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4-17)

원예기능사
(2011-04-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온실의 피복 자재로써 유리를 이용할 때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내구성
  2. 불연성
  3. 보온성
  4. 내충격성
(정답률: 89%)
  • 정답: "내충격성"

    설명: 유리는 내구성이 높고 불연성이 있어 화재 발생 시 화재 확산을 막을 수 있으며, 보온성이 우수하여 온실 내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충격성이 낮아서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깨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실 내부에서는 유리를 사용할 때 충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점토광물 중 규산층과 알루미나층이 1:1의 비율로 결합된 것으로 보통 고령토(高嶺土)라고 불리는 것은?

  1. 카올리나이트
  2. 일라이트
  3. 몬모릴로나이트
  4. 버미큘라이트
(정답률: 88%)
  • 카올리나이트는 규산층과 알루미나층이 1:1의 비율로 결합된 점토광물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고령토로 불리는 것입니다. 일라이트는 규산층과 알루미나층이 2:1의 비율로 결합된 점토광물이며, 몬모릴로나이트와 버미큘라이트는 다른 비율로 결합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시설원예에서 투과 중량을 증대 시켜야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하우스 내 광량을 증대시키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골조율을 높인다.
  2. 시설방향을 조절한다.
  3. 반사광 이용시설을 한다.
  4. 피복 자재를 신중히 선택한다.
(정답률: 91%)
  • 골조율을 높인다는 것은 하우스 내부에 설치된 구조물의 비율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우스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고, 더 많은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광량을 증대시키는 방법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밀폐된 하우스내의 채소작물의 광합성을 저해하여 생육에 부진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 비료의 과용
  2. 수분의 과다
  3. 일산화탄소 부족
  4. 이산화탄소 부족
(정답률: 88%)
  • 밀폐된 하우스내에서는 외부와의 교환 공기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채소작물이 광합성을 할 때 필요한 이산화탄소가 부족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광합성이 저해되어 생육에 부진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부족이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공정 육묘용 트레이 중에서 육묘기간이 가장 짧은 작물에 쓰이는 것은?

  1. 162구
  2. 105구
  3. 72구
  4. 50구
(정답률: 89%)
  • 정답인 "162구"는 가장 작은 크기의 트레이이기 때문입니다. 작은 크기의 트레이는 작물이 빠르게 성장하고 수확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육묘기간이 짧은 작물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하우스내의 토양에서 염류집적으로 작물이 농도 장해가 발생할 때 장해 대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여름에 피복물을 제거하여 준다.
  2. 땅을 깊이 갈아 엎어준다.
  3. 관수를 충분히 하여 용탈시켜 준다.
  4. 흡비력이 약한 작물을 윤작한다.
(정답률: 84%)
  • 흡비력이 약한 작물은 뿌리가 얕고 토양 속 염분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윤작해도 농도 장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는 가장 부적합한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관행육묘와 비교한 공정육묘의 재배적 측면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묘의 생육상태가 불균일하다.
  2. 기계화가 불가능하다.
  3. 육묘주체는 전업형 대량생산이다.
  4. 육묘가 장기간 소요된다.
(정답률: 86%)
  • 공정육묘는 관행육묘와 달리 육묘주체가 전업형 대량생산을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아지고, 묘의 생육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계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과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육묘주체는 전업형 대량생산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산성토양에서 토마토를 재배할 경우 가장 나타나기 쉬운 생리장해는?

