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로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5-20)

어로산업기사
(2012-05-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어구학

1. 180 denier, 30 Nec인 망사는 약 몇 tex 인가?

  1. 15tex
  2. 20tex
  3. 33tex
  4. 60tex
(정답률: 75%)
  • 180 denier는 1그램의 섬유의 길이가 9000m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미터의 길이에 해당하는 섬유의 무게는 180/9000 = 0.02g입니다.

    30 Nec는 1그램의 섬유의 길이가 30m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미터의 길이에 해당하는 섬유의 무게는 0.02/30 = 0.00067g입니다.

    이제 이 값을 텍스로 변환해보겠습니다. 텍스는 1그램의 섬유의 길이가 1000m일 때의 섬유의 직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미터의 길이에 해당하는 섬유의 직경은 0.00067 x 1000 = 0.67mm입니다.

    따라서 이 망사의 텍스는 20tex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공기 중의 무게가 5kg 이고 비중이 7.8인 철구의 침강력은 약 얼마인가? (단, 물의 비중은 1.0이다)

  1. 3.6kg
  2. 4.0kg
  3. 4.4kg
  4. 4.8kg
(정답률: 70%)
  • 철구의 체적은 공기 중의 체적보다 작기 때문에 철구는 공기보다 물에 더 잘 침강한다. 따라서 철구의 침강력은 공기 중의 무게에서 물의 무게를 뺀 값에 비중을 곱한 것과 같다.

    물의 무게는 체적이 5kg인 공기보다 1배 더 무겁기 때문에 5kg - 1kg = 4kg 이다.

    따라서 철구의 침강력은 4kg x 7.8 = 31.2kg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보기에는 단위가 kg로 되어 있으므로, 답인 31.2kg를 10으로 나누어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한 4.8kg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범포식 근해 안강망 어구에서 총 부력을 총 침강력보다 크게 하는 주 이유는?

  1. 유속의 증가에 따른 망고 감소를 적게 하기 위해서
  2. 그물의 길이 증가에 비례하는 아궁이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
  3. 저착성 어류보다 뜬 고기류를 주로 어획하기 위해서
  4. 유속이 일정치 이하가 되면 그물을 해저로부터 부상 시키기 위해서
(정답률: 76%)
  • 범포식 근해 안강망은 물속에서 떠다니는 작은 먹이를 잡기 위해 사용되는 망으로, 그물의 부력이 총 침강력보다 크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는 유속이 일정치 이하가 되면 그물을 해저로부터 부상시키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유속의 증가에 따른 망고 감소를 적게 하기 위해서, 그물의 길이 증가에 비례하는 아궁이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 저착성 어류보다 뜬 고기류를 주로 어획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물의 부력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건착망에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섬유의 성질은?

  1. 비중
  2. 유연성
  3. 투명성
  4. 내마찰성
(정답률: 75%)
  • 건착망에서 가장 필요한 섬유의 성질은 비중입니다. 이는 건착망이 물 속에서 떠있는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높은 비중을 가진 섬유는 물에 잠기는 무게가 높아져서 건착망이 물속에서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건착망 제작에는 비중이 높은 섬유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외끌이 기선 저인망 어구에서 어획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1. 어구의 부력
  2. 그물의 성형률
  3. 자루그물의 구성
  4. 후릿줄의 길이
(정답률: 88%)
  • 외끌이 기선 저인망에서 후릿줄의 길이는 어획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후릿줄이 길면 그만큼 어구가 더 멀리 뻗어나가기 때문에 더 많은 어종을 포획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후릿줄의 길이가 어획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조류에 밀려오는 어류를 잡는 어구는?

  1. 낙망
  2. 자망
  3. 안강망
  4. 건착망
(정답률: 77%)
  • 조류가 어류를 쫓아다니면서 어류가 안강망에 걸리게 되는데, 이는 조류가 어류를 밀어내면서 어류가 안강망에 걸리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안강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물코의 면적이 최대가 되는 성형률은 약 얼마인가?

  1. 30%
  2. 40%
  3. 50%
  4. 70%
(정답률: 94%)
  • 그물코의 면적은 성형률에 따라 변화하므로, 면적이 최대가 되려면 성형률이 최적화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그물코의 면적이 최대가 되는 성형률은 70%이다. 이는 30%, 40%, 50%보다 높은 값으로, 성형률이 증가할수록 그물코의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성형률을 805로 하여 완성된 길이가 12m되는 그물어구를 만들 때 필요한 그물감의 길이는?

  1. 9.6m
  2. 15m
  3. 24m
  4. 60m
(정답률: 83%)
  • 그물어구의 길이가 12m이므로, 그물감의 길이는 그의 둘레와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그물어구의 둘레를 구해야 합니다.

    그물어구의 둘레 = 2 × (805 × 12) ÷ 1000 = 19.32m

    그러므로, 그물감의 길이는 19.32m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는 19.32m에 가장 가까운 15m이 있습니다. 이는 문제에서 제시된 성형률과 그물어구의 길이에 따라서 그물감의 길이가 약간 부족하게 되어서 생긴 차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뜸의 체적을 V, 부력을 F, 수중중량을 W, 물의 밀도를 p,라 하면 뜸의 부력 F는?

  1. F=Vp-W
  2. F=V-Wp
  3. F=Vp+W
  4. F=V+Wp
(정답률: 77%)
  • 물 속에서 물체는 부력과 중력의 영향을 받는다. 부력은 물체가 밀려낸 물의 양에 비례하며, 물체의 체적과 물의 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뜸의 부력 F는 뜸의 체적 V에 물의 밀도 p를 곱한 값(Vp)에서 수중중량 W를 뺀 값(Vp-W)이다. 따라서 정답은 "F=Vp-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물감이 매매되는 단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사리
(정답률: 94%)
  • 그물감이 매매되는 단위를 "필"이라고 한다. 이는 그물감의 크기와 양을 나타내는 단위로, 일정한 크기의 그물감을 담을 수 있는 그물의 크기를 나타내며, 그물감의 양을 계산할 때 사용된다. 다른 보기인 "사리", "자", "속"은 그물감과는 관련이 없는 단위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뻗친 길이가 42mm되는 낚시의 호수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호
  2. 3호
  3. 4호
  4. 5호
(정답률: 82%)
  • 문제에서 뻗친 길이가 42mm인 낚시의 호수를 찾는 것이지만, 문제에서 어떤 단위로 길이를 측정하는지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물감의 사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 하나만을 끊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point cut
  2. mesh cut
  3. bar cut
  4. cut
(정답률: 83%)
  • 발 하나만을 끊는 것은 "bar cut"이라고 한다. 이는 그물의 수직선 상에 있는 바(bar)을 자르는(cut)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은 그물을 빠르게 분리할 수 있어서 어종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컴파운드 로프(compound rope)란?

