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2)

의공산업기사
(2014-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초의학 및 의공학

1. 두 개의 코일을 같은 축 방향으로 배열하여 상호 인덕턴스의 변화로부터 위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의 종류는?

  1. 압전센서
  2. 유도성 센서
  3. 서미스터
  4. 열전쌍
(정답률: 87%)
  • 유도성 센서는 두 개의 코일을 같은 축 방향으로 배열하여 상호 인덕턴스의 변화로부터 위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입니다. 이는 코일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면서 인덕턴스가 변화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따라서 유도성 센서는 위치 측정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 능동수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포는 세포내에 k+는 높게, Na+는 낮게 유지한다.
  2. 에너지를 사용하여 물질이 이동된다.
  3. 농도 경사에 반대하여 운반되는 물질이동 방식을 능동수송이라 한다.
  4. 포도당이나 아미노산은 농도 경사에 반대되는 능동수송이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률: 90%)
  • "포도당이나 아미노산은 농도 경사에 반대되는 능동수송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포도당이나 아미노산은 농도 경사에 반대되는 능동수송인 역이온채널이나 대표적인 능동수송인 나트륨-칼륨 펌프를 이용하여 세포막을 통해 운반된다. 이는 세포 내외의 농도 차이를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직육면체의 금속에 열을 가하고 길이의 변화에 따른 저항을 측정하였다. 열에 의해 금속의 길이는 20% 늘어났고, 면적은 10% 증가하였다. 저항계수가 열에 의해 10% 증가 하였다면 총 저항의 변화율은?

  1. 10% 감소
  2. 10% 증가
  3. 20% 감소
  4. 20% 증가
(정답률: 88%)
  • 금속의 길이가 20% 늘어났으므로, 길이의 증가율은 1.2배가 된다. 면적이 10% 증가하였으므로, 면적의 증가율은 1.1배가 된다. 따라서, 금속의 저항은 길이의 증가율과 면적의 증가율의 곱에 비례한다. 즉, 저항의 변화율은 1.2 × 1.1 × 1.1 = 1.452 이다. 이는 45.2% 증가한 것이므로, 총 저항의 변화율은 "20% 증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심전도 파형의 의미로 옳지 않은 것은?

  1. T 파는 심방의 재분극
  2. Q 파는 심실 격벽의 탈분극
  3. R 파는 심실의 탈분극
  4. P 파는 심방의 탈분극
(정답률: 78%)
  • T 파는 심방의 재분극이 아니라 심실의 재분극을 나타내는 파형이다. T 파는 심실의 전기적인 재분극을 나타내며, Q 파는 심실 격벽의 탈분극, R 파는 심실의 탈분극, P 파는 심방의 탈분극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은 해부학적 방향에 대한 용어 설명이다. 해당되는 방향은?

  1. 정중면 (median plane)
  2. 전두면 (frontal plane)
  3. 시상면 (sagittal plane)
  4. 횡단면 (transverse plane)
(정답률: 94%)
  • 이 그림은 인체를 정중면을 따라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눈 후, 전두면을 따라 앞과 뒤로 나눈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두면 (frontal pla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함기강으로 두개골의 일부에 공기가 차 있는 공간을 가짐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1. 신체에 산소를 공급해 준다.
  2. 살균 작용을 도와준다.
  3. 세포 생성을 도와준다.
  4. 뼈의 무게를 가볍게 해준다.
(정답률: 85%)
  • 함기강에 공기가 차 있으면 두개골의 무게가 가벼워지기 때문에 뼈의 무게를 가볍게 해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신경전달 물질 중 대표적인 흥분성 신경전달 물질이 아닌 것은?

  1. 가바 (GABA)
  2. 도파민 (DOPAMIN)
  3. 에피네프린 (EPINEPHRINE)
  4.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정답률: 88%)
  • 가바는 억제성 신경전달 물질로,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하여 신경전달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흥분성 신경전달 물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동잡음(motion artifact)을 줄이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전극이 피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2. 전극선의 움직임에 따라 전극도 같이 움직이도록 한다.
  3. 관절부위에 부착하지 않는다.
  4. 전극과 피부사이에 전해질이 마르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94%)
  • 전극선의 움직임에 따라 전극도 같이 움직이도록 하는 것은 동잡음을 줄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것은 정답이 아닌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동잡음을 줄이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전극 중 순간적으로 가장 많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것은?

  1. 심전도(ECG) 측정용 전극
  2. 뇌전도(EEG) 측정용 전극
  3. 근전도(EMG) 측정용 전극
  4. 심장 제세동기(defibrillator)용 전극
(정답률: 98%)
  • 심장 제세동기(defibrillator)용 전극은 심장을 다시 정상적인 심장 리듬으로 되돌리기 위해 매우 강력한 전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가장 많은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다른 전극들은 측정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전류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약하며, 심장 제세동기용 전극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분극 전극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항성 특성을 보인다.
  2. 은-염화은 전극이 있다.
  3.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하다.
  4. 고주파 신호의 측정에 적합하다.
(정답률: 74%)
  • 분극 전극은 고주파 신호의 측정에 적합하다. 이는 분극 전극이 저항성 특성을 보이며, 은-염화은 전극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분극 전극은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초음파 영상을 구성할 때 측정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초음파의 세기 측정
  2. 초음파의 이동시간 에너지
  3. 초음파의 출력에너지 측정
  4. 반사되는 초음파의 세기 측정
(정답률: 74%)
  • 초음파 영상을 구성할 때 측정하는 것은 주로 초음파의 세기와 이동시간, 그리고 반사되는 초음파의 세기입니다. 하지만 초음파의 출력에너지는 이미 초음파 발생기에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영상을 구성할 때 측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음파의 출력에너지 측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ECG의 측정방법 중 팔다리에서 측정하는 신호가 아닌 것은?

  1. LEAD I
  2. aVF
  3. V6
  4. aVR
(정답률: 91%)
  • V6은 팔다리에서 측정하는 신호가 아니라, 가슴 벽면에서 측정하는 신호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근육의 현미경적 소견에서 볼 수 있는 구조물 중 근육이 수축하면 좁아지는 것은?

  1. Z line
  2. A band
  3. H zone + I zone
  4. M line
(정답률: 91%)
  • 근육 수축 시 근육 섬유 내부의 근육필라멘트인 미오신규약과 미오신액틴필라멘트가 서로 겹쳐져서 축소되는데, 이때 H zone과 I zone이 좁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H zone과 I zone입니다. Z line은 근육필라멘트의 끝점을 나타내고, A band는 근육필라멘트의 전체 길이를 나타냅니다. M line은 근육필라멘트의 중심을 나타내는데, 이는 근육 수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폐활량(Vital Capacity) 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잔기량 (Residual Volume)
  2. 예비흡기량 (Inspiratory Reserve Volume)
  3. 예비호기량 (Expiratory Reserve Volume)
  4. 1회 호흡량 (Tidal Volume)
(정답률: 82%)
  • 잔기량은 폐에서 완전히 내쉬지 않는 공기의 양을 말하며, 호흡기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공기가 남아있는 양입니다. 따라서 폐활량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반면, 예비흡기량, 예비호기량, 1회 호흡량은 모두 폐활량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용량성 센서의 용량값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두 평행판의 마주하는 간격을 변화
  2. 두 평행판의 마주하는 면적을 변화
  3. 두 평행판 사이의 자성체를 변화
  4. 두 평행판 사이의 유전체를 변화
(정답률: 71%)
  • 용량성 센서는 두 전극 사이의 전하를 측정하여 용량값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두 전극 사이의 거리나 면적이 변화하면 용량값도 변화하게 됩니다. 하지만 자성체는 전하를 저장하지 않으므로 용량값을 변화시킬 수 없습니다. 따라서 "두 평행판 사이의 자성체를 변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그림은 폐용적과 폐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림 중 B가 가리키는 것은?

