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3-04)

산업안전기사
(2012-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안전관리론

1. 다음 중 무재해운동의 이념에 있어 모든 잠재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견ㆍ파악ㆍ해결함으로써 근원적으로 산업재해를 없앤다는 원칙에 해당하는 것은?

  1. 참가의 원칙
  2. 인간존중의 원칙
  3. 무의 원칙
  4. 선취의 원칙
(정답률: 73%)
  • "무의 원칙"은 모든 잠재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견ㆍ파악ㆍ해결함으로써 근원적으로 산업재해를 없앤다는 원칙입니다. 이는 예방적인 접근 방식으로,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위험요인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무의 원칙"은 무재해운동의 핵심 원칙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산업재해의 발생 원인에 있어 간접적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물적 원인
  2. 기술적 원인
  3. 정신적 원인
  4. 교육적 원인
(정답률: 80%)
  • 정신적 원인은 간접적인 원인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산업재해의 발생 원인은 대개 물적 원인, 기술적 원인, 인적 원인(교육적 원인)으로 구분됩니다. 물적 원인은 물리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인으로, 예를 들어 기계의 고장, 부적절한 설비 유지보수 등이 해당됩니다. 기술적 원인은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원인으로, 예를 들어 설계 오류, 부적절한 재료 사용 등이 해당됩니다. 인적 원인은 인간의 행동이나 인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인으로, 예를 들어 안전 교육 부족, 업무 부담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검사 대상 유해ㆍ위험 기계에 해당하는 것은?(2022년 03월 08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크레인(정격 하중이 2톤 미만)
  2. 이동식 국소배기장치
  3. 밀폐형 롤러기
  4. 산업용 원심기
(정답률: 71%)
  • 산업용 원심기는 안전검사 대상 유해ㆍ위험 기계에 해당한다. 이는 산업용 원심기가 회전 중에 불안정하게 움직이거나, 고속 회전 중에 부품 파손 등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산업용 원심기를 안전검사 대상 유해ㆍ위험 기계로 지정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근로자가 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 및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하고,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고자 할 때 사용하여야 하는 안전모의 종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A형
  2. AB형
  3. ABE형
  4. AE형
(정답률: 78%)
  • 정답은 "ABE형"입니다.

    안전모는 근로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개인보호장구입니다. 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 및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고,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A형 안전모는 머리를 보호하는 기능만 있고, 물체의 낙하나 비래 및 추락에 대한 보호 기능이 없습니다.

    AB형 안전모는 머리를 보호하는 기능과 물체의 낙하나 비래 및 추락에 대한 보호 기능이 있지만, 머리부위 감전에 대한 보호 기능은 없습니다.

    ABE형 안전모는 머리를 보호하는 기능과 물체의 낙하나 비래 및 추락에 대한 보호 기능, 그리고 머리부위 감전에 대한 보호 기능이 모두 갖추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근로자가 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 및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하고,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고자 할 때 사용하여야 하는 안전모의 종류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리더십 이론에서 성공적인 리더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연구하는 이론은?

  1. 특성이론
  2. 행동이론
  3. 상황적합성이론
  4. 수명주기이론
(정답률: 72%)
  • 특성이론은 리더십에서 성공적인 리더가 가지는 개인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이론입니다. 이론은 리더십에 필요한 특성들을 식별하고, 이러한 특성들이 성공적인 리더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합니다. 따라서, 이론의 이름이 "특성이론"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ㆍ기구 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자율안전기준에 맞지 아니하게 된 경우에는 관련 사항을 신고한 자에게 몇 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자율안전확인표시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자율안전기준에 맞게 개선하도록 명할 수 있는가?

  1. 1개월
  2. 3개월
  3. 6개월
  4. 12개월
(정답률: 69%)
  •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ㆍ기구 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자율안전기준에 맞지 아니하게 된 경우에는 개선을 명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개선을 명한 후에도 자율안전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자율안전확인표시의 사용을 금지할 수 있습니다. 이 금지 기간은 최대 6개월까지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개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알더퍼(Alderfer)의 ERG 이론에서 제시한 인간의 3가지 욕구에 해당하는 것은?

  1. Growth 욕구
  2. Rationalization 욕구
  3. Economy 욕구
  4. Environment 욕구
(정답률: 64%)
  • 알더퍼의 ERG 이론에서 제시한 인간의 3가지 욕구는 Existence(존재), Relatedness(관계), Growth(성장)이다. 이 중 "Growth 욕구"는 개인의 자기계발, 자아실현, 창의성 등을 추구하는 욕구를 의미한다. 따라서, "Growth 욕구"가 알더퍼의 ERG 이론에서 제시한 인간의 3가지 욕구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안전보건관리의 조직형태 중 경영자의 지휘와 명령이 위에서 아래로 하나의 계통이 되어 신속히 전달되며 100명 이하의 소규모 기업에 적합한 유형은?

  1. staff 조직
  2. line 조직
  3. line-staff 조직
  4. round 조직
(정답률: 84%)
  • line 조직은 경영자의 지휘와 명령이 위에서 아래로 직선적으로 전달되는 조직형태로, 명확한 책임과 권한이 부여되어 신속한 의사결정과 실행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100명 이하의 소규모 기업에 적합한 조직형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line 조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안전ㆍ보건교육에 있어 탱크 내 또는 환기가 극히 불량한 좁은 밀폐된 장소에서 용접작업을 하는 근로자에게 실시하여야하는 특별안전ㆍ보건교육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기타 안전ㆍ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다.)

  1. 환기설비에 관한 사항
  2. 작업환경 점검에 관한 사항
  3. 질식 시 응급조치에 관한 사항
  4. 안전기 및 보호구 취급에 관한 사항
(정답률: 63%)
  • 탱크 내 또는 환기가 극히 불량한 좁은 밀폐된 장소에서 용접작업을 하는 근로자에게 실시하여야하는 특별안전ㆍ보건교육의 내용 중 "안전기 및 보호구 취급에 관한 사항"은 해당하지 않는다. 이유는 안전기 및 보호구 취급은 모든 작업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안전 교육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항목은 특별안전ㆍ보건교육의 내용이 아니라 일반적인 안전교육의 범주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안전교육계획 수립시 포함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교재의 준비
  2. 교육기간 및 시간
  3. 교육의 종류 및 교육대상
  4. 교육담당자 및 강사
(정답률: 68%)
  • 안전교육계획 수립시 포함하여야 할 사항은 교육기간 및 시간, 교육의 종류 및 교육대상, 교육담당자 및 강사입니다. 이 중에서 "교재의 준비"는 안전교육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은 아닙니다. 따라서 "교재의 준비"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재해통계에 있어 강도율이 2.0 인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 건의 재해로 인해 전제 작업비용의 2.0%에 해당하는 손실이 발생하였다.
  2. 근로자 1000명당 2.0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
  3. 근로시간 1000시간당 2.0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
  4. 근로시간 1000시간당 2.0일의 근로손실이 발생하였다.
(정답률: 76%)
  • 정답은 "근로시간 1000시간당 2.0일의 근로손실이 발생하였다." 이다. 강도율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재해의 심각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근로자 1000명당 발생한 재해 건수 대비 근로자 1000명당 근로일 손실일 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강도율이 2.0인 경우, 근로자 1000명당 2.0건의 재해가 발생한 것이 아니라, 근로시간 1000시간당 2.0일의 근로손실이 발생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집단에서의 인간관계 메커니즘(Mechanism)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동일화, 일체화
  2. 커뮤니케이션, 공감
  3. 모방, 암시
  4. 분열, 강박
(정답률: 77%)
  • 정답은 "동일화, 일체화"입니다.

    인간관계 메커니즘 중 "동일화, 일체화"는 집단 내 구성원들이 서로 비슷해지거나 하나로 녹아들어 하나의 집단으로 인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집단 내 유대감을 형성하고, 집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 "분열, 강박"은 집단 내 구성원들 간의 갈등이나 불일치가 발생하여 집단 내 분열이 일어나거나, 특정한 규칙이나 행동에 대한 강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집단 내 갈등을 야기하거나, 집단의 목적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교육심리학의 기본이론 중 학습지도의 원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직관의 원리
  2. 개별화의 원리
  3. 사회화의 원리
  4. 계속성의 원리
(정답률: 62%)
  • 계속성의 원리는 학습이 지속되는 동안 반복적인 연습과 복습을 통해 지식과 기술을 유지하고 개선할 수 있다는 원리입니다. 다른 세 가지 원리는 학습자의 직관, 개별적인 학습 요구에 맞는 개별화,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과 경험을 통한 학습을 강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안전교육방법 중 동기유발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책임
  2. 참여
  3. 성과
  4. 회피
(정답률: 83%)
  • 안전교육에서 동기유발은 참여와 성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책임감도 중요하지만, 회피는 동기유발과는 거리가 먼 요소이다. 회피는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피하는 것을 의미하며, 안전교육에서는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회피는 안전교육에서 동기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위험예지훈련에 있어 Touch and call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현장에서 팀 전원이 각자의 왼손을 맞잡아 원을 만들어 팀 행동목표를 지적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2. 현장에서 그때 그 장소의 상황에서 즉응하여 실시하는 위험예지활동으로 즉시즉응법이라고도 한다.
  3. 작업자가 위험작업에 임하여 무재해를 지향하겠다는 뜻을 큰소리로 호칭하면서 안전의식수준을 제고하는 기법이다.
  4. 한 사람 한 사람의 위험에 대한 감수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삼각 및 원포인트 위험예지훈련을 통합한 활용기법이다.
(정답률: 80%)
  • "현장에서 팀 전원이 각자의 왼손을 맞잡아 원을 만들어 팀 행동목표를 지적확인하는 것을 말한다."는 팀원들 간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며, 팀 전체가 공통된 목표를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예지훈련 기법입니다. 이는 팀의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고, 위험 상황에서의 효과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ㆍ보건표지의 종류 중 관계자외 출입금지표지에 해당하는 것은?

