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8-06)

방송통신기사
(2006-08-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 그림의 논리회로와 등가인 회로는?

  1. Half adder
  2. Full adder
  3. Exclusive OR
  4. Exclusive NOR
(정답률: 55%)
  • 논리회로의 입력 A와 B는 X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고, XOR 게이트의 출력은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간다. 이 때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의 출력이 같은 경우는 A와 B가 모두 0이거나 모두 1일 때이므로, 이는 두 입력이 같은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회로는 두 입력이 같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1을 출력하는 Exclusive OR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어떤 증폭기에서 입력전압이 5[mV]이고 출력전압이 2[V]일 경우 이 증폭기의 전압 증폭도는 약 몇 [dB] 인가?

  1. 28[dB]
  2. 40[dB]
  3. 52[dB]
  4. 66[dB]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 증폭도는 출력전압과 입력전압의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전압 증폭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압 증폭도 = 20log(출력전압/입력전압)

    여기에 입력전압이 5[mV], 출력전압이 2[V]인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전압 증폭도 = 20log(2/0.005) ≈ 52[dB]

    따라서, 정답은 "52[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은 다이오드 게이트(diode gate)의 출력(Y)은 약 얼마인가?

  1. 0[V]
  2. 5[V]
  3. 10[V]
  4. 15[V]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 게이트는 입력이 하나 이상인데, 이 입력 중 하나라도 전압이 인가되면 출력이 차단되지 않고 입력 신호가 통과하여 출력이 결정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입력이 없으므로 출력은 항상 0[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동기식 모드(mode)-13 계수기를 만들려면 최소한 몇 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한가?

  1. 13
  2. 7
  3. 4
  4. 2
(정답률: 50%)
  • 13을 2진수로 나타내면 1101이다. 이를 계수기로 구현하려면 4개의 비트가 필요하다. 각 비트는 2진수의 자릿수를 나타내며, 1의 자리, 2의 자리, 4의 자리, 8의 자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4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일반적인 부궤환(negative feedback) 증폭기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전달이득(transfer gain)이 감소된다.
  2. 잡음이 감소된다.
  3. 비직선 일그러짐이 감소된다.
  4. 입력저항(Rif)이 항상 증대된다.
(정답률: 30%)
  • 입력저항(Rif)이 항상 증대된다는 것은 일반적인 부궤환 증폭기의 특성이 아니라 오히려 역전파 부궤환(positive feedback) 증폭기의 특성이다. 부궤환 증폭기는 전달이득이 감소되고, 잡음이 감소되며, 비직선 일그러짐이 감소하지만 입력저항은 증대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은 CE 증폭기의 동작점(Q)에서 전류 ICQ와 VCEQ의 값을 구하면? (단, TR의 VEB(ON)=0.7[V], IC=IE로 간주한다.) (그림 오류로 현재 복원중입니다. 그림 내용을 아시는 분들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보기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2번입니다.)

  1. ICQ = 1.0[mA], VCEQ = 4.5[V]
  2. ICQ = 1.5[mA], VCEQ = 4.8[V]
  3. ICQ = 1.8[mA], VCEQ = 4.2[V]
  4. ICQ = 2.0[mA], VCEQ = 5.0[V]
(정답률: 40%)
  • CE 증폭기의 동작점은 VCEQ와 ICQ의 값이 일정한 지점을 말한다. 이 때, Q점에서 베이스 전압은 VBE = 0.7V이다. 따라서, 베이스 전압에 대응하는 컬렉터 전압 VCEQ는 약 4.8V이다.

    또한, Q점에서 컬렉터 전류 ICQ는 베이스 전류 IB와 거의 같은 값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ICQ는 약 1.5mA이다.

    따라서, 정답은 "ICQ = 1.5[mA], VCEQ = 4.8[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60[V]로 충전되어 있는 1[㎌] 콘덴서를 1[㏁]의 저항을 통하여 방전시키면 1초 후의 콘덴서 양단의 전압은 약 얼마인가?

  1. 10[V]
  2. 22[V]
  3. 36[V]
  4. 60[V]
(정답률: 알수없음)
  • 콘덴서 방전 시간을 구하기 위해 RC 상수를 구합니다. RC 상수는 저항값과 콘덴서 용량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RC = 1[㏁] x 1[㎌] = 0.001[초]

    콘덴서 방전 시간인 1초를 RC 상수로 나누면, 콘덴서의 전압이 1/e로 감소하는 시간을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e는 자연상수로 약 2.71828입니다.

    t = 1[초] / 0.001[초] = 1000[초]

    V = 60[V] x e^(-t/RC) = 60[V] x e^(-1000/0.001) ≈ 22[V]

    따라서, 1초 후의 콘덴서 양단의 전압은 약 22[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연산증폭회로에서 출력전압 VO는?

(정답률: 19%)
  • 입력신호가 VIN일 때, Q1과 Q2는 각각 컬렉터 전압이 VCC와 0V가 되도록 동작한다. 이때 Q1은 기본적으로 포워드 활성 영역에 있으며, Q2는 컷오프 영역에 있다. 따라서 Q1은 컬렉터 전류를 증폭시키고, Q2는 컬렉터 전류를 차단한다. 이로 인해 RC를 통해 출력전압 VO가 증폭된다. 이때, VO는 VCC - (RC x IC1)의 값이 되며, IC1은 Q1의 컬렉터 전류이다. 따라서 VO는 VCC - (RC x IC1)의 값이 되어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논리식 를 간략하게 구성한 회로는?

(정답률: 40%)
  • 회로는 AND 게이트와 NOT 게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고, 그 외에는 모두 0이 된다. NOT 게이트는 입력이 1일 때 출력이 0이 되고, 입력이 0일 때 출력이 1이 된다. 따라서,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되고, 이 출력이 NOT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면 출력이 0이 된다. 그리고 이 출력이 AND 게이트의 다른 입력 C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C가 1일 때만 최종 출력이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1000㎑ 의 반송파에 40㎑ 의 저주파 신호파로 진폭변조 시켰을 때, 상측파대의 최고 주파수와 하측파대의 최저 주파수의 차는 얼마인가?

  1. 20㎑
  2. 40㎑
  3. 60㎑
  4. 80㎑
(정답률: 10%)
  • 진폭변조는 원래의 신호파의 진폭을 변화시켜 새로운 신호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 경우 1000㎑의 반송파에 40㎑의 저주파 신호파를 진폭변조 시켰으므로, 새로운 신호파의 주파수는 1000㎑ ± 40㎑가 된다.

    상측파대의 최고 주파수는 1000㎑ + 40㎑ = 1040㎑이고, 하측파대의 최저 주파수는 1000㎑ - 40㎑ = 960㎑이다.

    따라서 상측파대의 최고 주파수와 하측파대의 최저 주파수의 차이는 1040㎑ - 960㎑ = 8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적분회로로 사용할 수 있는 회로는?

  1. 저역통과 RC회로
  2. 고역통과 RC회로
  3. 대역통과 RC회로
  4. 대역소거 RC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적분 회로는 입력 신호의 저역부를 통과시키고 고역부를 차단하는 필터 회로이다. 따라서, 저역통과 RC회로는 적분 회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회로는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발진회로에 수정진동자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단, Q : Quality factor)

  1. 발진주파수가 낮기 때문이다.
  2. Q의 값이 높기 때문이다.
  3. 안정도가 가변하기 때문이다.
  4. 발진주파수를 임으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률: 43%)
  • 수정진동자는 발진회로에서 안정된 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Q값이 높을수록 수정진동자는 더 안정적인 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발진회로에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Q의 값이 높기 때문이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어떤 논리회로에서 입력은 A, B, C이며 출력은 입력 중에서 둘 이상이 1일 때, 출력 Y가 1이된다면 이 논리회로의 논리식은?

