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10-12)

방송통신기사
(2013-10-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그림과 같은 에미터폴로우 회로에서 h-파라메타가 hie=2.1[kΩ], hfe=100이고, R1=10[kΩ],R2=10[kΩ], Re=4[kΩ]일 때, 입력저항은 약 얼마인가?

  1. 402[kΩ]
  2. 404[kΩ]
  3. 406[kΩ]
  4. 408[kΩ]
(정답률: 41%)
  • 입력저항은 Rin=hie+(hfe+1)Re이다. 따라서 Rin=2.1[kΩ]+(100+1)×4[kΩ]=406[kΩ]이다. 따라서 정답은 "406[k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주어진 회로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회로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증폭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2. 입출력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3.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다.
  4. 온도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정답률: 56%)
  • 온도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부품이 회로에 없기 때문에 "온도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올바르지 않은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그림에서 정논리의 경우 게이트 명칭은?

  1. AND 게이트
  2. OR 게이트
  3. NAND 게이트
  4. NOR 게이트
(정답률: 53%)
  • 정답은 "OR 게이트"이다. 이유는 입력 A와 입력 B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기 때문이다. 즉, 둘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이 되는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게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계수형 전자 계산기(Digital Computer)의 보조 기억 장치가 아닌 것은?

  1. 자기 드럼(Magnetic Drum)
  2.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3.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4. 자기 코어(Magnetic Core)
(정답률: 62%)
  • 자기 코어는 보조 기억 장치가 아니라 주 기억 장치이다. 자기 드럼,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는 모두 보조 기억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정전압 회로의 안정도 파라미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전압안정계수
  2. 온도안정계수
  3. 출력저항
  4. 출력직류전압
(정답률: 42%)
  • 정전압 회로의 안정도 파라미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출력직류전압"입니다. 이는 회로의 출력값이 아닌 입력값에 대한 안정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들입니다. 전압안정계수는 입력 전압의 변화에 대한 출력 전압의 변화율을 나타내며, 온도안정계수는 온도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의 변화율을 나타냅니다. 출력저항은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의 비율을 나타내며, 안정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플립플롭은 몇 개의 안정 상태를 갖는가?

  1. 1
  2. 2
  3. 4
(정답률: 57%)
  • 플립플롭은 2개의 안정 상태를 갖습니다. 이는 플립플롭이 2진수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플립플롭은 0 또는 1의 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값은 각각 안정 상태입니다. 따라서 플립플롭은 2개의 안정 상태를 갖습니다. "4"와 "∞"는 플립플롭의 안정 상태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펄스부호변조(PCM) 방식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압축
  2.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 압축
  3. 표본화 → 양자화 → 압축 → 부호화
  4. 표본화 → 압축 → 양자화 → 부호화
(정답률: 55%)
  • 정답은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압축"입니다.

    표본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후 양자화는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각 구간을 대표하는 값을 선택하는 과정입니다. 부호화는 선택된 값에 대해 이진수로 표현하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압축은 부호화된 디지털 신호를 더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입니다. 따라서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압축"이 올바른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과 같은 주기적인 펄스파형의 듀티비(Duty Ratio)는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0[%]
  2. 12[%]
  3. 20[%]
  4. 22[%]
(정답률: 46%)
  • 주기 T 중에서 High 상태인 시간은 2ms이고, 전체 주기 T는 10ms이므로 듀티비는 (2/10) x 100 = 20[%]이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RC 회로의 출력에서 최종치의 10[%]~90[%]까지 얻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지연 시간
  2. 하강 시간
  3. 상승 시간
  4. 전이 시간
(정답률: 57%)
  • RC 회로의 출력에서 최종치의 10[%]~90[%]까지 얻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상승 시간"이라고 한다. 이는 출력 신호가 상승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RC 회로에서는 커패시턴스와 저항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필터링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 필터링 기능으로 인해 출력 신호가 상승하는 데 일정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이 시간을 상승 시간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십진수 10.375를 2진수로 변환하면?

  1. 1011.101(2)
  2. 1010.101(2)
  3. 1010.011(2)
  4. 1011.110(2)
(정답률: 51%)
  • 10.375를 2진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정수부분과 소수부분을 각각 2진수로 변환해야 합니다.

    정수부분인 10을 2진수로 변환하면 1010(2)가 됩니다.

    소수부분인 0.375를 2진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소수점을 곱하면서 정수부분을 계속해서 2진수로 변환해야 합니다.

    0.375 x 2 = 0.75 → 0
    0.75 x 2 = 1.5 → 1
    0.5 x 2 = 1.0 → 1

    따라서 0.375의 2진수는 0.011(2)가 됩니다.

    따라서 10.375의 2진수는 1010.011(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과 같은 연산증폭기 회로의 출력 전압은?

  1. -64[V]
  2. -4.6[V]
  3. +64[V]
  4. +4.6[V]
(정답률: 55%)
  • 입력 신호가 0V일 때, Q1은 전류가 흐르지 않고 Q2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Q2의 컬렉터 전압은 Vcc인 64V가 된다. 이 때, Q3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출력 전압은 64V이다. 반면, 입력 신호가 양수일 때, Q1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Q2의 컬렉터 전압이 낮아지고, Q3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출력 전압은 64V보다 낮아진다. 입력 신호가 음수일 때, Q1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Q2의 컬렉터 전압이 높아지고, Q3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출력 전압이 더욱 낮아진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음수일 때 출력 전압은 -4.6V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발진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궤한증폭기의 이득(A)과 궤환율(β)의 곱이 1보다 작으면 발진 진폭이 감소한다.
  2. 궤환증폭시 입력신호와 궤환신호의 위상이 180° 차이가 난다.
  3. 증폭된 출력의 일부를 입력쪽으로 정궤환시켜야 한다.
  4. 발진이 지속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βA=1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정답률: 54%)
  • "궤환증폭시 입력신호와 궤환신호의 위상이 180° 차이가 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발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궤환증폭기의 이득과 궤환율의 곱이 1보다 작아야 하며, 발진이 지속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βA=1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또한, 발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증폭된 출력의 일부를 입력쪽으로 정궤환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조합 논리 회로 중 0과 1의 조합으로 부호화를 행하는 회로로 2n개의 입력선과 n개의 출력 선으로 구성된 것은?

  1. 디코더(Decoder)
  2. DEMUX
  3. MUX
  4. 인코더(Encoder)
(정답률: 61%)
  • 인코더는 입력선 중 하나에만 1이 들어오는 경우 해당 입력선의 번호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출력선 중 하나에만 1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2n개의 입력선 중 하나에만 1이 들어오므로 n개의 출력선 중 하나에만 1이 출력되는 조합 논리 회로로 인코더가 정답이 된다. 디코더는 반대로 이진수로 표현된 입력에 따라 출력선 중 하나에만 1을 출력하는 회로이며, MUX는 다수의 입력선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회로, DEMUX는 하나의 입력선을 다수의 출력선 중 하나에 선택하여 출력하는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FET(Field Effect Transistor)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입력저항이 수 [MΩ]으로 매우 크다.
  2. 다수 캐리어에 의해 동작하는 단극성 소자이다.
  3. 접합트랜지스터(BJT)보다 잡음이 심하다.
  4. 이득대역폭이 좁다.
(정답률: 59%)
  • "FET(Field Effect Transistor)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음의 보기에서 정답이 "접합트랜지스터(BJT)보다 잡음이 심하다." 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줘."

    FET는 BJT와 달리 소음이 적은 소자이다. 따라서 "접합트랜지스터(BJT)보다 잡음이 심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수정발진기는 어떤 효과를 이용한 것인가?

