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9-07)

의공산업기사
(2008-09-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초의학 및 의공학

1.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전극은?

  1. 금속플레이드 전극(Metal-plate electrode)
  2. 플로팅 전극(Floating electrode)
  3. 접시 전극(Metal-disk electrode)
  4. 흡판 전극(Suction electrode)
(정답률: 83%)
  • 이 그림은 전극이 물 속에 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극을 플로팅 전극이라고 합니다. 플로팅 전극은 전극과 용액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러한 전극은 전극과 용액 사이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전극과 용액 사이의 전극 반응이 적어지고, 따라서 전극 반응이 용액의 전극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피부가 인지하는 자극이 아닌 것은?

  1. 차가움
  2. 뜨거움
  3. 눌림
  4. 단 맛이 남
(정답률: 99%)
  • 단 맛은 피부가 인지하는 자극이 아니라, 입으로 맛을 느끼는 것이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피부는 차가움, 뜨거움, 눌림 등의 자극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신장의 기능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혈압조절
  2. 산 염기 평형유지
  3. 망원질 합성 및 분해
  4. 체액 및 전해질 조절
(정답률: 89%)
  • 망원질 합성 및 분해는 신장의 기능 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신장 대신 간에서 일어나는 과정으로, 간에서 담즙산을 생성하고 이를 담즙으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일어납니다. 따라서 신장의 기능으로는 혈압조절, 산 염기 평형유지, 체액 및 전해질 조절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해질의 이온전류와 금속의 자유전자 전류 사이의 변환에 사용되는 것은?

  1. 전극(electrode)
  2. 인덕터(inductor)
  3. 바이메탈(bimetal)
  4. 포토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
(정답률: 83%)
  • 전극은 전해질의 이온전류와 금속의 자유전자 전류를 연결하여 전류 변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전극은 전기적으로 활성한 물질로, 전해질과 금속 사이에서 전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합니다. 따라서 전극은 전기 화학 반응, 전기 분해, 전기 도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세포 내 구조인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의 역할은?

  1. 영양소로부터 에너지를 추출
  2. 독성 물질을 해독하는 등의 세포 보호기능
  3. 여러 세포소기관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단백질을 합성하는 역할
  4. 소화효소를 함유하여 노화된 세포소기관이나 부스러기 같은 물질들을 분해
(정답률: 86%)
  •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에서 영양소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추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ATP(아데노신 삼인산)이 생성되어 세포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역할 때문에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생존과 활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교감 신경과 관련되지 않은 것은?

  1. 소화액 분비를 증가시킨다.
  2. 스트레스가 많아지면 활발해진다.
  3. 중추는 척수의 흉요부측각에 있다.
  4. 분비선을 관류하는 혈관들의 수축을 일으킨다.
(정답률: 87%)
  • "소화액 분비를 증가시킨다."는 교감 신경과 관련이 있습니다. 교감 신경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활발해지며, 분비선을 관류하는 혈관들의 수축을 일으켜 소화액 분비를 증가시킵니다. "중추는 척수의 흉요부측각에 있다."는 교감 신경과 관련된 내용이 아니며, "스트레스가 많아지면 활발해진다."는 교감 신경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화학센서의 측정 대상 물질이 아닌 것은?

  1. 혈중 콜레스트롤 수치
  2. 산소 분압
  3. 혈압
  4. 혈당
(정답률: 63%)
  • 화학센서는 화학적인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 물질을 감지하고 분석하는데, 혈압은 화학적인 반응과는 관련이 없는 물리적인 측정값이기 때문에 화학센서의 측정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용량성 센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변위를 주로 측정한다.
  2. 접합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한다.
  3. 물리적 압력이 가해지면 전압을 발생한다.
  4. 온도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한다.
(정답률: 75%)
  • 용량성 센서는 물리적인 변위에 따라 전기용량이 변화하므로, 변위를 주로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과 같은 표면전극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미세와이어 전극(Fing-wire electrode)
  2. 금속판 전극(Metal-plate electrode)
  3. 플로팅 전극(Floating electrode)
  4. 흡판 전극(Suction electorde)
(정답률: 92%)
  • 정답은 "미세와이어 전극(Fing-wire electrode)"이다. 이는 매우 얇은 금속 와이어를 사용하여 측정 대상에 직접 꽂아서 사용하는 전극으로, 측정 대상과의 접촉면적이 작아서 민감한 측정이 가능하다. 반면에 다른 전극들은 대상과의 접촉면적이 크거나 특정한 용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ECG의 측정방법 중 팔다리에서 측정하는 신호가 아닌 것은?

  1. LEAD I
  2. V6
  3. aVF
  4. aVR
(정답률: 92%)
  • V6은 팔다리에서 측정하는 신호가 아니라, 가슴 벽면에서 측정하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V6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심전도 파형의 의미로 옳지 않은 것은?

  1. P 파는 심방의 탈분극
  2. Q 파는 심실 격벽의 탈분극
  3. R 파는 심실의 탈분극
  4. T 파는 심방의 재분극
(정답률: 86%)
  • 정답은 "T 파는 심방의 재분극"입니다. T 파는 심방의 전기적인 재분극을 나타내며, 심방의 수축이 완료된 후 발생합니다. 따라서 T 파는 심방의 재분극을 나타내는 것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두 개의 코일을 같은 축 방향으로 배열하여 상호인덕턴스의 변화로부터 위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의 종류는?

  1. 압전센서
  2. 유도성센서
  3. 서미스터
  4. 열전쌍
(정답률: 85%)
  • 유도성센서는 두 개의 코일을 같은 축 방향으로 배열하여 상호인덕턴스의 변화로부터 위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입니다. 이는 코일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면 상호인덕턴스가 변화하게 되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도성센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피부 표면에 부착하는 전극은?

  1. 일회용 금속판 전극(disposable electorde)
  2. 이식형 전극(implantable electorde)
  3. 바늘형 전극(needle electorde)
  4. 미세 전극(micro electorde)
(정답률: 93%)
  • 일회용 금속판 전극은 피부 표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며, 한 번 사용 후 폐기되는 전극입니다. 이식형 전극은 인체 내부에 이식되어 사용되는 전극이며, 바늘형 전극은 피부를 관통하여 사용되는 전극입니다. 미세 전극은 매우 작은 크기의 전극으로, 주로 뇌나 신경 조직 등의 연구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피부 표면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전극은 일회용 금속판 전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의용생체 센서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입력의 변화에 대한 출력의 변화가 일정한 비례 관계를 가져야 함을 뜻하는 특성은?

