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5-07)

해양조사산업기사
(2017-05-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물리해양학

1. 유동(流動)의 결과로 생기는 부차적인 힘은?

  1. 중력
  2. 전향력
  3. 바람응력
  4. 압력경도력
(정답률: 75%)
  • 유동은 물체 주변의 공기나 물 등이 움직이는 것을 말합니다. 이 때, 물체 주변의 유체가 움직이면서 생기는 부차적인 힘을 유동저항이라고 합니다. 이 중에서도 회전하는 물체 주변에서 생기는 부차적인 힘을 전향력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향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해수의염분을 변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없는 것은?

  1. 강우
  2. 증발
  3. 담수유입
  4. 용존산소
(정답률: 91%)
  • 해수의 염분 농도는 강우나 담수유입에 따라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증발에 따라 염분 농도가 증가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용존산소는 해수의 염분 농도를 변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없습니다. 용존산소는 해양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염분 농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해양의 수심이 10km인 곳의 수압은 대략 어느정도인가?

  1. 10기압
  2. 100기압
  3. 1000기압
  4. 10000기압
(정답률: 73%)
  • 해수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수압이라고도 불리며, 수압은 수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수압은 수심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수심이 1m 증가할 때마다 약 0.1기압씩 증가합니다. 따라서, 수심이 10km인 곳의 수압은 1000기압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서해 태안에서의 조화 분석 결과 반일주조의 반조차가 각각 M2=2.5m, S2=1.5m일 때 대조차는 몇 m인가?

  1. 5
  2. 6.5
  3. 8
  4. 10
(정답률: 76%)
  • 조화 분석에서 대조차의 주기는 M2와 S2의 주기의 최소공배수인 12시간이다. 따라서 대조차의 높이는 M2와 S2의 높이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M2=2.5m, S2=1.5m일 때, 대조차의 높이는 M2와 S2의 높이를 모두 포함하므로 최소 2.5m+1.5m=4m 이상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될 수 있는 것은 "8" 또는 "10"이다.

    하지만 대조차의 높이는 M2와 S2의 파고와 상관없이 다른 조화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대조차의 높이를 계산하려면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파랑의 각 진동수를 표현한 식은? (단, L:파장, T:주기, A:진동수)

  1. A = 2π/L
  2. A = L/2π
  3. A = 2π/T
  4. A = T/2π
(정답률: 84%)
  • 파랑의 진동수는 단위 시간당 파동의 수를 의미하므로, 주기 T에 대한 1초당 파동의 수를 나타내는 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1초당 파동의 수는 주파수(frequency)로 표현되며, 주파수와 진동수는 역수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A = 1/T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파장 L과 주기 T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파장 L은 파동이 한 번 진행하는 거리이므로, 파동의 속도 v와 주기 T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즉, L = vT입니다.

    여기서 파동의 속도 v는 파장 L과 주기 T에 의해 결정되는데, 파동의 속도는 파장과 주기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즉, v = L/T입니다.

    따라서 A = 1/T = v/L = (L/T)/L = 1/L * T = 2π/L * L/2πT = 2π/T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2π/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해면 단위 면적 당 파랑 에너지는?

  1. 주기의 제곱에 비례한다.
  2. 파고의 제곱에 비례한다.
  3. 파장의 제곱에 비례한다.
  4. 군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86%)
  • 해면 단위 면적 당 파랑 에너지는 파고의 제곱에 비례한다. 이는 파고가 크면 파장도 길어지기 때문이다. 파장이 길어지면 파동이 전달되는 에너지가 분산되어 면적 당 에너지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파고가 크면 면적 당 에너지가 많아지고, 파고가 작으면 면적 당 에너지가 적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북반구 해양에서 바람에 의해서 일어나는 표면해류의 운동 방향은?

  1. 풍향의 우측 45° 방향으로 일어남
  2. 풍향의 좌측 45° 방향으로 일어남
  3. 풍향의 우측 90° 방향으로 일어남
  4. 풍향의 좌측 90° 방향으로 일어남
(정답률: 86%)
  • 북반구에서 바람이 일어나면, 바람의 힘에 의해 표면해수는 풍향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는 코리올리 효과 때문인데, 북반구에서는 바람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불 때, 표면해수는 우측으로 흐르게 됩니다. 이때 흐르는 방향은 풍향의 우측 45° 방향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풍향의 우측 45° 방향으로 일어남"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계절 수온 약층이 가장 잘 형성되는 시기는?

  1. 여름
  2. 가을
  3. 겨울
(정답률: 90%)
  • 여름에는 해수면이 가장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바람도 약하게 불어서 수온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따뜻한 수층과 차가운 심층이 분리되어 약층이 형성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여름이 계절 수온 약층이 가장 잘 형성되는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북반구에서 대양의 서측에 있는 남북방향 해안선에 평행한 바람(남풍)이 불고 있을 때 생기는 현상 중 틀린 것은?

  1. 용승
  2. 해면하강
  3. 표면수온상승
  4. 상층의 북향류 강화
(정답률: 56%)
  • 틀린 것은 "상층의 북향류 강화"입니다.

    남풍이 불면 해수면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해면하강 현상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표면수온이 상승합니다. 이는 해양과 대기 간 열 교환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대기 중 습도가 증가하고 대기 안정도가 감소합니다. 이러한 조건은 대기 중 구름 생성을 촉진시키고 강수량을 증가시키는데, 이를 "용승" 현상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조류의 유속을 측정하였더니 유속이 5노트(Knots)이었다. 이 유속을 cm/sec로 환산하면 약 얼마인가?

