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리직공무원 우편 및 금융상식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8-31)

계리직공무원 우편 및 금융상식
(2008-08-31 기출문제)

목록

1. 우편사업에 관한 내용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우편사업은 국가에서 직접 경영하는 ‘국가기업’에 의한 사업으로 경영형태면에서 정부직영형태에 속한다.
  2. 우편이용 관계의 법적 성질은 우편이용자와 우편관서 상호간의 송달계약을 내용으로 하는 공법상의 계약관계이다.
  3. 우편이용 관계에 있어서는 무능력자의 행위라도 능력자의 행위와 동일한 효력이 있다.
  4. 우편이용 관계는 제3자(수취인)를 위한 우편관서와 발송인과의계약이므로 우편이용 관계자는 우편관서, 발송인 및 수취인이다.
(정답률: 44%)
  • 옳지 않은 것은 "우편이용 관계에 있어서는 무능력자의 행위라도 능력자의 행위와 동일한 효력이 있다."이다. 우편이용 관계에서도 무능력자의 행위는 무효이며, 법정대리인이 대신하여 행위를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등기취급을 전제로 한 부가우편역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 (순서대로 ㄱ, ㄴ, ㄷ)

  1. 물품등기, 특사배달, 통화등기
  2. 대금교환, 특사배달, 유가증권등기
  3. 물품등기, 특별송달, 통화등기
  4. 대금교환, 특별송달, 유가증권등기
(정답률: 90%)
  • ㄷ - 대금교환은 부가우편역무 중 하나로, 우편물을 전달하면서 대금을 교환하는 역할을 한다. 특별송달은 우편물을 특별한 사유로 인해 빠르게 배달하는 역할을 하며, 유가증권등기는 유가증권 등 중요한 문서를 등기하여 안전하게 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들은 등기취급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부가우편역무에서 다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대금교환, 특별송달, 유가증권등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국내우편물 손해배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손해배상금은 손해배상금결정서가 청구권자에게 도달한 때로부터 기산하여 3년간 청구하지 아니할 때는 소멸된다.
  2. 손해배상 청구는 당해 우편물을 접수한 관서 및 배달관서에서 발송인이 신청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3. 손해배상액은 한도액 범위 내에서 실제 손해액을 배상하는 것이며, 보험취급(안심소포) 시는 신고가액을 배상하는 것이다.
  4. 손해배상 청구 기한은 그 우편물을 발송한 다음날로부터 1년이다.
(정답률: 85%)
  • 국내우편물 손해배상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손해배상액은 한도액 범위 내에서 실제 손해액을 배상하는 것이며, 보험취급(안심소포) 시는 신고가액을 배상하는 것이다." 이다. 이유는 국내우편물 손해배상은 한도액이 정해져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실제 손해액을 배상한다. 하지만 보험취급(안심소포)의 경우에는 신고가액을 기준으로 배상한다. 다른 보기들은 손해배상금의 소멸기간, 청구 가능한 경우, 손해배상 청구 기한 등에 대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우편물 송달기준으로 알맞은 것은? (순서대로 ㉠, ㉡, ㉢)