  1. 차폐효과
  2. 압전기 효과
  3. 홀 효과
  4. 제에벡 효과
(정답률: 41%)
  • 수정발진기는 압전기 효과를 이용한 것입니다. 압전기 효과란, 일정한 압력이 가해질 때 일부 결정체의 구조가 변화하여 전기적인 특성이 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수정발진기는 압력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감지하여 진동을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정류회로 출력 성분 중 교류인 리플을 제거하기 위해 정류회로 다음 단에 접속되는 회로는 무엇인가?

  1. 평활 회로
  2. 클램핑 회로
  3. 정전압 회로
  4. 클리핑 회로
(정답률: 50%)
  • 정류회로는 입력 신호의 교류 성분을 제거하여 DC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그러나 정류회로의 출력에는 여전히 리플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리플을 제거하기 위해 평활 회로를 사용한다. 평활 회로는 정류된 DC 신호를 필터링하여 리플을 제거하고 부드러운 DC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이를 위해 콘덴서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차단하고 저주파 성분만을 출력한다. 따라서 평활 회로는 정류회로의 출력을 더욱 안정적으로 만들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위상변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상을 변조신호에 의해 직선적으로 변하게 하는 방식이다.
  2. 변조지수는 위상감도계수에 비례한다.
  3. PM방식을 사용하여 FM신호를 만들 수 있다.
  4. 반송파를 중심으로 3개의 측파대를 가지며 그 크기는 변조지수에 관계된다.
(정답률: 38%)
  • "PM방식을 사용하여 FM신호를 만들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M(Pulse Modulation) 방식은 펄스열의 위상을 변조하는 방식으로, FM(Frequency Modulation) 방식과는 다른 방식입니다. 따라서 PM방식을 사용하여 FM신호를 만들 수는 없습니다.

    반송파를 중심으로 3개의 측파대를 가지며 그 크기는 변조지수에 관계된다는 설명은 위상변조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위상변조는 변조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위상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때 반송파를 중심으로 3개의 측파대가 생기게 됩니다. 변조지수가 커질수록 측파대의 크기도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플립플롭 4개로 구성된 계수기가 가질 수 있는 최대의 2진 상태는 몇 가지인가?

  1. 8가지
  2. 12가지
  3. 16가지
  4. 20가지
(정답률: 65%)
  • 4개의 플립플롭은 각각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가능한 모든 조합의 수는 2의 4승인 16가지이다. 따라서, 계수기가 가질 수 있는 최대의 2진 상태는 16가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회로는 어떤 회로인가?

  1. 반가산기 2개와 OR게이트를 이용한 전가산기 회로
  2. 반가산기 3개와 OR게이트를 이용한 전가산기 회로
  3. 반가산기 2개와 NOR게이트를 이용한 전가산기 회로
  4. 반가산기 3개와 NOR게이트를 이용한 전가산기 회로
(정답률: 51%)
  • 이 회로는 반가산기 2개와 OR게이트를 이용하여 전가산기를 구성한 회로입니다.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합(S)과 자리올림(C)을 출력하는 회로이고, 전가산기는 반가산기 2개와 OR게이트를 이용하여 입력(A, B)과 자리올림(C)을 받아서 합(S)과 자리올림(C)을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반가산기 2개와 OR게이트를 이용하여 전가산기를 구성한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반파정류회로를 사용한 전원설비를 전파정류회로로 변경하면 리플률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1. 약 1.5배 증가한다.
  2. 약 2.5배 감소한다.
  3. 약 3.5배 증가한다.
  4. 약 4.5배 감소한다.
(정답률: 53%)
  • 반파정류회로는 전압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전류가 유지되어 리플이 발생하지만, 전파정류회로는 전압이 떨어지면 전류도 함께 떨어져 리플이 감소하기 때문에 리플률이 약 2.5배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송통신 기기

21. 비디오텍스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와 통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필요한 정보를 즉시 제공받을 수 있다.
  2. 정보 센터에는 많은 양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충분한 정보입수가 가능하다.
  3. 정보 센터에서 정보를 갱신하면 언제나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4. 단방향 통신기능으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정답률: 85%)
  • 단방향 통신기능으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비디오텍스는 단방향 통신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정보를 수신만 할 수 있고, 정보를 제공하는 측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의 방송장비 중 서로 다른 영상신호 간의 동기신호를 정학하게 일치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비는?

  1. FS
  2. VDA
  3. CG
  4. DVE
(정답률: 89%)
  • 정답은 "FS"입니다. FS는 Frame Synchronizer의 약자로, 서로 다른 영상신호 간의 동기신호를 정확하게 일치시켜주는 장비입니다. 이는 다른 방송장비들이 영상신호를 처리할 때 정확한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필요합니다. VDA는 Video Distribution Amplifier의 약자로, 영상신호를 여러 대의 모니터에 분배하기 위해 사용되며, CG는 Character Generator의 약자로, 문자나 그래픽 등을 생성하는 장비입니다. DVE는 Digital Video Effects의 약자로, 디지털 영상효과를 적용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케이블 방송에서 수신한 지상파 방송을 재전송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로 묶는데 사용되는 장비는?

  1. 변조기
  2. 복조기
  3. 다중화기
  4. 신호처리기
(정답률: 79%)
  • 다중화기는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케이블 방송에서 수신한 지상파 방송을 재전송하기 위해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로 묶어야 하는데, 이때 다중화기가 사용됩니다. 다중화기는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로 묶어서 전송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아날로그 컬러 TV 신호의 측정과 거리가 먼 것은?

  1. 영상압축율
  2. 선형왜곡
  3. 비선형왜곡
  4. 노이즈
(정답률: 62%)
  • 영상압축율은 아날로그 컬러 TV 신호의 측정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아날로그 컬러 TV 신호의 측정과 거리가 먼 것은 비디오 신호 처리에서 발생하는 선형왜곡, 비선형왜곡, 노이즈 등의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인터넷방송을 위하여 일 대 다수로 일련의 그룹이 전송을 받을 수 있는 스트리밍 전송방식은?

  1. 유니캐스트
  2. 멀티캐스트
  3. 브로드캐스트
  4. 애니캐스트
(정답률: 83%)
  • 멀티캐스트는 일 대 다수로 전송을 받을 수 있는 스트리밍 전송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데이터를 여러 대의 컴퓨터에 전송할 때 유용합니다. 따라서 인터넷방송과 같은 대규모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NTSC 컬러 TV에서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의 변조방식은?

  1. 영상 : AM변조, 음성 : FM변조
  2. 영상 : AM변조, 음성 : AM변조
  3. 영상 : FM변조, 음성 : FM변조
  4. 영상 : FM변조, 음성 : AM변조
(정답률: 87%)
  • NTSC 컬러 TV에서의 영상신호는 AM(진폭 변조) 방식으로 변조되며, 이는 화면의 밝기를 나타내는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음성신호는 FM(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변조되며, 이는 소리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영상은 AM변조, 음성은 FM변조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인터넷 방송을 위한 가입자의 인증, 보호 및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이 아니 것은?

  1. 워터마크(Watermarking)
  2. DRM(Digital Right Management)
  3.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4. UI(User Interface)
(정답률: 92%)
  • UI(User Interface)는 인터넷 방송을 위한 가입자의 인증, 보호 및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이 아닙니다. UI는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증, 보호, 저작권 보호와 관련된 기술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방송국 내의 전송기기 사이에 주고 받고 있는 영상 신호의 기본 레벨로 맞는 것은?

