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6-12)

해양조사산업기사
(2011-06-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물리해양학

1. 염분과 염소량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1. 염소량 = 0.03+1.805×염분량
  2. 염소량 = 0.03×1.805×염분량
  3. 염분 = 1.80655×염소량
  4. 염분 = 0.03×1.80655×염소량
(정답률: 93%)
  • 염소량과 염분은 서로 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염소량이 증가하면 염분도 증가하고, 염소량이 감소하면 염분도 감소합니다. 이러한 비례 관계에서 상수 비례식을 이용하여 관계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염분 = 1.80655×염소량"이 옳은 관계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평형조석론(The Equilibrium Theory of Tides)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대조와 소조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2. 전 세계의 조차는 모두 같다.
  3. 조석파의 전파를 설명할 수 있다.
  4. Laplace의 이론이다.
(정답률: 88%)
  • 정답은 "대조와 소조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이다.

    평형조석론은 조석의 원인을 해의 중력과 지구의 중력이 서로 작용하는 결과로 설명한다. 이 이론은 대조와 소조현상을 설명할 수 있으며, 조석파의 전파를 설명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전 세계의 조차는 모두 같지 않으며, 이 이론은 Laplace의 이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해양의 염분을 나타내는 단위로 천분율인 ‰을 사용하지 않고 psu를 사용하는데 이는 어떠한 방법으로 구하는가?

  1. 용존물질의 전량 직접 측정
  2. 전기전도도 측정
  3. 염소량 적정
  4. 해수의 굴절률 측정
(정답률: 93%)
  • psu는 practical salinity unit의 약자로,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해 구합니다. 전기전도도는 물 속에 용해된 염분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해 해수의 염분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psu로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만내에서 발생하는 부진동의 주기는?

  1. 만의 길이에만 의존
  2. 만의 폭에만 의존
  3. 만의 길이와 폭에만 의존
  4. 만의 길이와 폭, 깊이에 의존
(정답률: 87%)
  • 만내에서 발생하는 부진동의 주기는 만의 길이와 폭, 깊이에 의존합니다. 이는 만의 크기와 형태가 부진동의 주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만의 길이와 폭이 크면 주기가 길어지고, 깊이가 깊으면 주기가 짧아집니다. 따라서 만내의 크기와 형태를 고려하여 부진동의 주기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양에서는 바람의 영향이나 밀도의 차이에 의해서 해수가 움직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 중 밀도차에 의하여 움직이는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표층수
  2. 중층수
  3. 심층수
  4. 저층수
(정답률: 90%)
  • 정답은 "심층수"이다.

    밀도는 염분, 온도, 압력 등에 따라 달라지는데, 대양에서는 표층수와 중층수 사이에 밀도차가 발생한다. 이는 표층수가 더 따뜻하고 염분이 적기 때문에 더 가벼워서 중층수보다 위에 떠있기 때문이다. 이 밀도차에 의해 표층수는 중층수보다 더 빠르게 움직이게 된다.

    하지만 심층수는 염분과 온도가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밀도차가 거의 없다. 따라서 바람의 영향이나 다른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바다에서 발생하는 풍랑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풍랑, 너울은 직접 바람에 의해서 일어난다.
  2. 너울은 바람이 불지 않는 해역에도 전파된다.
  3. 너울과 풍랑의 진행속도는 수심과 관계없이 일정하다.
  4. 풍랑은 진행파이며 너울은 정상파이다.
(정답률: 77%)
  • 너울은 바람이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지구 회전과 해류 등의 자연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바람이 불지 않는 해역에서도 전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염분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은?

  1. 비열
  2. 빙점
  3. 밀도
  4. 열전도율
(정답률: 87%)
  • 염분이 높아짐에 따라 용액의 밀도가 증가합니다. 이는 염분이 물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물 분자 간의 거리를 줄이고, 물 분자와 이온 간의 상호작용을 증가시켜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높은 염분 농도를 가진 용액은 더욱 높은 밀도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혼합층(표층)에 대한 아래의 설명 중에서 옳은 사항으로만 짝지은 것은?

  1. 1, 2
  2. 2, 3
  3. 3, 4
  4. 1, 3
(정답률: 83%)
  • 1. 혼합층은 지표면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한 지층으로, 토양의 대부분의 생물 활동이 일어나는 곳이다.
    - 혼합층은 지표면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므로 옳은 설명이다.

    2. 혼합층은 지표면에서부터 일정한 깊이까지의 층으로, 이 층 안에서는 토양 입자들이 서로 섞여 있다.
    - 혼합층은 일정한 깊이가 아니라 지표면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므로 틀린 설명이다.

    3. 혼합층은 지표면에서부터 일정한 깊이까지의 층으로, 이 층 안에서는 토양 입자들이 서로 섞여 있다. 이 층은 토양의 생산성과 토양의 물리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 혼합층은 지표면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며, 토양의 생산성과 물리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옳은 설명이다.

    4. 혼합층은 지표면에서부터 일정한 깊이까지의 층으로, 이 층 안에서는 토양 입자들이 분리되어 있다.
    - 혼합층은 토양 입자들이 서로 섞여 있는 층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1,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대량의 표층수가 냉각, 침강하여 심층수로 변하는 해역은?

  1. 북태평양 북부해역
  2. 북대서양 북부해역
  3. 인도양 북부해역
  4. 알래스카 북부해역
(정답률: 91%)
  • 북대서양 북부해역은 대서양에서 북쪽으로 위치하며, 대서양의 대규모 순환운동 중 하나인 북대서양 회전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 회전은 대서양의 표층수를 서쪽으로 이동시키고, 동쪽으로 침강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이로 인해 대서양의 북부 해역에서는 대량의 표층수가 냉각, 침강하여 심층수로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북대서양 북부해역이 대량의 표층수가 심층수로 변하는 해역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조류의 M2분조와 S2분조를 분리하고자 할 때 소요되는 최소한의 관측 기간은?