  1. 와이어 로프에 섬유심을 넣은 것
  2. 섬유 로프에 와이어심을 넣은 것
  3. 섬유 로프에 타르염을 한 것
  4. 서로 다른 와이어를 혼합하여 만든 것
(정답률: 88%)
  • 컴파운드 로프는 섬유 로프에 와이어심을 넣은 것입니다. 즉, 로프의 내구성과 강도를 높이기 위해 섬유와 와이어를 결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저층 오터트롤 어구의 규모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선박의 톤수
  2. 기관의 마력
  3. 어장의 수심
  4. 윈치의 용량
(정답률: 83%)
  • 저층 오터트롤 어구는 대개 대형 선박에서 사용되며, 이러한 선박은 기관의 마력이 크기 때문에 저층 어구의 규모를 결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기준입니다. 따라서 기관의 마력이 저층 어구의 규모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선박의 톤수, 어장의 수심, 윈치의 용량은 모두 중요한 요소이지만, 기관의 마력은 저층 어구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힘을 결정하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유자망 조업 시에 그물이 뜸줄 또는 발줄을 중심으로 하여 꼬이듯이 말려버리는 현상은?

  1. 순대말이 현상
  2. 망권 현상
  3. 망연 현상
  4. 막대꼬임 현상
(정답률: 98%)
  • 유자망 조업 시에 그물이 뜸줄 또는 발줄을 중심으로 하여 꼬이듯이 말려버리는 현상을 "순대말이 현상"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그물이 물속에서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힘과 마찰력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그물이 꼬이면 물고기가 걸리지 않아서 어로상에게 큰 문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물실을 연소시켰을 때 양초 다는 냄새가 나는 것은?

  1.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2. 폴리에스테르(PES)
  3. 폴리아미드(PA)
  4. 폴리에틸렌(PE)
(정답률: 89%)
  • 그물실은 대부분 폴리에틸렌(PE)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그물실을 연소시키면 폴리에틸렌(PE)이 타는 냄새가 나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그물실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멍이 주로 쓰이는 어구는?

  1. 자망
  2. 안강망
  3. 낙망
  4. 들망
(정답률: 84%)
  • 멍이 주로 쓰이는 어구는 "낙망"이다. 이는 어떤 일이나 상황에서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실패하거나 좋지 않은 결과를 얻었을 때, 실망하거나 좌절한 마음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낙망"은 "낙심하다"나 "실망하다"와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건착망 어구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에 들지 않는 것은?

  1. 어군의 최대 유영 수심
  2. 배의 투망속도
  3. 어장과 육상기지와의 거리
  4. 조업시간
(정답률: 88%)
  • 건착망 어구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은 어군의 최대 유영 수심, 배의 투망속도, 조업시간이다. 어장과 육상기지와의 거리는 건착망 어구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재래식 권현망 어구에서 1차적으로 어군을 군집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오비기
  2. 수비
  3. 아래턱
  4. 자루그물
(정답률: 97%)
  • "오비기"는 어류를 군집시키는 데 사용되는 재래식 권현망 어구 중 하나입니다. 이 어구는 둥근 모양으로 만들어져 어종이 모여들게끔 유도합니다. "수비"는 권현망의 가장자리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아래턱"은 어류가 권현망에 걸리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자루그물"은 권현망의 중앙에 위치하여 어류가 모이도록 유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트롤의 전개판이 자루그물의 입구를 과대하게 전개시킬 때 혹은 반대로 과소하게 전개시킬 때의 그물 입구의 형상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과대하면 세운 타원형의 형태가 되어 망폭이 좁아진다.
  2. 과소하면 망구는 타원현의 형태가 되어 망고가 낮아진다.
  3. 과대하면 입구가 높아지고 입구의 면적이 넓어진다.
  4. 과소하면 망고가 높아지나 입구의 면적은 좁아진다.
(정답률: 82%)
  • 과소하면 망구는 타원형의 형태가 되어 망고가 낮아지기 때문에 입구의 면적이 좁아지게 된다. 이는 자루그물이 물속에서 펴지지 않고 물속에 묻혀서 효율적인 어획이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적절한 크기로 자루그물을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어업기기학

21. 트롤윈치의 소요마력에 관한 다음 설명 주 틀린 것은?

  1. 끝줄의 장력은 양망 말기에 가장 크므로 소요마력이 더 커진다.
  2. 소형선에서의 소요마력은 예망마력과 거의 같다.
  3. 3500ps이상의 대형선의 소요마력은 예망마력의 절반정도이다.
  4. 소형선에서의 소요마력은 기관의 축마력과 거의 같다.
(정답률: 79%)
  • "끝줄의 장력은 양망 말기에 가장 크므로 소요마력이 더 커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끝줄의 장력이 크다고 해서 소요마력이 더 커지는 것은 아닙니다. 소요마력은 선체의 저항과 속도에 따라 결정되며, 양망의 장력은 이와는 별개의 요소입니다.

    소형선에서의 소요마력은 기관의 축마력과 거의 같다는 이유는, 소형선의 경우 선체가 작아서 저항이 적기 때문에 기관의 축마력이 대부분 소요마력으로 충분하다는 것입니다. 대형선의 경우에는 저항이 크기 때문에 예망마력과 축마력을 함께 사용해야 소요마력을 충당할 수 있습니다. 3500ps 이상의 대형선의 소요마력이 예망마력의 절반정도라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선망어업에 있어서 그물을 투망해서부터 그물 자락의 침강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목적으로 사용된 장치는?

