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10-05)

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08-10-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조냉동안전관리

1. 안전대용 로우프의 구비 조건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완충성이 높을 것
  2. 질기고 되도록 매끄러울 것
  3. 내마모성이 높을 것
  4. 내열성이 높을 것
(정답률: 75%)
  • 안전대용 로우프의 구비 조건 중에서 "질기고 되도록 매끄러울 것"은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완충성, 내마모성, 내열성은 로우프의 기능과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지만, 로우프의 표면이 질기고 매끄러울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로우프의 표면이 조금 거칠어질수록 손이 미끄러지지 않고 더 잘 잡히기 때문에, 일부 제품에서는 표면을 조금 거칠게 만들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재해 발생 중 사람이 건축물, 비계, 기계, 사다리, 계단 등에서 떨어지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도괴
  2. 낙하
  3. 비래
  4. 추락
(정답률: 91%)
  • 정답: 추락

    추락은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람이 건축물, 비계, 기계, 사다리, 계단 등에서 떨어지는 것을 추락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물을 소화제로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연소하지 않는다.
  2. 산소를 잘 흡수한다.
  3. 기화잠열이 크다.
  4. 취급하기가 편리하다.
(정답률: 80%)
  • 물은 기화할 때 많은 열을 흡수하므로, 불을 끄는 데 사용하면 불의 열을 흡수하여 불을 끄는 데 효과적이다. 이것이 물을 소화제로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연삭기 숫돌의 파괴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숫돌의 속도가 너무 빠를 때
  2. 숫돌에 균열이 있을 때
  3. 플랜지가 현저히 클 때
  4. 숫돌에 과대한 충격을 줄 때
(정답률: 74%)
  • 플랜지가 현저히 클 때는 연삭기 숫돌의 파괴원인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플랜지가 크면 연삭기 숫돌의 회전 중심이 불안정해지고, 숫돌의 중심축과 플랜지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플랜지가 클수록 연삭기 숫돌의 파괴 가능성이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냉동 제조시설 중 압축기 최종단에 설치한 안전장치의 작동 점검실시 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월에 1회 이상
  2. 6월에 1회 이상
  3. 1년에 1회 이상
  4. 2년에 1회 이상
(정답률: 83%)
  • 압축기는 냉동 제조시설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안전장치는 압축기의 이상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습니다. 안전장치는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며, 1년에 1회 이상 점검을 실시해야 합니다. 이는 안전장치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즉시 조치를 취하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1년에 1회 이상"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스패너(spanner)사용시 주의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스패너가 벗겨지거나 미끄러짐에 주의한다.
  2. 스패너의 입이 너트 폭과 잘 맞는 것을 사용한다.
  3. 스패너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파이프를 끼어서 사용한다.
  4. 무리하게 힘을 주지 말고 조심스럽게 사용한다.
(정답률: 94%)
  • 스패너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파이프를 끼어서 사용하는 이유는 더 큰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입니다. 파이프를 끼우면 스패너의 길이를 연장시켜 더 큰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패너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파이프를 끼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냉동장치를 정상적으로 운전하기 위한 것이 아닌 것은?

  1. 이상고압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냉매부족이 없도록 한다.
  3. 습압축이 되도록 한다.
  4. 각부의 가스 누설이 없도록 유의한다.
(정답률: 90%)
  • 습압축이 되도록 한다는 것은 냉매가 압축되어 냉동장치 내부에서 순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고 냉동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습압축이 되도록 하는 것은 냉동장치를 정상적으로 운전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보호구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착용시 작업에 지장이 없을 것
  2. 대상물에 대하여 방호가 충분할 것
  3. 보호구 재료의 품질이 우수할 것
  4. 성능보다는 외관이 좋을 것
(정답률: 95%)
  • 보호구의 주요 목적은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보호구는 성능이 중요하며, 외관보다는 기능성과 안전성이 더 중요합니다. 따라서 "성능보다는 외관이 좋을 것"은 보호구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고압선과 저압 가공선이 병가된 경우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과 1, 2차코일의 절연파괴로 인하여 발생하는 현상과 관계있는 것은?