  1. 난형과
  2. 이상경
  3. 공동과
  4. 배꼽썩음병
(정답률: 83%)
  • 산성토양에서 토마토를 재배할 경우 가장 나타나기 쉬운 생리장해는 "배꼽썩음병"입니다. 이는 산성토양에서 생길 수 있는 뿌리 부분의 부패로 인해 발생하는 병이며, 토마토의 생육을 저해시키고 열매의 품질을 떨어뜨립니다. 이 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산성토양의 pH를 조절하거나, 병원균에 감염되지 않도록 청결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태양에너지와 물, 공기에 의해 광합성 작용으로 얻어지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오존
  2. 탄수화물
  3. 엽록소
  4. 전분
(정답률: 88%)
  • 정답은 "탄수화물"입니다. 태양에너지와 물, 공기에 의해 광합성 작용이 일어나면 엽록소가 탄소와 수소, 산소를 이용하여 탄수화물을 합성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분과 같은 탄수화물이 생산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시설 내 탄산가스의 제어방법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시설내 환기
  2. 관수
  3. 유기물 사용
  4. CO2 발생기
(정답률: 82%)
  • "관수"는 시설 내 탄산가스의 제어 방법이 아닙니다. 관수는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탄산가스를 제어하는 방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관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1층 커튼의 피복재별 열절감 효과가 가장 큰 재료는?

  1. 폴리에틸렌필름
  2. 염화비닐필름
  3. 부직포
  4. 알루미늄증착필름
(정답률: 68%)
  • 알루미늄증착필름은 열을 잘 반사하여 실내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열차단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층 커튼의 열절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알루미늄증착필름이 가장 적합한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살균, 살선충, 살충효과가 있는 토양 소독제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클로로피크린제
  2. D – D제
  3. EDB제
  4. DCI제
(정답률: 81%)
  • 클로로피크린제는 살균, 살선충, 살충효과가 모두 있는 토양 소독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살균 또는 살선충 효과만 있는 경우가 있거나, 토양 오염물질로 분류되어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클로로피크린제가 가장 적당한 토양 소독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광합성량과 호흡량이 같다면 식물의 상태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생육이 왕성해진다.
  2. 말라 죽는다.
  3. 생육이 정지된다.
  4. 냉해 피해가 발생된다.
(정답률: 74%)
  • 광합성과 호흡은 식물의 대사과정 중 가장 기본적인 과정입니다. 광합성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이용해 유기물을 합성하는 과정이며, 호흡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이 두 과정이 같다는 것은 식물이 생산한 유기물과 소비한 유기물이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생육이 정지된다는 것은 식물이 적정한 영양분을 얻지 못하고 있거나, 환경 조건이 적절하지 않아 광합성과 호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양액재배에서 양액의 pH가 낮아 졌을 때 양액 pH를 높이기 위하여 투입하는 것은?

  1. 질산
  2. 인산
  3. 황산
  4. 수산화나트륨
(정답률: 80%)
  • 양액의 pH를 높이기 위해서는 알칼리성 물질을 투입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수산화나트륨은 강력한 알칼리성 물질로, pH를 빠르게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수산화나트륨은 비교적 안정적이며, 가격도 저렴하여 양액재배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시설 내 온도 환경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교차가 작다.
  2. 온도분포가 불균일하다.
  3. 시설 밖의 바람에 영향을 받는다.
  4. 시설내 온도 상승은 들어오는 광량에 영향이 크다.
(정답률: 72%)
  • 일교차가 작다는 것은 시설 내부의 온도 변화가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설 내부의 온도 조절 시스템이 잘 작동하고, 외부 온도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도분포가 불균일하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시설 밖의 바람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시설 내부의 온도 조절 시스템이 외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시설내 온도 상승은 들어오는 광량에 영향이 크다는 것은 시설 내부의 온도 조절 시스템이 자연광을 활용하여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고추의 육묘시 광선이 약했을 때 발생되는 피해가 아닌 것은?

  1. 모종이 웃자란다.
  2. 꽃망울이 많이 떨어진다.
  3. 줄기가 가늘어 진다.
  4. 곁가지가 많이 발생한다.
(정답률: 79%)
  • 고추의 육묘시 광선이 약할 때, 곁가지가 많이 발생하는 것은 광합성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식물이 생존을 위해 더 많은 잎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곁가지가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광선이 약할 때 생기는 피해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뿌리의 머리 부분, 잎자루 및 잎이 수침상으로 되어 썩으면서 악취가 나는 무의 병해는?