  1. 약 100cm/sec
  2. 약 150cm/sec
  3. 약 200cm/sec
  4. 약 250cm/sec
(정답률: 64%)
  • 1노트는 1.852km/h 또는 51.44cm/sec이다. 따라서 5노트는 5 x 51.44 = 257.2cm/sec이다. 이 값은 "약 250cm/sec"에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양조사원 간행 연안 해도상에서 수심 20m인 지점과 해발 100m인 지점과의 고저차는?

  1. 100m이다.
  2. 120m이다.
  3. 120m보다 크다.
  4. 120m보다 작다.
(정답률: 86%)
  • 해양조사원 간행 연안 해도상에서 수심 20m인 지점과 해발 100m인 지점과의 고저차는 80m이다. 따라서 "120m보다 크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영구수온약층(Permanent Thermocline)에 대한설명 중 옳은 것은?

  1. 수직 안정도가 낮다.
  2. 주로 열대해역에서 볼 수 있다.
  3. 바람에 의한 혼합이 주 생성원인이다.
  4. 장소와 계절에 따라 그 깊이가 크게 변한다.
(정답률: 77%)
  • 영구수온약층은 수직 안정도가 높아서 바람에 의한 혼합이 적고, 열역학적 안정이 유지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주로 열대해역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주로 열대해역에서 볼 수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바다가 청색으로 보이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파장이 짧은 빛이 표면에서 반사ㆍ산란되고, 긴 것만 깊은 곳까지 투과되기 때문이다.
  2. 파장이 짧은 빛은 표면에서 흡수하고, 긴 것은 깊은 곳까지 투과되어 산란되기 때문이다.
  3. 파장이 긴 빛은 표면에서 흡수하고, 짧은 것은 깊은 곳까지 투과되어 산란되기 때문이다.
  4. 파장이 긴 빛이 표면에서 반사ㆍ산란되고, 짧은 것만 깊은 곳까지 투과되어 흡수되기 때문이다.
(정답률: 72%)
  • 파장이 긴 빛은 표면에서 흡수하고, 짧은 것은 깊은 곳까지 투과되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해수의 움직임에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1. 마찰력
  2. 전향력
  3. 압력경사
  4. 표면장력
(정답률: 78%)
  • 해수의 움직임에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표면장력"이다. 이는 해수의 표면에 작용하는 분자 간의 인력으로, 표면을 평평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표면장력이 크면 파도나 바람 등의 자연적인 움직임에도 해수의 표면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움직임에 영향을 덜 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오일러식으로 직접 해류관측을 할 수 있는 기기는?

  1. ADCP
  2. NOAA위성
  3. ARGOS부이
  4. TOPEX/Poseidon위성
(정답률: 87%)
  • ADCP는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의 약자로, 수중 속도와 방향을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이 기기는 소리 파장을 이용하여 수심에 따른 수송량을 측정하며, 이를 통해 해류의 속도와 방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일러식으로 직접 해류관측을 할 수 있는 기기로서 ADCP가 선택됩니다. NOAA위성, ARGOS부이, TOPEX/Poseidon위성은 해양 관측을 위한 위성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해양의 염분을 나타내는 단위로 천분율인 ‰을 사용하지 않고 PSU를 사용하는데 이는 어떠한 방법으로 구하는가?

  1. 염소량 적정
  2. 전기 전도도 측정
  3. 해수의 굴절률 측정
  4. 용존물질의 전량 직접 측정
(정답률: 91%)
  • PSU는 Practical Salinity Unit의 약자로, 해수의 염분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이는 전기 전도도 측정을 통해 구합니다. 해수는 염분이 높아질수록 전기 전도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여 이를 해수의 염분 농도로 환산하는 방식으로 PSU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전기 전도도 측정이 PSU를 구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적도해역에 대한 일반적인 특징에 해당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가, 나
  2. 나, 다
  3. 다, 라
  4. 가, 라
(정답률: 64%)
  • 가. 적도해역은 적도선 위의 해역으로, 북쪽과 남쪽으로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있으며, 연중 일정한 기온과 습도를 유지한다.
    라. 적도해역은 열대우림과 우림이 분포하며, 다양한 생물이 서식한다. 따라서 생물다양성이 높다.

    가와 라는 적도해역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적도선 위의 해역이며, 일정한 기온과 습도를 유지하며, 열대우림과 우림이 분포하고 생물다양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나와 다는 특징이 아니며, 다른 지리적인 지역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해면의 경사와 등밀도면의 경사가 모든 수심에서 해수면과 평행일 경우 해류는 수심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 (단, 마찰이 없을 경우)

  1. 깊이에 따라 방향이 바뀐다.
  2. 깊어질수록 유속이 증가한다.
  3. 깊어질수록 유속이 감소한다.
  4. 깊이에 따른 유속의 변화가 없다.
(정답률: 70%)
  • 해면의 경사와 등밀도면의 경사가 모든 수심에서 해수면과 평행일 경우, 수심에 따른 압력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마찰이 없는 상황에서는 유체 입자들은 서로 충돌하지 않고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깊이에 따른 유속의 변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천해파의 위상속도와 군속도(Group Velocity)의 비교가 옳은 것은?

  1. 위상속도와 군속도는 같다.
  2. 위상속도는 항상 군속도보다 늦다.
  3. 위상속도는 항상 군속도보다 빠르다.
  4. 주기와 파장에 따라 위상속도는 군속도보다 빠를 수도 늦을 수도 있다.
(정답률: 79%)
  • 위상속도와 군속도는 같다. 이는 둘 다 파동의 전달 속도를 나타내지만, 위상속도는 파동의 위상이 일정한 속도로 전달되는 속도를 나타내고, 군속도는 파동의 에너지나 정보가 전달되는 속도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상속도와 군속도는 항상 같은 값을 가지며, 주기와 파장에 따라 빠를 수도 늦을 수도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해양조사선에서 해저를 향해 음파를 발사한 후 2초 후에 반사되어 되돌아온 경우, 이 지점의 수심은 얼마인가? (단, 수중에서의 음속은 1,500m/s이다.)

