율은 실제 양성인 케이스 중 모델이 양성으로 예측한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 중 실제로 오류가 있는 문제의 비율이 재현율입니다.

    보기에서 정답이 "80%"인 이유는, 총 10개의 오류 신고 중 8개가 실제로 오류가 있는 문제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재현율은 8/10 = 80%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식은?

  1. 디렉토리 검색
  2. 카테고리 검색
  3. 지식 검색
  4. 사이트 검색
(정답률: 62%)
  • 이 검색 결과 제공 방식은 "카테고리 검색"이다. 이유는 검색어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를 먼저 선택하고, 해당 카테고리 내에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즉, 검색어에 대한 관련된 카테고리를 먼저 선택하고, 그 안에서 검색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제시된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는?

  1. 유저
  2. 웹서퍼
  3. 헬퍼
  4. 프로그래머
(정답률: 56%)
  • 이 그림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웹서퍼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웹서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네이버의 '상세검색'메뉴에 해당하는 것을 고른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률: 41%)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상세검색' 메뉴는 검색 조건을 더욱 세부적으로 설정하여 원하는 검색 결과를 더욱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 ㉡은 '검색어 입력'과 '검색 범위 설정'으로, 이는 일반적인 검색 기능에 해당합니다.

    ㉠, ㉣은 '검색어 입력'과 '정렬 기준 설정'으로, 정렬 기준을 설정하여 검색 결과를 원하는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 ㉢은 '검색 범위 설정'과 '필터링 설정'으로, 검색 범위를 설정하고 원하는 조건에 따라 필터링하여 검색 결과를 더욱 세부적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세검색' 메뉴에서는 검색 조건을 더욱 세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들이 제공되므로, ㉢,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가장 적합한 네이버 서비스는?

  1. 웹툰
  2. 시리즈
  3. 통합검색
  4. 스마트 플레이스
(정답률: 48%)
  • 정답은 "웹툰"이 아니라 "시리즈"입니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시리즈"는 여러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이야기를 연재하는 네이버의 웹소설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이 이미지는 "시리즈" 서비스에서 연재되는 웹소설의 표지 이미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웹툰"은 만화를 연재하는 서비스이며, "통합검색"은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스마트 플레이스"는 네이버의 지도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Daum)에서 '기부금 모금' 과 관련된 서비스는?

  1. 카카오스토리
  2. 카카오같이가치
  3. 카카오메이커스
  4. 카카오함께가치
(정답률: 51%)
  • 정답은 "카카오같이가치"입니다. 이 서비스는 카카오톡 내에서 기부금 모금을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사용자들이 직접 모금함으로써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사례에 가장 적합한 네이버의 모바일 앱은?

  1. V앱
  2. 밴드앱
  3. 뮤직앱
  4. 폴라앱
(정답률: 36%)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폴라앱은 사진 및 동영상을 공유하고 쉽게 편집할 수 있는 앱입니다. 따라서 이 사례에서는 폴라앱이 가장 적합한 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과 같은 검색 엔진은?

  1. 로봇 검색 엔진
  2. 하이브리드 검색 엔진
  3. 주제별 검색 엔진
  4. 메타 검색 엔진
(정답률: 56%)
  • 이 검색 엔진은 여러 가지 검색 방법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검색 엔진이다. 이는 키워드 검색, 주제별 검색, 이미지 검색, 뉴스 검색 등 다양한 검색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검색 형식을 고른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률: 34%)
  • 이미지 검색 형식이다. 이미지를 통해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를 찾는 방식이다. ㉠, ㉢가 정답인 이유는 이미지 내에 있는 숫자와 글자를 검색하면서 찾는 정보가 "CBT은행"이기 때문이다. ㉠는 "CBT"라는 글자가 있는 위치를, ㉢는 "은행"이라는 글자가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은 정보 검색과 관련한 프로세스이다. (가)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로봇
  2. 탐색
  3. 질의
  4. 데이터베이스
(정답률: 25%)
  • 그림에서는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탐색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찾아내는 과정을 "질의"라고 한다. 따라서 (가)에 들어갈 용어는 "질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2차 정보원의 사실정보원과 서지정보원을 옳게 연결한 것은?

