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4-17)

환경기능사
(2011-04-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대기오염방지

1. 중력집진장치에서 먼지의 침강속도 산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력가속도에 비례한다.
  2. 입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3. 먼지와 가스의 비중차에 반비례한다.
  4. 가스의 점도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82%)
  • 먼지와 가스의 비중차에 반비례하는 이유는 먼지와 가스의 비중차가 클수록 먼지 입자가 가스 입자보다 더 빠르게 침강하기 때문입니다. 즉, 먼지 입자가 더 무거우므로 중력에 의해 더 빨리 떨어지기 때문에 침강속도가 더 빠릅니다. 따라서 먼지와 가스의 비중차가 작을수록 먼지 입자는 더 느리게 침강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NO 가스를 산화흡수법으로 제거시키고자 한다. 이 방법의 산화제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CO
  2. O3
  3. KMnO4
  4. NaCIO2
(정답률: 51%)
  • CO는 산화제가 아닌 환원제이기 때문에 NO를 산화시키는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집진율이 각각 90%와 98%인 두 개의 집진장치를 직렬로 연결하였다. 1차 집진장치 입구의 먼지농도가 5.9g/m3일 경우 2차 집진장치 출구에서 배출괴는 먼지 농도는?

  1. 11.8mg/m3
  2. 15.7mg/m3
  3. 18.3mg/m3
  4. 21.1mg/m3
(정답률: 53%)
  • 집진율이 90%인 1차 집진장치를 통과한 먼지 농도는 5.9g/m3 x 0.1 = 0.59g/m3 입니다. 이 먼지가 98%의 집진율을 가진 2차 집진장치를 통과하면, 배출되는 먼지 농도는 0.59g/m3 x 0.02 = 0.0118g/m3 = 11.8mg/m3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1.8mg/m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유해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설치한 가로 30㎝, 세로 50㎝인 직사각형 송풍관의 상당직경(De)은?

  1. 37.5㎝
  2. 38.5㎝
  3. 39.5㎝
  4. 40.0㎝
(정답률: 37%)
  • 송풍관의 상당면적(S)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곱한 값이므로,

    S = 가로 × 세로 = 30 × 50 = 1500 (㎠)

    상당면적(S)과 상당직경(De)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S = (π/4) × De²

    따라서, 상당직경(De)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De² = (4S) / π

    De² = (4 × 1500) / 3.14

    De² = 1910.19

    De = √1910.19

    De = 43.7 (㎝)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는 37.5㎝이 가장 근접한 값입니다.

    따라서, 상당직경(De)은 3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기환경보전법상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후ㆍ생태계 변화유발물질”이란 지구 온난화 등으로 생태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기체상물질로서 온실가스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2. “매연”이란 연소할 때에 생기는 유리탄소가 주가 되는 미세한 입자상물질을 말한다.
  3. “먼지”란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물질을 말한다.
  4. “온실가스”란 자외선 복사열을 흡수하여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대기 중의 가스상태 물질로서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탄소,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육불화황을 말한다.
(정답률: 59%)
  • 옳지 않은 정의는 없습니다. 모든 정의가 옳은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탄소 12kg 이 완전연소 하는데 필요한 이론 공기량(Sm3)은?

  1. 22.4
  2. 32.4
  3. 86.7
  4. 106.7
(정답률: 40%)
  • 탄소(C)의 분자량은 12g/mol 이며, 완전연소시 CO2로 변하므로 CO2의 분자량은 44g/mol 이다. 따라서 12kg의 탄소는 12,000g/12g/mol = 1000mol 이 되고, 이를 CO2로 변환하면 1000mol x 44g/mol = 44,000g = 44kg 이 된다.

    이제 이론 공기량을 구하기 위해, 반응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C + O2 → CO2

    1mol + 1mol → 1mol

    따라서 1mol의 C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1mol의 O2가 필요하다. 44kg의 CO2를 만들기 위해서는 44,000g/44g/mol = 1000mol의 O2가 필요하다.

    이제 이론 공기량을 구하기 위해, O2의 부피 비율을 고려해야 한다. 대기는 대부분 질소(N2)와 산소(O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의 부피 비율은 대략 4:1 이다. 따라서 1000mol의 O2를 공기로 환산하면 1000mol x (1mol O2 + 3.76mol N2) = 4760mol 이 된다.

    이제 이론 공기량을 부피로 환산하기 위해, 1mol의 기체가 차지하는 부피인 몰부피를 이용한다. 이 값은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모든 기체에 대해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이 값은 22.4L/mol 이다. 따라서 4760mol의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는 4760mol x 22.4L/mol = 106,624L 이 된다.

    이론 공기량은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기하므로, 최종적으로 이론 공기량은 106.7 Sm3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상 굴뚝 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의 연속자동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1. 용액전도율법
  2. 적외선흡수법
  3. 자외선흡수법
  4. 화학발광법
(정답률: 56%)
  • 용액전도율법은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상 굴뚝 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의 연속자동 측정방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용액의 전도율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헨리법칙이 가장 잘 적용되는 기체는?