  1. 잔기량 (residual volume)
  2. 호기예비량 (expiratory reserve volume)
  3. 흡기예비량 (inspiratory reserve volume)
  4. 기능적 잔기용량 (functional residual capacity)
(정답률: 80%)
  • B는 "호기예비량 (expiratory reserve volume)"을 나타낸다. 이는 최대 호흡량에서 일반 호흡량을 뺀 나머지 공기량으로, 폐에서 최대한으로 내쉴 수 있는 공기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B는 호기예비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바이오 센서에서 원하는 물질을 검출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효소
  2. 미생물
  3. 면역반응
  4. 전해질
(정답률: 72%)
  • 전해질은 바이오 센서에서 원하는 물질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전해질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전기적 신호를 방해하거나 왜곡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이오 센서에서는 전해질을 배제하고, 효소, 미생물, 면역반응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물질을 검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형태에 따라 뼈를 분류할 때 단골 (short bones)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요대를 형성하는 뼈이다.
  2. 수근골은 단골에 포함된다.
  3. 족근골은 단골에 포함된다.
  4. 손목이나 발목을 형성하는 뼈이다.
(정답률: 89%)
  • "요대를 형성하는 뼈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인 이유는, 단골은 일반적으로 손목이나 발목을 형성하는 뼈로 분류되지만, 모든 단골이 요대를 형성하는 것은 아닙니다. 요대를 형성하는 뼈는 일반적으로 장골과 같은 장형뼈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생체신호 측정용 전극 중 침전극(needle electrod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침전극은 앞단이 뾰족한 침,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강으로, 절연을 위해 니스 등이 앞단을 제외하고 코팅 되어 있다.
  2. 동심일심침전극(Coaxial needle electrode)은 보통 근전도계측에 이용되며, 지름 0.3~0.4mm의 중공침 속에 절열된 0.1mm의 봉입침이 1개 들어 있는 것으로 도출 범위는 반경 1mm 정도이다.
  3. 동심이심침전극(Bipolar coaxial needle electrode)은 중공침 속에 2개의 봉입침을 넣은 것으로 각각의 전극 간격은 200~500㎛이며, 동심일침전극보다도 도출범위가 좁은 것이 특징이다.
  4. 전극을 체내에 삽입하여 측정하는 전극으로 세포외액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체전기현상을 전극으로 잘 전달하기 위하여 페이스트(Paste)를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80%)
  • "전극을 체내에 삽입하여 측정하는 전극으로 세포외액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체전기현상을 전극으로 잘 전달하기 위하여 페이스트(Paste)를 사용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침전극은 체내에 삽입하여 측정하는 전극으로, 세포외액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극과 생체전기현상 간의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전극과 생체조직 사이의 저항을 줄이고 생체전기현상을 전극으로 잘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뼈 속에 있는 부위로 혈액을 생성하는 곳은?

  1. 황색골수
  2. 적색골수
  3. 흉선
  4. 비장
(정답률: 89%)
  • 적색골수는 뼈 속에 있는 조직으로, 혈액세포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곳에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혈액세포가 생성되며, 이들은 혈액순환을 통해 우리 몸 전체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적색골수는 우리 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의용전자공학

21. 입력주기 180° 미만에서 도통되도록 바이어스 되며, 전력증폭기로의 효율이 가장 좋은 것은?

  1. A급 증폭기
  2. B급 증폭기
  3. AB급 증폭기
  4. C급 증폭기
(정답률: 81%)
  • 입력주기 180° 미만에서 도통되도록 바이어스 되는 것은 Class B 증폭기이다. 그러나 Class B 증폭기는 왜곡이 발생하므로 Class AB 증폭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Class AB 증폭기는 전력 손실이 발생하므로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입력주기 180° 미만에서 도통되도록 바이어스 되며, 전력증폭기로의 효율이 가장 좋은 것은 Class C 증폭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력이득 26[dB]인 증폭기 입력신호의 전력이 1[㎽]이면 출력신호의 전력은?

  1. 약 26[㎽]
  2. 약 260[㎽]
  3. 약 400[㎽]
  4. 약 800[㎽]
(정답률: 64%)
  • 전력이득은 출력신호의 전력과 입력신호의 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전력이득이 26[dB]이면 출력신호의 전력은 입력신호의 전력의 10의 1.3승 배가 된다. 입력신호의 전력이 1[㎽]이므로 출력신호의 전력은 10의 1.3승 × 1[㎽] = 약 398.1[㎽] 이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약 40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호흡기의 기능평가 중 “폐 내에서 공기가 폐포 간에 균형 있게 분포하는 기능”에 대한 평가 기능은?

  1. 환기능
  2. 분포능
  3. 확산능
  4. 피폭능
(정답률: 92%)
  • 분포능은 폐 내에서 공기가 폐포 간에 균형 있게 분포하는 기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호흡기의 다른 기능들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DRAM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일정시간 경과 후 기억된 정보가 소실된다.
  2. Refresh 기능이 필요하다.
  3. 직접도가 높고 SRAM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
  4. 일반 PC의 주기억장치로 쓰인다.
(정답률: 76%)
  • DRAM의 특성 중에서 "직접도가 높고 SRAM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는 옳은 특성이 아닙니다. DRAM은 SRAM에 비해 직접도가 낮고 속도가 느립니다. 이는 DRAM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캐패시터를 사용하고, 이 캐패시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Refresh를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DRAM은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로 사용되며, 대용량 메모리를 구성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P형 반도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류작용을 갖고 있다.
  2. 다수캐리어가 전자이다.
  3. 3가 원소를 불순물로 첨가하였다.
  4. 불순물을 첨가하였으므로 저항률이 순수반도체(진성반도체)보다 크다.
(정답률: 69%)
  • 3가 원소인 인(Ga)이나 비소(In)를 불순물로 첨가하여 P형 반도체를 만들 수 있다. 이는 인(Ga)이나 비소(In)가 3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 구조 내에 삽입되면 산화되어 전자를 기부하여 전자공극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P형 반도체는 다수캐리어로 전자를 가지게 되며, 이는 N형 반도체와는 반대로 전자의 이동성이 높아져 정류작용을 갖게 된다. 또한, 불순물을 첨가하였으므로 저항률이 순수반도체(진성반도체)보다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그림]과 같이 두 개의 저항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을 때 저항 R1에 흐르는 전류는? (단, R1=2[Ω], R2=3[Ω], 전압 : 12[V])

  1. 2[A]
  2. 4[A]
  3. 6[A]
  4. 8[A]
(정답률: 82%)
  • 두 저항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전압은 각 저항에 동일하게 분배된다. 따라서 R1에 인가되는 전압은 12[V]이다. 이에 따라 R1에서의 전류는 오므로, R1의 저항값인 2[Ω]를 전압 12[V]로 나눈 값인 6[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정류회로에 순방향전압강하가 0[V]인 이상적인 다이오드를 사용했다면 출력리플의 주파수는?

