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07)

산업안전기사
(2010-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안전관리론

1. 연습의 방법 중 전습법(whole method)의 장점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망각이 적다.
  2. 연합이 생긴다.
  3. 길고 복잡한 학습에 적당하다.
  4. 학습에 필요한 반복이 적다.
(정답률: 61%)
  • 정답: "학습에 필요한 반복이 적다."

    전습법은 학습할 내용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한 번에 실행하는 방법이다. 이에 따라 망각이 적고 연합이 생기는 장점이 있지만, 길고 복잡한 학습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유는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실행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세부적인 부분을 반복적으로 학습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습에 필요한 반복이 적다는 장점은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종업원 1000명이 근무하는 S 사업장의 강도율이 0.40이었다. 이 사업장에서 연간 재해발생으로 인한 근로손실일 수는 총 며칠인가?

  1. 480
  2. 720
  3. 960
  4. 1440
(정답률: 64%)
  • 강도율이 0.40이므로 1000명 중 400명이 한 번 이상 강도에 당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근로손실일 수는 400명의 근로자가 강도로 인해 일을 못하는 일수와 같다. 연간 근로일수는 대체로 250일로 가정하므로, 400명 x 250일 = 100,000일이 된다. 따라서 연간 재해발생으로 인한 근로손실일 수는 100,000일이며, 이는 960일로 근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9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학습지도의 형태에서 몇 사람의 전문가에 의해 과정에 관한 견해를 발표하고 참가자로 하여금 의견이나 질문을 하게 하는 토의방식은?

  1. 포럼(Forum)
  2. 심포지엄(Symposium)
  3. 버즈세션(Buzz session)
  4. 자유토의법(Free Discussion Method)
(정답률: 80%)
  • 심포지엄은 몇 사람의 전문가에 의해 과정에 관한 견해를 발표하고 참가자로 하여금 의견이나 질문을 하게 하는 토의방식이다. 이는 포럼과 유사하지만, 포럼은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것에 비해, 심포지엄은 전문가들의 발표와 토의를 중심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버즈세션은 참가자들이 작은 그룹으로 나누어 토의하는 방식이며, 자유토의법은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내 안전보건, 교육 중 근로자 정기 안전ㆍ보건교육의 교육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2.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3. 유해ㆍ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4. 표준안전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에 관한 사항
(정답률: 73%)
  • 표준안전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은 근로자에게 교육하는 내용이 아니라,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들이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업이 제시하는 안전 절차와 방법을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근로자 정기 안전ㆍ보건교육의 교육 내용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인간의 심리 중에는 안전수단이 생략되어 불안전 행위가 나타나는데 다음 중 안전수단이 생략되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의식과잉이 있는 경우
  2. 작업규율이 엄한 경우
  3. 피로하거나 과로한 경우
  4. 조명, 소음 등 주변 환경의 영향이 있는 경우
(정답률: 80%)
  • 작업규율이 엄한 경우는 안전수단을 생략하게 되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작업규율이 엄격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수단을 생략할 여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의식과잉이 있는 경우나 피로하거나 과로한 경우는 안전수단을 생략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조명, 소음 등 주변 환경의 영향이 있는 경우도 안전수단을 생략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적응기제(適應機制)에 있어 도피적 기제의 유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합리화
  2. 고립
  3. 퇴행
  4. 억압
(정답률: 78%)
  • 적응기제(適應機制)에 있어 도피적 기제의 유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합리화"입니다. 합리화는 현실적이지 않은 생각이나 행동을 합리적으로 보이도록 변형하는 방식으로, 도피적 기제가 아닌 방어적 기제에 해당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실패한 일을 자신의 능력 부족으로 해석하지 않고,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실패했다고 합리화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허츠버그(F.Herzberg)의 위생-동기요인에 관한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생요인은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이론에서 생리적ㆍ안전ㆍ사회적 욕구와 비슷하다.
  2. 동기요인은 맥그리거(McGrerer)의 X이론과 비슷하다.
  3. 위생요인은 생존, 환경 등의 인간의 동물적인 욕구를 반영하는 것이다.
  4. 동기요인은 성취, 인정 등의 자아실현을 하려는 인간의 독특한 경향을 반영하는 것이다.
(정답률: 71%)
  • "동기요인은 맥그리거(McGrerer)의 X이론과 비슷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허츠버그의 위생-동기요인 이론은 위생요인과 동기요인으로 나누어 인간의 동기를 설명하는 반면, 맥그리거의 X이론은 인간의 성격을 X(부정적)와 Y(긍정적)로 나누어 설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두 이론은 서로 다른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헤드십(headship)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사와 부하의 사회적 간격은 넓다.
  2. 지휘형태는 권위주의적이다.
  3. 상사와 부하의 관계는 지배적이다.
  4. 상사의 권한 근거는 비공식적이다.
(정답률: 82%)
  • "상사의 권한 근거는 비공식적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헤드십은 상사와 부하 간의 관계에서 상사가 지배적인 역할을 하며, 권위주의적인 지휘형태를 취합니다. 상사와 부하의 사회적 간격이 넓다는 것은 상사와 부하 간의 지위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중대재해(Major Accident)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3개월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자가 동시에 2명이상 발생한 재해
  2.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5명 이상 발생한 재해
  3. 부상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4.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정답률: 72%)
  • 직업성 질병은 산업안전보건법상 중대재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중대재해를 "화재, 폭발, 동력기계의 파손, 구조물의 붕괴, 유독가스 유출 등으로 인하여 1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거나 30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하거나 3개월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한 경우"로 정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5명 이상 발생한 재해는 중대재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인증대상 기계⋅기구의 안전인증표시로 옳은 것은?

(정답률: 82%)
  • ""이 옳은 안전인증표시인 이유는 이 표시는 "CE" 마크로, 유럽연합에서 제정한 기계및 전기용품 안전규격을 준수하고 있음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하인리히의 사고예방대책 기본원리 5단계 중 제1단계에서 실시하는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안전관리규정의 작성
  2. 문제점의 발견
  3. 책임과 권한의 부여
  4. 안전관리조직의 편성
(정답률: 55%)
  • 제1단계에서는 "문제점의 발견"을 실시한다. 이는 안전관리를 위해 문제점을 발견하고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안전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들을 나타내지만, "문제점의 발견"은 안전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원리 중 하나로, 안전관리를 시작하는 첫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금지표시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금연
  2. 출입금지
  3. 차량통행금지
  4. 적재금지
(정답률: 64%)
  • 적재금지는 산업안전보건법상 금지표시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적재금지는 보통 창고나 차고 등에서 사용되는 표시로, 해당 공간에 물건을 적재하면 안 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안전⋅보건교육계획을 수립할 때 계획에 포함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교육장소와 방법
  2. 교육의 과목 및 교육내용
  3. 교육담당자 및 강사
  4. 교육기자재 및 평가
(정답률: 74%)
  • 안전⋅보건교육계획을 수립할 때 포함되어야 할 사항은 교육장소와 방법, 교육의 과목 및 교육내용, 교육담당자 및 강사입니다. 이들은 교육과정의 핵심적인 부분을 이루기 때문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합니다. 반면, 교육기자재 및 평가는 교육과정을 보완하는 요소로서 중요하지만, 교육과정의 핵심적인 부분은 아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안전관리 조직의 종류와 설명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Line 형 : 명령과 보고관계가 간단, 명료하다.
  2. Line 형 : 경영자의 조언과 자문역할을 하는 부서가 있다.
  3. Staff 형 : 명령계통과 조언 권고적 참여가 혼동되기 쉽다.
  4. Line & Staff 형 : 생산부분은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다.
(정답률: 76%)
  • "Line 형 : 명령과 보고관계가 간단, 명료하다."는 올바른 연결입니다. 이는 Line 형 안전관리 조직이 생산부서와 같은 직무를 수행하며, 명령과 보고관계가 간단하고 명료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무재해운동의 이념에서 “선취의 원칙”을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1. 사고의 잠재요인을 사후에 파악하는 것
  2. 근로자 전원이 일체감을 조성하여 참여하는 것
  3. 위험요소를 사전에 발견, 파악하여 재해를 예방하거나 방지하는 것
  4. 관리감독자 또는 경영총회에서의 자발적 참여로 안전 활동을 촉진하는 것
(정답률: 86%)
  • 무재해운동의 이념에서 "선취의 원칙"은 위험요소를 사전에 발견, 파악하여 재해를 예방하거나 방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예방조치를 취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위험요소를 사전에 발견, 파악하여 재해를 예방하거나 방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작업자가 보행 중 바닥에 미끄러지면서 상자에 머리를 부딪쳐 머리에 상해를 입었다면 이 때 기인물에 해당 하는 것은?

  1. 바닥
  2. 상자
  3. 전도
  4. 머리
(정답률: 67%)
  • 기인물은 사고가 발생한 원인이 되는 요소를 말합니다. 이 경우 작업자가 미끄러져 상자에 머리를 부딪쳐 상해를 입었으므로, 사고의 원인은 바닥의 미끄러움입니다. 따라서 기인물은 "바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경험한 내용이나 학습된 행동을 다시 생각하여 작업에 적용하지 아니하고 방치함으로서 경험의 내용이나 인상이 약해지거나 소멸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착각
  2. 훼손
  3. 망각
  4. 단절
(정답률: 79%)
  • 망각은 경험한 내용이나 학습된 행동을 다시 생각하여 작업에 적용하지 아니하고 방치함으로서 경험의 내용이나 인상이 약해지거나 소멸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착각"은 기억이 잘못되어 생긴 오류를 의미하며, "훼손"은 손상되거나 파괴되는 것을 의미하며, "단절"은 끊어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보호구에 있어 자율안전확인 제품에 표시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제조자명
  2. 자율안전확인의 표시
  3. 사용기한
  4. 제조번호 및 제조연월
(정답률: 56%)
  • 사용기한은 제품의 유효기간을 나타내며,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표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사용기한"이 아닌 다른 항목들은 자율안전확인 제품에 표시되어야 하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재해사례연구의 순서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재해상황 파악 → 문제점 발견 → 사실 확인 → 근본 문제점 결정 → 대책 수립
  2. 문제점 발견 → 재해상황 파악 → 사실 확인 → 근본 문제점 결정 → 대책 수립
  3. 재해상황 파악 → 사실 확인 → 문제점 발견 → 근본 문제점 결정 → 대책 수립
  4. 문제점 발견 → 재해상황 파악 → 대책 수립 → 근본 문제점 결정 → 사실 확인
(정답률: 62%)
  • 정답은 "재해상황 파악 → 사실 확인 → 문제점 발견 → 근본 문제점 결정 → 대책 수립" 입니다.