  1. 750m
  2. 1500m
  3. 2500m
  4. 4000m
(정답률: 75%)
  • 음파가 발사된 후 2초 후에 되돌아왔으므로, 왕복 시간은 4초이다. 음파의 속도는 1,500m/s이므로, 왕복 거리는 1,500m/s x 4s = 6,000m이다. 하지만 이 거리는 발사 지점에서 반사 지점까지의 거리이므로, 실제 수심은 반으로 나눈 3,000m이다. 따라서 정답은 "25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학해양학

21. 선박의 부착방지제로 사용된 유기주석화합물로 1980년대 이후 환경문제로 크게 주목받게 된 물질은?

  1. Dieldrin
  2. Tributyltin
  3. Chlorofluorocarbons
  4. Polychlorinated Biphenyl
(정답률: 83%)
  • Tributyltin은 선박의 부착방지제로 사용되었으나, 이 물질이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환경문제로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이 물질은 해양 생물들의 생식능력을 저하시키고, 생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해양에서 심층수 생성 시 해수표면에서 포화 용존된 산소가 침강하였다고 가정할 때 포화 산소 농도에서 현재 측정된 산소농도를 뺀 값을 의미하지 않는 것은?

  1. AOU
  2. 포화 산소량
  3. 겉보기 산소 소비량
  4. 해수가 침강하면서 소비된 산소의 농도
(정답률: 77%)
  • 해양에서 심층수 생성 시 포화 용존된 산소가 침강하면서 산소가 소비되지 않기 때문에 "포화 산소량"이 의미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겉보기 산소 소비량"과 "해수가 침강하면서 소비된 산소의 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해수중의 나트륨과 칼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50% 정도 이온쌍으로 존재한다.
  2. 90% 이상이 이온쌍으로 존재한다.
  3. 50% 정도 유리자유이온으로 존재한다.
  4. 90% 이상이 유리자유이온으로 존재한다.
(정답률: 78%)
  • 해수중의 나트륨과 칼륨은 대부분 이온쌍으로 존재하지 않고, 유리자유이온으로 존재합니다. 이는 이온쌍으로 존재할 경우 서로의 전하가 상쇄되어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해수중에서는 이온쌍으로 존재하는 비율이 매우 적고, 대부분은 유리자유이온으로 존재합니다. 이는 해수중의 염분 농도가 높아서 이온쌍으로 결합하기에는 충분한 자유 이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90% 이상이 유리자유이온으로 존재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반적인 산화환원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때 Pe가 높은 환경이 의미하는 것은?

  1. 무산소 환경이다.
  2. 산화환원 평형 상태이다.
  3. 산화되려는 경향이 높은 환경이다.
  4. 환원되려는 경향이 높은 환경이다.
(정답률: 72%)
  • 산화환원 반응에서 Pe는 전자 수용체와 전자 기부체의 상대적인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e가 높을수록 전자 기부체의 농도가 낮아져 산화되려는 경향이 높아진다. 따라서 Pe가 높은 환경은 산화되려는 경향이 높은 환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해수의 자정능력에는 한계가 있어 연안 해수에 유기물이 너무 많으면 오염될 가능성이 크다. 다음중 오염지표 지수로 이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알칼리 금속
  2. 총유기탄소량
  3. DO(용존산소)
  4. COD(화학적산소요구량)
(정답률: 77%)
  • 알칼리 금속은 해양 환경 오염 지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알칼리 금속이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총유기탄소량, DO(용존산소), COD(화학적산소요구량)은 모두 해양 환경 오염 지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해양생물의 제한 원소(Biolimiting Elements)가 되지 않는 것은?

  1. N
  2. P
  3. K
  4. Si
(정답률: 72%)
  • 해양생물의 성장과 생존에 있어서 질소(N)과 인(P), 규산(Si)은 중요한 제한 원소로 작용하지만, 칼륨(K)은 그렇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해수 중 암모니아성 질소를 정량하는 방법과 각각의 장점을 연결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네슬레법 - 감도가 좋다.
  2. 피리딘-피라졸론법 - 조작이 간편하다.
  3. 인도페놀발색법 - 감도가 좋고 분리가 용이하다.
  4. 아질산산화법 - 아질산염의 농도가 높은 시료의 경우도 오차가 적다.
(정답률: 80%)
  • 인도페놀발색법은 암모니아성 질소를 인도페놀과 함께 반응시켜 적색 혹은 보라색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감도가 좋고 분리가 용이하여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해저 화산 열수공에서 제거되는 성분은?

  1. K, Fe
  2. Na, H2S
  3. Mg, Cl-
  4. MG, SO42-
(정답률: 71%)
  • 해저 화산 열수공에서 제거되는 성분은 주로 염분과 미량 원소들입니다. 이 중에서 MG와 SO42-는 열수공에서 많이 발견되는 미량 원소와 이온입니다. 따라서 이 두 성분이 제거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해수중의 염소량은 해수 1kg에 포함되어 있는 어떤 물질의 총량으로 정의되는가?

  1. 산화물
  2. 유기물
  3. 나트륨 원소
  4. 할로겐 원소
(정답률: 71%)
  • 해수중의 염소는 주로 염화나트륨(NaCl)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할로겐 원소 중 하나인 염소(Cl)와 나트륨(Na)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정답은 "할로겐 원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해수의 용존 염류 중 가장 많은 것은?

  1. 염화물
  2. 인산염
  3. 탄산염
  4. 황화물
(정답률: 85%)
  • 해수는 염화물이 가장 많은 이유는, 염화물은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 등의 이온을 포함하고 있어서 해수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염류입니다. 따라서, 해수의 용존 염류 중 가장 많은 것은 염화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전형적인 외양역에서 용존산소의 농도가 최소값을 보이는 수심은?

