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9-15)

임상심리사 1급
(2012-09-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상심리연구방법론

1. t-test의 기본 가정이 아닌 것은?

  1. 표본이 무선 표집되어야 한다.
  2. 표본 평규차의 분포가 정상분포 해야 한다.
  3. 표본이 추출된 모집단의 변산이 동질적이어야 한다.
  4. 변인돌 간의 상관이 낮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t-test의 기본 가정 중 변인 돌 간의 상관이 낮아야 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t-test의 기본 가정은 표본이 무선 표집되어야 하며, 표본 평규차의 분포가 정상분포 해야 하며, 표본이 추출된 모집단의 변산이 동질적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변인 돌 간의 상관이 낮아야 한다는 것은 t-test를 사용하기 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입니다. 이는 두 개의 변수가 서로 독립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한 변수의 값이 다른 변수의 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서스톤척도는 어떤 측정수준에 해당하는가?

  1. 명목척도
  2. 등간척도
  3. 비율척도
  4. 서열척도
(정답률: 알수없음)
  • 서스톤척도는 등간척도에 해당한다. 이는 서스톤척도가 순서를 가지며 각 값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스톤척도로 측정한 온도에서 10도와 20도 사이의 간격은 10도이며, 20도와 30도 사이의 간격도 10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순수실험설계(true experimental design)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외생변수의 통제
  2. 독립변수의 조작
  3. 비동질 통제집단의 설정
  4.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무작위 할당
(정답률: 알수없음)
  • 순수실험설계에서는 비동질 통제집단의 설정이 없습니다. 이는 실험과 통제 그룹이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험과 통제 그룹은 무작위로 할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횡단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일한 현상을 동일한 대상에 대해 반복적으로 측정하는 조사방법이다.
  2. 특정시점에서의 집단 간 차이를 연구하는 방법이다.
  3. 각 기간 동안에 일어난 변화에 측정이 목적이다.
  4. 종단조사에 비해 표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횡단조사는 특정 시점에서의 집단 간 차이를 연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평균이 30이고, 표준편차가 5인 분표에서, 원점수 25를 z점수로 변환하면?

  1. -1
  2. 0
  3. 1
  4. 2
(정답률: 알수없음)
  • z점수 변환 공식은 (원점수 - 평균) / 표준편차 이므로, (25 - 30) / 5 = -1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상관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례수가 부족하면 상관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2. 두 변인 간에 곡선적인 관계가 있는 경우에 상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올 수 있다.
  3. 모집단으로부터 제한된 범위의 표본만을 표집하는 경우에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올수 있다.
  4. 두 변인 간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해서 두 변인 간에 반드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두 변인 간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해서 두 변인 간에 반드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가 틀린 것이다. 인과관계가 있다면 반드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상관관계가 없다면 인과관계도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연구의 외적 타당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써, 통제집단에 있는 연구대상들이 실험집단에 있는 연구대상들 보다 더 나은 결과가 나타나도록 노력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John Henry 효과
  2. Hawthorne 효과
  3. 연구자 효과
  4. 실험자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John Henry 효과"는 통제집단에 있는 연구대상들이 실험집단에 있는 연구대상들과 경쟁하여 더 나은 결과를 내려고 노력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연구의 외적 타당도에 영향을 미치며,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통제집단에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받는 학생들이 실험집단에 있는 학생들보다 더 열심히 공부하여 성적이 더 좋게 나온다면, 이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과대평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측정오차(error of measuremen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체계적 오차는 상호상쇄(self-compensation)되는 경향도 있다.
  2. 체계적 오차는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편향(bias)이다.
  3. 비체계적 오차는 측정대상, 측정과정, 측정수단 등에 따라 일관성 없이 영향을 미침으로써 발생한다.
  4. 측정의 오차를 신뢰성 및 타당성과 관련지었을 때 신뢰성과 타당성은 정도의 개념이 아닌 존재개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의 오차를 신뢰성 및 타당성과 관련지었을 때 신뢰성과 타당성은 정도의 개념이 아닌 존재개념이다."가 틀린 것이다. 신뢰성과 타당성은 정도의 개념이며, 측정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종단연구(longitudinal study)의 하나로 각 시점 마다 동일한 사람들을 조사하는 방법은?

  1. 추세연구(trend study)
  2. 패널연구(penel study)
  3. 코호트연구(cohort study)
  4. 시계열연구(time-series study)
(정답률: 알수없음)
  • 패널연구는 각 시점에서 동일한 개인 또는 집단을 추적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종단연구에서는 새로운 참여자를 모집하여 조사하지만, 패널연구에서는 초기에 참여한 사람들을 계속해서 조사하므로 일정한 기간 동안 변화하는 모습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종단연구와 비교하여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중심경향측정치(measures of central tendency) 중 명목척도(nominal scale)에서 구할 수 있는 유일한 중심경향 측정치로 표본오차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은?

  1. 최빈치
  2. 중앙치
  3. 산술평균
  4. 가중평균
(정답률: 알수없음)
  • 명목척도에서는 숫자가 아닌 이름이나 분류로 구분되기 때문에 산술평균이나 가중평균과 같은 수치적인 계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유일하게 구할 수 있는 중심경향 측정치는 각 분류별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을 나타내는 최빈치이다. 그러나 최빈치는 표본오차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낮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표본의 크기결정을 위한 고려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타당도
  2. 신뢰수준
  3. 오차의 한계
  4. 모집단의 표준편차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의 크기 결정을 위한 고려사항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타당도"이다.

    타당도는 연구가 제시한 결과가 실제로 의미 있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연구의 내용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검증할 수 있다. 하지만 표본의 크기 결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반면에, 신뢰수준은 표본에서 얻은 결과가 모집단 전체에 대해 일반화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오차의 한계는 표본에서 얻은 결과와 모집단 전체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표본의 크기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모집단의 표준편차도 표본의 크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A – 동질적, B – 이질적
  2. A – 동질적, B – 동질적
  3. A – 이질적, B – 동질적
  4. A – 이질적, B – 이질적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에서 A와 B는 서로 다른 모양이므로 이질적이다. 하지만 A 내부의 작은 도형들은 모두 같은 모양이므로 동질적이다. 따라서 정답은 "A – 동질적, B – 이질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변량분석에서 동일 사례수 가정이 파괴되는 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결측치
  2. 반복측정설계
  3. 짝짓기설계
  4. 라틴스퀘어설계
(정답률: 알수없음)
  • 변량분석에서 동일 사례수 가정이 파괴되는 상황은 "결측치"입니다. 결측치는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일부 변수의 값이 누락되거나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를 말합니다. 이 경우에는 해당 변수의 값이 없기 때문에 동일한 사례수를 유지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결측치가 있는 경우에는 변량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연역법
  2. 귀납법
  3. 직관법
  4. 반증법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연역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연역법은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을 찾아내기 위해 특수한 사례나 사실을 통해 추론하는 방법이다. 위 그림에서는 "모든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도이다"는 일반적인 원리를 찾아내기 위해 특정한 삼각형들의 내각의 합을 계산하여 일반화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수험생들이 임상심리사 1급 시험을 치는데 걸리는 시간이 평균 180분, 표준편차 20분의 정규분포를 보인다고 한다. 수험생의 90%에게 충분한 시간을 주려면 시험시간을 약 얼마로 정하여야 하는가? (단, 10분 단위 미만은 버림으로 계산하시오)

  1. 210분
  2. 220분
  3. 230분
  4. 240분
(정답률: 알수없음)
  • 90%의 수험생에게 충분한 시간을 주려면, 평균에서 1.645 표준편차만큼 더한 시간을 정해야 한다. 이는 표준정규분포표에서 0.95에 해당하는 값이 1.645임을 이용한 것이다.

    즉, 180 + (1.645 x 20) = 211.9 분이다. 이를 10분 단위로 버림하여 정답은 210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어떤 시험이 매우 어려워서 낮은 점수를 받은 사람은 매우 많은 반면,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은 적은 경우에 이 분포는 어떤 형태를 보일 가능성이 큰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정상분포
  2. 부적편포
  3. 정적편포
  4. 양봉분포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적편포는 데이터가 특정 값 주변에 몰려 있는 분포로, 평균값 주변에 데이터가 집중되어 있으며 극단값이 적은 형태를 보입니다. 따라서, 매우 어려운 시험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사람이 많고,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이 적은 경우에는 정적편포 형태를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사례의 결과는 어떤 효과가 나타났다는 것을 의미하는가?

  1. 기분의 주효과
  2. 지능의 주효과
  3. 창의성과 주효과
  4. 기분과 지능의 상호작용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사례에서는 기분과 지능의 상호작용이 주효과로 나타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에서는 기분이 좋은 상태에서 문제를 푸는 경우와 기분이 나쁜 상태에서 문제를 푸는 경우를 비교하였는데, 기분이 좋은 상태에서 문제를 푸는 경우에 더 높은 성적을 보였다. 이는 기분이 좋은 상태에서는 더 긍정적인 생각과 창의성이 증가하며, 이는 지능적인 문제 해결 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분과 지능은 서로 영향을 주며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거트만척도에서 응답자의 응답이 이상적인 패턴에 얼마나 가까운가를 측정하는 것은?