  1. 높은 강도
  2. 안정성
  3. 선형성
  4. 생체적합성
(정답률: 94%)
  • 선형성은 입력과 출력 간의 변화가 일정한 비례 관계를 가져야 함을 뜻합니다. 이는 센서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특성입니다. 예를 들어, 센서가 측정한 입력 값이 2배가 되면 출력 값도 2배가 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선형성 특성은 센서의 측정 범위와 정확도를 결정하며,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그림에 나타낸 전극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은?

  1. Ⓐ 부분
  2. Ⓑ 부분
  3. Ⓒ 부분
  4. Ⓓ 부분
(정답률: 98%)
  • 전극의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은 "Ⓒ 부분"입니다. 이는 전극의 중앙에 위치한 부분으로,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전기 신호를 전달합니다. "Ⓐ 부분"과 "Ⓑ 부분"은 전극의 연결 부분이며, "Ⓓ 부분"은 전극의 끝 부분으로 피부와 접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용량성 센서의 평행판 축전기의 정전용량 에서 ε 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평행판 사이의 간격
  2. 평행판 넓이
  3. 인가할 전압
  4. 축전기의 유전율
(정답률: 88%)
  • ε는 축전기의 유전율을 의미한다. 축전기의 유전율은 축전기 내부의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데, 이는 축전기의 구성 요소인 절연체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ε 값이 클수록 축전기는 더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해부학적 방향에 대한 용어 설명이다. 해당하는 방향은 무엇인가?

  1. 정중면(median plane)
  2. 전두면(frontal plane)
  3. 시상면(sagittal plane)
  4. 횡단면(transverse plane)
(정답률: 93%)
  • 해당하는 방향은 "시상면(sagittal plane)"이다.

    "시상면(sagittal plane)"은 몸을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는 평면을 의미한다. 그림에서도 몸을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는 평면이 그려져 있기 때문에 시상면이 맞다.

    "전두면(frontal plane)"은 몸을 앞과 뒤로 나누는 평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시상면(sagittal plane)"이 아니라 "전두면(frontal plane)"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그림은 일회용 금속판 전극(disposable electrode)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금속판 부분은?

  1. Ⓐ 부분
  2. Ⓑ 부분
  3. Ⓒ 부분
  4. Ⓓ 부분
(정답률: 94%)
  • 일회용 금속판 전극은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거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극이다. 그림에서 "Ⓒ 부분"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 부분"이다. "Ⓐ 부분"은 전극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 부분"은 전극을 피부에 고정하기 위한 젤, "Ⓓ 부분"은 전극의 크기를 조절하는 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화학센서에서 측정하는 양은 무엇인가?

  1. 변위
  2. 온도
  3. 압력
  4. 수소이온농도
(정답률: 95%)
  • 화학센서는 화학적인 반응을 이용하여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합니다. 이는 용액의 산성 또는 염기성 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측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화학센서에서 측정하는 양은 수소이온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감각 순응(Sensory adapt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통각과 압각은 쉽게 순응된다.
  2. 계속적인 자극은 어떤 기간 동안 수용기의 역치를 감소시킨다.
  3. 환경의 유용한 정보라고 할 수 있는 변화에 주의를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일정한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강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정답률: 75%)
  • 일정한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강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환경의 유용한 정보라고 할 수 있는 변화에 주의를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이유는, 감각 순응이 일어나면서 더 이상 새로운 자극에 대한 반응이 일어나지 않지만, 중요한 변화가 일어날 경우에는 다시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강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의용전자공학

21. 다음 LC 발진기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1. 암스트롱(Amstrong)
  2. 클랩(clap)
  3. 콜피츠(Colpitts)
  4. 하틀리(Hartley)
(정답률: 92%)
  • 콜피츠 발진기는 다른 발진기에 비해 회로가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고주파에서도 잘 작동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콜피츠 발진기는 직렬 공진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서 쉽게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콜피츠 발진기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두 종류의 금속을 접속시켜서 폐회로를 형성하고, 그 두 개의 접점부에 온도차가 발생하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나?

  1. 톰슨 효과
  2. 펠티어 효과
  3. 볼타 효과
  4. 제벡 효과
(정답률: 92%)
  • 두 종류의 금속을 접속시켜서 온도차가 발생하면, 금속 내부의 전자들이 이동하면서 전위차를 만들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제벡 효과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메모리나 입출력 장치들을 접속하는 신호선 집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캐시(cache)
  2. 버퍼(buffer)
  3. 버스(bus)
  4. 레지스터(register)
(정답률: 84%)
  • 버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메모리나 입출력 장치들을 접속하는 신호선 집단을 말합니다. 이는 데이터나 명령어 등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여러 개의 장치들이 하나의 버스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버스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전류의 흐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이다.
  2. 도체의 전기저항은 단면적과 도전율에 비례한다.
  3. 컨덕턴스는 전류가 흐르기 쉬운 정도를 나타낸다.
  4. 도체의 전기저항은 고유저항과 도체 길이에 비례한다.
(정답률: 75%)
  • "도체의 전기저항은 고유저항과 도체 길이에 비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도체의 전기저항은 고유저항과 도체 길이에 반비례한다. 즉, 전기저항은 고유저항과 단면적에 반비례하고, 도체 길이에 비례한다. 이는 오므레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생체신호용 전극 중 주로 신생아의 심전도 측정에 사용 되는 것은?

  1. 흡착전극(suction electrode)
  2. 부유전극(Floating electrode)
  3. 가요성전극(Flexible electrode)
  4. 금속전극(Metal-plate electrode)
(정답률: 88%)
  • 신생아의 피부는 얇고 민감하기 때문에 가요성전극(Flexible electrode)이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져 피부에 부착하기 쉽고,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어 신생아의 움직임에 따라 전극이 떨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일이 없습니다. 또한, 가요성전극은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접촉면적이 크기 때문에 신호의 안정성이 높아 심전도 측정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도체의 단면에 2분 동안 120[C]의 전기량이 통과 하였을 때 전류는 얼마인가?

  1. 1[A]
  2. 2[A]
  3. 3[A]
  4. 4[A]
(정답률: 87%)
  • 전기량은 전류와 시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류는 전기량을 시간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기량이 120[C]이고 시간이 2분(=120초)이므로, 전류는 120[C] ÷ 120[초] = 1[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기체농도의 측정 중 Mass spectroscop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온 전류를 측정하여 농도 계산
  2. 적외선이 기체에 의해 흡수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농도 계산
  3. 기체 분자 별로 일정거리를 비행하므로 거리에 따라 기체 분자를 분리
  4. Sample gas를 추출하여 고전압으로 이온화 시킨 후 진공용기 내로 살포
(정답률: 64%)
  • "적외선이 기체에 의해 흡수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농도 계산"은 Mass spectroscopy와 관련이 없는 측정 방법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설명이다. Mass spectroscopy는 기체 분자를 이온화하여 이온 전류를 측정하여 농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두신호의 차를 증폭하는 것으로 입력에 두 위상의 전압 V1, V2를 가했을 때, 출력전압의 크기가 V1, V2 차에 비례하는 회로는?

