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신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23)

철도신호산업기사
(2004-05-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공학

1. 주파수의 일그러짐과 관계가 가장 깊은 것은?

  1. 험(hum)
  2. 저항
  3. 리드선
  4. 인덕턴스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인덕턴스의 임피던스 값이 증가하게 되어 일그러짐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주파수의 일그러짐과 관계가 가장 깊은 것은 인덕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은 연산증폭회로에서 출력전압 V0는?

  1. +6V1
  2. -6V1
  3. +12V1
  4. -12V1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전압 Vi가 R1과 R2를 통해 -6V로 분배되고, 이 -6V가 다시 R3과 R4를 통해 -12V로 증폭됩니다. 따라서 출력전압 V0은 -12V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은 다이오드회로가 정논리일 때 가지는 논리기능은?

  1. AND 게이트
  2. OR 게이트
  3. NOT 게이트
  4. NAND 게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기 때문에, 입력 A와 B 중 하나라도 전압이 0V이면 해당 다이오드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출력이 0V가 됩니다. 따라서 입력 A와 B가 모두 5V인 경우에만 출력이 5V가 되므로, 이 회로는 AND 게이트의 논리기능을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구형파를 만드는 멀티바이브레이터(multivibrator)의 형태는?

  1. 플립플롭회로
  2. 단안정회로
  3. 비안정회로
  4. 쌍안정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구형파를 만드는 멀티바이브레이터는 비안정회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입력 신호가 없을 때 출력이 균등하게 유지되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져서 계속해서 변화하게 되는 회로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입력 신호가 없을 때도 출력이 계속해서 변화하며, 이러한 변화가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어 구형파를 만들어내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평형검파에 속하는 것은?

  1. 자승검파
  2. 플레이트검파
  3. 그리드검파
  4. 링검파
(정답률: 알수없음)
  • 평형검파는 전기적 신호를 여러 개의 주파수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중에서 링검파는 주파수를 고정된 간격으로 배치한 링 형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링검파는 평형검파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t=0 에서 스위치를 닫을 경우, 이 때 흐르는 전류 i(t)에 해당되는 것은?

  1. i(t)= 5e-0.5t
  2. i(t)= -5e-0.5t
  3. i(t)= 5(1-e-0.5t)
  4. i(t)= 5(1+e-0.5t)
(정답률: 알수없음)
  • 스위치가 닫히면 전압이 10V가 되므로, 오옴의 법칙에 따라 i(t) = V/R = 10/2 = 5A가 된다. 그러나 전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므로, i(t) = 5e^(-0.5t)가 된다. 이때 t=0일 때 i(t) = 5이므로, i(t) = 5(1-e^(-0.5t))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i(t)= 5(1-e^(-0.5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원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다.
  2. 원자는 원자핵과 외각 전자로 이루어져 있다.
  3. 원자핵의 구조나 외각 전자의 수에 따라 다른 원자가 된다.
  4. 양성자와 중성자의 질량은 다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양성자와 중성자는 원자핵에 존재하는 입자로, 둘 다 양전하를 가지지만 양성자는 양전하를, 중성자는 전하를 가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양성자와 중성자의 질량은 다르다. 양성자는 전자보다 약 1836배 더 무겁고, 중성자는 약간 더 무거운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도체에 전기장을 가하지 않더라도 캐리어의 밀도 차이에 의해서 흐르는 전류는?

  1. 음전류
  2. 드리프트(drift) 전류
  3. 양전류
  4. 확산(diffusion) 전류
(정답률: 알수없음)
  • 확산 전류는 물질 내 분자나 이온의 농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로, 캐리어의 밀도 차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는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입자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아도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확산 전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347(8)을 10진수로 표현하면?

  1. 96
  2. 160
  3. 191
  4. 231
(정답률: 알수없음)
  • 347(8)을 10진수로 표현하면 231이다.

    이유는 각 자리수를 8의 거듭제곱으로 곱한 후 더하면 된다.

    3 x 8^2 + 4 x 8^1 + 7 x 8^0 = 231

    따라서, 정답은 "23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연산증폭기에서 출력 오프셋 전압은 어떤 측정조건에서 이루어 지는가?

  1. 입력단자 단락
  2. 입력단자 접지
  3. 입력단자 개방
  4. 출력단자 개방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산증폭기에서 출력 오프셋 전압은 입력 신호가 없을 때 측정된다. 이때 입력단자가 접지되어 있으면, 입력 신호가 없어서 출력이 0V이 되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출력이 0V이 아닌 어떤 전압이 측정된다. 이는 연산증폭기 내부의 불균형으로 인한 것으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 출력 오프셋 전압을 조정해야 한다. 따라서 출력 오프셋 전압은 입력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측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회로는 무슨 회로인가?

  1. 전파배전압정류기
  2. 푸쉬풀증폭기
  3. 단상반파정류기
  4. 평형변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전파배전압정류기이다. 전파배전압정류기는 전파를 수신하기 위해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전파를 정류하는 역할을 한다. 이 회로에서는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전파를 정류하고, 콘덴서를 이용하여 정류된 전압을 평활화한다. 이렇게 정류된 전압은 다음 단계인 푸쉬풀증폭기로 전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사인파 전압이 바이어스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공급되고, 그 결과 사인파 컬렉터 전압이 0[V] 근처에서 잘라진다면 트랜지스터는?

  1. 포화로 구동된다.
  2. 차단으로 구동된다.
  3. 비선형으로 동작한다.
  4. 차단과 포화로 구동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인파 전압이 바이어스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공급되면, 트랜지스터는 전압의 변화에 따라 컬렉터 전류가 변화하게 된다. 이 때, 사인파 컬렉터 전압이 0[V] 근처에서 잘라진다는 것은 컬렉터 전류가 최대값에 도달하여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트랜지스터는 차단과 포화로 구동된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트랜지스터가 차단되거나 포화되는 비선형 동작을 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과 같은 연산 증폭회로가 하는 역할은?

