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8-26)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2012-08-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환경생태학개론

1. 보전지역 설정을 위한 유네스코 MAB모델과 거리가 먼 것은?

  1. 보전가치에 따라 핵심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으로 구분한다.
  2. 핵심(core)지역은 희귀종, 고유종, 멸종위기종이 많거나 생물 다양성이 높은 곳이다.
  3. 완충(buffer)지역에는 생태관광, 주거지 등이 가능하다.
  4. 전이(transition)지역에는 일정수준의 개발이 허용된 지역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전지역 설정을 위한 유네스코 MAB모델과 거리가 먼 것은 "완충(buffer)지역에는 생태관광, 주거지 등이 가능하다." 이다. 완충지역은 핵심지역과 전이지역 사이에 위치하며, 핵심지역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한 지역으로서 일정 수준의 인프라와 인간 활동이 허용되지만,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제한이 있기 때문에 생태관광, 주거지 등이 가능하다는 것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생태학에서 전이대(transition zone)에 대해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우릭와 건기가 뚜렷한 지역을 말한다.
  2. 봄, 여름, 가을, 겨울이 뚜렷한 지역이다.
  3. 두 개의 군집이 서로 겹쳐 있는 지역을 말한다.
  4. 한 개의 군집이 우점하고 있는 지역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이대(transition zone)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군집이 서로 겹쳐 있는 지역을 말한다. 이 지역에서는 두 군집의 특성이 섞여서 나타나기 때문에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토양의 침식(soil erosion)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나친 경작이나 방목 등이 원인이다.
  2. 작물재배에 적당한 흙이 가장 먼저 씻겨나간다.
  3. 토양침식에 의해 경작이 불가능한 지역은 감소한다.
  4.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의 토양침식은 사막화를 초래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침식에 의해 경작이 불가능한 지역은 감소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토양침식으로 인해 경작이 불가능한 지역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토양침식은 지나친 경작이나 방목 등이 원인이 되어 작물재배에 적당한 흙이 가장 먼저 씻겨나가고,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됩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토양침식이 심각한 지역에서는 사막화가 초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핵심종(중추종, keystone species)를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넓은 서식처 요구 종
  2. 개체수가 적은 희소 종
  3. 종다양성을 결정하는 종
  4. 특정 군집에 가장 많은 종
(정답률: 알수없음)
  • 핵심종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으로, 그 종의 존재 유무가 생태계의 안정성과 종다양성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종다양성을 결정하는 종"이 핵심종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생태계의 생물적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생산자(producer)
  2. 거대소비자(macroconsumer)
  3. 대기(atmosphere)
  4. 분해자(decomposer)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는 생물적 구성요소가 아니라 물리적 구성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생산자, 거대소비자, 분해자는 모두 생물적 구성요소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수도(abundance)를 구하는 공식은?

  1. 전 방형구 내에 있는 어떤 종의 평균 개체수 / 어떤 종이 출현하는 방형구의 총 수
  2. (전 방형구 내에 있는 어떤 종의 총 개체수 / 어떤 종이 출현하는 방형구의 총 수) × 100
  3. 전 방형구 내에 있는 어떤 종의 총 개체수 / 어떤 종이 출현하는 방형구의 총 수
  4. (전 방형구 내에 있는 어떤 종의 평균 개체수 / 어떤 종이 출현하는 방형구의 총 수) × 10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 방형구 내에 있는 어떤 종의 총 개체수 / 어떤 종이 출현하는 방형구의 총 수" 입니다. 이 공식은 특정한 지역이나 생태계에서 어떤 종이 얼마나 풍부하게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수도는 해당 종의 개체수와 출현하는 방형구의 수를 이용하여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한 지역에서 총 100마리의 토끼가 발견되었고, 이 지역에는 총 10개의 방형구가 있다면, 해당 지역의 토끼 수도는 100/10 = 10입니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에서 토끼가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부영양호와 빈영양호의 특성 비교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물의 투명도 : 빈영양호(맑음), 부영양호(혼탁)
  2. 물의 색 : 빈영양호(무색-청색), 부영양호(녹색-황색)
  3. 수심 : 빈영양호(얕음), 부영양호(깊음)
  4. 주요 식물성 플랑크톤 : 빈영양호(규조류, 와편모조류), 부영양호(남조류, 녹조류)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심 : 빈영양호(얕음), 부영양호(깊음)"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오히려 부영양호는 물 깊이가 얕은 편이며, 빈영양호는 물 깊이가 얕은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농업생태계가 자연생태계와 다른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반인공적 생태계
  2. 불안정한 생태계
  3. 단순한 생태계
  4. 물질순환시스템 생태계
(정답률: 알수없음)
  • 농업생태계는 "물질순환시스템 생태계"가 아닙니다. 농업생태계는 인간의 개입으로 인해 인공적으로 조성된 생태계이며, 일반적으로는 안정적이고 단순한 생태계로 분류됩니다. 농업생태계는 농작물과 가축 등 인간이 이용하는 생산자와 소비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간의 목적에 따라 물질순환시스템이 조절됩니다. 따라서 농업생태계는 자연생태계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래발 두꺼비, 얼룩다람쥐가 서식하며 하면(aestivation)을 하고 활동을 하는 곳은?

  1. 열대사바나
  2. 초원
  3. 사막
  4. 소택지
(정답률: 알수없음)
  • 사막은 건조하고 더운 환경이기 때문에 가래발 두꺼비와 얼룩다람쥐와 같은 동물들은 하면을 통해 생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막은 넓은 평원과 건조한 환경으로 인해 활동하기에 적합한 곳입니다. 따라서 가래발 두꺼비와 얼룩다람쥐가 서식하며 활동하는 곳은 사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종의 상대빈도(RF, relative frequency)을 구하는 공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종의 상대빈도(RF)는 해당 종이 전체 종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RF를 구하는 공식은 해당 종의 빈도를 전체 종의 빈도로 나눈 값입니다.

    즉, RF = 해당 종의 빈도 / 전체 종의 빈도 입니다.

    따라서 ""이 정답인 이유는 해당 공식을 나타내는 그림으로, 분자에 해당하는 해당 종의 빈도를 분모에 해당하는 전체 종의 빈도로 나누는 것을 시각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질학적 연대 동안 5~6차례 발생한 대량멸종(mess extinction)의 원인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외래종 유입
  2. 과도한 사냥
  3. 자연 도태
  4. 기후 변화
(정답률: 알수없음)
  • 기후 변화는 대량멸종의 원인으로 볼 수 있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입니다. 지구의 기후가 변화함에 따라 생태계가 변화하고, 이로 인해 생물종들이 적응하지 못하고 멸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지난 6억년 동안 지구는 5~6차례의 대량멸종을 겪었는데, 그 중 가장 유명한 KT 대멸종은 공룡 등 많은 동물종들이 멸종한 원인 중 하나로 지구 기후의 급격한 변화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대기오염경보단계는 주의보, 경보, 중대경보로 구분된다. 그 중 '경보'의 발령은 얼마 이상일 때를 기준으로 하는가? (단,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해당 지역의 대기자동 측정소의 오존농도를 기준으로 한다.)

