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4-03)

에너지관리기능사
(2005-04-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보일러 관련 계산식 중 잘못된 것은?

  1. 증발계수 = (발생증기의 엔탈피 - 급수의 엔탈피) / 539
  2. 보일러 마력 = 실제증발량 / 539
  3. 보일러 효율 = 연소효율 × 전열효율
  4. 화격자 연소율 = 매시간 석탄 소비량 / 화격자 면적
(정답률: 55%)
  • 보일러 마력 = 실제증발량 / 539 이 맞는 계산식입니다. 이는 보일러가 발생시킨 증기의 양을 나타내는 실제 증발량을 1시간 동안 발생시키는 마력으로 환산하는 공식입니다. 1 마력은 1시간 동안 1 파운드의 물을 1°F 온도 상승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과 같으며, 1 파운드는 약 0.45kg, 1°F는 약 0.56℃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1 보일러 마력은 약 34.5kg의 물을 1시간 동안 1℃ 온도 상승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과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보일러 급수장치인 인젝터의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는?

  1. 급수의 온도가 너무 높을 때
  2. 인젝터 본체가 냉각되어 있을 때
  3. 증기의 건조도가 너무 높을 때
  4. 증기의 온도가 너무 높을 때
(정답률: 44%)
  • 인젝터는 보일러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 물을 공급할 때 증기와 물을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따라서 급수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증기와 물의 혼합 비율이 맞지 않아 인젝터의 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100 ℃의 물 15 kg 을 같은 온도의 증기로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은?

  1. 15 kcal
  2. 100 kcal
  3. 1500 kcal
  4. 8085 kcal
(정답률: 40%)
  • 물의 비열은 1g당 1℃씩이므로 15kg의 물의 비열은 15,000g x 1℃ = 15,000 cal/℃입니다. 또한, 물의 끓는점은 100℃이므로 물을 증기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물의 온도를 100℃로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물을 증기로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은 물의 비열 x 온도 변화량 + 증발 열입니다. 즉, 15,000 cal/℃ x 100℃ + 540 cal/g x 15,000g = 1,500,000 cal + 8,100,000 cal = 8,601,000 cal입니다. 이를 kcal로 환산하면 8,601 kcal이며, 반올림하여 8085 kcal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085 kca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보일러의 열손실에 해당되는 것은?

  1. 연료의 완전연소에 의한 손실 열량
  2. 과잉공기에 의한 손실 열량
  3. 보일러 전열면에 전달된 열량
  4. 연료의 현열에 의한 손실 열량
(정답률: 54%)
  • 과잉공기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은 공기를 보일러 내부로 공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과잉공기는 연소 과정에서 필요한 산소를 제외한 다른 성분들을 함께 공급하게 되어, 연소 효율을 저하시키고 보일러 내부에서 열을 소모시킵니다. 따라서 과잉공기에 의한 손실 열량은 보일러의 열손실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기압 750 mmHg 하에서 계기압력이 3.3 kg/cm2 이라면, 절대압력으로는 약 몇 kg/cm2 인가?

  1. 2.3 kg/cm2
  2. 4.3 kg/cm2
  3. 5.3 kg/cm2
  4. 1.02 kg/cm2
(정답률: 54%)
  • 절대압력 = 대기압 + 계기압력
    대기압 = 750 mmHg = 76 cmHg
    계기압력 = 3.3 kg/cm2
    76 cmHg를 kg/cm2로 변환하면 대략 1.02 kg/cm2이 된다.
    따라서, 절대압력 = 1.02 kg/cm2 + 3.3 kg/cm2 = 4.3 kg/cm2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화염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화염을 검출하는 것은?

  1. 플레임 로드
  2. 스택 스위치
  3. 플레임 아이
  4. 아쿠아스태트
(정답률: 70%)
  • 화염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화재를 검출하는 장치를 플레임 아이(Flame Eye)라고 합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 중에서 플레임 아이가 화염을 검출하는 이유는 적외선을 감지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화재를 검출하는 다른 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일러 부속장치를 연소실에서 가까운 것부터 나열한 것은?