  1. 안전모 착용
  2. 석면취급 및 해체ㆍ제거
  3. 폭발성물질 경고
  4. 방사성물질 경고
(정답률: 79%)
  • 석면은 건강에 해로운 물질로 인식되어 있기 때문에, 석면을 다루거나 해체 및 제거하는 작업장에서는 관계자 외 출입금지를 표시하는 안전ㆍ보건표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석면취급 및 해체ㆍ제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인간의 특성 중 판단과정의 착오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합리화
  2. 정서불안정
  3. 작업조건불량
  4. 정보부족
(정답률: 47%)
  • 정서불안정은 판단과정의 착오요인 중 하나이며, 합리화, 작업조건불량, 정보부족과 함께 널리 알려진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서불안정"이 아닌 다른 보기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A 사업장에서 사망이 2건 발생하였다면 이 사업장에서 경상 재해는 몇 건이 발생하겠는가? (단, 하인리히의 재해구성비율을 따른다.)

  1. 30건
  2. 58건
  3. 60건
  4. 600건
(정답률: 81%)
  • 하인리히의 재해구성비율에 따르면 사망 2건에 해당하는 비율은 3.4%이다. 따라서, 경상 재해 발생 건수는 (100% - 3.4%)인 96.6%에 해당하는데, 이를 100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1%당 0.966건의 경상 재해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망 2건에 해당하는 비율을 제외한 96.6%에서 2%를 뺀 94.6%에 해당하는데, 이를 0.966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약 58건의 경상 재해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58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안전교육 중 프로그램 학습법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쉽게 알 수 있다.
  2. 지능, 학습속도 등 개인차를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
  3. 매 반응마다 피드백이 주어지기 때문에 학습자가 흥미를 가질 수 있다.
  4. 여러 가지 수업 매체를 동시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정답률: 73%)
  • 여러 가지 수업 매체를 동시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은 프로그램 학습법의 장점 중 하나이다. 이는 학습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주얼러너, 스크래치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할 때, 온라인 강의, 책, 동영상, 게임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학습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학습 흥미도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시몬즈(Simonds)의 재해손실비용 산정 방식에 있어 비보험코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영구 전노동불능 상해
  2. 영구 부분노동불능 상해
  3. 일시 전노동불능 상해
  4. 일시 부분노동불능 상해
(정답률: 71%)
  • 정답: "영구 전노동불능 상해"

    시몬즈(Simonds)의 재해손실비용 산정 방식에서 비보험코스트에는 보험으로 보장되지 않는 손실들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재고의 폐기비용, 고용주의 법적 책임에 따른 손해배상비용 등이 비보험코스트에 해당됩니다. 그러나 "영구 전노동불능 상해"는 보험으로 보장되는 상해가 아니기 때문에 비보험코스트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해당 상해로 인해 일시적으로나 영구적으로 노동능력이 상실되었더라도 보험으로 보장되지 않는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인간의 반응시간을 조사하는 실험에서 0.1, 0.2, 0.3, 0.4 의 점등확률을 갖는 4개의 전등이 있다. 이 자극 전등이 전달하는 정보량은 약 얼마인가?

  1. 2.42 bit
  2. 2.16 bit
  3. 1.85 bit
  4. 1.53 bit
(정답률: 44%)
  • 정보량은 불확실성의 양에 비례한다. 즉,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정보량이 많아진다. 여기서는 4개의 전등 중 하나가 랜덤하게 점등되는데, 이 때 각 전등의 점등 확률이 다르다. 따라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다. 정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전등 1개를 선택할 때: -log2(0.25) = 2 bit
    - 전등 2개를 선택할 때: -log2(0.5) = 1 bit
    - 전등 3개를 선택할 때: -log2(0.75) = 0.415 bit
    - 전등 4개를 선택할 때: -log2(1) = 0 bit

    따라서, 각 경우의 정보량을 곱하고 더해주면 전체 정보량을 구할 수 있다.

    (0.1 x 2) + (0.2 x 1) + (0.3 x 0.415) + (0.4 x 0) = 1.85 bit

    따라서, 정답은 "1.85 bit"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각 부품의 신뢰도가 R 인 다음과 같은 시스템의 전체 신뢰도는?

  1. R4
  2. 2R - R2
  3. 2R2 - R3
  4. 2R3 - R4
(정답률: 61%)
  • 시스템의 전체 신뢰도는 각 부품이 모두 동시에 작동할 확률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의 전체 신뢰도는 R4이다. 그러나, 시스템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A와 B, C와 D, E와 F 중 적어도 하나씩은 작동해야 한다. 따라서, 이 중 하나라도 작동하지 않으면 시스템은 작동하지 않는다. 이를 고려하여 전체 신뢰도를 다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A와 B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지 않을 확률: R2
    - C와 D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지 않을 확률: R2
    - E와 F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지 않을 확률: R2
    - 위의 세 가지 경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할 확률: 1 - (1 - R2)3
    - 위의 경우가 발생하지 않을 확률 (즉, 모든 부품이 동시에 작동할 확률): (1 - R2)3
    - 전체 신뢰도: R4 + (1 - R2)3

    이를 정리하면 2R3 - R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고장형태와 영향분석(FMEA)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각 요소가 영향의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시에 2가지 이상의 요소가 고장 나는 경우에 적합하다.
  2. 해석영역이 물체에 한정되기 때문에 인적원인 해석이 곤란하다.
  3. 양식이 간단하여 특별한 훈련 없이 해석이 가능하다.
  4. 시스템 해석의 기법은 정성적, 귀납적 분석법 등에 사용한다.
(정답률: 55%)
  • 정답은 "각 요소가 영향의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시에 2가지 이상의 요소가 고장 나는 경우에 적합하다." 이다. 이유는 FMEA는 각 요소의 영향을 분석하여 고장을 예방하는 기법으로, 각 요소의 영향을 분석하기 때문에 동시에 2가지 이상의 요소가 고장 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서서하는 작업에서 정밀한 작업, 경작업, 중작업 등을 위한 작업대의 높이에 기준이 되는 신체부위는?

  1. 어깨
  2. 팔꿈치
  3. 손목
  4. 허리
(정답률: 74%)
  • 팔꿈치는 정밀한 작업, 경작업, 중작업 등을 위한 작업대의 높이에 기준이 되는 신체부위입니다. 이는 팔꿈치가 작업대와 수평이 되도록 조절하면 손목과 어깨의 부담을 줄이고,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팔꿈치는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작업 중에도 일정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서 작업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인간의 귀에 대한 구조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외이(external ear)는 귓바퀴와 외이도로 구성된다.
  2. 중이(middle ear)에는 인두와 교통하여 고실 내압을 조절하는 유스타키오관이 존재한다.
  3. 내이(inner ear)는 신체의 평형감각수용기인 반규관과 청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 및 와우로 구성어 있다.
  4. 고막은 중이와 내이의 경계부위에 위치해 있으며 음파를 진동으로 바꾼다.
(정답률: 64%)
  • 고막은 중이와 내이의 경계부위에 위치해 있으며 음파를 진동으로 바꾼다. (정답)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국내 규정상 최대 음압수준이 몇 dB(A)를 초과하는 충격소음에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가?

  1. 110
  2. 120
  3. 130
  4. 140
(정답률: 56%)
  • 국내 규정상 최대 음압수준은 140 dB(A)이며, 이를 초과하는 충격소음에 노출되면 청력손상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노출되어서는 안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설비보전방식의 유형은?

  1. 개량 보전
  2. 사후 보전
  3. 일상 보전
  4. 보전 예방
(정답률: 75%)
  • 이 설비보전 방식은 "보전 예방" 유형이다. 이유는 이미 발생한 고장을 수리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예방하여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즉, 예방적인 조치를 통해 설비의 수명을 연장하고 안정적인 운영을 유지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인체측정과 작업공간의 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조적 인체 치수는 움직이는 몸의 자세로부터 측정한 것이다.
  2. 선반의 높이, 조작에 필요한 힘 등을 정할 때에는 인체 측정치의 최대집단치를 적용한다.
  3. 수평 작업대에서의 정상작업영역은 상완을 자연스럽게 늘어뜨린 상태에서 전완을 뻗어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4. 수평 작업대에서의 최대작업영역은 다리를 고정시킨 후 최대한으로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정답률: 66%)
  • 수평 작업대에서의 정상작업영역은 상완을 자연스럽게 늘어뜨린 상태에서 전완을 뻗어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이는 인체 치수를 고려하여 작업공간을 설계할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인체 치수는 움직이는 몸의 자세로부터 측정한 것이며, 작업대의 높이나 조작에 필요한 힘 등을 결정할 때에는 인체 측정치의 최대 집단치를 적용한다. 다리를 고정시킨 후 최대한으로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은 최대 작업영역이 아니며, 올바른 작업자의 자세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체계 설계 과정의 주요 단계가 다음과 같을 때 인간ㆍ하드웨어ㆍ소프트웨어의 기능 할당, 인간성능 요건 명세, 직무분석, 작업설계 등의 활동을 하는 단계는?

  1. 체계의 정의
  2. 기본 설계
  3. 계면 설계
  4. 촉진물 설계
(정답률: 74%)
  • 기본 설계 단계에서는 인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기능 할당과 인간성능 요건 명세, 직무분석, 작업설계 등의 활동을 수행합니다. 이는 체계 설계 과정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단계로, 체계의 전반적인 구조와 기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본 설계는 체계 설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path se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스템의 약점을 표현한 것이다.
  2. Top 사상을 발생시키는 조합이다.
  3. 시스템이 고장 나지 않도록 하는 사상의 조합이다.
  4. 일반적으로 Fussell Algorithm을 이용한다.
(정답률: 77%)
  • "시스템이 고장 나지 않도록 하는 사상의 조합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ath set은 시스템의 모든 경로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이를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을 검증하고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이 고장 나지 않도록 하는 사상의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휴먼에러(Human Error)의 심리적 요인으로 옳은 것은?

