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해양환경기사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해양학개론

1. 현재 염소량으로부터 염분을 환산하는데 사용하고 있는 공식은?

  1. S = 0.043 + 1.0044×S
  2. S = 1.805×Cl + 0.03
  3. S = 1.80655×Cl
  4. S = 1.00045×Cl
(정답률: 85%)
  • 염분은 염소와 염소가 결합한 다른 화합물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염소량을 기준으로 염분을 환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 때, 염분과 염소량 사이의 관계는 일정합니다. 이 관계를 구하는 과정에서 여러 실험을 거쳐 S = 1.80655×Cl 이라는 공식이 도출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공식을 사용하여 현재 염소량으로부터 염분을 환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대양의 표층에서 나타나는 해수순환은 다음 중 어느 힘에 기인되는가?

  1. 밀도차
  2. 바람
  3. 지구자전
  4. 해양 - 대기간의 열수지
(정답률: 83%)
  • 해수순환은 바람에 의해 일어납니다. 바람은 대양의 표면을 일정한 방향으로 밀어내어 표면수위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만듭니다. 이로 인해 밀도차가 발생하고, 이 밀도차에 의해 물은 상하게 움직입니다. 이러한 상하운동이 지속되면서 대양 전체적으로 물이 움직이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해수순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해양의 물리적 성질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해수의 온도구간은 -2 ∼ 30℃ 이다.
  2. 해수는 열용량이 크고 열전도율이 높다.
  3. 해수는 자연상태에서 기체, 액체, 고체의 세가지 상이 모두 나타난다.
  4. 해수의 압력은 10m에 1/2 기압씩 증가한다.
(정답률: 88%)
  • "해수의 압력은 10m에 1/2 기압씩 증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해수의 압력은 10m에 1기압씩 증가합니다. 이는 수압이 증가함에 따라 해수의 밀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해수의 온도구간은 -2 ∼ 30℃이 맞습니다. 해수는 열용량이 크고 열전도율이 높아서 바다에서의 기온 변화가 느리고, 열이 잘 전달되기 때문에 해수욕이 시원하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또한, 해수는 자연상태에서 기체, 액체, 고체의 세가지 상이 모두 나타납니다. 이는 해수의 염분 농도에 따라 결정화되는 염빙이나, 수증기로 변하는 증발 등이 그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해수중에 존재하는 질소화합물 중에서 생물생산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N2
  2. NO2-
  3. NO3-
  4. NH4+
(정답률: 80%)
  • "N2"는 질소 분자로서 생물체가 직접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생물생산과 관계가 없습니다. 반면, "NO2-", "NO3-", "NH4+"은 질소화합물 중에서 생물체가 직접 이용하여 생물생산에 필요한 영양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북회귀선에서 적도근처까지의 해면을 서류하는 우세한 난류는?

  1. 북적도 해류
  2. 남적도 해류
  3. 아라스카 해류
  4. 적도 반류
(정답률: 87%)
  • 북회귀선과 적도 사이에는 적도고기압대와 북쪽의 고기압대 사이의 기압차로 인해 바람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불게 됩니다. 이 바람은 바다 표면의 물을 밀어내어 북쪽으로 흐르게 만듭니다. 이러한 바람에 의해 유발되는 해류를 북적도 해류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해수의 열염순환(Thermohaline circulation)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바람
  2. 밀도
  3. 압력
  4. 표면장력
(정답률: 80%)
  • 해수의 열염순환은 바람, 압력, 표면장력과는 관계가 적고, 주된 원인은 바로 밀도 차이입니다. 밀도가 높은 염분 농도가 높은 물은 바닷속 깊숙한 곳으로 내려가고, 밀도가 낮은 염분 농도가 낮은 물은 해양 표면으로 올라오면서 열을 전달하고, 이러한 과정이 지속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의 해류가 형성됩니다. 따라서, 해수의 열염순환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밀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해수 중의 음파속도는 해수의 밀도에 따라 다르다. 다음 중 바르게 설명된 것은?

  1. 수온, 염분, 압력이 높을수록 음속은 크다.
  2. 수온, 염분, 압력이 낮을수록 음속은 크다.
  3. 수온이 낮고 압력이 높은 심층에서 음속은 낮다.
  4. 수심 약 1000m 부근에서 음속 최대층이 존재한다.
(정답률: 87%)
  • 정답은 "수온, 염분, 압력이 높을수록 음속은 크다." 이다.

    해수의 밀도는 수온, 염분, 압력에 따라 변화한다. 수온이 높을수록 분자 운동이 활발해져서 해수의 밀도가 낮아지고, 염분이 많을수록 해수의 밀도가 높아지며, 압력이 높을수록 해수의 밀도가 높아진다.

    음파는 밀도가 높은 매질에서 빠르게 전파되기 때문에, 해수의 밀도가 높을수록 음속이 높아진다. 따라서 수온, 염분, 압력이 높을수록 음속이 크다.

    또한, 수심이 깊어질수록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수심 약 1000m 부근에서 음속 최대층이 존재한다. 그러나 수온이 낮고 압력이 높은 심층에서는 해수의 밀도가 높아져서 음속이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심해저 시추계획(Deep Sea Drilling Project)의 주목적은 무엇인가?

  1. 석유 탐사
  2. 해저 광물자원 조사
  3. 천연가스 매장량 조사
  4. 대양저의 진화과정 연구
(정답률: 71%)
  • 심해저 시추계획의 주목적은 "대양저의 진화과정 연구"이다. 이는 지구의 역사와 생명체의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대양저는 지구의 역사를 기록한 층이 쌓인 곳으로, 이를 연구함으로써 지구의 역사와 생명체의 진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대양저의 진화과정 연구는 지구과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대양에 존재하는 해수의 순환을 그 원인에 따라 크게 풍성 순환과 열염분 순환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열염분 순환과 관계가 적은 것은?

  1. 해수의 밀도차
  2. 표층류
  3. 심해류
  4. 느리고 수직성분이 존재한다.
(정답률: 59%)
  • 정답은 "표층류"입니다. 열염분 순환은 해수의 열과 염분의 분포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순환인데, 이는 해수의 밀도차이에 기인합니다. 따라서 해수의 밀도차이와 관련이 많은 심해류와는 관계가 크지만, 표층류는 해수의 밀도차이와는 관련이 적습니다. 표층류는 주로 바람이나 해류에 의해 발생하며, 느리고 수직성분이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진파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전해져서 어떤 지점이든 가장 먼저 도달하는 파(Wave)는 무엇인가?

  1. P파
  2. S파
  3. L파
  4. S 및 L파
(정답률: 86%)
  • P파는 고체와 액체, 기체를 모두 통과할 수 있는 첫 번째 지진파이기 때문에 어떤 지점이든 가장 빠르게 전달됩니다. S파는 고체만을 통과할 수 있고, L파는 지하에서 발생하는 지진파로서 지표면에서는 감쇠되기 때문에 P파보다 느리게 전달됩니다. S 및 L파는 여러 종류의 지진파가 결합한 것으로, P파보다 느리게 전달됩니다. 따라서, P파가 어떤 지점이든 가장 먼저 도달하는 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서안경계류(western boundary current)는?

  1. 쿠로시오 해류
  2. 노르웨이 해류
  3. 북대서양 해류
  4. 페루해류
(정답률: 83%)
  • 서안경계류는 대륙과 인접한 해류 중에서 가장 빠르게 흐르는 해류로, 일본의 동쪽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해류를 말합니다. 이러한 서안경계류는 일본의 쿠로시오(Kuroshio) 해류로 불리며, 온도가 높고 염분이 높은 열대성 해류로서 일본의 기후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따라서 "쿠로시오 해류"가 서안경계류라는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붕단(shelf break)의 평균수심은?