  1. 차등증폭회로
  2. 연산증폭회로
  3. 전력증폭회로
  4. 반전증폭회로
(정답률: 95%)
  • 차등증폭회로는 입력 신호의 차이를 증폭하는 회로로, 입력 신호의 차이에 비례하는 출력을 내보낸다. 이는 두 신호의 차이를 측정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반면, 연산증폭회로는 입력 신호를 더하거나 빼는 등의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이고, 전력증폭회로는 출력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회로이다. 반전증폭회로는 입력 신호를 반전시키고 증폭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입력에 두 위상의 전압을 가했을 때 출력전압의 크기가 V1, V2 차에 비례하는 회로는 차등증폭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10진수 12를 2진수로 변환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1100)2
  2. (1001)2
  3. (1110)2
  4. (1101)2
(정답률: 75%)
  • 10진수 12를 2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2 ÷ 2 = 6 ... 0
    6 ÷ 2 = 3 ... 0
    3 ÷ 2 = 1 ... 1
    1 ÷ 2 = 0 ... 1

    나머지를 역순으로 나열하면 (1100)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광학적 계측시스템에서 쓰이는 광원이 아닌 것은?

  1. 텅스텐램프
  2. 레이저
  3. 아크벌진
  4. 피에조크리스탈
(정답률: 90%)
  • 정답: 피에조크리스탈

    설명: 피에조크리스탈은 광원이 아니라 센서나 액츄에이터 등에서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텅스텐램프, 레이저, 아크벌진은 광원으로 사용되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생체계측기기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정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확도 - 측정치를 표시할 수 있는 유효숫자의 범위
  2. 해상도 - 참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참값으로 나눈 것
  3. 정적감도 - 입력의 증감에 대한 출력의 증감의 비
  4. 재현성 - 측정될 수 있는 최소의 증감치
(정답률: 83%)
  • 정적감도는 입력 신호의 증감에 대한 출력 신호의 증감 비율을 나타내는 성능 지표입니다. 즉, 입력 신호가 증가하면 출력 신호도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민감한 센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적감도가 2인 센서는 입력 신호가 1만큼 증가하면 출력 신호가 2만큼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호흡기 폐포 내 공기와 모세혈관 내 혈액 간에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기능의 평가에 사용하는 지표는?

  1. 환기능(ventilation)
  2. 확산능(diffusion)
  3. 분포능(distribution)
  4. 흡수능(absorption)
(정답률: 70%)
  • 정답: 확산능(diffusion)

    설명: 호흡기에서 공기와 혈액 간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은 확산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호흡기 폐포 내 공기와 모세혈관 내 혈액 간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기능을 평가할 때는 확산능(diffusion)을 사용합니다. 확산능은 물질이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연산증폭기(operation amplifier)의 특징 중 옳은 것은?

  1. 매우 낮은 전압 이득
  2. 0(zero) 입력 임피던스
  3. 매우 높은 입력 임피던스
  4. 매우 높은 출력 임피던스
(정답률: 74%)
  • 연산증폭기의 특징 중 매우 높은 입력 임피던스가 옳은 것은, 입력 신호가 연산증폭기에 들어오면 그 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단의 임피던스가 매우 높기 때문에 입력 신호가 손실 없이 전달되어 연산증폭기의 출력을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입력 신호의 소스 임피던스가 높거나, 다른 회로의 입력 신호를 받아들일 때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면적 S[m2], 간격 d[m]인 평행판 콘덴서에 전압 V[V]의 직류전압을 인가했을 때 두 극판사이의 전계 E[V/m]을 표현한 식은?

(정답률: 78%)
  • 전압 V는 극판 사이의 전위차를 의미하고, 전위차는 전기장 E와 거리 d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E = V/d 이다. 이를 평행판 콘덴서에 적용하면, 전기장 E는 극판 사이의 전압 V를 간격 d로 나눈 값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생체전기신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심응도
  2. 근전도
  3. 뇌전도
  4. 심전도
(정답률: 95%)
  • 심응도는 생체전기신호에 해당되지 않는다. 심응도는 심장의 수축과 이완을 측정하는 것으로, 심장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생체전기신호가 아니다. 반면, 근전도는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고, 뇌전도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며,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반도체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전효과가 있다.
  2. 정류작용을 한다.
  3. 불순물을 첨가(doping)해도 저항이 변하지 않는다.
  4.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이 감소하여 도전율이 증가한다.
(정답률: 80%)
  • "불순물을 첨가해도 저항이 변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특성이다. 불순물을 첨가하면 전자의 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인(P)을 첨가하면 n형 반도체가 되어 전자의 수가 증가하고, 산소(O)를 첨가하면 p형 반도체가 되어 전자의 수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 저항도 변화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뇌파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알파파
  2. 세타파
  3. 심음파
  4. 감마파
(정답률: 84%)
  • 심음파는 심장의 울림을 측정하는 것으로, 뇌파의 분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알파파, 세타파, 감마파는 모두 뇌파의 분류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다양한 생체신호 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심자도와 뇌자도는 생화학신호를 측정하는 것이다.
  2. 심전도와 뇌전도는 생체전기신호를 측정하는 것이다.
  3. 심음계와 청진기는 생체음향신호를 측정하는 것이다.
  4. 체지방측정기는 대부분 생체임피던스신호를 측정하는 것이다.
(정답률: 80%)
  • "심자도와 뇌자도는 생화학신호를 측정하는 것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심자도와 뇌자도는 각각 심장과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것이다. 생화학적인 정보를 측정하는 것은 혈압계, 혈당측정기, 혈중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프로그래밍언어 중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것은?

  1. machine language
  2. C language
  3. assembly language
  4. compiler language
(정답률: 84%)
  • "machine language"은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 코드로 작성된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이진 코드로 변환되어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지만, "machine language"는 이미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직접 실행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반가산기 회로를 구성하는 게이트로 옳은 것은?

  1. 각각 1개의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
  2. 각각 1개의 OR 게이트와 NOR 게이트
  3. 각각 1개의 OR 게이트와 EX-OR 게이트
  4. 각각 1개의 AND 게이트와 EX-OR 게이트
(정답률: 72%)
  •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A, B)과 두 개의 출력(S, C)을 가지며, 덧셈 연산을 수행한다. 이때, S는 A와 B를 더한 값의 일의 자리수를 나타내고, C는 A와 B를 더한 값의 십의 자리수를 나타낸다.

