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4-27)

해양환경기사
(2019-04-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해양학개론

1. 세계 대양의 표층염분은 적도를 중심으로 위도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다. 다음 중 일반적인 표층염분 분포로 볼 때 가장 높은 곳은?

  1. 열대의 해양
  2. 온대의 해양
  3. 한대의 해양
  4. 아열대의 해양
(정답률: 78%)
  • 정답: 아열대의 해양

    해설: 아열대의 해양은 적도 지역에서 매우 높은 염분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증발과 강류로 인해 염분이 농축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한대의 해양은 저위도 지역에서 높은 염분을 가지고 있지만, 아열대의 해양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온대의 해양은 중위도 지역에서 가장 낮은 염분을 가지고 있으며, 열대의 해양은 아열대와 비슷한 수준의 염분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해수가 증발할 때, 염분이 증가함에 따라 화합물은 일련의 과정으로 침전한다. 그 중 첫 번째 침전물은?

  1. 석고
  2. 탄산칼슘
  3. 황산칼슘
  4. 돌로마이트(dolomite)
(정답률: 87%)
  • 해수가 증발하면서 염분이 농축되면, 칼슘과 탄산 이온이 결합하여 탄산칼슘이 침전한다. 이는 바다에서 살아있는 생물들이 만들어내는 석고나 바위에서 발견되는 돌로마이트와는 다른 화합물이다. 따라서 첫 번째 침전물은 "탄산칼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해파가 해안에 접근할 때 파봉이 해안선에 평행하게 되는 현상은 무엇 때문인가?

  1. 간섭
  2. 굴절
  3. 반사
  4. 회절
(정답률: 89%)
  • 해파가 해안에 접근할 때 파동의 속도가 느려지면서 파동의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굴절 현상입니다. 이 때 파동이 해안선에 평행하게 되는 것은 파동이 굴절되면서 진행 방향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해저확장설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해저는 확장되지 않고 소멸만 되고 있다.
  2. 대양의 화산섬들의 연령은 대양저산맥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3. 약 2억 ~ 2억 5천만년 내에 대양저지각의 완전한 순환이 일어난다.
  4. 대양저산맥이란 해저지각이 상승, 해저가 양쪽으로 확장하는 곳이다.
(정답률: 95%)
  • 정답은 "해저는 확장되지 않고 소멸만 되고 있다." 이다. 이유는 해저지각은 대륙지각과 달리 지각의 형성과 소멸이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해저지각이 확장되는 것은 맞지만 그 과정에서 일부 지각이 소멸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저지각은 확장과 소멸이 동시에 일어나며, 확장과 소멸의 균형이 유지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태풍 통과 시 태풍 중심부의 해양표면수온은?

  1. 상승한다.
  2. 하강한다.
  3. 변화가 없다.
  4. 하강할 경우와 상승할 경우가 각각 절반정도이다.
(정답률: 85%)
  • 태풍이 지나가면서 바람과 파도 등의 영향으로 해수면이 교란되어 해양 중층의 차가운 물이 위층으로 올라오게 되어 해수면 온도가 하강하게 됩니다. 따라서 태풍 통과 시 태풍 중심부의 해양표면수온은 "하강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아열대 환류에 속하지 않는 해류는?

  1. 적도반류
  2. 북적도 해류
  3. 쿠로시오 해류
  4. 캘리포니아 해류
(정답률: 67%)
  • 아열대 환류는 적도 부근에서 발생하는 해류를 말하는데, 그 중에서도 적도반류는 적도 부근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해류입니다. 따라서 아열대 환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좁은 해협(폭 b=100m, 수심 h=30m)으로 연결된 간단한 지형을 갖는 만(표면적 A=50km2)에서 반일주조(주기 T= 12.5시간)의 조차가 2.0m라 할 때 해협에서의 시간평균 유속 V는?

  1. 약 1.5m/sec
  2. 약 2.0m/sec
  3. 약 2.5m/sec
  4. 약 3.0m/sec
(정답률: 69%)
  • 해협에서의 유속은 조차와 관련이 있으므로, 유속을 구하기 위해서는 조차의 속력을 먼저 구해야 한다. 조차의 속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조차의 속력 = 조차의 주기 / 조차의 파장

    조차의 주기는 12.5시간이고, 조차의 파장은 만의 길이와 같으므로 50km이다. 따라서,

    조차의 속력 = 50km / 12.5시간 = 4km/시간 = 4000m/시간

    해협에서의 유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Q / A

    여기서 Q는 유량이고, A는 해협의 면적이다. 유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b * h * 조차의 속력

    해협의 폭은 100m이고, 수심은 30m이므로,

    Q = 100m * 30m * 4000m/시간 = 12,000,000m3/시간

    따라서,

    V = 12,000,000m3/시간 / 50km2 = 1.5m/초

    따라서, 해협에서의 시간평균 유속은 약 1.5m/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석유가 매장되어 있을 수 있는 기본적인 지층구조 및 퇴적층이 아닌 것은?

  1. 사암
  2. 석회암
  3. 심해저 점토층
  4. 솔트 돔(Salt dome)
(정답률: 82%)
  • 석유는 주로 사암, 석회암, 솔트 돔 등의 퇴적층에 매장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심해저 점토층은 매장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이는 점토층이 고온과 고압에 노출될 경우 석유를 생성하는 화학 반응에 필요한 유기물이 파괴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심해저 점토층은 석유 매장 가능성이 거의 없는 지층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염분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밀도 측정
  2. 색소 측정
  3. 염소량 측정
  4. 전기전도도 측정
(정답률: 84%)
  • 색소 측정은 염분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물질의 색깔을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열점(Hot Spot)의 근원적 위치는?

  1. 약권
  2. 암석권
  3. 저속도층
  4. 하부맨틀
(정답률: 88%)
  • 열점은 지구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는 지점으로, 이는 하부맨틀에서 발생합니다. 하부맨틀은 지구의 맨 아래쪽에 위치한 지각층으로, 지구 내부에서 가장 뜨거운 영역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열점의 근원적 위치는 하부맨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양의 표면염분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바람분포
  2. 수온분포
  3. 심층해류
  4. 증발-강수량의 차
(정답률: 92%)
  • 해양의 표면염분은 증발과 강수량의 영향을 받습니다. 증발-강수량의 차이가 클수록 증발이 강하고 강수량이 적어져 염분 농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증발-강수량의 차이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입니다. 바람분포, 수온분포, 심층해류는 모두 해양의 염분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증발-강수량의 차이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형류인 서안경계해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이 차갑다.
  2. 유속이 빠르다.
  3. 연안용승이 없다.
  4. 멕시코만류가 해당된다.
(정답률: 76%)
  • "물이 차갑다."는 서안경계해류에 대한 설명과는 무관합니다. 서안경계해류는 유속이 빠르고 연안용승이 없으며 멕시코만류가 해당됩니다. 따라서 "물이 차갑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잔류 퇴적물(relict sediment)은 다음 중 어떤 현상에서 유래한 것인가?