    재해사례연구는 재해가 발생한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발견하며, 사실을 확인한 후 근본 문제점을 결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이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재해상황 파악 → 사실 확인 → 문제점 발견 → 근본 문제점 결정 → 대책 수립"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엇이든지 좋으니 많이 발언한다.
  2. 타인의 의견을 수정하여 발언한다.
  3. 누구든 자유롭게 발언하도록 한다.
  4. 제시된 의견에 대하여 문제점을 제시한다.
(정답률: 81%)
  • "제시된 의견에 대하여 문제점을 제시한다."는 브레인스토밍에서 긍정적인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해 지양해야 할 행동이기 때문에 틀린 설명이다. 브레인스토밍에서는 모든 의견을 수용하고, 비판하지 않으며,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은 다른 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다음 중 불(Bool) 대수의 정리를 나타낸 관계식으로 틀린 것은?

  1. A+1=A
  2. A+A'=1
  3. A+AB=A
  4. A+A=A
(정답률: 49%)
  • 정답: "A+A=A"

    이유: 불(Bool) 대수에서 A+A=A는 항등원(identity)의 성질을 나타내는데, 이는 A와 A의 합집합은 A 자체와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A가 참(True)일 때 A+A는 참(True)이 되고, A가 거짓(False)일 때 A+A는 거짓(False)이 됩니다. 따라서 A+A=A는 항상 참(True)이 되어야 하지만, 거짓(False)인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에 틀린 관계식입니다.

    반면에 A+1=A는 보수(complement)의 성질을 나타내는데, 이는 A와 A의 보수(역)의 합집합은 모든 원소를 포함하는 전체 집합(1)과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A가 참(True)일 때 A+1은 참(True)이 되고, A가 거짓(False)일 때 A+1은 참(True)이 됩니다. 따라서 A+1=A는 항상 참(True)이 되는 옳은 관계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인간 전달 함수(Human Transfer Function)의 결점이 아닌 것은?

  1. 입력의 협소성
  2. 불충분한 직무 묘사
  3. 시점적 제약성
  4. 정신운동의 묘사성
(정답률: 59%)
  • 정신운동의 묘사성은 인간 전달 함수의 결점이 아닌 것이다. 이는 인간이 복잡한 정신적인 과정을 통해 정보를 처리하고 전달하기 때문에, 이러한 정신운동을 묘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는 인간 전달 함수의 결점이 아닌 오히려 필수적인 요소이다.

    입력의 협소성은 정보의 양이나 다양성이 부족하여 정보 전달에 제약이 생기는 것을 의미하며, 불충분한 직무 묘사는 직무의 내용이나 목적 등이 충분히 설명되지 않아 정보 전달에 제약이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시점적 제약성은 정보 전달의 시간적 제약이나 우선순위 등이 존재하여 정보 전달에 제약이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시각적 표시장치보다 청각적 표시장치를 사용 하여야 할 경우는?

  1. 메시지가 복잡한 경우
  2. 메시지의 내용이 긴 경우
  3. 직무상 수신자가 한 곳에 머무르는 경우
  4. 메시지가 즉각적인 행동이 요구되는 경우
(정답률: 78%)
  • "메시지가 즉각적인 행동이 요구되는 경우"는 시간이 중요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상 상황에서는 시각적 표시장치보다 청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하여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합니다. 또한, 작업 중인 사람이 시각적으로 바쁘거나, 시각적으로 정보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도 청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하여 중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사건수분석 (Event Tree Analysis ETA)의 작성사례 이다. A, B, C 에 들어갈 확률값들이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A : 0.01 B : 0.008 C : 0.03
  2. A : 0.008 B : 0.01 C : 0.2
  3. A : 0.01 B : 0.008 C : 0.5
  4. A : 0.3 B : 0.01 C : 0.008
(정답률: 63%)
  • ETA는 사건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기법으로, 사건들이 발생할 확률을 계산하여 전체 사건의 발생 확률을 예측한다.

    위의 사건수분석에서는 먼저 "기계고장"이 발생할 확률이 0.01로 설정되어 있다. 이후 "기계고장"이 발생하면 "발전기고장"이 발생할 확률이 0.008로 설정되어 있고, "발전기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전력공급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0.03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A : 0.01 B : 0.008 C : 0.5"가 정답이다. "A : 0.01 B : 0.008 C : 0.03"은 "전력공급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너무 낮게 설정되어 있고, "A : 0.008 B : 0.01 C : 0.2"는 "발전기고장"과 "전력공급불량"의 확률이 너무 높게 설정되어 있다. "A : 0.3 B : 0.01 C : 0.008"은 "기계고장"의 확률이 너무 높게 설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프레스 작업 중에 금형 내에 손이 오랫동안 남아 있어 발생한 재해의 경우 다음의 휴먼 에러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1. 시간 오류(timing error)
  2. 작위 오류(commission error)
  3. 순서 오류(sequent error)
  4. 생략 오류(omission error)
(정답률: 68%)
  • 정답: 시간 오류(timing error)

    설명: 프레스 작업 중에 금형 내에 손이 오랫동안 남아 있어 발생한 재해는 시간적인 요소가 중요한 작업에서 시간 오류(timing error)로 분류됩니다. 시간 오류는 작업의 시간적인 요소를 잘못 처리하거나 놓치는 오류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 작업자가 금형 내에 손이 오랫동안 남아 있어 발생한 재해는 작업 시간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거나 작업 시간을 지키지 않아 발생한 오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인간이 현존하는 기계를 능가하는 기능이 아닌 것은?

  1. 원칙을 적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한다.
  2. 관찰을 통해서 일반화하고 연역적으로 추리한다.
  3. 주위의 이상하거나 예기치 못한 사건들을 감지한다.
  4. 어떤 운용방법이 실패할 경우 다른 방법을 선택한다.
(정답률: 54%)
  • 정답은 "주위의 이상하거나 예기치 못한 사건들을 감지한다." 이다. 이는 인간의 직관력과 경험에 의해 결정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기계가 이를 능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 반면, 다른 보기들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을 능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관찰을 통해서 일반화하고 연역적으로 추리한다."는 인간의 추론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공지능 역시 이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n개의 요소를 가진 병렬 시스템에 있어 요소의 수명(MTTF)이 지수 분포를 따를 경우 이 시스템의 수명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MTFF×n
  2. MTFF×1/n
  3. MTFF(1+1/2+....+1/n)
  4. MTFF(1×1/2×....×1/n)
(정답률: 73%)
  • 정답은 "MTFF(1+1/2+....+1/n)"입니다.

    이유는 병렬 시스템에서 모든 요소가 동시에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의 수명은 모든 요소의 수명 중 가장 짧은 요소의 수명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모든 요소의 수명의 역수를 더한 값이 가장 짧은 요소의 수명의 역수가 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장 짧은 요소의 수명 = 1 / (1/MTTF1 + 1/MTTF2 + ... + 1/MTTFn)

    여기서 MTTF는 각 요소의 수명을 나타냅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 가장 짧은 요소의 수명 = 1/MTTF1 + 1/MTTF2 + ... + 1/MTTFn

    따라서, 시스템의 수명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의 수명 = 가장 짧은 요소의 수명 × n

    여기서 가장 짧은 요소의 수명은 위에서 구한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수명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시스템의 수명 = (1/MTTF1 + 1/MTTF2 + ... + 1/MTTFn) × n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시스템의 수명 = MTTF × (1+1/2+....+1/n)

    따라서, 정답은 "MTFF(1+1/2+....+1/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인간공학의 연구에서 기준 척도의 신뢰성(Reliability of criterion measure)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반복성
  2. 적절성
  3. 적응성
  4. 보편성
(정답률: 52%)
  • 기준 척도의 신뢰성은 해당 척도를 반복적으로 측정했을 때 얻는 결과의 일관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같은 조건에서 반복 측정을 했을 때 결과가 일정하게 나오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반복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작업이나 운동이 격렬해져서 근육에 생성되는 젖산의 제거속도가 생성속도에 미치지 못하면, 활동이 끝난 후에도 남아있는 젖산을 제거하기 위하여 산소가 더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호기산소
  2. 혐기산소
  3. 산소잉여
  4. 산소부채
(정답률: 63%)
  • 산소부채는 운동이나 작업으로 인해 생성된 젖산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량이 생성된 젖산의 양보다 적을 때 발생합니다. 이때 산소가 부족해져서 제거되지 못한 젖산이 쌓이면 근육통이나 피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운동 전후에 적절한 휴식과 식사, 산소공급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광원 혹은 반사광이 시계 내에 있으면 성가신 느낌과 불편감을 주어 시성능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광원으로부터의 직사휘광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광원을 시선에서 멀리 위치시킨다.
  2. 차양(visor) 혹은 갓(hood) 등을 사용한다.
  3. 광원의 휘도를 줄이고 광원의 수를 늘린다.
  4. 휘광원의 주위를 밝게 하여 광속발산(휘도)비를 늘린다.
(정답률: 53%)
  • 휘광원의 주위를 밝게 하여 광속발산(휘도)비를 늘리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이는 광원으로부터의 직사휘광을 더욱 강화시켜 시력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은 광원을 시선에서 멀리 위치시키거나 차양(visor) 혹은 갓(hood) 등을 사용하거나 광원의 휘도를 줄이고 광원의 수를 늘리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시스템 분석 및 설계에 있어서 인간공학의 가치와 거리가 먼 것은?

