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8-07)

화훼장식기사
(2005-08-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훼재료 및 형태학

1. 다음 중 장일성 화훼에 속하는 것은?

  1. Pharbitis nil Choisy.
  2. Callistephus chinensis Nees.
  3. Calendula officinalis L.
  4. Cosmos bipinnatus Cav.
(정답률: 75%)
  • 장일성 화훼는 주로 국내에서 꽃다발, 꽃바구니 등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꽃들을 말한다. Calendula officinalis L.은 장미과에 속하는 꽃으로, 국내에서는 '한려수도'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이 꽃은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피어나며, 특히 노란색 꽃잎이 매우 아름답다. 또한 항염작용이 있어 피부염, 아토피 등의 질환에도 사용된다. 따라서 장일성 화훼에 속하는 Calendula officinalis L.은 국내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인기 있는 꽃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학명 표기법에 대하여 옳지 않은 것은?

  1. 속명과 명명자의 첫 글자는 대문자를 사용한다.
  2. 학명은 정자체로 쓰며, 굵고 진하게 써야 한다.
  3. 속명과 종명을 기재하는 이명법을 사용한다.
  4. 라틴어화 하여 쓰여지고 라틴어 발음을 한다.
(정답률: 84%)
  • "학명은 정자체로 쓰며, 굵고 진하게 써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학명은 기울임체로 쓰며, 굵고 진하게 쓰지 않는다. 이는 학명이 일반적으로 긴 문자열이기 때문에 굵고 진하게 쓰면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국화의 경우 10월 이후 동지아가 생겨서 로제트를 형성한다. 이 로제트를 타파하기 위한 방법은?

  1. 저온 후 고온 장일
  2. 고온 후 저온 단일
  3. 장일 후 저온
  4. 단일 후 고온
(정답률: 90%)
  • 국화의 로제트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저온 후 고온 장일"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이 방법은 국화를 저온(5~10도)에서 2주 정도 보관한 후, 고온(20~25도)에서 1주일 정도 장일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국화의 로제트가 타파되고 꽃이 더욱 풍성해지게 된다. 이유는 국화의 로제트는 저온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저온에서 보관하면 로제트가 더 이상 성장하지 않고 타파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온에서 장일시키면 국화의 꽃이 더욱 풍성해지고, 꽃잎의 색상도 더욱 선명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원추화서(圓錐花序)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가장자리의 꽃이 먼저 피고 가운데로 피어 들어가는 것
  2. 퉁퉁한 육질의 가운데 축에 작은 꽃들이 밀생하여 붙는 것
  3. 소화경이 여러번 갈라져 원뿔 모양을 이루는 것
  4. 꽃송이 전체가 원형을 이루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원추화서는 꽃송이 축이 소화경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소화경이 여러 번 갈라져 원뿔 모양을 이루는 것입니다. 이 소화경에 작은 꽃들이 붙어 퉁퉁한 육질을 이루며, 가장자리의 꽃이 먼저 피어 가운데로 피어들어가는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꽃은 종류마다 개화특성이 다르므로 채화시기를 달리해야 한다. 꽃이 1/3정도 피었을 때 잘라야 하는 것은?

  1. Dendranthema grandiflorum Kitamura.
  2. Callistephus chinensis Nees.
  3. Dahlia hybrida Hort.
  4. Gladioulus gandavensis Van Houtte.
(정답률: 72%)
  • 꽃이 1/3정도 피었을 때 잘라야 하는 것은 "Dendranthema grandiflorum Kitamura." 이다. 이유는 이 꽃은 개화 후 1/3정도가 피었을 때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Callistephus chinensis Nees."와 "Dahlia hybrida Hort."는 개화 후 완전히 피어있을 때가 가장 아름다운 모습이며, "Gladioulus gandavensis Van Houtte."는 꽃이 개화하는 시기가 다양하므로 일반적인 기준으로는 정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화훼류의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등나무는 복엽으로 되어 있다.
  2. 엽연(葉緣)은 잎의 가장자리 형태를 말한다.
  3. 엽선(葉先)은 잎끝의 형태를 말한다.
  4. 장미는 단엽(單葉:simple leaf)으로 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장미는 단엽으로 되어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단엽이란 하나의 잎으로 이루어진 것을 말하는데, 장미는 각 가지마다 하나의 잎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엽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1,2년초가 아닌 것은?

  1. Celosia cristata L.
  2. Portlaca grandiflora Hook.
  3. Nelumbo nucifera Gaerthn.
  4. Althaea rosea Cav.
(정답률: 84%)
  • "Nelumbo nucifera Gaerthn."은 연꽃으로, 1년 또는 2년초가 아닌 다년생 식물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덩이줄기(tuber)가 아닌 화훼식물은?

  1. 아네모네
  2. 칼라
  3. 칼라디움
  4. 튤립
(정답률: 75%)
  • 튤립은 덩이줄기(tuber)가 아닌 종자로 번식하는 화훼식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총상화서 식물로만 되어 있는 것은?

  1. 아카시아나무, 때죽나무
  2. 질경이, 아카시아나무
  3. 쥐똥나무, 질경이
  4. 천남성, 안스리움
(정답률: 92%)
  • 정답은 "아카시아나무, 때죽나무"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에는 총상화서 식물 외에도 다른 종류의 식물이 포함되어 있지만, "아카시아나무, 때죽나무"는 총상화서 식물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화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화색은 꽃잎에 함유되어있는 색소에 의해 결정된다.
  2. 색소의 종류를 크게 나누면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류와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 그리고 베타레인으로 나눌 수 있다.
  3. 카로티노이드는 카로틴(carotene)과 크산토필(xanthophyll)의 총칭으로 꽃잎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잎 뿌리, 과실 등에 널리 분포한다.
  4. 카로티노이드는 일반적으로 물에는 수용성이고, 지방이나 리포이드(lipoid)에는 잘 녹는다.
(정답률: 90%)
  •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카로티노이드는 일반적으로 물에는 수용성이 낮고, 지방이나 리포이드에는 잘 녹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카로티노이드가 지방성 화합물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카로티노이드가 풍부하게 함유된 식품을 섭취할 때는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과 함께 먹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금잔화의 학명은?

  1. Pharbitis nil Choisy.
  2. Viola tricolor L.
  3. Helianthus annus L.
  4. Calendura officinalis L.
(정답률: 85%)
  • Calendura officinalis L.은 금잔화의 학명이다. 이는 라틴어로 "의학적인 칼렌듈라"를 의미한다. 이는 금잔화가 전통적으로 의학적인 용도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숙근성 초화류가 아닌 것은?

  1. Chrysanthenum zawadskii Herb.
  2. Aster koraiensis Nakai.
  3. Gerbera jamesonii Bolus.
  4. Gloriosa rothschildiana O`Brien
(정답률: 73%)
  • 정답은 "Gloriosa rothschildiana O`Brien"입니다. 이는 숙근성 초화류가 아닌 식물로, 대표적인 미나리과 식물입니다. 반면, "Chrysanthenum zawadskii Herb.", "Aster koraiensis Nakai.", "Gerbera jamesonii Bolus."는 모두 숙근성 초화류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진주암을 1,400`C 정도의 고온으로 급격히 고온처리하여 만든 백색의 인공토양은?

  1. vermiculite
  2. perlite
  3. peatmoss
  4. osmanda
(정답률: 100%)
  • 진주암은 고온으로 가열하면 팽창하며 가벼워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1,400`C 정도의 고온으로 진주암을 가열하여 팽창시키고, 이를 인공토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perlite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perlit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국화꽃의 구조에 해당되지 않는 명칭은?

  1. 총포
  2. 부관
  3. 설상화
  4. 통상화
(정답률: 알수없음)
  • 국화꽃의 구조에 해당되는 용어들은 "총포", "설상화", "통상화" 이지만, "부관"은 국화꽃의 구조와는 관련이 없는 용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절화류인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Senecio cineraria DC
  2. Dianthus caryophyllus L.
  3. Calceolaria herbeohybrida Voss.
  4. Epipremnum aurum Bunt.
(정답률: 37%)
  • "Senecio cineraria DC"는 회색색상의 잎을 가진 식물로, 절화류 중 하나인 "Dusty Miller"로도 불립니다. 다른 보기들은 "Dianthus caryophyllus L."는 카네이션, "Calceolaria herbeohybrida Voss."는 칼세올라리아, "Epipremnum aureum Bunt."는 황금무늬 뱅크시아로 각각 다른 종류의 꽃이나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강한 햇빛을 받아야 잘 자라는 양성화훼가 아닌 것은?

