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1-18)

환경기능사
(2009-01-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대기오염방지

1. 다음 중 2차 대기오염물질이 아닌 것은?

  1. O3
  2. H2O2
  3. NH3
  4. PAN
(정답률: 68%)
  • NH3은 2차 대기오염물질이 아닙니다. 2차 대기오염물질은 대기 중에 이미 존재하는 다른 오염물질들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오염물질을 말하는데, NH3은 직접적으로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암모니아로, 1차 대기오염물질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NH3은 2차 대기오염물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황성분이 1.8%인 중유를 10ton/hr로 연소하는 보일러에서 배기가스 중의 SO2를 CaCO3로 완전히 처리하는 경우에 이론상 필요한 CaCO3의 양은? (단, 중유 중의 S성분은 모두 SO2로 생성된다고 가정하며, Ca의 원자량은 40 이다.)

  1. 0.45 ton/hr
  2. 0.50 ton/hr
  3. 0.56 ton/hr
  4. 0.68 ton/hr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산성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독일에서 발생한 슈바르츠발트(검은 숲이란 뜻)의 고사 현상은 산성비에 의한 대표적인 피해이다.
  2. 바젤협약은 산성비 방지를 위한 대표적인 국제협약이다.
  3. 산성비에 의한 피해로는 파르테논 신전과 아크로폴리스 같은유적의 부식등이 있다.
  4. 산성비의 원인물질로 H2SO4, HCl, HNO3
(정답률: 8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로스엔젤레스형 스모그와 관련이 먼 것은?

  1. 광화학반응으로 발생한다.
  2. 기온이 21℃ 이상이고, 상대습도가 70% 이하일 때 잘 발생한다.
  3. 주오염원인은 자동차이다.
  4. 주로 새벽이나 초저녁 때 자주 발생한다.
(정답률: 70%)
  • "주로 새벽이나 초저녁 때 자주 발생한다."는 기상 조건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기온이 21℃ 이상이고, 상대습도가 70% 이하일 때 잘 발생한다."가 맞는 선택지입니다. 로스엔젤레스형 스모그는 이러한 기상 조건에서 오염물질이 농축되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공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유속을 피토우관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더니 동압이 5mmH2O이었다. 이 굴뚝 배출가스의 유속은? (단, 피토우관 계수는 0.89, 굴뚝내의 습한 배출가스의 밀도는 1.3kg/m3이다.)

  1. 6.34m/s
  2. 6.85m/s
  3. 7.38m/s
  4. 7.73m/s
(정답률: 2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여과집진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350℃ 이상의 고온의 가수처리에 적합하다.
  2. 여과포의 종류와 상관없이 가스상 물질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3. 압력손실이 약 20mmH2O 전후이며, 다른 집진장치에 비해 설치면적이 작고, 폭발성 먼지제거에 효과적이다.
  4. 집진원리는 직접 차단, 관성 충돌, 확산 등의 형태로 먼지를 포집한다.
(정답률: 53%)
  • "집진원리는 직접 차단, 관성 충돌, 확산 등의 형태로 먼지를 포집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여과집진장치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이며, 먼지가 여과포를 통과하면서 차단되거나 충돌하거나 확산되어 붙잡히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중력 집진장치의 집진효율 향상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침강실 내의 배기가스 기류는 균일해야 한다,
  2. 침강실 처리가스 속도가 작을수록 미립자가 포집된다.
  3. 침강실의 높이가 높고, 길이가 짧을수록 집진효율이 높아진다.
  4. 침강실 입구폭이 클수록 유속이 느려지며, 미세한 입자가 포집된다.
(정답률: 75%)
  • "침강실의 높이가 높고, 길이가 짧을수록 집진효율이 높아진다."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침강실 내의 기류가 느려지면 미립자가 침강하여 효율적으로 분리되기 때문입니다. 높이가 높고 길이가 짧을수록 기류가 느려지므로 미립자가 포집되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열대 태평양 남미 해안으로부터 중태평양에 이르는 넓은 범위에서 해수면의 온도가 평균보다 0.5℃ 이상 높은 상태가 6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으로 스페인어로 아기예수를 의미하는 것은?

  1. 라니냐현상
  2. 업웰링현상
  3. 뢴트겐현상
  4. 엘니뇨현상
(정답률: 87%)
  • 해수면의 온도가 평균보다 0.5℃ 이상 높은 상태가 6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은 엘니뇨현상이다. 이는 태평양의 열대 지역에서 일어나는 기상 현상으로, 태평양의 수온과 바람의 방향이 변화하여 온난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가 일어나며, 폭염, 가뭄, 홍수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전기집진장치에서 먼지의 전기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SO3 주입
  2. 수증기 주입
  3. NaCl 주입
  4. 암모니아가스 주입
(정답률: 50%)
  • 암모니아가스는 먼지 입자와 반응하여 전기적으로 중성화되어 전기저항을 낮추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집진장치에서 먼지의 전기저항을 낮추기 위해 암모니아가스를 주입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흡수공정으로 유해가스를 처리할 때, 흡수액이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해도가 커야 한다.
  2. 점성이 작아야 한다.
  3. 휘발성이 커야 한다.
  4. 용매의 화학적 성질과 비슷해야 한다.
(정답률: 75%)
  • 흡수액이 갖추어야 할 조건 중 옳지 않은 것은 "휘발성이 커야 한다." 입니다. 이유는 흡수액이 휘발성이 높을수록, 처리된 유해가스가 다시 대기 중으로 방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흡수액은 유해가스를 흡수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용해도가 높고, 점성이 작으며, 용매의 화학적 성질과 유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LNG의 주성분은?

