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29)

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09-03-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조냉동안전관리

1. 작업자의 안전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가장 유효한 방법은?

  1. 안전에 관한 훈시
  2. 안전한 환경의 조성
  3. 안전 표지판의 부착
  4. 안전에 관한 교육실시
(정답률: 89%)
  • 안전에 관한 교육실시는 작업자들이 안전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이고, 안전한 작업 방법을 습득하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가장 유효한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작업자들은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안전한 작업 습관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안전 교육은 작업자들의 안전태도를 개선하고,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며, 사고 발생 시 대처 방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안전에 관한 교육실시는 작업자의 안전태도를 형성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안전관리자의 직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산업재해 발생의 원인조사 및 재발방지를 위한 기술적 지도, 조언
  2. 안전에 관한 조직편성 및 예산책정
  3. 안전에 관련된 보호구의 구입시 적격품 선정
  4. 당해 사업장 안전교육 계획의 수립 및 실시
(정답률: 83%)
  • 안전에 관한 조직편성 및 예산책정은 안전관리자의 직무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조직의 경영전략과 연관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경영진이나 재무팀 등이 담당하는 업무이기 때문이다. 안전관리자는 주로 산업재해 발생의 원인조사 및 재발방지를 위한 기술적 지도, 조언, 안전에 관련된 보호구의 구입시 적격품 선정, 당해 사업장 안전교육 계획의 수립 및 실시 등 안전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공구취급 안전관리 일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결함이 없는 완전한 공구를 사용한다.
  2. 공구는 사용 전에 반드시 점검한다.
  3. 불량공구는 일단 수리하여 사용하고 반납한다.
  4. 공구는 항상 일정한 장소에 비치하여 놓는다.
(정답률: 97%)
  • 불량공구는 수리하여 사용하면 안 되는데, 이는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불량공구는 즉시 교체하거나 수리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냉동설비 사업소의 경계표지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1. 사업소의 경계표지는 출입구를 제외한 울타리, 담 등에 게시할 것
  2. 이동식 냉동 설비에는 표시를 생략할 것
  3. 외부사람이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크기로 할 것
  4. 당해 시설에 접근할 수 있는 장소가 여러 방향 일 때는 대표적인 장소에만 게시할 것
(정답률: 83%)
  • 외부사람이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크기로 경계표지를 할 경우, 사업소의 위치와 경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안전에 대한 인식과 정보전달이 원활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경계표지가 작으면 외부인들이 경계선을 인식하지 못하고 사업소 내부로 침입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적절한 크기로 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산업안전의 관심과 이해증진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기업의 신뢰도를 높여준다.
  2. 기업의 투자경비를 증대시킬 수 있다.
  3. 이직률이 감소된다.
  4. 고유기술 축적으로 품질이 향상되어진다.
(정답률: 66%)
  • 산업안전의 관심과 이해증진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 중에서 "기업의 투자경비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이유는, 오히려 산업안전에 대한 관심과 이해증진으로 인해 안전에 대한 투자가 증대되어 기업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사고나 재해가 발생하지 않아 기업의 경제적 손실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업의 투자경비를 증대시키는 것은 오히려 산업안전에 대한 무관심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가스집합 용접장치를 사용하여 금속의 용접ㆍ용단 및 가열작업을 하는 때에 가스집합 용접장치의 관리상 준수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용하는 가스의 명칭 및 최대가스저장량을 가스장치실의 보기 쉬운 장소에 게시할 것
  2. 밸브 · 콕 등의 조작 및 점검요령을 가스장치실의 보기 쉬운 장소에 게시할 것
  3. 가스집합장치로부터 5m 이내의 장소에서는 흡연, 화기의 사용 또는 불꽃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행위를 금지시킬 것
  4. 이동식 가스집합 용접장치는 고온의 장소, 통풍이나 환기가 불충분한 장소 또는 진동이 많은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것
(정답률: 87%)
  • 이유: 이동식 가스집합 용접장치는 고온의 장소, 통풍이나 환기가 불충분한 장소 또는 진동이 많은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는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고온의 장소에서는 가스가 불안정해져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며, 통풍이나 환기가 불충분한 장소에서는 가스가 농축되어 유해한 기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진동이 많은 장소에서는 용접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접장치 자체에도 손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동식 가스집합 용접장치는 안전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냉동장치 취급에 있어서 안전관리를 위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고압가스 안전관리에 관계되는 법규를 이해한다.
  2. 안전검사를 위하여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실천해야 한다.
  3. 냉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안전관리에 별 다른 도움을 주지 않는다.
  4. 압력계, 온도계, 전류계 등 각종 계기의 수치와 단위에 대하여 이해한다.
(정답률: 92%)
  • 냉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안전관리에 별 다른 도움을 주지 않는 이유는, 냉매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안전관리에 필요한 고압가스 안전관리에 관계되는 법규를 이해하고, 안전검사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냉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냉동장치의 운영 및 유지보수에 도움을 주지만, 안전관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교류 용접기의 규격란에 AW 200이라고 표시되어 있을 때 200이 나타내는 값은?

