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1-26)

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03-01-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조냉동안전관리

1. 보일러 사고원인 중 파열사고의 원인이 될 수 없는 것은?

  1. 압력초과
  2. 저수위
  3. 고수위
  4. 과열
(정답률: 77%)
  • 보일러 내부의 수위가 고수위로 상승하면, 보일러 내부의 공기가 제거되지 못하고 증발되어 증기 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압력초과나 과열로 이어질 수 있어 파열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수위는 파열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스용기를 취급시 주의할 사항 중 잘못 설명한 것은?

  1. 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밸브를 잠근다.
  2. 용기에 새겨있는 각인을 말소하지 않는다.
  3. 용기는 봉굽힘 도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
  4. 용기를 떨어뜨리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87%)
  • "용기는 봉굽힘 도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가스용기는 안전한 사용을 위해 설계된 제품으로, 봉굽힘 도구로 사용하면 용기가 파손되거나 폭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가스용기는 그 목적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용접작업 중 귀마개를 착용하고 작업을 해야 하는 용접작업은?

  1. 가스 용접작업
  2. 이산화탄소 용접작업
  3. 플럭스 코어드 용접작업
  4. 플래시 버트 용접작업
(정답률: 52%)
  • 플래시 버트 용접작업은 매우 높은 온도와 광선을 발생시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귀마개를 착용하여 귀를 보호해야 합니다. 다른 용접작업에서는 귀마개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보일러를 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보일러의 용량, 사용조건 등에 따라서 연간 계획을 세워야 한다. 아닌 것은?

  1. 운전계획
  2. 연료계획
  3. 정비계획
  4. 기록계획
(정답률: 66%)
  • 기록계획은 보일러의 용량, 사용조건 등과 같은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계획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일러를 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기록계획이 필수적이다. 운전계획은 보일러를 운전하는 방법과 시간을 계획하는 것, 연료계획은 보일러에 사용될 연료를 계획하는 것, 정비계획은 보일러의 정기적인 점검과 수리를 계획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펌프의 보수 관리시 점검 사항 중 맞지 않는 것은?

  1. 윤활유 작동 확인
  2. 축수 온도
  3. 스타핑 박스의 누설 온도
  4. 다단 펌프에 있어서 프라이밍 누설 확인
(정답률: 41%)
  • 다단 펌프는 여러 개의 impeller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impeller마다 프라이밍이 필요합니다. 프라이밍이란 펌프 내부에 액체를 공급하여 impeller가 회전할 때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하는 작업입니다. 만약 다단 펌프의 프라이밍 누설이 확인되지 않으면, 공기가 섞여 펌프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펌프가 정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단 펌프의 프라이밍 누설 확인은 매우 중요한 점검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접지공사의 목적으로 올바른 것은?

  1. 전류변동방지, 전압변동방지, 절연저하방지
  2. 절연저하방지, 화재방지, 전압변동방지
  3. 화재방지, 감전방지, 기기손상방지
  4. 감전방지, 전압변동방지, 화재방지
(정답률: 79%)
  • 접지공사는 전기기기나 시설물의 접지를 강화하여 전기적 안전성을 높이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화재방지와 감전방지는 물론 기기손상방지도 목적 중 하나입니다. 전류나 전압의 변동으로 인한 기기 손상을 예방하고, 절연저하로 인한 화재나 감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접지공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화재방지, 감전방지, 기기손상방지"가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냉동장치에서 냉매가 적정량보다 부족할 경우 제일 먼저 해야할 일은?

  1. 냉매의 배출
  2. 누설부위 수리 및 보충
  3. 냉매의 종류를 확인
  4. 펌프다운
(정답률: 64%)
  • 냉동장치에서 냉매가 적정량보다 부족할 경우, 냉매가 누설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누설부위를 찾아서 수리하고 누락된 냉매를 보충해야 합니다. 이는 냉매의 안전한 사용과 장치의 정상 작동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누설부위를 찾지 않고 냉매를 계속 보충하면, 냉매가 다시 누설되어 환경오염과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감전 되거나 전기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작업에서 구비해야 할 것은?

  1. 보호구
  2. 구명구
  3. 구급용구
  4. 비상등
(정답률: 90%)
  • 감전이나 전기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작업에서는 보호구를 구비해야 합니다. 보호구는 작업자의 몸을 전기적 충격이나 화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장비로, 전기 절연 재질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를 착용하면 전기적 충격이나 화상으로부터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연삭(grinding)작업 시 숫돌차의 주면과 받침대와의 간격은 몇mm 이내로 유지해야 되는가?

