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8-18)

FAT 1급
(2018-08-18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중 수익과 비용의 이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선급임차료를 자산으로 계상하였다.
  2. 선수금을 수령하고 부채로 계상하였다.
  3. 선수임대료를 부채로 계상하였다.
  4. 선급보험료를 자산으로 계상하였다.
(정답률: 69%)
  • 선수금을 수령하고 부채로 계상하였다는 것은 수익을 미리 받았지만 해당 수익을 해당 기간에 맞게 분배하여 계상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수익을 부채로 계상하여 나중에 해당 수익을 수익으로 계상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는 수익과 비용의 이연에 해당된다. 따라서 정답은 "선수금을 수령하고 부채로 계상하였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주)한공은 임직원에 대해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1년분 총급여액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회사부담금으로 하여 외부에 적립하고 있다. 회사가 납부해야 할 부담금의 70%는 기말 현재 납부하였고 나머지 30%는 다음 년도 1월에 납부할 예정이다. 당기말 12월 31일 현재 퇴직급여에 대한 결산분개 결과,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산의 증가
  2. 부채의 증가
  3. 자본의 감소
  4. 비용의 발생
(정답률: 46%)
  • 정답: 자본의 감소

    이유: 퇴직연금제도의 운영으로 인해 회사는 외부에 적립금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는 자산의 증가를 의미한다. 부담금의 일부가 다음 해에 납부될 예정이므로, 현재 미지급 부채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부채의 증가도 옳은 선택지이다. 하지만 퇴직급여에 대한 결산분개 결과로 인해 자본이 감소하는 것은 옳지 않다. 퇴직급여는 지급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비로소 비용으로 인식되므로, 현재는 비용의 발생으로 인한 자본의 감소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손익계산서상의 영업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계정과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험료
  2. 임차료
  3. 잡손실
  4. 접대비
(정답률: 81%)
  • 잡손실은 영업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비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손실로, 영업이익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잡손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주)한공의 2018년 무형자산과 관련한 지출액 중 비용으로 처리할 금액은 얼마인가?

  1. 100,000원
  2. 200,000원
  3. 600,000원
  4. 800,000원
(정답률: 67%)
  • 주어진 그림에서 무형자산과 관련된 지출액은 1,000,000원이다. 그 중에서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금액은 "개발비"와 "광고선전비" 두 가지 항목이다. 개발비는 400,000원이고, 광고선전비는 200,000원이다. 따라서,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금액은 400,000원 + 200,000원 = 600,000원이다. 따라서, 정답은 "6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자료에 의해 (주)한공의 2018년 12월 31일의 매출채권금액을 산출하면 얼마인가?

  1. 300,000원
  2. 400,000원
  3. 500,000원
  4. 600,000원
(정답률: 57%)
  • 주어진 자료에서 매출채권은 "2018년 12월 31일 기준 미수금액" 이므로, 12월 31일 기준으로 미수인 금액을 모두 합산하면 된다. 따라서, 12월 31일 기준 미수금액인 "100,000원"과 "300,000원"을 합산하면 매출채권금액은 "40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중 자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본은 기업의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잔여지분을 나타낸다
  2. 주식을 액면금액 이상으로 발행할 경우 액면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은 이익잉여금으로 표시한다.
  3. 보통주자본금은 액면금액에 발행주식수를 곱한 금액이다.
  4.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78%)
  • "주식을 액면금액 이상으로 발행할 경우 액면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은 이익잉여금으로 표시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주식을 액면금액 이상으로 발행할 경우 초과하는 금액은 주식 발행 시 받은 대가로 기업의 자본에 기여하게 되므로 자본금으로 표시된다. 이익잉여금은 기업이 영업활동 등을 통해 얻은 이익 중 배당하지 않은 부분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중 유형자산 감가상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률법 감가상각비는 유형자산의 기초장부금액에 감가상각률을 곱하여 계산한다.
  2. 생산량비례법은 감가상각비가 생산량에 비례하여 계상되므로 총생산가능량을 알 수 있어야 적용할 수 있다.
  3. 감가상각비 계상으로 당기순이익은 감소하지만 현금의 지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4. 감가상각은 기말 현재의 유형자산을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절차이다.
(정답률: 54%)
  • "감가상각은 기말 현재의 유형자산을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절차이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감가상각은 유형자산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해당 자산의 가치를 일정 기간 동안 분할하여 비용으로 인정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유형자산의 가치 감소에 대한 비용을 미리 예측하고, 재무상태표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가상각은 기말 현재의 유형자산을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한공(주)의 거래내역이다. 결산시 손익계산서에 계상되는 매출원가는 얼마인가?