  1. 0.01ppm
  2. 0.1ppm
  3. 0.3ppm
  4. 1.0ppm
(정답률: 알수없음)
  • '경보'의 발령 기준은 해당 지역의 대기자동 측정소에서 오존농도가 0.3ppm 이상일 때이다. 이는 국내 및 국제적으로 인정된 기준치 중 가장 높은 수치로, 이 수치를 초과하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기오염 경보 발령 시, 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오존농도가 측정되면 '경보' 단계로 발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피라미드의 영양단계는 생산자 개체군 위에 1차, 2차, 3차와 최고 단계의 소비자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생태적 피라미드의 형태로서 알맞지 않은 것은?

  1. 개체수 피라미드
  2. 생물량 피라미드
  3. 분해자 피라미드
  4. 에너지 피라미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분해자 피라미드"

    설명: 분해자 피라미드는 생물체들이 죽은 후에 그들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과 같은 분해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생산자와 소비자의 개념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생태적 피라미드의 형태로서는 알맞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분해자 피라미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부영양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볼렌바이더 방법
  2. 클로로필-a 방법
  3. 지수분석법
  4. 영향상태지표(TSI)
(정답률: 알수없음)
  • 지수분석법은 부영양화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여러 환경 요인들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질의 종합적인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틀린 것입니다. 볼렌바이더 방법은 물의 색도를 측정하여 부영양화 정도를 추정하는 방법, 클로로필-a 방법은 미세조류의 양을 측정하여 부영양화 정도를 추정하는 방법, 영향상태지표(TSI)는 미세조류, 수온, pH 등 여러 환경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질의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생태적 지위(Nich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물공동체나 군집에 있어 생물종이 해야 하는 기능상의 역할을 말한다.
  2. 논생태계에서 개구리와 백로는 동일한 생태적 지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3. 서식지에서 종이 점유하고 있는 위치를 말한다.
  4. 야생조류는 종별 생태적 지위가 다르며, 이는 종간경쟁을 막기 위한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논생태계에서 개구리와 백로는 동일한 생태적 지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설명이 틀린 이유는 개구리와 백로는 서로 다른 종이기 때문에 종간 경쟁을 막기 위해 각각 다른 생태적 지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개체군 생태학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밀도(density) : 단위공간당 개체군의 크기
  2. 출생률(nantality 또는 birth rate) : 단위시간당 생식활동에 의해서 새로운 개체들이 더해지는 숫자
  3. 사망률(mortality 또는 death rate) : 단위시간당 개체들이 개추군으로 이주해 들어오거나 개체군으로부터 이주해 나가는 숫자
  4. 산포(disperasal) : 개체들이 공간에 분포되는 방법으로서 임의분포, 균일분포, 군생분포 등으로 구분
(정답률: 알수없음)
  • 사망률(mortality 또는 death rate) : 단위시간당 개체들이 개추군으로 이주해 들어오거나 개체군으로부터 이주해 나가는 숫자가 틀린 설명입니다. 사망률은 개체군 내에서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사망 수를 전체 개체 수로 나눈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개체군 내에서 죽은 개체의 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대류권 저층에서 발생하는 기온 감소가 맞는 것은?

  1. 해발고도가 매 km 높아짐에 따라 3~4℃씩 감소
  2. 해발고도가 매 km 높아짐에 따라 5~6℃씩 감소
  3. 해발고도가 매 km 높아짐에 따라 8~9℃씩 감소
  4. 해발고도가 매 km 높아짐에 따라 10~12℃씩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해발고도가 매 km 높아짐에 따라 5~6℃씩 감소하는 이유는 대류권 저층에서 공기가 지구 표면과 마주치면서 지구 표면의 온도에 따라 가열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이 낮아져서 공기가 더욱 희박해지고, 이로 인해 열전달이 감소하여 기온이 낮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해발고도가 매 km 높아짐에 따라 5~6℃씩 감소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호소의 식물성 부유생물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고등식물과 함께 호소의 중요한 생산자이다.
  2. 규조, 남조 및 녹조류가 있다.
  3. 이동은 주로 대류나 파도에 의한다.
  4. 밤에는 수면으로, 낮에는 밑으로 매일 수직 이동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밤에는 수면으로, 낮에는 밑으로 매일 수직 이동하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호소의 식물성 부유생물은 떠다니는 해조류와 달리 바닷속 바닥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낮에는 빛을 받아 광합성을 하기 위해 바닥에서 멀어지고, 밤에는 빛이 없으므로 바닥에 가까워져서 호흡을 하기 위해 이동한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아황산가스에 민감한 생물 집단은?

  1. 지의류 및 이끼류
  2. 포플러와 플라타너스 수목류
  3. 곤충과 파충류
  4. 포유류와 새
(정답률: 알수없음)
  • 아황산가스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유해 물질로, 지의류 및 이끼류는 대기 중의 아황산가스 농도가 높아지면 쉽게 손상되기 때문에 아황산가스에 민감한 생물 집단이다. 포플러와 플라타너스 수목류도 아황산가스에 민감하지만, 지의류 및 이끼류보다는 덜 민감하다. 곤충과 파충류, 포유류와 새는 대기 중의 아황산가스 농도가 높아져도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생물이 살아가는 장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환경요인
  2. 서식지
  3. 생물요인
  4. 내성범위
(정답률: 알수없음)
  • 생물이 살아가는 장소를 서식지라고 하는 이유는 서식지가 생물의 생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서식지는 생물이 살아가는 환경요인과 생물요인이 모두 작용하는 곳으로, 생물의 생존과 번식, 성장 등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서식지는 생물의 내성범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환경학개론

21. 일반적으로 공원녹지면적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어린이공원면적
  2. 완충녹지면적
  3. 해수면적
  4. 도시자연공원면적
(정답률: 알수없음)
  • 공원녹지면적은 육지에 위치한 공원과 녹지를 의미하므로, 해수면적은 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해수면적은 바다나 호수 등의 물의 면적을 의미하며, 공원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적인 식물원 및 수목원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관광과 식물 판매
  2. 식물의 현지 외 보전지역
  3. 휴식 및 레크레이션 공간의 제공
  4. 식물의 학술적인 연구와 새로운 식물 육종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원 및 수목원은 주로 식물의 보전과 연구를 목적으로 운영되며, 이를 위해 현지 외 보전지역을 제공하고 학술적인 연구와 새로운 식물 육종을 진행합니다. 하지만 "관광과 식물 판매"는 이러한 목적과는 조금 다른 측면으로, 주로 관광객들에게 즐거운 시간을 제공하고 식물을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이는 일반적인 식물원 및 수목원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미국환경심의위원회에서 정의하고 있는 미티게이션(Mitigation)이라는 환경보전 조치의 가테고리에 들지 않는 것은?