  1. 색비름
  2. 봉선화
  3. 옥잠화
  4. 페튜니아
(정답률: 92%)
  • 옥잠화는 강한 햇빛을 받으면 잎이 타서 쉽게 말라버리기 때문에 간접광이나 그늘에서 잘 자랍니다. 따라서 강한 햇빛을 받아야 잘 자라는 양성화훼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자연 건조 방법으로도 손쉽게 건조화 제작이 가능한 것들을 나열하였다. 가장 적당치 못한 것은?

  1. Limonium sinuatum Mill.
  2. Gladioulus gandavensis Van Houtte.
  3. Gypsophila paniculata L.
  4. Celosis sristata L.
(정답률: 82%)
  • 정답은 "Gladioulus gandavensis Van Houtte."이다. 이유는 Gladioulus gandavensis Van Houtte는 자연 건조 방법으로 건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Gladioulus gandavensis Van Houtte는 대부분의 건조화와 달리 꽃잎이 두껍고 살짝 고운 질감을 가지고 있어 건조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차광에 의한 단일처리로 개화를 촉진시킬 수 없는 화훼는?

  1. Dendranthema grandiflorum Kitamura.
  2. Callistephus chinensis Nees.
  3. Kalanchoe blossfeldiana Poelln.
  4. Euphorbia pulcherrima Will ex Klot.
(정답률: 91%)
  • 차광에 의한 단일처리로 개화를 촉진시킬 수 없는 화훼는 광합성에 필요한 빛의 파장대를 받지 못해 개화가 어려운 화초들이다. 이 중에서 "Callistephus chinensis Nees."는 광합성에 필요한 파장대를 받지 않아 개화가 어려운 화초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꽃의 구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꽃받침과 꽃잎을 화피(perianth)라고 한다.
  2. 암술을 이루는 기본단위를 심피(carpel)라고 한다.
  3. 꽃받침, 꽃잎, 수술, 암술 4가지를 모두 갖춘 꽃을 완전화(per fect flower)라고 한다.
  4. 암꽃과 수꽃이 각각 따로 있는 식물을 일가화(一家花:monoecious)라고 한다.
(정답률: 100%)
  • "암꽃과 수꽃이 각각 따로 있는 식물을 일가화(一家花:monoecious)라고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가화는 암술과 수술이 같은 꽃에 있어서 암술과 수술이 동시에 수컷과 암컷의 역할을 수행하는 꽃을 말한다. 따라서 암꽃과 수꽃이 각각 따로 있는 식물은 이형화(dioecious)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팬지 학명은 Viola x wittrockiana 이다. 중앙의 x 표시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종간교배종이라는 뜻이다.
  2. Viola 와 wittrockana 와 교배하였다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
  3. 속간 교배에 의하여 생긴 종이란 뜻이다.
  4. 제비꽃과 팬지 종간 교배종임을 뜻한다.
(정답률: 92%)
  • 중앙의 x 표시는 "교배"를 의미한다. 따라서 Viola x wittrockiana는 Viola와 wittrockana가 교배하여 생긴 종간교배종이라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훼품질유지 및 관리론

21. 물에 꽂으면 줄기 끝이 잘 갈라지는 절화는?

  1. 튤립
  2. 수선화
  3. 델피니움
  4. 칼라
(정답률: 82%)
  • 칼라는 줄기가 물에 담그면 줄기 끝이 잘 갈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칼라의 줄기 내부에 공기가 많아서 물을 흡수하면서 줄기가 부풀어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줄기 끝이 갈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습도에 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

  1. 공중 습도가 높아지면 뿌리 발달이 좋다.
  2. 토양의 수분 함량 증가는 토양 속의 공기함량을 감소시켜 뿌리 발달이 좋다.
  3. 공중 습도가 낮아지면 잎으로부터 수분 증발량이 적어진다.
  4. 토양 수분이 많을 때에는 지하부에 비해 지상부인 잎이 발달한다.
(정답률: 67%)
  • "토양의 수분 함량 증가는 토양 속의 공기함량을 감소시켜 뿌리 발달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미세종자를 파종할 때 적당한 관수 방법은?

  1. 저면 관수법
  2. 살수 관수법
  3. 지중 관수법
  4. 점적 관수법
(정답률: 77%)
  • 미세종자는 작고 민감하기 때문에 물의 양과 질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따라서 저면 관수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방법은 물을 흙 밑쪽으로 직접 주는 방법으로, 흙 위쪽에 물이 과다하게 쌓이지 않아 미세종자가 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물이 천천히 스며들어가기 때문에 미세종자가 물을 흡수할 시간을 충분히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화훼의 키를 낮게 하여 관상 가치를 높이는데 적합하지 않은 물질은?

  1. 에틸렌(Ethephon)
  2. 싸이코셀(Cycocel)
  3. 벤젤아데닌(BA)
  4. 유니코나졸(Uniconazol)
(정답률: 64%)
  • 벤젤아데닌(BA)은 화훼의 성장을 촉진시켜 키를 높이는 물질이기 때문에, 화훼의 키를 낮추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화훼의 키를 낮게 하여 관상 가치를 높이는데는 벤젤아데닌(BA)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식물체 내의 수분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화학반응의 기질
  2. 세포내 팽압 유지
  3. 액포내 삼투압 조절
  4. 식물 체온 유지
(정답률: 56%)
  • 식물체 내의 수분은 세포내 팽압을 유지하고, 화학반응에 필요한 기질을 운반하며, 식물 체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 중에서도 액포내 삼투압 조절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액포내 삼투압 조절은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영양분을 잎으로 운반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인데, 이는 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물질운반과 관련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식물체 내에 이용되는 미량원소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Fe, Mo, Mg
  2. Cu, Fe, Zn
  3. Mg, B, Cu
  4. S, Cl, Mg
(정답률: 67%)
  • 식물체 내에서 Cu, Fe, Zn은 각각 엽록소, 호르몬, 효소 등의 합성 및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Fe는 엽록소 합성에 필요한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Cu는 호르몬 합성 및 효소 활성화에 필요하며, Zn은 효소 활성화 및 DNA 합성에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들 미량원소는 식물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식물의 생장속도와 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생장속도가 최대로 되는 점을 최고온도라고 한다.
  2. 최적온도는 화훼의 종류, 품종에 따라 다르다.
  3. 같은 품종일 경우 생장단계와 관계없이 최적온도는 일정하다.
  4. 야간온도는 주간보다 10℃이상 낮을 때 생장 속도가 가장 빨라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훼의 종류, 품종에 따라 최적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각 화훼는 자연환경에서 자라는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최적온도도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같은 온도에서도 화훼마다 생장속도가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절화의 재수화(rehydration)를 위한 흡수증진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줄기를 물속에서 재 절단하는 방법
  2. 절단면을 태워 탄화처리 하는 방법
  3. 살균작용 및 흡수촉진 작용을 하는 보존용액에 침지하는 방법
  4. 절화줄기 기부를 80~100℃의 물에 1시간 정도 담갔다가 꺼내는 열탕처리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절화줄기 기부를 80~100℃의 물에 1시간 정도 담갔다가 꺼내는 열탕처리 방법은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과도한 열처리로 인해 식물의 영양소가 파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재수화 방법은 살균작용 및 흡수촉진 작용을 하는 보존용액에 침지하는 방법, 절기를 물속에서 재 절단하는 방법, 절단면을 태워 탄화처리 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광포화점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광합성을 위한 CO2의 흡수량과 방출량이 같게 되는 광도
  2. CO2 흡수량이 방출량의 1/2지점이 되는 점
  3. CO2 흡수량이 방출량의 2배가 되는 점
  4. 광도가 증가되어 어느 한계에 도달하면 그 이상은 광합성은 증가하지 않는 것
(정답률: 82%)
  • 광포화점은 광합성을 위한 CO2의 흡수량과 방출량이 같게 되는 광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광도가 증가되어 어느 한계에 도달하면 그 이상은 광합성이 증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광합성은 일정한 한계가 있으며, 그 이상의 광도는 오히려 광합성을 방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장일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이 아닌 것은?

