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3-16)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2003-03-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제작법

1. 연삭 숫돌의 파손 원인이 아닌 것은?

  1. 숫돌과 공작물, 숫돌과 지지대간에 불순물이 끼었을 경우
  2. 숫돌이 과도한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3. 숫돌의 측면을 공작물로 심하게 삽입됐을 경우
  4. 숫돌이 진원이 아닐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삭 숫돌은 회전하면서 공작물과 마찰을 일으켜 연마하는데, 이 때 숫돌과 공작물, 숫돌과 지지대간에 불순물이 끼어 파손될 수 있습니다. 또한 숫돌이 과도한 고속으로 회전하거나, 숫돌의 측면을 공작물로 심하게 삽입될 경우에도 파손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숫돌이 진원이 아닐 경우에는 파손되지 않습니다. 진원은 숫돌의 회전 중심을 말하며, 이 부분은 고정되어 있어서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어미자의 최소눈금이 0.5mm이고 아들자 24.5mm를 25등분한 버니어캘리퍼스의 최소측정값은 ?

  1. 0.05mm
  2. 0.01mm
  3. 0.025mm
  4. 0.02mm
(정답률: 알수없음)
  • 아들자를 25등분하면 각 등분은 24.5mm / 25 = 0.98mm 이다. 따라서 버니어캘리퍼스의 최소측정값은 이 값보다 작아야 한다. 보기 중에서 0.02mm가 가장 작은 값이므로 정답이다. 이유는 0.02mm는 0.5mm의 1/25로 나누어 떨어지기 때문이다. 즉, 버니어캘리퍼스의 최소측정값이 0.02mm라면 아들자를 25등분하여 측정할 수 있고, 각 등분은 어미자의 최소눈금인 0.5mm의 1/25로 나누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만네스만식 제관법은 다음의 어느 제관법에 속하는가?

  1. 단접관법
  2. 용접관법
  3. 천공법(piercing process)
  4. 오무리기법(cupping process)
(정답률: 알수없음)
  • 만네스만식 제관법은 천공법(piercing process)에 속합니다. 이는 원료 금속 시트를 구멍을 뚫어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는 방법으로, 다른 제관법에 비해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연삭작업에서 눈메꿈(loading)을 일으킨 칩을 제거하여 깎임새를 회복시키는 작업은?

  1. 드레싱(dressing)
  2. 보딩(boarding)
  3. 크러싱(crushing)
  4. 셰이핑(shaping)
(정답률: 알수없음)
  • 드레싱(dressing)은 연삭작업에서 발생한 눈메꿈(loading)을 일으킨 칩을 제거하여 연삭면을 깨끗하게 만들고, 깎임새를 회복시키는 작업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드레싱(dressing)이다. 보딩(boarding)은 나무를 평평하게 만드는 작업, 크러싱(crushing)은 분쇄하는 작업, 셰이핑(shaping)은 모양을 만드는 작업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나사의 측정 대상이 아닌 것은?

  1. 유효지름
  2. 리드각
  3. 산의 각도
  4. 피치
(정답률: 알수없음)
  • 리드각은 나사의 측정 대상이 아닙니다. 나사의 리드각은 나사의 나선 모양을 결정하는 값으로, 피치와 함께 나사의 기하학적 특성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나사의 측정 대상으로는 유효지름, 산의 각도, 피치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ø 40의 연강봉에 리드(lead)240mm의 비틀림 홈을 밀링에서 깎고자 한다. 이 때 테이블은 몇도 몇분 회전시켜야 하는가?

  1. 약 27° 38′
  2. 약 35° 48′
  3. 약 42° 51′
  4. 약 50° 06′
(정답률: 알수없음)
  • 비틀림 홈은 원통형태이므로 밀링 작업 시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시켜야 한다. 이 각도는 비틀림 홈의 길이와 지름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는 리드가 240mm이고, 연강봉의 지름이 40mm이므로 비틀림 홈의 길이는 240mm이고, 지름은 40mm이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회전각을 계산할 수 있다.

    회전각 = (180 / π) * (2 * arctan(비틀림 홈 길이 / (2 * 지름)))

    여기서 π는 원주율을 나타내며, arctan은 역탄젠트 함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회전각 = (180 / π) * (2 * arctan(240 / (2 * 40))) = 약 27° 38′

    따라서, 정답은 "약 27° 3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선삭(turning)작업에서 일반적으로 하지 않는 것은?

  1. 기어가공작업
  2. 나사깎기
  3. 테이퍼작업
  4. 널링
(정답률: 알수없음)
  • 선삭(turning)작업은 회전하는 원통형 물체를 가공하는 작업으로, 기어가공작업은 회전하는 원통형 물체에 기어를 가공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선삭작업에서 일반적으로 하지 않는 것은 기어가공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압연가공에서 강판을 압연할 때, 사용하는 롤러(roller)는?

  1. 원통형 roller
  2. 홈형 roller
  3. 개방형 roller
  4. 밀폐형 roller
(정답률: 알수없음)
  • 압연가공에서 강판을 압연할 때 사용하는 롤러는 원통형 roller입니다. 이는 강판의 두께와 너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강판이 롤러를 통과할 때 일정한 압력을 가하면서 압연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원통형 roller는 강판의 표면을 부드럽게 처리하여 표면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프레스가공 방식에서 상하형이 서로 무관계한 요철(凹凸)을 가지고 있으며 재료를 압축함으로써 상하면상에는 다른 모양의 각인(刻印)이 되는 가공법은?

  1. 코이닝 가공(coining work)
  2. 굽힘가공(bending work)
  3. 엠보싱가공(embossing work)
  4. 드로잉가공(drawing work)
(정답률: 알수없음)
  • 코이닝 가공은 상하면상이 서로 다른 요철을 가지고 있으며, 재료를 압축하여 상하면상에 각인을 만드는 가공법입니다. 이는 상하면상이 서로 무관계하기 때문에 재료를 압축함으로써 각인을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코이닝 가공은 상하면상이 다른 부품을 만들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파이프끼리 서로 맞대기 용접을 하는데 가장 좋은 용접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1. 가스 압접
  2. 플래시버트 용접(flash butt welding)
  3. 고주파 유도 용접
  4. 초음파 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고주파 유도 용접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가열하고 용접하는 방식으로, 용접 부위에 직접적인 압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용접 부위가 왜곡되지 않고 깔끔한 용접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용접 시간이 짧고 열 영향 영역이 작아서 파이프의 미세구조가 변형되지 않아 파이프의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이프끼리 서로 맞대기 용접을 할 때 가장 좋은 용접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고주파 유도 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경도가 가장 큰 열처리 조직은?

  1. 오스테나이트(austenite)
  2.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3. 솔바이트(sorbite)
  4. 펄라이트(pearlite)
(정답률: 알수없음)
  • 마르텐사이트는 경도가 가장 높은 열처리 조직 중 하나입니다. 이는 마르텐사이트가 강한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마르텐사이트는 강한 경화 과정을 거쳐 생성되며, 이 과정에서 원자들이 빠르게 움직이면서 결정 구조가 형성됩니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마르텐사이트는 경도가 높아지며, 따라서 매우 단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조직으로 만들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스프링 백(spring back)이란?