  1. 정격 1차 전류값
  2. 정격 2차 전류값
  3. 1차 전류 최대값
  4. 2차 전류 최대값
(정답률: 81%)
  • AW 200은 교류 용접기의 정격 2차 전류값을 나타냅니다. 이는 교류 용접기가 안전하게 작동하기 위해 지정된 최대 전류값으로, 이 값을 초과하면 용접기가 과부하되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 작업을 할 때는 이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근로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통로에는 몇 럭스 이상의 조명시설을 해야 하는가?

  1. 10
  2. 30
  3. 45
  4. 75
(정답률: 79%)
  • 근로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통로에는 최소 75 럭스 이상의 조명시설이 필요합니다. 이는 근로기준법 제29조(작업장의 조명 등)에 따라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연성가스 또는 가연성 분진 등이 체류하는 장소에 설치해야 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진동설비
  2. 배수설비
  3. 소음설비
  4. 환기설비
(정답률: 96%)
  • 가연성가스나 가연성 분진은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체류하는 장소에서는 환기설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환기설비는 공기를 순환시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여 체류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환기설비가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가스보일러의 점화전 주의사항 중 연소실 용적의 약 몇 배 이상의 공기량을 보내어 충분히 환기를 행해야 되는가?

  1. 2
  2. 4
  3. 6
  4. 8
(정답률: 74%)
  • 가스보일러의 연소 공정에서는 충분한 공기가 필요합니다. 이는 연소 반응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고, 연소가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연소실 용적의 약 4배 이상의 공기량을 보내어 충분히 환기를 해야 합니다. 이는 연소실 내부의 공기가 적절하게 교환되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연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발화온도가 낮아지는 조건과 관계없는 것은?

  1. 발열량이 높을수록 발화온도는 낮아진다.
  2. 분자구조가 간단할수록 발화온도는 낮아진다.
  3. 압력이 높을수록 발화온도는 낮아진다.
  4. 산소농도가 높을수록 발화온도는 낮아진다.
(정답률: 54%)
  • 분자구조가 간단할수록 발화온도는 낮아진다는 이유는 간단한 분자 구조는 분자 간의 인력이 약하기 때문에 분자가 쉽게 분리되어 증발하고 발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자 구조가 간단할수록 발화온도는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가스용접장치에 대한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1. 가스용기의 밸브는 빨리 열고 닫는다.
  2. 가스의 누설검사는 비눗물로 한다.
  3. 용접작업 전에 소화기 및 방화사 등을 준비한다.
  4. 역화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화방지기를 설치하여 역화를 방지한다.
(정답률: 92%)
  • "가스용기의 밸브는 빨리 열고 닫는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가스용기의 밸브는 천천히 열고 닫아야 합니다. 빠르게 열거나 닫으면 밸브나 가스관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스용기의 밸브는 천천히 열고 닫아야 하는 이유는 가스가 고압으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빠르게 밸브를 열거나 닫으면 가스의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하여 밸브나 가스관이 파손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천천히 열고 닫아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가스 용접 작업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재해가 아닌 것은?

  1. 화재
  2. 전격
  3. 폭발
  4. 중독
(정답률: 89%)
  • 가스 용접 작업에서 전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격이 일어날 가능성은 없습니다. 따라서 전격은 가스 용접 작업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재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기의 접지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화재방지
  2. 설비증설방지
  3. 감전방지
  4. 기기손상방지
(정답률: 88%)
  • 전기의 접지는 감전방지, 기기손상방지, 화재방지를 위한 것이지만, 설비증설방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설비증설방지는 전기 설비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의 안전성과는 관련이 있지만, 접지와는 직접적인 목적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기계

16. 절대압력과 게이지압력과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1. 절대압력 = 대기압력 + 게이지압력
  2. 절대압력 = 대기압력 - 게이지압력
  3. 절대압력 = 대기압력 × 게이지압력
  4. 절대압력 = 대기압력 ÷ 게이지압력
(정답률: 77%)
  • 정답은 "절대압력 = 대기압력 + 게이지압력" 입니다.

