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9-04)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2005-09-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환경생태학개론

1. 두 생물종 사이에 주로 일어나는 상호작용이 아닌 것은?

  1. 상리공생
  2. 경쟁
  3. 원시협동
  4. 교란
(정답률: 알수없음)
  • 교란은 두 생물종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 중 하나로, 한 생물종이 다른 생물종에게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상리공생, 경쟁, 원시협동은 서로 협력하거나 경쟁하면서 상호작용을 하지만, 교란은 그와 달리 다른 생물종에게 해를 끼치는 것이므로 주로 일어나지 않는 상호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천이의 초기에 나타나는 선구종(pioneer species) 초본류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종자는 일반적으로 작고 생산량이 많다.
  2. 종자수명이 길고 성장이 빠르다.
  3. 종자의 비산거리가 짧다.
  4. 나지가 생겼을 때 우점종이 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본류는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 먼저 자라는 식물로, 생존에 적응한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종자의 비산거리가 짧다"는 특징은 오히려 다른 보기들과는 반대되는 특징입니다. 이는 초본류가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 자라기 때문에, 적은 양의 자원으로도 번식이 가능하도록 짧은 거리에서 번식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종자의 비산거리가 짧다"는 초본류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생태계 내 종 및 개체군 사이의 상호작용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중립 - 상호관계는 서로에게 영향 없음
  2. 편해공생 - 상호관계는 서로에게 해를 끼침
  3. 기생 - 어느 한 쪽에게는 유익하며 다른 한쪽에게는 영향이 없음
  4. 경쟁 - 각각의 종과 종 사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자원이용에 방해받지 않음
(정답률: 알수없음)
  • - 중립: 상호관계는 서로에게 영향이 없음
    - 예시: 토끼와 나무 사이의 관계. 토끼는 나무를 이용하지 않고, 나무는 토끼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사계절이 뚜렷한 육상생태계는?

  1. 타이가와 침엽수림
  2. 지중해성 관목지대
  3. 온대 낙엽수림
  4. 툰드라 지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온대 낙엽수림

    이유: 온대 낙엽수림은 사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지역에 분포하며, 봄에는 새싹이 돋아나고 여름에는 무성한 잎사귀가 자라고 가을에는 잎사귀가 노랗게 변하며 떨어지고 겨울에는 나무가 휴면 상태에 들어가는 등 사계절의 변화에 따라 생태계가 변화한다. 따라서 온대 낙엽수림은 사계절이 뚜렷한 육상생태계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어떤 환경조건의 지표가 되는 생물을 의미하는 것은?

  1. 대표종
  2. 구성종
  3. 지표종
  4. 서식종
(정답률: 알수없음)
  • 지표종은 특정한 환경조건에서 가장 잘 적응하고 번식하는 생물로서, 그 환경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종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생물의 역할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지표종은 환경과의 관계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세계적으로 만든 시기와 가장 빠른 생태공원은?

  1. 영국 런던 월리암 커티스 생태공원
  2. 일본 동경항 야조생태공원
  3. 일본 동경도 노가와 생태공원
  4. 영국 런던 길리스파이 생태공원
(정답률: 알수없음)
  • "영국 런던 월리암 커티스 생태공원"은 2000년에 개장되어 세계적으로 만든 시기이며, 가장 빠른 생태공원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는 생태계의 복원과 보존, 교육 및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생물종과 생태계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며 생태계와 인간의 공존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군집이 인간이나 또는 가축에 의하여 안정이 유지되는 극상은?

  1. 파괴극상
  2. 기후극상
  3. 토지극상
  4. 방해극상
(정답률: 알수없음)
  • 군집이 인간이나 가축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정답은 "방해극상"이다. 다른 보기들은 군집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인들이다. "파괴극상"은 화재,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군집 파괴를 의미하며, "기후극상"은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의미한다. "토지극상"은 토지 이용과 관련된 문제로 인한 군집 안정성 저하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호수에서 저층수가 상층부까지 영양염이 풍부한 물을 혼합시키는 시기는?

  1. 봄, 겨울
  2. 여름, 가을
  3. 봄, 가을
  4. 여름, 겨울
(정답률: 알수없음)
  • 봄과 가을은 수온이 일정하고, 바람도 약하며, 강수량도 많아서 호수에서 저층수와 상층수가 잘 혼합되는 시기입니다. 이때 영양염이 풍부한 저층수가 상층부까지 혼합되면서 호수 전체의 영양염 농도가 균일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봄과 가을은 호수에서 생태계에 중요한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부영양화를 저감하는 실질적이고 직접적인 대책을 포함하고 있는 것들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A
  2. A, B
  3. A, B, C
  4. A, B, C,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 B"입니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부영양화를 저감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물의 적정한 관리와 토양 보호입니다.

    A. 물의 적정한 관리: 물의 적정한 관리는 물의 양과 질을 유지하고 개선하여 부영양화를 예방하는 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농업용 수로, 배수로, 저수지 등을 적절하게 관리하고, 농작물의 수분 요구량에 맞게 관수를 실시하며, 농지 주변의 하천, 호소 등에서 유입되는 오염원을 차단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B. 토양 보호: 토양 보호는 토양의 흙날림, 침식, 산화 등을 예방하여 부영양화를 막는 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토양의 구조 개선, 토양 피복재 심기, 경사지 보호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C. 환경 친화적 농업 기술: 환경 친화적 농업 기술은 농업 생산성을 유지하면서도 부영양화를 예방하는 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유기농 농업, 작물 회전, 비료의 적정 사용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D. 환경 규제: 환경 규제는 부영양화를 막기 위한 법적인 조치입니다. 이를 위해 농업 환경 관리법 등의 법률을 제정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규제하고, 위반 시 처벌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환경 규제는 실질적인 대책으로서는 한계가 있으며, 환경 친화적 농업 기술은 효과가 있지만 적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의 적정한 관리와 토양 보호는 부영양화를 예방하는 가장 실질적이고 직접적인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구정상회의 중 생물다양성협약, 기후변화협약, 사막화 선언 등이 체결된 회의는?

  1. 1972년 스웨덴 스톡홀롬의 유엔인간환경회의
  2. 1991년 오스트리아 비엔나의 세계인권회의
  3. 1992년 브라질 리우의 지구정상회의
  4. 2002년 남아공 오하네스버그의 지구정상회의
(정답률: 알수없음)
  • 1992년 브라질 리우의 지구정상회의는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 등 지구 환경 문제를 다루는 국제회의로, 생물다양성협약과 기후변화협약 등의 중요한 국제협약이 체결되었다. 또한 사막화 선언 등도 발표되어 환경보호와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광합성을 위해 주로 필요로 하는 미량원소가 아닌 것은?

