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4-01)

에너지관리기능사
(2007-04-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수관보일러와 비교하여 노통 보일러의 단점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일러 파열이 일어날 경우 위험이 크다.
  2. 보일러 내부의 청소와 점검이 곤란하고 고장이 잦다.
  3. 연소시작 때 많은 연료가 소모된다.
  4. 전열면적이 적어 증발량이 적다.
(정답률: 50%)
  • "보일러 내부의 청소와 점검이 곤란하고 고장이 잦다."라는 단점은 노통 보일러가 아닌 수관보일러의 단점입니다. 노통 보일러의 단점은 "보일러 파열이 일어날 경우 위험이 크다."입니다. 이는 노통 보일러의 구조상 열팽창에 따른 파열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젝터(injector)의 구성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혼합노즐
  2. 급수구
  3. 방출노즐
  4. 고압부
(정답률: 66%)
  • 인젝터는 연료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엔진실린더 내부에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인젝터의 구성요소에는 연료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고압부가 포함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압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증기 축열기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증기를 응축시키는 장치이다.
  2. 폭발방지 안전장치이다.
  3. 보일러 부하 증가 시에 대비하기 위한 장치이다.
  4. 증기를 한 번 더 가열시키는 장치이다.
(정답률: 61%)
  • 증기 축열기는 보일러 부하가 증가할 때 추가적인 증기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즉, 보일러의 부하가 증가하면 증기 축열기를 통해 추가적인 증기를 생산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보일러에서 저온부식의 주요 원인이 되는 원소는?

  1. C
  2. S
  3. H
  4. P
(정답률: 68%)
  • 보일러에서 저온부식의 주요 원인이 되는 원소는 "S" 입니다. 이는 화학적으로 황화물로 존재하며,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에 의해 산화되어 황산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이 황산은 금속 표면을 부식시키고, 부식된 부분에서 또 다른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서 더욱 심한 부식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보일러 내부에서 황화물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방법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어떤 보일러의 급수온도가 50℃ 에서 압력 7kgf/㎠, 온도 250℃의 증기를 1시간당 2500kg 발생할 때 상당증발량은 약 얼마인가? (단, 급수엔탈피는 50kcal/kg이고, 발생증기의 엔탈피는 660kcal/kg이다.)

  1. 2829kg/h
  2. 2960kg/h
  3. 3265kg/h
  4. 3415kg/h
(정답률: 46%)
  • 상당증발량은 발생한 증기의 엔탈피에서 급수의 엔탈피를 뺀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발생한 증기의 엔탈피 = 660kcal/kg
    급수의 엔탈피 = 50kcal/kg

    즉, 상당증발량 = (발생한 증기의 엔탈피 - 급수의 엔탈피) × 발생한 증기의 양

    발생한 증기의 양은 1시간당 2500kg 이므로,

    상당증발량 = (660 - 50) × 2500 = 2825000 kcal/h

    이 값을 kg/h로 변환하면,

    상당증발량 = 2825000 ÷ 540 = 5231.48 kg/h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2829kg/h"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여과식 집진장치에 해당되는 것은?

  1. 백필터
  2. 벤츄리 스크러버
  3. 충전탑
  4. 사이클론 스크러버
(정답률: 65%)
  • 백필터는 공기 중의 먼지와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여과식 집진장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스크러버나 충전탑 등으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화학적으로 처리하거나 전기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의 집진장치입니다. 따라서 백필터가 여과식 집진장치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일러 연소장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스테이
  2. 버너
  3. 포트
  4. 화격자
(정답률: 71%)
  • 스테이는 보일러 연소장치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부속품으로, 보일러의 구조적인 일부분이지만 연소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보일러 연소장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스테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유류버너의 종류 중 수 기압[MPa(kg/㎠)]의 분무매체를 이용하여 연료를 분무하는 형식의 버너로서 2유체버너라고도 하는 것은?

  1. 유압식 버너
  2. 고압기류식 버너
  3. 회전식버너
  4. 환류식버너
(정답률: 61%)
  • 2유체버너는 연료와 분무매체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버너로, 고압기류식 버너는 분무매체를 고압기로 압축하여 연료와 혼합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고압기류식 버너는 분무매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연료를 분무하므로, 유압식 버너와는 구분됩니다. 회전식버너와 환류식버너는 다른 작동 원리를 가지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보일러설치규격(KBI)에서 전기식 온수온도제한기의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온도설정다이얼
  2. 마이크로스위치
  3. 온도차설정다이얼
  4. 확대요량게이지
(정답률: 60%)
  • 전기식 온수온도제한기는 온도설정다이얼, 마이크로스위치, 온도차설정다이얼로 구성됩니다. 이 중에서 확대요량게이지는 전기식 온수온도제한기의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습니다. 확대요량게이지는 보일러의 수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의 각 단계가 진행되는 제어 방식으로 작동 명령이 타이머나 릴레이에 의해서 수행되는 제어는?