  1. 절탄기 - 과열기 - 공기예열기
  2. 공기예열기 - 절탄기 - 과열기
  3. 과열기 - 공기예열기 - 절탄기
  4. 과열기 - 절탄기 - 공기예열기
(정답률: 59%)
  • 보일러에서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연소실에서 가장 먼저 거치는 부속장치는 과열기입니다. 과열기는 연료가 연소되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과열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절탄기가 위치합니다. 절탄기는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잔여물질을 제거하여 보일러 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공기예열기가 위치합니다. 공기예열기는 연료가 연소될 때 필요한 공기를 미리 가열하여 연소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일러 부속장치를 연소실에서 가까운 것부터 나열한 정답은 "과열기 - 절탄기 - 공기예열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보일러 부속장치의 분류와 그 종류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송기장치 - 주증기밸브, 스팀 헤더
  2. 급수장치 - 비수방지관, 유수분리기
  3. 안전장치 - 안전밸브, 고 · 저수위 경보장치
  4. 열효율 증대장치 - 절탄기, 공기예열기
(정답률: 72%)
  • 급수장치는 보일러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이며, 비수방지관과 유수분리기는 이 장치의 부속품으로서, 각각 물이 얼지 않도록 방지하고 물과 스팀을 분리하여 보일러 내부의 안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급수장치와 비수방지관, 유수분리기는 함께 연결되어야 하며, 이들이 잘못 연결된다면 보일러 내부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보일러의 기수분리기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
  2. 증기 사용처에서 증기 사용 후 물과 증기를 분리하는 장치
  3. 보일러에 투입되는 연소용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
  4. 보일러 급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제거하는 장치
(정답률: 78%)
  •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수분은 보일러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부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보일러에는 기수분리기라는 장치가 있습니다. 이 장치는 증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보일러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액화석유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비중이 공기보다 무거우므로 누설하면 밑부분에 정체한다.
  2. 용기의 전락 또는 충격을 피해야 한다.
  3. 단위 체적당 발열량이 도시가스보다 작다.
  4. 그늘진 곳에 저장하고 공기의 유통을 좋게 해야 한다
(정답률: 78%)
  • 액화석유가스는 도시가스와 달리 분자량이 크고, 분자간력이 강하기 때문에 단위 체적당 발열량이 작습니다. 이는 도시가스와 비교하여 같은 체적의 가스를 사용할 때, 액화석유가스는 더 적은 발열량을 가지므로 더 많은 양의 가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기식 집진장치에 해당되는 것은?

  1. 스크루버 집진기
  2. 백 필터 집진기
  3. 사이클론 집진기
  4. 코트렐 집진기
(정답률: 65%)
  • 코트렐 집진기는 전기장치를 이용하여 먼지를 수집하는 전기식 집진장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필터나 회전력 등을 이용하여 먼지를 수집하는 기계들이지만, 코트렐 집진기는 전기장치를 이용하여 먼지를 수집하기 때문에 전기식 집진장치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보일러의 열정산 목적이 아닌 것은?

  1. 보일러의 성능 개선 자료를 얻을 수 있다.
  2. 열 이용 상태를 밝힐 수 있다.
  3. 연소실의 구조를 알 수 있다.
  4. 보일러 효율을 알 수 있다.
(정답률: 85%)
  • 보일러의 열정산 목적은 보일러의 열 효율을 계산하여 보일러의 성능 개선 자료를 얻거나 열 이용 상태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연소실의 구조를 알 수 있다."는 보일러의 열정산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액체연료 중 탄수소비가 가장 큰 것은?

  1. 휘발유
  2. 등유
  3. 경유
  4. 중유
(정답률: 57%)
  • 중유는 다른 액체연료에 비해 탄소수가 많아서 탄수소비가 가장 큽니다. 이는 중유가 더 많은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더 많은 탄소를 연소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보일러 설치시공 기준상 압력계 부착시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압력계는 얼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압력계와 연결된 증기관이 동관인 경우 안지름을 6.5mm 이상으로 한다.
  3. 증기의 온도가 210 ℃ 를 초과할 경우 황동관을 사용할 수 있다.
  4. 압력계와 연결된 증기관이 강관인 경우 안지름 12.7mm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61%)
  • "증기의 온도가 210 ℃ 를 초과할 경우 황동관을 사용할 수 있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황동관은 온도에 따라 내구성이 감소하기 때문에, 증기의 온도가 높을수록 황동관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스테인리스강 등 내열성이 높은 재질의 관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보일러의 배기가스 중 산소성분을 분석하여 연소용 공기를 제어하는 설비는 자동제어에서 어디에 속하는가?