    게이지압력은 대기압력을 기준으로 측정된 압력을 말하며, 절대압력은 대기압력과 상관없이 절대적인 압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게이지압력과 대기압력을 더하면 절대압력이 됩니다.

    예를 들어, 대기압력이 1기압이고 게이지압력이 0.5기압이라면, 절대압력은 1.5기압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오옴의 법칙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전류는 전압에 비례한다.
  2. 전류는 저항에 비례한다.
  3. 전류는 전압의 2승에 비례한다.
  4. 전류는 저항의 2승에 비례한다.
(정답률: 72%)
  • 오옴의 법칙은 전기회로에서 전류, 전압, 저항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이 중에서 "전류는 전압에 비례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전류(I) = 전압(V) / 저항(R) 공식에서 전압(V)을 고정하고 저항(R)을 변화시키면 전류(I)도 비례하여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즉, 전압이 높으면 전류도 높아지고, 전압이 낮으면 전류도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가용전(fusible plu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레온장치의 수액기, 응축기 등에 사용한다.
  2. 용융점은 냉동기에서 68~75℃이하로 한다.
  3. 구성 성분은 주석, 구리, 납으로 되어 있다.
  4. 토출가스의 영향을 직접 받지 않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
(정답률: 81%)
  • 가용전은 냉동기나 프레온장치에서 사용되는 안전장치로, 과열로 인한 압력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용융되는 장치입니다. 주석, 구리, 납은 가용전의 구성 성분이 아니며, 일반적으로는 아연, 알루미늄, 황 등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구성 성분은 주석, 구리, 납으로 되어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압축기와 관계없는 효율은?

  1. 체적효율
  2. 기계효율
  3. 압축효율
  4. 팽창효율
(정답률: 71%)
  • 압축기는 기체나 액체를 작은 공간에 압축하여 체적을 줄이는 기계이므로 체적효율과 압축효율이 중요합니다. 반면, 팽창효율은 압축된 기체나 액체를 다시 팽창시켜 원래의 체적으로 돌아가는 데 필요한 효율을 말합니다. 따라서 압축기와는 관계가 없으며, 정답은 "팽창효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액순환식 증발기와 액펌프 사이에 부착하는 것은?

  1. 감압밸브
  2. 여과기
  3. 역지밸브
  4. 건조기
(정답률: 56%)
  • 액순환식 증발기에서 액펌프로 액을 이동시키면서 증발기 내부의 액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액펌프가 멈추면 증발기 내부의 액이 역류하여 액펌프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액펌프와 증발기 사이에 역지밸브를 부착하여 액의 역류를 막아줍니다. 이것이 역지밸브가 액순환식 증발기와 액펌프 사이에 부착되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반가산기의 더한 합 S와 자리올림 C에 대한 논리식이 적절하게 설명된 것은?

(정답률: 45%)
  •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A, B)과 두 개의 출력(S, C)을 가지며, A와 B를 더한 결과를 S에 출력하고, A와 B를 더한 결과가 2 이상일 경우 1을 C에 출력하는 논리회로입니다.

    따라서, S와 C를 구하는 논리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S = A XOR B
    C = A AND B

    위의 논리식에서 XOR은 배타적 논리합, AND는 논리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열에 관한 다음 사항 중 틀린 것은?

  1. 감열은 건구온도계로서 측정할 수 있다.
  2. 잠열은 물체의 상태를 바꾸는 작용을 하는 열이다.
  3. 감열은 상태변화 없이 온도변화에 필요한 열이다.
  4. 융해열은 감열의 일종이며, 고체를 액체로 바꾸는데 필요한 열이다.
(정답률: 66%)
  • "감열은 상태변화 없이 온도변화에 필요한 열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감열은 상태 변화에 필요한 열이며, 고체를 액체로 바꾸는데 필요한 열인 융해열도 감열의 일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암모니아 냉동장치에서 실린더 직경 150㎜, 행정이 90㎜, 회전수 1,170rpm, 기통수 6기통 일 때, 법정 냉동능력(RT)은? (단, 냉매상수는 8.4이다.)