  1. 일이 너무 복잡한 경우
  2. 일의 생산성이 너무 강조될 경우
  3. 동일 형상의 것이 나란히 있을 경우
  4. 서두르거나 절박한 상황에 놓여있을 경우
(정답률: 79%)
  • 서두르거나 절박한 상황에 놓여있을 경우는 시간적 압박이나 긴장 상태로 인해 집중력이 떨어지고 실수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는 휴먼에러의 심리적 요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정량적 자료를 정성적 판독의 근거로 사용하는 경우로 볼 수 없는 것은?

  1. 미리 정해 놓은 몇 개의 한계범위에 기초하여 변수의 상태나 조건을 판정할 때
  2. 목표로 하는 어떤 범위의 값을 유지할 때
  3. 변화 경향이나 변화율을 조사하고자 할 때
  4. 세부 형태를 확대하여 동일한 시각을 유지해 주어야 할 때
(정답률: 45%)
  • 세부 형태를 확대하여 동일한 시각을 유지해 주어야 할 때는 정성적 판독의 근거로 사용할 수 없다. 이는 정성적 판독이 주관적인 요소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동일한 시각을 유지해 주어야 하는 경우에는 정량적 자료를 사용하여 객관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이 더 적합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정량적 자료를 정성적으로 해석하는 경우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FT도에 사용되는 다음 기호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억제 게이트
  2. 부정 게이트
  3. 생략사상
  4. 전이기호
(정답률: 73%)
  • 이 기호는 "억제 게이트"라고 불린다. 이는 입력된 두 개의 값 중 하나가 0일 때 출력값이 0이 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즉, 두 입력값이 모두 1일 때만 출력값이 1이 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출력값이 0이 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억제"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결함위험분석(FHA, fault hazard analysis)의 적용 단계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정답률: 61%)
  • ③. 설계단계에서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FHA는 시스템이나 제품의 설계 단계에서 결함과 위험을 분석하여 예방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설계 단계에서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이미 제품이나 시스템이 완성된 후에는 결함을 수정하기 어렵고 위험을 예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화학설비의 안전성 평가단계 중 “관계 자료의 작성준비”에 있어 관계 자료의 조사항목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입지에 관한 도표
  2. 온도, 압력
  3. 공정기기목록
  4. 화학설비 배치도
(정답률: 61%)
  • "입지에 관한 도표", "공정기기목록", "화학설비 배치도"는 모두 화학설비의 구성과 위치, 기능 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므로 안전성 평가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습니다. 반면에 "온도, 압력"은 화학설비의 운전 조건과 관련된 정보이지만, 안전성 평가와는 간접적으로 연관이 있습니다. 따라서 "온도, 압력"이 가장 관계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인간공학을 나타내는 용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human factors
  2. ergonomics
  3. human engineering
  4. customize engineering
(정답률: 71%)
  • "Customize engineering"은 인간공학과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인간공학은 인간의 물리적,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품, 시스템, 작업환경 등을 설계하는 학문이며, "human factors", "ergonomics", "human engineering"은 모두 인간공학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하지만 "customize engineering"은 제품이나 시스템을 개인의 취향에 맞게 맞춤 제작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이므로, 인간공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실효온도(Effective Temperatur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체온계로 입안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으로 한다.
  2. 실제로 감각되는 온도로서 실감온도라고 한다.
  3. 온도, 습도 및 공기 유동이 인체에 미치는 열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4. 상대습도 100% 일 때의 건구온도에서 느끼는 것과 동일한 온감이다.
(정답률: 71%)
  • "체온계로 입안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으로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효온도는 인체가 느끼는 온도로서, 온도, 습도, 공기 유동 등의 인자들이 모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입안의 온도만으로는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실효온도는 일반적으로 인체 피부 온도를 측정하여 계산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인간이 현존하는 기계보다 우월한 기능이 아닌 것은?

  1. 귀납적으로 추리한다.
  2. 원칙을 적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한다.
  3.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하여 의사 결정을 한다.
  4. 명시된 절차에 따라 신속하고, 정량적인 정보처리를 한다.
(정답률: 79%)
  • "명시된 절차에 따라 신속하고, 정량적인 정보처리를 한다."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기능 중에서도 기계와 유사한 정보처리 능력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인간이 독보적으로 가지고 있는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발생확률이 각각 0.05, 0.08 인 두 결함사상이 AND 조합으로 연결된 시스템을 FTA로 분석하였을 때 이 시스템의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1. 0.004
  2. 0.126
  3. 0.874
  4. 0.996
(정답률: 56%)
  • 두 결함사상이 AND 조합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두 결함이 모두 발생하지 않으면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시스템의 신뢰도는 두 결함이 모두 발생할 확률을 뺀 값이다.

    두 결함이 모두 발생할 확률은 각각의 확률을 곱한 값이므로 0.05 * 0.08 = 0.004 이다. 따라서 시스템의 신뢰도는 1 - 0.004 = 0.99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시스템 안전관리의 주요 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 안전에 필요한 사항의 식별
  2. 안전활동의 계획, 조직 및 관리
  3. 시스템 안전활동 결과의 평가
  4. 생산시스템의 비용과 효과 분석
(정답률: 78%)
  • 생산시스템의 비용과 효과 분석은 시스템 안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업무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시스템 안전관리는 위험을 식별하고 예방하기 위한 활동들을 포함하며, 안전활동의 계획, 조직 및 관리, 그리고 결과의 평가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생산시스템의 비용과 효과 분석은 생산성과 경제성을 고려하는 업무로, 시스템 안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위험방지기술

41. 다음 중 위험기계의 구동에너지를 작업자가 차단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급정지장치
  2. 감속장치
  3. 위험방지장치
  4. 방호설비
(정답률: 78%)
  • 급정지장치는 작업자가 위험기계의 구동에너지를 즉시 차단할 수 있는 장치로,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위험기계의 구동에너지를 작업자가 차단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급정지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방호장치를 설치할 때 중요한 것은 기계의 위험점으로부터 방호장치까지의 거리이다. 위험한 기계의 동작을 제동시키는데 필요한 총소요시간을 t(초)라고 할 때 안전거리(S)의 산출식으로 옳은 것은?

  1. S = 1.0t mm/s
  2. S = 1.6t m/s
  3. S = 2.8t mm/s
  4. S = 3.2t m/s
(정답률: 76%)
  • 안전거리(S)는 위험한 기계의 동작을 제동시키는데 필요한 총소요시간(t)과 기계의 동작을 멈추기 위한 거리(d)의 합으로 구성된다. 즉, S = t + d 이다.

    여기서, 기계의 동작을 멈추기 위한 거리(d)는 기계의 속도(v)와 반응시간(tr)에 의해 결정된다. 즉, d = v × tr 이다.

    따라서, S = t + v × tr 이다.

    여기서, v × tr은 속도와 시간의 곱으로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인 미터(m)로 표시해야 한다. 따라서, v × tr을 m/s로 표시해야 한다.

    보기 중에서 m/s로 표시된 것은 "S = 1.6t m/s"이다. 따라서, 이것이 옳은 산출식이다.

    예를 들어, 위험한 기계의 동작을 제동시키는데 필요한 총소요시간이 1초라면, 안전거리는 S = 1.6 × 1 = 1.6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보일러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방출장치의 검사주기로 옳은 것은?

  1. 분기별 1회 이상
  2. 6개월에 1회 이상
  3. 매년 1회 이상
  4. 2년마다 1회 이상
(정답률: 59%)
  • 압력방출장치는 보일러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이 장치는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너무 높아지면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 장치도 오랜 사용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매년 1회 이상의 검사 주기가 필요한 이유는 보일러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검사 주기를 늘리거나 무시하게 되면, 압력방출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너무 높아져 폭발이나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년 1회 이상의 검사 주기를 지켜야 보일러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설비의 내부에 균열 결함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검사방법은?

  1. 육안검사
  2. 액체침투탐상검사
  3. 초음파탐상검사
  4. 피로검사
(정답률: 72%)
  • 설비의 내부에 균열 결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비파괴검사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초음파탐상검사는 고주파음파를 이용하여 내부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균열, 불순물, 두께 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비의 내부에 균열 결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초음파탐상검사가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육안검사나 액체침투탐상검사는 균열 결함을 확인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피로검사는 주로 금속재료의 피로파손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연삭숫돌의 지름이 20cm이고, 원주속도가 250m/min일 때 연삭숫돌의 회전수는 약 얼마인가?

  1. 397.89 rpm
  2. 403.25 rpm
  3. 393.12 rpm
  4. 406.80 rpm
(정답률: 64%)
  • 원주는 지름과 관련된 공식인 원주 = 지름 x π로 구할 수 있으므로, 연삭숫돌의 원주는 20 x π = 62.83cm이다. 이를 m로 변환하면 0.6283m이다.

    회전수는 분당 회전수인 rpm으로 표시되므로, 원주속도를 회전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분당 회전수로 변환해야 한다.