  1. 성능의 향상
  2. 사용자의 수용도 향상
  3. 작업 숙련도의 감소
  4. 사고 및 오용으로부터의 손실 감소
(정답률: 76%)
  • 작업 숙련도의 감소는 인간공학적인 설계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즉,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인 숙련도가 높아야 한다면, 시스템 설계자는 이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쉽게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들은 시스템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작업 숙련도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간공학적인 설계는 사용자의 작업 숙련도를 감소시키지 않고, 오히려 사용자의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가치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시스템 안전 프로그램 계획(SSPP)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안전자료의 수집과 갱신
  2. 시스템 안전의 기준 및 해석
  3. 위험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대책
  4. 경과와 결과의 보고
(정답률: 32%)
  • 위험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대책은 시스템 안전 프로그램 계획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는 시스템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없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결함수분석법에서 특정 조합의 기본사상들이 모두 결함으로 발생하였을 때 시스템의 고장사상을 일으키는 기본사상의 집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Cut sets
  2. Path sets
  3. Minimal cut set
  4. Minimal path sets
(정답률: 58%)
  • 결함함수분석법에서 특정 조합의 기본사상들이 모두 결함으로 발생하면, 이 조합을 차단하는 데 필요한 기본사상들의 집합을 "Cut sets"라고 한다. 이는 시스템의 고장사상을 일으키는 기본사상들의 집합을 나타내는 것으로, 시스템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ath sets"는 시스템 내의 경로들의 집합을 나타내며, "Minimal cut set"과 "Minimal path sets"는 각각 가장 적은 수의 기본사상으로 시스템의 고장을 일으키는 집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시스템의 고장을 일으키는 기본사상들의 집합을 나타내는 "Cut sets"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안전성 평가의 단계를 6단계로 구분하였을 때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안전대책
  2. 경제성 평가
  3. 관계 자료의 정비
  4. FTA에 의한 재평가
(정답률: 66%)
  • 안전성 평가의 6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안전성 평가의 범위 및 목적 설정
    2. 안전성 평가 대상 시스템 및 구성요소 파악
    3. 위험성 분석
    4. 안전성 평가 결과 분석 및 평가
    5. 안전성 개선 대책 수립
    6. 안전성 개선 대책 시행 및 평가

    따라서, "경제성 평가"는 안전성 평가의 단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경제성 평가는 프로젝트나 정책 등의 경제적 효과를 평가하는 것으로, 안전성 평가와는 별개의 평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그림]에서 시스템 위험분석 기법 중 PHA 가 실행되는 사이클의 영역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3%)
  • 정답은 "①"입니다.

    PHA(Preliminary Hazard Analysis)는 시스템 위험분석 기법 중 하나로, 시스템 설계 초기에 시스템 내부의 위험을 파악하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PHA는 시스템 설계 단계에서 실행되는 사이클의 영역에 해당합니다.

    ②는 FTA(Fault Tree Analysis)로, 시스템의 결함을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③은 ETA(Event Tree Analysis)로, 사건의 발생 가능성과 결과를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④는 HAZOP(Hazard and Operability Study)로, 시스템 내부의 위험과 운영 가능성을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PHA가 실행되는 사이클의 영역은 "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FT도에서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할 확률은 약 얼마인가? (단, X1과 X2의 발생확률은 각각 0.05, 0.03 이다.)

  1. 0.0015
  2. 0.0785
  3. 0.9215
  4. 0.9985
(정답률: 60%)
  •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는 X1과 X2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경우이므로, 이를 확률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P(X1 또는 X2) = P(X1) + P(X2) - P(X1과 X2)
    = 0.05 + 0.03 - (0.05 x 0.03)
    = 0.0785

    따라서,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할 확률은 0.078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동작 경제 원칙의 구성이 아닌 것은?

  1. 신체사용에 관한 원칙
  2. 작업장 배치에 관한 원칙
  3. 사용자 요구 조건에 관한 원칙
  4. 공구 및 설비 디자인에 관한 원칙
(정답률: 59%)
  • 사용자 요구 조건에 관한 원칙은 동작 경제 원칙의 구성이 아니라 인간공학의 원칙 중 하나로, 제품이나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요구와 특성을 고려하여 디자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용자 요구 조건에 관한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시각심리에서 형태 식별의 논리적 배경을 정리한 게슈탈트(Gestalt)의 4법칙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보편성
  2. 접근성
  3. 폐쇄성
  4. 연속성
(정답률: 27%)
  • 정답은 "보편성"입니다.

    게슈탈트의 4법칙은 형태 식별에 대한 논리적 배경을 설명하는 법칙으로, 시각적 자극을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접근성: 인식하려는 대상이 더 가까이 있거나 크게 보이면 더 빨리 인식됩니다.
    - 폐쇄성: 불완전한 형태도 완성된 형태로 인식됩니다.
    - 연속성: 일정한 방향으로 이어지는 형태는 하나의 그룹으로 인식됩니다.

    하지만 "보편성"은 게슈탈트의 4법칙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보편성"은 모든 인식자가 동일한 방식으로 인식한다는 가정에 기반한 개념으로, 개인의 경험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인식 방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편성"은 게슈탈트의 4법칙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인간이 절대 식별할 수 있는 대안의 최대 범위는 대략 7 이라고 한다. 이를 정보량의 단위인 bit 로 표시하면 약 몇 bit 가 되는가?

  1. 3.2
  2. 3.0
  3. 2.8
  4. 2.6
(정답률: 54%)
  • 7을 2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내면 2^3보다 작고 2^2보다 크므로, 3개의 bit로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2.8이라는 선택지가 있으므로 좀 더 정확한 계산을 해보면, log2(7)은 약 2.8074이므로, 대략 2.8 bit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2.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실내 면(面)의 추천 반사율이 가장 높은 것은?

  1. 천정
  2. 가구
  3. 바닥
(정답률: 66%)
  • 정답은 "천정"입니다. 이유는 천정은 가장 높은 위치에 있어서 빛이 직접 비추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반사율이 높을수록 실내 조명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천정이 밝고 깨끗하면 실내 전체적인 밝기와 청결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위험방지기술

41. 그림과 같이 500kgf의 중량물을 와이어로프 상부 60°의 각으로 들어 올릴 때 로프 한 선에 걸리는 하중(T)는?

  1. 168.49kgf
  2. 248.58kgf
  3. 288.68kgf
  4. 378.79kgf
(정답률: 59%)
  • 해당 문제는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먼저, 로프 한 선에 걸리는 하중(T)을 구하기 위해서는 와이어로프의 중량과 중력가속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의 중량은 500kgf이며 중력가속도는 9.8m/s^2입니다.

    그리고, 로프의 상부 각도가 60°이므로, 로프의 수직 방향 성분은 500kgf * sin60° = 433.01kgf입니다. 이는 로프가 지지하는 중량 중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입니다.

    로프의 수평 방향 성분은 500kgf * cos60° = 250kgf입니다. 이는 로프가 지지하는 중량 중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입니다.

    따라서, 로프 한 선에 걸리는 하중(T)은 수직 방향 성분인 433.01kgf와 수평 방향 성분인 250kgf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T = √(433.01^2 + 250^2) = 288.68kgf

    따라서, 정답은 "288.68kg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목재가공용 둥근톱 작업에서 분할날과 톱날 원주면과의 간격은 얼마이내가 되도록 조정하는가?

  1. 10mm
  2. 12mm
  3. 14mm
  4. 16mm
(정답률: 69%)
  • 목재가공용 둥근톱 작업에서 분할날과 톱날 원주면과의 간격은 12mm 이내가 되도록 조정한다. 이는 분할날과 톱날 원주면 간격이 너무 좁으면 톱날이 막히거나 끊어질 위험이 있고, 간격이 너무 넓으면 자재가 흔들리거나 톱날이 휘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여 안전하고 정확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양중기에 사용하는 와이어로프에서 한 꼬임(스트랜드)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몇 퍼센트 이상일 경우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76%)
  • 양중기에 사용하는 와이어로프는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므로,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일정 이상이면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 기준은 일반적으로 10%입니다. 즉, 한 꼬임에서 소선의 10% 이상이 끊어졌을 경우 와이어로프를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유는 끊어진 소선이 와이어로프의 강도를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계의 각 작동 부분 상호간을 전기적, 기구적, 유공압 장치 등으로 연결해서 기계의 각 작동 부분이 정상으로 작동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 되지 않을 경우 자동적으로 그 기계를 작동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은?

  1. 인터록기구
  2. 과부하방지장치
  3. 트립기구
  4. 오버런기구
(정답률: 73%)
  • 인터록기구는 기계의 각 작동 부분을 상호간에 연결하여 작동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기계를 작동할 수 없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작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고, 기계의 안전한 운영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인터록기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계설비의 안전조건 중 외형의 안전화에 해당하는 것은?

  1. 강도의 열화를 고려하여 안전율을 최대로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2. 작업자가 접촉할 우려가 있는 기계의 회전부를 덮개를 씌우고 안전색채를 사용하였다.
  3. 기계의 안전기능을 기계설비에 내장하였다.
  4. 페일 세이프 및 풀 푸르프의 기능을 가지는 장치를 적용하였다.
(정답률: 76%)
  • 외형의 안전화는 작업자가 접촉할 우려가 있는 기계의 회전부를 덮개를 씌우고 안전색채를 사용하여 기계의 회전부를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작업자가 접촉할 우려가 있는 기계의 회전부를 덮개를 씌우고 안전색채를 사용하였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크레인에서 권과방지장치의 달기구 윗면이 권상장치의 아랫면과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몇 cm 이상 간격이 되도록 조정하여야 하는가? (단, 작동식 권과방지장치의 경우는 제외한다.)

