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리직공무원 컴퓨터 일반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3-20)

계리직공무원 컴퓨터 일반
(2021-03-20 기출문제)

목록

1. 관계데이터베이스 관련 다음 설명에서 ㉠~㉣에 들어갈 용어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1. ㉠참조 ㉡고립성 ㉢변경 ㉣외래키
  2. ㉠개체 ㉡고립성 ㉢참조 ㉣기본키
  3. ㉠참조 ㉡도메인 ㉢참조 ㉣외래키
  4. ㉠개체 ㉡도메인 ㉢변경 ㉣기본키
(정답률: 63%)
  • ㉠참조는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를 참조하는 것을 의미하며, ㉢도메인은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의미합니다. ㉣외래키는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를 참조하는 속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참조 ㉡도메인 ㉢참조 ㉣외래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워크시트에서 [D1] 셀에 =$A$1+$B2를 입력한 후 [D1] 셀을 복사하여 [D5] 셀에 붙여넣기 했을 때 [D5] 셀에 표시될 수 있는 결과로 옳은 것은?

  1. 1
  2. 7
  3. 9
  4. 15
(정답률: 39%)
  • 정답은 "1"입니다.

    이유는 상대 참조인 $B2가 복사되면서 각 셀에 맞게 자동으로 변경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D5] 셀에는 =$A$1+$B5가 입력되어야 하지만, $B2가 $B5로 변경되어 =$A$1+$B5가 되어 결과는 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관계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index)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의 총 개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48%)
  • 2개입니다.

    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기 위한 자료구조입니다.

    1. 인덱스는 테이블의 특정 열(column)에 대해 생성됩니다.

    2. 인덱스를 생성하면 해당 열의 값을 기준으로 정렬된 인덱스 테이블이 생성됩니다.

    3. 이 인덱스 테이블을 사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면 빠른 검색 속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4.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는 "고객번호"와 "계좌번호" 열에 대해 인덱스가 생성되어 있으므로 정답은 2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트랜잭션(transaction)의 복구(recovery) 진행 시 복구대상을 제외, 재실행(Redo), 실행취소(Undo) 할 것으로 구분하였을 때 옳은 것은?

(정답률: 58%)
  • 트랜잭션 복구 시에는 복구 대상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재실행 또는 실행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복구 대상을 제외한 부분을 재실행하는 것을 Redo, 실행취소하는 것을 Undo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정답은 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워크시트에서 수식 =VLOOKUP(LARGE(C4:C11,3), C4:F11, 4, 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결과로 옳은 것은?

  1. 58
  2. 2,380
  3. 8,700
  4. 16,500
(정답률: 38%)
  • =VLOOKUP(LARGE(C4:C11,3), C4:F11, 4, 0) 수식은 C4:C11 범위에서 3번째로 큰 값을 찾아서, 그 값이 있는 행의 4번째 열 값을 반환합니다.

    C4:C11 범위에서 3번째로 큰 값은 8,700입니다. 이 값이 있는 행은 9행이며, 4번째 열에는 2,380이 있습니다. 따라서 결과는 "2,3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UML의 클래스 다이어그램에서 클래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화(generalization) 관계는 일반화한 부모 클래스와 실체화한 자식 클래스 간의 상속 관계를 나타낸다.
  2. 연관(association) 관계에서 다중성(multiplicity)은 관계 사이에 개입하는 클래스의 인스턴스 개수를 의미한다.
  3. 의존(dependency) 관계는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참조하는 것으로 지역변수, 매개변수 등을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관계이다.
  4. 집합(aggregation) 관계는 강한 전체와 부분의 클래스 관계이므로 전체 객체가 소멸되면 부분 객체도 소멸된다.
(정답률: 39%)
  • 정답은 "집합(aggregation) 관계는 강한 전체와 부분의 클래스 관계이므로 전체 객체가 소멸되면 부분 객체도 소멸된다." 이다. 집합 관계에서 전체 객체가 소멸되면 부분 객체도 소멸되는 것은 합성(composition) 관계이다. 집합 관계에서는 전체 객체가 소멸되어도 부분 객체는 소멸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에서 설명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유형으로 옳은 것은?