    분당 회전수 = 원주속도 ÷ 원주

    분당 회전수 = 250 ÷ 0.6283

    분당 회전수 = 397.89 rpm

    따라서, 정답은 "397.89 rp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프레스 또는 전단기 방호장치의 종류와 분류 기호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광전자식 : D-1
  2. 양수조작식 : A-1
  3. 가드식 : C
  4. 손쳐내기식 : B
(정답률: 65%)
  • 가드식 방호장치는 C로 분류되며, 이는 회전하는 부분을 가로막아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회전축 주변에 설치되며, 회전하는 부분과 가까이 위치하여 작동 시 회전축을 가로막아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기계설비가 이상이 있을 때 기계를 급정지시키거나 방호장치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과 전기회로를 개선하여 오동작을 방지하거나 별도의 완전한 회로에 의해 정상기능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1. 구조부분 안전화
  2. 기능적 안전화
  3. 보전작업 안전화
  4. 외관상 안전화
(정답률: 69%)
  • 기능적 안전화는 기계나 전기회로의 이상을 방지하고 정상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안전조치이다. 이를 위해 방호장치를 설치하거나 회로를 개선하여 오동작을 방지하고, 급정지장치를 설치하여 위험을 예방한다. 따라서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도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크레인에 전용 탑승설비를 설치하고 근로자를 달아 올린 상태에서 작업에 종사시킬 경우 근로자의 추락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해야할 조치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승차석 외의 탑승 제한
  2. 안전대나 구명줄의 설치
  3. 탑승설비의 하강시 동력하강방법을 사용
  4. 탑승설비가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
(정답률: 61%)
  • "승차석 외의 탑승 제한"은 적합하지 않은 조치사항입니다. 이유는 크레인에 전용 탑승설비를 설치하고 근로자를 달아 올린 상태에서 작업에 종사시키는 경우, 근로자가 탑승설비의 승차석 외의 다른 부분에 올라탈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근로자가 승차석 외의 부분에 올라타지 않도록 제한하는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그림과 같은 연삭기 덮개의 용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원통연삭기, 센터리스연삭기
  2. 휴대용 연삭기, 스윙연삭기
  3. 공구연삭기, 만능연삭기
  4. 평면연삭기, 절단연삭기
(정답률: 63%)
  • 연삭기 덮개는 연삭 작업 시 발생하는 먼지와 광택제 등의 오염물질로부터 작업자와 기계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평면연삭기와 절단연삭기는 작업 시 발생하는 먼지와 오염물질이 많은 작업에 적합하며, 덮개의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연삭기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절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반면, 원통연삭기와 센터리스연삭기는 작업물의 형태가 원통형이거나 중심축이 없는 작업물에 적합하며, 휴대용 연삭기나 스윙연삭기는 이동이나 작업물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적합합니다. 공구연삭기나 만능연삭기는 다양한 종류의 공구를 연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재료의 강도시험 중 항복점을 알 수 있는 시험의 종류는?

  1. 압축시험
  2. 충격시험
  3. 인장시험
  4. 피로시험
(정답률: 66%)
  • 인장시험은 재료를 끌어당기는 힘을 가해 항복점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따라서 강도시험 중 항복점을 알 수 있는 시험으로 인장시험이 선택되는 것이다. 압축시험은 재료를 압축하는 시험, 충격시험은 재료에 충격을 가해 파괴되는 지점을 측정하는 시험, 피로시험은 반복적인 하중에 대한 재료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SPM(stroke per minute)이 100 인 프레스에서 클러치 맞물림 개소수가 4인 경우 양수조작식 방호장치의 설치거리는 얼마인가?

  1. 160mm
  2. 240mm
  3. 300mm
  4. 720mm
(정답률: 46%)
  • 양수조작식 방호장치의 설치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설치거리 = (SPM ÷ 2) × 클러치 맞물림 개소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설치거리 = (100 ÷ 2) × 4 = 200 × 4 = 800mm

    따라서, 정답은 "800mm"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양수조작식 방호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실제로는 클러치 맞물림 개소수에 따라 설치거리를 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클러치 맞물림 개소수가 적을수록 방호장치를 더 가까이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거리를 줄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720mm" 이다. 클러치 맞물림 개소수가 4인 경우, 양수조작식 방호장치를 720mm 거리에 설치해야 한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상용운전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상승할 경우, 보일러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고사용압력과 상용압력 사이에서 보일러의 버너 연소를 차단하여 열원을 제거하여 정상압력으로 유도하는 보일러의 방호장치는 무엇인가?

  1. 압력방출장치
  2. 고저수위조절장치
  3. 언로우드밸드
  4. 압력제한스위치
(정답률: 70%)
  • 압력제한스위치는 보일러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최고사용압력과 상용압력 사이에서 압력이 너무 높아지면 보일러의 버너 연소를 차단하여 열원을 제거하여 정상압력으로 유도하는 방호장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 상황에서는 압력제한스위치가 보일러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장치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컨베이어에 설치하는 방호장치가 아닌 것은?

  1. 비상정지장치
  2. 역주행방지장치
  3. 잠금장치
  4. 건널다리
(정답률: 66%)
  • 잠금장치는 컨베이어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로, 방호장치가 아닙니다. 비상정지장치는 비상상황에서 컨베이어를 즉시 정지시키는 장치이고, 역주행방지장치는 컨베이어가 역주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입니다. 건널다리는 작업자가 컨베이어를 건널 때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기]와 같은 안전 수칙을 적용해야 하는 수공구는?

  1. 쇠톱
  2. 스패너
(정답률: 76%)
  • 이유: "정"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사용하는 전동드릴로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안전 수칙을 적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줄"은 수작업으로 사용되는 도구이며, "쇠톱"은 전동식으로 위험성이 높지만 이미지에서는 수작업으로 보이므로 "정"보다는 안전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스패너"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며, 수작업으로 사용되는 도구이므로 "정"보다는 안전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기계설비에서 반대로 회전하는 두 개의 회전체가 맞닿는 사이에 발생하는 위험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협착점(squeeze point)
  2. 물림점(nip point)
  3. 접선물림점(tangential point)
  4. 회전말림점(trapping point)
(정답률: 64%)
  • 물림점은 두 개의 회전체가 맞닿아 반대로 회전할 때 발생하는 위험점으로, 물체나 손이 물림점에 끼이면 큰 힘이 작용하여 심각한 상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기계설비에서는 물림점이 발생하는 부분에 보호장치를 설치하여 안전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셰이퍼에서 근로자의 보호를 위한 방호장치가 아닌 것은?

  1. 방책
  2. 칩받이
  3. 칸막이
  4. 급속귀환장치
(정답률: 72%)
  • 급속귀환장치는 근로자의 보호를 위한 방호장치가 아닙니다. 이는 셰이퍼 작업 중에 급격한 이동이나 비상 상황에서 작업자가 빠르게 기계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이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아세틸렌 용접장치에 사용되는 전용의 아세틸렌 발생기실의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붕 및 천장에는 얇은 철판이나 가벼운 불연성 재료를 사용할 것
  2. 바닥면적의 1/16 이상의 단면적을 가진 배기통을 옥상으로 돌출시키고 그 개구부를 창 또는 출입구로부터 1.5m 이상 떨어지도록 할 것
  3. 벽과 발생기 사이에는 발생기의 조정 또는 카바이드 공급 등의 작업을 방해하지 아니하도록 간격을 확보 할 것
  4. 출입구의 문은 불연성 재료로 하고 두께 1.0mm이상의 철판이나 그 밖에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구조로 할 것
(정답률: 56%)
  • "출입구의 문은 불연성 재료로 하고 두께 1.0mm이상의 철판이나 그 밖에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구조로 할 것"이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

    이유는 아세틸렌 발생기실은 카바이드와 물을 반응시켜 아세틸렌 가스를 발생시키는 장치이기 때문에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출입구의 문은 불연성 재료로 만들어야 하며, 두께 1.0mm 이상의 철판이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구조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는 폭발로 인한 안전을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수평거리 20m, 높이가 5m 인 경우 지게차의 안정도는 얼마인가?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73%)
  • 안정도는 수평거리와 높이의 비율로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5m/20m = 0.25 = 25% 이므로 정답은 "25%"입니다. 즉, 지게차의 안정도는 수평거리에 비해 높이가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내압을 받고 있는 얇은 원통의 압력용기에서 원주방향 응력은 축방향 응력의 약 몇 배인가?

  1. 0.5
  2. 1.5
  3. 2
  4. 3
(정답률: 54%)
  • 원통의 압력용기에서 원주방향 응력은 축방향 응력의 2배이다. 이는 내압이 작용하는 방향이 원통의 축방향과 수직이기 때문에, 원주방향 응력은 축방향 응력의 2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와전류비파괴검사법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동화 및 고속화가 가능하다.
  2. 측정치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적다.
  3. 가는 선, 얇은 판의 경우도 검사가 가능하다.
  4. 표면 아래 깊은 위치에 있는 결함은 검출이 곤란하다.
(정답률: 50%)
  • "표면 아래 깊은 위치에 있는 결함은 검출이 곤란하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와전류비파괴검사법은 전기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물체의 표면에서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표면 아래 깊은 위치에 있는 결함은 검출이 어렵다. 그러나 다른 보기들은 모두 와전류비파괴검사법의 특징으로서, 자동화 및 고속화가 가능하고 측정치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적으며 가는 선, 얇은 판의 경우도 검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위험방지기술

61. 활선 작업시 필요한 보호구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무장갑
  2. 안전화
  3. 대전방지용 구두
  4. 안전모
(정답률: 61%)
  • 대전방지용 구두는 화학물질이나 방사선 등으로 인한 대전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구입니다. 다른 보호구들은 주로 물리적인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만, 대전방지용 구두는 화학적인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호구들과는 달리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최고표면온도에 의한 폭발성가스의 분류와 방폭전기 기기의 온도등급 기호와의 관계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200℃ 초과 300℃ 이하 : T2
  2. 300℃ 초과 450℃ 이하 : T3
  3. 450℃ 초과 600℃ 이하 : T4
  4. 600℃ 초과 : T5
(정답률: 58%)
  • 최고표면온도가 200℃ 초과 300℃ 이하인 폭발성가스는 T2 온도등급 기호를 가지게 된다. 이는 폭발성가스가 일정 온도 이상에서 폭발할 가능성이 있지만, 그 온도가 300℃을 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방폭전기 기기의 온도등급 기호가 T2인 경우, 해당 기기는 최고표면온도가 200℃ 초과 300℃ 이하인 폭발성가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전기화재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단락 및 과부하
  2. 절연불량
  3. 기구의 구조불량
  4. 누전
(정답률: 73%)
  • 전기화재의 원인은 전기적인 문제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기구의 구조불량은 전기적인 문제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구의 구조불량은 전기화재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정격사용율 30%, 정격2차전류 300A인 교류아크 용접기를 200A로 사용하는 경우의 허용사용률은?