  1. 단일차원계수
  2. 스캘로그램
  3. 재생가능계수
  4. 최소오차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거트만척도에서 응답자의 응답이 이상적인 패턴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측정하는 것은 "재생가능계수"입니다. 이는 응답자의 응답이 이상적인 패턴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높은 재생가능계수는 응답자의 응답이 이상적인 패턴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인 "단일차원계수", "스캘로그램", "최소오차계수"는 거트만척도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통계적 지표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가설검정에 있어서 연구자가 범할 수 있는 제2종 오류(Tyoe Ⅱ error)는 어떤 경우에 발생하는가?

  1. 영가설이 참일 때 영가설을 수용하는 경우
  2. 영가설이 거짓일 때 영가설을 수용하는 경우
  3. 영가설이 참일 때 영가설을 기각하는 경우
  4. 영가설이 거짓일 때 영가설을 기각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제2종 오류는 영가설이 거짓일 때 영가설을 수용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는 연구자가 대립가설이 참임에도 불구하고 영가설을 유지하는 경우로, 이 경우에는 실제로는 참인 것을 거짓으로 오인하게 된다. 이는 연구 결과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초래할 수 있으며,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기술 중 조작적 정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혈중 알콜농도에 따라 음주운전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소주를 1잔, 2잔, 3잔 마신 그룹을 나누의 조사한다.
  2. 배고픔에 대한 동기의 정도를 일정기간 동안 굶은 정도를 다르게 하여 측정한다.
  3. 학업성취도라는 개념을 듣기, 읽기, 말하기 등의 합의의 개념으로 한다.
  4. 학생들의 성적향상을 실험변수로 하였을 때 어떻게 학생들의 성적을 향상시킬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은 방법을 제사하여 알아본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학업성취도라는 개념을 듣기, 읽기, 말하기 등의 합의의 개념으로 한다. - 이는 조작적 정의가 아니라 개념적 정의이다. 개념적 정의란, 어떤 개념이나 용어를 정의할 때 그 개념이나 용어가 가지는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고급이상심리학

21. DSM-IV의 성적 장애 및 성 정체감 장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동성애
  2. 물품음란증
  3. 성욕감퇴장애
  4. 성적흥분장애
(정답률: 알수없음)
  • DSM-IV에서 동성애는 성적 장애나 성 정체감 장애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이는 DSM-IV에서 성적 취향이나 성 정체감은 정상적인 변이로 간주되며, 이들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만 진단이 가능하다는 입장에서 비롯됩니다. 따라서 동성애는 DSM-IV에서는 질병이나 장애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섭식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들 중 많은 수가 폭식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2.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에게 재발은 비교적 흔한편이다.
  3. 신경성 폭식증 환자들은 폭식행동 후 체중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보상행동을 과도하게 보여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4. 신경성 폭식증 환자를 위한 치료의 초기 목표는 폭식행동-배출행동의 악순환을 끊고 섭식행동을 정상화하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신경성 폭식증 환자들은 폭식행동 후 체중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보상행동을 과도하게 보여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가 틀린 설명은 아닙니다. 이는 신경성 폭식증 환자들이 보이는 특징 중 하나로, 폭식 후에 과도한 운동이나 구토 등을 통해 체중을 감소시키는 보상행동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정신분열증의 증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항정신병 약물에 주로 반응하는 증상은 양성증상이다.
  2. 지각장애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환시이다.
  3. 정신분열증의 다양한 증상 중 가장 근원적인 것은 사고장애이다.
  4. 전조(전구)기, 활성기, 잔류기의 총 기간이 6개월 이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신분열증의 다양한 증상 중 가장 근원적인 것은 사고장애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정신분열증의 근원적인 증상은 인지기능의 손상으로, 이로 인해 사고, 인지, 기억, 주의 등의 기능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지각장애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환시이다."라는 설명은 맞습니다. 환시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거나 듣는 등의 경험을 말하며, 양성증상 중 하나입니다. 항정신병 약물은 양성증상 외에도 부정적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신분열증 진단을 위해서는 전조기, 활성기, 잔류기의 총 기간이 6개월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노인우울증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젊은 연령층과는 달리 남녀 유병율이 비슷하다.
  2. 신체증상. 건강염려증적 호소, 죄책감이 빈번하다.
  3. 기억을 효율적으로 인출하는 능력의 저하가 흔하다.
  4. 조발성(early onset)보다 만발성(late onset)에서 우울증 가족력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억을 효율적으로 인출하는 능력의 저하가 흔하다."가 옳은 설명이다. 노인우울증은 젊은 연령층과는 달리 남녀 유병율이 비슷하며, 신체증상, 건강염려증적 호소, 죄책감이 빈번하다. 만발성에서 우울증 가족력이 높다는 것은 조발성보다 더 많은 노인들이 가족 중 우울증을 경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알코올 관련 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알코올 의존 : 잦은 음주로 인하여 알코올에 대한 내성이 생겨 알코올 섭취량이나 빈도가 증가하고 술을 마시지 않으면 금단 현상이 나타난다.
  2. 알코올 금단 : 알코올 사용이 중단되거나 감소된 후에 알코올의 혈중 농도가 급속히 떨어지는 4~12시간 이내에 시작된다.
  3. 알코올 남용 : 잦은 과음으로 직장, 학교, 가정에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법적인 문제를 일으키며 내성이나 금단 증상이 심하다.
  4. 알코올 중독 : 과도하게 알코올을 섭취하여 심하게 취한 상태에서 부적응 행동이나 신체생리적 변화가 나타나는 상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없습니다. 모든 보기가 알코올 관련 장애에 대한 올바른 설명입니다.

    알코올 남용은 과음으로 인해 역할 수행 능력이 저하되고 법적 문제를 일으키며 내성과 금단 증상이 심해지는 상태입니다.

    알코올 의존은 잦은 음주로 인해 내성이 생겨 섭취량이나 빈도가 증가하고, 술을 마시지 않으면 금단 현상이 나타나는 상태입니다.

    알코올 금단은 알코올 사용이 중단되거나 감소된 후에 알코올의 혈중 농도가 급속히 떨어지는 4~12시간 이내에 시작되는 증상입니다.

    알코올 중독은 과도한 알코올 섭취로 인해 부적응 행동이나 신체생리적 변화가 나타나는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학습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능수준은 평균범위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2. 운동협응능력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
  3. 주된 치료방법은 약물치료이다.
  4. 독해장애아동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전 과목의 성적이 저하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된 치료방법은 약물치료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학습장애는 다양한 치료방법이 있지만, 약물치료는 그 중 하나일 뿐입니다. 다른 치료방법으로는 교육적 치료, 행동치료, 인지치료 등이 있습니다.

    - "지능수준은 평균범위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 학습장애 아동의 지능수준은 평균 이하일 수 있지만, 평균 이상인 경우도 있습니다.
    - "운동협응능력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 : 학습장애 아동은 운동협응능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독해장애아동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전 과목의 성적이 저하될 수 있다." : 독해장애 아동은 읽기 이해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사례에서 A씨가 곰인형에 대해 공포 반응을 형성하고 유지해 나가는 과정을 Mowrer의 2요인이론(two-factor theory)으로 설명하려고 한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A – 고전적 조건형성, B – 조작적 조건형성
  2. A – 조작적 조건형성, B – 고전적 조건형성
  3. A - 처벌, B - 부적강화
  4. A - 처벌, B - 정적강화
(정답률: 알수없음)
  • A씨가 곰인형에 대해 공포 반응을 형성하고 유지해 나가는 과정은 Mowrer의 2요인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 이론은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 두 가지 요인이 공포와 같은 감정을 형성하는 데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고전적 조건형성은 자연스러운 반응과 무관한 자극이 자연스러운 반응과 함께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그 자극이 자연스러운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학습된다는 이론이다. A씨가 곰인형에 대해 공포 반응을 형성한 것은 이러한 고전적 조건형성의 결과이다. 즉, 곰인형이라는 자극이 A씨에게 공포를 유발하는 자극으로 학습되었다.

    조작적 조건형성은 행동과 그 결과 간의 관계를 학습하는 것으로, 특정한 행동이 원하는 결과를 가져오면 그 행동이 강화되고, 원하지 않는 결과를 가져오면 그 행동이 약화된다는 이론이다. A씨가 곰인형에 대한 공포 반응을 유지해 나가는 것은 이러한 조작적 조건형성의 결과이다. 즉, A씨가 곰인형을 피하는 행동을 취하면 곰인형과의 접촉이 줄어들어서 공포 반응이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A씨는 곰인형을 피하는 행동을 계속 취하게 된다. 이러한 행동이 강화되면서 A씨의 공포 반응은 유지되어간다.