  1. CO
  2. C2H2
  3. CH4
  4. C3H8
(정답률: 68%)
  • LNG은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의 약자로,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운반하는 연료입니다. 천연가스의 주성분은 메탄(CH4)이며, LNG 역시 메탄이 주성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H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탄소 18kg이 완전연소하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Sm3)은?

  1. 107
  2. 160
  3. 203
  4. 208
(정답률: 63%)
  • 탄소(C)의 분자량은 12g/mol이고, 이를 18kg으로 환산하면 1500mol이 된다. 이론적으로 탄소 1몰이 연소할 때 소비되는 공기량은 1몰에 대해 1:3의 비율로 소비되므로, 1500mol의 탄소가 연소하기 위해서는 4500mol의 공기가 필요하다. 이를 Sm3으로 환산하면 16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이클론의 효율향상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배기관경(내경)이 클수록 입경이 작은 먼지를 제거할수 있다.
  2. 입구의 한계유속내에서는 그 입구유속이 작을수록 효율이 높다.
  3. 고농도일 경우 직렬연결하여 사용하고, 응집성이 강한 먼지는 병렬연결하여 사용한다.
  4. 미세 먼지의 재비산 방지를 위해 스키머와 회전깃 등을 설치한다.
(정답률: 40%)
  • 미세 먼지는 입구 유속이 작아야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스키머와 회전깃 등을 설치하여 입구 유속을 줄이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는 미세 먼지의 재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대기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류권에서는 고도 1km 상승에 따라 약 90.℃ 높아진다.
  2. 대류권의 높이는 계절이나 위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3. 성층권에서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온이 내려간다.
  4. 성층권에는 지상 20~30km 사이에 오존층이 존재한다.
(정답률: 74%)
  • 성층권에는 지상 20~30km 사이에 오존층이 존재한다. - 이유: 오존층은 자외선을 흡수하여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양을 줄이기 때문에 인간과 동식물의 건강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유해가스를 흡수액에 흡수시켜 제거하려고 한다. 흡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액 접촉시간 및 접촉면적
  2. 흡수액에 대한 유해가스의용해도
  3. 유해가스의 분압
  4. 동반가스(carrier gas)의 활성도
(정답률: 44%)
  • 동반가스(carrier gas)의 활성도는 흡수액과 유해가스 사이의 질량전달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흡수 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동반가스의 활성도가 높을수록 흡수 효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반면에 기-액 접촉시간 및 접촉면적, 흡수액에 대한 유해가스의 용해도, 유해가스의 분압은 모두 흡수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만, 동반가스의 활성도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인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폐수처리

16.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상 유리섬유 거름종이법에 의한 부유물질(SS) 시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정량범위는 5mg 이상이다.
  2. 105~110℃ 건조가 안에서 6시간 건조시킨 후 무게를 정밀히 단다.
  3. 입경이 큰 고형물을 함유한 시료는 세게 흔들어 섞은 다음 2mm의 체를 통과한 시료를 가지고 실험한다,
  4. 사용한 여과기의 하부여과재는 중크롬산 황산용액에 넣어 침전물을 녹인 다음 정제수로 씻어 사용한다.
(정답률: 43%)
  • 입경이 큰 고형물을 함유한 시료는 세게 흔들어 섞은 다음 2mm의 체를 통과한 시료를 가지고 실험한다. (이유: 입경이 큰 고형물은 거름종이에 막히거나 여과기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제거해야 하며, 2mm의 체를 통과한 시료를 사용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심이 4m아고, 체류시간이 3시간인 장방형 침전지의 수면적 부하는?

  1. 32m3/m2·일
  2. 30m3/m2·일
  3. 28m3/m2·일
  4. 26m3/m2·일
(정답률: 39%)
  • 장방형 침전지의 수면적 부는 수심과 체류시간에 비례하므로, 수면적 부는 4m x 3시간 = 12m2입니다. 따라서, 수면적 부당 체류수용량은 32m3/m2·일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염소주입에 의하여 폐수 중의 질소화합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물질은 무엇인가?

  1. 유리잔류질소
  2. 액체질소
  3. 트리할로메탄
  4. 클로라민
(정답률: 73%)
  • 염소주입에 의해 폐수 중의 질소화합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물질은 클로라민입니다. 이는 염소와 암모니아 또는 암모늄 이온이 반응하여 생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클로라민이 생성됩니다. 클로라민은 살균제로 사용되며, 폐수 처리 과정에서 물질의 분해와 함께 생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경도(Hardness)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O42-, NO3-, Cl-와 화합물을 이루고 있을 때 나타나는 경도를 영구경도라고 한다.
  2. 경도가 높은 물은 관로의 통수저항을 감소시켜 공업용수(섬유제지 등)로 적합하다.
  3. 탄산경도는 일시경도라고 한다.
  4. Na+은 경도를 유발하는 이온은 아니지만 그농도가 높을 때 경도와 비슷한 작용을 하므로 유사경도라 한다.
(정답률: 58%)
  • "경도가 높은 물은 관로의 통수저항을 감소시켜 공업용수(섬유제지 등)로 적합하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Formaldehyde(CH2O)의 완전산화 시 ThOD/TOC의 비는?