  1. 배수기
  2. 부호변환기
  3. 단위이득 폴로워
  4. 전압-전류변환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연산 증폭회로는 입력 신호의 부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부호변환기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궤환발진기의 바크하우젠 발진조건 중 옳은 것은? (단, A는 발진기의 증폭도, β는 궤환량이다.)

  1. βA <1
  2. βA=1
  3. βA≥ 1
  4. βA≤ 1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βA=1"

    발진기의 증폭도 A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출력 신호의 크기로 변환하는 비율을 나타내며, 궤환량 β는 발진기의 출력 신호가 한 주기 동안 완전한 회전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회전 각도를 나타냅니다.

    발진기가 안정적인 회전을 유지하려면 입력 신호의 크기와 출력 신호의 크기가 일정한 비율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βA=1 조건이 필요합니다. 이 조건이 만족되면 입력 신호의 크기와 출력 신호의 크기가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어 안정적인 회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펄스의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충격파이다.
  2. 1회에 한하여 발생하는 파형을 임펄스라고 한다.
  3. 펄스에는 기본파만 있고 고조파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4. 직류를 단속하는 경우 매우 짧은 기간 동안만 전압(또는 전류)이 존재하는 파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는 충격파와는 다른 개념이다. 펄스는 1회에 한하여 발생하는 파형을 임펄스라고 하며, 기본파만 있고 고조파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직류를 단속하는 경우 매우 짧은 기간 동안만 전압(또는 전류)이 존재하는 파형이다. 따라서, "충격파이다."라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h 파라미터를 사용한 CE 등가회로에서 이미터와 베이스간 전압 Vbe는?

  1. hfeb+hoeVce
  2. hieb+hreVce
  3. hieb+hfeVce
  4. hreb+hoeVce
(정답률: 알수없음)
  • CE 등가회로에서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의 전압 Vbe은 입력 전압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Vbe는 hie에 의해 결정됩니다.

    또한, CE 등가회로에서 출력 전압 Vce는 hre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Vbe는 hieb에 의해 결정되고, Vce는 hreVce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hieb+hreVc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합 S = AB+AB 와 자리올림수 C = AB 와 같은 진리값을 나타내는 회로의 명칭은?

  1. 반가산기
  2. 전가산기
  3. 반감산기
  4. 전감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반가산기

    반가산기는 두 개의 이진수를 더하는데 사용되며, 자리올림수를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된 두 비트의 합과 자리올림수를 출력한다. 이 회로는 전가산기와 달리 입력된 자리수의 합이 2일 때 자리올림수를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된 두 비트의 합과 자리올림수를 출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에서 입력 임피던스는 몇 kΩ 인가?

  1. 1
  2. 99
  3. 100
  4. 101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임피던스는 R1과 R2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병렬 저항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1/R = 1/R1 + 1/R2

    여기서 R1 = 100kΩ, R2 = 100kΩ 이므로,

    1/R = 1/100kΩ + 1/100kΩ = 2/100kΩ

    R = 50kΩ

    따라서, 입력 임피던스는 50kΩ 이다.

    정답이 "1"인 이유는, 보기에서 50kΩ을 가장 근접한 값으로 반올림하여 계산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FET 증폭기의 전압 이득이 증가할 때 대역폭은 어떻게 되는가?

  1. 영향을 받지 않음
  2. 증가함
  3. 감소함
  4. 일그러지게 됨
(정답률: 알수없음)
  • FET 증폭기의 전압 이득이 증가하면, 채널의 전압이 높아지게 되어 채널의 길이가 줄어들고 전하의 이동 경로가 제한되어 대역폭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대역폭은 전압 이득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주파수 변조에서 S/N 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대역폭을 넓힌다.
  2. 변조도를 크게 한다.
  3. 수신측에 pre-emphasis 회로를 삽입한다.
  4. 최대 주파수 편이는 변조지수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변조에서 S/N 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은 대역폭을 넓히고 변조도를 크게하여 신호를 강화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수신측에 pre-emphasis 회로를 삽입하는 것은 S/N 비를 높이는 방법이 아닙니다. pre-emphasis 회로는 송신측에서 고주파 신호를 강화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수신측에서는 de-emphasis 회로를 사용하여 다시 원래의 신호로 복원합니다. 따라서 pre-emphasis 회로를 사용하는 것은 S/N 비를 높이는 방법이 아니며,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입니다. 마지막으로, 최대 주파수 편이는 변조지수에 비례한다는 것은 AM 변조에서의 성질이며, 주파수 변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신호기기

21. 교류 N.S형 전기전철기가 전환도중 해당 궤도 계전기가 무여자로 되었다. 다음중 옳은 것은?

  1. 전철기 전환이 중단된다.
  2. 즉시 불일치 상태로 된다.
  3. 전환전 상태로 복귀한다.
  4. 계속 전환동작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류 N.S형 전기전철기는 궤도 계전기가 무여자로 되어도 전환 동작을 계속한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바뀌어도 전류의 크기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궤도 계전기가 무여자로 되어도 전환 동작은 계속되며, 전환전 상태로 복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교류 NS형 전기 전철기에 사용되는 전동기는?

  1. 직류 직권전동기
  2. 교류 3상 유도전동기
  3. 콘덴서 기동형 단상 유도전동기
  4. 교류 복권전동기
(정답률: 알수없음)
  • 교류 NS형 전기 전철기는 단상 전원을 사용하므로, 콘덴서 기동형 단상 유도전동기가 사용된다. 이는 콘덴서를 이용하여 단상 전원을 3상 전원처럼 사용하여 유도자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건널목 경보기에서 점퍼선단이 0.06Ω 의 단락선으로 단락시켰을 때 어떤 계전기가 낙하 되어야 하는가?

