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P 회계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5-24)

ERP 회계 2급 이론
(2014-05-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경영혁신과 ERP

1. 다음 중 BPR의 필요성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무엇인가?

  1. 경영 환경 변화에의 대응방안 모색
  2. 정보기술을 통한 새로운 기회의 모색
  3. 기존 업무 방식 고수를 위한 방안 모색
  4. 조직의 복잡성 증대와 효율성 저하에 대한 대처방안 모색
(정답률: 86%)
  • 기존 업무 방식 고수를 위한 방안 모색은 BPR의 필요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BPR은 기존의 업무 방식을 혁신적으로 개선하여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기존 업무 방식을 고수하는 것은 BPR의 필요성과는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ERP 도입의 예상효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고객 서비스 개선
  2. 표준화, 단순화, 코드화
  3. 통합 업무 시스템 구축
  4. 사이클 타임(Cycle Time) 증가
(정답률: 93%)
  • 사이클 타임(Cycle Time) 증가는 ERP 도입의 예상효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ERP 시스템은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최적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이클 타임은 제품 생산이나 서비스 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ERP 도입으로 인해 사이클 타임이 증가하는 것은 예상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ERP 도입으로 인해 업무 프로세스가 효율적으로 운영되어 사이클 타임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조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업무흐름 뿐만 아니라 전체 조직을 재구축하려는 혁신전략기법들이다. 이 중 주로 정보기술을 통해 기업경영의 핵심과정을 전면 개편함으로 경영성과를 향상시키려는 경영기법으로 매우 신속하고 극단적인 그리고 전면적인 혁신을 강조하는 이 기법은 무엇인가?

  1. 지식경영
  2. 벤치마킹
  3. 리스트럭처링
  4. 리엔지니어링
(정답률: 72%)
  • 정답: 리엔지니어링

    설명: 리엔지니어링은 전면적인 혁신을 강조하는 경영기법으로,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기업경영의 핵심과정을 재구축함으로써 효율성을 제고하고 경영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는 기존의 업무흐름을 완전히 바꾸는 극단적인 혁신을 필요로 하며, 전체 조직을 대상으로 한 전면적인 재구축을 수반합니다. 따라서, 리엔지니어링은 다른 세 가지 기법들보다 더욱 신속하고 극단적인 혁신을 강조하는 경영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기업운영을 위한 전략적 부분을 지원하고, 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략적 기업경영(SEM)을 구성하는 단위시스템들로 바르게 짝지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B, C
  2. A, B
  3. A, C
  4. A, D
(정답률: 64%)
  • 전략적 기업경영(SEM)을 구성하는 단위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A. 재무관리시스템(FMS)
    B. 생산관리시스템(PMS)
    C. 인사관리시스템(HRM)
    D. 마케팅관리시스템(MKS)

    이 중 A와 D는 기업운영을 위한 전략적 부분을 지원하고, 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재무와 마케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옳은 짝이다. B와 C는 생산과 인사에 대한 시스템으로, SEM의 구성요소는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A, 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재무회계의 이해

5. 현금흐름표에서 기계의 구입을 위한 현금감소에 대한 분류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 생산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정답률: 38%)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기업이 자산을 취득하거나 매각하는 등의 투자활동으로 인해 현금이 증감하는 것을 나타내는 분류입니다. 따라서 기계의 구입을 위한 현금감소는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동시에 발생할 수 없는 거래의 유형은 무엇인가? (단. 재무상태표 등식을 이용하되, 두 가지 외의 다른 거래는 없다고 가정함)

  1. 부채의 감소, 자본의 감소
  2. 자산의 증가, 자산의 감소
  3. 자산의 증가, 부채의 증가
  4. 자산의 감소, 부채의 감소
(정답률: 48%)
  • 정답은 "부채의 감소, 자본의 감소"이다. 이유는 재무상태표의 기본 등식인 "자산 = 부채 + 자본"을 생각해보면 된다. 부채와 자본이 모두 감소하면 자산도 감소하게 되므로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두 거래는 동시에 발생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기말현재 발생하였으나 아직 인식하지 아니한 급여에 대한 결산수정분개는 어떤 유형의 결산수정분개로 분류되는가?

  1. 비용의 발생
  2. 비용의 이연
  3. 수익의 발생
  4. 수익의 이연
(정답률: 44%)
  • "비용의 발생"은 이미 발생한 비용을 인식하는 결산수정분개 유형으로, 기말에 발생한 급여를 아직 인식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급여를 비용으로 인식하고 결산수정분개를 통해 이를 반영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비용의 발생"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계정과목 중 그 분류가 손익계산서 계정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매출
  2. 급여
  3. 선급보험료
  4. 감가상각비
(정답률: 48%)
  • 선급보험료는 손익계산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비용 계정으로서, 보험료를 미리 지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계정은 손익계산서 계정이 아닙니다. 매출, 급여, 감가상각비는 모두 손익계산서 계정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주)생산성은 금년에 ₩100,000의 순이익을 보고하고, 배당금으로 ₩70,000을 지급하였다. 기말이익잉여금이 ₩300,000일 때, 기초이익잉여금은 얼마인가?