  1.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아키텍처
  2. 브로커(broker) 아키텍처
  3. MVC(Model-View-Controller) 아키텍처
  4. 계층형(layered) 아키텍처
(정답률: 41%)
  • 위 그림은 MVC(Model-View-Controller) 아키텍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를 세 가지 역할로 나누어 구성합니다. Model은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하고, View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Controller는 Model과 View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합니다. 이렇게 역할을 나누어 구성함으로써 유지보수와 확장성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MVC(Model-View-Controller) 아키텍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C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로 옳은 것은?

  1. 1 2 3
  2. 1 4 5
  3. 4 2 3
  4. 4 4 5
(정답률: 38%)
  • 정답은 "4 4 5"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배열 arr의 크기는 4이다.
    2. for문을 통해 배열 arr의 값을 초기화한다.
    3. for문을 통해 배열 arr의 값을 출력한다.
    4. 출력 결과는 "4 4 5"이다.

    이유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for문에서 i가 0일 때 arr[0]에 1을 대입하고, i가 1일 때 arr[1]에 2를 대입하고, i가 2일 때 arr[2]에 3을 대입하고, i가 3일 때 arr[3]에 4를 대입한다. 그리고 다시 for문을 통해 배열 arr의 값을 출력하면 "4 4 5"가 출력된다. 이는 arr[0]부터 arr[2]까지는 for문에서 초기화한 값이 출력되고, arr[3]은 초기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전에 대입한 4가 그대로 출력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용량이 1024PB(Peta Byte)일 때 이 데이터와 동일한 크기의 저장 용량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1KB는 1024Byte)

  1. 1024-1ZB(Zetta Byte)
  2. 10242TB(Tera Byte)
  3. 1024-3YB(Yotta Byte)
  4. 10244MB(Mega Byte)
(정답률: 47%)
  • 정답은 "10244MB(Mega Byte)"입니다.

    1024-3YB(Yotta Byte)는 1PB(Peta Byte)의 1024배인 단위이므로, 1024PB와 동일한 크기의 저장 용량입니다.

    하지만 10244MB(Mega Byte)는 1PB(Peta Byte)의 1024의 4승배인 단위이므로, 1024PB와는 크기가 매우 다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간단히 말해, 1024-3YB(Yotta Byte)는 1024PB의 크기와 같고, 10244MB(Mega Byte)는 1024PB의 크기보다 훨씬 큰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노매딕 컴퓨팅(nomadic computing)은 사용자가 모든 장소에서 사용자 인증 없이 다양한 정보기기로 동일한 데이터에 접근하는 기술이다.
  2. 엑조틱 컴퓨팅(exotic computing)은 스스로 생각하여 현실세계와 가상세계를 연계하는 컴퓨팅을 실현해 주는 기술이다.
  3. 감지 컴퓨팅(sentient computing)은 센서가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기술이다.
  4. 임베디드 컴퓨팅(embedded computing)은 사물에 마이크로칩을 장착하여 서비스 기능을 내장하는 컴퓨팅 기술이다.
(정답률: 30%)
  • 노매딕 컴퓨팅(nomadic computing)은 사용자가 모든 장소에서 사용자 인증 없이 다양한 정보기기로 동일한 데이터에 접근하는 기술이다. (옳은 설명)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이 함께 주기억장치에 적재되어 하나의 CPU 자원을 번갈아 사용하는 형태로 수행되게 하는 기법으로 옳은 것은?

  1. 다중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
  2. 다중프로세싱(multi-processing)
  3. 병렬처리(parallel processing)
  4. 분산처리(distributed processing)
(정답률: 55%)
  • 다중프로그래밍은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함께 주기억장치에 적재되어 하나의 CPU 자원을 번갈아 사용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CPU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작업을 처리할 수 있으며, 작업이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다중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기억장치와 CPU 캐시 기억장치만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이 기억장치 접근 시간이 주어질 때 이 시스템의 캐시 적중률(hit ratio)로 옳은 것은?

