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10-04)

방송통신기사
(2015-10-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 정전압 회로에서 전압 안정도를 0.05로 하기위해서 RS의 값은? (단, rd=10[Ω])

  1. 190[Ω]
  2. 260[Ω]
  3. 290[Ω]
  4. 330[Ω]
(정답률: 5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정류회로에서 다이오드를 병렬로 여러 개 접속시킬 경우에 나타나는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2. 정류회로의 전류용량이 커진다.
  3. 정류기의 역방향 전류가 감소한다.
  4. 부하출력에서 맥동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정답률: 44%)
  • 정답은 "정류회로의 전류용량이 커진다."이다.

    여러 개의 다이오드를 병렬로 연결하면 전류가 분산되어 각 다이오드가 전류를 나눠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전류가 더 많이 흐를 수 있게 되어 정류회로의 전류용량이 커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증폭기 회로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2,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동상신호 제거비(CMRR)를 높게 하기 위해 hfe가 높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2. 동상신호 제거비(CMRR)를 높게 하기 위해 RE값을 감소시킨다.
  3. 동상이득을 높게 하기 위해 RC1과 RC2 값을 감소시킨다.
  4. 차동이득을 높게 하기 위해 RE 값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62%)
  • 정답은 "동상신호 제거비(CMRR)를 높게 하기 위해 hfe가 높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이다. RE값을 감소시키는 것은 차동이득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CMRR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CMRR을 높이기 위해서는 차동이득과 동상이득의 크기 차이를 최대한 크게 만들어야 하므로, hfe가 높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동상이득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증폭기 회로에서 βDC=75인 경우 컬렉터 전압 VC는 약 얼마인가? (단, VBE=0.7[V]이다.)

  1. 15.1[V]
  2. 17.1[V]
  3. 18.1[V]
  4. 20.1[V]
(정답률: 45%)
  • 주어진 회로는 NPN 증폭기로, 베이스 전압 VBE이 0.7[V]일 때, 컬렉터 전압 VC을 구하는 문제이다.

    먼저, 베이스 전압 VBE이 0.7[V]이므로, 베이스 전류 IB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B = (VCC - VBE) / RB = (15[V] - 0.7[V]) / 100[kΩ] = 0.143[mA]

    다음으로, 컬렉터 전류 IC는 베이스 전류 IB와 βDC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C = βDC × IB = 75 × 0.143[mA] = 10.725[mA]

    마지막으로, 컬렉터 전압 VC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C = VCC - IC × RC = 15[V] - 10.725[mA] × 1[kΩ] = 15.1[V]

    따라서, 정답은 "15.1[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전류 궤환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는 궤환이 없을 경우에 비해 어떻게 변화하는가?

  1. 변화가 없다.
  2. 0이 된다.
  3. 감소한다.
  4. 증가한다.
(정답률: 59%)
  • 전류 궤환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는 궤환이 없을 경우에 비해 증가한다. 이는 궤환의 존재로 인해 전류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반사된 전류는 출력 임피던스와 합쳐져 전체적으로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궤환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는 궤환이 없을 경우보다 크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입력신호의 전주기에 대하여 선형영역에서 동작하는 증폭기는?

  1. A급 증폭기
  2. B급 증폭기
  3. C급 증폭기
  4. D급 증폭기
(정답률: 70%)
  • 입력신호의 전주기에 대하여 선형영역에서 동작하는 증폭기는 A급 증폭기이다. 이는 A급 증폭기가 입력신호의 전주기에 대해 왜곡 없이 선형적으로 증폭하기 때문이다. B급, C급, D급 증폭기는 입력신호의 전주기에 따라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며, 효율성도 A급 증폭기보다 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발진회로에서 발진을 지속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은?

  1. 출력신호의 일부분을 부궤환시킨다.
  2. 출력신호의 일부분을 정궤환시킨다.
  3.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입력신호를 제공한다.
  4. L과 C성분을 제거한다.
(정답률: 61%)
  • 발진회로에서 발진을 지속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은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입력신호를 제공한다." 이다. 이유는 발진회로는 입력신호가 없으면 발진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출력신호의 일부분을 정궤환시킨다."는 부정확한 설명이다. 발진회로에서는 일반적으로 양의 피드백을 이용하여 발진을 유지하며, 이 때 출력신호의 일부분을 부궤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정궤환시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발진회로에서 높은 주파수의 동작에 적절한 발진회로 구현을 위한 리액턴스 조건은 ?

  1. Z1= 용량성, Z2= 용량성, Z3 = 용량성
  2. Z1= 유도성, Z2= 유도성, Z3 = 유도성
  3. Z1= 유도성, Z2= 용량성, Z3 = 용량성
  4. Z1= 용량성, Z2= 용량성, Z3 = 유도성
(정답률: 73%)
  • 높은 주파수에서 발진회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인덕턴스보다는 용량성이 더 적합합니다. 따라서 Z1과 Z2는 용량성이어야 합니다. 또한, 발진회로에서는 양의 피드백을 유지하기 위해 Z3이 유도성이면 안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Z1= 용량성, Z2= 용량성, Z3 = 유도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변조도가 ‘1’이라는 의미는 무엇인가?

  1. 1[%] 변조
  2. 무변조
  3. 과변조
  4. 100[%] 변조
(정답률: 67%)
  • 변조도가 ‘1’이라는 의미는 100% 변조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 변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디지털 신호의 정보 내용에 따라 반송파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으로 2원 디지털 신호를 2개씩 묶어 전송하는 QPSK 변조방식의 반송파 위상차는?

  1. 45[°]
  2. 90[°]
  3. 180[°]
  4. 270[°]
(정답률: 66%)
  • QPSK 변조 방식은 2원 디지털 신호를 2개씩 묶어 전송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2원 디지털 신호는 4개의 가능한 위상 중 하나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 때, 위상을 나타내는 값은 0[°], 90[°], 180[°], 270[°]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QPSK 변조 방식의 반송파 위상차는 이 중 하나가 됩니다.

    그러나, 2원 디지털 신호를 2개씩 묶어 전송하는 경우, 각각의 2원 디지털 신호는 서로 독립적으로 전송되므로, 반송파의 위상차는 각각의 2원 디지털 신호의 위상차의 합으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2원 디지털 신호의 위상차가 45[°]일 때, 반송파의 위상차는 9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콘덴서 양단의 스텝 응답에 대한 상승 시간(Rise Time)은 약 얼마인가? (단, RC 시정수는 2[μs])

  1. 2[μs]
  2. 2.2[μs]
  3. 4[μs]
  4. 4.4[μs]
(정답률: 37%)
  • 상승 시간(Rise Time)은 콘덴서가 충전되는 시간으로 결정된다. 이 회로에서 콘덴서가 충전되는 시간은 RC 시정수인 2[μs]이다. 따라서 상승 시간은 약 2.2[μ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2[μ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병렬 클리핑 회로에서 클리핑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저항 R의 조건으로 옳은 것은? (단, Rd는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이다.)

  1. R=Rd
  2. R=1/Rd
  3. Rd
  4. R>Rd
(정답률: 60%)
  • 병렬 클리핑 회로에서는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이 작을수록 클리핑이 더 잘 일어나므로, R이 Rd보다 크면 클리핑 특성이 더 좋아진다. 따라서 정답은 "R>R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BCD 코드 1001에 대한 해밍 코드를 구하면?