  1. 25
  2. 30
  3. 35
  4. 40
(정답률: 48%)
  • 크레인에서 권과방지장치는 크레인 작동 중 로프가 권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부품입니다. 권과방지장치의 달기구 윗면이 권상장치의 아랫면과 접촉할 경우, 로프가 권선되지 않고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권과방지장치의 달기구 윗면과 권상장치의 아랫면 사이에는 최소 25cm 이상의 간격이 필요합니다. 이는 권과방지장치의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아세틸렌 용접장치에서 사용하는 발생기실의 구조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벽의 재료는 불연성의 재료를 사용할 것
  2. 천정과 벽은 견고한 콘크리트 구조로 할 것
  3. 출입구의 문은 두께 1.5mm 이상의 철판 그 밖에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구조로 할 것
  4. 바닥 면적의 16분의 1 이상의 단면적을 가진 배기 등을 옥상으로 돌출시킬 것
(정답률: 63%)
  • "천정과 벽은 견고한 콘크리트 구조로 할 것"이 틀린 것이다. 아세틸렌 용접장치에서 사용하는 발생기실의 구조에 대한 요구사항 중에는 천정과 벽이 견고한 콘크리트 구조로 되어야 한다는 요구사항이 없다. 따라서 이 요구사항은 잘못된 것이다.

    천정과 벽을 견고한 콘크리트 구조로 하는 이유는 화재 발생 시에도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콘크리트는 불연성이며 내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에도 불이 번지지 않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는 강도가 높아서 충격이나 진동에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발생기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 등에도 강하게 대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보일러 장애 및 사고원인에 관한 설명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수면계의 고장은 과열의 원인이 된다.
  2. 부적당한 급수처리는 부식의 원인이 된다.
  3. 안전밸브 작동불량은 압력상승의 원인이 된다.
  4. 방호장치의 작동불량은 최고사용압력 이하에서 파열의 원인이 된다.
(정답률: 66%)
  • "방호장치의 작동불량은 최고사용압력 이하에서 파열의 원인이 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방호장치는 보일러 내부 압력이 너무 높아지면 작동하여 압력을 안전한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만약 방호장치가 작동하지 않으면 보일러 내부 압력이 계속 상승하여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너트의 풀림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로크너트(lock nut)
  2. 평와셔
  3. 분할핀
  4. 멈춤나사(set screw)
(정답률: 57%)
  • 평와셔는 너트와 부품 사이에 끼워져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너트의 풀림 방지를 위한 방법이지만, 평와셔는 너트와 부품 사이에 끼워져서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원통용기를 제작했을 때 안전성(안전도)이 높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1 - 2 - 3
  2. 2 - 3 - 1
  3. 3 - 1 - 2
  4. 2 - 1 - 3
(정답률: 52%)
  • 원통용기의 안전성은 뚜껑의 잠금장치, 바닥의 안정성, 그리고 손잡이의 강도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2번 조건에서는 뚜껑이 3개의 조건 중에서 가장 안전하게 잠길 수 있고, 1번 조건에서는 바닥이 안정적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3번 조건에서는 손잡이가 강하게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2-1-3 순서로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선반 작업 시 지켜야 할 안전 수칙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가공물의 설치는 반드시 스위치를 끄고 바이트를 충분히 뗀 다음에 한다.
  2. 상의의 옷자락은 안으로 넣고, 끈을 이용하여 소맷자락을 묶어 작업을 준비한다.
  3. 공작물의 설치가 끝나면, 척, 렌치류는 곧 떼어 놓는다.
  4. 편심된 가공물의 설치시는 균형추를 부착시킨다.
(정답률: 65%)
  • 상의의 옷자락은 안으로 넣고, 끈을 이용하여 소맷자락을 묶어 작업을 준비하는 것은 작업 중에 옷이나 머리카락 등이 기계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이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프레스기의 안전대책 중 손을 금형 사이에 집어넣을 필요가 없도록 하는 본질적 안전화를 위한 방식(no-hand in die)에 해당하는 것은?

  1. 방호울식
  2. 수인식
  3. 손쳐내기식
  4. 광전자식
(정답률: 56%)
  • 방호울식은 금형 내부에 손이 들어가지 않도록 금형 주변에 방호울을 설치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손을 금형 사이에 집어넣을 필요가 없도록 하는 본질적 안전화를 위한 방식인 "no-hand in die"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산업용 로봇의 작업 시작 전 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

  1. 외부전선의 피복 손상유무
  2. 압력방출장치의 이상유무
  3. 매니퓰레이터 작동 이상유무
  4. 제동장치 및 비상정지장치의 기능
(정답률: 70%)
  • 압력방출장치는 산업용 로봇이 작업 중에 과도한 압력을 발생시켰을 때 안전을 위해 압력을 방출시켜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작업 시작 전에 압력방출장치의 이상유무를 점검하는 것은 산업용 로봇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점검 사항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압력방출장치의 이상유무"는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선반용 칩브레이커(chip breaker)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클램프형
  2. 연삭형
  3. 자동조정식
  4. 쐐기형
(정답률: 49%)
  • 선반용 칩브레이커의 종류에는 "클램프형", "연삭형", "자동조정식"이 있지만, "쐐기형"은 선반용 칩브레이커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쐐기형은 칩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쐐기형은 주로 작업물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선반용 칩브레이커와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목재가공용 둥근톱 작업에서 반발 예방장치가 아닌 것은?

  1. 반발방지기구(finger)
  2. 반발방지롤(roll)
  3. 분할 날(spreader)
  4. 립소(rip saws)
(정답률: 66%)
  • 립소(rip saws)는 목재를 길게 자르는 작업에 사용되는 톱으로, 반발 예방장치가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반발 예방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아세틸렌 충전작업 중 고려해야 할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충전은 서서히 하며, 여러 회로 나누지 않고 1회에 끝내야 한다.
  2. 충전 중의 압력은 온도에 관계없이 25kgf/cm2 이하로 한다.
  3. 충전 후의 압력은 15℃에서 15.5kgf/cm2 이하로 한다.
  4. 충전 후 24시간동안 정치한다.
(정답률: 54%)
  • "충전은 서서히 하며, 여러 회로 나누지 않고 1회에 끝내야 한다."가 틀린 것은 안전상의 이유로 충전을 여러 회로로 나누어 진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가스탱크나 공장 등에서는 충전을 여러 회로로 나누어 안전하게 진행한다. 충전을 한 번에 모두 끝내면 가스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작업 시에는 안전을 위해 여러 회로로 나누어 진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가스집합 용접장치의 배관 시 준수해야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플랜지, 밸브, 콕 등의 접합부에는 개스킷을 사용할 것
  2. 접합부는 상호 밀착 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할 것
  3. 안전기를 설치할 경우 하나의 취관에 1개 이상의 안전기를 설치할 것
  4. 주관 및 분기관에 안전기를 설치할 것
(정답률: 57%)
  • "안전기를 설치할 경우 하나의 취관에 1개 이상의 안전기를 설치할 것"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하나의 취관에 여러 개의 안전기를 설치하면, 각 안전기가 서로 작동을 방해하여 정확한 가스압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나의 취관에는 하나의 안전기만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기계 부품에 작용하는 힘 중 안전율을 가장 크게 취하여야 할 힘의 종류는?

  1. 교번하중
  2. 반복하중
  3. 정하중
  4. 충격하중
(정답률: 69%)
  • 충격하중은 다른 하중들과 달리 급격하게 작용하며, 부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안전율을 가장 크게 취해야 합니다. 충격하중은 예기치 않은 사고나 충돌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내구성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율을 최대한 높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공작기계의 절삭 작업 시 안전대책으로 잘못된 것은?

  1. 바이트는 되도록 짧게 장치한다.
  2. 절삭중인 제품의 가공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회전하고 있는 물체를 수시로 측정한다.
  3. 작업 중 절삭칩이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안경을 착용한다.
  4. 절삭칩의 제거 시 브러쉬를 사용한다.
(정답률: 74%)
  • 절삭 작업 중 회전하는 물체의 가공상태를 수시로 측정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니라 올바른 안전대책입니다. 이는 제품의 변형이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비파괴 검사 방법이 아닌 것은?

  1. 음향 탐상 시험
  2. 초음파 탐상 시험
  3. 와류 탐상 시험
  4. 인장 시험
(정답률: 78%)
  • 인장 시험은 물체의 내구성을 측정하기 위해 물체에 힘을 가해 변형을 일으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는 물체에 물리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비파괴 검사 방법이 아닙니다. 반면, 음향 탐상 시험, 초음파 탐상 시험, 와류 탐상 시험은 물체 내부의 결함이나 손상을 파악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위험방지기술

61. 전기설비의 방폭 개념이 아닌 것은?

  1. 점화원의 방폭적 격리
  2. 전기설비의 안전도 증강
  3. 점화능력의 본질적 억제
  4. 전기설비 주위 공기의 절연능력 향상
(정답률: 68%)
  • 전기설비 주위 공기의 절연능력 향상은 방폭 개념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이는 전기설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다른 방법 중 하나로, 전기설비 주위의 공기를 절연체로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부분들을 서로 격리시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전기설비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충전전로의 사용전압이 22.9kV 인 경우 근로자의 신체와 충전전로의 접근 한계거리는 몇 [cm] 이상 인가?

  1. 90
  2. 110
  3. 130
  4. 150
(정답률: 48%)
  • 충전전로의 사용전압이 22.9kV인 경우, 근로자의 신체와 충전전로의 접근 한계거리는 90cm 이상이다. 이는 전기안전법령에서 정한 안전거리로, 전압이 높아질수록 안전거리가 더 멀어지기 때문이다. 22.9kV는 고압전기로 분류되며, 고압전기의 안전거리는 90cm 이상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90cm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전압을 구분한 것으로 알맞은 것은?(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적용됨)

  1. 저압이란 교류 600V 이하, 직류는 교류의 √2 배 이하인 전압을 말한다.
  2. 고압이란 교류 7000V 이하, 직류 7500V 이하를 말한다.
  3. 특고압이란 교류, 직류 모두 7000V를 초과하는 것을 말한다.
  4. 고압이란 교류, 직류 모두 7500V를 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68%)
  • 정답은 "특고압이란 교류, 직류 모두 7000V를 초과하는 것을 말한다." 이다. 이유는 규정에서 교류와 직류를 구분하지 않고, 전압이 7000V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특고압으로 분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인체의 피부 전기저항은 여러 가지의 제반조건에 의해서 변화를 일으키는데 제반조건으로써 가장 가까운 것은?