  1. 3
  2. 5
  3. 7
  4. 9
(정답률: 58%)
  • 정답은 "3"입니다. 연삭 작업 시 숫돌차의 주면과 받침대와의 간격은 3mm 이내로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연삭 작업 시 숫돌과 작업 대상물 사이의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간격이 너무 크면 작업물이 흔들리거나 꺾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간격이 너무 작으면 작업물이 고정되지 않아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3mm 이내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사고의 본질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못한 것은?

  1. 사고의 시간성
  2. 사고의 우연성
  3. 사고의 정기성
  4. 사고의 재현 불가능성
(정답률: 53%)
  • 사고의 정기성은 올바르지 못한 설명입니다. 사고는 예측할 수 없는 우연한 사건이며,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고는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으며, 예방 조치를 취하더라도 완전히 예방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사고는 우연성이 높은 사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줄 작업시 유의해야 할 내용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미끄러지면 손을 베일 위험이 있으므로 유의하도록 한다.
  2. 손잡이가 줄에 튼튼하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3. 줄의 균열 유무를 확인할 필요는 없다.
  4. 줄 작업의 높이는 허리를 낮추고 몸의 안정을 유지하며 전신을 이용하도록 한다.
(정답률: 81%)
  • 줄의 균열 유무를 확인할 필요는 없다는 것은 위험한 내용입니다. 줄이 균열이 있을 경우 작업 중에 갑작스러운 파닥 소리와 함께 줄이 끊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줄 작업 전에 균열 유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낙하나 추락으로 인한 부상 방지용 보호구가 아닌 것은?

  1. 안전대
  2. 안전모
  3. 안전화
  4. 장갑
(정답률: 78%)
  • 장갑은 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이지만, 낙하나 추락으로 인한 부상 방지를 위한 보호구는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장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산소 용기의 가스누설검사에 가장 안전한 것은?

  1. 비눗물
  2. 아세톤
  3. 유황
  4. 성냥불
(정답률: 97%)
  • 비눗물은 가스누설 시 산소와 반응하여 거품이 생기기 때문에 가스누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눗물은 불이 붙어도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합니다. 따라서, 산소 용기의 가스누설검사에 가장 안전한 것은 비눗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가스시설 중에서 가스가 누설되고 있을 때 가장 적절한 조치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①→ ②→ ③→ ④
  2. ④→ ③→ ①→ ②
  3. ②→ ①→ ④→ ③
  4. ③→ ②→ ①→ ④
(정답률: 80%)
  • 가스가 누설되고 있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가스 공급 및 전기를 차단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④가 가장 먼저 나와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환기를 시켜서 가스를 흩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③가 그 다음에 나와야 합니다. 그리고 가스 누출원을 찾아내고 수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①이 그 다음에 나와야 합니다. 마지막으로는 가스 누출 여부를 확인하고 안전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②가 가장 마지막에 나와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③→ ①→ 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냉동장치의 냉매설비 기밀시험은?

  1. 설계압력 이상
  2. 설계압력 미만
  3. 설계압력 1.5배이상
  4. 설계압력 1.5배미만
(정답률: 12%)
  • 냉동장치의 냉매설비 기밀시험에서는 설계압력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냉매설비가 설계된 압력 이상으로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설계압력 이하로 시험을 진행하면, 실제 운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냉매설비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설계압력 이상으로 시험을 진행하여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기계

16. 어떤 기체에 15㎉/㎏의 열량을 가하여 700㎏ㆍm/㎏ 의 일을 하였다.이 기체의 내부 에너지 증가량은 몇 ㎉/㎏ 인가?

  1. 3.36
  2. 7.36
  3. 13.36
  4. 16.63
(정답률: 42%)
  • 일-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기체에 가한 일은 내부 에너지 증가량과 열량 변화량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내부 에너지 증가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내부 에너지 증가량 = 가한 일 - 열량 변화량

    여기서, 가한 일은 700㎏ㆍm/㎏ 이고, 열량 변화량은 가한 열량인 15㎉/㎏을 기체의 질량인 1㎏당 곱한 값인 15㎉/㎏ x 1㎏ = 15㎉ 입니다.