  1. 시퀀스 제어
  2. 피드백 제어
  3. 프로그램 제어
  4. 케스케이드 제어
(정답률: 75%)
  • 시퀀스 제어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 단계가 진행되는 방식으로, 작동 명령이 타이머나 릴레이에 의해 수행됩니다. 따라서 순차적으로 제어 단계가 진행되며, 각 단계가 완료되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시퀀스 제어는 일정한 순서와 시간에 따라 정확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보일러 열손실 종류 중 일반적으로 손실량이 가장 큰 것은?

  1. 배기가스에 의한 열손실
  2. 미연소 연료분에 의한 열손실
  3. 복사 및 전도에 의한 열손실
  4. 불완전 연소에 의한 열손실
(정답률: 81%)
  •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연소 과정에서 생성된 배기가스는 높은 온도와 열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기가스는 보일러 내부를 통과하면서 열을 전달하고, 보일러 외부로 배출됩니다. 이 과정에서 보일러 내부에서 생성된 열에너지가 외부로 유출되는데, 이것이 바로 "배기가스에 의한 열손실"입니다. 따라서 보일러의 열손실 중에서 가장 큰 것은 배기가스에 의한 열손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보일러의 연소 자동제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연료 공급량 제어
  2. 보일러 용량 제어
  3. 연소가스량 배출 제어
  4. 공기 공급량 제어
(정답률: 59%)
  • 일반적으로 보일러의 연소 자동제어에는 연료 공급량 제어, 연소가스량 배출 제어, 공기 공급량 제어가 포함됩니다. 그러나 보일러 용량 제어는 보일러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연소 자동제어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보일러 용량 제어가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보일러의 연소 자동제어에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보일러의 증기압력은 증기 사용량과 증기 발생량의 균형이 유지되지 않을 때에 변동이 일어난다. 이러한 변동에 대해 연료량과 공기량을 비례 조절하거나 최고 사용압력에 도달하기 전에 연료의 공급을 중지시키는 장치는?

  1. 방출밸브
  2. 압력조절기
  3. 화염검출기
  4. 고.저수위 경보장치
(정답률: 67%)
  • 보일러의 증기압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연료량과 공기량을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도 증기압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때 압력조절기는 보일러 내부의 증기압력을 측정하여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압력조절기는 보일러의 안전과 안정적인 운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100kg의 물을 온도 20℃에서 90℃로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1. 7000kcal
  2. 9000kcal
  3. 18000kcal
  4. 72000kcal
(정답률: 59%)
  • 물의 비열은 1g당 1℃ 온도 상승에 1cal의 열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100kg(100,000g)의 물을 70℃(90℃-20℃)까지 가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00,000g x 70℃ x 1cal/g℃ = 7,000,000cal = 7,000kcal

    따라서 정답은 "7000kca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주철제 보일러의 특징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전열면적에 비해 설치면적이 적다.
  2. 섹션 수를 증감하여 용량을 조절한다.
  3. 주로 고압용 보일러로 사용된다.
  4. 분해, 조립, 운반이 용이하다.
(정답률: 70%)
  • 주철제 보일러는 주로 저압용 보일러로 사용되며, 따라서 "주로 고압용 보일러로 사용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주철제 보일러는 전열면적에 비해 설치면적이 적고, 섹션 수를 증감하여 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분해, 조립, 운반이 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보일러설치기술규격에서 수면계의 개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증기보일러에는 2개 이상의 유리 수면계를 부착하여야 한다.
  2. 2개 이상의 원격지시 수면계를 시설하는 경우에 한하여 유리 수면계를 부착하지 않는다.
  3. 소용량 및 소형관류보일러는 1개 이상의 유리 수면계를 부착하여야 한다.
  4. 최고 사용압력이 1MPa(10kg/㎠) 이하로서 동체 안지름이 750㎜ 미만인 경우에 있어서는 수면계 중 1개는 다른 종류의 수면 측정장치로 대체할 수 있다.
(정답률: 52%)
  • 정답은 "2개 이상의 원격지시 수면계를 시설하는 경우에 한하여 유리 수면계를 부착하지 않는다."입니다. 이유는 원격지시 수면계는 보통 전자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유리 수면계와 같은 시각적인 측정장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격지시 수면계가 2개 이상 설치되어 있다면 유리 수면계를 부착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보일러 연소실 내의 미연가스 폭발에 대비하여 설치하는 안전장치는?