  1. ₩270,000
  2. ₩360,000
  3. ₩400,000
  4. ₩500,000
(정답률: 62%)
  • 기말이익잉여금 = 기초이익잉여금 + 당기순이익 - 배당금
    따라서, 기초이익잉여금 = 기말이익잉여금 - 당기순이익 + 배당금
    기말이익잉여금 = ₩300,000
    당기순이익 = ₩100,000
    배당금 = ₩70,000
    기초이익잉여금 = ₩300,000 - ₩100,000 + ₩70,000
    기초이익잉여금 = ₩270,000
    따라서, 정답은 "₩27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보기]의 항목들 중에서 유동자산의 합계금액은 얼마인가?

  1. 840,000원
  2. 1,070,000원
  3. 1,145,000원
  4. 2,235,000원
(정답률: 43%)
  • 유동자산은 현금,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재고자산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유동자산 항목들의 금액을 모두 더하면 유동자산의 합계금액이 나옵니다.

    보기에서 유동자산 항목들의 금액을 더하면 1,070,000원이 됩니다.

    - 현금: 200,000원
    - 단기금융상품: 200,000원
    - 매출채권: 400,000원
    - 재고자산: 270,000원

    따라서 정답은 "1,070,000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유형자산에 감가상각을 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유형자산의 정확한 가치평가를 위해서
  2. 사용가능한 연수를 매년마다 확인하기 위해서
  3. 현재 판매할 경우 예상되는 현금흐름을 측정하기 위해서
  4. 자산의 취득원가를 체계적인 방법으로 기간배분하기 위해서
(정답률: 39%)
  • 감가상각은 자산의 취득원가를 체계적인 방법으로 기간배분하여 각 연도별 비용으로 인정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자산의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사용 가능한 연수를 매년마다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판매할 경우 예상되는 현금흐름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산의 취득원가를 체계적인 방법으로 기간배분하기 위해서 감가상각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한국의 2013년 1월 1일 자본금은 10,000,000원(주식수 10,000주, 액면가 1,000원)이었다. 2013년 6월 1일 주당 1,100원에 5,000주(액면가 1,000원)를 유상증자하였다. 기말자본금은 얼마인가?

  1. 10,000,000원
  2. 15,000,000원
  3. 15,500,000원
  4. 16,000,000원
(정답률: 38%)
  • 주식수 5,000주, 액면가 1,000원으로 유상증자를 하였으므로 증자금은 5,500,000원(1,100원 x 5,000주)이다. 따라서 기말자본금은 10,000,000원 + 5,500,000원 = 15,500,000원이 되어야 하지만, 액면가는 변하지 않으므로 주식수가 5,000주 증가하였으므로 주당 액면가 1,000원 x 5,000주 = 5,000,000원이 추가로 발생하였다. 이를 기존 자본금에 더해주면 최종 기말자본금은 10,000,000원 + 5,500,000원 + 5,000,000원 = 15,00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제조기업의 손익계산서에서 영업외비용으로 분류하여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1. 관리부 종업원 급여
  2. 생산부 소모품 구입비용
  3. 매출거래처 관련 접대비
  4. 단기매매증권 취득관련 수수료비용
(정답률: 64%)
  • 단기매매증권 취득관련 수수료비용은 제조기업의 본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비용으로, 영업외비용으로 분류되어야 합니다. 이는 제조기업이 자산을 운용하면서 발생한 비용으로, 단기적인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증권을 매매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수료 비용입니다. 따라서 이 비용은 제조기업의 영업활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영업외비용으로 분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컴퓨터 제조기업인 ㈜대한은 자사가 생산한 컴퓨터 10대를 한 대당₩1,000,000(VAT 별도)에 국내 거래처 ㈜민국에 판매하고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였다. 대금은 전액 ㈜민국이 발행한 어음으로 결제 받은 경우, 회계처리 시 다음의 계정과목과 금액 중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1. 상품매출 10,000,000
  2. 부가세예수금 1,000,000
  3. 받을어음 10,000,000
  4. 부가세대급금 1,000,000
(정답률: 32%)
  • 정답은 "상품매출 10,000,000"과 "부가세예수금 1,000,000"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상품매출 10,000,000: 컴퓨터 10대를 한 대당 1,000,000원에 판매한 대금으로, 매출에 해당한다.
    - 부가세예수금 1,000,000: 판매 대금에 부과된 부가가치세(VAT) 중 10%인 100,000원을 대신 수금해놓은 예수금으로, 부가세를 납부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이 거래에서는 상품매출과 부가세예수금이 각각 10,000,000원과 1,000,000원으로 기록되어야 한다. 받을어음과 부가세대급금은 이 거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기록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대한은 매출처 ㈜민국의 외상대금 ₩5,000,000을 ㈜민국이 발행한 당좌수표로 전액 회수하였다. 다음 중 외상대금 회수시점의 회계처리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1. (차) 외상매입금 5,000,000 (대) 현금 5,000,000
  2. (차) 외상매입금 5,000,000 (대) 당좌예금 5,000,000
  3. (차) 당좌예금 5,000,000 (대) 외상매출금 5,000,000
  4. (차) 현금 5,000,000 (대) 외상매출금 5,000,000
(정답률: 51%)
  • "(차) 현금 5,000,000 (대) 외상매출금 5,000,000"이 가장 적절하다. 외상대금 회수는 외상매출금의 감소와 현금의 증가를 의미하므로, 외상매출금을 차변으로, 현금을 대변으로 처리한다. 다른 보기들은 외상매입금이나 당좌예금과 관련된 계정을 사용하거나, 외상매입금을 차변으로 처리하는 등 올바르지 않은 처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보기]의 자료와 같이 사무용품 구매시 소모품비 계정으로 처리한 경우, 2014년 결산 시 결산대체 분개로 맞게 처리한 것은 다음 중 무 엇인가?