    따라서, A씨가 곰인형에 대해 공포 반응을 형성하고 유지해 나가는 과정은 "A – 고전적 조건형성, B – 조작적 조건형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우울증의 역학적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우울증은 어떤 연령대에서도 시작될 수 있으나 평균 발병연령은 20대 중반이다.
  2. 아동기와 청소년기 모두 남아보다 여아가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3. 우울증을 한 번 경험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우울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4. 충동성이 강한 청소년은 우울증 상태에서 자살을 하는 경향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아동기와 청소년기 모두 남아보다 여아가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는 실제로 우울증의 역학적 특징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여아들이 정서적으로 민감하고, 사회적 압박이나 스트레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증상은 어떤 인격장애의 핵심적은 내용인가?

  1. 편집성 인격장애
  2. 강박성 인격장애
  3. 반사회적 인격장애
  4. 경계성 인격장애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핵심 증상 중 하나인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고 자신의 이익만 추구하는 행동"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사회적 규범을 어기고 법적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 반사회적 인격장애로 진단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사회적 인격장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사례에서 A씨의 진단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감별불능 신체형장애(undifferentiated somatoform disorder)
  2. 광장공포증을 수반하지 않은 공황장애(panic disorder without agoraphobia)
  3. 통찰을 결여한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 without insight)
  4. 다른 장애에 분류되지 않는 충동조절장애(impulse-control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정답률: 알수없음)
  • A씨는 갑작스러운 공포와 불안, 심장이 빨리 뛰는 증상 등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증상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광장공포증을 수반하지 않았기 때문에, "광장공포증을 수반하지 않은 공황장애(panic disorder without agoraphobia)"가 가장 적합한 진단명입니다. "감별불능 신체형장애(undifferentiated somatoform disorder)"는 신체적 증상이 있지만 의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되며, "통찰을 결여한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 without insight)"는 건강에 대한 과도한 걱정과 불안이 지속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다른 장애에 분류되지 않는 충동조절장애(impulse-control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는 충동적인 행동이 지속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성격장애별 특징이 틀리게 연결된 것은?

  1. 회피성 성격장애 – 거절에 대한 두려움
  2. 강박성 성격장애 – 완벽주의
  3. 의존성 성격장애 – 항문기 고착
  4. 반사회성 성격장애 – 공감능력 부족
(정답률: 알수없음)
  • 의존성 성격장애와 항문기 고착은 연관성이 없습니다. 의존성 성격장애는 타인에게 지나치게 의존하고 자신의 판단력이 부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항문기 고착은 대변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의존성 성격장애 – 항문기 고착"이 틀리게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수면장애의 유형이 다른 하나는?

  1. 불면증(Insomnia)
  2. 수면 중 경악장애(Sleep terror disorder)
  3. 과다수면증(Hypersomnia)
  4. 수면발작증(Narcolepsy)
(정답률: 알수없음)
  • 수면 중 경악장애는 수면 중에 갑작스럽게 깨어나며 공포와 혼란 상태를 경험하는 것으로, 다른 세 가지 수면장애와는 다른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불면증은 잠을 잘 못자는 것, 과다수면증은 지나치게 많은 잠을 자는 것, 수면발작증은 갑작스럽게 졸음이 오거나 깨어지는 것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은 어떤 망상의 유형에 해당하는가?

  1. 질투망상
  2. 피해망상
  3. 애정망상
  4. 허무망상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애정망상에 해당한다. 애정망상은 자신이 상대방에게 사랑받고 있다고 믿는 망상으로, 상대방의 일상적인 행동이나 말에서도 사랑의 표현을 찾아내고 해석한다. 이 그림에서는 여성이 남성의 손길을 받는 모습을 보고 자신이 그에게 사랑받고 있다고 믿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경계선 성격장애의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이 아닌 것은?

  1. 이상화와 평가절하
  2. 반복적인 자살시도
  3. 자신에게 관심을 끌기 위해 외모를 사용
  4. 정체감 혼란
(정답률: 알수없음)
  • "자신에게 관심을 끌기 위해 외모를 사용"은 경계선 성격장애의 주요 증상 중 하나로, 환자들이 자신의 외모나 성적 매력 등을 강조하거나 과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아존중감 부족과 관련이 있으며, 주변 사람들의 인식과 반응에 대한 강한 욕구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과 불안감을 느끼는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DSM-IV의 지적장애 진단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능지수 20 또는 25 이하는 심한 정도의 정신지체(severe mental retardation)에 해당한다.
  2. 표준화검사에 의해 지능을 측정할 수 없는 경우는 일단 중간정도의 정신지체로 진단한다.
  3. 18세 이전에 발병해야 한다.
  4. 지적장애는 지능지수 70이하인 경우로 확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18세 이전에 발병해야 하는 이유는, 어린 시기부터 발달이 지연되거나 이상이 있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18세 이후에 발생한 지적장애는 후천적인 원인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다른 진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정신병리에 대한 행동주의 관점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적강화는 대상 행동의 빈도수를 감소시킨다.
  2. 부분강화는 연속강화보다 소거하기가 어렵다.
  3. 변화비율 강화계획의 대표적 예로 도박을 들 수 있다.
  4. Premack의 원리는 고빈도수의 활동이 저빈도수의 활동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적강화는 대상 행동의 빈도수를 감소시킨다."는 옳은 설명이다.

    부적강화는 원래 강화되는 행동을 하지 않았을 때에만 강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해 해당 행동의 빈도수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부적강화가 행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적강화는 대상 행동의 빈도수를 증가시킨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그 외의 보기들은 모두 옳은 설명이다.

    - 부분강화는 연속강화보다 소거하기가 어렵다: 부분강화는 일정한 빈도로 강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연속강화보다 소거하기가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 변화비율 강화계획의 대표적 예로 도박을 들 수 있다: 변화비율 강화계획은 일정한 비율로 강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도박에서의 승률과 유사한 원리이다.
    - Premack의 원리는 고빈도수의 활동이 저빈도수의 활동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Premack의 원리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활동을 저우선순위의 활동을 강화하는 것으로, 이는 고빈도수의 활동이 저빈도수의 활동을 강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이상행동 및 정신장애에 대한 판별 기준 중 통계적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 기준을 적용하는 대표적 예는 지능지수이다.
  2. '평균으로부터 두 배의 표준편차만큼' 이라는 기준은 연구자들의 경험적 근거에 기초한다.
  3. 정신지체와 학습장애의 경우 이 기준을 적용한다.
  4. 정상분포 개념을 이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평균으로부터 두 배의 표준편차만큼' 이라는 기준은 연구자들의 경험적 근거에 기초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 기준은 정규분포의 특성을 이용하여, 대다수의 데이터가 평균에서 두 표준편차 범위 내에 분포한다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이 기준은 통계학적인 원리에 기초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성도착증(paraphilias)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문화권마다 수용되는 성적 행위나 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성도착증은 사회문화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2. 남녀의 발생비율이 20:1로 추정될 만큼 압도적으로 남자에게 많이 나타난다.
  3. 노출증은 낯선 사람에게 성기를 노출시키지만, 성행위를 하려고 시도하는 경우는 드물다.
  4. 소아기호증은 특히 여아를 선호하는 개인의 경우 만성적이며, 남아를 선호하는 비율이 여아를 선호하는 비율의 2배로 추정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남녀의 발생비율이 20:1로 추정될 만큼 압도적으로 남자에게 많이 나타난다."이다. 성도착증은 성적 행위나 대상에 대한 지속적이고 강한 욕구나 충동으로 정의되는데, 이는 문화나 사회적 요인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문화권마다 수용되는 성적 행위나 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성도착증은 사회문화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노출증은 낯선 사람에게 성기를 노출시키지만, 성행위를 하려고 시도하는 경우는 드물다.", "소아기호증은 특히 여아를 선호하는 개인의 경우 만성적이며, 남아를 선호하는 비율이 여아를 선호하는 비율의 2배로 추정된다."는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정신분열증의 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가족치료에는 교육적 요소와 치료적 요소가 통합되어 있다.
  2.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인 지연성 운동장애는 해당 약물을 중단하면 쉽게 회복된다.
  3. 토큰경제는 흔히 정신과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정신병적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활용된다.
  4. 비전형적 항정신병 약물은 양성증상뿐 아니라 음성증상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인 지연성 운동장애는 해당 약물을 중단하면 쉽게 회복된다."가 틀린 것이다. 지연성 운동장애는 항정신병 약물 중 일부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약물을 중단해도 회복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에는 의료진과 상담하여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이상심리학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정상성과 이상성의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인이 속한 문화나 집단에서 기대되고 용인되더라도 DSM-IV 준거에 합당하면 이상행동으로 볼 수 있다.
  2. 개인의 부적응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심하게 고통을 느끼는 심리 상태는 이상행동으로 간주할 수 있다.
  3. 일상생활, 사회적, 직업적 부적응을 초래하는 주의 집중력을 기억력 저하는 이상행동이다.
  4. 정신지체와 학습장애를 비롯한 일부 정신장애의 경우 통계적 기준을 적용하여 진단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개인이 속한 문화나 집단에서 기대되고 용인되더라도 DSM-IV 준거에 합당하면 이상행동으로 볼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상심리학에서는 문화나 집단에서 기대되는 행동이나 가치관을 고려하여 개인의 행동을 판단합니다. DSM-IV는 단순히 정신질환의 진단을 위한 기준일 뿐이며, 문화나 집단에서 기대되는 행동이 DSM-IV 기준에 부합한다면 이상행동으로 간주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급심리검사

41. 다음 면담의 내용에서 시사되는 환자의 사고 특성은?