  1. 영상부 : 약 0.7[Vp-p], 동기부 : 약 0.3[Vp-p]
  2. 영상부 : 약 1[Vp-p], 동기부 : 약 0.3[Vp-p]
  3. 영상부 : 약 0.7[Vp-p], 동기부 : 약 1[Vp-p]
  4. 영상부 : 약 [Vp-p]1, 동기부 : 약 0.7[Vp-p]
(정답률: 81%)
  • 영상 신호는 밝기와 색상 정보를 담고 있으며, 동기 신호는 영상 신호가 언제 시작하고 끝나는지를 알려줍니다. 따라서 영상 신호와 동기 신호는 서로 다른 레벨을 가져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영상부의 기본 레벨은 약 0.7[Vp-p]이며, 동기부의 기본 레벨은 약 0.3[Vp-p]입니다. 이는 영상과 동기 신호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영상부 : 약 0.7[Vp-p], 동기부 : 약 0.3[Vp-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스위처에서 얻어진 다양한 휘도 및 색도에 의해 원하는 부분을 키잉(Keying)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매트 키(Matte key)
  2. 크로마 키(Chroma key)
  3. 리니어 키(Linear key)
  4. 루미넌스 키(Luminance key)
(정답률: 65%)
  • 매트 키(Matte key)는 스위처에서 얻어진 다양한 휘도 및 색도에 의해 원하는 부분을 키잉(Keying) 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는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그 부분만을 추출하여 다른 배경과 합성하는 기술로, 스위처에서 얻어진 다양한 색상과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분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트 키는 다양한 배경과 합성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현재의 HDTV보다 화질이 5배 이상 더 선명하며, 4G 서비스와 더불어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한 축으로 발전할 방송서비스는?

  1. UHD TV
  2. 홀로그래픽
  3. 3DTV
  4. SDTV
(정답률: 81%)
  • UHD TV는 현재의 HDTV보다 화질이 5배 이상 더 선명하며,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한 축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송서비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홀로그래픽은 3D 이미지를 실제로 만들어내는 기술이지만, 방송서비스로는 아직 활용이 제한적입니다. 3DTV는 3D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이지만, 현재는 인기가 떨어져서 방송서비스로는 큰 발전이 없습니다. SDTV는 표준화된 디지털 TV 방송 서비스이지만, UHD TV와는 화질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NTSC용 웨이브폼 모니터에서 측정된 50[IRE] 몇 [mV]인가?

  1. 357[mV]
  2. 350[mV]
  3. 346[mV]
  4. 334[mV]
(정답률: 85%)
  • NTSC 시스템에서 50[IRE]는 0.714[V]에 해당하며, 이를 100[IRE]로 정규화하면 0.714[V] / 1.414 = 0.504[V]가 된다. 이를 밀리볼트로 환산하면 504[mV]가 되며, 이 값에 70%를 곱한 값인 0.7 x 504[mV] = 352.8[mV]가 가장 가까운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357[m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디지털라디오방송방식인 Eureca-147 DAV의 대역폭은?

  1. 약 1[MHz]
  2. 약 1.5[MHz]
  3. 약 3[MHz]
  4. 약 6[MHz]
(정답률: 71%)
  • Eureca-147 DAV는 1.5MHz의 대역폭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에 충분한 대역폭으로, 높은 품질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대역폭은 FM 라디오 방송의 대역폭인 200kHz보다 크기 때문에,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NTSC 컬러TV 동기 신호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세그먼트 동기펄스
  2. 수평동기펄스
  3. 등화펄스
  4. 수직동기펄스
(정답률: 73%)
  • 세그먼트 동기펄스는 NTSC 컬러TV 동기 신호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특정한 세그먼트의 수평선을 동기화하는 신호로, NTSC 시스템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수평동기펄스, 등화펄스, 수직동기펄스는 모두 NTSC 컬러TV 동기 신호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위성통신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산간, 도서 지역을 불문하고 난시청을 해소할 수 있다.
  2. 대용량으로 많은 통신 용량을 가지고 대용량 서비스가 가능하다.
  3. 다원접속 및 고품질의 광대역 통신이 가능하다.
  4.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int) 통화 구성만이 가능하다.
(정답률: 85%)
  • 위성통신의 장점은 산간, 도서 지역을 불문하고 난시청을 해소할 수 있으며, 대용량으로 많은 통신 용량을 가지고 대용량 서비스가 가능하며, 다원접속 및 고품질의 광대역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int) 통화 구성만이 가능하다는 것은 위성통신의 장점이 아닙니다.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int) 통화 구성은 위성통신의 한계로 인해 제한되는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Color의 위상각을 교정 또는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계측기는?

  1. 벡터스코프
  2. 웨이브폼모니터
  3. 오실로스코프
  4. 전위차계
(정답률: 81%)
  • 벡터스코프는 색상 신호의 위상각을 측정하고 교정하는데 사용되는 계측기입니다. 이는 색상 신호의 위상이 올바르게 조정되지 않으면 색상이 왜곡되어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벡터스코프는 색상 신호의 위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다른 보기들은 주로 전기 신호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측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위성의 궤도에 따른 분류 방법이 아닌 것은?

  1. 중궤도 위성
  2. 고궤도 위성
  3. 저궤도 위성
  4. 자유궤도 위성
(정답률: 86%)
  • 자유궤도 위성은 궤도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이는 위성을 말한다. 따라서 궤도에 따른 분류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위성 방송용 파라볼라 안테나에서 수신 전파의 주파수대는 12[GHz], 안테나의 직경은 1[m], 안테나의 개구효율이 0.64라고 할 때 이득은 약 몇 [dB]인가?

  1. 20[dB]
  2. 30[dB]
  3. 40[dB]
  4. 50[dB]
(정답률: 75%)
  • 안테나 이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안테나 이득 = 개구효율 x 파라볼라 이득
    파라볼라 이득 = (π x 직경 / 파장)^2 x 0.6

    파장은 주파수대가 12[GHz]이므로, 파장 = 0.025[m]이다.

    따라서, 파라볼라 이득 = (π x 1 / 0.025)^2 x 0.6 = 1440

    안테나 이득 = 0.64 x 1440 = 921.6

    이를 dB로 변환하면, 10log(921.6) = 29.5[dB]

    따라서, 정답은 "30[dB]"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2,400[bps]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시 한 번에 3[bit]의 신호를 전송 할 경우 이는 몇 [baud]에 해당되는가?

  1. 200[Baud]
  2. 800[Baud]
  3. 6,400[Baud]
  4. 7,200[Baud]
(정답률: 87%)
  • baud는 초당 전송되는 신호의 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2,400[bps]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할 때 한 번에 3[bit]의 신호를 전송하면 초당 800번의 신호가 전송되므로 정답은 "800[Bau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임피던스가 25[Ω]인 반파장 안테나와 특성임피던스가 100[Ω]인 선로를 정합하기 위한 임피던스 값은?

  1. 150[Ω]
  2. 250[Ω]
  3. 25[Ω]
  4. 50[Ω]
(정답률: 89%)
  • 반파장 안테나와 선로를 연결할 때, 두 장치의 임피던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반사파가 발생하여 신호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장치의 임피던스를 정확히 일치시켜야 합니다.

    임피던스 변환 공식 Z = (Z1 x Z2)^0.5 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Z1은 반파장 안테나의 임피던스인 25[Ω]이고, Z2는 특성임피던스인 100[Ω]입니다.

    따라서, Z = (25[Ω] x 100[Ω])^0.5 = 50[Ω] 이므로, 정답은 "50[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텔레비전 방송에서 시스템의 조절 및 조정을 위하여 타임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는?

