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7-18)

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04-07-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조냉동안전관리

1. 줄 작업 할 때의 안전수칙에 어긋나는 것은?

  1. 줄을 해머대신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넓은 면은 톱작업 하기 전에 삼각줄로 안에 홈을 만든다.
  3. 마주보고 줄 작업을 한다.
  4. 줄 눈에 끼인 쇠밥은 와이어 브러쉬로 제거 한다.
(정답률: 86%)
  • 마주보고 줄 작업을 하는 것은 안전수칙에 어긋나는 것입니다. 이는 작업자들이 서로의 동작을 예측하기 어렵고, 작업 중에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서로를 향하지 않고,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서 작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장갑을 끼고 하여도 좋은 작업은?

  1. 용접작업
  2. 줄작업
  3. 선반작업
  4. 세이퍼작업
(정답률: 84%)
  • 용접작업은 장갑을 끼고 하여도 작업에 지장이 없는 작업입니다. 이는 용접작업 시 발생하는 뜨거운 불꽃이나 녹는 금속이 장갑을 뚫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작업은 장갑을 끼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재해 조사 시에 유의하지 않아도 좋은 것은?

  1. 주관적인 입장에서 정확하게 조사한다.
  2. 재해발생 현장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사한다.
  3. 재해현상을 사진이나 도면을 작성 기록해둔다.
  4. 과거의 사고 경향을 참고하여 조사한다.
(정답률: 81%)
  • 과거의 사고 경향을 참고하여 조사하는 것은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하지 않아도 좋은 것입니다. 이는 재해 조사에서 객관적인 사실에 기반하여 조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보일러 사고원인 중 파열사고의 원인이 될 수 없는 것은?

  1. 압력초과
  2. 저수위
  3. 고수위
  4. 과열
(정답률: 72%)
  • 보일러 내부의 수위가 고수위로 상승하면, 보일러 내부의 공기가 제거되지 못하고 증발되어 증기 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압력초과나 과열로 이어질 수 있어 파열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수위는 파열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암모니아 냉매가스의 누설검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붉은 리트머스 시험지가 청색으로 변한다.
  2. 네슬러 시약을 이용해서 검사한다.
  3. 헤라이드 토치를 사용해서 검사한다.
  4. 염화수소와 반응시켜 흰 연기를 발생시켜 검사한다.
(정답률: 68%)
  • 헤라이드 토치는 염화수소와 반응하여 불을 일으키는 불꽃 시험기기이므로 암모니아 냉매가스의 누설을 검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연소실내 폭발 등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는?

  1. 압력계
  2. 안전밸브
  3. 가용마개
  4. 방폭문
(정답률: 81%)
  • 연소실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하면 막대한 압력과 열이 발생하여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소실 내부와 외부를 분리하는 안전장치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방폭문은 연소실 내부에서 발생한 폭발이나 화재로부터 외부를 차단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방폭문이 연소실 내부에서 발생한 폭발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드라이버 끝이 나사홈에 맞지 않으면 뜻밖의 상처를 입을 수가 있다. 드라이버 선정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날끝이 홈의 폭과 길이에 맞는 것을 사용한다.
  2. 날끝이 수직이어야 하며 둥근 것을 사용한다.
  3. 작은 공작물이라도 한 손으로 잡지 않고 바이스 등으로 고정시킨다.
  4. 전기 작업시 자루는 절연된 것을 사용한다.
(정답률: 73%)
  • 날끝이 수직이어야 하는 이유는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는 동안 힘이 골고루 전달되어 작업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둥근 것을 사용하는 이유는 드라이버와 나사홈 사이에 공간이 있을 경우, 둥근 날끝이 더욱 쉽게 들어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가스 용접법의 장점 중 틀린 것은?

  1. 응용 범위가 넓다.
  2. 설비 비용이 싸다.
  3. 유해 광선의 발생이 적다.
  4. 가열 범위가 넓다.
(정답률: 41%)
  • 가열 범위가 넓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가열 범위가 넓으면 용접 부위 이외의 부분도 함께 가열되어 소성변형이나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스 용접법의 장점은 "응용 범위가 넓다.", "설비 비용이 싸다.", "유해 광선의 발생이 적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소 아세틸렌 용접장치에서 ①산소호스와 ②아세틸렌호스의 색깔로 맞는 것은?