  1. 0011001
  2. 1000011
  3. 0100101
  4. 0110010
(정답률: 47%)
  • BCD 코드 1001은 9를 나타내는 코드이며, 이를 4비트 해밍 코드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7비트 코드로 변환합니다.
    - 1001 -> 0100101
    2. 해밍 코드의 각 비트에 대해 패리티 비트를 계산합니다.
    - P1: 0 + 0 + 1 + 0 = 1 (홀수)
    - P2: 0 + 1 + 0 + 1 = 0 (짝수)
    - D1: 0
    - P4: 1 + 0 + 0 + 1 = 0 (짝수)
    - D2: 1
    - D3: 0
    - D4: 1
    3. 계산된 패리티 비트를 해당 위치에 삽입하여 최종 해밍 코드를 구합니다.
    - 0100101 -> 0011001

    따라서, 정답은 "001100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2-out of-5 cod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10010
  2. 11000
  3. 10001
  4. 11001
(정답률: 63%)
  • 2-out of-5 code란 5개의 비트 중에서 2개의 비트만 1로 설정하여 10가지의 코드를 만드는 방식입니다.

    "11001"은 2-out of-5 code에 해당합니다. 이 코드는 1번째와 2번째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10010": 1번째와 4번째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11000": 1번째와 2번째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10001": 1번째와 5번째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2-out of-5 cod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없으며, "11001"도 2-out of-5 code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Master-Slave 플립플롭은 어떠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플립플롭인가?

  1. 지연 현상
  2. Race 현상
  3. Set 현상
  4. Toggle 현상
(정답률: 63%)
  • Master-Slave 플립플롭은 Race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플립플롭이다. Race 현상은 동시에 여러 입력 신호가 들어올 때, 각 입력 신호의 전달 속도에 따라 출력 값이 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회로의 안정성을 해치고,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Master-Slave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를 두 개의 플립플롭으로 나누어 처리함으로써 Rac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숫자 0에서 9까지를 나타내기 위해 BCD 코드는 몇 비트가 필요한가?

  1. 4
  2. 3
  3. 2
  4. 1
(정답률: 63%)
  •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 이진수로 나타내는 코드이다. 따라서 0부터 9까지 총 10개의 숫자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4비트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디코더(Decod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출력보다 많은 입력을 갖고 있다.
  2. 한번에 하나의 출력만을 동작한다.
  3. N 비트의 2진 코드 입력에 의해 최대 2N개의 출력이 나온다.
  4. 인코더(Encoder)의 역기능을 수행한다.
(정답률: 57%)
  • "출력보다 많은 입력을 갖고 있다."가 틀린 설명이다. 디코더는 입력을 받아서 출력을 생성하는 회로로, 입력과 출력의 비트 수는 같다. 디코더는 입력 비트의 조합에 따라서 출력이 결정되며, 한번에 하나의 출력만을 동작한다. N 비트의 2진 코드 입력에 의해 최대 2N개의 출력이 나온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인코더(Encoder)는 입력을 받아서 출력으로 변환하는 회로이며, 디코더는 인코더의 역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일치 회로
  2. 시프트 회로
  3. 카운터 회로
  4. 다수결 회로
(정답률: 62%)
  • 정답: 일치 회로

    일치 회로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같은 경우에만 출력이 발생하는 회로이다. 위의 회로에서는 입력 신호가 A와 B 두 개이고, 출력 신호가 C 하나이다.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C가 1이 되므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출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회로는 일치 회로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특정 비트의 값을 무조건 0으로 바꾸는 연산은?

  1. XOR 연산
  2. 선택적-세트(Selective-Set) 연산
  3. 선택적-보수(Selective-Complement) 연산
  4. 마스크(Mask) 연산
(정답률: 66%)
  • 마스크(Mask) 연산은 특정 비트의 값을 0으로 바꾸는 연산이다. 이는 AND 연산과 유사하지만, AND 연산은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1을 반환하는 반면, 마스크 연산은 마스크로 지정한 비트가 1인 경우에만 해당 비트를 유지하고, 0인 경우에는 0으로 바꾸어 버린다. 따라서 마스크 연산을 사용하면 특정 비트의 값을 무조건 0으로 바꿀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반가산기에서 입력이 A, B일 경우, 반가산기의 합(S)에 대한 출력 논리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5%)
  • 정답은 ""이다.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A, B)과 두 개의 출력(S, C)을 가진다. S는 A와 B의 합, C는 A와 B의 자리올림을 나타낸다.

    반가산기의 출력 논리식은 다음과 같다.

    S = A XOR B
    C = A AND B

    위의 논리식에서 XOR은 배타적 논리합, AND는 논리곱을 나타낸다. 따라서 입력이 A, B일 경우 S는 A와 B의 합이 되고, C는 A와 B의 자리올림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송통신 기기

21. 우리나라 위성방송에서 사용하고 있는 송신전파의 편파는?

  1. 수직직선편파
  2. 수평직선편파
  3. 우선타원편파
  4. 좌선타원편파
(정답률: 70%)
  • 우리나라 위성방송에서 사용하는 송신전파는 좌선타원편파이다. 이는 좌우 대칭이 아닌 타원 모양의 전파를 사용하여, 수신기에서 더욱 정확한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 방식은 수평직선편파나 수직직선편파보다 더욱 안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잡음이나 간섭에도 더욱 강한 신호를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텔레비전 방송 제작 중 연주소에서 하는 역할로 틀린 것은?

  1. 프로그램 제작
  2. 제작된 프로그램을 송신소로 송출
  3. 제작된 프로그램을 방송위성국으로 송출
  4. 제작된 프로그램을 일반 수신자에게 송출
(정답률: 68%)
  • "제작된 프로그램을 일반 수신자에게 송출"이 틀린 것이다. 연주소는 제작된 프로그램을 송신소나 방송위성국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하지만, 일반 수신자에게 직접 송출하는 역할은 하지 않는다. 일반 수신자는 방송 수신기를 통해 송출된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방송영상에서 색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휘도
  2. 혼합도
  3. 명도
  4. 포화도
(정답률: 78%)
  • 색의 3요소는 "색상", "명도", "채도"이다. "혼합도"는 색의 3요소에 해당하지 않는다. "혼합도"는 색이 혼합되어 얼마나 섞였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색의 밝기나 진하기와는 관련이 없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파란색을 섞으면 보라색이 되는데, 이때 보라색의 혼합도는 빨간색과 파란색이 섞인 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각종 영상신호의 소스와 모니터에 사용하여 “On Air” 중임을 알려주는 것은?

  1. 탈리 시스템(Tally system)
  2. Border line generator
  3. 문자슈퍼장치
  4. 셀프 키
(정답률: 88%)
  • 탈리 시스템은 각종 영상신호의 소스와 모니터에 사용되며, 송출 중인 카메라나 장비에 불빛이 들어오면 해당 장비의 Tally 불빛이 켜져서 “On Air” 중임을 알려줍니다. 따라서 탈리 시스템은 생방송이나 녹화 등의 방송 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 Border line generator는 화면의 경계선을 생성하는 장치이고, 문자슈퍼장치는 문자를 삽입하는 장치, 셀프 키는 키보드의 단축키 기능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여러 개의 입력 마이크나 녹음기, 턴테이블, 라인입력, 음악효과 등을 혼합 처리해서 VTR 또는 Tape recorder에 녹음하거나 앰프를 통해 스피커로 보내는 것은?

