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9-19)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
(2015-09-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파괴검사 개론

1. 자분탐상시험에서 결함 누설자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험체표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 포화자속밀도에 달하면 요철부에도 누설자속이 많이 발생하여 자분을 흡착하고 결함자분모양의 식별이 곤란해진다.
  2. 결함누석자속밀도는 시험체 재의 자속밀도가 높을수록 크기 때문에 자분탐상시험은 일반적으로 포화자속밀도 보다 조금 높은 자화상태에서 실시된다.
  3. 강자성체 중에 자속이 포화되어 그 이상 자속이 흐르지 않는 상태를 최대자속은 자계의 세기와 무관하다.
  4. 강자성체에 발생하는 자속은 자계의 세기와 무관하다
(정답률: 58%)
  • 결함누석자속밀도는 시험체 재의 자속밀도가 높을수록 크기 때문에 자분탐상시험은 일반적으로 포화자속밀도 보다 조금 높은 자화상태에서 실시된다. 이는 시험체 내부의 결함을 더욱 뚜렷하게 보기 위함이다. 포화자속밀도에서는 요철부에도 누설자속이 많이 발생하여 결함자분모양의 식별이 곤란해진다는 것도 이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초음파탐상시험으로 가장 검출하기 어려운 결함은?

  1. 평면상의 결함
  2. 두꺼운 주강품 내의 기공
  3. 균열
  4. 라미네이션(lamination)
(정답률: 54%)
  • 초음파탐상시험은 소리파동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그러나 물체가 두꺼울수록 초음파가 퍼지는 범위가 넓어져서 결함을 정확하게 검출하기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두꺼운 주강품 내의 기공이 초음파탐상시험으로 가장 검출하기 어려운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비파기검사법 중 모서리 효과(Edge effect)와 표피 효과(Skin effect)의 영향이 가장 큰 것은?

  1. 누설검사법
  2. 침투탐상시험법
  3. 와전류 탐상시험법
  4. 방사선투과시험법
(정답률: 73%)
  • 와전류 탐상시험법에서는 전류가 흐르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전기적인 저항이 다르기 때문에 모서리 효과와 표피 효과의 영향이 가장 큽니다. 모서리 효과는 물체의 모서리나 각지점에서 전류가 집중되어 높은 전기장이 형성되는 현상이며, 표피 효과는 전류가 물체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들은 물체의 불량을 감지하는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검사 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파괴검사가 발달한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파괴시험으로 정확한 검사가 어려워서
  2. 사용재료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3. 철저한 검사를 하기 위하여
  4. 고가의 품질을 위하여
(정답률: 50%)
  • 비파괴검사가 발달한 이유는 "파괴시험으로 정확한 검사가 어려워서"입니다. 파괴시험은 검사 대상물을 파괴시켜서 검사하는 방법으로, 검사 후에는 대상물이 사용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대상물이 고가의 재료일 경우 파괴시험으로 검사하는 것이 비용적으로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에 비파괴검사는 대상물을 파괴시키지 않고도 정확한 검사를 할 수 있어서, 대상물의 안전성과 품질을 확보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침투탐상검사의 분류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관찰방법에 의한 분류
  2. 세정방벙에 의한 분류
  3. 침투방법에 의한 분류
  4. 현상방법에 의한 분류
(정답률: 62%)
  • 침투탐상검사는 침투방법에 의한 분류를 기준으로 하며, 다른 방법들은 침투탐상검사의 분류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관찰방법은 검사 대상의 외관, 색상, 냄새 등을 관찰하여 분류하는 방법이며, 세정방법은 검사 대상을 세정하여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현상방법은 검사 대상의 특정 현상을 관찰하여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70%Cu +30%Zn 합금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인바(invar)
  2. 퍼멀로이(permalloy)
  3. 모넬메탈(monel meta)
  4. 커트리지 브라스(cartridge brass)
(정답률: 65%)
  • 70%Cu + 30%Zn 합금은 "커트리지 브라스(cartridge brass)"로 불립니다. 이는 총알 제조에 사용되는 높은 강도와 내식성을 가진 합금으로, 구리와 아연의 비율이 7:3인 합금입니다. 이 합금은 높은 인장강도와 내식성을 가지고 있어 총알 제조뿐만 아니라, 자동차 부품, 장식품, 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인(P)의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저온취성의 원인이 된다.
  2. 적영취성의 원인이 된다.
  3. 입자의 조대화를 방지한다.
  4. 연신을 증가시키고 용접성을 좋게 한다.
(정답률: 54%)
  • 인(P)은 금속의 결정조직을 세정하여 입자의 조대화를 방지하고 연신을 증가시키며 용접성을 좋게 하지만, 동시에 산화되어 저온취성의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소저장 합금의 금속간 화합물이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평형 수소압 차이가 클 것
  2. 수소 저장시에는 생성열이 클 것
  3. 수소의 흡수 방출 속도가 느릴 것
  4. 활성화가 쉽고, 수고 저장 용량이 클 것
(정답률: 29%)
  • 활성화가 쉽고, 수소 저장 용량이 클 수록 수소저장 합금은 수소를 더 쉽게 흡수하고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효율적인 수소 저장이 가능하다. 이는 수소 에너지 저장 기술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라우탈(Lautal)의 조성으로 옳은 것은?