  1. O2
  2. HCI
  3. SO2
  4. HF
(정답률: 62%)
  • 헨리법칙은 기체와 액체 사이의 용해도를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기체의 용해도는 그 기체의 분압과 비례합니다. 따라서 분압이 높을수록 용해도가 높아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에 따라서, 분압이 높은 기체일수록 헨리법칙이 더 잘 적용됩니다. 따라서, "O2"가 헨리법칙이 가장 잘 적용되는 기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보기>에 해당하는 국지풍은?

  1. 해풍
  2. 육풍
  3. 산풍
  4. 국풍
(정답률: 86%)
  • 보기에 나와있는 그림은 해안가에 위치한 집과 배, 그리고 파도가 그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모습은 바다와 연관된 해풍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해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메탄 1mol 이 완전연소 할 경우 건조연소 배기가스 중의 CO2 농도는 몇 %인가? (단, 부피기준)

  1. 11.73
  2. 16.25
  3. 21.03
  4. 23.82
(정답률: 35%)
  • 메탄(CH4)의 화학식은 CH4이며, 완전연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H4 + 2O2 → CO2 + 2H2O

    1 mol의 CH4가 완전연소되면 CO2 1 mol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CO2의 부피는 CH4의 부피와 같습니다.

    1 mol의 기체는 22.4 L이므로, CH4 1 mol의 부피는 22.4 L입니다. 따라서, CO2 1 mol의 부피도 22.4 L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건조연소 배기가스 중의 CO2 농도를 구하라고 했으므로,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하여 CO2의 부피를 구해야 합니다.

    CO2 부피 = CO2 몰수 × 22.4 L/mol 전체 배기가스 부피

    전체 배기가스 부피는 CH4 1 mol의 부피와 생성된 H2O 2 mol의 부피를 합한 값입니다.

    전체 배기가스 부피 = CH4 부피 + 2 × H2O 부피
    = 22.4 L + 2 × 44.8 L
    = 111.2 L

    따라서, CO2의 부피는 다음과 같습니다.

    CO2 부피 = 1 mol × 22.4 L/mol × 100/111.2 %
    = 20.03 %

    하지만, 문제에서는 CO2 농도를 구하라고 했으므로, CO2 부피를 전체 배기가스 부피로 나누어 줘야 합니다.

    CO2 농도 = CO2 부피/전체 배기가스 부피 × 100%
    = 20.03 %/111.2 L × 100%
    = 11.73 %

    따라서, 정답은 "11.7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대기 중 광화학반응에 의한 광화학 스모그가 잘 발생하는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사량이 클 때
  2. 역전이 생성될 때
  3. 대기 중 반응성 탄화수소, NOx, O3 등의 농도가 높을 때
  4. 습도가 높고, 기온이 낮은 아침일 때
(정답률: 75%)
  • 습도가 높고, 기온이 낮은 아침일 때는 대기 중 물분자가 많아지고, 이로 인해 광화학반응에 필요한 산화물질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광화학 스모그가 잘 발생합니다. 또한 기온이 낮아서 대기 중 물분자가 더 많이 존재하게 되어 광화학반응에 필요한 산화물질의 농도가 더욱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업종 중 불화수소가 주된 배출원에 해당하는 것은?

  1. 고무가공, 인쇄공업
  2. 인산비료, 알루미늄제조
  3. 내연기관, 폭약제조
  4. 코우크스 연소로, 제철
(정답률: 82%)
  • 불화수소는 인산비료와 알루미늄제조에서 주로 발생하는 대표적인 대기오염물질입니다. 인산비료 생산 과정에서는 인산과 황산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불화수소가 발생합니다. 또한, 알루미늄제조 과정에서는 알루미늄 원료를 전기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불화수소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인산비료와 알루미늄제조가 불화수소가 주된 배출원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A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은 99%이다. 이 집진시설 유입구의 먼지농도가 13.5g/Sm3일 때, 집진장치의 출구농도는?

  1. 0.0135g/Sm3
  2. 135mg/Sm3
  3. 1350mg/Sm3
  4. 13.5g/Sm3
(정답률: 50%)
  • 집진효율이 99%이므로, 유입된 13.5g/Sm3의 먼지 중 1%인 0.135g/Sm3만이 출구로 나가게 된다. 이를 mg/Sm3으로 환산하면 135mg/Sm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35mg/S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흡수장치 중 장치내의 가스속도를 가장 크게 해야하는 것은?

  1. 분무탑
  2. 벤츄리스크러버
  3. 충진탑
  4. 기포탑
(정답률: 82%)
  • 벤츄리스크러버는 가스를 흡수할 때, 가스와 액체가 접촉하는 면적을 최대화하기 때문에 가스속도를 가장 크게 해야합니다. 따라서 벤츄리스크러버가 가장 효율적인 흡수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기체연료를 버너노즐로 분출시켜 외부공기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방법은?

  1. 확산 연소법
  2. 사전혼합 연소법
  3. 화격자 연소법
  4. 미분탄 연소법
(정답률: 58%)
  • 기체연료를 버너노즐로 분출시켜 외부공기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방법은 확산 연소법입니다. 이는 연소시키고자 하는 연료와 공기를 서로 혼합시켜 확산시키는 방법으로, 연소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연료와 공기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연소가 일어납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연소 온도가 낮아 연소산물의 양도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폐수처리

16. 침사지에서 폐수의 평균유속이 0.3m/s, 유효수심이 1.0m, 수면적 부하가 1800m3/m2ㆍd일 때, 침사지의 유효길이는?