  1. 콘솔(음향혼합)
  2. 녹화기
  3. 오디오 인코더
  4. 프리앰프
(정답률: 88%)
  • 콘솔(음향혼합)은 여러 개의 입력 신호를 받아서 조절하고 혼합하여 하나의 출력 신호로 만들어주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여러 개의 입력 마이크나 녹음기, 턴테이블, 라인입력, 음악효과 등을 콘솔에 연결하여 혼합 처리한 후 VTR 또는 Tape recorder에 녹음하거나 앰프를 통해 스피커로 보낼 수 있습니다. 녹화기는 입력 신호를 녹음하는 장비이고, 오디오 인코더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는 장비입니다. 프리앰프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라디오 송신 안테나의 근처에는 강한 전파로 인하여 다른 방송의 수신이 방해를 받게 되는 지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페이딩(Pading) 지역
  2. 블랭킷(Blanket) 지역
  3. 리전(Region) 지역
  4. 오버랩(Overlap) 지역
(정답률: 87%)
  • 라디오 송신 안테나의 근처에는 매우 강한 전파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강한 전파는 다른 방송의 수신을 방해하게 됩니다. 이때, 이러한 방해가 발생하는 지역을 블랭킷(Blanket) 지역이라고 합니다. 이는 전파가 일정한 강도로 분포되어 다른 방송의 수신을 방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에서 라디오 방송 설비가 아닌 것은?

  1. 부조정실
  2. 비디오편집실
  3. 송신소
  4. 주조정실
(정답률: 87%)
  • 라디오 방송 설비는 부조정실, 송신소, 주조정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비디오편집실은 텔레비전 방송에 사용되는 설비이므로 라디오 방송 설비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디오편집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TV화면의 픽셀(Pixel)과 관련된 파라미터(Parameter)는?

  1. 변조도
  2. 증폭도
  3. 해상도
  4. 분포도
(정답률: 87%)
  • 해상도는 TV화면의 픽셀 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픽셀은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이며, 해상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픽셀이 존재하므로 더 선명하고 자세한 화면을 볼 수 있다. 따라서 TV화면의 픽셀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해상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디지털 TV 방송기술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아날로그 신호에 비해 잡음에 강하고 송신전력이 낮다.
  2. 영상 및 음향신호의 압축이 가능하다.
  3. 정보의 검색, 가공 및 편집이 용이하다.
  4. 에러(Error) 정정 기술을 사용할 수 없으며 전송, 복제, 축적에 따른 열화가 크다.
(정답률: 80%)
  • 디지털 TV 방송기술의 일반적인 특성은 "에러(Error) 정정 기술을 사용할 수 없으며 전송, 복제, 축적에 따른 열화가 크다."가 아닌 것입니다. 이는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보다 잡음에 강하고 송신전력이 낮으며, 영상 및 음향신호의 압축이 가능하며, 정보의 검색, 가공 및 편집이 용이하다는 특성 때문입니다. 그러나 디지털 신호는 에러 정정 기술을 사용할 수 없으며, 전송, 복제, 축적에 따른 열화가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디지털 신호가 이진수로 표현되기 때문에, 한 비트의 오류가 전체 신호를 망가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송신호가 111111111일 때 여기에 PN(Pseudo Noise) 신호 100101010을 가하면 출력 신호 값은?

  1. 11111111
  2. 100101010
  3. 011010101
  4. 100101011
(정답률: 83%)
  • PN 신호는 XOR 연산을 통해 전송 신호에 가해진다. 따라서, 각 비트마다 전송 신호와 PN 신호의 해당 비트를 XOR 연산한 결과가 출력 신호가 된다.

    111111111 XOR 100101010 = 011010101

    따라서, 정답은 "0110101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디지털 위성 방송이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갖게 되는 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1. 다채널화
  2. 고기능화
  3. 양방향화
  4. 양자화
(정답률: 85%)
  • 정답: 양자화

    설명: 디지털 위성 방송이 갖게 되는 특성으로는 다채널화, 고기능화, 양방향화가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가능해진 것입니다. 하지만 양자화는 디지털 기술과는 거리가 먼 분야로, 양자역학 등 물리학 분야에서 다루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양자화는 디지털 위성 방송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위성 안테나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파라볼라 안테나
  2. 카세그레인 안테나
  3. 그레고리 안테나
  4. 야기 안테나
(정답률: 73%)
  • 위성 안테나의 종류 중 "야기 안테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CATV 시스템에서 신호를 보내기 위한 전송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광 송수신기
  2. U/V혼합기
  3. 연장증폭기
  4. 간선증폭기
(정답률: 77%)
  • CATV 시스템에서 신호를 보내기 위한 전송계에는 광 송수신기, 연장증폭기, 간선증폭기가 속하지만 U/V혼합기는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U/V혼합기가 주파수를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CATV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UHF와 VHF 신호를 혼합하기 위해 U/V혼합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CATV에서 입력신호 에너지를 간선에서 지선으로 불균등하게 분리시키는 장치는?

  1. 증폭기
  2. 분배기
  3. 분기기
  4. 보호기
(정답률: 89%)
  • 분기기는 CATV에서 입력신호 에너지를 간선에서 지선으로 불균등하게 분리시키는 장치입니다. 이는 여러 개의 지선을 연결하여 여러 가정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분기기는 입력신호를 여러 개의 출력신호로 분기하여 전달하며, 이 때 각 출력신호의 에너지는 입력신호의 일부분만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분기기는 입력신호의 에너지를 불균등하게 분배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CATV 전송로에 4분배기를 연결하였을 때, 입력에 비해 출력 손실값은 몇 [dB] 감소하는가? (단, 단자 손실값은 제외한다.)

  1. -3.02[dB]
  2. -4.02[dB]
  3. -5.02[dB]
  4. -6.02[dB]
(정답률: 77%)
  • 4분배기는 입력 신호를 4개의 출력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출력 신호의 전력은 입력 신호의 전력을 4로 나눈 값이 된다. 따라서, 출력 신호의 전력은 입력 신호의 전력에 -6.02[dB]의 감소가 발생한다. 이는 10의 로그값이 0.25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6.02[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우리나라 지상파 DMB 전송방식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DQPSK변조, COFDM 멀티캐리어
  2. QAM변조, COFDM 멀티캐리어
  3. DQPSK변조, ATSC
  4. ASK변조, ISBD-TSB
(정답률: 81%)
  • 우리나라 지상파 DMB 전송방식은 "DQPSK변조, COFDM 멀티캐리어"이다. DQPSK는 이진 위상 변조 방식으로, 데이터를 2진수로 표현하여 위상을 변조시키는 방식이다. COFDM 멀티캐리어는 다중 주파수 이동키(OFDM) 방식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하위 캐리어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다중 경로 간섭에 강하고,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DMB에 적합한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ATSC방식의 DTV 송신기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R/S Encoder
  2. CIN Diplexer
  3. Data Interleaver
  4. Trellis Encoder
(정답률: 74%)
  • ATSC 방식의 DTV 송신기의 구성 요소 중 CIN Diplexer는 없습니다. CIN Diplexer는 일반적으로 케이블 텔레비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ATSC 방식의 DTV 송신기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다른 요소들은 ATSC 방식의 DTV 송신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R/S Encoder는 오류 정정을 위해 사용되고, Data Interleaver는 데이터를 재배열하여 오류를 줄이고, Trellis Encoder는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 효율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NTSC용 웨이브폼 모니터에서 측정된 50[IRE]는 몇 [mV]인가?