  1. 120[Hz]
  2. 100[Hz]
  3. 60[Hz]
  4. 50[Hz]
(정답률: 70%)
  • 주어진 정류회로에서 다이오드는 이상적인 것으로 가정되었기 때문에, 다이오드를 통과하는 전류는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된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절반인 6[V]이다.

    출력 전압은 60[Hz]의 주파수를 가지는데, 이는 입력 전압의 주파수와 같다. 이유는 입력 전압이 60[Hz]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력리플의 주파수는 입력 전압의 주파수인 60[Hz]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신호의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주파수
  2. 위상
  3. 진폭
  4. 밴드 폭
(정답률: 85%)
  • 밴드 폭은 신호의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이지만,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신호의 주파수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신호의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 중에서는 가장 다른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밴드 폭"은 이 문제에서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JK 플립플롭에서 J = 1, K = 1 일 때, 출력(Q)의 값은?

  1. 0
  2. 1
  3. 불변
  4. 반전
(정답률: 77%)
  • JK 플립플롭에서 J = 1, K = 1 일 때, 출력(Q)의 값은 "반전"이다. 이는 JK 플립플롭의 동작 원리에 기반한다. J와 K가 모두 1인 경우, 이전 상태와 반대로 출력이 변경된다. 따라서, 출력(Q)의 값은 이전 상태의 반전인 값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자유량계의 원리는 다음 중 어떠한 법칙에 근거한 것인가?

  1. 렌쯔 (Lentz) 의 법칙
  2. 패러데이 (Faraday) 의 전자유도 법칙
  3. 플레밍 (Fleming) 의 왼손 법칙
  4. 앙페르 (Ampere) 의 법칙
(정답률: 98%)
  • 전자유량계는 패러데이의 전자유도 법칙에 근거하여 작동한다. 이 법칙은 자기장 내에서 변하는 자기력선이 전기회로를 통과할 때 전기력이 유도된다는 것을 설명한다. 따라서 전자유량계는 자기장 내에서 유도된 전기력을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RC 적분 회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는?

  1. 저역통과 필터
  2. 고역통과 필터
  3. 중역통과 필터
  4. 대역통과 필터
(정답률: 70%)
  • RC 적분 회로는 저역통과 필터의 일종으로,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RC 적분 회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는 저역통과 필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OR 게이트 출력 A+B에 NOT 게이트를 취한 게이트는?

  1. AND 게이트
  2. NAND 게이트
  3. NOR 게이트
  4. XOR 게이트
(정답률: 78%)
  • OR 게이트의 출력 A+B에 NOT 게이트를 취하면 A+B의 반대가 되어야 합니다. 즉, A와 B가 모두 0일 때 1을 출력하고, 그 외에는 0을 출력해야 합니다. 이러한 동작을 하는 게이트는 NOR 게이트입니다. NOR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0일 때 1을 출력하고, 그 외에는 0을 출력합니다. 따라서, OR 게이트 출력 A+B에 NOT 게이트를 취한 게이트는 NOR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도체 내에서 두 점 사이에 10[C]의 전하를 옮기는데 50[J]의 에너지가 필요하였다면 두 점 사이의 전압은?

  1. 0.5[V]
  2. 5[V]
  3. 50[V]
  4. 500[V]
(정답률: 87%)
  • 전압과 에너지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에너지 = 전압 × 전하량

    따라서, 전하량이 10[C]이고 에너지가 50[J]이므로,

    50[J] = 전압 × 10[C]

    전압 = 50[J] ÷ 10[C] = 5[V]

    따라서, 두 점 사이의 전압은 5[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생체계측 측정시스템에서 접지(ground)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전기기구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한 전압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서
  2. 과도현상에 의한 장비의 오동작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3. 전자 시스템으로 결합된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4. 증폭기에서 출력 전류의 전압이득을 위해 입력단자와 연결하기 위해서
(정답률: 88%)
  • 생체계측 측정시스템에서 접지의 목적은 "증폭기에서 출력 전류의 전압이득을 위해 입력단자와 연결하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접지의 목적은 전기기구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한 전압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서, 과도현상에 의한 장비의 오동작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자 시스템으로 결합된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광학적 계측시스템에서 쓰이는 광원이 아닌 것은?

  1. 텅스턴램프
  2. 레이저
  3. 아크방전
  4. 피에조크리스탈
(정답률: 85%)
  • 피에조크리스탈은 광원이 아니라 전기 신호를 변환하는 재료이기 때문에 광학적 계측시스템에서 광원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콘덴서식 X-선 발생장치에서 사용하는 고압 콘덴서의 용량이 4[㎌]이다. 이 콘덴서를 60[kV]로 충전시켰을 때 콘덴서에 축적되는 에너지는?

  1. 60[J]
  2. 240[J]
  3. 3600[J]
  4. 7200[J]
(정답률: 60%)
  • 콘덴서에 축적되는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 1/2 x 용량 x 전압^2

    여기서 용량은 4[㎌], 전압은 60[kV]로 주어졌으므로,

    에너지 = 1/2 x 4[㎌] x (60[kV])^2 = 7200[J]

    따라서 정답은 "7200[J]"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IB=40㎂이고, IC=4㎃가 흐르는 트랜지스터 IE 는 얼마인가?

  1. 1.28[㎃]
  2. 2.02[㎃]
  3. 3.96[㎃]
  4. 4.04[㎃]
(정답률: 78%)
  • 트랜지스터의 전류 보존 법칙에 따라, IB + IC = IE 이다. 따라서 IE = 40㎂ + 4㎃ = 4.04[㎃]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정 발진기의 주파수 안정도가 양호한 이유에 해당되는 것은?

  1. 수정편의 Q가 매우 높다.
  2. 수정 진동자는 온도 특성이 안정하다.
  3. 발진조건을 만족시키는 유도성 주파수 범위가 아주 넓다.
  4. 부하 변동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정답률: 75%)
  • 수정편의 Q가 매우 높다는 것은 수정 내부의 에너지 손실이 매우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수정 발진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에너지 손실이 적어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이는 주파수 안정도가 높은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불 함수식 를 간략화한 식은?

  1. A+B
(정답률: 85%)
  • 정답: ""

    이유: 불 함수식에서 AND 연산은 모든 항이 참일 때 참을 반환하므로, B가 A와 같거나 A보다 크면 B>A는 항상 참이다. 따라서, B>A AND A>B는 항상 B>A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면적은 S[m2]이고 극간 거리가 d[m], 비 유전율 εs, 진공의 유전율 εo 인 유전체를 채운 평행판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몇 [F] 인가?