  1. 수심 100m 부근
  2. 수심 1000m 부근
  3. 수심 3000m 부근
  4. 수심 5000m 부근
(정답률: 81%)
  • 수심이 깊어질수록 수온은 낮아지고 압력은 높아지는데, 이는 용존산소의 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수심이 깊어질수록 물의 밀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산소가 물에 용해됩니다. 또한, 해수면에서부터 깊이가 깊어질수록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산소를 생산하는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형적인 외양역에서는 수심 1000m 부근에서 용존산소의 농도가 최소값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한 해양퇴적물의 퇴적속도 결정 방법 중에서 비교적 반감기가 짧아서 연안 퇴적물의 퇴적속도 결정에 주로 이용되는 동위원소는?

  1. 210Pb
  2. 230Th
  3. 231Pa
  4. 40K
(정답률: 70%)
  •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는 그 동위원소가 절반으로 붕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감기가 짧을수록 빠르게 붕괴하므로, 해당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퇴적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210Pb의 반감기는 약 22.3년으로, 다른 보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다. 따라서 연안 퇴적물의 퇴적속도 결정에 주로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해양에서 방사성원소(14C, 3H 등)를 이용하여 측정하지 않는 것은?

  1. 조석의 측정
  2. 수괴의 유동추적
  3. 해수의 나이 측정
  4. 해수의 교환율 측정
(정답률: 88%)
  • 조석은 해양에서의 조류 현상을 의미하며, 방사성원소 측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조석의 측정"이 정답입니다. 수괴의 유동추적, 해수의 나이 측정, 해수의 교환율 측정은 모두 방사성원소를 이용한 해양과 관련된 측정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해수의 일반적인 pH 범위(7.5~8.4)에서 용존총탄소(Total CO2, ΣCO2)의 99% 이상을 차지하는 화학종들은?

  1. CO2와 CO32-
  2. CO2와 HCO3-
  3. HCO3-와 CO32-
  4. HCO3-와 H2CO3
(정답률: 67%)
  • 해수의 pH 범위에서 CO2는 대부분 HCO3-와 CO32-로 전환됩니다. 이는 해수의 pH가 높아질수록 CO2가 HCO3-로 전환되고, pH가 더 높아질수록 HCO3-가 CO32-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수의 일반적인 pH 범위에서 용존총탄소(Total CO2, ΣCO2)의 99% 이상을 차지하는 화학종들은 HCO3-와 CO3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해양에서 존재하는 기체 중 반응성이 낮아 기체교환 속도의 추적자로 주로 이용되는 것은?

  1. 메탄
  2. 라돈
  3. 아르곤
  4. 이산화탄소
(정답률: 72%)
  • 라돈은 기체 중에서 가장 반응성이 낮은 원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해양에서 라돈은 다른 기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느리게 반응하고 교환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라돈은 해양에서 기체 교환 속도의 추적자로 주로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오염물질의 정량측정법 중 부피분석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중화적정법
  2. 흡광광도법
  3. 산화환원적정법
  4. 킬레이트적정법
(정답률: 74%)
  • 흡광광도법은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빛의 흡수량을 측정하여 농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부피분석법의 종류가 아닌 것이다. 중화적정법, 산화환원적정법, 킬레이트적정법은 모두 부피분석법의 종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Alexandrium, Gymnodinium 속 등이 주로 일으키는 패독은?

  1. DSP
  2. PAH
  3. PSP
  4. PCB
(정답률: 64%)
  • Alexandrium, Gymnodinium 등은 PSP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를 일으키는 독소를 생성합니다. 이 독소는 조개류 등 해산물에 존재하며, 인간이 섭취하면 중추신경계 마비를 일으키는 위험한 독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해수 중 주 양이온들은 NA+, K+, Mg2+와 Ca2+으로 이들의 총 전하 몰농도는 606mM 이며, 주 음이온들은 Cl-, SO42-, Br-으로 이들의 총 전하 몰농도는 604mM 이다. 이 때 전기적 중성을 지니기 위해서 부족한 음이온 2mM을 채워주는 주 음이온은 무엇인가?

  1. [CO32-]와 [HPO42-]
  2. [HCO3-]와 [CO32-]
  3. [HCO3-]와 [HPO42-]
  4. [HPO42-]와 [PO42-]
(정답률: 70%)
  • 전기적 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전하량이 같아야 한다. 주 양이온들의 총 전하 몰농도가 606mM이므로, 주 음이온들의 총 전하 몰농도도 606mM이어야 한다. 하지만 주 음이온들의 총 전하 몰농도는 604mM이므로, 2mM만큼 음이온이 부족하다. 따라서, 이를 채워주는 주 음이온은 2mM의 Cl- 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HCO3-]와 [CO32-]" 인 이유는, 이들은 모두 중성화학적인 쌍을 이루기 때문이다. HCO3-와 CO32-는 모두 탄산염 중성화학적인 쌍을 이루며, 이들의 전하량은 각각 -1과 -2이다. 따라서, 이들을 적절히 혼합하여 전기적 중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전하량이 다르거나, 중성화학적인 쌍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해양 식물플랑크톤의 유기화와 무기화 과정은 RedField비를 이용하여 생물활동을 화학양론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유기물의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와 사용되는 산소의 몰비를 사용하여 호흡률(RQ)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0.37
  2. 0.58
  3. 0.77
  4. 0.98
(정답률: 91%)
  • RedField비는 C:N:P 비율이 106:16:1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기물의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와 사용되는 산소의 몰비는 106:138이 된다. 이를 각각 106과 138로 나누어 호흡률(RQ)을 계산하면 0.77이 된다. 즉, 호흡에 사용되는 산소의 양이 이산화탄소의 양보다 약 1.8배 많은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증발이나 담수 유입이 해수중의 주요 이온의 상대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한다면, S = 35‰ 일 때, 해수의 Na+가 468 meg/kg이면 S=32‰일 때 Na+ 농도는?