  1. 회피
  2. 저감
  3. 대체
  4. 복구
(정답률: 알수없음)
  • 미티게이션은 환경파괴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들을 말하는데, "복구"는 이미 파괴된 환경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기 때문에 미티게이션의 가테고리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즉, 미티게이션은 예방과 최소화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미 발생한 환경파괴를 복구하는 것은 다른 환경보전 조치의 범주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우리나라에서 택지개발을 위한 공간계획의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단, 상위계획부터 순서대로 나열한다.)

  1. 광역도시계획 → 도시·군계획 → 도시·군기획계획 → 지구단위계획
  2. 광역도시계획 → 도시·군기획계획 → 도시·군계획 → 지구단위계획
  3. 광역도시계획 → 지구단위계획 → 도시·군기획계획 → 도시·군계획
  4. 광역도시계획 → 지구단위계획 → 도시·군계획 → 도시·군기획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광역도시계획 → 도시·군계획 → 도시·군기획계획 → 지구단위계획" 입니다.

    광역도시계획은 전체적인 도시 및 지역의 발전 방향과 전략을 수립하는 계획이며, 이를 바탕으로 도시·군계획이 수립됩니다. 도시·군계획은 광역도시계획을 기반으로 지역 내 각 도시 및 군의 발전 방향과 전략을 수립하는 계획입니다. 이후에는 도시·군기획계획이 수립되어 각 지역 내 구체적인 토지 이용 계획이 수립됩니다. 마지막으로 지구단위계획은 도시·군기획계획을 바탕으로 지역 내 각 지구의 세부적인 토지 이용 계획을 수립하는 계획입니다. 따라서, 이 순서대로 공간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토지 관련 주제도별 구축목적과 원시자료 및 평가단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토지피복지도 : 위성영상자료를 토대로 환경계획, 관리
  2. 토지특성도 : 항공사징늘 기초로 국토이용계획 및 관리
  3. 토지이용현황도 : 수치지형도를 토대로 지목과 토지용도 관리
  4. 생태자연도 : 필지단위로 평가하며 지역의 자연성을 관리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피복지도는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의 토지피복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환경계획 및 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토지피복지도 : 위성영상자료를 토대로 환경계획, 관리"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효율적인 생태네트워크를 위한 시행방안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1. 야생동물 이동통로 설치
  2. 비오톱 조사 및 지도화
  3. 옥상 및 벽면 녹화
  4. 임도의 설치 및 확대
(정답률: 알수없음)
  • 임도의 설치 및 확대는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인프라를 늘리는 것으로, 생태계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효율적인 생태네트워크를 위한 시행방안으로는 적절치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일반적인 빗물이 pH값이 얼마 미만일 때 산성비의 기준이 되는가?

  1. 2.3
  2. 3.0
  3. 5.6
  4. 6.4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인 빗물의 pH값은 5.6 이하일 때 산성비의 기준이 됩니다. 이는 이산화탄소와 다른 대기오염물질들이 빗물과 반응하여 산성화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H값이 5.6 이하일 경우 빗물은 산성비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국토는 토지의 이용실태 및 특성, 장래의 토지이용 방향 등을 고려하여 용도지역을 구분하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연환경보전지역
  2. 준도시지역
  3. 생산관리지역
  4. 농림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국토는 토지의 이용실태 및 특성, 장래의 토지이용 방향 등을 고려하여 용도지역을 구분하는데, "준도시지역"은 토지의 이용실태나 특성, 장래의 토지이용 방향 등을 고려하여 구분되는 용도지역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준도시지역"은 도시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지역으로, 도시계획에 따라 지정되는 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곤충이 서식하기 위한 기본적인 입지조건을 부적합한 것은?

  1. 산림이나 숲 가장자리 추이대 지역의 햇볕이 잘 드는 곳이 최적의 입지이다.
  2. 관목과 교목 식재가 가능해야 하며, 적당한 마운딩을 할 수 있어야 한다.
  3. 가까운 곳에 다른 습지나 수변공간이 있으면 좋지 않다.
  4. 습지는 깨끗한 수원이 확보되어야 하며, 대기오염이 심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까운 곳에 다른 습지나 수변공간이 있으면 좋지 않은 이유는, 다른 습지나 수변공간에서 이미 충분한 자원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그 근처에 있는 곤충들이 새로운 입지를 찾아들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입지를 찾아들이는 곤충의 수가 적어질 수 있고, 그 결과 해당 지역의 생태계가 불균형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도시지역에서 비오톱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도시민의 휴식공간
  2. 환경교육을 위한 실험지역
  3. 난개발방지를 위한 개발 유보지
  4. 도시생물종의 은신처 및 이동통로
(정답률: 알수없음)
  • 난개발방지를 위한 개발 유보지는 비오톱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비오톱은 도시생태계를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만, 난개발방지를 위한 개발 유보지는 도시개발을 제한하고 지역의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난개발방지를 위한 개발 유보지는 비오톱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생물학적 침입에 대한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귀화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킨다.
  2. 이입의 기회를 최소화한다.
  3. 이입종의 정착을 위한 환경을 만들지 않는다.
  4. 자생식물의 내병성을 증진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생식물의 내병성을 증진시키는 것은 생물학적 침입을 막는 대책이 아니라, 오히려 생물학적 침입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내병성이 증가하면 자생식물이 강해지기 때문에, 이를 먹이로 하는 동물이나 해충 등의 생물이 더욱 번식하고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물학적 침입을 막기 위해서는 자생식물의 내병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입종과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자연형 하천계획에 있어서 저수로 호안 및 제방하안 식생공법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유속이 빠른 저수로 호안에는 버드나무 말뚝을 이용한다.
  2. 버드나무 가지와 말뚝을 이용한 펜스의 사용시 말뚝의 길이는 2~3미터 두께는 8센티미터가 적절한다.
  3. 제방 하안에는 갯버들, 오리나무 등을 식재하는 것이 권장된다.
  4. 저수로의 버드나무는 20년 주기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저수로의 버드나무는 20년 주기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버드나무는 30년 이상 수명이 있으며, 교체 주기는 50년 이상이다. 따라서 20년 주기로 교체할 필요는 없다.

