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7-31)

기계정비기능사
(2011-07-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기어 감소기의 분류 중 평행축형 감속기가 아닌 것은?

  1. 웜 기어
  2. 스퍼 기어
  3. 헬리컬 기어
  4. 더블 헬리컬 기어
(정답률: 71%)
  • 웜 기어는 평행축형 감속기가 아닙니다. 웜 기어는 웜 휠과 웜 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웜 휠은 나사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움직임이 전달되는 방향이 수직이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평행축형 감속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왕복식 압축기의 장점으로 맞는 것은?

  1. 대용량이다.
  2. 맥동압력이 없다.
  3. 고압발생이 가능하다.
  4. 윤활이 쉽다.
(정답률: 63%)
  • 왕복식 압축기는 피스톤이 두 개 있어서 압축 과정에서 고압을 발생시키기 쉽습니다. 따라서 고압발생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 압축기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자동 하중 브레이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나사 브레이크
  2. 웜 브레이크
  3. 블록 브레이크
  4. 캠 브레이크
(정답률: 57%)
  • 블록 브레이크는 자동화된 하중 제어 시스템이 아닌, 수동으로 작동하는 브레이크입니다. 따라서 자동 하중 브레이크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일시 정체로스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속도 가동률을 높인다.
  2. 미세한 결함을 시정한다.
  3. 현상을 잘 파악한다.
  4. 최적조건을 파악한다.
(정답률: 73%)
  • 속도 가동률을 높이는 것은 일시 정체로스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입니다. 이는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량을 늘리는 것으로, 일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아닌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열에 의한 관의 팽창, 수축을 허용하여 과도한 응력 발생을 방지하는 이음쇠는?

  1. 주철관 이음쇠
  2. 신축 관 이음쇠
  3. 패킹 이음쇠
  4. 나사 관 이음쇠
(정답률: 64%)
  • 신축 관 이음쇠는 열에 의한 관의 팽창, 수축을 허용하여 과도한 응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음쇠입니다. 이는 신축성 있는 소재로 만들어져 있어서, 관의 변형에 따라 이음쇠가 자연스럽게 늘어나거나 줄어들어서 응력을 분산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신축 관 이음쇠는 열변형이 발생하는 파이프 라인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해칭의 일반적인 원칙 중 틀린 것은?

  1. 해칭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2. 해칭선의 간격은 해칭을 하는 단면의 크기에 따라 선택한다.
  3. 해칭은 주된 중심선 또는 단면도의 주된 외형선에 대하여 90℃ 기울기로 그린다.
  4. 인접한 단면의 해칭은 선의 방향 또는 각도를 바꾸든지, 아니면 그 간격을 바꾸어서 구별한다.
(정답률: 70%)
  • 해칭의 일반적인 원칙 중 틀린 것은 "해칭은 주된 중심선 또는 단면도의 주된 외형선에 대하여 90℃ 기울기로 그린다."가 아닌 "해칭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입니다. 해칭은 주로 점선으로 그리며, 가끔 실선으로 그리기도 합니다.

    해칭은 주된 중심선 또는 단면도의 주된 외형선에 대하여 90℃ 기울기로 그리는 이유는, 이를 통해 해당 부품이나 제품의 외형과 크기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접한 단면의 해칭은 선의 방향 또는 각도를 바꾸든지, 아니면 그 간격을 바꾸어서 구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랜드 패킹(grand packing)을 축에 부착할 때 최소 몇 개 이상이 좋은가?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45%)
  • 그랜드 패킹은 축과 벽면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축에 부착할 때 최소한 4개 이상이 필요합니다. 4개 미만으로 부착하면 축과 벽면 사이에 간극이 생겨 누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줄걸이 작업 시 하물의 적치방법을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다른 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해 와이어로프를 빼내기 좋게 놓을 것
  2. 정리정돈을 생각할 것
  3. 하물을 최대한 높게 쌓을 것
  4. 항시 안전하게 놓을 것
(정답률: 79%)
  • "하물을 최대한 높게 쌓을 것"이 잘못된 것입니다. 하물을 최대한 높게 쌓으면 중심이 불안정해져서 넘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하게 적재하고 중심을 잡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작업자 개개인의 자기설비는 자신이 지킨다는 것을 목적으로 평상시 점검, 급유, 부품교환, 수리 등을 한다.”는 보전용어로 옳은 것은?