  1. 428 meq/kg
  2. 468 meq/kg
  3. 512 meq/kg
  4. 320 meq/kg
(정답률: 71%)
  • S = 35‰ 일 때 Na+ 농도가 468 meg/kg 이므로, Na+ 이온의 몰농도는 468/23 = 20.35 mol/m3 이다.

    또한, S = 35‰ 일 때의 전해질 농도는 35 g/L 이므로, Na+ 이온의 농도는 20.35 × 23 / 35 = 13.34 g/L 이다.

    S = 32‰ 일 때의 전해질 농도는 32 g/L 이므로, Na+ 이온의 몰농도는 13.34 × 35 / 23 = 20.23 mol/m3 이다.

    따라서, Na+ 이온의 농도는 20.23 × 23 = 465.29 meg/kg 이다.

    따라서, 정답은 "428 meq/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물해양학

41. 일반적으로 해양의 1차 생산을 담당하는 해양생물은?

  1. 섬모충류
  2. 해조류 및 식물플랑크톤
  3. 동물플랑크톤
  4. 어류
(정답률: 95%)
  • 해조류 및 식물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자신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해양 생태계에서 1차 생산자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들이 생산한 유기물은 다른 해양 생물들의 영양원이 되어 다양한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해양생물을 채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가 아닌 것은?

  1. 반돈 채수기(Van Don Water Sampler)
  2. 그랩 채니기(Grab Sampler)
  3. 봉고 네트(Bongo Net)
  4. CTD
(정답률: 84%)
  • CTD는 해양생물을 채집하는 기구가 아니라, 해양의 염분, 온도, 깊이 등의 물리적인 조건을 측정하는 기기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반돈 채수기, 그랩 채니기, 봉고 네트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해양생물을 채집하는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산소와 해양생물과의 관계를 설명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육상생물과 마찬가지로 거의 모든 해양생물은 산소의 공급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2.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발생시키므로 산소가 필요없다.
  3. 해양생물 가운데 어떤 것은 단지 휴면상태에 들어감으로써 얼마동안 산소 없이도 견딜 수 있다.
  4. 해양 박테리아의 일부는 산소 없이 생활한다.
(정답률: 95%)
  •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발생시키므로 산소가 필요없다." 이것이 틀린 것이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발생시키지만, 그 과정에서도 일정량의 산소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모든 해양생물은 산소의 공급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뱀장어가 바다에서 산란하고 성장을 하기 위해 강으로 회유를 하는 현상은?

  1. 소하성 회유
  2. 강하성 회유
  3. 양측성 회유
  4. 섭이 회유
(정답률: 82%)
  • 뱀장어는 바다에서 산란하고 알에서 부화한 유생들은 강으로 내려와서 성장합니다. 이때 강에서 뱀장어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강물의 염분농도와 온도가 바다와 비슷해야 합니다. 따라서 뱀장어는 강하성 회유를 통해 바다와 비슷한 환경에서 성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식물성 부유생물 중 Skeletonema Constatum이 증가한 해수의 주간(낮 동안) 특징이 아닌 것은?

  1. 인산염의 감소
  2. 규산염의 증가
  3. 용존산소의 증가
  4. 수소이온 농도의 감소
(정답률: 45%)
  • 규산염의 증가가 아닌 것은 "수소이온 농도의 감소"입니다. Skeletonema Constatum은 규산염을 주요한 성분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규산염의 증가가 이 생물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인산염의 감소와 용존산소의 증가는 해양 생태계의 건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러한 조건이 Skeletonema Constatum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적조의 발생 가능성이 가장 낮은 곳은?

  1. 외해의 용승해역
  2. 폐쇄성 내만해역
  3. 부영양염이 풍부한 해역
  4. 일조량이 충분한 안정된 수괴
(정답률: 68%)
  • 외해의 용승해역은 바다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바람과 파도 등의 자연적인 영향을 크게 받지 않기 때문에 적조의 발생 가능성이 가장 낮습니다. 반면에 폐쇄성 내만해역은 바다의 입구가 좁아서 바다의 물이 출입이 어렵기 때문에 적조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부영양염이 풍부한 해역은 영양분이 많아서 식물성 생물이 많이 번식하고, 이로 인해 적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조량이 충분한 안정된 수괴는 해양 생태계가 안정되어 있어서 적조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생물 중 사후 침전하여 저층의 침전물을 구성하는 것은?

  1. 녹조류
  2. 요각류
  3. 갑각류
  4. 유공충
(정답률: 70%)
  • 유공충은 바다나 호수 등의 물 속에서 살며, 사후 침전하여 저층의 침전물을 구성합니다. 따라서 유공충이 정답입니다. 녹조류는 해조류 중 하나로, 대부분 표층에서 생산되는 식물성 플랑크톤입니다. 요각류는 해조류 중 하나로, 대부분 해저 바닥에서 서식하며, 바위나 모래 위에 붙어서 생활합니다. 갑각류는 물 속에서 살며, 대표적으로 게나 새우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두족류 중 팔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문어
  2. 낙지
  3. 주꾸미
  4. 갑오징어
(정답률: 85%)
  • 갑오징어는 팔완류가 아닌 실오징어류에 속합니다. 팔완류는 팔개의 팔을 가진 동물들을 말하는데, 갑오징어는 팔이 아닌 다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팔완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지구와 달의 상관성 있는 움직임에 의해 바닷물이 밀려왔다가 빠져나가는 현상은?

