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7-18)

환경기능사
(2004-07-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대기오염방지

1. 수소이온농도가 4.2 x 10-3 mole 인 수용액의 pH는?

  1. 2.4
  2. 4.2
  3. 5.1
  4. 6.6
(정답률: 30%)
  • pH는 -log[H+]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수소이온농도가 4.2 x 10-3 mole 인 경우, pH는 -log(4.2 x 10-3) = 2.4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BOD가 200ppm, 폐수량이 400m3/d(일)인 공장에서 80m3인 폭기조를 건설하였다면 BOD 부하(kg/m3-day)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23%)
  • BOD 부하는 BOD 농도 × 유입량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폭기조에 유입되는 폐수량은 80m3/d 이므로, BOD 부하는 200ppm × 80m3/d = 16,000 kg/d 입니다. 이를 폭기조 부피인 80m3으로 나누면, BOD 부하는 16,000 kg/d ÷ 80m3/d = 200 kg/m3-day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정폐기물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산(pH 가 2.0 이하)
  2. 폐유(기름성분 5% 이상 함유)
  3. 폐벽돌
  4. 폐석면
(정답률: 64%)
  • 지정폐기물은 환경에 해로운 물질로 분류되는데, 폐산은 산성도가 높아 환경에 해로운 성분이며, 폐유는 기름성분이 함유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됩니다. 폐석면은 섬유질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해로운 물질입니다. 하지만 폐벽돌은 재활용이 가능하고, 환경에 해로운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지정폐기물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소음방지 대책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소음기의 이용
  2. 장해물에 의한 차음효과
  3. 소음원의 제거 및 억제
  4. 실내에 흡음재료 사용
(정답률: 58%)
  • 소음원의 제거 및 억제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는 소음원을 없애거나 소음을 줄이는 것이 소음을 완전히 없애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소음기를 이용하거나 장해물에 의한 차음효과를 적용하는 것도 효과적이지만, 이는 소음을 줄이는 것에 그칠 뿐 완전한 소음방지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음원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차량 등에 많이 쓰이고, 부하능력이 광범위하며 구조가 복잡하여도 성능이 좋은 방진재료는?

  1. 공기용수철
  2. 휄트(felt)
  3. 코르크
  4. 방진고무
(정답률: 42%)
  • 공기용수철은 유연성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높아서 차량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한 부분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부하능력이 광범위하여 성능이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하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수의 취수시설로는 우물, 집수매거등이 있다.
  2. 지하수는 빗물이나 지표수가 지층을 침투하여 지하로 스며든 물이다.
  3. 지하수의 수온은 연중 거의 일정하고 겨울에는 지표수에 비해 수온이 높다.
  4. 지하수는 부유물질이나 유기물,무기질등의 농도가 지표수에 비해 낮다.
(정답률: 65%)
  • 지하수는 부유물질이나 유기물, 무기질 등의 농도가 지표수에 비해 낮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지하수는 지층을 통과하면서 지하수층 내의 미생물, 광물, 유기물 등을 포함한 다양한 물질들과 상호작용하며 농도가 변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하수의 농도는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폐수 중 생물학적 처리가 곤란한 것은?