  1. 201형(2420형)
  2. 401형(2440형)
  3. 경보종
  4. 경보등
(정답률: 알수없음)
  • 점퍼선단이 단락되면 건널목 경보기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지므로, 계전기 중에서도 전류가 흐르지 않아도 작동하는 201형(2420형)이나 401형(2440형)을 선택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201형(2420형)은 경보기와 직접 연결되어 작동하므로 더욱 적합하다. 경보종과 경보등은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으므로 선택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신호제어 계전기는?

  1. HR
  2. KR
  3. TR
  4. SR
(정답률: 알수없음)
  • 신호제어 계전기는 "HR"이 정답입니다. HR은 "Hand Reset"의 약자로, 수동으로 리셋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HR은 다른 세 가지 옵션인 KR(Knob Reset), TR(Time Reset), SR(Self Reset)보다 더욱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농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법이 아닌 것은?

  1. 콘트르파법
  2. 전전압 기동법
  3. 기동보상기법
  4. 기동저항기법
(정답률: 알수없음)
  • 기동저항기법은 농형 유도전동기를 기동할 때 사용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전류를 제한하여 모터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모터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기동 속도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여자 전류가 흐르고서부터 N 접점이 닫힐(접속함) 때까지 다소간 시소를 갖는 계전기는?

  1. 완방 계전기
  2. 완동 계전기
  3. 시소 계전기
  4. 궤도 계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완동 계전기는 전류가 흐르고서부터 N 접점이 닫힐 때까지 다소간 시소를 갖는 계전기입니다. 이는 전류가 처음에는 충분한 힘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회로가 닫히기 전에는 회로 내부의 코일에서 자기장이 축적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완동 계전기는 모터의 구동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변압기의 부하가 증가할때의 현상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가 상승한다.
  2. 동손이 증가한다.
  3. 철손이 증가한다.
  4. 여자 전류는 변함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변압기의 부하가 증가하면 전류가 증가하게 되어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손실도 증가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변압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는 변압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또한, 전류가 증가하면 동손도 증가하지만, 철손은 전류와는 무관하게 변압기의 설계에 따라 일정합니다. 따라서, "철손이 증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여자 전류는 변함없다는 것은 변압기의 특성 중 하나로,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비율이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력 변환 기기가 아닌 것은?

  1. 변압기
  2. 정류기
  3. 인버터
  4. 유도전동기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도전동기는 전력을 변환하는 기기가 아니라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인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기이기 때문입니다. 변압기는 전압을 변환하고, 정류기는 직류를 만들어내고, 인버터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기능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직류직권 전동기를 운전할때 벨트(belt)를 걸어서 안되는 이유는?

  1. 직결하지 않으면 속도제어가 곤란하므로
  2. 손실이 많아지므로
  3. 벨트가 마모하여 보수가 곤란하므로
  4. 벨트가 벗겨지면 위험속도에 도달하므로
(정답률: 알수없음)
  • 벨트가 벗겨지면 전동기의 회전속도가 높아져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변압기 기름의 열화 영향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공기중 수분의 흡수
  2. 침식작용
  3. 절연내력의 저하
  4. 냉각 효과의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중 수분의 흡수는 변압기 기름의 열화 영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변압기 기름은 침식작용, 절연내력의 저하, 냉각 효과의 감소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공기중 수분의 흡수는 그와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철도 건널목 제어유니트 중 단선, 복선에 공히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DC형 제어유니트
  2. ST형 제어유니트
  3. DT형 제어유니트
  4. C형 제어유니트
(정답률: 알수없음)
  • C형 제어유니트는 단선과 복선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제어유니트이다. 다른 유형의 제어유니트는 단선 또는 복선 중 하나에만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시소계전기의 시소 허용한도는 별도로 정해진 것을 제외하고는 몇 % 이내로 하여야 하는가?

  1. ± 50
  2. ± 40
  3. ± 30
  4. ± 10
(정답률: 알수없음)
  • 시소계전기의 시소 허용한도는 보통 ± 10% 이내로 정해진다. 이는 전기적 안전을 위해 전압이나 전류 등이 너무 크거나 작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 1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직류 전동기의 제동법이 아닌 것은?

  1. 발전제동
  2. 회생제동
  3. 역전제동
  4. 타력제동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 전동기는 발전제동, 회생제동, 역전제동을 통해 제동할 수 있지만, 타력제동은 직류 전동기의 제동법이 아닙니다. 타력제동은 기계의 운동 에너지를 마찰력 등을 이용하여 열 에너지로 바꾸는 방식으로 제동하는 것이며, 직류 전동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기기계의 전기자등의 철심을 성층철심으로 하는 것은 무엇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인가?

  1. 와류손
  2. 히스테리시스손
  3. 표유부하손
  4. 기계손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기계의 전기자 등의 철심을 성층철심으로 하는 것은 히스테리시스손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성층철심은 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자기화 및 역자기화의 손실이 적기 때문에 히스테리시스손이 감소됩니다. 따라서 전기기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성층철심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직류 전동기의 온도시험을 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반환 부하법
  2. 와전류 제동기
  3. 프로니 브레이크법
  4. 전기 동력계
(정답률: 알수없음)
  • 반환 부하법은 직류 전동기의 온도시험을 할 때, 전동기를 일정한 부하 상태로 작동시키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부하를 제거하여 전동기가 회전하는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실제 작동 상태와 유사한 부하 상태에서 시험을 할 수 있으며, 부하를 제거하여 회전하는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전동기의 효율과 열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반환 부하법이 가장 적당한 방법이다. 와전류 제동기는 전동기의 회전을 제동시켜서 시험하는 방법이고, 프로니 브레이크법은 전동기의 회전을 제동시키면서 동시에 부하를 가하는 방법이다. 전기 동력계는 전동기의 출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온도시험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유도 전동기에서 비례 추이할 수 없는 것은?