  1. 98.2
  2. 79.7
  3. 59.2
  4. 38.9
(정답률: 60%)
  • 암모니아 냉동장치의 법정 냉동능력(RT)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T = (실린더 직경^2 × 행정 × 회전수 × 기통수 × 냉매상수) ÷ 229,9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RT = (150^2 × 90 × 1,170 × 6 × 8.4) ÷ 229,900
    RT = 79.7

    따라서, 정답은 "79.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제빙 장치에서 브라인의 온도가 -10℃이고, 결빙소요시간이 48시간일 때 얼음의 두께는 약 몇 ㎜인가? (단, 결빙계수는 0.56이다.)

  1. 253㎜
  2. 273㎜
  3. 293㎜
  4. 313㎜
(정답률: 42%)
  • 얼음의 두께는 결빙계수, 온도, 결빙소요시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결빙계수와 온도, 결빙소요시간이 주어졌으므로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얼음의 두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얼음의 두께 = 결빙계수 × 온도 차이 × 결빙소요시간

    여기서 온도 차이는 얼음의 온도인 -10℃에서 냉각기의 온도인 -18℃를 뺀 값인 8℃입니다.

    따라서, 얼음의 두께 = 0.56 × 8 × 48 = 215.04 (단위: m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얼음의 두께를 "약 몇 ㎜"으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정답은 29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냉동기에 사용하는 윤활유의 구비조건으로서 틀린 것은?

  1.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을 것
  2. 인화점이 높을 것
  3. 냉매와 분리되지 않을 것
  4. 응고점이 낮을 것
(정답률: 76%)
  • 냉동기에서 사용하는 윤활유는 냉매와 접촉하여도 냉매와 분리되지 않아야 합니다. 이는 냉매가 윤활유와 혼합되어 냉매의 냉동능력을 감소시키거나 윤활유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냉매와 분리되지 않는 윤활유는 냉매가 시스템 내에서 이동하면서 윤활유를 끌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류 I, 시간 t, 전기량 Q라고 할 때 전기량은?

  1. Q = I·t
  2. Q = I/t
  3. Q = t/I
  4. Q = 1/[I·t]
(정답률: 67%)
  • 전류 I는 단위 시간당 흐르는 전하의 양을 나타내는 값이며, 시간 t은 전류가 흐른 시간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전기량 Q는 전류 I가 시간 t동안 흐른 전하의 양을 나타내는 값이므로 Q = I·t가 됩니다. 이는 전류와 시간이 곱해져서 전기량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브라인 부식 방지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와 접촉하면 부식성이 증대하므로 공기와 접촉하지 않는 순환 방식을 채택한다.
  2. CaCl2브라인 1ℓ에는 중크롬산소다 1.6g을 첨가하고 중크롬산소다 100g마다 가성소다 27g씩 첨가한다.
  3. 브라인은 산성을 띠게 되면 부식성이 커지므로 PH 7.5~8.2로 유지되도록 한다.
  4. NaCl브라인 1ℓ에 대하여 중크롬산소다 0.6g을 첨가하고 중크롬산소다 100g마다 가성소다 2.7g씩 첨가한다.
(정답률: 73%)
  • 정답은 "CaCl2브라인 1ℓ에는 중크롬산소다 1.6g을 첨가하고 중크롬산소다 100g마다 가성소다 27g씩 첨가한다."입니다.

    NaCl 브라인에 대해서는 중크롬산소다와 가성소다를 첨가하여 부식 방지 처리를 합니다. 이는 중크롬산소다가 부식을 억제하고, 가성소다가 PH를 조절하여 부식성을 줄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CaCl2 브라인에 대해서는 중크롬산소다와 가성소다를 첨가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CaCl2 브라인은 NaCl 브라인보다 더욱 부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중크롬산소다와 가성소다의 양이 더 많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CaCl2 브라인에 대해서는 중크롬산소다 1.6g과 가성소다 27g을 첨가합니다.

    따라서, "NaCl브라인 1ℓ에 대하여 중크롬산소다 0.6g을 첨가하고 중크롬산소다 100g마다 가성소다 2.7g씩 첨가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관이음 KS(B 0063) 도시기호 중 틀린 것은?

  1. 플랜지 이음 :
  2. 소켓 이음 :
  3. 유니언 이음 :
  4. 용접 이음 :
(정답률: 83%)
  • 정답은 "플랜지 이음 : " 입니다.

    플랜지 이음은 두 개의 플랜지를 볼트로 고정하여 연결하는 방식이지만, 도시기호에서는 볼트가 없이 플랜지만 그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틀린 것입니다.