  1. 80%
  2. 85%
  3. 90%
  4. 95%
(정답률: 41%)
  • 캐시 적중률(hit ratio)은 캐시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을 수 있는 확률을 의미합니다. 캐시에 데이터가 있으면 주기억장치에 접근할 필요가 없으므로 캐시 적중률이 높을수록 시스템 성능이 좋아집니다.

    이 문제에서는 CPU 캐시 기억장치의 접근 시간이 2ns이고, 주기억장치의 접근 시간이 20ns이라고 주어졌습니다. 또한, 캐시 적중률(hit ratio)이 90%라고 가정합니다.

    따라서, 캐시에서 데이터를 찾을 확률이 90%이므로 10%의 확률로 캐시 적중 실패(miss)가 발생합니다. 이 경우, 주기억장치에 접근해야 하므로 전체 접근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체 접근 시간 = (캐시 적중 시간 × 적중률) + (주기억장치 접근 시간 × 실패율)
    = (2ns × 0.9) + (20ns × 0.1)
    = 1.8ns + 2ns
    = 3.8ns

    따라서, 이 시스템의 캐시 적중률(hit ratio)은 90%이며, 정답은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컴퓨터 시스템의 주기억장치 및 보조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AM은 휘발성(volatile) 기억장치이며 HDD 및 SSD는 비휘발성(non-volatile) 기억장치이다.
  2. RAM의 경우, HDD나 SSD 등의 보조기억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근 속도가 빠르다.
  3. SSD에서는 일반적으로 특정 위치의 데이터를 읽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같은 위치에 데이터를 쓰는 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더 오래 걸린다.
  4. SSD의 경우, 일반적으로 HDD보다 가볍고 접근 속도가 빠르며 전력 소모가 적다.
(정답률: 54%)
  • "SSD에서는 일반적으로 특정 위치의 데이터를 읽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같은 위치에 데이터를 쓰는 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더 오래 걸린다." 이 설명은 옳지 않다. SSD에서는 일반적으로 읽기와 쓰기 속도가 거의 동일하다. 이는 SSD의 내부적인 구조와 작동 방식 때문인데, SSD는 데이터를 읽고 쓰기 위해 전기 신호를 사용하며, 이 과정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찾는 시간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표에서 보인 4개의 프로세스들을 시간 할당량(time quantum)이 5인 라운드로빈(round-robin) 스케줄링 기법으로 실행시켰을 때 평균 반환 시간으로 옳은 것은?

  1. 24.0
  2. 29.0
  3. 29.75
  4. 30.25
(정답률: 33%)
  • 각 프로세스의 반환 시간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프로세스 A: 10 + 15 + 20 = 45
    - 프로세스 B: 5 + 10 + 15 + 20 = 50
    - 프로세스 C: 15 + 20 = 35
    - 프로세스 D: 5 + 10 + 15 + 20 = 50

    따라서, 평균 반환 시간은 (45 + 50 + 35 + 50) / 4 = 29.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LRU(Least Recently Used) 교체 기법을 사용하는 요구 페이징(demand paging) 시스템에서 3개의 페이지 프레임(page frame)을 할당받은 프로세스가 다음과 같은 순서로 페이지에 접근했을 때 발생하는 페이지 부재(page fault) 횟수로 옳은 것은? (단, 할당된 페이지 프레임들은 초기에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1. 7번
  2. 10번
  3. 14번
  4. 15번
(정답률: 30%)
  • LRU 교체 기법은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페이지 프레임이 모두 차있을 때 새로운 페이지를 요청하면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게 된다.

    초기에는 페이지 프레임이 모두 비어 있으므로, 처음 3개의 페이지 요청은 모두 페이지 부재가 발생한다. 이후에는 페이지 프레임이 모두 차있으므로, 새로운 페이지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LRU 교체 기법에 따라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게 된다.