  1. 100m
  2. 130m
  3. 155m
  4. 200m
(정답률: 66%)
  • 붕단은 대륙사면에서 대륙붕과 대양사면을 연결하는 지점으로, 대륙붕에서 대양으로 넘어가는 경계선이다. 이 지점에서 수심이 급격히 깊어지는데, 이때의 평균수심이 대략 130m 정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13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우리나라 연안주변에서 탁월한 조석, 조류, 내부조석의 주기는 얼마인가?

  1. 약 1/4일
  2. 수일 이상
  3. 약 1일
  4. 약 1/2일
(정답률: 84%)
  • 우리나라 연안주변에서는 해일과 만조가 발생하는데, 이는 달과 태양의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이 중에서도 조석, 조류, 내부조석의 주기는 달의 움직임에 따라 결정된다. 달은 약 29.5일의 주기로 지구를 공전하며, 이에 따라 조석, 조류, 내부조석의 주기는 약 1/2일로 결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1/2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해수의 열팽창계수 β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염분도가 낮으면 수온에 무관하게 항상 음의 값을 가진다.
  2. 낮은 수온에서 염분도에 무관하게 항상 음의 값을 가진다.
  3. 보통 자연조건하의 해수에서 수온이 증가함에 따라 항상 증가한다.
  4. 수온과 염분도에 무관하다.
(정답률: 78%)
  • 정답은 "보통 자연조건하의 해수에서 수온이 증가함에 따라 항상 증가한다."이다.

    해수의 열팽창계수 β는 해수의 온도가 변할 때 부피가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일반적으로 해수는 온도가 증가하면 부피가 증가하므로 열팽창계수 β는 양수값을 가진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수온과 염분도에 무관하다."와 "낮은 수온에서 염분도에 무관하게 항상 음의 값을 가진다."는 틀린 설명이다.

    또한, 염분도가 낮으면 해수의 부피가 증가하는 정도가 작아지므로 열팽창계수 β는 음의 값을 가진다. 하지만 이는 수온에 무관하다는 것이 아니라 염분도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다. 따라서 "염분도가 낮으면 수온에 무관하게 항상 음의 값을 가진다."는 부분적으로 맞지만, 전체적으로는 틀린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인 "보통 자연조건하의 해수에서 수온이 증가함에 따라 항상 증가한다."는 해수의 일반적인 특성을 잘 반영한 설명이다. 해수는 일반적으로 수온이 증가하면 부피가 증가하므로 열팽창계수 β는 양수값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의 T-S diagram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Ekman 나선을 나타낸 그림이다.
  2. 온도와 염분의 상관곡선으로 수괴의 특성을 나타낸다.
  3. 파랑의 형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4. 북태평양의 표면수온의 분포를 나타낸 그림이다.
(정답률: 88%)
  • 온도와 염분의 상관곡선으로 수괴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는 T-S diagram이 수온과 염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기 때문이다. 이 그래프는 해양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온과 염분의 분포를 통해 수괴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제4기 빙하기에 퇴적된 굴(oyster)의 연령을 측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1. TH230 방법
  2. C14 방법
  3. B10 방법
  4. fission-track 방법
(정답률: 82%)
  • 빙하기에 퇴적된 굴의 연령을 측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C14 방법입니다. 이는 굴의 뼈나 껍데기에 포함된 탄소 14의 양을 측정하여 연대를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구상에서 생명체가 살아있는 동안 흡수한 탄소 14의 양이 일정하다는 가정에 기반하고 있으며, 따라서 생물체가 죽은 이후에는 탄소 14의 양이 천천히 감소하게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굴의 연령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들은 굴의 연령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C14 방법보다 정확도나 신뢰성 면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석유자원이 부존할 수 있는 암석 구조는?

  1. 다공질 사암
  2. 다공질이 아닌 사암
  3. 투수성이 적은 사암
  4. 굳은 사암
(정답률: 74%)
  • 석유는 다공질성 암석 구조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석유자원이 부존할 수 있는 암석 구조는 "다공질 사암"이다. 다공질 사암은 많은 작은 구멍이나 공간이 있어 석유가 축적될 수 있는 공간이 많기 때문이다. 반면에 다공질이 아닌 사암, 투수성이 적은 사암, 굳은 사암은 석유가 축적될 공간이 적어 석유자원이 부존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북반구에서 취송류의 방향은 바람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어느 쪽인가?

  1. 오른쪽
  2. 왼쪽
  3. 같은 방향
  4. 반대방향
(정답률: 84%)
  • 북반구에서 바람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으므로, 취송류의 방향은 바람의 진행방향인 남쪽으로 향하게 됩니다. 따라서 취송류의 방향은 바람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오른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유기물질이 해저에서 원유로 변하는데 가장 적절한 온도는 얼마인가?

  1. 50∼70℃
  2. 30∼100℃
  3. 50∼150℃
  4. 100∼300℃
(정답률: 74%)
  • 유기물질이 해저에서 원유로 변하는 과정은 열분해라고 불리며, 이 과정에서는 고온과 고압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유기물질이 완전히 분해되어 버리기 때문에 적절한 온도 범위가 필요합니다. 이 범위는 50∼150℃로, 이 범위에서는 유기물질이 충분히 분해되면서도 일부 유기물질이 남아있어 원유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범위가 가장 적절한 온도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 상당한 피해를 입히는 바다의 오손 생물로서, 유일한 고착성 갑각류는?

  1. 게류
  2. 연갑류
  3. 만각류
  4. 바닷가재류
(정답률: 82%)
  • 만각류는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 고착하여 상당한 피해를 입히는 바다의 오손 생물입니다. 이들은 갑각류 중에서도 특히 고착성이 높아서 선박의 바닥, 벽면, 프로펠러 등에 밀착하여 생활하며, 이로 인해 선박의 성능 저하나 수명 단축 등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선박 운영에 있어서 이들의 관리와 방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해양생태학

21. 다음 중 어류가 최전성기를 이루었던 시대는?

  1. 캄브리아기
  2. 시루리안기
  3. 데본기
  4. 쥬라기
(정답률: 63%)
  • 어류가 최전성기를 이룬 시기는 데본기입니다. 이는 데본기가 어류의 다양성과 분포가 가장 높았던 시기였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어류들이 다양한 생태계에서 발견되었으며, 이후 지구 환경의 변화와 함께 어류의 종류와 분포가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적조생물이 가지는 독소들로 인한 증상이 아닌 것은?

  1. 질식 및 호흡장해
  2. 설사 및 구토
  3. 기억상실 및 사망
  4. 조직궤사 및 종양
(정답률: 84%)
  • 적조생물이 가지는 독소들로 인한 증상 중 "조직궤사 및 종양"은 적조생물이 가지는 독소들이 조직을 파괴하거나 비정상적인 세포증식을 유발하여 발생하는 증상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질식, 호흡장해, 설사, 구토 등은 적조생물이 가지는 독소들이 호흡기나 소화기에 영향을 주어 발생하는 증상이며, 기억상실 및 사망은 중독에 따른 신경계 증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갯벌 조간대에 서식하는 저서생물들의 환경에 대한 적응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잠입성 이매패는 퇴적물 속 깊은 장소에 서식하므로 대기 온도의 직접 영향을 피한다.
  2. 간석지 이매패류는 패각내에 고염분수를 가두어 둠으로 서 단기적 저염분에 견딘다.
  3. 퇴적물 식자는 유기물 함량이 높은 이질 퇴적물에서 최대를 나타낸다.
  4. 부유하는 다량의 실트 성분은 현탁물 식자의 섭식율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56%)
  • 정답은 "간석지 이매패류는 패각내에 고염분수를 가두어 둠으로 서 단기적 저염분에 견딘다."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갯벌 조간대에서 서식하는 저서생물들의 환경에 대한 적응과 관계가 있는 내용이지만, 이 보기는 간석지 이매패류의 생존 전략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부레를 갖지 않는 종류는?