  1. 우원적 사고(Circumstantiallty)
  2. 사고의 비약(Flight of ldea)
  3. 보속증(Perseveration)
  4. 사고 차단(Thought Blocking)
(정답률: 알수없음)
  • 면담에서 환자는 주제에서 벗어나는 말을 하며, 갑작스럽게 다른 주제로 이어지는 것을 보입니다. 이는 "사고의 비약(Flight of ldea)" 특성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측정하려고 하는 어떤 대상과 관련된 각 쌍의 형용사를 제시하고 형용사의 연속선상에서 자신의 감정이 해당하는 위치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척도는?

  1. 의미 변별 척도
  2. Guttman 척도
  3. Thurstone 척도
  4. Likert 척도
(정답률: 알수없음)
  • "의미 변별 척도"는 측정하려는 대상과 관련된 각 쌍의 형용사를 제시하고, 형용사의 연속선상에서 자신의 감정이 해당하는 위치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척도입니다. 이 척도는 각 형용사 간의 의미 차이를 구별하여 측정하며, 각각의 형용사가 대상에 대한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미 변별 척도"가 정답입니다. "Guttman 척도"는 항목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척도이고, "Thurstone 척도"는 각 항목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Likert 척도"는 각 항목에 대한 동의도를 측정하는 척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심리평가 보고서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호하고 빈번하게 자주 사용되는 일반적이 진술을 피한다.
  2. 평가 결과의 해석은 피검자와 의뢰자 모두에게 내용적으로 이해 가능해야 한다.
  3. 보고서에 자신의 의견을 기술할 때, 이를 입증할만한 객관적 정보 또는 기법에 근거해야 한다.
  4. 해석의 분명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반드시 원자료의 반응을 그대로 언급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석의 분명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반드시 원자료의 반응을 그대로 언급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원자료의 반응을 그대로 언급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으며, 보고서 작성자의 판단과 해석에 따라 적절한 정보를 제시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Wechsler가 주장한 지능의 개념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기
  2. 통찰력을 가지고 문제 해결하기
  3.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4. 감정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정답률: 알수없음)
  • Wechsler가 주장한 지능의 개념에는 "감정을 적절하게 조절하기"가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Wechsler가 지능을 인지적, 언어적, 추론적, 공간적, 수리적 능력 등으로 정의하고, 감정적인 측면은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정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능력은 Wechsler가 주장한 지능의 개념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사례에서 환자의 면담을 수행하는 요령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심하게 흥분하고 공격성의 징후를 보이면 면담을 중지한다.
  2. 관심영역을 자유롭게 말하도록 공감적인 개방형 질문을 사용한다.
  3. 공격성의 징후를 보이던 그런 행동은 허용할 수 없다고 경고한다.
  4. 질문의 초점을 벗어나 엉뚱한 이야기를 늘어놓을 때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환자가 공격성의 징후를 보이더라도 면담을 중지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이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어야 하므로 다른 보기들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가장 적절한 대처 방법은 환자의 관심 영역을 자유롭게 말하도록 공감적인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면서 면담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주의력과 정신적 추적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로 부적합한 것은?

  1. 100에서 연속 7빼기 검사(serial 7)
  2. 선로 잇기 검사(Trail Making Test)
  3. 사물 이름 명명 검사(Boston Naming Test)
  4. 숫자 외우기(Digit Span)
(정답률: 알수없음)
  • 사물 이름 명명 검사(Boston Naming Test)는 언어적 능력과 관련된 검사로, 주의력과 정신적 추적능력을 측정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 검사는 환자가 사물의 이름을 말하는 능력을 측정하여 언어적 결함을 파악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지능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웩슬러 지능 검사는 Spearman의 g요인 개념과 Thorndike(Thurstone 인지 확인을 요함)의 중다요인 지능 개념을 동시에 구현하였다.
  2. 웩슬러 지능 검사에서는 정신연령과 생활연령 간의 비율로 IQ를 산출한다.
  3. 웩슬러 지능 검사는 성인용과 아동용 두 가지 형태로 사용된다.
  4.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 검사(K-WAIS)는 WAIS-Ⅲ를 이용하여 표준화 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웩슬러 지능 검사는 Spearman의 g요인 개념과 Thorndike(Thurstone 인지 확인을 요함)의 중다요인 지능 개념을 동시에 구현하였다. 이는 웩슬러 지능 검사가 다양한 지능 영역을 평가하면서도 전반적인 지능을 측정할 수 있는 g요인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MMPI의 타당도 척도 중 L척도의 상승이 의미하는 바가 아닌 것은?

  1. 가장 보편적인 인간의 약점도 부인하려고 하는 경우
  2. 인사선발과 같은 상황에서 과도하게 좋은 인상을 주려고 애쓰는 정상인의 경우
  3. 대체로 고등교육을 이수한 정상인의 반응인 경우
  4. 세속적이고 사회적 순응성이 강한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MMPI의 L척도는 "Lie Scale"로서, 응답자가 자신의 약점을 부정하거나, 과도하게 좋은 인상을 주려고 애쓰는 경우를 측정하는 척도입니다. 따라서, "대체로 고등교육을 이수한 정상인의 반응인 경우"는 L척도의 상승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L척도는 인간의 보편적인 약점을 부인하려는 경향이 있는 경우와, 인사선발과 같은 상황에서 과도하게 좋은 인상을 주려고 애쓰는 경우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환자에게 반응에 대한 책임감과 융통성을 가장 많이 부여해 주는 면접 질문의 유형은?

  1. 명료형
  2. 직면형
  3. 촉진형
  4. 개방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개방형"입니다. 개방형 면접 질문은 환자의 반응에 대한 책임감과 융통성을 가장 많이 부여해 주는 유형입니다. 이유는 개방형 질문은 환자의 의견을 듣고 그에 맞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질문은 환자와 의사 간의 소통과 신뢰를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능력적성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검자의 현재 인지적 능력을 바탕으로 향후 직업에서의 성공가능성을 예측한다.
  2. 성격이나 개인적 취향과의 부합성과는 관련 없는 구성개념을 측정한다.
  3. 타당한 해석과 관련하여 준거타당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스트롱 직업흥미검사가 대표적인 예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검자의 현재 인지적 능력을 바탕으로 향후 직업에서의 성공가능성을 예측한다."는 능력검사가 아닌 직업성향검사의 설명이다. 따라서 이것이 틀린 설명이다. "스트롱 직업흥미검사가 대표적인 예이다."는 직업성향검사의 대표적인 예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MMPI의 1–3/3-1 상승척도 쌍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흔하다.
  2. 흔히 신체형 장애나 동통장애 진단을 받는다.
  3. 부인, 투사, 합리화 방어기제를 지나치게 사용한다.
  4. 특히 척도 2가 척도 1과 3보다 상당히 높은 경우 전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흔하다.", "흔히 신체형 장애나 동통장애 진단을 받는다.", "부인, 투사, 합리화 방어기제를 지나치게 사용한다."는 모두 MMPI의 1-3/3-1 상승척도 쌍과 관련된 특징이다. 따라서 이들은 모두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특히 척도 2가 척도 1과 3보다 상당히 높은 경우 전환 증상을 보일 수 있다."는 틀린 설명이다. MMPI의 1-3/3-1 상승척도 쌍에서 척도 2가 높은 경우, 이는 주로 우울증과 관련된 결과를 나타내며, 전환 증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린 것이다.

    전환 증상이란, 정신질환에서 발생하는 증상 중 하나로, 예를 들어 우울증에서 매우 침울한 상태에서 갑자기 긍정적인 감정이 드는 것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은 MMPI의 1-3/3-1 상승척도 쌍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확산적 뇌손상을 입은 환자에게 후속평가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신경심리평가를 실시할 때, 손상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기능이 아닌 것은?

  1. 정서기능
  2. 기억기능
  3. 학습기능
  4. 주의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확산적 뇌손상을 입은 환자에게 후속평가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손상여부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정서기능"은 우선적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기능이다. 다른 기능들은 환자의 일상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집단 내 규준이 아닌 것은?

