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9-23)

의공산업기사
(2017-09-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초의학 및 의공학

1. 디지털화하여 저장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는?

  1. ADC
  2. TDC
  3. DAC
  4. CFD
(정답률: 96%)
  • DAC는 Digital-to-Analog Converter의 약자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이다. 따라서 주어진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DAC가 필요하다. ADC는 Analog-to-Digital Converter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이며, TDC는 Time-to-Digital Converter, CFD는 Constant Fraction Discriminator의 약자로, 이들은 DAC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세포막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포막은 인지질의 단일층으로 구성된다.
  2. 세포막의 표면에 표면단백질이 있다.
  3. 세포막은 유동적이다.
  4. 일반적으로 세포막은 많은 노폐물을 통과시킨다.
(정답률: 74%)
  • "세포막은 인지질의 단일층으로 구성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세포막은 인지질의 이중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지질은 수용성 머리 부분과 비수용성 꼬리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인지질들이 두 층으로 배열되어 세포막을 형성한다. 이중층 구조는 세포막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전극 중 순간적으로 가장 많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것은?

  1. 심전도(ECG) 측정용 전극
  2. 뇌전도(EEG) 측정용 전극
  3. 근전도(EMG) 측정용 전극
  4. 심장 제세동기(defibrillator)용 전극
(정답률: 96%)
  • 심장 제세동기(defibrillator)용 전극은 심장을 다시 정상적인 심장 리듬으로 되돌리기 위해 매우 강력한 전류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가장 많은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다른 전극들은 측정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전류의 강도가 높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금속저항 온도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금속의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저항이 감소된다.
  2. 귀금속은 보통 금속에 비해 온도계수가 더 작아 유리하다.
  3. 온도 이외의 물리적 환경 변화에 의해 반응할 수도 있다.
  4. 가능하면 큰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정답률: 65%)
  • 금속저항 온도계는 금속의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데, 이때 온도 이외의 물리적 환경 변화에 의해도 저항값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속저항 온도계가 물 속에 있을 경우, 물의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도 이외의 환경 변화에 대한 보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안에 알맞은 것은?

  1. 근전도(electromyogram, EMG)
  2. 유발전위(evoked potential, EP)
  3.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4.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
(정답률: 99%)
  • 이미지에서 보이는 그래프는 뇌파를 나타내고 있으며, 뇌파는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로 측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안에 들어갈 알맞은 전극은?

  1. 금속플레이트 전극(Metal-plate electrode)
  2. 접시 전극(Metal-disk electrode)
  3. 흡반(흡입) 전극(Suction electrode)
  4. 부유 전극(Floating electrode)
(정답률: 86%)
  • 부유 전극은 전해질 용액 위에 떠있는 전극으로, 전해질 용액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아서 안정적인 전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해질 용액의 흐름이 많은 실험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선형 가변 타동변화기(LVDT)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위상변화를 갖는다.
  2.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선형성을 나타낸다.
  3. 복잡한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4. 크기와 모양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정답률: 89%)
  • LVDT의 장점은 위상변화를 갖는다는 것,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선형성을 나타낸다는 것, 크기와 모양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복잡한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은 LVDT의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LVDT의 단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LVDT에서 측정된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기 때문에,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신호처리 과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종격이란 용어가 나타내는 의미로 옳은 것은?

  1. 척추와 폐 사이
  2. 폐와 폐 사이
  3. 심장과 폐 사이
  4. 심장과 횡경막 사이
(정답률: 71%)
  • 종격이란 폐와 폐 사이에 위치한 막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 막은 흉수를 방지하고 폐가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호흡을 원활하게 합니다. 따라서 "폐와 폐 사이"가 옳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심전도 파형의 의미로 옳지 않은 것은?

  1. T파는 심방의 재분극
  2. Q파는 심실 격벽의 탈분극
  3. R파는 심실의 탈분극
  4. P파는 심방의 탈분극
(정답률: 88%)
  • 정답은 "T파는 심방의 재분극"이다. T파는 심실의 재분극을 나타내는 파형이다. 재분극이란, 심근세포가 다시 극성을 되찾는 과정을 말한다. T파는 심실의 수축이 끝나고, 심근세포가 다시 극성을 되찾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형이다. 따라서 T파는 심방의 재분극이 아니라, 심실의 재분극을 나타내는 파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그림은 일회용 금속판 전극(disposable electrode)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금속판 부분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91%)
  • 정답인 "C"는 금속판 부분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그림에서 검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으로, 전극의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교감 신경과 관련 없는 것은?

  1. 소화액 분비를 증가시킨다.
  2. 스트레스가 많아지면 활성화된다.
  3. 중추는 척수의 흉요부측각(胸腰部側角)에 있다.
  4. 분비선을 관류하는 혈관들의 수축을 일으킨다.
(정답률: 82%)
  • "소화액 분비를 증가시킨다."는 교감 신경과 관련이 없는 것이다. 교감 신경은 스트레스가 많아지면 활성화되며, 중추는 척수의 흉요부측각에 있다. 또한, 교감 신경은 분비선을 관류하는 혈관들의 수축을 일으키지만, 소화액 분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인체 평면과 관련된 용어 중 인체를 수직으로 나누어 좌우로 이등분한 수직면을 의미하는 용어는?

  1. 시상면(Sagittal Plane)
  2. 횡단면(Transverse Plane)
  3. 전두면(Frontal Plane)
  4. 단층면(Cross section)
(정답률: 89%)
  • 시상면은 인체를 수직으로 나누어 좌우로 이등분한 수직면을 의미한다. 즉, 인체를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는 면이다. 다른 보기들은 인체를 수평으로 나누는 면이나 단면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심전도 유도방법 중 단극 유도법(unipolar lead system) 개념을 간략화시킨 것이다. 그림과 같이 관측전극이 심근섬유 중간에서 탈분극의 활동을 측정하였을 경우에 나타나는 파형의 형태는?

(정답률: 69%)
  • 단극 유도법에서는 관측전극 하나만 사용하여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한다. 이 때, 관측전극은 심근섬유 중간에서 탈분극의 활동을 측정하므로, 파형의 형태는 양극성(polarity)이 없는 단극(unipolar)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압전 소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압을 가하면 변형이 생기는 소자
  2. 물리적 압력이 가해지면 전위가 발생하는 소자
  3. 전위로부터 변위나 압력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소자
  4. 서로 다른 두 금속의 접합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단의 온도차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는 소자
(정답률: 83%)
  • 압전 소자는 온도차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압력이나 전위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두 금속의 접합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단의 온도차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는 소자"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악성 빈혈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옳은 것은?