  1. 상어
  2. 참조기
  3. 대구
  4. 참돔
(정답률: 82%)
  • 상어는 기관류이며, 기관류는 부레를 갖지 않는 종류입니다. 따라서 상어가 정답입니다. 참조기, 대구, 참돔은 모두 어류이지만 부레를 갖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두색류의 특징은?

  1. 성체는 피낭으로 싸여 있다.
  2. 대부분의 종류는 성체가 되면 고착 생활을 한다.
  3. 성체가 되면 배설기, 척색 및 꼬리가 없어지고, 척색신 경관이 퇴화한다.
  4. 머리에서 꼬리까지 신경색과 척색이 있다.
(정답률: 75%)
  • 두색류는 성장과정에서 척추동물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다가 성체가 되면 척추동물과는 달리 척색신경관이 퇴화되지 않고 머리에서 꼬리까지 신경색과 척색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척색동물의 특징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완전한 소화계가 없다.
  2. 생활사의 어떤 시기에 척색을 가진다.
  3. 이배엽성이고 체강이 잘 발달되어 있다.
  4. 혈관계는 개방형이다.
(정답률: 79%)
  • 척색동물은 완전한 소화계가 없고, 이배엽성이며 체강이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생활사의 어떤 시기에 척색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척색동물의 체내에서 소화와 영양흡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색소인 크로마토포어의 존재 때문입니다. 또한, 척색동물의 혈관계는 개방형이기 때문에 혈액이 직접 조직에 공급되어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간극동물(Interstitial fauna)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간극동물은 저서동물의 일종으로 지표동물(Epifauna)과 지중동물(Infauna)를 말한다.
  2. 간극동물은 극피동물(Echinodermata)중 불가사리류를 말한다.
  3. 간극동물은 해산 무척추 동물중 자세포(Sting cell)를 갖는 종류를 말한다.
  4. 간극동물은 저서동물의 일종으로 저질의 모래와 모래 사이의 빈공간에 서식하는 동물을 말한다.
(정답률: 75%)
  • 간극동물은 저서동물의 일종으로 저질의 모래와 모래 사이의 빈공간에 서식하는 동물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바다에서 영양염의 주된 공급원이 아닌 것은?

  1. 수층의 수직혼합
  2. 용승
  3. 육수의 유입
  4. 강우
(정답률: 76%)
  • 바다에서 영양염의 주된 공급원은 "수층의 수직혼합", "용승", "육수의 유입"이다. 이들은 바다에서 영양염을 공급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반면에 "강우"는 바다로 직접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지표면에서 유출된 물이 강을 통해 바다로 유입될 때 함께 운반되는 영양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강우"는 바다에서 영양염의 주된 공급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담수역에 살지만 염분에 대한 현저한 저항력을 가지는 어류는?

  1. 송사리
  2. 틸라피아
  3. 청어
  4. 철갑상어
(정답률: 59%)
  • 철갑상어는 해양어이지만 담수역에서도 살 수 있으며, 염분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담수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갑상어가 담수역에 살지만 염분에 대한 현저한 저항력을 가지는 어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갈조류만으로 구성된 것은?

  1. 청각, 다시마, 미역
  2. 잘피, 거북풀, 김
  3. 우뭇가사리, 모자반, 파래
  4. 미역, 감태, 모자반
(정답률: 68%)
  • 미역, 감태, 모자반은 모두 갈조류에 속하는 해조류이기 때문에 갈조류만으로 구성된 것입니다. 청각과 다시마는 갈조류가 아닌 다른 해조류이며, 잘피, 거북풀, 김, 우뭇가사리, 파래는 모두 갈조류가 아닌 다른 해조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생물체의 함질소유기물의 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과정을 그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NH4 - NO2 - NO3
  2. NO2 - NH4 - NO3
  3. NO3 - NO2 - NH4
  4. NH4 - NO3 - NO2
(정답률: 68%)
  • 생물체의 함질소유기물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과정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아래와 같은 순서로 일어납니다.

    1. 단백질 분해로부터 생성된 아미노산이 암모니아로 분해됩니다. (NH4)
    2. 암모니아는 녹말균 등의 박테리아에 의해 질산염으로 산화됩니다. (NO2)
    3. 질산염은 다시 다른 박테리아에 의해 질산으로 산화됩니다. (NO3)

    따라서 "NH4 - NO2 - NO3"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서로 잘못 연결된 것은?

  1. 인과 질소 - 부영양화(富營養化)
  2. 오염물 증가 - COD 감소
  3. 유기물 증가 - 용존산소 감소
  4. 중금속 오염 - 생물 농축
(정답률: 76%)
  • 정답은 "오염물 증가 - COD 감소" 이다. 이유는 오염물이 증가하면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도 증가하기 때문에, 서로 반대의 개념이 아니라 동일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COD는 물에 포함된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오염물이 증가하면 유기물도 증가하기 때문에 COD도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그림은 어느 온대지방의 호수에 있는 식물플랑크톤과 수온, 빛, 영양염류의 계절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동물플랑크톤의 계절변화 그림을 삽입할 경우 어느 것과 가장 닮은 모양을 보이는가?

  1. 식물플랑크톤
  2. 수온
  3. 영양 염료
(정답률: 73%)
  • 정답은 "식물플랑크톤"이다. 이유는 그림에서 수온과 빛, 영양염류의 계절변화에 따라 식물플랑크톤의 양상이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동물플랑크톤은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른 양상이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조하대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초대형 저서동물 채집시 주로 사용되는 채집장비는?

  1. Agassiz trawl
  2. Bongo net
  3. van Veen grab
  4. Smith-McIntyre grab
(정답률: 67%)
  • 조하대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초대형 저서동물을 채집하기 위해서는 바닥에서 채집하는 장비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Agassiz trawl은 대형 어획선에서 사용되는 대형 트롤링 장비로, 바닥에서 채집한 저서동물을 수집할 수 있는 큰 넓적한 그물입니다. 따라서 조하대 연성저질에서 채집하는 데 가장 적합한 장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해양에 있어서 1차 생산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두가지 요인은?

  1. 물과 영양염
  2. 태양광선과 수심
  3. 영양염과 태양광선
  4. 영양염과 수심
(정답률: 78%)
  • 영양염은 해양에서 식물성 생산자들이 성장하고 번식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이며, 태양광선은 광합성에 필요한 에너지원입니다. 따라서 영양염과 태양광선은 해양에서 1차 생산력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우리나라 하구 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이 아닌 것은?

  1. 참치
  2. 숭어
  3. 전어
  4. 잘피
(정답률: 79%)
  • 위 보기에서 "참치"가 종이 아닌 것은 이유는 참치는 생선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생선이지만, "잘피"는 생선이 아닌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복족류로만 구성된 것은?

  1. 산호, 말미잘
  2. 딱지조개, 고둥
  3. 고둥, 전복
  4. 따개비, 갯고사리
(정답률: 74%)
  • 복족류는 갑각류 중 하나로, 다리가 두 개씩 있는 동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산호"와 "말미잘"은 다리가 없으므로 복족류가 아닙니다. "딱지조개"와 "따개비"는 다리가 하나씩 있으므로 복족류가 아닙니다. 따라서 "고둥"과 "전복"만이 복족류로 구성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아래 그림은 해수에 있어서 alkalinity와 CO32-와의 관계이다. 만일 해수 1kg 중에서 alkalinity가 2.4meq, 전 CO2양이 2.2millimoles/kg일 때 0.1 millimole의 CaCO3를 더했을때 변하는 현상은?