  1. 네트 존데
  2. 네트 리코더
  3. 텔레사운드
  4. 소나
(정답률: 90%)
  • 선망어업에서 그물을 투망하면서 그물 자락의 침강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는 네트 존데입니다. 네트 존데는 그물 자락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그물의 침강 상태를 측정하고 기록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선망어업에서 그물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다른 보기인 네트 리코더, 텔레사운드, 소나는 선망어업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줄을 감아올릴 때 양승기가 감아올리는 속도(v)와 어선이 진행하는 속도(V)를 비교할 때 줄을 감아올리는데 가장 편리한 상태는?

  1. V > v 일 때
  2. V = v 일 때
  3. V < v 일 때
  4. V ≠ v 일 때
(정답률: 86%)
  • 정답: V < v 일 때

    설명: 줄을 감아올리는 속도(v)가 어선이 진행하는 속도(V)보다 빠를 때, 줄을 감아올리는 것이 가장 편리합니다. 이는 양승기가 어선을 추월하여 어선의 뒤쪽에 위치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만약 양승기가 어선의 앞쪽에 위치하게 된다면, 줄을 감아올리는 속도(v)가 어선의 진행 속도(V)보다 느려져서 줄이 늘어나거나 뒤틀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V < v 일 때 줄을 감아올리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초음파와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어군탐지기
  2. 음향 측심기
  3. 소나
  4. 레이더
(정답률: 98%)
  • 초음파와 관련된 것들은 모두 소리의 파동을 이용하여 물체를 탐지하거나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들이다. 그러나 레이더는 전자파를 이용하여 물체를 탐지하고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이므로, 초음파와는 관계가 가장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중에 있어서의 초음파의 전반 손실에 대한 감쇠함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 감쇠 함수의 역함수에 해당하는 증폭기를 개발하여 수중 초음파의 에너지 손실을 보정하고 있다. 이 역할을 하는 증폭기는?

  1. TVG
  2. CTR
  3. APT
  4. PTT
(정답률: 79%)
  • 정답은 "TVG"입니다. TVG는 Time Varied Gain의 약자로, 시간에 따라 변하는 감쇠를 보상하기 위해 초음파 신호를 증폭하는 기능을 합니다. 즉, 수중에서 전파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보상하여 초음파 신호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풀리에 홈을 파서 줄이 홈 양쪽에 걸리는 경우, 홈이 없을 때와 비교하면 줄과 풀리 사이의 마찰력은 어떻게 변하는가?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감소한 후 증가한다.
  4. 증가한 후 감소한다.
(정답률: 91%)
  • 홈이 없을 때는 줄과 풀리 사이에 마찰력이 거의 없지만, 홈을 파서 줄이 걸리게 되면 줄과 풀리 사이에 마찰력이 생기게 된다. 이는 줄이 홈에 걸리면서 줄과 풀리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 때문이다. 따라서 줄과 풀리 사이의 마찰력은 홈이 없을 때보다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8노트의 속력으로 항해 중 어군탐지기의 time mark의 약 2분에 해당하는 어군이 기록되었다면 실제 어군의 길이는? (단, 어군은 정지해 있으면, 1노트는 0.5m/s로 함)

  1. 약 120m
  2. 약 240m
  3. 약 480m
  4. 약 960m
(정답률: 82%)
  • 8노트는 4m/s이므로, 2분에 해당하는 거리는 4 x 120 = 480m이다. 어군이 정지해 있으므로, 이 거리가 어군의 길이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48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유체 변속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원동기의 시동이 용이하다
  2. 저온에서도 고정성이 되어 효율이 증가한다.
  3. 원동기를 실수시키지 않는다.
  4. 완충작용이 있어 기계의 수명을 길게한다.
(정답률: 84%)
  • 저온에서도 고정성이 되어 효율이 증가하는 것은 유체 변속기가 유체를 이용하여 변속하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유체는 온도에 민감하지 않고, 저온에서도 높은 효율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저온에서도 고정성이 되어 효율이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건착망의 양망 장치가 아닌 것은?

  1. 파워 블록(Power block)
  2. 네트 호울러(Net hauler)
  3. 티언 테이블(Turn table)
  4. 라인 호울러(Line hauler)
(정답률: 80%)
  • 라인 호울러(Line hauler)는 양망을 들어올리는 것이 아니라 양망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건착망의 양망 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수중의 두 점간의 압력의 차이를 이용해서 트롤그물의 어구 높이, 자망의 수직 전개의 깊이 등을 측정`기록하는 어업계측기는?

  1. 자기식 수중장력계
  2. 자기식 수중망고계
  3. 자기식 수중각도계
  4. 자기식 수중망심계
(정답률: 94%)
  • 자기식 수중망고계는 수중의 두 점간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어구 높이나 자망의 수직 전개 깊이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어업계측기입니다. 이는 자기식 센서를 이용하여 수중의 압력을 감지하고, 이를 기록하여 측정값을 도출합니다. 따라서 "자기식 수중망고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쌍끌이 기선저인망에서 사용하는 끌줄의 권양장치는?

  1. 윈치
  2. 라인 호울러
  3. 원추형 권동
  4. 네트 호울러
(정답률: 63%)
  • 쌍끌이 기선저인망에서 사용하는 끌줄은 큰 무게를 들어올리기 위해 권력을 이용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권양장치는 원추형 권동입니다. 원추형 권동은 중심축 주변에 원추형 모양의 더 큰 지름을 가진 원반을 회전시켜서 끌줄을 감아 올리는 장치로, 무게를 들어올리는 효율이 높고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쌍끌이 기선저인망에서는 원추형 권동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컬러 어군탐지기에서 해저와 해저 부근의 어군 형상이 분리되어 나타나지 않는 경우는?