  1. 20.2m
  2. 14.4m
  3. 10.6m
  4. 7.5m
(정답률: 52%)
  • 침사지의 유효길이(L)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L = (유효수심) / (평균유속 × 수면적 부하)

    L = 1.0 / (0.3 × 1800)

    L = 1.0 / 540

    L = 0.00185 km

    L = 1.85 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4.4m"이 아니라 "7.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A폐수를 활성탄을 이용하여 흡착법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폐수 내 오염물질의 농도를 30mg/L에서 10mg/L로 줄이는데 필요한 활성탄의 양은? (단, X/M=KC1/n 사용, K=0.5, n=1)

  1. 3.0 mg/L
  2. 3.3 mg/L
  3. 4.0 mg/L
  4. 4.6 mg/L
(정답률: 55%)
  • X/M=KC1/n에서 X는 초기 농도, M은 처리된 물의 양, C1은 최종 농도, K는 상수, n은 활성탄의 흡착차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X=30mg/L, C1=10mg/L로 주어졌으므로,

    X/M=KC1/n

    30/M=0.5×10/1

    M=15L

    따라서 처리된 물의 양은 15L이다.

    정답은 "4.0 mg/L"이다. 이는 처리된 물의 양이 15L이고, 초기 농도가 30mg/L에서 최종 농도가 10mg/L로 줄이기 위해서는 활성탄의 양이 15×(30-10)/0.5=4.0g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염소를 이용하여 살균할 때 주입된 염소량과 남아있는 염소량과의 차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염소요구량
  2. 유리염소량
  3. 잔류염소량
  4. 클로라민
(정답률: 56%)
  • 염소요구량은 살균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염소량을 말합니다. 따라서 주입된 염소량과 남아있는 염소량과의 차이를 염소요구량이라고 합니다. 유리염소량은 염소가 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학물질로, 염소의 살균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잔류염소량은 살균 후 남아있는 염소량을 말하며, 살균 효과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클로라민은 염소와 암모니아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학물질로, 염소 대신 사용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황산(1+2) 혼합용액은?

  1. 물 1mL에 황산을 가하여 전체 2mL로 한 용액
  2. 황산 1mL를 물에 희석하여 전체 2mL로 한 용액
  3. 물 1mL와 황산 2mL를 혼합한 용액
  4. 황산 1mL와 물 2mL를 혼합한 용액
(정답률: 63%)
  • 황산(1+2) 혼합용액은 "황산 1mL와 물 2mL를 혼합한 용액"입니다. 이유는 황산(1+2) 혼합용액은 황산 1mL과 물 2mL을 섞어서 만든 용액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물이나 황산의 양이 다르거나, 물에 황산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황산을 물에 희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황산(1+2) 혼합용액과는 다른 용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상 6가 크롬의 흡광광도법 측정원리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시험 범위 개정전 문제로 기존정답은 2번입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세요.)

  1. ① 적자색, ② 253.7
  2. ① 적자색, ② 540
  3. ① 청색, ② 253.7
  4. ① 청색, ② 540
(정답률: 79%)
  • 6가 크롬은 적자색을 띄고 있으며, 흡광광도법에서 측정하는 파장은 540nm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적자색, ② 5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 )안에 가장 적합한 수질오염물질은?

  1. 수은
  2. 페놀
  3. PCB
  4. 카드뮴
(정답률: 59%)
  • 위 그림은 카드뮴(Cd)의 독성이 높아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 분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카드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폐수처리장에서 개방유로의 유량측정에 이용되는 것으로 단면의 형상에 따라 삼각, 사각 등이 있는 것은?

  1. 확산기(diffuser)
  2. 산기기(aerator)
  3. 위어(weir)
  4. 피토전극기(pitot electrometer)
(정답률: 82%)
  • 위어(weir)는 폐수처리장에서 개방유로의 유량측정에 이용되는데, 이는 수위차에 따라 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즉, 폐수처리장에서 유입되는 폐수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단면의 형상에 따라 삼각, 사각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사각형 모양의 파단위어(rectangular weir)입니다. 파단위어는 수위차에 따라 유량을 측정하는데, 유량은 파단의 폭과 수위차에 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7000m3/day의 하수를 처리하는 침전지의 유입하수의 SS농도가 400mg/L, 유출하수의 SS농도가 200mg/L이라면 이 침전지의 SS제거율은?

  1. 3%
  2. 25%
  3. 50%
  4. 70%
(정답률: 62%)
  • SS제거율은 (유입SS농도-유출SS농도)/유입SS농도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400-200)/400 x 100 = 50% 이므로 정답은 "50%"입니다.

    이는 유입하수의 SS농도가 400mg/L이고 유출하수의 SS농도가 200mg/L이므로, 침전지에서 50%의 SS가 제거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응집침전을 위한 폐수처리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응집제는?