  1. Al - Si
  2. Al - Mg
  3. Al - Cu - Si
  4. Al -Cu - Mg - Ni
(정답률: 10%)
  • 라우탈(Lautal)은 알루미늄(Al), 구리(Cu), 실리콘(Si)으로 이루어진 합금입니다. 이는 높은 강도와 내식성을 가지며,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항공기, 자동차, 선박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됩니다. "Al - Cu - Si" 조성은 이 합금의 기본적인 조성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성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공경화재의 풀림온도가 너무 높고, 가열 시간이 길면 소수의 결정립이 다른 결정립과 합쳐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1차 재결정
  2. 2차 재결정
  3. 3차 재결정
  4. 4차 재결정
(정답률: 40%)
  • 가공경화재의 풀림온도가 너무 높고, 가열 시간이 길면 결정립이 성장하다가 다른 결정립과 합쳐지는데, 이때 합쳐지는 결정립이 이미 2차 재결정을 거친 결정립일 경우 3차 재결정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3차 재결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공정주철의 탄소성분 함량은 약 몇 wt%인가?

  1. 0.025wt%
  2. 0.8wt%
  3. 1.5wt%
  4. 4.3wt%
(정답률: 30%)
  • 공정주철은 탄소와 철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탄소성분 함량은 약 2~4.5wt% 정도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탄소성분 함량이 가장 적은 "0.025wt%", "0.8wt%", "1.5wt%"는 공정주철의 탄소성분 함량과 맞지 않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반면에, "4.3wt%"는 공정주철의 탄소성분 함량 범위 내에 있으므로 정답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피아노 선재를 A3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400~550℃의 열욕에 담금질하여 얻는 조직은?

  1. 마텐자이트
  2. 소르바이트
  3. 트루스타이트
  4. 잔류오스테나이트
(정답률: 50%)
  • 피아노 선재를 가열하여 얻는 조직은 경화된 강철로, 이 중에서도 400~550℃의 열욕에 담금질하여 얻는 조직은 마텐자이트입니다. 이는 고온에서 빠르게 냉각되어 형성되는 조직으로, 경도가 높고 인성이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소르바이트, 트루스타이트, 잔류오스테나이트는 각각 다른 열처리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조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A, B 2종류의 금속이 고용체를 만들 때 전기저항이나 강도의 증가가 최대가 되는 비율은?

  1. 비율과 관계없다.
  2. A : B = 50 : 50
  3. A : B = 30 : 70
  4. A : B = 20 : 80
(정답률: 22%)
  • 전기저항이나 강도는 금속의 성질에 영향을 받는데, 이 성질은 금속의 구성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A와 B의 비율이 전기저항이나 강도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A와 B의 비율이 50:50이라면, 두 금속의 비율이 같기 때문에 전기저항이나 강도의 증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A와 B의 비율이 30:70이라면, B의 비율이 더 많기 때문에 B의 성질이 전체적인 성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A보다는 B의 성질이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A와 B의 비율이 20:80이라면, A의 비율이 매우 적기 때문에 A의 성질이 전체적인 성질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작을 것이다. 따라서 B의 성질이 전체적인 성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되어, 전기저항이나 강도의 증가가 최대가 될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A : B = 20 :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비자성, 비강도가 큰 것을 목적으로 하여 Al, Mg, Ti 등의 경금속을 기지로 한 저용융점계 섬유강화금속은?

  1. FRM
  2. FRS
  3. PRS
  4. PRM
(정답률: 38%)
  • 정답은 "FRM"입니다.

    FRM은 Fiber Reinforced Metal의 약자로, 섬유강화금속 중에서도 경량화와 고강도화를 동시에 이루기 위해 경금속을 기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러한 경금속은 비자성과 비강도가 높아서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고, 내식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합니다. 따라서 항공우주 산업에서 많이 사용되며, 비행기의 엔진부품, 로켓 엔진, 미사일 등에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초경합금(sintered hard alloys)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경도가 높다.
  2. 마모성이 크다.
  3. 압축강도가 높다.
  4. 고온에서 변형이 적다.
(정답률: 71%)
  • 초경합금은 경도가 높고 압축강도가 높으며 고온에서 변형이 적은 장점이 있지만, 마모성이 크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초경합금이 경도가 높아서 마모에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직류아크 용접에서 정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드 폭이 좁다.
  2. 모채의 용입이 얕다.
  3. 용접봉의 녹음이 느리다.
  4. 모재에 (+)극 용접봉에 (-)극을 연결한다.
(정답률: 54%)
  • "모채의 용입이 얕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직류아크 용접에서 정극성은 양극성과 음극성으로 나뉘며, 양극성은 모재에 (+)극 용접봉에 (-)극을 연결하는 것이고, 음극성은 그 반대입니다. 비드 폭이 좁다는 것은 용접봉의 진행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용접봉의 녹음이 느리다는 것은 용접봉의 소모가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용접자세에 대한 기호 중 아래보기 자세에 해당하는 기호는?