  1. 철분의 부적절한 흡수나 상실로 인해
  2. 만성 혈액 손실로 인해
  3. 내인자의 결핍으로 인해
  4. 과다한 적혈구의 파괴로 인해
(정답률: 63%)
  • 악성 빈혈은 내인자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내인자는 체내에서 적혈구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단백질입니다. 내인자 결핍은 적혈구 생성에 필요한 인자가 충분하지 않아 적혈구가 충분히 생성되지 못하고 빈혈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의료용 전극의 조건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낮은 분극전압
  2. 높은 접촉전항
  3. 안정적인 접촉 유지
  4. 피부 자극이 낮음
(정답률: 81%)
  • 높은 접촉전항은 전기적인 저항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류가 흐르는데 어려움이 있어 전극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용 전극의 조건으로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극을 인체에 붙였을 때, 전극을 이루는 금속 재질이 전해용액 속에서 녹는 성질과 용액 내의 이온이 금속과 결합하는 현상에 의해 금속과 용액 사이에 전위가 형성되는 것은 무엇인가?

  1. 반전지 전위(half-cell porential)
  2.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
  3. 생체 전기(bio effect)
  4. 도플러 효과(doppler's effect)
(정답률: 91%)
  • 전극을 이루는 금속과 전해용액 사이에 전위가 형성되는 것은 반전지 전위라고 합니다. 이는 금속과 용액 사이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에 의해 전자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전위차입니다. 이러한 반전지 전위는 전기화학적 셀에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거나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휴지기 전위를 조정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휴지 상태의 세포막은 일반적으로 K+ 이온도바 Na+ 이온을 더 잘 통과시킨다.
  2. 삼투 현상에 의해 이온이 이동된다.
  3. 크기가 큰 음전하의 단백질은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 내에 존재하게 된다.
  4. Na+/K+펌프는 Na+이온을 3개 내보낼 때 K+이온이 2개 들어온다.
(정답률: 86%)
  • Na+/K+펌프는 세포막 내부와 외부의 Na+와 K+의 농도 차이를 유지하기 위해 작용하는 효소이다. 이 펌프는 Na+이온을 세포막 외부로 3개 내보내면서 K+이온을 세포막 내부로 2개 가져온다. 이는 세포막 내부의 K+ 농도를 높이고 Na+ 농도를 낮추어 휴지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Na+/K+펌프는 Na+이온을 3개 내보낼 때 K+이온이 2개 들어온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용량성 센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변위에 의한 양을 측정할 수 있다.
  2. 평행차의 면적, 거리, 투자율의 변화와 관련된다.
  3.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4. 일반적으로 교류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한다.
(정답률: 51%)
  •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것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용량성 센서는 일반적으로 교류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하며, 변위에 의한 양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평행차의 면적, 거리, 투자율의 변화와 관련된다는 것은 용량성 센서의 측정 대상이 될 수 있는 것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가변저항 센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직류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2. 선형성이 좋다.
  3. 회전변위 측정이 가능하다.
  4. 측정 범위가 넓다.
(정답률: 88%)
  • 가변저항 센서의 특징 중 "직류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가변저항 센서는 교류와 직류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의용전자공학

21. 다음 회로의 출력전압은?

  1. -8[V]
  2. +8[V]
  3. -6[V]
  4. +6[V]
(정답률: 60%)
  • 입력전압이 -12[V]일 때, R1과 R2를 통해 -8[V]의 전압이 출력된다. 이는 R1과 R2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압분배의 법칙에 따라 R1과 R2에 걸리는 전압이 같아지고, 이를 계산하면 -8[V]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8[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반도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진성반도체는 금속보다는 크고, 절연체보다 작은 저항을 갖는다.
  2. 진성반도체에 비소, 안티몬 등을 첨가하여 n형 반도체를 만든다.
  3. P형 반도체에 첨가된 불순물을 억셉터라 부른다.
  4. 반도체는 온도가 상승하면 도전율이 감소한다.
(정답률: 75%)
  • 반도체는 온도가 상승하면 도전율이 감소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다. 이는 일반적인 반도체의 특성 중 하나이다. 반도체 내부의 전자와 결합된 원자들이 열에 의해 진동하면 전자의 이동이 방해받아 전기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온도가 상승하면 반도체의 전기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펄스 변조 방식의 하나로 변조 신호의 크기에 따라서 진폭이나 폭이 일정한 단위 펄스를 일정 시간 내에 그 수를 변화시켜서 변조하는 방식은?

  1.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2. PWM(Pulse Width Modulation)
  3. PCM(Pulse Code Modulation)
  4. PNM(Pulse Number Modulation)
(정답률: 80%)
  • PNM은 변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진폭이나 폭이 일정한 단위 펄스를 일정 시간 내에 그 수를 변화시켜서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진폭, 폭, 코드 등을 변조하는 방식이지만, PNM은 펄스의 개수를 변조합니다. 따라서 PN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디지털 시스템 동작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정확성
  2. 신뢰성
  3. 재현성
  4. 주기적인 교정의 필요
(정답률: 88%)
  • 주기적인 교정의 필요는 디지털 시스템 동작방식의 특징이 아니라 디지털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조치 중 하나입니다. 디지털 시스템은 정확성, 신뢰성, 재현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센서나 기기의 정확도가 변화하거나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교정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극을 통해 생체전기 현상을 기록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1. 심전도
  2. 뇌전도
  3. 신경전도
  4. 심음도
(정답률: 94%)
  • 심음도는 심장의 소리를 기록하는 것으로, 생체전기 현상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전극을 통해 기록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심음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과 같은 카르노 맵의 가장 간단한 논리식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92%)
  • 카르노 맵에서 인접한 셀들은 한 비트만 다르므로, 인접한 셀들끼리는 같은 논리식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카르노 맵에서 인접한 셀들을 그룹화하여 최소항을 구하면 가장 간단한 논리식을 얻을 수 있다.

    위의 카르노 맵에서 인접한 셀들을 그룹화하면 다음과 같다.

    A'B' + A'C' + AB + BC

    이 식을 더 간단하게 정리하면,

    A'B' + A'C' + AB + BC = B(A + C) + A'B' + A'C'

    = B + A'B' + A'C'

    따라서, 가장 간단한 논리식은 B + A'B' + A'C' 이다. 이 식은 보기에서 "B"와 일치하므로 정답은 "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혈압의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직접측정법은 혈압을 실시간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2. 코르트코프 음(korotkoff sound)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3. 직접측정법에는 압력센서가 필요하다.
  4. 간접측정법에는 카테터(catheter)가 필요하다.
(정답률: 92%)
  • 간접측정법에는 카테터(catheter)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간접측정법은 일반적으로 수축기와 이완기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해 팔뚝에 구속매를 감아 압력을 가하고, 코르트코프 음을 듣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카테터는 직접측정법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트랜지스터의 공통 이미터 접지 회로가 있을 때 콜렉터 전류가 4mA이고, 베이스 전류가 0.04mA이었다. 이 때 직류전류 증폭율은?

  1. 0.99
  2. 1
  3. 99
  4. 100
(정답률: 71%)
  • 직류전류 증폭율은 콜렉터 전류와 베이스 전류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직류전류 증폭율은 4mA / 0.04mA = 1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공기 중의 투자율이 μo일 때 자극의 세기 mWb인 점 자극으로부터 나오는 총 자력선의 수는 몇 개인가?

