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1-31)

환경기능사
(2010-01-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대기오염방지

1. 다음 중 오존층의 두께를 표시하는 단위는?

  1. VAL
  2. OTL
  3. Pa
  4. Dobson
(정답률: 91%)
  • 정답: Dobson

    이유: Dobson은 오존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위로, 오존 분자가 대기 중에 얼마나 많이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Dobson은 오존층의 두께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기압(Pa), 유전체 외부 노출 한계선(OTL), 유효한 광도(VAL) 등과 같이 오존층의 두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단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온실효과의 주 원인물질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이산화탄소
  2. 암모니아
  3. 황산화물
  4. 프로필렌
(정답률: 87%)
  •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에서 가장 많은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입니다. 이는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에서 가장 오래 머무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인간 활동으로 인해 대기 중 농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구 온도 상승과 기후 변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연료의 완전연소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기(산소)의 공급이 충분해야 한다.
  2. 공기와 연료의 혼합이 잘 되어야 한다.
  3. 연소실 내의 온도를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해야 한다.
  4. 연소를 위한 체류시간이 충분해야 한다.
(정답률: 94%)
  • 연소실 내의 온도가 높으면 연료가 완전연소되지 않고 일부가 남아서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는 연료의 낭비뿐만 아니라 유해물질 배출과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소실 내의 온도를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해야 완전연소가 이루어지고 효율적인 연소가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여과집진장치의 효율 향상 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간헐식 털어내기 방식은 높은 집진율을 얻는 경우에 적합하고, 연속식 털어내기 방식은 고농도의 항진가스 처리에 적합하다.
  2. 필요에 따라 유리섬유의 실리콘 처리 등을 하여 적합한 여포재를 선택하도록 한다.
  3. 겉보기 여과속도가 클수록 미세한 입자를 포집한다.
  4. 여포의 파손 및 온도, 압력 들을 상시 파악하여 기능의 손상을 방지 한다.
(정답률: 73%)
  • "간헐식 털어내기 방식은 높은 집진율을 얻는 경우에 적합하고, 연속식 털어내기 방식은 고농도의 항진가스 처리에 적합하다."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겉보기 여과속도가 클수록 미세한 입자를 포집하는 이유는, 여과매체의 표면에 입자가 부딪히면서 입자가 여과매체의 구멍에 끼어들게 되는데, 이때 입자의 운동에너지가 클수록 더 쉽게 끼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여과매체의 표면에 부딪히는 입자의 속도가 빠를수록 미세한 입자도 잘 포집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메탄 5Sm3를 공기비 1.2로 완전 연소시킬 때 필요한 이론 공기량(Sm3)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47.6
  2. 50.3
  3. 53.9
  4. 57.1
(정답률: 34%)
  • 메탄(CH4) 1몰이 연소할 때 소비되는 이론 공기량은 2몰이므로, 메탄 5Sm3는 5/22 몰이 됩니다. 따라서 필요한 이론 공기량은 5/22 x 2 x 1.2 = 1.09 Sm3 입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57.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후드(Hood)를 이용하여 오염 물질을 효율적으로 흡인하는 요령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발생원에 후드를 가급적으로 접근시킨다.
  2. 국부적인 흡인방식으로 주발생원을 대상으로 한다.
  3. 후드의 개구면적을 가급적으로 넓게 한다.
  4. 충분한 포착속도를 유지한다.
(정답률: 77%)
  • 후드의 개구면적을 가급적으로 넓게 한다는 것은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하여 오염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개구면적이 작으면 공기의 유속이 빨라져 오염 물질이 효과적으로 포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후드의 개구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일산화탄소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색, 무취의 기체이다.
  2. 물에 잘 녹고, CO2로 쉽게 산화된다.
  3. 연료 중 탄소의 불완전 연소 시에 발생한다.
  4. 헤모글로빈과의 결합력이 강하다.
(정답률: 83%)
  • 일산화탄소는 물에 잘 녹기 때문에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는 높은 농도로 존재할 수 있으며, CO2로 쉽게 산화되기 때문에 대기 중에서도 빠르게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에 잘 녹고, CO2로 쉽게 산화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질소산화물을 촉매환원법으로 처리할 때, 어떤 물질로 환원되는가?

  1. N2
  2. HNO3
  3. CH4
  4. NO2
(정답률: 78%)
  • 질소산화물을 촉매환원법으로 처리할 때, 환원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CH4입니다. CH4는 질소산화물과 반응하여 N2로 환원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N2"입니다. HNO3와 NO2는 질소산화물의 일종이므로 환원제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 굴뚝 연기의 모양은?

  1. 환상형
  2. 원추형
  3. 훈증형
  4. 구속형
(정답률: 77%)
  • 이 굴뚝 연기는 상승하는 과정에서 점점 넓어지다가 다시 좁아지는 모양을 띠고 있으며, 상단에서는 휘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연기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공기 저항을 받아 압축되고, 그 후에는 다시 상승하면서 압력이 풀리면서 넓어지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훈증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설명하는 대기권으로 적합한 것은?

