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10-05)

인쇄기능사
(2003-10-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색의 진출, 후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난색계는 한색계보다 진출성이 있다.
  2. 배경색의 채도가 낮은 것에 대하여 높은 색은 진출한다.
  3. 배경색과의 명도차가 큰 밝은 색은 진출한다.
  4. 명도가 높은 색보다 낮은 색은 진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명도가 높은 색보다 낮은 색은 진출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이유는 명도가 높은 색은 눈에 더욱 두드러지기 때문에 배경색과의 대비가 높아져서 진출하지 않고, 낮은 색은 배경색과의 대비가 낮아져서 진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밝은색(흰색)위에서의 회색은 어둡게 보이고 어두운색(흑색)위의 회색은 밝게 보인다. 무슨 대비 현상인가?

  1. 보색대비
  2. 색상대비
  3. 채도대비
  4. 명도대비
(정답률: 알수없음)
  • 이는 "명도대비" 현상입니다. 명도 대비는 색상의 밝기 차이를 의미하며, 밝은 색과 어두운 색의 대비가 높을수록 명도 대비가 크다고 합니다. 따라서 밝은색(흰색)위에서의 회색은 어둡게 보이고 어두운색(흑색)위의 회색은 밝게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pH를 상용 로그로 나타내면 이다. 여기에서 [H+]가 10-1이면 pH는 얼마인가?

  1. pH 7
  2. pH 5
  3. pH 3
  4. pH 1
(정답률: 알수없음)
  • [H+]가 10-1이면 pH는 1이다. 이는 pH와 [H+]가 역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즉, pH가 1이라는 것은 [H+]가 10-1의 값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pH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종이의 pH값으로 보아 잉크의 건조 시간이 가장 짧은 것은?

  1. pH 6.9
  2. pH 5.5
  3. pH 5.0
  4. pH 3
(정답률: 알수없음)
  • 잉크의 건조 시간은 종이의 pH값이 낮을수록 빨라집니다. 따라서 pH값이 가장 높은 "pH 6.9"가 가장 짧은 건조 시간을 가지게 됩니다. 이는 pH값이 높을수록 종이가 덜 산성이기 때문에 잉크가 빨리 흡수되어 건조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pH값이 낮을수록 종이가 더 산성이 되어 잉크가 흡수되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건조 시간이 느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인쇄물의 인쇄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고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비닐액(무색투명)을 사용하는 표면 가공 방법은?

  1. 광택니스칠
  2. 비닐코팅
  3. 비닐필름 입히기
  4. 왁스칠
(정답률: 알수없음)
  • 비닐액은 인쇄물의 표면에 무색투명하게 코팅되어 내구성을 증가시키면서 인쇄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비닐액을 사용한 표면 가공 방법을 비닐코팅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닐코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상오차가 적을수록 이상적인 잉크에 가깝다.
  2. 그레이니스가 적을수록 채도가 높다.
  3. 3색 잉크 중 비교적 이상적인 잉크에 가까운 색은 Magenta색이다.
  4. GATF에서는 반사농도계로 농도값을 측정하고 이것으로부터 색상오차, 회색도, 색효율의 값을 구하여 잉크를 평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2번이 틀린 설명입니다. 그레이니스가 적을수록 채도가 높은 것이 아니라, 그레이니스가 적을수록 색상의 순도가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집니다. 따라서, 3색 잉크 중 비교적 이상적인 잉크에 가까운 색은 Magenta색이라고 설명하는 이유는 Magenta색이 색상오차가 적고, 회색도와 색효율이 높기 때문입니다. GATF에서는 반사농도계로 농도값을 측정하고 이것으로부터 색상오차, 회색도, 색효율의 값을 구하여 잉크를 평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일반적으로 pH값을 측정하는 2가지 방법은?

  1. 지시약에 의한 방법, 전기적 방법
  2. 지시약에 의한 방법, 접촉각에 의한 방법
  3. 전기적 방법, 접촉각에 의한 방법
  4. 이온적 방법, 계면활성제에 의한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지시약에 의한 방법은 pH 지시약을 사용하여 색깔 변화를 통해 pH 값을 측정하는 방법이고, 전기적 방법은 pH 전극을 사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pH 값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정전기에 관한 설명이 맞는 것은?