  1. 페튜니아
  2. 금잔화
  3. 맨드라미
  4. 과꽃
(정답률: 22%)
  • 장일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은 대부분 장일성 식물이며, 이들은 긴 낮과 짧은 밤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맨드라미는 단일성 식물로서, 장일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화훼식물의 재배작형 중 촉성재배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된 것은?

  1. 국화: 8월 하순경부터 한밤중(22:00~02:00) 전등조명으로 전등사이의 밝기를 60~70룩스 되게 하여 12~2월 개화, 출하하도록 한다.
  2. 튤립: 구근을 11월 하순~12월 상순에 상자에 심어서 1개월 후에 발근이 된 후 5월경까지 -2℃의 저장고에 저장해 두었다가 5월 하순~6월에 개화 하도록 한다.
  3. 게발선인장: 9월에 단일처리를 실시하여 10월 상순에서 11월에 개화, 출하시킨다.
  4. 나팔나리: 구근을 영하 1℃에서 장기간 보관 후 고랭지에서 7~9월에 개화시킨다.
(정답률: 91%)
  • 게발선인장은 9월에 단일처리를 실시하여 10월 상순에서 11월에 개화, 출하시킨다. 이는 촉성재배 방법으로, 특정한 처리를 통해 작물의 개화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각종 식물의 병해충의 방제법의 적용이 잘못된 경우는?

  1. 장미의 잿빛곰팡이병(Botrytis blight)의 발생을 억제하는데 시설내의 환기를 잘하고 난방방법을 개선하여 실내습도를 내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 근두암종병, 역병, 문우병 등 토양병해는 병원균이 없는 토양, 연작한 토양을 사용하여 그 발생을 줄일 수 있다.
  3. 벤자민고무나무의 민달팽이는 습기가 있는 장소, 화분 밑, 낙엽 밑에 잠복하므로 온실을 다습하지 않게 관리하고 잠복처가 될 만한 곳을 깨끗하게 한다.
  4. 식물바이러스는 약제에 의하여 구제하기 어려우므로 치유 보다는 바이러스 매개충의 회피, 철저한 검역, 무병종묘의 이용 등으로 대체해야 한다.
(정답률: 62%)
  • 근두암종병, 역병, 문우병 등 토양병해는 병원균이 있는 토양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병원균이 없는 토양이나 연작한 토양을 사용하면 그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는 병원균이 있는 토양에서는 병해충 방제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토양병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미리 예방적인 조치를 취하여 토양을 교체하거나 연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직접 판매를 위한 절화의 수확적기(최적 발육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달리아 - 꽃이 충분히 개화했을 때
  2. 독일붓꽃 - 꽃이 충분히 개화했을 때
  3. 튤립 - 봉오리 색이 반쯤보일 때
  4. 프리지아 - 첫 봉오리가 피기 시작할 때
(정답률: 74%)
  • 정답: "독일붓꽃 - 꽃이 충분히 개화했을 때"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직접 판매를 위한 절화의 수확적기는 해당 꽃의 개화 상태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따라서 모든 꽃의 수확적기가 동일하지 않습니다.

    달리아는 꽃이 충분히 개화했을 때 수확적기에 도달합니다. 독일붓꽃은 꽃이 충분히 개화했을 때 수확적기에 도달합니다. 튤립은 봉오리 색이 반쯤보일 때 수확적기에 도달합니다. 프리지아는 첫 봉오리가 피기 시작할 때 수확적기에 도달합니다.

    따라서 "독일붓꽃 - 꽃이 충분히 개화했을 때"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절화와 저장 온도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안스리움 : 3~5℃
  2. 장미 : 10~15℃
  3. 헬리코니아 : 8~12℃
  4. 카네이션 : -4℃
(정답률: 64%)
  • 정답은 "헬리코니아 : 8~12℃" 입니다.

    헬리코니아는 냉장보관이 적당합니다. 8~12℃의 온도에서 보관하면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안스리움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3~5℃에서 보관해야 합니다.

    장미는 10~15℃의 온도에서 보관하면 좋습니다.

    카네이션은 -4℃의 깊은 냉동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건생 식물과 습생식물, 수생식물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건생 식물은 저수 조직이 발달되어 있다.
  2. 습생 식물은 통기조직이 발달되어 있다.
  3. 수생 식물은 음지에서 잘 자란다.
  4. 습생 식물은 토란, 알로카시아, 부들, 붓꽃 등이 있다.
(정답률: 60%)
  • 정답은 "수생 식물은 음지에서 잘 자란다." 이다. 이유는 수생 식물은 물 속에서 자라기 때문에 음지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식물의 초장을 짧게 하고 엽육을 두껍게 하는데 관여하는 광선은?

  1. 적외선
  2. 자외선
  3. 열선
  4. 가시광선
(정답률: 알수없음)
  • 자외선은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자외선은 식물의 엽록소 합성에 필요한 빛중 하나이며, 이를 통해 식물은 더 많은 양의 엽록소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외선은 식물의 초장을 짧게 하고 엽육을 두껍게 하는데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자외선은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광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세포벽 형성에 필수적인 원소로 세포막의 투과성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며 결핍시에는 뿌리와 잎의 끝부분이 말라 죽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 원소는?

  1. 질소(N)
  2. 인(P)
  3. 칼슘(Ca)
  4. 마그네슘(Mg)
(정답률: 알수없음)
  • 칼슘은 세포막의 투과성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세포벽 형성에 필수적인 원소이다. 결핍시에는 뿌리와 잎의 끝부분이 말라 죽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정답은 칼슘(C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화훼류의 발아 적온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15℃전후 : 프리뮬라
  2. 15~20℃ : 나팔꽃
  3. 20~25℃ : 델피니움
  4. 25~30℃ : 거베라
(정답률: 50%)
  • 화훼류의 발아 적온은 각 종류마다 다르며, 이는 해당 종자가 최적으로 발아하기 위해 필요한 온도 범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중 화훼류의 발아 적온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5℃전후 : 프리뮬라" 입니다. 이는 프리뮬라 종자가 발아하기에 가장 적합한 온도가 15도 전후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절화를 꽂은 물에 식초를 몇 방울 넣어주는 주된 이유는?

  1. 꽃에 영양분을 주기 위하여
  2. 화색을 좋게 하기 위해서
  3. 물을 산성화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4. 줄기에 기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82%)
  • 식초는 산성성분이므로 물을 산성화시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글라디올러스와 같은 무한화서의 절화를 수평으로 눕혀 놓으면 화서의 끝이 수직으로 휜다. 여기에 관여하는 현상은?

  1. 굴열성
  2. 굴광성
  3. 중력굴성
  4. 표면장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중력굴성"입니다. 수평으로 눕혀 놓은 무한화서의 절화는 중력에 의해 수직으로 휘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중력굴성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화훼장식학

41. 상업용 공간의 화훼장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강한 장식효과를 위해 꽃피는 식물과 대형 꽃꽂이의 배치는 필수적이다.
  2. 고객을 유인하기 위한 실내장식과 디스플레이(display)에 꽃의 이용도가 매우 높다.
  3. 화려하고 창의적인 디자인보다 실용적인 디자인이 더 선호된다.
  4. 대형 분식물의 배치는 필수적이며 건물의 구조에 따라 실내정원이 조성되기도 한다.
(정답률: 91%)
  • "화려하고 창의적인 디자인보다 실용적인 디자인이 더 선호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상업용 공간의 화훼장식은 고객을 유인하고 분위기를 조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화려하고 창의적인 디자인이 더 선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화훼장식에 사용되는 소재와 관련된 설명 중 바른 것은?

  1. 철사가위(wire cutters)는 굵은 절화나 절엽 또는 절지를 자르고 다듬는데 이용된다.
  2. 플로랄 테이프(floral tape)는 접착용 테이프로 철사를 감싸거나 소재를 묶는데 사용된다.
  3. 워터 튜버(water tubes)는 줄기가 짧거나 수분공급이 어려운 상황에서 주로 이용된다.
  4. 철사는 번호가 낮을수록 굵기가 가늘다.
(정답률: 67%)
  • "워터 튜버(water tubes)는 줄기가 짧거나 수분공급이 어려운 상황에서 주로 이용된다." 이유는 꽃의 줄기를 짧게 자르거나 수분공급이 어려운 상황에서 꽃을 살리기 위해 워터 튜버를 사용하여 물을 보충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고려시대 꽃과 관련된 사람을 지명하는 설명이 틀린 것은?