  1. 해저의 저질이 펄인 경우
  2. 대규모의 어군이 존재하는 경우
  3. 해저의 굴곡이 심한 경우
  4. 해저의 형상이 산맥으로 형성된 경우
(정답률: 95%)
  • 정답은 "대규모의 어군이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컬러 어군탐지기는 해저와 해저 부근의 어군 형상을 색상으로 구분하여 나타내는데, 대규모의 어군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어군 형상이 분리되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어군이 밀집하여 하나의 큰 집합체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네트 리코더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컬러 모니터
  2. 송파기
  3. 수파기
  4. 승강 선회 장치
(정답률: 95%)
  • 네트 리코더는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컬러 모니터, 송파기, 수파기는 이러한 신호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하지만 승강 선회 장치는 네트 리코더와는 관련이 없는 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고출력 및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여 해양에서 사용하는 초음파 관측 장비에 많이 쓰이는 음파 발생용 진동자의 방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자왜식
  2. 압전식
  3. 전왜식
  4. 전자식
(정답률: 70%)
  • 해양에서 사용하는 초음파 관측 장비는 물속에서의 소리 전달 특성을 고려해야 하므로, 고출력과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한 자왜식이 가장 적합하다. 자왜식은 진동자가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어 전기적인 신호를 가지고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고출력과 기계적인 강도가 뛰어나다. 따라서 자왜식이 해양에서 사용하는 초음파 관측 장비에 많이 쓰이는 음파 발생용 진동자의 방식으로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짐댓틀(derrick)에서 짐줄이 내림 줄에 따라서 인도될 때 내림 줄의 장력 T, 짐의 무게 W, 내림 줄의 길이 AB, 마스트(Mast)의 길이 AE, 짐줄의 장력P 라고 하면 이들의 관계식은?

(정답률: 82%)
  • 정답은 "" 이다.

    내림 줄의 길이 AB와 마스트의 길이 AE가 직각삼각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AB^2 + AE^2 = (내림 줄의 길이)^2이다.

    또한, 내림 줄의 장력 T는 P와 W에 의해 결정된다. 내림 줄의 길이 AB와 마스트의 길이 AE에 의해 결정되는 각도를 θ라고 하면, T = Pcosθ + Wsinθ이다.

    따라서, T = (Pcosθ + Wsinθ) / cosα 이다. (cosα는 내림 줄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값)

    이를 정리하면, T = P + Wtanθ 이다. (tanθ = sinθ / cosθ = AB / AE)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트롤 어구에서 전개판의 전개 간격 측정장치의 송`수파기는 어디에 부착하는가?

  1. 한쪽 끌줄
  2. 한쪽 전개판
  3. 한쪽 날개 앞끝
  4. 천정망 입구의 뜸줄
(정답률: 91%)
  • 전개판의 전개 간격 측정장치의 송·수파기는 한쪽 전개판에 부착됩니다. 이는 전개판의 전개 간격을 측정하기 위해 한쪽 전개판을 고정하고 다른 쪽 전개판을 이동시키면서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전개 간격 측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압과 전류의 실효값을 가각 E, T라고 하고, 역률을 라고 하면 다음 중 교류 전력 P는?

(정답률: 76%)
  • 답은 ""이다.

    교류 전력 P는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전압과 전류가 사인파일 경우, 곱한 값의 평균이 0이 되기 때문에 평균값이 아닌 효과적인 값, 즉 실효값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P = E x T x cosθ가 된다. 여기서 cosθ는 역률을 나타내며, cosθ가 1일 때 전력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역률이 1인 경우, 즉 cosθ가 1인 경우 P는 최대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음향측심기에 있어서 수중 음속의 변동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온도
  2. 압력
  3. 유속
  4. 염분
(정답률: 84%)
  • 수중 음속은 온도, 압력, 염분, 유속 등의 요인에 따라 변동됩니다. 그 중에서도 유속은 수심이 깊어질수록 영향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요인입니다. 따라서, 수중 음향측심기에서 유속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어로 기계를 구동시키는데 쓸 수 있는 동력 전달 방법으로 유압식이 많이 이용되는 가장 큰 이유는?

  1. 전기식보다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이다.
  2. 유체 매개로 완충 작용과 속도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3. 다른 동력 전달 방법보다 고장이 적기 때문이다
  4. 기계식보다 소음이 적게 나기 때문이다.
(정답률: 78%)
  • 유압식은 유체를 매개로 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완충 작용과 속도 조정이 가능하며, 이는 다른 동력 전달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회전체의 동력을 산출하기 위하여 어떤 측정기를 사용하는가?

  1. 로드 셀(load cell)
  2.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3. 장력 측정기(tension meter)
  4. 토오크(torque) 변환기
(정답률: 78%)
  • 회전체의 동력은 회전축에 작용하는 힘과 회전축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회전축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토오크 변환기를 사용하여 회전체의 동력을 산출할 수 있다. 토오크 변환기는 회전축에 작용하는 힘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따라서 토오크 변환기가 회전체의 동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측정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어장학

41. 일반적으로 해양투명도를 측정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투명도판의 직경은?

  1. 15inch
  2. 15cm
  3. 30inch
  4. 30cm
(정답률: 97%)
  • 해양투명도를 측정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투명도판의 직경은 30cm이다. 이는 해양에서 측정하는 투명도의 범위를 최대한 커버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30cm의 직경은 측정하는 사람이나 장비의 위치에 따라서도 측정값이 크게 달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북서 태평양인 알류산 열도 근해의 극전선으로 인한 어장은?

  1. 대륙붕 어장
  2. 조경 어장
  3. 용승 유역 어장
  4. 퇴초에 의한 어장
(정답률: 62%)
  • 북서 태평양인 알류산 열도 근해의 극전선은 차가운 북쪽과 따뜻한 남쪽의 물이 섞이는 지역으로, 이 지역에서는 다양한 어종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조경 어장은 극전선이 지나는 지역에서 차가운 물과 따뜻한 물이 섞여 생물 다양성이 높아서 어종이 풍부하게 서식하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조경 어장은 이 지역에서 어장을 운영하기에 가장 적합한 지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아래 그림에서 수온 약층은?

