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1-31)

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10-01-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조냉동안전관리

1. 소화제로 물을 사용하는 이유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1. 산소를 잘 흡수하기 때문
  2. 증발잠열이 크기 때문
  3. 연소하지 않기 때문
  4. 산소와 가열물질을 분리시키기 때문
(정답률: 91%)
  • 소화제로 물을 사용하는 이유는 증발잠열이 크기 때문입니다. 증발잠열이란 물이 증발할 때 필요한 열의 양을 말하는데, 물이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하므로 불을 끄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물은 불을 끄는 데 효과적인 소화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운반기계에 의한 운반작업 시 안전수칙에 어긋나는 것은?

  1. 운반대위에는 여러 사람이 타지 말 것
  2. 미는 운반차에 화물을 실을 때에는 앞을 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할 것
  3. 운반차의 출입구는 운반차의 출입에 지장이 없는 크기로 할 것
  4. 운반차에 물건을 쌓을 때 될 수 있는 대로 전체의 중심이 위가 되도록 쌓을 것
(정답률: 92%)
  • 운반차에 물건을 쌓을 때 전체의 중심이 위가 되도록 쌓는 것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물건을 한쪽으로 치우치게 쌓으면 차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져서 차가 기울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체의 중심이 위가 되도록 쌓아야 안정적인 운반작업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안전관리의 목적을 가장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기능향상을 도모한다.
  2. 경영의 혁신을 도모한다.
  3. 기업의 시설투자를 확대한다.
  4. 근로자의 안전과 능률을 향상시킨다.
(정답률: 93%)
  • 안전관리의 목적은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고, 일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근로자의 안전과 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고, 일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일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근로자의 안전과 능률을 향상시킨다."가 가장 올바른 목적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감전의 위험성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통전의 위험도에서 전기 기구는 오른손으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왼손으로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2. 저압 전기라도 인체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크면 위험하므로 조심해야 된다.
  3. 전압이 동일한 경우 교류는 직류보다 위험하며 교류인 경우 주파수에 따라 위험성이 다르다.
  4. 감전은 전류의 크기, 통전시간, 통전경로, 전원의 종류에 따라 그 위험성이 결정된다.
(정답률: 88%)
  • "통전의 위험도에서 전기 기구는 오른손으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왼손으로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전기 기구를 사용할 때는 양손 모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한 방법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하지만, "전압이 동일한 경우 교류는 직류보다 위험하며 교류인 경우 주파수에 따라 위험성이 다르다."는 맞는 내용입니다. 교류는 주기적으로 전류의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직류보다 심각한 근육 경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파수가 높을수록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일반적으로 볼 때 안전대책은 무슨 방법으로 수립해야 좋은가?

  1. 사무적
  2. 계획적
  3. 경험적
  4. 통계적
(정답률: 78%)
  • 안전대책을 수립할 때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과거의 사고나 위험 요소들을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패턴을 파악하고 예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미래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계적 방법은 안전대책 수립에 있어서 가장 신뢰성이 높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방폭 전기설비를 선정할 경우 중요하지 않은 것은?

  1. 대상가스의 종류
  2. 방호벽의 종류
  3. 폭발성 가스의 폭발 등급
  4. 발화도
(정답률: 77%)
  • 방폭 전기설비를 선택할 때 중요한 것은 대상가스의 종류, 폭발성 가스의 폭발 등급, 발화도 등과 같은 안전성과 관련된 요소입니다. 하지만 방호벽의 종류는 전기설비의 방폭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중요하지 않은 요소입니다. 따라서 방호벽의 종류는 방폭 전기설비를 선택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가연성 가스가 있는 고압가스 저장실 주위에는 화기를 취급해서는 안 된다. 이때 화기를 취급하는 장소와 몇 m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하는가?

  1. 1
  2. 2
  3. 7
  4. 8
(정답률: 85%)
  • 가연성 가스가 있는 고압가스 저장실 주위에는 화기를 취급해서는 안 되는 이유는 화기로 인한 화재나 폭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기를 취급하는 장소와의 거리는 안전거리를 고려하여 설정해야 합니다. 안전거리는 가스의 종류, 저장 용기의 크기, 저장 용기의 위치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8m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볼트 조임 작업시 안전사항이다. 맞게 기술한 것은?