  1. 가용전
  2. 방출밸브
  3. 안전밸브
  4. 방폭문
(정답률: 83%)
  • 보일러 연소실 내에서 발생하는 미연가스는 폭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장치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방폭문은 폭발이 발생했을 때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방출시켜 폭발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방폭문은 보일러 연소실 내의 안전장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기체 연료 중 석유계 연료에서 얻는 것은?

  1. 수성가스
  2. 오일가스
  3. 발생로가스
  4. 고로가스
(정답률: 57%)
  • 석유계 연료는 석유에서 추출되는 연료를 말합니다. 오일가스는 석유에서 추출되는 가스로, 석유계 연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오일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연소용 버너 중 2중관으로 구성되어 중심부에서는 유류가 분사되고 외측에는 가스가 분사되는 형태로 유류와 가스를 동시에 연소시킬 수 있는 버너로 센터파이어라고도 하는 버너는?

  1. 건형 가스버너
  2. 링형 가스버너
  3. 다분기관형 가스버너
  4. 스크롤형 가스버너
(정답률: 29%)
  • 설명: 2중관으로 구성되어 중심부에서는 유류가 분사되고 외측에는 가스가 분사되는 형태로 유류와 가스를 동시에 연소시킬 수 있는 버너는 센터파이어 버너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유류와 가스를 동시에 연소시킬 수 있는 버너는 "건형 가스버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보일러 연료로 사용되는 LNG의 성분 중 함유량이 가장 많은 것은?

  1. CH4
  2. C4H6
  3. C3H6
  4. C4H1
(정답률: 67%)
  • LNG은 액화천연가스로, CH4가 주성분입니다. 따라서 보일러 연료로 사용되는 LNG의 성분 중 함유량이 가장 많은 것은 CH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노통보일러에서 겔로웨이관(Galloway tube)의 설치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열면적의 증가
  2. 노통이나 화실벽의 보강
  3. 물의 순환 촉진
  4. 과열증기 발생
(정답률: 60%)
  • 겔로웨이관은 노통보일러에서 물의 순환을 촉진하고 전열면적을 증가시키며 노통이나 화실벽을 보강하는 목적으로 설치됩니다. 그러나 과열증기 발생은 옳지 않은 설치목적입니다. 이는 겔로웨이관이 과열증기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과열증기는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하면서 보일러의 안전성을 저해시키고 시스템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겔로웨이관을 설치할 때는 과열증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보일러설치기술규격에서 보일러의 분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1. 주철제보일러의 최고사용압력은 증기보일러일 경우 0.5MPa까지, 온수온도는 373k(100℃)까지 국한된다.
  2.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사용매체에 따라 증기 보일러, 온수보일러 및 열매체 보일러로 분류한다.
  3. 보일러의 재질에 따라 강철제보일러와 주철제보일러로 분류한다.
  4. 연료에 따라 유류보일러, 가스보일러, 석탄보일러, 목제보일러, 폐열보일러, 특수연료 보일러 등이 있다.
(정답률: 61%)
  • 정답은 "주철제보일러의 최고사용압력은 증기보일러일 경우 0.5MPa까지, 온수온도는 373k(100℃)까지 국한된다."입니다. 이유는 주철제보일러의 최고사용압력은 증기보일러일 경우 0.5MPa까지, 온수온도는 373k(100℃)까지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온수보일러일 경우 1.0MPa까지, 증기보일러일 경우 1.6MPa까지 사용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보일러 본체에서 하부드럼(수부)이 클 경우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하 변동에 대한 압력 변화가 크다.
  2. 증기 발생 시간이 길다.
  3. 열효율이 낮아진다.
  4. 보유 수량이 많으므로 파열시 피해가 크다.
(정답률: 59%)
  • 하부드럼(수부)이 클 경우 부하 변동에 대한 압력 변화가 크다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는 하부드럼(수부)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부하 변동에 따른 증기의 양 변화가 크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일러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부드럼(수부)의 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증기 발생 시간이 길다는 것은 하부드럼(수부)의 용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보일러의 설계 및 운전 조건에 따라 증기 발생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열효율이 낮아진다는 것은 하부드럼(수부)의 용량이 클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하부드럼(수부)의 용량이 클수록 보일러 내부의 열 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에 열효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보유 수량이 많으므로 파열시 피해가 크다는 것은 하부드럼(수부)의 용량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부드럼(수부)의 용량이 클수록 보유하는 증기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파열시 피해가 크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보일러에 물을 넣고 가열할 때 상태변화의 진행순서가 바르게 표시된 것은?