  1. 동기신호 발생기(Sync Generator)
  2. 파형신호 발생기(Pattern Generator)
  3. 영상신호 발생기(Video Signal Generator)
  4. 고주파신호 발생기(Radio Generator)
(정답률: 79%)
  •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여러 대의 카메라나 기타 장비들이 사용되는데, 이들이 서로 동기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동기신호 발생기(Sync Generator)가 필요합니다. 이 장치는 정확한 시간 신호를 발생시켜 다른 장비들이 이를 기준으로 동작하도록 합니다. 따라서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동기신호 발생기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공학

41. 카메라 조리개의 밝기를 구하는 식으로 올바른 것은? (단, Ev : 피사체 조도, Ei : 광전면 조도, F :렌즈 조리개(F값), V : 확대율(실제로는 V<<1이 좋다), R : 피사체의 반사율(약 0.8),T : 렌즈의 투과율(약 0.8))

  1. Ev = {Ei×4F×(1+V)} / (R×T)
  2. Ev = {Ei×4F2×(1+V)} / (R×T)
  3. Ev = {Ei×4F3×(1+V)} / (R×T)
  4. Ev = {Ei×4F4×(1+V)} / (R×T)
(정답률: 76%)
  • 카메라 조리개는 빛의 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조리개의 크기가 작을수록 빛의 양이 적어지고, 크기가 클수록 빛의 양이 많아집니다. 이때, 렌즈 조리개의 크기는 F값으로 표현됩니다.

    식에서 보면 F값이 제곱으로 들어가 있으므로, 렌즈 조리개의 크기가 2배로 커지면 빛의 양은 4배로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피사체의 반사율과 렌즈의 투과율은 빛이 얼마나 잘 통과하고 반사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이 클수록 빛의 양이 많아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확대율은 실제 크기와 사진에 찍힌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확대율이 작을수록 사진에 찍힌 대상이 작아지므로, 빛의 양도 적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Ev = {Ei×4F2×(1+V)} / (R×T) 식에서는 렌즈 조리개의 크기(F값)와 확대율(V)을 고려하여 피사체 조도(Ev)를 구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화면에서 여름의 대낮이나 햇볕의 강함을 강조하며 명암의 대비를 확실히 하기 위해 밝은 곳은 더 밝게, 어두운 곳은 더 어둡게 느끼게 하는 조명기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하이 키(high key)
  2. 로우 키(Low key)
  3. 플랫 킷(Flat key)
  4. 하드 키(Hard key)
(정답률: 74%)
  • 정답: 하드 키(Hard key)

    설명: 하드 키(Hard key)는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의 명암 대비를 크게 만들어 화면에서 더욱 선명하고 강렬한 느낌을 주는 조명기법입니다. 이는 여름의 대낮이나 햇빛이 강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드 키는 높은 콘트라스트와 강한 그림자를 특징으로 하며, 주로 액션, 스릴러, 범죄 등의 장르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유럽의 디지털 지상파TV 방송방식인 DVB-T에서 이동수신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변조 모드는?

  1. 2k mode
  2. 4k mode
  3. 8k mode
  4. 16k mode
(정답률: 71%)
  • DVB-T에서 이동수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채널 대역폭을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때, 2k mode는 1개의 채널 대역폭을 1.7MHz로 줄여 이동수신에 적합합니다. 4k mode, 8k mode, 16k mode는 각각 3.4MHz, 5MHz, 10MHz의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므로 이동수신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유럽의 디지털 지상파TV 방송방식인 DVB-T에서 이동수신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변조 모드는 2k mod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영상 처리 기법 중 출력 이미지의 각 픽셀값을 결정하는 데에는 오직 입력 이미지의 대응되는 픽셀값만 이용되는 처리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포인트 처리
  2. 영역 처리
  3. 기하학적 처리
  4. 프레임 처리
(정답률: 71%)
  • 포인트 처리는 입력 이미지의 각 픽셀값을 직접적으로 조작하여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 때, 출력 이미지의 각 픽셀값은 입력 이미지의 대응되는 픽셀값에만 의존하며, 주변 픽셀값이나 영역 정보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 이미지의 각 픽셀값을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연산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조절, 색상 변환, 이진화 등이 포인트 처리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음향 시스템에서 이퀄라이저의 삽입 위치로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파워 앰프와 스피커 사이
  2. 믹서의 인서트 단자
  3. 믹서와 스피커 컨트롤러 사이
  4. 믹서와 앰프 사이
(정답률: 75%)
  • 이퀄라이저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하여 출력 신호의 음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퀄라이저는 입력 신호가 처리되기 전에 삽입되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파워 앰프와 스피커 사이"는 이퀄라이저의 삽입 위치로서 적절하지 않습니다. 파워 앰프와 스피커 사이에 이퀄라이저를 삽입하면 이미 증폭된 신호를 조절하게 되므로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반면에 "믹서의 인서트 단자", "믹서와 스피커 컨트롤러 사이", "믹서와 앰프 사이"는 이퀄라이저의 적절한 삽입 위치입니다. 이 위치들은 입력 신호가 처리되기 전에 이퀄라이저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파장과 주파수와의 관계를 잘못 설명한 것은?

  1. 파장과 주파수의 곱은 항상 일정하다.
  2. 파장은 주파수에 반비례한다.
  3. 주파수가 낮을수록 파장은 길다.
  4.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과 주파수의 곱은 커진다.
(정답률: 67%)
  • "파장은 주파수에 반비례한다."가 잘못 설명된 것이다.

    파장과 주파수는 역의 관계가 아니라 비례 관계이다. 파장은 주파수와 반비례하지 않고,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이 짧아지고, 주파수가 낮을수록 파장이 길어진다. 이는 파장과 주파수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파장과 주파수의 곱은 항상 일정하다는 것은 파장과 주파수가 역의 관계가 아니라 비례 관계이기 때문에 성립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디지털 방송기술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압축 부호화
  2. 다중화 및 오류정정
  3. 협대역
  4. 디지털 변조
(정답률: 84%)
  • 협대역은 디지털 방송기술의 특징이 아닙니다. 디지털 방송기술의 특징으로는 압축 부호화, 다중화 및 오류정정, 디지털 변조 등이 있습니다. 협대역은 주파수 대역폭이 좁은 것을 의미하며, 디지털 방송기술과는 관련이 있지만 특징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화이트 노이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파수 특성이 평탄한 신호이다.
  2. 음향 시스템의 특성을 측정하는 신호이다.
  3. 옥타브 필터로 분석하면 3[dB/oct] 상승하는 특성이 된다.
  4. 사인파의 특성과 유사하다.
(정답률: 74%)
  • "사인파의 특성과 유사하다."는 틀린 설명이다. 화이트 노이즈는 주파수 스펙트럼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주파수 특성이 평탄한 신호이며, 음향 시스템의 특성을 측정하는 신호로 사용된다. 또한 옥타브 필터로 분석하면 3[dB/oct] 상승하는 특성이 된다. 하지만 사인파와는 다르게 주기적인 특성이 없고, 모든 주파수가 동일한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사인파와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어떤 음을 듣고 있을 때 이보다 진폭이 큰 음이 가해지면 원래의 음이 들리지 않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마스킹 효과
  2. 바이노럴 효과
  3. 칵테일 파티 효과
  4. 하스 효과
(정답률: 83%)
  • 마스킹 효과는 어떤 음이 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그보다 큰 진폭의 음이 동시에 들어오면 원래의 음이 들리지 않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뇌가 더 큰 진폭의 음에 집중하게 되어 작은 진폭의 음을 무시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영상미디어 압축 방식 중 자주 발생하는 값에 적은 비트를 드물게 나타나는 값에는 많은 비트를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통계적으로 중복성을 제거하는 방법은?

  1. DCT 변환 부호화
  2. Huffman 부호화
  3. DPCM 예측 부호화
  4. PCM 방식
(정답률: 77%)
  • Huffman 부호화는 자주 발생하는 값에 적은 비트를 할당하고 드물게 나타나는 값에는 많은 비트를 할당하여 통계적으로 중복성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으며, 압축된 데이터를 다시 복원할 때는 Huffman 트리를 이용하여 각각의 코드를 해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영상미디어 압축 방식 중 자주 발생하는 값에 적은 비트를 드물게 나타나는 값에는 많은 비트를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통계적으로 중복성을 제거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주파수에 의한 방송의 분류 중 파장이 가장 짧은 것은 무엇인가?