  1. 단락
  2. 지락
  3. 혼촉
  4. 누전
(정답률: 78%)
  • 고압선과 저압 가공선이 병가된 경우, 두 선이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는 혼촉으로 인한 문제입니다. 이로 인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분에서 과열이 발생하고, 이어지는 전선이나 장비 등에 손상을 입히거나 화재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안전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인간의 생명과 재산 보호
  2. 비체계적인 제반 활동
  3. 체계적인 제반 활동
  4. 인간생활의 복지 향상
(정답률: 79%)
  • "비체계적인 제반 활동"은 안전관리와 관련하여 적절하지 못한 설명입니다. 안전관리는 체계적인 제반 활동을 통해 인간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인간생활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비체계적인 제반 활동은 안전관리와 관련하여 부적절한 활동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정전기 방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불꽃 방전
  2. 연면 방전
  3. 분기 방전
  4. 코로나 방전
(정답률: 58%)
  • 분기 방전은 정전기 방전의 종류가 아닙니다. 분기 방전은 전기적으로 충전된 물체가 끝에서부터 끊임없이 방전되는 현상으로, 전기적으로 충전된 물체가 뾰족한 끝 부분에서 방전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정전기 방전과는 다른 현상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운반기계에 의한 운반작업 시 안전수칙에 어긋나는 것은?

  1. 운반대 위에는 여러 사람이 타지 말 것
  2. 미는 운반차에 화물을 실을 때에는 앞을 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할 것
  3. 운반차의 출입구는 운반차의 출입에 지장이 없는 크기로 할 것
  4. 운반차에 물건을 쌓을 때 될 수 있는 대로 전체의 중심이 위가 되도록 쌓을 것
(정답률: 93%)
  • 운반차에 물건을 쌓을 때 전체의 중심이 위가 되도록 쌓는 것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물건을 한쪽으로 치우치게 쌓으면 차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져서 차가 기울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체의 중심이 위가 되도록 쌓아야 안정적인 운반작업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냉동장치 운전 중 안전상 별로 위험이 없는 경우에 해당되는 것은?

  1. 액면계 파손 시 볼밸브가 작동불량인 경우
  2. 고압측에 안전밸브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3. 수액기와 응축기를 연락하는 균압관의 스톱 밸브를 닫지 않았을 경우
  4. 팽창밸브 직전에 전자밸브가 있는 경우 압축기 출구밸브를 닫고 장시간 운전했을 경우
(정답률: 60%)
  • 수액기와 응축기를 연락하는 균압관의 스톱 밸브를 닫지 않았을 경우는 냉동장치 내부의 압력을 균형있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밸브를 닫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하는 것은 안전상 별로 위험이 없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보일러 사고원인 중 제작상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재료불량
  2. 설계불량
  3. 급수처리불량
  4. 구조불량
(정답률: 87%)
  • 보일러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만들어 열을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이때 물의 특성상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보일러에 사용되는 물은 깨끗하고 순수한 물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일러에 사용되는 물을 처리하는 과정인 급수처리가 중요합니다. 급수처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불순물이 보일러 내부에 쌓여서 보일러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파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일러 사고의 원인 중에서 제작상의 원인이 아닌 것은 급수처리불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아크 용접작업에서 전격의 방지대책으로 올바르지 못한 것은?

  1. 용접기의 내부에 함부로 손을 대지 않는다.
  2. 절연 홀더의 절연부분이 노출·파손되면 곧 보수하거나 교체한다.
  3. TIG 용접이나 MIG 용접기가 수냉식 토치에서 냉각수가 새어나오면 사용을 시작한다.
  4. 맨홀 등과 같이 밀폐된 구조물 안이나 앞쪽에 막혀 잘 보이지 않는 장소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자동 전격방지기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84%)
  • TIG 용접이나 MIG 용접기가 수냉식 토치에서 냉각수가 새어나오면 사용을 시작하는 것은 올바른 방지대책입니다. 이는 수냉식 토치에서 냉각수가 새어나오면 용접기가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올바른 방지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기계

16. 냉동기에서 압축기의 기능이라 할 수 없는 것은?

  1. 냉매를 순환시킨다.
  2. 응축기에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3. 냉매의 응축을 돕는다.
  4. 저압을 고압으로 상승시킨다.
(정답률: 56%)
  •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응축기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것은 냉매의 온도를 낮추어 응축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응축기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것은 압축기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단열압축, 등온압축, 폴리트로픽압축에 관한 다음 사항 중 틀린 것은?