  1. 태풍
  2. 조산운동
  3. 지진해일
  4. 빙하작용에 의한 해수면 변동
(정답률: 74%)
  • 잔류 퇴적물은 빙하작용에 의한 해수면 변동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빙하가 얼음으로 덮인 지역에서는 해수면이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해안 지역에서는 이전에 바다였던 지역이 노출되어 퇴적물이 쌓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서 잔류 퇴적물이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용승(upwelling)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저층의 물이 표면으로 올라오는 현상이다.
  2. 용승지역은 영양염과 먹이생물이 풍부하다.
  3. 연안에 평행한 바람이 불면 어디서나 용승이 일어난다.
  4. 적도용승은 에크만수송에 의한 표층수의 발산역에서 일어난다.
(정답률: 87%)
  • "연안에 평행한 바람이 불면 어디서나 용승이 일어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용승은 바람이 일어나는 지역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해류나 지형적인 요인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지각에 분포하는 광물의 큐리온도(Curie point)는 대략 어느 정도인가?

  1. 250 ~ 450℃
  2. 450 ~ 600℃
  3. 600 ~ 750℃
  4. 1000℃ 이상
(정답률: 83%)
  • 광물의 큐리온도는 해당 광물이 자기장에 노출되었을 때 자기적으로 발생하는 열을 측정하여 결정된다. 대부분의 광물은 250 ~ 450℃ 사이에서 큐리온도를 가지지만, 일부 광물은 450 ~ 600℃ 사이에서 큐리온도를 가진다. 따라서 정답은 "450 ~ 6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해양열수지를 결정하는 인자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운열
  2. 잠열
  3. 현열
  4. 복사열
(정답률: 74%)
  • 운열은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열 전달 현상으로, 해양열수지를 결정하는 인자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해양열수지를 결정하는 인자는 잠열, 현열, 복사열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Thermosteric anomaly(△s,t, δT)200은 수온 0℃, 염분 35 psu의 해수에 비하면 해수가 얼마나 더 많은가?

  1. 100g 당 100ℓ
  2. 100g 당 200ℓ
  3. 1000㎏ 당 200㎖
  4. 1000㎏ 당 2000㎖
(정답률: 75%)
  • Thermosteric anomaly(△s,t, δT)200은 수온이 0℃에서 35 psu의 염분을 가진 해수에서 1㎠3의 부피가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이 200㎖라는 것은 1㎠3의 해수가 200㎖만큼 더 커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000㎏의 해수가 얼마나 더 많은지를 구하기 위해서는 1㎥(1000ℓ)의 해수가 얼마나 더 많은지를 구하면 됩니다.

    1㎥(1000ℓ)의 해수는 1000kg입니다. 따라서, 1000㎏ 당 200㎖의 해석은 1000kg의 해수가 200㎖만큼 더 커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수온이 0℃에서 35 psu의 염분을 가진 해수에 대해 Thermosteric anomaly(△s,t, δT)200이 200㎖일 때, 1000kg의 해수는 200㎖만큼 더 커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망간각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해역은?

  1. 인도양
  2. 북대서양
  3. 남동태평양
  4. 북서태평양
(정답률: 80%)
  • 망간은 해저에서 많이 발견되며, 북서태평양은 해저면적이 가장 넓은 해역으로 망간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지역 중 하나이다. 따라서 북서태평양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Kelvin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진행속도는 수심에 관계된다.
  2. 조석파가 전파될 때 나타난다.
  3. 지구자전의 영향으로 나타난다.
  4. 북반구에서 해면변화는 파의 진행방향에서 왼쪽이 제일 크다.
(정답률: 82%)
  • "조석파가 전파될 때 나타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Kelvin파는 지구자전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파동으로, 북반구에서는 파의 진행방향에서 왼쪽이 제일 큰 해면변화가 나타납니다. 이는 지구자전으로 인해 북반구에서는 오른쪽으로 흐르는 해류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Kelvin파의 진행속도는 수심에 따라 달라지며, 조석파와는 다른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저탁류를 3등분(머리-몸통-꼬리) 했을 때 어느 곳의 속도가 가장 빠른가?

  1. 머리
  2. 몸통
  3. 꼬리
  4. 전부 동일
(정답률: 84%)
  • 몸통 부분의 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이는 머리와 꼬리 부분이 물속에서 움직이는 방식과 다르기 때문입니다. 머리와 꼬리 부분은 물을 밀어내는 움직임을 하지만, 몸통 부분은 물을 흡수하고 다시 밀어내는 움직임을 하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해양생태학

21. 저서생물의 유생기 이름이 아닌 것은?

  1. veliger
  2. nauplius
  3. copepodid
  4. pluteus
(정답률: 58%)
  • "Veliger", "nauplius", and "pluteus" are all larval stages of various marine invertebrates, while "copepodid" is a developmental stage specific to copepods, a type of small crustacean.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암반 조간대 생물이 간조 시 수분 손실 방지를 위해 취하는 행동은?

  1. 바위에 부착하는 면적을 가능한 크게 한다.
  2. 패각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거나 색깔을 어둡게 한다.
  3. 서로 밀착하여 서식하면서 패각이나 덮개판을 굳게 닫는다.
  4. 다른 부착생물들과 독립적으로 생활한다.
(정답률: 82%)
  • 암반 조간대 생물은 바위에 부착되어 살기 때문에 수분 손실이 크다. 따라서 서로 밀착하여 서식하면서 패각이나 덮개판을 굳게 닫는 것은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이렇게 하면 바위와 생물 사이에 공간이 줄어들어 수분이 쉽게 증발하지 않고 보존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온대지역 하구역 생태계에서 1차 생산자에 속하지않는 것은?

  1. 맹그로브
  2. 염습지 식생
  3. 잘피숲(거머리말)
  4. 식물플랑크톤
(정답률: 74%)
  • 맹그로브는 염분에 강한 나무로서, 염분이 많은 해안 지역에 서식한다. 하지만 맹그로브는 1차 생산자가 아니며, 오히려 다른 생물들이 이용하는 서식지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온대지역 하구역 생태계에서 1차 생산자에 속하지 않는 것은 맹그로브이다. 반면, 염습지 식생, 잘피숲(거머리말), 식물플랑크톤은 모두 1차 생산자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온대해역에서 여름철에 기초생산이 저하되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온약층이 생긴다.
  2. 수온이 높다.
  3. 광선이 부족하다.
  4. 표층의 영양염이 고갈된다.
(정답률: 82%)
  • 광합성을 위해서는 광선이 필요한데, 광선이 부족하면 식물이나 조류 등이 생산량이 감소하여 기초생산이 저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부유생물의 부유적응이 아닌 것은?

  1. 긴 돌기를 갖는다.
  2. 군체를 이룬다.
  3. 체표면적을 작게 한다.
  4. 납작한 체형을 갖는다.
(정답률: 75%)
  • 부유생물이 체표면적을 작게 하는 이유는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작은 체표면적은 물과의 접촉면이 작아져서 물의 저항을 줄여주기 때문에 부유생물은 체표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부유적응의 중요한 전략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해양의 부영양화 현상과 가장 관계가 먼 오염물질은?

  1. 생활하수
  2. 농수축산 배수
  3. 분뇨와 쓰레기
  4. 방사성 폐기물
(정답률: 90%)
  • 해양의 부영양화 현상은 주로 질소와 인이 과다하게 배출되어 발생하는데, 이는 생활하수, 농수축산 배수, 분뇨와 쓰레기 등이 원인이 됩니다. 하지만 방사성 폐기물은 해양의 부영양화 현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방사성 폐기물은 해양 생태계에 매우 위험한 영향을 미치며, 해양 생태계와 인간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대형 갈조류의 서식 요건이 아닌 것은?