  1. 357[mV]
  2. 350[mV]
  3. 346[mv]
  4. 334[mV]
(정답률: 76%)
  • NTSC 신호에서 50 IRE는 0.714Vpp의 신호에서 0.357Vpp의 밝기를 의미합니다. 이를 mV로 변환하면 357mV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측정 항목에 따른 증상으로 옳은 것은?

  1. C/N비가 낮으면 대각선의 띄가 나타난다.
  2. CSO는 물결치는 비스듬한 줄무늬 현상이 발생한다.
  3. CTB는 SNOW 현상이 발생한다.
  4. 교차변조는 2~3개의 줄무늬 현상이 발생한다.
(정답률: 68%)
  • CSO는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신호가 섞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 때 물결치는 비스듬한 줄무늬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수신기에서 신호를 분리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으로, 수신 감도가 낮아지면 더욱 심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방송용 송신기에서 증폭기의 입력 전력이 3[mW], 출력 전력이 3[w]일 때 전력이득은?

  1. 60[dB]
  2. 40[dB]
  3. 30[dB]
  4. 10[dB]
(정답률: 71%)
  • 전력이득은 출력 전력과 입력 전력의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력이득은 10log(출력 전력/입력 전력)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입력 전력이 3[mW]이고 출력 전력이 3[w]이므로, 출력 전력과 입력 전력의 비율은 3[w]/0.003[w] = 1000입니다. 이를 전력이득 공식에 대입하면,

    전력이득 = 10log(1000) = 10 x 3 = 30[dB]

    따라서 정답은 "30[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공학

41. 다음 중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제작 시스템
  2. 효율적 자료관리 시스템
  3. 방송자동화 시스템의 증가
  4. 선형 편집 시스템
(정답률: 86%)
  • 선형 편집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되지 않는 기술입니다. 이는 비선형 편집 시스템으로 대체되었기 때문입니다. 비선형 편집 시스템은 디지털화된 영상 및 음향 자료를 컴퓨터로 편집하는 기술로, 더욱 효율적이고 정확한 편집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FM 라디오방송의 파일럿(Pilot) 신호는 몇 [kHz]인가?

  1. 19[kHz]
  2. 20[kHz]
  3. 21[kHz]
  4. 22[kHz]
(정답률: 74%)
  • FM 라디오방송의 파일럿(Pilot) 신호는 19[kHz]이다. 이는 스테레오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신호로, 왼쪽 채널과 오른쪽 채널의 차이 신호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파일럿 신호는 스테레오 신호와 함께 전송되며, 수신기에서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왼쪽과 오른쪽 채널의 차이 신호를 추출한다. 이를 통해 좌우 스피커에서 다른 소리가 나오도록 하여 공간감을 더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우리나라 지상파 디지털 TV 전송방식은?

  1. ATSC
  2. IBST
  3. DVB-T
  4. DVB-C
(정답률: 88%)
  • 우리나라 지상파 디지털 TV 전송방식은 "ATSC"이다. 이는 미국에서 개발된 디지털 TV 전송방식으로, MPEG-2 압축방식을 사용하며, 지상파 방송사업자들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방식이다. ATSC 방식은 고화질(HD) 방송을 지원하며, 지상파 TV 수신기와 안테나만 있으면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음향신호에서 2[V]와 10[V]의 레벨[dB]차는 약 얼마인가?

  1. 8[dB]
  2. 14[dB]
  3. 18[dB]
  4. 22[dB]
(정답률: 76%)
  • 음향신호에서 레벨은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10[V]의 레벨은 2[V]의 레벨보다 10/2의 제곱인 25배 높다. 이를 데시벨로 변환하면 10log(25) ≈ 14[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4[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앰프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댐핑 팩터는 내부 저항이 작을수록 커진다.
  2. 앰프의 정격 출력은 사용 스피커의 허용 입력보다 작은 것이 안전하다.
  3. A급 앰프는 소비 전력이 가장 많다.
  4. 고조파 왜곡은 과대 입력 때문에 생긴다.
(정답률: 68%)
  • 앰프의 정격 출력은 사용 스피커의 허용 입력보다 작은 것이 안전하다는 것은 스피커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서이다. 스피커는 일정한 입력 신호 이상부터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앰프의 출력이 스피커의 허용 입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카메라 조리개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렌즈를 통과하는 광량을 조절
  2. 피사체의 심도를 조절
  3. 구면 수차 조절
  4. 화상의 선명도
(정답률: 69%)
  • 구면 수차 조절은 카메라 조리개의 기능이 아닙니다. 구면 수차 조절은 렌즈의 굴절력을 조절하여 색상의 차이를 보정하는 기능으로, 렌즈의 굴절력을 조절하는 것이므로 조리개와는 별개의 기능입니다. 카메라 조리개는 렌즈를 통과하는 광량을 조절하고, 피사체의 심도를 조절하여 화상의 선명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카메라 렌즈의 구경이 3[cm], 초점거리가 4.2[cm]일 때 f-stop은 얼마인가?

  1. 1.3
  2. 1.4
  3. 1.5
  4. 1.6
(정답률: 79%)
  • f-stop은 초점거리를 구경으로 나눈 값의 제곱근이다. 따라서 f-stop은 √(4.2/3) ≈ 1.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방향 조절장치인 플래그(fla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불투명한 직사각형의 판으로 특정 부분에 빛이 비치는 것을 막는다.
  2. 반도어(Barn door)와 같은 기능을 하지만 조명기구에 직접 장착하지는 않는다.
  3. 카메라에 포착됨이 없이 빛을 차단하고자 하는 세트부분에 직접 설치한다.
  4. 전체적으로나 부분적으로 어떤 영역에 빛을 강조할 경우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52%)
  • "카메라에 포착됨이 없이 빛을 차단하고자 하는 세트부분에 직접 설치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플래그는 조명기구에 직접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조명기구와 함께 사용되는 액세서리입니다. 또한, 플래그는 불투명한 판으로 특정 부분에 빛이 비치는 것을 막아 방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나 부분적으로 어떤 영역에 빛을 강조할 경우 효율적으로 사용된다."라는 설명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영상 처리 기법 중 출력 이미지의 각 픽셀값을 결정하는 데에는 오직 입력 이미지의 대응되는 픽셀값만 이용되는 처리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포인트 처리
  2. 영역 처리
  3. 기하학적 처리
  4. 프레임 처리
(정답률: 75%)
  • 포인트 처리는 입력 이미지의 각 픽셀값을 직접적으로 조작하여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 때, 출력 이미지의 각 픽셀값은 입력 이미지의 대응되는 픽셀값에만 의존하며, 주변 픽셀값이나 영역 정보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 이미지의 각 픽셀값을 독립적으로 처리하므로, 처리 속도가 빠르고 간단한 연산으로도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DMB에서 음영지역을 커버하기 위한 장비는 무엇인가?