  1. 7일간
  2. 15일간
  3. 23일간
  4. 30일간
(정답률: 93%)
  • M2분조와 S2분조는 각각 12시간 주기와 24시간 주기를 가지므로, 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일 이상의 관측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는 M2분조와 S2분조가 정확히 12시간과 24시간 주기를 가지는 경우에 해당하며, 실제로는 이보다 더 긴 주기를 가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분리를 위해서는 최소한 15일간의 관측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천해파 또는 심해파의 전파속도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진폭
  2. 파장
  3. 주기
  4. 수심
(정답률: 76%)
  • 진폭은 파의 크기나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파속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에 파장, 주기, 수심은 모두 천해파 또는 심해파의 전파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파장은 파가 한 번 진동하는데 걸리는 거리를 나타내며, 주기는 파가 한 번 진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수심은 파가 전파되는 물의 깊이를 나타내며, 이는 파의 전파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해양에 투과된 햇빛에 대하여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1, 2
  2. 2, 4
  3. 3, 4
  4. 2, 3, 4
(정답률: 76%)
  • 해양에 투과된 햇빛은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파란색 빛은 물 분자들과 상호작용하여 산란되고, 이로 인해 바다가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또한, 빛이 깊은 바다로 들어갈수록 파장이 긴 빨간색 빛은 빠르게 흡수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깊은 바다일수록 물은 어두운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2번 "해양에서 파란색 빛이 많이 산란되어 바다가 파란색으로 보이고, 빨간색 빛은 깊은 바다로 들어가 사라져서 어두운 파란색으로 보입니다."와 4번 "해양에서 빛이 깊은 바다로 들어갈수록 파장이 긴 빨간색 빛은 빠르게 흡수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깊은 바다일수록 물은 어두운 파란색으로 보입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태평양 북적도 해류의 방향은?

  1. 서에서 동으로 향한다.
  2. 북에서 남으로 향한다.
  3. 남에서 북으로 향한다.
  4. 동에서 서로 향한다.
(정답률: 76%)
  • 태평양 북적도 해류는 코리올리 효과에 의해 북쪽으로 흐르는 북태평양 해류와 남쪽으로 흐르는 적도해류가 서로 충돌하여 발생합니다. 이 때, 두 해류의 방향은 각각 동에서 서로 향하기 때문에 태평양 북적도 해류의 방향은 "동에서 서로 향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물리해양학의 시조라고 불리기도 하며, 항해일지의 자료를 분석하여 바람과 해류도를 작성한 해양학자는?

  1. M.F. Maury
  2. J. Cook
  3. T.H. Huxley
  4. F. Nansen
(정답률: 85%)
  • M.F. Maury는 항해일지의 자료를 분석하여 바람과 해류도를 작성한 해양학자로, 이로 인해 물리해양학의 시조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대양의 염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평균 염분은 열대, 한대, 온대 해역 중 한대해역이 가장 높고, 열대 해역이 가장 낮다.
  2. 북대서양 표층수의 염분이 가장 높다.
  3. 적도 해역과 열대, 아열대 해역에서는 수심 600~1000m 사이에 염분 극소층이 있다.
  4. 대양에서 염분의 연변화는 일반적으로 0.5‰을 넘지 않는다.
(정답률: 85%)
  • "평균 염분은 열대, 한대, 온대 해역 중 한대해역이 가장 높고, 열대 해역이 가장 낮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열대 해역이 가장 높은 평균 염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열대 지역에서 강한 증발과 강수가 일어나기 때문에 염분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우리나라 서해안은 대체로 하루에 몇 차례 만조가 나타나는가?

  1. 1회
  2. 2회
  3. 3회
  4. 4회
(정답률: 95%)
  • 우리나라 서해안은 보통 하루에 두 번의 만조가 나타납니다. 이는 해수면이 두 번의 최고조와 최저조를 반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태평양의 쿠로시오와 대응할 수 있는 대서양의 난류는?

  1. 북대서양 해류
  2. 래브라도 해류
  3. 멕시코 만류
  4. 그린랜드 해류
(정답률: 93%)
  • 쿠로시오는 일본 근처의 난류로 따뜻한 남쪽의 물이 북쪽으로 흐르면서 차가운 북쪽의 물과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이와 비슷하게 대서양에서도 멕시코 만류는 멕시코 만 지역에서 따뜻한 남쪽의 물이 북쪽으로 흐르면서 차가운 북쪽의 물과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쿠로시오와 대응할 수 있는 대서양의 난류는 멕시코 만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해류관측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알고스(Argos) 부이를 이용하는 것은 오일러(Euler) 방법이다.
  2. 태평양에서는 라그랑즈(Largrange)방법이 좋으나 대서양은 오일러 방법이 좋다.
  3. 심해 중립부이를 이용하는 것은 오일러 방법이다.
  4. 도플러효과(Doppler effect)의 원리를 이용하면 층별 유속관측을 할 수 있다.
(정답률: 98%)
  • 도플러효과는 파동의 속도가 변할 때 파동의 주파수가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를 이용하여 해류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해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전파를 보내면, 전파는 해류의 속도에 따라 주파수가 변화하게 된다. 이를 다시 수신기로 받아서 주파수 변화량을 측정하면, 해류의 속도를 알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층별 유속관측도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XBT는 주로 무엇을 측정하는 기구인가?

  1. 염분
  2. 수온
  3. 투명도
  4. 해류
(정답률: 75%)
  • XBT는 수온을 측정하는 기구입니다. "XBT"는 "eXpendable BathyThermograph"의 약자로, 해양의 수온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기구는 해저로 던져지면서 수온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는 무선으로 수집됩니다. 따라서 XBT는 수온을 측정하는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난류와 한류의 특성 비교 설명 중 옳은 것은?