  1. 1.92
  2. 2.67
  3. 3.31
  4. 4
(정답률: 37%)
  • Formaldehyde(CH2O)의 분자식을 보면, 탄소(C)가 1개, 수소(H)가 2개, 산소(O)가 1개 있습니다. 따라서, Formaldehyde(CH2O)의 분자량은 30 g/mol 입니다.

    Formaldehyde(CH2O)가 완전 연소될 때, 다음과 같은 반응식이 일어납니다.

    CH2O + 1.5O2 → CO2 + H2O

    이 반응식에서, Formaldehyde(CH2O) 1 몰이 완전 연소될 때 생성되는 CO2와 H2O의 몰 비는 1:1.5 입니다. 따라서, ThOD/TOC의 비는 1:1.5 입니다.

    하지만, Formaldehyde(CH2O)는 일반적으로 물질의 산화에 의해 분해되는데, 이 때 생성되는 CO2와 H2O의 몰 비는 1:1 입니다. 따라서, ThOD/TOC의 비는 1:1 입니다.

    따라서, ThOD/TOC의 비는 1:1.5 또는 1:1 중 하나가 됩니다. 이 중에서, 보기에서 주어진 답 "2.67"은 ThOD/TOC의 비가 1:1.5일 때의 값입니다. 이 값은 CO2와 H2O의 몰 비가 1:1일 때의 값인 2보다 크기 때문에, Formaldehyde(CH2O)의 ThOD/TOC의 비는 2.67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활성슬러지공법에서 포기조내 SVI(Sludge Volumme Index)가 적정 값보다 높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슬러지의 밀도가 증가 한다.
  2. 슬러지 벌킹의 우려가 있다.
  3. 슬러지내 휘발성분이 감소한다.
  4. 슬러지는 아주 빨리 침강한다.
(정답률: 77%)
  • 활성슬러지공법에서 포기조내 SVI가 적정 값보다 높을 때는 슬러지의 침전속도가 느려지고, 슬러지가 더욱 밀도가 높아져서 슬러지 벌킹의 우려가 있다. 슬러지 벌킹은 슬러지 내부에서 덩어리가 형성되어 침전속도가 더욱 느려지고, 슬러지의 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일으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최초유입폐수의 BOD는 250mg/L, 살수여상의 BOD 용적부하는 0.2kg/m3·day일 때, 유효깊이가 3m인 살수여상의 표면 부하율은? (단, 살수여상 유집전의 1차 침전지의 BOD 처리효율은 20% 이다.)

  1. 3m/day
  2. 4m/day
  3. 5m/day
  4. 6m/day
(정답률: 28%)
  • 유효깊이가 3m인 살수여상의 용적은 1m2당 3m이므로, 전체 용적은 1m2×3m = 3m3이다.

    1일 동안 처리할 수 있는 BOD 용적부하는 0.2kg/m3·day이므로, 전체 용적에 대한 처리량은 3m3×0.2kg/m3·day = 0.6kg/day이다.

    1차 침전지의 처리효율이 20%이므로, 최초유입폐수의 BOD는 250mg/L에서 80% 감소한 50mg/L이 된다.

    따라서, 1일 동안 처리해야 할 BOD 양은 3m2×50mg/L×1000L/m3 = 150g이다.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최대 부하율은 0.6kg/day ÷ 0.15kg/day = 4이므로, 표면 부하율이 3m/day인 것은 처리량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일반적으로 약품교반시험(Jar-test)에 관한 설명 중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① 1~5분 정도 100rpm, ② 10~15분간 40~50rpm
  2. ① 1시간 정도 40~50rpm, ② 1~5분 정도 600rpm
  3. ① 1~5분 정도 1200rpm, ② 1시간 정도 5000rpm
  4. ① 1시간 정도 150rpm, ②1~5분 정도 1200rpm
(정답률: 55%)
  • 약품교반시험(Jar-test)은 물 속에 혼합물을 넣고 회전시켜서 혼합물의 침전물을 분리하는 실험입니다. 이 때, 회전 속도와 시간은 실험의 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정됩니다.

    ① 1~5분 정도 100rpm: 초기에는 높은 속도로 회전하여 혼합물을 빠르게 혼합합니다.

    ② 10~15분간 40~50rpm: 이후에는 속도를 낮추어서 침전물이 분리되도록 합니다. 이 때, 속도와 시간은 실험자의 판단에 따라 조절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① 1~5분 정도 100rpm, ② 10~15분간 40~50rpm이 가장 적합한 회전 속도와 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활성슬러지공법에 있어서 MLSS의 설명을 가장 적합하게 표현한 것은?