  1. Mn(망간)
  2. Fe(철)
  3. Zn(아연)
  4. B(붕소)
(정답률: 알수없음)
  • 광합성을 위해 주로 필요로 하는 미량원소는 망간, 철, 아연이며, 이들은 광합성 과정에서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붕소는 광합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광합성과는 관련이 없는 미량원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B(붕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온실효과로서 생물권 전체의 온도상승을 가져오는 가장 높은 원인이 되는 오염물질은?

  1. 이산화탄소
  2. 황산화물
  3. 질소산화물
  4. 탄화수소
(정답률: 알수없음)
  •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에서 가장 많은 온실가스이며, 인간 활동으로 인해 대량으로 배출됩니다. 이산화탄소는 태양에서 온 열을 지구로 돌려보내는 역할을 하는데, 이 역할이 과도하게 이루어지면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여 온실효과를 유발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는 생물권 전체의 온도상승을 가져오는 가장 높은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생태계 군집이 나나내는 속성이 아는 것은?

  1. 생활형
  2. 종조성 및 다양성
  3. 층위구조
  4. 먹이사슬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계 군집이 나타내는 속성 중 "생활형"은 생물들이 서로 다른 생활 방식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즉, 서로 다른 종들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자원을 이용하고 생활하며, 이를 통해 생태계 전체가 더욱 다양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생활형의 다양성은 생태계의 종조성 및 다양성과 층위구조, 먹이사슬 등과 함께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습지에서 외래종을 물리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수작업에 의한 제거 - 과도하게 성장한 식물을 직접 뽑아 낸다.
  2. 기계작업 - 시간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습지 생태계에 주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3. 서식처 환경 변화 - 퇴적물을 제거한다.
  4. 서식처 환경 변화 - 수위조절은 습지의 서식환경을 조절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작업 - 시간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습지 생태계에 주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기계작업은 시간소모가 적지만 습지 생태계에 충격을 줄 수 있으므로 최소화하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생태계에 미치는 장기적 스트레스의 공통적인 영향을 모두 포함하는 것은?

  1. A
  2. A, B
  3. A, B, C
  4. A, B, C,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 B, C"입니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생태계에 장기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생물들의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미치고, 생태계의 생산성과 안정성을 감소시키며, 종 다양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영향은 모두 A, B, C에 해당합니다. D는 "생태계의 크기를 줄이는 것"으로, 위에서 언급한 영향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호수에서의 천이과정을 올바른 것은?

  1. 빈영양호 - 습원 - 부영양호 - 초원 - 음수림 - 양수림
  2. 빈영양호 - 부영양호 - 습원 - 초원 - 양수림 - 음수림
  3. 부영양호 - 습원 - 빈영양호 - 초원 - 양수림 - 음수림
  4. 습원 - 선태류 - 초원 - 음수림 - 양수림
(정답률: 알수없음)
  • 호수에서의 천이과정은 일반적으로 물에서 식물이 자라는 습지에서 시작하여, 부영양호, 빈영양호, 습원, 초원, 양수림, 음수림 순으로 진행됩니다. 이는 물에서 식물이 자라는 습지에서 물이 증발하면서 영양분이 축적되어 부영양호가 형성되고, 이후 물이 더욱 증발하여 빈영양호가 형성됩니다. 이후 습지에서는 습원이 형성되고, 이어서 초원이 형성됩니다. 초원에서는 식물이 자라면서 양수림이 형성되고, 이후 물이 더욱 증발하여 음수림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빈영양호 - 부영양호 - 습원 - 초원 - 양수림 - 음수림"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미나마따병은 어떤 물질에 오염된 식품을 장기간에 걸쳐 식용했을 때 발생하는가?

  1. 수은
  2. 카드뮴
  3. DDT
  4. BHC
(정답률: 알수없음)
  • 미나마따병은 수은에 오염된 식품을 장기간에 걸쳐 섭취함으로써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수은은 식물이나 물에서 흡수되어 식품에 오염될 수 있으며, 인체에 침투하여 중추신경계를 손상시키는 등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은 오염에 대한 예방과 대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정수상태계(Standing water eco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기물질의 유입이 많은 것을 부영양호라 한다.
  2. 호소와 연못과 같이 물의 흐름이 없이 정체된 수생태계이다.
  3. 가장자리의 얕은 지역으로 햇빛이 바닥까지 유입되어 정수식물 등이 자랄 수 있는 구간을 연안대 라고 한다.
  4. 햇빛이 전혀 유입되지 않아 광합성이 불가능하며, 침전되는 유기물 잔재를 먹이로 하거나 다른 소비자를 먹이로 취하는 구간을 조광대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햇빛이 전혀 유입되지 않아 광합성이 불가능하며, 침전되는 유기물 잔재를 먹이로 하거나 다른 소비자를 먹이로 취하는 구간을 조광대라고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정수상태계는 햇빛이 전혀 유입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일부 지역에서는 햇빛이 바닥까지 유입되어 정수식물 등이 자랄 수 있는 구간이 있다. 이러한 지역을 연안대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에서 설명하는 습지 식물은?

  1. 갈대
  2. 좀개구리밥
  3. 수련
  4. 마름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습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식물들 중 하나인 갈대를 나타낸다. 갈대는 물가나 습지에서 자라며, 높이가 매우 높아서 자연에서는 자주 풍경을 이루는 식물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하천의 침수식생(submerged vegetation)의 주요 구성종이 아닌 식물은?

  1. 물질경이
  2. 말즘
  3. 검정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줄"입니다.

    "물질경이"와 "말즘"은 하천의 침수식생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식물종으로, 물질경이는 물속에서 자라는 초록색의 잎을 가진 식물이며, 말즘은 물속에서 자라는 풀로서 뿌리가 물속 바닥에 박히지 않고 떠다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검정말"은 물속에서 자라는 대표적인 식물종 중 하나이지만, "줄"과는 달리 하천의 침수식생을 구성하는 주요 종으로는 꼽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환경학개론

21. 우리나라 자연환경보전체계에 기초하여 지정된 보호구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생물권보전지역
  2. 생태계보전지역
  3. 천연보호구역
  4. 조수보호구역
(정답률: 알수없음)
  • 생물권보전지역은 우리나라의 자연환경보전체계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인 생태계보전지역, 천연보호구역, 조수보호구역은 모두 우리나라의 자연환경보전체계에서 지정된 보호구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가장 이상적인 개발 형태는?