  1. SFN
  2. CDM
  3. Gap Filler
  4. PAD
(정답률: 79%)
  • DMB 방송은 고속도로나 산간 지역 등 음영지역에서 수신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Gap Filler 장비를 사용합니다. Gap Filler는 기존의 송출국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증폭하여 음영지역에 전파를 송출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음영지역에서도 DMB 방송을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오디오 파일 포맷이 아닌 것은?

  1. ASF
  2. RA
  3. AIFF
  4. TIFF
(정답률: 81%)
  • TIFF는 이미지 파일 포맷이며, 나머지 세 가지는 모두 오디오 파일 포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아날로그 오디오의 샘플링의 주파수를 44[kHz], 양자화 비트를 10비트로 할 경우, 30초간 샘플링했을 때 저장해야하는 오디오 데이터 용량은 얼마인가?

  1. 13,200,000[byte]
  2. 1,650,000[byte]
  3. 825,000[byte]
  4. 44,000[byte]
(정답률: 80%)
  • 주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용량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 샘플링 주파수: 44[kHz]
    - 양자화 비트: 10비트
    - 시간: 30초

    먼저, 1초당 저장되는 데이터 양을 계산해보자. 이는 샘플링 주파수와 양자화 비트에 의해 결정된다. 1초당 저장되는 데이터 양은 다음과 같다.

    1초당 데이터 양 = 샘플링 주파수 × 양자화 비트
    = 44[kHz] × 10[비트]
    = 440[kbps]

    이제 30초간 저장해야하는 데이터 양을 계산해보자. 이는 1초당 저장되는 데이터 양에 시간을 곱한 값이다.

    30초간 저장해야하는 데이터 양 = 1초당 데이터 양 × 30[초]
    = 440[kbps] × 30[초]
    = 13,200[kb]
    = 1,650,000[byte]

    따라서, 30초간 샘플링한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1,650,000[byte]의 용량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MP3 파일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되는 오디오 압축 기술인가?

  1. MPEG-1
  2. MPEG-2
  3. MPEG-4
  4. MPEG-7
(정답률: 56%)
  • MP3 파일은 MPEG-1 오디오 압축 기술에 해당한다. MPEG-1은 오디오와 비디오를 압축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화된 형식 중 하나이며, MP3는 MPEG-1에서 오디오를 압축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MP3는 고음질의 오디오를 상대적으로 작은 파일 크기로 압축할 수 있어서 인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방송시청 중 다른 언어를 선택하여 자막으로 볼 수 있는 방송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수화방송
  2. 음성다중방송
  3. 문자다중방송
  4. 문자송출방송
(정답률: 73%)
  • 문자다중방송은 방송 중 다른 언어의 자막을 제공하여 시청자가 해당 언어로 방송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수화방송"은 청각 장애인을 위한 방송, "음성다중방송"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방송, "문자송출방송"은 문자를 통해 방송을 전달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방송의 데이터방송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가 아닌 것은?

  1. 상시 양방향 서비스
  2. 뉴스, 기상정보 서비스
  3. 프로그램 연계 정보 서비스
  4. E-Commerce 서비스
(정답률: 53%)
  •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방송의 데이터방송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중 "상시 양방향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는다. 이는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방송의 데이터방송이 일방적인 방송 방식으로, 시청자와의 상호작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시 양방향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디지털TV, 입체TV 방송을 거쳐 미래에 서비스 될 차세대 방송으로 다차원 미디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몰입감을 줄 수 있는 방송서비스는?

  1. 3D방송
  2. 실감방송
  3. 초선명방송
  4. 융합방송
(정답률: 71%)
  • 실감방송은 다차원 미디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몰입감을 줄 수 있는 방송서비스로, 입체TV와 디지털TV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현실감 있는 방송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3D방송은 입체적인 화면을 제공하지만 몰입감은 부족하며, 초선명방송은 초고화질 방송을 의미하며, 융합방송은 다양한 미디어를 융합하여 제공하는 방송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양자화기의 비트수(N)가 증가할 때마다 부호하에 따른 양자화 오차는 몇 [dB]씩 감소되는가?

  1. 2[dB]
  2. 3[dB]
  3. 4[dB]
  4. 6[dB]
(정답률: 71%)
  • 양자화기의 비트수(N)가 증가하면, 가능한 양자화 레벨의 수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양자화 오차를 줄이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부호화를 사용하면, 양자화 오차를 줄이는 데에 더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부호화는 양자화 된 신호를 더 작은 비트 수로 표현하는 기술입니다. 부호화를 사용하면, 더 많은 양자화 레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양자화 오차를 줄이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비트 수(N)가 1 증가하면, 가능한 양자화 레벨의 수는 2배가 되며, 이는 양자화 오차를 6[dB]만큼 감소시킵니다. 따라서, 양자화기의 비트수(N)가 증가할 때마다 부호하에 따른 양자화 오차는 6[dB]씩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우리나라 지상파 디지털방송(DTV)에서 사용되는 음성 부호화의 표준은 무엇인가?

  1. MPEG-1
  2. ACC
  3. AC-3
  4. MPEG-4
(정답률: 86%)
  • 우리나라 지상파 DTV에서 사용되는 음성 부호화의 표준은 AC-3이다. 이는 Dolby Digital이라고도 불리며, 고음질의 오디오를 제공하면서도 데이터 압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AC-3은 다양한 장비와 호환성이 높아서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국내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의 프로그램 채널당 영상 부호화 목표 비트율은 최대 얼마인가?

  1. 4[Mbps]
  2. 8[Mbps]
  3. 9.7[Mbps]
  4. 19.4[Mbps]
(정답률: 70%)
  • 국내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의 프로그램 채널당 영상 부호화 목표 비트율은 19.4[Mbps]이다. 이는 국내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의 고화질(HD) 채널에서 사용되는 비트율이며, 이를 통해 고화질 영상을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9.4[Mb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디지털 신호 처리에서 원신호와 샘플링 주파수와의 관계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fs: 샘플링주파수, fmax: 원신호의 최대주파수)

  1. fs = fmax
  2. fs ≥ 2fmax
  3. fs < fmax
  4. fs = 3fmax
(정답률: 87%)
  • 디지털 신호 처리에서 샘플링 주파수는 원신호의 최대 주파수보다 높아야 합니다. 이는 나이퀴스트 샘플링 정리에 의해 설명됩니다. 즉, 샘플링 주파수가 원신호의 최대 주파수의 2배 이상이어야만 원신호를 완벽하게 복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fs ≥ 2fmax"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방송통신 시스템

61. 다음과 같은 조건의 수신기 한계레벨은?

  1. -70[dBm]
  2. -47[dBm]
  3. -33[dBm]
  4. -27[dBm]
(정답률: 74%)
  • 주어진 그림에서 수신기 감도는 -107[dBm]이고, 주파수 대역폭은 10[kHz]이다. 따라서 수신기 한계레벨은 -107[dBm] + 10log(10[kHz]) = -70[dBm]이다. 즉, 수신기가 수신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신호 세기는 -70[dBm]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어떤 신호가 0~25[kHz]로 주파수 대역이 제한되어 있을 때 나이퀴스트율을 만족하는 최소 표본화 주기는 얼마인가?

