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환경생태학개론
1. 보전지역 설정을 위한 유네스코 MAB모델과 거리가 먼 것은?
2. 온대지방에서 가장 추운 겨울철에 생존하는 방법, 즉 새로 생장이 시작될 휴면아(bud)의 위치에 따라 생활형을 구분한 학자는?
3. 유수 생태계를 설명한 것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 '생물을 유지하는 여러 가지 요인 중 소수의 요인이 부족하여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성장을 방해하는 것'을 말하는 것은?
5. 생태계 훼손에 따른 대체 방안으로서 야생동물 이동통로에 대한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음 중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 다음 중 분해자를 잘못 설명한 것은?
7. '인간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식생'을 말하는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8. 수질오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 다음 중 생태적 피라미드의 형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0. 적도 인근의 고온다습한 기후에 발달한 식생대로 가장 적당한 것은?
11. 생태계에서는 공간, 먹이, 증식 등에 대하여 서식 생물들간에 종간경쟁과 종내경쟁이 일어난다. 그 결과 특정 개체군의 증가는 어떤 형태의 생장곡선을 보이는가?
12. 생태계 보전의 관점에서 도로 등의 건설에 있어서 생태계를 보호하는 수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3. 담수의 부영양화에 주된 원인물질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4.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한 보호지구 설정을 위해 흔히 이용하는 도서생물 지리 모형(island biogeographical model)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5. 선형의 생태공간으로서 면적공간을 물리적, 생태적으로 연결하며 통로로서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은?
16. 생물 개체군은 어떤 특정 공간을 점유하는 동일한 종이 구성하는 집합체로서 통계적으로 표현되는 몇 가지 특성을 나타낸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17. 어느 군락에에서 100개체의 생물이 있다고 가정한 경우 다음 중 종다양도가 가장 높은 군락은?
18. 일정 지역의 생태계에서 생태 군집을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종은?
19. 다음 간석지(갯벌)생태계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0. 삼림제거가 유발하는 장기적 환경변화가 아닌 것은?
2과목: 환경학개론
21. 도시 보전용도지역 지정을 위한 일반적인 환경·생태적 지정기준으로 타당하지 않는 것은?
22. 다음 중 생태적 도시계획에 적용할 만한 기술로 적당하지 못한 것은?
23. 다음 중 벽면 녹화식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24. 생태도시란 도시를 하나의 유기적 복합체로 보아 다양한 도시활동과 공간구조가 생태계의 기본적인 속성을 포함하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도시라고 할 수 있는데 다음 중 이러한 일반적인 생태도시의 속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5. 우리나라에서 택지개발을 위한 공간계획의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단, 상위계획부터 나열)
26. 다음 중 생태계 보전을 위한 적극적 유인제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27. 다음 토지적성평가 자료 중 현재 사용되지 않는 것은?
28. 육상에서 단위면적(m2)당 생물권의 1차 총 생산량이 가장 높은 곳은?
29. 지속가능한 개발에서 말하는 환경용량의 정의로 가장 적당한 것은?
30. 생태자연도는 현재 몇 개의 단계(등급)로 구분되어 있는가?
31. 다음 중 지속가능한 발전과 거리가 먼 것은?
32. 대규모 녹지를 연결하는 생태축에 대한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33. 다음 중 효율적인 생태네트워크를 위한 시행방안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34. 도시하천의 특성은 하천 복원시 고유한 방법을 필요로한다. 도시 하천 복원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35. 연못의 호안 경사를 2%로 설정하려면 수평거리 1m 당 길이에 대한 수심의 깊이는 얼마인가?
36. 주거환경 요소별 기준 및 계획방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37. 2003년 7월 개정 시행된 환경정책기본법 상 국가차원의 환경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가장 상위계획은?
38. 택지개발계획수립시 활용하는 핵심보전지 설정기준으로 가장 바른 것은?
39. 산악지역을 가로지르는 왕복 4차선 도로의 환경친화적 도로 개설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40.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의 바탕에서 생태계 보전 목적으로 옳지 못한 것은?
3과목: 생태복원공학
41. 비탈면 식생공사를 실시할 때 시공 직후의 토양표면 및 뿜어붙이기 재료의 침식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42. 생태 숲 조성을 위한 조사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43. 다음 녹화용 식물의 종자 파종시 종자 파종량을 구하는 공식이다. 파종량 산출식으로 옳은 것은? (단,W=파종량(g/m2), G:발생기대본수, S:평균입수, P:순량율, B:발아율)
44. 다음 중 과거 훼손지의 복원을 위한 자생식물의 이용성이 증가하지 못했던 이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45. 다음 중 재래 목본·초본종으로만 짝지어진 것 중 가장 적당한 것은?