  1. 압력
  2. 파랑
  3. 조석
  4. 해류
(정답률: 87%)
  • 지구와 달의 상관성 있는 움직임에 의해 바닷물이 밀려왔다가 빠져나가는 현상은 조석이다. 조석은 지구와 달의 중력에 의해 바닷물이 일어나는 조석파가 해안으로 이동하여 일어나는 현상으로, 조석파가 밀려오면 바닷물이 높아지고, 조석파가 빠져나가면 바닷물이 낮아지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몸에 다량의 석회질을 가진 해조는?

  1. 서실
  2. 꼬시래기
  3. 작은구슬산호말
  4. 국수나물
(정답률: 87%)
  • 해조 중에서도 작은구슬산호말은 다량의 석회질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작은구슬산호말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인 칼슘 카보네이트 때문입니다. 이러한 석회질 함량은 작은구슬산호말이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점심해성 어류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발광기관을 가진다.
  2. 턱이 비교적 짧다.
  3. 체색이 어둡거나 투명하다.
  4. 퇴화된 눈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94%)
  • 점심해성 어류는 깊은 바다에서 살며, 발광기관을 가지고 있어서 어둠 속에서 빛을 내며 먹이를 유인한다. 이들은 먹이 사냥을 위해 턱이 비교적 짧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체색이 어둡거나 투명하며, 눈이 퇴화되어 있어서 시력이 좋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해양생물 군집을 구성하는 수많은 종들 중 몇몇 종들은 자신들의 존재 유무에 따라 군집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가 초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군집구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종은?

  1. 유사종
  2. 외래종
  3. 근연종
  4. 핵심종
(정답률: 95%)
  • 핵심종은 군집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으로, 이 종의 존재 유무에 따라 군집의 구조와 기능이 크게 변화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인 유사종, 외래종, 근연종은 모두 군집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핵심종만큼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어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 중 표준체장은?

  1. 몸 앞끝에서 꼬리지느러미 뒤끝까지의 직선거리
  2. 주둥치 앞끝에서 꼬리지느러미 기저까지의 직선거리
  3. 주둥치 앞끝에서 꼬리지느러미의 오목한 안끝까지의 직선거리
  4. 주둥치 앞끝에서 등지느러미의 끝까지의 직선거리
(정답률: 93%)
  • 어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 중 표준체장은 "주둥치 앞끝에서 꼬리지느러미 기저까지의 직선거리"이다. 이는 어류의 실제 길이를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는 방법으로, 어류의 몸통이나 꼬리지느러미의 모양에 따라 다른 측정 방법보다 더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극해역의 식물성 플랑크톤의 계절적 대번식기는?

  1. 여름
  2. 가을
  3. 겨울
(정답률: 92%)
  • 극해역은 겨울에는 얼음이 덮여 있어서 자외선이 적게 들어오고, 바람도 강하고 추워서 식물성 플랑크톤이 적게 번식합니다. 따라서 계절적 대번식기는 겨울이 아닌 다른 계절에 있어야 합니다. 봄과 가을에는 바람이 강하고 파도가 크기 때문에 플랑크톤이 번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여름이 가장 적합한 계절입니다. 여름에는 바람도 약하고 파도도 작아서 플랑크톤이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이 조성됩니다. 또한 자외선도 많이 들어와서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플랑크톤이 번식하기에 더욱 유리합니다. 따라서 극해역의 식물성 플랑크톤의 계절적 대번식기는 여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뱀장어의 계군을 구분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형질은?

  1. 비늘
  2. 이석
  3. 척추골수
  4. 체장
(정답률: 73%)
  • 뱀장어의 계군을 구분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질은 척추골수입니다. 이는 뱀장어의 척추 뼈 안에 있는 신경계를 나타내며, 이 신경계의 형태와 위치에 따라 계군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늘, 이석, 체장은 뱀장어의 다른 형질이며, 계군 구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자포동물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방사상칭
  2. 3배엽성
  3. 자세포
  4. 폴립형
(정답률: 90%)
  • 자포동물의 특징 중 3배엽성은 아닙니다. 3배엽성은 식물의 특징으로, 잎이 세 개의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 붙어있는 것을 말합니다. 자포동물은 방사상칭, 자세포, 폴립형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보기의 어류 중 난태생어류에 속하는 것은?

  1. 망상어
  2. 농어
  3. 넙치
  4. 대구
(정답률: 75%)
  • 망상어는 난태생어류에 속합니다. 이는 산란 후 알에서 바로 부화하여 성장하는 어류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인 농어, 넙치, 대구는 산란 후 알에서 부화한 후 알에서 먹이를 찾아 성장하는 새끼어류인 새끼어류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1년 중 식물플랑크톤의 대량생산이 2회 일어나며 1차 대량생산이 2차 대량생산보다 뚜렷하게 큰 수역은?

  1. 한대
  2. 온대
  3. 열대
  4. 극지방
(정답률: 85%)
  • 정답은 "온대"입니다.

    식물플랑크톤은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 중에서도 1년 중 대량생산이 일어나는 시기는 봄과 가을입니다. 이때 대량생산이 일어나는 이유는 봄과 가을에는 수온과 영양염이 적절한 조건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1차 대량생산이 2차 대량생산보다 뚜렷하게 큰 수역은 온대 지역입니다. 이는 온대 지역에서는 봄과 가을에 수온과 영양염이 적절한 조건을 만들어 대량생산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한대나 열대, 극지방은 온도나 영양염 등의 환경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일어나는 시기나 양이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양식조개류의 대표적인 해적 생물은?

  1. 불가사리
  2. 물총새
  3. 성게
  4. 어류
(정답률: 91%)
  • 양식조개류의 대표적인 해적 생물은 불가사리입니다. 이는 불가사리가 조개류의 껍데기를 뚫고 들어가서 내부를 먹이로 삼기 때문입니다. 불가사리는 먹이를 먹기 위해 뚫은 구멍에서 물을 뿜어내는 물총새와는 다른 종류의 해적 생물입니다. 성게는 해저 바닥에서 살아가는 해산물이며, 어류는 물 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동물들을 일컫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해조류 중 무성생식법이 다른 종류와 다른 것은?