  1. ①적색, ②흑색
  2. ①적색, ②녹색
  3. ①녹색, ②적색
  4. ①녹색, ②흑색
(정답률: 77%)
  • 산소호스는 녹색이며, 아세틸렌호스는 적색입니다. 이는 호스 내부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특성에 따라 색깔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산소는 녹색으로, 아세틸렌은 적색으로 구분되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보호구 선정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종류
  2. 형상
  3. 성능
  4. 미(美)
(정답률: 93%)
  • "미(美)"는 보호구 선정 조건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인데, 이는 외적인 디자인이나 미적인 측면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호구를 선택할 때는 종류, 형상, 성능 등의 기능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액체연료 사용시 화재가 발생되었다. 조치사항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모든 전기의 전원 스위치를 끈다.
  2. 연료밸브를 닫는다.
  3. 모래를 사용하여 불을 끈다.
  4. 물을 사용하여 불을 끈다.
(정답률: 78%)
  • 액체연료는 물과 같은 소화제로는 꺼지지 않기 때문에 물을 사용하여 불을 끄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물을 사용하면 불을 더 커지게 만들 수 있습니다. 대신에 모든 전기의 전원 스위치를 끄고, 연료밸브를 닫아서 연료 공급을 차단하고, 모래나 소화기 등 적절한 소화제를 사용하여 불을 끄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안전 교육 중 양성 교육의 교육 대상자가 아닌 것은?

  1. 운반 차량 운전자
  2. 냉동 시설 안전 관리자가 되고자 하는 자
  3. 일반 시설 안전 관리자가 되고자 하는 자
  4. 사용 시설 안전 관리자가 되고자 하는 자
(정답률: 78%)
  • 운반 차량 운전자는 교통안전 교육의 대상이지만, 양성 교육의 대상은 아닙니다. 양성 교육은 일정 규모 이상의 위험성이 있는 시설에서 일하는 종사자들에게 제공되는 교육으로, 냉동 시설, 사용 시설, 일반 시설 안전 관리자가 되고자 하는 자들이 대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쇠톱작업 시의 유의사항이다. 틀린 것은?

  1. 모가 난 재료를 절단할 때는 모서리보다는 평면부터 자른다.
  2. 톱날을 사용할 때는 2∼3회 사용한 다음 재조정하고 작업을 한다.
  3. 절단이 완료될 무렵에는 힘을 적절히 줄이고 작업을 한다.
  4. 얇은 판을 절단할 때는 목재 사이에 끼운 다음 작업을 한다.
(정답률: 68%)
  • "모가 난 재료를 절단할 때는 모서리보다는 평면부터 자른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모가 난 재료를 모서리부터 자르면 톱날이 모서리에서 미끄러져서 절단면이 불규칙해지고, 톱날이 망가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평면부터 자르면 톱날이 안정적으로 자를 수 있고, 절단면도 깔끔하게 나오기 때문에 이 방법이 권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기 기기의 방폭구조의 형태가 아닌 것은?

  1. 내압 방폭구조
  2. 안전증 방폭구조
  3. 특수 방폭구조
  4. 차동 방폭구조
(정답률: 50%)
  • 차동 방폭구조는 전기 기기의 과전류나 과부하 등으로 인한 발열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방폭구조의 형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내압 방폭구조, 안전증 방폭구조, 특수 방폭구조는 모두 전기 기기의 방폭구조 형태 중 하나이지만, 차동 방폭구조는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보일러가 부식하는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보일러수 PH값 저하
  2. 수중에 함유된 산소의 작용
  3. 수중에 함유된 암모니아의 작용
  4. 수중에 함유된 탄산가스의 작용
(정답률: 41%)
  • 암모니아는 보일러 내부에서 부식을 일으키는 화학물질 중 하나입니다. 암모니아는 물과 반응하여 암모늄 이온을 생성하고, 이 이온은 보일러 내부에서 부식을 일으키는데 기여합니다. 따라서 수중에 함유된 암모니아의 작용은 보일러가 부식하는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기계

16. 동력의 단위 중 그 값이 큰 순서대로 나열이 된 것은? (단, ㎰는 국제 마력이고, HP 는 영국 마력임)