  1. 난류는 영양염이 적으며 투명도가 낮다.
  2. 한류는 영양염이 적으며 플랑크톤도 적다.
  3. 난류는 용존산소량이 적고 생산력도 작다.
  4. 한류는 대개 저위도에서 고위도를 향하여 흐른다.
(정답률: 67%)
  • 난류는 영양염이 적기 때문에 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이 적어지고, 이로 인해 식물플랑크톤을 먹는 동물플랑크톤도 적어지기 때문에 생산력이 작아지고 용존산소량도 적어진다. 따라서 "난류는 용존산소량이 적고 생산력도 작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학해양학

21. 해양환경수질등급 기준에서 다음 중 해역에서의 농도규정이 틀린 것은?

  1. 6가 크롬 : 0.05㎎/ℓ 이하
  2. 카드뮴 : 0.01㎎/ℓ 이하
  3. 시안 : 0.0㎎/ℓ 이하
  4. PCB : 0.0005㎎/ℓ 이하
(정답률: 63%)
  • 시안은 독성이 매우 강한 물질로, 해양 생태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해양환경수질등급 기준에서는 시안 농도를 0.0㎎/ℓ 이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다른 물질들에 비해 더욱 엄격한 기준이며, 시안이 발생하는 경우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해수에서 입자성 물질과 용존성 물질을 구분하는데 표준으로 쓰이는 여과지의 구경(pore size)은?

  1. 0.20㎛
  2. 0.45㎛
  3. 1.0㎛
  4. 2.5㎛
(정답률: 90%)
  • 해수에서 입자성 물질은 보통 1.0㎛ 이상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용존성 물질은 0.45㎛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여과지의 구경(pore size)은 0.45㎛로 선택됩니다. 이는 용존성 물질을 통과시키고 입자성 물질을 걸러내기에 적합한 크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PCB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PCB는 변압기나 콘덴서 제조시 가소제로 사용한다.
  2. 지속성이 매우 길다.
  3. 독성이 매우 강하다.
  4. 해수 중에 잘 용해된다.
(정답률: 95%)
  • 해수 중에 잘 용해되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PCB는 지구상에서 가장 잘 용해되는 물질 중 하나로,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PCB는 환경오염물질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해수 중에 잘 용해된다"가 틀린 설명은 아니다. 오히려 매우 중요한 사실이다.

    하지만, 다른 보기들은 부분적으로나 전적으로 틀린 내용이다. PCB는 가소제로 사용되었던 과거가 있지만, 현재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또한, PCB는 지속성이 매우 길어서 환경에 오랫동안 남아있을 수 있으며, 독성이 매우 강해서 인체에 매우 위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해수의 화학적 성분 중 미량금속을 분석할 때 일반적인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원자흡광광도계
  2. 동위원소 희석질량분석법
  3. 형광 X선법
  4. 용출 전압전류법
(정답률: 85%)
  • 원자흡광광도계는 미량금속을 분석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미량금속이 존재하는 용액을 불꽃이나 레이저로 가열하여 원자를 증발시키고, 이 증발된 원자들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이렇게 흡수된 빛의 양을 측정하여 미량금속의 양을 정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해양에서 주요 영양염류가 아닌 것은?

  1. 아질산염
  2. 황산염
  3. 인산염
  4. 암모니아
(정답률: 67%)
  • 해양에서 주요 영양염류는 질소와 인을 포함하는 아질산염과 인산염, 그리고 암모니아입니다. 그러나 황산염은 영양염류가 아닙니다. 이는 황산염이 질소나 인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황산염은 해양에서 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으로 작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Alkalinity에 감소영향을 주는 반응은?

  1. 질산화반응(NH4++2O2→NO3-+H2O+2H+)
  2. 탈질산화반응(5CH2O+4NO3-+4H+→5CO2+2N2+7H2O)
  3. 황산염환원반응(SO42-+2CH2O+H+→2CO2+HS-+2H2O)
  4. 탄산염용해반응(CaCO3+CO2+H2O→Ca2++2HCO3-)
(정답률: 59%)
  • 질산화반응은 암모니아(NH3)을 산화하여 질산(NO3-)을 생성하는 반응입니다. 이 반응에서는 수소 이온(H+)이 생성되므로 용액의 pH가 감소하게 되어 알칼리도 감소합니다. 따라서 Alkalinity에 감소영향을 주는 반응은 "질산화반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해수 중 암모니아 질소 측정용 시약이 아닌 것은?

  1. 차아염소산나트륨
  2. 몰리브덴산암모늄
  3. 티오황산나트륨
  4. 페놀
(정답률: 55%)
  • 암모니아 질소 측정용 시약은 "몰리브덴산암모늄"과 "티오황산나트륨"입니다. 따라서 "차아염소산나트륨"과 "페놀"은 암모니아 질소 측정용 시약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수은 중독에 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미나마타병이라 부른다.
  2. 무기수은보다 유기수은이 훨씬 독성이 강하다.
  3. 수은중독증상은 연골증을 나타낸다.
  4. 비료제조 공장에서 촉매로 사용한 수온이 해역으로 방출되어 일어난 사고이다.
(정답률: 62%)
  • 수은중독증상은 연골증을 나타낸다는 설명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수은중독은 주로 신경계, 소화기계, 순환기계 등에 영향을 미치며, 심한 경우 신경계 증상으로 인한 발작, 경련, 혼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연골증은 수은중독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pH 5인 해수를 pH 7로 증가시키면 수온이온농도(H+)의 변화는?

  1. 2배 증가
  2. 2배 감소
  3. 100배 증가
  4. 100배 감소
(정답률: 88%)
  • pH는 수소 이온 농도(H+)의 음의 로그 값이므로, pH 5인 해수는 pH 7인 해수보다 100배 더 산성입니다. 따라서 pH 5인 해수를 pH 7로 증가시키려면, 수소 이온 농도를 100배 감소시켜야 합니다. 이는 pH 7에서 H+ 농도가 10^-7M이므로, pH 5에서 H+ 농도인 10^-5M를 10^-7M로 나눈 값인 100배 감소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담수나 해수에서 부영양화에 의한 산소고갈이 일어났을 경우 발생하는 화합물이 아닌 것은?