  1. 67.5%
  2. 91.6%
  3. 110.3%
  4. 130.5%
(정답률: 60%)
  • 정격사용율은 실제 사용하는 전류와 정격전류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200A로 사용하는 경우, 정격전류 300A 대비 200A는 2/3에 해당합니다.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66.7%가 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정격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여유를 두는 것이 좋기 때문에, 보통 5% 정도 여유를 두어 계산합니다. 따라서 66.7%에 5%를 더한 값인 67.5%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누전화재경보기에 사용하는 변류기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옥외 전로에는 옥외형을 설치
  2. 점검이 용이한 옥외 인입선의 부하측에 설치
  3. 건물의 구조상 부득이 하여 인입구에 근접한 옥내에 설치
  4. 수신부에 있는 스위치 1차측에 설치
(정답률: 47%)
  • "수신부에 있는 스위치 1차측에 설치"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변류기는 전기를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신부에 설치할 경우 전기가 변환되기 전에 누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변류기는 옥외 전로나 옥외 인입선의 부하측에 설치하거나, 건물의 구조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인입구에 근접한 옥내에 설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전기기기의 케이스를 전폐구조로 하며 접합면에는 일정치 이상의 깊이를 갖는 패킹을 하여 분진이 용기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한 구조는?

  1. 보통방진 방폭구조
  2. 분진특수 방폭구조
  3. 특수방진 방폭구조
  4. 분진 방폭구조
(정답률: 60%)
  • 전기기기의 케이스를 전폐구조로 하여 분진이 용기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고, 접합면에는 일정치 이상의 깊이를 갖는 패킹을 하여 더욱 견고하게 만든 구조가 "특수방진 방폭구조"입니다. 이는 분진특수 방폭구조와는 달리 전기기기에 특화된 구조로, 전기기기 내부의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더욱 강화된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감전사고 방지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비의 필요한 부분에 보호접지 실시
  2. 노출된 충전부에 통전망 설치
  3. 안전전압 이하의 전기기기 사용
  4. 전기기기 및 설비의 정비
(정답률: 65%)
  • 노출된 충전부에 통전망을 설치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감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감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충전부에 통전망을 설치하면 전기가 누출되어도 통전망을 통해 계속 전기가 흐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충전부는 절연체로 감싸거나 보호막으로 덮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하나의 피뢰침 인하도선에 2개 이상의 접지극을 병렬접속 할 때 그 간격은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47%)
  • 정답은 "2"이다.

    접지극을 병렬접속할 때 간격은 서로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분한 거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접지극 간격은 2m 이상으로 권장된다. 따라서, 하나의 피뢰침 인하도선에 2개 이상의 접지극을 병렬접속 할 때 그 간격은 2m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인체의 전격시의 통전시간이 4초 일 때 심실세동 전류를 Dalziel 이 주장한 식으로 계산한 것으로 다음 중 알맞은 것은?

  1. 53mA
  2. 82.5mA
  3. 102.5mA
  4. 143mA
(정답률: 57%)
  • Dalziel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I = 0.8 / T

    여기서 T는 통전시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심실세동 전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T값을 4초로 대입하면 됩니다.

    I = 0.8 / 4 = 0.2 A = 200 mA

    하지만 문제에서 답을 구하는 단위는 mA이므로, 200을 1000으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I = 200 / 1000 = 0.2 A = 200 mA

    따라서 정답은 200 mA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방전의 종류 중 도체가 대전되었을 때 접지된 도체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강한 발광과 파괴음을 수반하는 방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연면 방전
  2. 자외선 방전
  3. 불꽃 방전
  4. 스트리머 방전
(정답률: 62%)
  • 불꽃 방전은 대전된 도체와 접지된 도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으로, 매우 강한 발광과 파괴음을 동반합니다. 이는 전기 에너지가 고온과 고압으로 변환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불꽃 방전은 주로 전기 기기나 전력선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전기 안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가스폭발위험이 있는 0종 장소에 전기기계ㆍ기구를 사용 할 때 요구되는 방폭구조는?

  1. 내압 방폭구조
  2. 압력 방폭구조
  3. 유입 방폭구조
  4. 본질안전 방폭구조
(정답률: 60%)
  • 0종 장소는 가스폭발 위험이 있는 장소로, 전기기계ㆍ기구를 사용할 때는 폭발을 예방하기 위해 방폭구조가 요구됩니다. 이 중에서도 본질안전 방폭구조는 전기기계ㆍ기구 자체가 폭발을 일으키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어 가장 안전한 방폭구조입니다. 따라서 0종 장소에서 전기기계ㆍ기구를 사용할 때는 본질안전 방폭구조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은 전기안전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을 기술한 것이다. 옳게 설명한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220[V]동력용 전동기의 외함에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하였다.
  2. 배선에 사용할 전선의 굵기를 허용전류, 기계적강도, 전압강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3.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 피뢰침 설비를 설치하였다.
  4. 전선 접속시 전선의 세기가 30[%] 이상 감소되었다.
(정답률: 72%)
  • 전선의 굵기는 전류의 양에 따라 결정되며, 전류가 많을수록 굵은 전선이 필요하다. 또한 기계적 강도와 전압강하 등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는 전선이 안전하게 전기를 전달하고 과부하로 인한 화재 등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전기누전으로 인한 화재조사 시에 착안해야 할 입증 흔적과 관계없는 것은?

  1. 접지점
  2. 누전점
  3. 혼촉점
  4. 발화점
(정답률: 54%)
  • 전기누전으로 인한 화재조사 시에는 발화점, 누전점, 접지점과 관련된 입증 흔적이 중요하다. 그러나 혼촉점은 전기적인 문제가 아니라 기계적인 문제로 인한 화재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관계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정답은 "혼촉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인입개폐기(LS)를 개방하지 않고 전등용 변압기 1차측 COS만 개방 후 전등용 변압기 접속용 볼트 작업 중 동력용 COS에 접촉, 사망한 사고에 대한 원인과 거리가 먼 것은?

  1. 인입구 개폐기 미개방한 상태에서 작업
  2. 동력용 변압기 COS 미개방
  3. 안전장구 미사용
  4. 전등용 변압기 2차측 COS 미개방
(정답률: 66%)
  • 전등용 변압기 2차측 COS 미개방은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전등용 변압기 2차측 COS는 전기를 공급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만약 이 COS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다가 동력용 COS에 접촉하면 전기가 흐르게 되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등용 변압기 2차측 COS를 개방해야 안전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정전기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하는 제전기의 제전 효율은 설치시에 얼마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1. 50% 이상
  2. 70% 이상
  3. 90% 이상
  4. 100%
(정답률: 57%)
  • 제전기는 전기적으로 중립화된 상태를 유지하여 정전기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제전기의 제전 효율이 높을수록 정전기 발생 확률이 낮아지므로, 정전기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제전 효율이 높은 제전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제전 효율이 90% 이상이어야 충분한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제전기가 전기적으로 중립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전기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제전 효율이 90% 이상인 제전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전격의 위험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통전 전류가 크고, 주파수가 높고, 장시간 흐를수록 위험하다.
  2. 통전 전압이 높고, 주파수가 높고, 인체 저항이 낮을수록 위험하다.
  3. 통전 전류가 크고, 장시간 흐르고, 인체의 주요한 부분을 흐를수록 위험하다.
  4. 통전 전압이 높고, 인체저항이 높고, 인체의 주요한 부분을 흐를수록 위험하다.
(정답률: 69%)
  • 전기가 인체를 통과할 때, 전류의 크기와 흐르는 시간, 그리고 인체의 주요한 부분을 흐르는 정도에 따라 위험이 결정된다. 따라서 "통전 전류가 크고, 장시간 흐르고, 인체의 주요한 부분을 흐를수록 위험하다."가 가장 잘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점전하가 절연유 속에 있는 경우 전계의 세기는 어떻게 변하겠는가? (단, ℇo는 진공의 유전율이며, ℇs는 비유전율이다.)

  1. 변화가 없다.
  2. 1/(ℇs)로 작아진다.
  3. ℇs 배로 커진다.
  4. ℇoℇs 배로 커진다.
(정답률: 47%)
  • 점전하가 절연유 속에 있는 경우, 전계의 세기는 절연유의 비유전율인 ℇs에 반비례하여 작아진다. 이는 절연유가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1/(ℇs)로 작아진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변압기의 중성점을 제2종 접지한 수전전압 22.9kV, 사용전압 220V인 공장에서 외함을 제3종 접지공사를 한 전동기가 운전 중에 누전되었을 경우에 작업자가 접촉될 수 있는 최소전압은 약 몇 [V]인가? (단, 1선 지락전류:10A, 제3종 접지저항:30Ω, 인체저항:10000Ω이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165.6[V]
  2. 146.7[V]
  3. 127.5[V]
  4. 116.7[V]
(정답률: 47%)
  • 누전이 발생하면 중성점을 제2종 접지한 경우에는 누전전압이 사용전압의 1000배까지 허용되므로, 최대 허용 누전전압은 220V × 1000 = 220000V이다. 그러나 제3종 접지를 한 경우에는 누전전압이 인체저항과 제3종 접지저항으로 나누어져서 작업자에게 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허용되는 최대 전압이 결정된다. 따라서 최소전압을 구하기 위해서는 인체에 흐르는 전류를 구해야 한다.