  1. 압축일량은 단열압축이 제일 크다.
  2. 압축일량은 등온압축이 제일 작다.
  3. 실제 냉동기의 압축 방식은 폴리트로픽 압축이다.
  4. 압축가스 온도는 폴리트로픽 압축이 제일 높다.
(정답률: 52%)
  • 압축일량은 단열압축이 제일 크다는 것은 맞는 내용입니다. 등온압축은 압축과정에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압축일량이 작아집니다. 하지만 실제 냉동기의 압축 방식은 폴리트로픽 압축과 단열압축을 혼합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냉동기의 압축 방식은 폴리트로픽 압축이다."는 내용도 맞습니다. 따라서 틀린 내용은 "압축가스 온도는 폴리트로픽 압축이 제일 높다."입니다. 폴리트로픽 압축은 압축과정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기 때문에 압축가스 온도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브라인(Brine)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식염수 브라인의 공정점보다 염화칼슘 브라인의 공정점이 높다.
  2. 브라인의 부식성을 없애기 위해 되도록 공기와 접촉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3. 무기질 브라인보다 유기질 브라인이 부식성이 더 크다.
  4. 브라인은 약한 산성이 좋다.
(정답률: 61%)
  • 브라인은 염화칼슘이나 식염수 등의 고농도 염도 용액으로, 이 용액은 고도로 부식성이 강합니다. 따라서 브라인을 사용하는 공정에서는 되도록 공기와 접촉시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브라인이 공기 중의 수증기를 흡수하여 물 분자와 반응하여 부식성이 더욱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온도 자동팽창 밸브에서 감온통의 부착위치는?

  1. 팽창밸브 출구
  2. 증발기 입구
  3. 증발기 출구
  4. 수액기 출구
(정답률: 69%)
  • 온도 자동팽창 밸브는 증발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감온통은 증발기 출구에 부착되어야 합니다. 이는 증발기 내부의 압력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함입니다. 증발기 출구에서는 증발이 완료되어 수증기로 넘어가는 상태이므로, 이곳에서 감온통을 부착함으로써 증발과정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유접점 시퀀스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수명이 길다.
  2. 소비전력이 많다.
  3. 작동 속도가 늦다.
  4. 장치 외형이 크다.
(정답률: 34%)
  • 정답: "수명이 길다."

    유접점 시퀀스는 소비전력이 많고 작동 속도가 느리며 장치 외형이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수명이 길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참이 아닙니다. 유접점 시퀀스는 전기적인 스트레스와 열에 노출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명이 짧습니다. 따라서 "수명이 길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수소, 염소, 불소, 탄소로 구성된 냉매계열은?

  1. HFC 계
  2. HCFC 계
  3. CFC 계
  4. 할론 계
(정답률: 82%)
  • 정답은 "HCFC 계"입니다. 이 계열은 수소, 염소, 불소, 탄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HCFC는 Hydrochlorofluorocarbon의 약자로, 염소와 불소를 함유하고 있지만 CFC 계열보다는 환경에 덜 해로운 냉매입니다. 따라서 환경보호를 위해 CFC 계열 대신 HCFC 계열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소요 냉각수량 120ℓ/min, 냉각수 입 · 출구 온도차 6℃인 수냉 응축기의 응축부하는?

  1. 43200kcal/h
  2. 14400kcal/h
  3. 12000kcal/h
  4. 6400kcal/h
(정답률: 47%)
  • 냉각수량 120ℓ/min은 2ℓ/s이며, 냉각수 입·출구 온도차 6℃는 6K입니다. 따라서, 수냉 응축기의 열전달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열전달량 = 냉각수량 × 냉각수 입·출구 온도차 × 1kcal/kg·K
    = 2 × 60 × 6 × 1
    = 720kcal/min
    = 43200kcal/h

    따라서, 정답은 "43200kcal/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어떤 냉동기를 사용하여 25℃ 의 순수한 물 100ℓ를 -10℃의 얼음으로 만드는 데 10분이 걸렸다고 한다면, 이 냉동기는 약 몇 냉동톤인가? (단, 1냉동톤은 3320kcal/h, 냉동기의 모든 효율은 100%이다.)

  1. 3 냉동톤
  2. 16 냉동톤
  3. 20 냉동톤
  4. 25 냉동톤
(정답률: 40%)
  • 냉동기의 냉동량은 냉동기의 냉동톤 수에 비례한다. 따라서, 냉동기의 냉동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냉동기가 1시간 동안 제공하는 냉동량을 계산해야 한다.

    냉동기가 25℃의 물 100ℓ을 -10℃의 얼음으로 만드는 데 10분이 걸렸다고 했으므로, 냉동기가 1시간 동안 제공하는 냉동량은 다음과 같다.

    냉동량 = (냉각된 물의 열용량) × (냉각된 물의 온도 변화량) × (냉각된 물의 양) ÷ (시간)

    냉각된 물의 열용량 = 100 × 1 × 4.18 = 418 kJ
    냉각된 물의 온도 변화량 = 25 - (-10) = 35℃
    냉각된 물의 양 = 100ℓ = 100kg
    시간 = 10분 = 1/6시간

    따라서, 냉동량 = (418 × 35 × 100) ÷ (1/6) = 8,697,000 kcal/h

    냉동기의 모든 효율이 100%이므로, 냉동기의 냉동톤 수는 다음과 같다.