    이유: 버드나무는 느린 성장속도와 높은 내구성으로 인해 저수로 호안에 적합한 식재수종으로 꼽힌다. 또한, 버드나무 말뚝은 유속이 빠른 저수로 호안에서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말뚝의 길이와 두께는 저수로의 유속, 수심, 토질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2~3미터 길이와 8센티미터 두께가 적절하다. 제방 하안에는 갯버들, 오리나무 등을 식재하여 하안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권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환경생태응용이론의 설명이 아닌 것은?

  1. 상리공생은 공생관계 중의 하나이다.
  2. 먹이그물(food web)은 먹이연쇄(food chain)와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3. 생물공동체(biocoenosis)는 동일한 장소에서 생활하는 동물과 식물, 미생물의 전제집단을 뜻한다.
  4. 상릭오생은 동물과 동물, 동물과 식물사이에서는 많으나 식물과 식물 사이에서는 볼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먹이그물(food web)은 먹이연쇄(food chain)와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 이유: 먹이그물은 여러 개의 먹이연쇄가 서로 얽혀서 이루어진 것으로, 한 종의 생물이 여러 종의 생물에게 먹히고, 여러 종의 생물이 한 종의 생물을 먹는 복잡한 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먹이그물은 먹이연쇄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한 생태계의 모습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국토계획체계 개편과 함께 도입된 제도로 관리지역의 세분화와 합리적 관리를 위해 토지가 가지고 있는 인문, 자연, 공간입지적 환경을 객관적이고 계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토지이용평가
  2. 토지적성평가
  3. 비오톱평가
  4. 에코톱평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토지적성평가

    토지적성평가는 관리지역 내 토지의 인문, 자연, 공간입지적 환경을 객관적이고 계량적으로 평가하여, 토지의 적정한 이용방안을 제시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관리지역의 세분화와 합리적 관리를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토지이용평가"는 토지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고, "비오톱평가"는 생물다양성을 평가하는 것이며, "에코톱평가"는 생태계의 건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생물종 다양성에 관련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천이과정의 마지막 상태에서 종다양성 지수는 1에 가깝다.
  2. 생물다양성에 관한 협약은 1982년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채택되었다.
  3. 자연생태의 생물군집은 생태학적 천이과정을 통해 성장단계를 거쳐 성숙 안정화 된다.
  4. 샤논지수(index of Shannon)을 기반으로 하는 균제도 지수는 종의 다양성을 표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물종 다양성에 관련된 내용 중 틀린 것은 "천이과정의 마지막 상태에서 종다양성 지수는 1에 가깝다."입니다. 이유는 천이과정의 마지막 상태에서는 종다양성 지수가 가장 높아지기 때문에 1에 가깝다는 것은 오히려 맞는 내용입니다.

    생물다양성에 관한 협약은 1992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채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생태네트워크의 공간 구성 원리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핵심지역
  2. 완충지역
  3. 코리더
  4. 모자이크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네트워크의 공간 구성 원리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모자이크"이다. 핵심지역, 완충지역, 코리더는 생태계의 연결성을 유지하고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이지만, 모자이크는 생태네트워크의 공간 구성 원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모자이크는 일정한 패턴이나 형태를 가진 작은 조각들이 모여서 전체적인 패턴을 이루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생태계의 연결성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공원과 녹지의 기능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도시공간을 구획한다.
  2. 도시환경의 질적 기반을 제공한다.
  3. 도시경관의 질을 향상시킨다.
  4. 도시개발의 질서를 부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공간을 구획한다."는 공원과 녹지의 기능이 아니라 도시계획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공원과 녹지는 도시환경의 질적 기반을 제공하고, 도시경관의 질을 향상시키며, 도시개발의 질서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질오염의 출처(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도시폐수는 산업폐수가 대부분이다.
  2. 산업폐수의 약 7~8%만이 도시하수체계로 배출된다.
  3. 농업수오염의 큰 원인은 동물사육장의 폐기물이다.
  4. 일부 수질오염은 고체폐기물과 대기오염물질로부터 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폐수는 산업폐수가 대부분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도시폐수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산업폐수는 일부분만 도시하수체계로 배출됩니다. 이는 산업폐수가 대개 처리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인구증가와 관련한 환경문제와 거리가 먼 것은?

  1. 경제성장
  2. 환경오염 및 자원고갈
  3. 기하급수적 인구증가에 의한 식량난
  4. 인구 증가에 따른 농지 확대 개발 및 도로 주택건설에 따른 자연파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경제성장"입니다. 경제성장은 인구증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오히려 경제성장이 일어날수록 환경문제와 자원고갈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제성장이 없다면 인구증가와 식량난, 자연파괴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경제성장은 인구증가와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토지환경성 평가의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면으로 성격이 다른 것은?

  1. 임상도
  2. 토지 피복 분류도
  3. 수변구역 분포도
  4. 경사도
(정답률: 알수없음)
  • 수변구역 분포도는 토지와 물의 경계에 위치한 지역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강, 호수, 연못 등의 수체와 그 주변 지역의 생태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에 임상도는 산림, 목재 등의 자원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토지 피복 분류도는 토지의 특성을 분류하는 데 사용됩니다. 경사도는 지형의 경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지형적 특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토지환경성 평가의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면은 수변구역 분포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태복원공학

41. 다음의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유연면적은 동일하며, 강우량이 같고, 강우가 유역전역에 최소한 10시간 계속된다고 가정함.)

  1. B유역의 형상이 첨두유량에 도달하는 시간이 가장 빠르다.
  2. B유역의 형상이 강우가 끝나면 가장 빨리 감수(減水)하게 된다.
  3. 가장 오랫 동안 유출이 되는 유역의 형상은 A이다.
  4. 유출량의 변화가 가장 적은 것은 C유역의 형태이다.
(정답률: 80%)
  • 강우가 유역 전역에 최소한 10시간 계속되므로, 유출량의 변화가 가장 적은 것은 유역 내 강우가 일정하게 분포되어 있는 C유역의 형태이다. A유역은 강우가 끝나면 여전히 많은 양의 물이 유출되므로 유출량의 변화가 크고, B유역은 강우가 끝나면 빠르게 감수되므로 유출량의 변화가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토양수분은 수분포텐셜 및 수분이 존재하는 상태에 따라 구분하게 되는데, 다음 중 모세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pF 2.8~3.0 정도에 상당하고 식물에 주로 사용되는 수분을 말한다.
  2. 토양 대공극에 있던 물이 토양에 보유되는 힘이 약하여 쉽게 흘러내리게 되는 수분이다.
  3. 토양입자 내에 존재하여 100~110℃로 가열해도 증발하지 않는 수분을 말한다.
  4. 건조한 토양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토양입자 주변에 물 분자층으로 흡착되는 수분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건조한 토양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토양입자 주변에 물 분자층으로 흡착되는 수분을 말한다."이다.