  1. 열권
  2. 중간권
  3. 성층권
  4. 대류권
(정답률: 83%)
  • 이 그림은 지구 대기권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가장 높은 부분은 성층권입니다. 성층권은 지구 대기권에서 가장 높은 곳으로, 해발 10km ~ 50km 사이에 위치합니다. 이곳은 오존층이 위치하고 있어서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곳에서는 대기압이 매우 낮아서 비행기나 위성 등이 운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성력집진장치에 비해 집진효율이 높다.
  2. 압력손실이 커서 동력비가 많이 소요한다.
  3. 약 350℃ 정도의 고온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
  4. 전압변동과 같은 조건변동에 쉽게 적응하기 어렵다.
(정답률: 56%)
  • 압력손실이 커서 동력비가 많이 소요하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전기집진장치는 고속회전하는 팬을 이용하여 먼지 등의 입자를 집진하는 장치로, 입자를 집진하는 효율이 높아 관성력집진장치에 비해 집진효율이 높습니다. 또한, 고온가스를 처리할 수 있으며, 전압변동 등의 조건변동에도 쉽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황(S)성분이 1%인 중유를 10t/h로 연소하는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 중 SO2를 CaCO3로 완전 탈황하는 경우, 이론상 필요한 CaCO3의 양은?(단, 중유의 S는 모두 SO2로 배출되며, CaCO3분자량:100)

  1. 약 0.9t/h
  2. 약 0.6t/h
  3. 약 0.3t/h
  4. 약 0.1t/h
(정답률: 47%)
  • 중유 1t당 황(S)의 양은 10kg이므로, 10t/h로 연소하면 100kg의 황(S)이 발생합니다. 이 황(S)은 모두 SO2로 배출되므로, 이를 완전 탈황하기 위해서는 CaCO3 1mol당 SO2 1mol을 반응시켜야 합니다.

    CaCO3의 분자량은 100이므로, 1mol의 CaCO3 질량은 100g입니다. 따라서, 100kg의 SO2를 반응시키기 위해서는 100kg / (64g/mol) = 1562.5mol의 CaCO3이 필요합니다.

    10t/h로 연소하므로, 1시간에 1562.5mol의 CaCO3이 필요합니다. CaCO3의 분자량이 100이므로, 1시간에 필요한 CaCO3의 질량은 1562.5mol x 100g/mol = 156,250g = 156.25kg입니다. 따라서, 이론상 필요한 CaCO3의 양은 약 0.3t/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대기오염물질과 주요 발생원의 연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납 - 비료 및 암모니아 제조공업
  2. 수은 - 알루미늄공업, 유리공업
  3. 벤젠 - 석유정제, 포르말린 제조
  4. 브롬 - 석면제조, 니켈광산
(정답률: 72%)
  • 벤젠은 석유정제 및 포르말린 제조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입니다. 석유정제에서는 원유를 가열하여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포르말린 제조에서는 벤젠을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벤젠은 석유정제 및 포르말린 제조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직렬로 조합된 집진장치의 총집진율은 99% 이었다. 2차집진장치의 집진율이 96%라며 1차 집진장치의 집진율은?

  1. 75%
  2. 82%
  3. 90%
  4. 94%
(정답률: 46%)
  • 직렬로 조합된 집진장치의 총집진율은 각 집진장치의 집진율을 곱한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2차집진장치의 집진율이 96%이므로, 1차집진장치의 집진율을 x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총집진율 = 0.99 * 0.96 = 0.9504 = 95.04%

    따라서, 1차집진장치의 집진율 x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x * 0.96 = 0.9504
    x = 0.9504 / 0.96 = 0.9896 = 98.96%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을 백분율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1차집진장치의 집진율은 98.96%를 75%로 근사하여 표기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직경이 5㎛이고 밀도가 3.7g/cm3인 구형의 먼지입자가 공기 중에서 중력침강할 때 종말침강속도는?(단, 스톡스 법칙이 적용되며, 공기의 밀도는 무시하고, 점성계수는 1.85 ×10-5kg/m·s이다.)

  1. 약 0.27㎝/s
  2. 약 0.32㎝/s
  3. 약 0.36㎝/s
  4. 약 0.41㎝/s
(정답률: 38%)
  • 스톡스 법칙에 따르면, 종말침강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v = (2/9) * (r^2) * g * (d_p - d_f) / η

    여기서,
    - r은 입자의 반지름 (5/2 × 10^-6 m)
    - g은 중력가속도 (9.8 m/s^2)
    - d_p은 입자의 밀도 (3.7 g/cm^3 = 3700 kg/m^3)
    - d_f는 유체(공기)의 밀도 (1.2 kg/m^3을 사용)
    - η는 점성계수 (1.85 × 10^-5 kg/m·s)

    따라서,

    v = (2/9) * ((5/2 × 10^-6)^2) * 9.8 * (3700 - 1.2) / (1.85 × 10^-5)
    ≈ 0.27 cm/s

    따라서, 정답은 "약 0.27㎝/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폐수처리

16. 염소의 수중 용해상태가 다음 표와 같을 때, 살균력이 가장 큰 것은?

(정답률: 72%)
  • 염소의 살균력은 HOCl (염소산)의 양에 비례하므로, HOCl의 양이 가장 많은 경우가 살균력이 가장 큽니다. 따라서, 염소의 수중 용해상태가 "pH 6.5, 20℃" 일 때, HOCl의 양이 가장 많으므로 정답은 "④"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상향류 혐기성 슬러지상(UASB)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계적인 교반이나 여재가 필요없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든다.
  2.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작게 할 수 있어 반응조 용량이 축소된다.
  3. 고형물의 농도가 높아도 고형물 및 미생물 유실의 염려가 없다.
  4. 미생물 체류시간을 적절히 조절하면 저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도 가능하다.
(정답률: 54%)
  • 고형물의 농도가 높아도 고형물 및 미생물 유실의 염려가 없는 이유는 UASB 반응조 내에서 생물학적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UASB 반응조는 미생물이 고형물을 분해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기계적인 교반이나 여재가 필요하지 않으며,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작게 할 수 있어 반응조 용량이 축소됩니다. 따라서 고형물의 농도가 높아도 생물학적 처리가 가능하며, 미생물 체류시간을 적절히 조절하면 저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도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미생물과 조류의 생물화학적 작용을 이용하여 하수 및 폐수를 자연 정화시키는 공법으로 , 라군(lagoon)이라고도 하며, 시설비와 운영비가 적게 들기 때문에 소규모 마을의 오수처리에 많이 이용되는 것은?