  1. 전기적으로 중성인 대전체가 전하를 가지게 되는 것으로 전하라고도 함
  2.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
  3. 어떤 물질이 양(+)전기나 음(-)전기를 띠는 현상
  4. 대전에 의하여 얻어진 전하가 절연체 위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정지하고 있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전기는 대전체에 의해 얻어진 전하가 절연체 위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정지하고 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전하가 고정되어 있어서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양(+)전기나 음(-)전기를 띠는 물질에서 발생하는 현상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저항이 50[Ω ]인 도체에 100[V]의 전압을 가할 때,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1. 1[A]
  2. 2[A]
  3. 3[A]
  4. 4[A]
(정답률: 알수없음)
  • 오예! 이 문제는 오전에 배운 오옴의 법칙을 이용해서 풀 수 있어요. 오옴의 법칙은 전압(V) = 전류(A) x 저항(Ω) 이라는 식으로 표현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압과 저항이 주어졌으니, 전류를 구하면 되겠죠? 전압(V)을 저항(Ω)으로 나누면 전류(A)가 나옵니다. 그러면 100[V] ÷ 50[Ω] = 2[A]가 되어서, 정답은 "2[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연포장가공시 주머니 제조법 중 투명재료와 알루미늄박이 들어간 재료를 사용하며, 니크롬선에 순간적으로 전류를 흘려 그 때의 발열로 접착하는 방법은?

  1. 초음파 접착법
  2. 전기 접착법
  3. 열 접착법
  4. 인펄스 접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설명에서는 니크롬선에 순간적으로 전류를 흘려 발열로 접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인펄스 접착법의 특징 중 하나인 "전류를 이용한 발열로 접착"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펄스 접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회로의 합성저항[Ω]은?

  1. 2
  2. 5
  3. 12.5
  4. 15.5
(정답률: 알수없음)
  • 전체 회로는 병렬 저항과 직렬 저항이 연결된 형태입니다.

    우선 병렬 저항인 2Ω와 12.5Ω는 다음과 같이 합쳐집니다.

    2Ω와 12.5Ω의 병렬 저항 = (2 x 12.5) / (2 + 12.5) = 1.6Ω

    그리고 이전에 합쳐진 1.6Ω와 15.5Ω는 직렬 저항으로 연결되어 다음과 같이 합쳐집니다.

    1.6Ω와 15.5Ω의 직렬 저항 = 1.6 + 15.5 = 17.1Ω

    따라서, 전체 회로의 합성저항은 17.1Ω이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5Ω이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합성저항이 아니라, 다른 부분회로의 저항값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2Ω와 12.5Ω의 병렬 저항을 구할 때, 2Ω와 12Ω의 병렬 저항을 계산한 것이 아닐까 추측할 수 있습니다.

    2Ω와 12Ω의 병렬 저항 = (2 x 12) / (2 + 12) = 1.714Ω

    그리고 이전에 합쳐진 1.714Ω와 15.5Ω는 직렬 저항으로 연결되어 다음과 같이 합쳐집니다.

    1.714Ω와 15.5Ω의 직렬 저항 = 1.714 + 15.5 = 17.214Ω

    이 경우, 합성저항은 17.214Ω이 되어 정답이 5Ω가 아닙니다.

    하지만 이는 추측일 뿐이며, 정확한 답을 구하려면 회로도와 전류, 전압 등의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플렉소(flexographic)인쇄에는 주로 어떤 판이 사용되는가?

  1. 감광성수지 볼록판
  2. 스크린 공판
  3. 알루미늄 평판
  4. 그라비어 오목판
(정답률: 알수없음)
  • 플렉소 인쇄에서는 감광성수지 볼록판이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인쇄물의 표면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판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잉크 전달이 용이하며, 고해상도 인쇄가 가능합니다. 또한, 감광성수지를 사용하여 판을 제작하기 때문에 높은 정확도와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실로 맨 속장을 다듬 절단하여 두꺼운 표지로 싸는 제책 방식은?

  1. 호부장
  2. 무선철
  3. 양장
  4. 중철
(정답률: 알수없음)
  • 양장은 책의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해 실로 맨 속장을 다듬 절단하여 두꺼운 표지로 싸는 제책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양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인쇄방식 중 광화학에 의한 평판식 인쇄에 가장 알맞는 것은?