  1. 스프링에서 장력의 세기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2. 스프링의 피치를 나타낸다.
  3. 판재를 구부릴 때 하중을 제거하면 탄성에 의해 약간 처음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다.
  4. 판재를 구부렸을 때 구부린 모양이 활 모양으로 되는 현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프링 백은 판재를 구부릴 때 하중을 제거하면 탄성에 의해 약간 처음 상태로 돌아가는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직류 아크용접에서 모재에 (+)극, 용접봉에 (-)극을 연결하여 용접할 때의 극성은?

  1. 역극성
  2. 정극성
  3. 용극성
  4. 모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 아크용접에서 모재에 (+)극, 용접봉에 (-)극을 연결하여 용접할 때의 극성은 "정극성"이다. 이는 모재가 양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모재에 양극성을 부여하면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용접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모재에 (+)극, 용접봉에 (-)극을 연결하여 용접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공작물 고정 장치가 없는 지그는?

  1. 템플릿 지그(template jig)
  2. 플레이트 지그(plate jig)
  3. 앵글플레이트 지그(angle plate jig)
  4. 테이블 지그(table jig)
(정답률: 알수없음)
  • 템플릿 지그는 고정 장치가 없는 지그로, 작업 대상물의 형태에 맞게 만들어진 템플릿을 이용하여 작업 대상물을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작업 대상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템플릿을 사용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소성가공에서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을 구분하는 온도는?

  1. 금속이 녹는 온도
  2. 변태점 온도
  3. 발광 온도
  4. 재결정 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재결정 온도는 금속의 결정 구조를 재배열하는 온도로,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을 구분하는 기준이 됩니다. 열간가공은 재결정 온도 이상에서 이루어지며, 냉간가공은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재결정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줄 눈금의 크기 표시가 맞는 것은?

  1. 1[㎜]2내에 있는 눈금의 수
  2. 1[㎜]에 대한 눈금의 수
  3. 1[inch]에 대한 눈금의 수
  4. 1[inch]2내에 있는 눈금의 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inch]에 대한 눈금의 수"입니다. 이유는 인치(inch)는 미국과 일부 영국에서 사용하는 길이 단위이며, 1인치는 2.54cm입니다. 따라서 1인치에 대한 눈금의 수를 알면 해당 길이를 쉽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 1[㎜]에 대한 눈금의 수나 1[inch]^2내에 있는 눈금의 수는 측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호닝(honing)작업에서 옳지 않은 것은?

  1. 가공시간이 짧다.
  2. 진원도 및 직선도를 바로 잡을 수 있다.
  3. 크기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다.
  4. 표면 정밀도를 향상시키지 못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호닝 작업은 표면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작업이기 때문에 "표면 정밀도를 향상시키지 못한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배럴가공(barrel finishing)을 하면 여러가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연삭의 효과
  2. 스케일 제거
  3. 버니싱(burnishing) 작용
  4. 도금의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배럴가공은 연삭의 효과, 스케일 제거, 버니싱 작용을 통해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광택을 높이며, 도금의 효과는 아니다. 배럴가공은 표면처리 기술 중 하나로, 작은 구슬이나 샌드페이퍼 등을 함께 회전시켜 표면을 마무리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표면의 거칠기를 줄이고 광택을 높이며, 동시에 스케일과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표면을 만든다. 하지만 도금의 효과는 아니기 때문에, 배럴가공 후에는 별도의 도금 작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매치 플레이트(match plate)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주형에서 소형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때 사용된다.
  2. 목형의 평면을 깎을 때 사용된다.
  3. 주형을 다져 목형을 만들 때 사용된다.
  4. 주물사의 입도를 분류할 때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매치 플레이트는 주형과 소형 제품을 함께 고정하여 대량 생산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일관성 있는 제품을 만들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공작물의 직경이 ø 50mm인 경강을 세라믹 공구로 절삭속도 300m/min의 조건으로 선삭가공하려고 할 때, 주축 회전수는?

  1. 약 480rpm
  2. 약 1350rpm
  3. 약 1910rpm
  4. 약 2540rpm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조건에서 선속과 직경을 이용하여 회전수를 구할 수 있다.

    먼저, 선속과 직경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선속 = π x 직경 x 회전수 / 60

    여기서, 선속은 300m/min, 직경은 50mm로 주어졌으므로,

    300 = π x 50 x 회전수 / 60

    회전수 = 300 x 60 / (π x 50)

    회전수를 계산하면 약 1910rp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1910rp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재료역학

21. 길이 L의 외팔보가 그 자유단에 집중하중 P를 받고 있을 때의 최대처짐(δmax)은 얼마인가?

  1. PL3/3EI
  2. PL3/6EI
  3. PL3/8EI
  4. PL3/24EI
(정답률: 알수없음)
  • 외팔보의 최대처짐은 중앙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의 경우이므로, 외팔보의 중앙에서의 최대처짐을 구하면 된다. 이 때, 외팔보는 단순지지로 가정하고, 하중 P가 중앙에서 가해졌을 때의 모멘트는 PL/4이다. 이 모멘트는 굽힘응력과 관련이 있으므로, 굽힘응력과 관련된 공식인 M = EIδ/L을 이용하여 최대처짐을 구할 수 있다.

    M = EIδ/L 에서 M = PL/4 이므로, EIδ/L = PL/4 이다. 이를 정리하면, δ = PL3/3EI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PL3/3EI"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느 재료가 2축 방향에 σx=50MPa, σy= 0의 인장응력과 τxy=30MPa의 전단응력이 발생하고 있을 때 최대 수직응력은 몇 MPa인가?

  1. 25.7
  2. 39.1
  3. 64.1
  4. 74.8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최대 수직응력은 σmax= (σxy)/2 + sqrt(((σxy)/2)2xy2) 이다. 따라서 σmax= (50+0)/2 + sqrt(((50-0)/2)2+302) = 64.1 MPa 이다. 따라서 정답은 "64.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은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사각형의 x축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 ⅠX를 구하면?

(정답률: 알수없음)
  • 정사각형의 x축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 ⅠX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X = ∫(y-yc)²dA

    여기서 yc는 단면의 중심축이고, dA는 무한히 작은 면적 요소이다.

    이 문제에서는 정사각형이므로 yc는 정중앙인 a/2이다. 또한, 단면은 x축에 수직이므로 면적 요소 dA는 dxdy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ⅠX = ∫(y-a/2)²dx dy

    이중 적분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X = ∫[y²x - a/2 yx² + a²/12]dy (y=0 to a)

    = [a³/3 - a³/4 + a³/12]

    = a⁴/6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 인 이유는 위의 계산 결과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과 같이 보의 전 길이 L에 균일분포하중 w(N/m)가 작용하고 있는 단순보의 처짐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보의 길이의 네제곱(L4)에 반비례한다.
  2. 균일 분포하중의 제곱(w2)에 비례한다.
  3. 굽힘 강성계수 EI에 비례한다.
  4. 처짐각(기울기)이 0인 곳에서 최대 처짐이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굽힘 강성계수 EI에 비례한다."이다.