    pF는 토양수분의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pF 값이 작을수록 토양수분이 많고, 크면 적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pF 2.8~3.0 정도에 상당하고 식물에 주로 사용되는 수분을 말한다."라는 설명은 pF 값이 해당 범위일 때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세관수와 관련된 설명이지만, 모세관수는 토양입자 내에 존재하는 미세한 물광이며, 가열해도 증발하지 않는 수분이 아니라, 토양입자 주변에 물 분자층으로 흡착되는 수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씨뿌리기(비탈 씨뿌리기, 직파공) 방법 중 흩어뿌리기(흩어씨뿌리기)와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사가 완만하고 습윤한 토사의 퇴적지 비탈 또는 절·성토비탈 중 토양조건이 양호한 사면에 시공한다.
  2. 비탈다듬기 공사를 하고 부토사(浮土砂)는 전부 정리하여 반드시 견지반(堅地盤)을 노출시킨다.
  3. 비탈면에 직고 60cm 정도 나비 20~30cm의 수평 계단을 끊는다.
  4. 파종하는 모든 초·목종 간에는 혼파(混播)를 하는 것이 그렇지 않는 것보다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파종하는 모든 초·목종 간에는 혼파(混播)를 하는 것이 그렇지 않는 것보다 좋다."라는 이유는 각 종자들이 서로 다른 생육환경에 적응하고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며 성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혼파를 하면 토양의 영양분과 수분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병해충이나 질병의 전파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씨뿌리기(비탈 씨뿌리기, 직파공) 방법 중 흩어뿌리기(흩어씨뿌리기)와 관련한 설명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훼손지 비탈면 식생녹화 공법 중 매트를 이용한 것으로 기계화 시공이 곤란하고 침식발생이 높게 예상되는 비탈 주연부 및 폐탄광지·채석지의 비탈에 적용 가능한 공법은?

  1. 종자부착매트피복공법
  2. 식생대공법
  3. 녹화용 식생자루공법
  4. 개량 seed pray 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부착매트피복공법은 비탈면에 매트를 깔고 그 위에 식물종자를 부착시켜 식생을 육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기계화 시공이 어렵고 침식 발생이 높은 비탈 주연부나 폐탄광지, 채석지 등에서 적용 가능하다. 매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탈면의 경사도나 지형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식물종자를 부착시켜 식생을 육성하기 때문에 비탈면의 토양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식물종자를 부착시키기 때문에 식생이 빠르게 성장하고, 비탈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정체수에 의한 습지로서 숲이나 관목덤불 등으로 덮인 습지이며, 야생동물의 서식처로 중요한 죽은 나무들로 덮이기도 하는 습지는 무엇인가?

  1. 소택지(Swamp)
  2. 수변습지(Riparian Wetlands)
  3. 늪(Marshes)
  4. 산성습지(Bogs)
(정답률: 알수없음)
  • 소택지는 정체수에 의해 물이 고여있는 습지로서, 숲이나 관목덤불 등으로 덮인 경우도 있고 죽은 나무들로 덮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야생동물의 서식처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야생동물의 서식을 위한 일반적 필수요소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모래 및 자갈
  2. 은신처
  3. 먹이
(정답률: 90%)
  • 모래 및 자갈은 일반적 필수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는 동물들이 걷거나 누워 쉴 때 발바닥을 보호하고, 물이 빠르게 흐르는 지역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모래 및 자갈"이 아닌 다른 요소들이 필수적인 요소로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생태계에 있어서 토양은 양분을 순환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다음 중 이러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은?

  1. 토양미생물
  2. 토양 내 동물
  3. 식물의 뿌리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은 양분을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토양미생물과 토양 내 동물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양분을 생성하고, 식물의 뿌리는 이 양분을 흡수하여 성장에 이용합니다. 하지만 물은 양분을 생성하지 않으며, 단지 식물의 뿌리가 흡수할 수 있는 양분을 운반하는 역할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돌쌓기공사 시공방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초를 얕게 파고, 밑바닥을 단단히 다져야 한다.
  2. 귀돌이나 갓돌은 우량한 것보다는 구득하기 쉬운 것을 사용한다.
  3. 돌쌓기벽의 세로줄눈이 일직선이 되는 통줄눈은 피해야 한다.
  4. 줄눈의 두께는 20~25mm정도로 하지만, 별도로 모르타르는 채우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돌쌓기공사 시공방법 중 옳은 것은 "돌쌓기벽의 세로줄눈이 일직선이 되는 통줄눈은 피해야 한다." 이다. 이유는 돌쌓기벽의 세로줄눈이 일직선이 되면 벽이 휘어지거나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로줄눈은 각 돌마다 따로 잡아야 하며, 이를 위해 수평줄눈과 수직줄눈을 꼭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경사지에서 일정량 이상의 비가 올 때, 표면유거수가 집수되어 하나의 작은 물길을 형성하면서 진행되는 침식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우적침식
  2. 면상침식
  3. 누구침식
  4. 구곡침식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누구침식

    누구침식은 경사지에서 일정량 이상의 비가 올 때, 표면유거수가 집수되어 하나의 작은 물길을 형성하면서 진행되는 침식형태를 말한다. 이는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침식이 발생하며,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침식된 지형이 구부러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경사지에서 발생하며, 지형의 형태와 지하수의 유출량 등에 따라 침식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최근에 관련 분야와의 파트너쉽에 의한 생태복원의 경향이 활발해지고 있다. 다음 중 그 사례가 아닌 것은?

  1. 지방의제 21 사업
  2. 주민참여형 근린공원 조성사업
  3. 걷고 싶은 거리 조성사업
  4. 산불피해지역 생태복원사업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산불피해지역 생태복원사업

    산불피해지역 생태복원사업은 파트너쉽에 의한 생태복원의 경향이 활발해지는 최근 추세에 맞지만, 다른 보기들은 이미 관련 분야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진행되고 있는 사례들이다.

    - "지방의제 21 사업":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가 협력하여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는 사업으로, 환경분야에서도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주민참여형 근린공원 조성사업":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근린공원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지역사회와 환경을 함께 고려한 사업이다.
    - "걷고 싶은 거리 조성사업":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으로, 도시환경과 건강을 고려한 사업이다.

    따라서, 산불피해지역 생태복원사업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최근에 활발해지고 있는 경향이지만, 이유는 문제에서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생태계 복원의 유형 중 현재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원래와는 다른 생태로 바꾸어 주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복원
  2. 대체
  3. 개선
  4. 복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대체"이다.