  1. 일상보전
  2. 예방보전
  3. 개량보전
  4. 자주보전
(정답률: 56%)
  • 위 문장은 "자주보전"에 대한 설명입니다. 자주보전은 작업자 개개인이 자신의 자기설비를 평소에 자주 점검하고 유지보수하여 이상이 발견되면 즉시 조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작업자 개인의 책임하에 이루어지는 보전 방법으로, 작업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마이크로미터의 보관 방법 중 틀린 것은?

  1. 앤빌과 스핀들을 밀착시켜 보관할 것
  2. 방청유를 도포하여 녹 발생을 방지 할 것
  3. 습기가 없는 곳에 보관할 것
  4. 온도변화가 심하지 않은 곳에 보관할 것
(정답률: 76%)
  • "앤빌과 스핀들을 밀착시켜 보관할 것"은 틀린 방법입니다. 이는 마이크로미터의 정확한 측정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이크로미터는 정밀한 측정을 위해 앤빌과 스핀들 사이에 삽입되어야 하며, 보관 시에도 이러한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나사의 기호와 종류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M : 미터보통나사
  2. UNC : 유니파이 보통나사
  3. Tr : 미터사다리꼴 나사
  4. G : 관용 테이퍼나사
(정답률: 60%)
  • G 기호는 유럽에서 사용되는 테이퍼 나사의 기호이며, 관용 테이퍼나사는 G 기호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G : 관용 테이퍼나사가 올바른 연결이며, 다른 기호들은 각각의 나사 종류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설비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조작자(operator)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습동부의 급유
  2. 매일의 점검
  3. 패킹 등 소모성부품의 교환
  4. 고장난 설비의 수리
(정답률: 60%)
  • 설비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조작자(operator)의 역할은 설비를 안전하게 운전하고,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를 수행하여 설비의 수명을 연장하고 고장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장난 설비의 수리는 조작자(operator)의 역할이 아닙니다. 이는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이 필요한 유지보수 담당자의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쇄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1점 쇄선과 2점 쇄선이 있다.
  2. 가는 1점 쇄선은 중심축, 대칭의 중심, 구멍의 중심 등을 나타내는 중심선으로 쓰인다.
  3. 가는 2점 쇄선은 파단선으로 쓰인다.
  4. 재료의 절단위치를 나타내는 절단선은 가는 1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정답률: 48%)
  • "가는 2점 쇄선은 파단선으로 쓰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가는 2점 쇄선은 절단선이나 구멍의 경계선 등을 나타내는 파단선으로 쓰이며, 가는 1점 쇄선은 중심선으로 쓰입니다.

    이유는 가는 2점 쇄선은 두 점을 연결하는 선으로, 절단선이나 구멍의 경계선 등을 나타내기에 적합합니다. 반면, 가는 1점 쇄선은 한 점을 나타내는 선으로, 중심축이나 대칭의 중심 등을 나타내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크레인 신호 시 유의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신호는 원칙적으로 한사람이 할 것
  2. 중량물 계산을 확실히 할 것
  3. 신호 시 장애물을 확인하면서 신호할 것
  4. 신호 시 장갑을 착용하고 신호할 것
(정답률: 7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설비를 새로 도입하거나 개조, 변경, 수리 등을 행한 후 성능을 검사하는 규정에 관한 표준은 어느 것인가?

  1. 설비 성능 표준
  2. 시운전 검수표준
  3. 설비자재 검사표준
  4. 설비보전 표준
(정답률: 43%)
  • 시운전 검수표준은 설비를 새로 도입하거나 개조, 변경, 수리 등을 행한 후 성능을 검사하는 규정에 관한 표준입니다. 시운전은 설비를 처음 가동시켜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설비의 안전성과 성능을 검사하게 됩니다. 따라서 시운전 검수표준은 설비의 성능을 검사하는 중요한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특수액을 취급하는 원심펌프에서 외부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축봉 장치로 사용되는 것은?