  1. 최종 방류수 중의 부유물질
  2. 포기조 혼합액 중의 부유물질
  3. 최조 유입수 중의 부유물질
  4. 탈수 슬러지 중의 부유물질
(정답률: 75%)
  • 활성슬러지공법에서 MLSS는 Mixed Liquor Suspended Solids의 약자로, 포기조 혼합액 중의 부유물질을 의미합니다. 이는 처리과정에서 생물이 분해하고 제거해야 할 유기물과 같은 오염물질이 포함된 물의 혼합물에서 생물이 분해하고 제거하는데 필요한 미생물이 함유된 혼합액을 말합니다. 따라서 MLSS는 처리과정에서 생물이 활동할 수 있는 적정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침전지 유입부에 설치하는 정류판(baffle)의 기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침전지 유입수의 균일한 분배와 분포
  2. 침전지내의 침사물 수집
  3. 바람을 막아 표면난류 방지
  4. 침전 슬러지의 재부상 방지
(정답률: 70%)
  • 침전지 유입부에 설치하는 정류판(baffle)은 침전지 내부의 유동성을 조절하여 침전지 유입수의 균일한 분배와 분포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침전지 내부의 침사물 수집, 바람을 막아 표면난류 방지, 침전 슬러지의 재부상 방지와도 관련이 있지만, 침전지 유입수의 균일한 분배와 분포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입니다. 이는 침전지 내부의 유동성을 조절하여 침전지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물의 깊이에 따라 나타나는 수온성층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수온약층
  2. 표수층
  3. 변수층
  4. 심수층
(정답률: 75%)
  • 변수층은 물의 깊이에 따라 수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층으로, 수온성층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바람이나 조류 등의 영향을 받아 물의 상하층이 섞이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수온성층과는 달리 수온이 일정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다른 살균방법에 비해 염소살균을 더 선호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특정온도에서의 반응성 증가
  2. 부반응의 억제
  3. 잔류염소의 효과
  4. 인체에 대한 면역성 증가
(정답률: 83%)
  • 잔류염소는 살균 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물 속에 남아있어 추가적인 살균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살균 방법에 비해 더 선호됩니다. 이를 잔류염소의 효과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은 미생물의 성장단계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내생호흡기
  2. 지체기
  3. 감소성장기
  4. 대수성장기
(정답률: 61%)
  • 이미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지체기는 세포 분열이 거의 없는 단계로, 미생물의 생장 속도가 매우 느려지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지체"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회전 원판식 생물학적 처리시설로 유량 1000m3/day, BOD200mg/L 로 유입될 경우 , BOD부하 (g/m2·day)는? (단, 회전판의 지름은 3m, 300매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께는 무시하며, 양면을 기준으로 한다.)

  1. 29.4
  2. 47.2
  3. 94.3
  4. 107.6
(정답률: 39%)
  • 회전 원판식 생물학적 처리시설에서 BOD부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BOD부하 = (유입 BOD 농도 - 처리 후 BOD 농도) × 유입 유량 ÷ 회전판 표면적

    회전판의 지름이 3m 이므로 반지름은 1.5m 입니다. 따라서 회전판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회전판 면적 = π × 반지름2 × 2 = 3.14 × 1.52 × 2 = 14.13 m2

    유입 BOD 농도는 200mg/L 이므로, 유입 BOD 부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유입 BOD 부하 = 유입 BOD 농도 × 유입 유량 ÷ 회전판 표면적 = 200 × 1000 ÷ 14.13 = 14152.6 g/m2·day

    하지만, 생물학적 처리 후 BOD 농도는 일반적으로 20mg/L 이하로 감소합니다. 따라서 처리 후 BOD 부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처리 후 BOD 부하 = 20 × 1000 ÷ 14.13 = 1419.1 g/m2·day

    따라서, BOD 부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BOD 부하 = (유입 BOD 농도 - 처리 후 BOD 농도) × 유입 유량 ÷ 회전판 표면적 = (200 - 20) × 1000 ÷ 14.13 = 14152.6 - 1419.1 = 12733.5 g/m2·day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2733.5 g/m2·day 은 12730 g/m2·day 이고, 이를 1000 으로 나누면 12.73 g/m2·day 입니다. 이를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2.73 g/m2·day 은 12.7 g/m2·day 이고, 이를 100 으로 나누면 0.127 g/m2·day 입니다. 이를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127 g/m2·day 은 0.1 g/m2·day 이고, 이를 100 으로 나누면 0.001 g/m2·day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7.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호기성 소화방식에 관한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산화분해에 의해 혐기성소화보다 악취가 적은 편이다.
  2. 포기로 인하여 동력비가 많이 든다.
  3. 소화속도가 혐기성에 비해 누린 편이며, 효율은 온도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4. 생성된 슬러지의 탈수성리 나쁜 편이다.
(정답률: 59%)
  • "생성된 슬러지의 탈수성이 나쁜 편이다"는 호기성 소화방식의 특성과는 거리가 먼 특성입니다. 호기성 소화방식은 산화분해에 의해 악취가 적은 편이며, 포기로 인해 동력비가 많이 들지만 소화속도가 혐기성에 비해 빠르고, 온도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한 효율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임호프콘(Inhoff cone)이 측정하는 항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기음성도
  2. 분원성대장균군
  3. pH
  4. 침전물질
(정답률: 60%)
  • 임호프콘은 침전물질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물 속에 존재하는 불순물이나 미생물 등이 침전하여 물의 탁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물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산성폐수의 중화제로서 값이 저렴하여 널리 이용되지만 용해속도가 느리고 중화반응 시 슬러지가많이 발생하는 것은?