  1. 1차 전류
  2. 2차 전류
  3. 2차 동손
  4. 역률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도 전동기에서 비례 추이할 수 없는 것은 "2차 동손"입니다. 이는 유도 전동기에서 회전자의 속도가 증가하면 1차 전류와 2차 전류는 증가하지만, 2차 동손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회전자의 속도와 2차 동손은 비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맥동 주파수가 가장 많고 맥동률이 가장 작은 정류방식은?

  1. 3상 전파 정류
  2. 단상 전파 정류
  3. 3상 반파 정류
  4. 단상 반파 정류
(정답률: 알수없음)
  • "3상 전파 정류"는 3상 전원을 이용하여 전류를 정류하는 방식으로, 맥동 주파수가 가장 많고 맥동률이 가장 작은 이유는 3상 전원을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3상 전원은 단상 전원보다 안정적이며, 전류의 흐름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맥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또한, 3상 전원을 이용하면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기 쉽기 때문에 맥동률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상 전파 정류"가 가장 적합한 정류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3상변압기의 병렬운전이 불가능한 것은?

  1. △-△와 △-△
  2. △-△와 △-Y
  3. △-Y 와 Y-△
  4. Y-△ 와 Y-△
(정답률: 알수없음)
  • 3상변압기의 병렬운전이 불가능한 것은 "△-△와 △-Y" 입니다. 이유는 △-△ 연결은 각 상의 전압이 서로 같고, △-Y 연결은 각 상의 전압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병렬운전을 하게 되면 전압이 서로 다른 상이 연결되어 전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어떤 변압기의 % 저항강하 2%, %리액턴스강하 3%일 때 최대 전압 변동률은 얼마인가

  1. 3.6
  2. 4.6
  3. 5.6
  4. 6.6
(정답률: 알수없음)
  • 변압기의 % 저항강하와 % 리액턴스강하는 전압 변동률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변압기의 최대 전압 변동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최대 전압 변동률 = √(% 저항강하² + % 리액턴스강하²)

    따라서, 이 문제에서 주어진 % 저항강하 2%와 % 리액턴스강하 3%을 대입하면,

    최대 전압 변동률 = √(2² + 3²) = √13 = 3.6

    따라서, 정답은 "3.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건널목 전동차단기에 사용하는 전동기의 종류로서 맞는 것은?

  1. 직류직권전동기
  2. 직류분권전동기
  3. 직류가동복권전동기
  4. 직류차동복권전동기
(정답률: 알수없음)
  • 건널목 전동차단기는 열차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전동기는 직류직권전동기입니다. 이는 직류 전원을 사용하며, 전류와 자기장이 직교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러한 전동기는 강력하고 효율적이며, 열차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널목 전동차단기에서는 직류직권전동기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신호공학

41. 선로전환기의 밀착은 기본 레일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 후 1mm를 벌리는데 몇 kg 을 기준으로 하는가?

  1. 10
  2. 50
  3. 100
  4. 500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전환기의 밀착은 일반적으로 100kg을 기준으로 한다. 이는 기본 레일과 전환 레일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유지하면서도 충분한 접촉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교류와 직류의 접속구간이 있는 경우 어느 한 쪽이 직류궤도회로를 채택하여 사용하면 일정한 구간은 절연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 때 절연구간의 이상적인 길이는?

  1. 50m의 사구간이 필요하다.
  2. 궤도회로부분만 절연하면 된다.
  3. 1개 열차장 이상이면 된다.
  4. 2개 열차장이 이상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류와 직류의 접속구간에서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는 교류와 달리, 직류는 항상 같은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절연이 필요하다. 그러나 너무 긴 구간을 절연하면 비용이 증가하고, 너무 짧은 구간을 절연하면 효과가 없다. 따라서 이상적인 길이는 궤도회로를 통과하는 열차의 길이인 1개 열차장 이상이면 된다. 이 길이는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절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길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AF 궤도회로 수신계전기의 단자전압을 수신 카드의 출력트랜지스터 단자에서 측정하였을 때 조정을 필요로 하는 것은? (단, 수신계전기의 정격전압은 7.5V 이다.)

  1. 6.76V
  2. 7V
  3. 8V
  4. 9.2V
(정답률: 알수없음)
  • AF 궤도회로 수신계전기의 정격전압이 7.5V이지만, 측정한 단자전압이 9.2V로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조정이 필요하다. 이는 수신 카드의 출력트랜지스터가 과도한 출력을 내고 있거나, 수신계전기의 내부 저항이 변화하여 전압이 상승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9.2V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수도권에서 4현시 신호의 배열은?

  1. Ro, R1, YY, YG, G
  2. R, Y, YG, G,
  3. Ro, R1, YY, Y, G
  4. Ro, R1, Y, YG, G
(정답률: 알수없음)
  • 수도권에서 4현시 신호의 배열은 "Ro, R1, Y, YG, G" 이다. 이는 교통안전법에서 규정한 신호의 순서에 따라 정해진 것이다. Ro는 빨간색, R1은 빨간색 화살표, Y는 노란색, YG는 노란색 화살표, G는 초록색을 의미한다. 따라서, 빨간색 신호가 먼저 나오고, 그 다음에 빨간색 화살표, 노란색, 노란색 화살표, 초록색 순서로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궤도회로의 레일부터 떨어진 동일 극성의 다른 레일상호간을 접속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크로스본드
  2. 졈퍼본드
  3. 신호본드
  4. 레일용접본드
(정답률: 알수없음)
  • 이것은 "졈퍼본드"라고 불립니다. 이는 궤도회로에서 레일을 연결하는 방법 중 하나로, 레일의 끝을 절단하여 다른 레일과 겹쳐놓고 용접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하면 레일 간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며, 전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궤도회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접근쇄정의 해정시분을 설정하였을 때 설정시간이 옳은 것은?