    반면, 용접 이음은 두 개의 파이프를 용접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도시기호에서도 용접 부분이 명확하게 그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나사식 강관 이음쇠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소구경(小口經)이고 저압의 파이프에 사용한다.
  2. 충격, 진동, 부식 등이 생기 우려가 있는 곳에 사용한다.
  3. 저압 대구경의 파이프에 사용한다.
  4. 파이프의 분기점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61%)
  • 나사식 강관 이음쇠는 소구경(小口經)이고 저압의 파이프에 사용됩니다. 이는 이음쇠가 작은 구경의 파이프에 사용되며, 저압의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에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충격, 진동, 부식 등이 생기 우려가 있는 곳에 사용되며, 파이프의 분기점에는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표준 냉동사이클에서 과냉각도는 얼마인가?

  1. 45℃
  2. 30℃
  3. 15℃
  4. 5℃
(정답률: 78%)
  • 표준 냉동사이클에서 과냉각도는 일반적으로 5℃입니다. 이는 냉매가 압축되어 압력이 높아지면 온도도 상승하게 되는데, 이 상승된 온도를 다시 냉각기에서 낮춰주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과냉각도가 너무 높으면 냉매가 결정체로 변하거나, 냉각기 내부에 얼음이 형성되어 성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아래 그림에서 온도식 자동팽창밸브의 감온통 부착 위치로 가장 적당한 곳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78%)
  • 정답은 "2"입니다. 이유는 감온통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가장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림에서 보면, 온도식 자동팽창밸브의 상단에 위치한 파란색 부분이 가장 높은 온도를 가지는 곳이므로, 감온통을 부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따라서, "2"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간접팽창식과 비교한 직접팽창식 냉동장치의 설명이 아닌 것은?

  1. 소요동력이 적다.
  2. 냉동톤(RT)당 냉매 순환량이 적다.
  3. 감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방법이다.
  4. 냉매 증발 온도가 높다.
(정답률: 53%)
  • 직접팽창식 냉동장치는 냉매를 직접 팽창시켜서 냉각하는 방식이며, 감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 방식은 소요동력이 적고, 냉동톤(RT)당 냉매 순환량이 적어 경제적입니다. 냉매 증발 온도가 높다는 것은 냉매가 증발하기 위해 필요한 열의 양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냉동장치 운전 중 유압이 이상저하 되었다. 원인으로 옳은 것은?

  1. 유온이 너무 낮을 때
  2. 오일배관계통이 막혀있을 때
  3. 유압조정밸브 개도가 과소할 때
  4. 크랑크케이스 내의 유여과기가 막혀 있을 때
(정답률: 33%)
  • 냉동장치의 유압 시스템은 크랭크케이스 내의 유여과기를 통해 오일을 정화하고 순환시킵니다. 만약 유여과기가 막혀있다면 오일이 원활하게 순환되지 않아 유압이 이상저하되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크랑크케이스 내의 유여과기가 막혀 있을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흡수식 냉동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운전시의 소음 및 진동이 거의 없다.
  2. 증기, 온수 등 배열을 이용할 수 있다.
  3. 압축식에 비해서 설치면적 및 중량이 크다.
  4. 압축식에 비해 예냉시간이 짧다.
(정답률: 45%)
  • 압축식 냉동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냉각을 수행하지만, 흡수식 냉동기는 냉매와 물 또는 리튬브로마이드 등의 흡수제를 이용하여 열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냉각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흡수식 냉동기는 압축식에 비해 예냉시간이 짧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체적 압축식 냉동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스크류식 냉동기
  2. 회전식 냉동기
  3. 흡수식 냉동기
  4. 왕복동식 냉동기
(정답률: 73%)
  • 체적 압축식 냉동장치는 압축기에서 냉매를 압축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을 흡수기에서 냉매에게 전달하여 냉매를 압축기로 되돌리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흡수식 냉동기는 이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며, 냉매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흡수식 냉동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냉매 배관의 시공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기기 상호간의 길이는 가능한 길게 한다.
  2. 관의 가공에 의한 재질의 변질을 최소화 한다.
  3. 압력손실은 지나치게 크지 않도록 한다.
  4. 냉매의 온도와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90%)
  • "기기 상호간의 길이는 가능한 길게 한다."는 맞지 않는 설명입니다. 이유는 냉매 배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압력손실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기 상호간의 거리는 가능한 짧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수냉식 응축기의 응축압력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수온이 일정한 경우 유막 물때가 두껍게 부착 하여도 수량을 증가하면 응축압력에는 영향이 없다.
  2. 냉각관내의 냉각수 속도는 열통과율에 영향을 준다.
  3. 냉각수량이 풍부한 경우에는 불응축가스의 혼입 영향은 없다.
  4. 냉각수량이 일정한 경우에는 수온에 의한 영향은 없다.
(정답률: 54%)
  • 냉각관 내의 냉각수 속도가 높을수록 열전달율이 증가하므로 응축기 내의 냉각수 온도가 낮아지고, 이는 응축압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냉각관내의 냉각수 속도는 열통과율에 영향을 준다"는 설명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이원 냉동사이클에 사용되는 냉매 중 저온측 냉매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R-11
  2. R-12
  3. R-21
  4. R-13
(정답률: 44%)
  • 이원 냉동사이클에서는 고온측 냉매로 R-12를 사용하고, 저온측 냉매로는 R-13이 가장 적당합니다. 이는 R-13이 냉동능력이 높고, 저온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R-13은 환경오염물질로 분류되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냉매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터보 압축기의 특징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임펠러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압축한다.
  2. 응축기에서 가스가 응축하지 않을 경우 이상 고압이 발생한다.
  3. 부하가 감소하면 서징을 일으킨다.
  4. 진동이 적고, 1대로도 대용량이 가능하다.
(정답률: 38%)
  • 정답: "응축기에서 가스가 응축하지 않을 경우 이상 고압이 발생한다."