  1. NaOH
  2. Na2Co3
  3. Ca(OH)2
  4. KOH
(정답률: 48%)
  • Ca(OH)2는 값이 저렴하면서도 강한 알칼리성을 가지고 있어서 산성폐수를 효과적으로 중화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용해속도가 느리고 중화반응 시 슬러지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스토크스 법칙에 따라 침전하는 구형입자의 침전속도는 입자직경(d)과 어떤 관게가 있는가?

  1. d1/2에 비례
  2. d 에 비례
  3. d 에 반비례
  4. d2 에 비례
(정답률: 76%)
  • 스토크스 법칙에 따르면, 구형입자의 침전속도는 입자의 반지름(r), 용액의 점성도(η), 그리고 입자와 용액의 밀도 차이(Δρ)에 비례한다. 입자직경(d)는 반지름(r)의 두 배이므로, 침전속도는 d2 에 비례한다. 이는 입자의 표면적이 직경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자직경이 작을수록 침전속도가 느리고, 입자직경이 클수록 침전속도가 빠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물에 주입된 염소의 약 23%는 HOCl로, 77%는 해리된 OCl-로 존재하는 pH의 개략값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pH 3
  2. pH 5
  3. pH 8
  4. pH 11
(정답률: 43%)
  • HOCl과 OCl-의 상대적인 양은 pH에 따라 달라지며, pH가 증가할수록 OCl-의 비율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pH 8은 HOCl과 OCl-의 비율이 약 1:4로 가장 근접한 값이므로 가장 적합한 값입니다. pH 3과 pH 5는 너무 산성이고, pH 11은 너무 염기성이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중의 용존산소의 양은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가?

  1. 감소한다.
  2. 증가한다.
  3. 변화없다.
  4. 증가 후 감소한다.
(정답률: 61%)
  • 수온이 상승하면 수분자들의 운동이 활발해지고, 이로 인해 수분자들이 산소 분자를 덜 흡수하게 됩니다. 따라서 수온이 상승하면 수중의 용존산소의 양은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폐기물처리

36. RDF(Refuse Derived Fuel)의 구비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열함량이 높고 동시에 수분함량이 낮아야 한다.
  2. 염소 함량이 높아야 한다,
  3. 미생물 분해가 가능하며, 재의 함량이 높아야 한다.
  4. 균질성이어야 한다.
(정답률: 60%)
  • RDF는 쓰레기를 연소시켜 발전 등에 활용하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데, 이때 미생물 분해가 가능하며 재의 함량이 높아야 하는 이유는 쓰레기를 분해하여 발생하는 가스 등의 부산물이 발전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재의 함량이 높을수록 연소 시 발생하는 열의 양이 많아지므로 RDF의 열량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폐기물의 퇴비화 공정에서 발생된 생성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NO3-
  2. CO2
  3. O3
  4. H2O
(정답률: 63%)
  • 폐기물의 퇴비화 공정에서 발생된 생성물은 대부분 물(H2O)과 이산화탄소(CO2)입니다. 이들은 공정에서 발생한 생물학적 반응의 결과물이며, 처리 후에는 대기 중에서도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들입니다. 반면, 오존(O3)은 대기 오염물질로 분류되며, 인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폐기물의 퇴비화 공정에서 발생된 생성물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O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폐기물을 관거 (Pipe-line)를 이용하여 수거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폐기물 발생빈도가 높은 곳이 경제적이다.
  2. 잘못 투입된 물건은 회수하기 곤란하다.
  3. 5km 이상의 장거리 수공에 경제적이다.
  4. 큰 폐기물은 전처리하여야 한다.
(정답률: 66%)
  • 5km 이상의 장거리 수공을 설치하는 비용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를 경제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양의 폐기물을 수거해야 합니다. 따라서 폐기물 발생빈도가 높은 곳에서 수거하는 것이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인구 300,000명의 도시에서 평균 1.5kg/인·일의 율로 쓰레기가 배출된다면 이 도시의 총 쓰레기 배출량은? ( 단, 쓰레기의 밀도는 400kg/m3 이다.)

  1. 1100 m3/일
  2. 1125 m3/일
  3. 1200 m3/일
  4. 1250 m3/일
(정답률: 56%)
  • 인구 1인당 하루 평균 쓰레기 배출량은 1.5kg 이므로, 300,000명의 인구가 있는 도시에서 하루에 총 쓰레기 배출량은 다음과 같다.

    300,000명 × 1.5kg/인·일 = 450,000kg/일

    쓰레기의 밀도는 400kg/m3 이므로, 총 쓰레기 배출량을 부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450,000kg/일 ÷ 400kg/m3 = 1125 m3/일

    따라서, 정답은 "1125 m3/일"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쓰레기 소각능력이 100kg/m2·hr 이고, 소각할 쓰레기의양이 5100kg/day 이다. 하루 8시간 소각로를 운전한다면 화격자의 면적(m2)은?

  1. 10.90
  2. 9.38
  3. 6.38
  4. 5.69
(정답률: 48%)
  • 일일 소각량은 5100kg 이므로, 시간당 소각량은 5100kg / 24시간 / 8시간 = 26.56kg/hr 입니다.