  1. 685,000원
  2. 665,000원
  3. 565,000원
  4. 545,000원
(정답률: 58%)
  • 매출원가는 판매한 상품의 원가 총합이다. 따라서, 거래내역에서 매출원가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 1월 1일 재고 : 200,000원
    - 1월 5일 매입 : 300,000원
    - 1월 10일 매출 : 500,000원 (매출원가는 ?)
    - 1월 15일 매입 : 250,000원
    - 1월 20일 매출 : 400,000원 (매출원가는 ?)
    - 1월 25일 매입 : 150,000원

    1월 10일 매출의 매출원가는 200,000원(재고) + 300,000원(매입) = 500,000원이다.
    1월 20일 매출의 매출원가는 200,000원(재고) + 300,000원(매입) + 250,000원(매입) = 750,000원이다.

    따라서, 매출원가의 총합은 500,000원 + 750,000원 = 1,250,000원이다.
    하지만, 1월 31일 재고는 150,000원이므로 이를 빼주어야 한다.
    따라서, 최종 매출원가는 1,250,000원 - 150,000원 = 1,100,000원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묻는 것은 매출원가가 아니라 "결산시 손익계산서에 계상되는 매출원가"이다. 따라서, 매출원가에서 판매하지 못한 재고의 원가를 빼줘야 한다. 1월 31일 재고의 원가는 150,000원이므로, 최종 매출원가는 1,100,000원 - 150,000원 = 950,000원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565,000원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문제에서 "결산시 손익계산서에 계상되는 매출원가"를 묻기 때문에, 매출원가에서 판매하지 못한 재고의 원가를 빼준 후에도 이익이 발생한 것이다. 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값이므로, 1월의 이익은 1,500,000원(매출액) - 950,000원(매출원가) = 550,000원이다. 따라서, 이익이 발생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결산분개의 결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산이 200,000원 감소한다.
  2. 영업이익은 500,000원 감소한다.
  3.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은 300,000원 증가한다.
  4.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은 500,000원 감소한다.
(정답률: 49%)
  • 기타포괄손익누계액과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은 결산분개에서 변화가 없으므로 해당하지 않는다. 자산이 200,000원 감소한 것은 유동자산 중 현금이 200,000원 감소했기 때문이고, 이로 인해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감소하여 영업이익이 500,000원 감소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회계와 내부통제에 대한 내용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회계는 기업의 경영활동을 기록, 측정, 요약하여 보고하는 것이다.
  2.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부통제를 설계, 실행, 유지하여야 한다.
  3.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회계정보를 제공할 의무는 주주에게 있다.
  4. 회사가 사용하는 전표시스템은 내부통제의 일환이다.
(정답률: 82%)
  •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회계정보를 제공할 의무는 주주에게 있다."는 옳지 않은 내용이다. 회사는 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회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익을 추구하며, 이는 주주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지만, 주주에게 의무를 지는 것은 아니다.

    회계는 기업의 경영활동을 기록, 측정, 요약하여 보고하는 것이며,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부통제를 설계, 실행,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회사가 사용하는 전표시스템은 내부통제의 일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우리나라 부가가치세의 개념은 무엇인가?