(정답률: 31%)
  • 입력 중에서 둘 이상이 1일 때 출력 Y가 1이 되므로, 출력 Y는 입력 A, B, C 중에서 두 개 이상이 1일 때 1이 된다. 이를 논리식으로 나타내면 Y = (A AND B) OR (A AND C) OR (B AND C)가 된다. 이는 보기 중에서 ""와 일치하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의 R2에 흐르는 전류 I는? (단, R1=3[㏀], Vi=4[V]이다.)

  1. 0.2[mA]
  2. 0.5[mA]
  3. 2[mA]
  4. 5[mA]
(정답률: 10%)
  •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에서는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이므로 입력 전류는 0이다. 따라서 R2에 흐르는 전류는 R1과 R2을 통해 만들어지는 전압 Vo에 의해 결정된다.
    Vo = -R2/R1 * Vi = -4/3[V]
    이 때, R2에 흐르는 전류 I = Vo/R2 = -4/3R2[A]
    따라서, R2에 흐르는 전류 I가 2[mA]가 되려면 R2 = -4/3 / 2[mA] = -2[kΩ]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전기 회로에서는 음의 저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R2에 흐르는 전류가 2[mA]가 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2[m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슈미트 트리거 회로에 입력파형으로 주기적인 정현파를 인가할 때, 출력파형은 어떠한 파형이 되는가?

  1. 정현파
  2. 삼각파
  3. 구형파
  4. 타원파
(정답률: 46%)
  •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고 깨끗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주기적인 정현파를 입력으로 주면,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신호의 상승 및 하강 경계에서 출력을 전환하게 된다. 이러한 전환은 입력신호의 주기에 따라 반복되므로, 출력파형은 입력신호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입력으로 주기적인 정현파를 주면 출력파형은 구형파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에 설명한 각종 복조회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PAM파는 복조 과정에서 대역여파기를 사용한다.
  2. PLL회로는 FM검파에 이용 가능하다.
  3. SSB의 신호 복조는 동기검파가 이용된다.
  4. 포락선 검파기의 부하회로의 시정수가 과대하면 Diagonal Clipping이 생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SSB의 신호 복조는 동기검파가 이용된다."

    해설: PAM파는 복조 과정에서 대역여파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PAM 신호는 대역폭이 넓어서 직접 복조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LL회로는 FM검파에 이용 가능하며, 포락선 검파기의 부하회로의 시정수가 과대하면 Diagonal Clipping이 생길 수 있습니다. SSB의 신호 복조는 동기검파가 아닌 동기변조가 이용됩니다.

    PAM파는 복조 과정에서 대역여파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PAM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서는 대역폭이 넓은 대역여파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대역여파기는 대역폭이 넓은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PAM 신호를 복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4변수들에 대한 카르노도(Karnaugh map)가 그림과 같이 주어졌을 경우 이를 부울식으로 표현하면?

  1. A⊕B⊕C⊕D
  2. (A+B)⊕(C+D)
  3. (A⊕B)+(C⊕D)
  4. AB⊕CD
(정답률: 30%)
  • 카르노도를 보면 1로 표시된 부분이 4개 있으므로, 이를 모두 포함하는 최소항은 A'B'C'D' + A'B'CD' + A'BC'D' + AB'C'D' 이다. 이를 간소화하면 A⊕B⊕C⊕D 가 된다.

    보기에서 (A+B)⊕(C+D)는 A와 B, C와 D 중 적어도 하나는 1이어야 하는데, 카르노도에서는 이러한 경우가 없으므로 부적합하다.

    (A⊕B)+(C⊕D)는 A와 B, C와 D 중 적어도 하나는 1이어야 하는데, 카르노도에서는 이러한 경우가 없으므로 부적합하다.

    AB⊕CD는 A와 B, C와 D가 모두 1일 때 1이 되는데, 카르노도에서는 이러한 경우가 없으므로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RS 플립-플롭 정논리회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개의 입력 R,S와 2개의 출력 Q, 가 모두 저레벨로 된다.
  2. 입력 R, S가 모두 저레벨일 때 출력 Q, 는 전상태를 유지한다.
  3. S가 고레벨일 때 Q,가 모두 저레벨로 된다.
  4. R과 S가 같이 고레벨이면 출력은 불확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S가 고레벨일 때 Q,가 모두 저레벨로 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RS 플립-플롭은 S가 고레벨일 때 Q는 고레벨이 되고, 는 저레벨이 된다. 이는 S가 입력되면 Q가 1로 바뀌고, 가 0으로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변조신호의 주파수가 fm인 경우 협대역 FM(Narrow-band FM)의 대역폭은?

  1. 약 fm
  2. 약 2fm
  3. 약 4fm
  4. 무한대
(정답률: 알수없음)
  • 협대역 FM의 대역폭은 약 2fm이다. 이는 변조신호의 주파수가 fm인 경우, 변조된 신호의 최대 주파수 변화량이 2fm 이하이기 때문이다. 이는 변조된 신호의 주파수가 변조되기 전의 주파수에서 최대 2fm만큼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만 신호가 전송되므로 대역폭이 약 2f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TR의 접속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압, 전류이득이 모두 1보다 큰 것은 CE 접속방식이다.
  2. CB접속방식은 전압이득이 거의 1이다.
  3. CB접속방식은 입력저항이 크고 출력저항이 작다.
  4. CB접속방식은 입력저항이 작고 출력저항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 전류이득이 모두 1보다 큰 것은 CE 접속방식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CE 접속방식은 전압이득은 1보다 작고 전류이득은 1보다 큰 형태를 가진다.

    CB접속방식은 입력저항이 크고 출력저항이 작다. 이는 베이스-컬렉터 간의 저항이 크기 때문에 입력신호에 대한 영향력이 크고, 콜렉터-에미터 간의 저항이 작기 때문에 출력신호가 크게 나오기 때문이다. 전압이득이 거의 1인 이유는 베이스-컬렉터 간의 전압이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송통신 기기

21. 다음 중 pcm통신 방식의 수신단에 설치하는 회로는?

  1. 표본화 회로
  2. 양자화 회로
  3. 부호화 회로
  4. 복호화 회로
(정답률: 55%)
  • PCM 통신 방식에서 송신측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디지털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해야 한다. 이때,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복호화라고 하며, 이를 위해 복호화 회로를 수신측에 설치한다. 따라서 정답은 "복호화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NSTC TV 방식에서 수평동기 주파수는?

  1. 약 75,350[Khz]
  2. 약 35,734[Khz]
  3. 15,734[Khz]
  4. 약 75.350[Khz]
(정답률: 55%)
  • NSTC TV 방식에서 수평동기 주파수는 15,734[Khz]이다. 이는 NSTC TV 방식에서 1라인당 63.5마이크로초의 시간이 주어지며, 이 시간 동안 910개의 샘플링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1초당 15,734회의 샘플링이 이루어지며, 이는 수평동기 주파수가 15,734[Khz]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개별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을 조정하는 장소로 영상 , 음성 ,조명을 조정하는 곳은?