  1. 메탄
  2. 황화수소
  3. 암모니아
  4. 헬륨
(정답률: 90%)
  • 헬륨은 부영양화에 의한 산소고갈과는 관련이 없는 기체입니다. 메탄, 황화수소, 암모니아는 모두 부영양화에 의해 산소 고갈이 발생할 때 생성되는 화합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해수의 주성분 원소가 지닌 성질로 맞지 않는 것은?

  1. 해양에서 체류시간이 길다.
  2. 담수에 비해서 해수에서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3. 화학반응성이 크다.
  4. 육지 암석의 주성분과 다르다.
(정답률: 74%)
  • 해수의 주성분 원소는 대부분 안정적인 상태로 존재하며, 화학반응성이 크지 않습니다. 이는 해수가 안정적인 환경에서 오랜 시간 동안 형성되어 왔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학반응성이 크다."가 맞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용존산소가 완전히 소모된 저층수에서는 미생물에 의해 SO4-의 환원이 일어난다. 이 때 생성되는 것은?

  1. SO3-
  2. SO2
  3. H2S
  4. S2O3-
(정답률: 80%)
  • 저층수에서는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미생물에 의해 환원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SO4-가 환원되면서 생성되는 것은 환원된 형태의 화합물인데, 이 중에서도 가장 안정적인 화합물은 H2S이다. 따라서 정답은 "H2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일반적으로 외양역 표층에서 중금속인 Pb가 최대 농도를 보이는 주 이유는?

  1. 연안으로부터 외양으로 흘러들어서
  2. 대기로부터 유입되어서
  3. 열수광상의 영향 때문에
  4. 생물체에 의해 농축되어서
(정답률: 78%)
  • 외양역은 대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 중에 존재하는 Pb가 외양역으로 유입되어서 최대 농도를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북태평양의 수심 1km 부근에서 최대 또는 최소의 농도분포를 보이지 않는 친생물원소는?

  1. 용존산소
  2. 질산염
  3. 인산염
  4. 규산염
(정답률: 60%)
  • 규산염은 북태평양의 수심 1km 부근에서 최대 또는 최소의 농도분포를 보이지 않는 친생물원소입니다. 이는 규산염이 해양에서 매우 널리 분포하며, 다른 원소와의 화학적 상호작용이 적기 때문입니다. 또한 규산염은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조류의 성장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한 친생물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대양의 평균 pH 값은?

  1. 약 4.0
  2. 약 6.0
  3. 약 8.0
  4. 약 9.0
(정답률: 90%)
  • 대양은 이산화탄소와 물이 반응하여 탄산이 생성되는 과정인 탄산균형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 균형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와 대양의 온도에 따라 변화합니다. 대양의 평균 온도는 약 3.9℃이며,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약 400ppm입니다. 이에 따라 대양의 평균 pH 값은 약 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해양 식물플랑크톤의 유기화와 무기화과정은 Redfield 비를 이용하여 생물활동을 화학양론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유기물의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와 사용되는 산소의 분자비(용적비)를 사용하여 호흡률(RQ)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0.37
  2. 0.58
  3. 0.77
  4. 0.98
(정답률: 93%)
  • Redfield 비는 C:N:P 비율이 106:16:1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기물의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와 사용되는 산소의 분자비는 106:138이 된다. 이를 각각 106과 138로 나누어 호흡률(RQ)을 계산하면 0.77이 된다. 즉, 호흡에 사용되는 산소의 분자비가 이산화탄소의 분자비보다 약간 높은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해양에서 부유식물이 급격히 증가하여 해수중의 CO2가 감소할 때 대기에서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뒤따르지 못하는 경우 해수의 pH는 어떻게 되는가?

  1. pH가 내려간다.
  2. 변화없다.
  3. 불규칙하게 변한다.
  4. pH가 올라간다.
(정답률: 85%)
  • 해양에서 부유식물이 증가하면 광합성이 증가하여 CO2가 소비되고, 이로 인해 해수중의 CO2 농도가 감소한다. 이는 해수의 pH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유는 CO2가 해수에 용해되어 탄산이 되면서 해수의 pH를 낮추기 때문이다. 따라서 CO2 농도가 감소하면 해수의 pH가 올라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해수에 녹아 있는 주요 음이온 중 농도가 2번째 높은 것은?

  1. Cl-
  2. SO42-
  3. HCO3-
  4. Br-
(정답률: 76%)
  • 해수에 녹아 있는 주요 음이온 중 농도가 2번째 높은 것은 "SO42-"이다. 이는 해수의 화학 조성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해수는 염화나트륨(NaCl)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염화 이온(Cl-)의 농도가 가장 높다. 그 다음으로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이온인 황산 이온(SO42-)이 농도가 높은 편이다. 따라서, 해수에 녹아 있는 주요 음이온 중 농도가 2번째 높은 것은 "SO4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해수 중에 용해되어 있는 염류를 그 양이 많은 것부터 순서대로 배열한 것은?

  1. Cl, Na, SO4, Mg
  2. Na, Cl, Mg, SO4
  3. Cl, SO4, Na, Mg
  4. Cl, Na, Mg, SO4
(정답률: 77%)
  • 해수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염류는 염소(Cl)와 나트륨(Na)이다. 이는 해수의 염분 구성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는 황산염(SO4)이 나오며, 마지막으로 마그네슘(Mg)이 나온다. 따라서 "Cl, Na, SO4, Mg"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윙클러(winkler)법에 의하여 해수중에 용존산소량을 측정하고자 시료를 처리할 때 오차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채수시 발생하는 기포
  2. 시료의 염분
  3. 시료 속에 존재하는 산화환원 물질
  4.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 시 유리된 요오드의 증발
(정답률: 82%)
  • 윙클러법은 시료를 처리할 때 시료의 염분이 많으면 산화환원 물질과 함께 산화되어 오차를 일으키기 때문에, 시료의 염분이 가장 거리가 먼 오차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시료를 처리할 때는 염분을 최대한 제거하여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물해양학

41. 생물 두 종간에 편리공생을 할 때 상호관계는?