  1. 가정 하수
  2. 축산 폐수
  3. 도금공장 폐수
  4. 맥주제조공장 폐수
(정답률: 60%)
  • 도금공장 폐수는 매우 유독하고 화학적으로 복잡한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어 생물학적 처리가 어렵습니다. 이 폐수는 일반적으로 중금속, 산화물, 유기화합물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은 생물체에 매우 유해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폐수는 특별한 처리가 필요하며, 일반적인 생물학적 처리 시설에서는 처리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황산(1+9)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1. 물 1mL와 황산 9mL를 혼합하여 제조한 용액
  2. 황산 1mL와 물 9mL를 혼합하여 제조한 용액
  3. 황산 1mL와 물 8mL를 혼합하여 제조한 용액
  4. 물 1mL와 황산 8mL를 혼합하여 제조한 용액
(정답률: 78%)
  • 황산(1+9)은 황산 1mL와 물 9mL를 혼합하여 제조한 용액을 의미합니다. 이는 황산의 농도를 1/10으로 희석한 용액이기 때문입니다. 즉, 1mL의 황산에 9mL의 물을 추가하여 총 10mL의 용액을 만든 것입니다. 이러한 희석 용액은 실험에서 농도를 조절하거나 시료를 희석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해양오염이나 공장폐수의 요염지표로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pH
  2. DO
  3. COD
  4. BOD
(정답률: 40%)
  • COD는 Chemical Oxygen Demand의 약자로, 물 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의 양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해양오염이나 공장폐수의 유기물 농도를 파악하는 데에 주로 사용됩니다. pH는 물의 산성도나 알칼리도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DO는 물 속의 산소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BOD는 Biological Oxygen Demand의 약자로, 물 속에서 생물이 분해하는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들은 COD와는 다른 측정 대상이기 때문에 COD가 해양오염이나 공장폐수의 요염지표로 주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기역학적 직경이 10㎛미만이며,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유입되어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입자를 의미하는 것은?

  1. TSP
  2. TS
  3. SS
  4. PM10
(정답률: 54%)
  • PM10은 Particulate Matter 10의 약자로, 공기역학적 직경이 10㎛미만인 입자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TSP, TS, SS는 PM10보다 큰 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유입되어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낮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PM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측정진동레벨에 암진동의 영향을 보정한 후 얻어진 진동레벨은?

  1. 진동레벨
  2. 평가진동레벨
  3. 대상진동레벨
  4. 암진동레벨
(정답률: 46%)
  • 측정진동레벨은 측정된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며, 암진동의 영향을 보정한 후 얻어진 진동레벨은 대상의 진동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암진동의 영향을 보정한 값입니다. 따라서 이를 대상진동레벨이라고 부릅니다. 평가진동레벨은 대상진동레벨을 기반으로 대상의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오염물질과 그 제거 방법을 짝지은 것이다.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염화수소-수세법
  2. 질소산화물-전기집진기
  3. 부유먼지-사이클론
  4. 황산화물-흡수법
(정답률: 57%)
  • 질소산화물은 전기집진기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전기집진기는 고전압을 가한 전극과 저전압을 가한 전극 사이에 가해지는 전기장으로 오염된 입자들을 전극에 끌어당겨 제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질소산화물-전기집진기"가 연결이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체흡수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헨리의 법칙
  2. 물질전달
  3. 총괄계수
  4. 원심력
(정답률: 45%)
  • 기체흡수는 기체를 흡수하는 과정을 말하며, 이는 대부분 액체나 고체 상태에서 일어납니다. 따라서 기체흡수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원심력"입니다. 원심력은 회전하는 물체에서 발생하는 힘으로, 액체나 고체 상태에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폐기물을 압축처리하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소각효율증가
  2. 부피의 감소
  3. 운반비의 감소
  4. 매립지 수명연장
(정답률: 49%)
  • 정답: 소각효율증가

    설명: 폐기물을 압축처리하는 목적은 부피를 감소시켜 운반비를 줄이고 매립지 수명을 연장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소각효율증가는 폐기물을 소각할 때 더 많은 열을 발생시켜 폐기물을 더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소각효율증가는 다른 목적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국소 진동이 생겨 손가락 말초 혈관 순환 장애를 일으키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청색증
  2. 레이노드씨병
  3. 이타이이타이병
  4. 미나마타병
(정답률: 60%)
  • 손가락의 국소 진동으로 인해 혈관이 수축하고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는 질환을 레이노드씨병이라고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질환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폐수처리