  1. 역병
  2. 균핵병
  3. 무름병
  4. 검은빛썩음병
(정답률: 79%)
  • 무의 뿌리, 잎자루 및 잎이 수침상으로 되어 썩으면서 악취가 나는 병해는 무름병입니다. 이는 무를 감염시키는 균류인 Rhizopus stolonifer에 의해 발생하며,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무를 재배할 때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수박의 가장 알맞은 수확기는?

  1. 수분 후 30 ~ 35일
  2. 수분 후 45 ~ 50일
  3. 수분 후 50 ~ 60일
  4. 수분 후 70 ~ 80일
(정답률: 72%)
  • 수박은 수분이 충분한 상태에서 생장하며, 수분이 부족하면 성장이 멈추게 됩니다. 따라서 수분 후 30~35일이 가장 알맞은 수확기입니다. 이때 수박은 충분한 크기와 당도를 갖추고 있으며, 더 이상 성장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수분 후 45~50일에 수확하면 수박이 지나치게 크고 수분이 부족하여 당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수분 후 50~60일에 수확하면 수박이 지나치게 물기가 많아져 당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수분 후 70~80일에 수확하면 수박이 지나치게 물기가 많아져서 부패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당도가 매우 낮아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종자가 발아해서 뿌리와 줄기가 되는 부위는?

  1. 배젖
  2. 외피
  3. 흡수층
(정답률: 77%)
  • 종자가 발아해서 뿌리와 줄기가 되는 부위는 배입니다. 이는 배가 종자를 감싸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배는 영양분을 저장하고 있어 발아 후에 식물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배는 식물의 생존과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채소의 종류 중 생육 후반기에 거름이 과잉되면 상품성이 극히 떨어지는 작물은?

  1. 토마토
  2. 오이
  3. 양파
  4. 시금치
(정답률: 80%)
  • 양파는 생육 후반기에 거름이 과잉되면 뿌리가 두껍고 껍질이 두꺼워져 상품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동일한 파종 조건에서 10a 당 종자 파종소요량이 부피로 가장 많은 것은?

  1. 가지
  2. 호박
  3. 토마토
  4. 오이
(정답률: 84%)
  • 호박은 다른 작물에 비해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서, 동일한 파종 조건에서 10a 당 종자 파종소요량이 부피로 가장 많은 것입니다. 즉, 같은 면적에서 다른 작물보다 더 많은 호박 종자를 파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농약을 1000배액으로 만들어 살포하고자 한다. 물 200L에 농약원액을 얼마나 넣어야 하는가?

  1. 10mL
  2. 100mL
  3. 200mL
  4. 1000mL
(정답률: 89%)
  • 농약을 1000배액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농약원액을 1000분의 1로 희석해야 합니다. 따라서, 200L의 물에 농약원액을 1000분의 1로 희석하면 됩니다. 이를 계산하면 200L × (1/1000) = 0.2L = 200mL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mL"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반활물기생균(임의기생균)에 대한 설명이 바른 것은?

  1. 생활력이 있는 식물체에서만 기생하여 그 동화산물이나 대사물질을 영양원으로 섭취하는 것
  2. 원칙적으로 생활력 있는 기주식물에서 기생생활을 하나 조건에 따라서는 생활력이 없는 유기물에서도 생활하는 것
  3. 생활력이 없는 유기물에서 잘 생활하나 조건에 따라서는 생활 조직을 침해하는 것
  4. 항상 생활력이 없는 유기물에 기생하여 생활하면서 생활력 있는 조직을 침해할 수 없는 것
(정답률: 72%)
  • 반활물기생균은 원칙적으로 생활력 있는 기주식물에서 기생생활을 하지만, 조건에 따라서는 생활력이 없는 유기물에서도 생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생균의 종류와 기주식물의 상태,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생활력 있는 기주식물에서 기생생활을 하나 조건에 따라서는 생활력이 없는 유기물에서도 생활하는 것"이 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당근에서 뿌리의 색소인 카로틴의 축적이 잘 되는 토양 조건은?