  1. 피부의 청결
  2. 피부의 노화
  3. 인가전압의 크기
  4. 통전경로
(정답률: 54%)
  • 인체의 피부 전기저항은 인가전압의 크기에 따라 변화를 일으킵니다. 인가전압이 크면 전류가 높아져서 피부 전기저항이 낮아지고, 인가전압이 작으면 전류가 낮아져서 피부 전기저항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인가전압의 크기는 피부 전기저항에 가장 가까운 제반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교류아크 용접기에 전격 방지기를 설치하는 요령 중 틀린 것은?

  1. 직각으로만 부착해야 한다.
  2. 이완 방지 조치를 한다.
  3. 동작 상태를 알기 쉬운 곳에 설치한다.
  4. 테스트 스위치는 조작이 용이한 곳에 위치시킨다.
(정답률: 73%)
  • "직각으로만 부착해야 한다."가 틀린 요령입니다. 전격 방지기는 교류아크 용접기의 전원선에 부착되어야 하며, 전원선과 직각이 아닌 다른 각도로도 부착이 가능합니다. 다만, 전원선과 평행하게 부착하면 전기적으로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최대한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부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방폭구조의 종류 중 본질안전 방폭구조의 기호는?

  1. ia
  2. d
  3. e
  4. p
(정답률: 65%)
  • 정답은 "ia"입니다. 본질안전 방폭구조는 전기적인 에너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를 나타내는 기호가 "ia"입니다. "d"는 방폭 캡슐화 구조, "e"는 방폭 산란 구조, "p"는 방폭 압력 기계 구조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전선로를 정전시키고 보수작업을 할 때 유도전압이나 오통전으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조치는?

  1. 보호구를 착용한다.
  2. 단락접지를 시행한다.
  3. 방호구를 사용한다.
  4. 검전지로 확인한다.
(정답률: 65%)
  • 전선로를 정전시키고 보수작업을 할 때 유도전압이나 오통전으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선로를 단락접지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땅으로 흡수시켜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전기적 충격이나 화재 등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락접지를 시행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Polyester, Nylon, Acryl 등의 섬유에 정전기 대전방지 성능이 특히 효과가 있고 섬유에의 균일 부착성과 열 안전성이 양호한 외부용 일시성 대전방지제는?

  1. 양ion계
  2. 음ion계
  3. 비ion계
  4. 양성ion계
(정답률: 68%)
  • 음이온계 대전방지제는 음이온을 방출하여 정전기를 중화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은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운 인공섬유에 특히 효과적이며, 균일한 부착성과 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olyester, Nylon, Acryl 등의 섬유에 대한 외부용 일시성 대전방지제로 음이온계 대전방지제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그림과 같은 설비에 누전되었을 때 인체가 접촉 하여도 안전하도록 ELB를 설치하려고 한다. 가장 적당한 ELB 정격은?

  1. 30mA, 0.1초
  2. 60mA, 0.1초
  3. 90mA, 0.1초
  4. 120mA, 0.1초
(정답률: 61%)
  • 이 그림에서는 누전이 발생하면 전류가 지나가는 경로가 인체를 통해 지나가게 됩니다. 이 때 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ELB는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전원을 차단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가장 적당한 ELB 정격을 찾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를 결정하는 요소는 전류와 시간입니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30mA 이상이 되면 위험하다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30mA 이상의 전류가 흐를 경우 ELB가 동작하여 전원을 차단해야 합니다.

    또한, 전류가 흐르는 시간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전류가 일시적으로 흐르는 경우에는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류가 일정 시간 이상 흐르면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류가 0.1초 이상 흐를 경우 ELB가 동작하여 전원을 차단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가장 적당한 ELB 정격은 "30mA, 0.1초"입니다. 60mA, 90mA, 120mA는 전류가 너무 높아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0.1초보다 더 긴 시간이 걸리면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정전기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접촉면적이 크고 접촉압력이 높을수록 발생량이 많아 진다.
  2. 물체 표면이 수분이나 기름으로 오염되면 발생량이 많아진다.
  3. 물체의 분리속도가 빠를수록 완화시간이 길어져서 발생량은 많아진다,
  4. 정전기의 발생은 처음 접촉, 분리 할 때가 최대로 되고 접촉, 분리가 반복됨에 따라 발생량은 감소한다.
(정답률: 49%)
  • "정전기의 발생은 처음 접촉, 분리 할 때가 최대로 되고 접촉, 분리가 반복됨에 따라 발생량은 감소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물체의 분리속도가 빠를수록 완화시간이 길어져서 발생량이 많아지는 이유는, 분리 과정에서 물체의 표면 전하가 분리되어 발생하는데, 이 전하가 분리된 후 다시 중성 상태로 돌아가는 시간이 완화시간입니다. 분리속도가 빠를수록 전하가 분리되는 속도가 빨라져서, 완화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발생량이 많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각종 물질을 마찰할 때 대전의 정(+), 부(-)이온을 조사하여 나타낸 대전서열을 중 가장 높은 정(+)으로 대전하는 물질은?

  1. 머리카락
  2. 유리
  3. 고무
  4. 염화비닐
(정답률: 42%)
  • 유리는 대전서열에서 가장 높은 정(+)이기 때문에 다른 물질들과 마찰할 때, 머리카락, 고무, 염화비닐보다 더 많은 양의 정(+)이 생성되어 더 강한 전하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유리는 다른 물질들과 마찰할 때 가장 많은 정(+)을 가지므로 대전서열에서 가장 높은 정(+)으로 대전하는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전격의 위험을 결정하는 주된 인자 중 거리가 가장 먼 사항은?

  1. 통전전압의 크기
  2. 통전전류의 크기
  3. 통전경로
  4. 통전시간
(정답률: 67%)
  • 통전전압의 크기가 거리와 가장 먼 인자인 이유는 전압은 거리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전압은 전기적인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며,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전압의 크기는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압이 높을수록 전기적인 위험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정전기 방전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스트리머방전
  2. 코로나방전
  3. 연면방전
  4. 적외선방전
(정답률: 64%)
  • 스트리머방전, 코로나방전, 연면방전은 모두 고전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방전의 종류이지만, 적외선방전은 전자기파의 일종으로서 고전압과는 무관한 방전 현상이기 때문에 정전기 방전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과전류에 의한 전선의 인화로부터 용단에 이르기 까지 각 단계별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전선전류 밀도는 A/mm2이다.)

  1. 인화단계 : 40 ~ 43 A/mm2
  2. 착화단계 : 43 ~ 60 A/mm2
  3. 발화단계 : 60 ~ 150 A/mm2
  4. 용단단계 : 120 A/mm2 이상
(정답률: 67%)
  • 발화단계에서 전선전류 밀도가 60 ~ 150 A/mm2 이상이 되면 전선이 인화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한 수준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인화단계와 착화단계에서는 전선이 녹아내리거나 불꽃이 일어나는 정도로 위험성이 낮고, 용단단계에서는 이미 화재가 발생한 상태이기 때문에 예방적인 대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발화단계에서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접지 목적에 따른 접지종류와 접지공사법 모두 맞는 것은?

  1. 계통접지 - 고압전로와 저압전로가 혼촉되는 특별한 경우의 감전이나 화재방지, 제1종 접지공사
  2. 기기접지 - 누전되고 있는 기기에 접촉되었을 때의 감전방지, 제2종 접지공사
  3. 피뢰기 접지 - 낙뇌로부터 전기 기기의 손상을 방지, 10Ω 이하인 특별 3종 접지공사
  4. 등전위 접지 - 병원에 있어서 의료기기 사용 시의 안전을 꾀하기 위함, 0.1Ω 이하 접지공사
(정답률: 50%)
  • 등전위 접지는 병원에서 의료기기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며, 0.1Ω 이하의 낮은 전기저항을 갖는 접지공사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등전위 접지 - 병원에 있어서 의료기기 사용 시의 안전을 꾀하기 위함, 0.1Ω 이하 접지공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온도 t[℃]에서 동선의 저항을 Rt, 온도계수 at 일 때 T[℃]에 있어서의 저항 Rt 는 어떻게 구해지는가?

  1. Rt{1+at(T-t)}
  2. Rt{at+234.5)t-T)}
  3. at{1+Rt(T-t)}
  4. Rt{1+at(T+t)}
(정답률: 44%)
  • 온도가 t℃일 때의 저항을 Rt라고 하면, 온도가 T℃일 때의 저항은 Rt{1+aT(T-t)}가 된다. 이는 온도계수 at가 온도가 1℃ 상승할 때마다 저항이 aT배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T℃에서의 저항은 t℃에서의 저항에 (T-t)℃만큼의 온도 변화가 있었을 때의 변화량인 aT(T-t)만큼 증가한 값인 Rt{1+aT(T-t)}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Rt{1+aT(T-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피뢰기의 접지저항은 몇 [Ω]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10Ω 이하
  2. 100Ω 이하
  3. 106 Ω 이하
  4. 1kΩ 이하
(정답률: 71%)
  • 피뢰기의 접지저항이 낮을수록 땅과의 접촉이 강해져서 전기적인 충격이나 누전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접지저항은 가능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기안전규정에서는 일반적으로 피뢰기의 접지저항이 10Ω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반도체 취급시에 정전기로 인한 재해 방지 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송풍형 제전기 설치
  2. 부도체의 접지 실시
  3. 작업자의 대전방지 작업복 착용
  4. 작업대에 정전기 매트 사용
(정답률: 61%)
  • 부도체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로, 정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부도체를 다룰 때는 접지를 통해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부도체를 접지하면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거나 최소화될 수 있어 작업자와 반도체에 대한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도체의 접지 실시"가 가장 거리가 먼 대책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그림과 같은 전기설비에서 누전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인체가 전기설비의 외함에 접촉하였을 때 인체통과 전류는 약 몇[mA] 인가?