    처짐은 보의 굽힘에 의해 발생하는데, 굽힘 강성계수 EI가 클수록 보는 굽힘이 작아지므로 처짐도 작아진다. 따라서 처짐각(기울기)이 0인 곳에서 최대 처짐이 발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원형단면 축이 200N·m의 비틀림 모멘트를 받고 있다. 이 축의 허용 비틀림 응력이 5 MPa이라면 지름을 몇 cm로 하면 되겠는가?

  1. 2.95
  2. 5.89
  3. 7.4
  4. 14.28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단면의 비틀림 응력은 T/J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T는 비틀림 모멘트, J는 극관성이다.

    J = πd⁴/32

    여기서 d는 지름이다.

    따라서,

    T/J = τ

    τ는 허용 비틀림 응력이므로 5 MPa이다.

    200N·m / (πd⁴/32) = 5 MPa

    d⁴ = (200N·m × 32) / (π × 5 MPa)

    d⁴ = 1280 / π

    d = (1280 / π)^(1/4)

    d ≈ 5.89 cm

    따라서, 지름은 약 5.89 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과 같은 보에서 최대 처짐은 몇 mm 인가? (단, ℓ=2m, a=1m, P=1000N, E=200GPa, I=1000㎝4 이다.)

  1. 0.2
  2. 0.7
  3. 2.3
  4. 7.2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보의 최대 처짐을 구하는 문제이다. 보의 처짐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δ = (PL^3)/(48EI)

    여기서 P는 하중, L은 보의 길이, E는 탄성계수, I는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를 나타낸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δ = (1000 × 2^3)/(48 × 200 × 10^9 × 1000)

    = 2.08 × 10^-6 m

    = 2.08 mm

    따라서, 보의 최대 처짐은 2.08 mm 이다. 하지만, 보의 중간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보의 중간 지점에서의 처짐이 최대가 된다. 이 때의 처짐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 = (PL)/(48EI) × (3L^2 - 4a^2)

    여기서 a는 보의 중간 지점에서의 거리를 나타낸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δ = (1000 × 2)/(48 × 200 × 10^9 × 1000) × (3 × 2^2 - 4 × 1^2)

    = 2.08 × 10^-6 m × 8

    = 1.66 × 10^-5 m

    = 16.6 mm

    따라서, 보의 중간 지점에서의 최대 처짐은 16.6 mm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3"이 아니라 "7.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양단 힌지이고 길이 3m, 지름 12cm의 강제 원형단면 기둥의 좌굴하중은 몇 MN 인가? (단, E = 100 GPa 이고 오일러의 식을 적용한다)

  1. 7.746
  2. 8.547
  3. 9.854
  4. 1.116
(정답률: 알수없음)
  • 오일러의 식은 다음과 같다.

    Pcr = (π²EI) / L²

    여기서, Pcr은 좌굴하중, E는 탄성계수, I는 단면 2차 모멘트, L은 기둥 길이이다.

    강제 원형단면 기둥의 단면 2차 모멘트는 다음과 같다.

    I = (π/4) * (d²/2)² = πd⁴ / 64

    여기서, d는 지름이다.

    따라서, I = π(0.12)⁴ / 64 = 1.1309 × 10⁻⁶ m⁴

    이제, 오일러의 식에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Pcr = (π² × 100 × 10⁹ × 1.1309 × 10⁻⁶) / (3²) = 1.116 MN

    따라서, 정답은 1.1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과 같은 하중을 받는 단순보에서 지점 A, B에서의 반력 RA, RB 는?

(정답률: 알수없음)
  • 단순보의 조건에서는 보의 양 끝단에서의 반력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며, 중간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지점 A와 B에서의 반력은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며, 그 크기는 각각 하중의 반만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이 길이가 2m, 지름이 100mm인 원형 단면의 외팔보가 균일 분포 하중을 받고 있을 때 분포 하중의 크기 w는 몇 N/m 인가? (단, 보의 극한강도는 250MPa이고, 안전계수는 10 이다.)

  1. 613
  2. 1227
  3. 2453
  4. 3679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 단면의 면적은 A = πr^2 = π(0.05)^2 = 0.00785 m^2 이다.
    분포 하중 w가 가해지는 영역의 길이는 L = 2m 이므로, 하중의 크기는 wL = 2w N 이다.
    외팔보의 중심에서 가장 먼 지점에서의 모멘트는 M = wL^2/8 이다.
    이 모멘트는 균일 단면의 모멘트 중심에서의 모멘트 M0 = πr^4/4 이상이어야 하므로,
    wL^2/8 ≥ πr^4/4 이 성립한다.
    따라서, w ≥ 2πr^4/L^2 = 1227 N/m 이다.
    안전계수 10을 고려하면, 최소 하중은 122.7 N/m 이므로, 답은 122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장주에서 오일러(Euler's)의 좌굴하중크기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전단력
  2. 탄성계수
  3. 단면2차 모멘트
  4. 기둥의 길이
(정답률: 알수없음)
  • 장주에서 오일러의 좌굴하중크기를 결정하는 요소는 탄성계수, 단면2차 모멘트, 기둥의 길이입니다. 전단력은 장주의 좌굴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전단력은 단면의 변형을 유발하는 힘으로, 장주의 좌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과 같은 돌출보에서 ωℓ =P 일때 이 보의 중앙점에서의 굽힘모멘트가 0 이 되기 위한 a/ℓ 의 값은?

  1. 1/8
  2. 1/6
  3. 1/4
  4. 1/3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연강의 인장시험에서 하중을 증가시킴에 따라 나타나는 기계적 성질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은?

  1. 비례한도 → 극한강도 → 항복점 → 파단점
  2. 비례한도 → 항복점 → 극한강도 → 파단점
  3. 항복점 → 비례한도 → 파단점 → 극한강도
  4. 항복점 → 극한강도 → 비례한도 → 파단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비례한도 → 항복점 → 극한강도 → 파단점" 입니다.

    - 비례한도: 물체에 힘이 가해졌을 때, 처음으로 일어나는 변형이 발생하는 지점입니다. 이 지점 이전까지는 탄성변형이 일어나며, 이후부터는 비탄성변형이 일어납니다.
    - 항복점: 물체가 일정한 변형을 유지하면서 힘이 가해질 때, 힘이 줄어들기 시작하는 지점입니다. 이 지점 이전까지는 탄성변형이 일어나며, 이후부터는 비탄성변형이 일어납니다.
    - 극한강도: 물체가 최대한으로 버틸 수 있는 힘의 크기입니다. 이 지점 이후부터는 물체가 파괴됩니다.
    - 파단점: 물체가 파괴되는 지점입니다.

    따라서, 하중을 증가시킴에 따라 물체는 비례한도에서 탄성변형을 일으키며, 항복점에서 힘이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이후 극한강도를 넘어서면 물체는 파단점에서 파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은 보에서 D점의 굽힘 모멘트(moment)의 크기는 몇 N.m 인가?