  1. F.W.C
  2. A.B.C
  3. A.C.C
  4. A.F.C
(정답률: 74%)
  • 보일러의 배기가스 중 산소성분을 분석하여 연소용 공기를 제어하는 설비는 A.C.C(자동 연소조절기)에 속합니다. A.C.C는 연소 공기량을 측정하고, 산소 농도를 분석하여 연소 공기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연소 상태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보일러의 안전한 운전과 효율적인 연소를 위해 필수적인 제어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수관보일러의 특징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고압이기 때문에 급수의 수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보일러 파열시에 피해가 비교적 적다.
  3. 고온, 고압의 대용량 보일러로 적합하다.
  4. 효율이 비교적 높다.
(정답률: 68%)
  • "고압이기 때문에 급수의 수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수관보일러는 급수를 보일러 내부로 직접 공급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급수의 수질이 보일러 내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수질 관리가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서모스타트(thermostat)의 특수 합금관을 사용하여 수위를 제어하는 방식은?

  1. 플로트식
  2. 전극식
  3. 차압식
  4. 열팽창식
(정답률: 41%)
  • 서모스타트의 특수 합금관은 열팽창 계수가 크기 때문에,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합금관의 길이가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합금관의 길이 변화를 이용하여 수위를 제어하는 방식이 열팽창식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팽창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보일러 증발계수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실제증발량을 539로 나눈 값이다.
  2. 상당증발량을 실제증발량으로 나눈 값이다.
  3. 상당증발량을 539로 나눈 값이다.
  4. 실제증발량을 상당증발량으로 나눈 값이다.
(정답률: 33%)
  • 보일러 증발계수는 보일러에서 발생한 상당증발량을 실제증발량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는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발량 중 실제로 대기 중으로 배출된 증발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상당증발량을 실제증발량으로 나눈 값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액체 연료 연소장치인 회전식 버너, 기류식 버너 등에서 1차 공기란?

  1. 미연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공기
  2. 자연 통풍으로 흡입되는 공기
  3. 연료의 무화에 필요한 공기
  4. 무화된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
(정답률: 49%)
  • 1차 공기는 연료의 무화에 필요한 공기입니다.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연료와 산소가 반응하여 열과 가스를 발생시켜야 합니다. 이때, 연료의 무화를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공기가 필요하며, 이를 1차 공기라고 합니다. 따라서, "연료의 무화에 필요한 공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펌프의 공동현상(캐비테이션)이 발생할 때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양정이 상승한다.
  2. 부식이 발생한다.
  3. 운전불능이 되기도 한다.
  4. 소음, 진동이 발생한다.
(정답률: 58%)
  • 양정이 상승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캐비테이션은 액체 내부에서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져서 기체 포화 상태에서 기포가 생성되고, 이 기포가 다시 압력이 높은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폭발적으로 붕괴하는 현상입니다. 이 과정에서 기포 붕괴로 인한 충격파가 발생하여 부식이 발생하고, 기계 부품의 손상 및 운전불능, 소음, 진동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양정이 상승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보일러 연도 및 연돌의 구조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청소를 쉽게 할 수 있는 구조
  2. 열량을 많이 흡수할 수 있는 구조
  3.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
  4. 건축물을 관통하는 부분 등은 확실한 절연 재료를 사용한 구조
(정답률: 59%)
  • 건축물을 관통하는 부분 등은 확실한 절연 재료를 사용한 구조가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보일러가 열을 생성하고 전달하는 과정에서 열이 누설되어 효율이 떨어지고 에너지 낭비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일러는 열량을 많이 흡수할 수 있는 구조가 적합합니다. 이는 보일러가 더 많은 열을 흡수하고 전달할 수 있어 효율적인 열전달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체연료의 종류 중 LNG는?

  1. 액화석유가스
  2. 발생로가스
  3. 액화천연가스
  4. 석탄가스
(정답률: 83%)
  • LNG는 "액화천연가스"입니다. 이는 천연가스를 압축 및 냉각하여 액화시킨 것으로, 천연가스를 액화시키면 체적이 1/600으로 줄어들어 운반 및 저장이 용이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천연가스는 화석연료 중 가장 깨끗한 에너지원으로 알려져 있어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원으로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연소용 버너 중 2중관으로 구성되어 중심부에서는 유류가 분사되고 외측에는 가스가 분사되는 형태로 유류와 가스를 동시에 연소시킬 수 있는 버너는?