  1. 단단한 기저부
  2. 맑은 물
  3. 높은 수온
  4. 풍부한 영양염
(정답률: 71%)
  • 대형 갈조류는 주로 낮은 수온에서 서식하는데, 높은 수온에서는 생존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높은 수온"은 대형 갈조류의 서식 요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바다 표면에 투사되는 광선의 강도와 유광층의 깊이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유생물의 종조성
  2. 해역의 위도와 하루 중의 시각
  3. 물의 투명도
  4. 광선의 입사각
(정답률: 73%)
  • 해역의 위도와 하루 중의 시각, 물의 투명도, 광선의 입사각은 모두 바다 표면에 투사되는 광선의 강도와 유광층의 깊이를 결정하는 요인이다. 하지만 부유생물의 종조성은 유광층의 깊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부유생물의 종조성은 바다 생태계와 관련된 요인으로, 바다 생태계의 건강 상태와 연관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조하대에 발달한 잘피군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안생물의 은신처로서 기능을 한다.
  2. 파랑으로부터 연안역의 침식을 방지한다.
  3. 해양식물이므로 포자로 번식을 한다.
  4. 해양식물이지만 뿌리, 줄기, 잎이 분화되어 있는 고등식물이다.
(정답률: 77%)
  • 해양식물이므로 포자로 번식을 한다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조하대에 발달한 잘피군락은 해조류 중 하나로, 뿌리, 줄기, 잎이 분화되어 있는 고등식물입니다. 따라서 번식은 씨앗으로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해양생물 중 먹이망에서 중금속이 축적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무리는?

  1. 요각류
  2. 어류
  3. 규조류
  4. 단각류
(정답률: 79%)
  • 어류는 다른 해양생물에 비해 크기가 크고 오래 살아남는 특징이 있어서 중금속이 축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어류는 먹이사슬의 꼭대기에 위치하여 하위 생물들이 축적한 중금속을 함께 섭취하게 되어 중금속 농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해양생태계에서 생물군집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무기물을 산화하는 산화자
  2. 유기물을 생산하는 생산자
  3. 유기물을 소비하는 소비자
  4. 유기물을 분해하여 무기물로 환원하는 분해자
(정답률: 83%)
  • 정답: "무기물을 산화하는 산화자"

    해설: 해양생태계에서 생물군집의 구성요소는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유기물을 생산하거나 소비하거나 분해하여 해양 생태계의 생태적 상호작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무기물을 산화하는 산화자"는 생물군집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생물이 아닌 화학적인 반응으로서, 무기물을 산화시켜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는 생물군집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어류 지느러미 중 추진력을 담당하는 지느러미는?

  1. 등지느러미
  2. 뒷지느러미
  3. 꼬리 지느러미
  4. 기름 지느러미
(정답률: 86%)
  • 꼬리 지느러미는 어류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지느러미 중 가장 큰 지느러미로, 물속에서 빠른 속도로 수영할 때 추진력을 발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어류의 이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큰 생물로 알려진 대왕고래는 수염고래류에 속하며 이들은 커다란 입을 가지나 이빨이 없고, 술 장식의 고래수염(baleen)이라는 기관을 갖는다. 이 기관의 기능은?

  1. 음파를 받아들이는 기관이다.
  2. 호흡기관이다.
  3. 수중의 동물플랑크톤을 걸러낸다.
  4. 수중의 소리를 발생하는 기관이다.
(정답률: 90%)
  • 고래수염은 수중의 동물플랑크톤을 걸러내는 기관입니다. 이를 위해 고래는 입을 벌리고 수영하면서 물을 삼키는데, 이때 고래수염이 플랑크톤을 걸러내고 물은 다시 입에서 나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변삼투압성 어류에 해당하는 것은?

  1. 먹장어
  2. 칠성장어
  3. 고등어
  4. 전갱이
(정답률: 65%)
  • 변삼투압성 어류는 해양생물학에서 어류의 분류 방법 중 하나로, 물속에서의 압력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이 뛰어난 어류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먹장어는 먹이를 잡기 위해 물속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능력이 뛰어나며, 높은 압력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능력이 있어 변삼투압성 어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류오염이 해양생물에 미치는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년생 해조류가 다년생 해조류보다 피해가 더 크다.
  2. 유출유처리제(유화제)의 독성에 의한 피해는 없다.
  3. 바다새에 유류가 흡수되면 보온기능이 강화되어 체온상승으로 죽는다.
  4. 어란 및 자치어에 영향을 주므로 전체 어류자원에 영향을 크게 준다.
(정답률: 69%)
  • 일년생 해조류가 다년생 해조류보다 피해가 더 큰 이유는, 일년생 해조류는 성장과 생식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류오염으로 인해 생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개체 수가 감소하는 것이 큰 특징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다년생 해조류는 생식과 성장이 분리되어 있어서 개체 수 감소보다는 생장속도가 느려지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따라서 유류오염으로 인한 피해는 일년생 해조류에게 더 크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저서동물 유생의 해저 정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광합성 식물의 존재여부
  2. 성체로부터 나오는 유인물질
  3. 퇴적물 표면에 발달된 박테리아 피막
  4. 유생자신의 주광성과 배광성
(정답률: 75%)
  • 저서동물은 광합성 식물이 만들어내는 산소와 유기물에 의존하여 생존하며, 이를 통해 해저 생태계의 생산성을 높이기 때문에 광합성 식물의 존재여부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성체로부터 나오는 유인물질은 물고기 등 다른 동물들이 먹이사슬을 형성하는 데 중요하지만, 저서동물의 정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퇴적물 표면에 발달된 박테리아 피막은 해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저서동물의 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광합성 식물에 비해 적다. 유생자신의 주광성과 배광성은 저서동물이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지만, 이는 정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형저서동물의 종조성 비율 중 오염지표로 사용되는 것은?

  1. 패충류와 선충류의 비
  2. 선충류와 다모류의 비
  3. 선충류와 코페포다의 비
  4. 코페포다와 다모류의 비
(정답률: 75%)
  • 선충류와 코페포다의 비가 오염지표로 사용되는 이유는 선충류와 코페포다가 물 속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산소량이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 속에서 선충류와 코페포다의 비가 높을수록 물의 산소 부족 문제가 심각해지고, 이는 수질 오염의 지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해양의 식물 기초생산을 나타낸 아래의 반응식에서A에 해당하는 것은?