  1. 지역 생태계의 환경용량을 충분히 파악한 후 용량 내에서의 개발
  2. 개발가능지역을 적극적으로 개발
  3. 인간편의 위주의 개발 추진
  4. 향후 인구증가를 대비하여 도시기반시설을 우선적으로 공급함
(정답률: 알수없음)
  •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서는 지역 생태계의 환경용량을 충분히 파악하여 그 용량 내에서만 개발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는 지역 생태계를 보호하고 유지하면서도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인간의 편의나 인구증가 등을 우선시하는 것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이상적인 형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저수지나 하천에 도입하는 부도(식생성)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어류 산란장이나 조류 서식처 등의 효과가 있다.
  2. 자연경관 조성이나 수질 정화 등의 효과가 있다.
  3. 부도의 기본구조는 부체, 식생, 식재기반으로 구성된다.
  4. 부도는 유지관리가 중요하므로 가능하면 호안과 인집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도는 유지관리가 중요하므로 가능하면 호안과 인집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가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부도의 효과나 구성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보기는 부도의 설치 방법과 유지관리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토지환경성평가에 부합되지 않는 것은?

  1. 토지가 지닌 물리적ㆍ환경적 가치를 평가하는 것
  2. 환경계획 및 환경영향평가의 한 과정
  3. 개발시 시설의 최대용량 투입을 위한 핵심 과정
  4. 토지의 환경적 능력을 일련의 등급으로 표현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발시 시설의 최대용량 투입을 위한 핵심 과정"은 토지환경성평가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토지환경성평가는 토지가 지닌 물리적ㆍ환경적 가치를 평가하고, 환경계획 및 환경영향평가의 한 과정으로서 토지의 환경적 능력을 일련의 등급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개발시 시설의 최대용량 투입을 위한 핵심 과정"은 토지환경성평가에 부합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공원녹지등의 오픈스페이스 배치기법 중 띠의 형태를 가진 것들이 핵을 둘러싸도록하는 배치 유형은?

  1. 결절형
  2. 위요형
  3. 중첩형
  4. 관통형
(정답률: 알수없음)
  • 위요형은 띠 모양의 공간을 핵을 중심으로 배치하는 기법으로, 핵을 둘러싸는 띠 모양의 공간은 산책로나 자전거 도로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공원이나 녹지 등의 오픈스페이스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위요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대기에서 산성비를 초래하는 물질은?

  1. 일산화탄소
  2. 아황산가스의 산화물
  3. 질소산화물
  4. 탄화수소
(정답률: 알수없음)
  • 산성비는 대기 중에 산성 물질이 포함되어 비가 내리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아황산가스의 산화물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아황산가스(SO2)가 산화되어 생성되는 황산(H2SO4)과 황산수소(H2SO3)입니다. 이들 물질은 대기 중에서 높은 농도로 존재하면서 산성비를 초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황산가스의 산화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시민참여 유형은?

  1. 회유(placation)
  2. 상담/자유(consulting)
  3. 제휴/협력(partnership)
  4. 조종/경작(Manipul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제휴/협력(partnership) 유형은 시민과 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유형으로, 시민들과 함께 일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 유형은 시민들과의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존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하천의 그린 네트워크화를 위한 노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천, 수로, 용수지를 정비할 때 주변지역의 특성에 맞는 자연요소를 이용한다.
  2. 하천의 정비시 이수와 치수의 기능에 중점을 두어 가능한 견고한 콘크리트 소재를 이용한다.
  3. 댐과 보를 설치할 때는 서식하는 생물의 이동을 배려해야 한다.
  4. 하천의 고수부지는 야생동물의 이동통로로 활용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의 정비시 이수와 치수의 기능에 중점을 두어 가능한 견고한 콘크리트 소재를 이용한다."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하천은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자원이기 때문에, 하천의 정비시에는 가능한 자연적인 방식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콘크리트와 같은 인공적인 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하천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능한 자연적인 소재를 사용하거나, 적절한 보호대책을 마련하여 생태계를 보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지구환경문제의 국제적 동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Basel 협약이란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이동과 처리의 규제에 관한 협약이다.
  2. 의제 21이란 21세기 지구환경보전을 위한 행동계획이다.
  3. 오존층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에는 비엔나협약과 헬싱키 의정서가 있다.
  4. 리우선언은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향하는 선언적 규범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존층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에는 비엔나협약과 헬싱키 의정서가 없다. 올바른 설명은 "오존층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에는 몬트리올 프로토콜과 그 이후의 수정안들이 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재생가능한 자원의 폐기
  2. 재생불가능한 자원의 대체
  3. 환경용량의 준수
  4. 비가역적 유해물질의 회피
(정답률: 알수없음)
  • 재생가능한 자원의 폐기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재생가능한 자원이라도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준에서는 재생가능한 자원의 대체와 환경용량의 준수, 그리고 비가역적 유해물질의 회피가 중요하게 고려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생태도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안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물질의 순환 이용
  2. 도시녹지의 생태적 기능 강화
  3. 포장률 제고에 따른 유출률 증가
  4. 에너지 절약형 건물 및 도시기온 완화
(정답률: 알수없음)
  • "포장률 제고에 따른 유출률 증가"는 생태도시 계획을 수립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방안입니다. 포장률 제고는 도시 내 포장된 지표면의 비율을 줄이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비포장 지역의 증가와 함께 지표면의 투수성을 높여 유출률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생태도시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는 유출률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에서 규정한 한반도 자연생태 네트워크의 3대 핵심 생태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백두대간 자연생태축
  2. 도서 연안 자연생태축
  3. 4대 강 수변 자연생태축
  4. 비무장지대자연생태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4대 강 수변 자연생태축"

    이유: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에서 규정한 한반도 자연생태 네트워크의 3대 핵심 생태축은 "백두대간 자연생태축", "도서 연안 자연생태축", "비무장지대자연생태축" 이며, "4대 강 수변 자연생태축"은 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4대 강은 한반도의 대표적인 강들로서 중요한 생태계를 형성하지만,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에서는 이를 핵심 생태축으로 규정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환경영향평가(EIA)과정의 일부 중 순서가 맞는 것은?

  1. Screening -대안선정 -Scoping -현황조사 -예측 및 평가 -저감방안설정 -대안평가 -평가서 작성
  2. 대안선정 -Screening -현황조사 -Scoping -예측 및 평가 -저감방안설정 -대안평가 -평가서 작성
  3. Scoping -대안선정 -Screening -현황조사 -예측 및 평가 -저감방안설정 -대안평가 -평가서 작성
  4. 대안선정 -Screening -Scoping -현황조사 -예측 및 평가 -저감방안설정 -대안평가 -평가서 작성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영향평가(EIA)과정의 일부 중 순서가 맞는 것은 "Screening -대안선정 -Scoping -현황조사 -예측 및 평가 -저감방안설정 -대안평가 -평가서 작성"입니다. 이는 EIA 과정에서 첫 번째로 필요한 것은 Screening으로, 이후 대안선정, Scoping, 현황조사, 예측 및 평가, 저감방안설정, 대안평가, 평가서 작성 순서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산림에서 생물다양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아닌 것은?