  1. T 점수
  2. 편차 IQ
  3. 정신연령
  4. 스태나인 척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신연령은 개인의 지적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며, 집단 내 규준이 아닌 개인의 능력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는 다르다. T 점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개인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고, 편차 IQ는 개인의 지능 수준을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것이며, 스태나인 척도는 개인의 발달 수준을 측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아동용 검사가 별도로 제작되어 있는 검사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지능검사 – 주제통각검사 – 문장완성검사
  2. 지능검사 – BGT 검사 – 문장완성검사
  3. 주제통각검사 – Rorschach검사 – 동작성 가족화검사
  4. 주제통각검사 – 문장완성검사 – 인물화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아동용 검사가 별도로 제작되어 있는 검사로만 짝지어진 것은 "지능검사 – 주제통각검사 – 문장완성검사"입니다. 이는 아동의 지능, 주제통각 능력, 언어능력을 ganzheitlich하게 평가하기 위해 각각의 검사가 아동용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일부 검사가 아동용으로 제작되어 있지 않거나, 다른 연령대나 대상을 대상으로 한 검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MMPI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MPI척도는 경험적 접근 방식에 따라 문항이 분석되고 구성되었다.
  2. MMPI에서 우울증 척도가 상승한 것은 진단적으로 우울장애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3. 투사법 검사에서와 마친가지로 MMPI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검사자와 피검자의 관계도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MMPI에서 T점수가 70 이상 상승된 임상척도들을 2개씩 묶어서 해석하는 상승척도쌍(2-code type) 해석방식은 형태분석에 해당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MMPI에서 우울증 척도가 상승한 것은 진단적으로 우울장애일 가능성을 시사한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MMPI는 우울증 척도가 상승한 것이 우울장애를 진단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인 진단 과정이 필요합니다. MMPI는 우울증 증상의 정도를 측정하고, 우울증과 관련된 성격적 특징을 파악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심리검사의 윤리 강령 중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피검자나 피검자의 법적 대리인으로부터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경우는?

  1. 법률에 따라 전국적인 검사 실시가 필요할 경우
  2. 정규적인 학교 활동의 일부로 검사를 실시할 경우
  3. 임상에서 정신병리 선별을 목적으로 개발된 검사의 표준화 작업을 실시할 경우
  4. 고용이나 입학허가를 위해 검사를 실시할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피검자나 피검자의 법적 대리인으로부터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경우는 "임상에서 정신병리 선별을 목적으로 개발된 검사의 표준화 작업을 실시할 경우"입니다. 이유는 이러한 검사는 개인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므로, 개인의 동의 없이는 검사를 실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피검자나 법적 대리인으로부터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법적인 규정이나 학교나 직장에서의 일상적인 검사 등으로, 특별한 동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60대 남자가 교통사고를 당한 후, 사고나 행동을 유연하게 전환하지 못하여 보속증(perseveration)을 자주 보인다. 이러한 결함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Go-No-Go 검사
  2. Luria 3단계(주먹-손날-손바닥) 검사
  3. 선로 잇기 검사 A형(Trail Making test, Part A)
  4. 삼각파도-사각파도 그리기(Alternating Square Triangle)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 잇기 검사 A형은 숫자와 알파벳이 번갈아가며 적힌 선을 따라 순서대로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시간 제한이 있으며, 보속증과 같은 인지 결함을 가진 사람들은 순서를 유지하지 못하고 무작위로 연결하거나, 일부 숫자나 알파벳을 빠뜨리는 등의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검사는 보속증을 포함한 인지 결함을 검사하는 데 유용하며, 다른 검사들과는 달리 순서 유지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40대 주부 A씨는 숙제를 하지 않고 컴퓨터 게임을 하고 있는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고 심하게 야단을 쳤다. A씨는 평소 화가 나면 이를 참지 못하고 직접 표출하는 패턴을 보인다. 이러한 분노표현방식을 고려할 때, A씨가 나타낼 가능성이 가장 높은 MMPI 결과는?

  1. 2-4-8 코드 유형
  2. 3-1-2 코드 유형
  3. 4-6 코드 유형
  4. 5-8 코드 유형
(정답률: 알수없음)
  • A씨는 분노표현방식이 직접적이고 감정을 솔직하게 표출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MMPI에서 "4-6 코드 유형"과 관련이 있다. 이 유형은 감정표현이 직접적이고 솔직하며, 감정의 표출이 강하고 폭발적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A씨가 이 유형에 해당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심한 환청과 망상을 보이는 20대 초반 남성의 Wechsler 지능검사 결과가 언어성 IQ=113, 동작성 IQ=77, 전체 IQ=98 일 때, 가장 우선적으로 시행해야할 해석 절차는?

  1. 95% 신뢰수준에서 현재 지능은 98±1.96×(측정의 표준 오차)의 범위에 속하는지 산출한다.
  2. 전체 소검사의 평균을 기준으로 소검사 분산분석을 실시해야 한다.
  3. 기본지식, 산수문제 및 모양맞추기 소검사로 병전 지능을 추정한다.
  4. 소검사 평가치가 5점 이상 차이가 날 때 유의한 것으로 해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우선적으로 시행해야할 해석 절차는 "전체 소검사의 평균을 기준으로 소검사 분산분석을 실시해야 한다." 이다. 이유는 동작성 IQ가 언어성 IQ보다 현저히 낮은 결과를 보였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인지 아니면 검사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인지를 확인해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체 소검사의 평균을 기준으로 소검사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검사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를 제거하고, 실제로 존재하는 결과를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95% 신뢰수준에서 현재 지능은 98±1.96×(측정의 표준 오차)의 범위에 속하는지 산출한다." 는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검사 결과의 측정의 표준 오차를 고려하여, 해당 결과가 얼마나 신뢰성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95% 신뢰수준에서 현재 지능은 98±1.96×(측정의 표준 오차)의 범위에 속하는지 산출한다는 것은, 해당 검사 결과가 95%의 신뢰수준으로 98±1.96×(측정의 표준 오차)의 범위 내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은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는데 유용하지만, 검사 결과의 해석에 있어서는 전체 소검사의 평균을 기준으로 소검사 분산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기본지식, 산수문제 및 모양맞추기 소검사로 병전 지능을 추정한다." 는 검사 결과의 해석 방법 중 하나이지만, 이 방법은 해당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병전 지능을 추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검사 결과의 해석에 있어서는 유용하지 않다.

    "소검사 평가치가 5점 이상 차이가 날 때 유의한 것으로 해석한다." 는 검사 결과의 해석 방법 중 하나이지만, 이 방법은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소검사 평가치의 차이가 유의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검사 결과의 해석에 있어서는 유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Holland 적성탐색검사에서 측정하는 직업적 성격유형과 대표적인 직업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실재적 유형(Realistic type) - 공인회계사, 은행원, 안전관리사 등
  2. 사회적 유형(Social tyoe) - 상담가, 유치원 교사, 언어치료사 등
  3. 탐구적 유형(Investigative type) - 경제분석가, 컴퓨터 프로그래머, 세무사 등
  4. 관습적 유형(Conventional type) - 기술자, 정비사 등
(정답률: 알수없음)
  • Holland 적성탐색검사에서 사회적 유형은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소통에 능숙하며, 사람들을 도와주는 일에 관심이 많은 성격 유형입니다. 따라서 상담가, 유치원 교사, 언어치료사 등과 같은 직업이 이 유형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고급임상심리학

61. 다음 임상심리학 발전의 주요항목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A→B→C→D
  2. C→D→B→A
  3. B→C→A→D
  4. B→A→C→D
(정답률: 알수없음)
  • B→A→C→D이다.

    B는 "실험적 연구"를 의미하며, 임상심리학의 발전에 있어서는 과학적인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A는 "진단과 평가"를 의미하며, 임상심리학에서는 정확한 진단과 평가가 필수적이다.

    C는 "치료와 치료평가"를 의미하며, 임상심리학에서는 효과적인 치료와 치료평가가 필요하다.

    D는 "예방과 건강증진"을 의미하며, 임상심리학에서는 예방과 건강증진에 대한 연구와 개입이 중요하다.

    따라서, 임상심리학의 발전에 있어서는 실험적 연구, 진단과 평가, 치료와 치료평가, 예방과 건강증진이 순서대로 중요한 항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정신분석치료의 해석 기법을 중 그 목표와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비교해석
  2. 저항해석
  3. 직면해석
  4. 명료화 해석
(정답률: 알수없음)
  • 저항해석은 환자가 내적으로 거부하거나 불안해하는 주제나 내용을 다루는 것이 목표이며, 환자의 저항을 해소하고 자신의 내적 충돌을 인식하도록 돕는 것이 성격입니다. 다른 기법들은 환자의 무의식적인 과정을 이해하고 해석하여 자아의식을 높이는 것이 목표이며, 각각의 성격도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신경심리학적 평가의 유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심한 두부 외상의 경우 두뇌의 기질적 손상 여부의 판정은 평가의 주요 관심사가 된다.
  2. 폐쇄성 두부손상의 경우 다양한 기능의 효율성 감소와 정신과적 합병증의 평가가 주요 관심사가 된다.
  3. 원인 및 손상의 정도와 관련 없이 신경심리검사의 신뢰도는 지능검사의 결과에 비해 높은 편이다.
  4. 간질의 지속기간에 따라 나타나는 인지적 손상은 항경련제의 영향과는 무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폐쇄성 두부손상은 뇌의 특정 부위에 손상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의 효율성 감소와 정신과적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들을 평가하는 것이 주요 관심사가 된다. 즉, 뇌의 특정 부위에 대한 판정보다는 손상이 미치는 실제적인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문제행동이 내담자에게는 자각되지 않지만 타인과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쉽게 판별될 수 있을 때 가장 적합한 평가 방법은?