    해설: 응축기에서 가스가 응축하지 않으면 압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상 고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오히려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불에 잘 타지 않으며, 보온성, 보냉성이 좋고 흡수성은 좋지 않으나 굽힘성이 풍부한 유기질 보온재는?

  1. 기포성수지
  2. 콜크
  3. 우모펠트
  4. 유리섬유
(정답률: 53%)
  • 기포성수지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열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불에 잘 타지 않습니다. 또한 공기를 가둬 기포를 형성하여 보온성과 보냉성이 좋으며, 굽힘성이 풍부합니다. 하지만 흡수성은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포성수지가 불에 잘 타지 않으며, 보온성과 보냉성이 좋고 굽힘성이 풍부한 유기질 보온재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암모니아 냉매의 특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폭발 및 가연성이 있다.
  2. 독성이 있다.
  3. 사용되는 냉매 중 증발잠열이 가장 작다.
  4. 물에 잘 용해된다.
(정답률: 79%)
  • 암모니아 냉매의 특성 중 증발잠열이 가장 작다는 것은, 냉매가 증발할 때 발생하는 열의 양이 다른 냉매에 비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냉매의 냉각능력이 다른 냉매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암모니아 냉매는 다른 냉매에 비해 냉각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대규모 냉장고나 냉동고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작은 규모의 냉장고나 에어컨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지열을 이용하는 열펌프(Heat Pump)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엔진구동 열펌프(GHP)
  2. 지하수 이용 열펌프(GWHP)
  3. 지표수 이용 열펌프(SWHP)
  4. 지중열 이용 열펌프(GCHP)
(정답률: 87%)
  • 엔진구동 열펌프(GHP)는 열을 생성하기 위해 연료를 소모하는 열펌프로, 지열을 이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엔진구동 열펌프(GH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은 2단압축 2단팽창 냉동사이클을 몰리엘 선도에 표시한 것이다. 옳은 것은?

  1. 중간냉각기의 냉동효과 : ③~⑦
  2. 증발기의 냉동효과 : ②~⑨
  3. 팽창변 통과직후의 냉매위치 : ⑦~⑨
  4. 응축기의 방출열량 : ⑧~②
(정답률: 67%)
  • 정답은 "중간냉각기의 냉동효과 : ③~⑦" 입니다.

    냉동사이클에서 냉매는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증발기에서 냉동효과를 발생시키고, 중간냉각기에서 냉매의 온도를 낮추어 다시 증발기로 보내어 냉동효과를 증대시킵니다. 따라서 중간냉각기의 냉동효과는 ③~⑦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압축기 운전상태가 다음 P-h선도와 같이 나타났을 때 냉동능력은 약 몇 RT인가? (단, 피스톤 압출량은 350m3/h이고, 압축기의 체적효율은 75%이다.)

  1. 30.57
  2. 40.86
  3. 50.57
  4. 60.86
(정답률: 49%)
  • 압축기의 체적효율은 75%이므로, 실제 압축기의 체적은 0.75배가 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체적은 350m3/h x 0.75 = 262.5m3/h 이다.

    P-h선도에서 압축기의 흡입상태는 -10℃, 0.7MPa이고, 압축 후 상태는 60℃, 2.5MPa이다. 이를 이용하여 냉동능력을 계산할 수 있다.