16. 다음중 소음을 줄이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흡음닥트
  2. 밀폐상자
  3. 소음기
  4. 방진구
(정답률: 52%)
  • 방진구는 먼지나 기타 물질이나 액체가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한 장치이며, 소음을 줄이는 기능은 없습니다. 따라서 방진구는 소음을 줄이는 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기집진장치에서 방전극이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액가스비가 클것
  2. 진동이나 요동에 영향을 받지 않을것
  3. 부식에 강하고 기계적 강도가 클것
  4. 방전특성이 좋도록 가는 단면이나 날카로운 부분이 있을것
(정답률: 30%)
  • "액가스비가 클것"이 옳지 않은 이유는, 전기집진장치에서는 액가스비가 작을수록 좋습니다. 액가스비란, 전기방전이 일어날 때 생성되는 플라즈마가 확산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액가스비가 작을수록 플라즈마가 빠르게 확산되지 않아서, 전기방전이 안정적으로 일어나고 전기집진장치의 성능이 좋아집니다. 따라서, "액가스비가 클것"은 옳지 않은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물속에 녹아 있는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산화 시킬 때 소비되는 산화제의 양을 산소의 양으로 환산하여 mg/L로 나타낸 값은?

  1. DO
  2. SS
  3. COD
  4. BOD
(정답률: 44%)
  • COD는 물속에 녹아 있는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킬 때 소비되는 산화제의 양을 산소의 양으로 환산하여 mg/L로 나타낸 값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값과 일치하므로 정답은 COD입니다. DO는 용존산소량, SS는 부유물질, BOD는 생화학적산소요구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어느 동네에서 1주일간 쓰레기 수거상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인 1일 쓰레기발생량은?(kg/인.일)[ 수거대상인구: 400,000명, 수거용적: 9000m3 적재시 밀도: 0.6톤/m3)

  1. 1.63
  2. 1.83
  3. 1.93
  4. 2.17
(정답률: 38%)
  • 1주일간 수거용적은 9000m3 이므로, 1일 평균 수거용적은 9000m3/7일 = 1285.7m3 이다.

    수거용적과 밀도를 이용하여 1일 평균 쓰레기 발생량을 계산할 수 있다.

    1일 평균 쓰레기 발생량 = (1.0톤/1000kg) x (0.6톤/m3) x (1285.7m3) / (400,000명)

    = 0.00231425톤/인.일

    = 2.31425kg/인.일

    따라서, 1인 1일 쓰레기 발생량은 약 1.93kg/인.일 이다.

    정답은 "1.9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매립지 선정요건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지하수가 지표면에 인접한 지역
  2. 주변 토양의 복토재 활용 가능성
  3. 경제성 있는 매립 용지 확보 가능성
  4. 폐기물 수거 편리성 및 기존 도로의 확보 가능성
(정답률: 65%)
  • "지하수가 지표면에 인접한 지역"은 매립지로 적절하지 않은 요건입니다. 이는 지하수가 지표면에 인접한 지역에서는 지하수 오염의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폐기물이 지하수에 침투하여 오염되면 지하수를 이용하는 인구나 동식물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립지는 지하수가 인접하지 않은 지역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진동수가 100Hz이고 속도가 100m/sec인 파동의 파장은 몇 m 인가?

  1. 0.1
  2. 1
  3. 10
  4. 100
(정답률: 56%)
  • 파장 = 속도 ÷ 진동수 = 100 ÷ 100 = 1m
    따라서 정답은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폐수 처리시 염소 소독을 실시하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살균
  2. 냄새 제거
  3. BOD 제거
  4. 중금속 제거
(정답률: 51%)
  • 염소 소독은 주로 폐수에서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 실시됩니다. 반면, 중금속 제거는 폐수 처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금속은 인체에 해로운 물질로, 폐수 처리 후 배출되어 수질 오염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금속 제거는 환경 보호와 인체 건강을 위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부영양화를 주로 일으키는 영양물질은?

  1. Na, Ca
  2. N, P
  3. N, Ca
  4. P, Mg
(정답률: 7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오존층의 두께를 표시하는 단위는?

  1. ppm
  2. 프레온(freon)
  3. 돕슨(dobson)
  4. 링겔만 차트
(정답률: 80%)
  • 오존층의 두께를 표시하는 단위는 돕슨(dobson)입니다. 이는 오존의 농도를 나타내는 ppm과는 다른 개념으로, 돕슨은 오존의 농도와 압력을 고려하여 오존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이 단위는 오존층의 발견자인 G.M.B. 돕슨(G.M.B. Dobson)의 이름에서 따온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황함유량이 3%인 중유 10ton을 연소할 때 생성되는 SO2의 부피는?(단, 황은 모두 SO2로 전환된다)

  1. 32Sm3
  2. 140Sm3
  3. 210Sm3
  4. 300Sm3
(정답률: 47%)
  • SO2의 분자량은 64g/mol이다. 따라서 10ton(10,000kg)의 중유에서 생성되는 SO2의 몰수는 다음과 같다.