    따라서, 내부 에너지 증가량 = 700㎏ㆍm/㎏ - 15㎉ = 13.36㎉/㎏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3.3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어떤 냉동기를 사용하여 25℃ 의 순수한 물 100ℓ 를 -10℃의 얼음으로 만드는데 10분이 걸렸다고 한다면, 이 냉동기는 약 몇 냉동톤이겠는가? (단, 냉동기의 모든 효율은 100% 이다.)

  1. 3 냉동톤
  2. 16 냉동톤
  3. 20 냉동톤
  4. 25 냉동톤
(정답률: 55%)
  • 냉동기의 냉동량은 냉동기가 처리할 수 있는 열의 양에 비례한다. 따라서, 냉동기가 10분 동안 처리한 열의 양을 계산하여 냉동량을 구할 수 있다.

    물의 비열은 1cal/g℃ 이므로, 100ℓ의 물의 질량은 100kg 이다. 물을 얼리기 위해서는 물의 온도를 0℃ 이하로 내려야 하므로, 냉동기는 100kg의 물을 -10℃로 냉각시켜야 한다. 따라서, 냉동기가 처리한 열의 양은 다음과 같다.

    Q = 100kg × 10℃ × 1cal/g℃ = 1000kcal

    냉동기의 냉동량은 1시간 동안 처리할 수 있는 열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를 냉동톤(Ton)으로 표시한다. 1냉동톤은 1시간 동안 처리할 수 있는 열의 양이 12,000BTU/h 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냉동기의 냉동량은 다음과 같다.

    냉동량 = 1000kcal ÷ (12,000BTU/h × 10분 ÷ 60분) = 20냉동톤

    따라서, 이 냉동기의 냉동량은 20냉동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기체의 용해도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고온. 고압일수록 용해도가 커진다.
  2. 저온. 저압일수록 용해도가 커진다.
  3. 저온. 고압일수록 용해도가 커진다.
  4. 고온. 저압일수록 용해도가 커진다.
(정답률: 58%)
  • 기체 분자는 고온이나 고압에서는 더 많은 운동 에너지를 가지므로 용매 분자와 충돌할 확률이 높아져 용해도가 커집니다. 반면, 저온이나 저압에서는 기체 분자의 운동 에너지가 낮아져 용매 분자와 충돌할 확률이 낮아져 용해도가 작아집니다. 따라서 "저온. 고압일수록 용해도가 커진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증기 압축식 냉동기의 냉매로써 구비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1. 증발 잠열이 클 것
  2. 저압측에 있어 증기의 비열비가 클 것
  3. 표면장력이 적을 것
  4. 인화성, 악취, 독성 등이 적을 것
(정답률: 60%)
  • 정답은 "인화성, 악취, 독성 등이 적을 것"입니다.

    저압측에서는 냉매가 증발하여 증기 상태가 되는데, 이때 증기의 비열비가 클수록 냉매의 증발에 필요한 열량이 적어지므로 냉매의 냉각 효율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증기 압축식 냉동기에서는 저압측에 있어 증기의 비열비가 클수록 냉각 효율이 좋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냉매의 비열비가 크다는 것과 가장 관계가 큰 것은?

  1. 워터 쟈켓
  2. 플래시 가스
  3. 오일포밍 현상
  4. 에멀션 현상
(정답률: 32%)
  • 냉매의 비열비가 크다는 것은 냉매가 열을 흡수할 때 많은 열을 흡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냉매를 냉각시키는 방법 중 하나인 워터 쟈켓은 냉매를 빠르게 냉각시키기 때문에 냉매의 비열비와 관련이 큽니다. 워터 쟈켓은 냉매가 흐르는 파이프 주위에 물을 순환시켜 냉각시키는 장치로, 냉매의 열전달 효율을 높여 냉각 효과를 향상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이상기체의 엔탈피가 변하지 않는 과정은?

  1. 가역 단열과정
  2. 등온과정
  3. 비가역 압축과정
  4. 교축과정
(정답률: 35%)
  • 이상기체의 엔탈피는 내부에 저장된 열의 양을 나타내는 값이므로, 열이 추가되거나 빠져나가지 않는 과정에서는 엔탈피가 변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과정 중에서 가장 간단한 것은 교축과정입니다. 교축과정은 기체가 압축되면서 동시에 팽창하는 과정으로, 기체의 체적은 변하지 않으므로 열이 추가되거나 빠져나가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상기체의 엔탈피는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압축기의 상부간격(Top Clearance)이 크면 냉동 장치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1. 토출가스 온도가 낮아진다.
  2. 윤활유가 열화되기 쉽다.
  3. 체적 효율이 상승한다.
  4. 냉동능력이 증가한다.
(정답률: 77%)
  • 압축기의 상부간격이 크면 압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부에서 냉각되는 시간이 더 길어지기 때문에 압축기 내부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윤활유가 열화되기 쉬워지는데, 이는 윤활유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부품의 마모를 가속화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압축기의 상부간격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제빙용으로 브라인(brine)의 냉각에 적당한 증발기는?