  1. 약간 건조하고 통기성이 좋은 토양
  2. 약간 다습하고 통기성이 좋은 토양
  3. 매우 다습하고 통기성이 나쁜 토양
  4. 매우 건조하고 통기성이 좋은 토양
(정답률: 82%)
  • 당근은 뿌리에 카로틴이 축적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토양이 약간 건조하고 통기성이 좋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토양이 너무 습하면 뿌리가 부패하고 썩을 수 있고, 토양이 매우 건조하면 뿌리가 성장하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약간 건조하면서도 통기성이 좋은 토양이 당근의 카로틴 축적에 적합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좋은 모종의 구비조건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병충해가 없어야 한다.
  2. 잔뿌리가 그루 가까이에 많이 난 모종이어야 한다.
  3. 잎이 크고 두꺼워야 한다.
  4. 줄기가 가늘고 마디 사이가 길어야 한다.
(정답률: 93%)
  • 줄기가 가늘고 마디 사이가 길어야 하는 이유는, 이러한 모종은 생장력이 강하고 뿌리가 잘 발달하기 때문에 식물이 더욱 건강하게 자라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줄기가 가늘고 마디 사이가 길어야 하면, 식물이 더 많은 뿌리를 내리며 더 많은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어서 더욱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채소의 생육에 가장 적당한 토양수분 함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포장용수량의 30~50%
  2. 최대용수량의 30~40%
  3. 포장용수량의 60~70%
  4. 최대용수량의 60~80%
(정답률: 74%)
  • 채소의 생육에 가장 적당한 토양수분 함량은 포장용수량의 60~70%입니다. 이는 채소가 뿌리를 통해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는데 필요한 수분을 제공하면서도 과도한 물이 토양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최대용수량의 60~80%보다는 포장용수량의 범위가 더 적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대용수량은 토양이 가장 많은 물을 보유할 수 있는 양이지만, 이보다 높은 수분 함량은 과습으로 인한 뿌리 부패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채소의 생육을 고려할 때는 포장용수량의 범위가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딸기가 가지고 있는 줄기의 형태는?

  1. 로젯트상으로 자란 후 화아분화하여 직립한다.
  2. 포복하여 자라면서 개화기에는 단축경이 된다.
  3. 덩굴성의 런너가 발생하여 포복경을 형성한다.
  4. 단축경에서 잎이 나오며 액아의 일부는 런너가 된다.
(정답률: 56%)
  • 딸기는 단축경에서 잎이 나오며 액아의 일부는 런너가 된다. 이는 딸기가 땅 위에 놓인 줄기를 가지고 있지 않고 지면에 붙어있는 줄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형태는 딸기가 땅 위에 놓인 과일이 아니라 지면에 붙어있는 과일이기 때문에 필요한 형태입니다. 또한, 런너는 새로운 딸기 식물을 생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채소를 재배하는 밭에서 주로 발생하는 광엽 다년생 잡초의 종류로만 짝지워진 것은?

  1. 밭뚝외풀 – 올방개
  2. 올미 – 물달개비
  3. 쇠뜨기 – 메꽃
  4. 방동사니 – 피
(정답률: 79%)
  • 채소를 재배하는 밭에서 발생하는 광엽 다년생 잡초 중에서 쇠뜨기와 메꽃은 서로 비슷한 생육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함께 짝지워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토마토 풋마름병의 진단으로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냄새를 맡아 본다.
  2. 줄기를 잘라 도관을 검사한다.
  3. 건전한 작물체와 무게를 비교한다.
  4. 뿌리의 변색을 조사한다.
(정답률: 90%)
  • 토마토 풋마름병은 줄기 내부의 도관을 막아서 수분과 영양분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줄기를 잘라 도관을 검사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이를 통해 도관 내부의 변색과 막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풋마름병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생장조절젤로 분류하는 것은?