  1. 사실정보원 : 연감, 서지정보원 : 특허정보
  2. 사실정보원 : 편람, 서지정보원 : 초록집
  3. 사실정보원 : 단행본, 서지정보원 : 데이터베이스
  4. 사실정보원 : 색인지, 서지정보원 : 명감
(정답률: 40%)
  • 사실정보원은 특정 주제나 분야에 대한 정보를 상세하게 제공하는 자료를 말하며, 편람은 특정 분야의 전반적인 정보를 담고 있는 책이므로 사실정보원과 연결됩니다. 반면, 서지정보원은 특정 자료의 출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를 말하며, 초록집은 학술 논문의 초록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서지정보원과 연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실정보원 : 편람, 서지정보원 : 초록집"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정보원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할 때의 '수록 범위'에 해당하는 평가요소를 고른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률: 46%)
  • 정보원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할 때의 '수록 범위'는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자료의 종류와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에 해당하는 평가요소는 "㉠, ㉣"입니다. "㉠"는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자료의 종류가 다양하고 풍부한지를 평가하는 요소이며, "㉣"은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자료의 양이 충분한지를 평가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사례에서 A씨에게 적합한 인터넷 정보원은?

  1. KREN
  2. NDSL
  3. RISS
  4. KOSIS
(정답률: 53%)
  • A씨가 찾고자 하는 정보가 통계 자료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KOSIS(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가 가장 적합한 인터넷 정보원이다. KOSIS는 국가통계포털로서, 국가통계 및 통계자료를 제공하는 공식 사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검색 옵션은?

  1. 구문 검색
  2. 필드 검색
  3. 자연어 검색
  4. 결과내 재검색
(정답률: 57%)
  • 이미지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칸이 하나이며, 검색어 입력란 옆에 "검색" 버튼이 있으므로 검색어를 입력하고 버튼을 클릭하여 검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검색 방식을 자연어 검색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인터넷 정보원 활용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검색 엔진의 변화는 첫 활용 시에만 검토한다.
  2. 전문 DB의 검색 대상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3.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방법은 검색 엔진에 따른다.
  4. 검색 PC의 사양에 따라 적합한 검색 엔진을 선택해야 한다.
(정답률: 47%)
  • 정답인 "전문 DB의 검색 대상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는 인터넷 정보원을 활용할 때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이유는 전문 DB는 특정 분야나 주제에 대한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검색 대상을 정확히 파악하면 더욱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검색 엔진의 변화나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방법, 검색 PC의 사양 등은 중요하지만, 검색 대상을 정확히 파악하지 않으면 그 어떤 검색 방법도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설명에 해당하지 않는 인터넷 정보원은?

  1. 해설 요약
  2. 학술 잡지
  3. 학위 논문
  4. 회의 자료
(정답률: 38%)
  • 정답은 "해설 요약"입니다. 이유는 다른 세 가지 정보원은 모두 학술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해설 요약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간략한 설명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DOI 시스템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른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률: 33%)
  • DOI 시스템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 고유 식별자 부여 기능: DOI 시스템은 각각의 학술자료에 고유한 식별자를 부여하여 식별성을 보장한다.

    ㉡ 메타데이터 등록 기능: DOI 시스템은 학술자료의 메타데이터를 등록하여 검색 및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인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터넷 윤리

67. 다음 뉴스에서 다루고 있는 사례와 관련된 인터넷 용어는?