  1. 산소(O) 또는 질소(N)
  2. 산소(O)
  3. 산소(O) 또는 탄소(C)
  4. 산소(O) 또는 유황(S)
(정답률: 86%)
  • 해양의 식물 기초생산에서 광합성이 일어나면서 탄소와 물이 반응하여 산소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A에 해당하는 것은 "물(H2O)"입니다. 정답이 "산소(O)"인 이유는 광합성 반응식에서 생성된 산소가 해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산소는 해양에서 생물들이 호흡하는데 필요하며, 해양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해조류의 수직분포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1. 광선
  2. 온도
  3. 파도
  4. 용존산소
(정답률: 78%)
  • 해조류는 광합성을 통해 생산된 유기물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광선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광선이 충분하지 않으면 해조류는 생장이 어렵고, 광선이 너무 강하면 과도한 광합성으로 인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광선의 양과 질에 따라 해조류의 수직분포가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조간대에 서식하는 생물이 간출 시 열의 상쇄와 방출을 위해 여러 가지 적응을 한다. 이 적응에 관련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체적에 대한 체표면적을 줄이기 위해 몸을 작게 한다.
  2. 암반과 접촉하는 부위의 면적을 크게 한다.
  3. 패각의 색깔을 밝게 한다.
  4. 체내의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77%)
  • 패각의 색깔을 밝게 한 이유는 간출 시 열을 방출하기 위해 흑색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밝은 색깔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반사하고 체온 상승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해양계측학

41. 심해저 망간단괴의 성장속도 측정에 사용할 수 없는 방사성 핵종은?

  1. 10Be
  2. 14C
  3. 230Th
  4. 231Pa
(정답률: 80%)
  • 심해저 망간단괴의 성장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반감기가 적당한 방사성 핵종이 필요합니다. 반감기가 너무 짧으면 측정이 어렵고, 너무 길면 측정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4C"가 적당한 방사성 핵종입니다. "10Be"는 반감기가 너무 짧고, "230Th"와 "231Pa"는 반감기가 너무 길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동일한 지점의 깊은 곳과 얕은 곳에서 채취한 2개의 해수시료 온위(Potential temperature)가 같았을 때 이 두 개 해수의 현장온도(in situ temperature)는?

  1. 양쪽이 같다.
  2. 깊은 곳의 것이 더 높다.
  3. 얕은 곳의 것이 더 높다.
  4. 2개 해수시료 모두 온위와 값이 같다.
(정답률: 79%)
  • 해수의 온도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동일한 지점에서 채취한 2개의 해수시료의 온위가 같다면, 깊은 곳의 해수는 더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깊은 곳의 것이 더 높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기기 중 연안에서 가장 정밀하게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DGPS
  2. LORAN
  3. DECCA
  4. Thermal scanner
(정답률: 72%)
  • DGPS는 GPS의 오차를 보정하여 더 정확한 위치 측정이 가능하므로, 연안에서 가장 정밀하게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입니다. LORAN과 DECCA는 전파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식으로 정확도가 낮을 수 있으며, Thermal scanner는 열을 이용한 측정 방식으로 위치 측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대기 및 구름상태와 해양수온관측을 주목적으로 발사된 인공위성은?

  1. SPOT
  2. NOAA
  3. NIMBUS series
  4. LANDSAT series
(정답률: 85%)
  • "NOAA"는 대기 및 구름상태와 해양수온관측을 주목적으로 발사된 인공위성 시리즈의 이름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목적으로 발사된 인공위성 시리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인공위성에 의한 해양의 원격탐사에서 이용되지 않는 전자파 영역은?

  1. 감마선대
  2. 적외선대
  3. 가시광선대
  4. 레이다파대
(정답률: 75%)
  • 감마선대는 매우 짧은 파장과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이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매우 민감한 센서가 필요합니다. 또한, 감마선대는 대기권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구 상에서는 감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인공위성에 의한 해양의 원격탐사에서는 감마선대를 이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해양 석유탐사 시 시추 후보지선정을 위한 지질구조 조사 등에 가장 효과적인 탐사방법은?

  1. 자력탐사법
  2. 중력탐사법
  3. 열류량측정법
  4. 지진파탐사법
(정답률: 80%)
  • 해양 석유탐사 시에는 지진파탐사법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는 지하 구조물의 밀도, 경도, 굴절률 등을 파악하여 지하 구조물의 위치와 깊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지진파탐사법은 깊은 지하 구조물까지 탐사할 수 있으며, 해양에서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해양 석유탐사 시에는 지진파탐사법이 가장 적합한 탐사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수압뿐만 아니라 기압도 같이 감지되고 유속이 빠른 곳에서는 동압력에 의한 압력 감소도 감지되는 조석 관측 기기의 형식은?

  1. 기계식
  2. 부표식
  3. 압력식
  4. 전기 저항식
(정답률: 81%)
  • 압력식 조석 관측 기기는 수압뿐만 아니라 기압도 감지할 수 있으며, 유속이 빠른 곳에서는 동압력에 의한 압력 감소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압력을 직접 감지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압력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기와 측정내용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적외선 복사계 - 염분측정
  2. 마이크로파 고도계 - 수온 측정
  3. 마이크로파 복사계 – 염분 측정
  4. 마이크로파 산란계 – 해상풍 측정
(정답률: 74%)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저질(低質) 조사를 위하여 채취한 시료의 최초 지지력(Initial rigidity)을 측정하는 장치는?

  1. Sedigraph
  2. Picnometer
  3. Viscosimeter
  4. Sediment Analyzer
(정답률: 62%)
  • 저질 조사를 위해서는 시료의 유동성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 중 하나가 바로 Viscosimeter입니다. Viscosimeter는 시료의 점성을 측정하여 최초 지지력을 파악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Viscosime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SEASAT와 같은 위성이 ALT센서 시스템으로 바다의 수위나 파고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 센서가 측정해야 할 요소는?

  1. 반사에너지
  2. 수중 감쇄 광량
  3. 전자파의 왕복시간
  4. 수중 후방산란계수(Back scatter coefficient)
(정답률: 81%)
  • ALT센서 시스템은 위성에서 발사한 전자파가 바다 표면에 반사되어 다시 위성으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바다의 수위나 파고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센서가 측정해야 할 요소는 "전자파의 왕복시간"입니다. "반사에너지"는 반사된 전자파의 세기를 나타내는 값이며, "수중 감쇄 광량"은 수심에 따라 전자파의 세기가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수중 후방산란계수"는 수면 아래에서 전자파가 산란되어 위성으로 돌아오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해저의 저질(低質)을 채취하기 위한 장비가 아닌 것은?

  1. Pinger
  2. Dredge
  3. Piston corer
  4. Grab sampler
(정답률: 86%)
  • "Pinger"는 해저의 저질을 채취하는 장비가 아니라, 해저 지형을 탐지하기 위한 음파를 발생시키는 장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수심이 4000m인 해양에서 Tsunami가 발생하였다.이때 Tsunami의 위상속도는 시속 몇 ㎞인가? (단, 중력가속도 g = 10m/s2)

  1. 200m
  2. 250m
  3. 250㎞
  4. 720㎞
(정답률: 55%)
  • Tsunami의 위상속도는 수심과 관련이 있으며, 수심이 깊을수록 속도가 빨라진다. 수심이 4000m이므로, Tsunami의 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g × d)
    v = √(10 × 4000)
    v = √40000
    v = 200m/s

    하지만, 문제에서는 속도를 시속으로 표기하라고 했으므로, m/s를 km/h로 변환해야 한다.

    200m/s = 720km/h (약 2.0배)

    따라서, Tsunami의 위상속도는 "7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풍파(wind waves)는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해양 표면파이다. 풍파의 파고와 주기를 결정하는 요소는?