  1. 스튜디오
  2. 주조정실
  3. 부조정실
  4. 텔레시네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조정실은 개별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을 조정하는 장소로, 영상, 음성, 조명 등을 조정하는 곳입니다. 따라서 이 곳에서는 방송 프로그램의 화질, 음질, 조명 등을 최적화하여 시청자들에게 좋은 시청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조정합니다. 스튜디오는 방송 촬영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주조정실은 방송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조정을 담당하는 곳입니다. 텔레시네실은 영상을 전송하는 장비를 관리하는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Ntsc신호에서 영상 및 음성신호의 변조방식은 각각 무엇인가?

  1. AM , AM
  2. AM , FM
  3. FM , FM
  4. FM , PM
(정답률: 84%)
  • NTSC 신호에서 영상 신호는 AM(진폭 변조) 방식으로 변조되고, 음성 신호는 FM(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변조됩니다. 이는 영상 신호가 진폭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고, 음성 신호는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M, F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영상내의 색정보, 즉 영상의 크로미넌스(Chrominance)정보를 그래픽 표시로 나타내는 측정계기는?

  1. Waveform monitor
  2. Color displayer
  3. Vector scope
  4. Level meter
(정답률: 90%)
  • Vector scope는 영상의 크로미넌스 정보를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측정계기입니다. 이는 색상의 톤과 채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영상 제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Waveform monitor는 밝기 정보를 표시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Color displayer는 색상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됩니다. Level meter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표시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방송수단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텔레비전방송
  2. 인터넷방송
  3. 초고주파방송
  4. 위성방송
(정답률: 80%)
  • 정답은 "초고주파방송"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텔레비전방송"은 지상파와 케이블, 위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방송수단입니다.
    - "인터넷방송"은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 또는 VOD 방식으로 제공되는 방송수단입니다.
    - "위성방송"은 위성을 통해 지구 상의 다양한 지역에 방송을 전달하는 방식의 방송수단입니다.

    하지만 "초고주파방송"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며, 방송수단으로서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방송수단에 의한 분류에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위성방송에서 정지궤도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구자전과 동일한 방향과 속도로 공전하는 방송이다.
  2. 24시간 한 지점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3. 궤도가 한 개뿐이므로 위성수가 제한된다.
  4. 고도가 약 36.000Km정도로 전파지연은 나타나지 않는다.
(정답률: 30%)
  • 고도가 약 36.000Km정도로 전파지연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옳은 설명이 아니다. 이는 거리가 멀어지면 전파가 전달되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도가 높을수록 전파지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임피던스가 25[Ω]의 반파장 안테나와 특성임피던스가 100[Ω]인 선로를 정합하기 위한 임피던스는?

  1. 150[Ω]
  2. 250[Ω]
  3. 25[Ω]
  4. 50[Ω]
(정답률: 알수없음)
  • 반파장 안테나의 특성임피던스는 73[Ω]이므로, 100[Ω]의 선로와 정합하기 위해서는 73[Ω]과 100[Ω]의 복소임피던스를 갖는 임피던스 변환 회로가 필요하다. 이때, 복소임피던스는 R + jX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R은 저항, X는 리액턴스를 나타낸다. 따라서, 73[Ω]과 100[Ω]의 복소임피던스를 갖는 임피던스 변환 회로를 구성하면, 이 회로의 저항값이 50[Ω]이 되어야 한다. 이는 73[Ω]과 100[Ω]의 복소임피던스를 갖는 회로에서 적절한 콘덴서와 인덕터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50[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방송제작에 사용되는 조명 (라이트)의 종류와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Base Light는 전체를 균일하게 밝게 해주는 조명이다.
  2. Key Light 는 주광선으로서, 주요 피사체의 밝기를 얻기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Back Light는 키라이트에 의해 생기는 반대방향의 빛, 피사체를 배경으로부터 떠오르게 하거나, 디테일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다.
  4. Set Light는 피사체의 정면 아래쪽으로부터의 빛이다.
(정답률: 80%)
  • 정답은 "Set Light는 피사체의 정면 아래쪽으로부터의 빛이다." 이다. Set Light는 피사체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을 밝히는 조명으로, 피사체의 아래쪽에서 비추는 것이 아니라 주로 위쪽에서 비추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SNC(Satellite News Gathering) 사용시 현 위치의 좌표를 알기 위해 사용하는 기기는?

  1. EPS
  2. DPS
  3. GPS
  4. PPS
(정답률: 73%)
  • SNC(Satellite News Gathering) 사용시 현 위치의 좌표를 알기 위해 사용하는 기기는 GPS이다. GPS는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수신기이다. EPS는 전기력 공급 시스템, DPS는 디지털 프로세서 시스템, PPS는 정밀 시간 신호를 의미하므로 위치 파악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위성으로부터 오는 신호를 한곳으로 모아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신안테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파라볼라 안테나
  2. 카세그레인 안테나
  3. 혼 반사 안테나
  4. 야기 안테나
(정답률: 73%)
  • 야기 안테나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안테나입니다. 따라서 위성으로부터 오는 신호를 모아주는 안테나의 종류로는 파라볼라 안테나, 카세그레인 안테나, 혼 반사 안테나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TV신호 파형을 감시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는?

  1. 텔레시네설비
  2. 파형 모니터
  3. 마스터 모니터
  4. 컬러 인코더
(정답률: 73%)
  • TV신호는 파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파형 모니터를 사용하여 감시 측정한다. 파형 모니터는 TV신호의 파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신호의 질을 확인하고 문제가 있는 부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TV방송 산업에서는 파형 모니터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한 장소로부터 신호를 받아, 다른 장소로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루팅(routing)장치는?

  1. Cable Box
  2. Multiplexer
  3. Patch Panel
  4. Scanner
(정답률: 알수없음)
  • Patch Panel은 다양한 케이블을 연결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장치로, 한 장소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다른 장소로 보낼 수 있도록 라우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루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중 하나입니다. Cable Box는 케이블을 보관하고 보호하는 장치, Multiplexer는 여러 신호를 하나로 합치는 장치, Scanner는 이미지나 문서를 스캔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디지털시스템에서 어떤 신호가 가지는 최고 주파수 조건에 의하여 샘플링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수신측에서 신호의 왜곡없이 재생이 가능한 조건이 된다. 다음 중 원신호, 샘플링 주파수사이에 표본화정리조건으로 알맞은 것은? (단. fs = 샘플링 주파수 , fmax = 원 신호의 최대주파수)

  1. fs ≥ 2fmax
  2. fs ≥ 4fmax
  3. fs ≤ 2fmax
  4. fs ≤ 4fmax
(정답률: 77%)
  • 정답: "fs ≥ 2fmax"

    이유: 샘플링 주파수는 원신호의 최대주파수의 2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는 나이퀴스트-샘플링 정리에 의한 것으로, 샘플링 주파수가 원신호의 최대주파수의 2배 이상이면, 샘플링된 신호를 이용하여 원신호를 완벽하게 복원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fs ≥ 2fmax"가 표본화정리조건으로 알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송신소의 송신기의 출력이 1kw로 송신 되던 중, 3db를 낮추어서 송신할 때 전력은 얼마로 낮아지는가?

  1. 0.1kw
  2. 0.5kw
  3. 1kw
  4. 2kw
(정답률: 알수없음)
  • 3dB 감소는 출력 전력을 절반으로 줄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kW의 출력 전력에서 3dB를 감소시키면 0.5kW의 전력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5k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텔레 텍스트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방송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문자다중방송이라 한다.
  2. 시스템은 정보제공자, 정보수용자 , 정보가공, 분배자로 구성된다.
  3. 필요한 정보를 전화와 텔레비전으로 받아본다.
  4. 정보 수용자 모두가 정보 제공자가 된다.
(정답률: 91%)
  • "방송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문자다중방송이라 한다."는 텔레텍스트의 가장 정확한 설명이다. 이는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방송하는 것으로, 정보제공자가 정보를 입력하면 시스템을 통해 정보수용자에게 전송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정보 수용자는 정보 제공자가 아니며, 필요한 정보를 전화나 텔레비전으로 받아볼 수 있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마이크의 원리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카본 마이크로폰
  2. 콘덴서 마이크로폰
  3. 다이나믹 마이크로폰
  4. 레이저 마이크로폰
(정답률: 73%)
  • 레이저 마이크로폰은 마이크로폰의 원리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소리를 감지하는 것으로, 마이크로폰의 원리와는 다른 원리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HDTV 화면의 가로 대 세로 비율은?