  1. 공기 또는 물 등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패너에 파이프를 끼워 단단히 조인다.
  2. 단단히 조이기 위해서는 스패너를 망치로 두둘겨 조인다.
  3. 스패너가 규격보다 클 때는 얇은 철판을 끼워 너트 머리에 꼭 맞도록 한 후 조인다.
  4. 볼트 조임 작업시 스패너가 벗겨지더라도 넘어지지 않도록 몸가짐에 주의 한다.
(정답률: 77%)
  • 볼트 조임 작업시 스패너가 벗겨지더라도 넘어지지 않도록 몸가짐에 주의 한다. 이유는 스패너가 벗겨지면 갑자기 몸이 뒤로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몸의 균형을 잡아야 하며, 작업 위치도 안정적으로 잡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보일러의 과열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胴)내면에 스케일 생성 시
  2. 보일러수가 농축되어 있을 때
  3. 전열면에 국부적인 열을 받았을 때
  4. 보일러수의 순환이 양호할 때
(정답률: 88%)
  • 보일러수의 순환이 양호할 때는 보일러 내부의 물이 균일하게 순환하며 열이 분산되기 때문에 과열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온열원 발생장치인 보일러설비의 운전 중 보일러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고사용압력과 상용압력사이에서 보일러의 버너연소를 차단할 수 있도록 부착하여야 하는 안전장치는?

  1. 압력제한 스위치
  2. 안전밸브
  3. 저압차단 스위치
  4. 고압차단 스위치
(정답률: 62%)
  • 압력제한 스위치는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최고사용압력을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버너 연소를 차단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보일러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제한 스위치를 부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업안전 표시 중 다음 그림이 나타내는 의미는?

  1. 부식성 물질 경고
  2. 낙하물 경고
  3. 방사성 물질 경고
  4. 몸균형 상실 경고
(정답률: 87%)
  • 이 그림은 부식성 물질을 다루는 작업장에서 작업자들에게 부식성 물질에 대한 경고를 주는 표시입니다. 그림 속에는 부식성 물질을 나타내는 화학 부호인 "C"와 부식성 물질이 묻어나온 손을 나타내는 그림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식성 물질 경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신규 검사에 합격된 냉동용 특정설비의 각인 사항과 그 기호의 연결이 올바르게 된 것은?

  1. 용기의 질량:TM
  2. 내용적:TV
  3. 최고 사용압력:FT
  4. 내압 시험압력:TP
(정답률: 85%)
  • 내압 시험압력은 해당 냉동용 특정설비가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압력에 대한 안전성을 검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기호가 올바르게 각인된 것은 해당 설비가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내압 시험압력은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기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수공구인 망치(hammer)의 안전 작업수칙으로 올바르지 못한 것은?

  1. 작업 중 해머 상태를 확인할 것
  2. 해머는 처음부터 힘을 주어 치지말 것
  3. 불꽃이 생기거나 파편이 발생할 수 있는 작업 시에는 반드시 차광안경을 착용할 것
  4. 해머의 공동 작업 시에는 호흡을 맞출 것
(정답률: 73%)
  • "해머를 사용할 때 불꽃이 생길 수 있는 작업이나 파편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작업을 할 때는 차광안경을 착용해야 한다"는 이유는 불꽃이나 파편이 눈에 직접 맞아 안구 손상을 일으키거나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차광안경은 눈을 보호하면서도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는 안전장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크레인의 방호장치로서 와이어로프가 후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는?

  1. 과부하 방지 장치
  2. 권과 방지 장치
  3. 비상 정지 장치
  4. 해지 장치
(정답률: 68%)
  • 크레인 작업 중에 와이어로프가 후크에서 이탈하면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로프를 후크에 고정시키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장치를 해지 장치라고 합니다. 해지 장치는 와이어로프를 후크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작업이 끝나면 이를 해제하여 와이어로프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크레인 작업 중에 와이어로프가 후크에서 이탈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냉동장치를 설비할 때 (보기)의 작업순서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③ → ④ → ② → ⑤ → ①
  2. ④ → ⑤ → ③ → ② → ①
  3. ③ → ⑤ → ④ → ② → ①
  4. ④ → ② → ③ → ⑤ → ①
(정답률: 73%)
  • 정답은 "③ → ④ → ② → ⑤ → ①"입니다.