  1. time, duration, area
  2. wind speed, time, fetch
  3. wind speed, duration, time
  4. wind speed, duration, fetch
(정답률: 84%)
  • 풍파의 파고와 주기를 결정하는 요소는 바람의 세기(wind speed), 지속 시간(duration), 그리고 바람이 불어오는 거리(fetch)이다. 파고는 바람의 세기와 지속 시간에 비례하며, 주기는 파고와 바람이 불어오는 거리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wind speed, duration, fetch"가 정답이다. "time, duration, area"는 파고와 주기를 결정하는 요소와는 관련이 없다. "wind speed, time, fetch"는 바람의 지속 시간 대신에 시간을 포함하고 있어 파고와 주기를 결정하는 요소를 모두 포함하지 않는다. "wind speed, duration, time"은 바람의 지속 시간과 세기를 포함하지만 바람이 불어오는 거리를 고려하지 않아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표류물에 의한 해류의 측정법이 아닌 것은?

  1. buoy에 의한 방법
  2. drogue에 의한 방법
  3. drift bottle에 의한 방법
  4. secchi disk에 의한 방법
(정답률: 78%)
  • secchi disk는 물의 투명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므로, 표류물에 의한 해류의 측정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secchi disk에 의한 방법은 표류물에 의한 해류의 측정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조화분석(Harmonic Analys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방법
  2. 특정주기의 진폭 및 위상을 구하는 방법
  3. 여러가지 관측자료를 조화시켜 분석하는 방법
  4. 연속관측 자료에 나타나는 주기별 에너지 계산방법
(정답률: 73%)
  • 조화분석은 시계열 데이터에서 특정 주기의 진폭과 위상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주기성과 주기적인 변화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상관관계 분석, 여러 가지 자료를 조화시켜 분석하는 방법, 주기별 에너지 계산 방법 등으로 조화분석과는 다른 분석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해수의 안정도 에서 E=0 이면 어떤 상태인가? (단, Z는 아래방향으로 잰 거리, ρ는 해수의 밀도이다.)

  1. 중립
  2. 상승
  3. 안정
  4. 불안정
(정답률: 70%)
  • E=0일 때는 Z방향으로의 변화가 없으므로 수직 방향으로 압력이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밀도 변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해수의 안정도는 중립 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위도 30도에서 관성류(inertial current)의 주기는?

  1. 10시간
  2. 12시간
  3. 18시간
  4. 24시간
(정답률: 66%)
  • 위도 30도에서는 코리올리 효과가 작용하여 하루 동안 한 바퀴를 도는데, 이로 인해 관성류의 주기는 24시간이 된다. 즉, 지구의 회전 속도와 관성류의 주기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위도가 다르면 관성류의 주기도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위성 탑재 센서 중에서 해수색을 측정하는 것은?

  1. IR
  2. TM
  3. CZCS
  4. AVHRR
(정답률: 77%)
  • CZCS는 Coastal Zone Color Scanner의 약자로, 해안 지역의 색상을 측정하여 해수색을 파악하는 센서입니다. 따라서 CZCS가 해수색을 측정하는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음파식(acoustic) 해류게에 다음과 같은 주파수가 이용될 때 해표면에서 가장 깊은 곳까지 관측되는 것은?

  1. 75 ㎑
  2. 150 ㎑
  3. 300 ㎑
  4. 600 ㎑
(정답률: 68%)
  • 해류게는 음파를 이용하여 해저의 깊이와 바닥 지형을 관측하는 장비이다. 음파는 물속에서 전파되며, 주파수가 높을수록 짧은 파장을 가지므로 더 짧은 거리까지 관측할 수 있다. 하지만 높은 주파수는 물속에서 빠르게 감쇠되므로 깊은 곳까지는 관측할 수 없다. 따라서, 가장 깊은 곳까지 관측하기 위해서는 주파수가 낮은 75 ㎑을 이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각층 관측 시 Messenger를 wire rope를 따라 투하시킨 후 wire rope를 손가락으로 잡고 있는 주 이유는?

  1. 메신저가 잘 낙하하도록 하기 위해서
  2. 와이어로프가 선측에 가깝게 있게 하기 위해서
  3. 메신저가 고장을 일으켜 낙하하지 않는가를 알기 위해서
  4. 메신저가 채수기에 부딪치고 전도되는 충격파를 감지하기 위해서
(정답률: 85%)
  • 각층 관측 시 Messenger를 wire rope를 따라 투하시킨 후 wire rope를 손가락으로 잡고 있는 이유는 "메신저가 채수기에 부딪치고 전도되는 충격파를 감지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해수의 수질분석

61. 퇴적물의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측정에 관한 사항 중 옳은 것은?

  1. 퇴적물 중의 총유기물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2. 퇴적물 중에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3. 퇴적물 중에 유독성 유기화합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4. 퇴적물 중의 유기물질이 분해되면서 산소를 소모하는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정답률: 77%)
  • 퇴적물의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은 퇴적물 중의 유기물질이 분해되면서 산소를 소모하는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퇴적물의 오염도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PCBs 분석을 위해, 해저퇴적물 중 PCBs를 염화메틸렌으로 추출, 농축한 후 방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때 사용되는 칼럼의 충진물로 적당한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2,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C-18
  2. 실리카겔
  3. 무수황산나트륨
  4. 실리카겔-알루미나
(정답률: 71%)
  • 실리카겔은 광물질 중 하나로, 물에 잘 녹지 않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대부분의 유기물을 흡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PCBs 추출 및 정제 과정에서 사용되는 칼럼의 충진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해수중의 용존유기탄소를 측정하는 방법과 관련 없는 것은?

  1. 킬달(Kjieldahl) 장치로 시료를 전처리 한다.
  2. 유효측정범위는 검출한계에서 100㎎/L 까지이다.
  3. 총유기탄소분석기는 적외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검출한다.
  4. 시료중의 유기물을 완전 연소시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 후 이를 측정한다.
(정답률: 66%)
  • 정답은 "킬달(Kjieldahl) 장치로 시료를 전처리 한다." 이다. 이유는 킬달 장치는 질소와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는 해수중의 용존유기탄소 측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유출유 시료의 채취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출유 시료는 시료상태에 관계없이 유리용기에 채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 기름에 의한 오염사고는 유출원으로 추정되는 오염 현장 주위의 기름 시료는 모두 채취하여야 한다.
  3. 시료가 미량이어서 직접 채취가 어려운 경우에는 유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펄프섬유 같은 것에 흡착시켜 채취하여야 한다.
  4. 기름에 의한 오염사고는 유출된 기름의 성상, 지역의 특성, 자연조건의 변동 등을 고려하여 오염현장을 대표 할 수 있는 시료를 채취하여야 한다.
(정답률: 76%)
  • "유출유 시료는 시료상태에 관계없이 유리용기에 채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유출유 시료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채취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유리용기에 채취하는 것이 항상 효과적인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고체 상태의 유출물은 흡착제를 사용하여 채취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출유 시료를 채취할 때는 시료의 상태와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채취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상 Cu 정량 시 측정범위 및 정밀도에 관한 내용으로 다음(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1 ng
  2. 10 ng
  3. 1 ㎍
  4. 100 ㎍
(정답률: 69%)
  • 해당 문제에서는 Cu의 정량 시 측정범위와 정밀도에 대한 내용이 묻혀있습니다. 그림에서 보면 "측정범위"와 "정밀도"에 대한 내용이 나와있는데, Cu의 측정범위는 "1 ng ~ 100 ㎍"이고, 정밀도는 "상대편차 5% 이내"입니다. 따라서 Cu의 정량 시 측정범위는 1 ng에서 100 ㎍까지이며, 이 중에서 100 ㎍까지 측정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대장균의 정성시험과정 중 한 시험과정의 일부를 소개한 것이다. 어떤 시험과정인가?