  1. 판옵티콘(Panopticon)
  2. 시놉티콘(Synopticon)
  3. 옵트 아웃(opt-out)
  4. 게이트키핑(Gatekeeping)
(정답률: 36%)
  • 뉴스에서 다루고 있는 사례는 CCTV를 이용한 사생활 침해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된 인터넷 용어는 "판옵티콘(Panopticon)"이다. 판옵티콘은 광범위한 감시와 통제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뜻한다. CCTV와 같은 감시 시스템은 이러한 판옵티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버지니아 셰어(Virginia Shea)가 제시한 네티켓 핵심 원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간임을 기억하라.
  2. 다른 사람의 실수를 지적하여 인정하게 하라.
  3. 온라인상의 자신을 근사하게 만들어라.
  4.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하라.
(정답률: 60%)
  • 정답: "다른 사람의 실수를 지적하여 인정하게 하라."

    이유: 다른 사람의 실수를 지적하면서 인정해주는 것은 상호 존중과 배려의 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는 네티켓의 핵심 원칙 중 하나인 "인간임을 기억하라"와도 연관이 있다. 다른 사람의 실수를 지적하면서 비난하거나 공격적으로 대처하면 상대방의 자존감을 상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수를 인정하면서도 상대방을 위로하고 격려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이메일 네티켓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것은?

  1. 매일 이메일을 체크하고 중요하지 않은 것은 즉시 지운다.
  2. 내용을 알 수 있는 함축된 제목을 붙인다.
  3. 이메일 보내기 전 주소가 올바른지 확인하고, 본인이 누구인지 밝힌다.
  4. 자신의 ID나 비밀번호를 타인에게 공개한다.
(정답률: 69%)
  • "자신의 ID나 비밀번호를 타인에게 공개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이는 보안상 매우 위험하며,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이 있다. 이메일 네티켓에서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안전한 이메일 사용을 권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제시한 네티즌 행동 강령이 아닌 것은?

  1. 우리는 실명이나 가명으로 활동한다.
  2. 우리는 타인의 정보를 보호하며, 자신의 정보도 철저히 관리한다.
  3. 우리는 타인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고 존중 한다.
  4. 우리는 사이버 공간에 대한 자율적 감시와 비판활동에 적극 참여한다.
(정답률: 44%)
  • 정답: "우리는 사이버 공간에 대한 자율적 감시와 비판활동에 적극 참여한다."

    "우리는 실명이나 가명으로 활동한다."는 네티즌들이 인터넷 상에서 자신의 실명이나 가명으로 활동하도록 권장하는 내용이다. 이는 인터넷 상에서의 익명성이 범죄나 악성 게시물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실명이나 가명으로 활동함으로써 책임감을 가지고 활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사이버 명예 훼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명예 훼손죄는 '친고죄'이다.
  2. 명예 훼손죄는 '반의사불벌죄'이다.
  3.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한 경우라도 그 내용이 진실하고 공익적이라면 처벌하지 않기도 한다.
  4.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66조에 따라 처벌 된다.
(정답률: 24%)
  • "명예 훼손죄는 '친고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명예 훼손죄는 '친고죄'가 아닌 '공소제기권'이 있는 '사실관계죄'입니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66조에 따라 처벌되는 이유는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을 통해 명예훼손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규제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사실 파악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차별적으로 개인의 사생활을 폭로하고 익명으로 비방하는 온라인 폭력으로, 일명 마녀사냥이라고 일컬어지는 것은?

  1. 네카시즘
  2. 인포데믹스
  3. 사이버 스토킹
  4. 사이버 명예훼손
(정답률: 48%)
  • "네카시즘"은 자신의 생각과 가치관을 절대적으로 옳다고 믿고, 그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강요하며 자신을 중심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는 성향을 말합니다. 이러한 성향으로 인해 다른 사람들의 개인정보나 사생활을 무차별적으로 폭로하고 비방하는 온라인 폭력인 마녀사냥이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해당되는 것은?