(정답률: 71%)
  • 평행판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 = εs * S / d

    여기서 εs는 비유전율, S는 면적, d는 극간 거리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이유는 εs가 작을수록 콘덴서의 정전용량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면적 S가 클수록, 극간 거리 d가 작을수록 콘덴서의 정전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보기 중에서 면적이 크고 극간 거리가 작은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의료안전ㆍ법규 및 정보

41. 정보 보안과 통제를 위한 기술 및 도구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스니퍼
  2. 암호화
  3. 전자인증
  4. 방화벽
(정답률: 84%)
  • 스니퍼는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을 가로채어 분석하는 도구로, 정보 보안과 통제를 위한 기술 및 도구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가 아닌 것은?

  1. 치과진단용 엑스선 발생장치
  2. 유방촬영용 장치
  3. 초음파 장치
  4. 전산화 단층 촬영장치
(정답률: 84%)
  • 초음파 장치는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가 아닙니다. 반면, 나머지 세 가지 장치는 방사선을 사용하여 진단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단말 구까지 공급된 의료용 가스 및 흡인, 공기가 최종적으로 환자에게 투여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1. Wall suction unit
  2. shut off valve
  3. alarm system
  4. copper tube piping
(정답률: 78%)
  • 의료용 가스 및 흡인, 공기는 환자에게 안전하게 전달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단말 구까지 공급된 가스 및 흡인, 공기를 조절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 시스템은 "Wall suction unit"으로 구성되며, 이는 가스 및 흡인, 공기를 제어하고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Shut off valve"은 가스 및 흡인,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장치이며, "alarm system"은 시스템의 이상을 감지하고 경고하는 장치입니다. "Copper tube piping"은 가스 및 흡인, 공기를 전달하는 파이프입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환자에게 안전하게 가스 및 흡인, 공기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Wall suction unit"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PACS의 영상 획득부에서 사용하는 장치는?

  1. film digitizer
  2. ODJ
  3. ATM
  4. 플로터
(정답률: 88%)
  • PACS의 영상 획득부에서는 필름으로 찍힌 이미지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film digitizer" 장치를 사용합니다. 이 장치는 필름에 찍힌 이미지를 스캔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PACS에서는 "film digitizer"를 사용하여 필름 이미지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의료기기의 등급분류 기준에서 인체에 미치는 위해도가 가장 높은 등급은?

  1. 1등급
  2. 2등급
  3. 3등급
  4. 4등급
(정답률: 81%)
  • 4등급은 인체에 미치는 위해도가 가장 높은 등급으로, 심각한 위험성을 가진 의료기기가 해당된다. 이 등급의 의료기기는 인체 내부에 직접 삽입되거나, 체내 조직에 직접 접촉하는 등의 위험성이 높은 기기들이다. 따라서 이 등급의 의료기기는 국내에서는 허가되지 않거나,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사용 시에는 매우 엄격한 안전조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시간 접근성
  2. 계속적인 변화
  3. 내용에 의한 창조
  4. 단일 공유
(정답률: 74%)
  • 단일 공유는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이 아니라 분산 시스템에서의 특성이다.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으로는 실시간 접근성, 계속적인 변화, 내용에 의한 창조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의료법상 의료기관 인증에 대한 이의신청 시 이의신청은 평가결과 또는 인증등급을 통보 받은 날부터 며칠 이내에 하여야 하는가?

  1. 1주일 이내
  2. 15일 이내
  3. 30일 이내
  4. 즉시
(정답률: 65%)
  • 의료법 제35조에 따르면 의료기관 인증에 대한 이의신청은 평가결과 또는 인증등급을 통보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해야 합니다. 이는 이의신청 기간으로, 이 기간 내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이의신청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HL7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것은?

  1. 이벤트 중심의 프로토콜 메시지 단위로 정보 전송이 이루어진다.
  2. 서로 다른 보건의료분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간 정보가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의 집합을 의미한다.
  3. 원격지간의 의학영상의 전송, 공동 판독 등을 지원하는 의학 영상처리 시스템이다.
  4. 사용자, 시스템 공급자 및 기타 의료정보 이해관계자들에 의해 합동으로 개발되었다.
(정답률: 80%)
  • "원격지간의 의학영상의 전송, 공동 판독 등을 지원하는 의학 영상처리 시스템이다."는 DICOM에 대한 설명이다. HL7는 이벤트 중심의 프로토콜 메시지 단위로 정보 전송이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보건의료분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간 정보가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의 집합을 의미한다. 사용자, 시스템 공급자 및 기타 의료정보 이해관계자들에 의해 합동으로 개발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의료정보관련 국제 표준이 아닌 것은?

  1. HL7
  2. DICOM
  3. SNOMED
  4. PACS
(정답률: 92%)
  • 정답은 "PACS"입니다.

    HL7, DICOM, SNOMED는 모두 의료정보 관련 국제 표준입니다.

    HL7은 의료정보 시스템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며, DICOM은 의료 영상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표준입니다.

    SNOMED는 의료용어 체계로,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표준화하여 의료정보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 PACS는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의 약자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국제 표준이 아니며, 각 병원이나 의료기관마다 다양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기쇼크 방지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환자를 모든 접지된 물체나 모든 전류 원 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절연시키는 것이다.
  2. 환자가 닿을 수 있는 모든 전도체를 같은 전위(등전위) 상태로 유지하고, 반드시 접지 전위로 만들어야 한다.
  3. 의료용 접지방식을 준수하여 전기쇼크를 방지한다.
  4. 장치설계 시 전기쇼크 안전을 고려하고, 사용 절차 중 전시쇼크 방지에 주의한다.
(정답률: 76%)
  • 옳지 않은 설명은 "환자를 모든 접지된 물체나 모든 전류 원 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절연시키는 것이다." 이다. 이는 오히려 전기적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올바른 방법은 "환자가 닿을 수 있는 모든 전도체를 같은 전위(등전위) 상태로 유지하고, 반드시 접지 전위로 만들어야 한다." 이다. 이는 전기적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전자파 장애(EMI)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전자 방해 파에 의해 일어나는 기기, 장치 또는 시스템의 성능 저하
  2. 방해 전자파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동작하는 기기 또는 시스템의 능력
  3. 전자 방해파가 있어도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시스템
  4. 부수적 전자파가 기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능력
(정답률: 84%)
  • "전자 방해 파에 의해 일어나는 기기, 장치 또는 시스템의 성능 저하"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전자기파가 기기나 장치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어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기기나 장치를 다른 기기나 장치와 충분히 격리하거나,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필터 등을 사용하여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수술 장면의 인터넷 방송과 같이 영상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보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 또는 일부만 전송되더라도 바로 재생할 수 있는 기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VOD 기술
  2. MPEG 기술
  3. Dithering 기술
  4. Streaming 기술
(정답률: 89%)
  • 정답: Streaming 기술

    설명: Streaming 기술은 영상이나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면서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도 인터넷을 통해 즉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VOD 기술은 영상을 미리 다운로드 받아서 재생하는 기술이고, MPEG 기술은 영상 압축 기술이다. Dithering 기술은 이미지 처리 기술 중 하나로, 색상을 조절하여 이미지의 화질을 개선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네트워크 장비 중에서 외부 망으로부터의 침입을 규제하고 내부 데이터의 불법 유출을 막기 위해 외부 망과의 접속점에 설치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무엇이라고 하는 가?