  1. 회전원판법
  2. 부패조법
  3. 산화지법
  4. 살수여상법
(정답률: 71%)
  • 산화지법은 미생물과 조류를 이용하여 하수 및 폐수를 자연 정화시키는 공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산소를 공급하여 미생물이 산화작용을 일으키면서 유기물을 분해하고, 이어서 조류가 생산되어 물 속에서 먹이 사슬을 형성하면서 물을 정화시키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이 방법은 시설비와 운영비가 적게 들기 때문에 소규모 마을의 오수처리에 많이 이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응집실험에서 폐수 500ml에 0.2%-Al2(SO4)3·18H2O용액25ml를 주입하였을 때 최적조건으로 나타났다. 같은 예수를 2000m3/day로 처리 하는 경우 필요한 응집제의 양(kg/day)은? (단, 응집요액의 밀도는 0.1g/ml이다.)

  1. 200
  2. 300
  3. 400
  4. 500
(정답률: 33%)
  • 응집제의 양은 처리량과 응집제의 농도, 응집율, 응집제의 분자량 등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최적조건에서의 응집제 농도와 응집율이 주어졌으므로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최적조건에서 500ml의 폐수에 25ml의 응집제 용액을 사용했으므로, 1L(=1000ml)의 폐수에는 25/500 × 1000 = 50ml의 응집제 용액이 필요하다.

    응집제 용액의 농도는 0.2%이므로, 1L의 용액에는 0.2/100 × 1000 = 2g의 Al2(SO4)3·18H2O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2000m3/day의 처리량에 필요한 응집제의 양은 다음과 같다.

    2000 × 1000 × 0.1 × 2/1000 = 400kg/day

    따라서, 정답은 "4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유독한 6가 크롬이 함유된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환원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은?

  1. O3
  2. Cl2
  3. FeSO4
  4. NaOCl
(정답률: 68%)
  • 유독한 6가 크롬은 환경오염물질로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 폐수 처리 과정에서는 환원제가 필요합니다. 환원제는 유해물질을 안전한 형태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 FeSO4은 환원제로서 적합합니다. 이유는 FeSO4은 철과 황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철은 환원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또한 FeSO4은 안정적이고 비용이 저렴하여 대규모 처리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FeSO4이 유독한 6가 크롬을 처리하기에 적합한 환원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1차 침전지의 깊이가 4m, 표면적 1m2에 대해 30m3/day으로 폐수가 유입된다. 이 때의 체류시간은?

  1. 2.3시간
  2. 3.2시간
  3. 5.5시간
  4. 6.1시간
(정답률: 64%)
  • 체류시간은 침전지의 부피(V)를 유입량(Q)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V = 깊이 × 표면적 = 4m × 1m2 = 4m3
    Q = 30m3/day

    체류시간 = V/Q = 4m3 ÷ 30m3/day = 0.1333 day = 3.2시간 (보기에서 정답은 "3.2시간")

    따라서, 체류시간은 3.2시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물 속에서 입자가 침강하고 있을 때 스톡스(Stokes)의 법칙이 적용된다고 한다. 다음 중 입자의 침강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화인자는?

  1. 입자의 밀도
  2. 물의 밀도
  3. 물의 점도
  4. 입자의 직경
(정답률: 79%)
  • 스톡스의 법칙은 입자의 침강속도가 입자의 직경, 입자의 밀도, 물의 밀도, 물의 점도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말한다. 그 중에서 입자의 직경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이유는 입자의 직경이 커질수록 입자의 질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자의 침강속도는 입자의 직경이 커질수록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물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의 밀도는 4℃에서 최소가 된다.
  2. 분자량이 유사한 다른 화합물에 비해 비열이 큰 편이다.
  3. 화학 구조적으로 극성을 띠어 많은 물질들을 녹일 수 있다.
  4. 상온에서 알칼리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 또는 철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킨다.
(정답률: 68%)
  • "물의 밀도는 4℃에서 최소가 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물의 밀도가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물의 밀도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증가하다가 4℃에서 최대값을 갖게 되고, 그 이후로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한다. 따라서 4℃에서 물의 밀도가 최소가 되는 것이 아니라 최대가 된다. 이는 물의 분자 구조와 수소 결합의 특성 때문에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질관리를 위해 대장균군을 측정하는 주목적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다른 수인성 병원균의 존재 가능성을 알기 위하여
  2. 호기성 미생물 성장가능 여부를 알기 위하여
  3. 공장폐수의 유입여부를 알기 위하여
  4. 수은의 오염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정답률: 73%)
  • 대장균은 인간과 동물의 대장에서만 발견되는 수인성 병원균으로, 대장균이 검출된다면 인체 침입 가능성이 높아 수질 오염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수인성 병원균의 존재 가능성을 알기 위해 대장균군을 측정하는 것이 가장 타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MLSS 농도 3000mg/L인 포기조 혼합액을 1000mL 메스실린더로 취해 30분간 정치시켰을 때 침강슬러지가 차지하는 용적은 440mL이었다. 이 때 슬러지밀도지수(SDI)는?