46. 배수구를 통과하는 유량이 10m3/sec이고 배수로를 흐르는 물의 평균유속이 4m/sec일 때 배수구조물의 단면적(m2)은 얼마인가?
47. 생물학적 표본추출법에 의한 생태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48. 훼손지 비탈면의 경우 양분을 포함하지 않은 하층토인 경우가 많아 녹화시 일정량의 비료를 시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음 중 각 비료성분과 그 효과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49. 복원공사 시 수목의 지상부는 자르고 근원부를 캐서 이식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50. 생활양식과 서식장소가 다른 어·패류 등의 수역생물과 곤충 및 작은 동물 등의 육역생물이 교차하는 생식지역으로 일종의 천이역이기도 한 곳은?
51. 다음 무기토양 중 양이온 치환용량이 가장 큰 것은?
52. 다음의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유역면적은 동일하며, 강우량이 같고, 강우가 유역 전역에 최소한 10시간 계속된다고 가정함.)
53. 옥상을 생물서식공간으로 조성하고자 할 때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54. 다음 중 1급수 지표생물로 보기 어려운 것은?
55. 적정량의 유기물은 식물생장에 필요한 요소이다. 산림 토양에서 낙엽이 분해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한 것으로 적당한 것은?
56. 도로비탈면의 토양에 대한 설계표준치로 부적합한 내용은 어느 것인가?
57. 생태적 코리더(corridor)는 연결되는 형태에 따라 선코리더(linear corridor), 디딤돌 코리더(stepping stone corridor), 그리고 경관 코리더(landscape corridor)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중 선 코리더가에 속하지 않는 것은?
58. 다음 산 비탈 사방녹화공사와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59. 도시 생태 네트워크에서 점적요소가 되는 옥상녹화를 활용해 서식처를 조성하고자 할 때, 목표종(target species)으로 선정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종은?
60. 다음 중 하안 및 제방을 자연적으로 복원하기에 가장 적당한 방법은?
4과목: 생태조사방법론
61. Raunkiaer의 생활형 체계는 겨울눈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는데, 생활형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62. 토양의 미생물 수를 측정하는 방법 중 생균수 측정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63. 채집된 식물플랑크톤의 표본을 현미경으로 관찰위해 임시로(수일∼수개월) 보관하기에 가장 적절한 용액은?
64. 생태조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제일 먼저 선행되어야 할 단계로 옳은 것은?
65. 물질생산력(productivity)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66. 다음 중 출현 종의 수도를 고려하여 군집 유사도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67. 생태조사는 조사의 목적과 대상에 따라 조사하는 빈도를 달리할 수 있다. 생물군집 및 생물상 조사는 1년에 계절별로 조사하는 것을 일반적인 원칙으로 삼고 있다. 생물의 종류에 따른 조사 시기의 선정과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68. 동물의 표본 추출에서 단위면적의 밀도지수(index of density)를 측정하기 위한 간접조사 방법이 아닌 것은?
69. 일반적인 국지(local)생태계 조사에서 중요한 대기환경 조사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0. 산림생태계의 먹이연쇄의 예로 적당치 않은 것은?
71. 식물의 식생 조사시 흔히 이용하는 Braun-Blanquet의 피도계급은 7계급으로 구분된다. 다음 중 이 계급을 판정하는 기준으로 설정이 잘못된 것은?
72. 다음 표는 중부지방의 초원지대의 생태계에 있어서의 Kcal/m2/1년으로 나타낸 연간 생산량과 호흡량이다. 이 초원지대의 군집순생산량의 값은?
73. 야생동물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서식지 구성요소가 매우 중요하다. 서식지의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74. 산의 경사가 급한 산림지역에서 선조사법(line transect census method)으로 조류군집조사를 할 때 주로 좌우의 한쪽 폭은 얼마인가?
75. 우리나라에서 생태계 위해 외래 종으로 분류되는 동물은?
76. 다음 중 순생산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방법은?
77. 다음 중 조류의 번식단계로 가장 적당한 것은?
78. 다음 중 선차단법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79. 다음 중 육상생태계에서 인(P)의 순환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80. 식물군락의 조사측정 값 중 피도(coverage)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