  1. 군집수준의 단위보다 종과 개체군의 단위에서 보전하도록 한다.
  2. 노쇠한 숲의 경우 가급적 자연적인 교란을 유지시킴으로서 새로운 종의 이입을 촉진한다.
  3. 새로 좋아하는 나무를 촉진한다.
  4. 교란의 흔적이 적은 숲은 보전가치가 있는 지역으로 선정 관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새로 좋아하는 나무를 촉진한다."입니다.

    산림에서 생물다양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는 다양한 종의 식생을 유지하고, 교란을 유지하여 새로운 종의 이입을 촉진하고, 생태계의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새로 좋아하는 나무를 촉진한다."는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방안이 아닙니다. 이는 특정 나무 종을 선호하는 것으로, 다른 종들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군집수준의 단위보다 종과 개체군의 단위에서 보전하도록 한다."가 올바른 답입니다. 이는 각각의 종과 개체군을 보호하고, 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생태계를 형성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생식물의 분류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부유식물 : 물 위에 자유롭게 떠서 사는 식물
  2. 부엽식물 : 뿌리를 수중에 내리고 잎을 수면에 띄우는 식물
  3. 침수식물 : 뿌리를 토양에 내리고 물 속에서 생육하는 식물
  4. 정수식물 : 뿌리를 토양에 내리고 줄기를 물 위로 내놓아 대기 중에 잎을 펼치는 식물
(정답률: 알수없음)
  • 부엽식물은 뿌리를 수중에 내리고 잎을 수면에 띄우는 식물이 아니라 뿌리와 잎 모두를 물 속에 가라앉혀서 생육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수생식물의 분류로 적절하지 못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환경용량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인간-환경시스템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에 필요한 환경측의 조건
  2. 자연의 정화능력
  3. 자연의 환원ㆍ동화능력
  4. 특정지역에 생존할 수 있는 생물의 수
(정답률: 알수없음)
  • "인간-환경시스템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에 필요한 환경측의 조건"이 잘못된 설명입니다. 환경용량은 특정 지역에서 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최대 인원 수를 의미합니다. 인간-환경시스템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이 환경용량을 고려하여 자원을 관리하고 환경을 보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각국의 환경영향평가제도 중 평가서의 작성 주체가 올바른 것은?

  1. 한국(사업자) / 미국(사업자ㆍ연방정부) / 일본(정부) / 독일(주정부ㆍ사업자)
  2. 한국(사업자) / 미국(연방정부) / 일본(정부) / 독일(주정부ㆍ사업자)
  3. 한국(사업자) / 미국(사업자ㆍ연방정부) / 일본(사업자) / 독일(사업자)
  4. 한국(사업자) / 미국(연방정부) / 일본(사업자) / 독일(주정부ㆍ사업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한국(사업자) / 미국(연방정부) / 일본(사업자) / 독일(주정부ㆍ사업자)"입니다.

    한국의 경우,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주체는 사업자입니다. 이는 환경영향평가제도가 사업자의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경우,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주체는 연방정부입니다. 미국의 환경영향평가제도는 국가적인 범위에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의 경우,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주체는 사업자입니다. 하지만, 일본의 경우 정부가 강력한 규제를 통해 사업자의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독일의 경우,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주체는 주정부와 사업자 모두입니다. 독일의 환경영향평가제도는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주정부와 사업자가 함께 협력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미국 환경심의위원회에서 정의하고 있는 미티게이션(Mitigation)이라는 환경보전 조치와 카테고리에 들지 않는 것은?

  1. 회피
  2. 저감
  3. 대체
  4. 복구
(정답률: 알수없음)
  • 미티게이션은 환경파괴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말하는데, 이 중 "복구"는 이미 파괴된 환경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기 때문에 미티게이션 카테고리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국자연환경보전계획의 수립 주기로 맞는 것은?

  1. 3년
  2. 5년
  3. 10년
  4. 20년
(정답률: 알수없음)
  • 전국자연환경보전계획은 국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 수립되는 계획으로, 일정한 주기로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이 주기는 일반적으로 자연환경의 변화와 정책의 변화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전국자연환경보전계획의 수립 주기는 10년으로 결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자연환경의 변화와 정책의 변화를 고려하여 적절한 주기로, 일정한 시간마다 계획을 업데이트하여 보전 및 관리를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산업입지 및 산업단지의 조성시 환경영향평가 대상이 되는 기분은?

  1. 10만m2 이상
  2. 15만m2 이상
  3. 20만m2 이상
  4. 25만m2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입지 및 산업단지의 조성은 대규모 건설과 활동으로 인해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해 환경영향평가가 필요합니다. 이 때, 대상 면적이 클수록 영향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15만m2 이상의 면적을 기준으로 대상으로 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태복원공학

41. 한국산 양서류 중 개구리의 생태적 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봄에는 번식을 하기 위해 산란정소인 수역으로 이동
  2. 여름에는 먹이를 찾거나 은신하기 위해 그늘진 곳이나 먹이가 풍부한 장소로 옮김
  3. 개구리류는 파충류나 대형조류의 먹이원이므로 개체수 증가나 서식처 복원은 먹이사슬을 다양하게 함
  4. 가을에는 동면을 위해 먹이가 풍부한 장소로 이동하고, 동면장소를 확보함
(정답률: 알수없음)
  • "개구리류는 파충류나 대형조류의 먹이원이므로 개체수 증가나 서식처 복원은 먹이사슬을 다양하게 함"이 잘못된 설명입니다.

    가을에는 개구리들이 동면을 위해 먹이가 풍부한 장소로 이동하고, 동면장소를 확보합니다. 이는 겨울철에 생존을 위한 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습지의 계속적인 훼손을 중단시키고 습지를 보전하기 위한 국제적인 동의는?

  1. 기후변화 협약
  2. 람사협약
  3. 생물다양성 협약
  4. 아젠다 21
(정답률: 알수없음)
  • 습지 보전을 위한 국제적인 동의는 "람사협약"입니다. 람사협약은 습지 보전을 위한 국제적인 협약으로, 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습지의 생태계를 보호하고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암석지 녹화용 식물소재지로 가장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돌나물
  2. 기린초
  3. 부들
  4. 땅채송화
(정답률: 알수없음)
  • 부들은 암석지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 식물로, 다른 보기들에 비해 적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복원대상지 현황조사에서 발견된 수목의 높이를 측정하고자 한다. 다음 그림과 같이 1m 막대자와 삼각법을 이용하여 나무의 높이를 계산할 때, 이 나무의 높이는? (단, 측정자 눈높이는 1.6m 이다.)