  1. 4:3
  2. 9:6
  3. 16:9
  4. 19:6
(정답률: 84%)
  • HDTV는 고화질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넓은 화면 비율을 채택하였습니다. 이러한 넓은 화면 비율은 16:9로 정해졌습니다. 이는 가로가 세로의 16 대 9 비율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HDTV에서는 넓은 화면을 통해 더욱 생생하고 선명한 영상을 즐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화망을 이용하여 일반 텔레비전과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DB)를 갖춘 센터에 이용자가 희망하는 정보화면을 요구하면 전화회선을 통하여 문자나 도형정보가 전송되어, 이것이 화면에 나타나는 시스템은?

  1. 비디오 텍스
  2. VAN
  3. ISDN
  4. RBDS
(정답률: 84%)
  • 비디오 텍스는 전화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여 일반 텔레비전과 연결된 데이터 베이스(DB)를 이용하여 정보화면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비디오 텍스"이다. VAN은 가상 사설망, ISDN은 통합 디지털 통신망, RBDS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으로, 이들은 비디오 텍스와는 다른 통신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동일한 출력이라고 가정할 때, 방송구역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안테나 공학
  2. 필터의 종류
  3. 송신기의 특정
  4. 안테나의 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방송구역의 크기와 형태는 안테나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안테나의 위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안테나가 높은 곳에 위치할수록 전파의 범위가 넓어지고, 안테나가 낮은 곳에 위치할수록 전파의 범위가 좁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테나의 위치는 방송구역의 크기와 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공학

41. 중파 라디오 방송을 위해 사용하는 변조 방식은?

  1. FM
  2. AM
  3. VSB
  4. DAB
(정답률: 46%)
  • 중파 라디오 방송에서는 AM (Amplitude Modulation) 변조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송신기에서 생성된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켜 송신하는 방식으로, 음성이나 음악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AM 방식은 간단하고 저렴하며, 장거리 전파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양자화를 가장 잘 표현한 것은?

  1. 샘플링 주파수의 선정
  2. 샘플링된 신호를 디지털 양으로 표시
  3. 디지털 신호의 아날로그화
  4. 원신호의 디지털 코드화
(정답률: 80%)
  • 양자화는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중 하나로, 샘플링된 신호를 디지털 양으로 표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신호의 크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서 양자화 레벨을 정하고, 해당 레벨에 가장 가까운 값을 선택하여 디지털 양으로 표현합니다. 이렇게 양자화된 디지털 신호는 이후에 디지털 신호의 아날로그화나 원신호의 디지털 코드화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디지털 방송식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ATSO
  2. DVB-T
  3. 8-VSB
  4. ISDB-T
(정답률: 60%)
  • 8-VSB는 디지털 방송식의 종류 중 하나이지만, 이는 미국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다른 나라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식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FM 송신기와 관련 없는 것은?

  1. APC
  2. AFC
  3. 주파수 체배기
  4. De-emphasis
(정답률: 60%)
  • De-emphasis는 FM 수신기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고주파수 신호를 강조하는 필터링 기술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FM 송신기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다. APC는 자동 게인 제어를 의미하며, AFC는 자동 주파수 제어를 의미한다. 주파수 체배기는 주파수를 변조하는 기술로, FM 송신기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컬러 버스트(burst) 신호의 역할은?

  1. 포화도 조절
  2. 색상 조절
  3. 휘도 조절
  4. 색위상 동기
(정답률: 알수없음)
  • 컬러 버스트 신호의 역할은 "색위상 동기"입니다. 이는 비디오 신호에서 색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며, 색상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서 색상의 위상을 동기화하여 정확한 색상을 재생산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다시 말해, 컬러 버스트 신호는 비디오 신호에서 색상 정보를 동기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멀티미디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멀티(Multi)와 미디어(Media)의 합성어이다.
  2. 문자, 영상, 화상, 그림, 소리 등 다양한 미디어를 표현할 수 있다.
  3. 고속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대용량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4. 동영상은 표현 방식의 문제로 인해 멀티미디어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다.
(정답률: 70%)
  • 동영상은 표현 방식의 문제로 인해 멀티미디어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동영상은 멀티미디어의 일종으로, 영상과 소리를 함께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동영상은 멀티미디어 요소에 해당된다"가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TV화면을 2번에 나누어 주사하여 2개의 필드가 하나의 프레임을 만들어 주는 주사방식은?

  1. 순차주사
  2. 비월주사
  3. 유효주사
  4. 수평주사
(정답률: 70%)
  • 비월주사는 TV화면을 2번에 나누어 각각의 필드를 번갈아가며 주사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만들어 주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화면 깜빡임이 적어 시청자들이 더욱 자연스러운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SDTV급 품질의 비디오에 해당하는 것은?

  1. SP@ML
  2. MP@HL
  3. MP@ML
  4. HP@HL
(정답률: 55%)
  • 정답은 "MP@ML"입니다.

    SDTV는 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의 약자로, 표준화된 해상도와 비율을 가진 텔레비전을 의미합니다. SDTV급 품질의 비디오는 해상도가 720x480(NTSC) 또는 720x576(PAL)이며, 비디오 압축 방식으로 MPEG-2를 사용합니다.

    여기서 "MP"는 MPEG-2의 Main Profile을 의미하며, "ML"은 Main Level을 의미합니다. Main Profile은 MPEG-2의 압축 기술 중 하나로, 고화질 비디오를 압축하는 데 사용됩니다. Main Level은 압축된 비디오의 최대 비트레이트를 나타내며, SDTV급 비디오의 경우 Main Level 4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MP@ML"은 MPEG-2의 Main Profile과 Main Level 4를 사용하여 압축된 SDTV급 품질의 비디오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유선방송의 구내전송 설비에서 시청가입자의 TV수상기 입력단자가 300[Ω]인 경우에 동축케이블의 75[Ω]불평형 신호를 300[Ω]평형 신호로 변화하는 데 이용되는 것은?

  1. 탭오프
  2. 보안기
  3. 정합기
  4. 신호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유선방송의 구내전송 설비에서 시청가입자의 TV수상기 입력단자가 300[Ω]인 경우에는 동축케이블의 75[Ω]불평형 신호를 300[Ω]평형 신호로 변환해주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것은 정합기입니다. 정합기는 입력 임피던스와 출력 임피던스를 일치시켜주는 장치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임피던스가 일치하지 않을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75[Ω]불평형 신호를 300[Ω]평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75[Ω]에서 300[Ω]로 임피던스를 일치시켜주는 정합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드라마 제작에 적합한 마이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진동이나 충격에 강해야 한다.
  2. 특정한 좁은 주파수에 대해서만 좋은 강도를 가져야 한다.
  3. S/N 비가 좋아야 한다.
  4. 소형 , 경량이어야 한다.
(정답률: 80%)
  • "특정한 좁은 주파수에 대해서만 좋은 강도를 가져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드라마 제작에 적합한 마이크는 다양한 주파수 범위에서 균일한 강도를 가져야 합니다. 이는 대화, 배경음악, 효과음 등 다양한 소리를 정확하게 녹음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방송을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가장 적철치 않은 것은?