  1. 화주궁관 : 꽃을 간직하는 사람
  2. 압화사 : 꽃을 간직하는 사람
  3. 권화사 : 꽃을 담당하는 사람
  4. 인화담원 : 임금이 내리는 꽃의 전달자
(정답률: 73%)
  • 인화담원은 임금이 내리는 꽃의 전달자가 아니라, 궁중에서 꽃을 담당하는 사람을 지칭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우리나라 절화장식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우리나라 꽃꽂이는 토속적 원시제에서 기원하여 불전공화를 주체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하나의 개별 예술로 발전 되어 왔다.
  2. 고려시대는 불교문화의 융성으로 사원에서는 장엄하고 다양한 의식이 자주 거행되었고, 궁중에서는 화려한 장식문화가 발전함으로써 꽃꽂이의 표현 영역이 크게 넓어졌다.
  3. 조선시대에는 꽃꽂이에 관한 전문 서적이 저술되고, 또 후기에 이르러서는 실학자들에 의해 과학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4. 한국의 전통적인 꽃꽂이는 첫째 불전, 신전, 기타 의식에서의 헌공화, 둘째 생활공간의 장식, 셋째 꽃을 통한 미의 창조로서의 화예 또는 화도의 세 갈래 방향에서 발전해 왔으며, 이 방향은 오늘날까지 절화장식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정답률: 60%)
  • "우리나라 꽃꽂이는 토속적 원시제에서 기원하여 불전공화를 주체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하나의 개별 예술로 발전 되어 왔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한국의 전통적인 꽃꽂이는 불전, 신전, 기타 의식에서의 헌공화, 생활공간의 장식, 그리고 꽃을 통한 미의 창조로서의 화예 또는 화도의 세 가지 방향에서 발전해 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서양 꽃꽂이 중 자연적인 디자인 양식으로 구성된 것은?

  1. 보태니컬(botanical), 밀드플레
  2. 피닉스(phoenix), 파라렐 베리타티브
  3. 파라렐 베지타티브, 보태니컬
  4. 레디얼 베지타티브, 비더마이어
(정답률: 70%)
  • 파라렐 베지타티브와 보태니컬은 모두 자연적인 디자인 양식으로 구성된 서양 꽃꽂이 중의 하나입니다. 파라렐 베지타티브는 대칭적인 디자인을 중심으로 식물의 선명한 윤곽을 강조하며, 보태니컬은 식물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그대로 담아내는 디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코사지(Corsage) 제작시 유의점으로 가장 옳게 설명된 것은?

  1. 갈란드(Galand)를 조립해서 하는 것이 원칙적인 방법이다.
  2. 시각적인 균형이 중요하며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한다.
  3. 재료의 선택은 의복의 색상을 고려하여 조화를 이루게 한다.
  4. 코사지의 크기는 통일감을 위해 사람마다 어느 정도 같게 한다.
(정답률: 82%)
  • 코사지 제작시에는 의복의 색상을 고려하여 재료를 선택하여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이는 코사지가 의복과 함께 조화롭게 어우러지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르네상스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르네상스시대의 스타일은 비잔틴 시대, 그리스 시대, 로마시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 과일, 꽃, 잎을 엮어 만든 갈란드가 벽과 둥근 아치모양의 천장을 장식하기도 했다.
  3. 화려한 행사와 축제가 많았으므로 다른 시대에 비해 장식의 분위기가 아주 화려했으며, 크고 긴 꽃들을 많이 사용하였다.
  4. 이 시대에는 초승달 모양의 많은 비대칭적인 곡선이 유행했다.
(정답률: 84%)
  • "이 시대에는 초승달 모양의 많은 비대칭적인 곡선이 유행했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르네상스 시대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문화와 예술을 복원하고 발전시키는 시기였으며, 이전의 중세 시대와는 달리 인간 중심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예술에서는 인체와 자연을 현실적으로 그리는 것이 중요시되었고, 초승달 모양의 비대칭적인 곡선이 유행했다. 이러한 곡선은 인체의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자연의 모습을 표현하는 데에 적합하다는 것이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꽃줄기가 약하거나 속이 비어있는 상태의 꽃을 그대로 살리고 싶을 때 철사를 밑에서 꽃의 중심을 향해 주사를 놓은 것처럼 줄기 속에 꽂아 줄기를 강하게 만드는 방법 또는 꽃의 줄기를 휘어지게 하는 방법은?

  1. 시큐어링 법(securing method)
  2. 인서션 법(insertion method)
  3. 익스텐션 법(extension method)
  4. 소잉 법(sewing method)
(정답률: 알수없음)
  • 인서션 법은 철사를 꽃의 줄기에 꽂아서 줄기를 강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꽃의 줄기가 약하거나 속이 비어있는 상태의 꽃을 살리는 데에 유용하다. 다른 보기들은 꽃을 고정하는 방법이지만, 인서션 법은 꽃의 줄기를 강화하는 방법이므로 정답은 인서션 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한국 전통 꽃꽂이 양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범한 느낌을 주며, 인공적인 손길이 거의 느껴지지 않게 표현한다.
  2. 인공적인 기교미를 강조하고, 격식화된 작업과정을 매우 중요시한다.
  3. 풍부한 양감표현을 위주로 나타내는 것이 한국 전통꽃꽂이의 특징이다.
  4. 자연성과 인공성의 화합을 중시하고, 여백의 인위적인 처리가 대담하다.
(정답률: 47%)
  • 한국 전통 꽃꽂이 양식은 자연성과 인공성의 화합을 중시하고, 여백의 인위적인 처리가 대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전통적인 서양 꽃꽂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직형(Vertical)은 수직을 강조하기 위해 높이는 화기의 2배이상으로 사용하는 것이좋다.
  2. 수평형(Horizontal)은 좌우로 확장된 선을 가지고 있어서 부드럽고, 편안한 이미지를준다.
  3. 부채형(Fan)은 중심부에 밝은색의 작은 꽃을, 가장자리에는 어두운 색의 큰 꽃을 사용하면 안정적이다.
  4. S자형(Hogarth curve)은 두 개의 크리센트(Crescent)를 서로 등을 보게 연결해 놓은 듯한 형태이다.
(정답률: 84%)
  • "부채형(Fan)은 중심부에 밝은색의 작은 꽃을, 가장자리에는 어두운 색의 큰 꽃을 사용하면 안정적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이유는 중심부에 밝은색의 작은 꽃을 사용하면 시선을 집중시키고, 가장자리에는 어두운 색의 큰 꽃을 사용하면 균형감을 주기 때문에 안정적인 느낌을 준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스켈톤 잎(skeleton leaves) 제작 시 알맞은 방법은?