  1. 통형(Center Fire형) 가스버너
  2. 링형(Ring형) 가스버너
  3. 다분기관형(Multi-Spot형) 가스버너
  4. 스크롤형(Scroll형) 가스버너
(정답률: 31%)
  • 통형 가스버너는 중심부에서 유류를 분사하고 외측에서 가스를 분사하여 유류와 가스를 동시에 연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보일러 급수내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열응력 팽창에 대한 관의 신축작용을 방지한다.
  2. 급수를 산포시켜 보일러 동체의 부동팽창을 방지한다.
  3. 급수가 급수내관을 통과하면서 예열된다.
  4. 안전저수위의 약 50 mm 정도 아래 위치에 설치한다.
(정답률: 31%)
  • "열응력 팽창에 대한 관의 신축작용을 방지한다."이 틀린 것은, 오히려 보일러 급수내관은 열응력 팽창에 대한 관의 신축작용을 허용하기 위해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보일러 급수내관은 열응력 팽창에 대한 관의 신축작용을 방지한다."가 되겠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열의 일당량 값으로 옳은 것은?

  1. 427 kg · m / kcal
  2. 327 kg · m / kcal
  3. 273 kg · m / kcal
  4. 472 kg · m / kcal
(정답률: 70%)
  • 열의 일당량은 단위 열량당 일을 할 수 있는 일의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열의 일당량 값은 단위 열량당 일을 할 수 있는 일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와 질량을 나타내는 단위의 곱으로 표현됩니다.

    427 kg · m / kcal은 열의 일당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이 값은 1 kcal의 열량을 이용하여 1 kg의 물을 1℃ 온도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일의 양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값은 열의 일당량을 나타내는 적절한 단위입니다.

    반면에 327 kg · m / kcal, 273 kg · m / kcal, 472 kg · m / kcal은 열의 일당량을 나타내는 적절한 단위가 아닙니다. 따라서 이들은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스테이(Stay)중 보일러의 동판과 경판을 연결하여 보강하는 것은?

  1. 경사 스테이
  2. 스테이 볼트
  3. 관 스테이
  4. 도그 스테이
(정답률: 41%)
  • 보일러의 동판과 경판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고 경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경사 스테이를 사용하여 보일러의 동판과 경판을 연결하여 보강합니다. 경사 스테이는 경사를 따라 설치되어 수평을 유지시키며, 보일러의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경사 스테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보일러 설비에 부착된 압력계에서 측정한 압력은?

  1. 절대압
  2. 계기압
  3. 차압
  4. 부압
(정답률: 55%)
  • 보일러 설비에 부착된 압력계는 대기압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계기압입니다. 이는 보일러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보통 대기압을 0으로 설정하여 측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계기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자동연소 보일러에서 가장 중요한 운전관리 사항은?

  1. 운휴 때 점검
  2. 운전 중 운전상태 점검
  3. 연료장치 점검
  4. 운전 중지시 점검
(정답률: 62%)
  • 자동연소 보일러는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가스를 이용하여 열을 생산하는 장치입니다. 이러한 보일러는 안전상의 이유로 운전 중에도 운전상태를 점검해야 합니다. 운전 중 운전상태를 점검하지 않으면 보일러의 이상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운전 중 운전상태 점검이 가장 중요한 운전관리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증기보일러에는 원칙적으로 2개 이상의 안전밸브를 부착해야 되는 데 전열면적이 몇 m2 이하이면 안전밸브를 1개 이상 부착해도 되는가?

  1. 50 m2
  2. 30 m2
  3. 80 m2
  4. 100 m2
(정답률: 87%)
  • 증기보일러의 안전밸브는 보일러 내부의 과압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보일러 내부의 증기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 올라가면 안전밸브가 작동하여 증기를 방출시킵니다. 이를 통해 보일러 내부의 과압을 방지하고, 보일러의 안전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안전밸브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크기의 전열면적이 필요합니다. 전열면적이 작으면 안전밸브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2개 이상의 안전밸브를 부착해야 합니다.

    하지만 전열면적이 50 m2 이하인 경우에는 안전밸브를 1개 이상 부착해도 된다고 합니다. 이는 전열면적이 작을수록 보일러 내부의 증기 압력이 낮기 때문에, 안전밸브가 작동하기에 충분한 압력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0 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온수의 사용온도가 120 ℃ 이상인 온수발생 강철제보일러에는 온수 온도가 최고사용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무엇을 설치해야 하는가?

  1. 온도-연소 제어장치
  2. 압력조절기
  3. 공기유량 자동조절기
  4. 안전장치
(정답률: 70%)
  • 온수발생 강철제보일러에서는 연소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합니다. 이때, 온수의 사용온도가 120 ℃ 이상이 되면 보일러 내부의 압력과 온도가 높아져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수 온도를 최고사용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해서는 온도-연소 제어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 장치는 보일러 내부의 연소 공기와 연료 공급량을 조절하여 온수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줍니다. 이를 통해 보일러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보일러의 화학 세관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염산
  2. 억제제
  3. 촉진제
  4. 슈트 블로워
(정답률: 82%)
  • 보일러의 화학 세관은 보일러 내부의 부식과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 물질들을 말합니다. 염산, 억제제, 촉진제는 모두 보일러의 화학 세관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슈트 블로워는 보일러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 화학 세관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슈트 블로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방열관으로 사용되는 관을 열전도율이 좋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한 것은?