  1. 중파라디오(AM) 대역
  2. VHF-TV 대역
  3. L-BAND
  4. S-BAND
(정답률: 62%)
  • DMB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VHF-TV 대역, L-BAND, S-BAND이다. 중파라디오(AM) 대역은 DMB에서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이기 때문에 가장 적절치 않은 것이다. 이는 DMB가 주로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방송이기 때문에, 중파라디오(AM) 대역은 전파의 범위가 제한적이며, 모바일 기기에서 수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비디오 데이터의 파일 저장방식으로 오디오와 비디오데이터가 내부적으로 번갈아 기록되는 저장방식의 파일은?

  1. MPEG파일
  2. AVI파일
  3. MOV파일
  4. FLC파일
(정답률: 59%)
  • AVI 파일은 비디오와 오디오 데이터가 번갈아가며 기록되는 저장 방식의 파일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AVI 파일은 비디오와 오디오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형식으로 많이 사용된다. MPEG 파일은 비디오 데이터만을 저장하는 형식이고, MOV 파일은 QuickTime 플레이어에서 사용되는 형식이며, FLC 파일은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저장하는 형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TV중계방송의 형식이 아닌 것은?

  1. 생방송
  2. 녹화방송
  3. 편집방송
  4. 지연방송
(정답률: 59%)
  • 정답은 "편집방송"입니다.

    생방송은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방송이며, 녹화방송은 미리 녹화된 방송을 재생하는 것입니다. 지연방송은 생방송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사고나 비속어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시간을 늦춰서 방송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편집방송은 미리 녹화된 방송을 편집하여 특정 부분을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TV중계방송의 형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신호파의 진폭을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신호를 2진법으로 표시 2진 부호에 따른 펄스를 발생시켜 변조하는 방식은?

  1. QPSK
  2. CDMA
  3. PCM
  4. PWM
(정답률: 70%)
  • 이 방식은 Pulse Code Modulation (PCM)이다. 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 중 하나로,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각 샘플링 값의 진폭을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값을 2진법으로 표시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후에는 2진 부호에 따른 펄스를 발생시켜 변조하는 과정을 거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오디오와 가장 밀접한 것은?

  1. SDI (Serial digital interface)
  2. Mixing console
  3. Component 신호
  4. Composite 신호
(정답률: 80%)
  • 오디오는 여러 개의 소리 신호를 혼합하여 하나의 신호로 만드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장비가 Mixing console입니다. Mixing console은 오디오 신호를 혼합하고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오디오 녹음 및 라이브 공연에서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따라서 오디오와 가장 밀접한 것은 Mixing conso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실내 음향 설계의 목표가 아닌 것은?

  1. 방해되는 소음이 없어야 한다.
  2. 음성은 명료하게 들려야 한다.
  3. 에코 현상과 같은 음향 장치를 이용한다.
  4. 실내 전체에 대한 음압 분포가 균일해야 한다.
(정답률: 82%)
  • 에코 현상과 같은 음향 장치를 이용하는 것은 목표가 아니라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목표는 방해되는 소음이 없어야 하고, 음성은 명료하게 들려야 하며, 실내 전체에 대한 음압 분포가 균일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의 영상압축기법 중 무손실 기법이 아닌 것은?

  1. Run-length
  2. Huffman 부호화
  3. Lempel-Ziv 부호화
  4. DCT변환
(정답률: 알수없음)
  • DCT 변환은 손실 압축 기법 중 하나로, 이미지나 영상을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 각 블록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여 중요한 정보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버리는 방식으로 압축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DCT 변환은 무손실 압축 기법이 아닙니다. 반면에 Run-length, Huffman 부호화, Lempel-Ziv 부호화는 모두 무손실 압축 기법으로, 데이터를 압축할 때 원본 데이터를 완벽하게 복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채널 상황하에서 시청자에게 각종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가이드 기능의 제공하는 서비스는?

  1. NVOD(Neal Video On Demand)
  2. VOD(Video On Demand)
  3. VOIP(Voice Over Internet Demand)
  4.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정답률: 92%)
  • EPG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로, 다채널 상황에서 시청자에게 각종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가이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EPG를 통해 시청자는 채널별 프로그램 편성표, 프로그램 정보, 방송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따라서 EPG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방송용 조명에서 램브란트 라이트의 설명이 맞는 것은?

  1. 인물의 정면에서 비추는 빛
  2. 뒷면으로부터의 빛
  3. 경사 45도에서의 빛
  4. 인물의 바로 위에서 비추는 빛
(정답률: 73%)
  • 램브란트 라이트는 인물을 경사 45도에서 비추는 빛으로 조명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인물의 얼굴에 입체감을 주어 깊이감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방송용 조명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인물의 정면에서 비추는 빛이나 뒷면으로부터의 빛은 입체감이 부족하여 인물의 얼굴이 평면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인물의 바로 위에서 비추는 빛은 그림자가 없어 인물의 얼굴이 평평해 보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국내의 도입된 대표적인 FM 부가방송은?

  1. HSDS , DARC
  2. RDS , DARC
  3. DRB , HSDC
  4. RDS , DAB
(정답률: 59%)
  • 정답은 "RDS, DARC"입니다.

    RDS는 Radio Data System의 약자로, FM 주파수 대역에서 오디오 외에도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자동차 라디오 등에서 현재 재생 중인 음악 정보, 교통 정보, 날씨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DARC는 Digital Audio Radio Broadcasting Car의 약자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를 통해 FM 대역에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DS와 DARC는 국내에서 도입된 대표적인 FM 부가방송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방송통신 시스템

61. 다음 중 스테레오 FM 라디오 방식(AM-FM방식)에서 Pilot 신호의 주파수는?

  1. 16㎑
  2. 19㎑
  3. 38㎑
  4. 76㎑
(정답률: 알수없음)
  • 스테레오 FM 라디오 방식에서, 왼쪽 오디오 신호와 오른쪽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 Pilot 신호가 사용됩니다. 이 Pilot 신호의 주파수는 19kHz입니다. 이는 스테레오 FM 방식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폭 중 가장 낮은 주파수이며, 이를 기준으로 왼쪽 오디오 신호와 오른쪽 오디오 신호가 분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위성에서 송신하는 전파를 이용하여 지구 전체를 측위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자동차나 항공기 또는 선박과 같은 이동물체의 속도를 위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GPS
  2. VSAT
  3. ENG
  4. STL
(정답률: 75%)
  • GPS는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자로, 지구 상의 위성에서 송신하는 전파를 이용하여 지구 전체를 측위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자동차나 항공기, 선박 등의 이동물체의 위치와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GP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영상신호는 신호가 가지는 중복성의 특성을 이용하여 압축된다. 중복된 정보는 전송되지 않아도 수신기에서 복원되는데 , 이 때 이용되는 중복성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공간적 중복성
  2. 시간적 중복성
  3. 통계적 중복성
  4. 다중성 중복성
(정답률: 알수없음)
  • 다중성 중복성은 신호가 가지는 다양한 특성들을 이용하여 압축하는 방식으로, 다른 중복성들과는 달리 여러 가지 특성들을 조합하여 압축을 수행한다. 따라서 다중성 중복성은 다른 중복성들과는 구분되는 별개의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영상의 동축케이블 임피던스는 몇 Ω 인가?