  1. 도박
  2. 꼬시래기
  3. 돌가사리
(정답률: 77%)
  • 해조류 중 대부분은 유성생식법을 가지고 있어서 수컷과 암컷이 함께 존재하여 번식을 한다. 하지만 "김"은 무성생식법을 가지고 있어서 수컷과 암컷이 구분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번식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질해양학

61. 대륙사면과 해안과의 관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경사도가 급한 대륙사면은?

  1. 단층 해안 앞바다의 대륙사면
  2. 유년기 산맥해안 앞바다의 대륙사면
  3. 큰 강이 없고 안정된 해안 앞바다의 대륙사면
  4. 삼각주와 큰 강이 있는 해안 앞바다의 대륙사면
(정답률: 74%)
  • 단층 해안 앞바다의 대륙사면은 일반적으로 경사도가 급한 대륙사면이다. 이는 해안과 대륙사면 사이에 경사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형적 특징 때문이다. 이러한 지형적 특징은 해안에서 파도가 충돌하면서 강한 침식 작용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해안이 더욱 침식되어 경사도가 급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단층 해안 앞바다의 대륙사면은 일반적으로 경사도가 급한 대륙사면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 )안에 알맞은 용어는?

  1. 어류의 뼈
  2. 해저화산의 재
  3. 심해생물의 사체
  4. 동식물플랑크톤의 껍질
(정답률: 88%)
  • 이 그림은 동식물플랑크톤의 껍질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동식물플랑크톤은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껍질은 그들의 보호와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암석에서 청어뼈형 사층리(Herring Cross Bedding)가 발견되었다면 다음 중 그 암석이 생성된 환경으로 가능성이 가장 큰 것은?

  1. 호수
  2. 대양저
  3. 조간대
  4. 대륙사면
(정답률: 62%)
  • 암석에서 청어뼈형 사층리가 발견된다는 것은 퇴적암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사층리는 조류나 파도 등의 영향으로 인해 퇴적물이 적층되는 과정에서 형성됩니다. 따라서, 가능성이 가장 큰 환경은 파도가 강한 조간대입니다. 파도가 강한 조간대에서는 파도의 영향으로 인해 퇴적물이 적층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청어뼈형 사층리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퇴적물 중 석회질로 구성되어 있는 퇴적물은?

  1. 규질 연니
  2. 유공충 연니
  3. 방산충 연니
  4. 해면골침 퇴적물
(정답률: 80%)
  • 석회질은 주로 유공충 연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유기물이 분해되어 생긴 카르본산이 석회암과 반응하여 칼슘카보네이트로 치환되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공충 연니가 석회질로 구성되어 있는 퇴적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석유가 가장 많이 산출되는 해저지형은?

  1. 대륙대
  2. 대륙붕
  3. 심해저
  4. 대륙사면
(정답률: 80%)
  • 정답은 "대륙붕"입니다. 대륙붕은 대륙과 대륙사면 사이에 위치한 해저지형으로, 지형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쌓인 퇴적물과 유기물이 많아 석유가 많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석유가 가장 많이 산출되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탄성파 탐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석유탐사는 주로 반사법을 이용한다.
  2. 굴절법과 반사법 모두 수중청음기를 통해 탄성파를 수신한다.
  3. 반사법은 탄성파가 임계굴절이 일어날 수 있는 곳에서만 실시한다.
  4. 반사법 자료를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전파 경로상의 모든 점의 속도정보가 필요하다.
(정답률: 80%)
  • "반사법은 탄성파가 임계굴절이 일어날 수 있는 곳에서만 실시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반사법은 탄성파가 임계굴절이 일어나는 지점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파동을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을 탐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반사법은 임계굴절이 일어나는 지점이 아닌 모든 지점에서 실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심해퇴적물 중 원양성 점토의 퇴적속도는 1000년에 약 몇 mm인가?

  1. 2~3mm
  2. 20~30mm
  3. 50~70mm
  4. 70~100mm
(정답률: 68%)
  • 심해퇴적물 중 원양성 점토의 퇴적속도는 매우 느리기 때문에 1000년에 약 2~3mm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는 점토 입자가 물 속에서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고, 물 속에서 이동하는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3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삼각주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상부층은 항상 수면위에 노출되어 있다.
  2. 삼각주는 강의 퇴적물 운반량이 대단히 클 때 형성이 가능하다.
  3. 강이 바다와 접하면서 강의 유속이 감소됨으로써 하천퇴적물이 막대하게 퇴적한다.
  4. 삼각주 퇴적층은 상부층, 중간층, 하부층에 따라 퇴적물입도, 퇴적환경, 퇴적구조 등이 현저히 다르다.
(정답률: 88%)
  • "상부층은 항상 수면위에 노출되어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삼각주의 상부층은 일시적으로 수면 위에 노출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수면 아래에 위치하며, 중간층과 하부층 위에 쌓여 있습니다. 이는 강의 유속이 감소되면서 퇴적물이 쌓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대륙붕단(Shelf Break)의 평균 수심은 얼마인가?

  1. 80m
  2. 140m
  3. 180m
  4. 200m
(정답률: 78%)
  • 대륙붕단은 대륙과 대양 사이의 경계선으로, 대륙의 연장선상에서 수심이 급격히 깊어지는 지점을 말한다. 이 지점에서 대양의 수심이 깊어지기 시작하는데, 이때의 평균 수심이 대륙붕단의 평균 수심이다. 따라서, 대륙붕단의 평균 수심은 약 14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직경이 약 0.8mm인 입자는 Wentworth Scale에 의하면 어느 등급에 해당되는가?