  1. A
  2. B
  3. C
  4. C이하
(정답률: 94%)
  • 정답: B

    해설: 수온 약층은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점으로, 그림에서는 100m 지점에서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으므로 B가 정답이다. A는 표층수온, C는 깊은 수온이다. C 이하는 그림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우리나라 선망 어업에 있어서 고등어의 집어가 잘 되 않아서 조업의 비율이 현저하게 낮은 때는?

  1. 보름과 같은 월명기
  2. 그믐과 같은 어두운 밤(월암기)
  3. 주로 야간 시
  4. 그믐과 보름 사이
(정답률: 84%)
  • 고등어는 보름달이 뜨는 월명기에 산란어로 이동하여 번식하고, 이때 집어가 잘 되기 때문에 보름과 같은 월명기에 고등어 어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보름과 같은 월명기에는 고등어 어업의 비율이 높아지고, 그믐과 같은 어두운 밤(월암기)에는 어업이 어려워져서 조업의 비율이 현저하게 낮아집니다. 주로 야간 시에도 고등어 어업이 이루어지지만, 보름과 같은 월명기에 비해 어획량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티-에스 도표(T-S diagram)와 관련이 가장 먼 것은?

  1. 수괴분석
  2. 적조발생해역 검출
  3. 해수의 안정도 판단
  4. 해양관측의 오차 검출
(정답률: 83%)
  • 티-에스 도표는 열역학에서 사용되는 그래프로, 온도와 엔트로피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반면, "적조발생해역 검출"은 해양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해양에서 적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둘은 서로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북반구에서 바람이 불어가는 쪽을 복 때 오른쪽으로 흐르는 해류는?

  1. 용승
  2. 취송류
  3. 이류
  4. 대류
(정답률: 76%)
  • 북반구에서 바람이 불어가는 쪽은 서쪽이므로, 바람이 밀어붙이는 물은 동쪽으로 흐르게 됩니다. 이 때, 동쪽으로 흐르는 물은 취송류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취송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바닷새(sea birds)이 움직임이 느리고, 비교적 수면의 높은 곳에서 원형을 그리며 움직일 경우, 어군의 추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어군의 이동이 아주 빠르다.
  2. 어군이 펴면 부근에 부상하여 천천히 이동한다.
  3. 어군이 비교적 깊은 곳에서 천천히 이동한다.
  4. 어군이 표면 부근으로 부상하며 이동이 빠르다.
(정답률: 78%)
  • 바닷새는 느린 움직임과 높은 곳에서의 원형 이동으로 인해 어군이 펴면 부상하여 천천히 이동하는 것보다는 어군이 비교적 깊은 곳에서 천천히 이동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추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온대 저기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전선대를 따라서 이동한다.
  2. 상층기류와 직각 방향으로 이동한다.
  3. 이동속도는 급격하게 변화한다.
  4. 저위도 지방에서 발생한다.
(정답률: 73%)
  • 정답은 "전선대를 따라서 이동한다." 이다.

    온대 저기압은 전선대를 따라서 이동한다. 전선대는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충돌하는 지역으로, 이 충돌로 인해 대기가 상승하면서 저기압이 형성된다. 이러한 저기압은 전선대를 따라서 이동하며, 이동하면서 대기의 온도와 습도, 기압 등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전선대를 중심으로 기상 변화가 예상되며, 전선대를 따라서 이동하는 저기압은 일반적으로 기상 변화가 크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각층 관측 시 wire의 경각이 10° 일대 300m층에서 채수하려고 하면 wire의 길이를 몇 m 더 인출하여야 하는가?(단, sin10°는 0.17, cos10°는 0.98, tan10°는 0.18 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약 6.1m
  2. 약 12.4m
  3. 약 51.2m
  4. 약 54.3m
(정답률: 60%)
  • 높이 300m에서 wire의 경각이 10°이므로, wire의 수직 성분은 300m x sin10° = 약 52.1m이다. wire의 수평 성분은 300m x cos10° = 약 294.8m이다. wire의 길이는 이 두 성분의 제곱합의 제곱근이므로, √(52.1² + 294.8²) = 약 298.6m이다. 따라서, wire의 길이를 약 54.3m 더 인출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어종 중 서식 수온의 범위가 가장 낮은 것은?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멸치
  2. 꽁치
  3. 조기
  4. 갈치
(정답률: 73%)
  • 조기는 서식 수온이 5~20도로 가장 낮은 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다른 어종들보다 더 추운 물에서 서식하는 어종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등압선의 직각 방향의 단위 거리에 대한 기압의 변화율은?

  1. 기압경향
  2. 기압경도
  3. 등압선
  4. 기압등변화선
(정답률: 90%)
  • 기압경도는 등압선과 직각 방향으로 기압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등압선의 직각 방향의 단위 거리에 대한 기압의 변화율은 기압경도입니다. 기압경향은 기압이 일정한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기압등변화선은 기압이 일정한 변화율로 변화하는 곡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어류산란기에 수온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질 때 나타나는 현상은?

  1. 산란기가 빨라진다.
  2. 부화기간이 짧아진다.
  3. 산란장이 이동된다.
  4. 산란기간이 짧아진다.
(정답률: 80%)
  • 어류는 수온이 적정하게 유지되어야 적절한 산란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온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지면 어류의 산란기간이 짧아지거나 산란장이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어류의 생식활동에 영향을 미치며, 어류 자원 관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북반구의 동안류(캘리포니아 해류, 카나리 해류)와 서안류(흑조, 만류)를 비교 설명한 것 중에서 잘못된 것은?

  1. 동안류는 일반적으로 한류의 성격을 띤다.
  2. 동안류가 저염분인데 비하여 서안류는 고염분이다.
  3. 동안류는 편서풍대에서 흘러온 해류이다.
  4. 도안류의 유속은 서안류보다 빠르다.
(정답률: 71%)
  • "도안류의 유속은 서안류보다 빠르다."가 잘못된 것이다. 실제로는 서안류의 유속이 동안류보다 더 빠르다. 이는 서안류가 더 강한 바람과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연안이나 하구역(강물이 바다로 유입되는 곳) 등의 관측 간격을 외양보다 좁게 하는 이유는?