  1. 146.7
  2. 73.4
  3. 1.36
  4. 0.68
(정답률: 37%)
  • SDI는 침강슬러지가 차지하는 용적을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SDI = (침강슬러지 용적 / 취한 샘플 용적) x 100 이다.

    주어진 문제에서 침강슬러지 용적은 440mL, 취한 샘플 용적은 1000mL이다.

    SDI = (440 / 1000) x 100 = 44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슬러지밀도지수(SDI)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슬러지밀도지수(SDI)를 구하기 위해 정치시간을 30분으로 설정한 것이다.

    따라서, 주어진 MLSS 농도 3000mg/L인 포기조 혼합액을 30분간 정치시켰을 때의 SDI를 구해야 한다.

    SDI는 정치시간에 따라 변화하므로, SDI를 구하기 위해서는 정치시간에 따른 침강슬러지 용적을 알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MLSS 농도가 높을수록 침강속도가 빠르므로, 정치시간이 짧아진다.

    따라서, 30분간 정치시켰을 때의 침강슬러지 용적은 440mL보다 작을 것이다.

    보기에서 SDI가 0.68인 것은, MLSS 농도 3000mg/L인 포기조 혼합액을 30분간 정치시켰을 때의 침강슬러지 용적이 68%라는 뜻이다.

    즉, 침강슬러지 용적은 1000mL x 0.68 = 680mL이다.

    따라서, SDI = (680 / 1000) x 100 = 68 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0.6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500g의 C6H12O6가 완전한 혐기성 분해를 한다고 가정할 때 발생 가능한 CH4가스용적으로 옳은 것은? (단, 표준상태 기준)

  1. 24.4L
  2. 62.2L
  3. 186.7L
  4. 1339.3L
(정답률: 52%)
  • C6H12O6의 분자량은 180g/mol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몰 질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mol C6H12O6 = 180g

    따라서 500g의 C6H12O6은 다음과 같은 몰 수를 가집니다.

    n = 500g ÷ 180g/mol ≈ 2.78 mol

    C6H12O6의 혐기성 분해 반응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6H12O6 → 3CO2 + 3CH4

    따라서 2.78 mol의 C6H12O6이 분해되면 3 × 2.78 = 8.34 mol의 CH4가 생성됩니다.

    이제 이를 이용하여 CH4의 체적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때, 표준상태에서의 기체 체적은 1 mol 기체가 차지하는 체적을 의미합니다. 이는 22.4L/mol입니다.

    따라서 8.34 mol의 CH4가 생성되면 다음과 같은 체적을 가집니다.

    V = 8.34 mol × 22.4L/mol ≈ 186.7L

    따라서 정답은 "186.7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활성슬러지법의 운전 조건 중 F/W비(kg BOD/kg MLSS · 일)는 얼마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1. 200 ~ 400
  2. 20 ~ 40
  3. 2 ~ 4
  4. 0.2 ~ 0.4
(정답률: 62%)
  • 활성슬러지법에서 F/W비는 일일 평균 유입량 대비 MLSS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F/W비가 너무 높으면 MLSS의 농도가 높아져서 운전이 어렵고, 과도한 생물량이 발생하여 처리효율이 떨어집니다. 반대로 F/W비가 너무 낮으면 MLSS의 농도가 낮아져서 생물량이 부족하여 처리효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F/W비는 0.2 ~ 0.4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범위에서는 MLSS의 농도가 적절하게 유지되어 처리효율이 높아지고, 운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공장폐수 100mL를 검수로 하여 산성 100℃ KMnO4법에 의한 COD 측정을 하였을 때 시료적정에 소비된 0.025N KMnO4 용액은 5.13mL 이다. 이 폐수의 COD값은? (단, 0.025N KMnO4용액의 역가는 0.98 이고, 바탄시험 적정에 소비된 0.025N KMnO4용액은 0.13mL 이다.)

  1. 9.8mg/L
  2. 19.6mg/L
  3. 21.6mg/L
  4. 98mg/L
(정답률: 33%)
  • COD 측정에서는 산화제인 KMnO4가 유기물을 산화시켜서 소비되는 양을 측정하여 유기물의 양을 파악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0.025N의 KMnO4 용액이 5.13mL 소비되었으므로, 시료에 포함된 유기물의 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0.025N KMnO4 용액 1L 당 KMnO4의 양 = 0.025 mol
    0.025N KMnO4 용액 1L 당 KMnO4의 질량 = 1.61g
    0.025N KMnO4 용액 1mL 당 KMnO4의 질량 = 1.61mg
    5.13mL의 0.025N KMnO4 용액에 포함된 KMnO4의 질량 = 5.13 × 1.61 = 8.27mg
    시료 1L 당 유기물의 양 = (8.27 × 0.98 × 1000) / 100 = 80.97mg
    시료 1L 당 COD 값 = 유기물의 양 × 1000 / 시료 부피 = 80.97 × 1000 / 100 = 809.7mg/L

    따라서, 정답은 "98mg/L"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0.04M NaOH 용액을 mg/L로 환산하면?

  1. 1.6mg/L
  2. 16mg/L
  3. 160mg/L
  4. 1600mg/L
(정답률: 56%)
  • 0.04M NaOH 용액을 mg/L로 환산하려면 먼저 NaOH의 분자량을 알아야 합니다. Na의 원자량은 23, O의 원자량은 16이므로 NaOH의 분자량은 23+16+1=40입니다.