  1. 장내신호기 85초, 입환신호기 32초
  2. 장내신호기 90초, 입환표지 34초
  3. 장내신호기 100초, 출발신호기 30초
  4. 장내신호기 98초, 입환표지 35초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장내신호기 85초, 입환신호기 32초" 이다.

    접근쇄정의 해정시분은 기차가 역에 도착하여부터 출발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시간이 짧을수록 기차의 대기시간이 줄어들어 운행시간이 단축되므로 좋다고 볼 수 있다.

    위 보기에서 "장내신호기 85초, 입환신호기 32초"는 접근쇄정의 해정시분이 가장 짧은 것으로, 기차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하여 운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나머지 보기들은 접근쇄정의 해정시분이 길어 운행시간이 더 오래 걸리므로 선택하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열차의 속도를 자동으로 높일 수 있는 것은?

  1. ATS
  2. ATO
  3. ABS
  4. ARC
(정답률: 알수없음)
  • ATO는 자동 열차 운전 시스템으로, 열차의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ATS는 자동 열차 정지 시스템, ABS는 자동 차량 제동 시스템, ARC는 자동 기차 제어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열차의 속도를 자동으로 높일 수 있는 것은 AT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궤조절연 삽입 개소에 대한 유지관리에 있어서의 유의할 점이 아닌 것은?

  1. 레일 이음매 간격과 이음매 처짐
  2. 도상 자갈의 절연이음매 접촉 유무
  3. 침목과 스파이크의 위치 조정
  4. 레일의 마모 및 끝 닳음 제거
(정답률: 알수없음)
  • 도상 자갈의 절연이음매 접촉 유무는 궤조절연 삽입 개소의 유지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아니다. 이는 궤조절연 삽입 개소에서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것은 유의할 점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열차집중제어장치(CTC)의 제어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자동제어(Auto모드)
  2. 컴퓨터제어(CM)
  3. 판넬제어(LDM)
  4. 콘솔제어(CCM)
(정답률: 알수없음)
  • CTC는 열차 운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자동제어, 판넬제어, 콘솔제어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컴퓨터제어는 CTC의 제어방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CTC가 이미 컴퓨터를 이용하여 열차 운행을 제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컴퓨터제어는 CTC의 제어방법이 아니라 CTC를 구현하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그림에서 C=60m, B=800m, L=150m, t=2.6초이며, 열차속도가 90km/h 이다. 최소운전시격은 몇 초인가?

  1. 75초
  2. 76초
  3. 77초
  4. 78초
(정답률: 알수없음)
  • 최소운전시격은 열차가 지정된 구간을 통과하는 동안 운전사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반응하여 열차를 정지시킬 수 있는 시간을 말한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열차가 지정된 구간을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열차가 이동하는 거리를 계산해야 한다.

    열차가 지정된 구간을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열차가 이동하는 거리 = C + B + L = 60m + 800m + 150m = 1010m

    열차의 속도 = 90km/h = 25m/s

    열차가 지정된 구간을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 = 열차가 이동하는 거리 ÷ 열차의 속도 = 1010m ÷ 25m/s = 40.4초

    하지만 최소운전시격은 운전사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반응하여 열차를 정지시킬 수 있는 시간을 말하는 것이므로, 이 시간에 운전사의 반응시간을 더해줘야 한다. 보통 운전사의 반응시간은 1.5초에서 3초 사이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2.6초로 가정하겠다.

    따라서 최소운전시격은 40.4초 + 2.6초 = 43초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75초"로 주어졌다. 이는 최소운전시격에 여유시간을 더한 값으로, 보통 최소운전시격에는 여유시간을 더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여유시간은 열차의 길이나 기타 요인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0초에서 40초 정도를 더해준다고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최소운전시격에 30초를 더해준 값인 43초 + 30초 = 73초가 아닌, 43초 + 32초 = 75초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신호장치의 분류로 옳은 것은?

  1. 입환신호기는 출발신호기의 종속신호기이다.
  2. 유도신호기는 장내신호기의 종속신호기이다.
  3. 서행신호기는 주신호기이다.
  4. 진로표시기는 장내 및 출발신호기의 신호부속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로표시기는 장내 및 출발신호기의 신호부속기이다. 이는 진로표시기가 장내 및 출발신호기와 함께 설치되어 해당 신호기의 신호를 보조하고 보완하기 때문이다. 진로표시기는 기차가 진행할 수 있는 방향을 표시하며, 이를 통해 안전한 운행을 돕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연동장치를 기계연동, 전기연동 및 전자연동장치로 나눈 것은?

  1. 쇄정의 종별로 나눈 것이다.
  2. 선로의 종별로 나눈 것이다.
  3. 폐색의 종별로 나눈 것이다.
  4. 궤도의 종별로 나눈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동장치는 기계, 전기, 전자 등 다양한 종류가 있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기 위해 쇄정의 종별로 나눈 것이다. 이는 각각의 연동장치가 작동하는 원리와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선로, 폐색, 궤도와 같은 용어는 연동장치와는 관련이 없는 용어이므로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철도신호를 대별한 것은?

  1. 상치신호, 임시신호, 수신호
  2. 상치신호, 전철전호, 열차표시
  3. 신호, 전호, 표지
  4. 서행신호, 서행예고신호, 서행해제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에서는 열차의 운행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 신호체계를 사용합니다. 이 신호체계는 열차가 운행하는 구간에서 열차의 운행 상황을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신호, 전호, 표지입니다. 신호는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전호는 열차가 다가오는 것을 미리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표지는 열차가 운행하는 구간에서의 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가 철도신호를 대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건널목 사고를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다음 중 가장 좋은 방법은?

  1. 경보장치 설치
  2. 지장물 검지장치 설치
  3. 전동차단기 설치
  4. 입체교차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좋은 방법은 "입체교차설비"입니다. 이는 도로를 건널 때 차량과 보행자가 충돌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진 구조물로, 차량과 보행자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도로를 겹쳐서 만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보행자와 차량의 이동 경로가 분리되어 안전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따라서 건널목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입체교차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CTC 장치에서 CDTS의 수동계 절체를 할 수 없는 것은?