  1. 매커니컬 실 (mechanical seal)
  2. 가이드 베인 (guide vane)
  3. 임펠러 (impeller)
  4. 밸런스 드럼 (balance drum)
(정답률: 62%)
  • 매커니컬 실은 축과 회전부 사이에 설치되어 원심력에 의한 압력으로 누설을 방지하는 장치입니다. 특수액을 취급하는 원심펌프에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매커니컬 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상비품목 결정 시 검토할 사항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수리요원의 유무
  2. 사용(불출)실적
  3. 보관상(중량, 체적 변질 등) 문제점 유무
  4. 돌발사고의 유무
(정답률: 55%)
  • 수리요원의 유무는 상비품목 결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상비품목의 유효성과 유용성을 평가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이지만, 수리요원의 유무는 상비품목 결정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설비에 윤활유를 공급 후 회수할 수 없는 윤활제의 공급방법은?

  1. 가시부상 유적 급유법
  2. 원심 급유법
  3. 유륜식 급유법
  4. 강제순환 급유법
(정답률: 47%)
  • 설비에 윤활유를 공급 후 회수할 수 없는 윤활제의 공급방법은 "가시부상 유적 급유법"입니다. 이 방법은 윤활유를 공급하는 동안 윤활유 내부에 가시나 부상 등의 물질이 섞이면서 윤활유 내부에서 윤활제가 생성되어 설비에 공급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윤활유의 효율적인 공급을 위해 사용되며, 윤활유의 소모량을 줄이고 윤활유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종합적 생산보전(total productive maintenanc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설비의 고장, 정지 또는 성능저하를 가져온 후에 수리를 행하여 완전한 설비로 만드는 생산보전이다.
  2. 설비의 고장이 없고 보전이 필요하지 않은 설비를 설계 및 제작하거나 구입하여 사용하는 생산보전이다.
  3. 설비의 고장, 정지 또는 성능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설비의 주기적인 검사로 고장, 정지, 성능정하를 제거하거나 복구시키는 생산보전이다.
  4. 설비효율을 최고로 하는 것을 목표로 기업의 전 직원이 참여하여 생산의 경제성을 높이고 설비의 계획, 사용, 보전 등의 전 부문에 걸쳐 행하는 생산보전이다.
(정답률: 59%)
  • 종합적 생산보전은 설비효율을 최고로 하는 것을 목표로 기업의 전 직원이 참여하여 생산의 경제성을 높이고 설비의 계획, 사용, 보전 등의 전 부문에 걸쳐 행하는 생산보전입니다. 즉, 설비의 고장, 정지 또는 성능저하를 예방하고, 설비의 유지보수 및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송풍기 중에서 가장 크고 효율이 좋고 날개가 회전차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뒤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은?

  1. 다익 송풍기
  2. 레이디얼 송풍기
  3. 한계부하 송풍기
  4. 터보 송풍기
(정답률: 53%)
  • 터보 송풍기는 가장 크고 효율이 좋으며, 날개가 회전차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뒤쪽으로 기울어져 있어서 공기를 빠르게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공기의 유동성을 높여서 냉방 및 환기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강재의 얇은 편으로 된 것으로 직접 또는 작은 홈의 간극 등을 점검하고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측정 기구는?

  1. 나사 게이지
  2. 블록 게이지
  3. 높이 게이지
  4. 틈새 게이지
(정답률: 70%)
  • 강재의 얇은 편이나 작은 홈의 간극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 기구가 강재와 접촉하여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야 합니다. 이때, 강재와 접촉하여 측정하는 기구 중에서 간격이 작은 틈새를 측정하는 기구가 바로 "틈새 게이지"입니다. 따라서, 강재의 얇은 편이나 작은 홈의 간극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틈새 게이지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V벨트 전동장치에서 정비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풀리의 중심이 일치되어 있지 않다.
  2. 2개의 V벨트 중 한 개가 심하게 늘어나 있다.
  3. V벨트 풀리의 홈이 마모되어 있다.
  4. V벨트의 윗면과 풀리의 상단이 거의 일치되어 있다.
(정답률: 72%)
  • V벨트의 윗면과 풀리의 상단이 거의 일치되어 있지 않은 것은 정비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V벨트가 풀리와 접촉하여 움직이는 부분이기 때문에 일치되어 있지 않아도 작동에 지장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물체의 위에서 내려다 본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은?