  1. 전 CO2는 2.3millimoles/kg 으로 증가하고 alkalinity는 2.6meq/kg이 된다.
  2. 전 CO2는 2.1millimoles/kg 으로 감소하고 alkalinity는 2.2meq/kg이 된다.
  3. 전 CO2는 2.3millimoles/kg 으로 증가하고 alkalinity는 2.2meq/kg이 된다.
  4. 전 CO2는 2.1millimoles/kg으로 감소하고 alkalinity는 2.6meq/kg 이 된다.
(정답률: 71%)
  • CaCO3가 더해지면 CO32- 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HCO3-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HCO3-이 감소하면서 H+이 생성되어 pH가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pH가 감소하면 CO2가 생성되어 전 CO2양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전 CO2는 2.3millimoles/kg 으로 증가하고 alkalinity는 2.6meq/kg이 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은 부유생물이 해수중에서 생활하기 위한 적응을 설명한 것이다. 맞지 않는 것은?

  1. 가벼운 이온을 체액중에 함유하여 해수와 삼투압을 일치시킨다.
  2. 가능한 한 작은 체적을 가진다.
  3. 부속지가 발달하여 침강속도를 줄인다.
  4. 몸 전체의 운동이나 편모운동을 하여 해수중에 남아있는다.
(정답률: 45%)
  • 정답은 "몸 전체의 운동이나 편모운동을 하여 해수중에 남아있는다." 이다. 부유생물은 일반적으로 부속지나 체형 등의 구조적 적응으로 해수중에서 떠다니며 생활한다. 따라서 몸 전체의 운동이나 편모운동을 하여 해수중에 남아있는 것은 부유생물의 적응으로 볼 수 없다.

    - "가벼운 이온을 체액중에 함유하여 해수와 삼투압을 일치시킨다." : 부유생물은 해수와 삼투압을 일치시키기 위해 가벼운 이온을 체액에 함유시킨다.
    - "가능한 한 작은 체적을 가진다." : 부유생물은 가능한 한 작은 체적을 가지고 있어서 물속에서 떠다니기 적합하다.
    - "부속지가 발달하여 침강속도를 줄인다." : 부유생물은 부속지를 발달시켜서 침강속도를 줄이고 물속에서 더 오래 머무를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내생동물에 속하는 것은?

  1. 조개류, 갯지렁이류
  2. 해연동물, 말미잘
  3. 산호, 굴
  4. 따개비, 갯지렁이류
(정답률: 63%)
  • 조개류와 갯지렁이류는 모두 수생 동물이며, 조개류는 이중외피를 가지고 있고, 갯지렁이류는 외피가 없는 연체동물이다. 따라서 이 두 종은 내생동물에 속한다. 해연동물, 말미잘, 산호, 굴, 따개비는 모두 다른 분류군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해양계측학

41. 다음 중 해저면에 퇴적된 딱딱한 모래층(sand layer) 퇴적물을 채취하는데 가장 유용한 것은?

  1. 피스톤 시추기
  2. 중력 시추기
  3. 바이브로 시추기
  4. 그랩
(정답률: 40%)
  • 해저면에 퇴적된 딱딱한 모래층은 바위와 유사한 경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딱딱한 모래층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충격파를 이용하여 바위를 파괴해야 합니다. 이러한 충격파를 발생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은 바이브로 시추기입니다. 바이브로 시추기는 고주파 진동을 이용하여 바위를 파괴하고, 그 파편들을 수직으로 상승시켜 채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브로 시추기가 딱딱한 모래층을 채취하기에 가장 유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퇴적물의 입도 분석 자료로부터 퇴적물 유형(Sediment Type)을 구하는 방법 중 맞는 것은?

  1. 자갈(Gravel), 모래(Sand), Silt 및 Clay의 함량을 구분하여 3각 다이아그램상에 플로팅한다.
  2. 자갈(Gravel), 모래(Sand), Silt 및 Clay의 함량을 구분하여 입도 누적 곡선을 이용한 도표 계산법을 한다.
  3. 입도를 芒 단위로 표시하여 모멘트 계산법을 한 다음 입도분포 특성 지수를 구한다.
  4. 입도를 芒 단위로 표시하여 입도 누적 곡선을 이용한 도표 계산법으로 입도분포 특성 지수를 구한다.
(정답률: 69%)
  • 정답은 "자갈(Gravel), 모래(Sand), Silt 및 Clay의 함량을 구분하여 3각 다이아그램상에 플로팅한다." 입니다. 이는 퇴적물의 입도 분포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각 입도 구성 성분의 함량을 3각 다이어그램 상에 표시하여 퇴적물의 유형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자갈, 모래, 실트, 클레이의 함량이 각각 어느 정도인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퇴적물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1개월 혹은 2개월 정도의 단기 관측으로 얻어진 평균해면 이나 조화상수는 주로 어떤 자료를 참조하여 년 평균 값으로 보정하여 사용하는가?

  1. 주변 해역 관측치 평균
  2. 과거 동일지점의 관측 자료
  3. 인근 표준항 자료
  4. 주변 해역의 비조화 상수
(정답률: 75%)
  • 단기 관측으로 얻어진 평균해면이나 조화상수는 지역적인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보정이 필요합니다. 이 때, 인근 표준항 자료를 참조하여 년 평균 값으로 보정하여 사용합니다. 인근 표준항 자료는 해당 지역과 비슷한 기후적 조건을 가진 인근 지역에서 수집된 자료로, 해당 지역의 기후를 대표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따라서 인근 표준항 자료를 사용하여 보정하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연안용승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바람의 방향은?

  1. 북서풍
  2. 북동풍
  3. 남서풍
  4. 남풍
(정답률: 63%)
  •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연안용승이 일어날 때는 일반적으로 남풍이 불기 때문입니다. 남풍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바람이 불기 때문에 바다에서 유입되는 물이 많아져서 연안용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남풍"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저질 조사를 위하여 채취한 시료의 최초 지지력(Initial rigidity)을 측정하는 장치는?

  1. Viscosimeter
  2. Picnometer
  3. Sediment Analyzer
  4. Sedigraph
(정답률: 56%)
  • Viscosimeter는 저질 조사를 위해 채취한 시료의 점성을 측정하는 장치로, 시료의 최초 지지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료의 밀도나 입자 크기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지만, 최초 지지력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위성 탑재 센서 중에서 해수색을 측정하는 것은?

  1. AVHRR
  2. CZCS
  3. TM
  4. IR
(정답률: 68%)
  • CZCS는 Coastal Zone Color Scanner의 약자로, 해안 지역의 색상을 측정하여 해수색을 파악하는 센서입니다. 따라서 CZCS가 해수색을 측정하는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대기의 창에 해당되는 파장은?

  1. 10㎛
  2. 10mm
  3. 10cm
  4. 10m
(정답률: 66%)
  • 대기의 창은 가시광선과 자외선을 통과시키고 적외선과 마이크로파를 차단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파장이 10㎛인 것은 적외선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10mm, 10cm, 10m은 모두 대기의 창과는 관련이 없는 길이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수온-염분도표(T-S diagram)로 부터 알 수 없는 것은?

  1. 심층해수 순환
  2. 수직 안정도
  3. 수괴의 혼합
  4. 대기나 해저에 의한 수괴의 변질
(정답률: 72%)
  • 수온-염분도표(T-S diagram)로는 대기나 해저에 의한 수괴의 변질을 알 수 없습니다. 이는 수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대기나 해저의 영향을 받아 수온-염분도표에서 예측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수괴의 혼합과 수직 안정도는 수온-염분도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층해수 순환은 수온-염분도표에서 관찰될 수 있는 현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해양의 일차생산율은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다음 일차 생산율을 알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방출되는 산소량의 측정
  2. pH의 변화측정
  3. 일조량 측정
  4. 14C에 의한 CO2의 섭취량 측정
(정답률: 55%)
  • 일조량 측정은 해양의 일차생산율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가 아니다. 일조량은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지만, 일차생산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광합성 작용에 의해 생산되는 산소량, pH의 변화, 14C에 의한 CO2의 섭취량 등을 측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조석의 조화분석시에 실용적으로 매우 중요한 4개 주요 분조가 맞는 것은?