    복원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하며, 개선은 현재 상태를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복구는 손상된 것을 복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대체는 현재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원래와는 다른 생태로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체는 다른 세 가지 유형과는 구분되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통의 오염 물질로 인하여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일반 생태계로 여과, 침전, 활성탄 투입, 살균 등 고도의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이용하거나 일반적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하천의 등급별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의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기준은?

  1. 1mg/L이하
  2. 3mg/L이하
  3. 5mg/L이하
  4. 8mg/L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BOD는 생물이 분해하는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높은 BOD는 많은 유기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BOD가 높은 하천은 생태계가 손상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용존산소는 생물이 호흡하는 데 필요한 산소로, 높은 BOD는 많은 생물이 호흡하여 용존산소를 소모하게 됩니다. 따라서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일반 생태계에서는 BOD가 낮을수록 생태계 상태가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하천의 등급별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의 BOD 기준은 5mg/L 이하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담수역에 있어서 식생의 정착은 수위변동 이외에 지형, 기후, 지질, 토층 등의 자연조건에 따라서 현저히 다르게 나타난다. 다음 중 녹화용 식물의 관수저항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단히 강한 식물(생존기간 175일간 이상) : 설창포, 속새
  2. 강한 식물(생존기간 85일간 이상) : timothy, tall fescue
  3. 약한 식물(생존기간 30일간 이하) : 돈나무, weeping love grass
  4. 대단히 약한 식물(생존기간 20일간 이하) : 송악, 영산홍
(정답률: 알수없음)
  • "강한 식물(생존기간 85일간 이상) : timothy, tall fescue" 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timothy와 tall fescue는 녹화용 식물 중에서도 비교적 강한 식물로, 높은 관수저항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담수역과 같이 수위 변동이 심한 환경에서도 상대적으로 잘 자라고 생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하천의 복원 및 보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생식장소를 개개별로 분석하여 단위집단의 크기에 따라 하천의 횡단과 종단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복원한다.
  2. 하천의 자연복원작용을 존중하여 주역은 하천이고, 인간은 조역이라는 계획방법에 따라 자연으로 하여금 하천의 형태를 만들게 한다.
  3. 하천은 당초의 형태가 계속 변형하는 것으로 보고 지형의 변화에 따라 식생의 천이가 나타는 것을 허용한다.
  4. 하천의 고유성과 개성이 가능한 한 잘 보전되도록 복원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식장소를 개개별로 분석하여 단위집단의 크기에 따라 하천의 횡단과 종단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복원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생태계의 복원과 관련된 내용이며, 하천의 복원과 보전은 생태계의 복원과는 다른 개념이다. 하천의 복원과 보전은 하천의 기능과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인간의 이용과 발전을 조화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하천의 복원과 보전은 생태계의 복원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인공계와 반대되는 생태계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구성원들에 대한 많은 요소, 구조, 기능이 알려지지 않았다.
  2. 일반적으로 생물종의 수가 많을수록 자기 수복기능이 작동하고 시스템은 안정되어 있다.
  3. 시스템의 모든 측면이 인위적 제어의 대상이 된다.
  4. 시스템의 극히 한정된 측면만이 인위적 제어의 대상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생물종의 수가 많을수록 자기 수복기능이 작동하고 시스템은 안정되어 있다."는 생태계의 일반적인 특징 중 하나이며, 인공계와 반대되는 특징이 아닙니다.

    "시스템의 모든 측면이 인위적 제어의 대상이 된다."는 인공계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인공계는 인간이 의도적으로 설계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시스템의 모든 측면이 인위적 제어의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Forman(1995년) 등이 분류한 이동통로의 5가지 우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양서류 터널
  2. 경관커넥터
  3. 암거 및 생태관
  4. 야생동물울타리
(정답률: 알수없음)
  • 이동통로의 5가지 우형은 양서류 터널, 경관커넥터, 암거 및 생태관, 도시공원 및 녹지, 그리고 도로와 철도 등이다. 이 중 "야생동물울타리"는 이동통로의 5가지 우형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주로 동물들이 통과할 수 있는 울타리를 설치하여 인간과 동물의 충돌을 방지하고, 동물들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이는 이동통로의 우형이 아니라 동물 보호를 위한 방법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일반적으로 식물의 종류는 잔디(초화류), 소관목, 대관목, 천근성 교목, 심근성교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소관목의 생존 최소 토심(cm)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5cm
  2. 30cm
  3. 50cm
  4. 70cm
(정답률: 알수없음)
  • 소관목은 뿌리가 얕고 토양 수분을 잘 이용하기 때문에 생존에 있어서는 토심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소관목의 최소 생존 토심은 30cm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30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천이단계와 목본식물 종의 생활사 및 생리적 특성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성장속도 : 천이 초기종 – 빠름, 천이 후기종 – 늦음
  2. 종자크기 : 천이 초기종 – 작음, 천이 후기종 – 큼
  3. 종자 휴면성 : 천이 초기종 – 있음, 천이 후기종 – 없음
  4. 내음성 : 천이 초기종 – 있음, 천이 후기종 – 없음
(정답률: 알수없음)
  • "내음성 : 천이 초기종 – 있음, 천이 후기종 – 없음"이 틀린 것이다. 천이 초기종은 내음성이 있지만, 천이 후기종도 일부 종에서 내음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천이 후기종에서 내음성이 없다는 것은 일반적인 경향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녹화공사용 자재 중 목재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볍고, 가공 및 취급이 용이하다.
  2. 공작에 필요한 설비가 간단하고, 온도에 따른 변화가 크다.
  3. 충격이나 진동을 잘 흡수한다.
  4. 부패성이 크고, 내화성이 약하며, 함수량에 따른 수축 및 팽창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작에 필요한 설비가 간단하고, 온도에 따른 변화가 크다."는 목재의 성질과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이유는 목재의 공작에 필요한 설비가 간단하다는 것은 목재의 가공이 쉽다는 것을 의미하고, 온도에 따른 변화가 크다는 것은 목재가 온도에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성질은 목재의 가볍고, 가공 및 취급이 용이하다는 성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생태학에 있어 생물종다양성(species diversity)의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생물종이 다양해져 생태계가 안정되면 엔트로피 상태는 높게 유지된다.
  2. 생물종 다양성은 총량적인 측면에서 생물종별 개체수의 분포특성을 나타낸다.
  3. 극상상태의 생무종 다양성의 지수는 1에 가깝게 나타난다.
  4. 생물종 다양성은 생물집단의 극상상태를 판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물종이 다양해져 생태계가 안정되면 엔트로피 상태는 높게 유지된다."가 틀린 것이다. 생물종이 다양해질수록 생태계는 안정되지만, 엔트로피 상태는 낮아진다. 이는 생물종 다양성이 높을수록 생물들이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고,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생태계의 복잡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엔트로피 상태는 낮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생태조사방법론

61. 다음 중 순생산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방법은?