  1. 석판 인쇄
  2. 금속평판 인쇄
  3. 전기판에 의한 인쇄
  4. 콜로타이프법에 의한 인쇄
(정답률: 알수없음)
  • 광화학에 의한 평판식 인쇄는 인쇄물의 이미지를 평판에 각인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콜로타이프법은 이러한 방식 중 하나입니다. 콜로타이프법은 광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평판에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고해상도와 정확한 색감 표현이 가능하며 대량 생산에도 적합합니다. 따라서 광화학에 의한 평판식 인쇄에 가장 알맞은 방식은 콜로타이프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라비어 인쇄물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속건성잉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속인쇄를 할 수있다.
  2. 인쇄할 때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없다.
  3. 포지티브 필름만 있으면 언제든지 다시 제판할 수있다.
  4. 두루마리 용지를 사용하여 인쇄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그라비어 인쇄는 고속인쇄를 할 수 있는 속건성잉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습니다. 속건성잉크는 빠른 인쇄속도를 가능하게 하지만, 인쇄할 때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원색 인쇄 잉크 중에서 광택에 중점을 두고 제조한 잉크는?

  1. 퀵셋트 잉크
  2. 수지형 잉크
  3. 글로스 잉크
  4. 아마인유형 잉크
(정답률: 알수없음)
  • 원색 인쇄 잉크 중에서 광택에 중점을 두고 제조한 것은 "글로스 잉크"입니다. 이는 잉크에 광택제를 첨가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어 광택을 높인 것입니다. 따라서 인쇄물의 질감과 빛의 반사율을 높여 선명하고 생동감 있는 인쇄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잉크의 조성 중 비히클(Vehicle)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잉크의 유동성 부여
  2. 안료를 분산 시킴
  3. 잉크 피막 형성
  4. 잉크 농도 부여
(정답률: 알수없음)
  • 잉크의 유동성, 안료 분산, 잉크 피막 형성은 모두 비히클의 역할로서, 잉크의 특성을 조절하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잉크 농도 부여는 비히클의 역할이 아닙니다. 잉크 농도는 잉크 안에 포함된 안료의 양에 따라 결정되며, 비히클은 안료를 분산시키고 유동성을 부여하여 안료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잉크 농도 부여는 안료의 양을 조절하여 이루어지며, 비히클의 역할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잉크 사용량과 가장 관계없는 것은?

  1. 판의 화선면적
  2. 종이질
  3. 인쇄량
  4. 종이 두께
(정답률: 알수없음)
  • 잉크 사용량은 인쇄량과 판의 화선면적에 영향을 받으며, 종이질에 따라서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종이 두께는 인쇄 과정에서 잉크가 흡수되는 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종이 두께는 잉크 사용량과 가장 관계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종이를 순백 불투명으로 치밀, 평활하게 하는 공정은?

  1. 고해
  2. 초지
  3. 전충
  4. 사이징
(정답률: 알수없음)
  • 종이를 순백 불투명으로 치밀하고 평활하게 만드는 공정은 전충공정입니다. 전충공정은 종이 표면에 전충액을 도포하여 전기적으로 충전시켜 전하를 가진 입자들이 종이 표면에 밀착되어 평활하고 불투명한 표면을 만들어주는 공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제지과정 중 사이징(sizing)이란?

  1. 펄프를 물속에서 기계적으로 분산시키는 조작
  2. 섬유사이의 틈을 광물질의 분말로 메우는 조작
  3. 섬유에 소수성을 갖게 하는 조작
  4. 윤내는 작업 과정
(정답률: 알수없음)
  • 사이징은 제지과정 중 섬유에 소수성을 부여하여 인쇄용지나 산업용지 등의 특정 용도에 맞게 제조하기 위한 조작입니다. 이를 통해 용지의 인쇄성, 내구성, 흡수성 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섬유에 소수성을 갖게 하는 조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컴파운드(compound)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잉크의 작용과 굳음을 개선한다.
  2. 뒤묻음, 달라 붙음, 뜯김 등의 사고를 방지한다.
  3. 컴파운드를 많이 넣어 잉크의 건조를 촉진시킨다.
  4. 니스의 응집성과 점착성을 감소시켜 겔 형성을 방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컴파운드는 잉크의 작용과 굳음을 개선하며, 뒤묻음, 달라 붙음, 뜯김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컴파운드를 많이 넣으면 잉크의 건조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이는 컴파운드의 역할이 아닙니다. 또한, 니스의 응집성과 점착성을 감소시켜 겔 형성을 방지하는 것도 컴파운드의 역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인쇄된 종이의 불투명도 부족 때문에 인쇄된 부분이 뒷면에 비쳐 보이는 것은?