    냉동톤 수 = 냉동량 ÷ 3320 = 8,697,000 ÷ 3320 = 2616.87

    따라서, 냉동톤 수가 20에 가까우므로, 이 냉동기는 약 20 냉동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시트 모양에 따라 삽입형, 홈꼴형, 유합형 등이 있으며, 냉매 배관용으로 사용되는 이음법은?

  1. 플레어 이음
  2. 나사 이음
  3. 납땜 이음
  4. 플랜지 이음
(정답률: 63%)
  • 냉매 배관은 높은 압력과 온도를 견디어야 하기 때문에 강력한 연결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플랜지 이음은 플랜지라는 특수한 형태의 부품을 사용하여 두 배관을 겹쳐서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강력한 연결력과 높은 내압성을 가지고 있어 냉매 배관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관속을 흐르는 유체가 가스관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86%)
  • 유체가 흐르는 관속에서는 유체의 속도가 가장 느린 부분이 바닥면에 가까운 부분이고, 가장 빠른 부분은 중앙에 위치합니다. 이때, 가스는 유체 중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흐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가 가스관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에서 습압축 냉동사이클은 어느 것인가?

  1. ab'c'da
  2. bb"c"cb
  3. ab"c"da
  4. abcda
(정답률: 66%)
  • 그림에서 습압축 냉동사이클은 "abcda" 입니다.

    - a: 압축기에서 가압된 냉매가 상온에서 고압, 고온 상태로 되는 단계
    - b: 고압 냉매가 냉각기에서 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변하는 단계
    - c: 저압으로 팽창되면서 냉매가 기화되는 단계
    - d: 기화된 냉매가 압축기로 돌아가는 단계

    따라서, "ab'c'da"는 b와 c 사이에 열교환기가 빠져있는 것으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bb"c"cb"는 b와 c 사이에 냉매 순환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ab"c"da"는 b와 c 사이에 열교환기가 있지만, d가 빠져있는 것으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열과 일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J = 열의 일당량, A = 일의 열당량, W = 소요되는 일, Q = 발생열량이다.)

  1. Q = AW
  2. W = (1/J)Q
  3. W = AQ
  4. J = AW
(정답률: 70%)
  • 열의 일당량 J은 일의 열당량 A와 열과 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J = AW는 열의 일당량과 일의 열당량이 서로 곱해져서 발생하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 식이다. 이는 일을 할 때 발생하는 열의 양이 일의 열당량 A와 일의 양 W, 즉 소요되는 일에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Q = AW가 바르게 나타낸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저단측 토출가스의 온도를 냉각시켜 고단측 압축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1. 부스터
  2. 인터쿨러
  3. 콤파운드 압축기
  4. 익스펜션탱크
(정답률: 80%)
  • 인터쿨러는 저단측 토출가스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시켜 고단측 압축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인터쿨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회로에서 2Ω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강하 V는?

  1. 2
  2. 4
  3. 6
  4. 10
(정답률: 46%)
  •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압의 합은 전압강하의 합과 같으므로, V = V1 + V2 + V3 이다.
    V1 = I × R1 = 2A × 1Ω = 2V
    V2 = I × R2 = 2A × 2Ω = 4V
    V3 = I × R3 = 2A × 3Ω = 6V
    따라서, V = V1 + V2 + V3 = 2V + 4V + 6V = 12V 이므로, 2Ω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강하 V는 4V 이다. 따라서 정답은 "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비등점이 가장 낮은 냉매는? (단, 대기압에서)

  1. R-500
  2. R-22
  3. NH3
  4. R-12
(정답률: 28%)
  • 비등점이란 액체가 기체로 변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대기압에서 비등점이 가장 낮은 냉매는 NH3 (암모니아)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R-12이고, R-500은 R-12와 R-152a의 혼합물이므로 R-12보다는 비등점이 높습니다. R-22은 R-12보다는 비등점이 높지만, NH3보다는 높지 않습니다. 따라서, 비등점이 가장 낮은 냉매는 NH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1제빙톤은 몇 냉동톤인가? (단, 원료수의 온도는 25 ℃ 기준임)