  1. 물 1L에 수산화칼륨 115g을 넣어 1시간정도 끓인 후 찬물에 씻어 엽육을 긁어낸다.
  2. 물 1L에 수산화칼슘 55g을 넣어 1시간정도 끓인 후 표백제로 씻어 엽육을 긁어낸다.
  3. 물 1L에 수산화칼륨 115g을 넣어 2시간이상 끓인 후 찬물에 씻어 엽육을 긁어낸다.
  4. 물 1L에 수산화칼슘 555g을 넣어 2시간정도 담가 둔 후 표백제에 씻어 엽육을 긁어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켈톤 잎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엽의 염색소를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수산화칼륨을 사용하는데, 이때 물 1L에 수산화칼륨 115g을 넣어 1시간정도 끓인 후 찬물에 씻어 엽육을 긁어내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수산화칼슘이나 긴 시간 끓이는 것은 엽의 구조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표백제를 사용하는 것은 환경오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신부화에 주로 많이 이용하는 꽃으로 일반명과 학명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리시안서스 - Euphorbia pulcherrima Willd.
  2. 카네이션 - Dicentra spectabilis D.
  3. 수국 - Hippeastrum hybridum H.
  4. 칼라 - Zantedeschia aethiopica L.
(정답률: 93%)
  • 칼라는 신부화에 많이 이용되는 꽃으로, 그 이유는 그 꽃 모양이 아름답고 깔끔하며, 다양한 색상으로 제공되기 때문입니다. 학명인 Zantedeschia aethiopica L.은 이 꽃의 종명과 종의 속명을 나타내며, L.은 이 꽃을 처음 기술한 라틴어 학자인 칼롤루스 린네의 이름의 약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화훼장식과 그것이 유래한 시대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비잔틴시대 - 원뿔형 나무 모양
  2. 르네상스시대 - 터지 머지
  3. 바르크시대 - 크리스마스 트리
  4. 영국 조지아 시대 - 호가스 디자인
(정답률: 알수없음)
  • 비잔틴시대에는 기독교적인 신앙성을 나타내기 위해 교회 내부에 화려한 장식이 사용되었는데, 이 중에서도 원뿔형 나무 모양의 장식이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신앙성과 함께 자연의 생명력과 새로운 시작을 상징하는 모양으로, 이후에도 화훼장식에서 자주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럽형 디자인은 선과 형태표현이 우선이다.
  2. 서구식 디자인은 기하학적이거나 면 또는 입체적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3. 디자인을 하는데 있어서 비율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꽃의 형태, 꽃의 색상, 용기의 종류가 있다.
  4. 대칭축과 중심축은 같은 위치에 있지 않다.
(정답률: 70%)
  • "디자인을 하는데 있어서 비율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꽃의 형태, 꽃의 색상, 용기의 종류가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유럽형 디자인은 선과 형태표현이 우선이라고 하는 이유는, 유럽의 예술과 디자인 역사에서 선과 형태가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입니다. 서구식 디자인은 기하학적이거나 면 또는 입체적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대칭축과 중심축은 같은 위치에 있지 않다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분식물의 종류, 가꾸는 방법, 관리시 주의사항이 설명되어 있는 조선전기의 저서와 저자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산림경제 - 홍만선
  2. 색경증집 - 박세당
  3. 양화소록 - 강희안
  4. 임원십육지 - 서유구
(정답률: 알수없음)
  • 양화소록은 조선시대 강희안이 쓴 분재 가꾸기에 대한 저서로, 분재의 종류와 가꾸는 방법, 관리시 주의사항 등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정답은 "양화소록 - 강희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신부부케의 철사 이용법 중 피어스(pierce method)기법에 적당한 꽃은?

  1. 안개, 백합, 장미
  2. 아스파라거스, 거베라, 과꽃
  3. 데이지, 해바라기, 국화
  4. 카네이션, 달리아, 장미
(정답률: 82%)
  • 피어스 기법은 철사를 이용하여 꽃을 꽂는 방법 중 하나로, 꽃의 중앙을 뚫어 철사를 꽂아 고정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꽃이나 줄기가 무거운 경우에 적합하며, 카네이션, 달리아, 장미는 꽃의 중앙이 비교적 뚜렷하고 꽃잎이 두꺼워서 피어스 기법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카네이션, 달리아, 장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영국 조지안 시대 꽃과 식물의 향기는 전염병을 물리치는 신비로움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많은 사람들이 향기 있는 꽃으로 꽃다발을 만들어 외출 시에 들고 다녔다. 이러한 꽃다발은?

  1. 노우즈 게이(nosegay)
  2. 클러스터(cluster) 부케
  3. 보겐(Bogen)
  4. 선 버스트(sun burst) 부케
(정답률: 94%)
  • 노우즈 게이는 영국 조지안 시대에 인기 있던 꽃다발로, 전염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믿어졌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외출 시에 들고 다녔다. 이름은 "코에 냄새를 맡게 하는 것"을 뜻하는 프랑스어 "nose gay"에서 유래하였다. 클러스터 부케는 여러 개의 꽃이 한 묶음으로 묶인 형태이고, 보겐은 둥근 모양의 꽃다발을 뜻한다. 선 버스트 부케는 태양 모양으로 꽃을 배열한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한국의 화훼장식의 역사 중 삼국시대에 나타난 벽화의 꽃꽂이 형태 특징이 아닌 것은?

  1. 연꽃의 선과 공간처리의 자연 묘사적 표현
  2. 매우 풍성한 느낌의 좌우대칭 형태의 공화의 한 형식
  3. 꽃을 흩뿌리는 산화도 형식
  4. 연꽃을 병입가에 한 줄기로 보이듯 세워 전후좌우 부드러운 곡선의 대칭으로 꽂은 형식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매우 풍성한 느낌의 좌우대칭 형태의 공화의 한 형식"입니다. 이유는 문제에서 언급한 특징 중 유일하게 벽화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벽화에서 나타난 꽃꽂이 형태의 특징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구성형식에 의한 분류 중 장식적인 구성이 발전되어 나타난 새로운 현대적 구성은?

  1. 식생적 구성
  2. 형-선적 구성
  3. 구조적 구성
  4. 오브제적 구성
(정답률: 85%)
  • 구성 요소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하나의 전체를 이루는 구조적 구성은, 단순히 장식적인 요소들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기능적이고 조직적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성은 현대적인 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능성과 미적인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설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꽃 선물에 이용되는 생신축하 경사어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60세 : 축 회갑(祝 回甲)
  2. 70세 : 축 고희(祝 古稀)
  3. 80세 : 축 송수(祝 頌壽)
  4. 90세 : 축 백수(祝 白壽)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60세 : 축 회갑(祝 回甲)"입니다. 회갑은 60세 생일을 의미하는데, 이는 중국에서 유행하는 관습이며 한국에서는 그렇게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꽃 선물에 이용되는 생신축하 경사어로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90세는 백수라는 의미로, 백년을 살아서 흰 머리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화훼장식 디자인 및 제작론

61. N.C.S 표기법에서 S2030-Y80R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30% 검정색도 20% 유채색도를 나타내며, Y80R은 80%의 노랑 색조를 띤 빨강이다.
  2. 20% 검정색도 30% 유채색도를 나타내며, Y80R은 80%의 빨강 색조를 띤 노랑이다.
  3. 20% 유채색도 30% 검정색도를 나타내며, Y80R은 80%의 빨강 색조를 띤 노랑이다.
  4. 30% 무채색도 20% 흰색도를 나타내며, Y80R은 80%의 노랑 색조를 띤 빨강이다.
(정답률: 64%)
  • N.C.S 표기법에서 S2030-Y80R은 "20% 검정색도 30% 유채색도를 나타내며, Y80R은 80%의 빨강 색조를 띤 노랑이다." 이다. 이유는 S2030은 검정색과 유채색의 비율을 나타내며, 검정색이 20%, 유채색이 30%이다. Y80R은 노랑과 빨강의 비율을 나타내며, 노랑이 80%, 빨강이 20%이다. 따라서 Y80R은 노랑색조를 띤 빨강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매몰건조시 주의점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꽃은 완전히 개화한 후 채취해서 건조해야 한다.
  2. 건조 전에 꽃에 물방울이 없도록 한다.
  3. 건조될 꽃이 고른 압력을 받도록 매몰시켜야 한다.
  4. 겹꽃의 경우 붓을 사용하여 꽃잎 사이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정답률: 67%)
  • "꽃은 완전히 개화한 후 채취해서 건조해야 한다."는 이유는 꽃이 완전히 개화되기 전에 채취하면 꽃잎이 제대로 펴지지 않아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꽃이 완전히 개화한 후에 채취하여 건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실내공간에 화훼 장식품들을 제작 배치 시 설계 도면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평면도 - 물체의 위에서 본 것으로 1차원적인 그림이다.
  2. 입면도 - 실내 각 면을 수평으로 본 그림이다.
  3. 상세도 - 중요한 부분을 자세하게 나타낸 그림이다.
  4. 배치도 - 시설물이나 식재계획, 장식물의 배치 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정답률: 75%)
  • "입면도 - 실내 각 면을 수평으로 본 그림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입면도는 실내 각 면을 수직으로 본 그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감법혼색(=감산혼합)의 3원색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마젠타(Magenta)
  2. 시안(Cyan)
  3. 녹색(Green)
  4. 노랑(Yellow)
(정답률: 알수없음)
  • 감법혼색은 빨강, 파랑, 초록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감법혼색의 3원색은 빨강, 파랑, 초록입니다. 따라서 녹색은 감법혼색의 3원색 중 하나이므로, 감법혼색의 3원색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절화 줄기의 고정재료나 고정방법에 대한 설명이 적절한 것은?