  1. 1 ㎾ > 1 HP > 1 ㎰ > 1 ㎏·m/sec
  2. 1 ㎾ > 1 ㎰ > 1 HP > 1 ㎏·m/sec
  3. 1 HP > 1 ㎰ > 1 ㎾ > 1 ㎏·m/sec
  4. 1 HP > 1 ㎰ > 1 ㎏·m/sec > 1 ㎾
(정답률: 58%)
  • 1. 1㎾ > 1HP > 1㎰ > 1㎏·m/sec

    이유:
    - 1㎾는 1초에 1줄의 일을 할 수 있는 에너지를 의미하며, 1HP는 1초에 550파운드-피트의 일을 할 수 있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1㎾가 1HP보다 작은 값이다.
    - 1㎰는 1초에 1000줄의 일을 할 수 있는 에너지를 의미하며, 1㎾보다 큰 값이다.
    - 1㎏·m/sec는 질량과 속도의 곱으로 힘의 단위인 뉴턴(N)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동력의 단위가 아니며, 다른 단위들과 비교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비중 0.8, 비열 0.7인 30℃의 어떤 액체 3m3을 10℃로 냉각 하고자 할 때 제거열량은 몇 ㎉ 인가?

  1. 33.6 ㎉
  2. 3,360 ㎉
  3. 33,600 ㎉
  4. 336,000 ㎉
(정답률: 39%)
  • 제거열량 = 냉각 전 열량 - 냉각 후 열량

    냉각 전 열량 = 비중 × 비열 × 부피 × 온도 = 0.8 × 0.7 × 3 × 30 = 50.4 kWh

    냉각 후 열량 = 비중 × 비열 × 부피 × 온도 = 0.8 × 0.7 × 3 × 10 = 16.8 kWh

    제거열량 = 50.4 - 16.8 = 33.6 kWh = 33,600 ㎉

    따라서, 정답은 "33,600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냉동이란 저온을 생성하는 수단 방법이다. 다음 중 저온 생성 방법에 들지 못하는 것은?

  1. 기한제 이용
  2. 액체의 증발열 이용
  3.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 이용
  4. 기체의 응축열 이용
(정답률: 45%)
  • 기체의 응축열 이용은 온도를 낮추는 것이 아니라 기체를 압축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에 저온 생성 방법에 들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준 냉동 사이클에서 토출 온도가 제일 높은 냉매는?

  1. R - 11
  2. R - 22
  3. NH3
  4. CH3Cl
(정답률: 69%)
  • 기준 냉동 사이클에서 토출 온도가 제일 높은 냉매는 NH3입니다. 이는 NH3의 높은 열전달율과 냉매의 열적 안정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NH3은 환경 친화적이며, 안전성이 높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암모니아 냉매의 단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폭발 및 가연성이 있다.
  2. 독성이 있다.
  3. 사용되는 냉매 중 증발잠열이 가장 작다.
  4. 공기 조화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
(정답률: 73%)
  • 암모니아 냉매의 단점은 폭발 및 가연성이 있으며, 독성이 있다. 그러나 사용되는 냉매 중 증발잠열이 가장 작다는 것은 암모니아 냉매의 장점이다. 이는 냉매가 증발할 때 필요한 열의 양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냉매의 효율성을 높이는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암모니아와 프레온 냉동 장치를 비교 설명한 다음 사항 중 옳은 것은?