  1. 1.25RT
  2. 1.45RT
  3. 1.65RT
  4. 1.85RT
(정답률: 49%)
  • 제빙톤은 냉동기에서 제빙을 할 때 필요한 냉동량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제빙톤은 냉동기의 냉동능력을 나타내는 냉동량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제빙톤은 원료수의 온도와 제빙 후 원료수의 온도 차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원료수의 온도가 25℃일 때 제빙톤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제빙톤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냉동기의 냉동능력과 함께 원료수의 온도와 제빙 후 원료수의 온도 차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1.65RT가 정답인 이유는 원료수의 온도가 25℃일 때, 제빙 후 원료수의 온도가 -5℃일 때 필요한 냉동량이 1.65RT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온도 조건에서 계산된 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냉동장치 배관 설치시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관통부 외에는 매설하지 않는다.
  2. 배관 내 응력 발생이 있는 곳에 루우프형 배관을 한다.
  3. 기기 조작, 보수, 점검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4. 전체 길이는 짧게 하며 곡률반경을 작게 한다.
(정답률: 75%)
  • 전체 길이를 짧게 하고 곡률반경을 작게 하는 이유는 냉매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길고 복잡한 배관은 냉매의 유동성을 저하시키고, 냉동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한 짧고 간단한 배관 설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단압축을 하는 목적은?

  1. 압축비 증가와 체적효율 감소
  2. 압축비와 체적효율 증가
  3. 압축비와 체적효율 감소
  4. 압축비 감소와 체적효율 증가
(정답률: 59%)
  • 다단압축을 하는 목적은 압축비 감소와 체적효율 증가입니다. 이는 압축을 할 때 한 번에 많은 압축을 하면 압축비가 높아지고 체적효율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축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서 하면 압축비가 감소하고 체적효율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냉동능력 20톤 이상의 냉동설비의 압력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냉매설비에는 압축기의 토출 및 흡입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를 부착할 것
  2. 압축기가 강제윤활방식인 경우에는 윤활유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를 부착할 것
  3. 발생기에는 냉매가스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를 부착할 것
  4. 압력계 눈금판의 최고눈금 수치는 당해 압력계의 설치장소에 따른 시설의 기밀시험압력이상이고 그 압력의 1배 이하일 것
(정답률: 76%)
  • 압력계 눈금판의 최고눈금 수치는 당해 압력계의 설치장소에 따른 시설의 기밀시험압력이상이고 그 압력의 1배 이하일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압력계의 최고눈금 수치는 해당 압력계가 측정 가능한 최대 압력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력계의 최고눈금 수치는 설치장소나 기밀시험압력과는 무관하며, 해당 압력계가 측정 가능한 최대 압력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부하측(저압측)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밸브는?

  1. 감압밸브
  2. 안전밸브
  3. 체크밸브
  4. 앵글밸브
(정답률: 65%)
  • 감압밸브는 부하측(저압측)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밸브입니다. 이는 감압밸브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고압측에서 유입되는 압력을 감안하여 자동으로 조절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감압밸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동관을 용접이음하려고 한다. 다음 용접법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가스 용접
  2. 프라즈마 용접
  3. 테르밋 용접
  4. 스폿 용접
(정답률: 85%)
  • 가스 용접이 가장 적당한 이유는, 동관은 두께가 얇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가스 용접이 가장 적합한 용접법이다. 또한, 가스 용접은 용접부위를 녹여서 용접하는 방식으로, 용접부위가 깨끗하게 용접되고, 용접 후에도 부식이 적은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류계로 회로에서 전류를 측정하고자 한다. 전류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류계는 회로와 직렬로 연결하여 측정한다.
  2. 큰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분류기를 가동코일 계기와 병렬로 접속한다.
  3. 전류계의 내부 저항은 전류를 못 흐르게 할 만큼 커야 한다.
  4. 전류계 단자 사이의 전압강하는 40~100mV 정도이다.
(정답률: 65%)
  • "전류계의 내부 저항은 전류를 못 흐르게 할 만큼 커야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이유는, 전류계는 회로에 직렬로 연결되어 전류를 측정하는데, 이때 전류계의 내부 저항이 너무 크면 전류가 흐르지 않아 측정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류계의 내부 저항은 측정하려는 전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냉동장치의 배관공사에서 옳지 않은 것은?

  1. 두 계통의 토출관이 합류하는 곳은 Y형 접속으로 한다.
  2. 압축기 토출관의 수평부분은 응축기를 향해 상향구배를 한다.
  3. 응축기와 수액기의 균압관은 압력을 같게 하기 위한 것이다.
  4. 압력 손실은 되도록 작게 하기 위해 굴곡부의 개수를 적게 한다.
(정답률: 43%)
  • 압축기 토출관의 수평부분은 응축기를 향해 하향구배를 해야 합니다. 이는 냉매 유동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상향구배를 하게 되면 냉매 유동이 원활하지 않아 압력 손실이 발생하고, 냉동장치의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압축기 토출관의 수평부분은 응축기를 향해 상향구배를 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흡수식 냉동장치에서 냉매와 흡수제를 분리하는 것은?