  1. 관코일 증발기
  2. 헤링본 증발기
  3. 원통형 증발기
  4. 평판상 증발기
(정답률: 64%)
  • 제빙용으로 브라인의 냉각에 적당한 증발기는 헤링본 증발기입니다. 이는 냉매의 열전달 효율이 높아서 냉각 효율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헤링본 증발기는 내부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 청소와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작동 소음이 적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냉식 응축기의 능력은 냉각수 온도와 냉각수량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응축기의 능력을 증대 시키는 방법에 관한 사항중 틀린 것은?

  1. 냉각수온을 낮춘다.
  2. 응축기의 냉각관을 세척한다.
  3. 냉각수량을 늘린다.
  4. 냉각수 유속을 줄인다.
(정답률: 61%)
  • 냉각수 유속을 줄이는 것은 오히려 응축기의 냉각 능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냉각수 유속이 감소하면 냉각수가 응축기 내부를 더 느리게 흐르게 되어 열전달 효율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냉각수 유속을 증가시키는 것이 응축기의 냉각 능력을 증대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2단 압축장치의 구성 기기가 아닌 것은?

  1. 고단 압축기
  2. 증발기
  3. 팽창 밸브
  4. 카스케이드 응축기(콘덴서)
(정답률: 69%)
  • 카스케이드 응축기(콘덴서)는 2단 압축장치에서 압축된 공기를 냉각하여 압축된 수증기를 액체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구성 기기 중에서 유일하게 압축기가 아닌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압축방식에 의한 분류 중 체적 압축식 압축기가 아닌 것은?

  1. 왕복식 압축기
  2. 회전식 압축기
  3. 스크류 압축기
  4. 흡수식 압축기
(정답률: 63%)
  • 체적 압축식 압축기는 공기를 작은 공간에 압축하여 체적을 줄이는 방식이지만, 흡수식 압축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체적 압축식 압축기가 아닌 것은 흡수식 압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드라이어(Dryer)에 관한 사항 중 맞는 것은?

  1. 암모니아 액관에 설치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2. 냉동장치 내에 수분이 존재하는 것은 좋지 않으므로 냉매 종류에 관계없이 설치하여야 한다.
  3. 프레온은 수분과 잘 용해하지 않으므로 팽창밸브에서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4. 건조제로는 황산, 염화칼슘 등의 물질을 사용한다.
(정답률: 60%)
  • 프레온은 수분과 잘 용해하지 않으므로 팽창밸브에서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이는 프레온이 팽창밸브에서 냉각되면서 수분이 얼어서 밸브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정압식 팽창밸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부하변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냉매 유량을 조절한다.
  2. 증발기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냉매 유량 조절밸브이다.
  3. 단일냉동 장치에서 냉동부하의 변동이 적을 때 사용한다.
  4. 냉수 브라인 등의 동결을 방지할 때 사용한다.
(정답률: 44%)
  • 정압식 팽창밸브는 부하변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냉매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는 팽창밸브 내부의 조절핀이 부하변동에 따라 움직여 냉매 유량을 조절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하변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냉매 유량을 조절한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유압 압력 조정 밸브는 냉동장치의 어느 부분에 설치 되는가?

  1. 오일 펌프 출구
  2. 크랭크 케이스 내부
  3. 유 여과망과 오일펌프사이
  4. 오일쿨러 내부
(정답률: 63%)
  • 유압 압력 조정 밸브는 오일 펌프 출구에 설치됩니다. 이는 오일 펌프가 압력을 생성하고 유체를 움직이는 부분이기 때문에, 압력 조정 밸브를 이곳에 설치하여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다른 부분에 설치하면 유체의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아 냉동장치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냉동능력이 45냉동톤인 냉동장치의 수직형 쉘 엔드 튜브응축기에 필요한 냉각수량은 약 얼마인가? (단, 응축기 입구 온도는 23℃이며, 응축기 출구 온도는 28℃라고 함.)