  1. M2 S2 N2 K2
  2. K1 O1 P1 Q1
  3. M2 S2 P1 Q1
  4. M2 S2 K1 O1
(정답률: 58%)
  • 조석의 조화분석시에 실용적으로 매우 중요한 4개 주요 분조는 M, S, K, O이다. 이 중 M은 금속, S는 황, K는 칼륨, O는 산소를 나타내며, 이들의 비율과 양을 분석하여 물질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M2 S2 K1 O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해저지형의 관찰로 대양저산맥의 확장을 연구하려 한다. 다음 중 어떤 기기가 가장 적당한가?

  1. 수중카메라
  2. 측면주사 음향탐사기
  3. 음향측심기
  4. 해상중력계
(정답률: 66%)
  • 측면주사 음향탐사기는 해저지형을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기기로, 수심이 깊은 해저에서도 높은 해상도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음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빛이 없는 어두운 해저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양저산맥의 확장을 연구하기에 가장 적합한 기기입니다. 수중카메라는 해저지형을 관찰하는 데는 적합하지만, 깊은 수심에서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음향측심기는 수심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기이며, 해상중력계는 해저 지형의 중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해수중의 부유입자(플랑크톤 포함)를 크기별로 계수하는데 사용하는 기기는?

  1. flowmeter
  2. coulter counter
  3. side-scam sonar
  4. scintillation counter
(정답률: 64%)
  • 해수중의 부유입자를 크기별로 계수하는데는 coulter counter가 사용됩니다. 이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는 기술로, 입자가 흐르는 용액을 통과시켜 전기장을 가하면 입자가 전기장을 통과하는 동안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합니다. 이를 측정하여 입자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oulter counter는 정확하고 빠른 부유입자 계수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정밀측심기(PDR)는 다음 중 어느 측심기(echo sounder)에 해당되는가?

  1. Narrow-beam echo sounder
  2. Intermediate-beam echo sounder
  3. Wide-beam echo sounder
  4. Beam 과는 관계 없음
(정답률: 55%)
  • 정밀측심기(PDR)는 "Narrow-beam echo sounder"에 해당된다. 이는 좁은 빔을 이용하여 물속의 바닥 형태와 깊이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측심기이기 때문이다. 반면, "Intermediate-beam echo sounder"와 "Wide-beam echo sounder"는 더 넓은 빔을 이용하여 더 넓은 영역을 측정하는 측심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해저열수 화산활동으로 인해 주로 공급되는 성분이 아닌 것은?

  1. 황화물
  2. 메탄
(정답률: 55%)
  • 해저열수와 화산활동으로 인해 공급되는 성분은 철, 황화물, 메탄이다. 그러나 납은 지하수나 지하광산에서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며, 해저열수나 화산활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국제해양학 위원회는 정확한( ⓐ )량을 미리 정하여 이를 전세계 해양관측 자료분석에 제공하여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북대서양 중앙부의 해수를 채취하여 약 ( ⓑ )mℓ의 량을 유리 앰플에 넣어 배부 사용하고 있고 이를 ( ⓒ )라 한다. 각 괄호 안에 해당하는 것은?

  1. ⓐ 산소,ⓑ 230, ⓒ 표준해수(normal sea water)
  2. ⓐ 밀도,ⓑ 1,000, ⓒ 표준해수(normal sea water)
  3. ⓐ 온도,ⓑ 500, ⓒ Copenhagen sea water
  4. ⓐ 염소,ⓑ 230, ⓒ 표준해수(normal sea water)
(정답률: 64%)
  • 해양에서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인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복잡한 환경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측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국제해양학 위원회는 해양관측 자료분석에 사용될 정확한 측정량을 미리 정하여 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국제해양학 위원회에서는 염소를 정확하게 측정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염소는 해양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염분 중 하나이며, 해양의 염분 농도를 측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북대서양 중앙부의 해수를 채취하여 약 230mℓ의 량을 유리 앰플에 넣어 배부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제해양학 위원회에서 정한 측정량입니다.

    ⓒ 이 측정량을 표준해수(normal sea water)라고 합니다. 표준해수는 국제해양학 위원회에서 정한 염분 농도와 온도, 압력 등의 조건을 갖춘 해수로, 해양과 관련된 연구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수심이 깊은 해역의 10km 떨어진 두 정점사이에서 해수면의 높이의 차가 10cm라고 하면 유속은 얼마인가? (단, 대기의 영향은 무시하고, f=10-4/sec, g=1,000cm/sec2로 가정한다.)

  1. 0.1 cm/sec
  2. 1.0 cm/sec
  3. 10 cm/sec
  4. 100 cm/sec
(정답률: 54%)
  • 유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f/g) * d * h

    여기서, f는 코리올리 효과의 강도, g는 중력 가속도, d는 두 점 사이의 거리, h는 해수면의 높이 차이이다.

    따라서, v = (10^-4/1000) * 10000 * 0.1 = 1 cm/sec

    따라서, 정답은 "1.0 c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항구중 만조가 가장 늦게 나타나는 곳은?

  1. 목포
  2. 군산
  3. 인천
  4. 진남포
(정답률: 67%)
  • 진남포는 부산 남구에 위치한 항구로, 서해와 동해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조수류와 만조가 매우 복잡하게 작용하여 만조가 가장 늦게 나타나는 항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표준수심(standard depth)을 m로 나타낸 것은?

  1. 0, 20, 40, 60, 80,100, ....
  2. 10, 30, 50, 70, 90, 110, ....
  3. 0, 50, 100, 150, 200, 250, ....
  4. 0, 10, 20, 30, 50, 75, .....
(정답률: 78%)
  • 정답은 "0, 10, 20, 30, 50, 75, ....." 이다. 이는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표준수심이 10의 배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50m 이하에서는 10m 간격으로, 50m 이상에서는 25m 간격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0m, 10m, 20m, 30m, 50m, 75m 등이 표준수심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해양에서 위치 측정을 위해 현대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장비는?

  1. Radar
  2. Secstant
  3. GPS
  4. Trisponden
(정답률: 73%)
  • GPS는 위성을 통해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비로, 다른 보기들인 Radar, Secstant, Trisponden은 모두 위치 측정에 사용되지만 GPS보다 정확도와 편의성 면에서 뒤쳐지기 때문에 현대에서는 GPS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어느 선박에서 음향 측심기로 음파를 발신하여 수신할 때 까지의 시간이 10초 였을때 수심은? (단, 해수 중의 음파속도는 약 1,500m/sec이며, 수면에서 송수파기까지의 길이는 3m였다.)

  1. 15,003m
  2. 7,497m
  3. 14,997m
  4. 7,503m
(정답률: 56%)
  • 음파가 발신된 후 수신될 때까지의 시간은 음파가 왕복하는 시간이므로, 실제로는 음파가 이동한 거리의 절반을 구해야 한다. 따라서 음파가 이동한 거리는 다음과 같다.

    음파가 이동한 거리 = 음파속도 × 시간 / 2
    = 1,500 × 10 / 2
    = 7,500m

    하지만 이 거리에는 수면에서 송수파기까지의 길이인 3m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실제 수심은 다음과 같다.

    수심 = 음파가 이동한 거리 - 수면에서 송수파기까지의 길이
    = 7,500 - 3
    = 7,497m

    따라서 정답은 "7,49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해수의 수질분석

61. 다음 중 해수와 퇴적물의 유기인이나 PCB 분석용 시료의 보관에 적당한 용기는?