  1. 정면도
  2. 평면도
  3. 저면도
  4. 배면도
(정답률: 70%)
  • 물체의 위에서 내려다 본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은 평면에서 그려지기 때문에 "평면도"라고 부릅니다. 다른 도면들은 물체를 다른 각도에서 보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유체의 종류에 따른 기호이다. 틀린 것은?

  1. 공기 : A
  2. 가스 : G
  3. 물 : W
  4. 수증기 : O
(정답률: 70%)
  • 수증기는 기체 상태의 물이므로 기호는 G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증기 : 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부하시간 200시간/월, 정미가동시간 160시간/월이라 하면 설비가동율은 얼마인가?

  1. 70%
  2. 80%
  3. 90%
  4. 100%
(정답률: 71%)
  • 설비가동율은 정미가동시간을 부하시간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입니다. 따라서, (160/200) x 100 = 80%가 됩니다. 즉, 설비가동율은 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리드가 9mm인 3줄 나사의 피치는 얼마인가?

  1. 27mm
  2. 9mm
  3. 6mm
  4. 3mm
(정답률: 57%)
  • 3줄 나사는 3개의 나사가 평행하게 묶여있는 나사이며, 이때 한 나사의 피치가 9mm이므로 3줄 나사의 피치는 3배인 27mm이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7mm"이 아닌 "3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윤활관리 기술자가 담당해야 할 윤활관리 업무가 아닌 것은?

  1. 신설 설비의 윤활관계 검토
  2. 윤활장치의 개조 및 신규 구입
  3. 윤활의 실태조사 및 소비량 관리
  4. 윤활유의 제조 및 제조기술향상
(정답률: 61%)
  • 윤활관리 기술자는 윤활유의 제조 및 제조기술향상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윤활유 제조업체나 연구기관에서 수행하는 업무이기 때문입니다. 윤활관리 기술자는 주로 윤활유의 선택, 사용 및 교체 등 윤활유의 소비량 관리와 윤활장치의 유지보수, 개조 및 신규 구입 등 윤활장치의 관리에 대한 업무를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접착제의 용도별 특성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금속구조용 접착제는 각종 가스 및 유기용제에 대하여 내성이 우수하다.
  2. 금속구조용 접착제는 중량이 적고 강도, 응력의 분산에 용이하다.
  3. 혐기성 접착제는 경량화 금속에 의한 접합보다 중량이 적어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4. 혐기성 접착제는 샌드위치 구조로 접합 시 재료의 경량화 및 강도가 향상된다.
(정답률: 40%)
  • 금속구조용 접착제는 중량이 적고 강도, 응력의 분산에 용이하다는 이유는, 이러한 접착제는 금속 간의 접합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이때 중요한 요소는 접착제의 무게와 강도, 응력 분산 능력이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가진 접착제가 금속 구조물에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기계설비의 1년당 자본비용과 가동비의 합, 즉 연간비용을 평가척도로 하여 이의 대소에 의하여 설비투자정책을 결정하는 방법은?

  1. 자본회수법
  2. 비용비교법
  3. MAPI방식
  4. MATI방식
(정답률: 55%)
  • 비용비교법은 기계설비의 연간비용을 평가척도로 하여 설비투자정책을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자본회수법과 달리 투자한 자본의 회수보다는 연간 운영비용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효율적인 투자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비용비교법이 정답입니다. MAPI방식과 MATI방식은 생산성 지수를 이용하여 설비투자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비용비교법과는 다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설비관리의 필요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설비 규모의 증대
  2. 설비 기술의 고도화
  3. 설비 열화의 추진
  4. 생산 주체의 변화
(정답률: 52%)
  • 설비 열화의 추진은 설비의 상태가 점차 악화되어 가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설비의 유지보수와 교체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설비관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에 설비 규모의 증대, 설비 기술의 고도화, 생산 주체의 변화는 모두 설비 관리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과 같은 유량제어밸브의 사용으로 얻어지는 실린더 운동 속도제어의 장점은 어느 것인가?