  1. 추정시험
  2. 배지시험
  3. 완전시험
  4. 최확수법
(정답률: 67%)
  • 위 그림은 완전시험 중 하나인 멤브레인 필터 시험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완전시험"입니다. 추정시험은 대략적인 추정만을 하는 시험, 배지시험은 특정 배지에서만 성장하는 세균을 검출하는 시험, 최확수법은 통계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세균의 수를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 중 불꽃이온화검출기 (FID)로 검출하는데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페놀류
  2. 유기수은
  3. 탄화수소
  4. 잔류농약류
(정답률: 49%)
  •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은 샘플을 기체로 만들어 분리 및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불꽃이온화검출기 (FID)는 탄화수소를 검출하는 데 가장 적합한 검출기입니다. 이는 FID가 탄화수소 분자를 산화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탄화수소"가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FID로 검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물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크로로필 측정과 관계없는 파장은?

  1. 450㎚
  2. 540㎚
  3. 645㎚
  4. 750㎚
(정답률: 61%)
  • 크로로필은 녹색 식물에서 발견되는 엽록소를 포함한 산소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물이다. 크로로필은 파란색과 빨간색 빛을 흡수하고, 녹색 빛을 반사하여 녹색으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크로로필 측정과 관련된 파장은 파란색과 빨간색이 아닌 녹색 파장인 5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유기인의 저장용 표준용액의 유효기간은?

  1. 7일
  2. 1개월
  3. 3개월
  4. 1년
(정답률: 59%)
  • 유기인의 저장용 표준용액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화되고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유효기간이 존재합니다. 이 중에서 1년이 선택된 이유는, 일반적으로 유기인의 안정성이 1년 이상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년 이후에는 표준용액의 정확도와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새로운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Microtox bioassay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독성평가 방법 중 염수추출법은 공극수가 제거된 퇴적물을 대상으로 한다.
  2. 이 방법은 독성시험을 위한 제반 시료 및 장치가 상용으로 제조되어 있어 쉽게 습득 및 적용이 가능하다.
  3. 해양에 존재하는 발광성 박테리아인 Vibro fischeri의 발광 저해도를 측정하는 생물학적 독성 평가기법이다.
  4. 발광성 박테리아가 들어 있는 배양액에 시험하고자 하는 물질을 첨가한 후 30분 내에 나타나는 발광도의 차이로부터 해당물질의 독성을 측정한다.
(정답률: 68%)
  • 정답은 "독성평가 방법 중 염수추출법은 공극수가 제거된 퇴적물을 대상으로 한다."입니다. 이유는 Microtox bioassay 기법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Microtox bioassay 기법은 해양에 존재하는 발광성 박테리아인 Vibro fischeri의 발광 저해도를 측정하는 생물학적 독성 평가기법입니다. 발광성 박테리아가 들어 있는 배양액에 시험하고자 하는 물질을 첨가한 후 30분 내에 나타나는 발광도의 차이로부터 해당물질의 독성을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염분(salinity, ‰)의 정의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해수 100mg 중에 들어 있는 염(salt)의 g 수이다.
  2. 해수 100mL 중에 들어 있는 염(salt)의 g 수이다.
  3. 해수 1kg 중에 들어 있는 염(salt)의 g 수이다.
  4. 해수 1L 중에 들어 있는 염(salt)의 g 수이다.
(정답률: 76%)
  • 해수 1kg 중에 들어 있는 염(salt)의 g 수이다. 즉, 1kg의 해수 중에 염의 그램 수를 나타내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윙클러법에 의한 해수중의 용존산소 측정에서 황산 을 가했을 때 망간의 원자가는 어떻게 변하는가?

  1. +2
  2. +3
  3. +5
  4. +7
(정답률: 63%)
  • 황산을 가하면 망간의 원자는 +2 상태로 변화합니다. 이는 황산이 망간과 반응하여 망간(II) 이온(Mn2+)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흡광광도법에 의한 영양염류 분석 시 최대 흡수파장으로 잘못 연결된 것은?

  1. 인산 인 - 885㎚
  2. 규산 규소 - 810㎚
  3. 아질산 질소 - 543㎚
  4. 암모니아 질소 - 720㎚
(정답률: 63%)
  • 암모니아 질소의 최대 흡수파장은 640㎚이며, 따라서 720㎚로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이는 흡광스펙트럼을 분석할 때 중요한 정보이며, 정확한 파장을 사용해야 올바른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은 연안 해수시료를 1000배 희석한 후 원자흡수 분광법으로 칼슘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해수시료의 흡광도가 0.080일 때 칼슘농도는? (단, 공시험값은 무시한다.)

  1. 400mg/L
  2. 600mg/L
  3. 800mg/L
  4. 1600mg/L
(정답률: 73%)
  • 해당 문제에서는 연안 해수시료를 1000배 희석한 후 칼슘농도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측정된 칼슘농도는 실제 칼슘농도의 1000분의 1이 된다. 따라서, 측정된 칼슘농도를 1000으로 곱해줘야 실제 칼슘농도를 구할 수 있다.

    흡광도가 0.080일 때, 칼슘농도는 800mg/L이다. 이 값은 실제 칼슘농도의 1000분의 1이므로, 실제 칼슘농도는 800 x 1000 = 800000mg/L이 된다. 이 값을 1000으로 나누면, 실제 칼슘농도는 800mg/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00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에서 해수중의 구리, 납, 카드뮴 등을 원자흡광광도법에 의한 분석 시 유기착화제 (킬레이트)로 사용되는 것은?

  1. MIBK
  2. EDTA
  3. HDPE
  4. APDC/DDDC 혼합용액
(정답률: 83%)
  • APDC/DDDC 혼합용액은 구리, 납, 카드뮴 등의 금속 이온을 안정화시키는 킬레이트제로 사용되며, 이 중에서도 APDC/DDDC 혼합용액은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킬레이트제입니다. 이는 APDC와 DDDC가 각각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안정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해양 퇴적물의 입도 분석 시 시료 중의 유기물을 분해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약은?