    각각 1개의 AND 게이트와 EX-OR 게이트로 반가산기를 구성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AND 게이트: A와 B를 입력으로 받아 두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게이트이다.
    - EX-OR 게이트: A와 B를 입력으로 받아 두 입력이 서로 다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게이트이다.

    반가산기에서 S는 A와 B를 더한 값의 일의 자리수를 나타내므로, A와 B가 서로 다를 때만 1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S를 구하기 위해서는 EX-OR 게이트를 사용해야 한다.

    반면, C는 A와 B를 더한 값의 십의 자리수를 나타내므로,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1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C를 구하기 위해서는 AND 게이트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반가산기 회로를 구성하는 게이트는 각각 1개의 AND 게이트와 EX-OR 게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의료안전ㆍ법규 및 정보

41. 다음 중 의료용 재료 및 의료기기 용출액을 시험동물 수명의 전 기간 동안 1회 이상 노출 또는 접촉시켜 종양형성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시험은?

  1. 발암성시험
  2. 만성독성시험
  3. 유전독성시험
  4. 생분해성시험
(정답률: 83%)
  • 이 시험은 의료용 재료 및 의료기기가 동물의 생체에 노출될 때 종양을 형성할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시험은 발암성시험으로 분류됩니다. 다른 시험들은 각각 다른 독성 평가를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의료정보의 종류의 하나인 임상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생체신호
  2. 의무기록
  3. 의학영상
  4. 질병통제
(정답률: 85%)
  • 임상정보는 환자의 진단, 치료, 예방 등에 관련된 정보를 말하는데, 이 중에서 "질병통제"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질병통제는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나 정책을 말하며, 의료정보의 종류 중에서는 임상정보와는 조금 다른 범주에 속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질병통제"가 임상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병원에서 적합한 의료가스공급 장소가 아닌 것은?

  1. 집중치료실
  2. 분만실
  3. 수술실
  4. 환자휴게실
(정답률: 89%)
  • 환자휴게실은 의료가스공급이 필요하지 않은 일반적인 휴식 공간으로, 의료진이 환자를 치료하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적합한 의료가스공급 장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필수 기능이 아닌 것은?

  1. 정의기능
  2. 조작기능
  3. 절차기능
  4. 제어기능
(정답률: 80%)
  • 절차기능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필수 기능이 아닙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데이터를 저장, 검색, 수정, 삭제하는 등의 기본적인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절차기능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정의한 프로시저나 함수를 실행하는 기능으로, 필수적인 기능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의료기기 등급분류 기준 중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판단 기준이 아닌 것은?

  1. 인체내 삽입 이식기간
  2. 의료기기의 인체 삽입 여부
  3. 구강내에서의 화학적 변화여부
  4. 의약품이나 에너지를 환자에게 전달하는지 여부
(정답률: 86%)
  • 구강내에서의 화학적 변화여부는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판단 기준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관련된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보건과 의료에 관련된 제품들을 인증하는 미국 위생 규격은?

  1. Q 마크
  2. CE 마크
  3. NSF 마크
  4. ISO 마크
(정답률: 70%)
  • NSF 마크는 미국의 보건과 의료에 관련된 제품들을 인증하는 규격으로, 제품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검증하고 인증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NSF 마크가 있는 제품은 미국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PACS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영상 획득부
  2. 영상 홍보부
  3. 영상저장 및 관리부
  4. 영상 조회부
(정답률: 78%)
  • PACS는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의 약자로, 영상 획득부, 영상 저장 및 관리부, 영상 조회부로 구성됩니다. 영상 홍보부는 PACS의 구성요소가 아니며, PACS의 주요 목적은 의료 영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검색하는 것이므로 홍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환자관련정보 중 극비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예방접종
  2. 정신과 진료내용
  3. 성에 관계된 내용
  4. 환자와 의사간의 대화내용
(정답률: 89%)
  • 예방접종은 극비사항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환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예방조치이기 때문이다. 예방접종은 환자의 개인정보와는 별개로 기록되며, 의료진과 환자의 동의 하에 실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HIS의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서 병원을 찾아오는 환자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일련의 흐름을 전산화 한 것은?

  1. LIS
  2. OCS
  3. EMR
  4. CDS
(정답률: 79%)
  • OCS는 Order Communication System의 약자로, 환자가 병원을 찾아오면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진이 환자의 진료를 위해 필요한 검사, 처방, 예약 등의 정보를 전산화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HIS의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서 병원을 찾아오는 환자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일련의 흐름을 전산화하여 효율적인 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정보의 양의 단위인 1킬로바이트[KB]는 다음 중 어느 것과 같은가?

  1. 1000 바이트
  2. 1024 바이트
  3. 1000000 바이트
  4. 1024000 바이트
(정답률: 92%)
  • 1KB는 1024바이트와 같다. 이는 컴퓨터에서 정보를 처리할 때 2진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2의 거듭제곱인 1024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1KB는 1024바이트로 정의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인체에 과도한 전류가 흘렀을 때 인체에서 나타나는 작용이 아닌 것은?

  1. 열작용
  2. 화학작용
  3. 광학작용
  4. 자기작용
(정답률: 82%)
  • 인체에 과도한 전류가 흐를 때 나타나는 작용은 열작용, 화학작용, 자기작용이다. 그러나 광학작용은 전류와는 관련이 없는 현상으로, 인체에 과도한 전류가 흐를 때 나타나는 작용이 아니다. 광학작용은 빛이 물체와 상호작용하여 굴절, 반사, 흡수 등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단계를 올바른 순서로 나타낸 것은?

  1. 요구조건 분석→개념적 설계→논리적설계→물리적설계→구현
  2. 요구조건 분석→개념적 설계→물리적설계→논리적설계→구현
  3. 요구조건 분석→논리적설계 →개념적설계→물리적설계→구현
  4. 요구조건 분석→논리적설계→물리적설계→개념적설계→구현
(정답률: 88%)
  • 정답은 "요구조건 분석→개념적 설계→논리적설계→물리적설계→구현" 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요구조건 분석부터 시작하여 구현까지의 과정을 거칩니다.

    1. 요구조건 분석: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분석합니다.

    2. 개념적 설계: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개념적 모델을 만듭니다. 이 모델은 업무 프로세스와 개체 간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3. 논리적 설계: 개념적 모델을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테이블, 속성, 관계 등을 정의합니다.