  1. 한 종은 이익을 보고 한 종은 손해를 본다.
  2. 한 종은 이익을 보고 한 종은 이익도 손해도 없다.
  3. 두 종 모두 이익을 본다.
  4. 두 종 모두 손해를 본다.
(정답률: 88%)
  • 정답은 "한 종은 이익을 보고 한 종은 이익도 손해도 없다." 이다.

    이유는 편리공생 관계에서 한 종은 다른 종의 생활에 도움을 주면서 자신도 이익을 얻는다. 그러나 다른 종에게는 이익도 손해도 없다. 즉, 한 종은 다른 종에게 도움을 주면서 자신도 이익을 얻지만, 다른 종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관계를 상호협력적인 관계라고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해수의 염분도와 해양생물의 관계를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해수의 염분도는 일반적으로 해양생물에 영향을 미친다.
  2. 해양생물 중에는 담수에 옮겨졌을 때 재빨리 적응하는 능력을 가진 것이 있다.
  3. 염분변화의 생리적 영향은 온도에 따라 다르다.
  4. 외양성 생물은 연안역에 서식하는 생물보다 일반적으로 염분변화에 내성이 크다.
(정답률: 87%)
  • "외양성 생물은 연안역에 서식하는 생물보다 일반적으로 염분변화에 내성이 크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외양성 생물은 연안역에 서식하는 생물보다 염분 농도가 높은 해역에서 서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내성이 떨어집니다. 이는 염분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물체 내부의 수분이 빠져나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미역-다시마 같은 대형 갈조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부착기(holdfast)는 암반에 부착기능을 가지며 육상식물 뿌리와 같은 영양분 흡수기능은 거의 없다.
  2. 해조류 표면, 해조류 사이 및 바닥이 3차 공간의 서식처를 제공한다.
  3. 수온이 낮을수록 갈조류가 우점하고 수온이 높을수록 대체로 홍조류가 우점한다.
  4. 일년생으로 일 년이 지나면 시들어 죽는다.
(정답률: 60%)
  • "일년생으로 일 년이 지나면 시들어 죽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대부분의 갈조류는 일정 기간 동안 생장하고 번식한 후에 죽지 않고 살아남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동물플랑크톤의 수직회유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식물플랑크톤을 먹기 위해 표면으로 올라온다.
  2. 표층의 강한 태양광선을 피하여 심층으로 내려간다.
  3. 적정 조도의 수층을 따라 수직 이동한다.
  4. 적정 온도의 수층을 따라 수직 이동한다.
(정답률: 82%)
  • "적정 온도의 수층을 따라 수직 이동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동물플랑크톤은 적정 온도와 양분이 많은 수층을 따라 수직 이동하여 생존합니다. 이는 수직 분포를 유지하면서 최적의 생활 환경을 찾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복의 성(sex)에 대한 설명이 맞는 것은?

  1. 암수 딴몸이다.
  2. 암수 한몸이다.
  3. 계절에 따라 성이 바뀐다.
  4. 암수 개체의 성비에 따라 성이 변한다.
(정답률: 78%)
  • 전복은 암수 딴몸이다. 즉, 하나의 개체가 수컷과 암컷의 생식기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스스로 번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해양의 육상식물(현화식물)과 해조류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육상식물은 뿌리로 영양분을 흡수하는데 비하여 해산식물은 몸 전체로 영양분을 흡수한다.
  2. 육상식물은 도관이 잘 발달되어 있는 반면에 해산식물은 그렇지 못하다.
  3. 육상식물은 잎에서 광합성을 하는데 비하여 해조류는 몸 전체로 광합성을 행한다.
  4. 육상식물과 해조류 모두 수분을 통해 싸앗을 맺어서 자손을 번식한다.
(정답률: 71%)
  • "육상식물과 해조류 모두 수분을 통해 싸앗을 맺어서 자손을 번식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육상식물은 씨앗을 통해 번식하고, 해조류는 생식세포를 통해 번식합니다.

    - "육상식물은 뿌리로 영양분을 흡수하는데 비하여 해산식물은 몸 전체로 영양분을 흡수한다." : 맞는 설명입니다.
    - "육상식물은 도관이 잘 발달되어 있는 반면에 해산식물은 그렇지 못하다." : 틀린 설명입니다. 해조류도 도관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 "육상식물은 잎에서 광합성을 하는데 비하여 해조류는 몸 전체로 광합성을 행한다." : 맞는 설명입니다.
    - "육상식물과 해조류 모두 수분을 통해 싸앗을 맺어서 자손을 번식한다." :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재생력이 가장 약한 동물은?

  1. 해면
  2. 플라나리아
  3. 불가사리
(정답률: 83%)
  • 굴은 움직임이 거의 없고, 자신의 껍데기 안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재생력이 가장 약합니다. 반면, 해면은 무수히 많은 자손을 낳고, 플라나리아는 분열을 통해 무한정 번식할 수 있으며, 불가사리는 자체적으로 잘라내어 번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력이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해초류(seagrass)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거머리말
  2. 잘피
  3. 거북풀
  4. 모자반
(정답률: 75%)
  • 모자반은 해조류 중 하나로, 해조류와 해초류는 서로 다른 분류군에 속합니다. 따라서 모자반은 해초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듀공(Dugong)은 해양 포유류 중 어느 종류에 속하는 가?