  1. Strike through
  2. Show through
  3. Piling
  4. Picking
(정답률: 알수없음)
  • 인쇄된 종이의 불투명도 부족으로 인해 뒷면에 비쳐 보이는 현상을 "Show through"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평판(PS판)에 주로 사용하는 판재는?

  1. 강철판
  2. 고무판
  3. 수지판
  4. 알루미늄판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판은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높아서 PS판 제작에 적합합니다. 또한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S판 제작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알루미늄판의 표면처리제로 사용되는 것은?

  1. 크로나크액
  2. 브루낙액
  3. 아라비아 고무액
  4. 나이탈액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은 공기 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표면이 부식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판의 표면을 보호하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처리를 해야 합니다. 이때 브루낙액은 알루미늄의 표면을 청소하고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알루미늄판의 표면처리제로 브루낙액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주로 잉크의 점도가 강하고 종이의 표면강도가 낮아 발생되는 것은?

  1. 고스트(Ghost)
  2. 피킹(Picking)
  3. 히키(Hicky)
  4. 모틀링(Mottling)
(정답률: 알수없음)
  • 잉크의 점도가 강하고 종이의 표면강도가 낮을 경우, 인쇄과정에서 잉크가 종이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때 잉크가 종이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면서 일부분이 종이 표면에 끌려가는 현상을 피킹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킹(Pick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평판잉크가 구비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농도가 높을 것
  2. 물에 잘 녹고 화학적 변화가 적을 것
  3. 올바른 색상을 가질 것
  4. 광택이 있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평판잉크가 구비할 조건 중 "물에 잘 녹고 화학적 변화가 적을 것"은 중요한 조건입니다. 이는 인쇄 과정에서 잉크가 물과 섞이기 쉬워야 하며, 노출과정에서도 화학적 변화가 적어야 인쇄물의 품질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평판잉크의 기본적인 특성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축임물 pH의 조절을 위하여 사용되는 용액은?

  1. 인산
  2. 염산
  3. 수산화나트륨
  4. 암모니아수
(정답률: 알수없음)
  • 인산은 산성 용액에서 중요한 버퍼 역할을 하며, pH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축임물 pH의 조절을 위해 인산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오프셋 인쇄시 축임물을 사용하는 까닭은?

  1. 잉크 건조의 촉진
  2. 잉크의 유화 촉진
  3. 잉크 농도의 유지
  4. 비화선부의 잉크 묻음 방지
(정답률: 알수없음)
  • 오프셋 인쇄시 축임물을 사용하는 이유는 비화선부의 잉크 묻음 방지입니다. 축임물은 인쇄물과 인쇄원판 사이에 끼워져 인쇄물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주고, 이로 인해 인쇄물 표면에 잉크가 고르게 분포되어 묻지 않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높은 순도의 화학 펄프를 사용, 감광제에 악영향을 주는 물질을 포함하지 않도록 초지한 원지에 순도가 높은 황산바륨(BaSO4)안료와 젤라틴으로 되는 도료를 도포하여 만들며 강광택기로 가공한 매끄러운 종이로서 사진 인화지용 원고로 사용되는 것은?

  1. 크라프트지
  2. 증권용지
  3. 버라이터지
  4. 모조지
(정답률: 알수없음)
  • 문제에서 설명한 종이는 감광제에 악영향을 주는 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순도가 높은 황산바륨안료와 젤라틴으로 되는 도료를 도포하여 만들어진 매끄러운 종이이다. 이러한 특징은 사진 인화지용 원고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이 종이를 사용하여 인화한 사진은 매우 선명하고 고화질이다. 이 종이의 이름은 "버라이터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세밀한 망점판 인쇄시 가장 중요시 되는 종이의 물리적인 성질은?