  1. 포화수→습포화 증기→과열증기→건포화증기
  2. 포화수→습포화 증기→건포화증기→과열증기
  3. 포화수→습증기→과열증기→포화증기
  4. 포화수→포화증기→습포화증기→과열증기
(정답률: 58%)
  • 정답은 "포화수→습포화 증기→건포화증기→과열증기"입니다.

    보일러에 물을 넣고 가열할 때, 물은 먼저 포화수 상태가 되고, 이후에 열이 가해지면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됩니다. 습포화 증기는 더 많은 열을 가해지면 건포화 증기 상태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건포화 증기에 더 많은 열이 가해지면 과열증기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포화수→습포화 증기→건포화증기→과열증기가 올바른 상태변화의 진행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보일러에서 기체연료의 연소방식으로 다음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화격자연소
  2. 확산연소
  3. 증발연소
  4. 분해연소
(정답률: 73%)
  • 확산연소가 가장 적당합니다. 이는 기체연료를 공기와 섞어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연소 과정에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서 열이 발생합니다. 이 방식은 연소 과정이 안정적이며, 연소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연소 효율이 높습니다. 또한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배출량도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보일러의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

  1. 고저수위 경보장치
  2. 화염검출기
  3. 급수 펌프
  4. 압력조절기
(정답률: 81%)
  • 급수 펌프는 보일러의 안전장치가 아닙니다. 보일러의 안전장치는 고저수위 경보장치, 화염검출기, 압력조절기 등이 있습니다. 급수 펌프는 보일러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지만, 보일러의 안전을 보장하는 기능은 갖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화씨온도 5℉를 섭씨온도와 절대온도로 환산하면?

  1. -15℃, 258K
  2. 30℃, 303K
  3. 41℃, 314K
  4. 186.8℃, 459.8K
(정답률: 49%)
  • 화씨온도를 섭씨온도로 변환하는 공식은 (화씨온도 - 32) × 5/9 = 섭씨온도 입니다. 따라서 5℉를 섭씨온도로 변환하면 (-32) × 5/9 = -17.78℃ 입니다.

    절대온도는 섭씨온도에 273.15를 더한 값이므로, -17.78℃ + 273.15 = 255.37K 입니다.

    따라서, "-15℃, 258K"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3세주형 주철제 방열기로 높이가 650㎜이며, 섹션수가 15개이고, 유입관경 25㎜ 유출관경 20㎜인 것은?

(정답률: 48%)
  • 주어진 그림은 3세주형 주철제 방열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방열기의 높이는 650㎜이며, 섹션수는 15개입니다. 유입관경은 25㎜이고, 유출관경은 20㎜입니다. 이에 따라서, 답은 ""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듯이 유입관이 25㎜이고, 유출관이 20㎜이므로, 유체가 흐르는 방향에서 섹션마다 유체의 흐름이 점점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섹션수가 많을수록 유체의 흐름이 더욱 느려지게 되고, 열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보일러 설치⋅시공 기준상 보일러 외벽 온도는 주위 온도보다 몇 ℃를 초과해서는 안 되는가?

  1. 20℃
  2. 30℃
  3. 50℃
  4. 60℃
(정답률: 54%)
  • 보일러 외벽 온도는 주위 온도보다 30℃를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이는 보일러의 안전한 작동을 위해 필요한 온도로, 보일러 외벽 온도가 너무 높으면 화재나 폭발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일러 설치⋅시공 기준상 보일러 외벽 온도는 30℃를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보일러 설치 시 스톱밸브 및 분출밸브 부착에 대한 기준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증기의 각 출구에는 모두 분출밸브를 부착하여야 한다.
  2. 스톱밸브의 호칭압력은 보일러의 최고사용압력 이상이어야 하며, 적어도 0.7MPa 이상이어야 한다.
  3. 보일러의 출구 연결관에는 증기공급관 내의 접근이 쉬운 지점에 스톱밸브가 설치되어야 한다.
  4. 2개 이상의 보일러에서 분출관을 공동으로 하여서는 안 된다.
(정답률: 31%)
  • 잘못된 것은 "2개 이상의 보일러에서 분출관을 공동으로 하여서는 안 된다."입니다. 이유는 여러 대의 보일러가 하나의 분출관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증기의 각 출구에는 모두 분출밸브를 부착하여야 한다."는 이유는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고온, 고압으로 인해 갑작스러운 이상 발생 시 큰 피해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분출밸브는 이러한 이상 발생 시 증기를 안전하게 방출시켜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스톱밸브의 호칭압력은 보일러의 최고사용압력 이상이어야 하며, 적어도 0.7MPa 이상이어야 한다."는 이유는 스톱밸브가 보일러 내부의 증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일러 내부의 최고압력 이상으로 스톱밸브를 설치해야 안전하게 증기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보일러의 출구 연결관에는 증기공급관 내의 접근이 쉬운 지점에 스톱밸브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이유는 스톱밸브가 이상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증기공급관 내의 접근이 쉬운 지점에 스톱밸브를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보일러설치기술규격에 의한 도시가스 배관의 설치에서 배관의 이음부와 전기점멸기 및 전기 접속기와의 거리는 얼마 이상유지 하여야 하는가?