  1. VHF 방송
  2. UHF 방송
  3. HF 방송
  4. MF 방송
(정답률: 75%)
  • UHF 방송이 파장이 가장 짧은 것입니다. 이는 UHF 방송이 300MHz에서 3GHz까지의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VHF 방송은 30MHz에서 300MHz, HF 방송은 3MHz에서 30MHz, MF 방송은 300kHz에서 3MHz의 주파수 범위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UHF 방송이 가장 짧은 파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TV 주사방식 중에서 비월주사이고 주사선수가 525라인이며 필드(Field) 주파수가 60[Hz]이라면,이 때 수평주사 주파수는 몇 [Hz]인가?

  1. 15,550[Hz]
  2. 15,750[Hz]
  3. 15,850[Hz]
  4. 15,970[Hz]
(정답률: 78%)
  • 비월주사 방식에서 수평주사 주파수는 필드 주파수의 두 배인 120[Hz]이 된다. 따라서, 수평주사선수가 525라인이므로, 전체 화면을 그리는 데 필요한 시간은 1/525초이다. 이 시간 동안에 수평주사선은 525개가 그려지므로, 수평주사 주파수는 525/1/525 = 15,750[Hz]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750[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버스트 신호를 기준(0°)으로 한 위상각을 설명한 것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적 : 약 77°
  2. 마젠타 : 약 119°
  3. 청 : 약 290°
  4. 시안 : 약 257°
(정답률: 71%)
  • 정답은 "청 : 약 290°"이다.

    위상각은 주파수가 같은 두 신호의 위상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주파수가 같은 신호들은 한 주기 내에서 같은 패턴을 반복한다. 따라서 위상각은 한 주기 내에서 어느 지점에서 시작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버스트 신호는 사각파 형태의 신호로, 한 주기 내에서 0°에서 시작하여 180°에서 최솟값을 가지고 다시 360°(또는 0°)에서 최댓값을 가진다. 따라서 위상각은 0°에서 시작하여 180°에서 최솟값을 가지고 다시 360°(또는 0°)에서 최댓값을 가지는 것이 옳다.

    따라서 "청 : 약 290°"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올바른 값은 "청 : 약 1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직사광에 해당하는 빛을 내며 빛의 방향성, 명암이나 그림자에 의한 입체감 등을 표현하기 위한 조명기구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스포트 라이트(Spot light)
  2. 플로드 라이트(Flood light)
  3. 베이스 라이트(Base light)
  4. 이펙트 라이트(Effect light)
(정답률: 83%)
  • 스포트 라이트는 좁은 각도로 직접적인 빛을 내어 물체나 인물의 일부분을 강조하거나 그림자를 만들어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직사광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MPEG의 오디오 압축에 사용되지 않는 기술은?

  1. 서브밴드코딩
  2. DCT
  3. 저역·고역 주파수 일부 생략
  4. 해밍코딩
(정답률: 53%)
  • 해밍코딩은 오디오 압축 기술과는 관련이 없는 오류 정정 기술이기 때문에 MPEG의 오디오 압축에 사용되지 않는 기술입니다. MPEG에서는 서브밴드코딩, DCT, 저역·고역 주파수 일부 생략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오디오를 압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NTSC 방식 음성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는?

  1. 음성신호 반송파주파수는 영상신호 반송파주파수보다 4.3[MHz] 높은 주파수이다.
  2. 음성신호 반송파주파수는 영상신호 반송파주파수보다 4.4[MHz] 높은 주파수이다.
  3. 음성신호 반송파주파수는 영상신호 반송파주파수보다 4.5[MHz] 높은 주파수이다.
  4. 음성신호 반송파주파수는 영상신호 반송파주파수보다 4.6[MHz] 높은 주파수이다.
(정답률: 70%)
  • NTSC 방식에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는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음성신호는 4.5MHz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영상신호는 3.58MHz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따라서 음성신호 반송파주파수는 영상신호 반송파주파수보다 4.5MHz 높은 주파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우리나라 지상파 디지털방송(DTV)에서 사용되는 음성 부호화의 기본 알고리즘은 무엇인가?

  1. MPEG-1
  2. ACC
  3. AC-3
  4. MPEG-4
(정답률: 85%)
  • 우리나라 지상파 DTV에서 사용되는 음성 부호화의 기본 알고리즘은 AC-3이다. 이는 Dolby Digital이라고도 불리며, 고음질의 오디오를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는 기술로, 대용량의 음성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AC-3은 다양한 장비에서 호환성이 높아서 보다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영상미디어 부호화 및 압축방식 중 무손실 부호화에 해당하는 것은?

  1. Huffman 부호화
  2. DCT 변환
  3. 퓨리에 변환
  4. 벡터 양자화
(정답률: 76%)
  • 정답은 "Huffman 부호화"입니다.

    Huffman 부호화는 무손실 부호화 방식 중 하나로,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에서 가장 자주 나타나는 문자나 기호에 더 짧은 비트를 할당하고, 드물게 나타나는 문자나 기호에는 더 긴 비트를 할당하여 데이터를 압축합니다. 이렇게 할당된 비트는 모두 고유한 코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압축하고 해제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의 손실 없이 압축할 수 있으므로 무손실 부호화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인간의 청감 특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음량이 클수록 소리의 차이를 알기 쉽다.
  2. 약 4,000[Hz] 부근의 음이 가장 민감하다.
  3. 음량이 크면 고음이 더 잘 들린다.
  4. 음량이 커지면 저음은 피치가 더 높게 들린다.
(정답률: 85%)
  • "음량이 커지면 저음은 피치가 더 높게 들린다."는 인간의 청감 특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음량이 커지면 소리의 진폭이 커져서 더 크게 들리게 되므로, 소리의 차이를 더 잘 알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인간의 청감은 약 4,000[Hz] 부근의 음이 가장 민감하며, 음량이 크면 고음이 더 잘 들리게 됩니다. 그러나 음량이 커지면 저음은 피치가 더 높게 들리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음량이 커지면 저음의 진폭이 커져서 더 낮게 들리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단위 면적당 압력으로 측정된 음압이 기준음압의 2배일 때 음압레벨은 얼마인가?

  1. 12[dB]
  2. 9[dB]
  3. 6[dB]
  4. 3[dB]
(정답률: 78%)
  • 음압레벨은 20log(P/P0)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P는 측정된 압력, P0는 기준압력이다. 음압은 기준압력보다 작으므로 P/P0는 1보다 작다. 따라서 20log(P/P0)는 음수가 된다.

    음압이 기준음압의 2배일 때, P/P0는 1/2가 된다. 따라서 20log(P/P0) = 20log(1/2) = -6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방송통신 시스템

61. 다음 중 통신망 구성에서 역다중화기는 어떤 장치계에 속하는가?

  1. 단말장치
  2. 교환장치
  3. 전송장치
  4. 호처리장치
(정답률: 75%)
  • 역다중화기는 전송장치에 속합니다. 역다중화기는 다중화된 신호를 분해하여 각각의 신호를 개별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며, 이는 전송장치의 역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공동시청 안테나 시설의 신호처리기(증폭기) 중 광대역형 수신증폭기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수신 전대역을 증폭하는 것으로서 광대역 수신안테나 출력을 그대로 각각의 증폭기 입력에 가해 일괄 증폭하는 방식
  2. 입력을 일단 채널만으로 밴드 패스필터로 나누어 감쇠기로 레벨을 일정하게하여 혼합하고 일괄 증폭하는 방식
  3. 광대역형은 회로 구성상 채널간에 AGC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하는 방식
  4. 입력전계가 안정한 소규모인 공시청이나 빌딩·집단주택 등의 공시청용에 적용
(정답률: 67%)
  • 입력을 일단 채널만으로 밴드 패스필터로 나누어 감쇠기로 레벨을 일정하게하여 혼합하고 일괄 증폭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광대역형은 회로 구성상 채널간에 AGC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광대역형 수신증폭기는 수신안테나에서 받은 전파를 그대로 일괄적으로 증폭하는 방식으로, 입력 전체를 증폭하기 때문에 수신 대역폭이 넓어지고, 채널 간 간섭이 적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때, 채널 간 레벨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AGC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합니다. AGC 기능은 채널 간 레벨 차이를 자동으로 보상하여 출력 신호의 레벨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광대역형 수신증폭기는 채널 간 레벨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AGC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스테레오 필드에서 밸런스 유지와 모노 호환성을 위해 2대의 마이크의 적절한 배열각도는?