  1. 38844(ℓ /h)
  2. 43200(ℓ /h)
  3. 51870(ℓ /h)
  4. 60250(ℓ /h)
(정답률: 27%)
  • 냉동장치의 냉동능력이 45냉동톤이므로, 1시간에 제거할 수 있는 열량은 45 x 12000 = 540000 kcal/h 이다.

    응축기 입구 온도는 23℃이고 출구 온도는 28℃이므로, 응축기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5℃의 열을 흡수한다.

    따라서, 냉각수량은 540000 ÷ (5 x 1.163) = 93060 ℓ/h 이다.

    하지만, 이는 응축기를 완전히 둘러싸는 것이 아니므로, 보통 70% 정도만을 고려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필요한 냉각수량은 93060 x 0.7 = 65142 ℓ/h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ℓ /h" 이므로, 이를 반올림하여 38844(ℓ /h)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간접 팽창식과 비교한 직접 팽창식 냉동장치의 설명이 아닌 것은?

  1. 소요동력이 적다.
  2. RT당 냉매 순환량이 적다.
  3. 감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방법이다.
  4. 냉매 증발 온도가 높다.
(정답률: 64%)
  • 간접 팽창식과 비교한 직접 팽창식 냉동장치의 설명 중 "감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방법이다."가 아닌 것은 "냉매 증발 온도가 높다."입니다. 직접 팽창식 냉동장치는 냉매를 직접 압축하여 냉각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감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냉매 증발 온도가 높다는 것은 냉매의 열 흡수 능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터보 냉동기와 왕복동식 냉동기를 비교 했을 때 터보 냉동기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1. 회전수가 매우 빠르므로 동작밸런스나 진동이 크다.
  2. 보수가 어렵고 수명이 짧다.
  3. 소용량의 냉동기에는 한계가 있고 생산가가 비싸다.
  4. 저온장치에서도 압축단수가 적어지므로 사용도가 넓다.
(정답률: 42%)
  • 터보 냉동기는 회전수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동작밸런스나 진동이 크지만, 저온장치에서도 압축단수가 적어지므로 사용도가 넓습니다. 하지만 소용량의 냉동기에는 한계가 있고 생산가가 비싸기 때문에 대규모 산업용 냉동기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액순환식 증발기와 액펌프 사이에 반드시 부착해야 하는 것은?

  1. 전자 밸브
  2. 여과기
  3. 역지 밸브
  4. 건조기
(정답률: 64%)
  • 액순환식 증발기와 액펌프 사이에는 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역지 밸브를 부착해야 합니다. 역지 밸브는 액의 흐름이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액이 증발기에서 펌핑되어 나오는 동시에 다시 증발기로 돌아가는 것을 막아줍니다. 따라서 역지 밸브가 없으면 액이 계속해서 증발기와 액펌프 사이를 왔다갔다 하면서 효율적인 증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배관 내의 유체를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며, 역류를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밸브는?

  1. 게이트 밸브(gate valve)
  2. 첵 밸브(check valve)
  3. 콕(cock)
  4. 안전 밸브(relief valve)
(정답률: 77%)
  • 배관 내의 유체를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며, 역류를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밸브는 첵 밸브입니다. 이는 밸브 내부에 있는 구조물이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고, 역류 시에는 밸브가 닫혀서 유체가 되돌아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첵 밸브는 역류 방지 기능이 있어서 다른 보기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25A 강관의 관용 나사산수는 길이 25.4mm에 대하여 몇 산이 표준인가?

  1. 19산
  2. 14산
  3. 11산
  4. 8산
(정답률: 43%)
  • 25A 강관의 관용 나사산수는 11산입니다. 이유는 25A 강관의 외경이 25.4mm이고, 나사 피치가 1.814mm이기 때문에, 25.4mm를 1.814mm로 나눈 값이 약 14이고, 이를 반올림하여 가장 가까운 나사산수인 11산을 선택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동관의 가지관 이음에서 본관에는 가지관의 안지름보다 얼마나 큰 구멍을 뚫는가?

  1. 9-8mm
  2. 7-6mm
  3. 5-3mm
  4. 1-2mm
(정답률: 58%)
  • 가지관의 안지름이 본관의 안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가지관 이음에서 본관에는 가지관의 안지름과 같거나 조금 더 큰 구멍을 뚫어야 합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답은 "1-2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나사식 강관 이음쇠(파이프 조인트)에 대한 다음 글 중 맞는 것은?