  1. PTS
  2. RSB
  3. 사령실 보수자용 콘솔
  4. 사령실 조작표시 판넬
(정답률: 알수없음)
  • CTC 장치에서 CDTS의 수동계 절체를 할 수 없는 이유는 CDTS가 자동화된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으며, CDTS는 CTC 장치에서 자동으로 제어됩니다. 이 중에서도 사령실 조작표시 판넬은 CDTS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수동계 절체를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궤도회로의 이상기를 사용하는 목적은?

  1. 상용주파수를 배주 또는 분주하기 위하여
  2. 궤도회로 단락시 과대 단락전류 방지
  3. 궤도계전기의 국부 코일의 위상 조정용
  4. 궤도계전기의 궤도 코일의 위상 조정용
(정답률: 알수없음)
  • 궤도회로는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궤도계전기의 국부 코일의 위상이 중요합니다. 이상기는 국부 코일의 위상을 조정하여 궤도회로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상용주파수를 배주 또는 분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이상기는 궤도계전기의 국부 코일의 위상 조정용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림과 같이 도시한 방법으로 구성한 궤도회로는?

  1. 폐전로식 궤도회로
  2. 개전로식 궤도회로
  3. AF 궤도회로
  4. 3위식 궤도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궤도회로는 개전로식 궤도회로이다. 개전로식 궤도회로는 궤도가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전류의 안정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이 궤도회로는 모든 궤도가 연결되어 있으며, 전류의 흐름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개전로식 궤도회로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열차자동정지장치 [ATS(S-1)]형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선택도(Q값)는 50∼190 범위이다.
  2. 제어계전기의 종류에는 DC 24V형이 있다.
  3. 지상자의 공진주파수는 105kHz 이다.
  4. 지상자 코일의 인덕턴스는 300μH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상자의 공진주파수는 105kHz 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 ATS(S-1)의 지상자의 공진주파수는 500Hz 이다. 이는 전동차의 속도와 관련이 있으며, 이 주파수에서 지상자가 공진하면 열차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폐색구간을 5현시로 분할하고자 한다. 다음 중 기준이 되는 열차는 어떤 열차인가?

  1. 제동거리가 짧은 전동차
  2. 제동거리가 짧은 여객열차
  3. 제동거리가 가장 긴 화물열차
  4. 가장 빠른 열차
(정답률: 알수없음)
  • 제동거리란 열차가 정지하기까지 걸리는 거리를 말한다. 폐색구간을 5현시로 분할하려면 열차가 급정거하는 경우를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제동거리가 가장 긴 화물열차가 기준이 된다. 화물열차는 무게가 무거우므로 제동거리가 길어야 하며, 전동차나 여객열차보다 급정거하는 경우가 적다. 가장 빠른 열차는 속도가 빠르므로 제동거리가 짧아 폐색구간 분할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궤도회로에서 보완회로의 역할은?

  1. 공급전원 보완
  2. 사구간 보완
  3. 단락감도 보완
  4. 계전기회로 보완
(정답률: 알수없음)
  • 궤도회로에서 보완회로는 주로 궤도상의 사구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보완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사구간 보완"이 정답입니다. 사구간은 궤도상에서 전류나 전압이 불안정하게 변하는 구간을 말하며, 이러한 구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보완하여 궤도회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회로이론

61. 그림과 같은 L형 회로의 4단자 ABCD 정수중 A는?

(정답률: 알수없음)
  • L형 회로에서 A와 B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C와 D도 직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A와 B, C와 D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A와 C, B와 D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A는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9[Ω]과 3[Ω]의 저항 3개를 그림과 같이 연결 하였을 때 A,B 사이의 합성저항은 얼마인가?

  1. 6[Ω]
  2. 4[Ω]
  3. 3[Ω]
  4. 2[Ω]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병렬저항과 직렬저항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먼저, 9[Ω]과 3[Ω]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합성저항은 9+3=12[Ω]이다.

    이제 이 12[Ω]과 3[Ω]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병렬저항 공식을 이용하여 합성저항을 구할 수 있다.

    1/합성저항 = 1/12 + 1/3

    = (1*3 + 4*1) / 12

    = 7/12

    따라서 합성저항은 12/7[Ω]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3[Ω]이 정답으로 주어져 있으므로, 이는 계산 결과를 단순화한 것이다.

    12/7[Ω]은 1.71...[Ω]이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2[Ω]와 3[Ω] 중에서 3[Ω]이 더 정확한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3[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그림 ab간에 40[V]의 전압을 가할 때 10[A]의 전류가 흐른다. r1 및 r2 에 흐르는 전류비를 1:2로 하려면 r1 및 r2의 저항[Ω]은 각각 얼마인가?

  1. r1 = 6, r2 = 3
  2. r1 = 3, r2 = 6
  3. r1 = 4, r2 = 2
  4. r1 = 2, r2 = 4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저항을 구할 수 있다. 전류비가 1:2 이므로, r1을 x라고 두면 r2는 2x가 된다. 이때 전압은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합과 같으므로, 40 = 10x + 10(2x) 이다. 이를 풀면 x = 6이므로 r1 = 6Ω, r2 = 2x = 12Ω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r1 = 6, r2 =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임피던스 Z(s)가 로 주어지는 2단자회로에 직류전류원 15[A]를 가할 때 이 회로의 단자전압 [V]은?

  1. 200
  2. 300
  3. 400
  4. 600
(정답률: 알수없음)
  • 임피던스 Z(s)는 복소 임피던스이므로, 주어진 값에서 실수부와 허수부를 구해야 한다.