    10,000kg / 98g/mol = 102.04mol

    황함유량이 3%이므로 생성되는 SO2의 몰수는 다음과 같다.

    102.04mol x 0.03 = 3.06mol

    따라서 생성되는 SO2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

    3.06mol x 64g/mol = 195.84g

    SO2의 밀도는 2.926g/L이므로 생성되는 SO2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195.84g / 2.926g/L = 66.9L = 66.9Sm3

    따라서 정답은 "210Sm3"이 아닌 "66.9S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1차 집진을 축류식사이클론으로 하고, 2차 집진을 전기집진장치로 할 때 효율이 각각 50%, 95%이다. 총괄집진효율은?

  1. 70.5%
  2. 72.5%
  3. 87.5%
  4. 97.5%
(정답률: 30%)
  • 총괄집진효율은 1차 집진과 2차 집진의 효율을 곱한 값이므로, 0.5 x 0.95 = 0.475 (47.5%)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97.5%"이다. 이유는 1차 집진과 2차 집진의 효율이 각각 50%와 95%로 매우 높기 때문에, 두 과정을 조합하여 총괄집진을 수행하면 매우 효율적인 집진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유동상 소각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동매질의 손실로 인한 보충이 필요하다.
  2. 소각로 내부 온도의 자동제어로 열회수가 용이하다.
  3. 폐기물의 투입이나 유동화를 위해 파쇄가 필요하다.
  4. 기계적 구동 부분이 많아 고장율이 높다.
(정답률: 36%)
  • 유동상 소각로는 폐기물을 유동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파쇄가 필요하고, 내부 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열회수가 용이하며, 유동매질의 손실로 인해 보충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계적 구동 부분이 많아 고장율이 높다는 것은 소각로의 단점 중 하나이다. 이는 유지보수와 수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운영 중에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단백질이 호기성 조건에서 분해되는 과정에서 가장 안정된 형태로서 질소질 분해의 최종 생성물은 무엇인가?

  1. 질산성 질소
  2. 아질산성 질소
  3. 암모니아성 질소
  4. 알부미노이드성 질소
(정답률: 46%)
  • 단백질이 호기성 조건에서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최종 생성물은 질산성 질소입니다. 이는 단백질 분해 과정에서 아미노산이 질산으로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질산성 질소는 식물이나 미생물에게 직접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농작물의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질산성 질소는 농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분자식이 C3H8인 기체연료 1m3를 연소하는데 필요한 이론 공기량은 몇 m3/Sm3 인가? (단, 연소반응식은 C3H8+5O2 → 3CO2+4H20 이다.)

  1. 21.74
  2. 23.81
  3. 217.4
  4. 238.1
(정답률: 49%)
  • 연소반응식을 보면 C3H8 1몰이 연소할 때 5몰의 O2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1m3의 C3H8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5m3의 이론 공기가 필요합니다. 이론 공기란 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산소와 질소가 혼합된 공기를 말합니다. 따라서 답은 5m3/m3 = 5m3/Sm3 이 됩니다. 이 중에서 정답은 "23.81"인데, 이는 1m3의 C3H8를 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이론 공기량인 5m3/Sm3을 1/5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답은 5m3/Sm3 ÷ 5 = 1m3/Sm3 = 23.81m3/Sm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원심력 집진장치에서 집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유입가스속도 감소
  2. 블로우 다운 효과
  3. 고율 싸이클론 설치
  4. 멀티 싸이클론 설치
(정답률: 47%)
  • 원심력 집진장치에서 유입가스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집진효율을 감소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이는 유입가스속도가 감소하면 입구에서의 입자 운동량이 감소하고, 따라서 입자가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는 능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입가스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집진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고상폐기물은 고형물 함량이 몇 % 이상인가?