  1. O
  2. V
  3. H
  4. F
(정답률: 19%)
  • 정답은 "F"입니다. "F"는 용접자가 앉아서 용접을 하는 자세를 나타냅니다. "O"는 용접자가 누워서 용접을 하는 자세, "V"는 용접자가 서서 용접을 하는 자세, "H"는 용접자가 기어 다니면서 용접을 하는 자세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에서 발생되기 쉬운 결함이 아닌 것은?

  1. 기공
  2. 언더컷
  3. 피닝
  4. 고온균열
(정답률: 50%)
  •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에서 발생되기 쉬운 결함 중 "피닝"은 아닙니다. "피닝"은 일반적으로 다른 용접 방법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에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피닝"은 용접 부위의 중앙에서 용접물이 축소되어 발생하는 결함으로, 용접 부위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파손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불황성가스 금속 아크용접에서 사용되는 와이어의 송급방식이 아닌 것은?

  1. 푸시 방식(push type)
  2. 풀 방식(pull type)
  3. 더블 풀 방식(double-pnll type)
  4. 푸시-풀 방식(push-pull type)
(정답률: 48%)
  • 푸시-풀 방식은 와이어를 동시에 밀어내고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와이어의 송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불황성가스 금속 아크용접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푸시-풀 방식이 아닌 "푸시 방식", "풀 방식", "더블 풀 방식"은 와이어의 송급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아크전류가 200A,아크전압 25 V, 용접속도 15cm/min일 때 용접 단위길이 1cm단 발생하는 용접 입열은 얼마인가?

  1. 15000 J/cm
  2. 20000 J/cm
  3. 25000 J/cm
  4. 30000 J/cm
(정답률: 62%)
  • 용접 입열은 아크전류, 아크전압, 용접속도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아크전류가 200A, 아크전압이 25V, 용접속도가 15cm/min이므로, 용접 단위길이 1cm 당 발생하는 용접 입열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용접 입열 = (아크전류 × 아크전압 × 용접속도) ÷ 10

    = (200A × 25V × 15cm/min) ÷ 10

    = 75000 J/m

    = 7500 J/cm

    따라서, 용접 단위길이 1cm 당 발생하는 용접 입열은 7500 J/c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과 다른 값들이 주어졌으므로, 이 중에서 용접 입열이 20000 J/cm인 보기를 선택해야 한다. 이유는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에 따라 계산한 결과가 아니라, 실제 용접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입열 범위 내에서 선택한 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적절한 값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사선투과검사 원리 및 규격

21. 다음 중 피사체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시험체의 두께
  2. 방사선의 선질
  3. 산란방사선
  4. 필름의 종류
(정답률: 65%)
  • 필름의 종류는 피사체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닙니다. 피사체 콘트라스트는 시험체의 두께, 방사선의 선질, 산란방사선 등과 같은 요소들에 의해 결정됩니다. 필름의 종류는 이미지의 해상도나 명암 대비 등과 같은 다른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지만, 피사체 콘트라스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이동 방사선투과시험법(in-motion radiography)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긴 길이 이음용접부의 촬영에 적용된다.
  2. 조리개의 사용으로 방사선 위험이 적다.
  3. 방사선원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기하학적 불선명도가 커져 선원-필름간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4. 용접부 전체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여러 구간 나누어 감사해야 한다.
(정답률: 48%)
  • "용접부 전체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여러 구간 나누어 감사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 맞습니다. 이동 방사선투과시험법은 방사선원을 고정시키고 필름을 이동시켜 용접부 전체를 촬영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용접부 전체를 한 번에 촬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방사선투과검사에서 시험체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현상액의 강도
  2. 시험체의 두께 차
  3. 방사선의 선질
  4. 산란 방사선
(정답률: 70%)
  • 현상액의 강도는 방사선투과검사와는 관련이 없는 인자입니다. 현상액은 필름 혹은 디지털 센서에 노출된 후 영상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약품입니다. 따라서 현상액의 강도는 영상의 명암과 관련이 있지만, 시험체 콘트라스트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시험체의 두께 차, 방사선의 선질, 산란 방사선은 모두 방사선투과검사에서 시험체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필름 판독시 방사선투과 사진의 구비조건 중 확인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투과사진의 표시내용 및 흑화도
  2. 투과도계 또는 계조계의 선택
  3. 필름의 오손상태
  4. 시험자의 지식과 경혐
(정답률: 84%)
  • 필름 판독시 방사선투과 사진의 구비조건은 투과사진의 표시내용 및 흑화도, 투과도계 또는 계조계의 선택, 필름의 오손상태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시험자의 지식과 경험은 구비조건이 아니라 개인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정답에서 제외됩니다. 즉, 시험자의 지식과 경험은 필름 판독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구비조건으로서 확인할 사항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방사선의 흡수계가 μ이고 두께가 t라 할 때 반가층( )을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18%)
  • 정답: ""

    이유: 반가층은 방사선이 일정한 두께의 물질을 통과할 때, 그 투과량이 최소가 되는 지점을 말한다. 이 때, 반가층의 두께 t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 = (1/μ) x ln(2/1)

    따라서, ""가 옳은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Co-60 점선원으로부터 10m 거리에 있는 작업종사자가 받는 피복선량이 640mR/h이었다. 작업종사자의 피복선량을 20mR/h이하로 하려면 남 차폐벽의 두께를 약 몇 mm로 하여야 하는가? (단, 납의 흡수계수는 0.0693mm-1이다.)