  1. 변화가 크기 때문에
  2. 시간이 많기 때문에
  3. 조류가 크고 물이 거의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4. 배가 많이 다니기 때문에
(정답률: 66%)
  • 변화가 크기 때문에. 연안이나 하구역은 바다와 강물이 만나는 지점으로, 물의 염분, 온도, 유속 등이 급격하게 변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를 놓치지 않기 위해 관측 간격을 외양보다 좁게 설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저서어류의 주 먹이가 되는 것은?

  1. 식물플랑크톤
  2. 동물플랑크톤
  3. 유영동물
  4. 저서동물
(정답률: 67%)
  • 저서어류는 바닥에 서식하는 동물들로, 주로 저서동물을 먹습니다. 저서동물은 바닥에 살며, 조개류, 게, 미꾸라지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저서동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조경역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사항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수형(水型)이 비슷하다.
  2. 바람이 많이 불어서 파도가 세어지기 때문에
  3. 따뜻한 표면수가 외양에서 연안으로 유입되므로
  4. 표면 수온이 용승으로 인하여 차가워지고 바람으로 인하여 혼합 작용하기 때문에
(정답률: 53%)
  • 조경역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사항은 "따뜻한 표면수가 외양에서 연안으로 유입되므로"이다. 이는 조경역이 해안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해안에서 바다로 향하는 물류 중에서 따뜻한 표면수가 외양에서 연안으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조경역 주변의 수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이에 따라 해양생물의 분포나 활동성 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일반적으로 폭풍 전후의 1~2일에 어획이 좋다는 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장한 것은?

  1. 표면 수온이 낮아져서
  2. 바람이 많이 불어서 파도가 세어지기 때문에
  3. 따뜻한 표면수가 외양에서 연안으로 유입되므로
  4. 표면 수온이 용승으로 인하여 차가워지고 바람으로 인하여 혼합 작용하기 때문에
(정답률: 92%)
  • 일반적으로 폭풍이 지나고 나면 바람이 강하게 불어서 표면 수온이 용승으로 인해 차가워지고, 바람으로 인해 수면이 혼합되기 때문에 어류들이 먹이를 찾기 쉬워지고 어획량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표면 수온이 용승으로 인하여 차가워지고 바람으로 인하여 혼합 작용하기 때문에"가 가장 적절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해양에서의 수온의 변화 범위는?

  1. -2.0~35.0℃
  2. -5.0~40.0℃
  3. 0~30.0℃
  4. 5~25.0℃
(정답률: 93%)
  • 해양에서의 수온은 지역, 계절, 깊이, 해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해양에서의 수온은 -2.0℃에서 35.0℃ 사이로 변화합니다. 이는 지구상에서 가장 낮은 온도인 극지방에서부터 열대지방까지 다양한 지역에서 측정된 수온 범위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해양에서의 수온은 지표면에서부터 깊이가 깊어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범위는 지표면에서 측정된 수온을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장 오염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열오염의 결과 수중의 산소가 현격하게 감소한다.
  2. 하수 오물이나 유기 배설물의 무제한 유입은 해양 영양 물질을 무제한 공급하므로 해양 생산량을 무제한으로 증대시켜서 유익하다.
  3. 석유는 모든 생물체에 유독하지만 수면 위에 뜨고 투과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가스의 교환이나 햇빛의 통과를 방해하지 않는다.
  4. 하수 오염과 영양 물질이 함께 작용하여 그 지역의 산소 발생을 증대시키게 된다.
(정답률: 77%)
  • 열오염은 수온이 상승함에 따라 수중의 산소량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물 분자의 열운동이 증가하여 산소 분자와의 충돌 빈도가 감소하고, 물 분자의 열에 의해 산소 분자가 떠오르게 되어 수면 위로 나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열오염의 결과 수중의 산소가 현격하게 감소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어류의 화학적 수용 기관과 관계가 깊은 것끼리 짝지은 것은?

  1. 모천회귀-뱀장어
  2. 모천회귀-은어
  3. 생활 영역 구분-은어
  4. 염분농도-은어
(정답률: 97%)
  • 어류의 화학적 수용 기관과 관계가 깊은 것끼리 짝지은 것은 "생활 영역 구분-은어"이다. 이는 어류의 생활 영역에 따라 염분 농도가 다르기 때문에, 화학적 수용 기관이 발달한 어종들이 비슷한 생활 영역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활 영역 구분이 비슷한 어종인 은어들은 화학적 수용 기관이 발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어법학

61. 기선권현망 어업의 조업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척의 망선이 접현하여 그물을 반씩 나누어 싣고 어장을 향한다.
  2. 투망은 어로장의 지시에 따라 버릿줄을 풀로 오비기, 수비, 자루그물 순으로 투입한다.
  3. 투망 초기에는 한쪽 날개 길이를 한변으로 하는 정 삼각형 모양으로 망선의 간격을 넓힌다.
  4. 차차 간격을 좁히며 30~60분 전도 예망하고 2cur의 망선이 접근한 후 양망한다.
(정답률: 72%)
  • "투망은 어로장의 지시에 따라 버릿줄을 풀로 오비기, 수비, 자루그물 순으로 투입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투망은 어로장의 지시에 따라 버릿줄을 풀로 오비기, 수비, 자루그물 순으로 투입합니다. 이후에는 차차 간격을 좁히며 30~60분 전도 예망하고 2척의 망선이 접현한 후 양망합니다. 투망 초기에는 한쪽 날개 길이를 한변으로 하는 정 삼각형 모양으로 망선의 간격을 넓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재래식 권현망 어구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개의 자루그물과 2개의 날개그물로 구성된다.
  2. 자루그물 입구의 위쪽이 아래쪽보다 앞으로 나와 있다.
  3. 깔때기 그물을 사용하고 있다.
  4. 자루그물은 90~160경의 여자망지를 사용한다.
(정답률: 80%)
  • "자루그물 입구의 위쪽이 아래쪽보다 앞으로 나와 있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자루그물 입구의 위쪽이 아래쪽보다 뒤로 나와 있다. 이는 물고기가 자연스럽게 자루그물 안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디자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건착망 본선에 요구되는 조건으로서 틀린 것은?