  1. 질문지법
  2. 관찰법
  3. 자기감찰법
  4. 과제수행법
(정답률: 알수없음)
  • 문제행동이 내담자에게는 자각되지 않지만 타인과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쉽게 판별될 수 있을 때는 내담자의 행동을 직접 관찰하여 판단하는 관찰법이 가장 적합하다. 다른 평가 방법들은 내담자의 주관적인 자기보고에 의존하기 때문에 문제행동이 자각되지 않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일반적으로 긴장성 두통환자에게 가장 널리 사용되며 이마에 전극을 부착시켜 시행하는 바이오 피드백 기법은?

  1. 시각적 바이오 피드백
  2. 청각적 바이오 피드백
  3. 온도 바이오 피드백
  4. 근전도 바이오 피드백
(정답률: 알수없음)
  • 바이오 피드백 기법은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그 신호를 시각적, 청각적, 온도 등의 형태로 변환하여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그 신호를 인지하고 조절하는 기술입니다. 긴장성 두통환자에게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바이오 피드백 기법은 근전도 바이오 피드백입니다. 이는 이마에 전극을 부착하여 근육의 활동을 측정하고, 그 신호를 시각적으로 변환하여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이완하는 방법을 학습하도록 돕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Rorschach 검사에서 자살행동을 설명하는 지표로 부적합한 것은?

  1. D > 0
  2. MOR > 3
  3. CF+C > FC
  4. FU+UF+U+FD > 2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 > 0"입니다.

    Rorschach 검사에서 "D"는 반응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D > 0"은 반응의 다양성이 있으며, 이는 자살행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반면에 "MOR > 3"은 반응의 수가 많은 것을 나타내며, 이는 자살행동과 연관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CF+C > FC"는 대인관계에 대한 불안이나 불만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 또한 자살행동과 연관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FU+UF+U+FD > 2"는 감정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나타내며, 이 또한 자살행동과 연관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D > 0"은 자살행동을 설명하는 지표로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변증법적 행동치료의 4가지 기술훈련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고통인내(distress tolerance)
  2. 행동시연(begavioral rehearsal)
  3. 마음챙김(mindfulness)
  4. 감정조절(emotianal regul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행동시연은 변증법적 행동치료의 기술훈련 방식 중 하나로, 환자가 실제 상황에서 원하는 행동을 연습하고 피드백을 받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행동시연(begavioral rehearsal)"이 아닌 다른 항목들인 "고통인내(distress tolerance)", "마음챙김(mindfulness)", "감정조절(emotianal regulation)"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지나친 청결반응을 보이는 강박장애환자에 대한 인지 행동적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어떤 상황에서 강박행동을 보이는지를 관찰하여 분석한다.
  2. 강박행동 이면에 깔린 비합리적 신념과 부정적 사고를 탐색한다.
  3. 강박행동과 과련이 깊은 것으로 가정되는 걸음마기의 경험을 탐색한다.
  4. 강박행동을 한 후 얻게 되는 심리적 안정이나 이완, 관심 끌기와 같은 보상효과가 개입되어 있는지를 분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박행동과 과련이 깊은 것으로 가정되는 걸음마기의 경험을 탐색한다. - 이는 인지 행동적 설명이 아니라, 강박장애환자의 경험을 탐색하는 것으로, 행동적인 설명과는 다른 측면이다. 따라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게슈탈트 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과학적 측면이 강조된다.
  2. 과거 경험이 현재에 의미 있는 영향을 준다.
  3. 비현실적인 기대를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둔다.
  4. 현재 경험과 정서 및 행동에 대한 즉각적 자각에 초점을 둔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게슈탈트 치료는 현재 경험과 정서 및 행동에 대한 즉각적 자각에 초점을 둔다. 이는 과학적 측면이나 과거 경험보다는 현재 상황에 집중하며, 비현실적인 기대를 변화시키는 것보다는 현재의 감정과 행동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을 중요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행동치료의 가정에 부합하지 않는 것은?

  1. 기이한 행동이나 심각한 결손행동의 이면에는 그에 상응하는 보편적인 원인 있다.
  2. 행동의 선행사건과 후속결과를 체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의미 있는 행동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3. 정신질환의 질병모형의 입장을 거부한다.
  4. 절차가 분명히 규정되고 검증 가능한 이론을 적응하기 때문에 반복검증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신질환의 질병모형의 입장을 거부한다.

    "기이한 행동이나 심각한 결손행동의 이면에는 그에 상응하는 보편적인 원인 있다."는 행동치료의 기본 가정 중 하나로, 행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행동의 선행사건과 후속결과를 체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의미 있는 행동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행동치료의 핵심적인 접근 방법 중 하나로,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선행사건과 후속결과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절차가 분명히 규정되고 검증 가능한 이론을 적응하기 때문에 반복검증이 가능하다."는 행동치료의 특징 중 하나로, 행동치료는 체계적이고 검증 가능한 이론과 절차를 사용하여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신질환의 질병모형의 입장을 거부한다."는 행동치료의 가정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정신질환의 질병모형은 정신질환을 생물학적인 질병으로 보는 것이며, 이는 행동치료의 접근 방식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임상심리사가 필요시 다른 전문가나 전문기관에 자문을 구해야 하는 조항은 윤리강령의 어떤 원칙에 해당되는가?

  1. 유능성
  2. 성실성
  3. 전문적·과학적 책임
  4. 인권 및 존엄성의 존중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조항은 "전문적·과학적 책임" 원칙에 해당된다. 이는 임상심리사가 자신의 전문분야에서 책임을 다하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따라서 다른 전문가나 전문기관에 자문을 구하는 것은 이 원칙에 따라 적극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상대적으로 치매와 관계가 없는 질환은?

  1. 알츠하이머병
  2. 파킨슨병
  3. 헌팅톤병
  4. 크론카이트-카나다 증후군
(정답률: 알수없음)
  • 크론카이트-카나다 증후군은 유전적인 질환으로, 뇌와 관련된 증상을 일으키지만 치매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톤병은 모두 뇌와 관련된 질환으로 치매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면접 질문의 유형과 예가 틀리게 연결된 것은?

  1. 개방형 : 학교에서 어떤 경험을 했는지 말해 주겠어요?
  2. 명료형 : 조금만 더 자세히 이야기해 주겠어요?
  3. 직면형 : 이전에 당신은 ... 라고 말했었는데요?
  4. 직접질문형 : 당신이 틀렸다고 아버지가 비판했을 때 어떻게 대답했나요?
(정답률: 알수없음)
  • "직면형 : 이전에 당신은 ... 라고 말했었는데요?"은 유형과 예가 틀리게 연결된 것입니다. 직면형은 지난 경험에 대한 피드백을 받거나 실패한 경험에 대해 물어보는 것이지만, 예시는 이전에 말한 내용에 대해 물어보는 것으로 명료형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인지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지적 재구성을 중요시 한다.
  2. 인지치료에서는 소크라테스식 대화(질문법)를 자주 활용한다.
  3. Beck는 정신분석 훈련을 배경으로 역등치료의 장점을 살리고자 하였다.
  4. 인지치료에서는 내현적인 가설적 구조를 가정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Beck는 정신분석 훈련을 배경으로 역등치료의 장점을 살리고자 하였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Beck는 인지치료를 개발한 사람 중 한 명이며, 역등치료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Beck는 인지적 재구성을 중요시하며, 내현적인 가설적 구조를 가정하고, 소크라테스식 대화(질문법)를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듣고 이해하는 능력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은 괜찮지만 특정 말소리를 선택하고 발음하는데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 증상은?

  1. 베르니케 실어증
  2. 브로카 실어증
  3. 전도성 실어증
  4. 난득성 실어증
(정답률: 알수없음)
  • "브로카 실어증"은 듣고 이해하는 능력은 정상이지만, 말소리를 선택하고 발음하는 능력에 문제가 있는 증상입니다. 이는 뇌의 브로카 영역에 손상이 있어서 발생하는 것으로, 말하는 것이 어렵고 느리며, 문장 구성도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A유형 성격 사람들의 행동 양식 중 관상성 심장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심리적 위험 요소는?

