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 2급(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4-19)

FAT 2급(구)
(2014-04-19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중 회계의 기본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계는 회계정보이용자가 합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경제적 정보를 식별, 측정, 전달하는 정보시스템이다.
  2. 회계는 정보이용자들이 경제적 자원의 배분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3.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는 주주와 채권자뿐이다.
  4. 재무제표의 작성과 표시의 책임은 경영자에게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는 주주와 채권자뿐이다."는 회계의 기본개념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회계는 기업을 둘러싼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이해관계자는 주주와 채권자 뿐만 아니라 고객, 공급자, 정부, 사회 등 다양한 집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는 주주와 채권자뿐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주)한공의 회계담당자인 김대리가 회계책임자에게 보고한 사항이다. 상기 보고사항 중 회계상 거래에 해당하는 것은?

  1. 가, 나, 다
  2. 가, 나, 라
  3. 나, 다, 라
  4. 가, 다, 라
(정답률: 알수없음)
  • 보고서에서 "가, 나, 라"는 모두 회계상 거래에 해당한다.

    - "가"는 매출채권으로, 회사가 상품을 판매하여 받을 돈을 의미한다.
    - "나"는 재고자산으로,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품 재고를 의미한다.
    - "라"는 매입채무로, 회사가 상품을 구매하여 지불할 돈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중 회계상 거래에 해당하는 것은 "가, 나, 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주)한공의 재고자산과 관련된 자료이다. 매출원가는 얼마인가?

  1. 3,800,000원
  2. 3,900,000원
  3. 4,100,000원
  4. 4,400,000원
(정답률: 80%)
  • 재고자산은 원자재, 부재료, 제품 등의 재고를 말한다. 이 회사의 재고자산은 원자재 1,000,000원, 부재료 1,500,000원, 제품 2,000,000원으로 총 4,500,000원이다. 그러나 제품의 매출원가는 400,000원이므로, 제품 재고 5개에 대한 매출원가는 2,000,000원이 된다. 따라서 매출원가는 4,500,000원 - 2,000,000원 = 2,500,000원이 된다. 그러나 이 회사의 재고자산에는 제품 외에도 원자재와 부재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매출원가는 2,500,000원보다 높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4,1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항목 중 손익계산서 계정과목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가, 다, 라
  2. 가, 라, 마
  3. 나, 다, 바
  4. 나, 라, 바
(정답률: 70%)
  • 손익계산서는 수익과 비용을 기록하는 것이므로 수익과 비용에 해당하는 계정과목으로만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가, 라, 마"가 정답이다. "가"는 매출액(수익), "라"는 판매비와 관리비(비용), "마"는 영업이익(수익-비용)으로 모두 수익과 비용에 해당하는 계정과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주)한공은 다음의 가. ~ 바. 항목을 누락하여 손익계산서를 작성하였다. 누락한 항목 중 올바른 영업손익을 구하기 위해서 반영하여야 항목으로 옳은 것은?

  1. 가, 나, 다
  2. 나, 마, 바
  3. 다, 라, 마
  4. 라, 마, 바
(정답률: 알수없음)
  • 영업손익을 구하기 위해서는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빼면 된다. 따라서 누락된 항목은 "나. 매출원가"이다. 이를 반영하여 영업손익을 구하면 매출액 100 - 매출원가 60 = 영업손익 40이 된다. 따라서 올바른 누락된 항목은 "나. 매출원가", 올바른 정답은 "나, 마, 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주)한공은 (주)서울 소유의 건물을 3년간 사용하기로 하는 전세계약을 체결하고, 전세금 10,000,000원을 지급하였다. (주)한공은 전세금 10,000,000원을 비유동자산 중 어떤 계정과목으로 표시하여야 하는가?