  1. H2O2
  2. NaOH
  3. NH4Cl
  4. H2SO4
(정답률: 65%)
  • 해양 퇴적물은 유기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입도 분석 시 시료 중의 유기물을 분해제거하기 위해 산화제인 H2O2를 사용합니다. H2O2는 산화력이 강하므로 유기물을 산화시켜 분해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선박의 방오도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Imposex현상 등 환경문제를 유발하여 세계적으로 규제하고 있는 유기주석 화합물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농축과정은 회전증발 농축기를 사용한다.
  2. 해수중에 들어 있는 것을 노르말헥산으로 추출한다.
  3. 광분해되거나 생분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차광용기를 사용하여 빠른 시간 안에 분석해야 한다.
  4. 사용되는 시약 중 무수황산나트륨은 잔류농약용 시약을 450℃ 회화로에서 4~5시간 가열 후 120℃에서 보관하고 사용직전 상온에서 식혀 사용한다.
(정답률: 61%)
  • 해수중에 들어 있는 유기주석 화합물을 노르말헥산으로 추출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추출 방법 중 하나이다. 노르말헥산은 유기화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 중 하나로, 유기물과 잘 혼합되어 추출 효율이 높다. 따라서 해수중에 들어 있는 유기주석 화합물을 분석하기 위해 노르말헥산 추출법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이고 올바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상 수은(Hg)-냉증기 원자흡광광도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은 중공음극램프가 필요하다.
  2. 유효측정범위는 일반적으로 검출한계에서 10.00㎍ Hg/L 까지이다.
  3. 유리제 흡수셀이 부착된 원광흡광분석장치가 필요하다.
  4. 측정원리는 해수시료중의 무기수은을 염화제일주석으로 환원시켜 금속수은으로 만든 다음 알곤기체를 불어넣어 수은포집장치에 포집한 후 냉증기-원자흡광광도계에 의해 253.7㎚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정답률: 45%)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해수중의 광합성 색소인 Chlorophyll a, b, c의 농도를 계산하는 아래 식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Ca,b,c= Chlorophyll a, b, c의 농도(㎍/mL)
(정답률: 73%)
  • ""가 잘못된 것이다. 이 식은 Chlorophyll a, b, c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농도를 계산하는 식이다. 따라서 흡광도와 농도는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이 식을 사용하여 Chlorophyll a, b, c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해수 pH 측정을 위한 시료의 채수 후 측정시기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일 이내
  2. 1시간 이내
  3. 한 달 이내
  4. 일주일 이내
(정답률: 77%)
  • 해수 pH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므로 채수 후 가능한 빨리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따라서 "1시간 이내"가 가장 적절한 측정시기이다. 다른 보기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pH가 변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해양관련법규

81.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오염방지설비와 관련된 정기검사에 합격한 선박에 교부되는 증서는?

  1. 임시항행허가서
  2. 기름오염비상계획서
  3. 화물선안전구조증서
  4. 해양오염방지검사증서
(정답률: 77%)
  •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오염방지설비와 관련된 정기검사에 합격한 선박에 교부되는 증서는 "해양오염방지검사증서"입니다. 이는 선박이 해양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설비를 적절하게 유지보수하고 있는지를 검사한 결과를 증명하는 증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폐기물 및 그 밖의 물질의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방지에 관한 협약”에 대한 우리나라 가입일은?

  1. 1972. 12. 29
  2. 1993. 12. 21
  3. 1994. 01. 20
  4. 1996. 03. 16
(정답률: 65%)
  • “폐기물 및 그 밖의 물질의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방지에 관한 협약”은 1993년 12월 21일에 개정되어 발효되었습니다. 이 협약은 해양 환경 보호를 위해 폐기물 및 그 밖의 물질의 해양 투기를 제한하고, 해양 오염 사고 발생 시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이 협약에 가입하여 해양 환경 보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국제기금 분담금의 부담자는?

  1. 유류 수령인
  2. 유조선 소유자
  3. 유조선 나용선자
  4. 유조선 정기용선자
(정답률: 51%)
  •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에서는 유류 수령인이 국제기금 분담금의 부담자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유류 수령인이 유류를 수령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류 수령인은 오염사고 발생 시 국제기금에 일정한 분담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령상 회유성해양동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연어
  2. 뱀장어
  3. 고등어
  4. 동남참게
(정답률: 71%)
  • 고등어는 회유성해양동물이 아니라, 어류 중에서도 대표적인 이동성 어종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령상 회유성해양동물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73/78) 규정상 기름기록부를 비치하고 기재할 의무가 있는 선박은?

  1. 길이 12미터 이상인 유조선과 24미터 이상인 일반 선박
  2. 길이 24미터 이상인 유조선과 48미터 이상인 일반 선박
  3. 총톤수 100톤 이상인 유조선과 총톤수 200톤 이상인 일반 선박
  4. 총톤수 150톤 이상인 유조선과 총톤수 400톤 이상인 일반 선박
(정답률: 78%)
  • MARPOL 73/78 규정은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국제협약으로, 선박이 해양오염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규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기름오염 방지를 위해 기름기록부를 비치하고 기재할 의무가 있는 선박은 총톤수 150톤 이상인 유조선과 총톤수 400톤 이상인 일반 선박입니다. 이는 선박의 크기와 운반하는 화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기준이 설정된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선박들은 기름기록부를 비치하고 기재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해양환경관리법상 오염물질의 유입·확산 또는 퇴적 등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고 해양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해역관리청이 할 수 있는 해양환경개선조치가 아닌 것은?

  1. 오염된 퇴적물의 수거
  2. 오염물질의 수거 및 처리
  3. 오염물질 배출부과금 증수
  4. 오염물질 유입·확산방지시설의 설치
(정답률: 61%)
  • 해양환경관리법상 오염물질 배출부과금 증수는 해양환경개선조치가 아닙니다. 이는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업체에게 부과되는 벌금으로, 해양환경을 개선하는 조치가 아니라 오염물질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경제적인 제재입니다. 따라서 이는 해양환경개선조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오염 방지설비 등을 선박에최초로 설치하여 항해에 사용하고자 할 때 행하는 검사는?

  1. 제조검사
  2. 정기검사
  3. 예비검사
  4. 임시검사
(정답률: 64%)
  •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오염 방지설비 등을 선박에 최초로 설치하여 항해에 사용하고자 할 때 행하는 검사는 "제조검사"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이미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의 검사를 묻고 있으므로, 이후에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정기검사"가 정답이다. "예비검사"는 선박이 운항 전에 실시하는 검사이고, "임시검사"는 비상시나 사고 발생 후에 실시하는 검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73/78)의 규정에 의하여 오수의 배출이 허용되는 경우는? (단, 4노트 이상의 속력으로 항해 중이며, 오수의 배출은 적당한 비율로 한다.)

  1. 저장탱크에 저장한 오수의 동시 배출
  2. 가장 가까운 육지로부터 10해리 거리에서 분쇄하지 아니한 오수의 배출
  3. 가장 가까운 육지로부터 10해리 거리에서 소독하지 아니한 오수의 배출
  4. 가장 가까운 육지로부터 4해리 거리에서 주관청이 승인한 장치를 사용하여 분쇄하고 소독한 오수의 배출
(정답률: 84%)
  • 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73/78)은 선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배출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오수의 배출은 특히 제한이 엄격합니다. 하지만, 4노트 이상의 속력으로 항해 중인 경우에는 적당한 비율로 오수를 배출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가장 가까운 육지로부터 4해리 거리에서 주관청이 승인한 장치를 사용하여 분쇄하고 소독한 오수만을 배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오수를 처리하여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육지로부터 4해리 거리에서 주관청이 승인한 장치를 사용하여 분쇄하고 소독한 오수의 배출"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해양환경관리법상 환경관리해역기본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해양수산부장관은 환경관리해역에 대하여 해양관리해역기본계획을 3년마다 수립한다.
  2. 환경관리해역기본계획은 해양수산발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한다.
  3. 해양수산부장관은 환경관리해역기본계획이 수립된 때에는 이를 관계행정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하며, 관계행정기관의 장은 그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4. 해양수산부장관은 해역별 관리계획을 수립·시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관계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 및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사업관리단을 별도로 운영할 수 있다.
(정답률: 76%)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해양환경관리법상 규제대상 물질이 아닌 것은?