  1. 속도 조정이 쉽다.
  2. 급속 운동이 된다.
  3. 순차 작동이 된다.
  4. 원격 제어가 쉽다.
(정답률: 62%)
  • 유량제어밸브를 사용하면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실린더의 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속도 조정이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카운터 밸런스 회로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유압 신호를 공압신호로 전환시키는 일종의 스위치이다.
  2. 회로의 일부에 일정한 배압을 유지 시키고자 할때 사용한다.
  3. 어떤 부분회로의 압력을 주회로의 압력보다 저압으로 해서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4. 주회로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조작의 순서를 제어하는 밸브이다.
(정답률: 47%)
  • 카운터 밸런스 회로는 회로의 일부에 일정한 배압을 유지시키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다른 부분회로에서 발생하는 압력 변화가 주 회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압력 제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드레인 배출방법 중 드레인이 일정량 고이면 자동적으로 배출밸브가 열려 배출되는 것은?

  1. 부구식
  2. 차압식
  3. 수동식
  4. 필터식
(정답률: 44%)
  • 드레인이 일정량 고이면 자동적으로 배출밸브가 열려 배출되는 것은 부구식이다. 이는 부구 내부에 있는 부피가 일정한 공기실이 부구의 수위에 따라 변화하여 작동하는 원리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구식은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정확한 배출량을 조절하기 어렵고 오작동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유압 실린더에서 피스톤 로드를 통한 누설방지를 위해 필요한 것은?

  1. 더스트 와이퍼
  2. 로드패킹
  3. 로드커버
  4. 컵형패킹
(정답률: 65%)
  • 유압 실린더에서 피스톤 로드를 통한 누설방지를 위해 필요한 것은 로드패킹입니다. 로드패킹은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 벽면 사이에 위치하여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고무나 플라스틱 제품입니다. 로드패킹은 실린더 내부에서 발생하는 마찰과 충격을 완화하고,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여 실린더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그림에서 어큐뮬레이터 가까이에 둔 스톱밸브(D)의 용도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충격적인 고압력의 방지
  2. 많은 유량의 일시 이동 방지
  3. 연결 회로의 차단
  4. 오일의 일방통행 유도
(정답률: 38%)
  • 스톱밸브(D)는 어큐뮬레이터와 연결된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연결 회로의 차단"이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압력의 크기가 변해도 같은 유량을 유지 할 수 있는 유량 제어밸브는?

  1. 니이들 밸브
  2. 유량 분류 밸브
  3. 압력 보상 유량 조절밸브
  4. 스로틀 앤드 체크 밸브
(정답률: 70%)
  • 압력 보상 유량 조절밸브는 압력의 크기가 변해도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밸브입니다. 이는 밸브 내부에 압력 보상장치가 있어서, 압력이 변화하면 보상장치가 작동하여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해줍니다. 따라서, 유량 제어에 있어서 안정적인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공기압 모터의 종류의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기어형
  2. 피스톤형
  3. 베인형
  4. 나사형
(정답률: 54%)
  • 기어형, 피스톤형, 베인형은 모두 공기압을 이용하여 회전 운동을 만들어내는 방식이지만, 나사형은 회전 운동이 아닌 직선 운동을 만들어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압축공기가 연속적으로 만들어지는 압축기는?

  1. 2단 피스톤 압축기
  2. 피스톤 압축기
  3. 격판 압축기
  4. 스크루형 압축기
(정답률: 48%)
  • 스크루형 압축기는 회전하는 스크류(나사)와 정지된 스크류(나사) 사이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연속적으로 압축공기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다른 압축기들과는 달리 연속적인 압축이 가능하며, 대용량의 공기 압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점도지수 중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가 가장 적은 것은?