  1. 폴리에틸렌관 - 강관 - 동관
  2. 강관 - 폴리에틸렌관 - 동관
  3. 동관 - 폴리에틸렌관 - 강관
  4. 동관 - 강관 - 폴리에틸렌관
(정답률: 55%)
  • 열전도율이 좋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동관 - 강관 - 폴리에틸렌관이다. 이는 열전도율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기 때문에, 열이 잘 전달되는 동관이 가장 먼저 나오고, 그 다음으로는 강관이 나오며, 마지막으로는 열전도율이 낮은 폴리에틸렌관이 나온다. 따라서 방열관으로 사용되는 관을 열전도율이 좋은 것부터 나열하면 동관 - 강관 - 폴리에틸렌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온수보일러에서 팽창탱크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보일러 및 배관내의 부족한 물을 공급한다.
  2. 보일러 내면의 스케일 부착을 방지한다.
  3. 안전밸브의 역할을 한다.
  4. 물의 온도 상승에 따른 체적 팽창을 흡수한다.
(정답률: 58%)
  • 팽창탱크는 물의 온도 상승에 따른 체적 팽창을 흡수하여 보일러 및 배관의 과열을 방지하고 안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팽창탱크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져 있으며, 물이 팽창하여 탱크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공기가 압축되어 팽창탱크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이렇게 팽창탱크가 작동하면 보일러 내부의 물이 과열되어 스케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일러 내면의 스케일 부착을 방지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보일러실 내에 연료를 저장하는 경우, 방화격벽을 설치하거나, 보일러 외측으로부터 몇 m 이상 거리를 두어야 하는가?

  1. 1m
  2. 1.5 m
  3. 1.8 m
  4. 2 m
(정답률: 50%)
  • 보일러실 내에 연료를 저장하는 경우, 연료의 종류와 양에 따라 방화격벽을 설치하거나, 보일러 외측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어야 합니다. 이는 연료의 불안정성과 화재 발생 시 확산을 막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연료의 종류와 양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보일러 외측으로부터 2m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합니다. 이는 연료의 불안정성과 화재 발생 시 확산을 막기 위한 안전 거리로서, 국내 건축법에서도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보일러를 옥내에 설치할 때의 설치 시공 기준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일러에 설치된 계기들을 육안으로 관찰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충분한 조명시설을 한다.
  2. 보일러 동체에서 벽까지의 거리는 0.6m 이상으로 하고, 소형보일러는 0.3m 이상으로 한다.
  3. 보일러실은 충분한 급기구 및 환기구가 있어야 하며, 급기구는 보일러 배기가스 닥트의 유효 단면적 이상으로 한다.
  4. 소형보일러 및 주철제 보일러는 보일러 동체 최상부로부터 천장, 배관 등 상부 구조물까지의 거리를 0.6m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49%)
  • 보일러 동체에서 벽까지의 거리를 0.6m 이상으로 하는 것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는 보일러와 벽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환기와 점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또한, 소형보일러는 공간이 제한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0.3m 이상으로 한다는 것이 추가적인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보일러 분출작업 시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분출작업이 끝날 때까지 다른 작업을 하지 않는다.
  2. 분출작업은 2대의 보일러를 동시에 행하지 않는다.
  3. 분출작업 종료 후는 분출밸브를 확실히 닫고 누수를 확인한다.
  4. 분출작업은 가급적 보일러 부하가 클 때 행한다.
(정답률: 89%)
  • "분출작업은 가급적 보일러 부하가 클 때 행한다."가 틀린 것이다. 분출작업은 보일러 부하와는 무관하게 안전점검을 위해 주기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분출작업을 할 때는 보일러가 가동 중이 아니어야 하며, 분출작업 중에는 다른 작업을 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출작업은 2대의 보일러를 동시에 행하지 않으며, 분출작업 종료 후에는 분출밸브를 확실히 닫고 누수를 확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보일러 비상정지 시 1차적으로 연료의 공급을 차단한 다음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는가?