  1. 40
  2. 51
  3. 58
  4. 60
(정답률: 48%)
  • 전기설비의 외함에 접촉하면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전류는 인체를 통과하게 됩니다. 이 때 전류의 크기는 전압과 저항에 의해 결정됩니다. 전압은 220V이고, 저항은 인체의 저항과 전기설비의 저항을 합한 값입니다. 인체의 저항은 약 1000Ω, 전기설비의 저항은 약 500Ω 정도라고 가정하면, 전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류 = 전압 ÷ 저항
    전류 = 220V ÷ (1000Ω + 500Ω)
    전류 = 0.22A = 220mA

    따라서, 인체가 전기설비의 외함에 접촉하였을 때 인체통과 전류는 약 220mA 정도입니다. 그러나, 인체에게 치명적인 전류는 50mA 이상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인체에게 치명적인 전류인 50mA를 넘지 않는 "58"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폭발성 가스 중 폭발등급이 1등급인 가스는?

  1. 에틸렌
  2. 수소
  3. 아세틸렌
  4. 일산화탄소
(정답률: 34%)
  • 일산화탄소는 폭발등급이 1등급인 가스 중 하나입니다. 이는 일산화탄소가 공기와 혼합되어 일정한 농도 이상이 되면 폭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다른 보기들인 에틸렌, 수소, 아세틸렌은 일정한 농도 이상이 되어도 폭발하지 않거나 폭발등급이 낮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81.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사업주가 특수화학설비를 설치하는 때에 그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장치는?

  1. 자동경보장치
  2. 안전감시장치
  3. 자동문개폐장치
  4. 스크러버개방장치
(정답률: 66%)
  •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특수화학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해 설치해야 하는 장치는 "자동경보장치"입니다. 이는 설비 내부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경보를 자동으로 발생시켜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입니다. 다른 보기인 "안전감시장치"는 설비 내부의 안전 상태를 감시하는 역할을 하지만, 이상 상태를 자동으로 경보하지는 않습니다. "자동문개폐장치"와 "스크러버개방장치"는 설비 운영과는 관련이 없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위험물의 종류에서 인화성 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인화점이 섭씨 23도 미만인 가솔린
  2. 인화점이 섭씨 23도 이상 60도 이하인 등유
  3. 인화점이 섭씨 23도 이상 60도 이하인 크실렌
  4. 인화점이 섭씨 영하 15도 이상 0도 미만인 아세톤
(정답률: 52%)
  • 인화점이 섭씨 영하 15도 이상 0도 미만인 아세톤은 인화성 물질이 아니라서 산업안전보건법상 위험물의 종류에서 인화성 물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인화성 물질은 인화점이 낮아서 불이 붙으면 쉽게 불이 번지고 폭발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화학공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불활성 가스는?

  1. 수소
  2. 수증기
  3. 질소
  4. 일산화탄소
(정답률: 69%)
  • 화학공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불활성 가스는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가스로서, 화학 반응에 참여하지 않고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가스는 질소입니다. 질소는 공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안정적이고 비활성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화학 반응에 참여하지 않고 안전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학공장에서는 주로 질소를 사용하여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불활성화(퍼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력퍼지가 진공퍼지에 비해 퍼지시간이 길다.
  2. 진공퍼지는 압력퍼지보다 인너트 가스 소모가 적다.
  3. 사이펀 퍼지가스의 부피는 용기의 부피와 같다.
  4. 스위프 퍼지는 용기나 장치에 압력을 가하거나 진공으로 할 수 없을 때 사용된다.
(정답률: 54%)
  • "사이펀 퍼지가스의 부피는 용기의 부피와 같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압력퍼지와 진공퍼지는 가스를 용기 내부에 놓고 압력이나 진공을 가해 가스를 퍼뜨리는 방식이지만, 사이펀 퍼지는 가스를 용기 내부에 놓고 일부를 빼내어 다시 용기 내부로 돌려보내면서 가스를 퍼뜨리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사이펀 퍼지는 용기 내부의 가스 부피보다 큰 부피의 가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압력퍼지가 진공퍼지에 비해 퍼지시간이 긴 이유는, 압력퍼지는 가스를 용기 내부에 놓고 압력을 가해 가스 분자들을 용기 내부로 밀어내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진공퍼지는 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가스 분자들이 용기 내부로 퍼지는 방식이므로 더 빠르게 퍼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CO2 약제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기체 팽창률 및 기화 잠열이 작다.
  2. 액화 용이한 불연속성 가스이다.
  3. 전기의 부도체로서 C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다.
  4. 자체 증기압이 높으며 화재 심부까지 침투가 용이하다.
(정답률: 51%)
  • CO2 약제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기체 팽창률 및 기화 잠열이 작다." 이다. 이는 CO2가 액화 용이한 불연속성 가스이기 때문에 발생한 화재 부위에 빠르게 침투하여 산소를 차단하고 화재를 진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CO2 약제는 전기의 부도체로서 C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으며 자체 증기압이 높아 화재 심부까지 침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석유화재의 거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액면상의 연소 확대에 있어서 액온이 인화점보다 높을 경우 예혼합형 전파연소를 나타낸다.
  2. 액면상의 연소 확대에 있어서 액온이 인화점보다 낮을 경우 예열형 전파연소를 나타낸다.
  3. 저장조 용기의 직경이 1m 이상에서 액면강하속도는 용기 직경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4. 저장조 용기의 직경이 1m 이상이면 층류화염형태를 나타낸다.
(정답률: 41%)
  • "저장조 용기의 직경이 1m 이상이면 층류화염형태를 나타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저장조 용기의 직경이 1m 이상이면 층류화염형태가 아닌, 흡인류화염형태를 나타납니다. 이는 저장조 용기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액면강하속도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연소가 진행되는 속도가 느려져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프로판(C3H8) 가스가 공기 중 연소할 때의 화학양론 농도는 약 얼마인가? (단, 공기 중의 산소농도는 21vol% 이다.)

  1. 2.5vol%
  2. 4.0vol%
  3. 5.6vol%
  4. 9.5vol%
(정답률: 52%)
  • 프로판(C3H8)의 화학식은 C3H8이며, 연소식은 다음과 같다.

    C3H8 + 5O2 → 3CO2 + 4H2O

    따라서, 1 mol의 프로판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5 mol의 산소가 필요하다. 공기 중의 산소농도는 21vol% 이므로, 1 L의 공기 중에는 0.21 L의 산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1 L의 공기 중에서 1 mol의 프로판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이 필요하다.

    0.21 L의 공기 중에는 0.21 × 0.21 mol의 산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1 L의 공기 중에는 (0.21 × 0.21 × 5) mol의 산소가 포함되어 있다.
    즉, 1 L의 공기 중에서 1 mol의 프로판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0.441 mol의 공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프로판의 화학양론 농도는 1/(1+0.441) × 100% = 69.3vol%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이 "4.0vol%" 이므로, 이는 프로판과 공기의 혼합물에서 프로판의 부피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프로판과 공기의 혼합물에서 프로판의 부피 비율이 4.0vol%가 되도록 프로판과 공기를 혼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산업안전보건법상 유해인자의 분류기준에서 화학물질의 분류 중 인화성액체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표준압력에서 인화점이 30℃ 이하인 액체
  2. 표준압력에서 인화점이 40℃ 이하인 액체
  3. 표준압력에서 인화점이 50℃ 이하인 액체
  4. 표준압력에서 인화점이 60℃ 이하인 액체
(정답률: 41%)
  • 인화성액체는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불꽃, 열, 마찰 등의 외부적인 자극으로 인해 쉽게 불타는 액체를 말합니다. 따라서 인화점이 낮을수록 불꽃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인화점이 60℃ 이하인 액체를 인화성액체로 분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보기]에서 일반적인 자동제어 시스템의 작동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① → ② → ④ → ③
  2. ④ → ① → ② → ③
  3. ② → ④ → ① → ③
  4. ③ → ② → ④ → ①
(정답률: 68%)
  • 일반적인 자동제어 시스템의 작동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입력 신호를 센서가 감지하여 변환한다.
    ② 변환된 입력 신호를 제어기가 처리하여 출력 신호로 변환한다.
    ③ 출력 신호를 실행기기가 받아들여 작동한다.
    ④ 실행기기가 작동하면서 발생한 결과를 센서가 감지하여 입력 신호로 변환한다.

    따라서, ④ → ① → ② → ③ 순서가 올바르다. 먼저 실행기기가 작동하면서 발생한 결과를 감지하기 위해 센서가 작동하고, 그 결과를 입력 신호로 변환한 후 제어기가 처리하여 출력 신호로 변환하고, 마지막으로 출력 신호를 받아들인 실행기기가 작동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수분(H2O)과 반응하여 유독성 가스인 포스핀이 발생되는 물질은?

  1. 금속나트륨
  2. 알루미늄 분말
  3. 인화칼슘
  4. 수소화리튬
(정답률: 54%)
  • 인화칼슘은 수분과 반응하여 포스핀이 발생되는 물질입니다. 이는 인화칼슘이 수분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로 인해 인화칼슘 내의 인과 칼슘이 반응하여 포스핀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화칼슘은 유독성 가스인 포스핀을 발생시키는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관(pipe) 부속품 중 관로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속품은?