  1. 플로랄 폼은 저절로 물을 흡수하도록 침구법을 사용한다.
  2. 수선화는 침봉을 이용해 꽂으면 훨씬 더 쉽게 줄기를 고정 할 수 있다.
  3. 절화로 나오는 난과식물은 유리관이나 깔때기, 워터튜브 등에 꽂아 연결시킬 수 없다.
  4. 국화는 줄기 내부가 비어있어 철사를 줄기 내부로 넣어주어 줄기가 넘어가지 않게 한다.
(정답률: 75%)
  • 플로랄 폼은 침구법을 사용하여 물을 흡수하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절화를 꽂을 때 따로 물을 주지 않아도 물이 공급되어 꽃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색채의 감정효과를 활용한 화훼장식의 맞지 않는 사례는?

  1. 히스테리, 경련 등 신경장애의 치료를 위해 파란색계열의 장식을 하였다.
  2. 식탁장식을 위하여 식욕을 돋구어 주황색 계열의 장식을 만들었다.
  3. 부드러운 감정을 전하기 위해 고명도, 저채도의 근접색상으로 꽃다발을 만들었다.
  4. 아픈 사람의 병문안을 위해 희망을 주도록 한색계열의 장식을 선택하였다.
(정답률: 82%)
  • 아픈 사람의 병문안을 위해 희망을 주도록 한 색계열의 장식을 선택한 것은, 화훼장식이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색채는 우리의 감정과 직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적절한 색상을 선택하여 화훼장식을 꾸미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경우, 희망을 상징하는 밝은 색상을 선택하여 아픈 사람에게 위로와 격려를 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배색을 통하여 '화려한 화훼장식'을 하고자 할 때 가장 알맞은 배색은?

  1. 고명도, 저채도의 근접색상 배색
  2. 고명도, 고채도의 근접색상 배색
  3. 저명도, 고채도의 보색색상 배색
  4. 고명도, 고채도의 보색색상 배색
(정답률: 알수없음)
  • 화려한 화훼장식을 위해서는 색상의 선명도와 채도가 높은 고명도, 고채도의 색상이 적합합니다. 이때 보색색상을 사용하면 대비가 강하고 화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명도, 고채도의 보색색상 배색"이 가장 알맞은 배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동양식 절화 장식에 사용되는 주지의 기호로 바른 것은?

  1. △ : 제 3주지
  2. □ : 제 1주지
  3. ○ : 종지
  4. T : 제 2주지
(정답률: 82%)
  • 동양식 절화 장식에서 주지는 중심에 위치하며, 주로 물고기나 동물 등의 모양으로 만들어진 장식입니다. 주지는 제 1주지, 제 2주지, 제 3주지로 구분되며, 각각의 주지는 다른 기호로 표시됩니다. 이 중 바른 것은 제 3주지를 나타내는 △입니다. 제 3주지는 주로 중앙에 위치하며, 제 1주지와 제 2주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로 크고 복잡한 동양식 절화 장식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Unit 기법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카네이션이나 국화 같은 질감에도 와이어링 할 수 있는 기법이다.
  2. 테이핑한 철사를 중심으로 점차적 크기를 증대하면서 부케나 코사지에 많이 사용한다.
  3. 야채나 과일 밑둥에 철사를 감아 조립한다.
  4. 아래에서 위로 뽑아 올린 철사의 끝을 둥근 고리모양으로 만드는 기법이다.
(정답률: 79%)
  • 카네이션이나 국화 같은 질감에도 와이어링 할 수 있는 기법이다. - 이유: Unit 기법은 꽃의 종류나 질감에 상관없이 와이어링이 가능한 기법으로, 꽃의 구조를 잘 보존하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조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화훼장식 디자인 과정에서 절화 장식물의 평가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신부화는 신부의 분위기와 어울리며, 가볍고 취급하기 편하게 제작되었는가를 평가한다.
  2. 테이블장식의 경우 식욕을 돋구며, 식사하기에 편리하고, 대화가 가능하게 디자인되었는가를 평가한다.
  3. 공간 테마장식은 최대한의 공간에 유행하는 디자인을 적절하게 활용하였는가를 평가한다.
  4. 꽃꽂이의 경우 소재들의 고정방법과 지지재의 사용이 적합한가를 평가한다.
(정답률: 70%)
  • 공간 테마장식은 최대한의 공간에 유행하는 디자인을 적절하게 활용하였는가를 평가하는 것은 옳은 방법이 아니다. 유행하는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것이 공간과 어울리지 않거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면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즉, 공간 테마장식은 유행과 기능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디자인되었는가를 평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NCS로 표기된 아래의 색을 보고 배색의 유형을 선택하면?

  1. 톤 그라데이션
  2. 명도 그라데이션
  3. 채도 그라데이션
  4. 색상 그라데이션
(정답률: 70%)
  • 정답은 "명도 그라데이션"입니다. 이유는 색상은 동일하지만 밝기가 서서히 변하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색상은 동일하고 밝기만 서서히 변하는 것을 의미하는 명도 그라데이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평면적인 화면에 생화, 건조소재, 기타 다양한 식물 외소재를 입체적 또는 반평면적으로 배치하여 표현하는 기법은?

  1. 리스(wreath)
  2. 콜라주(collage)
  3. 갈란드(garland)
  4. 형상물(figure)
(정답률: 55%)
  • 콜라주는 다양한 소재를 모아서 하나의 작품으로 만드는 기법으로, 평면적인 화면에 입체적 또는 반평면적으로 배치하여 표현합니다. 따라서 생화, 건조소재, 기타 다양한 식물 외소재를 콜라주 기법으로 배치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리스는 원형으로 배치된 식물이나 장식물을 말하며, 갈란드는 연결된 식물이나 장식물을 일렬로 나열한 것을 말합니다. 형상물은 입체적인 조형물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화원에서 분화의 보관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화의 대부분은 50~60%정도의 습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2. 관엽식물은 10~15℃ 정도 온도를 유지해 주어야 한다.
  3. 화원의 전시실 조명은 2,000~3,000lux로 매일 12~14시간 정도 유지해 준다.
  4. 히야신스, 크로커스, 무스카리, 나팔수선과 같은 구근식물은 5~12℃ 정도의 낮은 온도가 알맞다.
(정답률: 39%)
  • "관엽식물은 10~15℃ 정도 온도를 유지해 주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관엽식물은 18~24℃ 정도의 온도에서 잘 자라며, 일부 종류는 15℃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도 잘 자라기도 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관엽식물이 10~15℃ 정도의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이유는, 이 온도 범위에서는 식물의 광합성 작용이 가장 잘 일어나기 때문이다. 즉, 이 온도에서는 식물이 더 많은 탄소를 흡수하고, 더 많은 산소를 방출하여 식물이 더욱 건강하게 자랄 수 있다. 또한, 이 온도에서는 식물의 수분증발이 적어져 더욱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과 같은 스타일의 신부부케를 지칭하는 것은?

  1. 터지머지(Tuzzy muzzy) 부케
  2. 라운드(Round) 부케
  3. 오벌 라운드(Oval round) 부케
  4. 방사선형(Radiation) 부케
(정답률: 80%)
  • 이 부케는 "터지머지(Tuzzy muzzy) 부케"로 불린다. 이는 꽃잎이 터지듯이 퍼져나가는 모습이 유사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은 자연적인 디자인 양식(natural design style) 중 무엇을 설명한 것인가?

  1. 보태니컬(botanical)
  2. 래디얼 베지터티브(radial vegetative)
  3. 랜드케이프(landscape)
  4. 패럴랠 베지터티브(parallel vegetative)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디자인 양식은 식물이나 자연적인 요소들을 모티브로 사용하여 디자인한 것으로, 보태니컬(botanical)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절화장식물의 관리요령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각 소재들은 관리방법이 다르므로 다양한 소재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2. 절화 장식품이 충분한 수분공급이 되는지 확인한다.
  3. 절화에서 에틸렌이 발생하므로 비닐에 포장된 상태로 오래 방치하지 않는다.
  4. 선풍기, 에어컨 등 직접적인 바람을 쏘이지 않는다.
(정답률: 75%)
  • 각 소재들은 관리방법이 다르므로 다양한 소재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는 것은 맞는 내용이 아닙니다. 오히려 다양한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더욱 다채로운 디자인을 만들어낼 수 있고, 각 소재별로 적절한 관리 방법을 찾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화훼장식에 있어서 디자인의 전체적인 틀과 골격을 형성하는 요소는?