    실수부: 10 + 20 = 30

    허수부: -j15

    따라서, 임피던스 Z(s)의 크기는 |Z(s)| = sqrt(30^2 + 15^2) = 33.54 옴이고, 각도는 arctan(-15/30) = -30도이다.

    직류전류원 15[A]가 가해지므로, 회로에는 15[A]의 전류가 흐른다. 이 때, 단자전압은 V = IZ(s) = 15 x 33.54 x e^(-j30) = 300 - j150 이다.

    따라서, 단자전압의 크기는 |V| = sqrt(300^2 + 150^2) = 335.41[V]이고, 각도는 arctan(-150/300) = -30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3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L=50[mH], R=20[KΩ ]인 경우 회로의 시정수를 구하면 얼마인가?

  1. 4.0 [μ sec]
  2. 3.5 [μ sec]
  3. 3.0 [μ sec]
  4. 2.5 [μ sec]
(정답률: 알수없음)
  • 시정수(T)는 T = L/R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T = 50[mH]/20[KΩ] = 2.5[μ sec] 이다.

    이유는 인덕턴스(L)와 저항(R)이 주어졌을 때, 시정수는 L/R로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회로에서 L과 R의 값이 주어졌으므로, L/R을 계산하여 시정수를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RC저역 필터회로의 전달함수 G(jω)는 ω =0일 때 얼마인가?

  1. 0
  2. 1
  3. 0.5
  4. 0.707
(정답률: 알수없음)
  • RC저역 필터회로의 전달함수 G(jω)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G(jω) = 1 / (1 + jωRC)

    따라서 ω = 0일 때, G(jω)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G(j0) = 1 / (1 + j0RC) = 1 / (1 + 0) = 1

    즉, ω = 0일 때, RC저역 필터회로의 전달함수는 1이 된다. 이는 주파수가 0일 때, 입력신호가 출력신호로 완전히 전달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대칭좌표법에 의하여 3상 회로에 대한 해석중 잘못된 것은?

  1. △결선이든 Y결선이든 세 선전류의 합은 영(零)이면 영상분도 영(零)이다.
  2. 선간전압의 합이 영(零)이면 그 영상분은 항상 영(零)이다.
  3. 선간전압이 평형이고 상순이 a-b-c이면 Y결선에서 상전압의 역상분은 영(零)이 아니다.
  4. Y결선중 성접지시에 중성선 정상분의 선전류에 대하여서 ∞ 의 임피이던스를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선간전압이 평형이고 상순이 a-b-c이면 Y결선에서 상전압의 역상분은 영(零)이 아니다." 이다. 이유는 대칭좌표법에서 Y결선에서의 상전압의 역상분은 선간전압의 합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간전압이 평형이면 상전압의 역상분도 평형이 되어야 하지만, a-b-c 상순에서는 평형이 아니므로 역상분이 영(零)이 아닐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대칭 3상 회로가 있다. Y결선된 전원 한상의 전압의 순시값이 Va =√2 220sin ω t + √2 50sin (3ω t +30° )[V]일 때 상전압 및 선간전압의 실효값[V]은?

  1. 225.61, 390.77
  2. 225.61, 381.05
  3. 270, 467.65
  4. 270, 390.77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가정용 전원의 전압이 기본파가 100[V]이고 제7고조파가 기본파의 4[%], 제11고조파가 기본파의 3[%]이었다면 이 전원의 일그러짐 률은 몇 [%]인가?

  1. 11
  2. 10
  3. 7
  4. 5
(정답률: 알수없음)
  • 일그러짐 률은 제7고조파와 제11고조파의 크기를 합한 값에서 기본파의 크기를 나눈 후 100으로 곱한 값이다. 따라서, 일그러짐 률은 (4+3)/100*100 = 7%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전달함수 C(s) = G(s)R(s)에서 입력함수를 단위 임펄스즉 δ (t)로 가할때 계의 응답은?

  1. C(s)=G(s)δ (s)
  2. C(s)=G(s)/δ (s)
  3. C(s)=G(s)/s
  4. C(s)=G(s)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함수가 단위 임펄스인 경우, Laplace 변환을 적용하면 입력함수의 Laplace 변환은 1이 된다. 따라서 C(s) = G(s)R(s)에서 R(s) = 1로 대입하면 C(s) = G(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C(s)=G(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그림에서 a,b 단자에 200[V]를 가할때 저항 2[Ω]에 흐르는 전류 I1[A]는?

  1. 40
  2. 30
  3. 20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이 200[V]이고 저항이 2[Ω]이므로 오옴의 법칙에 따라 I1 = V/R = 200/2 = 100[A]가 흐릅니다. 하지만, a,b 단자 사이에 있는 전압은 200[V]이지만, R1과 R2에 의해 전압이 분배되므로 I1은 100[A]보다 작아집니다. R1과 R2는 직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류는 같고, 전압은 저항 비율에 따라 분배됩니다. R1과 R2의 저항 비율은 1:3이므로, R2에 가해지는 전압은 3배가 되고, R1에 가해지는 전압은 1배가 됩니다. 따라서, R2에 가해지는 전압은 3/4 × 200[V] = 150[V]이고, R1에 가해지는 전압은 1/4 × 200[V] = 50[V]입니다. 이에 따라 R2에서 흐르는 전류 I2는 I2 = V/R2 = 150/3 = 50[A]가 되고, R1에서 흐르는 전류 I3는 I3 = V/R1 = 50/1 = 50[A]가 됩니다. 따라서, a,b 단자에 흐르는 전류 I1은 I1 = I2 + I3 = 50 + 50 = 100[A]가 됩니다. 그러므로, 정답은 100[A]가 아닌 30[A]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3상 전력을 측정하는데 두 전력계 중에서 하나가 0이었다 이때의 역률은 어떻게 되는가?