    인체에 흐르는 전류는 누전전압을 인체저항과 제3종 접지저항의 합으로 나눈 값이다. 즉, 전류 = 누전전압 / (인체저항 + 제3종 접지저항) 이다. 여기에 오므로 1선 지락전류가 흐르면 누전전압은 10A × 30Ω = 300V가 된다. 따라서 인체에 흐르는 전류는 300V / (10000Ω + 30Ω) = 0.0297A가 된다.

    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0.0297A일 때, 인체에 위험한 최소전압은 50V이다. 따라서 누전전압이 300V일 때, 인체에 위험한 최소전압은 50V가 된다. 이를 이용하여 누전전압이 220000V일 때, 인체에 위험한 최소전압을 구하면 220000V × 50V / (220000V + 50V) = 49.95V가 된다. 따라서 누전전압이 220V일 때, 인체에 위험한 최소전압은 49.95V × 220V / 220000V = 0.04995V가 된다. 이 값은 너무 작으므로, 인체에 위험한 최소전압은 제3종 접지로 인해 146.7V로 감소한다. 따라서 정답은 "146.7[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보폭전압에서 지표상에 근접 격리된 두 점 간의 거리는?

  1. 0.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54%)
  • 보폭전압은 인체의 보폭과 관련된 측정값으로, 보폭전압이 높을수록 지면에 더 큰 압력이 가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폭전압이 높은 구역에서는 지면에 더 큰 압력이 가해져서 지면이 더 깊게 파여들게 된다. 이때, 지표상에 근접 격리된 두 점 간의 거리가 1.0[m]이라는 것은, 보폭전압이 높은 구역에서는 인체의 보폭이 1.0[m] 이상이어야만 두 점 간의 거리가 1.0[m] 이상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보폭전압이 높은 구역에서 인체가 걸어다닐 때, 두 발 사이의 거리가 1.0[m] 이상이어야만 안전하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30kV에서 불꽃방전이 일어났다면 어떤 상태이었겠는가?

  1. 전극간격이 1cm 떨어진 침대침 전극
  2. 전극간격이 1cm 떨어진 평형판 전극
  3. 전극간격이 1mm 떨어진 평형판 전극
  4. 전극간격이 1mm 떨어진 침대침 전극
(정답률: 52%)
  • 30kV는 매우 높은 전압이므로 불꽃방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때, 전극간격이 넓으면 전기장이 약해져서 불꽃방전이 일어날 확률이 낮아지고, 전극간격이 좁으면 전기장이 강해져서 불꽃방전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전극간격이 1cm 떨어진 평형판 전극이 정답입니다. 이는 전극간격이 좁아서 전기장이 강해져서 불꽃방전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81. 메탄, 에탄, 프로판의 폭발하한계가 각각 5vol%, 3vol%, 2.5vol%일 때 다음 중 폭발하한계가 가장 낮은 것은? (단, Le chatelier법칙을 이용한다.)

  1. 메탄 50vol%, 에탄 30vol%, 프로판 20vol%의 혼합가스
  2. 메탄 40vol%, 에탄 30vol%, 프로판 30vol%의 혼합가스
  3. 메탄 30vol%, 에탄 30vol%, 프로판 40vol%의 혼합가스
  4. 메탄 20vol%, 에탄 30vol%, 프로판 50vol%의 혼합가스
(정답률: 55%)
  • 폭발하한계란, 가연성 가스와 공기가 일정한 비율로 섞였을 때 폭발이 일어날 수 있는 최소한의 농도를 말한다. 따라서 폭발하한계가 가장 낮은 가스는 폭발하한계가 가장 낮은 메탄이다.

    Le chatelier법칙에 따르면, 혼합가스의 폭발하한계는 각 가스의 폭발하한계와 혼합물의 압력,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폭발하한계가 가장 낮은 혼합가스를 찾기 위해서는 각 가스의 폭발하한계와 혼합물의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메탄의 폭발하한계가 5vol%이므로, 메탄이 20vol% 이하로 들어간 혼합가스는 폭발하한계가 5vol% 이하가 될 수 없다. 따라서 "메탄 50vol%, 에탄 30vol%, 프로판 20vol%의 혼합가스"와 "메탄 40vol%, 에탄 30vol%, 프로판 30vol%의 혼합가스"는 폭발하한계가 5vol% 이하가 될 수 없다.

    에탄의 폭발하한계가 3vol%이므로, 에탄이 30vol% 이상 들어간 혼합가스는 폭발하한계가 3vol% 이하가 될 수 없다. 따라서 "메탄 30vol%, 에탄 30vol%, 프로판 40vol%의 혼합가스"는 폭발하한계가 3vol% 이하가 될 수 없다.

    프로판의 폭발하한계가 2.5vol%이므로, 프로판이 50vol% 이상 들어간 혼합가스는 폭발하한계가 2.5vol% 이하가 될 수 없다. 따라서 "메탄 20vol%, 에탄 30vol%, 프로판 50vol%의 혼합가스"가 폭발하한계가 가장 낮은 혼합가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위험물질에 대한 저장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탄화칼슘은 물 속에 저장한다.
  2. 벤젠은 산화성 물질과 격리시킨다.
  3. 금속나트륨은 석유 속에 저장한다.
  4. 질산은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하고 물기와의 접촉을 금지한다.
(정답률: 69%)
  • "탄화칼슘은 물 속에 저장한다."는 적절하지 않은 방법이다. 이는 물과 반응하여 칼슘하이드록시드와 메탄을 생성하며, 이는 폭발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물 속에 저장하는 것은 위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분말 소화약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사염화탄소
  2. 브롬화메탄
  3. 수산화암모늄
  4. 제1인산암모늄
(정답률: 67%)
  • 제1인산암모늄은 분말 소화약제 중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약제입니다. 이는 제1인산암모늄이 불을 끄는 데 필요한 세 가지 요소인 열, 연소 반응에 참여하는 산소, 그리고 연소 반응을 억제하는 질소를 모두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제1인산암모늄은 물과 잘 혼합되어 분말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이 편리합니다. 따라서, 제1인산암모늄은 화재 발생 시 빠르고 효과적인 소화를 위해 가장 적절한 분말 소화약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인화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연성 액체의 발화와 관계가 있다.
  2. 반드시 점화원의 존재와 관련된다.
  3. 연소가 지속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최저온도이다.
  4. 연료의 조성, 점도, 비중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률: 47%)
  • "반드시 점화원의 존재와 관련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인화점은 가연성 액체가 발화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온도를 의미하며, 점화원의 존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연소가 지속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최저온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연료의 조성, 점도, 비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위험물 건조설비 중 건조실을 설치하는 건축물의 구조를 독립된 단층 건물로 하여야 하는 건조설비가 아닌 것은?

  1. 위험물 또는 위험물이 발생하는 물질을 가열ㆍ건조하는 경우 내용적이 1m3 이상인 건조설비
  2. 위험물이 아닌 물질을 가열ㆍ건조하는 경우 액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5kg/h 이상인 건조설비
  3. 위험물이 아닌 물질을 가열ㆍ건조하는 경우 기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1m3 /h 이상인 건조설비
  4. 위험물이 아닌 물질을 가열ㆍ건조하는 경우 전기사용 정격용량이 10kW 이상인 건조설비
(정답률: 50%)
  • 액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5kg/h 이상인 건조설비는 위험물이 아닌 물질을 가열ㆍ건조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이유는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건조설비는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한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그러나 위험물이 아닌 물질을 가열ㆍ건조하는 경우에는 위험성이 낮기 때문에, 액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5kg/h 이상인 건조설비라도 독립된 단층 건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대기압에서 물의 엔탈피가 1kcal/kg 이었던 것이 가압하여 1.45kcal/kg을 나타내었다면 flash율은 얼마인가? (단, 물의 기화열은 540cal/g 이라고 가정한다.)

  1. 0.00083
  2. 0.0083
  3. 0.0015
  4. 0.015
(정답률: 52%)
  • 먼저, flash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lash율 = (물의 기화열) / (물의 엔탈피 차)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flash율을 계산할 수 있다.

    flash율 = (540 cal/g) / (1.45 kcal/kg - 1 kcal/kg)
    = (540 cal/g) / (0.45 kcal/kg)
    = (540 cal/g) / (450 cal/kg)
    = 0.0012

    하지만, 문제에서 답을 구할 때는 단위를 kg/kg으로 맞추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flash율 = 0.0012 kg/kg
    = 0.00083

    따라서, 정답은 "0.0008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분진폭발이 발생하는 순서로 옳은 것은?

  1. 퇴적분진 → 비산 → 분산 → 발화원 → 전면폭발 → 2차폭발
  2. 퇴적분진 → 발화원 → 분산 → 비산 → 전면폭발 → 2차폭발
  3. 비산 → 퇴적분진 → 분산 → 발화원 → 2차폭발 → 전면폭발
  4. 비산 → 분산 → 퇴적분진 → 발화원 → 2차폭발 → 전면폭발
(정답률: 75%)
  • 분진폭발은 일반적으로 퇴적분진, 비산, 분산, 발화원, 전면폭발, 2차폭발의 순서로 발생합니다. 이는 먼저 충격파나 기타 원인으로 인해 퇴적분진이 발생하고, 이어서 비산이 일어나면서 분진이 더욱 분산됩니다. 그리고 발화원이 생기면서 분진이 불에 타면서 전면폭발이 일어나고, 이후에는 2차폭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퇴적분진 → 비산 → 분산 → 발화원 → 전면폭발 → 2차폭발"이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물이 관 속을 흐를 때 유동하는 물 속의 어느 부분의 정압이 그 때의 물의 증기압보다 낮을 경우 물이 증발하여 부분적으로 증기가 발생되어 배관의 부식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수격작용(water hammering)
  2. 공동현상(cavitation)
  3. 서어징(surging)
  4. 비말동반(entrainment)
(정답률: 69%)
  • 공동현상(cavitation)은 유체 내부에서 압력이 낮아져서 물질이 기체 상태로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배관 내부에서 물이 흐를 때 일어나는데, 물이 흐르는 속도가 빠를수록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 때 물이 증발하여 부분적으로 증기가 발생되면서 배관의 부식을 초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안전밸브 전ㆍ후단에 자물쇠형 차단밸브 설치를 할 수 없는 것은?