  1. 건현이 높을 것
  2. 복원성이 좋을 것
  3. 선회성이 좋을 것
  4. 작업갑판이 넓을 것
(정답률: 82%)
  • "건현이 높을 것"은 건착망 본선에 요구되는 조건이 아닙니다. 건현은 건설 현장에서 건설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건착망 본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건현이 높을 것"입니다.

    복원성이 좋을 것: 건설물이 파손되었을 때 쉽게 복원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건착망 본선은 자연재해나 인위적인 파손 등으로 인해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복원성이 좋아야 합니다.

    선회성이 좋을 것: 건설물이 바람이나 파도 등의 자연 요인에 의해 회전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건착망 본선은 바람과 파도에 노출되므로 선회성이 좋아야 합니다.

    작업갑판이 넓을 것: 건설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건착망 본선은 작업갑판이 넓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안강망 어선의 어로장비화 조업 방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요 어로 장비는 윈치와 캡스턴 및 갤로스이다.
  2. 어구의 투`양망은 왕복조류 해역에서는 1일 4회, 회전 조류 해역에서는 1일 2~4회 한다.
  3. 조업은 대조시를 전후하여 약 10일간 한다.
  4. 근해안강망 어선에서는 1통의 어구를 사용한다.
(정답률: 64%)
  • "근해안강망 어선에서는 1통의 어구를 사용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근해안강망 어선은 작은 어선으로, 어구를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어구 하나로 충분한 어획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어구를 더 사용하면 어선의 무게가 무거워져서 이동이 불편해지기 때문에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바닥고기를 트롤로 어획할 때 어획할 때 예망속고와 전개폭이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옳은 것은?

  1. 예망속도-느리게, 전개폭-작게
  2. 예망속도-느리게, 전개폭-크게
  3. 예망속도-빠르게, 전개폭-크게
  4. 예망속도-빠르게, 전개폭-작게
(정답률: 93%)
  • 바닥고기는 느리게 움직이는 생물이기 때문에 예망속도가 느리게 설정되어야 합니다. 또한 바닥고기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전개폭이 크게 설정되어야 바닥고기를 효과적으로 어획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예망속도-느리게, 전개폭-크게"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어구의 전체 저항 R=6000kg, 예망속도 V=2m/s인 트롤어구를 예망하는데 소요되는 마력NHP(ps)?

  1. 160
  2. 180
  3. 200
  4. 220
(정답률: 61%)
  • 트롤어구를 예망하는데 필요한 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NHP = R × V / 375

    여기서 375는 마력과 와트 간의 변환 상수입니다.

    따라서, NHP = 6000 × 2 / 375 = 32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예망하는데 필요한 마력이 아니라 소요되는 마력을 물어보고 있습니다. 소요되는 마력은 효율을 고려해 더 큰 값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트롤어구의 예망 효율은 20% 정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소요되는 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NHP = 32 / 0.2 = 160

    따라서, 정답은 "1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어법은?

  1. 봉수망
  2. 주목망
  3. 안강망
  4. 건강망
(정답률: 89%)
  • 이 문제는 한자어에서의 의미를 파악하는 문제입니다. "망"은 그물을 뜻하며, "봉수"는 봉제한 옷, "주목"은 주목할 만한 것, "안강"은 안전한 강이라는 뜻, "건강"은 건강한 상태를 뜻합니다. 따라서, 그물이 안전한 강에 던져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안강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정치망에서 어군을 맨 처음으로 차단하고 유도하는 부분은?

  1. 헛통
  2. 통그물
  3. 사개
  4. 길그물
(정답률: 73%)
  • 정치망에서 어종을 맨 처음으로 차단하고 유도하는 부분은 "길그물"입니다. 이는 어종이 통과하는 길을 막아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헛통", "통그물", "사개"는 모두 어종을 잡는 용도로 사용되는 그물의 종류이지만, 어종을 차단하고 유도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멸치자망의 그물 깊이는 무엇으로 결정하는가?

  1. 발줄
  2. 뜸줄
  3. 코걸이줄
  4. 뜸연결줄
(정답률: 52%)
  • 멸치자망의 그물 깊이는 뜸연결줄로 결정됩니다. 뜸연결줄은 그물의 아랫부분과 상단부분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이 뜸연결줄의 길이가 그물의 깊이를 결정합니다. 뜸연결줄이 길면 그물이 깊게 내려가고, 짧으면 그물이 얕게 내려갑니다. 따라서 멸치자망을 사용할 때는 뜸연결줄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원하는 깊이로 그물을 내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우리나라 안강망 어구의 중요한 부속구가 아닌 것은?

  1. 물돛
  2. 범포
  3. 수해
(정답률: 77%)
  • 우리나라 안강망 어구의 중요한 부속구 중 "물돛"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물돛"은 배를 가라앉히는 물건으로, 안강망 어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범포"는 어망을 펼쳐 물고기를 잡는 데 사용되는 것이고, "수해"는 바다에서 일어나는 큰 파도나 폭풍을 뜻합니다. "닻"은 배를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랑어 어업에서 어종과 어획수온이 일치하는 것은?

  1. 날개다랑어 : 14~23℃
  2. 가다랑어 : 17~28℃
  3. 눈다랑어 : 18~22℃
  4. 황다랑어 : 18~31℃
(정답률: 73%)
  • 다랑어는 수온에 따라 어종별로 서식하는 지역이 다르기 때문에 어종과 어획수온이 일치해야 어획이 좋아진다. 눈다랑어는 18~22℃의 수온에서 가장 잘 서식하기 때문에 어종과 어획수온이 일치하는 것이다. 다른 어종들은 각각 다른 수온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어획이 좋은 경우도 있지만,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정치망에서 적절한 멍의 고정 계수를 위한 멍줄의 길이는 수심의 몇 배 정도가 적절한가?