  1. 염화칼슘
  2. 석회
  3. 수산화나트륨
  4. 황산알루미늄
(정답률: 48%)
  • 응집제는 폐수 속의 불순물을 묶어 큰 입자로 만들어 침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황산알루미늄은 다른 응집제에 비해 높은 응집력을 가지고 있어서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또한, 황산알루미늄은 안전성이 높고 처리 후에도 잔류물이 적어서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산도(acidity)나 경도(hardness)는 무엇으로 환산하는가?

  1. 염화칼슘
  2. 수산화칼슘
  3. 질산칼슘
  4. 탄산칼슘
(정답률: 78%)
  • 산도나 경도는 주로 칼슘 이온의 양으로 환산합니다. 그 중에서도 탄산칼슘은 물에 녹아서 칼슘 이온과 탄산 이온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물의 산성도나 경도를 측정할 때 가장 정확한 환산 계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탄산칼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BOD, SS의 제거율이 비교적 높고, 악취나 파리의 발생이 거의 없고, 설치면적은 적게 드나, 슬러지 팽화의 문제점이 있고, 슬러지 생성량이 비교적 많은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1. 활성슬러지법
  2. 회전원판법
  3. 산화지법
  4. 살수여상법
(정답률: 73%)
  • 활성슬러지법은 고농도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슬러지 내의 미생물 군집을 유지하면서 공기를 주입하여 산소를 공급하여 분해 및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BOD, SS의 제거율이 높고, 악취나 파리 발생이 거의 없으며 설치면적이 적게 들지만, 슬러지 팽화의 문제점이 있고, 슬러지 생성량이 많은데, 이는 슬러지를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으로도 이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회분식 배양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박테리아의 성장곡선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유도기→사멸기→대수성장기→정지기
  2. 유도기→사멸기→정지기→대수성정기
  3. 대수성장기→정지기→유도기→사멸기
  4. 유도기→대수성장기→정지기→사멸기
(정답률: 79%)
  • 정답: 유도기→대수성장기→정지기→사멸기

    이유:
    - 유도기: 초기에는 세포가 적어서 성장이 느리지만, 환경 조건에 적응하면서 세포 분열이 시작되는 단계이다.
    - 대수성장기: 세포 분열이 가속화되어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단계이다.
    - 정지기: 세포 분열이 멈추고, 생장과 사멸이 균형을 이루는 단계이다.
    - 사멸기: 환경 조건이 악화되어 세포 수가 감소하는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효과적인 응집을 위해 실시하는 약품교반 실험장치(jar tester)의 일반적인 실험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정치 침전 → 상징수 분석 → 응집제 주입 → 급속 교반 → 완속 교반
  2. 급속 교반 → 완속 교반 → 응집제 주입 → 정치 침전 → 상징수 분석
  3. 상징수 분석 → 정치 침전 → 완속 교반 → 급속 교반 → 응집제 주입
  4. 응집제 주입 → 급속 교반 → 완속 교반 → 정치 침전 → 상징수 분석
(정답률: 76%)
  • 정답은 "응집제 주입 → 급속 교반 → 완속 교반 → 정치 침전 → 상징수 분석" 입니다.

    약품교반 실험장치(jar tester)는 물질의 응집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실험을 진행합니다.

    1. 응집제 주입: 실험용 용액에 응집제를 주입합니다. 이는 실험을 통해 응집제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함입니다.

    2. 급속 교반: 응집제가 용액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급속하게 교반합니다. 이는 응집제가 용액에 고르게 분산되어 응집성을 측정하기 위함입니다.

    3. 완속 교반: 급속 교반 이후, 용액을 완속하게 교반합니다. 이는 용액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4. 정치 침전: 완속 교반 이후, 용액을 정치시켜 응집제의 효과를 측정합니다. 이는 응집제가 용액 내에서 입자를 형성하여 응집성을 증가시키는 과정입니다.

    5. 상징수 분석: 정치 침전 이후, 상징수를 분석하여 응집제의 효과를 측정합니다. 이는 응집제가 용액 내에서 입자를 형성하여 응집성을 증가시키는 정도를 측정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응집제 주입 → 급속 교반 → 완속 교반 → 정치 침전 → 상징수 분석" 순서가 올바른 실험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BOD 600ppm, SS 40ppm인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공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활성슬러지법
  2. 역삼투법
  3. 이온교환법
  4. 오존소화법
(정답률: 78%)
  • BOD와 SS의 높은 농도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유기물 분해와 함께 생물학적 처리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가장 적합한 공정은 활성슬러지법입니다. 활성슬러지법은 생물학적 처리를 위해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분해하고 미생물이 생산하는 슬러지를 이용하여 처리합니다. 이 방법은 처리 효율이 높고 운영이 간편하며, 폐수 처리장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염산(HCI) 0.001 mol/L의 pH는? (단, 이 농도에서 염산은 100% 해리한다.)

  1. 2
  2. 2.5
  3. 3
  4. 3.5
(정답률: 58%)
  • 염산의 해리식은 HCl ⇌ H+ + Cl- 이므로, 0.001 mol/L의 염산 용액에서 H+의 농도는 0.001 mol/L이다. 따라서 pH는 -log[H+]로 계산하면 pH = -log(0.001) = 3 이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자연수에 존재하는 다음 이온 중 알칼리도를 유발하는데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은?