  1. 3일, 12시, 20시
  2. 4일, 13시, 18시
  3. 4일, 12시, 20시
  4. 3일, 13시, 18시
(정답률: 94%)
  • 우편물 송달기준은 "출발일 다음날 도착"이므로, 출발일이 3일인 경우에는 도착일이 4일이 되어야 합니다. 또한, 송달 시간은 출발일 다음날의 12시 이전, 20시 이전에 출발한 우편물만 해당됩니다. 따라서, "3일, 12시, 20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우편물 접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우체통에 투입한 우편물의 접수시점은 집배원이 우편물을 수집하여 첩부된 우표에 소인하는 때이다.
  2. 통상우편물은 봉함하지 않고 발송하는 경우도 있다.
  3. 발송인이 우편물 내용의 신고 또는 개봉(개피)을 거부할 때는 그 우편물을 접수하지 아니한다.
  4. 우편물은 접수한 때부터 우편이용 관계가 발생하며, 우편관서와 발송인 사이에 우편물 송달계약이 이루어진다.
(정답률: 37%)
  • 정답은 "우체통에 투입한 우편물의 접수시점은 집배원이 우편물을 수집하여 첩부된 우표에 소인하는 때이다."이다. 이유는 우체통에 투입한 우편물의 경우, 발송인이 직접 우편물을 우체통에 넣기 때문에 우편물 접수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집배원이 우편물을 수집하여 첩부된 우표에 소인하는 시점이 우편물의 접수시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국제우편 기구 및 법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만국우편연합(UPU) 총회는 최고 의결기관으로 2년마다 개최되며 전 회원국의 전권대표로 구성된다.
  2. 만국우편연합(UPU)의 상설기관은 관리이사회, 우편운영이사회 및 집행이사회가 있다.
  3. 만국우편연합(UPU)의 화폐단위는 SDR(Special Drawing Rights)이고 공식 언어는 영어이다.
  4. 국제특급우편(EMS)의 교환은 우리나라와 해당 국가(들)사이에 맺은 표준다자간협정 또는 양자협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정답률: 76%)
  • 국제특급우편(EMS)의 교환은 우리나라와 해당 국가(들)사이에 맺은 표준다자간협정 또는 양자협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는 국제우편 기구인 만국우편연합(UPU)의 규정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다. 만국우편연합(UPU)은 전 세계 우편 서비스의 표준화와 협력을 위한 국제기구로, 총회, 관리이사회, 우편운영이사회 및 집행이사회 등의 상설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SDR(Special Drawing Rights)은 만국우편연합(UPU)의 화폐단위이며, 공식 언어는 영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국제통상우편물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우편엽서(postcard)는 직사각형이어야 한다.
  2. 항공서간(aerogramme)은 등기로 발송할 수 있다.
  3. 소설 또는 신문원고는 인쇄물(printed papers)로 취급할 수 있다.
  4. 소형포장물(small packet)은 발송절차가 소포에 비해 복잡하다.
(정답률: 85%)
  • "소형포장물(small packet)은 발송절차가 소포에 비해 복잡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소형포장물은 소포에 비해 발송절차가 간단하며, 무게와 크기에 따라 요금이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우편물 배달의 특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일 건물 내의 수취인에게 배달할 모든 우편물은 관리사무소가 없는 경우에 우편수취함에 배달한다.
  2. 우편사서함 번호를 기재하지 아니한 특급우편물이 우편사서함사용자에게 가는 것이 확실할 경우 우편사서함에 투입한다.
  3. 보관우편물의 교부기간은 우편물이 도착한 다음날로부터 기산하여 10일로 한다. 다만,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 30일의 범위 안에서 연장할 수 있다.
  4. 수취인의 주소지와 다른 시(市)에 거주하는 자를 대리수령인으로 지정하여 우편관서에 신고하는 경우에는 그 대리수령인에게 등기우편물을 배달한다.
(정답률: 72%)
  • 우편물 배달의 특례 중 보관우편물의 교부기간은 우편물이 도착한 다음날로부터 기산하여 10일로 한다는 것이 옳다. 다만,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 30일의 범위 안에서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설명된다. 이는 우편물이 수취인에게 도달하지 못하거나, 수취인이 수령을 지연하는 경우 등에 대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국제특급우편(EM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국제특급우편물 접수는 전국 모든 우체국에서 가능하며, 업무취급조건, 취급관서 등은 관할 지역의 체신청장이 정하여 고시한다.
  2. 국제특급우편물은 항공 및 등기를 기본으로 하고, 배달통지, 보험취급을 부가하여 특수취급을 할 수 있다.
  3. 이용자와 우편관서 간 이용계약의 종류는 정기특급우편, 부정기특급우편 및 임시 특급우편이 있다.
  4. 송금환(money remittances), 유가증권류(negotiable articles)는 국제특급우편물로 보낼 수 있다.
(정답률: 50%)
  • 국제특급우편물은 항공 및 등기를 기본으로 하고, 배달통지, 보험취급을 부가하여 특수취급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예금거래약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약관의 의미가 불명확한 때에는 고객에게는 유리하게, 작성자에게는 불리하게 해석하는 것이 원칙이다.
  2. 약관은 해석자의 주관에 의할 것이 아니라 객관적 합리성에 입각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시간·장소·거래상대방에 따라 달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3. 개별적인 예금상품의 특성에 따라 세부적인 내용을 약관이나 특약의 형식으로 정하고 있다.
  4. 예금계약에 대해서는 예금거래기본약관을 우선 적용하고 예금 종류별 약관, 당해 예금 상품의 약관을 차례로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률: 48%)
  • 약관의 의미가 불명확한 때에는 고객에게는 유리하게, 작성자에게는 불리하게 해석하는 것이 원칙이 아닌 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약관은 객관적 합리성에 입각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시간·장소·거래상대방에 따라 달리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따라서, 고객과 기업 모두에게 공정한 약관 작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보기>의 연금저축(신개인연금, 2001. 1. 1. 이후 가입 기준) 내용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ㄴ, ㅂ
  4. ㅁ, ㅂ
(정답률: 61%)
  • - "ㄴ"은 연금저축의 가입 가능 연령이 18세 이상 60세 미만인 것으로 옳다.
    - "ㄹ"은 연금저축의 가입 금액 상한선이 연 1,000만원으로 정해져 있는 것으로 옳다.