  1. 10㎝
  2. 15㎝
  3. 20㎝
  4. 30㎝
(정답률: 52%)
  • 보일러설치기술규격에서는 도시가스 배관의 이음부와 전기점멸기 및 전기 접속기와의 거리를 30㎝ 이상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기점멸기나 전기 접속기와 가까이 위치한 배관에서 가스 누출이 발생할 경우 전기적인 화재나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안전상의 이유로 30㎝ 이상의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증기보일러에서 안전밸브를 부착하지 않는 곳은?

  1. 보일러 본체
  2. 응축수 출구
  3. 과열기 출구
  4. 재열기 입구
(정답률: 42%)
  • 증기보일러에서 안전밸브는 과열이나 과압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부착됩니다. 그러나 응축수 출구는 증기가 응축되어 물이 되어 나오는 부분으로, 과열이나 과압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안전벨브를 부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증기보일러에 주로 사용되는 안전밸브의 형식은?

  1. 추식
  2. 스프링식
  3. 전자식
  4. 레버식
(정답률: 63%)
  • 증기보일러 안전밸브는 스프링식이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스프링이 적용된 밸브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도 증기의 과도한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스프링식 안전밸브는 정확한 압력 조절이 가능하며, 작동 시 빠른 반응성과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보일러제조기술규격에 의한 수압시험을 할 때 강철제보일러의 최고사용압력이 0.4MPa(4.3kg/ ㎠)를 초과, 1.5MPa(15kg/㎠)인 보일러의 수압시험 압력은?

  1. 최고 사용압력의 2배+0.1MPa(1kg/㎠)
  2. 최고 사용압력의 1.5배+0.2MPa(2kg/㎠)+0.2MPa(2kg/㎠)
  3. 최고 사용압력의 1.3배+0.3MPa(3kg/㎠
  4. 최고 사용압력의 2.5배+0.5MPa(5kg/㎠)
(정답률: 63%)
  • 보일러의 최고 사용압력이 0.4MPa(4.3kg/㎠)를 초과하면, 보일러는 1.5MPa(15kg/㎠) 이하의 수압시험 압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이 때, 보일러의 수압시험 압력은 최고 사용압력의 1.3배+0.3MPa(3kg/㎠)이 됩니다. 이유는 최고 사용압력의 1.3배는 일반적으로 보일러의 수압시험 압력으로 사용되는 값이며, 0.3MPa(3kg/㎠)는 여유압력으로 추가되는 값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최고 사용압력의 1.3배+0.3MPa(3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보일러설치규격에서 저수위 차단장치의 설치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가급적 2개를 별도의 통수관에 각기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분출관과 수면계의 분출관을 통합 연결한다.
  3. 통수관 크기는 호칭지름 25㎜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4. 통수관에 부착되는 밸브는 개폐상태를 명확히 표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54%)
  • 정답은 "분출관과 수면계의 분출관을 통합 연결한다."입니다.

    분출관과 수면계의 분출관을 통합 연결하면, 물이 분출되는 위치가 일정하지 않아서 보일러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출관과 수면계의 분출관은 각각 별도의 통수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분출관과 수면계의 분출관을 통합 연결하는 것은 설치 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보일러 설치 규격에서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보일러사용기술규격에서 보일러의 휴지보존법 중 장기보존법이 아닌 것은?

  1. 석회밀폐건조법
  2. 질소가스봉입법
  3. 가열건조법
  4. 소다수만수보존법
(정답률: 67%)
  • 보일러의 휴지보존법 중 장기보존법이 아닌 것은 "가열건조법"입니다. 이는 보일러 내부를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일시적인 보존에만 적합하며 장기적인 보존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보일러의 장기보존에는 석회밀폐건조법, 질소가스봉입법, 소다수만수보존법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동 중인 수동보일러를 정지시킬 때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조치해야 할 사항은?

  1. 증기 송출을 정지한다.
  2. 연료 공급을 차단한다.
  3. 댐퍼를 닫는다.
  4. 급수를 중단한다.
(정답률: 85%)
  • 수동보일러는 연소를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데, 이 연소를 위해 연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보일러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연료 공급을 차단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연소가 계속되어 보일러 내부의 온도가 높아져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보일러에서 점화하기 전에 공기를 빼고 물을 가득 채워야 하는 곳은?