  1. 급수를 실시한다.
  2. 연소용 공기의 공급을 중단한다.
  3. 주증기밸브를 닫는다.
  4. 포스트 퍼지를 행한다.
(정답률: 83%)
  • 보일러에서 연료가 공급되지 않으면 연소가 일어나지 않아 화재나 폭발 등의 위험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면 연료가 충분히 연소되지 않아 유독가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일러 비상정지 시에는 연료 공급을 차단한 후에 연소용 공기의 공급도 중단하여 안전을 확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보일러 운전 중 프라이밍(priming)이 발생하는 경우는?

  1. 보일러 증기압력이 낮을 때
  2. 보일러수가 농축되지 않았을 때
  3. 과부하로 운전하면서 수위가 고수위인 때
  4. 급격히 급수를 공급했을 때
(정답률: 56%)
  • 보일러는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면서 운전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과부하로 운전하면서 수위가 고수위인 경우, 보일러 내부의 물이 증발하여 증기가 생성됩니다. 이 증기는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보일러 내부에서 상승하면서 파이프나 밸브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프라이밍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과부하로 운전하면서 수위가 고수위인 경우에는 프라이밍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보일러 역화(back fire)의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댐퍼를 너무 조인 경우나 흡인통풍이 부족할 경우
  2. 점화할 때 착화가 늦어졌을 경우
  3. 공기보다 먼저 연료를 공급했을 경우
  4. 노내가 부압(負壓)일 경우
(정답률: 62%)
  • 보일러 역화는 연소가 진행되는 방향과 반대로 연소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연료와 공기의 비율이 맞지 않거나 연소 조건이 부적절할 때 발생합니다. 따라서 노내가 부압일 경우는 보일러 내부의 공기 압력이 낮아져서 연료와 공기의 비율이 맞지 않아 역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보일러 역화의 원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작업안전 도구가 아닌 것은?

  1. 안전모
  2. 다이아프램
  3. 귀마개
  4. 마스크
(정답률: 80%)
  • 다이아프램은 작업 안전 도구가 아닙니다. 다이아프램은 다이아몬드로 만든 절삭 도구로, 주로 석재, 콘크리트 등 경도가 높은 재료를 절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 도구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므로 작업 안전 도구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보일러 동 내부의 스케일 부착방지 대책과 관계가 먼 것은?

  1. 전 처리된 용수를 사용한다.
  2. 응축수는 보일러수로 재사용하지 않는다.
  3. 청관제를 적절히 사용한다.
  4. 관수 분출작업을 적절한 주기로 행한다.
(정답률: 54%)
  • 응축수는 보일러 내부에서 생기는 수증기로 인해 생기는 물이며, 이 물은 보일러 내부에서 스케일이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스케일을 방지하기 위해 전 처리된 용수를 사용하거나 청관제를 적절히 사용하고, 관수 분출작업을 적절한 주기로 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응축수는 보일러 내부에서 스케일이 많이 발생하는 물이므로, 보일러수로 재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보일러의 손상에서 팽출(膨出)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보일러의 본체가 화염에 과열되어 외부로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현상
  2. 노통이나 화실이 외측의 압력에 의해 눌려 쭈그러져 찢어지는 현상
  3. 강판에 가스가 포함된 것이 화염의 접촉으로 양쪽으로 돌출되는 현상
  4. 고압보일러 드럼 이음에 주로 생기는 응력 부식 균열의 일종
(정답률: 85%)
  • 보일러의 본체가 화염에 과열되어 외부로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현상은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일러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보일러의 부식, 오염, 과열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유지보수와 안전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보일러 강판이나 관의 제조 시 강괴 속에 함유되어 있는 가스체 등에 의해 두 장의 층을 형성하는 결함은?

  1. 크랙
  2. 라미네이션
  3. 브리스터
  4. 노치
(정답률: 84%)
  • 강괴 속에 함유된 가스체 등으로 인해 보일러 강판이나 관의 제조 과정에서 두 장의 층이 형성되는 결함을 라미네이션이라고 합니다. 이는 보통 강관의 벽면에서 발생하며, 강관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공기나 가스가 존재하여 강관의 벽면이 분리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20 m 의 높이에 0.05 m3/sec 의 물을 퍼 올리는데 필요한 펌프의 축동력은? (단, 펌프의 효율은 80 % 이다.)

  1. 11.23 kW
  2. 12.25 kW
  3. 13.74 kW
  4. 14.82 kW
(정답률: 43%)
  • 물을 퍼올리는데 필요한 축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축동력 = (물의 밀도) x (중력가속도) x (물의 유량) x (높이) / (펌프의 효율)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축동력 = (1000 kg/m³) x (9.81 m/s²) x (0.05 m³/s) x (20 m) / (0.8) = 12250 W = 12.25 kW

    따라서 정답은 "12.25 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보일러 내면에 반점 모양으로 생기는 부식은?