  1. 5
  2. 15
  3. 35
  4. 45
(정답률: 66%)
  • 고상폐기물은 고형물 함량이 15% 이상인 쓰레기를 말합니다. 이는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쓰레기의 대부분이 고형물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상폐기물은 고형물 함량이 15%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쓰레기를 압축시켜 용적감소율이 35% 인 경우 압축비는?

  1. 0.35
  2. 0.65
  3. 1.54
  4. 2.86
(정답률: 44%)
  • 압축비는 압축 후 용적을 압축 전 용적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압축비를 구하기 위해서는 용적 감소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압축비 = (1 - 용적 감소율) / 용적 감소율

    여기에 용적 감소율이 35% 이므로 0.35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압축비 = (1 - 0.35) / 0.35 = 0.65 / 0.35 = 1.54

    따라서 정답은 1.5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청력손실이 옥타브 밴드 중심주파수 500∼2,000 Hz에서 몇 dB 이상일 때 난청이라 하는가?

  1. 15
  2. 25
  3. 35
  4. 45
(정답률: 44%)
  • 청력손실이 25dB 이상일 때 난청이라고 합니다. 이는 인간의 청각에서 가장 중요한 주파수 대역인 500~2,000Hz에서 손실이 일어난 정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일상생활에서 소리를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범위에서 25dB 이상의 청력손실이 발생하면 난청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연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연소는 산화반응이다.
  2. 회분이 많은 연료는 발열량이 높다.
  3. 연료 중 수분이 많을 때에는 점화가 어렵다.
  4. 연료에 포함된 불연성 물질, 황 등으로 대기오염 물질이 발생된다.
(정답률: 61%)
  • "회분이 많은 연료는 발열량이 높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회분이 많은 연료는 발열량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회분이 많을수록 연료 내에 산소가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소 시 산소와 반응하여 발생하는 열의 양이 적어져 발열량이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대기오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기후 조건은?

  1. 우천
  2. 바람
  3. 기온 역전
  4. 기온 상승
(정답률: 58%)
  • 기온 역전은 대기 중의 온도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과 달리, 특정 고도에서 온도가 갑자기 하강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기후 조건에서는 대기 중의 오염물질이 상승한 고도에서 갇히게 되어 대기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기온 역전은 대기오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기후 조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폐기물처리

36. 소음 공해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축적성이 없다.
  2. 감각 공해이다.
  3. 주위의 진정이 많다.
  4. 대책 후에 처리할 물질이 발생한다.
(정답률: 60%)
  • 소음 공해의 특징 중 "대책 후에 처리할 물질이 발생한다."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소음 공해의 특징이 아니라 다른 종류의 공해에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소음 공해는 축적성이 없고 감각 공해이며, 주위의 진정이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대책 후에 처리할 물질이 발생하는 것은 소음 공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음의 주파수 범위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1∼20Hz
  2. 20∼20,000Hz
  3. 20∼20,000kHz
  4. 20∼20,000MHz
(정답률: 77%)
  •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음의 주파수 범위는 20∼20,000Hz입니다. 이는 인간의 청각기관이 이 범위의 진동수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20Hz는 너무 낮은 주파수로 인간의 청각기관으로는 인식할 수 없습니다. 20∼20,000kHz와 20∼20,000MHz는 너무 높은 주파수로 인간의 청각기관으로는 인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폐수처리의 단위 공법 중 기본 원리가 다른 것은?

  1. 중화
  2. 여과
  3. 침전
  4. 스크리닝
(정답률: 43%)
  • 중화는 폐수 중에 존재하는 산성 또는 알칼리성 물질을 중화시켜 pH를 조절하는 공법입니다. 다른 세 가지 공법은 폐수 중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걸러내거나 침전시켜서 처리하는 방법이지만, 중화는 폐수의 화학적 특성을 조절하여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중화는 다른 공법과 기본 원리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pH 3인 폐수를 중화처리할 때,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한 약품은?