    쓰레기 소각능력이 100kg/m2·hr 이므로, 화격자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26.56kg/hr ÷ 100kg/m2·hr = 0.2656m2/hr

    하루 8시간 운전하므로, 하루 동안의 화격자 면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0.2656m2/hr × 8시간 × 24시간 = 51.2m2

    따라서, 화격자의 면적은 약 6.38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폐기물 선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영구자석을 이용한 선별방법은 별다른 동력이 소요되지 않으나 주입되는 폐기물의 양이 적어야 한다.
  2. 스크린 선별방법은 주로 큰 페기물로부터 후속 처리 장치를 보호하거나 재료회수를 위해 많이 사용한다,
  3. 스크린 선별방식 중 골재분리에는 회전식이 , 도시 폐기물선별에는 진동식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4. 관성 선별방법은 중력이나 탄도학을 이용한 벙법이다.
(정답률: 56%)
  • "스크린 선별방식 중 골재분리에는 회전식이, 도시 폐기물선별에는 진동식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스크린 선별방식 중 골재분리에는 진동식이, 도시 폐기물선별에는 회전식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유는 골재분리는 작은 입자를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진동식이 더 효과적이며, 도시 폐기물은 큰 입자를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회전식이 더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폐기물의 감량화 방안 중 폐기물이 발생원에서 발생되지 않도록 사전에 조치하는 발생원 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적정 저장량 관리
  2. 과대포장 사용안하기
  3. 철저한 분리수서 실시
  4. 폐기물로부터 회수에너지 이용
(정답률: 74%)
  • 폐기물로부터 회수에너지 이용은 이미 발생한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대책을 마련하여 감량화하는 방안입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방안은 이미 발생한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안이지만, 회수에너지 이용은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대책을 마련하는 방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정폐기물의 정의 및 그 특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생활폐기물 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을 의미한다,
  2. 유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3. 2차 혹은 3차 환경오염의 유발 가능성이 있다.
  4. 일반적으로 고도의 처리기술이 요구된다.
(정답률: 61%)
  • "생활폐기물 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을 의미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지정폐기물은 생활폐기물 뿐만 아니라 산업폐기물, 의료폐기물 등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을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옥탄(C8 H18d1/2)연료의 이론적 완전연소 시 부피기준의 AFR(moles air/mple fuel)은?

  1. 12.5
  2. 41.5
  3. 59.5
  4. 74.5
(정답률: 44%)
  • 옥탄(C8 H18d1/2)의 분자량은 약 114.23 g/mol입니다. 이론적 완전연소 시, 옥탄 1 몰에 대해 산소 12.5 몰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부피기준 AFR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1 mol 옥탄 = 114.23 g
    12.5 mol 산소 = 12.5 x 32 g = 400 g

    1 mol 옥탄에 대해 필요한 산소의 질량은 400 g입니다. 이를 부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mol 산소 = 22.4 L
    400 g 산소 = (400/32) mol = 12.5 mol
    12.5 mol 산소 = 12.5 x 22.4 L = 280 L

    따라서, 1 mol 옥탄을 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의 부피는 280 L입니다. 이를 부피기준 AFR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AFR = (공기 몰수/연료 몰수) x (연료 부피/공기 부피)
    = (12.5/1) x (1/22.4)
    = 0.558
    = 59.5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옥탄(C8 H18d1/2) 연료의 이론적 완전연소 시 부피기준 AFR은 59.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폐기물 수거 노선을 결정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교통량이 적은 새벽에 수거한다.
  2. 언덕지역은 아래로 내려가면서 수거한다.
  3. 발생량이 적은 곳은 먼저 수거한다.
  4. 될 수 있는 한 한번 간곳은 다시 가지 않는다.
(정답률: 82%)
  • 발생량이 적은 곳은 먼저 수거하는 이유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서입니다. 발생량이 적은 곳은 수거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인력, 차량 등의 비용이 적기 때문에 먼저 수거하면 전체적인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발생량이 적은 곳을 먼저 수거하면 쓰레기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 문제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압축비 1.67로 쓰레기를 압축하였다면 압축 전과 압축 후의 체적 감소율은 몇 % 인가? (단, 압축비 Vi / Vf 이다.)

  1. 약 20%
  2. 약 40%
  3. 약 60%
  4. 약 80%
(정답률: 37%)
  • 압축비 1.67은 압축 후의 체적이 압축 전의 체적의 1/1.67배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압축 전의 체적이 1이라고 가정하면 압축 후의 체적은 1/1.67이 됩니다. 이는 약 0.60입니다. 따라서 체적 감소율은 1-0.60 = 0.40, 즉 약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폐기물 분석 시료를 얻기 위한 시료의 축소방법 중 다음 보기에 해당하는 것은?

  1. 균일법
  2. 구획법
  3. 교호삽법
  4. 원추사분법
(정답률: 56%)
  • 구획법은 시료를 일정한 크기의 구획으로 나누어 일부만을 취하여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료를 축소할 때 전체적인 특성을 잘 반영하면서도 분석에 필요한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물 분석 시료를 얻기 위한 축소방법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폐기물공정시험기준(방법)상 폐기물의 강열감량 및 유기물 함량을 측적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기구로만 옳게 묶여진 것은?