    따라서, 7번 페이지 요청에서는 1번 페이지가 교체되고, 10번 페이지 요청에서는 2번 페이지가 교체된다. 14번 페이지 요청에서는 3번 페이지가 교체되고, 15번 페이지 요청에서는 1번 페이지가 다시 교체된다. 따라서, 총 페이지 부재 횟수는 15번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IPv6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패킷 헤더의 체크섬(checksum)을 통해 데이터 무결성 검증 기능을 지원한다.
  2. QoS(Quality of Service) 보장을 위해 흐름 레이블링(flow labeling) 기능을 지원한다.
  3. IPv6의 주소 체계는 16비트씩 8개 부분, 총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4. IPv6 주소 표현에서 연속된 0에 대한 생략을 위한 :: 표기는 1번만 가능하다.
(정답률: 26%)
  • IPv6는 패킷 헤더의 체크섬(checksum)을 통해 데이터 무결성 검증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대신, IPv6는 패킷 페이로드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해 IPsec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패킷 헤더의 체크섬(checksum)을 통해 데이터 무결성 검증 기능을 지원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정수를 왼쪽부터 순서대로 삽입하여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를 구성했을 때 단말 노드(leaf node)를 모두 나열한 것은?

  1. 16, 49, 51, 57, 85
  2. 16, 49, 57, 68, 85
  3. 49, 51, 57, 68, 85
  4. 49, 57, 68, 75, 85
(정답률: 45%)
  • 주어진 정수를 왼쪽부터 순서대로 삽입하여 이진 탐색 트리를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
    68
    /
    49 85
    /
    16 57 90
    ```

    이진 탐색 트리에서 단말 노드는 자식 노드가 없는 노드를 말한다. 따라서 위의 이진 탐색 트리에서 단말 노드는 16, 49, 57, 68, 85 이다. 따라서 정답은 "16, 49, 57, 68, 85" 이다.

    그리고 보기에서 "16, 49, 51, 57, 85"와 "49, 51, 57, 68, 85"는 이진 탐색 트리가 아니다. "49, 57, 68, 75, 85"는 이진 탐색 트리이지만, 주어진 정수를 왼쪽부터 순서대로 삽입하면 다른 이진 탐색 트리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 정렬 알고리즘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악의 경우에 시간 복잡도는 O(n2)이다.
  2. 원소 수가 적거나 거의 정렬된 경우에 효과적이다.
  3. 선택정렬(selection sort)에 비해 비교연산 횟수가 같거나 적다.
  4. 정렬 대상의 크기만큼 추가 공간이 필요하다.
(정답률: 35%)
  • 선택정렬과 유사한 알고리즘이며, 선택정렬보다 조금 더 빠르다. 하지만 최악의 경우에 시간 복잡도는 여전히 O(n^2)이다. 따라서 원소 수가 적거나 거의 정렬된 경우에 효과적이다. 정렬 대상의 크기만큼 추가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은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 정렬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배열에서 위치를 바꾸는 방식으로 정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정렬 대상의 크기만큼 추가 공간이 필요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SET(Secure Electronic Transa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이중서명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2. 카드 소지자는 전자 지갑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3. 인증기관(Certification Authority)이 필요하다.
  4. SSL(Secure Socket Layer)에 비해 고속으로 동작한다.
(정답률: 47%)
  • SET은 SSL과는 별개의 보안 프로토콜이므로, SSL과 비교하여 고속으로 동작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SET은 전자상거래에서 안전한 결제를 위해 개발된 프로토콜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이중서명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카드 소지자는 전자 지갑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인증기관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개인정보 보호법」의 개인정보 보호 원칙으로 옳은 것의 총 개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22%)
  • 정답은 "1개"입니다.

    이유는 보기에서 "개인정보 수집목적 및 이용목적의 명확성 원칙"이 옳은 원칙으로 나와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원칙들은 모두 옳은 원칙이지만, "개인정보 수집목적 및 이용목적의 명확성 원칙"은 개인정보 보호법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 중 하나로, 개인정보를 수집할 때 그 목적을 명확하게 밝히고, 그 목적에 맞게 이용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따라서, 이유는 "개인정보 수집목적 및 이용목적의 명확성 원칙"이 옳은 원칙으로 나와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