  1. 고래류
  2. 물개류
  3. 바다수달류
  4. 해우류
(정답률: 87%)
  • 듀공은 해우류에 속합니다. 이는 등지느러미 동물 중 하나로,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자포동물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방사상칭
  2. 3배엽성
  3. 자세포
  4. 폴립형
(정답률: 85%)
  • 자포동물의 특징 중 3배엽성은 아닙니다. 3배엽성은 식물의 특징 중 하나로, 잎이나 꽃이 3개의 잎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을 말합니다. 자포동물은 방사상칭, 자세포, 폴립형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냉수성 어류는?

  1. 잉어
  2. 메기
  3. 뱀장어
  4. 송어
(정답률: 82%)
  • 송어는 냉수에서 서식하는 어류로, 다른 보기들은 주로 온수에서 서식하는 어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이매패류를 마비시켜서 죽이는 대표적인 적조생물은?

  1. Skeletonema
  2. Navicula
  3. Ceratium
  4. Gonyaulax
(정답률: 81%)
  • Gonyaulax는 독소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염소화 효소를 가지고 있어 이매패류를 마비시켜서 죽이는 대표적인 적조생물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해수에 녹아 있는 무기 영양염류를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는 생물은?

  1. 동물플랑크톤
  2. 저서동물
  3. 식물플랑크톤
  4. 어류
(정답률: 95%)
  • 해수에 녹아 있는 무기 영양염류는 식물플랑크톤이 필수적으로 필요로 합니다. 이는 식물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통해 자신의 영양분을 만들어내는데, 이 때 필요한 무기 영양염류를 해수로부터 흡수하여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은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른 생물들의 생존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우리나라 패류 양식장에 큰 피해를 주는 동물은?

  1. 성게
  2. 해삼
  3. 불가사리
  4. 말미잘
(정답률: 89%)
  • 불가사리는 패류 양식장에서 먹이 사슬을 망가뜨리고, 패류의 생식과 성장을 방해하여 큰 피해를 줍니다. 또한 불가사리가 죽으면 그대로 붙어있는 패류도 함께 죽을 수 있어서 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불가사리는 우리나라 패류 양식장에서 큰 문제가 되는 동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광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해양생물은?

  1. 저어류
  2. 부어류
  3. 플랑크톤
  4. 해산포유류
(정답률: 84%)
  • 플랑크톤은 해수면 근처에서 자라며, 광합성을 통해 생존합니다. 따라서 광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해양생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설명 ( )안에 들어갈 용어가 순서대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질산염, 암모니아, 암모니아
  2. 질산염, 암모니아, 질산염
  3. 아질산염, 암모니아, 암모니아
  4. 암모니아, 질산염, 질산염
(정답률: 71%)
  • 이 그림은 암모니아와 질산염이 반응하여 암모니움 질산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먼저 암모니아가 질산염과 반응하여 암모니움 질산을 생성하고, 이 과정에서 생성된 암모니움 질산은 물과 반응하여 다시 암모니아와 질산염으로 분해됩니다. 따라서 반응 과정에서는 "질산염, 암모니아, 암모니아" 순서로 나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하등한 생물체 가운데 광합성 능력과 먹이 섭식 능력을 모두 갖춘 생물은?

  1. 자가영양생물
  2. 공생생물
  3. 기생생물
  4. 혼합영양생물
(정답률: 89%)
  • 혼합영양생물은 광합성과 먹이 섭식 능력을 모두 갖춘 생물로, 자신이 만든 유기물과 다른 생물체나 유기물을 먹어서 생존합니다. 따라서 광합성과 먹이 섭식 능력을 모두 갖춘 생물체 중에서는 혼합영양생물이 유일한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광합성 임계 수심(critical depth)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순생산률이 최대가 되는 깊이
  2. 광합성율과 호흡률이 같은 깊이
  3. 수층 총 생산량과 수층 총 호흡량이 같아지는 깊이
  4. 일반적으로 임계 깊이는 보상깊이보다 얕다.
(정답률: 85%)
  • 광합성과 호흡은 물 속에서 일어나는 생물학적 활동으로, 광합성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하는 과정이고, 호흡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과정입니다. 이 두 과정은 서로 역방향이므로 광합성이 호흡보다 더 많이 일어날 때에는 생산물이 쌓이게 되고, 호흡이 광합성보다 더 많이 일어날 때에는 생산물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수층 총 생산량과 수층 총 호흡량이 같아지는 깊이가 광합성 임계 수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류의 분류에 쓰이는 기호 중 D. Ⅻ, 10 : A. Ⅲ. 8의 의미는?

  1. 뒷지느러미는 10가시 12연조, 등지느러미는 8가시 3연조
  2. 뒷지느러미는 12가시 10연조, 등지느러미는 3가시 8연조
  3. 등지느러미는 10가시 12연조, 뒷지느러미는 8가시 3연조
  4. 등지느러미는 12가시 10연조, 뒷지느러미는 3가시 8연조
(정답률: 79%)
  • D. Ⅻ, 10 : A. Ⅲ. 8은 어류의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가시와 연조 수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등지느러미는 12가시 10연조, 뒷지느러미는 3가시 8연조"가 정답입니다. 이는 등지느러미가 12개의 가시와 10개의 연조로 이루어져 있고, 뒷지느러미가 3개의 가시와 8개의 연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해수의 순환이 생태계에 주는 유익성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해수의 불균일성을 가져온다.
  2. 플랑크톤을 공급한다.
  3. 부유성 유생의 생활영역을 넓혀준다.
  4. 영양 물질 재공급의 역할을 한다.
(정답률: 94%)
  • 해수의 순환은 플랑크톤과 같은 미세 생물들이 생존하는 데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부유성 유생들이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순환 과정이 불균일하게 일어나면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해수의 불균일성을 가져온다는 것은 해양 생태계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질해양학

61. 육상기원 쇄설성 해양 퇴적물의 근원을 가장 잘 반영시켜 주는 것은?