  1. 적개심과 대인관계 지배성
  2. 긴장감과 반사회적 경향
  3. 우울과 사회기술 부족
  4. 불안과 대인예민성
(정답률: 알수없음)
  • A유형 성격 사람들은 대인관계에서 지배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적개심이 강해 다른 사람들과의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성향은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긴장감과 불안을 증가시키며, 이는 심장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대인관계에서 지배적인 태도를 취하면서 사회기술 부족과 대인예민성도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적개심과 대인관계 지배성"이 A유형 성격 사람들의 행동 양식 중 관상성 심장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심리적 위험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자문활동에 대한 저항의 일반적인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문에 관여된 모든 당사자들의 비협력적 태도
  2. 피자문자나 자문자의 숨겨진 목적
  3. 피자문자의 비합리적 높은 기대
  4. 자문자의 역량과 태도에 대한 피자문자의 인정
(정답률: 알수없음)
  • 자문활동에서 가장 일반적인 저항의 원인은 자문에 관여된 모든 당사자들의 비협력적 태도, 피자문자나 자문자의 숨겨진 목적, 그리고 피자문자의 비합리적 높은 기대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자문자의 역량과 태도에 대한 피자문자의 인정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자문자가 충분한 전문성과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자문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에도 피자문자가 자문자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자문활동의 성공을 위해서는 상호적인 신뢰와 존중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임상심리학의 역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재향군인을 위한 치료서비스 제공에서 임상심리학자의 역할이 증가하였다.
  2. 임상심리학의 관심은 초기부터 아동 및 성인 평가, 치료 등 다양한 활동 영역이었다.
  3. 과학자-전문가 모델은 Boulder 모델이라고 한다.
  4. 의학계나 주도하던 심리치료 활동에 심리학자가 진입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임상심리학의 관심은 초기부터 아동 및 성인 평가, 치료 등 다양한 활동 영역이었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초기 임상심리학은 주로 심리검사 개발과 심리치료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아동 및 성인 평가, 치료 등 다양한 활동 영역은 이후에 점차적으로 발전해 나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내담자에게 자신이 전달하려는 내용을 정교화 하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면접자도 그 메시지의 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기법은?

  1. 부연설명
  2. 반영
  3. 요약
  4. 명료화
(정답률: 알수없음)
  • 명료화는 내담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메시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는 기법이다. 이는 면접자가 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부연설명이나 요약과 같은 다른 기법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인지치료의 사례설계 모형에서 이면신념의 역기능적 사고를 교정하는 치료전략으로 틀린 것은?

  1. 이면 신념(underlying belief)은 직접적으로 다루는 것이 효과적이다.
  2. 세상에 대한 신념이 잘못 학습된 것임을 깨닫게 하면 효과적이다.
  3. 부모와의 관계에서 병리적 상호작용을 이해시키고 변화시키면 효과적이다.
  4. 치료관계를 통해 건설적인 상호관계의 재형성 경험으로 이끌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이면 신념(underlying belief)은 직접적으로 다루는 것이 효과적이다."가 틀린 것이다.

    이면 신념은 직접적으로 다루는 것보다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다루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이면 신념이 무의식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지치료에서는 이면 신념을 간접적으로 다루는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실제 사례에서는 이면 신념을 교정하기 위해 인지적 재구성, 인지적 재평가, 인지적 재프레이밍 등의 기법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환자가 자신의 이면 신념을 인식하고, 이를 수정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고급심리치료

81. 다음 중 심리치료의 공통적 치료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행동수정
  2. 통찰과 이해
  3. 정서적 발산
  4. 직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정서적 발산"입니다.

    행동수정은 심리치료에서 가장 기본적인 치료 방법 중 하나로, 문제를 일으키는 행동이나 생각을 수정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심리치료사는 클라이언트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행동 방식을 찾아내고, 이를 실제로 시도해보며 효과를 검증합니다.

    반면에 통찰과 이해는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깊이 이해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심리치료사는 클라이언트와 대화를 통해 과거 경험, 가치관, 인간관계 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직면은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와 직면하고, 이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심리치료사는 클라이언트와 함께 문제를 분석하고, 그 원인을 찾아내며,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반면에 정서적 발산은 클라이언트가 느끼는 감정을 해소하고,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심리치료사는 클라이언트와 함께 감정을 표현하고, 이를 받아들이며, 긍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냅니다.

    따라서, 행동수정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동을 수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른 세 가지 치료 방법과는 목표와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인간 중심 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간은 자신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실현하려는 경향성을 타고난다.
  2. 상담자는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데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
  3. 칼 로저스가 창시한 심리치료 이론이다.
  4. 자기개념과 경험 간의 불일치가 심리적 문제를 일으키는 주된 요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칼 로저스가 창시한 심리치료 이론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인간 중심 치료는 칼 로저스가 창시한 심리치료 이론 중 하나이지만, 인간 중심 치료에 대한 설명으로는 부적절한 선택지입니다. 인간 중심 치료는 내담자의 자아실현과 자기성장을 중요시하며, 상담자는 내담자의 자아실현을 돕기 위해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상담자는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데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동기강화상담에서 변화 단계의 유발인자로 간주되지 않는 것은?

  1. 공감
  2. 준비
  3. 의지
  4. 능력
(정답률: 알수없음)
  • 공감은 변화 단계의 유발인자가 아니라 동기강화상담에서 상담자가 클라이언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 상담자와 클라이언트 간의 신뢰와 친밀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변화 단계의 유발인자는 준비, 의지, 능력입니다. 준비는 변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고 자신의 상황을 평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의지는 변화를 원하는 강한 의지와 결심을 가지는 것을 말합니다. 능력은 변화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과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파괴적 문제행동을 하는 청소년을 치료할 때 가장 초기에 시행되어야 할 일은?