  1. 폐유
  2. 폐기물
  3. 유해액체물질
  4. 방사성 오염물질
(정답률: 82%)
  • 해양환경관리법은 해양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규제대상 물질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방사성 오염물질"은 해양환경관리법상 규제대상 물질이 아닙니다. 이는 방사성 오염물질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별도의 법률로 규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유조선 선박소유자의 책임제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든 외국적 선박의 소유자에게도 책임제한 규정을 적용한다.
  2. 선박소유자 자신의 고의에 의한 사고의 경우에는 유류오염 손해배상책임을 제한받지 않는다.
  3. 유조선에 의한 유류오염 손해배상책임을 지는 유조선의 선박소유자는 해당 유조선에 의한 유류오염 손해 배상책임을 제한할 수 있다.
  4. 유조선의 선박소유자는 채권자로부터 책임한도액을 초과하여 유류오염 손해배상청구를 서면으로 받은 날부터 6개월 이내에 법원에 책임제한 절차 개시의 신청을 하여야 한다.
(정답률: 48%)
  • "모든 외국적 선박의 소유자에게도 책임제한 규정을 적용한다."이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은 국내 선박소유자에게만 적용되며, 외국 선박소유자는 해당 국가의 법률에 따라 책임을 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해양환경관리법령상 해양오염방제업 및 유창청소업을 등록하고자 하는 자는 누구에게 등록신청을 해야하는가?

  1. 시·도지사
  2. 해양경찰청장
  3. 행정안전부장관
  4. 해양수산부장관
(정답률: 82%)
  • 해양환경관리법령상 해양오염방제업 및 유창청소업을 등록하고자 하는 자는 해양경찰청장에게 등록신청을 해야합니다. 이는 해양경찰청이 해당 업무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제한채권자가 그 제한채권에 대해 갖는 우선특권이 적용되지 않는 것은?

  1. 적재유류
  2. 사고선박
  3. 사고선박의 속구(屬具)
  4. 수령하지 아니한 운임
(정답률: 72%)
  • 적재유류는 유류오염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만 보상이 가능하며, 그 외의 경우에는 제한채권자의 우선특권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 제5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적재유류가 정답인 이유는 유류오염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만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제한채권자의 우선특권이 적용될 수 있는 대상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해양환경관리법상 선박 검사의 종류 중 해양오염방지설비 등을 교체·개조 또는 수리하고자 하는 때에 받아야 되는 검사는?

  1. 임시검사
  2. 중간검사
  3. 정기검사
  4. 임시항해검사
(정답률: 71%)
  • 해양환경관리법상 선박 검사의 종류 중 해양오염방지설비 등을 교체·개조 또는 수리하고자 하는 때에 받아야 되는 검사는 "임시검사"입니다. 이는 선박이 일시적으로 운항을 중단하지 않고도 필요한 수리 및 개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검사로, 일정 기간 동안 유효한 임시적인 검사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는 반드시 해당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해양환경관리법상 선박 해양오염방지관리인 1인 이상을 추가로 임명해야 할 선박은?

  1. 석유탐사선
  2. 초대형급 유조선
  3. 해양과학 조사선
  4. 유해액체물질 산적운반 선박
(정답률: 74%)
  • 유해액체물질 산적운반 선박은 해양오염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해양환경관리법상 선박 해양오염방지관리인 1인 이상을 추가로 임명해야 합니다. 이 선박은 유해한 액체물질을 운반하기 때문에 유출사고가 발생할 경우 심각한 해양오염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해양환경관리법상 기름의 해양유출사고에 대비하여 방제선 또는 방제장비를 배치 또는 설치하여야 하는 선박 또는 해양시설이 아닌 것은?

  1. 총톤수 500톤인 유조선
  2. 총톤수 1천톤인 유조선
  3. 총톤수 1만톤인 화물선
  4. 신고된 해양시설로서 저장용량 5천 킬로리터인 기름저장시설
(정답률: 62%)
  • 해양환경관리법상 기름의 해양유출사고에 대비하여 방제선 또는 방제장비를 배치 또는 설치하여야 하는 선박 또는 해양시설은 총톤수 500톤 이상인 유조선과 총톤수 1만톤 이상인 화물선입니다. 따라서, "신고된 해양시설로서 저장용량 5천 킬로리터인 기름저장시설"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류오염손해에는 방제조치로 인한 추가적 손실 또는 손해도 포함된다.
  2. 유류오염손해를 경감하기 위한 제3자의 조치는 방제조치에 해당되지 않는다.
  3. “사고”라 함은 유류오염손해를 일으킬 수 있는 절박한 위험이 있는 사건을 말한다.
  4. 유류 및 다른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선박에 산적유류의 잔류물이 있는 경우에도 유조선에 해당된다.
(정답률: 75%)
  • "유류오염손해를 경감하기 위한 제3자의 조치는 방제조치에 해당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 맞습니다. 유류오염손해를 경감하기 위한 제3자의 조치는 방제조치에 포함됩니다. 방제조치는 유출된 유류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등의 조치를 말하며, 제3자의 조치는 이를 돕는 조치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유류오염사고 발생 시 화학제품을 사용하여 오염된 지역을 세척하는 것도 제3자의 조치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선박소유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류오염손해가 발생한 날부터 1년 이내에 재판상 청구가 없는 경우에는 소멸한다.
  2. 유류오염손해가 발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재판상 청구가 없는 경우에는 소멸한다.
  3. 유류오염손해의 원인이 되었던 최초의 사고가 발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재판상 청구가 없는 경우에는 소멸한다.
  4. 유류오염손해의 원인이 되었던 최초의 사고가 발생한 날부터 5년 이내에 재판상 청구가 없는 경우에는 소멸한다.
(정답률: 76%)
  • 정답은 "유류오염손해가 발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재판상 청구가 없는 경우에는 소멸한다."이다. 이는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 제12조에 규정된 내용으로, 유류오염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발생일로부터 3년 이내에 제기되지 않으면 소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1973년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에 관한 1978년 의정서」 는 당해 국가에 발효한 날로부터 몇 년이 경과하면 당사국에서 탈퇴할 수 있는가?

  1. 3년
  2. 4년
  3. 5년
  4. 10년
(정답률: 74%)
  • 「1973년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에 관한 1978년 의정서」는 발효 후 3년이 지난 후부터 당사국에서 탈퇴할 수 있지만, 이후에도 1년의 통보기간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총 4년이 걸립니다. 따라서 정답은 "4년"이 아닌 "5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유류오염 대비·대응 및 협력에 관한 국제협약 채택일은?

  1. 1967. 12. 13
  2. 1973. 06. 09
  3. 1990. 11. 30
  4. 1995. 05. 1
(정답률: 67%)
  • 유류오염 대비·대응 및 협력에 관한 국제협약은 1990년 11월 30일에 채택되었다. 이 협약은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채택되었으며, 선박이나 해양 시설에서 발생하는 유류 오염 사고에 대한 대응 및 예방을 위한 국제적인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 협약은 선박이나 해양 시설에서 발생하는 유류 오염 사고에 대한 대응 및 예방을 위한 국제적인 표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선박 운항 규제, 유류 오염 대응 계획 수립 등을 규정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