  1. 51.0m
  2. 51.6m
  3. 52.6m
  4. 53.0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삼각형 ABC에서 AB는 1m 막대자의 길이, BC는 나무의 높이, AC는 삼각법으로 측정한 나무의 기울기 각도에 대응하는 길이이다.

    그리고 삼각형 ADE에서 AD는 측정자의 눈높이, DE는 삼각법으로 측정한 나무의 기울기 각도에 대응하는 길이이다.

    이때, 삼각형 ABC와 삼각형 ADE는 유사한 삼각형이므로,

    BC/AB = DE/AD

    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BC = AB × (DE/AD)

    여기서 AB는 1m이고, AD는 1.6m이므로,

    DE = AC × (AD/AB)

    여기서 AC는 삼각법으로 측정한 나무의 기울기 각도에 대응하는 길이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삼각형에서 AC의 길이는 50m이고, 기울기 각도는 60도이므로,

    AC = 50 × cos(60) = 25m

    따라서,

    DE = 25 × (1.6/1) = 40m

    따라서,

    BC = 1 × (40/1.6) = 25m

    나무의 높이는 BC + AD = 25 + 1.6 = 26.6m이다.

    하지만, 측정자의 눈높이가 1.6m이므로, 실제 나무의 높이는 26.6 - 1.6 = 25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나무의 높이이므로, 따라서 정답은 25m에 삼각법으로 측정한 나무의 기울기 각도에 대응하는 길이를 더한 25 + 27.6 = 52.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비탈면 녹화공업 중 인력시공이 아닌 것은?

  1. 줄떼심기
  2. 포트묘 심기
  3. 볏짚거적덮기
  4. 종자기계분사파종
(정답률: 알수없음)
  • 비탈면 녹화공업은 농작물 생산에 필요한 작업들을 자동화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종자기계분사파종"은 이러한 기술 중 하나로, 자동화된 기계를 사용하여 씨앗을 정확하게 분사하고 파종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종자기계분사파종"은 인력시공이 아닌 비탈면 녹화공업의 기술 중 하나입니다. 반면에 "줄떼심기", "포트묘 심기", "볏짚거적덮기"는 모두 인력시공에 의존하는 작업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복원생태학의 이론 중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이론은?

  1. UNESCO MAB 이론
  2. 침입이론
  3. 산림지리생태이론
  4. 천이이론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UNESCO MAB 이론에서 제시하는 생태계의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UNESCO MAB 이론은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이론으로, 생태계의 보전과 복원을 중요시하며 인간의 개입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생태계의 구성요소인 생물, 생물군집, 생태계, 생태계 경계, 인간 활동 등이 나타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생물이 어느 서식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옮겨가는 것을 생물의 이동이라 한다. 다음 중 동물이 이동하는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부적합한 환경을 회피하기 위하여
  2. 번식을 위하여
  3. 개체군의 분산을 위하여
  4. 생활사를 마감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생물의 이동은 주로 생존과 번식을 위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생활사를 마감하기 위하여"는 동물의 이동 목적으로 볼 수 없다. 이는 인간의 행동과 관련된 것으로, 동물의 행동과는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공사 내에서 각종 세부공사의 시공에 대한 우선순위의 결정이나 가설재료, 가설도로, 기계가구와 작업인부 등의 배치계획과 같은 작업계획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시공계획
  2. 공정계획
  3. 세부계획
  4. 모니터링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시공계획은 공사 현장에서 각종 세부공사의 시공에 대한 우선순위의 결정이나 가설재료, 가설도로, 기계가구와 작업인부 등의 배치계획과 같은 작업계획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시공계획은 공사의 전반적인 진행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공정계획은 생산라인에서 각 공정의 순서와 시간을 계획하는 것이며, 세부계획은 시공계획에서 세부적인 작업을 계획하는 것입니다. 모니터링계획은 공사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계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어떤 초본으로 훼손지를 복원하려고 하는데 이때 종자의 순도가 100%, 발아율이 90%, 보정율이 1, 평균립수가 500립/g이며 발생기대본수가 540본/m2이라면 파종량은?

  1. 0.9g/m2
  2. 1.2g/m2
  3. 1.5g/m2
  4. 1.8g/m2
(정답률: 알수없음)
  • 파종량 = (평균립수 × 발생기대본수 × 보정율) ÷ (종자의 순도 × 발아율)

    파종량 = (500 × 540 × 1) ÷ (100 × 0.9) = 30000 ÷ 90 = 333.33(g/m2)

    하지만 보정율이 1이므로 실제 파종량은 333.33(g/m2) × 1 = 333.33(g/m2) 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1.2g/m2" 이므로 정답은 "1.2g/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비탈면의 토질과 식물의 생육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사질토 지역은 보수성이 낮아서 지표면의 건조로 인한 생육불량이 되기 쉽다.
  2. 마사토 지역은 보비성이 낮아서 도입식물의 쇠퇴가 조기에 나타나기 쉽다.
  3. 연암지역은 수분과 양분의 보유력이 높아서 식물의 생육이 양호하다.
  4. 경암지역은 근계의 침입이 곤란하여 식물의 생육도 불량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경암지역은 근계의 침입이 곤란하여 식물의 생육도 불량하다."이다.

    연암지역은 수분과 양분의 보유력이 높아서 식물의 생육이 양호하다는 것은 지형적인 특성으로 인해 지하수가 풍부하고 토양이 비교적 풍부하기 때문이다.

    사질토 지역은 보수성이 낮아서 지표면의 건조로 인한 생육불량이 되기 쉽다는 것은 토양이 건조하기 때문에 식물이 생육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마사토 지역은 보비성이 낮아서 도입식물의 쇠퇴가 조기에 나타나기 쉽다는 것은 토양이 빠르게 수분을 잃어 식물이 쉽게 말라 죽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경암지역은 근계의 침입이 곤란하여 식물의 생육도 불량하다."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경암지역은 지형적으로 근계가 많아서 식물이 자라기 어렵지만, 이는 근계의 침입이 곤란하기 때문이 아니라 지표면이 얇고 토양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칼륨의 과도한 시비로 유발될 수 있는 결핍증상은?

  1. 철 결핍증
  2. 나트륨 결핍증
  3. 칼슘 결핍증
  4. 마그네슘 결핍증
(정답률: 알수없음)
  • 칼륨의 과도한 시비는 마그네슘 결핍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칼륨과 마그네슘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칼륨의 과다한 섭취로 인해 마그네슘의 흡수가 감소하고 배출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마그네슘은 신경계, 근육, 심장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결핍증이 발생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토적계산표에서 BP에서 No2까지의 토적은 얼마인가? (단, 양단면적평균법을 사용한다.)