  1. 불법 복제
  2. 사이버 명예 훼손
  3. 인터넷 사기
  4. 악성 프로그램 유포
(정답률: 61%)
  • 악성 프로그램 유포는 컴퓨터나 네트워크 시스템에 악성 코드를 삽입하여 정보를 파괴하거나 도용하는 등의 피해를 입히는 범죄로,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해당됩니다. 불법 복제는 저작권 침해, 사이버 명예 훼손은 명예훼손, 인터넷 사기는 사기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모든 사이트의 아이디를 같은 것으로 한다.
  2. 개인 정보 입력 시 자동 완성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
  3. 탈퇴 절차에 대한 설명이 없는 곳은 가입하지 않는다.
  4. 인터넷 회원 가입 시 서비스 약관에 제3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는 지 확인한다.
(정답률: 65%)
  • "모든 사이트의 아이디를 같은 것으로 한다."는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하나의 사이트가 해킹되어 개인 정보가 유출될 경우, 다른 모든 사이트의 정보도 함께 유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 사이트마다 다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보안에 더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US척도, ㉡-K척도
  2. ㉠-US척도, ㉡-Young척도
  3. ㉠-Young척도, ㉡-K척도
  4. ㉠-Young척도, ㉡-US척도
(정답률: 52%)
  • 이 그림은 재료의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실험에서 사용되는 장치인데, 이 때 사용되는 척도는 Young's modulus와 K modulus가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Young척도, ㉡-K척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인터넷 중독의 증상 중 내성으로 인한 것은?

  1. 인터넷을 하지 않으면 불안해진다.
  2. 대부분의 시간을 인터넷을 하는 데 보낸다.
  3. 인터넷을 하지 않는 동안에도 인터넷을 할 생각만 한다.
  4. 만족하기 위해서 점점 더 많은 시간을 인터넷 사용으로 보낸다.
(정답률: 51%)
  • 내성은 인터넷 중독자가 인터넷 사용으로 인한 즐거움을 느끼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만족하기 위해서 점점 더 많은 시간을 인터넷 사용으로 보낸다."가 내성으로 인한 증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괄호에 들어갈 인터넷 중독(중증) 치료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현상파악, ㉡-상황파악, ㉢-협조의뢰
  2. ㉠-상황파악, ㉡-현상파악, ㉢-협조의뢰
  3. ㉠-상황파악, ㉡-협조의뢰, ㉢-현상파악
  4. ㉠-협조의뢰, ㉡-현상파악, ㉢-상황파악
(정답률: 37%)
  • 정답은 "㉠-현상파악, ㉡-상황파악, ㉢-협조의뢰"입니다.

    인터넷 중독 치료 과정에서는 먼저 환자의 중독 현상을 파악하고, 그 다음에는 환자의 상황을 파악합니다. 이후에는 환자와 협조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하고, 치료를 진행합니다. 따라서 "㉠-현상파악, ㉡-상황파악, ㉢-협조의뢰"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한국형 인터넷 중독 자가 진단 프로그램인 K-척도로 분류할 때, 일반사용자군에 해당하는 중·고등학생이 하루 인터넷에 접속하는 시간은?

  1. 약 1시간
  2. 약 2시간
  3. 약 4시간
  4. 약 6시간
(정답률: 51%)
  • K-척도는 일반사용자군의 중·고등학생이 하루 인터넷에 접속하는 시간을 약 2시간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교나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거나 SNS를 이용하기 위해 인터넷을 이용하며, 이를 넘어서는 시간은 인터넷 중독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인터넷 게임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터넷 게임 사용일지를 작성한다.
  2. 해야 할 일을 먼저 하고 게임을 한다.
  3. 온라인 게임 외에 다양한 대안 활동을 모색 한다.
  4. 게임시간 조절이 어려울수록 혼자 이겨내 보도록 노력한다.
(정답률: 65%)
  • "게임시간 조절이 어려울수록 혼자 이겨내 보도록 노력한다."는 잘못된 방법입니다. 게임 중독은 혼자 이겨내기 어렵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이 방법은 오히려 게임 중독을 더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전문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 기관은?

  1. 아이윌센터
  2. 공정거래위원회
  3. 한국콘텐츠진흥원
  4.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답률: 52%)
  • 아이윌센터는 전문적으로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다른 보기들은 정보통신 산업과 관련된 기관이지만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에 집중한 기관은 아이윌센터뿐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