    ③에서는 냉동기를 설치하기 전에 필요한 전기 및 수도 배관 등을 설치합니다.

    ④에서는 냉동기를 설치하고, 냉동기와 연결되는 냉매관을 설치합니다.

    ②에서는 냉동고나 냉동실을 설치하고, 냉매관과 연결합니다.

    ⑤에서는 냉동고나 냉동실의 문을 설치하고, 전기 및 수도 배관 등을 연결합니다.

    마지막으로 ①에서는 냉동장치를 가동시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따라서, 작업순서는 "③ → ④ → ② → ⑤ → 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기계

16. 다음 그림은 무슨 냉동사이클 이라고 하는가?

  1. 2단 압축 1단 팽창 냉동사이클이라 한다.
  2. 2단 압축 2단 팽창 냉동사이클이라 한다.
  3. 2원 냉동사이클이라 한다.
  4. 강제 순환식 2단 사이클이라 한다.
(정답률: 76%)
  • 정답인 "2원 냉동사이클이라 한다."의 이유는, 냉동기에서 압축기를 통해 냉매를 압축하고, 이를 냉각하여 압력을 낮춘 후 팽창기를 통해 냉매를 팽창시켜 냉각하는 과정을 두 번 반복하는 사이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원"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그림과 같은 역카르노 사이클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C → D의 과정은 압축과정이다.
  2. B → C, D → A의 변화는 등온변화이다.
  3. A → B는 냉동장치의 증발기에 해당되는 구간이다.
  4. 역카르노 사이클은 1개의 단열과정과 2개의 등온 과정으로 표시된다.
(정답률: 80%)
  • B → C, D → A의 변화는 등온변화이다. 이유는 역카르노 사이클에서는 2개의 등온 과정이 있으며, B → C, D → A는 각각 역카르노 사이클에서의 높은 온도와 낮은 온도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는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열이 전달되면서 일정한 양의 일을 한다. 이러한 과정을 등온변화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냉동장치의 팽창밸브 용량을 결정하는 것은?

  1. 밸브 시트의 오리피스 직경
  2. 팽창밸브의 입구의 직경
  3. 니들 밸브의 크기
  4. 팽창밸브의 출구의 직경
(정답률: 69%)
  • 냉동장치의 팽창밸브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팽창밸브의 용량은 냉매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밸브 시트의 오리피스 직경에 따라 결정됩니다. 즉, 밸브 시트의 오리피스 직경이 클수록 냉매 유량이 많아지고, 작을수록 냉매 유량이 적어집니다. 따라서, 팽창밸브의 용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밸브 시트의 오리피스 직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압축기 용량제어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경제적 운전을 하기 위하여
  2. 일정한 증발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3. 경부하 운전을 하기 위하여
  4. 응축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45%)
  • 압축기 용량제어의 목적은 경제적 운전을 하기 위하여, 일정한 증발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경부하 운전을 하기 위하여입니다. 응축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압축기 용량제어의 목적이 아닙니다. 응축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압축기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제어 시스템이 별도로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이 헤드형 동력나사 절삭기로 할 수 없는 작업은?

  1. 파이프 벤딩
  2. 파이프 절단
  3. 나사 절삭
  4. 리머 작업
(정답률: 75%)
  • 다이 헤드형 동력나사 절삭기는 회전하는 날개를 이용하여 나사를 절삭하는데 특화된 기계입니다. 따라서 파이프 벤딩과 같이 파이프를 구부리는 작업은 다이 헤드형 동력나사 절삭기로 할 수 없습니다. 파이프 벤딩은 파이프를 특정 각도로 구부리는 작업으로, 이를 위해서는 파이프 벤딩 기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브라인의 구비조건 중 틀린 것은?