  1. 인열강도
  2. 평활도
  3. 내절강도
  4. 인장강도
(정답률: 알수없음)
  • 세밀한 망점판 인쇄에서는 인쇄된 이미지가 매우 작기 때문에 종이의 평활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평활도란 종이 표면의 균일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종이 표면이 부드럽고 균일하면 인쇄된 이미지가 더 선명하고 정확하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세밀한 망점판 인쇄에서는 평활도가 높은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자동 인쇄기에 있어 공통점이 아닌 것은?

  1. 자동급지 장치가 부속되어 있다.
  2. 자동정지 장치가 있다.
  3. 조작이 쉽다.
  4. 속도가 빠르므로 정밀도가 낮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속도가 빠르므로 정밀도가 낮다는 것은, 인쇄 작업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일부 정확성을 희생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자동 인쇄기는 빠른 속도로 인쇄를 처리할 수 있지만, 인쇄물의 정확성이나 세부적인 디테일에 대한 정밀도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오프셋 인쇄기의 주요 3통에 들지 않는 것은?

  1. 판통
  2. 압통
  3. 잉크통
  4. 블랭킷통
(정답률: 알수없음)
  • 판통, 압통, 블랭킷통은 모두 인쇄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이지만, 잉크통은 인쇄기에 잉크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별도의 잉크 공급 장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주요 3통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진공식 급지기 중 버클러(buckler)가 있는 피더는?

  1. 덱스터 피더
  2. 유니버설 피더
  3. 로우터리 피더
  4. 스트림 피더
(정답률: 알수없음)
  • 버클러는 검술에서 방어를 위해 사용하는 작은 방패이며, 덱스터 피더는 검술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캐릭터로서, 버클러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오프셋 윤전기에 사용하는 건조기의 일반적인 방식이 아닌 것은?

  1. 직화방식
  2. 열풍방식
  3. 냉풍습풍병용방식
  4. 직화열풍병용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오프셋 윤전기에서는 인쇄된 종이가 빠르게 건조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열풍이나 직화방식의 건조기가 사용됩니다. 그러나 냉풍습풍병용방식은 건조기 내부에 냉방장치와 습도조절장치가 함께 설치되어 있어서, 건조한 공기를 냉각하고 습도를 조절하여 인쇄된 종이를 빠르게 건조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일반적인 방식과는 다르게 건조기 내부에 냉방장치와 습도조절장치가 함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식과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3통의 인쇄 유닛을 일렬로 배치하여 한쪽에서 종이를 통과시켜 차례대로 중첩 인쇄를 하게 되어 있는 오프셋 윤전기의 형식은?

  1. 오픈형
  2. 드럼형
  3. B-B형
  4. 2통형
(정답률: 알수없음)
  • 오프셋 윤전기의 인쇄 유닛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어 종이가 한쪽에서 통과하면서 중첩 인쇄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인쇄 유닛이 열린 상태로 종이가 통과하기 때문에 "오픈형"이라고 부릅니다. 다른 형식인 드럼형은 인쇄 유닛이 회전하는 드럼 형태로 되어 있고, B-B형은 두 개의 인쇄 유닛이 서로 마주보이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2통형은 인쇄 유닛이 두 개만 있는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판을 실린더에 걸 때 옳지 않은 작업 방법은?

  1. 판두께를 잰다.
  2. 실린더의 기준선에 맞추어서 건다.
  3. 판이 늘어나지 않도록 조인다.
  4. 판 조임쇠를 양끝에서 중앙으로 조여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판 조임쇠를 양끝에서 중앙으로 조여온다는 작업 방법은 판을 실린더에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판을 불규칙하게 늘어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옳지 않은 작업 방법입니다. 판을 실린더에 걸 때는 판 조임쇠를 실린더 양쪽 끝에서부터 조여서 판을 고정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에서 급유를 함으로서 나타나는 효과가 아닌것은?

  1. 감마(減磨)효과
  2. 냉각(冷却)효과
  3. 응력분산 효과
  4. 계면장력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계면장력 효과는 급유를 함으로서 나타나는 효과가 아닙니다. 계면장력은 물과 공기 등 서로 다른 물질이 만나는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힘으로, 이는 물체가 물 속에서 움직일 때 저항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급유를 함으로서 나타나는 효과 중에서는 감마효과, 냉각효과, 응력분산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통꾸밈의 기준이 되는 것은?