  1. (ㄱ), (ㄴ), (ㅂ)
  2. (ㄱ), (ㄹ), (ㅂ)
  3. (ㄴ), (ㄹ), (ㅁ)
  4. (ㄱ), (ㄷ), (ㅁ)
(정답률: 60%)
  • (ㄱ) : 강열감량 측정에 사용되는 기구는 열분해로 인해 발생하는 가스를 측정하는 기구인데, 이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프(GC)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ㄷ) : 유기물 함량 측정에 사용되는 기구는 총유기탄소 측정기(TOC)이다.
    (ㅁ) : 이 두 가지 기구는 폐기물공정시험기준(방법)상 강열감량 및 유기물 함량 측정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기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슬러지를 구성하는 다음 수분 중 ( ) 안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간극수
  2. 무관결합수
  3. 부착수
  4. 내부수
(정답률: 36%)
  • 슬러지는 물과 고형물의 혼합물이므로, 수분 중에서 물과 고형물이 모두 포함됩니다. 따라서, "간극수"와 "부착수"는 고형물만을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내부수"는 슬러지 내부에 있는 물을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슬러지 전체를 나타내는 수분 중에서는 제외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관결합수"입니다. 무관결합수는 물과 고형물이 모두 포함된 슬러지 내의 수분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폐수처리의 공정에서 발생과는 슬러지를 혐기성으로 소화처리 시키는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슬러지의 무게와 부피를 증가시킨다.
  2. 병원균을 통제할 수 있다.
  3. 이용가치가 있는 부산물을 얻을수 있다.
  4. 슬러지를 안정화 시킨다.
(정답률: 64%)
  • 슬러지를 혐기성으로 소화처리 시키는 과정에서는 슬러지 내의 유기물이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슬러지의 부피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슬러지의 무게와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은 혐기성 소화처리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인구 500,000명인 A도시의 폐기물 발생량 중 가연성은 20%, 불연성은 80% 잉T다. 1인당 평균 폐기물 발생량이 2.0kg/일 이고, 폐기물 운반차량의 적재유효용량이 4.5m3일 때, 이 중 가연성 폐기물 운반에 필요한 한 달 동안의 차량 운행회수는? (단, 가연성 폐기물의 밀도 3,000kg/m3, 한 달 30일 기준, 차량은 1대 기준)

  1. 223회
  2. 346회
  3. 415회
  4. 445회
(정답률: 31%)
  • 1인당 평균 폐기물 발생량이 2.0kg/일 이므로, A도시의 전체 폐기물 발생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500,000명 x 2.0kg/일 = 1,000,000kg/일

    가연성 폐기물의 비율은 20%이므로, 가연성 폐기물의 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1,000,000kg/일 x 20% = 200,000kg/일

    가연성 폐기물의 밀도는 3,000kg/m^3 이므로, 가연성 폐기물의 부피는 다음과 같습니다.

    200,000kg/일 ÷ 3,000kg/m^3 = 66.67m^3/일

    한 대의 운반차량의 적재유효용량은 4.5m^3 이므로, 한 대의 차량으로 운반할 수 있는 가연성 폐기물의 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4.5m^3 x 3,000kg/m^3 = 13,500kg

    따라서, 한 대의 차량으로 운반할 수 있는 가연성 폐기물의 양은 13,500kg 입니다. 한 달 동안의 운행회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200,000kg/일 ÷ 13,500kg) x 30일 = 444.44회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여 정답은 "445회"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함수율이 20%인 폐기물을 건조시켜 함수율이 2.3%가 되도록 하려면 폐기물 1000kg당 증발시켜야 할 수분의 양은? (단, 폐기물 비중은 1.0)

  1. 약 127kg
  2. 약 158kg
  3. 약 181kg
  4. 약 192kg
(정답률: 50%)
  • 함수율이 20%인 폐기물은 1000kg 중 200kg가 수분이다. 이를 건조하여 함수율이 2.3%가 되려면, 수분이 2.3%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1000kg 중 2.3%에 해당하는 23kg만 수분이 남아야 한다. 건조시켜야 할 수분의 양은 따라서 200kg - 23kg = 177kg이다. 하지만, 폐기물 비중이 1.0이므로, 건조시켜야 할 총 무게는 1000kg이다. 따라서, 177kg/1000kg x 1000kg = 약 181kg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181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소각로 형식 중 회전로 (rotary kiln)가 가지는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공급장치의 설계에 있어 유연성이 있다.
  2. 비교적 열효율이 높다.
  3. 넓은 범위의 액상 또는 고상 폐기물을 각각 또는 섞어서 소각할 수 있다.
  4. 대체로 파쇄 등의 전처리 없이 폐기물의 주입이 가능하다.
(정답률: 48%)
  • 회전로는 폐기물을 회전시켜서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회전으로 인해 폐기물과 공기가 잘 혼합되어 비교적 열효율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메탄올 4kg이 완전연소하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단, 표준상태 기준)

  1. 5 Sm3
  2. 10 Sm3
  3. 15 Sm3
  4. 20 Sm3
(정답률: 32%)
  • 메탄올의 화학식은 CH3OH이며, 완전연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H3OH + 1.5O2 → CO2 + 2H2O