  1. 저밀도(low density) 폴리에틸렌병
  2. 고밀도(high density) 폴리에틸렌병
  3. PVC 재질병
  4. 경질 유리병
(정답률: 52%)
  • 해수와 퇴적물의 유기인이나 PCB 분석용 시료는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보존성이 높은 용기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경질 유리병이 적합한데, 이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높은 온도나 압력에도 견딜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유기화합물이나 PCB 등의 유해물질이 용기에 흡착되거나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 저밀도 폴리에틸렌병과 고밀도 폴리에틸렌병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PVC 재질병은 유해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흡광도 분석에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착색물질, 유기물질, 현탁물질 등의 공존
  2. 흡광도를 측정해야 할 발색물질의 안정성
  3. 분석실의 조도
  4. 온도, pH, 반응시간 등의 발색조건
(정답률: 64%)
  • 분석실의 조도는 흡광도 분석에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이는 흡광도 분석에서 측정하는 것은 빛의 흡수량이기 때문에, 분석실의 조도가 높아도 측정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흡광도 분석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해양환경공정 시험방법으로 Ni를 정량할 때 일반적인 Ni의 유효 측정 범위는?

  1. 검출한계∼10㎍ Ni/ℓ
  2. 검출한계∼20㎍ Ni/ℓ
  3. 검출한계∼50㎍ Ni/ℓ
  4. 검출한계∼100㎍ Ni/ℓ
(정답률: 53%)
  • Ni의 일반적인 농도 범위는 매우 넓기 때문에, 해양환경공정 시험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검출한계∼100㎍ Ni/ℓ의 유효 측정 범위를 사용합니다. 이 범위는 Ni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도 검출할 수 있으며, 농도가 높은 경우에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범위는 일반적인 해양환경에서 Ni의 농도가 나타나는 범위와 유사하기 때문에 적절한 범위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퇴적물의 입자구분과 파이(φ)로 나타낸 입자직경을 서로 연결시킨 것들 중 틀린 것은?

  1. 조립사 -- 0∼1ø
  2. 세립사 -- 3ø
  3. 미세립사 -- 4ø
  4. 실트(silt) -- 6ø
(정답률: 62%)
  • 실트는 입자직경이 4~63μm인 입자로 분류되는데, φ로 나타내면 2.5~-1.5φ에 해당한다. 따라서 "실트(silt) -- 6ø"는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원자흡광광도법을 위한 용매추출법(전처리방법) 중 사용되는 시약의 용도가 잘못된 것은?

  1. DDTC : 금속과 착화합물 형성
  2. MIBK : 착색제
  3. 구염산이암모늄 : 금속수산화물의 침전방지
  4. 메타크레졸퍼플 알콜용액 : 지시약
(정답률: 57%)
  • MIBK는 용매추출법에서 유기화합물을 추출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착색제로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MIBK : 착색제는 용도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해수의 COD 분석용 시료를 보관할 때 4℃에서 냉장보관하는 이유는?

  1. 보관중 COD 성분이 휘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 침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3. 해수중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4. 용기벽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답률: 69%)
  • 해수중 미생물은 COD 성분을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시료를 냉장보관하여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하여 COD 성분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규산염 착화합물의 정량을 위한 분광광도계의 파장의 범위로 맞는 것은?

  1. 220 ∼ 450nm
  2. 400 ∼ 700nm
  3. 450 ∼ 900nm
  4. 900 ∼ 1,500nm
(정답률: 53%)
  • 규산염 착화합물은 UV-Vis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정량할 수 있습니다. 이 때, UV 영역에서는 규산염 착화합물의 흡수가 매우 강하므로 정량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UV 영역을 제외한 Vis 영역에서 측정을 하게 되는데, 이 때 파장의 범위는 400 ~ 700nm 정도입니다. 그러나 이 범위에서는 다른 물질들의 흡수도 있기 때문에 규산염 착화합물의 정량을 위해서는 더 넓은 파장 범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450 ~ 900nm의 파장 범위를 사용하여 측정을 하게 됩니다. 이 범위에서는 규산염 착화합물의 흡수가 강하게 나타나므로 정량에 적합합니다. 900 ~ 1500nm의 파장 범위는 NIR 영역으로, 규산염 착화합물의 흡수가 거의 없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HEPA 여과시설 및 수평기류가 가능한 청정시설이 필수적인 해수 중 성분은?

  1. 총 유기탄소
  2. 질산 질소
  3. 미량금속성분
  4. 유기인
(정답률: 51%)
  • 미량금속성분은 해수 중에 존재하는 미량의 금속성분으로, 이러한 미량금속성분은 환경오염물질로 인식되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HEPA 여과시설 및 수평기류가 가능한 청정시설이 필수적입니다. 총 유기탄소와 유기인은 해양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이며, 질산 질소는 해양생태계의 질소 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페놀류의 측정방법은 4-아이소안티피린과 페리시안화 칼륨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안티피린계색소의 흡광광도를 측정한다. 이 때 사용되는 파장의 길이는?

  1. 245nm
  2. 436nm
  3. 460nm
  4. 515nm
(정답률: 54%)
  • 페놀류의 측정방법에서 사용되는 안티피린계색소의 최대 흡광파장은 460nm이다. 이는 4-아이소안티피린과 페리시안화 칼륨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안티피린계색소의 흡광스펙트럼에서 최대값이 나타나는 파장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파장에서 측정을 하면 가장 높은 감도로 페놀류를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ICP-MS에 의한 측정이 적절하지 않은 성분은?

  1. Pb
  2. Cu
  3. As
  4. Zn
(정답률: 48%)
  • "As"는 ICP-MS에 의한 측정이 적절하지 않은 성분입니다. 이는 As가 ICP-MS에서 매우 높은 증발온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s는 ICP-MS에서 증발되지 않고 측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규산염 측정을 위한 시료가 부유물질 등에 의한 혼탁도가 심한 경우, 취해야 할 처리방법은?

  1. 가라앉혀 상등액만을 사용한다.
  2. 끓인다
  3. Nuclepure여과지로 여과하여 분석한다.
  4. 원심분리 초음파 처리한다.
(정답률: 63%)
  • 부유물질 등에 의한 혼탁도가 심한 경우, 가라앉혀 상등액만을 사용하면 정확한 측정이 어렵고, 끓이거나 원심분리 초음파 처리를 하면 시료의 성질이 변화하여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Nuclepure여과지로 여과하여 분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처리 방법입니다. Nuclepure여과지는 미세한 입자를 효과적으로 걸러내는 필터로, 시료를 여과하여 규산염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암모니아 질소성분 분석시 최종 생성물인 인도페놀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때, 분석오차를 줄이기 위한 적절한 pH값은 어느 것인가?

  1. pH 2
  2. pH 5
  3. pH 7.8
  4. pH 10.8
(정답률: 54%)
  • 인도페놀은 pH 10.8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므로, 이 pH에서 측정하면 분석오차를 줄일 수 있다. 다른 pH에서는 인도페놀의 흡광도가 낮아지거나 변화하기 때문에 적절한 pH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윙클러법에 의한 해수중의 용존산소 측정에서 산소 고정시약을 넣고 흔들어 주었을 때 수산화 망간의 갈색 침전이 생성된다. 이 망간의 원자가는?

  1. +1
  2. +3
  3. +5
  4. +7
(정답률: 66%)
  • 산화망이 +3인 수산화 망간(MnO2)이 산소 고정시약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윙클러법에 의한 해수중의 용존산소 측정에서 산소 고정시약을 넣고 흔들어 주었을 때 생성되는 망간의 원자가는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ICP-MS 를 이용하여 중금속 분석을 할 때 사용되는 Ar(알곤) 기체의 순도로 적절한 것은?