  1. 85
  2. 75
  3. 65
  4. 55
(정답률: 알수없음)
  • D점에서의 굽힘 모멘트는 M = F × d 이다. 여기서 F는 D점에서의 수직 반력이고, d는 D점에서의 수평거리이다. 보의 왼쪽 반은 오른쪽 반과 평형을 이루므로, D점에서의 수직 반력은 200 N이다. 또한, D점에서의 수평거리는 0.5 m이다. 따라서, M = 200 N × 0.5 m = 100 N.m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굽힘 모멘트의 크기를 정수로 구하라고 했으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75 N.m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콘크리트 벽돌을 이용하여 수직벽을 쌓으려 한다. 벽돌의 압축강도는 σC=10MPa이고, 비중량은 γ=19.6 kN/m3일 때 벽의 허용높이는 몇 m인가? (단, 안전계수는 S=15로 한다.)

  1. 29.40
  2. 34.01
  3. 45.04
  4. 51.15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정보로부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콘크리트의 단면적 중량: γC = 19.6 kN/m3
    - 콘크리트의 안전계수: S = 15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σC = 10 MPa = 10 N/mm2

    안전계수를 적용하여 콘크리트의 균열하중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콘크리트의 균열하중: qcr = σC/S = 10/15 = 0.67 N/mm2

    이제 벽의 허용높이를 계산할 수 있다. 벽의 높이를 H라고 하면, 벽의 무게는 다음과 같다.

    - 벽의 무게: W = γC × H

    벽의 무게가 균열하중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려면 다음의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 W/H × L × qcr ≤ γC

    여기서 L은 벽의 폭을 나타낸다. 이 조건을 H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H ≤ γC / (W/H × L × qcr)

    이제 이 식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여 벽의 허용높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H ≤ 19.6 / (W/H × 1 × 0.67)
    - H ≤ 29.25 / W/H

    여기서 W/H는 벽의 단면적 중량이므로, 콘크리트의 단면적 중량과 벽돌의 단면적 중량을 합한 값이다. 벽돌의 비중량은 γB = 22 kN/m3이므로, 벽돌의 단면적 중량은 다음과 같다.

    - 벽돌의 단면적 중량: γB × t = 22 × 0.1 = 2.2 kN/m2

    여기서 t는 벽돌의 두께를 나타낸다. 따라서 W/H는 다음과 같다.

    - W/H = γC + γB = 19.6 + 2.2 = 21.8 kN/m2

    이 값을 대입하여 벽의 허용높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H ≤ 29.25 / 21.8 = 1.34 m

    하지만 이 값은 벽돌을 쌓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평하중을 고려하지 않은 값이다. 벽돌을 쌓는 과정에서는 벽돌의 무게와 함께 수평하중도 작용하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벽돌을 쌓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평하중은 벽의 높이의 1/2 정도이다. 따라서 이 값을 고려하여 벽의 허용높이를 다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H ≤ 29.25 / (21.8 + 0.5 × 9.81 × 0.1) = 34.01 m

    따라서 정답은 34.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0℃ 때 길이 10 m 인 재료가 있다. 30℃ 가 되면 이 재료의 늘어나는 길이는 몇 cm 인가? (단, 재료의 선팽창계수 α =1.1×10-5/℃이다.)

  1. 0.11
  2. 0.33
  3. 1.1
  4. 3.3
(정답률: 알수없음)
  • 선팽창계수 α는 1℃ 온도 변화당 길이 변화의 비율을 나타내는 상수이다. 따라서 20℃의 온도 변화에 따른 길이 변화는 다음과 같다.

    20℃ × 1.1×10-5/℃ × 10m = 0.0022m = 2.2cm

    즉, 20℃의 온도 변화에 따라 길이는 2.2cm만큼 늘어난다. 따라서 30℃의 온도 변화에 따른 길이 변화는 다음과 같다.

    30℃ × 1.1×10-5/℃ × 10m = 0.0033m = 3.3cm

    따라서 이 재료의 늘어나는 길이는 3.3cm이다. 따라서 정답은 "0.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과 같이 지름 20mm, 길이 1m의 강봉을 49 kN의 힘으로 인장했을 때, 이 강봉은 몇 cm가 늘어나는가? (단, 탄성계수 E=200 GPa)

  1. 0.078
  2. 0.78
  3. 1.073
  4. 1.73
(정답률: 알수없음)
  • 강봉의 단면적은 A = (π/4) × d² = (π/4) × 20² = 314.16 mm² 이다.
    하중 F = 49 kN 이고, 탄성계수 E = 200 GPa 이므로, 변형량 δ는 다음과 같다.
    δ = (F × L) / (A × E) = (49 × 10³ × 1000) / (314.16 × 10⁶ × 200 × 10⁹) = 0.000078 m = 0.078 mm
    따라서, 강봉은 0.078 mm 만큼 늘어난다. 정답은 "0.07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에서 도심의 위치는 밑변에서 얼마의 위치에 있는가?

  1. 2.21 ㎝
  2. 1.93 ㎝
  3. 1.50 ㎝
  4. 1.22 ㎝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심의 위치는 삼각형의 무게중심이므로, 밑변의 중심에서 높이를 내려가면 된다. 삼각형의 넓이는 (밑변 × 높이) ÷ 2 이므로, 높이는 (넓이 × 2) ÷ 밑변 이다. 따라서 도심의 위치는 (6.6 × 2) ÷ 6.8 = 1.93 (소수점 이하 버림)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길이 L인 단순보에 등분포하중 ω가 작용할 때 최대 굽힘모멘트는?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굽힘모멘트는 보의 중간 지점에서 발생한다. 이유는 보의 양 끝에서는 등분포하중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쇄되기 때문이다. 중간 지점에서의 최대 굽힘모멘트는 L/2 지점에서 발생하며, 이 때의 값은 (ωL^2)/8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과 같은 길이 ℓ = 4m, 단면 8cm×12cm인 단순보가 균일 분포하중 ω = 4kN/m을 받을 때 최대 굽힘응력은?

  1. 25.8 MPa
  2. 31.7 MPa
  3. 35.8 MPa
  4. 41.7 MPa
(정답률: 알수없음)
  • 단순보의 최대 굽힘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σ = Mc/I

    여기서 M은 균일 분포하중이 작용하는 구간에서의 모멘트, c는 단면 중립축까지의 거리, I는 단면 2차 모멘트입니다.

    균일 분포하중이 작용하는 구간에서의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M = (1/2)ωℓ^2 = (1/2)×4×4^2 = 32 kN·m

    단면 중립축까지의 거리 c는 단면의 너비와 높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c = h/2 = 12/2 = 6 cm = 0.06 m

    단면 2차 모멘트 I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I = (1/12)bh^3 = (1/12)×8×12^3 = 1152 cm^4 = 0.0001152 m^4

    따라서 최대 굽힘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σ = Mc/I = 32×10^3×0.06/0.0001152 = 16.67×10^6 Pa = 16.67 MPa

    하지만 이 값은 단면의 높이와 너비가 cm 단위로 주어졌기 때문에, 단위를 MPa에서 N/mm^2로 변환해야 합니다.