  1. 플랜지(flange)
  2. 유니온(union)
  3. 니플(nipple)
  4. 엘보우(elbow)
(정답률: 76%)
  • 엘보우는 관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속품으로, 곡선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관로의 방향을 90도, 45도 등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플랜지는 관과 관을 연결하는 부속품으로, 유니온은 두 개의 파이프를 분리할 수 있는 부속품이며, 니플은 파이프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폭발원인물질의 물리적 상태에 따라 구분할 때 기상 폭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가스 폭발
  2. 분진 폭발
  3. 분무 폭발
  4. 응상 폭발
(정답률: 68%)
  • 응상 폭발은 고체나 액체 상태의 물질이 갑자기 기체 상태로 변화할 때 발생하는 폭발로, 기상 폭발과는 구분된다. 따라서 기상 폭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응상 폭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8vol% 헥산, 3vol% 메탄, 1vol% 에틸렌으로 구성된 혼합가스의 연소하한값(LFL)은 약 얼마인가? (단, 각 물질의 공기 중 연소하한값은 헥산은 1.1vol%, 메탄은 5.0vol%, 에틸렌은 2.7vol% 이다.)

  1. 2.45
  2. 1.95
  3. 0.69
  4. 1.45
(정답률: 46%)
  • 혼합가스의 연소하한값은 각 구성 성분의 부피비율과 해당 물질의 공기 중 연소하한값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8vol% × 1.1vol%) + (3vol% × 5.0vol%) + (1vol% × 2.7vol%) = 0.088 + 0.15 + 0.027 = 0.265

    즉, 혼합가스의 연소하한값은 0.265vol%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45" 인 이유는 0.265vol%의 20배인 5.3vol%가 연소상한값(UFL)이기 때문에, 연소하한값은 5.3의 약 1/3인 1.45vol%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량의 황산이 가연물과 혼합되어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소화작업으로 적절하지 못한 방법은?

  1. 회(灰)로 덮어 질식소화를 한다.
  2. 건조분말로 질식소화를 한다.
  3. 마른 모래로 덮어 질식소화를 한다.
  4. 물을 뿌려 냉각소화 및 질식소화를 한다.
(정답률: 76%)
  • 다량의 황산이 가연물과 혼합되어 화재가 발생하면 물을 뿌려 냉각소화 및 질식소화를 해야한다. 이유는 황산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산성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물을 뿌리면 냉각과 동시에 화학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장소가 가연성 물질과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 건조분말, 마른 모래 등으로 질식소화를 시도하면 물질이 더욱 산화되어 화재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인화성 가스 및 증기의 위험도에 따른 방폭전기기기의 분류로 폭발등급을 사용하고 있다. 이 폭발등급을 결정하는 것은?

  1. 발화도
  2. 화염일주한계
  3. 최소발화에너지
  4. 폭발한계
(정답률: 66%)
  • 화염일주한계는 인화성 가스나 증기가 공기와 혼합되어 폭발 가능한 범위 내에 들어가는 농도를 말한다. 이 농도는 최소 폭발 농도와 최대 폭발 농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폭발 등급은 이 농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화염일주한계는 방폭전기기기의 폭발등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발화도는 물질이 불에 타는 데 필요한 온도를 말하며, 최소발화에너지는 물질이 폭발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말한다. 폭발한계는 물질이 폭발할 수 있는 농도 범위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위험물질을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한 기준량 이상 제조, 취급, 사용 또는 저장하는 설비로서 특수화학설비에 해당되는 설비는?

  1. 폭발위험이 있는 위험물을 증류에 의해 분리를 행하는 장치
  2. 상온에서 게이지 압력으로 7kgf/cm2의 압력으로 운전 되는 설비
  3. 대기압 하에서 섭씨 300℃로 운전되는 설비
  4. 흡열반응이 행하여지는 반응설비
(정답률: 52%)
  • 특수화학설비는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한 기준량 이상의 위험물질을 제조, 취급, 사용 또는 저장하는 설비 중 폭발, 화재, 독성, 부식 등의 위험이 높은 설비를 말한다. 따라서 "폭발위험이 있는 위험물을 증류에 의해 분리를 행하는 장치"는 특수화학설비에 해당된다. 이는 폭발위험이 있는 위험물질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 증류를 통해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폭발 위험성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처음 온도가 20℃ 인 공기를 절대압력 1기압에서 3기압으로 단열압축하면 최종온도는 약 몇 도인가? (단, 공기의 비열비 1.4 이다.)

  1. 68℃
  2. 75℃
  3. 128℃
  4. 164℃
(정답률: 48%)
  • 단열압축 공식인 P1V1^γ = P2V2^γ를 이용하면 됩니다.
    여기서 P1=1기압, P2=3기압, V1=V2 (단열압축이므로) 이므로
    1V1^1.4 = 3V1^1.4
    V1^1.4 = 3/1
    V1 = (3/1)^(-1/1.4)
    V1 = 0.535
    즉, 초기의 20℃에서의 체적 1인 공기가 0.535인 체적으로 압축됩니다.
    이제, P1V1/T1 = P2V2/T2를 이용하여 최종온도 T2를 구합니다.
    여기서 P1=1기압, P2=3기압, V1=0.535, T1=20℃+273.15=293.15K 이므로
    1×0.535/293.15 = 3×V2/T2
    V2 = V1 = 0.535 이므로
    0.535/293.15 = 3×0.535/T2
    T2 = 128℃
    따라서 정답은 "128℃"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인화성가스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하 작업장에서 작업시 폭발 또는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매일 작업하기 전에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다.
  2. 해당 가스에 대한 이상을 발견할 때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다.
  3. 장시간 작업시 6시간마다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다.
  4. 가스 농도가 폭발하한계의 25% 이상일 경우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킨다.
(정답률: 67%)
  • 정답은 "매일 작업하기 전에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다."이다. 이유는 매일 작업하기 전에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다고 해서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가스 농도 변화를 감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 중에도 가스의 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장시간 작업시 6시간마다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공업용 고압가스 용기의 도색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산소 - 녹색
  2. 액화암모니아 - 백색
  3. 아세틸렌 - 황색
  4. 액화염소 - 주황색
(정답률: 63%)
  • 액화염소는 주황색이 아니라 노란색입니다. 이유는 액화염소는 노란색의 액체이며, 고압가스 용기의 표면에 도포된 도료가 노란색으로 표시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상 건조설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폭발 또는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준수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위험물 건조설비를 사용하는 때에는 미리 내부를 청소하거나 환기할 것
  2. 위험물 건조설비를 사용하는 때에는 건조로 인하여 발생하는 가스ㆍ증기 또는 분진에 의하여 폭발ㆍ화재의 위험이 있는 물질을 안전한 장소로 배출시킬 것
  3. 위험물 건조설비를 사용하여 가열건조하는 건조물은 쉽게 이탈되도록 할 것
  4. 고온으로 가열건조한 인화성 물질은 발화의 위험이 없는 온도로 냉각한 후에 격납시킬 것
(정답률: 75%)
  • "위험물 건조설비를 사용하여 가열건조하는 건조물은 쉽게 이탈되도록 할 것"은 적절하지 않은 사항입니다. 이유는 건조물이 쉽게 이탈되면 작업자의 안전에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조물은 안전하게 고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건설안전기술

101. 건물외부에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할 경우 수평면과의 가장 적절한 각도는?

  1. 5° ~ 10°
  2. 10° ~ 15°
  3. 15° ~ 25°
  4. 20° ~ 30°
(정답률: 61%)
  • 건물외부에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망은 건물과 수평면 사이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때, 방지망의 각도가 너무 작으면 물체가 망에 부딪혀 튕겨져 나갈 수 있고, 각도가 너무 크면 망이 물체를 막지 못하고 물체가 건물에 부딪혀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각도는 20° ~ 3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건립 중 강풍에 의한 풍압 등 외압에 대한 내력이 설계에 고려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하는 철골구조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이음부가 현장용접인 건물
  2. 높이 15m 인 건물
  3. 기둥이 타이플레이트(tie plate)형인 구조물
  4. 구조물의 폭과 높이의 비가 1:5 인 건물
(정답률: 68%)
  • 높이 15m 인 건물은 강풍에 의한 풍압 등 외압에 대한 내력이 설계에 고려되어야 하는 철골구조물이기 때문입니다. 높이가 높을수록 강풍에 노출되는 면적이 많아져서 강풍에 대한 내력이 더욱 중요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작업발판의 설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발판의 폭은 40cm 이상으로 하고 발판재료 간의 틈은 3cm 이하로 한다.
  2. 작업발판의 설치가 필요한 비계의 높이는 최소 2m 이상으로 한다.
  3. 작업발판이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3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한다.
  4. 추락의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 할 것
(정답률: 61%)
  • 작업발판의 폭과 발판재료 간의 틈, 비계의 높이, 안전난간 설치 등은 모두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기준이지만, 작업발판이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3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하는 것은 작업발판 자체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따라서 "작업발판의 폭은 40cm 이상으로 하고 발판재료 간의 틈은 3cm 이하로 한다."와 같은 다른 기준들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절단하중이 100ton 일 때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최대하중을 얼마까지 할 수 있는가?

  1. 20ton
  2. 33.3ton
  3. 40ton
  4. 50ton
(정답률: 56%)
  •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용 와이어로프는 일반적으로 안전성을 고려하여 최대하중의 1/5 이하의 하중만을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100ton의 절단하중이 있는 경우,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최대하중은 100ton의 1/5인 20ton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t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터널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지보공 점검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재의 긴압의 정도
  2. 부재의 손상ㆍ변형ㆍ부식ㆍ변위 탈락의 유무 및 상태
  3. 기둥침하의 유무 및 상태
  4. 터널 거푸집 지보공의 수량 상태
(정답률: 65%)
  • 터널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보공의 안전한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지보공을 점검할 때는 부재의 긴압의 정도, 부재의 손상ㆍ변형ㆍ부식ㆍ변위 탈락의 유무 및 상태, 기둥침하의 유무 및 상태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터널 거푸집 지보공의 수량 상태"입니다. 이는 지보공의 수량이 부족하거나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을 경우에는 지반의 부하를 제대로 받지 못하게 되어 터널붕괴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이동식비계 조립 및 사용 시 준수사항이 아닌 것은?