  1. 90도 이내
  2. 100도 이내
  3. 105도 이내
  4. 110도 이내
(정답률: 83%)
  • 정답은 "90도 이내"입니다.

    스테레오 필드에서는 왼쪽 채널과 오른쪽 채널이 서로 다른 마이크에서 수집한 소리를 조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두 마이크 사이의 각도가 너무 넓으면 왼쪽과 오른쪽 채널의 소리가 서로 섞여 모노로 들리게 됩니다.

    따라서 90도 이내로 마이크를 배열하면 왼쪽과 오른쪽 채널의 소리가 서로 잘 분리되면서도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100도 이내, 105도 이내, 110도 이내로 배열하면 왼쪽과 오른쪽 채널의 소리가 서로 섞이는 정도가 점점 커져 밸런스가 깨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통신용접지에서 접지극과 접지선은 전기적ㆍ기계적으로 견고히 접속하여야 한다. 다음 중 접속 방법이 틀린 것은?

  1. 구조체 강재와 접지선 : 용접
  2. 접지봉과 접지선 : 접속 클램프 또는 용접
  3. 철근과 접지선 : 동슬라브
  4. 접지선 상호간 : 동슬라브, 접속 클램프 또는 용접
(정답률: 75%)
  • "철근과 접지선 : 동슬라브"가 틀린 접속 방법이다. 철근과 접지선은 접속 클램프 또는 용접으로 접속해야 한다.

    "동슬라브"는 접지선과 접지선, 또는 접지선과 접지봉을 연결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동슬라브는 접지선과 접지봉 또는 접지선과 접지선을 연결할 때 사용되며, 접속 클램프 또는 용접과 같은 다른 방법보다는 연결이 덜 견고하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종합유선방송국에서 영상신호의 특성 및 질적 수준을 나타낸 것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사용하여야 할 기저대역 주파수는 6[MHz] 범위안일 것
  2. 사용하여야 할 기저대역 주파수는 4.2[MHz] 범위안일 것
  3. 신호의 바레벨은 100[IRE]±2[IRE] 이내, 동기레벨은 40[IRE]±1[IRE] 이내일 것
  4. 출력 임피던스는 75[Ω] 불평형일 것
(정답률: 63%)
  • "사용하여야 할 기저대역 주파수는 6[MHz] 범위안일 것"은 적합한 내용이다. 이유는 종합유선방송국에서는 아날로그 방송을 위해 NTSC 방식을 사용하고, NTSC 방식에서는 비디오 신호의 기저대역 주파수가 4.2[MHz] 이상 6[MHz] 이하인 것이 권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하여야 할 기저대역 주파수는 6[MHz] 범위안일 것"이 적합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위성방송 수신에 있어 음영지역을 대비하여, 위성방송을 하나의 안테나에서 수신하여 케이블로 전송하는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CATV
  2. MCATV
  3. SMATV
  4. MSATV
(정답률: 75%)
  • 정답은 "SMATV"이다. SMATV는 Satellite Master Antenna Television의 약자로, 하나의 안테나에서 위성방송을 수신하여 케이블로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방식은 음영지역에서도 안정적인 수신이 가능하며,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CATV는 Satellite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MCATV는 Master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MSATV는 Multiple Satellite Antenna Television의 약자로, 각각 다른 방식의 위성방송 수신 방식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주요 지상파 HDTV 방송의 전송방식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한국 : ATSC, 유럽 : DVB-T, 일본 : ISDN-T
  2. 한국 : DVB-T, 유럽 : ISDN-T, 일본 : ATSC
  3. 한국 : ISDB-T, 유럽 : ATSC, 일본 : DVB-T
  4. 한국 : ATSC, 유럽 : ATSC, 일본 ; DVB-T
(정답률: 79%)
  • 한국은 미국에서 개발된 ATSC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유럽은 DVB-T 방식을 사용하고 일본은 ISDB-T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각 지역의 기술적인 특성과 환경에 맞게 선택된 것입니다. ATSC는 미국의 지형과 기후에 적합하며, DVB-T는 유럽의 지형과 인구밀도에 적합하며, ISDB-T는 일본의 지형과 방송환경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각각의 지역에서 적합한 전송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중파 송신설비의 송신기를 조정하거나 시험하며 고장시 보수를 위해 필요한 장비로 사용되지 않는 측정기는?

  1. 임피던스 브리지 미터(Impedance bridge meter)
  2. RF 오실레이터(RF oscillator)
  3. 왜고 분석기(Distortion analyzer)
  4. 결합루틴시험기(Combined routine tester)
(정답률: 55%)
  • 결합루틴시험기는 중파 송신설비의 송신기를 조정하거나 시험할 때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는 장비이기 때문에 보수를 위해 필요한 측정기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측정기들과 달리 중파 송신설비의 유지보수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64QAM 변조방식의 전송밀도(bps/Hz)는 얼마인가?

  1. 3
  2. 4
  3. 6
  4. 8
(정답률: 69%)
  • 64QAM은 6비트를 한 번에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한 심볼당 전송되는 비트 수는 6 x 64 = 384비트입니다. 이를 전송하는 주파수 대역폭은 64개의 서로 다른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므로, 전송밀도는 384/64 = 6 bps/Hz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지상파 DMB의 오류정정방식으로 옳은 것은?

  1. OFDM
  2. ATSC
  3. CRC
  4. 길쌈부호
(정답률: 81%)
  • 지상파 DMB의 오류정정방식은 "길쌈부호"이다. 이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일정한 패턴의 코드를 추가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방식은 오류 검출 및 수정에 높은 효율성을 가지고 있어, 지상파 DMB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NTSC 컬러TV 방식의 텔레비전 방송에서 1초간에 전송하는 프레임(Frame) 수는?

  1. 30개
  2. 60개
  3. 50개
  4. 1,152개
(정답률: 74%)
  • NTSC 컬러TV 방식의 텔레비전 방송에서 1초간에 전송하는 프레임 수는 30개이다. 이는 NTSC 방식에서 1초당 60개의 필드(Field)가 전송되며, 각 필드는 화면의 반쪽씩을 구성하므로 2개의 필드가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기 때문이다. 따라서 1초당 30개의 프레임이 전송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종합유선방송국에서 음성신호의 특성 및 질적 수준에 있어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사용하여야 할 기저대역 주파수는 50[Hz]에서 15[kHz] 범위 안일 것
  2. 출력의 레벨은 0[dBm]을 기준으로 하여 ±10[dB] 이내일 것
  3. 출력의 레벨은 0[dBm]을 기준으로 하여 ±5[dB] 이내일 것
  4. 출력 임피던스는 600[Ω] 평형일 것
(정답률: 68%)
  • "출력의 레벨은 0[dBm]을 기준으로 하여 ±10[dB] 이내일 것"이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음성신호의 출력 레벨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0[dBm]은 1[mW]의 출력을 가지는 기준값으로, 이를 기준으로 ±10[dB] 이내로 출력 레벨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은 최대 1.26[mW]에서 최소 0.1[mW]의 출력을 가지는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음성신호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작아져서 수신측에서 잡음이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CATV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비의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한다.
  2. 고층 건물 등에 의한 수신 장애가 빈번히 발생한다.
  3. 1개의 케이블로 많은 양의 방송채널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4. 방송의 재송신이 가능하다.
(정답률: 77%)
  • 고층 건물 등에 의한 수신 장애가 빈번히 발생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CATV는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방송을 전달하기 때문에 건물의 높이나 거리에 따른 수신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은 위성궤도의 종류별 위성고도를 나타낸 것이다. 틀린 것은?