  1. 압축기의 실린더 과열은 프레온보다 암모니아가 심하다
  2. 냉동 장치 내에 수분이 있을 경우, 그 정도는 프레온보다 암모니아가 심하다.
  3. 냉동 장치 내에 윤활유가 많은 경우, 프레온 보다 암모니아가 문제성이 적다.
  4. 위 사항에 관계없이 동일 조건에서는 성능, 효율 및 모든 제원이 같다.
(정답률: 50%)
  • 암모니아와 프레온은 냉동 장치에서 사용되는 냉매이다. 암모니아는 냉매로서 냉동 효율이 높고, 환경 친화적이지만 독성이 있어 안전성 문제가 있다. 반면에 프레온은 독성이 없어 안전성이 높지만, 오존층 파괴와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환경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압축기의 실린더 과열은 프레온보다 암모니아가 심한 이유는 암모니아가 냉매로서 냉동 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냉매의 냉각 효율이 높을수록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많아지기 때문에 실린더 과열이 심해진다. 따라서, 암모니아는 냉동 효율이 높아 실린더 과열이 더 심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압축기의 실린더 과열은 프레온보다 암모니아가 심하다"는 사항이 옳다. "냉동 장치 내에 수분이 있을 경우, 그 정도는 프레온보다 암모니아가 심하다"와 "냉동 장치 내에 윤활유가 많은 경우, 프레온 보다 암모니아가 문제성이 적다"는 사항은 정확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위 사항에 관계없이 동일 조건에서는 성능, 효율 및 모든 제원이 같다"는 사항은 옳지 않다. 냉매의 종류에 따라 냉동 효율, 안전성, 환경 친화성 등의 제원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 조건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압축기 분해시, 다음 부품 중 제일 나중에 분해되는 것은?

  1. 실린더 커버
  2. 세프티 헤드 스프링
  3. 피스톤
  4. 토출 밸브
(정답률: 58%)
  • 피스톤은 실린더 내부에서 움직이는 부품으로, 다른 부품들이 분해되어도 피스톤은 실린더 내부에 남아있기 때문에 제일 나중에 분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압축기의 용량제어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기동시 경부하 기동으로 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2. 압축기를 보호할 수 있고 기계의 수명이 연장된다.
  3. 부하변동에 대응한 용량제어로 경제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4.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정답률: 47%)
  • 압축기의 용량제어는 부하변동에 대응하여 경제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기동시 경부하 기동으로 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압축기의 용량제어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대기 중의 습도가 냉매의 응축온도에 관계있는 응축기는?

  1. 입형 쉘 앤드 튜브 응축기
  2. 공냉식 응축기
  3. 횡형 쉘 앤드 튜브 응축기
  4. 증발식 응축기
(정답률: 62%)
  • 증발식 응축기는 냉매가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하여 냉매의 온도를 낮추고, 이로 인해 대기 중의 습도와는 관계없이 일정한 응축온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 중의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기 중의 습도가 냉매의 응축온도에 관계있는 다른 응축기들과는 달리 증발식 응축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회전식(Rotary) 압축기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흡입변이 없다.
  2. 압축이 연속적이다.
  3. 회전수가 매우 적다.
  4. 왕복동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다.
(정답률: 75%)
  • 회전식 압축기는 회전하는 로터(회전체)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는 방식으로, 압축이 연속적이며 왕복동에 비해 구조가 간단합니다. 하지만 흡입변이가 없는 대신 회전수가 매우 높아야 하기 때문에, 소형화가 어렵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회전식 압축기는 대형 공기압축기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냉각탑 부속품 중 엘리미네이터(Eliminator)가 있는데 그 사용목적은?

  1. 물의 증발을 양호하게 한다.
  2. 공기를 흡수하는 장치다.
  3. 물이 과냉각되는 것을 방지한다.
  4. 수분이 대기 중에 방출하는 것을 막아주는 장치다.
(정답률: 67%)
  • 냉각탑에서 물이 증발하면서 수분이 대기 중에 방출되는데, 이러한 수분이 대기 중에 방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장치가 엘리미네이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쿨링 타워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냉동장치에서 쿨링 타워를 설치하면 응축기는 필요 없다.
  2. 쿨링 타워에서 냉각된 물의 온도는 대기의 습구온도보다 높다.
  3. 타워의 설치 장소는 습기가 많고 통풍이 잘되는 곳이 적합하다.
  4. 송풍량을 많게 하면 수온이 내려가고 대기의 습구온도보다 낮아진다.
(정답률: 40%)
  • 쿨링 타워에서 냉각된 물은 대기와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기 때문에, 대기의 습구온도보다는 높지만, 일반적으로는 대기 온도보다는 낮습니다. 따라서 "쿨링 타워에서 냉각된 물의 온도는 대기의 습구온도보다 높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온도식 액면 제어변에 설치된 전열히타의 용도는?