  1.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2. 승강용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3. 이동시 작업지휘자는 방향과 높이 측정을 위해 비계 위에 탑승해야 한다.
  4. 작업중 갑작스러운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바퀴는 브레이크 등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정답률: 76%)
  • "이동시 작업지휘자는 방향과 높이 측정을 위해 비계 위에 탑승해야 한다."는 준수사항이 아닙니다.

    이유는 이동시 작업지휘자가 비계 위에 탑승하면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동시에는 작업지휘자가 비계 아래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지시하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로드(rod)⋅유압잭(jack) 등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silo 공사 등에 적합한 거푸집은?

  1. 메탈폼
  2. 슬라이딩폼
  3. 워플폼
  4. 페코빔
(정답률: 73%)
  • 슬라이딩폼은 로드나 유압잭 등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사용되는 거푸집으로, 이동이 용이하고 빠르게 공사를 진행할 수 있어 silo 공사 등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슬라이딩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다음 중 양중기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의 사용금지 규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음매가 있는 것
  2.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 이상인 것
  3. 심하게 변형 또는 부식된 것
  4.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5% 이상인 것
(정답률: 70%)
  •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5% 이상인 것"은 옳지 않은 것이다. 와이어로프의 지름이 감소하면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이 금지되는 것이다. 이유는 간단하게 설명하면, 와이어로프의 지름이 작아지면 그만큼 단면적이 작아져서 하중을 견디는 능력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5% 이상인 와이어로프는 사용이 금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토사붕괴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사항으로 옳지않은 것은?

  1. 적절한 경사면의 기울기 계획
  2. 절토 및 성토 높이의 증가
  3. 활동할 가능성이 있는 토석 제거
  4. 말뚝(강관, H형강, 철근콘크리트) 을 타입하여 지반 강화
(정답률: 63%)
  • 절토 및 성토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은 옳은 조치이지만, 이것만으로 토사붕괴를 예방할 수는 없습니다. 토사붕괴는 지반의 안정성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반 조성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따라서, "절토 및 성토 높이의 증가"는 다른 조치와 함께 시행되어야만 토사붕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옥외에 설치되어 있는 주행 크레인은 순간풍속이 얼마 이상일 때 이탈방지장치를 작동시키는 등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해야 하는가?

  1. 순간풍속이 매 초당 5m 초과시
  2. 순간풍속이 매 초당 10m 초과시
  3. 순간풍속이 매 초당 20m 초과시
  4. 순간풍속이 매 초당 30m 초과시
(정답률: 53%)
  • 주행 크레인은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특히 순간풍속이 갑자기 높아지면 크레인이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이탈방지장치를 작동시켜야 합니다. 순간풍속이 매 초당 30m를 넘어가면 크레인의 안전에 위협이 될 정도로 바람이 매우 강해지기 때문에 이탈방지장치를 작동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순간풍속이 매 초당 30m 초과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잠함 또는 우물통의 내부에서 굴착작업을 할 때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굴착깊이가 10m를 초과하는 때에는 해당 작업장소와 외부와의 연락을 위한 통신설비 등을 설치한다.
  2. 산소결핍의 우려가 있는 때에는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자를 지명하여 측정하도록 한다.
  3. 근로자가 안전하게 승강하기 위한 설비를 설치한다.
  4. 측정결과 산소의 결핍이 인정될 때에는 송기를 위한 설비를 설치하여 필요한 양의 공기를 공급하여야 한다.
(정답률: 61%)
  • 정답: "산소결핍의 우려가 있는 때에는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자를 지명하여 측정하도록 한다."

    해당 보기는 옳은 준수사항이다. 그러나 옳지 않은 보기는 "굴착깊이가 10m를 초과하는 때에는 해당 작업장소와 외부와의 연락을 위한 통신설비 등을 설치한다." 이다. 이는 굴착깊이가 5m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굴착깊이가 1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작업장소와 외부와의 연락을 위한 통신설비 등을 설치해야 한다. 이는 굴착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나 긴급상황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굴착작업시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 전에 산소농도를 측정하고 산소량은 18% 이상 이어야 하며, 발파 후 반드시 환기설비를 작동시켜 가스배출을 한 후 작업을 하여야 한다.
  2. 시트파일의 설치시 수직도는 1/100 이내 이어야 한다.
  3. 토압이 커서 링이 변형될 우려가 있는 경우 스트러트 등으로 보강하여야 한다.
  4. 굴착 및 링의 설치와 동시에 철사다리를 설치 연장하여야 하는데 철사다리는 굴착 바닥면과 2m 이내가 되게 한다.
(정답률: 44%)
  • 옳지 않은 것은 "굴착 및 링의 설치와 동시에 철사다리를 설치 연장하여야 하는데 철사다리는 굴착 바닥면과 2m 이내가 되게 한다." 이다. 이는 옳은 준수사항이 아니며, 철사다리는 굴착 바닥면과 1m 이내가 되게 설치해야 한다. 이유는 철사다리가 너무 높게 설치되면 작업자가 오르내리기 어렵고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사업주는 리프트를 조립 또는 해체작업할 때 작업을 지휘하는 자를 선임하여야 한다. 이때 작업을 지휘하는 자가 이행하여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방법과 근로자의 배치를 결정하고 해당 작업을 지휘하는 일
  2. 재료의 결함유무 또는 기구 및 공구의 기능을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하는 일
  3. 운전방법 또는 고장났을 때의 처치방법 등을 근로자에게 주지시키는 일
  4. 작업 중 안전대 등 보호구의 착용상황을 감시하는 일
(정답률: 47%)
  • 작업을 지휘하는 자는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운전방법이나 고장 시의 처치방법 등을 근로자에게 지시해야 하기 때문에 이 사항이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공사용 가설도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도로는 장비 및 차량이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치한다.
  2. 도로는 배수에 상관없이 평탄하게 설치한다.
  3. 도로와 작업장이 접하여 있을 경우에는 방책 등을 설치한다.
  4. 차량의 속도제한 표지를 부착한다.
(정답률: 72%)
  • "도로는 배수에 상관없이 평탄하게 설치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도로는 올바른 배수 시설을 갖추어야 하며, 비가 내리면 물이 흐르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로가 물에 잠길 수 있으며, 차량 운행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차량계 건설기계의 전도방지 조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운행 경로 변경
  2. 갓길의 붕괴방지
  3. 지반의 부동침하방지
  4. 도로 폭의 유지
(정답률: 58%)
  • 운행 경로 변경은 전도방지 조치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조치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차량계 건설기계가 작업하는 곳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전도방지 조치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있을 때의 재해예방 대책과 거리가 먼 것은?

  1. 낙하물방지망 설치
  2. 출입금지구역 설정
  3. 안전대 착용
  4. 안전모 착용
(정답률: 70%)
  • 안전대 착용은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있을 때 사람의 몸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으로, 다른 대책들과 달리 거리와 상관없이 언제나 필요한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다음 중 철근인력운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긴 철근은 두 사람이 한 조가 되어 어깨메기로 운반하는 것이 좋다.
  2. 운반할 때에는 중앙부를 묶어 운반한다.
  3. 운반시 1인당 무게는 25kg 정도가 적당하다.
  4. 긴 철근을 한 사람이 운반할 때는 한쪽을 어깨에 메고 한쪽 끝을 땅에 끌면서 운반한다.
(정답률: 63%)
  • "긴 철근은 두 사람이 한 조가 되어 어깨메기로 운반하는 것이 좋다."는 옳은 설명이다.

    운반할 때에는 중앙부를 묶어 운반하는 이유는 철근이 중간에서 부러지거나 굽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중앙부를 묶어서 고정시키면 철근이 일정한 모양을 유지하면서 운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굴착작업에서 지반의 붕괴 또는 매설물, 그 밖에 지하 공작물의 손괴 등에 의하여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을 때 작업장소 및 그 주변에 대한 사전 지반조사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형상⋅지질 및 지층의 상태
  2. 매설물 등의 유무 또는 상태
  3. 지표수의 흐름 상태
  4. 균열⋅함수⋅용수 및 동결의 유무 또는 상태
(정답률: 61%)
  • 지표수의 흐름 상태는 굴착작업에서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수 있는 지하 공작물의 손괴나 지반 붕괴 등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사전 지반조사 사항 중 하나이다. 지표수의 흐름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지하수의 유출이나 침투로 인한 지반의 불안정성 등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굴착작업 전에는 반드시 지표수의 흐름 상태를 조사하여 안전한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산업안전 보건관리비계상 기준으로 일반건설공사(갑) “5억원 이상 ~ 50억원 미만” 의 비율 및 기초액으로 옳은 것은?

  1. 비율 : 1.86%, 기초액 : 5,349,000원
  2. 비율 : 1.95%, 기초액 : 3,498,000원
  3. 비율 : 2.15%, 기초액 : 5,148,000원
  4. 비율 : 1.49%, 기초액 : 4,211,000원
(정답률: 64%)
  • 산업안전 보건관리비계상 기준에 따르면 일반건설공사(갑)의 경우, 공사비의 1.86%를 산업안전 보건관리비로 산정해야 하며, 이를 기초액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5,349,000원이 나옵니다. 따라서 "비율 : 1.86%, 기초액 : 5,349,000원"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강풍 시 타워크레인의 작업제한과 관련된 사항으로 타워크레인의 운전작업을 중지해야 하는 순간풍속기준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순간풍속이 매 초당 10 미터 초과
  2. 순간풍속이 매 초당 20 미터 초과
  3. 순간풍속이 매 초당 30 미터 초과
  4. 순간풍속이 매 초당 40 미터 초과
(정답률: 64%)
  • 타워크레인은 강력한 바람에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작업 중인 타워크레인의 안전을 위해 순간풍속이 매 초당 20 미터를 초과하면 운전작업을 중지해야 합니다. 이는 바람이 갑자기 강해지는 순간에도 타워크레인이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순간풍속이 매 초당 20 미터를 초과하면 작업을 중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