  1. 클로로피크린
  2. 에테폰제
  3. 칼탑제
  4. 메프제
(정답률: 66%)
  • 생장조절젤은 식물의 성장을 조절하는 화학물질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에테폰제는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성장조절제입니다. 따라서 생장조절젤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독립된 2개의 식물 일부를 깎아 2개의 식물이 뿌리가 달린 채 접하는 방법으로 사과나무 고접병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아접(눈접)
  2. 깎기접
  3. 기접
  4. 녹지접
(정답률: 55%)
  • 기접은 뿌리가 달린 두 개의 식물을 접합하여 하나의 식물로 만드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뿌리가 달린 부분이 접촉하여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물과 영양분을 공유할 수 있어서, 사과나무 고접병과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접은 사과나무 등과 같은 과수나무에서 종종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일반적으로 과수원의 위치가 가장 적합한 곳은?

  1. 습기가 많은 북향으로 경사진 곳
  2. 주위가 산으로 막혀있고 지대가 낮은 곳
  3. 햇볕이 잘 들고 물 빠짐도 좋은 곳
  4. 토심이 깊고, 유기물이 적은 곳
(정답률: 96%)
  • 과수나무는 햇볕과 물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햇볕이 잘 들고 물이 잘 빠지는 곳이 가장 적합합니다. 습기가 많은 북향으로 경사진 곳은 물이 잘 고이고 과수나무가 쉽게 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주위가 산으로 막혀있고 지대가 낮은 곳은 햇볕이 부족하고 과수나무가 쉽게 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토심이 깊고 유기물이 적은 곳은 물이 잘 고이지 않고 과수나무가 영양분을 충분히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화제로 된 농약을 가지고 1000배액으로 희석 조제하려 한다. 그러면 일반적으로 농가에서는 물 20L에 얼마만한 양의 농약을 넣어야 하는가?

  1. 10g
  2. 20g
  3. 30g
  4. 40g
(정답률: 95%)
  • 1000배액으로 희석하면 농약의 농도는 1/1000이 되므로, 1g의 농약을 사용하면 1000L의 물에 희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L의 물에는 1/50배량인 1g/50 = 0.02g의 농약이 필요합니다. 이를 1000배액으로 희석하면 0.02g x 1000 = 20g의 농약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충매화(蟲媒花)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바람에 의해서 꽃가루가 옮겨지는 꽃
  2. 벌, 나비 등을 잡아먹는 꽃
  3. 곤충에 의해서 꽃가루가 옮겨지는 꽃
  4. 벌, 나비 등이 찾아가지 않는 꽃
(정답률: 82%)
  • 충매화는 꽃의 수술이나 꽃받침에 미끄러지는 표면이 점착성을 띠어 곤충이 꽃에 머무르는 동안 꽃가루가 그들의 몸에 달라붙어 다른 꽃으로 옮겨지는 꽃입니다. 따라서 "곤충에 의해서 꽃가루가 옮겨지는 꽃"이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과수에 엽면시비를 하기 위한 살포제의 농도로 틀린 것은?

  1. 요소 : 0.5% 정도
  2. 황산칼륨 : 0.5 ~ 1%
  3. 붕사 : 0.6 ~ 1.2%
  4. 황산아연 : 0.25 ~ 0.4%
(정답률: 69%)
  • 정답은 "요소 : 0.5% 정도"입니다. 엽면시비를 하기 위한 살포제는 과수의 생장 상태와 작물 종류에 따라 다양한 농도가 필요합니다. 붕사는 과수의 엽면시비에 사용되는 살포제 중 하나로, 엽면의 노란색 발생을 예방하고 엽록소 합성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붕사의 적정 농도는 0.6 ~ 1.2% 정도이며, 이는 과수의 종류와 생장 상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습니다. 황산칼륨과 황산아연도 엽면시비에 사용되는 살포제 중 하나이며, 각각 0.5 ~ 1%와 0.25 ~ 0.4%의 농도가 적정합니다. 따라서 "요소 : 0.5% 정도"는 엽면시비에 사용되는 살포제의 적정 농도와 관련이 없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과수에서 조기 낙과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암술의 발육 불완전
  2. 질소의 과다
  3. 토양 건조
  4. 해거리
(정답률: 66%)
  • 해거리는 과수에서 조기 낙과의 원인이 아닙니다. 해거리는 해충으로 인한 피해로 인해 과수의 생산성이 감소할 수 있지만, 조기 낙과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암술의 발육 불완전, 질소의 과다, 토양 건조는 모두 과수에서 조기 낙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남부지방에서 감꼭지나방의 2화기 성충 발생 시기는?