    - "ㄱ"은 연금저축의 가입 가능 연령이 20세 이상 60세 미만인 것으로 틀린 내용이다.
    - "ㄷ"은 연금저축의 가입 금액 상한선이 연 500만원으로 정해져 있는 것으로 틀린 내용이다.
    - "ㄴ"은 이미 설명한 내용으로 옳은 내용이다.
    - "ㅂ"은 연금저축의 가입 가능 연령이 18세 이상 65세 미만인 것으로 틀린 내용이다.
    - "ㅁ"은 연금저축의 가입 금액 상한선이 연 1,500만원으로 정해져 있는 것으로 틀린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현재 판매 중인 장기주택마련저축보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않은 것은?

  1. 당해 년도에 납입한 보험료의 40%에 상당하는 금액 중 연간 300만원을 한도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2. 납입액은 전 금융기관을 합하여 매분기 300만 원 이내이다.
  3. 계약일로부터 7년 미만에 당해 계약을 해지한 경우 ‘해지추징세액’ 추징대상이다.
  4. 가입 당시 만 18세 이상으로서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는 가입이 가능하다.
(정답률: 47%)
  • "당해 년도에 납입한 보험료의 40%에 상당하는 금액 중 연간 300만원을 한도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해지추징세액은 계약일로부터 7년 미만에 계약을 해지한 경우에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이는 장기주택마련저축보험의 목적인 주택마련을 위한 장기적인 저축을 유도하기 위한 제도적 목적에 따른 것입니다. 따라서 7년 이상 유지한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금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명목금리는 물가상승에 따른 구매력의 변화를 감안한 금리이다.
  2. 실질이자소득은 같은 금리수준에서 물가상승률이 낮을수록 늘어나게 된다.
  3. 단리·복리 등의 이자계산 방법이나 이자에 대한 세금의 부과 여부 등에 관계없이 표면금리와 실효 금리는 동일하다.
  4. 채권가격이 떨어지면 채권수익률은 떨어지게 되고, 채권가격이 오르면 채권 수익률은 올라가게 된다.
(정답률: 31%)
  • 실질이자소득은 같은 금리수준에서 물가상승률이 낮을수록 늘어나게 된다. 이는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의 차이 때문이다. 명목금리는 물가상승에 따른 구매력의 변화를 감안한 금리이며,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차감한 금리이다. 따라서 물가상승률이 낮을수록 실질금리는 높아지게 되어 이자수익이 늘어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카드 종류별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선불카드는 법에서 정한 발급한도의 제한이 없다.
  2. 직불카드 사용금액은 후불결제방식으로 결제된다.
  3. 선불카드는 카드에 저장된 금액 내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다.
  4. 직불카드는 할부구매, 현금서비스 및 현금인출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82%)
  • 선불카드는 미리 충전한 금액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카드에 저장된 금액을 초과하여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카드 사용자가 예산을 미리 계획하고 지출을 통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보험료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험계약자가 보험자에게 내는 보험료를 영업보험료라고 하며 순보험료와 부가보험료로 구분한다.
  2. 만기보험금의 지급재원이 되는 보험료를 저축보험료라고 하며 예정이율에 기초하여 계산한다.
  3. 위험보험료는 보험사고에 따른 지급재원으로 순보험료에 해당하며 예정위험률에 기초하여 계산한다.
  4. 부가보험료는 신계약비, 유지비 및 전산비로 구분하며 예정사업비율에 기초하여 계산한다.
(정답률: 36%)
  • 부가보험료는 예정사업비율에 기초하여 계산하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보험계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보험계약의 당사자라 함은 보험자, 보험계약자, 보험모집인, 보험대상자(피보험자) 및 보험금을 받는 자(보험수익자)를 말한다.