  1. 1.5~2배
  2. 2~2.5배
  3. 2.5~3배
  4. 3~3.5배
(정답률: 69%)
  • 적절한 멍의 고정 계수를 위한 멍줄의 길이는 수심의 2.5~3배가 적절하다. 이는 멍줄의 길이가 수심의 2배 이하일 경우 멍이 바닥에 닿아 물속에서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제한되어 선박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반면에 멍줄의 길이가 수심의 3.5배 이상일 경우 멍이 바닥에서 멀리 떨어져 선박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적절한 멍의 고정 계수를 위한 멍줄의 길이는 수심의 2.5~3배가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근래의 권현망 조업 시 적정 예망 속도 및 시간은?

  1. 0.5 ~ 0.8노트, 30분 ~ 1시간
  2. 0.5 ~ 0.8노트, 1 ~ 2시간
  3. 1 ~ 1.5노트, 30분 ~ 1시간
  4. 1.5 ~2 노트, 1 ~2 시간
(정답률: 75%)
  • 근래의 권현망 조업은 대개 얕은 해역에서 이루어지며, 이러한 해역에서는 조업 시 속도가 빠르면 어망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적정 예망 속도는 0.5 ~ 0.8노트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또한, 권현망 조업은 일반적으로 30분에서 1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는 어망을 내리고 올리는 시간과 어종을 포획하는 시간 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5 ~ 0.8노트, 30분 ~ 1시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군을 이루어 중층을 유영하는 어류를 어획하는데 이용하는 어법 중 가장 효과적인 어업은?

  1. 통발어업
  2. 선망어업
  3. 저층자망어업
  4. 저인망어업
(정답률: 95%)
  • 선망어업은 군을 이루어 중층을 유영하는 어류를 대상으로 선망을 이용하여 어획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어류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그 경로 상에 선망을 설치하고, 어류가 선망에 걸리면 그대로 어획하는 방식으로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다른 어법에 비해 어류의 상태를 보존할 수 있어서 수입 어획량과 품질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랑어 주낙 어선에서 다랑어를 인양하여 주된 양승작업을 하는 곳은?

  1. 선수 측 작업 갑판 좌현
  2. 선수 측 작업 갑판 우현
  3. 선미 측 작업 갑판 좌현
  4. 선미 측 작업 갑판 우현
(정답률: 78%)
  • 다랑어 주낙 어선에서 다랑어를 인양하여 주된 양승작업을 하는 곳은 선수 측 작업 갑판 우현이다. 이는 어선의 전방(선수) 측면에서 우측(우현)에 해당하는 위치로, 어선의 양승작업을 위한 작업장이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트롤 어업에서 전개판의 내외경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심에 대한 끌줄의 비가 작은 때는 외측경사 한다.
  2. 끌줄의 길이가 일정할 때는 예망속도가 느릴수록 경사한다.
  3. 외측경사보다는 내측경사각 전개력이 양호하다.
  4. 전개판을 내측으로 경사시키기 위해서는 위쪽 뒷(Upper Bridle)을 길게 한다.
(정답률: 95%)
  • "전개판을 내측으로 경사시키기 위해서는 위쪽 뒷(Upper Bridle)을 길게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전개판을 내측으로 경사시키면 바람이 전개판을 더 잘 붙잡아줄 수 있기 때문에 어업 효율이 높아진다. 이를 위해서는 전개판의 윗부분을 더 길게 만들어야 하며, 이를 위해 위쪽 뒷을 길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선미식 트롤의 조업 시 뻘을 뜨는 원인이 되기 쉬운 것은?

  1. 예망속도가 빠르다.
  2. 끌줄이 상당히 짧다.
  3. 뜸줄이 발줄보다 길다.
  4. 발줄이 상당히 무겁다.
(정답률: 68%)
  • 선미식 트롤은 물속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뜸줄과 발줄의 길이가 중요합니다. 뜸줄이 발줄보다 길면 물속에서 작업하는 동안 뜸줄이 물속에 떠다니면서 뻘을 뜨게 됩니다. 따라서 뜸줄과 발줄의 길이는 적절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우리나라 연안에서 꽁치 어획의 85%~90%를 차지하는 어법은?

  1. 걸그물
  2. 주목망
  3. 봉수망
  4. 정치망
(정답률: 83%)
  • 걸그물은 꽁치 어류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그 경로에 걸쳐 놓은 망으로 어류를 잡는 어법이다. 이 방법은 꽁치 어류의 이동 경로를 정확히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어류를 잡을 수 있기 때문에 꽁치 어획의 85%~9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목망, 봉수망, 정치망은 걸그물과는 다른 어법으로 꽁치 어류를 잡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정치망에서 통그물을 어구 전체가 수면에 뜰 수 있게 묶어두는 것은?

  1. 뜸줄
  2. 문쇠
  3. 사개
  4. 깔때기
(정답률: 62%)
  • 정치망에서 통그물을 어구 전체가 수면에 뜰 수 있게 묶어두는 것은 "사개"이다. 이는 통그물의 양쪽 끝을 묶어서 물속에서 펼쳐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어구 전체가 물속에 떠 있어서 물고기가 더 쉽게 잡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선망어업의 대상이 되는 어군의 크기에서 길이와 깊이와의 대략적인 관계로 옳은 것은?

  1. 어군의 깊이는 길이와 비슷하다.
  2. 어군의 깊이는 길이의 1/2~1/3 정도이다.
  3. 어군의 깊이는 길이의 1/3~1/5 정도이다.
  4. 어군의 깊이는 길이의 1/5~1/7 정도이다.
(정답률: 64%)
  • 정답은 "어군의 깊이는 길이의 1/3~1/5 정도이다."이다. 이유는 어군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길이와 깊이가 비슷하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물속에서는 물의 저항이 크기 때문에 긴 어류일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해 수영해야 하기 때문에 길이와 깊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수영 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어군의 깊이는 일반적으로 길이의 1/3~1/5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