  1. 10 ~ 11월
  2. 5 ~ 6월
  3. 3 ~ 4월
  4. 7 ~ 8월
(정답률: 73%)
  • 감꼭지나방은 남부지방에서 주로 7월부터 8월까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감꼭지나방의 발생 시기와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유효수분량이 가장 적은 토양은?

  1. 모래
  2. 참흙
  3. 질흙
  4. 모래참흙
(정답률: 91%)
  • 모래는 입자 크기가 크고 공간이 많아서 물을 잘 흡수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유효수분량이 가장 적은 토양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사과나무의 원줄기, 원가지, 가지 등의 상처 부위를 통해 감염된다. 4월에서 10월에 피해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는데 피해 부위는 갈색으로 변하고, 알코올 냄새가 난다. 6월에는 병환 부위에 검은 점이 돋아나는 병은?

  1. 부패병
  2. 부란병
  3. 탄저병
  4. 갈색점무늬병
(정답률: 68%)
  • 사과나무의 상처 부위를 통해 감염되며, 4월에서 10월에 피해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며 갈색으로 변하고 알코올 냄새가 난다. 이러한 증상은 부란병에 특징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골든딜리셔스의 CA저장시 적당한 CO2 농도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 ~ 2℃
  2. 3 ~ 5℃
  3. 7 ~ 10℃
  4. 11 ~ 13℃
(정답률: 46%)
  • 골든딜리셔스는 저온성과 높은 CO2 농도를 선호하는 사과 품종입니다. 따라서 저장 시에는 1 ~ 2℃의 저온과 적당한 CO2 농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3 ~ 5℃ 이상의 높은 온도나 7 ~ 10℃ 이상의 높은 CO2 농도는 사과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데에 부적합하며, 11 ~ 13℃ 이상의 높은 온도와 높은 CO2 농도는 사과의 노화를 가속화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주로 M9나 M26과 같은 왜성대목묘의 밀식재배에 가장 적합한 사과나무 정지법은?

  1. 변칙주간형정지법
  2. 개심자연형정지법
  3. 배상형정지법
  4. 방추형정지법
(정답률: 49%)
  • 왜성대목묘의 밀식재배에는 사과나무를 방추형정지법으로 정지시키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사과나무의 뿌리가 깊게 자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나무를 방추형으로 정지시켜 뿌리가 깊게 자라도록 유도하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나무의 안정성을 높이고, 뿌리의 생장을 촉진하여 수확량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복숭아 품종이 아닌 것은?

  1. 창방조생
  2. 대구보
  3. 백봉
  4. 백가야
(정답률: 55%)
  • 백가야는 복숭아 품종이 아니라 사과 품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복숭아나무의 일소현상이 많이 나타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개심자연형으로 심었을 경우
  2. 원줄기가 햇빛에 노출될 경우
  3. 토양이 건조할 경우
  4. 모래땅에 심겨진 경우
(정답률: 89%)
  • 복숭아나무는 개심자연형으로 심었을 경우에는 일소현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는 개심자연형으로 심으면 나무의 뿌리가 자유롭게 성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복숭아나무의 일소현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원줄기가 햇빛에 노출될 경우, 토양이 건조할 경우, 모래땅에 심겨진 경우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우리나라에서 육종한 품종은?

  1. 유명백도
  2. 홍옥
  3. 갬벨얼리
  4. 장십랑
(정답률: 71%)
  • 유명백도는 우리나라에서 육종한 대표적인 사과 품종으로, 당도가 높고 색이 밝아서 인기가 많습니다. 또한 수확기가 일찍이라 수확량이 많고, 보관성이 좋아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배나무에 발생하지 않은 병은?