  1. 보일러 동(胴)
  2. 절탄기
  3. 과열기
  4. 비수방지관
(정답률: 31%)
  • 절탄기는 보일러에서 열을 전달하기 전에 물을 가득 채우고 공기를 제거하여 보일러 내부를 청소하고 안정적인 열 전달을 위해 필요한 장치입니다. 따라서 보일러에서 점화하기 전에 공기를 빼고 물을 가득 채워야 하는 곳은 절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보일러 스케일 성분이 아닌 것은?

  1. 중탄산칼슘
  2. 수산화나트륨
  3. 황산칼슘
  4. 실리카
(정답률: 28%)
  • 보일러 스케일은 일반적으로 중탄산칼슘, 황산칼슘, 실리카와 같은 미네랄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수산화나트륨은 보일러 스케일의 성분이 아닙니다. 수산화나트륨은 소금물에서 발생하는 성분으로, 보일러 스케일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보일러 급수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경도가 낮은 연수일 것
  2. 유지분이 없는 물일 것
  3. 용존산소가 많은 물일 것
  4. 가스류를 발산시킨 물일 것
(정답률: 54%)
  • 보일러 급수는 경도가 낮은 연수와 유지분이 없는 물이 적합합니다. 그러나 용존산소가 많은 물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보일러 내부에서 산화작용을 일으키고 부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가스류를 발산시킨 물도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과열기 취급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캐리오버에 의한 보일러의 불순물 유입에 주의하여야 한다.
  2. 항상 과열증기 온도에 주의 하여야 한다.
  3. 과열기 내의 청소는 보일러 청소 시 같이 한다.
  4. 과열증기 온도의 급 저하는 캐리오버에 의한 경우가 많다.
(정답률: 48%)
  • 정답은 "과열기 내의 청소는 보일러 청소 시 같이 한다."입니다.

    과열기는 보일러의 일부분으로, 보일러 청소 시 함께 청소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올바른 내용입니다.

    나머지 항목들은 모두 과열기 취급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올바른 내용입니다.

    - 캐리오버에 의한 보일러의 불순물 유입에 주의하여야 한다: 캐리오버란 과열증기가 수증기로 변화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보일러 내부에 불순물이 유입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의해야 합니다.
    - 항상 과열증기 온도에 주의 하여야 한다: 과열증기는 매우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취급 시에는 항상 온도에 주의해야 합니다.
    - 과열증기 온도의 급 저하는 캐리오버에 의한 경우가 많다: 과열증기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경우, 이는 캐리오버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역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보일러 가성취화(苛性脆化)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압보일러에서 알칼리도가 낮아져서 생기는 현상이다.
  2. 리벳이음 등에 생기는 응력부식 균열의 일종이다.
  3. 보일러 수와 접촉하지 않는 증기부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4. 보일러 수가 겹침부의 틈새 등에 침입하여 가열에 의해 농축되고 재료의 결정입계에 따라 균열이 생긴다.
(정답률: 36%)
  • "보일러 수와 접촉하지 않는 증기부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입니다.

    가성취화는 고압보일러에서 물과 증기가 접촉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 부분에서 알칼리도가 낮아지면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보일러 수와 접촉하지 않는 증기부에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수면계의 기능시험 시기로 틀린 것은?

  1. 보일러를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을 때
  2. 2개 수면계의 수위에 차이를 발견했을 때
  3. 수면계의 유리를 교체 했을 때
  4. 프라이밍, 포밍 등이 발생했을 때
(정답률: 69%)
  • "보일러를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을 때"는 수면계의 기능을 검사하기에는 적절한 시기가 아닙니다. 이유는 보일러를 가동하고 있을 때는 수면계의 온도와 압력이 변동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일러를 가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면계의 기능을 검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보일러 운전 중 프라이밍(priming)이 발생하는 경우는?