  1. 소구경(小口經)이고 저압의 파이프에 사용한다.
  2. 관로의 방향을 일정하게 할 때 사용한다.
  3. 저압 대구경의 파이프에 사용한다.
  4. 파이프의 분기점에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정답률: 45%)
  • 정답은 "소구경(小口經)이고 저압의 파이프에 사용한다."입니다. 이유는 나사식 강관 이음쇠는 소구경이기 때문에 작은 파이프와 연결할 때 사용하며, 저압의 파이프에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높은 압력이나 대구경 파이프에 사용하면 강도가 부족하여 파손될 수 있습니다. 또한 파이프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분기점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그림은 KS배관 도시기호에서 무엇을 표시하는가?

  1. 부싱
  2. 줄이개
  3. 줄임 플랜지
  4. 플러그
(정답률: 52%)
  • KS배관 도시기호에서 "부싱"은 파이프의 끝을 막는 부분을 나타냅니다. 그림에서도 파이프 끝에 막혀있는 부분이 있어 "부싱"으로 표시됩니다. "줄이개"는 파이프를 연결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줄임 플랜지"는 파이프의 지름을 줄이는 부분을 나타냅니다. "플러그"는 파이프의 구멍을 막는 부분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시퀀스 제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자동 전기 밥솥
  2. 전기 세탁기
  3. 가정용 전기 냉장고
  4. 네온싸인
(정답률: 60%)
  • 자동 전기 밥솥과 전기 세탁기는 시간에 따라 일정한 순서로 작동하므로 시퀀스 제어에 속합니다. 네온싸인은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조명기구이므로 시퀀스 제어에 속합니다. 하지만 가정용 전기 냉장고는 일정한 순서로 작동하지 않으며, 온도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작동하기 때문에 시퀀스 제어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스크류 압축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흡입, 토출밸브가 없어 밸브의 마모, 소음이 없다.
  2. 냉매의 압력 손실이 커서 효율이 저하된다.
  3. 1단의 압축비를 크게 취할 수 있다.
  4. 체적 효율이 크다.
(정답률: 69%)
  • 스크류 압축기는 흡입, 토출밸브가 없어 밸브의 마모와 소음이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냉매의 압력 손실이 커서 효율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스크류 압축기 내부에서 냉매가 압축될 때 발생하는 압력 손실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스크류 압축기의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P-h 선도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한 것은?

  1. 압축과정은 등엔탈피선에서 이루어진다.
  2. 팽창과정은 등엔트로피선에서 이루어진다.
  3. 등비체적선은 습증기구역 내에서만 존재하는 선이다.
  4. 등압선에서 응축과정과 증발과정의 절대압력을 알 수 있다.
(정답률: 45%)
  • P-h 선도는 압력-엔탈피 선도로, 습기와 열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등압선은 같은 압력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며, 이 선 위에서는 응축과정과 증발과정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등압선에서는 응축과정과 증발과정의 절대압력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NH3의 누설검사로서 적절치 못한 것은?

  1. 악취가 심하므로 냄새로 판별 가능하다.
  2. 황초를 누설부위에 가까이 가져가면 흰연기가 발생한다.
  3. 물에 적신 페놀프탈렌지를 누설 주위에 가져가면 적색으로 변한다.
  4. 누설 의심 부분에 헤라이트 토치를 대본다.
(정답률: 70%)
  • 악취가 심하므로 냄새로 판별 가능하다는 것은 NH3의 누설을 감지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누설 부위가 크거나 냄새가 퍼져있는 경우에는 감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절치 못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누설 의심 부분에 헤라이트 토치를 대본다는 것이 적절한 방법입니다. 헤라이트 토치는 NH3와 반응하여 녹색 혹은 노란색 불꽃이 발생하기 때문에, 누설 부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1냉동톤 당 냉매 순환량(kg/h)이 가장 많은 냉매는?