  1. 베어러
  2. 기어
(정답률: 알수없음)
  • 통꾸밈의 기준은 기어와 베어러의 맞물림입니다. 베어러는 회전하는 축과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품이며, 기어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통꾸밈의 기준이 되는 것은 기어와 베어러의 맞물림이며, 이 중에서 베어러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답은 "베어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디크네스(thickness) 게이지로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베어러와 베어러와의 간격
  2. 판통과 습수 묻힘롤러와의 접촉 상태
  3. 패킹의 두께
  4. 롤러와의 접촉 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패킹의 두께는 디크네스 게이지로 측정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는 패킹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패킹은 압력이 가해지면 압축되어 두께가 줄어들고, 압력이 풀리면 다시 복원되어 두께가 늘어납니다. 따라서 패킹의 두께는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만 측정할 수 있으며, 디크네스 게이지로는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블랭킷의 세척액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클리너
  2. 사염화탄소
  3. 아세톤
  4. 이황화탄소
(정답률: 알수없음)
  • 블랭킷은 일반적으로 섬유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세척액으로는 섬유에 해를 끼치지 않는 클리너가 가장 적합합니다. 사염화탄소, 아세톤, 이황화탄소는 모두 강력한 화학물질로, 섬유를 손상시키거나 변색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블랭킷의 세척액으로는 클리너가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그리퍼 조절불량으로 인한 고장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맞춤불량
  2. 종이의 찢어짐
  3. 해상력 저하
  4. 종이의 주름발생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리퍼 조절불량은 종이를 제대로 잡지 못하거나 너무 강하게 잡아 찢어지거나 주름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맞춤불량", "종이의 찢어짐", "종이의 주름발생"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해상력 저하"는 그리퍼의 조절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해상력 저하"가 가장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롤러가 번들번들 해져서 잉크가 잘오르지 않는 현상은?

  1. 뒷묻음(setoff)
  2. 쵸킹(chalking)
  3. 스커밍(scumming)
  4. 그레이징(greasing)
(정답률: 알수없음)
  • 롤러가 번들번들 해져서 잉크가 잘 오르지 않는 현상은 그레이징(greasing)입니다. 이는 롤러 표면에 잉크가 충분히 밀착하지 않고 일부분이 미끄러져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롤러 표면에 기름 또는 윤활제가 묻어있을 때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인쇄물에 일관된 색상이 나오지 않고, 인쇄물 표면에 기름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안전작업이 필요한 이유 중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2. 생산성이 감소된다.
  3. 설비의 손실을 감소할 수 있다.
  4. 생산재의 손실을 감소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작업은 인명피해를 예방하고 설비 및 생산재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생산성이 감소된다는 이유는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오프셋 인쇄기 중 인쇄하기 전에 종이를 추리거나 꺽지 않아도 되는 기계는?

  1. 오프셋 교정기
  2. 단색 매엽인쇄기
  3. 두루마리 윤전인쇄기
  4. 8절 소형인쇄기
(정답률: 알수없음)
  • 두루마리 윤전인쇄기는 종이를 미리 추리거나 꺽지 않고도 인쇄할 수 있는 기계입니다. 종이를 두루마리 형태로 공급하고, 인쇄 후 자동으로 잘라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이를 따로 처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인쇄하기 전에 종이를 추리거나 꺽지 않아도 되는 기계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배지장치에서 종이추림을 어렵게 하는 원인은?

  1. 축임물이 많아서
  2. 종이 탄성이 강해서
  3. 잉크 건조가 빨라서
  4. 종이 평활도가 높아서
(정답률: 알수없음)
  • 배지장치에서 종이추림을 어렵게 하는 원인은 "축임물이 많아서"입니다. 즉, 종이가 접히거나 구부러져서 배지장치에 잘 들어가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종이가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두루마리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은?

  1. 댄서롤러
  2. 유니트
  3. 루프
  4. 미터링롤러
(정답률: 알수없음)
  • 두루마리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은 댄서롤러입니다. 댄서롤러는 두루마리를 통과할 때 두루마리의 장력을 조절하여 균일한 장력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유니트는 두루마리의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루프는 두루마리를 연결하여 순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미터링롤러는 두루마리의 길이를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블랭킷(blanket)통이나 판통에 패킹을 하는 이유가 아닌것은?