  1. 1
  2. 32
  3. 46
  4. 90
(정답률: 53%)
  • 정답은 "90"입니다. 이유는 점도지수는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변화하는데, "90"은 섭씨 40도부터 100도까지의 범위에서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변화해도 점도가 크게 변하지 않아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회로중의 공기압력이 상승해 갈 때나 하강해 갈때에 설정된 압력이 되면 전기 스위치가 변환되어 압력 변화를 전기신호로 나타나게 한다. 이러한 작동을 하는 기기는?

  1. 릴리프 밸브
  2. 압력 스위치
  3. 시퀀스 밸브
  4. 언로우더 밸브
(정답률: 59%)
  • 주어진 상황에서는 회로 중의 공기압력이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설정된 압력이 되면 전기 스위치가 변환되어 압력 변화를 전기 신호로 나타내는 기기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가진 기기는 바로 "압력 스위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압력 스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유압 실린더의 중간 정지에 사용되는 4/3way 방향제어 밸브 중 가장 확실한 정지가 가능한 형식은?

  1. 세미 오픈 센터형
  2. 클로즈드 센터형
  3. 오프 센터형
  4. 탱크 클로즈드 센터형
(정답률: 61%)
  • 클로즈드 센터형 방향제어 밸브는 중앙 위치에서 모든 유압 유량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확실한 정지가 가능합니다. 이는 유압 실린더가 중간 정지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습니다. 세미 오픈 센터형과 오프 센터형은 중앙 위치에서 유압 유량이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정지가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탱크 클로즈드 센터형은 유압 유량을 탱크로 돌려보내기 때문에 중간 정지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공압 실린더의 속도를 조정하려 한다. 이 때 필요한 밸브는?

  1. 셔틀제어 밸브
  2. 방향제어 밸브
  3. 2압제어 밸브
  4. 유량제어 밸브
(정답률: 60%)
  • 공압 실린더의 속도를 조정하려면 유량제어 밸브가 필요합니다. 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실린더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밸브들은 방향을 제어하거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만,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제어 밸브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금속관의 이음쇠 재료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황동
  2. 고무
  3. 스테인레스강
(정답률: 69%)
  • 고무는 유연성이 뛰어나지만, 강도와 내구성이 부족하여 금속관의 이음쇠 재료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공압 기호의 부품 명칭은?

  1. 공압 작동단동 밸브
  2. 공압 작동복동 밸브
  3. 단동 솔레노이드 밸브
  4. 스프링 작동 밸브
(정답률: 57%)
  • 이 기호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며, 단동식이므로 "단동 솔레노이드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공압용 방향 전환 밸브의 구멍(port)에서 “R" 또 는 ”S"로 나타내는 것은?

  1. 밸브로 진입
  2. 실린더로 진입
  3. 대기로 방출
  4. 탱크로 귀환
(정답률: 48%)
  • “R"은 리턴(반환)을 나타내고, “S"는 서비스(공급)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공압용 방향 전환 밸브의 구멍에서 “R" 또는 ”S"로 나타내는 것은 해당 구멍이 리턴 또는 서비스에 사용되는 것인지를 나타냅니다.

    밸브에서 대기로 방출하는 이유는, 공압 시스템에서는 실린더나 모터 등에서 압축된 공기를 방출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때, 대기로 방출하는 것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대기로 방출하면 압력이 낮아져서 시스템 내부의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압축된 공기를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압용 방향 전환 밸브에서 대기로 방출하는 것은 일반적인 운용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1과 그림2는 전기 제어 회로에서 사용되는 제어용 기기의 특성을 입력(i)과 출력(o) 상태로 표현한 것이다. 이들이 각각 나타내는 것은?