  1. 10mm
  2. 20mm
  3. 50mm
  4. 80mm
(정답률: 16%)
  • 작업종사자가 받는 피복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피복선량 = (방사선량) × (차폐율) × (작업시간)

    여기서 방사선량은 Co-60 점선원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의 양을 말하고, 차폐율은 방사선이 통과하는 물질의 두께에 따라 감소하는 비율을 말한다. 작업시간은 1시간으로 가정한다.

    문제에서 작업종사자가 받는 피복선량이 640mR/h이므로,

    640mR/h = (방사선량) × (차폐율) × 1시간

    여기서 방사선량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방사선량 = (피복선량) ÷ (차폐율) ÷ (작업시간)

    따라서,

    방사선량 = 640mR/h ÷ 차폐율 ÷ 1시간

    남 차폐벽의 두께를 x(mm)이라고 하면, 차폐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차폐율 = e-μx

    여기서 μ는 납의 흡수계수이다. 따라서,

    차폐율 = e-0.0693x

    문제에서 작업종사자의 피복선량을 20mR/h이하로 하려면,

    20mR/h = (방사선량) × (차폐율) × 1시간

    방사선량 = 20mR/h ÷ 차폐율 ÷ 1시간

    따라서,

    20mR/h ÷ e-0.0693x ÷ 1시간 = 640mR/h ÷ e-0.0693x ÷ 1시간

    e0.0693x = 32

    0.0693x = ln(32)

    x = ln(32) ÷ 0.0693

    x ≈ 50mm

    따라서, 남 차폐벽의 두께를 약 50mm로 해야 작업종사자의 피복선량을 20mR/h이하로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감마선 조사기에 대한 일일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

  1. 표면누설선량률 측정
  2. 내부튜브에 대한 육안검사
  3. 앞마개 및 뒷마개 부착 여부
  4. Pigtail 이 고정되지 않고 유격이 있는지 확인
(정답률: 59%)
  • 앞마개 및 뒷마개 부착 여부는 감마선 조사기의 기능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일일점검 사항이 아니다. 다른 항목들은 감마선 조사기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방사선동위원소의 γ선 방출 후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γ선 방출 후 질량수는 줄어든다.
  2. γ선 방출 후 원자번호는 변함이 없다.
  3. γ선 방출 후 에너지는 감소한다.
  4. 방사선동위원소는 각각 특유의 에너지를 갖는다.
(정답률: 44%)
  • "γ선 방출 후 에너지는 감소한다."가 틀린 것이다. γ선 방출 후에도 에너지는 변하지 않는다. γ선은 전자기파로, 질량과 전하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방출 후에도 에너지는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입자가속기 중 자장에 의하여 전자가 가속되는 것은

  1. 선형가속기
  2. 반데그라트형
  3. 베타트론
  4. 공진 변압기형
(정답률: 44%)
  • 자장에 의해 전자가 가속되는 입자가속기는 전자를 가속시키기 위해 자기장을 이용하는데, 이때 자기장이 일정한 강도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선형가속기는 일정한 자기장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베타트론은 전자를 가속시키는데 사용되지만, 자기장이 일정하지 않아서 정확한 가속이 어렵습니다. 공진 변압기형은 자기장이 일정하지만, 전자의 에너지가 일정하지 않아서 정확한 가속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반데그라트형이 선택되는데, 이는 자기장이 일정하고 전자의 에너지가 일정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X, γ선에 의한 전리작용이라 할 수 없는 현상은?

  1. 관전효과(Photoelectric effect)
  2. 콘프톤산란(Compton scattering)
  3. 전자쌍생성(Pair production)
  4. 소멸복사(Annihilation)
(정답률: 75%)
  • 소멸복사(Annihilation)는 X, γ선과 같은 고에너지 광자가 양전자와 음전자가 만나 상쇄되어 사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전리작용이 아닌 광자와 입자의 상호작용으로, 다른 보기들은 광자와 입자의 전리작용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집적선량이 250mSV 인 만 25세의 방사선작업 종사자의 연간 최대 피복허용선량은 얼마인가?

  1. 50mSv
  2. 70mSv
  3. 100mSv
  4. 120mSv
(정답률: 40%)
  • 집적선량이 250mSV 인 만 25세의 방사선작업 종사자의 연간 최대 피복허용선량은 50mSv 이다. 하지만, 이 종사자가 다른 방사선작업자와 함께 일하는 경우, 그들의 노출량을 고려하여 최대 허용선량이 70mSv로 조정될 수 있다. 이는 "ALARA"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원칙에 따라 최소한의 방사선 노출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종사자가 사고로 인하여 긴급 작업시 0.3Sv의 피폭을 받았을 경우 선량제한은?