  1. NaOH
  2. Ca(OH)2
  3. H2SO4
  4. Na2CO3
(정답률: 44%)
  • pH 3인 폐수를 중화시키기 위해서는 알칼리성 물질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NaOH, Ca(OH)2, Na2CO3은 모두 중화처리에 적절한 약품입니다. 하지만 H2SO4은 강산성 물질로, 폐수의 pH를 더 낮추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화처리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H2SO4은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한 약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유기물을 호기성 상태에서 처리할 경우 최종 생성물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CO2, H2O, NO3-N
  2. CO, NH3, H2S
  3. CH4, NH3, H2S
  4. CO, CO2, CH4
(정답률: 43%)
  • 유기물을 호기성 상태에서 처리하면 생물이 호흡하는 과정에서 CO2와 H2O가 생성되고, 질산화균이 질산염으로 분해하여 NO3-N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CO2, H2O, NO3-N이 최종 생성물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메탄(CH4) 1m3에 대하여 10.76m3의 공기를 사용하여 연소 하였다면 공기비는 얼마인가? (단, 공기중에서 산소의 부피백분율은 21%이다)

  1. 1.11
  2. 1.13
  3. 1.17
  4. 1.21
(정답률: 35%)
  • 메탄(CH4)과 공기가 반응하여 CO2와 H2O가 생성되는데, 이때 공기 중의 산소(O2)이 소모되게 된다. 따라서 공기비는 메탄과 산소의 몰비를 비교하면 된다.

    메탄 1 몰과 산소 2 몰이 반응하여 CO2와 H2O가 생성되므로, 메탄 1 몰에 대해 산소는 2 몰이 필요하다. 따라서 메탄 1m3에 대해 필요한 산소의 부피는 2m3이 된다.

    공기 중의 산소의 부피백분율이 21%이므로, 10.76m3의 공기 중에는 10.76 × 0.21 = 2.26m3의 산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비는 10.76m3 / (1m3 + 2.26m3) = 1.13이 된다.

    정답은 "1.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연료가 완전 연소되기 위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공기의 공급이 충분해야한다.
  2. 연료와 공기의 혼합이 잘 되어야 한다.
  3. 연소실에서 체류시간이 짧아야한다.
  4. 연소온도를 높게 유지해야한다.
(정답률: 84%)
  • 연소실에서 체류시간이 짧아야 하는 이유는 연소가 완전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연료와 공기가 충분한 시간 동안 혼합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소실에서 체류시간이 길어지면 연료와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지 못하고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용존산소를 측정할 때 적정용액으로 사용되는 것은?

  1. Na2S2O3 용액
  2. NaOH 용액
  3. H2SO4 용액
  4. K2Cr2O7 용액
(정답률: 22%)
  • Na2S2O3 용액은 산화제로 작용하여 산소와 반응하여 Na2SO4를 생성하므로, 적정 시 용액 내의 산소를 소비하여 산화제의 양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정용액으로 Na2S2O3 용액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생물학적 폐수처리 공정의 미생물에 의한 반응속도는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이를 잘 표현하는 식은?

  1. 이상기체(Ideal gas)식
  2. 스토크스(stokes)의 식
  3. 헤스(Hess)의 식
  4. 아레니우스(Arrhenius)식
(정답률: 23%)
  • 생물학적 폐수처리 공정에서 미생물에 의한 반응속도는 온도의 영향을 받는데, 이는 아레니우스(Arrhenius)식으로 표현된다. 이 식은 화학반응속도와 관련된 식으로, 반응속도 상수(k)는 온도(T)에 반비례하며, 활성화 에너지(Ea)와 관련된 지수함수로 표현된다. 이 식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반응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설명하며, 생물학적 폐수처리 공정에서도 온도가 높아질수록 미생물의 활동성이 증가하여 반응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아레니우스(Arrhenius)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대장균군이 수질오염의 지표로 이용되는 이유로 타당하지 않는 것은?