  1. 20[μs]
  2. 30[μs]
  3. 40[μs]
  4. 45[μs]
(정답률: 64%)
  • 나이퀴스트-샘플링 정리에 따르면, 표본화 주기는 신호의 최대 주파수의 역수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따라서, 최대 주파수가 25[kHz]인 경우, 최소 표본화 주기는 1/25[kHz] = 40[μs] 이다. 하지만, 나이퀴스트-샘플링 정리는 이론적인 것으로, 실제로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통은 최소 표본화 주기를 실제 주파수의 2배로 설정하여 사용한다. 이를 바탕으로, 최소 표본화 주기는 2 × 20[μs] = 40[μs] 이므로, 정답은 "20[μ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위상변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피변조파의 순시 위상이 메시지 산호에 비례한다.
  2. 순시주파수는 메시지 신호의 적분에 비례한다.
  3. 최대 주파수 편이는 메시지 신호의 진폭과 주파수에 비례한다.
  4. 주파수 변조에 비해 변조기 구조가 간단하고 성능도 안정적이다.
(정답률: 47%)
  • "순시주파수는 메시지 신호의 적분에 비례한다."가 위상변조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유는 위상변조에서는 메시지 신호의 진폭이나 주파수와는 관련이 없이, 순시주파수와 위상 변조 신호의 위상 차이에 따라 변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순시주파수는 메시지 신호의 적분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디지털라디오전송방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EURECA-147
  2. ATSC
  3. ISDB-Tsb
  4. IBOC
(정답률: 63%)
  • ATSC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식이지만, 디지털 라디오 전송 방식은 아닙니다. EURECA-147, ISDB-Tsb, IBOC는 모두 디지털 라디오 전송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AM 스테레오 방식의 기본원리가 아닌 것은?

  1. 직각변조방식(AM/FM)
  2. 진폭각도변조방식(AM/PM, AM/FM)
  3. 독립측파대방식(AM/PM)
  4. 강도변조방식(IM/PM)
(정답률: 64%)
  • 강도변조방식(IM/PM)은 AM 스테레오 방식의 기본원리가 아닙니다. AM 스테레오 방식은 왼쪽 채널과 오른쪽 채널을 각각 38kHz와 19kHz의 부조파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이를 복조하여 왼쪽과 오른쪽 채널을 재생하는 방식입니다. 강도변조방식(IM/PM)은 주파수 변조 방식 중 하나로,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켜 주파수를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FM 송신기 보조회로가 아닌 것은?

  1. 순시 주파수 편이회로
  2. 프리 엠퍼시스회로
  3. 자동 주파수 제어회로
  4. 스켈치 회로
(정답률: 59%)
  • FM 송신기에서 사용되는 보조회로 중에서 "스켈치 회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조회로들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순시 주파수 편이회로: 송신 주파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회로
    - 프리 엠퍼시스회로: 송신 주파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회로
    - 자동 주파수 제어회로: 송신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회로

    스켈치 회로는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회로 설계를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며, FM 송신기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디지털 HDTV 방송시스템의 채널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하는 것은?

  1. Source Coding
  2. Compression
  3. RF Transmission
  4. Demodulation
(정답률: 74%)
  • 디지털 HDTV 방송시스템에서 채널부호화 및 변조는 RF Transmission에서 수행됩니다. 이는 디지털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여 전파로 송출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입니다. 따라서 RF Transmission은 디지털 HDTV 방송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TV 송신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급전계통
  2. 모니터시스템
  3. 송신장비
  4. 송신안테나 계통
(정답률: 80%)
  • TV 송신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는 급전계통, 송신장비, 송신안테나 계통이다. 모니터시스템은 TV 송신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니며, TV 수신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모니터시스템은 TV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로, 송신시스템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TV 주조정실에서 사용되는 방송장비에 해당하는 것은?

  1. 다이플렉서
  2. Master Switch
  3. 영상,음성송신기
  4. 카메라
(정답률: 86%)
  • TV 주조정실에서는 방송 신호를 제어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장비들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Master Switch는 방송 신호를 제어하는 중요한 장비로, 방송 신호의 전환, 조절, 송출 등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TV 주조정실에서는 Master Switch를 필수적으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통신위성주파수로서 INTELSAT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아닌 것은?

  1. L-BAND
  2. C-BAND
  3. Ka-BAND
  4. Ku-BAND
(정답률: 65%)
  • INTELSAT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L-BAND, C-BAND, Ku-BAND이지만 Ka-BAND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Ka-BAND가 더 높은 주파수 대역으로, 대역폭이 넓어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지만, 대기권 흡수가 매우 강하고 비가 내리면 신호 감쇠가 심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Ka-BAND는 주로 지상 통신망에서 사용되며, 위성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간선 증폭기
  2. 분배 증폭기
  3. 보안기
  4. 방향 결합기
(정답률: 53%)
  • 이 그림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장비들 중 하나인 방향 결합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방향 결합기는 데이터를 한 방향으로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로, 데이터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정확하게 지정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방향 결합기가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CATV(SO) 방송시스템의 신호 흐름이 옳은 것은?

  1. 전송계 ⇒ 센터계 ⇒ 단말계
  2. 센터계 ⇒ 전송계 ⇒ 단말계
  3. 수신계 ⇒ 센터계 ⇒ 전송계
  4. 센터계 ⇒ 전송계 ⇒ 분배계
(정답률: 70%)
  • CATV(SO) 방송시스템에서는 센터계에서 방송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계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며, 단말계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TV 등의 기기에서 시청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옳은 신호 흐름은 "센터계 ⇒ 전송계 ⇒ 단말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위성통신체의 서브 시스템별 구성부에 대한 주요기능이 틀린 것은?

  1. 안테나계 : 신호의 송수신
  2. 중계기계 : 신호를 수신한 후 주파수를 변화시켜 재송신
  3. 추진계 : 궤도위치 유지, 자세수정, 궤도 변경 및 초기궤도에서의 전계
  4. 구체계 : 위성의 궤도상 위치 및 자세제어
(정답률: 71%)
  • 구체계는 위성의 궤도상 위치 및 자세제어가 아니라, 위성의 구조와 내부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구체계 : 위성의 궤도상 위치 및 자세제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위성방송을 지상에서 수신시 단위 면적을 통과하는 전자파의 전력선 밀도 P는 약 얼마인가? (단, 전계세기 E는 197[V/m]이다.)

  1. 197[dBW/m2]
  2. 153[dBW/m2]
  3. 136[dBW/m2]
  4. 103[dBW/m2]
(정답률: 70%)
  • 전력밀도 P는 P = E2/377 이다. 여기서 377은 자유공간의 임피던스이다. 따라서 P = (1972/377) = 103[dBW/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상파 DMB에서 사용하는 QPSK 변조방식은 하나의 부호에 몇 개의 비트를 적용하는가?

  1. 2
  2. 4
  3. 16
  4. 64
(정답률: 78%)
  • QPSK 변조방식은 2개의 비트를 하나의 부호에 적용합니다. 이는 4개의 가능한 상태를 가지는데, 각각 00, 01, 10, 11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2"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유럽의 지상파 디지털 TV 전송방식은?