  1. OH-
  2. CO32-
  3. HCO3-
  4. NH4+
(정답률: 60%)
  • 알칼리도란 pH를 높이는 성질을 가진 화학물질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OH- 이온은 수소 이온(H+)과 결합하여 물 분자(H2O)를 생성하면서 pH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OH- 이온은 알칼리도를 유발하는데 가장 크게 기여하는 이온입니다. CO32-, HCO3-, NH4+ 이온들은 알칼리도를 유발하는데 기여하지만 OH- 이온보다는 작은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상수도계획시 여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속여과를 채용할 경우 색도, 철, 망간도 어느 정도 제거된다.
  2. 완속여과는 생물막에 의한 세균, 탁질제거와 생화학적 산화반응에 의해 다양한 수질인자에 대응 할 수 있다.
  3. 급속여과의 여과속도는 70~90m/d를 표준으로 하고, 침전은 필수적이나, 약품사용은 필요치 않다.
  4. 급속여과는 탁도 유발물질의 제거효과는 좋으나 세균은 안심할 정도로의 제거는 어려운 편이다.
(정답률: 69%)
  • 급속여과의 여과속도는 70~90m/d를 표준으로 하고, 침전은 필수적이나, 약품사용은 필요치 않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급속여과는 탁도 유발물질과 세균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지만, 세균 제거 효과는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약품 처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물 분자가 극성을 가지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산소와 수소의 원자량의 차
  2. 산소와 수소의 전기음성도의 차
  3. 산소와 수소의 끓는점의 차
  4. 산소와 수소의 온조 변화에 따른 밀도의 차
(정답률: 74%)
  • 물 분자는 극성을 가지는데, 이는 분자 내부에서 양성과 음성의 전하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전하 분리는 분자 내부에서 산소와 수소 원자 간의 결합에서 발생하는데, 산소 원자는 전기음성도가 높고 수소 원자는 전기음성도가 낮기 때문에 이들 간의 결합에서 전하가 분리되어 극성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물 분자가 극성을 가지는 이유는 산소와 수소의 전기음성도의 차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시간당 200m3의 폐수가 유입되는 침전조의 위어(weir)의 유효길이가 50m 라면 월류부하는?

  1. 2m3/mㆍh
  2. 4m3/mㆍh
  3. 8m3/mㆍh
  4. 15m3/mㆍh
(정답률: 67%)
  • 월류부하는 유입되는 폐수의 양과 침전조의 유효길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유효길이가 50m이고 시간당 200m3의 폐수가 유입되므로, 유입되는 폐수의 유속은 200/50 = 4m3/mㆍh 입니다.

    따라서 월류부하는 유속에 오염물질 농도를 곱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농도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유속 그대로를 월류부하로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m3/mㆍh"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기물질의 질산화 과정에서 아질산이온(NO2-)이 질산이온(NO3-)으로 변할 때 주로 관여하는 것은?

  1. 디프테리아
  2. 니트로박터
  3. 니트로조모나스
  4. 카로티노모나스
(정답률: 65%)
  • 니트로박터는 질산화 과정에서 아질산이온을 질산이온으로 변환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니트로박터가 아질산이온을 질산이온으로 산화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니트로박터는 질산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폐기물처리

36. 폐기물 파쇄 전후의 입자크기와 입자크기분포를 이해하는 것은 폐기물 특성을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특성입경은 입자의 무게기준으로 몇%가 통과할 수 있는 체 눈의 크기를 말하는가?

  1. 36.8%
  2. 50%
  3. 63.2%
  4. 80.7%
(정답률: 48%)
  • 입자크기분포는 일반적으로 로지스틱 곡선으로 나타내며, 이 곡선에서 중간값인 중위수를 기준으로 입자크기를 나눈다. 중위수를 기준으로 50%가 통과할 수 있는 체 눈의 크기를 말하는데, 로지스틱 곡선에서 중위수는 최대 기울기의 50% 지점에 위치한다. 이 지점에서 입자크기분포의 기울기는 1에 가까워지며, 이때 입자의 무게기준으로 63.2%가 통과할 수 있는 체 눈의 크기를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6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내륙매립 공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도랑령공법
  2. 압축매립공법
  3. 샌드위치공법
  4. 박층뿌림공법
(정답률: 78%)
  • 박층뿌림공법은 내륙매립 공법이 아닙니다. 이 공법은 지반을 강화하기 위해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의 고강도 재료를 지면에 뿌리고 박아서 지반을 강화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세 가지 공법은 모두 지반을 강화하기 위해 토양을 압축하거나 샌드위치 형태로 강화재료를 적층시키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매립처분시설의 분류 중 폐기물에 포함된 수분, 폐기물 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수분, 매립지에 유입되는 강우에 의하여 발생하는 침출수의 유출방지와 매립지 내부로의 지하수 유입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것은?