  1. 일반부식
  2. 점식
  3. 구식
  4. 가성취하
(정답률: 83%)
  • 보일러 내면에 생기는 반점 모양의 부식은 점식입니다. 이는 부식이 발생한 부위 주변에 산화된 산소가 모여서 생기는 것으로, 일반부식과는 달리 지역적으로 발생하며 깊이가 얕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식은 보통 표면처리나 도장 등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온수난방 설비배관에서 공기빼기 밸브(air vent valve)의 설치 위치로 가장 좋은 것은?

(정답률: 69%)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공기빼기 밸브는 온수난방 설비배관에서 고점에 위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위치하면 공기가 배관에 쌓이지 않고 밸브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 위치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온수난방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1. 보일러 물의 온도 및 순환량을 가감함으로서 난방 온도를 조절한다.
  2. 온수가 쉽게 식지 않아 순환을 계속하면 야간에도 동결의 염려가 적다.
  3. 안전하고 취급이 용이하다.
  4. 실내온도의 쾌감도가 증기난방에 비하여 낮다.
(정답률: 80%)
  • "실내온도의 쾌감도가 증기난방에 비하여 낮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온수난방은 증기난방에 비해 실내습도가 높고, 건조하지 않아 쾌적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온수난방이 쾌감도가 낮다는 설명은 잘못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보일러 연소시 질소 산화물의 발생 원인이 되는 것은?

  1. 연소실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다.
  2. 연료가 불완전연소 된다.
  3. 연료 중에 회분이 많다.
  4. 연료 중에 휘발분이 많다.
(정답률: 25%)
  • 연소실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공기 중의 질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질소 산화물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반응은 연소 온도가 높을수록 더욱 촉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보일러 급수 외처리 방법으로 화학적 처리 방법은?

  1. 여과법
  2. 탈기법
  3. 증류법
  4. 이온교환법
(정답률: 67%)
  • 보일러 급수 외처리는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식물질, 스케일 등을 제거하고 보일러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이 중 화학적 처리 방법으로는 이온교환법이 사용됩니다. 이온교환법은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급수 중에 존재하는 이온을 교환하여 부식물질, 스케일 등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효과적이면서도 경제적이며, 보일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보일러 급수 외처리 방법으로 이온교환법이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밀폐식 팽창탱크에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수면계
  2. 압력계
  3. 일수관
  4. 도피밸브
(정답률: 37%)
  • 일수관은 밀폐식 팽창탱크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일수관은 수압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팽창탱크와는 별개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팽창탱크에 일수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강철제 증기보일러 설치 시 지켜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기초가 약하여 내려 앉거나 갈라지지 않아야 한다.
  2. 강 구조물은 접지되어야 한다.
  3. 수관 보일러의 경우 전열면을 청소할 수 있는 구멍이 있어야 한다.
  4. 소형보일러인 경우 바닥에 반드시 고정시키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74%)
  • 소형보일러는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바닥에 고정시키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조건들은 모두 중요하며, 기초가 약하면 보일러가 내려앉거나 갈라질 수 있으며, 강 구조물은 접지되어야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관 보일러의 경우 전열면을 청소할 수 있는 구멍이 있어야 유지보수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소형보일러인 경우 바닥에 반드시 고정시키지 않아도 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증기 보일러의 각 증기 분출구에 설치되는 밸브는?

  1. 안전밸브
  2. 스톱밸브
  3. 방출밸브
  4. 첵 밸브
(정답률: 16%)
  • 증기 보일러의 각 증기 분출구에 설치되는 밸브는 스톱밸브입니다. 이는 증기의 유출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밸브로, 보일러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다른 보일러 부속품들과 함께 작동하여 보일러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고, 증기의 유출을 방지하여 안전한 운전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자동 가동되는 보일러에 사용처가 2개 이상이고 그 중 한곳은 연속 사용이 아닌 단속사용으로 공급 압력이 매우 중요하여 성능이 좋은 감압 밸브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보일러에 미치는 영향으로 맞는 것은?