  1. 향휴 5년 동안 방사선 작업을 제한한다.
  2. 즉시 방사선 작업에 종사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유효설량한도를 초과한 경우에 그 초과된 설령을 2로 나누어 얻은 값에 해당하는 년수를 지나는 동아 20mSv로 제한한다.
  4. 유효선량한도를 넘지 않을 경우는 년간 50mSv (5년간 100mSv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를 최대허용피폭선량으로 한다,)
(정답률: 57%)
  • 0.3Sv의 피폭을 받은 경우, 유효선량한도를 초과하므로 그 초과된 설령을 2로 나누어 얻은 값에 해당하는 년수인 2.5년 동안 방사선 작업을 제한해야 합니다. 따라서 "향휴 5년 동안 방사선 작업을 제한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방사선 작업종사자에 대해 비부 및 혈액검진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1. 입사시
  2. 정기검진시
  3. 과피폭시
  4. 퇴사시
(정답률: 50%)
  • 과피폭시는 방사선 작업종사자가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질병 중 하나로, 이 질병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미 방사선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므로 비부 및 혈액검진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과피폭시"가 정답이다. 입사시와 정기검진시에는 방사선 노출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비부 및 혈액검진을 실시하며, 퇴사시에는 방사선 노출에 대한 기록을 남기기 위해 검진을 실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방사능 오염물이 다량 함유된 채소를 섭취한 경우 방생하는 외부피폭을 측정하기 위한 기기가 아닌 것은?

  1. BF3 카운터 (BF3 Counter)
  2. 포켓도시미터 (Pocket Dosimeter)
  3. 서베이미터 (Surver Meter)
  4. 전식계수기 (Whole Body Counter)
(정답률: 58%)
  • 전식계수기는 전신에 방사능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로, 채소와 같은 개별적인 물체의 방사능을 측정하는 기기가 아닙니다. BF3 카운터는 중성자를 감지하는 기기, 포켓도시미터는 개인이 방사능에 노출될 때 측정하는 소형 기기, 서베이미터는 방사능 오염 지역에서 전방위로 방사능을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주상품의 방사선 투과 시험방법(KS D 0227)에 따라 주강품의 방사선투과시험을 수행할 때 시험부의 두께가 12mm이고 슈링키지의 경우에는 시험시야의 크기(지름)를 얼마로 해야 하는가?

  1. 30mm
  2. 50mm
  3. 70mm
  4. 100mm
(정답률: 25%)
  • 주상품의 방사선 투과 시험방법(KS D 0227)에서는 시험부의 두께가 12mm일 때, 슈링키지의 경우 시험시야의 크기(지름)를 시험부의 두께의 4배인 48mm보다 크게 설정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50m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강용접 이음주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강판의 맞대기 용접 이음부를 촬용하는 경우 계조계의 사용방법이 옳은 것은?

  1. 모재의 두께 25mm에 계조계 15형을 사용하였다.
  2. 모재의 두께 30mm에 계조계 25형을 사용하였다.
  3. 모재의 두께 30mm에 계조계 25형을 사용하였다.
  4. 모재의 두께 45mm에 계조계 25형을 사용하였다.
(정답률: 70%)
  • 강용접 이음주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는 계조계를 사용하여 강판의 맞대기 용접 이음부를 촬영합니다. 계조계는 모재의 두께에 따라 사용하는 형태와 크기가 다르며, 모재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큰 형태의 계조계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모재의 두께 45mm에 계조계 25형을 사용하였다."가 옳은 답입니다. 모재의 두께가 25mm일 경우에는 계조계 15형을 사용하고, 30mm일 경우에는 계조계 20형 또는 25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알루미늄 주물의 방사선 투과시험방법 및 투과사진의 등급분류방법(KS D 0241)에 따라 알루미늄 주물의 방사선 투과시험을 실시할 때 시험부 및 투과도계 위치에서의 필름 종도의 설명 범위는?

  1. 1.5~4.0
  2. 1.2~4.3
  3. 2.0~3.0
  4. 2.0~3.5
(정답률: 15%)
  • 알루미늄 주물의 방사선 투과시험에서 필름 종도는 시험부와 투과도계 위치에서의 X선의 흡수량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은 시험의 정확성과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 KS D 0241에서는 알루미늄 주물의 방사선 투과시험에서 필름 종도의 범위를 2.0~3.0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범위는 시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범위로 판단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시험의 결과가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개인방사선 측정용구 중 측정하한이 가장 낮은 설량계는?

  1. 필름뱃지
  2. 열형고아선량계(TLD)
  3. 유리선량계
  4. 직독식 포켓선량계
(정답률: 45%)
  • 직독식 포켓선량계는 가장 작은 방사선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하한이 가장 낮은 설량계입니다. 이는 직접적으로 방사선을 감지하고 측정하기 때문에 다른 측정용구들보다 민감도가 높습니다. 또한 휴대성이 우수하여 필요할 때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Ir-192에 대한 반가층이 10mm인 어떤 물질을 20mm 두께로 차폐하고, 차폐체 후방에서 측정한 방사선량률이 1.2mSv엿다면 차폐 전방사선량룰은?