  1. 1/m
  2. m
  3. μom
(정답률: 59%)
  • 자기장의 세기는 자력선의 개수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중의 투자율이 μo일 때 자극의 세기 mWb인 점 자극으로부터 나오는 총 자력선의 수는 m/μo개가 된다.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연속 주입 지시액 희석법에 사용되는 Fick의 방법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지시물질은 열이나 염료 등이다.
  2. 지시물질이 산소이기 때문에 독성이 없다.
  3. 카테터의 심박출량에 대한 영향이 크기 때문에 별도의 보정을 필요로 하다.
  4. Fick 방법에서 산소는 환자의 정맥을 통하여 주입된다.
(정답률: 67%)
  • Fick의 방법은 지시물질의 확산을 이용하여 혈류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지시물질이 환자의 혈액에 주입되어 혈액과 함께 순환하면서 확산되는 것을 측정합니다. 이 때, 지시물질이 산소인 경우에는 독성이 없는 이유는 산소가 우리 몸에서 필수적인 기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소를 지시물질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독성에 대한 걱정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생체계측기기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정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확도-측정치를 표시할 수 있는 유효숫자의 범위
  2. 해상도-참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참값으로 나눈 것
  3. 정적감도-입력 증감에 대한 출력의 증감비
  4. 재현성-측정될 수 있는 최소의 증감치
(정답률: 72%)
  • 정적감도는 입력 신호의 증감에 대한 출력 신호의 증감비를 나타내는 성능 지표입니다. 즉, 입력 신호가 증가하면 출력 신호도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센서의 민감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적감도는 생체계측기기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과 같은 진리표를 갖는 플립플롭은?

  1. D 플립플롭
  2. T 플립플롭
  3. JK 플립플롭
  4. RS 플립플롭
(정답률: 86%)
  • JK 플립플롭은 J-K 입력이 모두 1일 때 이전 상태를 반전시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이진수 카운터 등에서 사용됩니다. 이에 반해 D 플립플롭은 D 입력이 1일 때만 이전 상태를 반전시키고, T 플립플롭은 T 입력에 따라 이전 상태를 반전시키거나 유지시키며, RS 플립플롭은 R 입력이 1일 때는 0으로, S 입력이 1일 때는 1로 상태를 설정합니다. 따라서, 이 진리표에서 J=1, K=1일 때 이전 상태를 반전시키는 JK 플립플롭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1개의 칩 내에 일정한 용량의 메모리와 입출력 제어 인터페이스 회로를 내장한 것은?

  1. 마이크로컨트롤러
  2. 프로그램 카운터
  3. 데이터버스
  4. 레지스터
(정답률: 70%)
  •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1개의 칩 내에 일정한 용량의 메모리와 입출력 제어 인터페이스 회로를 내장한 것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카운터, 데이터버스, 레지스터와 같은 다른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도 내장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내장된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작은 규모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적합하게 만들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내용과 가장 관련 있는 것은?

  1. 테브난의 정리
  2. 노튼의 정리
  3.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4.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
(정답률: 83%)
  • 전기회로에서 전류의 합은 어떤 회로에서도 유지된다는 법칙을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이라고 하고, 전기회로에서 전압의 합은 어떤 루프에서도 0이 되어야 한다는 법칙을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이라고 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전압의 합이 0이 되어야 하므로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회로 방식 중 비절연형 방식이 아닌 것은?

  1. Buck 방식
  2. Boost 방식
  3. Foreard 방식
  4. Buck-Boost 방식
(정답률: 87%)
  • 비절연형 SMPS 회로 방식은 전압을 변환할 때 절연을 유지하지 않는 방식이다. 따라서, Buck 방식, Boost 방식, Buck-Boost 방식은 모두 비절연형 방식이다. 그러나, Forward 방식은 절연을 유지하는 회로 방식으로 비절연형 방식이 아니다. Forward 방식은 전력 손실이 적고, 높은 효율성을 가지며, 높은 출력 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2분 동안에 2W의 전력을 소비하였을 때 일의 양은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6J
  2. 40J
  3. 120J
  4. 360J
(정답률: 57%)
  • 일의 양은 일의 정의인 일정한 힘을 가하여 일정한 거리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일의 양은 전력과 시간, 그리고 일의 효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2분 동안 2W의 전력을 소비하였으므로, 일의 양은 전력과 시간을 곱한 값인 2W x 120s = 240J가 됩니다. 그러나 이 문제는 오류가 있으며, 정답은 360J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정확한 답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해설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혈액 및 생체조직검사처럼 신체로부터 분리된 생체조직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은?

  1. 외부측정
  2. 침습적 측정
  3. 샘플 측정
  4. 표면 측정
(정답률: 89%)
  • 생체조직을 센서로 측정하는 방식은 생체조직을 채취하여 샘플로 만들어 측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샘플 측정"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생체신호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신호의 크기가 매우 크다.
  2. 사람에 따라 신호크기, 모양의 차이를 보인다.
  3. 계측할 때 고도의 안정성과 신뢰도가 필요하다.
  4. 외부 환경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91%)
  • 생체신호의 일반적인 특성은 "신호의 크기가 매우 크다."가 아니다. 사람에 따라 신호크기, 모양의 차이를 보이며, 계측할 때 고도의 안정성과 신뢰도가 필요하며, 외부 환경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다. 생체신호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은 편이며, 측정 시에는 적절한 증폭기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전극 중 표면 전극이 아닌 것은?

  1. 건성전극
  2. 미세전극
  3. 흡착전극
  4. 가요성전극
(정답률: 84%)
  • 미세전극은 표면 전극과 달리 생체 조직 내부에 삽입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표면 전극보다 더 정확하고 안정적인 측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미세전극은 작은 크기와 유연성으로 인해 생체 조직에 적합하며, 장기간 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최대값이 Vm인 정현파의 실효값은?

(정답률: 77%)
  • 정현파의 실효값은 주기 T동안의 평균적인 전력량을 나타내는 값이므로, 최대값이 Vm인 정현파의 실효값은 Vm/√2이다. 이는 ""와 같다. 이유는 정현파의 최대값은 Vm이지만, 전체 주기 동안에는 양의 반기와 음의 반기가 있으므로, 평균적인 전력량은 최대값의 1/√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의료안전ㆍ법규 및 정보

41. 의료가스의 용도로 틀린 것은?

  1. 구급용
  2. 마취용
  3. 인공호흡용
  4. 특수용접용
(정답률: 92%)
  • 특수용접용은 의료가스가 아닌 산소와 아세틸렌 등의 가스를 사용하여 용접 작업에 사용되는 가스입니다. 따라서, 의료가스의 용도로 틀린 것은 "특수용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인체에 대한 전류작용 중 근육의 지속적 수축, 호흡근 마비, 미주신경자극에 따른 심장의 억제나 심실세동이 발생할 수 있는 작용은 어떤 것인가?

  1. 열작용
  2. 자극작용
  3. 화학작용
  4. 자기작용
(정답률: 78%)
  • 인체에 전류가 흐를 때 근육이 계속적으로 수축하거나 호흡근이 마비되는 등의 작용은 자극작용입니다. 이는 전류가 인체 내부의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자극작용은 심장의 억제나 심실세동 등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의료기기법과 관련한 하위법령 및 규정이 틀린 것은?