  1. 각 실린더의 표면회전속도를 같게 하기 위해서
  2. 적당한 인쇄 압력을 주기 위해서
  3. 판통과 묻힘롤러간에 적당한 탄력성을 주기 위해서
  4. 블랭킷통에 알맞는 탄력성을 주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블랭킷(blanket)통이나 판통에 패킹을 하는 이유는 "적당한 인쇄 압력을 주기 위해서"입니다. 패킹은 인쇄물과 블랭킷 사이에 공간을 채우고 압력을 조절하여 인쇄물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고,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판통과 묻힘롤러간에 적당한 탄력성을 주는 것은 롤러와 판통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급지가 되어 종이가 줄면 적지대가 일정한 위치에 까지 자동적으로 조절이 되도록 하는 기구는?

  1. 래칫기어
  2. 레벨러
  3. 블러워
  4. 빗바퀴
(정답률: 알수없음)
  • 레벨러는 수평을 맞추는 도구로, 급지가 되어 종이가 줄면 적지대가 일정한 위치에 까지 자동적으로 조절이 되도록 수평을 맞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레벨러가 정답입니다. 래칫기어는 래치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기계요소, 블러워는 공기를 불어내는 기계, 빗바퀴는 이빨 모양의 물건을 움직이는 데 사용되는 기계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본인쇄 중의 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

  1. 잉크량의 과부족
  2. 가늠상태
  3. 더러움
  4. 색배합
(정답률: 알수없음)
  • 색배합은 본인쇄의 점검 사항 중 하나입니다. 색배합이란 인쇄물에서 사용되는 색상들의 조합이나 배치를 의미합니다. 적절한 색배합은 인쇄물의 시각적 효과를 높이고,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디자인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색배합은 인쇄물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오프셋 인쇄기의 구조를 3부분으로 나눈 것은?

  1. 급지부,인쇄부,배지부
  2. 판통,블랭킷통,압통
  3. 습수장치,잉크장치,판걸이장치
  4. 동력전달장치,습수장치,잉크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오프셋 인쇄기의 구조는 인쇄 전 과정, 인쇄 과정, 인쇄 후 과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급지부"는 인쇄 전 과정에서 용지를 공급하는 부분, "인쇄부"는 실제 인쇄가 이루어지는 부분, "배지부"는 인쇄 후 과정에서 인쇄된 용지를 정리하고 배출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급지부,인쇄부,배지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별도의 습수 Roller가 없이 물과 잉크가 동시에 공급되는 장치는?

  1. 연속 축임물 장치
  2. 달그렌 축임물 장치
  3. 재래식 축임물 장치
  4. 솔 축임물 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달그렌 축임물 장치는 물과 잉크가 함께 공급되는 장치로, 습수 Roller가 없이도 인쇄물에 충분한 습도와 잉크가 공급됩니다. 이는 잉크와 물이 섞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가능합니다. 따라서 별도의 습수 Roller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습수(濕水)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알맞는 pH를 유지하여 잉크의 더러움을 방지
  2. 습수의 온도를 콘트롤하여 저온(低溫)을 유지, 판의 더러움을 방지
  3. 습수에 혼입하는 더러움, 기름끼 등을 여과하여 인쇄 중에 항상 깨끗한 물을 공급
  4. 습수의 량을 적게하여 판의 피로도를 억제, 내쇄력을 증진시킴
(정답률: 알수없음)
  • 알맞는 pH를 유지하여 잉크의 더러움을 방지, 습수의 온도를 콘트롤하여 저온을 유지하여 판의 더러움을 방지, 습수에 혼입하는 더러움, 기름끼 등을 여과하여 인쇄 중에 항상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것은 모두 습수의 역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습수의 량을 적게하여 판의 피로도를 억제, 내쇄력을 증진시킴"입니다. 이는 습수의 역할이 아니라 판의 내구성과 인쇄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인쇄 기술적인 요소입니다. 습수의 양을 적게 함으로써 판의 마모를 줄이고, 인쇄 시간을 단축하여 내쇄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인쇄 장치를 1세트(set)갖춘 기계로서 매엽지로 1회 종이를 통과 시켜 한쪽면만 인쇄가 되었다면 기계의 명칭이 어떻게 되는가?