  1. 60m3
  2. 80m3
  3. 100m3
  4. 120m3
(정답률: 알수없음)
  • 양단면적평균법을 사용하면, BP와 No2 사이의 토적은 (BP면적 + No2면적) / 2 x BP와 No2 사이의 거리가 된다. 따라서, BP와 No2 사이의 거리는 10m이므로, (BP면적 + No2면적) / 2 x 10m = (20m2 + 180m2) / 2 x 10m = 100m3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옥상녹화의 효과 및 이점 중 기술적 이점이 아닌 것은?

  1. 소음차단 효과
  2. 대기정화기능
  3. 방풍 효과
  4. 냉ㆍ난방비 절감
(정답률: 알수없음)
  • 옥상녹화는 건물의 온도를 낮추고, 대기를 정화하며, 소음을 차단하고, 방풍 효과를 가져옵니다. 하지만 냉ㆍ난방비를 절감하는 것은 기술적인 이점이 아니라, 옥상녹화로 인해 건물 내부 온도가 낮아져서 에어컨이나 히터를 덜 사용하게 되어 발생하는 경제적인 이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콘테이너 재배수목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활착률이 높고 식재시기를 가리지 않는다.
  2. 이식이 곤란한 수종도 이식할 수 있다.
  3. 장기간에 걸친 완성형의 녹화가 가능하다.
  4. 이식후의 생육이 지연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테이너 재배수목은 이식이 용이하고 생육이 지연되지 않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장기간에 걸친 완성형의 녹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장점이 아닙니다. 완성형의 녹화는 수목이 자연에서 자라는 것과 같은 모습을 보이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콘테이너 재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친 완성형의 녹화가 가능하다."는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토양의 물리적 성질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보수력
  2. 투수계수
  3. 공극
  4. 보비력
(정답률: 알수없음)
  • 보비력은 토양의 입체 구조와 관련된 성질이 아니라, 액체가 토양 내에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저항력을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에 토양의 물리적 성질과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방근층의 기능 및 시공시 주의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식물 뿌리로부터 방수층과 건물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2. 방수층이 시공시의 기계적, 물리적 충격으로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는 기능을 함께 가질 수도 있다.
  3. 식재계획과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재와 공법을 결정하여야 한다.
  4. 옥상녹화시스템의 침수로 인해 식물의 뿌리가 익사하는 것을 예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식재계획과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재와 공법을 결정하여야 한다."

    방근층은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식물 뿌리로부터 방수층과 건물을 보호하는 기능을 합니다. 또한 방수층이 시공시의 기계적, 물리적 충격으로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는 기능을 함께 가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옥상녹화시스템의 침수로 인해 식물의 뿌리가 익사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은 방근층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인 배수층의 역할입니다. 배수층은 침수된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식물의 뿌리가 침수되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따라서 옥상녹화시스템을 설치할 때는 식재계획과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재와 공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복원된 비탈면의 토양침식을 방지하고 반입토양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비탈면보호재료의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탈면 토양의 보습, 보온효과
  2. 외래 잡초의 침입 및 발아 유도
  3. 지속적인 영양분 공급효과
  4. 토양 미생물의 발달촉진
(정답률: 알수없음)
  • "외래 잡초의 침입 및 발아 유도"는 비탈면보호재료의 효과가 아니라 부작용입니다. 외래 잡초가 침입하고 발아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비탈면보호재료를 선택할 때는 이러한 부작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배수면적 15,000m2인 지역에 강우강도 I=280/(√t+0.28)mm/hr, 유출계수 0.7, 유달시간 6분일 경우 유수량은?

  1. 약 0.43m3/sec
  2. 약 0.30m3/sec
  3. 약 1.37m3/sec
  4. 약 1.40m3/sec
(정답률: 알수없음)
  • 유출계수와 유달시간을 곱한 값인 0.7 x 6 = 4.2를 유량식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유수량은 다음과 같다.

    유수량 = 15,000 x 280/(√(4.2)+0.28) x 0.7
    ≈ 0.30m^3/sec

    따라서, 정답은 "약 0.30m^3/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생울타리를 조성하기 위해 도입되는 식물의 구비조건으로 접합하지 않은 것은?

  1. 잎과 가지가 외관상 아름다워야 함
  2. 낙엽수가 적합함
  3. 수분과 토양조건이 열악한 곳에서도 잘 자라야 함
  4. 재생력이 강해 전정하여도 가지에서 눈이 잘 나는 것이어야 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낙엽수가 적합함"

    설명: 생울타리는 겨울철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상록수보다는, 가을에 잎이 떨어지는 낙엽수가 적합합니다. 이는 생울타리가 겨울철에도 녹색으로 남아있으면서도, 가을에는 잎이 떨어져서 햇빛이 잘 들어오게 되어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낙엽수는 잎이 떨어지면서 토양에 영양분을 공급하므로, 생울타리가 잘 자라는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생울타리를 조성하기 위해 낙엽수가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비오톱(Biotop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오톱이란 독일어로 생명을 나타내는 “Bio”와 장소를 의미하는 “Top"의 합성어이다.
  2. 비오톱은 종다양성과 안정된 생태계를 갖는 서식환경의 기본 단위로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이동하는데 도움이 되는 소면적의 공간단위를 말한다.
  3. 비오톱은 생물상의 보전과 복원, 창조에 관한 것을 모두 포함한다.
  4. 우리 주위에서 볼 수 있는 열대어의 수조나 동물원등은 훌륭한 비오톱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 주위에서 볼 수 있는 열대어의 수조나 동물원등은 훌륭한 비오톱이다. - 이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열대어의 수조나 동물원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환경이므로 비오톱이 아닙니다. 비오톱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서식환경의 기본 단위이며,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이동하는데 도움이 되는 소면적의 공간단위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생태조사방법론

61. 생태조사용 표본추출에 있어서 추출한 표본 속의 원소가 다른 원소의 추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표본추출 방법은?

  1. 상위표본추출
  2. 하위표본추출
  3. 랜덤표본추출
  4. 반복표본추출
(정답률: 알수없음)
  • 랜덤표본추출은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추출된 표본 속의 원소가 다른 원소의 추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는 모집단의 모든 원소가 추출될 가능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랜덤표본추출은 생태조사와 같은 분야에서 표본추출에 가장 적합한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군집분류는 식생조사표의 자료를 한 표로 만든 원 자료표에서 종 사이 또는 식분 사이를 비교하는 표조작법(tabulation technique)으로 진행한다. 다음 표 표조작법의 4단계 순소를 알맞게 나열한 것은?