  1. 수확법
  2. 이산화탄소법
  3. 산소측정법
  4. 오존법
(정답률: 알수없음)
  • 오존법은 대기 중 오존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순생산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수확법은 작물을 수확하여 생산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며, 이산화탄소법과 산소측정법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순생산량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일반적인 서식지 분석에 대한 옳은 기술이 아닌 것은?

  1. 결과에 대한 현지 확인
  2. 현지에서 예비조사와 적절한 자료 수집
  3. 해당 장소와 지역에 관한 적절한 서지와 문헌 검토
  4. 다수의 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의 평가는 미소서식지로 평가
(정답률: 알수없음)
  • 다수의 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의 평가는 미소서식지로 평가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모든 서식지에서 중요한 환경요인들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 서식지의 특성에 맞게 환경요인을 평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은 어떤 동물을 제거법에 의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이 동물의 총 개체수는?

  1. 750
  2. 800
  3. 850
  4. 900
(정답률: 80%)
  • 이 그래프는 제거법에 의해 조사된 동물의 개체수를 보여준다. 그래프 상에서 가장 높은 막대는 400에서 500까지의 구간에 해당하는데, 이 구간에는 200마리의 동물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간의 동물 수를 2배로 확장하면 전체 동물 수를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200 x 2 x 2 = 800 이므로, 이 동물의 총 개체수는 800마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천이단계에 따른 서식지 환경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하여 비교해야 할 환경요인이 아닌 것은?

  1. 상대광도
  2. 연강수량
  3. 유기물함량
  4. 낙엽층 두께
(정답률: 알수없음)
  • 천이단계는 지질학적 시대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질학적 시대는 지구의 지질적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연강수량은 지질학적 시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비교 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강수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A와 B 지역을 조사한 결과 두 지역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종이 10종, A지역에 출현하나 B지역에는 출현하지 않은 종이 8종, B지역에 출현하나 A지역에는 출현하지 않은 종이 7종인 경우 Jaccard coefficient를 이용하여 구한 두 지역의 community 유사도는?

  1. 5/2
  2. 2/5
  3. 3/2
  4. 2/3
(정답률: 알수없음)
  • Jaccard coefficient는 두 집합의 교집합 크기를 합집합 크기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이 문제에서는 A와 B 지역의 community를 각각 하나의 집합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Jaccard coefficient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J(A, B) = |A ∩ B| / |A ∪ B|

    여기서 |A ∩ B|는 A와 B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종의 수인 10이고, |A ∪ B|는 A와 B 지역에서 출현한 모든 종의 수인 10 + 8 + 7 = 25이다. 따라서 Jaccard coefficient는 다음과 같다.

    J(A, B) = 10 / 25 = 2/5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정량조사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일정면적의 조사구를 설정하여 그 지역 내의 모든 동·식물의 전수를 확인하는 방법은?

  1. 방형구법
  2. 빈도법
  3. 선차단법
  4. 포획법
(정답률: 알수없음)
  • 방형구법은 일정면적의 조사구를 설정하여 그 지역 내의 모든 동·식물의 전수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조사구의 크기와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조사 결과를 비교분석하기 용이하며, 조사구 내에서 발견된 개체 수를 직접 세는 방법이므로 정확도가 높다. 따라서 정량조사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토양의 잠재비옥도는 1차적으로 양이온치환능(토양 100g당 수소이온이 양이온으로 치환될 수 있는 자리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토양의 잠재비옥도가 낮을 것부터 큰 것으로 순서가 배열된 것은?

  1. 자갈 → 모래 → 미사 → 점토
  2. 모래 → 미사 → 점토 → 자갈
  3. 미사 → 점토 → 자갈 → 모래
  4. 점토 → 미사 → 모래 → 자갈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의 잠재비옥도는 양이온치환능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토양 입자의 크기와 밀도에 영향을 받는다. 자갈은 크기가 크고 밀도가 낮아 양이온치환능이 낮으며, 모래는 자갈보다는 작지만 여전히 크고 밀도가 낮아 양이온치환능이 낮다. 미사는 모래보다는 작고 밀도가 높아 양이온치환능이 높으며, 점토는 입자가 매우 작고 밀도가 매우 높아 양이온치환능이 가장 높다. 따라서 자갈 → 모래 → 미사 → 점토 순으로 잠재비옥도가 낮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미소서식지 토양환경 조사를 위하여 채토해야 할 주토양 단면은?

  1. O(L)층과 R층
  2. A층과 O(L)층
  3. R층가 B층
  4. O(L)층과 C층
(정답률: 알수없음)
  • 미소서식지는 지하수층이 높은 지역으로, 토양환경 조사를 위해서는 지하수층과의 관계를 파악해야 합니다. 따라서, A층은 지하수층과 가장 가까운 토양층으로, 지하수와의 상호작용이 크기 때문에 조사 대상이 됩니다. 또한, O(L)층은 지하수층 위에 위치하며, 지하수와의 상호작용이 크기 때문에 조사 대상이 됩니다. 따라서, 주토양 단면은 A층과 O(L)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자료에서 백분율유사도 방법에 의한 “가”와 “나”군집의 군집유사도 값은 얼마인가? (단,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한다.)

  1. 43%
  2. 50%
  3. 58%
  4. 60%
(정답률: 알수없음)
  • 백분율 유사도 방법은 두 군집 간의 공통 항목의 비율을 계산하여 유사도를 측정한다. 따라서 "가"와 "나" 군집의 공통 항목은 7개이며, "가" 군집의 총 항목 수는 12개, "나" 군집의 총 항목 수는 10개이다. 따라서 "가"와 "나" 군집의 백분율 유사도는 (7 / ((12 + 10) / 2)) x 100 = 58% 이다.

    정답이 "58%"인 이유는 "가"와 "나" 군집 간의 공통 항목 비율이 다른 보기들보다 높기 때문이다. "43%"와 "50%"는 공통 항목 비율이 낮아서 유사도가 낮고, "60%"은 공통 항목 비율은 높지만 총 항목 수가 크게 차이나기 때문에 유사도가 높지 않다. 따라서 "가"와 "나" 군집의 백분율 유사도 값은 5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Connel과 Slatyer에 의하면 초기 식생의 천이에는 반작용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여기에는 세 가지 모델이 있는데 이와 관련이 없는 모델은?