    4. 물리적 설계: 논리적 모델을 바탕으로 실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세부적인 사항을 정의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인덱스, 파티션, 저장소 등을 정의합니다.

    5. 구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를 입력하고, 검색하고, 수정하고, 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의료기기는 의료기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몇 개의 등급으로 분류되는가?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82%)
  • 의료기기는 위험성과 사용목적에 따라 의료기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1등급부터 4등급까지 총 4개의 등급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해당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인 분류체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인체에 접촉하는 기간에 따른 분류 중 “24시간 이상 30일 이내에 1회 혹은 반복 노출하는 의료기기”에 해당하는 것은?

  1. 제한접촉
  2. 반복접촉
  3. 지속접촉
  4. 영구접촉
(정답률: 83%)
  • 정답: "지속접촉"

    해설: "24시간 이상 30일 이내에 1회 혹은 반복 노출하는 의료기기"는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인체와 접촉하게 되므로 "지속접촉"에 해당합니다. "제한접촉"은 단기간 동안 접촉하는 경우, "반복접촉"은 일정 주기로 접촉하는 경우, "영구접촉"은 영구적으로 접촉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의료기기의 전기,기계적안전에 관한 공동기준규격에서는 의료기기와 관련된 누설전류를 분류하여 그 시험방법과 제한치를 규정하고 있는데, 그 누설전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접지누설전류
  2. 외장누설전류
  3. 표유누설전류
  4. 환자누설전류
(정답률: 82%)
  • 표유누설전류는 의료기기와 관련이 없는 전기적인 누설전류이기 때문에 해당 공동기준규격에서는 분류되지 않습니다. 접지누설전류, 외장누설전류, 환자누설전류는 모두 의료기기와 관련된 전기적인 누설전류로 분류되며, 각각의 시험방법과 제한치가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미생물에 물리적, 화학적 자극을 가하여 완전히 사멸 제거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세척
  2. 멸균
  3. 방부
  4. 항균
(정답률: 91%)
  • 정답은 "멸균"입니다.

    미생물에 물리적, 화학적 자극을 가하여 완전히 사멸 제거하는 것을 멸균이라고 합니다. 이는 세척이나 방부, 항균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세척은 물로 물체 표면을 깨끗하게 닦는 것을 말하며, 방부는 물체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말합니다. 항균은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싶을 때는 멸균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등전위 접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술실, 중환자실은 등전위 접지로 할 필요가 있다.
  2. 환자반경 2.5[m]이내의 범위에 10[mV]이상의 전위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3. 마이크로 쇼크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체에 100[mA]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한 접지방식이다.
  4. 접지점을 2~3점으로 하면 각점의 미소한 전위차로 인하여, 접지선을 매개로 하여 전류가 인체에 흘러 들어가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등전위로 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73%)
  • "마이크로 쇼크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체에 100[mA]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한 접지방식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등전위 접지는 인체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식이지만, 전류량은 100[mA] 이상이 아니어도 된다. 일반적으로는 5[mA] 이하의 전류가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국내 병원정보시스템과 관련된 용어 중 잘못 연결된 것은?

  1. OCS - 처방전달시스템
  2. HIS - 병원정보시스템
  3. EMR - 응급의료정보시스템
  4. PACS - 의료영상저장 및 전송시스템
(정답률: 88%)
  • EMR은 응급의료정보시스템이 아니라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을 의미한다. EMR은 환자의 진료기록, 처방전, 검사결과 등을 전자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응급의료정보시스템은 응급환자의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 전달, 분석하여 응급조치에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수술용품 등에 대한 살균을 위한 의료가스로 적당한 것은?

  1. 산소
  2. 탄산
  3. 아산화질소
  4. 에틸렌옥사이드(EO)
(정답률: 84%)
  • 에틸렌옥사이드(EO)는 저온에서 살균 효과가 뛰어나며, 수술용품 등에 사용하기 적합한 의료가스입니다. EO는 저온에서 살균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열에 민감한 수술용품 등을 살균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EO는 물과 잘 혼합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수술용품에 적용하기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의료기기 생물학적 안전을 위한 초기 평가시험에 해당되는 것은?

  1. 발암성시험
  2. 생분해성시험
  3. 이식시험
  4. 만성독성시험
(정답률: 74%)
  • 의료기기 생물학적 안전을 평가하기 위해 이식시험이 사용됩니다. 이식시험은 의료기기가 인체 조직에 이식될 때 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이식시험은 인체 조직과 접촉하는 부분에 대한 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때문에 의료기기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의료기기

61. 초음파 트랜스듀서 내에서의 음속이 2000[m/s]인 경우, 두께가 1[mm]인 트랜스듀서의 공명주파수는?

  1. 10[MHz]
  2. 5[MHz]
  3. 2[MHz]
  4. 1[MHz]
(정답률: 37%)
  • 공명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명주파수 = 음속 / (2 x 두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공명주파수 = 2000 / (2 x 0.001) = 1,000,000 Hz = 1 MHz

    따라서 정답은 "1[MHz]" 입니다. 이유는 트랜스듀서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공명주파수가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전기치료 자극기에서 신호발생기를 위한 장치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충전기
  2. 정류기
  3. 여과기
  4. 변압기
(정답률: 74%)
  • 전기치료 자극기에서 신호발생기를 위한 장치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충전기"입니다. 이는 충전기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전기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정류기는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여과기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변압기는 전압을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인체 내부의 단면을 영상으로 보여 주는 방식으로 직선의 초음파 빔을 이용해 2차원 영상을 얻기 위해서 초음파 빔을 2차원적으로 주사해야 하는 방식은?

  1. A-Mode
  2. B-Mode
  3. C-Mode
  4. M-Mode
(정답률: 83%)
  • B-Mode는 초음파 빔을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스캔하여 인체 내부의 단면을 2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이다. 따라서 인체 내부의 구조를 더욱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의학적 진단에 많이 사용된다. A-Mode는 초음파 빔의 반사파를 시간에 따라 그래프로 표현하는 방식이고, C-Mode는 초음파 빔을 한 방향으로 계속해서 보여주는 방식이다. M-Mode는 초음파 빔을 시간에 따라 움직이는 구조물의 운동을 보여주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핵자기공명(NMR) 현상이 없는 원소는?

  1. 수소(H)
  2. 탄소(C)
  3. 인(P)
  4. 산소(O)
(정답률: 61%)
  • 핵자기공명(NMR)은 원자핵의 자기모멘트와 외부 자기장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기술이다. 산소(O)는 핵자기모멘트가 없기 때문에 핵자기공명(NMR) 현상이 없다. 따라서 산소(O)는 NMR 분석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인공관절 사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아닌 것은?