  1. 그림1 : 여자 지연 타이머
    그림2 : 여자 지연 타이머
  2. 그림1 : 소자 지연 타이머
    그림2 : 여자 지연 타이머
  3. 그림1 : 소자 지연 타이머
    그림2 : 소자 지연 타이머
  4. 그림1 : 여자 지연 타이머
    그림2 : 소자 지연 타이머
(정답률: 58%)
  • 그림1은 입력(i)이 들어오면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출력(o)이 발생하는 지연 기능을 가진 제어용 기기이며, 그림2는 입력(i)이 들어오면 바로 출력(o)가 발생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출력(o)가 발생하는 지연 기능을 가진 제어용 기기입니다. 따라서, 그림1은 여자 지연 타이머, 그림2는 소자 지연 타이머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언로딩 밸브를 설명한 것은?

  1. 유압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스위치이다.
  2.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펌프를 무부하 운전되게 한다.
  3. 고압에 의한 막의 파열로 유압기기를 보호한다.
  4. 조작의 순서를 제어하는 밸브이다.
(정답률: 52%)
  • 언로딩 밸브는 펌프가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펌프를 무부하 운전되게 하여 유압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고압에 의한 막의 파열로부터 유압기기를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펌프를 무부하 운전되게 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어펌프에서 폐입 현상 시 발생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고압발생
  2. 베어링 하중 감소
  3. 기어의 진동
  4. 소음발생
(정답률: 63%)
  • 기어펌프에서 폐입 현상이 발생하면 고압이 발생하고 기어의 진동과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베어링 하중은 감소하지 않습니다. 폐입 현상은 유체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이며, 이는 베어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베어링 하중 감소"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프레스(Press)기의 방호 장치가 아닌 것은?

  1. 양수 조작식
  2. 손쳐 내기식
  3. 무릎 조작식
  4. 광전자식
(정답률: 48%)
  • 프레스 기의 방호 장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 작업자가 기계 내부로 손이나 다른 물체를 넣는 것을 방지하거나,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양수 조작식은 작업자가 손으로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손이 기계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합니다.

    손쳐 내기식은 작업자가 작업 중에 손을 빠르게 빼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손이 기계 내부에 갇히는 것을 방지합니다.

    광전자식은 작업자의 손이나 다른 물체가 기계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여 기계를 정지시키는 방식으로, 안전성이 높은 방호 장치입니다.

    하지만 무릎 조작식은 작업자가 무릎으로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작업 중에 작업자의 무릎이 기계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방호 장치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재해방지 기본원칙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대책 선정의 원칙
  2. 손실 우연의 원칙
  3. 예방 가능의 원칙
  4. 통계의 원칙
(정답률: 50%)
  • 정답: "통계의 원칙"

    설명: 재해방지 기본원칙은 대책 선정의 원칙, 손실 우연의 원칙, 예방 가능의 원칙으로 구성됩니다. 이 중 "통계의 원칙"은 재해방지 기본원칙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통계의 원칙은 데이터를 수집, 분석, 해석하는 과정에서 지켜야 할 원칙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는 재해방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전기 기기가 400v가 넘는 저압용의 접지종류는?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률: 51%)
  • 전기 기기가 400v 이상의 전압을 사용할 때는 안전을 위해 접지가 필요합니다. 이때,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기기기가 사용되는 장소가 특수한 경우로, 일반적인 제3종 접지공사로는 안전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전기기기가 사용되는 장소가 폭발 위험이 있는 지역이나 전기기기가 물에 닿을 가능성이 있는 지역 등에서는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사용하여 안전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작업복장 선정 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작업복이 몸에 맞고 동작이 편해야 한다.
  2. 기름 등 가연성 물질의 세탁이 용이해야 한다.
  3. 화기사용 직장에서는 무게를 고려하여 가연성 재질이어야 한다.
  4. 연령, 성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스타일이어야 한다.
(정답률: 59%)
  • 화기사용 직장에서는 무게를 고려하여 가연성 재질이어야 한다는 것은 오히려 유의사항 중에서 가장 위험한 조건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화기사고 발생 시 가연성 재질의 작업복은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방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작업복 선택 시 화기사용 여부를 고려하여 안전한 재질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무재해 운동으로 안전작업 시 나타나는 현상은?