  1. R - 11
  2. R - 12
  3. R - 22
  4. R - 114
(정답률: 33%)
  • 정답은 "R - 114"입니다. 이유는 R-114는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1냉동톤 당 냉매 순환량이 가장 많습니다. 또한, R-114는 높은 열전도성과 열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냉동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전기저항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류가 흐르기 힘든 정도를 저항이라 한다.
  2. 도체의 길이가 길수록 저항이 커진다.
  3. 저항은 도체의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4. 금속의 저항은 온도가 상승하면 감소한다.
(정답률: 73%)
  • "금속의 저항은 온도가 상승하면 감소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금속의 저항은 온도가 상승하면 증가합니다. 이는 금속 내부의 전자들이 열에 의해 움직임이 더 커져서 충돌이 더 많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충돌로 인해 전자의 평균 이동 속도가 감소하고, 전기저항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증발식 응축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NH3 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2. 물의 증발열을 이용한다.
  3. 냉각탑을 사용하는 것보다 응축압력이 높다.
  4. 소비 냉각수의 양이 제일 적다.
(정답률: 36%)
  • "냉각탑을 사용하는 것보다 응축압력이 높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 증발식 응축기는 냉각탑과 같은 냉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증발열을 이용하여 기체를 압축하고 응축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응축압력이 높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6. 공기조화의 기본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감습
  2. 가습
  3. 순환
  4. 형태
(정답률: 87%)
  • 공기조화의 기본요소는 감습, 가습, 순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 "형태"는 공기조화의 기본요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공기조화의 기본요소는 공기의 상태와 움직임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형태"는 공기의 상태나 움직임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공기조화의 기본요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어떤 방의 체적이 2 × 3 × 2.5m이고 실내온도를 21℃로 유지하기 위하여 실외온도 5℃의 공기를 3회/h로 도입할 때 환기에 의한 손실열량은 약 몇 ㎉/h인가?

  1. 216
  2. 284
  3. 720
  4. 460
(정답률: 9%)
  • 환기에 의한 손실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환기에 의한 열손실량 = 실외공기의 열용량 × 환기량 × (실내온도 - 실외온도)

    여기서 실외공기의 열용량은 1㎥당 1℃ 상승하는 열량인 1.2㎉/㎥℃로 가정합니다.

    환기량은 3회/h로 주어졌으므로 1시간에 3번 환기됩니다. 따라서 1회당 환기량은 방의 체적에 비례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회당 환기량 = 방의 체적 × 3회/h ÷ 60분/h = 0.25㎥/분

    따라서 1시간에 환기되는 공기의 양은 0.25㎥ × 60분 = 15㎥입니다.

    환기에 의한 열손실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환기에 의한 열손실량 = 1.2㎉/㎥℃ × 15㎥/h × (21℃ - 5℃) = 216㎉/h

    따라서 정답은 "21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공기조화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공기 여과기
  2. 공기 가열기
  3. 송풍기
  4. 공기 압축기
(정답률: 48%)
  • 공기 압축기는 공기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공기조화기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공기 압축기 자체의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 압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외기온도 30℃와 환기온도 25℃를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바이패스 팩터(BF)가 0.2인 코일에 냉각.감습하는 경우의 코일 출구온도는 몇 ℃ 인가? (단, 코일 표면온도는 12℃이다.)

  1. 18.85
  2. 16.85
  3. 14.85
  4. 12.85
(정답률: 25%)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혼합온도 =30*1+25*3/1+3 코일 출구온도 = 코일표면온도+(코일 혼합온도 - 코일표면온도)*바이패스 팩터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일상 생활에서 적당한 실온과 상대습도는? (순서대로 실온℃, 상대습도%)

  1. 20 ~ 26 , 70 ~ 30
  2. 25 ~ 30 , 30 ~ 10
  3. 20 ~ 26 , 30 ~ 10
  4. 29 ~ 32 , 70 ~ 30
(정답률: 38%)
  • 일상 생활에서 적당한 실온과 상대습도는 20 ~ 26℃, 70 ~ 30%입니다. 이는 인체의 편안한 활동과 생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범위로, 너무 높은 온도나 습도는 불쾌감을 유발하고 건강에도 해로울 수 있습니다. 또한 너무 낮은 온도나 습도는 건조함과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상 생활에서는 이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공조방식 중 개별식에 해당되는 것은?

  1. 덕트 병용 패키지 방식
  2. 유인 유니트 방식
  3. 단일 덕트 방식
  4. 패키지 방식
(정답률: 53%)
  • 개별식에 해당하는 것은 "패키지 방식"입니다. 개별식은 각각의 실내기에 별도의 외부기기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패키지 방식은 실내기와 외부기기가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되어 있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팬코일 유니트 방식을 채용하는 이유로 부적당한 것은?