    냉동능력 = (압축 후 엔탈피 - 흡입 엔탈피) x 압축기의 피스톤 압출량

    압축 후 엔탈피는 P-h선도에서 2.5MPa와 교차하는 수평선을 따라 올라가면서 60℃에서의 엔탈피를 찾으면 된다. 이는 약 305kJ/kg이다.

    흡입 엔탈피는 P-h선도에서 -10℃와 교차하는 수평선을 따라 올라가면서 0.7MPa에서의 엔탈피를 찾으면 된다. 이는 약 98kJ/kg이다.

    따라서, 냉동능력 = (305 - 98) x 262.5 = 10,012.5W = 10.0125kW = 40.86RT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8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회전식 압축기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량제어가 없고, 분해조립 및 정비에 특수한 기술이 필요하다.
  2. 대형압축기와 저온용 압축기로 사용하기 적당하다.
  3. 왕복동식처럼 격간이 없어 체적효율, 성능계수가 양호하다.
  4. 소형이고 설치면적이 적다.
(정답률: 56%)
  • 회전식 압축기는 용량제어가 없고, 분해조립 및 정비에 특수한 기술이 필요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형압축기와 저온용 압축기로 사용하기 적당하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회전식 압축기는 소형이고 설치면적이 적으며, 왕복동식처럼 격간이 없어 체적효율, 성능계수가 양호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6. 다음의 습공기 선도에 나타낸 공기의 상태점에서 노점온도는?

(정답률: 50%)
  • 습공기 선도에서 상태점의 온도와 이슬점 온도를 연결하는 수직선을 그리면 노점온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상태점의 온도는 20℃이고 이슬점 온도는 15℃이므로, 수직선을 그려보면 노점온도는 약 1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가습팬에 의한 가습장치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수가열용에는 증기 또는 전기가열기가 사용된다.
  2. 가습장치 중 효율이 가장 우수하다.
  3. 응답속도가 느리다.
  4. 패키지 등의 소형 공조기에 사용한다.
(정답률: 58%)
  • 가습팬에 의한 가습장치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응답속도가 느리다."입니다.

    가습팬은 공기를 통해 물을 분사하여 공기 중의 습도를 높이는 가습장치입니다. 이 방식은 증기 또는 전기가열기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고 소형화가 가능하여 패키지 등의 소형 공조기에 많이 사용됩니다.

    가습팬은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고 있어, 습도 조절이 빠르게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가습장치 중 효율이 가장 우수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강제순환식 온수난방에서는 순환펌프의 양정이 그대로 온수의 ( )가(이) 된다." 괄호 안에 적당한 용어는?

  1. 비중량
  2. 순환량
  3. 순환수두
  4. 마찰계수
(정답률: 55%)
  • 순환식 온수난방에서는 순환펌프가 물을 계속해서 순환시키면서 온수를 만들어냅니다. 이때, 순환펌프의 양정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온수의 순환량도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때, 순환펌프가 물을 흡입하는 위치와 배출하는 위치 사이의 수위차를 순환수두라고 합니다. 따라서, 강제순환식 온수난방에서는 순환펌프의 양정이 그대로 온수의 순환수두가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건구온도 30℃, 상대습도 50%인 습공기 500m3/h를 냉각코일에 의하여 냉각한다. 냉각코일의 표면온도는 10℃이고 바이패스 팩터가 0.1이라면 냉각된 공기의 온도(℃)는 얼마인가?

  1. 10
  2. 12
  3. 24
  4. 28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공기조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조화는 일반적으로 보건용 공기조화와 산업용 공기조화로 대별된다.
  2. 공장, 연구소, 전산실 등과 같은 곳은 보건용 공기조화이다.
  3. 보건용 공조는 실내 인원에 대한 쾌적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 산업용 공조는 생산 공정이나 물품의 환경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정답률: 86%)
  • "공장, 연구소, 전산실 등과 같은 곳은 보건용 공기조화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공장, 연구소, 전산실 등은 산업용 공기조화가 필요한 곳으로 생산 공정이나 물품의 환경조성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산업용 공기조화와 관련된 내용으로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각종 공조방식 중에서 개별공조방식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개별제어가 가능하다.
  2. 실내 유닛이 분리되어 있지 않는 경우 소음과 진동이 있다.
  3. 취급이 용이하다.
  4. 외기냉방이 용이하다.
(정답률: 70%)
  • 개별공조방식의 장점 중 외기냉방이 용이한 이유는 각각의 실내 유닛이 독립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외기냉방이 필요한 경우 해당 실내 유닛만 작동시켜서 냉방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중앙공조방식에서는 불가능한 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장방형 저속덕트의 장변의 길이가 850㎜일 때, 시공하여야 할 아연도 강판의 두께로 적당한 것은?