  1. 다른 세균들보다 독성이 강하다.
  2. 분뇨를 포함한 하수의 유입가능성이 있다.
  3. 다른 세균류에 비해 검사가 용이하다.
  4. 대장균군은 다른 세균보다 생존력이 강하다.
(정답률: 38%)
  • 대장균군이 수질오염의 지표로 이용되는 이유 중 "다른 세균들보다 독성이 강하다."는 타당하지 않은 이유입니다. 실제로 대장균은 다른 세균들보다 독성이 강한 편은 아닙니다. 대장균이 수질오염의 지표로 이용되는 이유는 다른 세균류에 비해 검사가 용이하고, 분뇨를 포함한 하수의 유입가능성이 있으며, 대장균군은 다른 세균보다 생존력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기 절연성과 난연성 및 열안정성 등이 우수하여 변압기, 콘덴서의 절연유 및 열매체 등으로 사용되었지만 발암성으로 알려져 있어 현재 제조가 금지된 물질은?

  1. CFC
  2. BHC
  3. BTX
  4. PCB
(정답률: 60%)
  • PCB는 발암성이 있어 건강에 해로운 물질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제조가 금지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물보다 비중이 작은 부유물이나 액체 입자를 폐수로부터 분리시키는 부상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공기 부상법
  2. 가압 부상법
  3. 진공 부상법
  4. 산화 부상법
(정답률: 47%)
  • 산화 부상법은 부상법의 종류가 아닙니다. 산화 부상법은 폐수 처리 과정에서 산화제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화 부상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급속 여과장치에 여과 수두손실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인자는?

  1. 모래층의 두께
  2. 여과 속도
  3. 물의 점도
  4. 여과 면적
(정답률: 38%)
  • 여과 면적은 여과장치 내에서 물이 흐르는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인자입니다. 여과 면적이 크면 물이 흐르는 공간이 넓어져서 여과 속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여과 면적이 크면 여과 속도가 줄어들어 여과 수두손실에 영향을 덜 주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표와 같은 성분과 함수율을 갖는 도시 쓰레기의 평균 함수율은?

  1. 40.4%
  2. 42.4%
  3. 45.7%
  4. 47.1%
(정답률: 4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폐기물의 관리요소 중 가장 많은 비용을 차지하는 것은?

  1. 파쇄
  2. 수거
  3. 적환
  4. 압축
(정답률: 70%)
  • 수거는 폐기물을 수집하고 운반하여 처리시설로 이동시키는 과정으로, 다른 요소들과 달리 인력과 차량 등의 비용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폐기물 관리에서 가장 많은 비용을 차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고형분 함유량이 5%인 폐수 1000kg을 증발 농축시켜 고형분함유량을 20%로 하려 한다면 제거 해야할 수분의 양은? (단, 비중은 1.0으로 한다)

  1. 550kg
  2. 650kg
  3. 750kg
  4. 850kg
(정답률: 47%)
  • 우선, 폐수 1000kg 중 고형분의 양은 5%이므로 50kg입니다.

    증발 농축을 통해 고형분 함유량을 20%로 하려면, 고형분의 양은 총 폐수의 20%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제거할 고형분의 양은 1000kg x 20% = 200kg입니다.

    제거할 고형분의 양이 200kg이므로, 증발 농축을 통해 제거할 수분의 양은 200kg / 0.95 = 210.53kg입니다.

    하지만, 제시된 보기에서는 단위가 50kg 단위로 되어 있으므로, 가장 근접한 값인 200kg에 가장 가까운 750kg이 정답입니다.

    따라서, 제거해야 할 수분의 양은 750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분뇨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처리 순서가 적절한 것은?