  1. 감온통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2. 냉매와 히타가 직접 접촉하여 저항에 의해 작동한다.
  3. 주로 소형 냉동기에 사용되는 팽창 밸브이다.
  4. 감온통내에 충진된 가스를 민감하게 작동토록 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정답률: 39%)
  • 온도식 액면 제어변은 감온통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전열히타는 감온통 내부의 가스를 민감하게 작동시키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감온통내에 충진된 가스를 민감하게 작동토록 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고속 다기통 압축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체적효율이 높다.
  2. 부품 교환 범위가 넓다.
  3. 진동이 적다.
  4. 용량에 비하여 기계가 작다.
(정답률: 20%)
  • 고속 다기통 압축기의 장점 중 "체적효율이 높다."는 아닙니다. 이는 장비의 크기와 용량에 비해 작은 크기로 설계되어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유분리기의 설치 위치로서 알맞는 것은?

  1.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
  2. 응축기와 수액기 사이
  3. 수액기와 증발기 사이
  4.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
(정답률: 65%)
  • 유분리기는 압축기에서 나온 오일과 물 혼합물에서 오일을 분리해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압축기에서 나온 혼합물은 응축기로 들어가기 전에 유분리기를 거쳐 오일과 물을 분리하고, 오일은 다시 압축기로 돌아가서 사용됩니다. 이렇게 분리된 물은 응축기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분리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암모니아 냉동기의 압축기에 공냉식을 채택하지 않는 이유는?

  1. 토출가스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2. 압축비가 작기 때문에
  3. 냉동능력이 크기 때문에
  4. 독성가스이기 때문에
(정답률: 52%)
  • 암모니아 냉동기의 압축기에 공냉식을 채택하지 않는 이유는 토출가스의 온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압축기에서 압축된 암모니아 가스는 높은 온도로 토출되는데, 이를 냉각하기 위해 공냉식을 사용하면 많은 냉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토출가스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공냉식을 채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옳은 것은?

  1. 냉각탑의 입구수온은 출구수온보다 낮다.
  2. 응축기 냉각수 출구온도는 입구온도보다 낮다.
  3. 응축기에서의 방출열량은 증발기에서 흡수하는 열량과 같다.
  4. 증발기의 흡수열량은 응축열량에서 압축열량을 뺀 값과 같다.
(정답률: 44%)
  • 증발기에서 흡수한 열량은 응축기에서 방출되는 열량과 같으므로, 증발기의 흡수열량은 응축열량에서 압축열량을 뺀 값과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보온재나 보냉재의 단열재는 무엇을 기준으로 구분하는가?

  1. 사용압력
  2. 내화도
  3. 열전도율
  4. 안전사용 온도
(정답률: 43%)
  • 보온재나 보냉재의 단열재는 안전사용 온도를 기준으로 구분합니다. 이는 단열재가 사용될 환경에서 발생하는 최대 온도를 고려하여 제작되기 때문입니다. 안전사용 온도를 초과하면 단열재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절한 단열재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비교적 점도(粘度)가 큰 유체 또는 약간의 저항에도 정출(晶出)하는 유체의 흐름에 사용되는 것은?

  1. 안전밸브
  2. 글로우브 밸브
  3. 앵글밸브
(정답률: 49%)
  • 글로우브 밸브는 비교적 점도가 큰 유체나 약간의 저항에도 정출하는 유체의 흐름에 사용되는 밸브입니다. 이는 밸브 내부에 있는 구조물이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면서 저항을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글로우브 밸브는 점도가 높은 유체나 약간의 저항이 있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데 적합한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관의 직경이 크거나 기계적 강도가 문제될 때 유니온 대용으로 결합하여 쓸 수 있는 것은?

  1. 이경소켓
  2. 플랜지
  3. 니플
  4. 부싱
(정답률: 64%)
  • 유니온은 파이프나 관을 연결하는 부품 중 하나로,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하지만 관의 직경이 크거나 기계적 강도가 문제될 때는 유니온 대신 플랜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플랜지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며, 관의 직경이 크거나 압력이 높은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플랜지는 기계적 강도가 높아서 파이프나 관을 더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플랜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고압측 액관에 설치한 여과기의 메쉬(Mesh)는 어느 정도인가?