  1. 저궤도 위성 : 약 300~1,500[km]
  2. 중궤도 위성 : 약 1,500~10,000[km]
  3. 타원형 고궤도 위성 : 약 10,000~40,000[km]
  4. 정지궤도 위성 : 약 40,000~50,000[km]
(정답률: 77%)
  • 정답은 "정지궤도 위성 : 약 40,000~50,000[km]" 이다. 정지궤도 위성은 지구의 자전 주기와 일치하는 고도에 위치하며, 지구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므로 항상 일정한 지점을 바라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도에 위치해야만 정지궤도 위성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CATV 시스템 구성의 헤드엔드(Headend) 설비가 아닌 것은?

  1. 지상파 재송신 시설
  2. 공중회선 네트워크
  3. CMTS
  4. 모니터 및 제어시설
(정답률: 72%)
  • CATV 시스템 구성의 헤드엔드(Headend) 설비는 CATV 시스템의 중심부로, 다양한 채널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가입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반해, 공중회선 네트워크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하는 인터넷 회선으로, CATV 시스템과는 별개의 시설입니다. 따라서, 공중회선 네트워크는 CATV 시스템 구성의 헤드엔드 설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문장이 설명하는 안테나는 무엇인가?

  1. 혼 안테나
  2. 파라볼라 안테나
  3. 카세그레인 안테나
  4. 야기 안테나
(정답률: 68%)
  • 주어진 그림은 카세그레인 안테나이다. 카세그레인 안테나는 주로 위성 통신에서 사용되며, 반사판과 수직으로 위치한 피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안테나는 반사판의 곡률과 피드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신 감도와 방향성을 조절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중파 송신기를 구성할 때 양극 변조보다 그리드 변조가 우수한 점은?

  1. 전력능률이 우수하다.
  2. 변조특성이 우수하다.
  3. 경제성이 우수하다.
  4. 대출력 변조기가 필요하다.
(정답률: 60%)
  • 그리드 변조는 양극 변조에 비해 대역폭이 넓고, 전력 손실이 적어 전력 효율이 높습니다. 또한 그리드 변조는 변조기의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작은 크기로 구현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합니다. 따라서 중파 송신기를 구성할 때 양극 변조보다 그리드 변조가 경제성이 우수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지상파 디지털방송(DTV) 시스템의 중계기 구성요소로서 변조기의 변조된 IF 신호를 중계기의 채널 주파수로 변환하여 파워 앰프의 입력부까지 원하는 신호를 전송해주는 부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Exciter
  2. 왜곡보상부
  3. HPA
  4. Controller
(정답률: 79%)
  • 정답은 "Exciter"이다. Exciter는 변조기에서 변조된 IF 신호를 중계기의 채널 주파수로 변환하여 파워 앰프의 입력부까지 원하는 신호를 전송해주는 부분을 말한다. 즉, 중계기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라디오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조정실
  2. 송신소
  3. 촬영카메라
  4. 부조정실
(정답률: 90%)
  • 라디오 방송은 음성을 전송하는 것이므로 촬영카메라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촬영카메라"가 옳지 않은 구성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케이블TV 시스템에서 0[dBmV]인 입력신호가 23[dB]의 증폭기와 500[m]의 케이블을 거치면 출력은 얼마인가? (Cable Loss 특성이 4[dB]/100[m]이다.)

  1. 0[dBmV]
  2. 1[dBmV]
  3. 2[dBmV]
  4. 3[dBmV]
(정답률: 73%)
  • 입력신호가 0[dBmV]이므로, 증폭기를 거치면 출력은 23[dBmV]가 된다. 그리고 500[m]의 케이블을 거치면 케이블 손실이 4[dB]/100[m]이므로, 500[m]의 케이블을 거치면 20[dB]의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출력은 23[dBmV] - 20[dB] = 3[dBm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dBm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81. 방송국 개설허가의 유효기간은? (단, 공동체라디오방송국 제외)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70%)
  • 방송국 개설허가의 유효기간은 5년입니다. 이는 방송국이 일정 기간마다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개선할 기회를 부여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방송국이 일정 기간 동안 운영을 중단하거나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개설허가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유선방송국 설비 중 동축케이블·분배기 및 분기기 등에 의한 상·하향 신호의 전송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는?

  1. 수신설비
  2. 분배기
  3. 증폭기
  4. 보호기
(정답률: 80%)
  • 동축케이블이나 분배기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송손실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전송손실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신호를 증폭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유선방송국 설비 중 동축케이블·분배기 및 분기기 등에 의한 상·하향 신호의 전송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는 "증폭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종합유선방송국설비에서 주파수변조방식에 의해 광케이블로 전송하는 경우 분계점은?

  1. 진폭변조기와 동축케이블의 최초 접속점
  2. 주파수변조기와 무선송신기의 최초 접속점
  3. 주파수변조기와 광송신기의 최초 접속점
  4. 텔레비전 인코더와 광송신기의 최초 접속점
(정답률: 86%)
  • 주파수변조방식으로 광케이블로 전송하는 경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해주는 광송신기와 주파수를 변조해주는 주파수변조기의 최초 접속점이 분계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주파수변조기와 광송신기의 최초 접속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용어의 정의가 잘못된 것은?

  1. 무선설비와 무선설비를 조작하는 자의 총체를 ‘무선국’이라 한다.
  2. 전파를 보내거나 받는 전기적 시설을 ‘무선설비’라 한다.
  3. 인공적인 유도 없이 공간에 퍼져나가는 전자파로서 국제전기통신연합이 정한 범위 안의 주파수를 ‘전파’라 한다.
  4. 전파를 이용하여 모든 종류의 정보를 송신만 하는 것을 ‘무선통신’이라 한다.
(정답률: 75%)
  • 정답은 "전파를 이용하여 모든 종류의 정보를 송신만 하는 것을 ‘무선통신’이라 한다." 이다. 무선통신은 송수신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전파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스토리지 접속 인터페이스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Gateway
  2. SCSI
  3. SATA
  4. 파이버 채널(Fiber Channel)
(정답률: 76%)
  • Gateway는 스토리지 접속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SCSI, SATA, 파이버 채널은 모두 스토리지 접속 인터페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디스크 스케줄링 중 현재 헤드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트랙에 대한 요청을 먼저 서비스하는 것 은?

  1. FCFS(First Come First Service)
  2. SSTF(Shortest Seek Time First)
  3. SCAN
  4. C-SCAN(Circular SCAN)
(정답률: 73%)
  • SSTF는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트랙에 대한 요청을 먼저 서비스하는 디스크 스케줄링 알고리즘이다. 이는 디스크 헤드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여 디스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SSTF는 FCFS보다 더 효율적이며, SCAN 및 C-SCAN보다 덜 균일한 디스크 액세스 패턴에서 더 나은 성능을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스케줄링 기법 중 선점 기법이 아닌 것은?