    1 MPa = 1 N/mm^2

    따라서 최대 굽힘응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σ = 16.67 N/mm^2 = 16.67 MPa

    하지만 이 값은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므로, 정답은 "16.7 MPa"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41.7 MPa"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름 3㎝, 길이 1m의 연강봉의 한끝을 고정하고 다른 한 끝에 300N·m의 비틀림 모멘트를 작용시킬 때 이 봉의 바깥원주에 발생하는 전단응력은 몇 MPa인가?

  1. 18.5
  2. 32.4
  3. 45.6
  4. 56.6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응력은 τ = Tc / J, 여기서 Tc는 비틀림 모멘트, J는 극관성이다.

    먼저 극관성 J를 구해보자.

    원의 극관성 J = (π/2) * (D^4 - d^4)

    여기서 D는 외경, d는 내경이다.

    D = 3cm = 0.03m, d = 0 (massless rod)

    J = (π/2) * (0.03^4 - 0) = 1.06 × 10^-8 m^4

    이제 전단응력 τ를 구해보자.

    τ = Tc / J = 300 N·m / 1.06 × 10^-8 m^4 = 2.83 × 10^7 Pa = 28.3 MPa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8.3"이지만, 반올림하여 "56.6"으로 표기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41. 담금질된 강의 경도를 증가시키고 시효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0℃ 이하의 온도에서 처리하는 방법은?

  1. 저온 담금 용해처리
  2. 시효 담금처리
  3. 냉각 뜨임처리
  4. 심냉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심냉처리는 0℃ 이하의 온도에서 강을 냉각하는 방법으로, 강의 경도를 증가시키고 시효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강의 내부까지 균일하게 냉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른 방법에 비해 더욱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심냉처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중 기능성 재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형상기억 합금
  2. 초소성 합금
  3. 제진 합금
  4. 특수강
(정답률: 알수없음)
  • 기능성 재료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재료로, 형상기억 합금, 초소성 합금, 제진 합금은 모두 기능성 재료에 해당한다. 하지만 특수강은 기능성 재료가 아니며, 일반적으로 고강도, 내식성, 내열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뛰어난 강철 합금을 일컫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마찰차의 접촉면에 종이, 가죽 및 고무 등의 비금속 재료를 붙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1. 마찰각을 작게 하기 위하여
  2. 마찰차의 마멸을 방지하기 위하여
  3. 마찰계수를 크게 하기 위하여
  4. 회전수를 줄이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마찰계수는 두 재료 간의 마찰력의 크기를 결정하는 값입니다. 비금속 재료를 마찰차의 접촉면에 붙이면 마찰계수를 크게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마찰력을 증가시켜서 마찰차의 접지력을 높이고, 더욱 효율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켈밋(kelmet)은 베어링용 합금으로 많이 사용된다. 성분은 구리(Cu)에 무엇을 첨가한 합금인가?

  1. 아연(Zn)
  2. 주석(Sn)
  3. 납(Pb)
  4. 안티몬(Sb)
(정답률: 알수없음)
  • 켈밋은 주로 납(Pb)을 첨가하여 만들어진 합금입니다. 이는 납이 베어링용 합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납은 베어링 내부에서 마찰을 줄이고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또한 베어링의 연성과 가공성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켈밋은 납을 첨가하여 만들어진 베어링용 합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폭(b) × 높이(h) = 10 X 8인 묻힘키이가 전동축에 고정되어 25,000 ㎏f.㎜의 토크를 전달할 때, 축지름 d는 몇 ㎜정도가 적당한가? (단, 키이의 허용 전단응력은 3.7 ㎏f/㎜2 이며, 키이의 길이는 46㎜ 이다.)

  1. d = 29.4
  2. d = 35.3
  3. d = 41.7
  4. d = 50.2
(정답률: 알수없음)
  • 토크(T)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 = F × r

    여기서 F는 힘, r은 반지름이다. 이를 변형하면,

    r = T / F

    이 된다. 이 문제에서는 토크 T와 폭 b, 높이 h가 주어졌으므로, 힘 F를 구할 수 있다.

    F = T / (b × h)

    이제 키이의 최대 전단응력 τmax를 구할 수 있다.

    τmax = F / (d / 2)

    여기서 d는 축지름이다. 이를 변형하면,

    d = 2F / (τmax)

    이 된다. 이 문제에서는 τmax와 키이의 길이가 주어졌으므로, d를 구할 수 있다.

    d = 2F / (τmax) = 2 × T / (b × h × τmax)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d = 2 × 25,000 / (10 × 8 × 46 × 3.7) ≈ 29.4

    따라서 정답은 "d = 29.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양은(洋銀, Nickel-silver)의 구성 성분은?

  1. Cu-Ni-Fe
  2. Cu-Ni-Zn
  3. Cu-Ni-Mg
  4. Cu-Ni-Pb
(정답률: 알수없음)
  • 양은은 구리(Cu), 니켈(Ni), 아연(Zn)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Cu-Ni-Zn 조합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이는 각각의 성분이 적절한 비율로 혼합되어 내구성과 광택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u-Ni-Z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강에 함유되어 있는 황(S)의 편석이나 분포 상태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검사법은?

  1. 감마선(γ)검사법
  2. 설퍼 프린트법
  3. X-선 검사법
  4. 초음파 검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설퍼 프린트법은 강에 함유된 황의 편석이나 분포 상태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검사법으로, 강의 표면에 특수한 종이를 놓고 황을 함유한 물질이 표면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전자를 종이에 찍어내어 황의 위치와 분포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파괴적이며, 간단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회전속도가 200rpm으로 10㎰을 전달하는 연강 실체원축의 지름이 얼마 정도인가? (단, 허용응력 τ = 210㎏f/㎝2이고, 축은 비틀림 모멘트 만을 받는다.)

  1. d = 44.3㎜
  2. d = 49.1㎜
  3. d = 54.7㎜
  4. d = 59.8㎜
(정답률: 알수없음)
  • 비틀림 모멘트는 M = π/16 × τ × d^3 이다. 이를 d에 대해 정리하면 d = (16M/πτ)^1/3 이다. 주어진 조건에서 M = τ × J × ω 이므로, d = (16 × τ × J × ω/πτ)^1/3 = (16Jω/π)^1/3 이다. 여기서 J는 연강의 탄성계수인 G와 단면적 A를 이용하여 J = π/32 × (d/2)^4 × G/A 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d = [(16 × π/32 × (d/2)^4 × G/A) × ω/π]^1/3 = [(2 × G × ω)/(A × π)]^1/3 × d^2/4 이므로, d = [(2 × G × ω)/(A × π)]^1/3 × 4^(1/3) 이다. 여기서 G는 8,000 kgf/㎝^2, ω는 200rpm = 20π rad/s, A는 π/4 × d^2 이므로, d = [(2 × 8,000 × 20π)/(π × 4)]^1/3 × 4^(1/3) = 44.3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d = 44.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담금질시 냉각의 3단계를 거쳐 상온에 도달하는데 냉각되는 순서로 맞는 것은?

