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21)

FAT 1급
(2018-04-21 기출문제)

목록

1. 다음은 (주)한공의 2018년 상품거래 내역이다. 총평균법을 적용할 경우 매출원가는 얼마인가?

  1. 380,000원
  2. 390,000원
  3. 400,000원
  4. 410,000원
(정답률: 69%)
  • 총평균법은 매출원가를 총 매입금액을 총 매입수량으로 나누어 구한다. 따라서, (주)한공의 총 매입금액은 1,950,000원이고 총 매입수량은 5개이므로, 총평균법을 적용한 매출원가는 39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재고자산관련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입금 담보로 제공된 재고자산의 경우 기말 재고자산에 포함한다.
  2. 선적지인도조건 상품 판매시 선적이 완료된 재고는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한다.
  3. 적송품은 수탁자가 제3자에게 판매하기 전까지 위탁자의 재고자산에 포함한다.
  4. 시송품은 매입자가 매입의사표시를 하기 전까지는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한다.
(정답률: 73%)
  • "선적지인도조건 상품 판매시 선적이 완료된 재고는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한다."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선적지인도조건 상품 판매시 선적이 완료된 재고는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하는 이유는 해당 상품이 이미 판매되어 수익이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당 상품은 판매자의 자산으로 인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주)한공제약은 2018. 7. 1. 신약 관련 특허권을 2,000,000원에 취득하였다. 2018년 인식해야할 무형자산상각비는 얼마인가? (단, 정액법, 내용연수 10년, 월할상각을 가정함.)

  1. 10,000원
  2. 50,000원
  3. 100,000원
  4. 200,000원
(정답률: 70%)
  • 무형자산의 상각비는 정액법에 따라 연속적으로 상각되며, 이 경우 내용연수가 10년이므로 월할상각비는 1/120이 된다. 따라서, 2018년에 인식해야할 무형자산상각비는 2,000,000원 × 1/120 = 16,666.67원이 된다. 이를 월할상각비로 반올림하면 16,667원이 되며, 이를 12로 곱해 연간 상각비를 구하면 200,004원이 된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인 "100,000원"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주)한공의 결산정리분개이다. 손익계산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법인세차감전순이익 200,000원 증가
  2. 법인세차감전순이익 400,000원 증가
  3. 영업이익 200,000원 감소
  4. 영업이익 200,000원 증가
(정답률: 37%)
  • 주어진 분개에서 "법인세비용" 항목이 200,000원 증가하였기 때문에, 법인세차감전순이익이 200,000원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옳은 정답은 "영업이익 200,000원 감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은 현금및현금성자산에 관한 설명이다. (가), (나)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가), (나))

  1. 취득당시, 3개월
  2. 보고기간 종료일, 3개월
  3. 취득당시, 6개월
  4. 보고기간 종료일, 6개월
(정답률: 87%)
  • (가) "취득당시, 3개월"이 옳은 것은 현금및현금성자산 항목에서 유동성이 높은 자산이기 때문에 보고서 작성 시점에서 가장 최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취득 후 3개월 이내의 정보를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나) "보고기간 종료일, 3개월"이 옳은 것은 보고서 작성 시점에서 보고기간 종료일까지의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3개월 이내의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결산일 현재 (주)한공의 수정전시산표에 표시되어 있는 매출채권과 대손충당금의 잔액이다. (주)한공이 기말 매출채권의 회수가능가액을 162,000원으로 추정하였다면 당기말 재무상태표에 표시될 대손충당금 잔액은 얼마인가?

  1. 10,000원
  2. 18,000원
  3. 20,000원
  4. 60,000원
(정답률: 57%)
  • 매출채권의 총액은 1,620,000원이고, 대손충당금의 총액은 180,000원이다. 따라서 매출채권의 회수가능가액을 162,000원으로 추정하면 대손충당금은 18,000원이 된다. 이는 매출채권의 총액에서 회수가능가액을 뺀 금액과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유동부채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매입채무
  2. 단기차입금
  3. 미지급법인세
  4. 퇴직급여충당부채
(정답률: 86%)
  • 퇴직급여충당부채는 유동부채가 아닌 장기부채에 해당합니다. 이는 회사가 미래에 지급할 퇴직급여를 충당하기 위해 예치한 금액으로, 일반적으로 1년 이상의 장기적인 시간 동안 지급됩니다. 따라서 유동부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주)한공의 임차료와 관련된 자료이다. 기말에 (주)한공이 수행할 결산정리분개로 옳은 것은? (단, 월할상각을 가정함.)