  2. 보험자가 청약과 함께 보험료를 받고 청약을 승낙하기 전에 보험사고가 생긴 때에는 해당 청약을 거절할 사유가 없는 한 보험자는 보험계약상의 책임을 진다.
  3. 타인의 사망을 보험사고로 하는 보험계약은 보험계약 체결 시 보험대상자(피보험자)의 서면 또는 구두에 의한 동의를 얻도록 규정하고 있다.
  4. 사망을 보험금 지급사유로 하는 생명보험계약에서 만 15세 미만자, 심신박약자, 신체허약자를 보험대상자(피보험자)로 하는 보험계약은 무효이다.
(정답률: 33%)
  • 보험자가 청약과 함께 보험료를 받고 청약을 승낙하기 전에 보험사고가 생긴 경우, 해당 청약을 거절할 사유가 없는 한 보험자는 보험계약상의 책임을 진다는 것은 보험자가 보험계약을 체결하면 보험자는 보험금을 지급할 책임을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보험자가 보험계약을 체결할 때 보험계약자와의 약정에 따라 보험금을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금융상품으로 알맞은 것은?

  1. CMA(Cash Management Account)
  2. CD(Certificate of Deposit)
  3. RP(Repurchase agreement)
  4. MMDA(Money Market Deposit Account)
(정답률: 85%)
  • CMA는 현금 관리 계좌로서, 예금과 투자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이 계좌를 통해 예금을 유동성 있게 운용하며, 자금을 필요한 때에 빠르게 인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자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예금과 투자를 조합하여 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M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금융상품별 가입(발행)대상, 특징 및 예금자보호법에 의한 보호여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54%)
  • ①은 옳은 내용이다. 예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최대 5천만원까지 보호받을 수 있다. ②는 적금은 일정 기간 동안 예치하고 만기에 이자를 받는 상품으로,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받을 수 있다. ③은 주식은 주식회사의 발행한 주식을 구매하는 것으로,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받을 수 없다. ④는 채권은 회사나 정부 등이 발행한 채무증서로,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받을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글에서 Hope diamond에 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It is a stone that brings bad luck.
  2. Its bad reputation repels visitors.
  3. Its owners are supposed to be jinxed.
  4. It is one of the most valuable gems in the world.
(정답률: 46%)
  • Hope diamond은 세계에서 가장 값비싼 보석 중 하나이다는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Its bad reputation repels visitors."는 Hope diamond이 나쁜 평판을 가지고 있어 방문객들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보석이 저주받았다는 전설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두 사람의 대화에서 ( )에 들어갈 문맥 및 어법상 알맞은 단어는?

  1. through
  2. favorite
  3. finish
  4. against
(정답률: 66%)
  • A: How did you manage to get ( ) that difficult exam?
    B: I studied really hard and went ( ) all the material multiple times.

    정답: through

    설명: "through"는 어떤 것을 끝까지 완수하거나 이해하는 것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따라서 B가 "through"를 선택한 이유는 그가 시험을 이해하고 완료하기 위해 모든 자료를 여러 번 통과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