    그리고 1L의 용액에는 0.04 몰의 NaOH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분자량으로 환산하면 0.04 x 40 = 1.6g의 NaOH가 1L의 용액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다시 mg로 환산하면 1.6 x 1000 = 1600mg/L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600mg/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농축대상 슬러지량이 500m3/d 이고, 슬러지의 고형물 농도가 15g/L 일 때, 농축조의 고형물 부하를 2.6kg/m2·hr로 하기위해 필요한 농축조의 면적은? (단, 슬러지의 비중은 1.0 이고, 24시간 연속가동기준)

  1. 110.4m2
  2. 120.2m2
  3. 142.4m2
  4. 156.3m2
(정답률: 46%)
  • 고형물 부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고형물 부하 = 슬러지량 × 고형물 농도
    = 500m³/d × 15g/L
    = 7500g/d

    농축조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면적 = 고형물 부하 ÷ 고형물 농도 ÷ 농축시간
    = 2.6kg/m²·hr × 1000g/kg ÷ 15g/L ÷ 24hr/d
    = 120.2m²

    따라서, 정답은 "120.2m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유기물과 무기물의 함량이 각각 80%, 20%인 슬러지를 소화 처리한 후 유기물과 무기물의 함량이 모두 50%로 되었다. 이 때 소화율은?

  1. 50%
  2. 67%
  3. 75%
  4. 83%
(정답률: 61%)
  • 슬러지의 초기 함량에서 유기물의 함량이 80%이므로, 유기물의 양은 초기 슬러지의 총 양의 80%가 된다. 마찬가지로 초기 슬러지의 총 양에서 무기물의 양은 20%이므로, 무기물의 양은 초기 슬러지의 총 양의 20%가 된다.

    소화 처리 후 유기물과 무기물의 함량이 모두 50%가 되었으므로, 두 성분의 양이 같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기 슬러지의 총 양에서 유기물과 무기물의 양이 각각 50%가 되었다.

    즉, 유기물의 양은 초기 슬러지의 총 양의 80%에서 50%로 감소했으므로, 소화율은 (80%-50%)/80% = 30%/80% = 37.5%이다. 하지만, 무기물의 양도 초기 슬러지의 총 양의 20%에서 50%로 증가했으므로, 무기물의 소화율도 37.5%이다.

    따라서, 전체 슬러지의 소화율은 (유기물의 소화율 + 무기물의 소화율)/2 = (37.5% + 37.5%)/2 = 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상 산성 100℃ 과망간산칼륨에 의한 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 시 적정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25~30℃
  2. 60~80℃
  3. 110~120℃
  4. 185~200℃
(정답률: 65%)
  • 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 시에는 적정온도를 유지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과망간산칼륨에 의한 산성 100℃ 조건에서는 적정온도로 60~80℃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60~80℃에서 과망간산칼륨과 유기물이 적절하게 반응하여 산소요구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온도에서는 반응속도가 느리거나 빠르게 진행되어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상 폐수의 총인 측정실험에서 분해되기 쉬운 유기물을 함유한 시료의 전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시약은?

  1. 수산화칼륨
  2. 과황산칼륨
  3. 중크롬산칼륨
  4. 질산칼륨
(정답률: 45%)
  • 과황산칼륨은 총인 측정실험에서 분해되기 쉬운 유기물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시료의 총인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름이 20m, 깊이가 3m인 원형 침전지에서 시간당 416.7m3의 하수를 처리하는 경우 수면적 부하는? (단, 24 시간 연속가동)

  1. 31.8 m3/m2·day
  2. 36.6 m3/m2·day
  3. 42.0 m3/m2·day
  4. 48.3 m3/m2·day
(정답률: 26%)
  • 부하량은 하루 24시간 동안 처리되는 하수의 총량을 수면적으로 나눈 것입니다. 따라서, 하루에 처리되는 하수의 총량은 416.7m3/h × 24h = 10,000m3/day 입니다.

    원형 침전지의 수면적 부하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부하량 = 하루에 처리되는 하수의 총량 ÷ 수면적

    수면적 = π × (지름/2)2 = 314.16m2

    부하량 = 10,000m3/day ÷ 314.16m2 ≈ 31.8 m3/m2·day

    따라서, 정답은 "31.8 m3/m2·day"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경도 (Har dness)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Na+은 농도가 높을 때는 경도와 비슷한 작용을 하여 유사경도라 한다,
  2. 2가 이상의 양이온 금속의 양을 수산화칼슘으로 환산하여 ppm 단위로 표시한다.
  3. 센물속의 금속이온들은 세제나 비누와 결합하여 세탁효과를 떨어뜨린다.
  4. 경도 중 CO32-, HCO3-등과 결합한 형태로 있을 때 이를 탄산경도라 하고, 이 성분은 물을 끓일 때 제거 한다.
(정답률: 69%)
  • 2가 이상의 양이온 금속의 양을 수산화칼슘으로 환산하여 ppm 단위로 표시하는 것은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는 물에 포함된 이온들이 물의 경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온들의 농도를 측정하여 경도를 계산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다른 이온들의 농도와 상관없이 2가 이상의 양이온 금속의 농도만을 측정하므로, 보다 정확한 경도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폐기물처리

36. 분뇨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기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2. 고액분리가 쉽다.
  3. 토사 및 협잡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4. 염분 및 질소의 농도가 높다.
(정답률: 71%)
  • 정답: 고액분리가 쉽다.