  1. 0.3㎜
  2. 0.5㎜
  3. 0.8㎜
  4. 1.2㎜
(정답률: 53%)
  • 아연도 강판의 두께는 저속덕트의 장변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아연도 강판의 두께는 장변 길이의 1/6 ~ 1/8 정도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850㎜의 장변 길이를 가진 저속덕트의 경우, 아연도 강판의 두께는 850/6 = 141.7㎜ ~ 850/8 = 106.25㎜ 정도가 적당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0.8㎜이므로 정답은 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의 난방방식 중 방열체가 필요 없는 것은?

  1. 온수난방
  2. 증기난방
  3. 복사난방
  4. 온풍난방
(정답률: 63%)
  • 온풍난방은 방열체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온풍난방은 공기를 가열하여 방 안으로 순환시켜 온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방열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나 교체 비용이 적고 설치 비용도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하지만 공기를 가열하기 때문에 공기가 건조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공기조화설비 중에서 열원장치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냉각탑
  2. 냉동기
  3. 보일러
  4. 덕트
(정답률: 74%)
  • 덕트는 공기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열을 생성하거나 제어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열원장치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덕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이중 덕트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의 냉난방 부하가 감소되어도 취출공기의 부족현상은 없다.
  2. 실내부하에 따라 각실 제어나 존(Zone)별 제어가 가능하다.
  3. 방의 설계변경이나 완성 후 용도변경에도 쉽게 대처할 수 있다.
  4. 단일 덕트방식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이 적다.
(정답률: 65%)
  • 이중 덕트방식은 단일 덕트방식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이 적지 않다. 이는 이중 덕트방식이 냉난방기를 두 개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일 덕트방식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이 적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공기선도에 관한 아래 그림에서 구성요소의 연결이 올바르게 된 것은?

  1. a : 건구온도, b : 비체적, c : 노점온도
  2. a : 습구온도, c : 절대습도, d : 엔탈피
  3. b : 비체적, c : 절대습도, e : 엔탈피
  4. c : 상대습도, d : 절대습도, e : 열수분비
(정답률: 61%)
  • 공기선도에서 비체적은 공기의 부피와 관련된 값이며, 절대습도는 공기의 습도와 관련된 값입니다. 엔탈피는 공기의 열역학적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공기의 온도, 압력, 습도 등의 정보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b, c, e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HEPA필터의 성능시험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1. 중량법
  2. 변색도법
  3. DOP법
  4. 여과법
(정답률: 59%)
  • DOP법은 HEPA필터의 성능을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DOP(Dioctyl Phthalate)은 미세 입자로 HEPA필터를 통과할 때 제거되는 입자 크기와 수를 측정하여 HEPA필터의 효율성을 평가합니다. 따라서 DOP법은 HEPA필터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1KW를 열량으로 환산하면 몇 kcal/h인가?

  1. 860
  2. 750
  3. 632
  4. 427
(정답률: 68%)
  • 1kW는 1시간 동안 1,000J/s의 열을 발생시키므로 1시간 동안 발생하는 열량은 1,000J/s x 3,600s = 3,600,000J = 3,600kJ이다. 이를 kcal로 환산하면 3,600kJ ÷ 4.184kJ/kcal = 860kcal/h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기계환기 중 1종 환기(병용식)인 것은?

  1. 강제급기와 강제배기
  2. 강제급기와 자연배기
  3. 자연급기와 강제배기
  4. 자연급기와 자연배기
(정답률: 79%)
  • 강제급기와 강제배기는 기계환기 중 1종 환기(병용식)입니다. 이는 외부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방식으로, 실내 공기의 교환 효율이 높아지고 공기질 개선 효과가 크기 때문입니다. 자연급기와 자연배기는 실내 공기를 자연스럽게 유입하고 배출하는 방식으로, 환기 효율이 낮아 공기질 개선 효과가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기 세정기에서 물방울이 출구공기에 섞여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장치는?

  1. 루버
  2. 분무노즐
  3. 플러딩노즐
  4. 엘리미네이터
(정답률: 66%)
  • 엘리미네이터는 공기 세정기 내부에서 물이 축적되는 곳에서 물을 제거하여 출구공기에 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비산방지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