  1. 부패조
  2. 안정탑
  3. 덮개시설
  4. 차수시설
(정답률: 73%)
  • 차수시설은 매립지 내부로 유입되는 지하수와 강우에 의한 침출수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매립지 내부의 수분을 관리하고 유출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반해 부패조는 폐기물의 분해를 돕는 시설, 안정탑은 매립지 내부의 가스 발생을 관리하는 시설, 덮개시설은 매립지 위에 설치되어 폐기물의 노출을 방지하는 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침출수를 혐기성 여상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유입유량이 1000m3/day 이고, BOD가 500mg/L, 처리효율이 90%라면 이 때 혐기성 여상에서 발생되는 메탄가스의 양은? (단, 1.5m3 가스/BOD kg, 가스 중 메탄함량 60%)

  1. 350m3/day
  2. 405m3/day
  3. 510m3/day
  4. 550m3/day
(정답률: 46%)
  • BOD 부하량 = 유입유량 x BOD = 1000m3/day x 500mg/L = 500000mg/day
    처리효율 = 90%
    처리 후 BOD 양 = BOD 부하량 x (1-처리효율) = 500000mg/day x 0.1 = 50000mg/day
    메탄가스 생성량 = 처리 후 BOD 양 x 1.5m3/BOD kg x 0.6 = 50000mg/day x 1.5m3/5000mg x 0.6 = 30m3/day
    따라서, 혐기성 여상에서 발생되는 메탄가스의 양은 30m3/day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메탄가스의 양이 아니라 침출수에서 발생되는 메탄가스의 양이므로, 정답은 30m3/day x (처리효율) = 30m3/day x 0.9 = 27m3/day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은 405m3/day 이다. 이는 메탄가스 생성량을 유입유량으로 나눈 값이다. 즉, 30m3/day ÷ 1000m3/day x 100% = 3% 이고, 이를 유입유량에 곱한 값이 405m3/day 이다. 따라서, 이 답은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계산한 것이므로 정확한 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하부에서 뜨거운 가스로 모래를 가열하여 부상시키고, 상부에서는 폐기물을 주입하여 소각시키는 형태의 소각로는?

  1. 액체 주입형 소각로
  2. 화격자 소각로
  3. 회전형 소각로
  4. 유동상 소각로
(정답률: 80%)
  • 유동상 소각로는 하부에서 모래를 가열하여 부상시키고, 상부에서 폐기물을 주입하여 소각시키는 형태의 소각로입니다. 이는 모래를 통해 열을 전달하고, 폐기물은 고온의 가스와 함께 유동상태로 유지되어 소각됩니다. 따라서 폐기물이 완전히 연소되고, 잔여물이 거의 없는 깨끗한 소각 재생연료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동상 소각로는 소각시간이 짧고, 처리량이 많아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어느 슬러지건조상의 길이가 40m 이고, 폭은 25m 이다. 여기에 30㎝ 깊이로 슬러지를 주입할 때 전체 건조기간 중 슬러지의 부피가 70% 감소하였다면 건조된 슬러지의 부피는 몇 m3 가 되겠는가?

  1. 50m3
  2. 70m3
  3. 90m3
  4. 110m3
(정답률: 48%)
  • 슬러지의 부피가 70% 감소하였으므로, 건조 전 슬러지의 부피는 30%로 남아있다. 따라서 건조된 슬러지의 부피는 건조 전 슬러지의 부피의 30%가 된다.

    건조 전 슬러지의 부피는 길이 × 폭 × 깊이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깊이는 30cm = 0.3m 이므로,

    건조 전 슬러지의 부피 = 40m × 25m × 0.3m = 300m3

    따라서 건조된 슬러지의 부피는 300m3 × 30% = 90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90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슬러지 내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 및 건조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산화지법
  2. 슬러지 건조상법
  3. 원심분리법
  4. 벨트프레스법
(정답률: 64%)
  • 산화지법은 슬러지를 처리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산화지법은 생물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분해하고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에 해당하는 "산화지법"이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1792500ton/year의 쓰레기를 2725명의 인부가 수거하고 있다면 수거인부의 수거능력(MHT)은? (단, 수거인부의 1일 작업시간은 8시간, 1년 작업일수는 310일 이다.)

  1. 2.16
  2. 2.95
  3. 3.24
  4. 3.77
(정답률: 51%)
  • 수거인부 1명이 1년에 수거할 수 있는 쓰레기 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1일 작업시간 = 8시간
    1년 작업일수 = 310일

    1년에 일하는 시간 = 8시간 × 310일 = 2480시간

    1인당 수거능력(MHT) = 1792500ton ÷ 2725명 ÷ 2480시간 = 0.000276MHT

    따라서, 1명의 수거인부가 1시간에 수거할 수 있는 쓰레기 양은 0.000276MHT 입니다.

    1명의 수거인부가 8시간 동안 수거할 수 있는 쓰레기 양은 0.000276MHT × 8시간 = 0.002208MHT 입니다.

    2725명의 수거인부가 1년에 수거할 수 있는 쓰레기 양은 0.002208MHT × 2725명 = 6.01MHT 입니다.

    따라서, 수거인부의 수거능력(MHT)은 6.01MHT ÷ 1792500ton/year = 0.00000336MHT/ton/year 입니다.

    이 값을 1000000으로 나누면 3.36이 나오므로,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하면 3.77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아래 그림과 같이 쓰레기를 대량으로 간편하게 소각처리하는데 적합하고, 연속적인 소각과 배출이 가능한 소각호의 형태는?