  1. 60Ω
  2. 75Ω
  3. 300Ω
  4. 600Ω
(정답률: 알수없음)
  • 영상의 동축케이블 임피던스는 75Ω이다. 이는 동축케이블의 구조와 재료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 이 값과 일치하지 않는 임피던스의 신호가 전송되면 반사가 발생하여 신호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동축케이블을 사용할 때는 임피던스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장비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국내 디지털 유선방송의 상∙하향 대역 분리 방식은?

  1. Sub Split 방식
  2. Mid Split 방식
  3. High Split방식
  4. Extend Mid Split방식
(정답률: 55%)
  • 국내 디지털 유선방송에서는 상∙하향 대역 분리 방식 중 "Sub Split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상향 대역과 하향 대역을 분리하는데, 상향 대역은 5~30MHz, 하향 대역은 30~862MHz로 분리됩니다. 이 방식은 중∙고주파 대역을 이용하는 방식보다 더 많은 주파수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어서 더 많은 채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CATV 시스템의 가입자 설비에 해당되는 것은?

  1. 간선 광케이블
  2. 컨버터
  3. 변조기
  4. 중계기
(정답률: 알수없음)
  • CATV 시스템에서 가입자 설비는 TV 수신기와 함께 사용되는 장비들을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컨버터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TV 수신기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컨버터가 CATV 시스템의 가입자 설비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방송 송출용 서버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하는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서버시스템 장애발생시 운용이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RAID 기능을 가질 것
  2. 보존용 소재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것
  3. 다양한 비선형 편집기능을 포함 할 것
  4. 방송 프로그램의 신속한 변경과 송출이 가능한 기능을 가질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다양한 비선형 편집기능을 포함 할 것"은 방송 송출용 서버시스템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기능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방송 송출용 서버시스템이 주로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송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편집 기능은 주로 제작 단계에서 필요한 기능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송 송출용 서버시스템을 설계할 때는 다양한 비선형 편집기능보다는 신뢰성, 검색 기능, 신속한 변경 및 송출 기능 등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쌍곡면 반사면을 이용하여 두 번 반사로 초점에 모아주는 위성 안테나는?

  1. 접시형 안테나
  2. 그레고리 안테나
  3. 평면 안테나
  4. 카세그레인 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카세그레인 안테나는 쌍곡면 반사면을 이용하여 두 번 반사로 초점에 모아주는 안테나로, 다른 안테나들과는 달리 초점에 수신기를 직접 위치시키기 때문에 수신감도가 높고, 크기도 작아 설치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위성 통신 등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페이딩 방지 다이버시티 방법 중에서 수신안테나 2개 이상 사용하고 공중선의 위치에 따라 신호전파의 수신전계 강도가 페이딩 상태에 따라 달라짐을 이용하여 그 세력을 합성하거나 세력이 큰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 압력을 받아 통신에 이용하는 방법으로 주로 단파통신에 사용되는 것은?

  1. 편파 다이버 시티
  2. 주파수 다이버시티
  3. 공간 다이버시티
  4. 급전선 정합
(정답률: 알수없음)
  • 공간 다이버시티는 수신 안테나 2개 이상을 사용하여 신호전파의 수신전계 강도를 합성하는 방법으로, 수신 안테나의 위치에 따라 신호전파의 수신전계 강도가 달라지는 페이딩 상태를 이용합니다. 이 방법은 단파통신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간 다이버시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녹화기에서 비디오헤드의 회전 불균일이나 기하학적인 일그러짐 등에 의해 발사되는 시간축이나 위상 변동을 보정하여 주는 것은?

  1. 프레임 싱크로나이저
  2. 샘플링 주파수 컨버터
  3. 타임베이스 커렉터
  4. 스펙트럼 아날라이저
(정답률: 42%)
  • 녹화기에서 발생하는 회전 불균일이나 기하학적인 일그러짐 등은 시간축이나 위상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시간축과 위상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로 "타임베이스 커렉터" 입니다. 타임베이스 커렉터는 녹화된 비디오 신호의 시간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회전 불균일이나 기하학적인 일그러짐 등에 의한 위상 변동을 보정하여 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타임베이스 커렉터는 녹화된 비디오 신호의 정확한 재생을 위해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아날로그 방송보다 훨씬 더 선명한 방송이 가능하다.
  2. 영상과 음성이외에도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다.
  3. 아날로그 TV와 양립성을 지원하므로 기존의 아날로그 TV수신기에 별도의 부가장치가 없어도 시청이 가능하다.
  4. ATSC는 미국방식이고 DVB-T는 유럽방식이다.
(정답률: 67%)
  • 정답은 "ATSC는 미국방식이고 DVB-T는 유럽방식이다."이다.

    아날로그 TV와 양립성을 지원하는 이유는 디지털 TV 방송이 아날로그 TV와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TV 수신기는 아날로그 TV 수신기와 같은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별도의 부가장치 없이 시청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방송망∙인터넷 , 음성망을 단일화된 통신망으로 통합하여, 방송과 통신의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계획된 차세대 통신망은 무엇인가?

  1. DcN
  2. LAN
  3. N-ISDN
  4. IMT2000
(정답률: 55%)
  • DcN은 Digital Convergence Network의 약자로, 디지털 융합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이는 방송망, 인터넷, 음성망을 하나의 통합된 통신망으로 만들어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DcN은 방송과 통신의 융합을 위한 차세대 통신망으로, 다른 보기인 LAN, N-ISDN, IMT2000과는 목적과 구성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진폭변조방식과 비교하여 주파수 변조방식의 특징으로 올바른 것은?

  1. 레벨변동의 영향을 받는다.
  2. 좁은 주파수 대역이 필요하다.
  3. 전송로의 주파수 변동에 강하다.
  4. 진폭변조방식에 비해 S/N 비가 개선된다.
(정답률: 62%)
  • 주파수 변조방식은 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레벨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또한, 좁은 주파수 대역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송로의 주파수 변동에도 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진폭변조방식에 비해 S/N 비가 개선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비트열이 전송 채널상의 잡음에 의하여 손상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오류 정정이 되도록 하는 것은?

  1. 채널 부호화
  2. 등화
  3. 상향 변조
  4. 디스크램블링
(정답률: 70%)
  • 채널 부호화는 전송 채널상의 잡음에 의해 비트열이 손상될 경우, 추가적인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무궁화위성을 이용한 디지털 위성방송은 수신 주파수가 12GHZ 대의 방송 대역을 사용한다. 이 대역의 명칭은?

  1. Ka BaND
  2. Ku Band
  3. X Band
  4. C bAND
(정답률: 80%)
  • 정답은 "Ku Band"이다. 이는 12GHz 대의 대역을 나타내는 명칭으로, "Ku"는 "K-under"의 약자로서, 이 대역이 K Band(18-27GHz)와 Ka Band(26.5-40GHz)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Ku Band는 대역폭이 넓고 안정적인 신호 전달이 가능하며, 위성 통신, 위성 방송 등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라디오나 TV방송에서 입력된 스케쥴에 따라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전환하여 송출하는 시스템은?