  1. 발생기
  2. 응축기
  3. 증발기
  4. 흡수기
(정답률: 38%)
  • 흡수식 냉동장치에서 냉매와 흡수제를 분리하는 과정은 흡수기에서 일어납니다. 흡수기에서는 냉매와 흡수제가 반응하여 흡수된 후, 발생기로 이동합니다. 발생기에서는 냉매와 흡수제가 분리되어 냉매가 증발기로 이동하여 냉각 작업을 수행하고, 흡수제는 흡수기로 되돌아가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냉매와 흡수제를 분리하는 과정은 발생기에서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원심(Turbo)식 압축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임펠러(Impeller)에 의해 압축된다.
  2. 보통 전동기 직결에서는 증속장치가 필요하다.
  3. 부하가 감소되면 서어징이 일어난다.
  4. 주로 공기 냉각용으로 직접 팽창방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45%)
  • 원심식 압축기는 압축 과정에서 공기를 회전시켜 압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주로 공기 냉각용으로 직접 팽창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압축된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 사용되며, 직접 팽창방식은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를 직접 팽창시켜 냉각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는 원심식 압축기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NH3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장치에서는 열교환기를 설치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1. 응축 압력이 낮기 때문에
  2. 증발 압력이 낮기 때문에
  3. 비열비 값이 크기 때문에
  4. 임계점이 높기 때문에
(정답률: 60%)
  • NH3의 비열비 값이 크기 때문에 열교환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냉매의 온도 변화가 크지 않아서 냉매의 열손실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NH3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장치에서는 열교환기를 설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보온재 중 최고사용온도가 가장 큰 것은?

  1. 탄산마그네슘
  2. 규조토
  3. 암면
  4. 펄라이트
(정답률: 28%)
  • 정답은 "펄라이트"입니다. 이는 최고 사용 온도가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펄라이트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내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고온에서도 변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고온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나 제조 공정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압축비의 설명 중 알맞는 것은?

  1. 고압 압력계가 나타내는 압력을 저압 압력계가 나타내는 압력으로 나눈 값에다 1을 더한 값이다.
  2. 흡입압력이 동일할 때 압축비가 클수록 토출가스 온도는 저하된다.
  3. 압축비가 적어지면 소요 동력이 증가한다.
  4. 응축압력이 동일할 때 압축비가 커지면 냉동능력이 감소한다.
(정답률: 38%)
  • 응축압력이 동일할 때 압축비가 커지면 냉동능력이 감소한다. 이는 압축비가 커지면 압축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냉매의 온도가 상승하고, 냉동능력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준 냉동사이클에서 흡입압력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R-12 > R-22 > NH3
  2. R-22 > NH3 > R-12
  3. NH3 > R-22 > R-12
  4. R-12 > NH3 > R-22
(정답률: 23%)
  • 정답은 "R-22 > NH3 > R-12"입니다.

    냉동사이클에서 흡입압력이 높을수록 냉매의 냉각능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냉매의 냉각능력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된 것입니다. R-22는 냉각능력이 높은 냉매 중 하나이며, NH3은 R-22보다 냉각능력이 약간 떨어지지만 여전히 높은 냉각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R-12는 냉각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냉매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흡입압력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R-22 > NH3 > R-1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증발기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건식 증발기에서 냉매액 공급을 상·하부 어디로 하나 전열효과는 같다.
  2. 프레온을 사용하는 만액식 증발기에서 증발기내 오일이 체류할 수 있으므로 유회수 장치가 필요하다.
  3. 만액식 증발기에서 오일(oil)이 프레온 냉매에 용해하면 냉동능력이 떨어진다.
  4. 프레온을 사용하는 건식 증발기에서는 냉매액을 상부로 공급하는 것이 보통이다.
(정답률: 57%)
  • 정답은 "건식 증발기에서 냉매액 공급을 상·하부 어디로 하나 전열효과는 같다."가 아닌 "프레온을 사용하는 건식 증발기에서는 냉매액을 상부로 공급하는 것이 보통이다."입니다.

    건식 증발기에서는 냉매액 공급 위치에 따라 전열효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액식 증발기에서는 냉매와 오일이 함께 순환하므로 오일이 체류할 수 있어 유회수 장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오일이 냉매에 용해되면 냉동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프레온을 사용하는 건식 증발기에서는 보통 냉매액을 상부로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6. 덕트의 부속품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소형의 풍량 조절용으로는 버터플라이 댐퍼를 사용한다.
  2. 공조덕트의 분기부에는 베인형 댐퍼를 사용한다.
  3. 화재시 화염이 덕트 내에 침입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폐쇄되도록 방화댐퍼를 사용한다.
  4. 화재초기 시 연기감지로 다른 방화구역에 연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연댐퍼를 사용한다.
(정답률: 56%)
  • 정답: "공조덕트의 분기부에는 베인형 댐퍼를 사용한다."