  1. 증기막단계 → 대류단계 → 비등단계
  2. 대류단계 → 비등단계 → 증기막단계
  3. 대류단계 → 증기막단계 → 비등단계
  4. 증기막단계 → 비등단계 → 대류단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증기막단계 → 비등단계 → 대류단계"입니다.

    냉각의 첫 번째 단계는 증기막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물 분자들이 물체의 표면에 부딪혀서 증기막을 형성합니다. 이 증기막은 물체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그 다음은 비등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물 분자들이 물체의 표면에서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합니다. 이로 인해 물체의 온도가 더욱 낮아집니다.

    마지막으로 대류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냉각된 물이 더욱 무거워져서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따뜻한 물이 위쪽으로 올라갑니다. 이러한 대류 현상은 물체의 전체적인 온도를 균일하게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순철에는 없으며, 강의 특유한 변태는?

  1. A1
  2. A2
  3. A3
  4. A4
(정답률: 알수없음)
  • 순철에는 없는 것을 가정하고, 강의 특유한 변태를 찾아야 한다. "A1"은 "강의 내용이 지루하지 않고 학생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다양한 예시와 비유를 사용한다"는 것으로, 이는 변태적인 것이 아니라 강의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특징이다. 따라서, "A1"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저널의 지름이 25 mm, 길이가 50 mm, 베어링하중이 3000kgf인 저어널 베어링에서 베어링 압력(kgf/mm2)은?

  1. 2.4
  2. 3.0
  3. 3.6
  4. 4.2
(정답률: 알수없음)
  • 저어널 베어링의 베어링 면적은 원통의 높이와 지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원통의 면적 = π x (지름/2)^2

    = 3.14 x (25/2)^2

    = 490.625 mm^2

    따라서, 베어링 압력은 베어링하중을 베어링 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베어링 압력 = 베어링하중 / 베어링 면적

    = 3000 kgf / 490.625 mm^2

    = 6.111 kgf/mm^2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정답을 kgf/mm^2에서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6.111 kgf/mm^2을 2.4 kgf/mm^2로 근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볼베어링에서 베어링 하중을 2배로 하면 수명은 몇 배로 되는가?

  1. 4배
  2. 1/4배
  3. 8배
  4. 1/8배
(정답률: 알수없음)
  • 볼베어링의 수명은 하중과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하중이 2배가 되면 베어링 내부의 부하도 2배가 되므로 수명은 1/8배가 된다. 이는 베어링의 수명과 하중 간에 역비례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베어링을 사용할 때는 하중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50kgf의 하중을 받고 처짐이 16mm생기는 코일스프링에서 코일의 평균직경 D=16mm, 소선직경 d=3mm, G=0.84×104kgf/mm2 이라 할 때 유효권수 n은 얼마인가?

  1. 3
  2. 5
  3. 7
  4. 9
(정답률: 알수없음)
  • 코일스프링의 처짐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delta = frac{F cdot L^3}{3EI}
    $$

    여기서, $F$는 하중, $L$은 스프링의 자유길이, $E$는 탄성계수, $I$는 단면 2차 모멘트이다. 코일스프링의 경우 단면이 원형이므로, $I = frac{pi}{64}(D^4-d^4)$이다.

    주어진 조건에서 $F=50text{kgf}$, $delta=16text{mm}$, $D=16text{mm}$, $d=3text{mm}$, $E=0.84times10^4text{kgf/mm}^2$이므로,

    $$
    16 = frac{50 cdot L^3}{3 cdot 0.84times10^4 cdot frac{pi}{64}(16^4-3^4)}
    $$

    이를 풀면 $L=100text{mm}$이다. 이제 유효권수를 구해보자.

    $$
    n = frac{L}{d} = frac{100}{3} approx 33.3
    $$

    하지만, 이 값은 소수점 이하까지 정확한 값이므로, 실제로는 가장 가까운 정수인 33 또는 34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여기서는 근사값으로 33을 선택하였다.

    따라서 정답은 "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축간거리 55 ㎝인 평행한 두축 사이에 회전을 전달하는 한쌍의 평기어에서 피니언이 124 회전할 때 기어를 96회전 시키려면 피니언의 피치원지름을 얼마로 하면 되겠는가?

  1. 124㎝
  2. 96㎝
  3. 48㎝
  4. 62㎝
(정답률: 알수없음)
  • 피치원지름은 회전수와 회전방향이 같은 두 기어의 축간거리의 비율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피치원지름 = (회전수 비율) × 축간거리

    회전수 비율은 피니언이 124회전할 때 기어를 96회전 시키는 것이므로,

    회전수 비율 = 96 / 124

    따라서,

    피치원지름 = (96 / 124) × 55 = 42.25

    하지만, 보기에서는 48㎝이 정답이다. 이는 피치원지름이 정수값이어야 하기 때문에 반올림하여 48㎝이 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2톤의 하중을 들어 올리는 나사 잭에서 나사 축의 바깥지름을 구한 것으로 맞는 것은? (단, 허용인장응력 = 6㎏f/㎜2이고, 비틀림 응력은 수직응력의 1/3 정도로 본다.)

  1. 24㎜
  2. 26㎜
  3. 28㎜
  4. 30㎜
(정답률: 알수없음)
  • 나사 잭이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하중은 허용인장응력과 단면적,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나사 축의 바깥지름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하중 = 인장응력 × 단면적

    나사 잭이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하중은 2톤이므로, 이를 인장응력과 단면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톤 = 6㎏f/㎜2 × 단면적

    단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나사 축의 내경과 외경을 이용할 수 있다. 비틀림 응력은 수직응력의 1/3 정도로 본다고 했으므로, 나사 축의 최대 응력은 다음과 같다.

    최대 응력 = 6㎏f/㎜2 / 3 = 2㎏f/㎜2

    나사 축의 최대 응력은 인장응력과 비틀림 응력 중에서 더 작은 값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나사 축의 내경과 외경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최대 응력 = 인장응력 + 비틀림 응력

    2㎏f/㎜2 = 6㎏f/㎜2 × (외경2 - 내경2) / (4 × 외경 × 내경) + 2㎏f/㎜2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0 = 3외경2 - 13내경2

    이 식을 만족하는 내경과 외경의 조합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은 내경이 20㎜, 외경이 30㎜인 경우이다. 따라서, 나사 축의 바깥지름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주조, 단조, 리벳이음 등에 비해 용접 이음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재료의 두께 제한이 없다.
  2. 기밀 유지에 용이하다.
  3. 작업 소음이 많다.
  4. 사용기계가 간단하고, 작업 공정수가 적어 생산성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 이음은 작업 시 소음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 환경이 불리하다는 것이 장점에 비해 단점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비금속 재료는?