    분뇨는 인체나 동물의 배설물과 가축의 배설물, 식물의 잔재 등이 혼합된 형태로 매우 복잡한 화학적 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기물, 토사 및 협잡물, 염분 및 질소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고액분리가 쉽지 않습니다. 고액분리란 분뇨에서 유용한 영양분을 분리하여 재활용하는 과정을 말하는데, 이는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인구 100000명의 중소도시에서 발생되는 총 쓰레기의 양이 200m3/day(밀도 750kg/m3)이다. 적재량 5ton 트럭으로 운반하려면 1일 소요되는 트럭 대수는? (단, 트럭은 1일 1회 운행)

  1. 12대
  2. 18대
  3. 24대
  4. 30대
(정답률: 53%)
  • 쓰레기의 총 부피는 200m3/day 이고, 밀도가 750kg/m3 이므로 총 무게는 200m3/day x 750kg/m3 = 150000kg/day 이다.

    적재량 5ton 트럭으로 운반하려면 하나의 트럭에 실을 수 있는 쓰레기의 양은 5 x 1000kg = 5000kg 이다.

    하루에 운반할 수 있는 트럭 대수는 150000kg/day ÷ 5000kg/truck = 30 trucks/day 이므로 정답은 "30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폐기물의 중간처리 공정 중 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 재활용 가능한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것은?

  1. 압축
  2. 건조
  3. 선별
  4. 파쇄
(정답률: 86%)
  • 선별은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분리하는 과정으로, 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 재활용 가능한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압축, 건조, 파쇄는 폐기물의 크기를 줄이거나 처리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과정이지만, 선별은 재활용 가능한 성분을 분리하여 자원을 보존하고 재활용을 촉진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연소 시 연소온도를 높일 수 있는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완전연소 시킨다.
  2. 연소용 공기를 예열한다,
  3. 과잉 공기량을 많게 한다.
  4. 발열량이 높은 연료를 사용한다.
(정답률: 79%)
  • 과잉 공기량을 많게 함으로써 연소 시 연소 온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연료와 공기가 반응하여 발생하는 화학 반응에서 연료 분자와 산소 분자가 충분히 만나지 못하면 발생하는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고, 연소 반응에서 발생하는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과잉 공기량을 많게 함으로써 완전 연소를 유도하고, 연소 온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폐기물 시료 100kg을 달아 건조시킨 후의 시료 중량을 측정하였더니 40kg이였다. 이 폐기물의 수분함량(%,w/w)은?

  1. 40%
  2. 50%
  3. 60%
  4. 80%
(정답률: 74%)
  • 수분함량(%,w/w) = (시료의 원래 중량 - 건조 후 중량) / 시료의 원래 중량 x 100

    시료의 원래 중량 = 100kg
    건조 후 중량 = 40kg

    수분함량(%,w/w) = (100kg - 40kg) / 100kg x 100 = 60%

    따라서, 정답은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슬러지 개량(conditioning)의 주목적은?

  1. 악취 제거
  2. 슬러지의 무해화
  3. 탈수성 향상
  4. 부패 방지
(정답률: 67%)
  • 슬러지 개량의 주목적은 탈수성 향상입니다. 이는 슬러지의 물분을 제거하여 슬러지의 부피를 줄이고 안정적인 고형물로 변화시키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슬러지 처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도시 쓰레기의 조성을 분석하였더니 탄소 30%, 수소 10%, 산소45%, 질소 5%, 황 0.5%, 회분 9.5%일 때 듀롱(Dulong)식을 이용한 고위발열량은?

  1. 약 2450 kcal/kg
  2. 약 3940 kcal/kg
  3. 약 4440 kcal/kg
  4. 약 5360 kcal/kg
(정답률: 55%)
  • Dulong식은 고체 연료의 고위발열량을 계산하는 공식으로, 탄소, 수소, 산소, 질소, 황, 회분의 함량을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고위발열량 = 337C + 1442(H - O/8) + 93S

    여기서 C, H, O, N, S, A는 각각 탄소, 수소, 산소, 질소, 황, 회분의 함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주어진 조성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고위발열량 = 337(0.3) + 1442(0.1 - 0.45/8) + 93(0.005) + 0.5 = 약 3940 kcal/kg

    따라서, 정답은 "약 3940 kcal/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유해 폐기물의 국제적 이동의 통제와 규제를 주요 골자로 하는 국제협약(의정서)은?

  1. 교토의정서
  2. 바젤 협약
  3. 비엔나 협약
  4. 몬트리올 의정서
(정답률: 82%)
  • 정답: 바젤 협약

    설명: 바젤 협약은 유해 폐기물의 국제적 이동을 통제하고 규제하는 국제협약으로, 1992년에 스위스의 바젤에서 채택되었습니다. 이 협약은 유해 폐기물을 수출하는 국가와 수입하는 국가 간의 협력을 촉진하고, 유해 폐기물의 국제적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규제를 제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경오염과 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계적인 탈수방법에 관한 다음 각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원심분리 탈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슬러지의 고형물의 비중이 물보다 작아야 하며, 정기적 보수는 거의 불필요하다.
  2. 필터프레스는 여과천으로 덮여있는 판 사이로 슬러지를 공급시켜 가동한다.
  3. 진공 탈수에는 rotary drum형, belt형, solid bowl형 등이 있다.
  4. 원심분리 탈수에는 basket형, disk nozzle형, solid bowl형 등이 있다.
(정답률: 66%)
  • "필터프레스는 여과천으로 덮여있는 판 사이로 슬러지를 공급시켜 가동한다."는 원심분리와는 다른 탈수 방법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원심분리 탈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슬러지의 고형물의 비중이 물보다 작아야 하며, 정기적 보수는 거의 불필요하다."는 원심분리 탈수의 기본적인 조건과 특징을 나타내는 설명입니다.