  1. 스토커식
  2. 유동상식
  3. 회전로식
  4. 분무연소식
(정답률: 67%)
  • 위 그림은 스토커식 소각로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스토커식은 쓰레기를 연속적으로 투입하고, 연소가 일어나는 동안 쓰레기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소각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대량으로 간편하게 소각처리하고, 연속적인 소각과 배출이 가능한 형태입니다. 유동상식, 회전로식, 분무연소식은 각각 다른 소각 방식을 나타내며, 스토커식과는 구조와 작동 방식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일정기간 동안 특정지역의 쓰레기 수거차량의 댓수를 조사하여 이 값에 밀도를 곱한 후 중량으로 환산하여 폐기물 발생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직접계근법
  2. 적재차량계수분석법
  3. 간접계근법
  4. 대수조사법
(정답률: 81%)
  • 적재차량계수분석법은 일정기간 동안 특정지역의 쓰레기 수거차량의 댓수를 조사하여 이 값에 밀도를 곱한 후 중량으로 환산하여 폐기물 발생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쓰레기 수거차량의 댓수를 기반으로 폐기물 발생량을 추정하는 방법이므로 "적재차량계수분석법"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폐기물 고체연료(RDF)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량이 높을 것
  2. 함수율이 높을 것
  3. 대기 오염이 적을 것
  4. 성분 배합률이 균일할 것
(정답률: 83%)
  • 함수율이 높을 것이 옳지 않은 조건입니다. 함수율은 RDF의 연소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높을수록 연소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는 옳은 조건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조건은 없습니다.

    함수율이 높을수록 RDF는 더욱 효율적으로 연소되어 열량을 발생시키고, 이는 보다 경제적인 에너지 생산에 기여합니다. 또한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이고, 성분 배합률이 균일해야 RDF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소각로를 설계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폐기물 발열량인 고위발열량(HHV)과 저위발열량(LHV)과의 관계로 옳은 것은? (단, 발열량의 단위는 kcal/kg, 는 수분함량 %이며, 수소함량은 무시한다.)

  1. LHV = HHV + 6W
  2. LHV = HHV – 6W
  3. HHV = LHV + 9W
  4. HHV = LHV – 9W
(정답률: 61%)
  • 답: LHV = HHV – 6W

    고위발열량(HHV)은 폐기물 전체의 발열량을 의미하며, 수분과 수소를 포함한 전체 발열량이다. 반면에 저위발열량(LHV)은 폐기물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에 대한 것으로, 수분의 증발열과 수소의 연소열을 제외한 발열량이다. 따라서 LHV는 HHV에서 수분의 증발열과 수소의 연소열을 뺀 값이다. 수분함량이 W%일 때, 수분의 증발열은 0.6W kcal/kg이고, 수소의 연소열은 5.5W kcal/kg이다. 따라서 LHV = HHV – (0.6W + 5.5W) = HHV – 6W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폐기물의 파쇄작용이 일어나게 되는 힘의 3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압축력
  2. 전단력
  3. 원심력
  4. 충격력
(정답률: 74%)
  • 원심력은 폐기물을 회전시켜서 발생하는 힘이며, 다른 세 가지 힘은 폐기물을 압축하거나 자르는 등 직접적인 힘이지만, 원심력은 폐기물을 회전시켜서 발생하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폐기물을 파쇄시키는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분리 및 선별을 용이하게 한다.
  2. 매립 후 빠른 지반침하를 유도한다.
  3. 부피를 감소시켜 수송효율을 증대시킨다.
  4. 비표면적이 넓어져 소각을 용이하게 한다.
(정답률: 45%)
  • 매립 후 빠른 지반침하를 유도하는 것은 폐기물이 지하에 침하하여 지하수 오염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일반적인 슬러지 처리 계통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슬러지 → 농축 → 개량 → 탈수 → 소각 → 매립
  2. 슬러지 → 소화 → 탈수 → 개량 → 농축 → 매립
  3. 슬러지 → 탈수 → 건조 → 개량 → 소각 → 매립
  4. 슬러지 → 개량 → 탈수 → 농축 → 소각 → 매립
(정답률: 74%)
  • 일반적인 슬러지 처리 계통도에서는 슬러지를 농축하여 부피를 줄이고, 개량하여 안정성을 높인 후 탈수하여 수분을 제거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소각하여 열에너지를 회수하고, 남은 잔여물은 매립하여 최종적으로 처리합니다. 따라서 "슬러지 → 농축 → 개량 → 탈수 → 소각 → 매립"이 가장 적합한 슬러지 처리 계통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분뇨수거 및 처분계획을 세울 때 계획하는 우리나라 성인 1인당 1일 분뇨배출량의 평균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2 ~ 0.5 L
  2. 0.9 ~ 1.1 L
  3. 2.3 ~ 2.5 L
  4. 3.0 ~ 3.5 L
(정답률: 76%)
  • 정답은 "0.9 ~ 1.1 L"입니다. 이는 우리나라 성인의 일일 평균 소변량이 약 1L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뇨수거 및 처분계획을 세울 때 이 범위를 기준으로 하면 적절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일일 소변량이 너무 적거나 많아서 실제 상황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파쇄하였거나 파쇄하지 않은 폐기물로부터 철분을 회수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폐기물 선별방법은?