    해설: 공조덕트의 분기부에는 버터플라이 댐퍼가 사용되며, 베인형 댐퍼는 일반적으로 직선적인 덕트 내부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팬코일 유닛과 관계없는 것은?

  1. 송풍기
  2. 여과기
  3. 냉온수코일
  4. 가습기
(정답률: 42%)
  • 팬코일 유닛은 공기를 처리하는 장치이며, 송풍기와 여과기는 공기를 처리하는데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냉온수코일은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하지만 가습기는 공기를 처리하는데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습기는 팬코일 유닛과 관계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공기조화기의 송풍기의 축동력을 산출할 때 필요한 값과 거리가 먼 것은?

  1. 송풍량
  2. 현열비
  3. 송풍기 전압효율
  4. 송풍기 전압
(정답률: 60%)
  • 공기조화기의 송풍기의 축동력을 산출할 때 필요한 값은 "송풍량"과 "송풍기 전압효율"입니다. 이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은 "현열비"입니다. 현열비는 공기의 상대습도와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측정이 어렵고, 송풍기의 축동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송풍기의 축동력을 산출할 때는 송풍량과 송풍기 전압효율만 고려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온수난방에 이용되는 밀폐형 팽창탱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층의 용적을 작게 할수록 압력의 변동은 감소한다.
  2. 개방형에 비해 용적은 크다.
  3. 통상 보일러 근처에 설치되므로 동결의 염려가 없다.
  4. 개방형에 비해 보수점검이 유리하고 가압실이 필요하다.
(정답률: 21%)
  • "공기층의 용적을 작게 할수록 압력의 변동은 감소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공기층의 용적이 작을수록 오히려 압력 변동이 커지게 됩니다. 이는 작은 용적의 공기층에서는 작은 양의 물이 들어와도 압력이 크게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수난방에서는 공기층의 용적을 크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난방을 하고 있는 사무실 내의 거주 환경에서 가장 적합한 건구온도는 몇 ℃인가?

  1. 22
  2. 28
  3. 30
  4. 33
(정답률: 57%)
  • 사무실 내의 거주 환경에서 가장 적합한 건구온도는 22℃이다. 이는 인체의 최적 온도 범위인 20~24℃ 내에 위치하며, 너무 높은 온도는 땀을 많이 흘리게 되어 감기나 폐렴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고, 너무 낮은 온도는 혈액순환을 저해하여 손발이 시려워지거나 감기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무실 내의 거주 환경에서는 22℃가 가장 적합한 건구온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냉방부하의 취득열량에는 현열부하와 잠열부하가 있다. 잠열부하를 포함하는 것은?

  1. 덕트로부터의 취득열량
  2. 인체로부터의 취득열량
  3. 벽체의 전도에 의해 침입하는 열량
  4. 일사에 의한 취득열량
(정답률: 57%)
  • 인체로부터의 취득열량은 잠열부하에 해당합니다. 인체는 냉방 시스템에서 냉기를 받아들이면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고, 그 열을 방출합니다. 이러한 열은 냉방 시스템에서 처리해야 할 잠열부하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인체로부터의 취득열량은 냉방 시스템에서 고려해야 할 부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환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내의 오염공기를 신선공기로 희석하거나 확산시키지 않고 배출한다.
  2. 실내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수증기를 제거한다.
  3. 실내압력을 +압력상태로 유지시키면서 환기하는 방식이 제3종 환기법이다.
  4. 재실자의 건강, 안전, 쾌적성, 작업능률을 향상시킨다.
(정답률: 55%)
  • "실내압력을 +압력상태로 유지시키면서 환기하는 방식이 제3종 환기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제3종 환기법은 실내압력을 -압력상태로 유지시키면서 환기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오염된 공기가 실내에서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신선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소규모인 건물에 가장 적합한 공조방식은?

  1. 패케지 유닛 방식
  2. 인덕션 유니트 방식
  3. 이중 덕트 방식
  4. 복사 냉난방 방식
(정답률: 71%)
  • 소규모 건물에는 패케지 유닛 방식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외부에 설치된 하나의 유닛으로 냉난방 및 공기청정 기능을 모두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공간 절약이 가능합니다. 인덕션 유니트 방식은 대규모 건물에 적합하며, 이중 덕트 방식은 냉난방 및 환기를 분리하여 제어할 수 있습니다. 복사 냉난방 방식은 건물의 크기나 형태에 제약이 있으며,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에어필터(air filter)의 제진효율에 관한 식으로 올바른 것은? (단, 입구측의 공기 중의 먼지농도 : C1, 출구측 먼지농도 : C2이다.)