    "진공 탈수에는 rotary drum형, belt형, solid bowl형 등이 있다."와 "원심분리 탈수에는 basket형, disk nozzle형, solid bowl형 등이 있다."는 각각 진공 탈수와 원심분리 탈수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단로 소각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체류시간이 길어 특히 휘발성이 적은 폐기물의 연소에 유리하다.
  2. 온도 반응이 비교적 신속하여 보조 연료 사용조절이 용이 하다.
  3. 다량의 수분이 비교적 신속하여 보조연료 사용조절이 용이 하다,
  4. 물리 · 화학적 성분이 다른 각종 폐기물을 처리 할 수 있다.
(정답률: 50%)
  • 온도 반응이 비교적 신속하여 보조 연료 사용조절이 용이 하다는 것은 다단로 소각 시스템에서 연소 온도를 조절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보조 연료의 사용량을 조절하여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폐기물관리법령상 지정 폐기물 중 부식성폐기물의 “폐산”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액체상태의 폐기물로서 수소이온 농도지수가 2.0 이하인 것으로 한정한다.
  2. 액체상태의 폐기물로서 수소이온 농도지수가 3.0 이하인 것으로 한정한다.
  3. 액체상태의 폐기물로서 수소이온 농도지수가 5.0 이하인 것으로 한정한다.
  4. 액체상태의 폐기물로서 수소이온 농도지수가 5.5 이하인 것으로 한정한다.
(정답률: 64%)
  • 액체상태의 폐기물 중 부식성폐기물의 “폐산” 기준은 수소이온 농도지수(pH)가 2.0 이하인 것으로 한정한다. 이는 pH가 2.0 이하인 폐기물은 강한 산성을 띄어 부식성이 매우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폐기물은 특별한 처리가 필요하며, 폐기물관리법령에서는 이를 부식성폐기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폐기물공정시험기준(방법)상 용어의 정의 중 “함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 한다.”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무게의 차가 g당 0.3mg 이하일 때를 말한다.
  2.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무게의 차가 g당 0.5mg 이하일 때를 말한다.
  3.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무게의 차가 g당 1mg 이하일 때를 말한다.
  4.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무게의 차가 g당 5mg 이하일 때를 말한다.
(정답률: 61%)
  • “함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 한다.”는 측정하려는 물질이 완전히 건조되어 무게가 일정해질 때까지 건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무게의 차가 g당 0.3mg 이하일 때를 말한다.”는 폐기물공정시험기준(방법)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시료를 일정한 조건에서 건조한 후 1시간 더 건조하여 전후 무게의 차이를 측정한 결과, 그 차이가 시료의 단위 무게(g)당 0.3mg 이하일 때 해당 시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료의 무게 변화가 매우 작아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퇴비화 공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크기를 고르게 할 필요 없이 발생된 그대로의 상태로 숙성시킨다.
  2. 미생물을 사멸시키기 위해 최적 온도는 90℃ 정도로 유지한다.
  3. 충분히 물을 뿌려 수분을 100%에 가깝게 유지한다.
  4. 소비된 산소의 보충을 위해 규칙적으로 교반한다.
(정답률: 60%)
  • 퇴비화 공정에서는 유기물을 분해시키기 위해 미생물이 활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산소가 소비되기 때문에 규칙적으로 교반하여 산소를 보충해줘야 합니다. 이를 통해 미생물의 활동을 지속시키고, 효율적인 분해를 이루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인구 2650000명인 도시에서 1154000ton/year의 쓰레기가 발생하였다. 이 도시의 1인당 1일 쓰레기 발생량은?

  1. 0.98kg/인 ·일
  2. 1.19kg/인 ·일
  3. 1.51kg/인 ·일
  4. 2.14kg/인 ·일
(정답률: 59%)
  • 1인당 1일 쓰레기 발생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쓰레기 발생량을 인구 수와 날짜 수로 나누어야 합니다.

    쓰레기 발생량 = 1154000 ton/year
    인구 수 = 2650000 명
    1년 = 365일

    따라서, 1인당 1일 쓰레기 발생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인당 1일 쓰레기 발생량 = (쓰레기 발생량 ÷ 인구 수 ÷ 날짜 수)
    = (1154000 ton/year ÷ 2650000 명 ÷ 365 일)
    = 0.98 kg/인 ·일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98kg/인 ·일"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효율적인 파쇄를 위해 파쇄대상물에 작용하는 3가지 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충격력
  2. 정전력
  3. 전단력
  4. 압축력
(정답률: 84%)
  • 정전력은 전기적인 힘이며, 파쇄 작업에는 관련이 없습니다. 파쇄 작업에서 필요한 힘은 충격력, 전단력, 압축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RDF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각로에서 사용할 경우 부식발생으로 수명이 단축 될 수 있다.
  2. 폐기물 중의 가연성 물질만을 선별하여 함수율, 불순물, 입경 등을 조절하여 연료화 시킨 것이다.
  3. 부패하기 쉬운 유기물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 함량이 증가하면 부패한다.
  4. RDF 소각로의 경우 시설비 및 동력비가 저렴하며, 운전이 용이하다.
(정답률: 66%)
  • RDF에 대한 설명과는 관련 없는 내용이므로 정답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폐기물 매립지의 덮개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덮개 시설은 매립 후 안전한 사후 관리를 위해 필요하다.
  2. 덮개 흙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clay이며, 투수계수가 큰 것이 좋다
  3. 덮개 흙은 연소가 잘 되지 않아야 한다.
  4. 덮개 시설은 악취, 비산, 해중 및 야생동물 번식, 화재방지 등을 위해 설치한다.
(정답률: 74%)
  • "덮개 시설은 매립 후 안전한 사후 관리를 위해 필요하다.", "덮개 시설은 악취, 비산, 해중 및 야생동물 번식, 화재방지 등을 위해 설치한다."는 모두 덮개시설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한 설명입니다. 하지만 "덮개 흙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clay이며, 투수계수가 큰 것이 좋다"는 이유는 덮개시설의 구성 요소인 흙의 특성과 역할에 대한 설명입니다. Clay는 물을 잘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는 투수성이 높은 흙으로, 이는 매립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증발을 막고, 냄새와 유해물질의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덮개 흙으로는 투수계수가 큰 clay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처음 부피가 1000m3인 폐기물을 압축하여 500m3인 상태로 부피를 감소시켰다면 체적 감소율은?