  1. Gateway
  2. Router
  3. Hub
  4. Firewall
(정답률: 78%)
  • Firewall은 외부 망과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차단하고 내부 데이터의 불법 유출을 막는 보안 장비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Firewall이다. Gateway는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담당하는 장비이고, Router는 패킷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Hub은 네트워크 장비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지만 보안 기능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의료용 가스 중앙 파이프 시스템에 필요한 요건이 아닌 것은?

  1. 안정된 가스 압이 유지되어야 한다.
  2. 다른 종류의 가스를 제공해서는 안 된다.
  3. 고 순도의 가스가 의료가스 아우트렛(outlet)으로부터 제공되어야 한다.
  4. 가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필요시에 일시적인 중단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70%)
  • 의료용 가스 중앙 파이프 시스템에서는 환자의 안전을 위해 언제든지 가스 공급을 중단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가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필요시에 일시적인 중단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요건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의료기기 안전에 관한 사항 중 열적안정은 물체의 온도가 1시간동안 몇 도 이상 상승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가?

  1. 1℃
  2. 2℃
  3. 10℃
  4. 20℃
(정답률: 71%)
  • 열적안정은 의료기기가 안전하게 작동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는 의료기기가 사용 중에 물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이때, 일반적으로 의료기기는 1시간 동안 물체의 온도가 2℃ 이상 상승하지 않아야 열적안정을 충족시킨다고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의료법상 각 중앙회가 자격정지 처분 요구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기 위하여 두는 것은?

  1. 윤리위원회
  2. 지부
  3. 분회
  4. 심의위원회
(정답률: 62%)
  • 윤리위원회는 의료법상 각 중앙회가 자격정지 처분 요구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기 위해 두는 것입니다. 이는 의료진의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자격정지 처분을 결정하기 위한 위원회로, 의료진의 진료 윤리를 지키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윤리위원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정보의 양 단위인 1 킬로바이트[KB]는 다음 중 어느 것과 같은 가?

  1. 100 바이트
  2. 1024 바이트
  3. 1000000 바이트
  4. 1024000 바이트
(정답률: 96%)
  • 정답은 "1024 바이트"이다.

    컴퓨터에서 정보의 양을 측정하는 단위는 바이트(byte)이다. 하지만 컴퓨터는 2진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2의 거듭제곱 단위로 정보의 양을 표현한다. 따라서 1KB는 2의 10승 바이트, 즉 1024바이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1024바이트가 1K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의료기기법령상 의료기기 제조업 허가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은?

  1. 한정치산자
  2. 마약 중독자
  3. 복권된 파산자
  4. 정신질환자
(정답률: 83%)
  • 복권된 파산자는 의료기기 제조업 허가를 받을 수 있는 사람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의료기기 제조업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자본을 확보하기 위한 지원책으로 복권된 파산자에게는 특별한 혜택이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의료영상시스템 도입이 필요한 이유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필름을 찾기 위해 소모되었던 의료관련 종사자들의 인력 낭비의 문제
  2. 필름 기반 시스템의 초기 구축비용의 증가
  3. 폐 필름, 현상 시 생기는 공기오염, 폐기물 처리 등의 문제
  4. 필름 보관상의 문제
(정답률: 87%)
  • "필름 기반 시스템의 초기 구축비용의 증가"는 적당하지 않은 이유이다. 이는 초기 투자비용이 높아지는 것이 단점이지만, 의료영상시스템 도입 후에는 필름 구매 및 보관, 폐기물 처리 등의 추가 비용이 없어지므로 장기적으로는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는 의료영상시스템 도입이 필요한 이유로 적당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의료기기법상 의료기기의 수리업자가 준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허가를 받거나 신고한 내용과 다르게 변조하여 의료기기를 수리하지 말 것
  2. 의료기기를 수리한 경우 수리내용을 관할 시-도지사에게 제출할 것
  3. 의료기기를 수리한 경우에는 상호 및 주소를 해당 의료기기의 용기 또는 외장에 기재할 것
  4. 의료기기의 수리를 의뢰한 자에 대하여 수리내역을 문서로 통보할 것
(정답률: 85%)
  • "의료기기를 수리한 경우 수리내용을 관할 시-도지사에게 제출할 것"은 의료기기의 수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수리과정에서 의료기기의 기능이 변조되거나 부적절한 부품이 사용될 경우 환자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수리내용을 관할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 검토를 받아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의료기기

61. 초음파 치료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진동 주파수가 17~20[㎑] 이상인 불 가청 진동음파를 이용한다.
  2. 교류치료를 발생시키는 심부 열 치료기이다.
  3. 금속 삽입물이 생체조직 내에 있을 경우는 사용할 수 없다.
  4. 조직에 초음파를 적용하면 조직 분자에서 열에너지로 전환시킨다.
(정답률: 42%)
  • "금속 삽입물이 생체조직 내에 있을 경우는 사용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초음파 치료기는 금속 삽입물이 있는 부위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금속 삽입물이 있는 부위에서는 초음파 치료기의 진동이 삽입물에 반사되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전기치료기를 열의 전달방법에 의해 분류할 때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전도방식
  2. 대류방식
  3. 복사방식
  4. 증발방식
(정답률: 61%)
  • 전기치료기는 열을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전도방식, 대류방식, 복사방식으로 분류됩니다. 그러나 증발방식은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전기치료기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증발방식은 물질의 표면에서 수증기를 형성하여 열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전기치료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수액펌프의 주된 용도는?

  1. 수압을 낮추기 위해서
  2. 환자의 혈액 순환을 돕기 위해서
  3. 수액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4. 환자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정답률: 81%)
  • 수액펌프의 주된 용도는 "수액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입니다. 수액펌프는 정확한 용량과 속도로 수액을 체내에 공급하여 환자의 건강을 유지하고 치료에 도움을 줍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체액 균형을 유지하고, 약물을 정확하게 투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혈액투석의 단점으로 옳은 것은?

  1. 스케줄에 맞게 주 2~3회 투석실에 와야 한다.
  2. 신체에 카테터를 달고 있어야 하므로 세균침입에 대해방어기구가 없어 염증 유발이 쉽다.
  3. 복막투석에 비해 꽤 큰 물질도 통과시키기 때문에 혈중의 단백질, 비타민 등이 소실될 수 있다.
  4. 포도당이 체내에 흡수되기 때문에 비만이나 고지혈증의 위험이 크다.
(정답률: 80%)
  • "스케줄에 맞게 주 2~3회 투석실에 와야 한다."는 혈액투석의 단점 중 하나이다. 이는 환자가 일정한 시간과 장소에 맞춰 투석실에 와야 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제약이 생긴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자기공명영상(MRI)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주자석(초전도전자석)의 자계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코일은?