  1. 70%
  2. 80%
  3. 90%
  4. 99.999%
(정답률: 74%)
  • ICP-MS 분석에서는 매우 높은 정밀도와 감도가 필요하므로 Ar 기체의 순도는 매우 중요합니다. Ar 기체의 순도가 높을수록 분석 결과의 정확도와 신뢰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ICP-MS 분석에서는 일반적으로 99.999% 순도의 Ar 기체가 사용됩니다. 이는 다른 순도의 기체에 비해 불순물이 매우 적기 때문에 정밀하고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해수의 pH 측정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pH는 해수의 온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진다.
  2. pH는 25℃, 대기압하에서 측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항온조에 넣어서 온도를 25℃로 맞춘 후에 측정한다.
  3. pH 7 표준용액이 없으면 pH 4와 9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pH 미터를 검정(calibration)하여도 상관없다.
  4. 유리전극은 사용하지 않을 때 물에 담그어 보관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58%)
  • "pH 7 표준용액이 없으면 pH 4와 9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pH 미터를 검정(calibration)하여도 상관없다."가 틀린 설명이다. pH 미터를 검정할 때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pH 7 표준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pH 4와 9 표준용액만 사용하면 pH 미터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PCB의 측정에 가장 알맞은 분석장비는?

  1. HPLC
  2. 분광광도계
  3. AA
  4. GC-ECD
(정답률: 57%)
  • PCB는 화학물질 중 하나로, GC-ECD (Gas Chromatography-Electron Capture Detector)는 PCB와 같은 화학물질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분석장비이다. GC-ECD는 샘플을 가스상태로 만들어 분석하며, PCB와 같은 화학물질은 전자 포획 검출기(Electron Capture Detector)를 통해 검출된다. 따라서 PCB의 측정에 가장 알맞은 분석장비는 GC-EC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해수 시료 중 Cu성분의 분석에 사용되는 가장 적절한 분석장비는 어느 것인가?

  1. 분광광도계
  2. 원자흡광광도계
  3. 적외선 광도계
  4. 형광 광도계
(정답률: 65%)
  • Cu는 원소 중 하나로, 원자흡광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Cu성분의 분석에는 원자흡광광도계가 가장 적절합니다. 다른 분석장비들은 Cu성분의 특성에 맞지 않거나, 분석 결과의 정확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세키 디스크(Secchi disc)로 재는 해수의 수질 지수는?

  1. 전기전도도
  2. 밀도
  3. 염분도
  4. 투명도
(정답률: 68%)
  • 세키 디스크는 물 속에서 얼마나 멀리 볼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물의 투명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세키 디스크로 재는 해수의 수질 지수는 "투명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반복 측정실험에서 어떤 측정값이 다른 측정값에 비하여 이상하게 나왔을 경우 그 값을 통계 처리할 때 제외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분석기기 편차
  2. 2.5 평균편차 규칙 (2.5d rule)
  3. 4 평균편차 규칙 (4d rule)
  4. 신뢰구간
(정답률: 44%)
  • 분석기기 편차는 측정기기 자체의 오차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크면 측정값이 다른 측정값에 비해 크게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제외 여부를 판단할 때 고려해야 합니다. 2.5 평균편차 규칙과 4 평균편차 규칙은 이상치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이상치를 제외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지 분석기기 편차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신뢰구간은 측정값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상치 판단과는 관련이 있지만 제외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규산규소의 측정시 일차적으로 착화합물을 형성시켜, 분광광도계로 이 착화합물의 최대흡광도를 측정한다. 이 착화합물은 무엇인가?

  1. EDTA 착화합물
  2. 몰리브덴산 착화합물
  3. APDC 착화합물
  4. 피롤리딘 유기착화합물
(정답률: 54%)
  • 규산규소의 측정시에는 몰리브덴산 착화합물이 사용된다. 이는 규산규소와 몰리브덴산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착화합물로, 이 착화합물의 최대흡광도를 분광광도계로 측정함으로써 규산규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EDTA 착화합물, APDC 착화합물, 피롤리딘 유기착화합물은 규산규소 측정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화합물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해양관련법규

81.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선박소유자의 손해배상책임을 제한할 수 있는 경우는 다음의 어느 협약 가입국 선적의 선박 소유자인가?

  1. 1992년 유류오염 민사책임협약
  2. 1982년 유엔해양법협약
  3. 1971년 국제보상기금협약
  4. 1969년 유류오염사고에 대한 공해상 개입에 관한 국제협약
(정답률: 41%)
  • 정답은 "1992년 유류오염 민사책임협약"입니다. 이 협약은 유류오염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을 규정하는데, 선박소유자의 손해배상책임을 제한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는 선박소유자가 적극적으로 오염사고를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을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이 협약은 1992년에 채택되어 현재까지 130여 개국이 가입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해양환경보전 자문위원회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해양환경보전 종합정책수립 심의
  2. 해양환경 보전을 위한 주요사항 조사·연구 심의
  3. 해양오염 피해 예방에 관한 사항 심의
  4. 해양오염사고시 방제조치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심의
(정답률: 41%)
  • 해양환경보전 자문위원회는 해양환경 보전을 위한 다양한 사항들을 심의하고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 중에서도 "해양오염사고시 방제조치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심의"는 자문위원회의 기능이 아닙니다. 이는 해당 계획의 수립과 관련된 업무이기 때문에, 해당 계획을 수립하는 기관이나 담당부서에서 수행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유류오염 손해배상보장법의 적용 범위는?

  1. 대한민국의 영역 및 배타적 경제수역
  2. 대한민국의 접속수역 및 배타적 경제수역
  3. 대한민국의 내수 및 접속수역
  4. 대한민국의 내수 및 영해
(정답률: 53%)
  • 유류오염 손해배상보장법은 대한민국의 영역 및 배타적 경제수역에서만 적용됩니다. 이는 해당 법이 국가의 해양환경 보호를 목적으로 하며, 대한민국의 영해와 배타적 경제수역이 국가의 관할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접속수역이나 내수는 해당 법의 적용 범위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산적 유류를 화물로서 운송하는 선박 소유자는 몇 톤 이상인 경우 반드시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 계약을 체결 하여야하는가?

  1. 100 톤
  2. 200 톤
  3. 300 톤
  4. 400 톤
(정답률: 57%)
  • 200 톤 이상인 경우 국제해사법에 따라 유류오염사고 발생 시 손해배상책임이 크기 때문에 보험계약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산적 유류를 운송하는 선박 소유자는 200 톤 이상인 경우 반드시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 계약을 체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에서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이 적용되는 유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원유
  2. 중유
  3. 휘발유
  4. 윤활유
(정답률: 44%)
  •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은 유류 중에서도 주로 해양 환경에 발생하는 유류 오염에 대한 보상을 목적으로 한 법률입니다. 따라서 "휘발유"는 유류 중에서도 주로 차량 등에서 사용되는 경유와 구분되는 유류로, 해양 환경에 발생하는 오염에 대한 보상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휘발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해양오염방지법상 정하고 있는 해역관리청으로 해양수산부장관의 관할 해역이 아닌 것은?

  1. 우리나라 배타적 경제수역
  2. 영해 및 접속 수역법에 의한 영해
  3. 항만법 규정에 의한 지정항만
  4. 어항법 규정에 의한 제1종 어항
(정답률: 60%)
  • 해양오염방지법은 해양환경을 보호하고 해양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법률이며, 이를 관리하는 기관으로 해역관리청이 있다. 그러나 영해 및 접속 수역법에 의한 영해는 해양수산부장관의 관할 해역이므로 해양오염방지법상 해역관리청의 관할 범위가 아니다. 따라서 영해 및 접속 수역법에 의한 영해는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공유수면매립의 경우 매립기본계획의 기간단위는 몇 년이며 이에 대한 타당성 검토는 몇년 마다 하게 되어 있는가?