  1. 라운드 로빈(Round Robin)
  2. SJF(Shortest Job First)
  3. SRT(Shortest Remaining First)
  4. 다단계 피드백 큐(Multi-level Feedback Queue)
(정답률: 56%)
  • 선점 기법이 아닌 것은 "SJF(Shortest Job First)"이다. 이는 비선점 기법으로,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을 먼저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한 번 시작된 작업은 중간에 중단되지 않고 실행이 완료될 때까지 CPU를 점유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X.25의 3계층 구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패킷 계층
  2. 프레임 계층
  3. 물리 계층
  4. 전송 계층
(정답률: 57%)
  • X.25은 OSI 모델에서 2계층(데이터 링크 계층)과 3계층(네트워크 계층)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OSI 모델의 4계층(전송 계층)에 해당하는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방송채널사용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가 편성계획서 및 사업계획서를 첨부하여 미래창조과학부장관에서 제출하여야 할 등록신청서의 기재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업자명
  2. 대표자 및 편성책임자
  3. 사업목적 및 내용
  4. 방송프로그램 공급분야
(정답률: 45%)
  • "사업자명", "대표자 및 편성책임자", "방송프로그램 공급분야"는 모두 방송채널사용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의 신원정보와 사업 범위에 관한 내용이므로 등록신청서에 기재되어야 합니다. 반면에 "사업목적 및 내용"은 방송채널사용사업의 목적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으로, 이를 통해 신청자의 사업 계획이나 전략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은 등록신청서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과 같은 연산이 수행되었을 때 ALU의 기능은?

  1. AND
  2. OR
  3. NAND
  4. NOR
(정답률: 65%)
  • 이 연산에서는 두 비트열 중 하나라도 1이면 결과 비트열의 해당 비트는 1이 되므로 OR 연산이 수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중앙연산처리장치에서 micro-operation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1. 스위치(switch)
  2. 레지스터(register)
  3. 누산기(accumulator)
  4. 제어신호(control signal)
(정답률: 80%)
  • 중앙연산처리장치에서 micro-operation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하려면 각각의 micro-operation이 언제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제어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제어신호(control signal)이 필요합니다. 제어신호는 각각의 micro-operation이 실행되는 시점을 제어하며, 이를 통해 중앙연산처리장치에서 순서적으로 micro-operation이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어신호(control signa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RAID 종류 중 오류 검출을 위하여 해밍 코드를 이용하는 것은?

  1. RAID-1
  2. RAID-2
  3. RAID-3
  4. RAID-4
(정답률: 59%)
  • RAID-2는 해밍 코드를 이용하여 오류 검출을 수행하는데, 이는 데이터 비트에 대한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방식입니다. 다른 RAID 종류들은 패리티 비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식이지만, RAID-2는 해밍 코드를 사용하여 오류 검출만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RAID-2가 해밍 코드를 이용하여 오류 검출을 수행하는 RAID 종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선형 리스트 중 먼저 입력된 데이터가 먼저 출력되는 FIFO(First In First Out) 구조는?

  1. Stack
  2. Queue
  3. Deque
  4. Linked List
(정답률: 80%)
  • 선형 리스트 중 먼저 입력된 데이터가 먼저 출력되는 FIFO 구조는 Queue이다. Queue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enqueue와 데이터를 출력하는 dequeue 연산을 지원하며, 먼저 입력된 데이터가 먼저 출력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Queue는 대기열이나 작업 처리 등에 많이 사용된다. Stack은 후입선출(LIFO) 구조이고, Deque는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가능한 구조이며, Linked List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중계위성방송 및 음악유선방송설비와 수신자설비의 분계점을 정확하게 표현한 것은?

  1. 도로와 택지 또는 공동주택단자의 각 단지와의 경계점
  2. 행정구역의 실선에 따라 각각 동별로 정한 경계점
  3. 간선도로와 하천 또는 행정구역의 동으로 정한 경계점
  4. 국도와 간선도로 또는 대단위 주택단지와의 경계점
(정답률: 73%)
  • 중계위성방송 및 음악유선방송설비와 수신자설비의 분계점은 도로와 택지 또는 공동주택단자의 각 단지와의 경계점이다. 이는 각 단지의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도로와 택지 또는 공동주택단자는 일반적으로 구분이 쉽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분계점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분산 운영 체제에서 시스템 내의 각 사이트가 트리 모양으로 연결된 형태로서 상위 사이트는 하위 사이트를 가지며 직접 통신할 수 있는 토폴로지(Topology) 구조는?

  1. 부분 연결(Partially connected) 구조
  2. 계층 연결(Hierarchical connected) 구조
  3. 성형(Star) 구조
  4. 링형(Ring) 구조
(정답률: 70%)
  • 분산 운영 체제에서 시스템 내의 각 사이트가 트리 모양으로 연결된 형태로서 상위 사이트는 하위 사이트를 가지며 직접 통신할 수 있는 토폴로지 구조는 계층 연결(Hierarchical connected) 구조입니다. 이는 상위 노드와 하위 노드 간의 통신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며, 각 하위 노드는 자신의 상위 노드와의 통신을 통해 다른 하위 노드와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네트워크의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에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회선 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전화망과 같은 원리로 데이터 전송 전에 먼저 통신망을 통한 연결이 필요하다.
  2. 점대점 방식의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다.
  3. 일정한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하므로 두 가입자가 동일한 전송 속도로 운영된다.
  4. 송수신자 간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지 않다.
(정답률: 75%)
  • 회선 교환 방식은 데이터 전송 전에 먼저 통신망을 통한 연결이 필요하며, 일정한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하여 두 가입자가 동일한 전송 속도로 운영됩니다. 그러나 송수신자 간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회선 교환 방식이 연결된 회선을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송신자가 전송을 시작하기 전에 이전 전송이 완료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량의 데이터 전송이나 실시간 스트리밍과 같은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무선국을 개설할 수 있는 사람이나 단체는?

  1.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진 자
  2. 외국정보 또는 그 대표자
  3. 외국의 법인 또는 단체
  4.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 유예를 선고 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정답률: 87%)
  • 무선국 개설은 국가 안보와 관련이 있으며, 국가의 무선통신 관리체계에 따라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진 자만이 무선국을 개설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국가 안보와 무선통신 관리체계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외국정보 또는 그 대표자, 외국의 법인 또는 단체, 그리고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 유예를 선고 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는 무선국을 개설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영상ㆍ비디오 등 영상물이 방송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방송매체별로 다단계로 유통ㆍ활용 또는 수출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자’는 누구를 말하는가?

  1. 고용노동부장관
  2. 문화체육관광부장관
  3. 안정행정부장관
  4. 대통령
(정답률: 86%)
  •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영상ㆍ비디오 등 영상물이 방송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방송매체별로 다단계로 유통ㆍ활용 또는 수출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종합유선방송사업의 정의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종합유선방송국을 관리ㆍ운영하며 전송ㆍ선로설비를 이용하여 방송을 행하는 사업
  2. 종합유선방송국을 관리ㆍ운영하며 방송ㆍ선로설비를 이용하여 방송을 행하는 사업
  3. 종합유선방송국을 관리ㆍ운영하며 전송ㆍ통신설비를 이용하여 방송을 행하는 사업
  4. 종합유선방송국을 관리ㆍ운영하며 종합ㆍ방송설비를 이용하여 방송을 행하는 사업
(정답률: 71%)
  • 종합유선방송사업은 종합유선방송국을 관리ㆍ운영하며 전송ㆍ선로설비를 이용하여 방송을 행하는 사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종합유선방송 구내전송선로설비의 증폭기특성에서 하향특성 2차 상호변조(CSO)의 기준은 얼마인가?

  1. 10[dB] 이상
  2. 14[dB] 이상
  3. -55[dB] 이하
  4. -63[dB] 이하
(정답률: 68%)
  • CSO는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신호로, 이는 주파수가 다른 두 개의 신호가 증폭기에서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 CSO는 유선방송에서 발생하는 잡음으로, 이는 수신자가 원래의 신호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게 만든다. 따라서 CSO는 최소한으로 유지해야 한다. 종합유선방송 구내전송선로설비의 증폭기특성에서 하향특성 2차 상호변조(CSO)의 기준은 -55[dB] 이하이다. 이는 수신자가 원래의 신호를 제대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준이다. 즉, CSO가 -55[dB] 이하이면 수신자가 원래의 신호를 제대로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