  1. 보일러 연소 및 부하 변동이 심하게 일어난다.
  2. 자동화는 이런 때를 대비한 것이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3. 감압 밸브의 용량 성능에 따라 결과가 다르다.
  4. 보일러 제어 장치의 성능이 얼마나 좋으냐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46%)
  • 감압 밸브는 공급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이는 보일러의 연소 및 부하 변동에 따라 압력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일러의 연소 및 부하 변동이 심하게 일어날 경우, 감압 밸브의 용량 성능에 따라 압력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보일러의 안전과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온수방열기의 입구 온수온도 92 ℃, 출구 온수온도 70 ℃, 실내 공기온도 18 ℃ 일 때의 주철제 방열기의 방열량은? (단, 실내온도와 방열기 온수의 평균온도와의 차가 62 ℃ 일 때 표준방열량이 적용된다.)

  1. 457 kcal/m2·h
  2. 498 kcal/m2·h
  3. 515 kcal/m2·h
  4. 520 kcal/m2·h
(정답률: 30%)
  •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계산해보면, 온수의 온도차는 92 ℃ - 70 ℃ = 22 ℃ 이고, 이를 평균 온도차로 바꾸면 (22 ℃ + 62 ℃) / 2 = 42 ℃ 가 된다. 따라서, 주철제 방열기의 방열량은 평균 온도차 42 ℃ 에 대한 표준방열량을 계산하면 된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평균 온도차 42 ℃ 에 대한 표준방열량이 가장 근접한 값은 "457 kcal/m2·h" 이므로 정답은 "457 kcal/m2·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특정열사용기자재 중 검사대상기기의 설치 또는 개조, 설치 장소 변경 등의 검사는 누가하는가?

  1. 시·도지사
  2. 산업자원부장관
  3. 한국열관리시공협회장
  4. 에너지관리공단이사장
(정답률: 38%)
  • 특정열사용기자재는 에너지관리공단이 관리하는 대상이므로, 검사대상기기의 설치 또는 개조, 설치 장소 변경 등의 검사는 에너지관리공단이사장이 담당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검사대상기기에 포함되지 않는 특정열사용기자재는?

  1. 강철제 보일러
  2. 태양열 집열기
  3. 주철제 보일러
  4. 2종 압력용기
(정답률: 52%)
  • 검사대상기기는 안전성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므로, 열사용기자재 중에서도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 포함됩니다. 강철제 보일러와 주철제 보일러는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열사용기자재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태양열 집열기는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검사대상기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에너지이용합리화법상 에너지 사용자란?

  1. 열관리기사
  2. 에너지관리공단이사장
  3. 에너지사용시설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
  4. 에너지를 저장, 판매하는 자
(정답률: 81%)
  • 에너지 사용자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사람 또는 기관을 말합니다. 에너지 사용시설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는 해당 시설에서 에너지를 사용하는 주체이므로 에너지 사용자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에너지사용시설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에너지이용합리화법상 검사대상기기의 폐기신고는 언제까지 하도록 되어 있는가?

  1. 폐기예정일 15일전까지
  2. 폐기예정일 10일전까지
  3. 폐기한 날부터 15일이내
  4. 폐기한 날부터 30일이내
(정답률: 51%)
  • 검사대상기기의 폐기신고는 폐기한 날부터 15일 이내에 해야 합니다. 이는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25조 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기간을 넘어서면 법적인 책임을 지게 됩니다. 따라서 기기를 폐기한 후 가능한 빨리 폐기신고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되는 자(者)는?

  1. 에너지사용의 제한 또는 금지에 관한 조정, 명령 기타 필요한 조치에 위반한 자
  2. 에너지저장시설의 보유 또는 저장의무 부과시 정당한 이유없이 이를 거부한 자
  3. 검사대상기기의 제조검사, 설치검사 등을 받지 아니한 자
  4. 효율관리기자재에 대한 에너지의 소비효율 등을 측정받지 아니 한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
(정답률: 54%)
  • 이유: 검사대상기기의 제조검사, 설치검사 등을 받지 아니한 자는 에너지 사용에 있어서 안전성과 효율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벌금이 부과된다. 검사를 받지 않은 기기는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에너지 낭비와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검사대상기기의 제조검사, 설치검사 등을 받지 아니한 자는 벌금이 부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용량 10만 kcal/h 인 온수보일러를 시공하려면 제 몇 종 시공업 등록을 해야 하는가?

  1. 제1종
  2. 제2종
  3. 제3종
  4. 제4종
(정답률: 44%)
  • 용량 10만 kcal/h 인 온수보일러를 시공하려면 제1종 시공업 등록을 해야 합니다. 이는 보일러의 용량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에는 제1종 시공업 등록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제1종 시공업 등록은 보일러, 가스, 전기, 수도 등의 시설물을 시공하는 업체로서 기술력과 안전성이 검증된 업체로서 인정받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