  1. 줄기마름병
  2. 검은무늬병
  3. 붉은별무늬병
  4. 꽃썩음병
(정답률: 59%)
  • 꽃썩음병은 배나무의 꽃에 발생하는 병이 아니기 때문에 배나무에 발생하지 않은 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광선량의 다소에 따른 분류 중 음성 화훼에 속하는 것은?

  1. 채송화
  2. 아스파라거스
  3. 샐비어
  4. 페튜니아
(정답률: 67%)
  • 음성 화훼는 광선량이 적은 환경에서 잘 자라는 식물을 말합니다. 아스파라거스는 그러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로, 그래서 음성 화훼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페튜니아는 어느 과(科)에 속하는가?

  1. 국화과
  2. 가지과
  3. 앵초과
  4. 아욱과
(정답률: 66%)
  • 페튜니아는 가지과에 속합니다. 이는 꽃잎이 다섯개로 이루어져 있고 열매가 열면 씨앗이 나오는 특징을 가지는 식물들의 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하우스 자재 중 환기창 부분에 틈새가 나기 쉬우며, 골격율이 커서 투광율이 낮게 되는 것은?

  1. 형강재
  2. 목재
  3. 철재 파이프
  4. 합금재
(정답률: 85%)
  • 환기창 부분은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이 많이 뚫려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목재는 자연적으로 틈새가 많이 생기기 때문에 환기창 부분에서 틈새가 나기 쉽습니다. 또한 목재는 골격율이 크기 때문에 투광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환기창 부분에는 목재보다는 형강재, 철재 파이프, 합금재 등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벤로(Venlo)형 온실의 특징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양지붕 연동형 온실의 결점을 개선한 온실이다.
  2. 지붕이 높고 골격율이 높아 시설비가 많이 든다.
  3. 환기창의 면적이 많으므로 환기능률이 높은 장점이 있다.
  4. 벤로형 온실의 골격율은 12% 이다.
(정답률: 50%)
  • "지붕이 높고 골격율이 높아 시설비가 많이 든다."가 부적합한 설명이다. 이유는 지붕이 높고 골격율이 높을수록 온실 내부 공간이 넓어지고, 더 많은 작물을 재배할 수 있기 때문에 시설비가 더 많이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오히려 벤로형 온실의 장점으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화훼류에 발생하는 병해 중 파종상에서 발생이 많아 반드시 파종 용토를 소독해서 써야 하는 병은?

  1. 흰가루병
  2. 잿빛 곰팡이병
  3. 탄저병
  4. 입고병
(정답률: 66%)
  • 정답: 입고병

    설명: 입고병은 화훼류의 파종상에서 발생하는 병해 중 하나로, 토양 중에 존재하는 곰팡이류가 씨앗에 침투하여 발생합니다. 이 병은 씨앗의 발아를 방해하고, 발아한 싹이 죽을 수 있으며, 심어진 작물의 생육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파종 용토를 소독하여 입고병의 발생을 예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히아산스의 인공 분구법으로 맞는 것은?

  1. 스케일링(Scaling)
  2. 노칭(Notching)
  3. 커팅(Cutting)
  4. 그라프팅(Grafting)
(정답률: 83%)
  • 히아산스의 인공 분구법은 식물의 줄기를 자르고 그 부위에 인공적으로 분화를 유도하여 새로운 식물을 얻는 기술입니다. 이 중에서 노칭(Notching)은 줄기의 표피를 일부 제거하여 그 부위에서 새로운 가지가 자라나도록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줄기의 세포분열을 자극하여 새로운 가지가 자라나게 하기 때문에 다른 방법들보다 더욱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장미의 T자 눈접(아접) 시기는?