  1. 수술 후 탈구
  2. 심부 상처부위 감염
  3. 골밀도 증가
  4. 인공관절염의 마모
(정답률: 86%)
  • 인공관절 사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수술 후 탈구, 심부 상처부위 감염, 인공관절염의 마모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골밀도 증가는 인공관절 사용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골밀도 증가는 일반적으로 운동 부족, 영양 부족, 호르몬 변화 등의 요인으로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 요인들이 인공관절 사용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체외충격파쇄석기의 에너지 발생원 중 세라믹소자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발생하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식은?

  1. 수중방선(spark gap) 방식
  2. 압전소자(piezoelectric) 방식
  3. 전자진동(electromagnettic) 방식
  4. 미소발파(micro explosion) 방식
(정답률: 79%)
  • 압전소자(piezoelectric) 방식은 세라믹 소자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발생하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세라믹 소자가 압전 효과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변환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카테터에 사용되는 재료들의 특성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1. 투명성
  2. 절단성 용이
  3. 높은 경도
  4. 유연성
(정답률: 78%)
  • 카테터는 인체 내부에 삽입되는 의료용품으로, 유연성이 가장 중요한 특성이다. 이는 카테터가 복잡한 형태의 혈관이나 조직을 따라 이동하면서도 굴곡이나 구부러짐에 따라 변형되어 적절한 위치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카테터에 사용되는 재료는 유연성이 뛰어난 소재로 제작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체외충격파쇄석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충격파 발생장치
  2. 충격파 전달매체
  3. 위치 측정장치
  4. 전자기파 발생장치
(정답률: 60%)
  • 체외충격파쇄석기는 충격파 발생장치, 충격파 전달매체, 위치 측정장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전자기파 발생장치는 체외충격파쇄석기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체외충격파쇄석기가 충격파를 발생시키기 위해 전자기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충격파 발생장치는 일반적으로 고압 발생기나 전기적인 방식으로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기술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X-선관에서 촬영 대상체까지의 거리가 50[cm]일 때, X-선 영상의 확대율을 4배로 하려면 X-선관에서 X-선 감지면(detector)까지의 거리는 얼마인가?

  1. 50cm
  2. 100cm
  3. 150cm
  4. 200cm
(정답률: 90%)
  • 확대율은 대상체와 영상 사이의 거리와 감지면과 영상 사이의 거리의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확대율을 4배로 하려면 감지면과 영상 사이의 거리는 대상체와 영상 사이의 거리의 4배가 되어야 한다. 대상체와 영상 사이의 거리가 50cm이므로, 감지면과 영상 사이의 거리는 50cm x 4 = 200c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0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환자감시장치의 측정항목이 아닌 것이 포함된 것은?

  1. 심전도, 혈중산소포화도
  2. 혈중산소포화도, 호흡수
  3. 호흡수, 체온
  4. 체온, 근전도
(정답률: 86%)
  • 정답은 "체온, 근전도"입니다. 이유는 환자감시장치는 주로 심장 및 호흡기 기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체온과 근전도는 감시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수맥펌프의 주된 용도는 무엇인가?

  1. 수압을 낮추기 위해서
  2. 환자의 혈액 순환을 돕기 위해서
  3. 수맥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4. 환자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정답률: 84%)
  • 수맥펌프의 주된 용도는 "수맥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이다. 수맥펌프는 환자의 혈액순환을 돕는 것뿐만 아니라, 수압을 낮추거나 환자의 체온을 유지하는 등의 역할도 수행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은 수맥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환자의 혈액순환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환자의 치료 효과를 높이고,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청력검사기의 자극음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연속음
  2. 단락음
  3. 주파수 변조음
  4. 진폭 변조음
(정답률: 70%)
  • 진폭 변조음은 소리의 크기가 갑자기 변하는 음으로, 청각신경을 자극하는 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청력검사기에서는 일정한 음압과 주파수를 유지하는 연속음이나 단락음, 주파수 변조음이 적당한 자극음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박동형 인공심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공판막이 필요없다.
  2. 전기기계식 및 공압식으로 만들 수 있다.
  3. 자연심장과 유사한 박동성 혈류의 구현이 가능하다.
  4. 완전인공심장이나 좌심실 보조장치 모두 박동형 인공심장으로 구현 가능하다.
(정답률: 76%)
  • 인공판막이 필요없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인공심장은 심장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심장과 같이 혈액을 완전히 분리시키기 위해 인공판막이 필요합니다. 인공판막은 혈액이 인공심장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공심장에서 움직이는 부품들과의 접촉을 막아 혈액의 응고를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신부전환자에게 혈맥투석을 처방 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효과 아닌 것은?

  1. 과잉의 수분제거
  2. 노폐물 제거
  3. 신장세포 재생
  4. 전해질 균형유지
(정답률: 77%)
  • 신부전환자에게 혈맥투석을 처방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과잉의 수분제거, 노폐물 제거, 전해질 균형유지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신장세포 재생은 혈맥투석으로 인해 기대할 수 없는 효과입니다. 혈맥투석은 신장의 기능을 대신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장세포를 재생시키는 효과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환자감시장치에서 적외선과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동맥혈의 헤모글로빈이 산소와의 결합 백분율로 표현되는 것은?

  1. HR
  2. BP
  3. APG
  4. SpO2
(정답률: 81%)
  • 환자감시장치에서 적외선과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동맥혈의 헤모글로빈이 산소와의 결합 백분율로 표현되는 것은 SpO2이다. SpO2는 산소 포화도를 나타내며, 혈액 내의 산소 포화도가 낮을수록 산소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SpO2는 환자의 산소 공급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HR은 심박수, BP는 혈압, APG는 동맥압력계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체내에 일정한 교류 전류를 흘린 후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체내의 수분, 단백질, 지방성분 등을 분석하는 것은?

  1. 근전도계(EMG)
  2. 체성분 분석기
  3. 투석기
  4. 체액분석기
(정답률: 90%)
  • 체내에 일정한 교류 전류를 흘린 후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체내의 수분, 단백질, 지방성분 등을 분석하는 것은 체성분 분석기의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근육 활동을 측정하는 근전도계, 혈액을 정화하는 투석기, 체액의 전해질 농도를 측정하는 체액분석기와 관련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초음파 측정 모드 중 혈류의 속도를 측정하는 모드는?

  1. A-mode
  2. Doppier-mode
  3. TM-mode
  4. B-mode
(정답률: 82%)
  • Doppier-mode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혈류의 속도를 측정하는 모드입니다. 이 모드는 Doppler effect를 이용하여 혈액이 흐르는 방향과 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액의 흐름 상태를 파악하고 혈액순환에 관한 질환을 진단하는 데에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대동맥 내에 삽입되어 풍선의 수축과 확장에 의해 심장의 후부하를 감소시키는 기기는?