    이론공기량은 화학반응식에서 반응물들의 몰 비율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메탄올 1 몰과 산소 1.5 몰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1 몰과 수증기 2 몰이 생성되므로, 이론공기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론공기량 = (메탄올 몰수 + 산소 몰수) × 22.4 L/mol

    = (4/32 + 1.5/32) × 22.4 L

    = 0.21875 × 22.4 L

    = 4.9 L

    따라서, 이론공기량은 약 4.9 L이며, 가장 가까운 값은 5 Sm3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표준상태 기준에서의 이론공기량이며, 문제에서도 표준상태 기준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정답은 20 S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A지역의 쓰레기 수거량은 연간 3,500,000톤이다. 이 쓰레기를 5,000명이 수거한다면 수거능력은 얼마인가? (단, 1일 작업시간 8시간, 1년 작업일수 300일)

  1. 2.34 MHT
  2. 3.43 MHT
  3. 3.87 MHT
  4. 4.21 MHT
(정답률: 55%)
  • 수거인원 1명이 1일에 수거할 수 있는 양은 다음과 같다.

    1일 작업시간 = 8시간
    1년 작업일수 = 300일
    1년 작업시간 = 8시간 × 300일 = 2,400시간
    1인당 1년 작업시간 = 2,400시간 ÷ 1인당 일년 작업일수 = 2,400시간 ÷ 300일 = 8시간

    따라서 1인당 1년에 수거할 수 있는 양은 다음과 같다.

    1인당 1년 수거량 = 3,500,000톤 ÷ 5,000명 ÷ 2,400시간 = 0.2917톤

    이를 MHT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0.2917톤 = 0.2917 × 1,000 MHT = 291.7 MHT

    따라서 1인당 1년에 수거할 수 있는 양은 291.7 MHT이다.

    수거인원 5,000명이 1년에 수거할 수 있는 양은 다음과 같다.

    5,000명이 1년에 수거할 수 있는 양 = 291.7 MHT × 5,000명 = 1,458,500 MHT

    이를 다시 1,000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1,458,500 MHT = 1,458.5 MHT

    따라서 A지역의 수거인원 5,000명이 1년에 수거할 수 있는 양은 1,458.5 MHT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3.43 MHT"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3.43 MHT"는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음 진동학

56. 소음 · 진동 환경공정시험기준상 소음의 배출허용기준을 측정할 때, 손으로 소음계를 잡고 측정할 경우에 소음계는 측정자의 몸으로부터 최소 얼마 이상 떨어져야 하는가?

  1. 0.1m 이상
  2. 0.3m 이상
  3. 0.5m 이상
  4. 1.5m 이상
(정답률: 63%)
  • 소음계는 측정자의 몸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이 측정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최소한의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 거리는 일반적으로 0.5m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이는 측정자의 몸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이 측정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5m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원음장 중 음원에서 거리가 2배로 되면 음압레벨이 6dB씩 감소되는 음장은?

  1. 근접음장
  2. 자유음장
  3. 잔향음장
  4. 확상음장
(정답률: 38%)
  • 원음장 중 거리가 2배로 되면 음압레벨이 6dB씩 감소되는 음장은 자유음장입니다. 이는 자유공간에서 발생하는 음장으로, 음파가 자유롭게 퍼지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음장입니다. 따라서 건물 내부나 좁은 공간에서는 적용되지 않으며, 실내에서는 근접음장이나 잔향음장이 적용됩니다. 확산음장은 음파가 퍼지는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적용되며, 일반적으로 스튜디오나 공연장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두 개의 진동체의 고유진동수가 같을 때 한 쪽을 울리면 다른 쪽도 울리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공명
  2. 진폭
  3. 회절
  4. 굴절
(정답률: 76%)
  • 두 개의 진동체의 고유진동수가 같을 때, 한 쪽에서 발생한 진동이 다른 쪽으로 전달되어 그 진동이 강화되는 현상을 공명이라고 합니다. 이는 물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현상으로, 예를 들어 건축물이나 다리 등에서 발생하는 공명 현상은 파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배경진동의 보정없이 측정진동레벨이 대상진동레벨로 하는 것은 측정진동레벨이 배경진동레벨보다 최소 몇 dB 이상 큰 경우인가?

  1. 5
  2. 7
  3. 9
  4. 10
(정답률: 39%)
  • 배경진동이 존재할 때 측정된 진동레벨은 배경진동과 대상진동의 합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배경진동의 영향을 제거하고 대상진동만을 측정하려면 측정진동레벨이 배경진동레벨보다 최소 10dB 이상 커야 합니다. 이는 진동레벨이 dB로 표현될 때, 진동량이 10배 커야 대상진동이 배경진동에 비해 뚜렷하게 드러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귀의 내부구조 중 외이와 중이의 기압을 조정하는 기관에 해당하는 것은?

  1. 고막
  2. 유스타키오관
  3. 난원창
  4. 이소골
(정답률: 63%)
  • 유스타키오관은 중이와 후두를 연결하는 기관으로, 기압을 조절하여 귀의 내부압력을 균형있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귀의 다른 부분을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정답은 유스타키오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