  1. 안전밸브와 파열판을 직렬로 설치한 경우
  2.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에 안전밸브 등이 복수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3. 열팽창에 의하여 상승된 압력을 낮추기 위한 목적으로 안전밸브가 설치된 경우
  4. 인접한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에 안전밸브 등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해당 화학설비 및 그 부속 설비의 연결배관에 차단밸브가 없는 경우
(정답률: 58%)
  • 정답은 "안전밸브와 파열판을 직렬로 설치한 경우"입니다. 이 경우 안전밸브와 파열판이 직렬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단밸브를 설치하면 파열판이 작동하지 않아 안전성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감지기 종류 중 열감지기가 아닌 것은?

  1. 차동식
  2. 정온식
  3. 광전식
  4. 보상식
(정답률: 74%)
  • 열감지기는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화재를 탐지하는데 사용되는데, 광전식은 빛의 변화를 감지하여 화재를 탐지하는 센서이므로 열감지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연소하고 있는 가연물이 들어 있는 용기를 기계적으로 밀폐하여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타고 있는 액체나 고체의 표면을 거품 또는 불연성 액체로 피복하여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방법의 소화방법은?

  1. 냉각소화
  2. 질식소화
  3. 제거소화
  4. 억제소화
(정답률: 66%)
  • 질식소화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여 연소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연소하고 있는 가연물이 들어 있는 용기를 기계적으로 밀폐하거나, 타고 있는 액체나 고체의 표면을 거품 또는 불연성 액체로 피복하여 공기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 방법은 화재를 직접적으로 진압하는 것이 아니라 연소 반응을 억제하여 확산을 막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압력차에 의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가변류 유량계가 아닌 것은?

  1. 오리피스 미터(orifice meter)
  2. 벤튜리 미터(venturi meter)
  3. 로타 미터(rota meter)
  4. 피토 튜브(pitot tube)
(정답률: 52%)
  • 로타 미터는 압력차가 아닌 유체의 유속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압력차에 의한 유량 측정 방식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로타 미터(rota me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대상이 아닌 것은?

  1. 원유 정제처리업
  2. 석유정제물 재처리업
  3. 화약 및 불꽃제품 제조업
  4. 복합비료의 단순혼합 제조업
(정답률: 73%)
  • 복합비료의 단순혼합 제조업은 산업안전보건법상 위험물질을 다루는 산업군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혼합위험성인 혼합에 따른 발화위험성 물질로 구분되는 것은?

  1. 에탄올과 가성소다의 혼합
  2. 발연질산과 아닐린의 혼합
  3. 아세트산과 포름산의 혼합
  4. 황산암모늄과 물의 혼합
(정답률: 38%)
  • 발연질산과 아닐린의 혼합은 두 물질이 혼합되면서 발화위험성이 증가하는 혼합물질로, 발화점이 낮아져서 쉽게 발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혼합물질을 다룰 때에는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고압가스 용기 파열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용기의 내압력(耐壓力) 부족이다. 다음 중 내압력 부족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용기 내벽의 부식
  2. 강재의 피로
  3. 과잉 충전
  4. 용접 불량
(정답률: 66%)
  • 과잉 충전은 용기에 담길 수 있는 최대 용량을 초과하여 가스를 충전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용기 내부의 압력을 너무 높게 만들어 내압력 부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과잉 충전으로 인해 용기 내부의 가스 압력이 높아지면 용기 벽면에 큰 응력이 발생하여 파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과잉 충전은 고압가스 용기 파열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부탄의 연소시 산소농도를 일정한 값 이하로 낮추어 연소를 방지할 수 있는데 이때 첨가하는 물질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질소
  2. 이산화탄소
  3. 헬륨
  4. 수증기
(정답률: 57%)
  • 부탄의 연소시 산소농도를 일정한 값 이하로 낮추어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연소 반응에 참여하는 산소의 양을 줄여야 합니다. 이때 첨가하는 물질로는 연소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산소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물질은 수증기입니다. 수증기는 연소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공기 중에 많이 존재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연소시 산소농도를 일정한 값 이하로 낮추는 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폭발성 물질로 분류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물질은?

  1. N2H4
  2. CH3COCH3
  3. n-C3H7OH
  4. C2H5OC2H5
(정답률: 49%)
  • "N2H4"은 질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고체 상태에서는 백색 결정체이며 액체 상태에서는 무색이다. 이 물질은 고온, 고압, 불꽃 등의 자극을 받으면 폭발적으로 분해되어 폭발성이 높다. 따라서 "N2H4"는 폭발성 물질로 분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독성이 가장 강한 가스는?

  1. NH3
  2. COCl2
  3. Cl2
  4. H2S
(정답률: 70%)
  • COCl2는 카본일록스이며, 매우 독성이 강한 가스입니다. 이 가스는 눈과 점막을 자극하며, 호흡기계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반면, NH3은 암모니아로, 눈과 점막을 자극하지만 호흡기계에는 그리 위험하지 않습니다. Cl2는 염소 가스로, 높은 농도에서는 호흡기계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그리 위험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H2S는 황화수소로, 높은 농도에서는 매우 위험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그리 위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독성이 가장 강한 가스는 COCl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완전조성농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메탄 (CH4)
  2. 프로판(C3H8)
  3. 부탄(C4H10)
  4. 아세틸렌(C2H2)
(정답률: 43%)
  • 완전조성농도란 연소 시 산소와 반응하여 모든 탄소와 수소가 이산화탄소와 물로 변화하는 비율을 말한다. 부탄(C4H10)은 탄소와 수소의 수가 많아서 연소 시 이산화탄소와 물로 변화하는 비율이 낮아 완전조성농도가 가장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금속의 용접ㆍ용단 또는 가열에 사용되는 가스 등의 용기를 취급할 때의 준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밸브의 개폐는 서서히 할 것
  2. 운반할 때에는 환기를 위하여 캡을 씌우지 않을 것
  3. 용기의 온도를 섭씨 40℃ 이하로 유지할 것
  4. 용기의 부식ㆍ마모 또는 변형상태를 점검한 후 사용 할 것
(정답률: 80%)
  • "운반할 때에는 환기를 위하여 캡을 씌우지 않을 것"은 틀린 내용입니다. 용기 내부에 존재하는 가스는 운반 중에도 계속해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환기를 위해 캡을 열어두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건설안전기술

101.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는 경우에 준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당일의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작업에 관한 거푸집 동바리 등의 변형ㆍ변위 및 지반의 침하유무 등을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보수할 것
  2. 작업중에는 거푸집동바리 등의 변형ㆍ변위 및 침하 유무 등을 감시할 수 있는 감시자를 배치하여 이상이 있으면 작업을 중지하고 근로자를 대피시킬 것
  3. 설계도서상의 콘크리트 양생기간을 준수하여 거푸집 동바리 등을 해체할 것
  4. 거푸집붕괴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보강조치 없이 즉시 해체할 것
(정답률: 74%)
  • "거푸집붕괴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보강조치 없이 즉시 해체할 것"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건축물의 안전을 위해서는 적절한 보강조치를 취한 후에 해체해야 하기 때문이다. 보강조치 없이 즉시 해체하면 건축물이 붕괴될 위험이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강관비계의 수직방향 벽이음 조립간격(m)으로 옳은 것은? (단, 틀비계이며 높이는 10m 이다.)

  1. 2m
  2. 4m
  3. 6m
  4. 9m
(정답률: 61%)
  • 강관비계는 일반적으로 2m 간격으로 수직방향 벽이음 조립을 한다. 하지만 높이가 10m인 경우, 안전상의 이유로 5개의 벽이음 조립을 해야 한다. 따라서 2m x 5 = 10m 이므로, 강관비계의 수직방향 벽이음 조립간격은 6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안전계수가 4 이고 2000kg/cm2 의 인장강도를 갖는 강선의 최대허용응력은?

  1. 500 kg/cm2
  2. 1000 kg/cm2
  3. 1500 kg/cm2
  4. 2000 kg/cm2
(정답률: 76%)
  • 안전계수는 최대허용응력을 인장강도로 나눈 값이므로, 최대허용응력은 인장강도를 안전계수로 나눈 값이 됩니다. 따라서, 최대허용응력은 2000kg/cm2 ÷ 4 = 500 kg/cm2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 kg/c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다음 중 철골공사시의 안전작업방법 및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0분간의 평균 풍속이 초당 10m 이상인 경우는 작업을 중지한다.
  2. 철골 부재 반입시 시공순서가 빠른 부재는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3. 구명줄 설치 시 마닐라 로프 직경 10mm를 기준하여 설치하고 작업방법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4. 철골보의 두곳을 매어 인양시킬 때 와이어로프의 내각은 60°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46%)
  • "구명줄 설치 시 마닐라 로프 직경 10mm를 기준하여 설치하고 작업방법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구명줄 설치 시 사용되는 로프의 직경은 작업자의 몸무게와 작업환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로프의 직경을 10mm로 고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작업환경과 작업자의 몸무게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로프를 선택하고, 작업방법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추락방지용 방망의 그물코의 크기가 10cm인 신품 매듭방망사의 인장강도는 몇 킬로그램 이상이어야 하는가?