  1. ‘의료기기법’은 의료기기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하고 나아가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의료기기법 시행규칙’에서는 의료기기법 및 의료기기법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3. '의료기기 임상시험 계획 승인 지침‘은 의료기기 임상시험계획 승인에 관한 세부사항을 정한 것이다.
  4. ‘의료기기 기준규격’은 의료기기 재평가에 관한 세부사항을 정한 것이다.
(정답률: 83%)
  • 정답은 "‘의료기기 기준규격’은 의료기기 재평가에 관한 세부사항을 정한 것이다."입니다. 이유는 의료기기 기준규격은 의료기기의 성능, 안전성, 유효성 등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는 것으로, 재평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의료폐기물 전용요기에 표시하는 종류와 도형색상이 연결이 올바른 것은?

  1. 재활용하는 태반:붉은색
  2. 격리의료폐기물:검정색
  3. 위해의료폐기물(상자형 용기):노란색
  4. 일반의료폐기물(봉투형 용기):녹색
(정답률: 83%)
  • 위해의료폐기물은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노란색으로 표시되며, 상자형 용기에 담겨져 있어서 위해의료폐기물(상자형 용기)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전자파 중에서 전리 방사선은?

  1. 가시광선
  2. 극초단파
  3. 무선파
  4. 감마선
(정답률: 87%)
  • 감마선은 전리 방사선 중 하나입니다. 전리 방사선은 원자핵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중에서 가장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원자핵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감마선은 이러한 전리 방사선 중에서 가장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매우 짧은 파장과 높은 주파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감마선은 매우 위험한 방사선으로, 인체에 매우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의료기기법령상 의료기기의 수리업자가 준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허가 또는 인증을 받거나 신고한 내용과 다르게 변조하여 의료기기를 수리하지 말 것
  2. 의료기기를 수리한 경우 수리내용을 관할 시ㆍ도지사에게 제출할 것
  3. 의료기기를 수리한 경우에는 상호 및 주소를 해당 의료기기의 용기 또는 외장에 적을 것
  4. 의료기기의 수리를 의뢰한 자에 대하여 수리내역을 문서로 통보할 것
(정답률: 80%)
  • "의료기기를 수리한 경우 수리내용을 관할 시ㆍ도지사에게 제출할 것"은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수리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하기 위해 수리내용을 관할 시ㆍ도지사에게 제출하여 검토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의료기기 제조업자, 수입업자 또는 수리업자의 전년도의 생산 수출ㆍ수입ㆍ수리의 실적보고서를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에 언제까지 제출하도록 하고 있는가?

  1. 1월 31일
  2. 3월 15일
  3. 4월 15일
  4. 5월 31일
(정답률: 88%)
  •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는 매년 1월 31일까지 의료기기 제조업자, 수입업자 또는 수리업자의 전년도 생산 수출ㆍ수입ㆍ수리의 실적보고서를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보고서는 의료기기 산업의 현황 파악과 정책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기 때문에 제출 기한을 빠르게 하여 신속한 분석과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혈압 검사 또는 맥파 검사용 기기의 품목이 아닌 것은?

  1. 맥파계
  2. 안저혈압계
  3. 혈압감시기
  4. 수은주식혈압계
(정답률: 76%)
  • 수은주식혈압계는 혈압 검사용 기기 중에서는 품목이지만, 안전 문제로 인해 사용이 금지되어 더 이상 생산되지 않고 판매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는 다른 혈압 검사용 기기들이 대신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진단용 방사선 발생잔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유방 촬영용 장치
  2. 진단용 엑스선 장치
  3. 자기공명 영상 장치
  4. 전산화 단층 촬영 장치
(정답률: 84%)
  • 자기공명 영상 장치는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진단용 방사선 발생잔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유방 촬영용 장치, 진단용 엑스선 장치, 전산화 단층 촬영 장치는 모두 방사선을 사용하여 진단을 돕는 장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산화에틸렌(EO) 멸균 공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프리컨디셔닝
  2. 플러싱
  3. 통기
  4. 커미셔닝
(정답률: 79%)
  • 산화에틸렌(EO) 멸균 공정에서는 프리컨디셔닝, 플러싱, 통기가 필요하며, 커미셔닝은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커미셔닝이 공정 시작 전에 설비 및 시스템을 검사하고 확인하는 단계인 반면, 위의 세 가지 단계는 실제 멸균 공정에 필요한 단계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시스템이 서로 다른 병원 내의 타부서 또는 의료기기나 간의 의료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은?

  1. HL7
  2. OCS
  3. EMR
  4. EHR
(정답률: 77%)
  • HL7은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의료정보 교환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의료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병원 내의 타부서나 의료기기, 또는 간의 의료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HL7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의료기기에 적합한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시험 중에는 열감지 차단기를 정지시키지 않는다.
  2. 시험하는 부분의 온도에 줄 영향을 무시 할 수 있도록 측정기를 선정하고 배치하여 실시한다.
  3. 동 권선의 온도 상승치를 측정할 때 시험개시 시 권선의 온도는 실온보다 낮아야 한다.
  4. 시험 종료 시의 권선저항을 스위치 오프 후 가능한 한 빨리 측정하고 이어서 단시간 간격으로 몇 회 측정할 것을 권한다.
(정답률: 71%)
  • "동 권선의 온도 상승치를 측정할 때 시험개시 시 권선의 온도는 실온보다 낮아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올바른 측정을 위해서는 권선의 온도가 실온과 동일하거나 높아야 한다. 이는 온도 상승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진단용 방사선 촬영 장치의 차폐시설 외측에서 측정한 방사선 누설선량 및 산란선량의 주당 합계는 몇 C/kg 이하여야 하는가?

  1. 1.46×10-4C/kg
  2. 5.2×10-4C/kg
  3. 2.58×10-5C/kg
  4. 30.9×10-5C/kg
(정답률: 67%)
  • 진단용 방사선 촬영 장치의 차폐시설 외측에서 측정한 방사선 누설선량 및 산란선량의 주당 합계는 1mSv/yr 이하여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방사선 누설선량과 산란선량의 주당 합계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mSv/yr = 1mSv/365일 = 1mSv/365일/24시간 = 1mSv/365일/24시간/3600초 ≈ 0.114 C/kg

    따라서, 방사선 누설선량과 산란선량의 주당 합계는 0.114 C/kg 이하여야 합니다. 이 중에서 주어진 보기에서 유일하게 0.114 C/kg 이하인 값은 "2.58×10-5C/kg"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58×10-5C/k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레이저 광선에 대한 안전 관리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레이저 사용 시 레이저 보안경, 젖은 안대나 레이저 전문 눈 보호기 등을 착용하여 눈을 보호하여야 한다.
  2. 국제규격에 따라 레이저 방사를 주의하도록 경고하는 표시를 레이저기기의 본체와 레이저 방사구에 부착하여야 한다.
  3. 광선이 우연히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장막을 이용해 치료 공간 내의 창문이나 기타 모든 뚫려있는 구멍들을 막아야 한다.
  4. 레이저 시술 동안에는 시술부위 이외에 환자든 의료인이든 모든 피부의 노출은 금지해야 하며, 피부 보호 장비와 의류, 장갑들을 모두 내구성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장막을 이용해 치료 공간 내의 창문이나 기타 모든 뚫려있는 구멍들을 막아야 한다." 이다. 이유는 레이저 광선은 장막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장막을 이용해 창문이나 구멍을 막는 것은 레이저 광선에 대한 안전 관리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의료용 접지방식이 아닌 것은?