  1. A→B→C→D
  2. A→B→D→C
  3. A→D→C→B
  4. A→C→D→B
(정답률: 알수없음)
  • A단계: 종 또는 식분을 선택하여 표를 작성한다.
    B단계: 각 종 또는 식분의 출현 빈도를 계산한다.
    C단계: 종 또는 식분 간의 유사성을 측정하여 군집을 형성한다.
    D단계: 군집을 해석하고 결과를 분석한다.

    정답이 "A→D→C→B"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A단계에서는 종을 선택하여 표를 작성한다.
    - D단계에서는 군집을 해석하고 결과를 분석한다.
    - C단계에서는 종 간의 유사성을 측정하여 군집을 형성한다.
    - B단계에서는 각 종의 출현 빈도를 계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토양 미생물의 exo-cellulass, xylanse, phenol, oxidse, phosphatase 등과 같은 외분비/외막 효소 활성도를 측정하는 이유로 가능 타당한 것은?

  1. 유기물의 생성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2. 유기물의 분해 속도를 알기 위하여
  3. 미생물의, 총량을 알기 위하여
  4. 미생물의 총 개체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외분비/외막 효소 활성도는 토양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를 측정함으로써 유기물의 분해 속도를 알 수 있습니다. 유기물의 분해 속도를 알면, 토양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고, 비료의 효율적인 사용 등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1차 생산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주로 수중식물에 이용하는 것은?

  1. 수확법
  2. 엽록소 a 측정법
  3. CO2 측정법
  4. 상대생장법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중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생산한 엽록소 a를 이용하여 생산량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엽록소 a 측정법을 주로 이용합니다. 다른 방법들은 대부분 육지식물에 적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방형구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최소면적의 결정은 종-면적 곡선을 이용한다.
  2. 조사지역에 가장 보편적으로 출현하는 종이 모든 방형구의 80% 이상에서 나타나게 한다.
  3. 우점종의 높이를 한 변으로 하는 정방형을 방형구의 넓이로 할 수 있다.
  4. 가장 큰 종의 평균 구관면적을 방형구의 크기로 잡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큰 종의 평균 구관면적을 방형구의 크기로 잡는 것이 좋다는 것은 다른 종들의 크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인 크기를 파악하기 어렵고, 큰 종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되므로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적당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하계망의 분석은 하천의 생태계 연구에 필수적이며 조사 지점은 하천 차수(order)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다음의 그림에서 A, B, C, D 지점의 하천 차수를 순서대로 기입한 것은?

  1. A : 1차 - B : 2차 - C : 3차 - D : 4차
  2. A : 2차 - B : 2차 - C : 3차 - D : 4차
  3. A : 2차 - B : 3차 - C : 2차 - D : 4차
  4. A : 1차 - B : 2차 - C : 2차 - D : 4차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 차수란 하천이 유입되는 지점부터 하구로 향하는 방향으로 따라가면서 지나가는 지점의 수를 뜻한다. 따라서 A 지점은 2차, B 지점은 3차, C 지점은 2차, D 지점은 4차이다. 이유는 A 지점은 유입되는 지점에서 1번째, B 지점은 2번째, C 지점은 3번째, D 지점은 4번째 지나가는 지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A : 2차 - B : 3차 - C : 2차 - D : 4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태양에너지와 광합성 효율을 측정할 때 엽록소에서 전자의 이탈과 관계가 가장 깊은 에너지의 단위는?

  1. Lux
  2. W/m2
  3. μE/m2/sec
  4. cal/cm2/min
(정답률: 알수없음)
  • 태양에너지와 광합성 효율을 측정할 때는 광합성에서 엽록소에서 전자의 이탈과 관련된 광자의 양을 측정해야 합니다. 이 때 사용하는 에너지의 단위는 광자의 에너지를 나타내는데, 이는 μE/m2/sec로 표시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에너지의 단위이며, 광합성 효율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설치류 개체들간의 상대적인 행동권의 크기를 추정 및 비교하기 위해 사용해야 할 덫(trap)의 종류는?

  1. 핏 홀 트랩(pit hall trap)
  2. 스냅 트랩(snap trap)
  3. 펀치 트랩(punch trop)
  4. 라이브 트랩(live trop)
(정답률: 알수없음)
  • 라이브 트랩은 설치된 지역에서 생물을 살아있는 상태로 포획할 수 있는 덫으로, 다른 덫들은 생물을 죽인 상태로 포획한다. 따라서 설치된 지역에서 생물의 상대적인 행동권의 크기를 추정하고 비교하기 위해서는 생물을 살아있는 상태로 포획할 수 있는 라이브 트랩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생태천이의 진행에 따른 생태계 특성변화(Odum, 1971)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태계가 성숙단계에 이를수록 총생산/군집호흡(P/R ratio)의 비는 낮다.
  2. 생태계가 성숙단계에 이를수록 총생산량/현존생체량(P/B ratio)의 비는 낮다.
  3. 생태계가 성숙단계에 이를수록 총생산량/현존생체량(P/B ratio)의 비는 낮다.
  4. 생태계가 성숙단계에 이를수록 순군집생산량은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계가 성숙단계에 이를수록 총생산량/현존생체량(P/B ratio)의 비는 낮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생태천이의 진행에 따른 생태계 특성변화(Odum, 1971)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초기단계: 총생산량/군집호흡(P/R ratio)의 비가 낮고, 총생산량/현존생체량(P/B ratio)의 비가 높다.
    2. 중간단계: 총생산량/군집호흡(P/R ratio)의 비가 높아지고, 총생산량/현존생체량(P/B ratio)의 비는 낮아진다.
    3. 성숙단계: 총생산량/군집호흡(P/R ratio)의 비가 다시 낮아지고, 총생산량/현존생체량(P/B ratio)의 비도 낮아진다.

    따라서 "생태계가 성숙단계에 이를수록 총생산량/현존생체량(P/B ratio)의 비는 낮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이유는 성숙단계에서는 생산자의 생산량이 감소하고, 소비자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총생산량/현존생체량(P/B ratio)의 비가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어류 조사시 함정어구에 해당하는 것은?