  1. Choke coil
  2. Gradient coil
  3. RF coil
  4. Shimming coil
(정답률: 79%)
  • 주자석의 자계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장이 균일한 영역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Shimming coil이 사용됩니다. Shimming coil은 주자석 주변에 설치되며, 주자석의 자기장을 보완하여 균일한 자기장을 만들어줍니다. 이를 통해 MRI 시스템에서 높은 해상도와 정확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방사선 진단기기의 X-선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를 발생시키는 음극과 전자가 충돌하는 양극, 양극위의 작은 점에 전자를 집속시키는 집속통이 있다.
  2. 전자가 양극에 충돌하면 전자의 운동에너지 대부분이 X-선 에너지로 변화되고 일부분이 열로 변환된다.
  3. 양극의 재질은 열전도율이 좋으면서도 용융점이 높은 텅스텐이 많이 사용된다.
  4. X-선관의 주요 성능지표로 관전압, 관전류, 초점크기가 있다.
(정답률: 66%)
  • "전자를 발생시키는 음극과 전자가 충돌하는 양극, 양극위의 작은 점에 전자를 집속시키는 집속통이 있다."는 방사선 진단기기의 X-선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이므로, 옳지 않은 것은 "전자가 양극에 충돌하면 전자의 운동에너지 대부분이 X-선 에너지로 변화되고 일부분이 열로 변환된다."이다.

    전자가 양극에 충돌하면 전자의 운동에너지 일부분이 X-선 에너지로 변화되고 일부분이 열로 변환된다. 이는 전자와 양극의 충돌에서 일어나는 전자의 에너지 손실로 인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전기수술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절개는 응고보다 더 높은 출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응고시킬 때보다 낮은 주파수의 전류를 사용한다.
  2. 전기수술기의 작용은 절개, 응고, 지혈이다.
  3. 대극판은 체내에 흐르는 전류를 다시 본체로 돌려보내는 역할을 한다.
  4. 대극판은 항상 인체와 접촉면이 넓어야 한다.
(정답률: 61%)
  • "절개는 응고보다 더 높은 출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응고시킬 때보다 낮은 주파수의 전류를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전기수술기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조직을 절개, 응고, 지혈하는 기기이다. 대극판은 체내에 흐르는 전류를 다시 본체로 돌려보내는 역할을 하며, 항상 인체와 접촉면이 넓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인큐베이터의 기본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조절
  2. 습도조절
  3. 환기조절
  4. 냉동조절
(정답률: 82%)
  • 인큐베이터는 생명체의 생장 및 발달을 돕기 위해 일정한 온도, 습도, 환기 등의 환경을 제공하는 장비이다. 그러나 인큐베이터는 냉동 기능이 없기 때문에 "냉동조절"은 인큐베이터의 기본 기능이 아니다. 인큐베이터는 일정한 온도, 습도, 환기 등을 유지하면서 생명체의 생장 및 발달을 돕는 것이 주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이 가각 130㎜Hg, 90㎜Hg로 예상되는 경우 압박대의 초기 압력은 얼마가 적절한가?

  1. 100㎜Hg
  2. 120㎜Hg
  3. 160㎜Hg
  4. 180㎜Hg
(정답률: 79%)
  •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이 각각 130㎜Hg, 90㎜Hg로 예상되는 경우, 압박대의 초기 압력은 최고혈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이는 혈압을 유지하고 심장에 충분한 혈액 공급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160㎜Hg"가 적절한 초기 압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제세동기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제세동기는 강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불규칙적으로 움직이는 심근세포들을 동시에 탈 분극 시켜서 절대적인 불응기를 만든다.
  2. 심근이 약 80% 이상 탈분극이 되면 제세동의 성공률이 낮아진다.
  3. 높은 성공률을 위해 최대한 강한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제세동의 역치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거 감소하지 않는 값이다.
(정답률: 76%)
  • 제세동기는 강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불규칙적으로 움직이는 심근세포들을 동시에 탈 분극 시켜서 절대적인 불응기를 만드는 것이다. 이는 심장의 정상적인 신호 전달을 차단하고, 심장을 초기 상태로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세동기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대한 강한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심근이 약 80% 이상 탈분극이 되면 제세동의 성공률이 낮아지므로 적절한 에너지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제세동의 역치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분광 광도법으로 검사할 수 없는 항목은?

  1. 성분 검사
  2. 혈청 검사
  3. 적혈구/백혈구 검사
  4. 호르몬 검사
(정답률: 78%)
  • 분광 광도법은 혈액 내 성분의 양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혈청 검사와 호르몬 검사는 이 방법으로 검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적혈구와 백혈구는 혈액 내 성분이 아니라 혈액 세포이기 때문에 분광 광도법으로 검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적혈구/백혈구 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음향 임피던스(acoustic impedan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향 임피던스는 물질의 밀도와 음속의 곱으로 결정된다.
  2. 음향 임피던스의 단위로는 dB을 사용한다.
  3.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전기에너지와 음파에너지 서로를 변환할 수 잇는 소자이다.
  4.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공명주파수를 갖는다.
(정답률: 74%)
  • 음향 임피던스의 단위로는 dB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음향 임피던스의 단위는 파스칼초(m/s)입니다. dB는 소리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방사선 단위 중 등가선량의 단위는?

  1. 뢴트겐[R]
  2. 그레이[Gy]
  3. 시버트[Sv]
  4. 베크렐[Bq]
(정답률: 61%)
  • 등가선량은 생물체가 방사선에 노출되어 받는 피해의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이는 시간당 흡수된 에너지의 단위인 시버트[Sv]로 표시됩니다. 다른 방사선 단위들은 방사선의 양이나 에너지를 나타내는데 비해, 시버트[Sv]는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초음파의 영상촬영 방식 중 인체 내부의 단면상을 보여주는 방식은?

  1. A-mode
  2. B-mode
  3. M-mode
  4. TM-mode
(정답률: 81%)
  • B-mode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단면상을 보여주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초음파를 발생시켜 인체 내부를 스캔하고, 스캔한 결과를 모니터에 출력하여 인체 내부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mode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 M-mode는 시간에 따른 초음파 반사 신호의 변화를 보여주는 방식, TM-mode는 조직의 탄성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적외선 및 가시광선을 인체 내에 투과하여 인체 내에서의 광 흡수도를 비교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혈압
  2. 체온
  3. 폐활량
  4. 혈중산소포화농도
(정답률: 87%)
  • 적외선과 가시광선은 인체 내에서 다르게 흡수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혈중산소포화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혈중산소포화농도는 혈액 내 산소가 얼마나 많이 포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는 인체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적외선 및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혈중산소포화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신생아 보육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기화기
  2. 히터
  3. 산소공급기
  4. 무호흡감지기
(정답률: 67%)
  • 기화기는 신생아 보육기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기화기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기기로, 신생아 보육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심박출량 측정법 중 저온이나 고온의 액체(식염수)를 지시물질로 주입하여 서미스터 등으로 검출하는 방법은?

  1. 온도 희석법
  2. 임피던스 희석법
  3. 지시약 희석법
  4. Fick's 법
(정답률: 80%)
  • 온도 희석법은 심장에서 밀어내는 혈액의 양인 심박출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저온이나 고온의 액체(식염수)를 주입하여 혈액과 섞어 온도를 낮추거나 높여서 혈액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이후 서미스터 등으로 혈액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여 심박출량을 측정합니다. 이 방법은 혈액의 온도 변화와 심박출량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일반적으로 환자가 참을 수 있을 정도의 전극으로 자극, 근 수축을 유발하여 중추신경계 환자의 재활치료에 이용하는 치료기기는?