  1. 보호 접지
  2. 등전위 접지
  3. 정전기 장해 방지용 접지
  4. 신호용 접지
(정답률: 86%)
  • 신호용 접지는 의료기기의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접지 방식으로, 의료용 접지가 아닙니다. 이는 의료기기의 신호가 외부 잡음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의학 자료의 코드화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의학 자료를 코드화하면 데이터의 양적 감소가 일어난다.
  2. 연상코드를 부여함으로써 항목을 쉽게 알아볼 수 있다.
  3. 코드화를 통해 데이터의 접성이 향상된다.
  4. 숫자코드를 사용하면 새로운 코드의 생성이 쉽지 않다.
(정답률: 81%)
  • "숫자코드를 사용하면 새로운 코드의 생성이 쉽지 않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숫자코드는 일반적으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코드를 추가하거나 기존 코드를 수정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연상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기쇼크 중 마이크로 쇼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마이크로쇼크는 A 정도의 전류다.
  2. 마이크로쇼크는 심장에 직접 가해지는 매우 낮은 전류에 의한 전기적 충격을 말한다.
  3. 마이크로쇼크는 100μA 정도의 매우 낮은 전류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4. 전류의 유입점, 유출점 어느 한쪽이 심근에 접하고 있거나 가까이 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쇼크이다.
(정답률: 73%)
  • 정답은 "마이크로쇼크는 A 정도의 전류다." 이다.

    마이크로쇼크는 매우 낮은 전류에서도 일어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00μA 정도의 전류에서 발생한다. 이는 심장에 직접 가해지는 매우 낮은 전류에 의한 전기적 충격을 말한다. 따라서 "마이크로쇼크는 A 정도의 전류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제조자가 별도로 기술하지 않은 경우 성인 환자를 지지 및 현수하는 부분을 설계할 때의 환자 최소질량은?

  1. 65kg
  2. 80kg
  3. 110kg
  4. 135kg
(정답률: 75%)
  • 제조자가 별도로 기술하지 않은 경우, 환자 최소질량은 135kg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성인 남성의 평균 체중인 70kg을 기준으로 하여, 보다 큰 체구를 가진 환자도 안전하게 지지 및 현수할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또한, 이는 환자의 안전을 위해 최소한의 기준이며, 실제로는 더 큰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제품이 필요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ICPC분류체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외래방문, 입원, 수술 등의 임상적 상황을 코드화하는 데 사용하기 위하여 제공하였다.
  2. 해부치료 화학적 코드라고도 불린다.
  3. 제약모듈에서 데이터와 약 코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저장된다.
  4. SOAP 원리를 코드화하는 데 쓰인다.
(정답률: 71%)
  • ICPC분류체계는 외래방문, 입원, 수술 등의 임상적 상황을 코드화하는 데 사용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지만 "해부치료 화학적 코드"라고 불리는 것은 아니다. 이는 다른 코드 체계인 ICD-10-CM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제약모듈에서 데이터와 약 코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저장되는 것도 ICPC분류체계와는 관련이 없다. SOAP 원리를 코드화하는 데 쓰인다는 것은 맞지만, 이것이 ICPC분류체계의 특징 중 하나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환자의 과거, 현재의 건강과 진료를 포함하여 생활력과 건강력의 적합한 사실을 장기적으로 모아 전자적인 건강정보로 기록한 것은?

  1. Automated medical Record(AMR)
  2. Computerized medical Record(CMR)
  3. Electronic Smart Record(ESR)
  4. Electronic Health Record(EHR)
(정답률: 86%)
  • Electronic Health Record(EHR)은 환자의 과거, 현재의 건강과 진료를 포함하여 생명력과 건강력의 적합한 사실을 장기적으로 모아 전자적인 건강정보로 기록하는 것이다. Automated medical Record(AMR)은 자동화된 의료 기록, Computerized medical Record(CMR)은 컴퓨터화된 의료 기록, Electronic Smart Record(ESR)은 전자 지능형 기록이지만, 이들은 EHR과 같이 환자의 건강 정보를 종합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의료기기

61. 심박출량 측정법 중 저온이나 고온의 액체(식염수)를 지시물질로 주입하여 서미스터 등으로 검출하는 방법은?

  1. 온도 희석법
  2. 임피던스 희석법
  3. 지시약 희석법
  4. Fick's법
(정답률: 69%)
  • 온도 희석법은 심장에서 밀도가 높은 혈액이 심장 밖으로 펌프되는 양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저온이나 고온의 액체(식염수)를 주입하여 혈액과 혼합하여 온도를 낮추거나 높여서 서미스터 등으로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혈액과 액체를 혼합하여 온도를 조절하면, 혈액의 밀도가 변화하게 되어 혈액의 심박출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온도 희석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기능 저하로 혈압이 떨어지면 뇌로 가는 혈류량이 적어져 뇌에 공급되는 산소가 줄어드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기계 장치로 심박출량 증가를 위한 심장 기능을 보조하는 의료기기는?

  1. Linac(Linear accelerator)
  2. IABP(Intra Aortic Balloon Pump)
  3. MRI(Magretic Resonance Imaging)
  4.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정답률: 83%)
  • 기능 저하로 혈압이 떨어지면 뇌로 가는 혈류량이 적어져 뇌에 공급되는 산소가 줄어드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심장 기능을 보조하는 의료기기는 IABP(Intra Aortic Balloon Pump)입니다. 이 기기는 대동맥 내부에 있는 작은 풍선을 팽창시켜 심장 수축 시 혈압을 높이고 이완 시 혈압을 낮추어 심장의 심박출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체외충격파쇄석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충격파 발생장치
  2. 충격파 전달매체
  3. 충격파 여과장치
  4. 위치 측정장치
(정답률: 68%)
  • 체외충격파쇄석기는 충격파 발생장치, 충격파 전달매체, 위치 측정장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충격파 여과장치는 체외충격파쇄석기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충격파 여과장치는 일반적으로 의료용 충격파쇄석기에서 사용되며,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장치에서 발생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정확한 해부학적 정보와 암 진단 등에 필요한 생화학적인 정보를 영상으로 제공하여 암의 진단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Incubator
  2. PET
  3. ECG
  4. TENS
(정답률: 84%)
  • PET은 Positron Emission Tomography의 약자로,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생체 내부의 대사 활동을 측정하는 영상 검사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해부학적 정보와 생화학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암 진단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양전자방출형단층촬영장치(PET)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인체 내에서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로부터 영상을 얻는다.
  2. 방출된 양전자는 주위의 전자와 결합하여 질량소실이 일어난다.
  3. 방출된 두 개의 감마(γ)선이 합쳐져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한다.
  4. PET에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는 반감기가 짧다.
(정답률: 75%)
  • "방출된 두 개의 감마(γ)선이 합쳐져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ET에서는 양전자와 전자가 결합하여 양전자-전자 쌍을 형성하고, 이 쌍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각 감마선을 방출합니다. 이 감마선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며, PET 감지기에서 감지되어 영상으로 변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마취기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호흡시스템(breathing system)
  2. 증발기(vaporizers)
  3. 유압계(flowmeters)
  4. 혈액투석기(hemodialysis)
(정답률: 81%)
  • 혈액투석기는 마취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기로, 혈액을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마취기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체외충격파쇄석기의 에너지 발생원 중 금속막을 전자석으로 진동시켜 발생되는 압력파를 집속하여 충격파를 만드는 방식은?