  1. SNG
  2. APC (Automatic Program Control)
  3. Swicher
  4. 콘트롤 데스크
(정답률: 75%)
  • APC (Automatic Program Control)은 입력된 스케쥴에 따라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전환하여 송출하는 시스템입니다. 다른 보기인 SNG는 Satellite News Gathering의 약자로 위성을 이용한 뉴스 수집 방식을 의미하며, Switcher는 비디오 신호를 전환하는 장비를 의미합니다. 콘트롤 데스크는 방송 스튜디오에서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장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APC (Automatic Program Control)이 입력된 스케쥴에 따라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전환하여 송출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AM변조방식에 대한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DSB 방식은 수신측에서 반송파를 발생시켜 동기 검파를 한다.
  2. FM 변조방식에 비해 전파의 점유 대역폭이 좁고, 주파수 이용률이 높다.
  3. SSB 방식은 하나의 측파대만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파수 이용률이 좋다.
  4. VSB 방식은 포락선 검파를 할 수 있는 변조방식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DSB 방식은 수신측에서 반송파를 발생시켜 동기 검파를 한다."이 말은 틀린 것이다. DSB 방식은 수신측에서 반송파를 발생시키지 않고, 단순히 수신된 신호를 검파하여 복조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위성방송 송신 지구국을 통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위성으로 업링크 시키고자 한다. 위성송신지구국 시스템의 구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고출력 증폭기
  2. 스크램블러
  3. 변조기
  4. MPEG - 4 인코더
(정답률: 55%)
  • 위성송신지구국 시스템은 비디오 신호를 위성으로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MPEG-4 인코더는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압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MPEG-4 인코더는 위성송신지구국 시스템의 구성에 속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CD 수준의 음질 ,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 , 우수한 이동 수신 품질을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은?

  1. DAB
  2. NGN
  3. BCN
  4. DMB
(정답률: 70%)
  • DAB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으로, CD 수준의 음질을 제공하며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와 우수한 이동 수신 품질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CD 수준의 음질과 함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동 중에도 안정적인 수신이 가능한 라디오 방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유선방송망을 구성하면서 신호대 잡음비가 20dB인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하여 10dB의 증폭도와 5dB의 잡음지수를 갖는 증폭기 1단을 사용하였을 때, 증폭기 출력의 신호데 잡음비는?

  1. 45dB
  2. 35dB
  3. 25dB
  4. 15dB
(정답률: 46%)
  • 신호대 잡음비는 증폭기 입력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와 증폭기 자체의 잡음지수의 차이로 결정된다. 따라서, 증폭기 1단에서 입력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는 20dB이고, 증폭기 자체의 잡음지수는 5dB이므로, 증폭기 1단의 출력 신호대 잡음비는 20dB - 5dB + 10dB = 25dB이다. 그러나, 이 출력 신호는 다음 단의 증폭기의 입력 신호가 되므로, 다음 단에서의 신호대 잡음비는 더 낮아질 것이다. 따라서, 최종적인 출력 신호대 잡음비는 15dB가 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81. 다음 중에서 8비트 부호화 절대값 표현 방법에 의하여 +10과 -10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10 : 00001010 -10 : 10001010
  2. +10 : 10001010 -10 : 00001010
  3. +10 : 00011010 -10 : 00001010
  4. +10 : 10001010 -10 : 11001010
(정답률: 80%)
  • 정답은 "+10 : 00001010 -10 : 10001010" 입니다.

    8비트 부호화 절대값 표현 방법은 가장 왼쪽 비트를 부호 비트로 사용하고, 나머지 7비트는 해당 수의 절대값을 2진수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10은 양수이므로 부호 비트는 0이 되고, 10의 절대값인 00001010이 나머지 7비트에 들어갑니다. 반면 -10은 음수이므로 부호 비트는 1이 되고, 10의 절대값인 00001010을 1의 보수로 바꾼 11110101에 1을 더한 2의 보수인 10001010이 나머지 7비트에 들어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Spooling 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자료를 발생 즉시 처리하는 방식이다.
  2. 느린 장치로 출력할 때 디스크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고 그 장치를 출력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3. 자료를 일정기간 모아서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이다.
  4. 여러 개의 처리기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85%)
  • Spooling은 느린 장치로 출력할 때 디스크 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고 그 장치를 출력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즉, 출력 작업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출력할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고, 출력 장치가 사용 가능할 때 출력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출력 작업과 다른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며, 출력 중에도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누산기 (Accumulater)의 역할은?

  1. 연산 명령의 해독 장치
  2. 연선 명령의 기억장치
  3. 연산결과의 일시적 기억장치
  4. 연산 명령 순서의 기억장치
(정답률: 60%)
  • 누산기는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로,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연산 결과는 일시적으로 누산기에 저장되어 다음 연산에 이용됩니다. 따라서 누산기는 연산결과의 일시적 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EBCDIC 코드로 숫자를 표현할 때 앞의 4BIT(ZONE부분)는?

  1. 1111
  2. 1110
  3. 1101
  4. 1000
(정답률: 55%)
  • EBCDIC 코드에서 숫자를 표현할 때 앞의 4BIT는 숫자의 ZONE을 나타냅니다. 이 ZONE은 숫자가 어떤 형태로 표현되는지를 나타내며, "1111"은 숫자 0부터 9까지 모두 표현할 수 있는 범용 ZONE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특정한 숫자 범위를 나타내는 ZO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중앙처리장치의 메이저 스테이션 중 기억장치로부터 주소를 읽은 후 그것이 직접주소인지 간접 주소인지를 시험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동작을 하는 스테이션은?

  1. FETCH 스테이션
  2. EXECUTE 스테이션
  3. INDIRECT 스테이션
  4. INTERRIPT 스테이션
(정답률: 70%)
  • INDIRECT 스테이션은 기억장치로부터 읽어온 주소가 간접 주소인지 직접 주소인지를 판별하여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입니다. 간접 주소는 다시 한 번 기억장치에서 값을 읽어와야 하므로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합니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 INDIRECT 스테이션은 간접 주소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캐쉬메모리의 매핑 방법이 아닌 것은?

  1. Direct mapping
  2. Indirect mapping
  3. Associative mapping
  4. Set-associative mapping
(정답률: 64%)
  • Indirect mapping은 캐시 메모리의 매핑 방법이 아닙니다. Indirect mapping은 메모리 주소를 캐시 메모리의 인덱스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다른 주소로 변환한 후에 그 변환된 주소를 캐시 메모리의 인덱스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대신에 Direct mapping, Associative mapping, Set-associative mapping이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Queue의 구조 중 오른쪽과 왼쪽에서 삽입연산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Queue의 변형된 구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Stack
  2. Point
  3. Deque
  4. Buffer
(정답률: 80%)
  • Deque는 Double-ended Queue의 약자로,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모두 가능한 자료구조이다. 따라서 Queue와는 달리 오른쪽과 왼쪽에서 모두 삽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Deque는 Queue와 Stack의 기능을 모두 갖춘 자료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Miroprocessor에서 다음 실행할 번지가 저장되는 곳은?

  1. Buffer register
  2. Program counter
  3. Asscumlator
  4. Instruction register
(정답률: 55%)
  • Program counter는 다음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기 때문에, 다음 실행할 번지가 저장되는 곳은 Program coun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연산장치에서 뺄셈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방법은?