  1. ICT
  2. SSP
  3. TENS
  4. FES
(정답률: 53%)
  • FES는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의 약자로, 근육을 자극하여 근 수축을 유발하는 치료기기입니다. 이는 중추신경계 환자의 근력 감소 및 운동 장애를 개선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참을 수 있는 정도의 전극으로 자극하기 때문에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FES가 중추신경계 환자의 재활치료에 이용되는 치료기기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체외파충격쇄석기의 에너지 발생원 중 금속막을 전자석으로 진동시켜 발생되는 압력파를 집속하여 충격파를 만드는 방식은?

  1. 수중방전 방식
  2. 전자진동 방식
  3. 미소발파 방식
  4. 압전소자 방식
(정답률: 73%)
  • 체외파충격쇄석기의 에너지 발생원 중 금속막을 전자석으로 진동시켜 발생되는 압력파를 집속하여 충격파를 만드는 방식은 "전자진동 방식"이다. 이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금속막을 진동시켜 압력파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충격파를 만들어내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체외충격파쇄석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충격파전달매체
  2. 위치측정 장치
  3. 온도조절장치
  4. 충격파발생장치
(정답률: 80%)
  • 체외충격파쇄석기는 충격파전달매체, 위치측정 장치, 충격파발생장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온도조절장치는 쇄석기 작동 시 필요하지 않은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의용기계공학

81. 스테인리스강을 구성하는 원소의 역할이 잘못 설명된 것은?

  1. Mo(몰리브덴): 내 부식성을 향상시킨다.
  2. Ni(니켈): 실온에서 가공성을 높여준다.
  3. Cr(크롬): 부식을 억제한다.
  4. C(탄소): 마모성을 향상시킨다.
(정답률: 63%)
  • 스테인리스강은 크롬과 니켈 등의 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원소는 부식을 억제하고 내구성을 높여준다. 하지만 탄소는 마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C(탄소): 마모성을 향상시킨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어서 눈에 보이지 않고 열작용이 크고 침투력이 강하며,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 및 공명 작용이 강한 것은?

  1. 자기력선
  2. 자외선
  3. 원적외선
  4. 방사선
(정답률: 69%)
  • 원적외선은 파장이 가시광선보다 길어서 눈에 보이지 않지만, 열작용이 크고 침투력이 강하며,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 및 공명 작용이 강합니다. 따라서, 원적외선은 열에 대한 감지, 측정 및 분석에 많이 사용되며, 화학물질의 구조 분석 등에도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주파수 100㎐에서 도전율이 가장 높은 조직은?

  1. 골격근
  2. 혈액
  3. 지방
  4. 간장
(정답률: 68%)
  • 주파수 100㎐는 전기적인 에너지가 조직 내부로 흡수되는 빈도입니다. 혈액은 전해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전기적으로 높은 전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혈액은 주파수 100㎐에서 도전율이 가장 높은 조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음파의 반사나 굴절을 결정짓는 요소는?

  1. 주파수
  2. 진폭
  3. 파장
  4. 음향 임피던스
(정답률: 69%)
  • 음파의 반사나 굴절을 결정짓는 요소는 음파가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전달될 때 발생하는 인터페이스에서의 임피던스 차이입니다. 이를 음향 임피던스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음향 임피던스"입니다. 주파수, 진폭, 파장은 음파의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이지만, 반사나 굴절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바이오세라믹스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성형, 가공성 우수
  2. 생체 친화성이 있음
  3. 일반적으로 높은 경도
  4. 낮은 파괴 인성치
(정답률: 73%)
  • 바이오세라믹스는 성형과 가공이 용이하며, 이는 재료를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고, 생체 내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와 함께 바이오세라믹스는 생체 친화성이 높아 인체 내에서 사용해도 안전하며, 일반적으로 높은 경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낮은 파괴 인성치를 가지고 있어, 큰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깨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역학의 분류에서 변형체 역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탄성
  2. 소성
  3. 점탄성
  4. 액체
(정답률: 74%)
  • 액체는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변형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탄성, 소성, 점탄성은 모두 형태가 변형되는 변형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방사선 흡수선량의 단위가 아닌 것은?

  1. Gy(그레이)
  2. rad
  3. J/㎏
  4. R(뢴트겐)
(정답률: 66%)
  • 정답은 "J/㎏"입니다.

    "R(뢴트겐)"은 방사선이 물질에 전달되어 생기는 이온화를 일으키는 능력을 나타내는 단위로, 방사선의 강도와 물질과의 상호작용을 나타냅니다.

    반면에 "Gy(그레이)"는 물질이 받는 방사선의 흡수선량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rad"는 방사선이 물질에 전달되어 생기는 에너지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J/㎏"는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방사선 흡수선량의 단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생체조직의 수동적인 전기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파수의 증가와 함께 도전율은 증가한다.
  2. 일반적으로 저주파 영역에서는 도전성이 지배적이다.
  3. 일반적으로 고주파 영역에서는 유전성이 지배적이다.
  4. 생체조직의 등가회로에서 세포막은 인덕터로 작용한다.
(정답률: 66%)
  • "생체조직의 등가회로에서 세포막은 인덕터로 작용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세포막은 일반적으로 전기적으로 저항성이 높아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세포막은 콘덴서에 가까운 역할을 하며, 인덕터와는 반대의 역할을 합니다.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도전율이 증가하는 것은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저주파 영역에서는 도전성이 지배적이며, 고주파 영역에서는 유전성이 지배적입니다. 이는 생체조직의 전기적 특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축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비틀림 모멘트를 받는 축은 응력 집중을 고려한다.
  2.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축이 파괴되지 않도록 강도를 고려한다.
  3. 굽힘 모멘트를 받는 축은 축 처짐을 고려한다.
  4. 고온에서 사용되는 축은 열팽창을 고려한다.
(정답률: 66%)
  • "비틀림 모멘트를 받는 축은 응력 집중을 고려한다."가 틀린 것이다. 비틀림 모멘트는 축의 회전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응력 집중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비틀림 모멘트를 받는 축은 응력 집중을 고려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금속 중 표면에 금속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는 산화피막을 잘 형성하는 금속원소가 아닌 것은?

  1. Cr (크롬)
  2. Ti (티타늄)
  3. AI (알루미늄)
  4. Ni (니켈)
(정답률: 50%)
  • 니켈은 산화피막을 형성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그림에서 최대 굽힘 모멘트 크기는?

  1. FL
  2. FL/2
  3. FL/4
  4. FL/8
(정답률: 77%)
  • 최대 굽힘 모멘트는 가장 중심에 위치한 A 지점에서 발생한다. 이 지점에서의 굽힘 모멘트는 F × L/4 이므로, 정답은 FL/4이다. 이는 A 지점에서의 하중 F가 L/4 만큼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세포의 괴사(Necrosis)는 세포조직이 붕괴되거나 기능이 정지되어 죽게 되는 과정이다. 다음 중 세포괴사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은?