  1. 광물 성분
  2. 미고생물 조성
  3. 퇴적물의 구조
  4. 유기물의 함량
(정답률: 86%)
  • 광물 성분은 육상기원 쇄설성 해양 퇴적물의 근원인 암석의 성분을 반영하기 때문에 가장 잘 반영시켜 줍니다. 미고생물 조성은 해양 생물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근원을 반영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퇴적물의 구조나 유기물의 함량은 근원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근원을 반영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코콜리스(Coccolith)는 어떤 퇴적물을 형성하는가?

  1. 석회질
  2. 규질
  3. 니질
  4. 사질
(정답률: 83%)
  • 코콜리스는 석회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코콜리스는 작은 석회질 구조물로, 해양 생물인 코코박터리아(Coccolithophores)가 만들어내며, 이들이 죽어서 바다 바닥에 쌓이면서 코콜리스가 퇴적물을 형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음향측심기는 어느 곳에 사용하는가?

  1. 해저지형조사
  2. 도서간의 측정
  3. 해양지각의 두께
  4. 해저산맥의 폭
(정답률: 92%)
  • 음향측심기는 해저지형조사에 사용됩니다. 이는 바다 밑의 지형을 조사하여 해양 지형의 형태와 깊이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음파를 발생시켜 바다 밑의 지형에 부딪히면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지형의 깊이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음향측심기는 해저지형조사에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사주는 주로 어디에서 형성되는가?

  1. 연안
  2. 대륙붕
  3. 대륙사면
  4. 대륙대
(정답률: 83%)
  • 사주는 대부분 연안에서 형성됩니다. 이는 연안 지역이 바다와 육지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바다와 육지의 영향을 모두 받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대륙붕, 대륙사면, 대륙대는 모두 육지 위에 위치하며, 바다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사주 형성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심해에 분포하는 생물기원 퇴적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북태평양해저를 제외한 세계의 심해저 퇴적물은 그 대부분이 생물기원이다.
  2. 생물기원 퇴적물을 일반적으로 심해성 “연니”라 한다.
  3. 연니에는 석회질 연니, 규산질 연니 등이 있다.
  4. 규산질 연니가 모든 심해성 퇴적물 중에 제일 많다
(정답률: 66%)
  • "규산질 연니가 모든 심해성 퇴적물 중에 제일 많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석회질 연니가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석회질 연니가 형성되는 조건이 더 적극적으로 충족되기 때문입니다. 석회질 연니는 주로 차가운 깊은 바다에서 형성되며, 바다 바닥에 쌓인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물과 반응하여 칼슘카보네이트 결정을 형성합니다. 반면 규산질 연니는 더 따뜻한 바다에서 형성되며, 규산질로 이루어진 조류나 동물의 석회질 부분이 바다 바닥에 쌓여서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구표면의 6개의 주요 판(plate)의 명칭이 아닌 것은?

  1. 유라시아
  2. 아프리카
  3. 태평양
  4. 대서양
(정답률: 79%)
  • 정답은 "대서양"입니다.

    지구표면의 6개의 주요 판은 유라시아판, 아프리카판, 북아메리카판, 남아메리카판, 태평양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으로 구성됩니다. 대서양은 판의 이름이 아니라 대서양이라는 해양의 이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탄산질 연니의 용해도와 해저면에서의 분포양상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수온이 높을수록 용해도가 높아져서 적게 분포한다.
  2. 탄산염보상심도(CCD)보다 깊은 곳에서만 존재한다.
  3. 태평양보다 대서양에 상대적으로 우세하게 분포한다.
  4. 용승대가 있는 곳에 우세하게 분포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태평양보다 대서양에 상대적으로 우세하게 분포한다."입니다. 이유는 대서양에서는 탄산질 연니가 더 많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대서양에서의 해류와 바람의 영향으로 인해 물이 더 많이 혼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서양에서는 탄산질 연니가 더 많이 생성되어 분포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조사용 기구 중 해양퇴적물의 특성 연구와 직접적인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난센 채수기
  2. 피스톤 코아 채취기
  3. 해저
  4. 측면주사 음향탐사기
(정답률: 60%)
  • 해저, 피스톤 코아 채취기, 측면주사 음향탐사기는 모두 해양퇴적물의 특성 연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난센 채수기는 해양퇴적물의 특성 연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난센 채수기는 해양생물의 분포나 생태학적 특성 등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퇴적물 채취장비 중 역질퇴적물 채취에 가장 유용한 것은?

  1. 상자형 시추기(box corer)
  2. 채니기(grab sampler)
  3. 준설기(dredge)
  4. 중력식 시추기(gravity corer)
(정답률: 84%)
  • 준설기(dredge)는 큰 크기의 역질퇴적물을 채취하는 데 가장 유용한 장비이다. 이는 큰 크기의 퇴적물을 채취할 수 있으며, 바닥의 모든 층을 채취할 수 있어서 다른 장비들보다 더 많은 샘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중력식 시추기와 달리 바닥의 퇴적물을 깊이까지 채취할 수 있어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대륙붕을 해안선에서 붕단(shelf break)까지 연장된 지역이라고 할 때 붕단의 평균 수심 범위는?

  1. 약 130~140m
  2. 약 220~230m
  3. 약 310~320m
  4. 약 400m
(정답률: 78%)
  • 붕단은 대륙붕에서 해양으로 넘어가는 지점으로, 수심이 급격히 깊어지는 지점입니다. 대부분의 붕단은 약 130~140m 정도의 수심 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대륙붕에서 해양으로 넘어가는 지점이지만, 아직은 해양의 깊은 지역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붕단 이후에는 수심이 더욱 깊어지며, 이에 따라 다른 보기들보다는 약 130~140m가 더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그림은 어떤 저질의 입도분포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이 퇴적물을 구성하고 있는 퇴적물의 형태는?