  1. 생산성이 감소된다.
  2. 기업에 경제적 이익을 준다.
  3. 수동적인 직장풍토가 이루어진다.
  4. 제품의 품질이 저하된다.
(정답률: 63%)
  • 무재해 운동으로 안전작업 시 나타나는 현상은 "생산성이 감소된다." 입니다. 그러나 무재해 운동을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면, 안전사고로 인한 인력 손실, 재산 손실 등을 방지할 수 있어 기업에 경제적 이익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유해물을 취급할 때 틀린 사항은?

  1. 유해물이 있는 작업장 내에서는 음식이나 흡연을 삼가한다.
  2. 유해물 취급 중 환풍이나 통풍을 시켜서는 안된다.
  3. 산, 알칼리류를 취급할 때는 몸에 닿지 않도록 한다.
  4. 청산가리는 취급에 주의하여야 한다.
(정답률: 72%)
  • 유해물 취급 중 환풍이나 통풍을 시켜서는 안된다는 것은 유해물질이 외부로 퍼져서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장 내부에서 유해물질을 처리할 때는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하고, 환기나 배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해물질이 외부로 퍼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수공구의 보관방법 중 틀린 것은?

  1. 회전 숫돌은 전용의 정리대에 보관 한다.
  2. 끝이 날카로운 공구는 뚜껑을 씌워 두어야 한다.
  3. 사용한 수공구는 일정한 장소에 보관 한다.
  4. 숫돌은 수분이 있는 곳에 보관하여 강도를 높인다.
(정답률: 74%)
  • 숫돌은 수분이 있는 곳에 보관하여 강도를 높인다는 것은 틀린 정보입니다. 숫돌은 수분이 있는 곳에 보관하면 수분에 의해 부식될 수 있으므로 건조하고 청결한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산업안전의 유지로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 틀린 것은?

  1. 직장의 신회도를 높여준다.
  2. 이직률이 감소된다.
  3. 기업의 투자경비가 증대된다.
  4. 기술의 축적과 품질이 향상된다.
(정답률: 61%)
  • 기업의 투자경비가 증대된다는 것은, 산업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시설, 장비, 교육 등의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산업안전을 유지하는 것이 기업에게 추가적인 비용 부담을 가져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기화재는 몇 급 화재로 분류되는가?

  1. A급
  2. B급
  3. C급
  4. D급
(정답률: 66%)
  • 전기화재는 C급 화재로 분류됩니다. 이는 전기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화재로, 전기기기나 전선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의미합니다. C급 화재는 일반적으로 물 대신 소화제를 사용하여 진압해야 하며, 물을 사용하면 전기적인 충격으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재해예방대책을 수립하여 실천하는 경영자의 바람직한 자세가 아닌 것은?

  1. 경영자는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재해 예방 활동에 노력해야 한다.
  2. 경영자는 생산성을 고려하여 재해예방 활동을 탄력적으로 실시한다.
  3. 경영자는 안전관리를 위한 투자가 일차적인 생산 투자임을 인식해야 한다.
  4. 경영자는 재해를 예방하는 길이 곧 노사관계를 안정시킬 수 있는 지름길임을 인식해야 한다.
(정답률: 48%)
  • 정답: 경영자는 생산성을 고려하여 재해예방 활동을 탄력적으로 실시한다.

    설명: 재해예방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 하나이지만, 이를 위해 생산성을 고려하지 않고 지나치게 많은 비용을 투자하거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방식으로 실시한다면 기업 경쟁력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영자는 재해예방 활동을 탄력적으로 실시하면서도 생산성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설비의 불안전한 상태나 사람의 불안전한 행동에 서 발생하는 결함을 발견하거나 상태를 확인하는 행동 또는 수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분임토의
  2. 안전점검
  3. 생산관리
  4. 경영지원
(정답률: 73%)
  • 안전점검은 설비나 인력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전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수행하는 점검 활동입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 "안전점검"이 정답인 이유는 설비나 인력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전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한 활동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위험점의 5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함정
  2. 행정
  3. 충격
  4. 접촉
(정답률: 58%)
  • 위험점의 5요소는 함정, 충격, 접촉, 에너지, 노출입니다. 행정은 위험점의 5요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행정은 조직이나 국가의 정책, 법률 등을 관리하는 것으로, 위험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