  1. 행위에 대한 재귀인 익히기
  2. 도덕추론의 능력을 길러주기
  3. 한계를 설정하고 융통성 있게 실행하기
  4. 부모의 행동관리/문제해결을 가르치기
(정답률: 알수없음)
  • 한계를 설정하고 융통성 있게 실행하기가 가장 초기에 시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파괴적 문제행동을 하는 청소년들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제한과 규제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청소년들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한계를 설정해주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융통성 있게 실행함으로써 청소년들이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고 적절한 대안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심리치료에서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관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치료자는 참여적 관찰자가 되어 내담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행동의 불일치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2. 내담자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상담자의 행동이 다를 필요가 있다.
  3. 관계왜곡이란 치료 장면에서 내담자-치료자 이외의 제3의 어떤 인물이 존재하는 것과 같은 지각적 왜곡현상을 말한다.
  4. 내담자가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불일치인 혼합 메시지를 보일 때 내담자의 진심은 언어적 행동에서 파악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담자가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불일치인 혼합 메시지를 보일 때 내담자의 진심은 언어적 행동에서 파악될 수 있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심리치료에서는 언어적 행동과 비언어적 행동 모두를 관찰하여 내담자의 진심을 파악하려고 노력한다. 따라서, 내담자의 언어적 행동과 비언어적 행동이 일치하지 않을 때는 둘 다 고려하여 분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병리적 인터넷 사용자를 상담할 때의 고려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상담 목표가 인터넷을 끊는 것이 아니며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기통제력을 증가시키는 것임을 강조해 준다.
  2. 부정적인 평가나 훈계는 도움이 되지 않으며 상담자는 가능하면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해 준다.
  3. 효과적인 상담을 위해서는 가족상담의 병행이 필수적으로 권장된다.
  4. 약물치료의 병행은 필수적으로 권장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효과적인 상담을 위해서는 가족상담의 병행이 필수적으로 권장된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약물치료는 병리적 인터넷 사용에 대한 치료 방법 중 하나로, 중독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약물치료의 병행은 필수적으로 권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정신재활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해 이용되는 기능적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행동적 면담 : 가족체계, 사회관계, 직업기술, 여가활동 등을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면담하는 것이다.
  2. 직접 관찰 :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관찰자의 훈련이 필요하다.
  3. 자기 관찰 : 문제 해동의 빈도 내용을 환자가 스스로 기록하고, 환자가 협조적이지 않을 때 자주 사용된다.
  4. 설문지 검사법 : 환자의 태도가 촉구나 격려를 해야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는다면, 반드시 면담을 함께 해야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설문지 검사법에서는 면담을 함께 해야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자기 관찰은 환자가 스스로 문제 해결 과정을 기록하고 분석함으로써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능적 평가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환자가 협조적이지 않을 때 자주 사용되며, 환자의 내적인 경험과 인식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노인 환자가 치료자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못하게 되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치료자를 대하는 신중함의 증가
  2. 치료자에 대한 비현실적인 높은 기대
  3. 치료자를 자식같이 여기는 전이 발생
  4. 비의도적인 실수와 보고 누락
(정답률: 알수없음)
  • 노인 환자가 치료자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못하게 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치료자를 자식같이 여기는 전이 발생"입니다. 이는 환자가 자신의 자녀나 가족과 같은 감정적인 연결을 치료자에게 느끼게 되어, 치료자와의 관계가 전문적인 의료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감정적인 관계로 치우쳐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환자의 치료에 방해가 되며, 치료자와의 건강한 의사소통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어려움과 도박 중독으로 인한 어려움의 가장 핵심적인 차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1. 정서적 고양상태에 이르기 위한 갈망
  2. 환자와 그의 가족에 대한 치료자의 양면적 감정
  3. 치료자가 갖게 되는 무력함과 환자에 대한 자만
  4. 환자의 자신의 문제에 대한 인식과 태도
(정답률: 알수없음)
  • 알코올 중독과 도박 중독은 둘 다 중독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지만, 가장 핵심적인 차이는 환자의 자신의 문제에 대한 인식과 태도입니다. 알코올 중독자는 종종 자신이 중독에 빠져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치료에 대한 의지를 가지며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 반면에 도박 중독자는 종종 자신이 중독에 빠져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치료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며 치료에 소극적으로 참여합니다. 따라서, 알코올 중독과 도박 중독의 가장 큰 차이는 환자의 자신의 문제에 대한 인식과 태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정신분석에서 내담자의 전이반응(transference)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분석가의 익명성
  2. 분석가의 중립적 태도
  3. 분석가의 해결되지 않은 갈등
  4. 빈번하고 규칙적인 치료 회기
(정답률: 알수없음)
  • 분석가의 해결되지 않은 갈등은 내담자의 전이반응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아닙니다. 이는 분석가가 자신의 갈등을 내담자에게 전달하거나 내담자의 감정을 자신의 갈등으로 해석하는 등의 행동으로 인해 내담자의 전이반응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석가는 자신의 갈등을 해결하고 중립적 태도를 유지하여 내담자의 전이반응을 적절하게 다루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성폭력 피해자 심리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신은 피해자이며 책임은 전적으로 가해자에게 있음을 인정할 수 있게 도와야 한다.
  2. 성폭력 피해 기억의 생생한 재생은 가능한 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분노와 슬픔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4. 성폭력 피해로 인한 법률적 및 신체적 문제에 대해서도 적절한 자문을 제공해야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성폭력 피해 기억의 생생한 재생은 가능한 하지 않는 것이 좋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생생한 기억을 되살리는 것은 피해자에게 추가적인 고통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에, 피해자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치유를 위한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학습 문제의 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치료와 평가는 증상의 근원이 되는 지각, 인지와 같은 기본적인 과정을 매우 강조한다.
  2. 치료에서 외견상 동일한 학습 문제를 보이는 아동은 동일한 치료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3. 학습 문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지과정으로는 작업기억력(또는 관리기능)으로 알려져 있다.
  4. 학습 문제를 가진 아동 중 상당수는 주의력 문제 혹은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정서 문제를 동반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치료에서 외견상 동일한 학습 문제를 보이는 아동은 동일한 치료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학습 문제는 각 아동의 개인적인 특성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치료 방식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별적인 평가와 개인 맞춤형 치료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중독 상담의 개입방법 중 인지행동 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은 음주의 원인을 자기바난 같은 부정적 사고방식 때문이라고 설명하는 경향이 있다.
  2. 자극 노출과 같은 고전적 조건화 모델에 근거한 방법을 재발 방지 프로그램과 결합하면 효과가 크다.
  3. 부정적인 사고를 인지구조 변화 훈련을 통해 긍정적인 사고로 대치시킴으로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
  4. 자조 지침서 및 활동 일지를 이용하여 스스로의 행동을 조절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은 음주의 원인을 자기바난 같은 부정적 사고방식 때문이라고 설명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이 틀린 것은 아니므로, 모든 보기가 맞는 것이다.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은 자기바난 같은 부정적 사고방식 때문에 음주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부정적인 사고를 긍정적인 사고로 대치시키는 인지행동 치료는 효과적인 중독 상담 방법 중 하나이다. 또한, 고전적 조건화 모델과 인지행동 치료를 결합하여 재발 방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스스로의 행동을 조절하기 위해 자조 지침서나 활동 일지를 이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정신재활의 기본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담자의 의존성을 신중하게 높이면 결국 내담자의 독립적인 기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2. 정신재활의 두 가지 기본적인 개입방법은 내담자의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과 내담자에 대한 환경적인 지원을 개발하는 것이다.
  3. 정신재활의 일차적인 목표는 치료적 통찰이 생기도록 하는 것이다.
  4. 재활은 미래 지향적이며, 희망이나 긍정적인 기대가 회복 절차의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신재활의 일차적인 목표는 치료적 통찰이 생기도록 하는 것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정신재활의 일차적인 목표는 내담자의 기능력을 회복하고, 사회적으로 재편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치료적 통찰은 정신재활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일차적인 목표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정신상태검사 면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진단 면접시 부수적으로 사용된다.
  2. 모든 환자에게 필수적인 사항을 쉽게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3. 인지, 정서, 행동의 문제점을 탐색하기 위해 사용된다.
  4. K-MMSE 같은 구조화된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간편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단 면접시 부수적으로 사용된다."가 틀린 것이다. 정신상태검사 면접은 모든 환자에게 필수적인 사항을 쉽게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면접은 인지, 정서, 행동의 문제점을 탐색하기 위해 사용되며, K-MMSE 같은 구조화된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간편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정신재활의 역사적 발달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9세기 도덕적 정신치료 시대에 혁신주의자들은 정신재활의 치료 목표를 환자의 상태가 허용할 수 있는데 까지 치료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2. 1차 세계 대전 말에는 정부가 정신장애가들의 고용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서 정부차원의 직업 재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자 하였다.
  3. 1960년대에는 미국과 유렵에서 약물이 개발되면서 정신장애자들에게 적극적인 입원 치료가 권장되었다.
  4. 최근의 정신재활은 인간자원개발, 직업재활에서 비롯된 기술 훈련 방식을 도입하고자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1960년대에는 미국과 유럽에서 약물이 개발되면서 정신장애자들에게 적극적인 입원 치료가 권장되었다는 설명이 틀렸습니다. 1960년대에는 정신건강 운동이 일어나면서 입원 치료보다는 사회적 치료와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강조되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1960년대에는 정신건강 운동이 일어나면서 입원 치료보다는 사회적 치료와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강조되었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자기표현 훈련이 가장 적합하지 못한 사람은?

  1. 거부를 하지 못하는 사람
  2. 남에게 이용당하는 사람
  3. 자신의 사고를 표현할 권리가 없다고 믿는 사람
  4. 타인을 못 믿는 사람
(정답률: 알수없음)
  • 타인을 못 믿는 사람은 자기 표현을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믿지 않기 때문에 자기 표현 훈련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타인을 믿지 않는 사람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해도 상대방이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자기 표현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심리치료 방법과 그 대표적인 인물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게슈탈트치료 – Eric Berne
  2. 의미치료 – Victor Franki
  3. 교류분석 – Otto Rank
  4. 정신역동 – Frederick Peris
(정답률: 알수없음)
  • 의미치료는 인간의 삶에서 의미를 찾고 이를 통해 삶의 방향성을 찾아가는 것을 중요시하는 심리치료 방법이다. 이를 대표하는 인물은 오스트리아의 심리학자이자 철학자인 Viktor Frankl이다. Frankl은 나치 강제 수용소에서의 경험을 통해 인간의 의미 탐구에 대한 이론을 발전시켰으며, 그의 접근법은 인간의 내적 자유와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을 강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치료초기 내담자 평가의 일부로 실시하는 정신상태평가에서 평가 영역과 질문의 예의 연결이 가장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환각 – 당신의 생각이 외부의 어떤 힘에 의해 통제되는 것처럼 느낍니까?
  2. 망상 – 당신의 정신이 마비된 듯한 느낌을 갖습니까?
  3. 통찰 수준 – 당신이 어떻게 해서 입원하게 되었는지 알고 있습니까?
  4. 기억력 – 구르는 돌에 이끼가 끼지 않는다는 속담은 무슨 뜻입니까?
(정답률: 알수없음)
  • 정신상태평가에서 평가 영역과 질문은 해당 영역의 증상과 관련된 질문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통찰 수준 – 당신이 어떻게 해서 입원하게 되었는지 알고 있습니까?"가 가장 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이 질문은 환자의 현재 상황과 과거 이력을 파악하고, 자신의 상황을 인식하는 능력을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환각, 망상, 기억력과 관련된 질문이지만, 이들은 모두 해당 영역의 증상과 관련된 질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공공장소에 가면 뭔가 끔찍한 일이 일어날 것이고 나는 그것에 대처하지 못할 것이다.” 라는 신념을 갖고 있는 내담자에게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진 행동치료 기법은?

  1. 실제 노출
  2. 자극 통제
  3. 이완 훈련
  4. 모델링
(정답률: 알수없음)
  • 실제 노출은 공공장소에 대한 불안감을 경감시키기 위해 실제로 그 장소에 가서 노출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불안감이 실제로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불안감을 극복할 수 있는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공공장소에 가면 뭔가 끔찍한 일이 일어날 것이고 나는 그것에 대처하지 못할 것이다." 라는 신념을 가진 내담자에게 가장 효과가 큰 행동치료 기법은 실제 노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