  1. NTSC
  2. ATSC
  3. ISDB-T
  4. DVB-T
(정답률: 73%)
  • 유럽의 지상파 디지털 TV 전송방식은 DVB-T입니다. 이는 Digital Video Broadcasting - Terrestrial의 약자로, 유럽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TV 방식입니다. DVB-T는 MPEG-2 압축 방식을 사용하며, 주파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고화질의 영상과 음성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중화(Multiplexing) 기술을 사용하여 여러 채널을 하나의 주파수 대역폭으로 전송할 수 있어 더 많은 채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지상파 DMB에서 사용하는 멀티캐리어 OFDM 변조방식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다중경로 페이딩에 강하다.
  2. 주파수 이용효율이 우수하다.
  3. 무선채널에서 고속전송이 가능하다.
  4. 유럽식 DVB-T 및 미국식 ATSC DTV에서 사용된다.
(정답률: 74%)
  • OFDM은 다중경로 페이딩에 강하고 주파수 이용효율이 우수하며 무선채널에서 고속전송이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럽식 DVB-T 및 미국식 ATSC DTV에서 사용된다."는 OFDM의 특성이 아니라 다른 시스템에서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방송국 송신설비의 급전선으로서의 요건으로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손실이 될수록 적을 것
  2. 정비 점검이 용이할 것
  3. 급전선의 정수(定數)가 최대치로 변할 것
  4. 건설비 비용이 적을 것
(정답률: 79%)
  • 급전선의 정수(定數)가 최대치로 변할 것은 방송국에서 전송하는 신호의 강도와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정수가 최대치로 유지될수록 신호의 강도가 강해지고, 손실이 적어지므로 안정성이 높아진다. 또한, 정비 점검이 용이하고 건설비 비용이 적을수록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요건들도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송신소 시스템 설계시 고려해야 할 기본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전파의 특성상 TV, FM, 중파방송의 설계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한다.
  2. 자연재해의 영향이 적은 곳에 설치한다.
  3. 운용요원의 통근 및 거주가 용이한 곳에 설치한다.
  4. 전원선의 인입과 기기의 반입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한다.
(정답률: 83%)
  • "전파의 특성상 TV, FM, 중파방송의 설계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한다."가 정답이다. 전파는 공기 중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거리에 따라 신호의 강도가 약해지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안테나의 높이와 출력을 조절하는 등의 설계조건이 필요하다. TV, FM, 중파방송은 모두 전파를 이용하는 방송이기 때문에 이러한 설계조건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송신소 시스템 설계시 고려해야 할 기본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공동시청 안테나 시설의 신호처리기(증폭기) 중 광대역형 수신 증폭기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수신 전대역을 증폭하는 것으로서 광대역 수신안테나 출력을 그대로 각각의 증폭기 입력에 가해 일괄 증폭하는 방식
  2. 입력을 채널별로 나누어 감쇠기로 레벨을 일정하게 한 후 혼합하여 일괄 증폭하는 방식
  3. 광대역형은 회로 구성상 채널간에 AGC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하는 방식
  4. 입력전계가 안정한 소규모인 공시청이나 빌딩·집단주택 등의 공시청용에 적용
(정답률: 54%)
  • 정답: "입력전계가 안정한 소규모인 공시청이나 빌딩·집단주택 등의 공시청용에 적용"

    광대역형 수신 증폭기는 수신 전체 대역을 증폭하는 방식으로, 입력 신호를 채널별로 나누어 감쇠기로 레벨을 일정하게 한 후 혼합하여 일괄 증폭하는 방식이나, 입력을 그대로 각각의 증폭기 입력에 가해 일괄 증폭하는 방식으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방식은 채널 간에 레벨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AGC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합니다. 따라서 "광대역형은 회로 구성상 채널간에 AGC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81. 다음 중 후입선출(LIFO) 처리제어 방식은?

  1. 스택
  2. 선형 리스트
  3. 원형 연결 리스트
(정답률: 69%)
  • 후입선출(LIFO) 처리제어 방식은 가장 최근에 추가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처리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스택(Stack) 자료구조를 사용하여 구현됩니다. 스택은 데이터를 쌓아 올리듯이 저장하고, 가장 최근에 추가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처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후입선출 처리를 위해서는 스택 자료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운영체제의 프로세스 관리기능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사용자 및 시스템 프로세스의 생성과 제거
  2. 프로그램내 명령어 형식의 변경
  3. 프로세스 동기화를 위한 기법의 제공
  4. 교착상태 방지를 위한 기법 제공
(정답률: 62%)
  • 운영체제의 프로세스 관리 기능 중 "프로그램내 명령어 형식의 변경"은 속하지 않는다. 이는 프로세스의 실행 중에 프로그램 내부의 명령어 형식을 변경하는 것으로, 이는 프로그램 자체의 수정이므로 운영체제의 역할이 아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모두 운영체제의 프로세스 관리 기능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다중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을 위하여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것으로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1. 인터럽트(Interrupt)
  2. 가상메모리(Virtual Memory)
  3. 시분할(Time Slicing)
  4. 스풀링(Spooling)
(정답률: 49%)
  • 시분할(Time Slicing)은 다중프로그래밍을 위해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것 중에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이다. 이는 CPU를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각 프로세스는 일정 시간 동안 CPU를 할당받아 실행된다. 이를 통해 CPU의 이용률을 높이고, 응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인터럽트, 가상메모리, 스풀링은 모두 다중프로그래밍을 위해 필요한 요소들이지만, 시분할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덜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객체지향 언어의 세 가지 언어적 주요 특징이 아닌 것은?

  1. 추상 데이터 타입
  2. 상속
  3. 동적 바인딩
  4. 로더(Loader)
(정답률: 70%)
  • 로더(Loader)는 객체지향 언어의 주요 특징이 아닙니다. 로더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에 적재하는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따라서 객체지향 언어의 특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CPU가 어떤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도중에 외부로부터 인터럽트 요구가 들어오면, 원래의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인터럽트를 위한 프로그램을 먼저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명령 실행 사이클
  2.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3. 인터럽트 사이클
  4. 인터럽트 플래그
(정답률: 70%)
  •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은 CPU가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요구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먼저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기능으로, 예를 들어 하드웨어 오류나 외부 입력 신호 등의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정답은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프로그램 구현시 목적파일(Object File)을 실행 파일(Execute File)로 변환해 주는 프로그램은?

  1. 링커(Linker)
  2. 프리프로세서(Preprocessor)
  3. 인터프리터(Interpreter)
  4. 컴파일러(Comipler)
(정답률: 58%)
  • 링커는 여러 개의 목적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결합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구현시 목적파일을 실행 파일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ROM(Read-Only Memory)에 저장하기 가장 적합한 것은?