  1. 매엽 단색 인쇄기
  2. 윤전 다색 off set 인쇄기
  3. 매엽 양면 인쇄기
  4. 양면 다색 인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매엽 단색 인쇄기"입니다.

    이유는 매엽지로 1회 종이를 통과시켜 한쪽면만 인쇄하는 것으로 보아, 매엽지를 사용하는 인쇄기이며 단색으로만 인쇄가 가능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엽 단색 인쇄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인쇄기계 전반의 정비사항 중 매일 점검을 하지 않아도 되는 곳은?

  1. 인쇄기계의 주변 정리
  2. 인쇄기계 공구의 정리
  3. 전류치, 압력, 온도 확인
  4. 주모터의 그리스 급유
(정답률: 알수없음)
  • 주모터의 그리스 급유는 일반적으로 일주일에 한 번 정도만 필요하며, 매일 점검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는 일정한 양으로 공급되어야 하지만, 매일 급유할 필요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인쇄 도중에 발생하는 기계의 진동 원인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계의 수평이 맞지않음
  2. 실린더가 평행하지 않음
  3. 축임물의 부족
  4. 기계의 현재 성능에 비해서 회전이 너무 빠름
(정답률: 알수없음)
  • 축임물의 부족은 인쇄 도중에 발생하는 기계의 진동 원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인쇄기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인 축임물이 부족하여 기계의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기계의 정확한 조정과 관련된 문제로 인쇄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 원인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접지 장치의 요소가 아닌 것은?

  1. 슬리터(sliter)
  2. 터닝바(turning bar)
  3. 포머(former)
  4. 스윙그리퍼(swing gripper)
(정답률: 알수없음)
  • 접지 장치는 슬리터, 터닝바, 포머와 같은 장치들과 함께 사용되는데, 스윙그리퍼는 접지 작업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스윙그리퍼는 로봇이나 자동화 시스템에서 부품을 잡거나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따라서 접지 작업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판 또는 블랭킷의 표면에 딱딱한 물질이 부착되어 주위에 흰 줄로 나타나는 현상은?

  1. 히키(hickey)
  2. 피킹(picking)
  3. 스티킹(sticking)
  4. 고스트(ghost)
(정답률: 알수없음)
  • 판 또는 블랭킷의 표면에 딱딱한 물질이 부착되어 주위에 흰 줄로 나타나는 현상은 "히키(hickey)"입니다. 이는 부착된 물질이 판 또는 블랭킷의 표면을 눌러서 표면에 진공이 생기고, 이 진공이 끌어당겨서 흰 줄이 생기는 것으로 비유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인쇄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스위치를 순서대로 표시한 것은?

  1. 저속 스위치-준비 스위치-완동 스위치-고속 스위치
  2. 완동 스위치-준비 스위치-저속 스위치-고속 스위치
  3. 준비 스위치-완동 스위치-저속 스위치-고속 스위치
  4. 완동 스위치-저속 스위치-준비 스위치-고속 스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준비 스위치-완동 스위치-저속 스위치-고속 스위치" 입니다.

    인쇄기를 작동시키기 전에는 준비 스위치를 눌러 준비상태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완동 스위치를 눌러 인쇄기를 가동시킵니다. 이후 저속 스위치를 눌러 인쇄기를 저속으로 회전시키고, 필요에 따라 고속 스위치를 눌러 인쇄기를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준비 스위치-완동 스위치-저속 스위치-고속 스위치"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잉크 장치에서 일상적으로 점검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잉크 묻힘롤러와 판 사이의 접촉 압력
  2. 이전의 인쇄 작업에서 사용한 잉크의 세척 상태
  3. 몰턴의 세척 상태
  4. 고무롤러의 표면 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몰턴은 잉크를 저장하는 용기이므로 세척 상태를 점검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기계에 사용하는 안전 커버의 설치 목적이 아닌것은?

  1. 가공물이나 공구 등의 낙하에 의한 위험 방지
  2. 위험 부위에 인체의 접촉 또는 접근 방지
  3. 주유나 검사의 편리성
  4. 방음 및 집진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 커버의 설치 목적은 위험 부위에 인체의 접촉 또는 접근 방지, 가공물이나 공구 등의 낙하에 의한 위험 방지, 방음 및 집진입니다. 주유나 검사의 편리성은 안전 커버의 설치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