  1. 2.4mSv
  2. 4.8mSv
  3. 9.6mSv
  4. 19.2mSv
(정답률: 48%)
  • 차폐체를 통과한 방사선량은 차폐체 전방과 후방에서 같으므로, 차폐 전방에서의 방사선량은 1.2mSv이다. 반가층이 10mm인 물질을 20mm 두께로 차폐하면, 반가층을 통과한 방사선량은 원래의 절반인 0.6mSv가 된다. 따라서 차폐 전방에서의 방사선량은 1.2mSv + 0.6mSv = 1.8mSv가 된다. 하지만, 차폐체를 통과한 방사선은 일부 흡수되므로, 차폐체 전방에서의 방사선량은 차폐 전방에서의 방사선량보다 더 적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4.8mSv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ASME Se. V Art.2에 규정된 농도계 교정에 사용되는 스텝웨지 교정 필름이 가져야 할 범위와 최소한의 스텝은?

  1. 농도범위 : 1.0~3.5, 최소한의 스텝 : 4
  2. 농도범위 : 1.0~3.5, 최소한의 스텝 : 5
  3. 농도범위 : 1.0~4.0, 최소한의 스텝 : 4
  4. 농도범위 : 1.0~4.0, 최소한의 스텝 : 5
(정답률: 44%)
  • ASME Se. V Art.2에서는 농도계 교정에 사용되는 스텝웨지 교정 필름의 농도범위와 최소한의 스텝을 규정하고 있다. 이 중에서 정답은 "농도범위 : 1.0~3.5, 최소한의 스텝 : 5"이다. 이유는 ASME Se. V Art.2에서는 농도계의 농도범위가 1.0~3.5%일 때, 스텝웨지 교정 필름의 최소한의 스텝이 5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농도범위나 최소한의 스텝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사선투과검사 시험

41. 노출도표에서 고정되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사용된 X –선 발생장치
  2. 선원-필름 간 거리
  3. 필름의 종류
  4. 시험체의 두께
(정답률: 34%)
  • 선원-필름 간 거리는 노출도표에서 고정되는 조건이 아닙니다. 이는 시험체와 X-선 발생장치, 필름의 종류, 시험체의 두께와 함께 노출 조건 중 하나로 고려되며, 노출도표에서는 이러한 조건들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선원-필름 간 거리는 노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X선, γ선에 의한 방사선투과검사 촬영시 다음 중 시험체에서 발생되는 산란선을 제거 또는 흡수 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의 조합은?

  1. Cone, Collimator
  2. Mask, Lead Screen
  3. Filter, Diaphragm
  4. Penetrameter, Shim stoc
(정답률: 43%)
  • X선, γ선은 시험체를 통과하면서 산란선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산란선은 이미지의 선명도를 낮추거나 잡음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제거 또는 흡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Penetrameter와 Shim stock을 사용합니다. Penetrameter는 시험체 내부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체로, X선, γ선이 투과할 때 산란선을 최소화하고 이미지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Shim stock은 시험체와 검사 장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를 통해 산란선을 최소화하고 이미지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Penetrameter, Shim stoc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필름을 정착액에 넣으면 감광되지 않은 필름유제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클리어링시간
  2. 정착시간
  3. 경화시간
  4. 산화시간
(정답률: 47%)
  • 정답은 "산화시간"이다. 필름을 정착액에 넣으면 감광되지 않은 필름유제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산화시간이라고 한다. 이는 필름유제가 환경과 산소와 상호작용하여 산화되고 제거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산화시간은 필름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필름특성곡선으로부터 알 수 있는 필름의 성질이 아닌 것은?

  1. 필름콘트라스트
  2. 선명도(sharpness)
  3. 관용도(latiude)
  4. 필름 γ값(γ value)
(정답률: 53%)
  • 필름 특성곡선은 필름의 콘트라스트, 선명도, γ값 등을 알 수 있지만, 관용도는 필름의 노출에 따른 밝기 변화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필름의 성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관용도(latiud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공업용 X선 발생장치를 사용하여 방사선투과검사를 할 때 전류 5mA에 6분의 노출을 주어 필름농도 Z를 얻었다. 같은 농도의 필름을 얻으려 할 때 다른 조건은 변경하지 않고 노출시간만 3분으로 변경시켰다면 전류는 얼마로 해야 하는가?

  1. 2.5mA
  2. 5mA
  3. 10mA
  4. 15mA
(정답률: 67%)
  • 방사선투과검사에서 필름농도는 노출시간과 전류에 비례한다. 따라서 노출시간을 반으로 줄이면 필요한 전류는 2배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5mA x 2 = 10mA 이므로 정답은 "10m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방사선투과검사에 사용되는 휴대형 농도계의 영점 조절을 어떻게 행하는가?