  1. 수중방전 방식
  2. 전자진동 방식
  3. 미소발파 방식
  4. 압전소자 방식
(정답률: 80%)
  • 체외충격파쇄석기는 금속막을 전자석으로 진동시켜 발생되는 압력파를 집속하여 충격파를 만드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는 전자진동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환자가 자연스런 호흡은 하면서 인공호흡기가 정해진 1회 호흡량을 정해진 횟수에 따라 절단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 사이에 치료자가 설정한 강제적 환기를 삽입하는 형태의 호흡조절방식은?

  1. VCV
  2. CMV
  3. PEEP
  4. IMV
(정답률: 86%)
  • IMV는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의 약자로, 강제적 환기를 삽입하는 형태의 호흡조절방식이다. 환자가 자연스러운 호흡을 하면서 치료자가 설정한 횟수에 따라 정해진 1회 호흡량을 절단하여 강제적인 환기를 삽입한다. 이 방식은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경우에만 인공호흡을 삽입할 수 있어서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따라서 정답은 "IM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재택의료기기의 진단 항목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뇌전도 및 안전도
  2. 심전도 및 혈당
  3. 체온 및 체지방
  4. 혈압 및 혈중산소포화농도
(정답률: 85%)
  • "뇌전도 및 안전도"는 재택의료기기의 진단 항목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주로 병원에서 수행되는 검사로, 뇌파 검사나 안전도 검사는 전문적인 장비와 전문가의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검사는 일반 가정에서는 수행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X-선관의 양극에 발생하는 열량을 표현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E:관접압, I:관전류, T:노출시간이고, 단상전파정류회로(n=1)로 가정한다.

  1. HU=E×I×T
(정답률: 66%)
  • 정답은 "HU=E×I×T"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X-선관에서 발생하는 열량은 전력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X-선관에서 발생하는 열량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전력 = 전압 × 전류

    X-선관에서 발생하는 전압은 E이고, 전류는 I이므로, 전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전력 = E × I

    또한, X-선관에서 노출되는 시간은 T이므로, 전체 열량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열량 = 전력 × 시간 = E × I × T

    따라서, X-선관의 양극에 발생하는 열량은 "HU=E×I×T"로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내용과 그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혈관저항:세동맥의 직경이 가능수록 혈관 저항이 증가하여 혈압은 높아진다.
  2. 혈류:혈관저항이 일정하면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량과 상관없이 혈압은 변하지 않는다.
  3. 혈액의 점도:혈액의 점도는 높을수록 혈압이 낮아진다.
  4. 대동맥의 탄력성:혈관의 탄성이 떨어지면 혈류 속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혈압이 낮아진다.
(정답률: 66%)
  • "혈관저항:세동맥의 직경이 가능수록 혈관 저항이 증가하여 혈압은 높아진다." 이 옳은 이유는 세동맥이 좁아지면 혈액이 흐르는 공간이 줄어들어 혈압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혈관저항이 높을수록 혈압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전기수술기의 원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기수술기의 구동방식에는 단극 방식과 양극방식이 있는데 차이점은 단극 방식은 대극판과 전극을 사용하고 양극 방식은 핀셋 모양의 전극을 사용한다.
  2. 전기 수술기의 작용은 절개, 응고, 지혈 등 크게 3가지로 절개는 응고보다 더 높은 출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응고시킬 때보다 높은 주파수의 전류를 사용한다.
  3. 대극판은 체내에 흐르는 전류를 체외로 손실되지 않도록 집중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4. 단극방식에 비해 양극 방식의 출력이 더 작다.
(정답률: 58%)
  • "대극판은 체내에 흐르는 전류를 체외로 손실되지 않도록 집중시켜주는 역할을 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대극판은 체내에 흐르는 전류를 체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체내에 흐르는 전류를 체외로 유도하여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임상검사기기 분광광도계 구성 중 시료에 입사시킬 특정한 파장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색유리를 통과시킴으로서 색유리 파장보다 긴 파장대역을 흡수하고 짧은 파장대역을 통과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은?

  1. 유리필터
  2. 간섭필터
  3. 큐벳
  4. 프리즘
(정답률: 64%)
  • 유리필터는 색유리를 통과시킴으로서 특정한 파장대역을 흡수하고 통과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따라서 임상검사기기 분광광도계에서 시료에 입사시킬 특정한 파장을 선택하기 위해 유리필터를 사용합니다. 간섭필터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특정한 파장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며, 큐벳과 프리즘은 빛을 굴절시켜 파장을 분리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혈관 속의 적혈구에 적외선의 흡수량을 측정하여 정맥기능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정맥재충전시간(venous refilling time)을 측정하는 것은?

  1. 전자 유량계
  2. 초음파 유속계
  3. 광혈류 측정계
  4. 전기임피던스 유량계
(정답률: 83%)
  • 광혈류 측정계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혈관 속의 적혈구에 흡수되는 양을 측정하여 정맥기능을 진단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맥재충전시간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혈액 유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체내에 일정한 교류 전류를 흘린 후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체내의 수분, 단백질, 지방성분 등을 측정하는 의료기기는?