  1. 족대
  2. hand net
  3. 소형통발
  4. 투망
(정답률: 알수없음)
  • 소형통발은 어류를 잡기 위해 사용되는 함정어구 중 하나입니다. 이는 작은 크기의 원통형 그물로 만들어져 있으며, 어류가 들어가면 빠져나오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어류 조사시 소형통발은 중요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 족대는 어류를 잡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이며, hand net은 손으로 어류를 잡는 그물을 말합니다. 투망은 어류를 잡기 위해 던지는 그물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토양환경 조사시 이용되는 토양표본 채토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채집된 상태의 신선한 토양 분석 결과시 기준(standard)이 되기에 분리하여 측정한다.
  2. 모든 토양은 랜덤(random)하게 임의의 지점에서 반복하여 채토한다.
  3. 토양은 토양오거(soil auger)로 채토하며, 물밑의 저질토는 채니기(採泥器)를 이용한다.
  4. 토양 표본은 튼튼한 플라스틱 주머니에 밀봉하여 저장하고 가능한 빨리 분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채집된 상태의 신선한 토양 분석 결과시 기준(standard)이 되기에 분리하여 측정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토양환경 조사에서는 토양의 오염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기준치와 비교하여 분석을 진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준이 되는 토양과 채집된 토양을 분리하여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큰 군집에서 임의(random)로 추출하지 않은 표본으로 종다양도 지수를 계산할 때 이용되는 값은?

  1. Shannon 지수
  2. Brillouin 지수
  3. 균등도 지수
  4. Sφrensen 지수
(정답률: 알수없음)
  • 큰 군집에서 임의로 추출하지 않은 표본으로 종다양도 지수를 계산할 때는 Brillouin 지수가 이용된다. 이는 Shannon 지수와 유사하지만, Shannon 지수는 모든 종이 동일한 개체 수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고 계산되는 반면, Brillouin 지수는 각 종의 개체 수가 다를 때도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Brillouin 지수는 보다 정확한 종다양도 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균등도 지수와 Sφrensen 지수는 다른 종다양도 지수이며,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생태학적 피라미드는 영양단계를 통한 에너지 흐름을 관찰하는데 도움이 된다. 오덤이 제안한 세 가지 유형의 피라미드가 아닌 것은?

  1. 개체 수
  2. 생물량
  3. 생산량
  4. 에너지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학적 피라미드는 개체 수, 생물량, 에너지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생산량은 특정 시간 동안 생산된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에너지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생태계 내에서 생물들이 생산하는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생산량은 생태학적 피라미드의 유형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환경의 영향을 생물의 반응을 통해서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지료생물이 지녀야 할 적합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환경변동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할 것
  2. 일반적인 환경변동에 대하여 특이적인 반응을 나타낼 것
  3. 환경변화와 생물의 반응과의 관계를 수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
  4. 장기간 계속 반응하여 환경변화의 적산적 효과를 평가할 수 있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인 환경변동에 대하여 특이적인 반응을 나타낼 것은 적합성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환경지료생물이 일반적인 환경변화에 대해 예측 가능한 반응을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이적인 반응은 환경지료생물의 반응을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어 환경변화와 생물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역 식생조사를 목적으로 할 경우 우선조사 항목은?

  1. 사전에 소속 또는 소관관리 사무소에 허가신청을 한다.
  2. 해당 지역에 대한 식생도 자료를 구한다.
  3. 일단 지도상에 구체적인 표본구를 선정한다.
  4. 가장 전형적인 군락의 주변부를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표본구를 선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역 식생조사를 목적으로 할 경우 우선조사 항목은 "해당 지역에 대한 식생도 자료를 구한다." 이다. 이유는 식생조사를 하기 전에 해당 지역의 식물상을 파악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어떤 식물들이 자연적으로 서식하고 있는지, 어떤 식물들이 흔하게 발견되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조사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따라서 식생도 자료를 구하는 것이 우선적인 조사 항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밀도를 조사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밀도는 단위 면적 또는 단위 부피 내의 개체수이다.
  2. 밀도는 각 방형구내에 뿌리내린 식물과 지상부에 있는 모든 식물의 수이다.
  3. 절대밀도는 실제 서식지 면적당 개체수로 나타낸다.
  4. 그루터기는 개체 수에 포함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밀도는 단위 면적 또는 단위 부피 내의 개체수이다. 이는 해당 공간 내에 얼마나 많은 개체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밀도를 조사하는 방법은 해당 공간 내의 면적 또는 부피를 측정하고, 그 안에 존재하는 개체의 수를 세는 것이다. 이를 통해 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Lotka-Voltera의 두 종간 경쟁모델은 다음과 같다. α와 β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α=0, β=0 이면 두 종은 중립이다.
  2. α≥β이면 경쟁에서 A종이 B종보다 유리하다.
  3. 생태적 지위가 겹칠수록 α+β 의 값은 증가한다.
  4. α≠β이면 α=0 일 때보다 A개체군의 증가가 완만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α≥β이면 경쟁에서 A종이 B종보다 유리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α≤β이면 경쟁에서 A종이 B종보다 유리하다."가 맞는 설명이다. α는 A종의 증가율을, β는 B종의 감소율을 나타내는데, α≤β이면 A종은 B종보다 적게 증가하거나 더 빠르게 감소하기 때문에 경쟁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α≤β일 때 B종이 우세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용존산소량(DO) 측정을 위한 종균접종의 주의사항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종균의 접종은 토양 현탁수 및 활성오니를 이용할 수 있다.
  2. 종균은 생활하수를 1시간 이상, 36시간 이내에 실온에서 침전 시킨 후 침전물을 이용한다.
  3. 유기농업에 이용하기 위하여 상품화된 종균을 이용할수도 있다.
  4. 최대첨가량은 물표본은 DO가 50%만큼 감소되도록 종균접종물질의 농도를 희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균은 생활하수를 1시간 이상, 36시간 이내에 실온에서 침전 시킨 후 침전물을 이용한다." 이 올바르지 않은 것이 아니라 올바른 주의사항이다. 이유는 종균은 생활하수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데 사용되는 미생물 중 하나이며, 이를 이용하여 DO 측정을 할 때는 생활하수를 침전시켜 미생물을 분리한 후 침전물을 이용하여 측정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염화제일주석 환원법이나 아스코르빈산 환원법으로는 인산염인 형태만을 정량할 수 있다. 축합인산이나 유기물 등의 인은 분해하여 인산염의 형태로 변화시킨 후 정량해야 한다. 다음 중 분해에 사용 가능한 시약이 아닌 것은?

  1. 과항산칼륨
  2. 과염소산
  3. 염화칼륨
  4. 염산
(정답률: 알수없음)
  • 염화칼륨은 인을 분해하는 시약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염화칼륨은 일반적으로 화학 실험에서 용액의 pH를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먹이연쇄효과(생태효율)가 가장 높은 것은?

  1. 빛에너지 → 녹색식물
  2. 녹색식물 → 초식성동물
  3. 초식성동물 → 육식성동물
  4. 녹색식물 → 잡식성동물
(정답률: 알수없음)
  • 초식성동물은 녹색식물을 먹어 에너지를 얻습니다. 그리고 육식성동물은 초식성동물을 먹어 에너지를 얻습니다. 따라서, 먹이연쇄효과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은 초식성동물에서 육식성동물로 전달되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