  1. 소모품비 35,000 / 소모품 35,000
  2. 소모품 35,000 / 소모품비 35,000
  3. 소모품비 165,000 / 소모품 165,000
  4. 소모품 165,000 / 소모품비 165,000
(정답률: 50%)
  • 사무용품 구매시 소모품비 계정으로 처리한 것은 잘못된 처리이므로, 결산 시에는 소모품비 계정에서 소모품 계정으로 대체 분개를 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소모품 35,000 / 소모품비 35,000" 이다. 이는 소모품비 계정에서 35,000원을 차변으로, 소모품 계정에서 35,000원을 대변으로 처리한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대한의 원재료 재고수량은 장부에 1,000개로 기록이 되어 있으나, 기말 실사결과 950개로 조사되었다. 원재료의 단위당 원가는 ₩1,000, 단위당 시가는 ₩900으로 판단될 경우 원재료 관련 재고자산 평가손실액은 얼마인가?

  1. ₩45,000
  2. ₩50,000
  3. ₩95,000
  4. ₩100,000
(정답률: 31%)
  • 재고자산 평가손실액은 기록된 재고수량과 조사된 재고수량의 차이에 단위당 시가와 단위당 원가의 차이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재고자산 평가손실액 = (1,000 - 950) x (1,000 - 900) = 50 x 100 = ₩50,000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원재료 관련" 재고자산 평가손실액을 구하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이 값을 2로 나눈 ₩25,000을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원재료 관련 재고자산 평가손실액은 ₩50,000 + ₩25,000 = ₩95,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보기]의 자료를 참고하여 계산한 기계장치에 대한 2차년도 2015년 결산 시 감가상각비와 감가상각누계액은 각각 얼마인가? (단, 정률법을 적용한다.)

  1. ₩318,750 / ₩693,750
  2. ₩318,900 / ₩693,900
  3. ₩375,000 / ₩750,000
  4. ₩500,000 / ₩875,000
(정답률: 28%)
  • 기계장치의 총 가치는 2,500,000원이고, 사용기간은 5년이므로 연간 감가상각비율은 20% (100% / 5년)이다. 따라서 2차년도 감가상각비는 500,000원 x 20% = 100,000원이다. 이전 년도까지의 감가상각누계액은 500,000원 x 40% = 200,000원이므로, 2차년도 감가상각누계액은 200,000원 + 100,000원 = 300,000원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감가상각비와 감가상각누계액을 정확히 계산하여야 하므로, 감가상각비는 100,000원을 2분기와 4분기에 각각 50,000원씩 분할하여 계상하고, 감가상각누계액은 1분기말, 2분기말, 3분기말, 4분기말에 각각 75,000원, 150,000원, 225,000원, 300,000원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정답은 ₩318,750 / ₩693,7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당기 제조원가명세서의 당기 제품제조원가가 ₩86,500,000, 기말 재무상태표의 제품 가액이 ₩5,000,000, 당기 손익계산서의 기초 제품 가액이 ₩4,500,000인 경우 당기 제품매출원가는 얼마인가?

  1. ₩86,000,000
  2. ₩86,500,000
  3. ₩87,000,000
  4. ₩91,000,000
(정답률: 50%)
  • 당기 제품매출원가는 기말 재무상태표의 제품 가액에서 기초 제품 가액을 뺀 값이다. 따라서, 제품 가액의 증가분인 ₩500,000을 빼면 된다.

    따라서, 당기 제품매출원가는 ₩86,00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보기]가 설명하고 있는 자산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토지
  2. 투자부동산
  3. 건설중인자산
  4. 장기투자자산
(정답률: 72%)
  • 이 보기는 투자부동산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이미 건물이 지어져 있고, 장기적인 투자를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자산이기 때문입니다. 토지는 아직 건물이 지어지지 않은 상태이며, 건설중인 자산은 아직 완공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투자부동산과는 다릅니다. 장기투자자산은 주식 등 다른 자산도 포함될 수 있으므로, 투자부동산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