  1. 제진효율 = C2/C1 × 100
  2. 제진효율 = C1/C2 × 100
  3. 제진효율 = (1 – C2/C1) × 100
  4. 제진효율 = (1 – C1/C2) × 100
(정답률: 40%)
  • 에어필터의 제진효율은 입구측의 먼지농도(C1)와 출구측의 먼지농도(C2)의 비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제진효율은 입구측의 먼지 중 얼마나 많은 양이 필터링되어 출구측으로 나오지 않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제진효율은 출구측의 먼지농도(C2)가 입구측의 먼지농도(C1)에 비해 얼마나 적은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제진효율 = (1 – C2/C1) × 1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은 어느 실의 열발생에 따른 부하를 처리하기 위한 급기풍량(m3/h)의 계산식이다. 계산식에서 Δt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상당외기 온도차
  2. 실내·외 온도차
  3. 실내설정온도와 실내취출 온도차
  4. 유효 온도차
(정답률: 33%)
  • Δt는 실내설정온도와 실내취출 온도차를 나타낸다. 이는 열 발생에 따른 부하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급기풍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실내설정온도와 실내취출 온도차가 클수록 열 발생에 대한 부하가 크기 때문에 급기풍량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Δt가 크면 급기풍량이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물과 공기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증발포를 사용하여 수분을 자연스럽게 증발시키는 가습방식은?

  1. 초음파식
  2. 가열식
  3. 원심분리식
  4. 기화식
(정답률: 70%)
  • 기화식 가습기는 증발포를 사용하여 물과 공기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수분을 자연스럽게 증발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는 물을 기화시켜 수증기로 만들어 공기 중에 분산시키는 것으로, 공기 중의 수증기 농도를 높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기화식"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셸튜브형 열교환기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1. 전열관 내 유속은 내식성이나 내마모성을 고려하여 1.8m/s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동관을 전열관으로 사용할 경우 유체온도가 150℃ 이상이 좋다.
  3. 증기와 온수의 흐름은 열교환 측면에서 병행류가 바람직하다.
  4. 열관류율은 재료와 유체의 종류에 따라 거의 일정하다.
(정답률: 63%)
  • 전열관 내 유속은 내식성이나 내마모성을 고려하여 1.8m/s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유속이 높을수록 내부의 유체가 고속으로 흐르기 때문에 파손이나 마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식성이나 내마모성이 낮은 재료로 만들어진 전열관의 경우, 유속을 낮추어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조화장치에서 취급하는 공기는 모두 건공기이다.
  2. 건공기는 수증기를 포함하지 않는 공기이다.
  3. 습공기의 전압은 건공기 분압과 수증기분압의 합과 같다.
  4. 포화공기란 최대한도의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말한다.
(정답률: 73%)
  • "공기조화장치에서 취급하는 공기는 모두 건공기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공기조화장치에서 처리되는 공기는 주로 실내 공기를 건조시켜 건강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증기를 포함한 습한 공기는 건조기능을 통해 건조시켜 건공기로 만들어져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온수난방에 설치되는 팽창탱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팽창된 물을 밖으로 배출하여 장치를 안전하게 유지한다.
  2. 운전 중 장치 내 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유지하고, 온수온도를 유지한다.
  3. 운전 중 장치 내의 온도상승에 의한 물의 체적팽창과 압력을 흡수한다.
  4. 개방식은 장치 내의 주된 공기배출구로 이용되고, 온수보일러의 도피관으로도 이용된다.
(정답률: 33%)
  • "팽창된 물을 밖으로 배출하여 장치를 안전하게 유지한다."이 틀린 것은, 온수난방에 설치되는 팽창탱크는 팽창된 물을 밖으로 배출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팽창된 물을 흡수하여 장치 내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물의 체적팽창에 따른 압력 변화를 흡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운전 중 장치 내의 온도상승에 의한 물의 체적팽창과 압력을 흡수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펌프 중에서 비속도가 가장 작은 펌프는?

  1. 축류펌프
  2. 사류펌프
  3. 벌류트펌프
  4. 터빈펌프
(정답률: 25%)
  • 터빈펌프는 회전하는 원판과 고정된 가이드베인 사이에서 액체가 흐르면서 압력을 상승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때 액체의 흐름이 축 방향으로 일어나지 않고 회전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비속도가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따라서 터빈펌프가 비속도가 가장 작은 펌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