  1. 저온에 의한 활성도 감소
  2. 세균의 독소에 의한 세포의 호흡장애
  3. 혈액 공급 부족에 의한 빈혈성 경색
  4. 산에 의한 단백질 응고 또는 알칼리에 의한 세포체의 융해
(정답률: 63%)
  • 정답: 저온에 의한 활성도 감소

    설명: 세포괴사의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세균의 독소에 의한 세포의 호흡장애, 혈액 공급 부족에 의한 빈혈성 경색, 산에 의한 단백질 응고 또는 알칼리에 의한 세포체의 융해 등이 있지만, 저온에 의한 활성도 감소는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다. 저온은 세포의 활성도를 감소시키지만, 이는 세포괴사의 원인이 아니라 간접적인 영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형상기억효과와 초탄성 효과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합금은?

  1. 폴레에틸렌(PE)
  2. 의료용 Co-Cr 합금
  3. NiTi 합금
  4. 탄탈럼(Ta) 합금
(정답률: 81%)
  • NiTi 합금은 형상기억효과와 초탄성 효과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합금입니다. 이는 NiTi 합금이 고온에서는 austenite 상태로 형상을 유지하다가 저온에서 martensite 상태로 변화하면서 형상기억효과를 나타내며, 다시 고온으로 올라가면 austenite 상태로 돌아가면서 초탄성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구름 베어링에서 안지름을 나타내는 기호가 04일 때 안지름은?

  1. 10㎜
  2. 15㎜
  3. 17㎜
  4. 20㎜
(정답률: 81%)
  • 구름 베어링에서 안지름을 나타내는 기호는 첫 번째 숫자가 외경을 나타내고, 두 번째 숫자가 안경을 나타낸다. 따라서 "04"는 외경이 4밀리미터, 안경이 2밀리미터인 베어링을 의미한다. 안경은 외경에서 내부까지의 거리이므로, 안경이 2밀리미터인 경우 내부 지름은 4밀리미터에서 2밀리미터를 빼면 2밀리미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심장판막의 표면을 코팅하는 재료로 사용되는 세라믹스 재료는?

  1. 알루미나
  2.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3. 바이오 글라스
  4. LTP 카본
(정답률: 61%)
  • LTP 카본은 심장판막의 표면을 코팅하는 재료로 사용되는 이유는 높은 생체 안정성과 생체 적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LTP 카본은 인체 내에서 분해되지 않으며, 높은 경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심장판막의 표면을 보호하고 지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어금니에 충치가 생겨서 상아질(dentin)에 직경 2㎜, 깊이 4㎜의 구멍을 내고 치과용 레진을 채워 넣었다. 커피를 마시는 동안 치료부위의 온도가 구강 온도보다 30℃ 상승 되었다. 이 경우 치료부위의 레진이 팽창한 부피는? (단, 열팽창계수 αresin=81×10-6/℃, αdentin=8.3×10-6/℃)

  1. 0.082 mm3
  2. 0.092 mm3
  3. 0.140 mm3
  4. 0.152 mm3
(정답률: 49%)
  • 치료부위의 레진이 팽창한 부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V = V0αΔT

    여기서, ΔV는 팽창한 부피, V0은 초기 부피, α는 열팽창계수, ΔT는 온도 변화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치료부위의 레진이 팽창한 부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V = V0,resinαresinΔT

    여기서, V0,resin은 레진의 초기 부피를 나타낸다.

    또한, 치아 상아질의 팽창한 부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V = V0,dentinαdentinΔT

    여기서, V0,dentin은 상아질의 초기 부피를 나타낸다.

    따라서, 치료부위의 레진과 치아 상아질의 팽창한 부피의 합은 다음과 같다.

    ΔVtotal = ΔVresin + ΔVdentin
    = V0,resinαresinΔT + V0,dentinαdentinΔT

    여기서, V0,resin = πr2h = 3.14 × 12 × 0.4 = 1.256 mm3 이고, V0,dentin = πr2h = 3.14 × 0.52 × 0.4 = 0.314 mm3 이다.

    따라서, ΔVtotal = 1.256 × 81 × 10-6 × 30 + 0.314 × 8.3 × 10-6 × 30 = 0.082 m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0.082 m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살아있는 생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생체의 조직이나 장기 또는 생체 기능의 일부 혹은 전체를 대신하거나 보완해 주는데 사용되는 모든 재료를 정의 되는 것은?

  1. 생체재료
  2. 인공재료
  3. 자연재료
  4. 산업재료
(정답률: 82%)
  • 생체재료는 살아있는 생체와 접촉하여 사용되는 재료로, 생체의 조직이나 기능을 대신하거나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반해 인공재료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재료이고, 자연재료는 자연에서 발견되는 재료를 의미합니다. 산업재료는 산업적 용도로 사용되는 재료를 말합니다. 따라서 생체재료는 생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생체 기능을 대신하거나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재료로 정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초음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ㅁ
  3. ㄱ, ㄹ, ㅁ
  4. ㄴ, ㄷ, ㄹ
(정답률: 80%)
  • 초음파는 고주파음파로서, 소리의 주파수가 높아서 인체 내부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인체 내부에서 조직의 밀도나 경계면 등이 다르면, 초음파는 반사되거나 굴절되어 돌아옵니다. 이렇게 돌아온 초음파를 기기가 수집하여 이미지로 만들어내는데, 이 이미지에서 "ㄴ, ㄷ, ㄹ" 이 나오는 이유는 인체 내부에서 조직의 밀도나 경계면이 다르기 때문에 초음파가 반사되거나 굴절되어 돌아올 때, 이러한 모양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용혈현상(hemolysis)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적혈구의 막이 파괴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2. 정상적인 생체 내에서도 종종 발생한다.
  3. 적혈구가 노출되는 응력의 크기와 응력에 노출되는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4. 100000 dyne/cm2 이상의 높은 응력에서는 10-5초 정도의 짧은 시간동안 노출되어도 용혈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66%)
  • "정상적인 생체 내에서도 종종 발생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용혈현상은 적혈구의 막이 파괴되는 현상으로, 정상적인 생체 내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이는 적혈구가 일정 기간 이상 존재하면서 자연적으로 노폐물과 노화된 세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적혈구가 노출되는 응력의 크기와 응력에 노출되는 시간에 따라 용혈현상이 결정되며, 100000 dyne/cm2 이상의 높은 응력에서는 10-5초 정도의 짧은 시간동안 노출되어도 용혈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재료가 인장강도보다 낮은 조건에서 일정 기간 동안 반복적인 하중을 받게 하여 미세한 소성변형의 누적으로 응력집중을 유발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재료의 기계적 평가 방법은?

  1. 생체 기능성평가
  2. 인장 특성평가
  3. 굽힘 특성평가
  4. 피로 특성평가
(정답률: 85%)
  • 피로 특성평가는 재료가 일정 기간 동안 반복적인 하중을 받을 때 미세한 소성변형의 누적으로 응력집중을 유발하는 현상을 관찰하여 재료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재료의 피로 파괴에 대한 내구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인장강도나 굽힘 특성평가와는 다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