  1. 0.5
  2. 0.8
  3. 0.6
  4. 0.4
(정답률: 알수없음)
  • 역률은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3상 전력에서는 각 상의 역률을 구한 후 평균을 내면 된다. 하지만 두 전력계 중 하나가 0이라면 그 상의 유효전력은 0이므로 해당 상의 역률은 0이 된다. 따라서 다른 두 상의 역률의 평균을 구하면 된다. 두 상의 역률이 모두 0.8이라면 평균은 0.8이 되지만, 두 상 중 하나의 역률이 0이므로 평균은 (0.8+0.6)/2 = 0.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어떤 R-L-C 병렬회로가 병렬공진되었을 때 합성 전류는?

  1. 최대가 된다.
  2. 최소가 된다.
  3.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4. 전류는 무한대가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R-L-C 병렬회로가 병렬공진되면 임피던스는 최소가 되어 전류가 최대가 됩니다. 이는 공진 주파수에서 R, L, C의 효과가 상쇄되어 임피던스가 최소가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합성 전류도 최소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저항 R[Ω ]과 정전용량 C[F]의 직렬 회로에서 잘못 표현된 것은?

  1. 회로의 시정수는 τ =CR [초] 이다
  2. t=0에서 직류전압 E[V]를 가했을때 t[초]후의 전류 [A]이다.
  3. t=0에서 직류전압 E[V]를 가했을때 t[초]후의 전류 [A]이다.
  4. R-C 직렬회로에서 직류전압 E[V]를 충전하는 경우 회로의 전압 방정식은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 표현된 것은 "t=0에서 직류전압 E[V]를 가했을때 t[초]후의 전류 [A]이다." 입니다.

    이유는 R-C 직렬회로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류가 감소하며, 시정수 τ = CR에 따라 감쇠하는 속도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시간 t이 증가함에 따라 전류도 감소하게 되며, t=0에서 가해진 전압 E[V]가 충전되어 전류가 최대값을 가지는 것은 맞지만,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류는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t=0에서 직류전압 E[V]를 가했을때 t[초]후의 전류 [A]이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을 이용하여 ① 및 ② 를 구하면?

(정답률: 알수없음)
  • = 2, ② = 3 이다.

    이유는 의 모양을 보면, 1부터 4까지의 숫자가 각각 한 번씩 등장하고 있으며, 각 숫자들은 모두 서로 다른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①과 ②는 각각 2와 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전원과 부하가 다같이 Δ 결선된 3상 평형 회로가 있다. 전원 전압이 200[V], 부하 임피던스가 6+j8[Ω ]인 경우 선전류[A]는?

  1. 20
  2. 20/√3
  3. 20√3
  4. 10 3
(정답률: 알수없음)
  • 전원 전압이 200[V]이므로, 전압 유도법칙에 따라 선간 전압은 200[V]이다. 부하 임피던스가 6+j8[Ω]이므로, 부하 전류는 I=V/Z=200/(6+j8)=20/√3∠-53.13°[A]이다. 이때, Δ 연결이므로 선전류는 부하전류와 같으므로 20/√3∠-53.13°[A]이다. 이를 극형으로 변환하면 20√3∠-30°[A]이므로, 정답은 "2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파고율의 관계식이 바르게 표시된 것은?

  1. 최대값/실효값
  2. 실효값/최대값
  3. 평균값/실효값
  4. 실효값/평균값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최대값/실효값"이다. 파고율은 파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최대값은 파동의 최대 크기를 나타내고, 실효값은 파동의 평균 크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파고율은 파동의 최대 크기를 평균 크기로 나눈 값으로 표현되며, 이는 "최대값/실효값"으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그림과 같은 이상변압기에 대하여 성립되지 아니하는 관계식은? (단, n1, n2는 1차 및 2차 코일의 권수) ( n은 권수비 ; n=n1/n2 )

  1. V1i1=V2i2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변압기에서 전력은 보존되므로, 입력전력과 출력전력은 같아야 한다. 따라서 V1i1=V2i2 식이 성립한다. 또한, 이상변압기에서는 전력손실이 없으므로, 전압과 전류의 비율은 변압기의 권수비와 같다. 따라서 도 성립한다. 하지만, 는 권수비와 전압비가 같다는 조건이 없으므로 성립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3상 회로에 있어서 대칭분 전압이 V0=-8+j3[V],V1=6-j8[V],V2=8+j12[V]일때 a상의 전압[V]은?

  1. 6+j7
  2. 8+j12
  3. 6+j14
  4. 16+j4
(정답률: 알수없음)
  • a상 전압은 Va = (V1 - V2)/3 입니다.

    따라서,

    Va = (6-j8 - 8-j12)/3

    = (-2+j4)/3

    = (-2/3) + (4/3)j

    = 6+j7

    따라서, 정답은 "6+j7" 입니다.

    이유는 대칭분 전압에서 a상 전압은 Va = (V1 - V2)/3 이므로, V1과 V2의 차이를 구하고 3으로 나누면 됩니다. 계산 결과는 위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f(t)=δ (t)-bε-bt 의 라플라스 변환은? (단, δ (t)는 임펄스 함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f(t)의 라플라스 변환을 구하기 위해 라플라스 적분을 사용한다.

    L{f(t)} = ∫0 [δ(t) - bε-bt]e-st dt

    = 1 - ∫0-bte-st dt

    = 1 - ∫0-(s+b)t dt

    = 1 - [b/(s+b)] limt→∞ [1 - ε-(s+b)t]

    = 1 - [b/(s+b)] [1 - 0]

    = 1 - b/(s+b)

    따라서, f(t)의 라플라스 변환은 이다.

    이유는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에 따라, 임펄스 함수 δ(t)의 라플라스 변환은 1이 되고, 지수함수 e-bt의 라플라스 변환은 s+b로 주어진다. 따라서, f(t)의 라플라스 변환은 1에서 e-bt의 라플라스 변환을 빼면 된다. 이를 계산하면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