  1. (차) 미수수익 40,000원 (대) 임차료 40,000원
  2. (차) 선급비용 40,000원 (대) 임차료 40,000원
  3. (차) 선급비용 80,000원 (대) 임차료 80,000원
  4. (차) 미수수익 80,000원 (대) 임차료 80,000원
(정답률: 89%)
  • (차) 선급비용 80,000원 (대) 임차료 80,000원이 옳은 결산정리분개이다. 이유는 임차료는 1년에 걸쳐 수익으로 인식되어야 하지만, 선급된 임차료는 선수수익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임차료 80,000원을 대변으로 하여 선급비용 80,000원을 차변으로 하는 분개가 필요하다. 미수수익과 미수임차료는 이미 수익과 비용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결산정리분개에서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손익계산서에 반영되어야 할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매도가능증권의 평가손익
  2. 유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비
  3. 특허권을 취득하기 위해 지급한 금액
  4. 취득 제비용을 포함한 건물의 취득원가
(정답률: 64%)
  • 유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비는 회사가 보유한 유형자산(예: 건물, 기계 등)을 사용하면서 그 가치가 점차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일정 기간에 걸쳐 감가상각비를 계상하는 것입니다. 이는 유형자산의 가치를 정확하게 반영하고, 장기적인 경영적인 판단을 위해 반드시 손익계산서에 반영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당기에 지출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판매비와관리비는 얼마인가?

  1. 2,680,000원
  2. 2,780,000원
  3. 2,880,000원
  4. 2,980,000원
(정답률: 78%)
  • 판매비와 관리비는 각각 1,200,000원과 1,480,000원으로 총합이 2,68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장의 범위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광업: 광업사무소의 소재지
  2. 제조업: 최종제품을 완성하는 장소
  3. 부동산임대업: 부동산의 등기부상 소재지
  4. 무인자동판매기: 무인자동판매기가 설치된 장소
(정답률: 69%)
  • 무인자동판매기는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장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무인자동판매기가 설치된 장소가 사업장이 아니라는 것과 관련이 있다. 사업장은 일정한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곳으로 정의되는데, 무인자동판매기는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기 때문에 사업장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따라서 무인자동판매기는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장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 재화 또는 용역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74%)
  • ""은 부동산 매매 중 중개 수수료에 해당하며,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 재화 또는 용역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부동산 거래와 관련된 중개 서비스에 대해서는 부가가치세가 면제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에서 공제하지 않는 것은?

  1. 대손금
  2. 환입된 재화의 가액
  3. 매출에누리
  4. 매출할인
(정답률: 69%)
  • 대손금은 부도나 청산 등으로 인해 회수가 불가능한 채권에 대한 손실을 말하며,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에서는 이를 공제하지 않습니다. 이는 대손금이 이미 매출액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세금계산서 및 영수증 발급의무 면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노점을 하는 사람이 공급하는 재화
  2. 간주임대료
  3. 재화의 간주공급(타사업장 반출의 경우 제외)
  4. 내국신용장에 의하여 공급하는 재화
(정답률: 75%)
  • 내국신용장은 국내에서 수입되는 재화에 대한 세금계산서와 영수증 대신 발급되는 증빙서류입니다. 따라서 내국신용장에 의하여 공급하는 재화는 세금계산서 및 영수증 발급의무에서 면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은 의류제조업을 영위하는 (주)한공의 2018년 제1기 부가가치세 예정신고와 관련된 자료이다. 이 중 매출세액에서 공제받을 수 없는 매입세액은 모두 얼마인가? (단, 필요한 세금계산서는 적법하게 수취하였다.)

  1. 500,000원
  2. 900,000원
  3. 2,400,000원
  4. 2,500,000원
(정답률: 68%)
  • 매출세액에서 공제받을 수 없는 매입세액은 부가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비용으로서, 매입세액에서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이다. 따라서, 매입세액에서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을 모두 더한 값이 매출세액에서 공제받을 수 없는 매입세액이 된다.

    주어진 자료에서 매입세액에서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은 다음과 같다.

    - 원자재비용: 1,000,000원 - 100,000원 = 900,000원
    - 인건비: 1,500,000원 - 150,000원 = 1,350,000원
    - 지급수수료: 500,000원 - 50,000원 = 450,000원
    - 임차료: 1,000,000원 - 100,000원 = 900,000원

    따라서, 매출세액에서 공제받을 수 없는 매입세액은 900,000원 + 1,350,000원 + 450,000원 + 900,000원 = 3,600,000원이다. 이 중에서 부가세는 1,200,000원이므로, 매입세액에서 공제받을 수 없는 금액은 3,600,000원 - 1,200,000원 = 2,400,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4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