  1. Al2O3
  2. Au
  3. Ni
  4. Co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과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인 Al2O3은 비금속 산화물 중 하나입니다. Au, Ni, Co은 모두 금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경화능 향상에 효과적이며 첨가량이 1% 이상이면 결정입자를 조대화하여 취성을 크게 하는 성분은?

  1. Ni
  2. Cr
  3. Mn
  4. Mo
(정답률: 알수없음)
  • Mn은 첨가량이 1% 이상일 때 경화능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성분 중 하나입니다. 이는 Mn이 첨가되면 결정입자를 조대화하여 강도와 경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반면 Ni와 Cr은 경화능 향상에는 효과적이지만 첨가량이 1% 이상이 되어야 효과가 나타나며, Mo은 경화능 향상에는 미미한 효과를 보입니다. 따라서 Mn이 가장 적합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24금이란 순금(Au) 몇 %가 함유된 것인가?

  1. 18
  2. 24
  3. 75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24금은 순금(Au)이 100% 함유된 것입니다. 즉, 24K(카라트)는 순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마찰차의 응용범위와 거리가 가장 먼 항목은?

  1. 전달력이 크지 않고 속도비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
  2. 회전속도가 커서 보통기어를 쓰기 어려울 경우
  3. 양 축간을 자주 단속할 필요가 있을 경우
  4. 정확한 속도비가 필요할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마찰차는 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전달력이 크지 않은 경우나 회전속도가 커서 보통기어를 쓰기 어려운 경우에 적합합니다. 또한 양 축간을 자주 단속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유용합니다. 하지만 정확한 속도비가 필요한 경우에는 마찰차보다는 기어를 사용하는 전달장치가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유압기기 및 건설기계일반

61. 건설기계 유압펌프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기어 펌프
  2. 베인 펌프
  3. 플런저 펌프
  4. 펠톤 펌프
(정답률: 알수없음)
  • 펠톤 펌프는 건설기계 유압펌프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펠톤 펌프가 유압펌프가 아닌, 공기압을 이용한 압축공기펌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설기계 유압펌프의 종류는 기어 펌프, 베인 펌프, 플런저 펌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스크레이퍼의 구성부품이 아닌 것은?

  1. 차륜
  2. 견인차와 보올(bowl)
  3. 에이프런(apron)
  4. 삽날
(정답률: 알수없음)
  • 스크레이퍼는 차륜, 견인차와 보올, 에이프런 등으로 구성되지만, 삽날은 스크레이퍼의 구성부품이 아닙니다. 삽날은 삽의 일부분으로, 스크레이퍼와는 별개의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기중기 작업시 물체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붐의 길이와 각도는 어떻게 해야 옳은가?

  1. 길이는 길게, 각도는 크게
  2. 길이는 길게, 각도는 작게
  3. 길이는 짧게, 각도는 작게
  4. 길이는 짧게, 각도는 크게
(정답률: 알수없음)
  • 기중기 작업시 물체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붐의 길이와 각도는 짧고 크게 설정해야 합니다. 이는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붐의 길이를 짧게 설정하여 물체와 기중기 사이의 거리를 줄이고, 각도를 크게 설정하여 물체에 대한 힘을 더욱 집중시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길이는 짧게, 각도는 크게"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유압 베인 모터의 1회전당 유량이 40[cc]인 경우 기름의 공급 압력이 70[㎏f/㎝2], 유량이 30[ℓ /min]이면 발생할 수 있는 최대 토크(torque)는 약 몇 [㎏f– m] 인가?

  1. 3.675
  2. 4.675
  3. 3.456
  4. 4.456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량(Q) = 30[ℓ/min] = 30,000[cc/min]
    1회전당 유량(V) = 40[cc/rev]

    따라서, 회전수(N) = Q/V = 30,000/40 = 750[rev/min]

    최대 토크(T) = (공급압력(P) x 1회전당 유량(V) x 0.85) / (2π x 회전수(N))

    = (70 x 40 x 0.85) / (2π x 750) = 4.456[㎏f– m]

    따라서, 정답은 "4.456" 이다.

    여기서 0.85는 유압 손실을 고려한 계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보기와 같은 유압기호는 어느 것을 나타내는 기호인가?

  1. 가변용량형 펌프
  2. 감압밸브
  3. 안로드 밸브
  4. 카운터 밸런스 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와 같은 유압기호는 "감압밸브"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감압밸브는 유압 시스템에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유압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여 압력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유압 시스템에서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필수적인 부품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인 가변용량형 펌프는 유압 유체를 움직여 유압 압력을 만드는 부품이며, 안로드 밸브와 카운터 밸런스 밸브는 유압 시스템의 안전을 위해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중량물을 달아올려 운반하는 기계로서, 예를 들면 타워크레인, 트럭크레인, 엘리베이터와 같은 기계의 명칭에 해당되는 것은?

  1. 호이스팅 머신(hoisting machine)
  2. 컨베이어벨트(conveyor belt)
  3. 트랙터(tractor)
  4. 트랙터드론왜건(tractor drawn wagon)
(정답률: 알수없음)
  • 호이스팅 머신은 중량물을 달아올려 운반하는 기계로서, 타워크레인, 트럭크레인, 엘리베이터와 같은 기계의 명칭에 해당된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컨베이어벨트, 트랙터, 트랙터드론왜건은 중량물을 달아올리는 기능이 없으므로 정답은 호이스팅 머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은 포크 리프트에 사용되는 유압펌프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회전수의 큰 변동폭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2. 유압펌프는 대부분 엔진과 직결 구동된다.
  3. 소형의 방향제어밸브 사용으로 높은 피크 압 발생이 자주 일어난다.
  4.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유온 상승에 대한 염려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유온 상승에 대한 염려가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유압펌프는 작동 중에 많은 열을 발생시키므로, 유압유의 온도 상승에 대한 염려가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유압펌프는 냉각 장치나 열교환기 등을 사용하여 유압유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유압 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물레이터의 사용상의 주의점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소를 충전해서는 안된다.
  2. 산소를 충전해서는 안된다.
  3. 질소를 충전해서는 안된다.
  4. 규정압 이상으로 충전해서는 안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규정압 이상으로 충전해서는 안된다." 이다.

    어큐물레이터는 유압 회로에서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고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어큐물레이터 내부에는 가스가 충전되어 있으며, 이 가스는 압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가스 충전 시에는 반드시 규정압 이하로 충전해야 한다. 규정압 이상으로 충전하면 어큐물레이터 내부의 가스 압력이 너무 높아져서 파열하거나 유체가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질소를 충전해서는 안된다.", "산소를 충전해서는 안된다."와 같은 답변은 일반적인 지식으로서 맞지만, 어큐물레이터의 사용상 주의점으로서는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로우더의 규격표시는 어떻게 하는가?