  1. 피감수에서 감수를 직접 뺀다.
  2. 보수(complement)를 사용하여 덧셈 계산한다.
  3. 시프트(shift)방법을 이용하여 감산한다.
  4. 비트 마크(bit mark)방법을 사용하여 감산한다.
(정답률: 90%)
  • 보수(complement)를 사용하여 덧셈 계산하는 방법은 피감수와 감수의 보수를 구한 후에 덧셈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덧셈 회로를 이용하여 뺄셈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르고 간단하다. 또한, 보수를 사용하여 덧셈을 수행하면 자릿수 올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오버플로우(overflow)나 언더플로우(underflow)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프로그램 중 처리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언어번역 프로그램
  2. 사용자 프로그램
  3. 서비스 프로그램
  4. 감시 프로그램
(정답률: 50%)
  • 감시 프로그램은 데이터나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감시하는 프로그램으로, 처리를 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프로그램들과는 달리 처리프로그램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전기통신설비에서 제한치를 초과하거나 초과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전력유도 방지 조치를 취해야 하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이상시 유도위험 전압 : 650[V]
  2. 상시 유도위험 종전압 :[60]V
  3. 기기 오동작 유도종전압 :15[V]
  4. 잡음전압 :1[V]
(정답률: 70%)
  • "잡음전압 :1[V]"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이 조건은 전력유도 방지 조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틀린 것"을 찾는 것이 아니라 "맞는 것"을 찾는 것이 정확한 문제 해결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상시 유도위험 전압 : 650[V]", "상시 유도위험 종전압 :[60]V", "기기 오동작 유도종전압 :15[V]"는 전력유도 방지 조치를 취해야 하는 조건으로 맞습니다. 이들은 전기통신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력유도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이를 초과하거나 초과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전력유도 방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그러나 "잡음전압 :1[V]"는 전력유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값으로, 이 값이 존재한다고 해서 전력유도 방지 조치를 취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잡음전압"은 전기통신설비에서 발생하는 잡음(노이즈)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작을수록 전기통신설비의 신호 품질이 좋아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블랭킷에어리어라 함은?

  1. 방송국의 송신공중선으로부터 발사되는 강한 전파로 인하여 다른 전파와의 간섭이 일어나는 지역을 말한다.
  2. 방송국의 수신 공중선으로부터 받는 강한 전파로 인하여 다른 전파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지역을 말한다.
  3. 단파방송의 경우에는 지상파의 전계강도가 미터마다 3볼트 이상인 지역을 말한다.
  4. 중파방송의 경우에는 지상파의 전계강도가 미터마다 4볼트 이상인 지역을 말한다.
(정답률: 80%)
  • 정답은 "방송국의 송신공중선으로부터 발사되는 강한 전파로 인하여 다른 전파와의 간섭이 일어나는 지역을 말한다." 이다. 이는 방송국에서 발사되는 전파가 다른 전파와 간섭을 일으키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간섭은 블랭킷에어리어 현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라디오나 TV 등의 방송에서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TV 공동시청안테나시설 설비의 조건에서 수신증폭기의 적합기준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수신증폭기는 입력신호를 초단파저대역 · 초단파고대역 및 극초단파대역으로 분리하여 증폭한 후 다시 혼합하여 출력할 수 있어야 한다.
  2. 채널전용안테나를 설치하는 경우 수신증폭기는 각 수신 채널별 신호만을 증폭한 후 이를 혼합하여 출력할 수 있어야 한다.
  3. 자동으로만 출력신호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을 것
  4. 등화기 및 감쇄기로 입력신호레벨을 등화 또는 감쇄할 수 있을 것
(정답률: 82%)
  • "자동으로만 출력신호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은 적합 기준이 아닙니다. 이유는 수신증폭기는 입력신호의 레벨이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수동으로 출력신호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자동으로만 조정하면 입력신호의 레벨에 따라 출력신호의 세기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합 기준은 "수동으로 출력신호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특정 방송 분야의 방송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편성하는 것은?

  1. 전문편성
  2. 종합편성
  3. 방송편성
  4. 표준편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전문편성"은 특정 방송 분야에 대해 전문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더욱 질 높은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으며, 시청자들의 관심도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편성은 해당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청자들의 신뢰를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정보통신공사업법에 의한 공사의 종류 중 통신설비공사가 아닌 것은?

  1. 전송설비공사
  2. 구내통신설비공사
  3. 위성통신설비공사
  4. 방송전송·선로설비공사
(정답률: 70%)
  • 방송전송·선로설비공사는 정보통신공사업법에 의한 공사의 종류 중에서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해당 공사가 방송 및 전송선로에 대한 설비공사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전송설비, 구내통신설비, 위성통신설비에 대한 공사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들은 정보통신공사업법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공사의 종류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방송국의 개설조건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방송국을 개설하고자 하는 자는 다른 방송의 수신에 혼신을 일으키지 아니하도록 이를 설치하여야 한다.
  2. 혼신의 방지를 위한 방송국의 설치장소 등 방송국의 개설조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3. 정보통신부장관은 방송국을 개설하고자 하는 자의 허가 신청 내용이 개설조건에 적합하지 아니한 때에는 설치장소의 이전 등 보완을 명할 수 있다.
  4. 송신공중선의 높이·출력, 지향특성 등 방송국의 개설조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정보통신부령으로 한다.
(정답률: 70%)
  • "방송국을 개설하고자 하는 자는 다른 방송의 수신에 혼신을 일으키지 아니하도록 이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조건은 방송국의 개설조건과 관련이 있으며, 다른 보기들도 방송국의 개설조건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방송국의 개설조건과 관련이 없는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공사를 설계한 용역업자는 그가 작성 또는 제공한 실시 설계 도서를 당해 공사가 준공된 후 보관기간은?

  1. 3년
  2. 4년
  3. 5년
  4. 6년
(정답률: 80%)
  • 공사를 설계한 용역업자는 그가 작성 또는 제공한 실시 설계 도서를 보관기간 동안 보존하여 필요시 제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 보관기간은 건설규제법 시행규칙에 따라서 5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방송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정보통신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사업자가 아닌 것은?

  1. 지상파방송사업자
  2. 중계유선방송사업자
  3. 위성방송사업자
  4. 방송채널사용사업자
(정답률: 알수없음)
  • 방송채널사용사업자는 방송을 직접 생산하거나 중계하지 않고, 다른 방송사의 채널을 이용하여 방송을 전달하는 사업자이기 때문에 방송위원회의 추천과 정보통신부장관의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반면, 지상파방송사업자, 중계유선방송사업자, 위성방송사업자는 방송을 직접 생산하거나 중계하는 사업자이므로 방송위원회의 추천과 정보통신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방송법에 의거하여( )에 가장 적합한 것은? “ 방송이라 함은 방송프로그램을 기획·편성 또는 제작하고 이를 시청자에게( )에 의하여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1. 전기통신설비
  2. 무선통신설비
  3. 정보통신설비
  4. 방송통신설비
(정답률: 55%)
  • 방송은 시청자에게 송신되어야 하므로, 전기통신설비가 가장 적합하다. 전기통신설비는 유선으로 연결된 통신망을 의미하며, 방송은 유선으로 연결된 방송국에서 전기통신설비를 통해 시청자에게 송출되기 때문이다. 무선통신설비는 무선으로 연결된 통신망을 의미하며, 정보통신설비는 데이터 통신 등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설비를 의미한다. 방송통신설비는 방송국 내에서 사용되는 설비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정보통신공사의 도급 및 하도급 원칙으로 틀린 것은?

  1. 도급 공사의 일괄 하도급은 금지한다.
  2. 발주자는 공사를 공사업자에게 도급하여야 한다.
  3. 발주자는 수급인에게 하수급인의 변경을 요구할 수 없다.
  4. 일부 재하도급시에는 사전에 발주자로부터 서면 승낙을 받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공사의 도급 및 하도급 원칙 중에서 틀린 것은 "발주자는 공사를 공사업자에게 도급하여야 한다." 이다. 발주자는 공사를 직접 수행할 수도 있고, 다른 업체에게 하도급을 맡길 수도 있다.

    그리고 "발주자는 수급인에게 하수급인의 변경을 요구할 수 없다."는 원칙은 하도급 계약을 맺은 수급인이 하수급인을 변경하고자 할 때, 발주자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