  1. 40-60 mesh
  2. 80-100 mesh
  3. 120-140 mesh
  4. 160-180 mesh
(정답률: 68%)
  • 고압측 액관에 설치된 여과기는 액체 중에 있는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한 장치입니다. 이때, 메쉬는 불순물의 크기에 따라 선택되어야 합니다. 80-100 mesh는 불순물의 크기가 약 150-180 마이크론 정도인 경우에 적합한 메쉬 크기입니다. 따라서, 이 여과기에는 80-100 mesh의 메쉬가 설치되어 있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2개 이상의 엘보를 사용하여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는 신축이음은?

  1. 루우프형 이음
  2. 벨로우즈형 이음
  3. 슬리브형 이음
  4. 스위블형 이음
(정답률: 63%)
  • 스위블형 이음은 2개 이상의 엘보를 사용하여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는 이음 방법입니다. 이는 엘보와 엘보 사이에 스위블 플랜지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스위블 플랜지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배관의 신축에 따라 회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위블형 이음은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면서도 배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여 유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동관접합중 동관의 끝을 넓혀 압축이음쇠로 접합하는 접합방법을 무엇이라고 표현하는가?

  1. 플랜지 접합
  2. 플레어 접합
  3. 플라스턴 접합
  4. 빅토리 접합
(정답률: 52%)
  • 정답은 "플레어 접합"입니다. 이는 동관의 끝을 넓혀서 압축이음쇠로 접합하는 방법으로, 넓은 부분이 플레어(flare) 모양이기 때문에 이렇게 불립니다. 이 방법은 접합이 강력하고 누출이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은 8핀 타이머의 내부회로도이다. ⑤, ⑧접점을 표시한 것은 무엇인가?

(정답률: 51%)
  • ⑤는 출력단자로서, 8핀 타이머의 출력신호를 외부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⑧은 리셋단자로서, 외부에서 리셋신호를 입력받아 8핀 타이머의 동작을 초기화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둘은 외부와의 연결을 위해 표시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P - h 선도상의 번호 명칭 중 맞는 것은?

  1. ① : 등비체적선
  2. ② : 등엔트로피선
  3. ③ : 등엔탈피선
  4. ④ : 등건조도선
(정답률: 53%)
  • P-h 선도상에서 등건조도선은 등압선과 건조단계를 나타내는 선으로, 대기 중 상대습도가 100%인 지점을 표시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1000 hPa 기압면에서 상대습도가 100%인 지점을 표시한 등건조도선이 ④번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냉동사이클의 변화에서 증발온도가 일정할 때 응축온도가 상승할 경우의 영향으로 맞는 것은?

  1. 성적계수 증대
  2. 압축일량 감소
  3. 토출가스 온도 저하
  4. 플래쉬 가스발생량 증가
(정답률: 47%)
  • 증발온도가 일정할 때 응축온도가 상승하면, 냉매의 상태가 포화상태에서 포화도보다 높은 상태로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매의 압력이 갑자기 낮아지면, 냉매가 포화도보다 높은 상태에서 포화도로 변화하면서 플래쉬 가스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응축온도가 상승할 경우 플래쉬 가스발생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냉매의 물리적 조건이 아닌 것은?

  1. 상온에서 임계온도가 낮을 것(상온이하)
  2. 응고 온도가 낮을 것
  3. 증발 잠열이 크고, 액체 비열이 작을 것
  4. 누설 발견이 쉽고, 전열 작용이 양호할 것
(정답률: 40%)
  • "상온에서 임계온도가 낮을 것(상온이하)"은 냉매가 상온에서부터 쉽게 증발할 수 있으며, 냉매의 증발 열이 크기 때문에 냉매의 냉각 효과가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냉매의 냉각 효율을 높여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2단 압축을 채용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냉동 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2. 압축비가 2 이상일 때 채택
  3. 압축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4. 체적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정답률: 50%)
  • 압축비가 2 이상일 때 채택하는 것은 압축 과정에서 냉동 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압축비가 2 이상이면 압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 적어져 냉동 능력이 증대됩니다. 따라서 압축비를 감소시키거나 체적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은 2단 압축을 채택하는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저항이 250[Ω]이고 40[W]인 전구가 있다. 점등시 전구에 흐르는 전류는 몇[A]인가?