  1. 사용자 프로그램
  2.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
  3. 인터럽트 벡터
  4. 사용자 데이터
(정답률: 75%)
  • ROM은 읽기 전용 메모리로, 컴퓨터 부팅 시 필요한 기본적인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적합합니다. 이 중에서도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는 컴퓨터 부팅 시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운영체제를 로드하는 등의 기본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중요한 시스템 정보이므로 ROM에 저장하기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입니다. 사용자 프로그램과 사용자 데이터는 자주 변경되는 정보이므로 ROM에 저장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인터럽트 벡터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통신을 위한 정보이지만, BIOS와 마찬가지로 컴퓨터 부팅 시 필요한 기본 정보이므로 ROM에 저장하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의 내용을 오른쪽으로 2비트 이동시키면 원래 저장되었던 값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1. 원래 값의 2배
  2. 원래 값의 4배
  3. 원래 값의 1/2배
  4. 원래 값의 1/4배
(정답률: 48%)
  • 시프트 레지스터는 비트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른쪽으로 2비트 이동시키면 가장 오른쪽에 있던 2비트는 사라지고, 왼쪽에 2비트가 추가됩니다. 이때 추가된 2비트는 모두 0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원래 값은 4배가 되지만, 이동된 값은 원래 값의 1/4배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래 값의 1/4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상대 주소지정(Relative Addressing)에서 사용하는 레지스터는 무엇인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일반 레지스터(General Register)
  2. 색인 레지스터(Index Register)
  3.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4.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emory Address Register)
(정답률: 79%)
  • 상대 주소지정에서는 일반 레지스터(General Register)를 사용합니다. 이는 상대 주소지정에서 사용하는 주소가 상대적이기 때문에, 일반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상대적인 주소를 계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레지스터들은 상대 주소지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콘솔(Conso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컴퓨터의 상태를 감시하고, 운용자의 필요에 의해서 동작에 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단말기이다.
  2. 주기억 장치의 용량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외부에 부착하는 저장용 단말기이다.
  3. 타자기와 비슷한 형태의 입력 장치로서, 문자나 숫자의 키(Key)를 눌러서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단말기이다.
  4. 컴퓨터에서 처리된 결과를 인쇄하는 데 사용되는 단말기이다.
(정답률: 68%)
  • 콘솔(Console)은 "컴퓨터의 상태를 감시하고, 운용자의 필요에 의해서 동작에 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단말기"입니다. 즉, 컴퓨터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단말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음악유선방송에서 전송선로시설(동축케이블사용시)의 질적 수준의 2015년 4회 방송통신 기사 측정 항목과 기준값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호레벨 : 50[dBμV] 이상
  2. 채널간 반송파의 레벨차 : 10[dB] 이내
  3. 반송파대 잡음비(C/N비) : 28[dB] 이하
  4. 전원험 변조도 : -50[dB] 이하
(정답률: 65%)
  • "반송파대 잡음비(C/N비) : 28[dB] 이하"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기준값이다. 이 기준값은 전송되는 신호와 반송되는 잡음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전송되는 신호의 질이 좋아진다. 따라서 이 값이 28[dB] 이하인 것은 좋은 질의 전송선로시설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초단파(FM) 방송용 무선설비의 최대 주파수편이는?

  1. ±50[kHz]
  2. ±65[kHz]
  3. ±70[kHz]
  4. ±75[kHz]
(정답률: 82%)
  • 초단파(FM) 방송은 주파수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주파수 변조의 최대 주파수 편이는 최대 음성 주파수의 2배보다 조금 더 큰 값인 75kHz 이다. 따라서, FM 방송용 무선설비의 최대 주파수 편이도 ±75kHz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정보통신공사업법에 의한 공사의 종류 중 통신설비공사가 아닌 것은?

  1. 전송설비공사
  2. 구내통신설비공사
  3. 위성통신설비공사
  4. 방송전송·선로설비공사
(정답률: 60%)
  • 정보통신공사업법에 따른 공사의 종류 중 "방송전송·선로설비공사"는 정보통신공사업법에서 규정하는 공사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통신설비공사가 아닙니다. 이 공사는 방송 및 전송선로 설비를 건설, 유지, 보수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데이터 전송 시 전압의 크기를 똑같이 하고, 위상을 45도, 135도, 225도, 315도의 4가지로 전송 하는 방식은?

  1. QAM
  2. QPSK
  3. MPEG
  4. ATM
(정답률: 72%)
  • 위상 변조 방식 중 하나인 QPSK는 4개의 위상을 이용하여 2개의 비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45도, 135도, 225도, 315도의 위상을 각각 00, 01, 10, 11의 2진수로 대응시켜 전송하므로, 전송 속도를 높이면서도 전송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시 전압의 크기를 똑같이 하고, 위상을 45도, 135도, 225도, 315도의 4가지로 전송하는 방식은 QPS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방송법에서 정의한 방송의 형태가 아닌 것은?

  1. 텔레비전방송
  2. 라디오방송
  3. 이동전화방송
  4. 데이터방송
(정답률: 75%)
  • 이동전화방송은 방송법에서 정의한 방송의 형태가 아닙니다. 이는 이동통신사업법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로, 개인적인 통신 수단으로서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송법에서는 이동전화방송을 방송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종합유선방송국의 진폭변조기의 출력 특성임피던스는 몇 [Ω]인가?

  1. 30[Ω]
  2. 50[Ω]
  3. 75[Ω]
  4. 600[Ω]
(정답률: 79%)
  • 종합유선방송국에서 사용하는 진폭변조기는 주로 TV나 라디오 등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러한 신호는 75[Ω]의 임피던스를 가지는 케이블을 통해 전송됩니다. 따라서, 진폭변조기의 출력 특성임피던스도 75[Ω]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75[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종합유선방송 사업자별 시설 중 망사업자(NO) 시설이 아닌 것은?

  1. 광 송·수신기
  2. 분배센타 설비
  3. 주 전송설비(H/E)
  4. 망 감시시스템
(정답률: 77%)
  • 주 전송설비(H/E)는 유선방송 사업자가 송출하는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핵심 설비이며, 광 송·수신기는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역할을 하고, 분배센타 설비는 전송된 신호를 다수의 수신기로 분배하는 역할을 합니다. 망 감시시스템은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감지하고 대처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NO 시설이 아닌 것은 주 전송설비(H/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감리제외 대상인 정보통신공사의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안전, 재해예방 및 운용·관리를 위한 공사로서 총공사금액이 1억이상인 공사
  2. 전기통신사업법에 의한 전기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역무를 제공하기 위한 공사로서 총공사금액이 1억원 미만인 경우
  3. 6층 미만이거나 연면적 5천제곱미터 미만인 건축물에 설치되는 정보통신설비의 설치공사
  4. 기타 공중의 통신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정보통신 설비의 설치공사로서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공사
(정답률: 76%)
  • 안전, 재해예방 및 운용·관리를 위한 공사로서 총공사금액이 1억이상인 공사는 감리제외 대상이 아닙니다. 이유는 이 공사는 정보통신설비의 설치공사가 아니라 안전과 관련된 공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보통신공사의 범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주파수 분배에 있어서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이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주파수의 이용현황 등 국내의 주파수 이용 여건
  2. 전파를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
  3. 국방·치안 및 조난구조 등 국가안보·질서유지 또는 인명안전의 필요성
  4. 국내·외 주파수 이용확산에 대한 대책
(정답률: 75%)
  • 주파수의 이용현황 등 국내의 주파수 이용 여건, 전파를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 국방·치안 및 조난구조 등 국가안보·질서유지 또는 인명안전의 필요성은 모두 주파수 분배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하지만 국내·외 주파수 이용확산에 대한 대책은 주파수 분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사항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국내·외 주파수 이용확산에 대한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방송법에서 정의하는 “영상·비디오 등 영상물이 방송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방송매체별로 다단계로 유통·활용 또는 수출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

  1. 고용노동부장관
  2. 문화체육관광부장관
  3. 미래창조과학부장관
  4. 대통령
(정답률: 74%)
  • 영상물이 방송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방송매체별로 다단계로 유통·활용 또는 수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방송산업과 관련된 분야이기 때문에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해당한다. 고용노동부장관은 일자리와 관련된 분야,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은 과학기술과 관련된 분야, 대통령은 국가의 최고 지도자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