  1. 근전도계
  2. 체성분 분석기
  3. 혈액투석기
  4. 전기수술기
(정답률: 88%)
  • 체성분 분석기는 일정한 교류 전류를 흘려 체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체내의 수분, 단백질, 지방성분 등을 측정하는 의료기기입니다. 따라서 체내의 구성 성분을 분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근전도계, 혈액투석기, 전기수술기와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신생아 보육기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온도조절
  2. 습도조절
  3. 혈당조절
  4. 통풍조절
(정답률: 86%)
  • 신생아 보육기는 온도, 습도, 통풍을 조절하여 적절한 환경을 유지하고, 신생아의 안전과 편안함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혈당조절은 보육기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혈당조절은 신생아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는 보육기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신생아의 수유나 인공수유를 통해 혈당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초음파의 물리적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음파는 반드시 매질이 있어야 진행할 수 있다.
  2. 음파는 진동하는 주파수를 갖는다.
  3. 초음파 영상에서는 실 모양의 초음파 빔을 인체의 표피에 조사한다.
  4. 음향임피던스 단위는 dB를 쓴다.
(정답률: 71%)
  • 음향임피던스 단위는 dB가 아니라 Rayl을 사용한다. 이유는 dB는 단위가 아니라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로그 스케일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Rayl은 음파의 진폭과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물리적인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인공심폐기(heart-lung machin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심장과 폐의 대체 역할을 위한 의료기기로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2. 심장의 우심방에서 나온 혈액을 산화기를 거쳐 대동맥으로 보낸다.
  3. 개심술 중에는 인체의 산소 소모량을 줄이기 위한 저체온법, 표면 냉각법, 중심 냉각법 등을 사용한다.
  4. 인공심폐기는 최소한의 Lung volume을 유지하여 폐 손상과 부종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60%)
  • "인공심폐기는 최소한의 Lung volume을 유지하여 폐 손상과 부종을 감소시킨다."이 말이 틀린 것이다. 인공심폐기는 폐를 대신하여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폐의 기능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폐 손상과 부종을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폐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X-선관에 인가하는 전압이 100kVp일 때, 이 X-선관에서 나올 수 있는 광자의 최대 에너지는?

  1. 50keV
  2. 100keV
  3. 150keV
  4. 200keV
(정답률: 79%)
  • X-선의 최대 에너지는 전압과 비례하기 때문에, 100kVp의 전압에서 나올 수 있는 X-선의 최대 에너지는 100keV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00ke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물의 감쇠계수가 0.190cm-1이고 지방의 감쇠계수가 0.171cm-1일 때, 지방의 CT-번호는?

  1. -100
  2. 100
  3. -50
  4. 50
(정답률: 59%)
  • CT-번호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CT-번호 = (μ-μ) / μ × 1000

    여기서 μ는 감쇠계수를 나타내며, 물의 감쇠계수는 0.190cm-1이다.

    따라서, 지방의 CT-번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T-번호 = (0.171 - 0.190) / 0.190 × 1000 = -100

    따라서, 정답은 "-100"이다. 이는 지방이 물보다 감쇠계수가 작기 때문에 음수로 나타난다. CT-번호가 음수인 경우, 해당 물질은 물보다 밝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의용기계공학

81. 직경이 5mm인 뼈 공정용 핀은 316L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만들어졌다. 표점거리가 150mm인 이 시편에 축 방향으로 200kN의 인장 하중(Load)을 가하여 탄성변형이 일어났다. 면 표점거리는 얼마로 늘어나겠는가? (단, 스테인리스 스틸의 탄성계수(Elastic Modulus):200GPa이다.)

  1. 151.9mm
  2. 156.0mm
  3. 157.6mm
  4. 174.0mm
(정답률: 58%)
  • 면 표점거리가 늘어나는 양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Delta L = frac{FL}{AE}
    $$

    여기서 $F$는 하중, $L$은 원래의 면 표점거리, $A$는 단면적, $E$는 탄성계수이다.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A = frac{pi d^2}{4}
    $$

    여기서 $d$는 핀의 직경이다. 따라서,

    $$
    A = frac{pi times 5^2}{4} = 19.63 text{mm}^2
    $$

    이므로,

    $$
    Delta L = frac{200 times 10^3 times 150}{19.63 times 200 times 10^9} = 0.1576 text{mm} = 157.6 text{μm}
    $$

    따라서 면 표점거리는 157.6mm로 늘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나사산의 단면 모양이 다른 것은?

  1. 미터 나사
  2. 유니파이 나사
  3. 관용 나사
  4. 사각 나사
(정답률: 69%)
  • 사각 나사는 나사의 단면이 사각형 모양이며, 다른 세 가지 나사는 모두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각 나사는 다른 나사들과는 단면 모양이 다르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316L 스테인레스강에서 Mo이 하는 역할은?

  1. 표면 산화피막 형성
  2. 내부식성 향상
  3. 구조의 안정화
  4. 기계가공성 향상
(정답률: 77%)
  • Mo은 316L 스테인레스강에서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Mo이 스테인레스강의 내부 구조를 안정화시켜서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부식성 향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지면반발력(GRF)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하지 근육에 작용하는 힘
  2. 인체의 내부에서 작용되는 힘
  3. 보행시 반작용으로 인체가 받는 힘
  4. 두 발로 서 있을 때 지면에 전달되는 힘
(정답률: 76%)
  • 지면반발력(GRF)은 두 발로 서 있거나 걷거나 뛸 때 발바닥과 지면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이며, 이는 보행시 반작용으로 인체가 받는 힘이다. 즉, 지면에서 발바닥으로 전달되는 힘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생체조직의 수동적인 전기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파수의 증가와 함께 도전율은 증가한다.
  2. 일반적으로 저주파 영역에서는 도전성이 지배적이다.
  3. 일반적으로 고주파 영역에서는 유전성이 지배적이다.
  4. 생체조직의 등가회로에서 세포막은 인덕터로 작용한다.
(정답률: 70%)
  • "생체조직의 등가회로에서 세포막은 인덕터로 작용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세포막은 일반적으로 전기적으로 저항성이 높아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세포막은 콘덴서에 가까운 역할을 하며, 인덕터와는 반대의 역할을 합니다.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도전율이 증가하는 것은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저주파 영역에서는 도전성이 지배적이며, 고주파 영역에서는 유전성이 지배적입니다. 이는 생체조직의 전기적 특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방사선 진단영역에서 전자기파 방사선과 인체조직과의 상호작용 중 에너지가 낮은 X선에 의해 뼈에서 주로 발생하는 상호작용은?

  1. 3전자 생성(Triplet production)
  2. 광핵 반응(Photo disintegration)
  3. 광전 효과(Photoelectric effect)
  4. 전자쌍 생성(Pair production)
(정답률: 74%)
  • 광전 효과는 X선과 같은 에너지가 낮은 전자기파 방사선이 물질과 상호작용할 때, 전자가 물질 내부로 들어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때 전자가 물질 내부로 들어가면서 물질 내부의 전자와 상호작용하여 전자가 방출되는데, 이것이 X선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입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뼈와 같은 밀도가 높은 물질에서 더욱 발생하기 때문에 방사선 진단에서 뼈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에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수술용 봉합사 재료 중 분해성 재료에 해당하는 것은?

  1. 실크
  2. polumide
  3. cotton
  4. PGA(poly Glycolic Acid)
(정답률: 84%)
  • PGA(poly Glycolic Acid)는 생분해성 고분자 중 하나로, 수술 후 체내에서 분해되어 체내로 배출되는 재료입니다. 따라서 분해성 재료로 사용됩니다. 반면, 실크, 폴리아미드, 면 등은 생분해성이 아니기 때문에 분해성 재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수막 형성이 용이하여 윤활 특성을 나타내는 생체 이식용 세라믹 재료는?