  1. 자갈퇴적물(gravel)
  2. 모래퇴적물(sand)
  3. 실트퇴적물(silt)
  4. 클레이퇴적물(clay)
(정답률: 88%)
  •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높은 막대가 모래 크기 범위에 해당하므로, 이 퇴적물은 주로 모래로 이루어져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모래퇴적물(san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교란되지 않은 해저면을 가장 효과적으로 채취할 수 있는 시추기는?

  1. 피스톤 시추기
  2. 중력 시추기
  3. 상자형 시추기
  4. 진동형 시추기
(정답률: 80%)
  • 상자형 시추기는 해저면을 교란시키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채취할 수 있는 시추기이다. 이는 상자형 시추기가 해저면을 뚫고 지나가면서 채취물을 상자 안에 보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저면을 교란시키지 않으면서도 정확한 채취가 가능하다. 반면, 피스톤 시추기와 진동형 시추기는 해저면을 교란시키는 경향이 있고, 중력 시추기는 깊은 해저면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전형적인 해양지각(oceanic crust)을 이루는 암석은?

  1. 변성암
  2. 화강암
  3. 현무암
  4. 퇴적암
(정답률: 87%)
  • 전형적인 해양지각은 바다 바닥을 이루는 암석으로, 대부분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바다 바닥에서 용암이 분출되어 신생대를 형성할 때 형성되는 암석으로, 매우 단단하고 밀도가 높아 바다 바닥을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암석에서 청어형 사층리(herringbone cross bedding)가 발견되었다면 다음 중 그 암석이 생성된 환경으로 가능성이 가장 큰 것은?

  1. 호수
  2. 대륙사면
  3. 대양저
  4. 조간대
(정답률: 83%)
  • 암석에서 청어형 사층리(herringbone cross bedding)가 발견된다는 것은 퇴적암이 형성되는 환경에서 발생하는 구조 중 하나입니다. 이 구조는 퇴적물이 파도나 강류 등의 힘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쌓이는 과정에서 형성됩니다. 이때, 청어형 사층리는 파도나 강류 등의 힘이 일정한 방향으로 바뀌면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퇴적물이 겹쳐지면서 형성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가 발견된 암석이 생성된 환경으로는 파도나 강류 등의 영향을 받는 해안이나 조간대 등의 환경이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조간대는 해안과 바다 사이에 위치하며, 조류 등의 영향을 받아 파도나 강류 등의 힘이 강하게 작용하는 환경입니다. 따라서, 암석에서 청어형 사층리가 발견된다면 그 암석이 생성된 환경으로는 조간대가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대륙붕 자원개발에서의 중요한 자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석유
  2. 점토
  3. 모래
  4. 자갈
(정답률: 68%)
  • 점토는 대륙붕 자원개발에서 가장 거리가 먼 자원이다. 이는 점토가 대부분의 자원과 달리 에너지 자원이 아니며, 대륙붕에서 발견되는 다른 자원들과는 달리 채굴 및 추출이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점토는 대부분의 건설자재나 도자기 등의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대륙붕 자원개발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자원으로 간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퇴적층이 가장 적게 분포하는 곳은?

  1. 해구
  2. 심해저 평원
  3. 대륙대
  4. 대륙사면
(정답률: 87%)
  • 정답은 "해구"입니다. 해구는 바다 바닥에 위치하며, 바다에서는 퇴적물이 적게 쌓입니다. 이는 파도나 해류 등의 움직임으로 인해 퇴적물이 지속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구는 퇴적층이 가장 적게 분포하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해빈의 퇴적구조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작은 규모의 층리가 발달되어 있다.
  2. 연흔, 파흔(smash mark) 등도 발견된다.
  3. 평행층리는 역질로 된 해빈퇴적물층에서 대단히 잘 발달한다.
  4. 파도에 의한 연흔과 해류에 의한 연흔은 연근해에서 나타난다.
(정답률: 74%)
  • "평행층리는 역질로 된 해빈퇴적물층에서 대단히 잘 발달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평행층리는 역질로 된 해빈퇴적물층에서 발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해빈의 퇴적구조는 해빈지대에서 적설된 눈이 녹아내리면서 형성되는 퇴적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작은 규모의 층리가 발달되어 있고, 연흔, 파흔 등도 발견됩니다. 또한 파도에 의한 연흔과 해류에 의한 연흔은 연근해에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퇴적물로 구성된 해빈 중 경사가 가장 급한 곳은?

  1. 고운 모래로 구성된 해빈
  2. 펄로 구성된 해빈
  3. 자갈로 구성된 해빈
  4. 굵은 모래로 구성된 해빈
(정답률: 90%)
  • 자갈은 고운 모래나 펄보다 더 크고 굵은 모래보다는 작은 크기의 돌이 모여있는 것이기 때문에 경사가 가장 급한 곳으로 떠내려가기 쉽습니다. 따라서 자갈로 구성된 해빈이 경사가 가장 급한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대륙주변부에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대륙주변부는 크게 수동형과 능동형 주변부로 나눈다.
  2. 수동형 주변부는 대서양 형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3. 수동형 주변부는 수렴판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4. 능동형 주변부는 태평양 형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정답률: 83%)
  • "수동형 주변부는 수렴판 가장자리에 위치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능동형 주변부가 수렴판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수동형 주변부는 대서양 형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는 지각학적인 이유로, 수동형 주변부는 대륙과 대륙 사이에 위치하며, 능동형 주변부는 대륙과 해양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조간대의 퇴적 구조와 관련이 가장 먼 것은?

  1. 연흔(ripple mark)
  2. 우흔(rain print)
  3. 절리(joint)
  4. 사층리(cross bedding)
(정답률: 65%)
  • 조간대의 퇴적 구조와 관련이 가장 먼 것은 "절리(joint)"입니다. 절리는 암석의 균열로, 퇴적 구조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연흔, 우흔, 사층리는 모두 퇴적 구조의 일종으로, 퇴적 환경에서 발생한 특징적인 형태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