  1. 보일러 증기압력이 낮을 때
  2. 보일러수가 농축되지 않았을 때
  3. 부하를 급격히 증가시킬 때
  4. 급수 공급이 원활 할 때
(정답률: 62%)
  • 보일러 운전 중에는 물이 증발하여 증기가 생성됩니다. 이때 부하가 급격히 증가하면 보일러 내부의 물이 증발되는 속도가 증가하게 되어 증기와 함께 물이 보일러 밖으로 나오게 됩니다. 이를 프라이밍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부하를 급격히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프라이밍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증기보일러 취급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역화의 위험을 막기 위해 댐퍼는 닫아 놓아야 한다.
  2. 점화 후 화력의 급상승은 금지해야 한다.
  3. 압력계, 수위계 등 부속장치의 점검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
  4. 송기 시 주증기 밸브는 급개하지 않는다.
(정답률: 79%)
  • "역화의 위험을 막기 위해 댐퍼는 닫아 놓아야 한다."이 틀린 이유는 역화가 발생할 경우에는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댐퍼를 닫으면 공기가 부족해져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기 쉬워져 역화의 위험이 더욱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역화 방지를 위해서는 댐퍼를 열어 놓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기름 연소보일러의 수동점화 시 5초 이내에 점화되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1. 연료 밸브를 더 많이 열어 연료공급을 증가시킨다.
  2. 연료 분무용 증기 및 공기를 더 많이 분사시킨다.
  3. 불씨를 제거하고 처음 단계부터 재점화 조작한다.
  4. 점화봉은 그대로 두고 프리퍼지를 행한다.
(정답률: 70%)
  • 기름 연소보일러에서 수동점화 시 5초 이내에 점화되지 않으면, 이는 연료 공급이 충분하지 않거나 불씨가 발생하여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입니다. 따라서 불씨를 제거하고 처음 단계부터 재점화 조작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연료 공급량을 늘리거나 분사량을 늘리는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이는 불씨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보일러 사고에서 취급상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보일러수의 농축이나 스케일 부탁으로 인한 과열
  2. 부일러수의 처리불량 등으로 인한 내부 부식
  3. 고수위로 인한 보일러 과열
  4. 연소조작이나 운전조작 불량
(정답률: 42%)
  • 고수위로 인한 보일러 과열은 취급상의 원인이 아닙니다. 고수위는 보일러 내부의 물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로, 고수위로 인한 과열은 보일러 내부의 물의 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고수위로 인한 보일러 과열은 취급상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보일러 수리시의 안전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녹이 슨 부분의 해머작업 시에는 보호안경을 착용한다.
  2. 파이프 나사절삭 시 나사부는 맨손으로 만지지 않는다.
  3. 토치램프 작업 시 소화기를 비치해 둔다.
  4. 파이프렌치는 볼트나 너트를 조이는 데도 사용된다.
(정답률: 78%)
  • 정답: "파이프렌치는 볼트나 너트를 조이는 데도 사용된다."

    설명: 파이프렌치는 파이프를 조이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볼트나 너트를 조이는 데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스패너나 렌치 등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보일러 유리 수면계의 유리 파손 원인과 무관한 것은?

  1. 유리관 상하 콕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때
  2. 유리가 알카리 부식 등에 의해 노화되었을 때
  3. 유리관 상하 콕의 너트를 너무 조였을 때
  4. 증기의 압력을 갑자기 올렸을 때
(정답률: 47%)
  • 증기의 압력을 갑자기 올렸을 때는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어 유리 수면계의 유리가 갑자기 파손될 수 있습니다. 이는 유리의 내구성을 초과하는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일러 운영 시에는 증기 압력을 천천히 조절하여 유리 파손을 예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강철제 보일러의 설치검사기준에 따라 수압시험을 하는 경우, 압력을 가하여 규정된 시험수압에 도달된 후 몇 분이 경과된 뒤에 검사하는가?

  1. 10분
  2. 20분
  3. 30분
  4. 40분
(정답률: 46%)
  • 강철제 보일러의 설치검사기준에 따라 수압시험을 하는 경우, 압력을 가하여 규정된 시험수압에 도달된 후 30분 이상 경과된 뒤에 검사를 해야 합니다. 이는 보일러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30분 이상 경과한 후에도 압력이 유지되면 보일러가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보일러 수(水)의 청관제 약품 중 탈산소제가 아닌 것은?

  1. 탄닌
  2. 히드라진
  3. 암모니아
  4. 아황산나트륨
(정답률: 45%)
  • 탈산소제는 보일러 수(水)에서 산소를 제거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암모니아는 탈산소제가 아닌데, 이는 보일러 수(水)에서 산화되어 산성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암모니아는 보일러 수(水)의 청관제 약품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사용 중인 보일러의 점화전에 확인⋅점검사항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각종 계기류와 제어장치를 확인한다.
  2. 수저 분출밸브의 잠긴 상태를 점검한다.
  3. 연료계통 및 급수계통을 점검한다.
  4. 연료의 발열량을 확인하고 성분을 점검한다.
(정답률: 69%)
  • 보일러의 점화전에는 연료를 확인하고 성분을 점검하는 것이 관련이 없습니다. 이는 이미 연료가 보일러에 공급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료의 발열량을 확인하고 성분을 점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보일러 연소장치의 선정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 연료의 종류와 형태를 고려한다.
  2. 연소 효율이 높은 장치를 선택한다.
  3. 과잉공기를 많이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선택한다.
  4. 내구성 및 가격 등을 고려한다.
(정답률: 78%)
  • 과잉공기를 많이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선택하는 것은 오히려 비효율적인 선택이기 때문에 틀린 설명입니다. 과잉공기를 많이 사용하면 연소 온도가 낮아지고 연소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일러 연소장치를 선택할 때는 사용 연료의 종류와 형태, 연소 효율, 내구성, 가격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장치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일러 수에 유지분 등의 불순물이 많이 함유되어 보일러 수의 비등과 함께 수면부근에 거품의 층을 형성하여 수위가 불안정하게 되는 현상은?