  1. VAD
  2. 원심형 혈액펌프
  3. 축류형 심실보조기
  4. IABP
(정답률: 79%)
  • IABP는 Intra-Aortic Balloon Pump의 약자로, 대동맥 내에 삽입되어 풍선의 수축과 확장에 의해 심장의 후부하를 감소시키는 기기입니다. 이는 심장 수축 시 대동맥 내 압력을 감소시켜 심장의 일을 덜어주고, 이완 시 대동맥 내 압력을 상승시켜 심장의 혈액 공급량을 늘려줌으로써 심장의 일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IABP는 심장 수술 후나 심장 발작 등의 상황에서 사용되며, 다른 보조기와는 다른 원리로 심장을 지원합니다. VAD는 심실보조기로서 심장의 일을 대신하는 역할을 하며, 원심형 혈액펌프와 축류형 심실보조기는 혈액을 직접 펌핑하여 심장의 일을 도와주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인큐베이터의 기본적인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환기조절
  2. 온도조절
  3. 냉풍조절
  4. 습도조절
(정답률: 82%)
  • 인큐베이터는 적정한 온도, 습도, 환기 등의 환경을 제공하여 배아나 유아동물의 생존 및 성장을 돕는 장비이다. 그 중에서 "냉풍조절"은 인큐베이터의 기본적인 기능이 아니다. 인큐베이터는 보통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환기를 조절하여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냉풍조절은 일부 고급 인큐베이터에서 제공되는 기능으로, 인큐베이터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여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물의 CT-번호(HU)는?

  1. -50
  2. 0
  3. 50
  4. 100
(정답률: 87%)
  • 물의 CT-번호는 "0"이다. 이는 물이 CT 스캔에서 X선을 흡수하는 정도가 기준값인 공기와 비슷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물은 CT 스캔에서 검은색(음수)보다는 밝은 회색(양수)으로 나타나지만, 공기와는 구별이 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의용기계공학

81. 다음 중 의용금속재료의 공통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온에서 고체상태이다.
  2. 강도가 크고 가공변형이 쉽다.
  3. 열 및 전기의 좋은 전도체이다.
  4. 비중이 작고 금속적 광택이 있다.
(정답률: 66%)
  • "비중이 작고 금속적 광택이 있다."는 공통적 특징이 아니라, 일부 의용금속재료에만 해당하는 특징이다. 이는 의료기기 제작 시 미적 요소와 경량화를 고려하여 선택되는 특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수산화인회석의 의학적 응용이 아닌 것은?

  1. 인공치근
  2. 윤활제
  3. 인공관절
  4. 골형성 촉진제
(정답률: 84%)
  • 수산화인회석은 인공치근, 인공관절, 골형성 촉진제 등 의학적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윤활제로 사용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윤활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살아있는 생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생체의 조직이나 장기 또는 생체 기능의 일부 혹은 전체를 대신하거나 보완해 주는데 사용되는 모든 재료로 정의되는 것은?

  1. 생체재료
  2. 인공재료
  3. 자연재료
  4. 산업재료
(정답률: 86%)
  • 생체재료는 살아있는 생체와 접촉하여 사용되는 재료로, 생체의 조직이나 기능을 대신하거나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반해 인공재료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재료이며, 자연재료는 자연에서 발견되는 재료를 의미합니다. 산업재료는 산업적 용도로 사용되는 재료를 말합니다. 따라서, 생체와 접촉하여 사용되는 재료를 특별히 생체재료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하지의지를 일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소켓
  2. 족부
  3. 외장
  4. 의수
(정답률: 68%)
  • 정답은 "의수"입니다. 소켓은 기계적인 부품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족부는 발을 받치는 부분으로서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외장은 제품의 외부를 보호하고 디자인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의수는 제품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제품의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정탄성의 경우 경험적 모델에 사용되는 요소로만 나타낸 것은?

  1. 스프링, 질량
  2. 저항, 대쉬폿(dashpot)
  3. 질량, 대쉬폿(dashpot)
  4. 스프링, 대쉬폿(dashpot)
(정답률: 82%)
  • 정탄성은 스프링과 대쉬폿(dashpot)의 조합으로 나타납니다. 스프링은 변형에 대한 복원력을 나타내며, 대쉬폿은 변형 속도에 대한 저항력을 나타냅니다. 이 두 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시스템의 진동을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프링, 대쉬폿(dashpot)"이 경험적 모델에 사용되는 요소로만 나타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생제적합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민감성 시험
  2. 혈액적합성 시험
  3. 세포독성 시험
  4. 화학적 조성측정 시험
(정답률: 65%)
  • 화학적 조성측정 시험은 생체적합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시험이기 때문에 생체적합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아니다. 화학적 조성측정 시험은 제품 내의 화학물질의 양과 종류를 분석하는 시험이다. 따라서 정답은 "화학적 조성측정 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초음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를 함유한 조직을 잘 통과한다.
  2. 약 20[kHz] 이상의 음파를 초음파라 한다.
  3. 음향 임피던스는 밀도와 음속의 곱으로 나타낸다.
  4. 생체 조직에서의 감쇠계수는 주파수에 거의 비례한다.
(정답률: 78%)
  • "공기를 함유한 조직을 잘 통과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이는 오히려 초음파가 공기를 포함한 조직에서 반사되어 이미지가 형성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초음파는 고주파음파로서, 공기를 포함한 매질에서는 반사되거나 흡수되기 쉬우므로,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공기를 최대한 배제한 조직 내부에서 측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자장의 강도가 큰 순서로 나열될 것은?

  1. 지구의 자장 > 심장으로부터의 자장 > 뇌로부터의 자장
  2. 심장으로부터의 자장 > 지구의 자장 > 뇌로부터의 자장
  3. 뇌로부터의 자장 > 심장으로부터의 자장 > 지구의 자장
  4. 뇌로부터의 자장 > 지구의 자장 > 심장으로부터의 자장
(정답률: 70%)
  • 정답은 "지구의 자장 > 심장으로부터의 자장 > 뇌로부터의 자장"이다. 지구의 자장은 지구 전체를 둘러싸고 있으며, 심장으로부터의 자장은 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다. 뇌로부터의 자장은 뇌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으로, 심장으로부터의 자장보다는 상대적으로 약하다. 따라서 자장의 강도가 큰 순서는 지구의 자장 > 심장으로부터의 자장 > 뇌로부터의 자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형상기억 합금의 주성분은?