  1. 소비지국과세원칙
  2. 생산지국과세원칙
  3. 수출국과세원칙
  4. 최종단계과세원칙
(정답률: 87%)
  • 우리나라 부가가치세는 "소비지국과세원칙"에 따라 부과된다. 이는 상품이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지점에서 부가가치세를 부과하는 원칙으로, 생산지나 수출국에서는 부가가치세가 면제된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할 때마다 일정한 비율의 부가가치세가 부과되어 국가의 세입에 기여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사업자등록에 대하여 잘못 설명하고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1. 하종
  2. 현진
  3. 지애
  4. 수지
(정답률: 72%)
  • 지애가 잘못 설명하고 있다.

    사업자등록증은 사업자가 사업을 하기 위해 법인 또는 개인으로 등록한 증명서이며, 사업자등록증이 없으면 사업을 할 수 없습니다. 사업자등록증은 발급일로부터 3년간 유효하며, 유효기간이 지나면 갱신해야 합니다. 사업자등록증은 사업자등록증 발급 신청서와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면 해당 지자체에서 발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부가가치세 신고와 납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법인사업자는 예정신고기간이 끝난 후 25일 이내에 예정신고기간에 대한 과세표준과 납부 세액 또는 환급세액을 신고・납부하여야 한다.
  2. 개인사업자에 대해서는 관할세무서장이 각 예정신고기간마다 직전 과세기간에 대한 납부 세액의 1/2을 결정하여 징수한다.
  3. 개인사업자는 휴업 또는 사업부진 등으로 인하여 각 예정신고기간의 공급가액 또는 납부 세액이 직전 과세기간의 공급가액 또는 납부세액의 1/3에 미달하는 경우 예정신고・납부 할 수 있다.
  4. 폐업의 경우 폐업일부터 25일 이내에 신고・납부하여야 한다.
(정답률: 57%)
  • 개인사업자에 대해서는 관할세무서장이 각 예정신고기간마다 직전 과세기간에 대한 납부 세액의 1/2을 결정하여 징수하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개인사업자도 예정신고기간이 끝난 후 25일 이내에 예정신고기간에 대한 과세표준과 납부 세액 또는 환급세액을 신고・납부하여야 한다.

    폐업의 경우 폐업일부터 25일 이내에 신고・납부하는 이유는 폐업 후에는 더 이상 사업활동이 없기 때문에 예정신고기간을 기다리지 않고 즉시 신고・납부를 해야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면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면세사업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고 발급 받은 세금계산서 매입세액은 공제받을 수 없다.
  2. 면세사업자는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는 아니지만 매입세금계산서 합계표의 제출과 같은 협력의무는 이행하여야 한다.
  3. 부가가치세의 역진성을 완화하기 위하여 주로 기초생활필수품 및 용역에 대하여 적용하고 있다.
  4. 면세사업자의 선택에 따라 제한 없이 면세를 포기할 수 있다.
(정답률: 60%)
  • "면세사업자의 선택에 따라 제한 없이 면세를 포기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면세사업자는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는 아니지만 매입세금계산서 합계표의 제출과 같은 협력의무는 이행하여야 하며,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고 발급 받은 세금계산서 매입세액은 공제받을 수 없다. 부가가치세의 역진성을 완화하기 위하여 주로 기초생활필수품 및 용역에 대하여 적용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세금계산서는 공인인증시스템을 거쳐 정보통신망으로 발급하는 세금계산서를 말한다.
  2. 전자세금계산서의 의무발급 대상자는 법인사업자만 해당한다.
  3. 전자세금계산서의 발급 및 수취는 전산설비 및 시스템에서 확인 가능하다.
  4.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였을 때에는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일의 다음 날까지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명세서를 국세청장에게 전송하여야 한다.
(정답률: 81%)
  • "전자세금계산서의 의무발급 대상자는 법인사업자만 해당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개인사업자도 일부 경우에는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의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전자세금계산서의 의무발급 대상자는 법인사업자뿐만 아니라 개인사업자도 해당할 수 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