  1. 사진농도 표준 필름(step tablet)에 의하여 한다.
  2. 국가에서 지정한 표준 검교정 기관에서 한다.
  3. 필름 관찰기 면에 직접 접촉하여 실시한다.
  4. 스위치를 켜는 순간 영점 조절이 된다.
(정답률: 40%)
  • 휴대형 농도계는 방사선투과검사에서 사용되며,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영점 조절이 필요합니다. 이때 영점 조절은 사진농도 표준 필름(step tablet)에 의하여 한다고 합니다. 이유는 사진농도 표준 필름은 국제적으로 인정된 표준 검교정 기준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영점 조절을 하면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영점 조절은 국가에서 지정한 표준 검교정 기관에서 사진농도 표준 필름을 이용하여 실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방사선투과검사로 결함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1. 이동방사선투과검사
  2. 입체방사선투과검사
  3. 고속도방사선투과검사
  4. 자동방사선투과검사
(정답률: 74%)
  • 입체방사선투과검사는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여 결함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이용됩니다. 이동방사선투과검사는 이동하는 물체의 결함을 검사하는 데에 이용되며, 고속도방사선투과검사는 빠른 속도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자동방사선투과검사는 자동화된 검사 시스템을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평판 용접부의 방사선 투과사진 농도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최저농도는 필름 중앙부분인 경우가 많다.
  2. 최고농도는 필름 중앙부분인 경우가 많다.
  3. 사진농도는 관찰기 밝기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4. 농도계 영점은 1장의 필름상에서는 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25%)
  • 정답은 "최고농도는 필름 중앙부분인 경우가 많다."이다. 이는 용접부에서 방사선이 집중되어 필름 중앙부분에서 더 많은 농도가 측정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X선관의 표적이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원자번호가 낮아야 한다.
  2. 용융온도가 낮아야 한다.
  3. 열전도성이 낮아야 한다.
  4. 증기압이 낮아야 한다.
(정답률: 57%)
  • X선관의 표적은 전자를 충돌시켜 X선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표적 자체가 X선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열전도성이 낮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전자와 표적 원자가 충돌할 때, 표적 원자가 전자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열로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열전도성이 낮을수록 표적이 열을 흡수하고 X선을 발생시키는 능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X선과 물질과의 상호작용 현상이 아닌 것은?

  1. 광전효과
  2. 톰슨산란
  3. 전자쌍 생성
  4. 후방산란
(정답률: 40%)
  • X선과 물질과의 상호작용 현상 중에서 전자쌍 생성, 광전효과, 후방산란은 모두 X선이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전자를 방출하거나 산란시키는 현상이다. 하지만 톰슨산란은 X선이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전자를 방출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가 물질 내부에서 충돌하여 방향을 바꾸는 현상이다. 따라서 톰슨산란은 X선과 물질과의 상호작용 현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보통 방사선투과검사법으로는 시험체의 평면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시험체의 두께를 측정하기 곤란하다. 스텝웨지(step wedge)를 이용하여 시험체의 두께를 대략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스텝웨지는 동일재질이어야 한다.
  2. 스텝웨지는 폭이 넓을수록 좋다.
  3. 스텝웨지는 가능한 한 시험체와 같이 촬영한다.
  4. 사용전압은 노출시간이 허용하는 한 높게 한다.
(정답률: 53%)
  • 정답: "스텝웨지는 폭이 넓을수록 좋다."는 틀린 설명이다.

    스텝웨지는 일정한 간격으로 두께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판이다. 이를 이용하여 방사선투과검사를 할 때, 스텝웨지와 시험체를 함께 촬영하여 스텝웨지의 두께 변화에 따른 밀도 차이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험체의 두께를 대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텝웨지의 폭이 넓을수록 촬영 영역이 넓어지기 때문에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좋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스텝웨지와 시험체를 함께 촬영할 때 적용되는 것이며, 스텝웨지 자체의 폭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공업용 방사선 투과사진의 현상제에 포함된 약품 중에서 반응촉진제의 주기능을 하는 것은?

  1. 페니돈(phenidone)
  2.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3.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4. 브롬화칼륨(potassium bromide)
(정답률: 50%)
  • 반응촉진제는 이미지를 더 선명하게 만들기 위해 필름 혹은 종이 형태의 사진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하이드로퀴논은 실버 할라이드 결정체를 확산시켜 이미지를 더욱 선명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공업용 방사선 투과사진에서는 하이드로퀴논이 반응촉진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방사선 투과사진 판독에 있어서 인공결함의 원인과 결과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압력자국 - 방사선 투과사진상의 둥근 점
  2. 정전기자국 - 필름이 전체적으로 얼룩덜룩한 자국
  3. 간지자국 - 유체의 압력에 기인되는 희거나 검은 점
  4. Fog현상- 현상시간이 너무 길거나 현상액의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
(정답률: 74%)
  • Fog현상은 방사선 투과사진상에서 필름 전체적으로 흐릿하게 보이는 현상으로, 현상시간이 너무 길거나 현상액의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 발생합니다. 이는 필름에 불필요한 결함을 만들어내어 올바른 진단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방사선사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현상시간과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선원의 강도가 30Ci인 Ir-192를 사용할 때 두께가 45mm인 철판으로 차폐하면 같은 위치에서 방사선량은 처음의 몇 %로 감소하는가? (단, Ir-192의 철에 대한 반가층은 15mm로 한다.)