  1. 내성모델(tolerance model)
  2. 촉진모델(facilitation model)
  3. 억제모델(inhibition model)
  4. 식물상 교체 모델(relay floristics model)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상 교체 모델은 초기 식생의 천이에 대한 반작용 모델 중 하나가 아니라, 이후에 일어나는 식물상 변화에 대한 모델이다. 따라서 이와 관련이 없는 모델은 "식물상 교체 모델(relay floristics mode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군락 조사시 열대우림의 교목층을 조사하기에 적당한 최소면적(m2)은?

  1. 1000~20000m2
  2. 200~500m2
  3. 10~100m2
  4. 1~10m2
(정답률: 84%)
  • 열대우림은 교목층이 높고 다양한 종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군락 조사시에는 넓은 면적을 조사해야 합니다. 따라서 최소면적은 1000~20000m2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면적이 너무 작아서 군락 조사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생태조사의 분석에 이용되는 지수 중 군집 분석에 사용되지 않는 지수는?

  1. 우점도 지수
  2. 균등도 지수
  3. 공존 지수
  4. 풍부도 지수
(정답률: 70%)
  • 군집 분석은 유사한 특성을 가진 개체들을 그룹으로 묶는 분석 방법이다. 이 때 군집 분석에 사용되는 지수는 개체들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지수들이다. 따라서 군집 분석에 사용되지 않는 지수는 개체들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지 않는 지수이다. 이 중에서 공존 지수는 서로 다른 종들이 동일한 지역에서 서식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개체들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군집 분석에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어떤 지역에서 곤충을 표지법으로 조사한 결과 그 지역의 총 개체수가 500마리로 계산되었다. 1차로 포획하여 표시한 후 방사한 개체가 100마리이고 2차로 포획환 개체가 300마리라면 300마리 중 표시된 개체는 몇 마리인가?

  1. 30마리
  2. 50마리
  3. 60마리
  4. 90마리
(정답률: 알수없음)
  • 표지법으로 조사한 개체수는 1차 포획한 개체수와 2차 포획한 개체수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1차 포획한 개체수와 2차 포획한 개체수의 차이가 표시된 개체수입니다.

    1차 포획한 개체수는 100마리이고, 2차 포획한 개체수는 300마리이므로, 표시된 개체수는 300 - 100 = 200마리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 묻는 것은 2차 포획한 개체 중에서 표시된 개체의 수입니다. 따라서 2차 포획한 개체 중에서 표시된 개체의 비율을 구해야 합니다.

    표시된 개체의 비율은 1차 포획한 개체 중에서 표시된 개체의 비율과 같습니다. 1차 포획한 개체 중에서 표시된 개체의 비율은 100 / 500 = 0.2입니다. 따라서 2차 포획한 개체 중에서 표시된 개체의 수는 0.2 x 300 = 60마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마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식생을 묘사하고 분류하기 위하여 식물군집을 조사하는 방법은?

  1. 대상법
  2. 측구법
  3. 방형구법
  4. Braun-Blanquet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군집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대상법, 측구법, 방형구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Braun-Blanquet방법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조사 지역에서 발견되는 모든 식물종을 기록하고, 그 종의 출현 빈도와 수량을 조사하여 군집을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식물군집의 구성원과 그들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어서 생태학적 연구에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이 방법은 조사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군집의 특성을 정량화할 수 있어서 비교적 객관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측정기구와 항목이 옳게 짝지은 것은?

  1. 열전대 – 기압
  2. 일사계 – 풍속
  3. 노점계 – 광도
  4. 건습구온도계 – 상대습도
(정답률: 알수없음)
  • 건습구온도계는 공기 중의 수증기 양을 측정하여 상대습도를 알아내는데 사용되는 측정기구입니다. 따라서 건습구온도계와 상대습도가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열전대는 온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측정기구이며, 기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일사계는 태양 복사량을 측정하여 일사량을 알아내는데 사용되는 측정기구이며, 풍속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노점계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 상태가 되어 이슬이 생기는 온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측정기구이며, 광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곤충류의 조사 시 곤충의 발육에 필요한 유효적산온도를 참고하여야 한다. 발육기간 중의 평균온도 20℃, 발육한계 저온도 10℃, 발육에 필요한 일수가 10일 일 때 유효적산온도 K는 얼마인가?

  1. 10
  2. 40
  3. 100
  4. 2000
(정답률: 알수없음)
  • 유효적산온도 K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K = (발육기간 중의 평균온도 - 발육한계 저온도) / (1 / 발육에 필요한 일수)

    K = (20 - 10) / (1 / 10) = 100

    따라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식물조사시 측구법(방형구법)에서 중요하게 고려할 요인과 거리가 먼 것은?

  1. 방형구 모양
  2. 방형구 크기
  3. 방형구 수
  4. 방형구의 방향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조사시 측구법(방형구법)에서 중요하게 고려할 요인은 방형구의 크기와 수입니다. 이는 조사 대상 지역의 크기와 밀도에 따라 적절한 방형구 크기와 수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거리가 먼 것은 방형구의 방향입니다. 방형구의 방향은 조사 대상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거리가 먼 요인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생물이 숙주의 안 또는 숙주의 체표에서 에너지와 서식처를 얻어 살아가고 있는 경우로 이 생물은 생식률이 높고 숙주의 특이성을 가지는데 이러한 종간 상호작용은?

  1. 편리공생
  2. 원시협동
  3. 상리공생
  4. 기생
(정답률: 알수없음)
  • 이러한 종간 상호작용은 기생이라고 부릅니다. 기생은 숙주의 안 또는 체표에서 에너지와 서식처를 얻어 살아가는 생물로, 생식률이 높고 숙주의 특이성을 가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초지에서 수확법(harvest method)에 의한 연간일차순생산량의 측정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명병과 암병을 이용하여 광합성량과 호흡량을 동시에 측정한다.
  2. 방사성동위원소(C14)를 이용하여 광합성으로 고정된 C14의 양을 측정한다.
  3. 일정량의 시료를 채취하여 여과한 후 엽록소를 추출하여 분광광도계로 엽록소의 양을 측정한다.
  4. 생육기간 중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건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초본식물의 지상부 생산성 측정에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육기간 중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건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초본식물의 지상부 생산성 측정에 적합하다. 이유는 초지에서 수확법은 작물의 건중량을 측정하여 생산량을 계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본식물의 지상부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건중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질산성 질소를 분석할 때 반드시 필요한 시약은?

  1. chromotropic acid solution
  2. alkaline phenolate
  3. ammonium paramolydate
  4. ascorbic acid
(정답률: 알수없음)
  • 질산성 질소를 분석할 때는 "chromotropic acid solution"이 필요합니다. 이는 질산성 질소를 감지하기 위한 시약으로, 질산성 질소와 반응하여 붉은색을 띄는 화합물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이 시약을 사용하여 질산성 질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질산성 질소와는 관련이 없는 시약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