  1. 0.16
  2. 0.4
  3. 2.5
  4. 6.25
(정답률: 35%)
  • 전구의 소비전력은 40[W]이므로, 저항과 전류, 전압의 관계식인 P=VI^2R을 이용하여 전류를 구할 수 있다. 이를 전류에 대해 정리하면 I=sqrt(P/RV)이다. 여기에 전압 V는 V=IR이므로 V=I*250[Ω]이다. 따라서 I=sqrt(40[W]/250[Ω])=0.4[A]이다. 즉, 전구에 흐르는 전류는 0.4[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100V 교류 전원에 1kW 배연용 송풍기를 접속하였더니 15A의 전류가 흘렀다. 이 송풍기의 역률은?

  1. 0.57
  2. 0.67
  3. 0.77
  4. 0.87
(정답률: 55%)
  • 역률은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유효전력은 실제로 일을 하는 전력이고, 피상전력은 전체적으로 사용되는 전력입니다.

    전류와 전압을 알고 있으므로, 피상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피상전력 = 전압 x 전류 = 100V x 15A = 1500W

    유효전력은 1kW 이므로, 역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역률 = 유효전력 / 피상전력 = 1kW / 1.5kW = 0.67

    따라서, 정답은 "0.67"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6. 유효온도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온도
  2. 습도
  3. 기류
  4. 압력
(정답률: 65%)
  • 압력은 유효온도와 관계가 없습니다. 유효온도는 물체 내부의 온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습도는 공기 중의 수증기 함량을 나타내는 것이고, 기류는 공기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하지만 압력은 물체나 공기의 상태에 따라 온도나 습도와는 관계가 없이 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온도와 습도에서도 고도가 높아지면 대기압이 낮아지는 것처럼 압력은 온도나 습도와는 독립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그림에서 A점의 상대습도는 몇 %인가?

  1. 53
  2. 58
  3. 63
  4. 68
(정답률: 28%)
  • A점의 상대습도는 53%입니다. 이유는 A점의 온도가 20℃이고, 포화수증기압이 17.5mmHg일 때의 상대습도가 53%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습공기의 정압비열은 Cp=0.24+0.441x로 나타낸다. 여기서 x는 무엇을 가리키는가?

  1. 상대습도
  2. 습구온도
  3. 건구온도
  4. 절대습도
(정답률: 45%)
  • x는 상대습도를 가리킨다. 이는 습공기 내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현재 포화수증기량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습공기의 정압비열은 상대습도에 따라 변화하게 되며, 절대습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공조부하 현열, 잠열로 이루어진 것은?

  1. 외벽부하
  2. 내벽부하
  3. 조명기기의 발생열량
  4. 틈새바람에 의한 부하
(정답률: 51%)
  • 정답은 "틈새바람에 의한 부하"입니다.

    틈새바람에 의한 부하는 건물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현열과 잠열로 이루어진 부하입니다. 건물의 외벽이나 창문 등으로 들어오는 바람이 건물 내부와 외부의 온도를 균형시키기 위해 열을 이동시키는데, 이때 발생하는 열이 틈새바람에 의한 부하입니다. 이러한 부하는 건물의 단열성능을 높이는 것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저속 덕트의 이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덕트 소음이 적다.
  2. 덕트 스페이스가 적게 된다.
  3. 설비비가 싸다.
  4. 덕트에서의 저항이 적다.
(정답률: 34%)
  • 저속 덕트의 이점은 덕트 소음이 적고, 덕트에서의 저항이 적어서 공기의 유동성이 좋아지며, 설비비가 상대적으로 싸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덕트 스페이스가 적어지는 것은 이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덕트 스페이스가 적어지면 공기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지며, 설치 공간이 제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과 같은 공기조화 방식의 분류 중 공기-물 방식이 아닌 것은?