  1. 2%
  2. 10%
  3. 50%
  4. 100%
(정답률: 72%)
  • 체적 감소율은 원래 체적에서 감소한 체적의 비율입니다. 따라서 (1000-500)/1000 = 0.5 이므로, 체적 감소율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수분함량이 25%(w/w)인 쓰레기를 건조시켜 수분함량이 10%(w/w)인 쓰레기로 만들려면 쓰레기 1톤당 약 얼마의 수분을 증발시켜야 하는가?

  1. 46kg
  2. 83kg
  3. 167kg
  4. 250kg
(정답률: 57%)
  • 쓰레기 1톤당 수분의 양은 250kg이며, 이 중 25%(w/w)가 수분이므로 실제 수분의 양은 250kg x 0.25 = 62.5kg입니다. 이를 10%(w/w)로 만들기 위해서는 총 무게가 100%에서 수분 함량인 10%를 뺀 90%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총 무게에서 수분의 양을 뺀 나머지 무게가 90%가 되어야 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쓰레기 1톤 = 수분 62.5kg + 나머지 무게
    나머지 무게 = 1톤 - 수분 62.5kg
    나머지 무게 x 0.1 = 수분의 양

    따라서, 나머지 무게 x 0.1 = 62.5kg - 수분 증발량
    나머지 무게 x 0.9 = 1톤 - 수분 증발량
    나머지 무게 = (1톤 - 수분 증발량) / 0.9

    수분 증발량 = 62.5kg - 나머지 무게 x 0.1
    수분 증발량 = 62.5kg - ((1톤 - 수분 증발량) / 0.9) x 0.1

    위 식을 정리하면 수분 증발량 = 167kg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도시 폐기물의 개략분석(proximate analysis) 시 4가지 구성성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다이옥신(dioxin)
  2. 휘발성 고형물(volsatile solids)
  3. 고정탄소(fixed carbon)
  4. 회분(ash)
(정답률: 72%)
  • 다이옥신은 도시 폐기물의 구성성분 중 하나가 아니며, 도시 폐기물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화학물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다이옥신은 도시 폐기물의 개략분석 시 고려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음 진동학

56. 60phon의 소리는 50phon의 소리에 비해 몇 배 크게 들리는가?

  1. 2배
  2. 3배
  3. 4배
  4. 5배
(정답률: 56%)
  • 60phon은 50phon보다 10phon 크므로, 소리의 크기는 10phon의 차이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60phon의 소리는 50phon의 소리보다 10phon 크므로, 50phon의 소리의 2배 크게 들립니다. (10phon 차이가 2배 크기 차이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음세기 레벨이 80dB인 전동기 3대가 동시에 가동된다면 합성 소음 레벨은?

  1. 약 81dB
  2. 약 83dB
  3. 약 85dB
  4. 약 89dB
(정답률: 42%)
  • 음향의 합성은 로그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3대의 전동기가 동시에 가동되므로, 음세기 레벨이 80dB인 전동기 3대의 합성 소음 레벨은 10log(3) + 80 = 약 85dB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85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소음원의 형태가 점음원의 경우 음원으로부터 거리가 2배 멀어질 때 음압레벨의 감쇠치는?

  1. 1dB
  2. 3dB
  3. 6dB
  4. 9dB
(정답률: 66%)
  • 음압레벨은 거리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므로, 거리가 2배 멀어지면 음압레벨은 1/√2 (약 0.7)배가 됩니다. 이를 데시벨로 변환하면 20log(1/√2) ≈ -6dB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투과 손실이 32dB인 벽체의 투과율은?

  1. 3.2×10-3
  2. 3.2×10-4
  3. 6.3×10-3
  4. 6.3×10-4
(정답률: 50%)
  • 투과 손실과 투과율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투과 손실(dB) = -10log10(투과율)

    따라서, 투과 손실이 32dB일 때 투과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32 = -10log10(투과율)

    -32/10 = log10(투과율)

    -3.2 = log10(투과율)

    10-3.2 = 투과율

    투과율을 계산하면 6.3×10-4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3×10-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소음제어를 위한 방법 중 기류음(공기음)의 발생대책이 아닌 것은?

  1. 분출유속의 저감
  2. 관의 곡률 완화
  3. 밸브의 다단화
  4. 가진력 억제
(정답률: 50%)
  • 기류음(공기음)은 유체가 흐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유체의 분출유속이 빠르거나 곡률이 심한 관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분출유속의 저감과 관의 곡률 완화, 그리고 밸브의 다단화는 기류음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가진력 억제는 기류음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으로, 이 보기에서는 소음제어를 위한 방법 중에서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