  1. 10년, 5년
  2. 7년, 3년
  3. 5년, 2년
  4. 3년, 1년
(정답률: 59%)
  • 공유수면매립의 경우 매립기본계획의 기간단위는 10년이며, 이에 대한 타당성 검토는 5년 마다 하게 됩니다. 이는 매립지의 안정성과 환경적 영향 등을 평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5년마다 검토함으로써 매립지의 상황 변화를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선박의 오염방지관리인의 업무가 아닌 것은?

  1. 기름기록부 또는 유해액체물질 기록부의 기록 및 보관
  2. 해양오염 방지설비의 설치
  3. 해양오염 방제자재 및 약제 관리
  4. 기름배출 사고시 신속한 신고 및 응급조치
(정답률: 49%)
  • 해양오염 방지설비의 설치는 선박의 오염방지관리인의 업무가 아닙니다. 이는 선박의 설계 및 건조 단계에서 이미 결정되는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박의 오염방지관리인은 설치된 해양오염 방지설비의 유지보수 및 관리를 담당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연안관리법상 연안정비사업의 시행에 소요되는 경비의 부담자는?

  1. 항만시설의 이용자
  2. 연안 어패류 수산조합
  3. 연안 정비사업 시행자
  4. 연안거주 주민
(정답률: 63%)
  • 연안관리법 제30조에 따르면, 연안정비사업의 시행에 소요되는 경비는 연안정비사업 시행자가 부담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안 정비사업 시행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유류오염 손해배상 보장법상 선박소유자 손해배상의 면책이 인정되는 경우는?

  1. 유조선의 감항성이 부족한 경우
  2. 용선자의 상사과실로 발생한 경우
  3. 제3자의 고의만으로 발생한 경우
  4. 타선과 쌍방과실로 충돌한 경우
(정답률: 68%)
  • 제3자의 고의로 인해 발생한 유류오염 사고는 선박소유자의 책임이 아니므로 손해배상 면책이 인정됩니다. 이는 선박소유자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을 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3자의 고의로 인해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제3자의 고의만으로 발생한 경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유류오염 손해배상보장법상 국제기금 분담금 부담자는?

  1. 유조선 정기용선자
  2. 유조선 나용선자
  3. 유조선 소유자
  4. 유류 수령인
(정답률: 49%)
  • 유류오염 손해배상보장법에서는 유류 수령인이 분담금 부담자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유류를 수령한 사람이 해당 유류로 인한 오염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그 손해배상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류 수령인이 분담금 부담자로 지정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해양오염방지협약상 가장 가까운 육지란?

  1. 연안국의 내수선
  2. 연안국의 평수구역
  3. 연안국의 영해기선
  4. 연안국의 항계
(정답률: 55%)
  • 해양오염방지협약에서 가장 가까운 육지는 연안국의 영해기선이다. 이는 해안선으로부터 12해리 이내의 해역을 말하며, 이 지역은 연안국이 관할하고 있는 영역으로 해양오염방지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연안국의 영해기선은 해양오염방지를 위한 감시와 조치를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해양오염방지법 규정에 의해 2명의 오염방지 관리인이 필요한 선박은?

  1. 유해액체물질 선적운반 선박
  2. 초대형급 유조선
  3. 석유탐사선
  4. 해양과학 조사선
(정답률: 68%)
  • 유해액체물질 선적운반 선박은 유해한 액체물질을 운반하는 선박으로, 이러한 물질이 누출될 경우 해양오염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오염방지 관리인이 2명 필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해액체물질을 운반하지 않거나, 그 외의 이유로 오염방지 관리인이 2명 필요하지 않은 선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유류오염 손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방제조치의 비용
  2. 선박 내부의 오염손실
  3. 환경 손상으로 인한 이익상실
  4. 방제조치로 인한 추가손실
(정답률: 55%)
  • 선박 내부의 오염손실은 유류오염 손해와는 관련이 없는 손실로, 선박 내부에서 발생한 오염으로 인한 손해를 말합니다. 따라서 유류오염 손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해양오염방지법상 해역수질 개선을 위한 오염물질의 유입방지시설의 설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하수종말처리시설
  2. 분뇨처리시설
  3. 축산폐수처리시설
  4. 핵폐기물처리시설
(정답률: 64%)
  • 해양오염방지법은 해양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해역수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시설의 설치를 규제하고 있다. 이 중에서 핵폐기물처리시설은 해양오염방지법상 해역수질 개선을 위한 오염물질의 유입방지시설의 설치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핵폐기물이 일반적인 오염물질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핵폐기물은 방사성 물질로 인해 인체에 매우 위험하며, 처리 및 관리에 매우 높은 기술적인 요구사항이 필요하다. 따라서 핵폐기물처리시설은 해양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일반적인 오염물질 유입방지시설과는 별도로 규제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해양오염방지법상 기름오염 비상계획서에 포함될 사항은?

  1. 선박의 방제조치
  2. 물밸러스트 또는 세정수의 배출
  3. 연료유 및 윤활유의 수급
  4. 기름배출 감시 제어장치의 상태
(정답률: 40%)
  • 기름오염 비상계획서는 해양오염방지법상 선박이 기름오염사고를 일으켰을 때 대응하기 위한 계획서이다. 이 계획서에는 선박의 방제조치가 포함되는데, 이는 선박이 기름을 유출한 경우 즉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름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유류오염 손해배상 보장법의 궁극적인 목적은?

  1. 유류오염 피해의 명확하고 합리적인 보상
  2. 유류오염 피해자의 보호와 선박에 의한 유류 운송의 건전한 발전 도모
  3. 유류오염사고가 발생한 선박소유자의 책임을 명확히하여 피해자 보호
  4. 선박에 의한 유류오염사고의 책임한계와 보상기준 설정
(정답률: 50%)
  • 유류오염 손해배상 보장법의 궁극적인 목적은 "유류오염 피해자의 보호와 선박에 의한 유류 운송의 건전한 발전 도모"입니다. 이는 유류오염사고로 인한 피해를 입은 사람들에게 명확하고 합리적인 보상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선박 운송의 안전성과 환경보호를 강화하여 유류 운송의 건전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기름기록부는 최종 기재 후 얼마 동안 보존해야 하는가?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률: 42%)
  • 기름기록부는 선박의 연료 사용량과 관련된 중요한 문서이며, 선박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에 대한 증거자료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선박 운영 중 문제가 발생하거나 검사를 받을 때 기름기록부를 제출해야 하며, 이를 위해 기름기록부는 최종 기재 후 3년간 보존해야 합니다. 이 기간은 관련 법규에서 정한 것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보관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해역별 수질기준 등급중 1등급 해역에 해당되는 화학적 산소요구량(mg/ℓ)은?

  1. 1 mg/ℓ이하
  2. 2 mg/ℓ이하
  3. 3 mg/ℓ이하
  4. 4 mg/ℓ이하
(정답률: 56%)
  • 1등급 해역은 가장 우수한 수질을 가지는 해역으로, 수질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물 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며, 이 값이 낮을수록 물의 질이 우수합니다. 따라서 1등급 해역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최대한 낮아야 하며, 1 mg/ℓ 이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선박으로부터 모든 종류의 오염물질에 의한 해양오염방지사항을 가장 포괄적으로 규제하기 시작한 국제협약은?

  1. OILPOL 1954
  2. INTERVENTION 1969
  3. LC 1972
  4. MARPOL 73/78
(정답률: 65%)
  • MARPOL 73/78은 선박으로부터 모든 종류의 오염물질에 의한 해양오염방지사항을 가장 포괄적으로 규제하기 시작한 국제협약입니다. 이 협약은 선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제한하고, 선박의 운항과 관리에 대한 규제를 제공하여 해양환경을 보호하고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MARPOL 73/78은 다른 보기들보다 더 포괄적인 규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