  1. 2 ~ 3월
  2. 4 ~ 5월
  3. 8 ~ 9월
  4. 10 ~ 11월
(정답률: 62%)
  • 장미의 T자 눈접(아접) 시기는 8월부터 9월 사이입니다. 이는 장미가 봄에 꽃을 피우고 여름에 열매를 맺는데, 이때 열매가 잘 자라기 위해서는 가지가 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8월부터 9월 사이에 가지를 강화하기 위해 T자 눈접(아접)을 하게 됩니다. 2월부터 3월 사이와 4월부터 5월 사이는 장미가 꽃을 피우는 시기이며, 10월부터 11월 사이는 장미가 잎을 떨어뜨리는 시기이므로 T자 눈접(아접)을 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밀폐된 하우스 내에서 광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장치는?

  1. 스프링클러 장치
  2. 팬 앤 패드 장치
  3. 팬 앤 포그 장치
  4. 이산화탄소 발생 장치
(정답률: 82%)
  • 밀폐된 공간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광합성이 억제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적정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유지시켜 광합성을 증대시킵니다. 스프링클러 장치는 물을 뿌려 환경을 적절하게 유지시키는 장치이고, 팬 앤 패드 장치와 팬 앤 포그 장치는 공기를 순환시켜 환기를 유지시키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카네이션 바이러스 무병주 생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접목번식 태양
  2. 꺾꽂이 배양
  3. 생장점 배양
  4. 잎꽂이 배양
(정답률: 77%)
  • 카네이션 바이러스는 생장점에서 주로 발생하며, 생장점 배양은 생장점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무병주로 생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생장점 배양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살수형 관수로 화훼 재배를 할 때 어느 정도 이상의 수압(kg/cm2)이 필요한가?

  1. 0.2
  2. 0.5
  3. 0.7
  4. 1.0
(정답률: 68%)
  • 화훼 재배를 위해서는 적절한 수분 공급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살수형 관수를 사용하는데, 이때 필요한 수압은 1.0 kg/cm2 이상입니다. 이는 적절한 수분 공급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수압이며, 이보다 낮은 수압으로는 충분한 수분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난과(蘭科)식물의 생장점 배양에서 생장점 채취가 불가능한 부분은?

  1. 꽃눈
  2. 꽃대의 곁눈
  3. 줄기의 숨은 눈
  4. 새눈의 끝눈과 곁눈
(정답률: 62%)
  • 꽃눈은 이미 꽃이 개화한 후에 생기는 생장점으로, 생장점 채취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난과식물의 생장점 배양에서 꽃눈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달리아(dahlia)의 번식방법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실생
  2. 삽목
  3. 분구
  4. 휘묻이
(정답률: 61%)
  • 달리아는 휘묻이 방법으로 번식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휘묻이 방법은 식물의 줄기나 가지를 땅에 파서 뿌리가 발생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달리아는 뿌리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달리아는 실생, 삽목, 분구 등의 방법으로 번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잎맥의 교차점을 잘라 꽂거나 교차점에 상처를 내어 잎꽂이(葉挿)하는 화훼는?

  1. 산세베리아
  2. 렉스베고니아
  3. 동백
  4. 페페로미아
(정답률: 66%)
  • 렉스베고니아는 잎맥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잘라 꽂거나 상처를 내어 잎꽂이하는 화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가을뿌림 한두해살이 화초에 해당되는 것은?

  1. 매리골드
  2. 채송화
  3. 아게라텀
  4. 시네라리아
(정답률: 49%)
  • 가을뿌림 한두해살이 화초 중 시네라리아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다년생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매리골드와 채송화는 일년생 식물이며, 아게라텀은 다년생이지만 한해살이 식물입니다. 따라서 시네라리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해충의 발육과 변태기간 중 특히 중요한 환경 조건은?

  1. 습도
  2. 온도
  3. 바람
  4. 광선
(정답률: 73%)
  • 해충의 발육과 변태기간은 온도에 매우 민감합니다. 적정한 온도에서는 해충의 발육과 변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발육과 변태가 지연되거나 멈추게 됩니다. 따라서 온도는 해충의 생태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