  1. 인덕션 유닛방식
  2. 팬코일 유닛방식
  3. 복사 냉난방 방식
  4. 멀티 존 유닛 방식
(정답률: 26%)
  • 멀티 존 유닛 방식은 공기-물 방식이 아닌 것입니다. 이 방식은 각각의 공간에 맞게 설치된 다수의 실내기와 하나의 실외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실내기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 다양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기-물 방식과는 달리 물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통해 냉난방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공조기에 사용되는 에어 필터의 여과효율을 검사 하는데 사용되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중량법
  2. Dop법
  3. 변색도법
  4. 체적법
(정답률: 34%)
  • 체적법은 공조기에 사용되는 에어 필터의 여과효율을 검사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공기를 일정한 속도로 흡입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필터를 통과시킨 후, 흡입한 공기와 배출한 공기의 차이를 측정하여 여과효율을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과 달리 거리와 상관없이 측정이 가능하며, 대량의 공기를 처리할 수 있어 실제 사용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검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체적법이 다른 방법들보다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방법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덕트의 부속품 중에서 풍량 조절용 댐퍼가 아닌 것은?

  1. 버터 플라이 댐퍼
  2. 루버 댐퍼
  3. 베인 댐퍼
  4. 방화 댐퍼
(정답률: 67%)
  • 방화 댐퍼는 화재 발생 시 불꽃과 열기를 차단하여 불길이 퍼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풍량 조절용 댐퍼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덕트 내를 흐르는 풍량을 조절 또는 폐쇄하기 위해 쓰이는 댐퍼로써 특히 분기되는 곳에 설치하는 풍량 조절 댐퍼는?

  1. 루버댐퍼
  2. 볼륨댐퍼
  3. 스플릿댐퍼
  4. 방화댐퍼
(정답률: 43%)
  • 스플릿댐퍼는 분기되는 곳에 설치하여 풍량을 조절하는 댐퍼로, 이름 그대로 댐퍼의 블레이드가 분기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풍량을 조절하면서도 분기된 곳에서의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온수난방 설비에서 고온수식과 저온수식의 기준온도는 몇 ℃인가?

  1. 50
  2. 80
  3. 100
  4. 150
(정답률: 63%)
  • 온수난방 설비에서 고온수식과 저온수식의 기준온도는 모두 100℃입니다. 이는 고온수식에서는 물을 끓이기 위해 필요한 온도이며, 저온수식에서는 냉각을 위한 최저 온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냉방부하 계산시 실내에서 취득하는 열량이 아닌 것은?

  1. 기구, 조명 등의 발생열량
  2. 유리에서의 침입열량
  3. 인체 발생열량
  4. 송풍기로부터 발생한 열량
(정답률: 49%)
  • 송풍기는 공기를 움직여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송풍기로부터 발생하는 열량은 실내에서 취득하는 열량이 아니라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열량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냉방부하 계산시에는 송풍기로부터 발생하는 열량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판넬난방에서 실내 주벽의 온도 tw = 25℃, 실내 공기의 온도 ta = 15℃라고 하면 실내에 있는 사람이 받는 감각 온도 te는 몇 ℃인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46%)
  • 판넬난방에서는 주벽의 온도와 공기의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열이 방출되어 실내에 있는 사람이 느끼는 온도는 주벽과 공기의 평균 온도보다 낮아집니다. 따라서, (tw + ta) / 2 = (25 + 15) / 2 = 20℃이므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공기조화 설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공기조화기
  2. 연료가열기
  3. 열원장치
  4. 자동제어장치
(정답률: 58%)
  • 공기조화 설비는 실내의 온도, 습도, 공기순환 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공기조화기, 열원장치, 자동제어장치 등이 구성요소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연료가열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조화 설비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연료가열기는 연료를 가열하여 열원장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보통 보일러나 난로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수관식 보일러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구조상 고압, 대용량에 적합하다.
  2. 전열 면적이 크고 효율이 높다.
  3. 관수 순환이 빠르고 증기 발생속도가 빠르다.
  4. 구조가 단순하여 청소, 검사, 수리가 쉽다.
(정답률: 52%)
  • 구조가 단순하여 청소, 검사, 수리가 쉽다는 것은 보일러 내부의 부품들이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것은 수관식 보일러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기 예열기 사용시 이점을 열거한 것 중 아닌 것은?

  1. 열효율 증가
  2. 연소 효율 증대
  3. 저질탄 연소 가능
  4. 노내 온도 저하
(정답률: 72%)
  • 공기 예열기는 공기를 미리 예열하여 연소 시 열효율과 연소 효율을 증가시키고, 저질탄 연소도 가능하게 합니다. 하지만 노내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공기 예열기를 사용함으로써 노내 온도를 유지하면서도 연료 소비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