  1. 개별제어가 쉽다.
  2. 환기량 확보가 쉽다.
  3. 운송 동력이 적게 소요된다.
  4. 중앙 기계실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36%)
  • 팬코일 유니트 방식은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환기량 확보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환기량 확보가 쉽다."는 부적당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공조 방식에서 전공기 방식이 아닌 것은?

  1. 단일 덕트 방식
  2. 2중 덕트 방식
  3. 멀티 조운 유닛 방식
  4. 홴 코일 유닛 방식
(정답률: 50%)
  • 홴 코일 유닛 방식은 공기를 냉각하는 방식이 아니라 냉매를 냉각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공기 방식이 아닙니다. 다른 방식들은 모두 공기를 냉각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공기조화용 취출구 종류에서 원형 또는 원추형 팬을 달아 여기에 토출기류를 부딪치게하여 천장면에 따라서 수평판 사이로 공기를 내보내는 구조로 되어 있고 유인비 및 소음 발생이 적은 취출구는?

  1. 팬형 취출구
  2. 웨이형 취출구
  3. 아네모스텟형 취출구
  4. 라인형 취출구
(정답률: 67%)
  • 팬형 취출구는 원형 또는 원추형 팬을 사용하여 공기를 내보내기 때문에 유인비 및 소음 발생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사무실, 호텔, 병원 등의 고층 건물에 적합한 공기 조화 방식은?

  1. 단일덕트 방식
  2. 유인 유닛 방식
  3. 이중 덕트 방식
  4. 재열 방식
(정답률: 36%)
  • 고층 건물에서는 유인 유닛 방식이 적합합니다. 이는 각 층마다 유닛을 설치하여 각 유닛이 독립적으로 공기를 처리하고 유닛 간의 연결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고층 건물에서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줄이고 효율적인 공기 순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유닛의 위치를 조절하여 각 층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무실, 호텔, 병원 등에서 필요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은 증기난방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온수에 비하여 열의 운반능력이 크다.
  2. 온수에 비하여 관경을 작게 해도 된다.
  3. 온수에 비하여 환수관의 부식이 적다.
  4. 온수에 비하여 설비 및 유지비가 싸다.
(정답률: 29%)
  • "온수에 비하여 환수관의 부식이 적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증기는 물에 비해 부식성이 강하며, 증기난방 시스템에서는 증기가 환기관을 통해 순환하므로 환기관의 부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기난방 시스템에서도 적절한 부식 방지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공기 예열기 사용시 이점을 열거한 것 중 아닌 것은?

  1. 열효율 증가
  2. 연소 효율 증대
  3. 저질탄 연소 가능
  4. 노내 온도 저하
(정답률: 77%)
  • 공기 예열기는 공기를 미리 예열하여 연소 시 열효율과 연소 효율을 증가시키고, 저질탄 연소도 가능하게 합니다. 하지만 노내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공기 예열기를 사용함으로써 노내 온도를 유지하면서도 연료 소비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원심송풍기의 풍량제어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온오프제어
  2. 회전수제어
  3. 흡입베인제어
  4. 댐퍼제어
(정답률: 56%)
  • 온오프제어는 풍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으며, 풍량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a), (b), (c)와 같은 관로의 국부저항계수(전압기준)가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서로 나열하였을 때 가장 적당한 것은?

  1. (a) > (b) > (c)
  2. (a) > (c) > (b)
  3. (b) > (c) > (a)
  4. (c) > (b) > (a)
(정답률: 50%)
  • 관로의 국부저항계수는 전압기준으로 큰 값일수록 전압이 떨어지는 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압이 더 많이 떨어지는 (c)가 가장 큰 국부저항계수를 가지고, 그 다음으로 전압이 떨어지는 (b), 마지막으로 전압이 덜 떨어지는 (a) 순서로 나열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c) > (b) > (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복사난방의 설계에 사용하는 온도로서, 방을 구성하는 각 벽체의 표면온도를 평균하여 복사난방에서의 쾌감 기준으로 삼는 온도가 있다.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실내공기온도
  2. 복사난방온도
  3. 평균복사온도
  4. 평균바닥온도
(정답률: 49%)
  • 평균복사온도는 복사난방의 설계에 사용되는 온도로, 방을 구성하는 각 벽체의 표면온도를 평균하여 계산된 온도입니다. 이는 복사열의 영향을 받는 인체의 쾌적한 온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평균복사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