  1. 방향
  2. 크기
(정답률: 알수없음)
  • 선은 화훼장식에서 디자인의 전체적인 틀과 골격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선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 디자인의 느낌과 분위기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선은 화훼장식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며, 굵고 진한 선이나 가느다란 선 등 다양한 두께와 형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선은 화훼장식에서 디자인의 전체적인 틀과 골격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꽃잎이나 초화류의 넓은 입에 바느질하듯 철사를 꿰어주는 방법은?

  1. 후크법(hook method)
  2. 소잉법(sewing method)
  3. 인서션법(insertion method)
  4. 헤어핀법(hair-pin method)
(정답률: 80%)
  • 꽃잎이나 초화류의 넓은 입에 바느질하듯 철사를 꿰어주는 방법은 소잉법으로, 이는 바느질을 통해 철사를 꿰어주는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인 후크법은 훅을 사용하여 철사를 고정하는 방법, 인서션법은 철사를 꽂아서 고정하는 방법, 헤어핀법은 헤어핀을 사용하여 철사를 고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화훼장식에 이용되는'플로랄 폼'자르기로 바른 것은?

  1. 플로랄 폼은 경우에 따라서 여러 가지 공구로 자를 수 있다.
  2. 충분한 수분공급을 위해서 물이 담겨진 용기 내 충분한 공간을 두고 채운다.
  3. 용기의 모든 면을 꽉 채우도록 자른다.
  4. 플로랄 폼의 한쪽 구석을 잘라내서는 안 된다.
(정답률: 69%)
  • 플로랄 폼은 수분을 흡수하여 꽃을 싱싱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충분한 수분공급을 위해서는 물이 담겨진 용기 내 충분한 공간을 두고 채워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절화장식의 디자인 과정으로 바른 것은?

  1. 구체적인 구상과 스케치 → 도면과 서류 작성 → 연습 →소재의 구입과 준비 →장식물의 제작과 포장, 운반, 설치 → 주제의 결정 →공간의 특성 조자 분석 → 평가
  2. 주제의 결정 → 공간의 특성 조자 분석 → 구체적인 구상과 스케치 →도면과 서류 작성 → 연습 → 소재의 구입과 준비 → 장식물의 제작과 포장, 운반, 설치 → 평가
  3. 공간의 특성 조사 분석 → 구체적인 구상과 스케치 → 주제의 결정 → 연습 →소재의 구입과 준비 → 장식물의 제작과 포장, 운반, 설치 → 평가
  4. 도면과 서류 작성 → 평가 → 주제의 결정 → 공간의 특성 조사 분석 → 구체적인 구상과 스케치 → 소재의 구입과 준비 → 장식물의 제작과 포장, 운반, 설치
(정답률: 82%)
  • 절화장식의 디자인 과정은 주제의 결정부터 시작하여 공간의 특성 조사 분석을 거쳐 구체적인 구상과 스케치, 도면과 서류 작성, 연습, 소재의 구입과 준비, 장식물의 제작과 포장, 운반, 설치를 진행한 후 평가하는 것이 올바른 과정입니다. 이는 디자인 과정에서 주요한 요소들을 순서대로 진행하여 최종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화훼유통 및 경영론

81. 유통혁신에 의한 셀프서비스 시대의 사회에서 일련의 광고 캠페인을 매듭짓는 마지막 수단으로서 고객의 구매시점에서 행하여지는 광고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노벨티광고
  2. 인터넷광고
  3. POP(Point of Purchase)광고
  4. CF광고
(정답률: 37%)
  • 고객의 구매시점에서 행하여지는 광고를 "POP(Point of Purchase)광고"라고 한다. 하지만 인터넷 광고는 유통혁신에 따라 셀프서비스 시대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고객이 인터넷을 통해 제품을 검색하고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에 인터넷 광고도 일종의 구매시점 광고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화훼 유통과정에서의 여러 기능 중 물리적 기능이 아닌 것은?

  1. 운송 기능
  2. 저장보관 기능
  3. 가공처리 기능
  4. 표준화 기능
(정답률: 84%)
  • 화훼 유통과정에서의 여러 기능 중 물리적 기능이 아닌 것은 "표준화 기능"입니다. 이는 제품의 품질, 크기, 색상, 포장 등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통일하여 고객에게 일관된 제품을 제공하고, 유통과정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능입니다. 따라서 물리적인 운송, 저장보관, 가공처리 기능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프렌차이즈 체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본점과 가맹점이 종적인 연대를 갖는다.
  2. 가맹점은 본점으로부터 경영지도를 받는다.
  3. 가맹점은 본점에 로열티를 지불한다.
  4. 본점과 가맹점의 소유주가 같다.
(정답률: 72%)
  • 본점과 가맹점의 소유주가 같다는 것은 프렌차이즈 체인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가맹점이 독립적인 사업체로 운영되는 것과 대조적입니다. 따라서 가맹점은 본점으로부터 경영지도를 받고 로열티를 지불하지만, 소유주는 본점과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주요 수출 화훼품목의 생산 동향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장미는 정부 수출관련 시설 및 기술지원으로 재배 면적이 증가 추세에 있다.
  2. 나리는 고품질 절화생산 기반이 마련되었으나 구근가격이 높아 원가 부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3. 수출용 선인장은 외국 육성 품종이므 로열티 또는 묘 구입비용이 너무 높아 수출 효자 품목이 아니다.
  4. 난류는 일본보다 가격경쟁력이 있고 중국보다 재배기술 및 품질이 우위에 있어 당분간 수출 지속이 예상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출용 선인장은 외국 육성 품종이므로 로열티 또는 묘 구입비용이 너무 높아 수출 효자 품목이 아니다."가 맞지 않는다. 이유는 외국 육성 품종이라는 것은 수출 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것이며, 로열티나 묘 구입비용이 높다는 것은 수출 효자 품목이 아니라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농업입지이론에 관한 이론을 제시한 사람은?

  1. 리카르도
  2. 아담스미스
  3. 폰 튀넨
  4. 브링크만
(정답률: 70%)
  • 농업입지이론을 제시한 사람은 폰 튀넨입니다. 폰 튀넨은 농업 생산성이 높은 지역에서는 농업이 발전하고,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는 다른 산업이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는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농업 생산성과 지리적 요인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 것으로, 농업입지이론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거베라 절화가 1묶음 평균의 꽃대 길이가 몇 cm 이상일 때 1급(1등급)을 받을 수 있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55cm 이상
  2. 65cm 이상
  3. 70cm 이상
  4. 75cm 이상
(정답률: 5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일반적으로 꽃이 피는 분식물의 경우, 1일 12시간 조명을 한다면, 다음중 적당한 광도는?

  1. 약 500 lux
  2. 약 1,000 lux
  3. 약 1,500 lux
  4. 약 2,500 lux
(정답률: 42%)
  • 일반적으로 꽃이 피는 분식물은 중간 정도의 광도를 선호한다. 이 때, 적당한 광도는 약 2,500 lux이다. 이는 광도가 너무 낮으면 꽃이 피지 않고, 너무 높으면 잎이 타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1일 12시간 조명을 한다면 약 2,500 lux의 광도가 적당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매장의 중앙에 설치해 양면에서 진열 상태를 볼 수 있어 진열 효과를 배가시키는 쇼케이스 형태는?

  1. 중앙측면 라운드 형
  2. U자형 라운드 형
  3. 사각형 라운드 형
  4. 양면형 라운드 형
(정답률: 64%)
  • U자형 라운드 형은 매장의 중앙에 설치되어 양면에서 진열 상태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고객들이 상품을 더욱 쉽게 찾아볼 수 있고, 더 많은 상품을 진열할 수 있어 진열 효과를 배가시키기에 적합한 형태이다. 또한 U자형으로 디자인된 쇼케이스는 공간 활용도가 높아 매장 내부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효율적인 화훼 유통체계의 확립 방법이 아닌 것은?