  1. Ti-Ni
  2. Ti-Al
  3. Co-Cr
  4. Co-Cr-Mo
(정답률: 71%)
  • 형상기억 합금은 기계적인 변형에 의해 형상이 변화하였다가 온도나 압력 등의 외부 조건이 바뀌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특성을 가진 합금입니다. 이러한 특성은 합금 내부의 결정구조와 결합에 의해 결정됩니다.

    그 중 Ti-Ni 합금은 티타늄(Ti)과 니켈(Ni)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합금은 고온에서 굉장히 단단하고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저온에서는 매우 유연하고 형상기억 특성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의료 분야에서는 치아와 관절 등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생체 조직의 수동적 특징이 나타내는 특이성이 아닌 것은?

  1. 이방성
  2. 전기적 절연성
  3. 주파수 의존성
  4. 특이한 반사 산란 흡수 특성
(정답률: 54%)
  • 생체 조직의 수동적 특징은 그 조직의 구성과 성질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이 중에서 "전기적 절연성"은 생체 조직의 수동적 특징으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유는 생체 조직은 전기적으로 활성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신경 조직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근육 조직은 전기적 자극에 반응하여 수축하는 등 전기적으로 활동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생체 조직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이 아니라, 전기적으로 활동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정지해 있거나 일정한 속도에 움직이는 즉 가속도가 0인 상태를 연구하는 응용역학의 분야는?

  1. 변형체역학
  2. 동역학
  3. 정역학
  4. 유체역학
(정답률: 74%)
  • 정지해 있거나 일정한 속도에 움직이는 상태에서는 가속도가 0이므로, 물체의 운동 상태를 분석하는데는 정역학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역학은 이러한 상태에서의 물체의 운동을 연구하는 응용역학의 분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주파수 100[Hz]에서 도전율이 가장 높은 조직은?

  1. 골격근
  2. 혈액
  3. 지방
  4. 간장
(정답률: 64%)
  • 주파수 100[Hz]는 낮은 주파수 범위에 속하며, 이 범위에서는 전기적으로 높은 전도성을 가진 조직이 도전율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혈액이 가장 높은 도전율을 가지게 됩니다. 골격근과 지방은 혈액보다 전도성이 낮고, 간장은 혈액과 비슷한 전도성을 가지지만 혈액보다 더 높은 도전율을 가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생체의 심부 기온에 이용되지 않는 에너지는?

  1. 적외선
  2. 초음파
  3. X 선
  4. 전자파
(정답률: 66%)
  • X 선은 생체 조직을 통과하여 내부 구조물을 관찰하는데 사용되지만, 생체의 심부 기온에 이용되지 않는 에너지입니다. 이는 X 선의 파장이 너무 짧아서 생체 조직을 통과할 때 일부 에너지가 흡수되어 생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X 선은 의학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때에도 적절한 방어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의료용 고분자 재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물성퇴화
  2. 낮은 비중
  3. 가공용이성
  4. 원상회복력
(정답률: 59%)
  • 정답: "물성퇴화"

    설명: 의료용 고분자 재료는 낮은 비중으로 가볍고, 가공용이성이 뛰어나서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가능하며, 원상회복력이 높아서 생체 내에서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성퇴화는 재료의 물성이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여 기능을 잃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의료용 고분자 재료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으므로, 이 재료를 사용할 때는 물성퇴화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그림에서 최대 굽힘 모멘트의 크기는?

(정답률: 71%)
  • 최대 굽힘 모멘트는 빔이 가장 굽혀지는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이 지점은 빔의 중간 지점이며, 이 지점에서의 굽힘 모멘트는 빔의 길이 L, 하중 w, 그리고 빔의 단면계수 I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최대 굽힘 모멘트의 크기는 wL^2/8과 같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초음파의 전파속도가 높은 순서로 배열된 것은?

  1. 근육>간장>두개골
  2. 간장>두개골>공기
  3. 두개골>근육>공기
  4. 간장>공기>근육
(정답률: 76%)
  • 초음파의 전파속도는 해당 물질의 밀도와 탄성에 영향을 받는다. 밀도가 높고 탄성이 높을수록 전파속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근육>간장>두개골"에서는 근육이 가장 밀도와 탄성이 높기 때문에 가장 높은 전파속도를 가지며, 간장은 근육보다는 밀도와 탄성이 낮지만, 두개골보다는 높기 때문에 두개골보다 빠른 전파속도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공기는 밀도와 탄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가장 낮은 전파속도를 가진다. 따라서, "두개골>근육>공기"가 가장 올바른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체중의 의지, 척추의 운동제한, 척추의 정렬 유지 및 교정 등에 사용되는 보조기는?

  1. 주관절보조기
  2. 견갈대보조기
  3. 체간보조기
  4. 단하지보조기
(정답률: 62%)
  • 체간보조기는 체중의 의지, 척추의 운동제한, 척추의 정렬 유지 및 교정 등에 사용되는 보조기입니다. 이는 척추를 지지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며, 체중을 분산시켜 체간의 부담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체간보조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인체의 중심선에서부터 인체분절이 가까워지는 동작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외전(abduction)
  2. 내전(adduciton)
  3. 굴곡(flexion)
  4. 신전(extension)
(정답률: 83%)
  • 내전은 인체의 중심선에서부터 인체분절이 가까워지는 동작을 말한다. 다리를 모으는 것이나 팔을 몸쪽으로 붙이는 것 등이 내전에 해당한다. 따라서 내전이 정답이다. 외전은 인체분절이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동작, 굴곡은 인체분절이 굽어지는 동작, 신전은 인체분절이 펴지는 동작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유체가 흐르려 할 때 분자간의 인력에 의해 유체 상호간의 유동을 방해하려는 저항력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점성
  2. 저항성
  3. 압축성
  4. 강성
(정답률: 68%)
  • 점성은 분자간의 인력에 의해 유체 상호간의 유동을 방해하려는 저항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유체가 흐르려 할 때 분자간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며, 이러한 점성은 유체의 저항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유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적 성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상온에서 쉽게 종합반응이 일어나서 뼈 접착제의 주 원료가 되는 합성고분자 재료는?

  1. 폴리우레탄(PU)
  2. 폴리프로필렌(PP)
  3. 폴리아마이드(Polyamide)
  4.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정답률: 64%)
  • 상온에서 쉽게 종합반응이 일어나는 합성고분자 재료는 접착제의 주 원료로 적합합니다. 이 중에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는 상온에서 쉽게 종합반응이 일어나며, 높은 접착력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뼈 접착제의 주 원료로 적합합니다. 따라서 PMMA가 뼈 접착제의 주 원료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