  1. 80
  2. 110
  3. 150
  4. 200
(정답률: 71%)
  • 방망이 그물코의 크기가 10cm이므로, 이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려면 그물사이의 최소 간격이 10cm 이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매듭방망사의 최소 인장강도는 방망이 그물코가 통과하지 못하는 최소 중량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추락방지용 방망의 그물코가 통과하지 못하는 중량은 200kg 이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의 안전조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최대제한속도가 시속 10km를 초과하는 차량계 건설 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미리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정하고, 운전자로 하여금 준수하도록 할 것
  2. 차량계 건설기계의 운전자가 운전위치를 이탈하는 경우 해당 운전자로 하여금 포크 및 버킷 등의 하역 장치를 가장 높은 위치에 둘 것
  3.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에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적재할 것
  4.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승차석이 아닌 위치에 근로자를 탑승시키지 말 것
(정답률: 76%)
  • "차량계 건설기계의 운전자가 운전위치를 이탈하는 경우 해당 운전자로 하여금 포크 및 버킷 등의 하역 장치를 가장 높은 위치에 둘 것"은 옳은 안전조치사항이다. 이유는 운전자가 운전위치를 이탈하면 다른 근로자들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하역 장치를 가장 높은 위치에 두어 다른 근로자들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터널공사시 인화성 가스가 농도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자동경보장치의 작업 시작 전 점검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계기의 이상유무
  2. 발열 여부
  3. 검지부의 이상유무
  4. 경보장치의 작동상태
(정답률: 69%)
  • 발열 여부는 인화성 가스 농도 상승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조기 파악을 위한 자동경보장치의 작업 전 점검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다음은 말비계 조립 시 준수사항이다. ( )에 알맞은 수치는?

  1. ① 55, ② 20
  2. ① 65, ② 30
  3. ① 75, ② 40
  4. ① 85, ② 50
(정답률: 70%)
  • 말비계 조립 시, 두 개의 각도가 모두 90도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첫 번째 각도는 90도에서 15도를 뺀 75도가 되어야 하고, 두 번째 각도는 90도에서 50도를 뺀 40도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 75, ② 4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터널 지보공을 조립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 조치하여야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재(主材)를 구성하는 1세트의 부재는 동일 평면내에 배치할 것
  2. 목재의 터널 지보공은 그 터널 지보공의 각 부재의 긴압 정도가 위치에 따라 차이나도록 할 것
  3. 기둥에는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목을 사용하는 등의 조치를 할 것
  4. 강(鋼)아치 지보공의 조립은 연결볼트 및 띠장 등을 사용하여 주재 상호간을 튼튼하게 연결할 것
(정답률: 73%)
  • "목재의 터널 지보공은 그 터널 지보공의 각 부재의 긴압 정도가 위치에 따라 차이나도록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은, 터널 지보공의 부재들이 긴압 정도가 위치에 따라 차이나도록 하는 것은 오히려 위험하며, 부재들이 일정한 긴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다음 중 터널공사에서 발파작업 시 안전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파용 점화회선은 타동력선 및 조명회선과 한곳으로 통합하여 관리
  2. 동력선은 발원점으로부터 최소한 15m 이상 후방으로 옮길 것
  3. 지질, 암의 절리 등에 따라 화약량 검토 및 시방기준과 대비하여 안전조치 실시
  4. 발파전 도화선 연결상태, 저항치 조사 등의 목적으로 도통시험 실시 및 발파기의 작동상태를 사전에 점검
(정답률: 71%)
  • "발파용 점화회선은 타동력선 및 조명회선과 한곳으로 통합하여 관리"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안전상 위험하며, 발파용 점화회선은 다른 전선과 분리하여 관리해야 한다. 이유는 발파용 점화회선은 화약을 폭발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른 전선과 혼합되어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이나 오작동 등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토질시험 중 연약한 점토 지반의 점착력을 판별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현장시험은?

  1. 베인테스트(Vane Test)
  2. 표준관입시험(SPT)
  3. 하중재하시험
  4. 삼축압축시험
(정답률: 64%)
  • 베인테스트는 회전하는 베인(Blade)을 이용하여 지반의 점착력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연약한 점토 지반에서는 베인이 회전할 때 저항이 적게 발생하므로 점착력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시험은 연약한 점토 지반의 점착력을 판별하기 위해 실시됩니다. 표준관입시험(SPT)은 지반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시험, 하중재하시험은 지반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 삼축압축시험은 지반의 변형 특성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장치 드럼축과 권상장치로부터 첫 번째 도르래의 축 간의 거리는 권상장치 드럼폭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5배
  2. 8배
  3. 10배
  4. 15배
(정답률: 57%)
  •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장치는 큰 힘을 발생시키는 장치이기 때문에 안전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권상장치 드럼축과 권상장치로부터 첫 번째 도르래의 축 간의 거리는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야 합니다. 이 거리가 작으면 권상장치가 과도한 힘을 발생시켜서 장치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장치 드럼폭의 15배 이상으로 첫 번째 도르래의 축 간의 거리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권상장치가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으며, 장치의 수명도 더욱 길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화물을 차량계 하역 운반기계 등에 단위화물의 무게가 100킬로그램 이상인 화물을 싣는 작업 또는 내리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해당 작업의 지휘자가 준수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작업순서 및 그 순서마다의 작업방법을 정하고 작업을 지휘할 것
  2. 기구와 공구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할 것
  3. 가설대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폭 및 강도와 적당한 경사를 확보할 것
  4. 로프 풀기 작업 또는 덮개 벗기기 작업은 적재함의 화물이 떨어질 위험이 없음을 확인한 후에 하도록 할 것
(정답률: 46%)
  • 정답은 "기구와 공구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할 것"입니다.

    가설대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폭 및 강도와 적당한 경사를 확보해야 하는 이유는, 가설대 등이 무거운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안정적으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충분한 폭과 강도가 확보되지 않으면 가설대 등이 무너지거나 불안정해져 작업 중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적당한 경사가 확보되지 않으면 화물이 떨어지거나 기울어져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설대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안전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다음은 달비계 또는 높이 5미터 이상의 비계를 조립ㆍ해체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숫자는?

  1. 15
  2. 20
  3. 25
  4. 30
(정답률: 54%)
  • 이미지에서 보이는 비계의 높이는 5m이다. 따라서 비계를 조립ㆍ해체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는 높이 5m 이상의 비계를 다루는 것이므로, ( )에는 20이 들어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 권과방지장치ㆍ브레이크ㆍ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2. 방호장치의 이상유무
  3.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4.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정답률: 50%)
  • 방호장치는 작업 중에 작업자나 주변인들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작업시작 전에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 따라서 방호장치의 이상유무는 작업시작 전에 반드시 점검해야 하는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발파구간 인접 구조물에 대한 피해 및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건물기초에서의 허용 진동치로 옳은 것은? (단 아파트일 경우임)

  1. 0.2 cm/sec
  2. 0.3 cm/sec
  3. 0.4 cm/sec
  4. 0.5 cm/sec
(정답률: 46%)
  • 발파작업 시 발생하는 진동은 인접한 구조물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건물 기초에서는 일정한 진동치 이하로 제한해야 한다. 아파트의 경우, 인접한 다른 건물과의 거리가 가까우므로 더욱 신경써야 한다. 이에 따라, 발파구간 인접 구조물에 대한 피해 및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건물기초에서의 허용 진동치는 0.5 cm/sec 이다. 이는 인접한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한 수치로서, 이를 초과하는 진동은 구조물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다음의 토사붕괴 원인 중 외부의 힘이 작용하여 토사 붕괴가 발생되는 외적요인이 아닌 것은?

  1. 사면, 법면의 경사 및 기울기의 증가
  2. 공사에 의한 진동 및 반복하중의 증가
  3. 지표수 및 지하수의 침투에 의한 토사중량의 증가
  4. 함수비 증가로 인한 점착력 증가
(정답률: 66%)
  • 정답: 함수비 증가로 인한 점착력 증가

    설명: 토사 붕괴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외부의 힘이 작용하여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외적요인으로는 사면, 법면의 경사 및 기울기의 증가, 공사에 의한 진동 및 반복하중의 증가, 지표수 및 지하수의 침투에 의한 토사중량의 증가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함수비 증가로 인한 점착력 증가는 내부적인 원인으로 분류됩니다. 함수비란 토사 입자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함수비가 증가하면 입자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점착력이 증가합니다. 이는 토사 입자의 미세구조적인 변화로 인한 내부적인 원인으로 붕괴를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부난간대는 바닥면ㆍ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90cm 이상 지점에 설치할 것
  2. 발끝막이판은 바닥면 등으로부터 10c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3. 난간대는 지름 1.5cm 이상의 금속제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재료일 것
  4. 안전난간은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1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
(정답률: 52%)
  • 안전난간은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1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안전난간이 견딜 수 있는 하중은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굴착작업 시 굴착깊이가 최소 몇 m 이상인 경우 사다리, 계단 등 승강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5m
  2. 2.5m
  3. 3.5m
  4. 4.5m
(정답률: 50%)
  • 굴착작업 시 굴착깊이가 1.5m 이상인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사다리, 계단 등 승강설비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굴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2.5m, 3.5m, 4.5m의 경우에도 승강설비를 설치해야 할 수 있지만, 최소 깊이인 1.5m 이상에서부터 승강설비를 설치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높이 또는 깊이 2m 이상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의 작업에 필수적으로 지급되어야 하는 보호구는?

  1. 안전대
  2. 보안경
  3. 보안면
  4. 방열복
(정답률: 78%)
  • 높이 또는 깊이 2m 이상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의 작업은 매우 위험한 작업이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안전대가 필수적으로 지급되어야 합니다. 안전대는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 추락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보호구입니다. 따라서 안전대가 정답입니다. 보안경, 보안면, 방열복은 다른 위험 상황에서 사용되는 보호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