  1. 포밍
  2. 프라이밍
  3. 워터 해머링
  4. 프리퍼지
(정답률: 75%)
  • 보일러 수에 함유된 불순물이 비등과 함께 거품을 형성하여 수면이 불안정해지는 현상을 포밍이라고 합니다. "포밍"은 영어 단어인 "foaming"에서 유래되었으며, 거품이 형성되는 모습이 비스듬한 모양으로 보일러 수면을 덮치는 모습이 비단 포였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서 검사대상기기 설치자가 검사대상기기 조종자를 채용하지 않았을 때의 벌칙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 원 이하의 벌금
  3.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4. 5백만 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66%)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서 검사대상기기 설치자는 검사대상기기를 설치한 후에 해당 기기를 조종하는 조종자를 채용해야 합니다. 만약 검사대상기기 설치자가 조종자를 채용하지 않았을 경우, 이는 법에 위반되는 행위로 간주됩니다. 이에 따라 검사대상기기 설치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받게 됩니다. 이는 법에 따라 정해진 벌칙 중에서 가장 경도한 벌칙으로, 검사대상기기 설치자가 법을 위반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경감된 벌금을 부과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시행령에서 국가.지방자치단체 들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기 위하여 추진하여야 하는 조치의 구체적인 내용이 아닌 것은?

  1. 지역별, 주요 수급자별 에너지 할당
  2. 에너지절약 추진 체계의 구축
  3.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제도 및 시책의 정비
  4. 건물 및 수송 부문의 에너지이용 합리화
(정답률: 36%)
  • "지역별, 주요 수급자별 에너지 할당"은 구체적인 조치가 아니라, 에너지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 중 하나로, 지역별 또는 주요 수급자별로 에너지를 할당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에너지 이용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에너지이용합리화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에너지의 수급안정
  2.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증진
  3. 에너지소비로 인한 환경피해를 줄임
  4. 지구온난화의 촉진
(정답률: 78%)
  • 에너지이용합리화법은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증진하고, 에너지의 수급안정을 위해 에너지소비로 인한 환경피해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지구온난화의 촉진"은 이 목적과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오히려 에너지이용합리화법은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대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에너지용합리화법 시행령에서 에너지사용의 제한 또는 금지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항 중 틀린 것은?

  1. 위생접객업소 기타 에너지사용시설의 에너지사용의 제한
  2. 에너지사용의 시기 및 방법의 제한
  3. 차량 등 에너지사용기자재의 사용재한
  4. 특정지역에 대한 에너지개발의 제한
(정답률: 33%)
  • 특정지역에 대한 에너지개발의 제한은 에너지 사용에 대한 것이 아니라, 해당 지역에서의 에너지 개발에 대한 제한이기 때문에 에너지 사용의 제한 또는 금지와는 다른 내용입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환경 보호나 생태계 보전 등을 위해 정부가 에너지 개발을 제한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국립공원이나 수목원 등의 특정 지역에서는 자연 보전을 위해 에너지 개발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에너지이용합리화법의 열사용기자재관리규칙에서 정한 특정열사용기자재의 품목명이 아닌 것은?

  1. 측열식전기보일러
  2. 태양열조리기
  3. 강철제보일러
  4. 구멍탄용온수보일러
(정답률: 50%)
  • 태양열조리기는 에너지이용합리화법의 열사용기자재관리규칙에서 정한 특정열사용기자재의 품목명이 아닙니다. 이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전기나 연료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기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의한 에너지이용합리화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은?

  1. 비상시 에너지소비절감을 위한 대책
  2. 지역별 에너지수급의 합리화를 위한 대책
  3. 에너지의 합리적 이용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대책
  4. 에너지 공급자 상호간의 에너지의 교환 또는 분배사용 대책
(정답률: 60%)
  • 에너지이용합리화법은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에너지이용합리화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은 에너지의 합리적 이용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대책입니다. 이는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이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