  1. 장기외상매출금
  2. 구축물
  3. 임대보증금
  4. 임차보증금
(정답률: 77%)
  • (주)한공이 지불한 전세금 10,000,000원은 임차보증금으로 표시해야 합니다. 이는 건물을 임대할 때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지불하는 보증금으로, 임차인이 임대기간 동안 임대인에게 발생시킬 수 있는 손해를 보상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비유동자산 중 장기적인 자금 투자로서의 의미가 있으며, 장기외상매출금이나 구축물과 같은 다른 계정과목으로 표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주)한공은 장부금액 600,000원(취득원가 700,000원, 감가상각누계액 100,000원)인 비품을 700,000원에 처분하고 대금을 3개월 후에 받기로 하였다. 이 거래를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하는 경우 괄호 안에 들어갈 올바른 계정과목은?

  1. 미수금
  2. 매출채권
  3. 미수수익
  4. 투자자산
(정답률: 91%)
  • 회계처리는 다음과 같다.

    1. 처분전 비품의 감가상각을 차감하여 처분손실을 계산한다.
    - 비품의 취득원가: 700,000원
    - 감가상각누계액: 100,000원
    - 처분전 장부금액: 600,000원
    - 처분손실: 700,000원 - 100,000원 - 600,000원 = 0원

    2. 처분금액인 700,000원을 현금으로 받을 때까지 "미수금"으로 처리한다.
    - 차변: 현금 700,000원
    - 대변: 미수금 700,000원

    따라서 정답은 "미수금"이다. 이유는 처분금액을 받을 때까지 회사가 받을 돈이므로 "미수금"으로 처리한다. "매출채권"은 제품이 판매되어 발생하는 채권이므로 해당하지 않고, "미수수익"은 아직 수익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해당하지 않는다. "투자자산"은 회사가 보유한 자산으로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유형자산의 자본적 지출로 분류되는 것은?

  1. 태풍으로 파손된 건물 유리창을 교체하였다.
  2.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건물의 가치가 증가되었다.
  3. 건물 외벽에 페인트를 새로 칠하였다.
  4. 사무실의 오래된 형광등을 교체하였다.
(정답률: 100%)
  •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건물의 가치가 증가되었다는 것은 유형자산의 자본적 지출로 분류됩니다. 이는 건물의 가치를 영구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주)한공은 2014년 12월 31일 현재의 매출채권 2,500,000원에 대하여 대손충당금 1%를 설정하려고 한다. 단, 대손충당금 잔액은 10,000원이 설정되어 있다. 이에 대한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

  1. (차) 대손상각비 10,000원, (대) 대손충당금 10,000원
  2. (차) 대손충당금 10,000원, (대) 대손상각비 10,000원
  3. (차) 대손상각비 15,000원, (대) 대손충당금 15,000원
  4. (차) 대손상각비 20,000원, (대) 대손충당금 20,000원
(정답률: 93%)
  • (차) 대손상각비 15,000원, (대) 대손충당금 15,000원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 비율은 1%이므로, 매출채권의 1%인 25,000원이 대손충당금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현재 대손충당금 잔액은 10,000원이므로, 추가로 15,000원을 대손충당금에 계상해야 한다. 이때 대손상각비는 대손충당금의 증가액인 15,000원이 된다. 따라서 (차) 대손상각비 15,000원, (대) 대손충당금 15,000원으로 처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주)한공은 2014년 10월 1일 소모품을 120,000원에 구입하고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하였다. 2014년 12월 31일 현재 소모품 잔액은 30,000원이다. 기말에 필요한 수정
분개는?

  1. (차) 소모품비 30,000원, (대) 소 모 품 30,000원
  2. (차) 소모품비 90,000원, (대) 소 모 품 90,000원
  3. (차) 소 모 품 30,000원, (대) 소모품비 30,000원
  4. (차) 소 모 품 90,000원, (대) 소모품비 90,000원
(정답률: 70%)
  • 회계원칙 중 재고의 변동성 원칙에 따라, 소모품은 구매 당시에 비용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구매 시 (차) 소모품비 120,000원, (대) 현금 120,000원으로 처리되었다. 이후 12월 31일 현재 소모품 잔액이 30,000원이므로, 이를 (차) 소 모 품 30,000원으로 처리하고, 동시에 (대) 소모품비 30,000원으로 처리하여 잔액을 맞춘다. 따라서 정답은 "(차) 소 모 품 30,000원, (대) 소모품비 3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