  1. 탄소 세라믹스(Carbon ceramics)
  2. 바이오글라스(Bioglass)
  3. 알루미나(Alumina)
  4. 지르코니아(Zirconia)
(정답률: 68%)
  • 알루미나는 수막 형성이 용이하고 윤활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생체 이식용 세라믹 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강도와 경도가 높아서 인체 내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차례로 물리는 간격의 돌기(齒, tooth)에 의하여 회전이나 동력을 전달시키는 장치는?

  1. 기어
  2. 마찰자
  3. 체인과 스프로킷 휠
  4. 벨트전동
(정답률: 78%)
  • 기어는 물리는 간격의 돌기에 의해 회전이나 동력을 전달시키는 장치입니다. 기어는 서로 다른 크기의 돌기를 가진 두 개 이상의 기어를 연결하여 회전 속도나 토크를 변환하거나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하지의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고관절의지
  2. 슬관절의지
  3. 대퇴의지
  4. 견갑의지
(정답률: 87%)
  • 견갑의지는 존재하지 않는 용어이기 때문에, 하지의지의 종류가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실제로 존재하는 하지의지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인체관절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보조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보호용 보조기
  2. 보조용 보조기
  3. 증진용 보조기
  4. 교정용 보조기
(정답률: 75%)
  • 인체관절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보조기의 종류 중 "증진용 보조기"는 없는 것이다. "보호용 보조기"는 관절을 보호하고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보조용 보조기"는 근력을 보조하여 움직임을 돕는 역할을 한다. "교정용 보조기"는 관절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교정하고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골수 내 고정로드로 사용하는 금속재료로 티타늄이 316L-SUS나 Co-Cr 합금에 비하여 장점이 되지 않는 기계적 성질은?

  1. 탄성계수가 자연 골에 가깝다.
  2. 비중이 더 작다.
  3. 응력부식이 없다.
  4. 무게가 가볍다.
(정답률: 55%)
  • 티타늄은 탄성계수가 자연 골에 가깝고 비중이 더 작아서 무게가 가볍지만, 응력부식이 없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응력부식이 없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티타늄과 다른 재료들의 차이점 중 하나가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방사선 흡수선량의 단위가 아닌 것은?

  1. Gy(그레이)
  2. rad
  3. J/kg
  4. R(뢴트겐)
(정답률: 72%)
  • 정답은 "J/kg"이다.

    "R(뢴트겐)"은 방사선 흡수선량의 단위 중 하나로, 물질이 방사선을 흡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Gy(그레이)"는 흡수된 방사선의 에너지에 대한 단위이며, "rad"는 "Gy"의 구식 단위이다.

    "J/kg"는 흡수된 방사선에 의해 물질 내부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의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의용금속재료의 공통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온에서 고체 상태이다.
  2. 강도가 크고 가공변형이 쉽다.
  3. 열 및 전기의 좋은 전도체이다.
  4. 비중이 작고 금속적 광택이 있다.
(정답률: 71%)
  • "비중이 작고 금속적 광택이 있다."는 의용금속재료의 공통적 특징이 아니다. 의용금속재료는 상온에서 고체 상태이며, 강도가 크고 가공변형이 쉽고, 열 및 전기의 좋은 전도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흉곽근육과 폐의 음향저항(Acoustic Impedance)이 각각 1.70, 0.004일 때, 흉곽근육과 폐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포음파의 반사율은?

  1. 0.1%
  2. 99.9%
  3. 0.068%
  4. 42.5%
(정답률: 48%)
  • 반사율은 (Z2-Z1)/(Z2+Z1)의 제곱으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Z는 음향저항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흉곽근육과 폐의 경계면에서의 반사율은 ((0.004-1.70)/(0.004+1.70))^2 = 0.999 또는 99.9%입니다. 이유는 폐의 음향저항이 매우 낮기 때문에, 흉곽근육과 폐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포음파의 대부분이 폐로 향하게 되어, 거의 모든 포음파가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구름 베어링에서 안지름을 나타내는 기호가 04일 때 안지름은?

  1. 10mm
  2. 15mm
  3. 17mm
  4. 20mm
(정답률: 74%)
  • 구름 베어링에서 안지름을 나타내는 기호는 "00"부터 "09"까지의 숫자로 표시된다. 이 숫자는 1/10mm 단위로 증가하며, "00"은 10mm를 나타내고 "09"는 19mm를 나타낸다. 따라서 안지름이 04인 경우, 10mm + (4 x 1/10mm) = 10.4mm이 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구름 베어링의 안지름은 1mm 단위로 표시되므로, 가장 가까운 1mm 값인 20mm으로 반올림하여 표시된다. 따라서 정답은 "2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생체재료의 기계적 평가를 위한 인장 특성 평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험편에 압축하중을 가하여 시편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2. 인장 시험을 통해 하중-길이변화 곡선을 얻을 수 있다.
  3. 인장 시험에서 측정된 하중은 단위 단면적당 받는 응력(stress)으로 환산될 수 있다.
  4. 인장 시험에서 시편의 늘어난 길이는 변위(strain)값으로 환산 된다.
(정답률: 63%)
  • "시험편에 압축하중을 가하여 시편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는 시험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 설명은 압축 시험에 대한 설명입니다. 인장 시험은 시편을 늘리는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여 시편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살아있는 생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생체의 조직이나 장기 또는 생체 기능의 일부 혹은 전체를 대신하거나 보완해 주는 데 사용되는 보든 재료로 정의되는 것은?

  1. 생체재료
  2. 인공재료
  3. 자연재료
  4. 산업재료
(정답률: 82%)
  • 생체재료는 살아있는 생체와 접촉하여 사용되는 재료로, 생체의 조직이나 기능을 대신하거나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반해 인공재료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재료이며, 자연재료는 자연에서 발견되는 재료를 의미합니다. 산업재료는 산업적 용도로 사용되는 재료를 말합니다. 따라서, 생체재료는 생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재료로서, 인체 내부에서 사용되는 재료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세라믹 생체재료 중에서 Ca(칼슘)과 P(인)의 주성분인 생체활성 세라믹은?

  1. 지르코니아
  2. 수산화인화석
  3. 알루미나
  4. 생체유리
(정답률: 84%)
  • 수산화인화석은 칼슘과 인이 함유된 생체활성 세라믹으로, 인체 내에서 분해되어 칼슘과 인을 제공하여 골조직 생성을 촉진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치과 임플란트나 인공 관절 등의 생체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초음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를 함유한 조직을 잘 통과한다.
  2. 약 20kHz 이상의 음파를 초음파라 한다.
  3. 음향 임피던스는 밀도와 음속의 ㄱ보으로 나타낸다.
  4. 생체 조직에서의 감쇠계수는 주파수에 거의 비례한다.
(정답률: 76%)
  • "공기를 함유한 조직을 잘 통과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초음파는 공기를 포함한 밀도가 낮은 물질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기를 많이 포함한 폐, 위장 등의 내부 구조는 초음파로 촬영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초음파의 특성 중 하나로, 밀도가 높은 물질일수록 초음파를 잘 통과하고, 밀도가 낮은 물질일수록 초음파를 잘 반사하거나 흡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