  1. 실트(Silt)
  2. 점토(Clay)
  3. 모래(Sand)
  4. 자갈(Granule)
(정답률: 67%)
  • 0.8mm는 Wentworth Scale에서 "모래(Sand)" 등급에 해당한다. 이는 Wentworth Scale에서 모래는 0.063mm에서 2mm까지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이 중에서 0.8mm는 모래 등급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해저 암석노출 지역에서 암석시료를 채취하는데 가장 적합한 채취방법은?

  1. 드렛지 (Dredge Sampler)
  2. 상자형 시추기 (Box Corer)
  3. 피스톤 시추기 (Piston Corer)
  4. 니스킨 채수기 (Niskin Bottle)
(정답률: 68%)
  • 해저 암석노출 지역에서는 암석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드렛지 (Dredge Sampler)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해저 바닥에 내려가는 큰 그물로, 바닥의 암석을 채취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들은 주로 해저 퇴적물을 채취하는 데에 사용되며, 암석을 채취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내만(內灣)에 존재하는 특징적인 퇴적물로서 입자가 가장 작은 것은?

  1. 니질
  2. 사질
  3. 역질
  4. 사력질
(정답률: 83%)
  • 니질은 내만 지역에서 발견되는 퇴적물 중 입자 크기가 가장 작은 것으로, 직경이 0.002mm 이하인 미세 입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미세 입자는 물 속에서 매우 잘 분산되어 있어서 물의 투명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내만 지역의 물은 매우 맑고 깨끗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가장 최근에 일어난 빙하기 동안에 해수면의 변화는 대략 얼마 정도 되는가?

  1. 10m
  2. 50m
  3. 100m
  4. 125m
(정답률: 56%)
  • 가장 최근에 일어난 빙하기 동안에는 대량의 빙산이 해양으로 유출되어 해수면이 상승했다. 이로 인해 해수면은 대략 125m 정도 상승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음파를 이용하여 해저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장비는?

  1. 부머 (Boomer)
  2. 에어건 (Air Gun)
  3. 기포펄스 (Bubble Pulser)
  4. 측면주사음향탐사기 (Side Scan Sonar)
(정답률: 90%)
  • 측면주사음향탐사기는 음파를 이용하여 해저면의 지형과 물속에 있는 물체들의 위치와 크기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이 장비는 수면 위에 설치된 센서에서 발생한 음파를 바닥면에 반사시켜 다시 센서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지형과 물체의 위치를 파악합니다. 따라서 해저 탐사 및 수중 탐사 등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해양에 분포하는 육성기원 퇴적물 중 부유상태로 파도나 해류에 의해 가장 먼 곳까지 운반되는 것은?

  1. 모래
  2. 실트
  3. 점토
  4. 잔자갈
(정답률: 73%)
  • 점토는 다른 세 가지 퇴적물에 비해 입자 크기가 작고 경도가 낮아 부유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파도나 해류에 의해 가장 먼 곳까지 운반되는 것은 점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기요(Guyot)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기요는 해산과 비슷하나 꼭대기가 평평하다.
  2. 기요란 대륙붕에서만 발견되는 해저지형의 특징이다.
  3. 기요는 해산의 꼭대기가 평평한데 비해 뾰족한 꼭대기를 가지고 있다.
  4. 기요는 모든 해저에 많이 발견되지만 특히 인도양 해저에서 많이 발견된다.
(정답률: 82%)
  • 기요는 해산과 비슷하나 꼭대기가 평평한 것이 맞습니다. 이는 기요가 해저산의 형태를 띄지만, 해저산의 꼭대기가 뾰족한 반면 기요는 꼭대기가 평평하기 때문입니다. 기요는 대륙붕에서만 발견되는 해저지형의 특징이며, 모든 해저에 많이 발견되지만 특히 인도양 해저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육상기원 쇄설성 해양 퇴적물의 근원을 가장 잘 반영시켜 주는 것은?

  1. 광물 성분
  2. 미고생물 조성
  3. 유기물의 함량
  4. 퇴적물의 구조
(정답률: 79%)
  • 광물 성분은 육상기원 쇄설성 해양 퇴적물의 근원을 가장 잘 반영시켜 주는 것이다. 이는 광물 성분이 지질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지질학적 시간 척도에서 오랜 기간 동안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물 성분은 지질학적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구의 구성 중 암권 및 내권은 뚜렷한 3가지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들 3가지 구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핵(Core)
  2. 지각(Crust)
  3. 맨틀(Mantle)
  4. 열권(Thermosphere)
(정답률: 93%)
  • 열권은 지구의 구성 중 대기권의 일부이며, 암권, 내권, 지각, 맨틀과는 구조적으로 다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육지의 한정된 자원으로 고갈이 예상되는 사력자원(모래, 자갈)은 해저의 어느 지역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가?

  1. 대륙대
  2. 대륙붕
  3. 심해저
  4. 대륙사면
(정답률: 72%)
  • 대륙붕은 대륙과 해양 사이에 위치한 지형적인 형태로, 대륙에서 바다로 내려가는 경사면이 갑작스럽게 꺾이는 지점을 말한다. 이 지역은 대륙에서 바다로 향하는 강들이 운반한 모래, 자갈 등의 퇴적물이 쌓여서 많은 양의 사력자원이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육지의 한정된 자원으로 고갈이 예상되는 사력자원(모래, 자갈)은 대륙붕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변환단층(Transform Faul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단층의 일종이다.
  2. 역단층의 일종이다.
  3. 성장단층의 일종이다.
  4. 대양저 산맥에서 볼 수 있는 단층이다.
(정답률: 69%)
  • 변환단층은 두 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단층으로, 대양저 산맥에서 볼 수 있는 단층이다. 이동하는 플레이트의 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지각파가 꺾이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