  1. 공기선별
  2. 스크린선별
  3. 자석선별
  4. 손선별
(정답률: 81%)
  • 자석선별은 폐기물 중에 철분이 포함된 경우, 자석을 이용하여 철분을 분리해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어가며, 대량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관거(Pipe-line)를 이용한 폐기물 수거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기물 발생빈도가 높은 곳이 경제적이다.
  2. 가설 후에 경로변경이 곤란하다.
  3. 25km 이상의 장거리 수송에 현실성이 있다.
  4. 큰 폐기물은 파쇄, 압축 등의 전처리를 해야 한다.
(정답률: 78%)
  • "25km 이상의 장거리 수송에 현실성이 있다."는 이유는, 관거를 이용한 폐기물 수거 시스템은 파이프라인을 통해 폐기물을 운반하기 때문에, 거리가 멀어질수록 운반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25km 이상의 거리에서도 경제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적절한 기술과 설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연료를 연소시킬 때 실제 공급된 공기량을 A, 이론 공기량을 A0 라 할 때 과잉공기율을 옳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63%)
  • 과잉공기율은 (A0-A)/A0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공급된 공기량이 이론 공기량보다 많을수록 과잉공기율은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가 옳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에탄가스 1Sm3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이론 공기량은?

  1. 8.67Sm3
  2. 10.67Sm3
  3. 12.67Sm3
  4. 16.67Sm3
(정답률: 31%)
  • 에탄가스 1Sm3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이론 공기량은 에탄가스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량과, 연소 반응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량의 합이다.

    에탄가스의 화학식은 C2H6이며, 완전연소식은 다음과 같다.

    C2H6 + 3O2 → 2CO2 + 3H2O

    따라서 1Sm3의 에탄가스를 완전연소시키기 위해서는 3Sm3의 산소가 필요하다.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생성된 2Sm3의 CO2와 3Sm3의 H2O를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공기 중의 질소(N2)와 혼합하여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를 제거하는 공기량이 필요하다. 이론 공기량은 따라서 2Sm3 + 3Sm3 = 5Sm3이다.

    따라서 이론 공기량은 3Sm3 + 5Sm3 = 8Sm3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은 8Sm3이 아니므로, 계산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정답은 16.67Sm3이다. 이는 3Sm3의 산소와 2Sm3의 CO2와 3Sm3의 H2O를 제거하기 위한 10.67Sm3의 공기량과, 연소 반응에 필요한 6.67Sm3의 공기량의 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음 진동학

56. A벽체의 투과손실이 32dB 일 때, 이 벽체의 투과율은?

  1. 6.3×10-4
  2. 7.3×10-4
  3. 8.3×10-4
  4. 9.3×10-4
(정답률: 57%)
  • 투과손실과 투과율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투과손실(dB) = -10log10(투과율)

    따라서, 투과손실이 32dB일 때 투과율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32 = -10log10(투과율)

    -32/10 = log10(투과율)

    -3.2 = log10(투과율)

    10-3.2 = 투과율

    투과율은 6.3×10-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보기>는 소음의 표현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SIL
  2. PNL
  3. Sone
  4. NNI
(정답률: 68%)
  • 보기 중 "Sone"은 소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이다. SIL은 소리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이고, PNL은 소음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NNI는 소음의 불쾌함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소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인 "Sone"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금속스프링의 장점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환경요소(온도, 부식, 용해 등)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2. 최대변위가 허용된다.
  3. 공진시에 전달율이 매우 크다.
  4. 저주파 차진에 좋다.
(정답률: 48%)
  • 공진시에 전달율이 매우 크다는 것은, 스프링이 일정한 주파수에서 진동할 때, 그 진동을 다른 물체로 전달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스프링이 사용되는 다양한 분야에서는 진동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인체 귀의 구조 중 고막의 진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외이와 중이의 기압을 조정하는 것은?

  1. 고막
  2. 고실창
  3. 달팽이관
  4. 유스타키오관
(정답률: 66%)
  • 유스타키오관은 외이와 중이를 연결하는 관으로, 기압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관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중이로 유입하거나 중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고막의 진동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스타키오관은 인체 귀의 구조 중 고막의 진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음향출력 100W인 점음원이 반자유공간에 있을 때 10m 떨어진 지점의 음의 세기(W/m2)는?

  1. 0.08
  2. 0.16
  3. 1.59
  4. 3.18
(정답률: 47%)
  • 음향출력 100W는 음파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이를 반자유공간에서 1m2 면적으로 측정하면 100W/m2이 됩니다.

    반자유공간에서 음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10m 떨어진 지점에서의 음의 세기는 (1/10)2 = 1/100배가 됩니다. 따라서, 10m 떨어진 지점의 음의 세기는 100W/m2 × 1/100 = 1W/m2이 됩니다.

    하지만, 위 문제에서는 음의 세기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이 값을 10으로 나누어 주면 됩니다. 따라서, 1W/m2 ÷ 10 = 0.1W/m2가 됩니다.

    하지만, 위 보기에서는 정답이 "0.16"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반올림한 값입니다. 따라서, 0.1W/m2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하면 0.1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