  1. 농축― 소화― 탈수― 매립
  2. 소화― 농축― 탈수― 매립
  3. 탈수― 농축― 소화― 매립
  4. 농축― 탈수― 소화― 매립
(정답률: 54%)
  • 농축 단계에서는 슬러지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물을 제거하고, 소화 단계에서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냄새를 제거합니다. 탈수 단계에서는 슬러지의 수분을 제거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매립 단계에서는 안정화된 슬러지를 지하에 매립하여 최종 처리합니다. 따라서, "농축― 소화― 탈수― 매립" 순서가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쓰레기를 소각할 때 소각효율이 낮은 원인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주입공기의 예열
  2. 적절한 공기비
  3. 쓰레기의 고른 파쇄
  4. 공기의 층류 흐름
(정답률: 59%)
  • 쓰레기를 소각할 때 공기의 층류 흐름이 원활하지 않으면 쓰레기가 고르게 연소되지 않고 일부분만 연소되어 소각효율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층류 흐름이 원활하지 않으면 쓰레기가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연소되기 때문에 일부분은 연소되지 않고 남아있게 되어 소각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의 보기의 (가)와 (나)에 해당하는 숫자로 만 조합된 것은?

  1. 1, 3
  2. 2, 5
  3. 3, 5
  4. 5, 7
(정답률: 38%)
  • 주어진 그림에서 (가)와 (나)에 해당하는 숫자는 각각 2와 5입니다. 이유는 (가)와 (나)를 연결하는 선분이 다른 선분들과 교차하지 않고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와 5를 조합하여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대기오염물질중 입자상 물질의 농도단위표시로 사용되는 것은?

  1. ㎎/m3
  2. mL/m3
  3. ㎕/m3
  4. mL/L
(정답률: 41%)
  • 대기오염물질중 입자상 물질의 농도는 공기 중에 있는 입자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입자의 질량을 공기의 부피로 나눈 "㎎/m3" 단위가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mL/m3", "㎕/m3", "mL/L"은 모두 부피 단위를 사용하므로 입자의 양을 나타내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음 진동학

56. 활성 슬러지(activated sludge)란?

  1. 포기조내에서 자란 갈색의 미생물
  2. 침사지에서 제거된 고형물
  3. 침사지에서 침전된 물질
  4. 소화조내의 슬러지
(정답률: 34%)
  • 활성 슬러지는 폐수처리 과정에서 생물학적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미생물 군집입니다. 이 미생물은 포기조 내에서 자란 갈색의 미생물로, 폐수 속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포기조내에서 자란 갈색의 미생물"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A침전지의 하수 처리 능력은 6,000m3/day이다. 유입 하수의 SS농도가 300㎎/L, 유출수의 SS농도가 200㎎/L일 때, 이 침전지의 SS제거율(%)은?

  1. 23
  2. 33
  3. 53
  4. 73
(정답률: 49%)
  • SS제거율(%) = (유입SS농도 - 유출SS농도) / 유입SS농도 x 100

    유입SS농도 = 300㎎/L, 유출SS농도 = 200㎎/L 이므로,

    SS제거율(%) = (300 - 200) / 300 x 100 = 33.33...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3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물의 용존산소(DO) 농도는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

  1. 온도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2. 감소한다.
  3. 증가한다.
  4. 수질에 따라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한다.
(정답률: 46%)
  • 물의 용존산소(DO) 농도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물 분자들이 서로 가까워져서 산소 분자들이 물 분자들과 충돌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귀의 구조별 역할 중 균형작용을 하는 곳은?

  1. 고막
  2. 유스타키오관
  3. 세반고리관
  4. 외이
(정답률: 28%)
  • 세반고리관은 내부에 있는 액체와 세포들이 머리의 자세와 움직임을 감지하여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머리를 흔들거나 움직일 때도 균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반고리관은 균형작용을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56[dB], 52[dB], 61[dB]의 세음원의 합은 몇 [dB]인가?

  1. 54
  2. 60
  3. 63
  4. 67
(정답률: 36%)
  • 세음원의 합은 dB에서는 로그함수를 사용하여 계산합니다. 로그함수에서는 곱셈이 덧셈으로 변환되므로, 세음원의 합은 각 세음원의 dB 값을 더한 후, 다시 로그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따라서, 56[dB], 52[dB], 61[dB]의 세음원의 합은 다음과 같습니다.

    10log10(10^(56/10) + 10^(52/10) + 10^(61/10)) ≈ 63[dB]

    즉, 56[dB], 52[dB], 61[dB]의 세음원의 합은 약 63[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