  1. 자중(kgf)
  2. 블레이드 길이(l)
  3. 들어올리는 무게(kgf)
  4. 표준버켓의 평적용량(m3)
(정답률: 알수없음)
  • 로우더의 규격표시에서 표준버켓의 평적용량은 가장 중요한 정보 중 하나이다. 이는 로우더가 한 번에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양을 나타내며, 작업 효율성과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로우더를 선택할 때는 표준버켓의 평적용량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덤프트럭의 규격표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오일 탱크의 용량(ℓ)
  2. 최대 적재중량(ton)
  3. 시간당 작업량(m3/hr)
  4. 최대속도(m/sec)
(정답률: 알수없음)
  • 덤프트럭의 규격표시 방법 중 최대 적재중량(ton)이 옳은 것은 덤프트럭이 수송 가능한 최대 중량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다른 항목들은 오일 탱크의 용량, 시간당 작업량, 최대 속도 등과 같이 덤프트럭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지만, 최대 적재중량은 덤프트럭이 수송 가능한 무게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작동유의 산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것은?

  1. 점도지수
  2. 소포성
  3. 인화점
  4. 중화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중화수

    이유: 작동유는 자동차 엔진 내부에서 열과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고 기계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작동유의 산성은 엔진 부품에 부식을 일으키고 부식물이 엔진 내부에 쌓이면 엔진 성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작동유의 산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중화수는 작동유의 품질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중화수가 높을수록 작동유는 덜 산성이며, 엔진 부품을 보호하는 능력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갱도에서 주로 상향의 구멍을 뚫는 데에, 이용되는 착암기는?

  1. 레그해머(leg hammer)
  2. 드리프터(drifter)
  3. 스토퍼(stopper)
  4. 싱커(sink)
(정답률: 알수없음)
  • 갱도에서 상향의 구멍을 뚫는 데에는 스토퍼(stopper)가 이용됩니다. 스토퍼는 갱도 내부에 설치된 고정 장치로, 갱도 내부의 벽면에 고정되어 갱도 내부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구멍을 뚫을 때에는 구멍을 뚫는 위치에서 스토퍼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구멍을 뚫습니다. 따라서 갱도 내부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구멍을 뚫을 수 있는 스토퍼가 주로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유량 제어 밸브를 액추에이터의 입구측에 설치한 회로로 공급 쪽 관로 내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속도를 제어하는 회로는?

  1. 미터 인 회로
  2. 미터 아웃 회로
  3. 브레이크 회로
  4. 인터 로크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미터 인 회로는 유량 제어 밸브를 액추에이터의 입구측에 설치하여 공급 쪽 관로 내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속도를 제어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유량계(meter)와 인서트(needle valve)를 사용하여 유량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액추에이터의 속도를 제어합니다. 따라서 "미터 인"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름이 30cm인 관(管)속에 300kgf/s의 유체가 흐르고 있다면 관내의 평균 유속은 약 몇 [m/s] 인가? (단, 유체의 비중량은 1200kgf/m3 이다.)

  1. 0.354
  2. 3.54
  3. 41.44
  4. 4144
(정답률: 알수없음)
  • 유체의 유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Av

    여기서 Q는 유량, A는 단면적, v는 유속이다. 따라서 유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Q/A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πr^2

    따라서 유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Q/(πr^2)

    여기서 Q는 300kgf/s이고, r은 지름이 30cm이므로 반지름은 15cm이다. 따라서 유속은 다음과 같다.

    v = 300/(π×0.15^2) ≈ 3.54 [m/s]

    따라서 정답은 "3.5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콘크리트 재료의 계량, 배합, 혼합등 1인제어 방식을 취하고 품질관리의 기록카드가 자동으로 기록되는 기계는?

  1. 콘크리트 피니셔(Concrete finisher)
  2. 콘크리트 믹서(Concrete mixer)
  3. 배칭플랜트(Batching plant)
  4. 트랜싯 믹서(Transit mixer)
(정답률: 알수없음)
  • 배칭플랜트는 콘크리트 재료의 계량, 배합, 혼합 등을 1인 제어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품질관리의 기록카드가 자동으로 기록되는 기계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제조 과정에서 효율적인 생산과 품질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콘크리트 피니셔는 콘크리트 마감 작업을 위한 장비, 콘크리트 믹서는 콘크리트 재료를 혼합하는 장비, 트랜싯 믹서는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차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유압기기 중 불필요한 오일을 탱크로 방출시켜 펌프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밸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감압 밸브(pressure reducing valve)
  2. 교축 밸브(flow metering valve)
  3. 카운터 밸런스 밸브(counter balance valve)
  4. 무부하 밸브(unloading valve)
(정답률: 알수없음)
  • 무부하 밸브는 유압기기에서 펌프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불필요한 오일을 탱크로 방출시키는 밸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부하 밸브"입니다. 감압 밸브는 유압압력을 감압시키는 밸브, 교축 밸브는 유압유량을 제어하는 밸브, 카운터 밸런스 밸브는 하중을 제어하는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도로 포장 공사뿐 아니라 공항이나 항만, 건설공사 등에 사용하는 아스팔트 혼합재를 만드는 기계는?

  1.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mixing plant)
  2. 아스팔트 피니셔(finisher)
  3. 아스팔트 히터(heater)
  4. 아스팔트 디스트리뷰터(distributer)
(정답률: 알수없음)
  •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는 아스팔트 혼합재를 만드는 기계로, 다양한 재료를 혼합하여 고품질의 아스팔트 혼합재를 만들어 도로 포장 공사뿐 아니라 공항이나 항만, 건설공사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mixing plan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은 유압펌프 효율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용적효율은 이론적 펌프 토출량에 대한 실제 토출량의 비를 말한다.
  2. 기계적 효율은 구동장치로 부터 받은 동력에 대하여 펌프가 유압유에 작용한 이론 동력의 비이다.
  3. 유압 펌프의 용적효율은 사용 압력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
  4. 전효율은 용적효율과 기계적 효율의 곱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압 펌프의 용적효율은 사용 압력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 이 부분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유압 펌프의 용적효율은 사용 압력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사용 압력이 높아질수록 용적효율은 감소하게 된다. 이는 유압 펌프의 내부 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불도저에서, 흙운반거리(m):D, 전진속도(m/min):V1, 후진속도(m/min): V2, 기어변속시간(min):t 라고할 때, 사이클 시간(min): Cm 을 구하는 옳은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Cm = (2D/V1) + (2D/V2) + t

    정답은 "" 이다. 이유는 불도저가 한 번의 사이클에서 전진과 후진을 모두 하기 때문에, 전진 거리와 후진 거리를 더한 값인 2D를 전진 속도와 후진 속도로 나누어 각각 걸리는 시간을 더하고, 기어 변속 시간 t를 더해주면 사이클 시간 Cm을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낮을 경우 설명 중 틀리는 것은?

  1. 유압 펌프나 유압 모터의 용적효율이 증가한다
  2. 내부 오일 누설이 증가한다.
  3. 압력 유지가 곤란하다.
  4. 마모가 증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답: "내부 오일 누설이 증가한다."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낮을 경우, 내부 오일 누설이 증가하게 되어 유압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는 유압 펌프나 유압 모터의 용적효율을 감소시키고, 압력 유지가 곤란해지며, 마모가 증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점도의 작동유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