  1. 1.25%
  2. 3.33%
  3. 12.5%
  4. 33.3%
(정답률: 53%)
  • 먼저, 반가층이 15mm인 것은 Ir-192의 에너지가 0.38MeV이기 때문이다. 이제 철판의 두께가 45mm이므로, 이를 15mm 단위로 나누어서 계산한다. 첫 번째 15mm에서는 원래 방사선량의 50%가 차폐된다. 두 번째 15mm에서는 첫 번째 15mm에서 남은 방사선량의 50%가 차폐된다. 마지막 15mm에서는 두 번째 15mm에서 남은 방사선량의 50%가 차폐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원래 방사선량의 87.5%가 차폐된다. 따라서, 정답은 "1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방사선 투과사진 필름을 건조하기 위한 가장 적당한 온도는?

  1. 약 5℃
  2. 약 40℃
  3. 약 60℃
  4. 약 80℃
(정답률: 50%)
  • 방사선 투과사진 필름은 건조할 때 온도가 너무 낮으면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온도가 너무 높으면 필름의 특성이 변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온도는 중간 정도인 약 60~80℃ 정도가 적합합니다. 그 중에서도 약 80℃이 가장 적당한 온도로 판단됩니다. 이는 건조 시간이 적당하면서도 필름의 특성이 변형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온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감마선에너지가 약 0.66MeV 이며, 반감기가 약 30.1년인 방사성 동위원소는?

  1. Co-60
  2. Ir-192
  3. Cs-137
  4. Tm-170
(정답률: 25%)
  • 감마선의 에너지가 0.66MeV인 동위원소는 Cs-137입니다. 이유는 Cs-137의 반감기가 30.1년으로 주어졌기 때문입니다. Co-60의 반감기는 5.27년, Ir-192의 반감기는 73.8일, Tm-170의 반감기는 128.6일로 Cs-137이 가장 적합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공업용 감마선 조사장치를 이용한 방사선투과검사에서 원격조작장치의 선원 튜브 끝부분에 설치하여 방사선을 한쪽 방향으로만 방출하게 차폐하여 누설 방사선량을 줄이는 기기는?

  1. 앞마개(storage plug)
  2. 콜리메타(colimator)
  3. 뒷마개(storage cover)
  4. 선원 스톱(source stop)
(정답률: 79%)
  • 콜리메타는 감마선 조사장치에서 방사선을 한쪽 방향으로만 방출하게 하여 누설 방사선량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선원 튜브 끝부분에 설치되어 방사선을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콜리메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30Ci의 Ir-192로 두께 2인치 철판의 시험품을 촬영하여 사진농도 2.0인 사진을 얻으려면 선원과 필름 사이의 거리를 10인치로 할 때 노출시간은 얼마로 주어야 하는가? (단, 노출인자는 0.96이며 이때 필름농도는 2.0이다.)

  1. 2.4분
  2. 3.2분
  3. 4.8분
  4. 6.4분
(정답률: 67%)
  • 노출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노출시간 = (사진농도 x 노출인자 x (거리^2)) / (시험품두께^2)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노출시간 = (2.0 x 0.96 x (10^2)) / (2^2) = 48 / 4 = 12초

    따라서, 정답은 "2.4분", "3.2분", "4.8분", "6.4분" 중에서 "4.8분"이 된다. 이유는 노출시간이 증가할수록 필름에 노출되는 방사선의 양이 증가하므로, 사진농도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노출시간이 적절히 조절되어야 원하는 사진농도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150 ~ 300kVp 정도의 X선 발생장치로 방사선투과시험을 할 때 다음 물질 중에서 산란선을 제거하기 위해 필름의 앞, 뒷면에 사용되는 것은?

  1. 종이
  2. 카드뮴
  3. 알루미늄
(정답률: 39%)
  • X선이 물질과 상호작용하면 산란선이 발생하는데, 이 산란선은 원하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방해가 됩니다. 따라서 산란선을 제거하기 위해 필름의 앞, 뒷면에는 각각 납으로 만들어진 필터가 사용됩니다. 이 필터는 X선을 흡수하여 산란선을 제거합니다. 그러나 이 필터는 너무 두껍기 때문에 이미지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필름 앞, 뒷면에는 종이가 사용됩니다. 종이는 납 필터보다 얇기 때문에 이미지의 선명도를 유지하면서도 산란선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종이"입니다. 카드뮴과 알루미늄은 X선을 흡수하는 물질이지만, 필름에서는 산란선 제거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주강품의 방사선투과사진상에 부분적으로 매우 검게 나타나 마치 주형의 일부분이 비어있는 상태로 나타났을 때 결함의 종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불순물
  2. 콜드셧(cold shut)
  3. 미스런(misrun)
  4. 편석(segregation)
(정답률: 45%)
  • 주형의 일부분이 비어있는 상태로 나타나는 것은 주형 내부에서 금속이 충분히 유입되지 못하고 결함이 생긴 "미스런(misrun)" 결함이다. 이는 주형 내부에서 금속 유입이 원활하지 않아 생기는 결함으로, 주로 주형의 디자인이나 금속 주입 속도 등의 문제로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