  1. Cold Chain System 및 습식유통 등으로 화훼 품질 개선
  2. 유통체계가 복잡한 화훼 공판장의 활용보다 신속한 개별산지 도매상인에 의한 거래 활성화
  3. 화훼 유통정보 시스템 및 규격 표준화 강화
  4. 공동선별, 포장, 판매 등 산지 유통 개선 조성 및 상품화 촉진
(정답률: 알수없음)
  • 유통체계가 복잡한 화훼 공판장의 활용보다 신속한 개별산지 도매상인에 의한 거래 활성화가 효율적인 화훼 유통체계의 확립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개별산지 도매상인에 의한 거래는 화훼 시장의 투명성을 낮출 수 있으며, 품질 관리와 가격 협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훼 공판장을 비롯한 다양한 유통 채널을 활용하고, 화훼 유통정보 시스템 및 규격 표준화를 강화하며, 산지 유통 개선 조성과 상품화 촉진 등 ganzheitliche 접근 방식을 통해 효율적인 화훼 유통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Cold Chain System 및 습식유통 등으로 화훼 품질 개선도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관련 법규상 농산물 표준규격에서 화훼류의 등급 규격은 몇 등급으로 구분되는가?

  1. 3등급
  2. 4등급
  3. 6등급
  4. 12등급
(정답률: 알수없음)
  • 농산물 표준규격에서 화훼류의 등급 규격은 꽃의 상태와 크기, 색상 등을 기준으로 3등급, 4등급, 6등급, 12등급으로 구분되며, 등급이 높을수록 더 우수한 품질을 가진 제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훼류의 등급 규격은 3등급으로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품목별 연간 화훼생산액(2004년 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알맞은 것은? (단, 품목은 절화류, 분화류(난류 포함), 초화류(화단용), 관상수류, 화목류, 종자ㆍ종묘류, 구근류를 말함)

  1. 분화류(난류 포함)는 연간 농가 판매액이 관상 수류보다 크다.
  2. 절화류의 연간 농가 판매금액이 분화류의 품목에 비해 적다.
  3. 구근류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므로 농가 판매액을 산정할 수 없다.
  4. 전화류 중 연간 농가판매액이 가장 많은 작목은 거베라다.
(정답률: 84%)
  • "분화류(난류 포함)는 연간 농가 판매액이 관상 수류보다 크다." 이유는 분화류(난류 포함)가 대량 생산되어 시장에서 인기가 높기 때문이다. 또한 분화류는 꽃이 오래 지속되는 특성이 있어 꽃다발 등으로도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수요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농산물의 적정한 품질관리를 통하여 농산물의 상품성을 높이고 공정한 거래를 유도함으로 농업인의 소득증대와 소비자 보호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제정 시행 중인 법은?

  1. 농산물 검사법
  2. 농수산물 품질 관리법
  3. 농산물 가공 산업 육성법
  4. 농산물 품질 관리법
(정답률: 88%)
  • 농산물 품질 관리법은 농산물의 품질을 적정하게 유지하고 관리하여 농산물의 상품성을 높이고 공정한 거래를 유도함으로써 농업인의 소득증대와 소비자 보호에 이바지하는 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농산물 품질 관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수익성 비율 계산 방법 중 틀린 것은?

  1. 투자수익률 = 순영업이익/영업용 자산
  2. 영업용자산회전률 = 순매출액/영업용자산
  3. 영업이익률 = 영업순이익/순영업용자산
  4. 매출이익률 = 당기순이익/순매출액
(정답률: 40%)
  • 영업이익률은 영업순이익을 영업수익으로 나눈 비율이며, 나머지 세 가지는 모두 영업용자산을 기준으로 수익성을 계산한 비율입니다. 따라서 영업용자산회전률은 영업활동에서 사용되는 자산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순매출액을 영업용자산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절화류에 있어 1묶음이 20본(줄기)의 수인 것은?

  1. 국화(스텐다드)
  2. 리아트리스
  3. 리시안사스
  4. 글라디올러스
(정답률: 90%)
  • 정답은 "국화(스텐다드)"입니다.

    절화류는 줄기의 수에 따라 묶음 단위가 결정됩니다. 대부분의 절화류는 10본 또는 5본 단위로 판매되지만, 일부는 20본 단위로 판매됩니다.

    리아트리스, 리시안사스, 글라디올러스는 모두 10본 단위로 판매되는 절화류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문제에서 제시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국화(스텐다드)는 20본 단위로 판매되는 절화류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문제에서 제시된 조건을 만족하며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화훼 품종보호를 위한 UPOV협약 조건이 아닌 것은?

  1. 구별성(Distinctness)
  2. 신규성(Novelty)
  3. 정보성(Uniformity)
  4. 균일성(Information)
(정답률: 59%)
  • 정보성(Uniformity)은 UPOV협약에서 품종보호를 위한 조건이 아닙니다. 구별성(Distinctness), 신규성(Novelty), 균일성(Uniformity)은 모두 UPOV협약에서 품종보호를 위한 조건으로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구별성은 해당 품종이 다른 품종들과 구별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이고, 신규성은 해당 품종이 이전에 등록된 품종과 구별되는 새로운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입니다. 균일성은 해당 품종 내에서 특징이 일정하게 나타나는지를 검사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화훼경영에서 손익분기점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

  1. 손익분기점 분석에서는 보통 비용을 고정비와 변동비로 분해해서 순수이익과 관계를 검토 한다.
  2. 한 기간의 매출액이 당해 기간의 총 비용과 일치하는 점이다.
  3. 한 기간의 매출액이 그 이상이면 손실이 나고 그 이하이면 이익이 생기는 점이다.
  4. 한 기간의 매출액이 그 이상이면 손실이 나고 그 이하라도 손실이 생기는 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 기간의 매출액이 당해 기간의 총 비용과 일치하는 점이 손익분기점이다. 이는 매출액이 비용을 상쇄하는 지점으로, 이전에 발생한 고정비와 변동비를 고려하여 순수이익과 관계를 검토하며, 매출액이 이 점보다 적으면 손실이 발생하고, 이 점보다 많으면 이익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화원의 매출액(조수입)이 200만원이고 경영비(100만원), 생산비가 150만원, 소득이 100만원, 순수입이 50만원인 경우 소득율은?

  1. 40%
  2. 50%
  3. 60%
  4. 70%
(정답률: 70%)
  • 소득율은 순수입을 매출액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입니다. 따라서, 화원의 순수입은 200 - 100 - 150 - 100 = -150이 되고, 이를 매출액으로 나눈 값은 -150 ÷ 200 = -0.75입니다. 하지만, 소득율은 양수이므로, 이 값을 절댓값으로 바꾸어 줍니다. 따라서, 소득율은 |-0.75| × 100 = 75%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순수입이 음수이므로, 화원은 손해를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소득율은 0%보다 작을 것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0%"인 이유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절화 수명 연장제 및 선도 유지로 사용하기에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KNO3
  2. STS(Silver thiosulfate)
  3. Sucrose(자당)
  4. HQS(8-hydroxyqunoline sulfate)
(정답률: 73%)
  • 정답은 "KNO3"입니다. KNO3은 절화 수명 연장제나 선도 유지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KNO3은 주로 비료나 화약 제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우리나라 화훼유통 구조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

  1. 유사도매시장(재래시장)에서 거래를 주도하고 있다.
  2. 분화류에 대해서는 농산물 품질 관리원에서 일부품목에 대해서만 표준출하규격을 설정해 놓고 있다.
  3. 공동출하체계가 미흡하고 포장단위의 표준화가 저조한 실정에 있다.
  4. 지나친 수도권 중심의 시장 형성이 이루어져 있다.
(정답률: 46%)
  • 정답은 "분화류에 대해서는 농산물 품질 관리원에서 일부품목에 대해서만 표준출하규격을 설정해 놓고 있다."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우리나라 화훼유통 구조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들이지만, 분화류에 대한 표준출하규격 설정은 문제점이 아니라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내용입니다. 분화류는 다양한 종류와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출하규격을 설정하는 것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우리나라 화훼수출에서 수출 가능성이 가장 높은 나라는?

  1. 네덜란드
  2. 미국
  3. 일본
  4. 싱가포르
(정답률: 67%)
  • 일본은 화훼 소비량이 매우 높은 나라이며, 또한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워 운송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화훼수출에서 수출 가능성이 가장 높은 나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