  1. 공정점과 점도가 낮을 것
  2. 전열이 양호할 것
  3. 부식성이 적고 냉장품을 변질, 변색시키지 말 것
  4. 구입이 용이하고 열용량이 적을 것
(정답률: 72%)
  • 구입이 용이하고 열용량이 적을 것은 오히려 잘못된 구비조건입니다. 브라인은 냉장고나 에어컨 등과 같이 열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 제품이기 때문에 열용량이 적으면 효율이 떨어지고 성능이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구입이 용이하고 부식성이 적은 것은 중요하지만, 열용량은 높을수록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2단압축 냉동장치에서 각각 다른 2대의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고 1대의 압축기가 2대의 압축기 역할을 할 수 있는 압축기는?

  1. 부스터 압축기
  2. 캐스캐이드 압축기
  3. 콤파운드 압축기
  4. 보조 압축기
(정답률: 70%)
  • 콤파운드 압축기는 하나의 압축기 내부에 고압 단계와 저압 단계가 함께 있는 구조로, 하나의 압축기로도 높은 압축비를 유지할 수 있어서 2단압축 냉동장치에서 각각 다른 2대의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충분한 압축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콤파운드 압축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순저항(R)만으로 구성된 회로에 흐르는 전류와 전압과의 위상 관계는?

  1. 90° 앞선다.
  2. 90° 뒤진다.
  3. 180° 앞선다.
  4. 동위상이다.
(정답률: 73%)
  • 순저항은 전류와 전압이 동시에 변화하므로, 전류와 전압의 위상 차이가 없어 동위상이다. 즉, 전압과 전류가 동시에 최대값이나 최소값을 가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강관의 나사 이음쇠가 아닌 것은?

  1. 크로스
  2. 엘보
  3. 부스터
  4. 니플
(정답률: 73%)
  • 강관의 나사 이음쇠는 파이프나 관의 연결 부분에서 사용되는 도구로, 파이프의 연결을 강화하고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부스터는 파이프나 관의 연결 부분에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유체나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부스터는 강관의 나사 이음쇠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관속을 흐르는 유체가 가스일 경우 도시기호는?

(정답률: 90%)
  • 가스는 압축성이 크기 때문에 관속을 흐르는 유체가 가스일 경우에는 화살표가 끊어지지 않고 계속 이어져 있는 "" 도시기호를 사용합니다. 이는 가스가 압축성이 크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이 끊어지지 않고 계속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냉동사이클의 증발온도가 -15℃이고 포화액의 엔탈피가 100kcal/kg, 건조 포화증기의 엔탈피가 160kcal/kg, 증발기에 유입되는 습증기의 건조도 0.25일 때 냉동효과는?

  1. 15kcal/kg
  2. 35kcal/kg
  3. 45kcal/kg
  4. 75kcal/kg
(정답률: 42%)
  • 냉동사이클에서 냉동효과는 증발기에서의 엔탈피 차이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냉동효과는 건조 포화증기의 엔탈피에서 포화액의 엔탈피를 뺀 값입니다.

    즉, 냉동효과 = 건조 포화증기의 엔탈피 - 포화액의 엔탈피 = 160kcal/kg - 100kcal/kg = 60kcal/kg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증발기에 유입되는 습증기의 건조도가 0.25로 주어졌기 때문에, 실제로 유입되는 습증기의 양은 건조 공기의 0.25배입니다. 따라서 냉동효과는 60kcal/kg x 0.25 = 15kcal/kg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냉동효과를 절대값으로 구하라고 하지 않았기 때문에, 냉동효과는 -15kcal/kg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5kcal/kg"가 아니라, "45kcal/kg"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흡수식 냉동장치에는 안전확보와 기기의 보호를 위하여 여러 가지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냉수 동결방지
  2. 흡수액 결정방지
  3. 압력상승방지
  4. 압축기 보호
(정답률: 71%)
  • 압축기 보호는 흡수식 냉동장치의 안전확보와 기기의 보호를 위한 안전장치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압축기 보호는 일반적으로 압축식 냉동장치에서 사용되는 안전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강제 급유식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플런저 펌프
  2. 로터리 펌프
  3. 터보 펌프
  4. 기어 펌프
(정답률: 47%)
  • 강제 급유식에 사용되는 오일펌프는 일반적으로 저압에서 고압으로 오일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터보 펌프는 고압에서 더 높은 압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강제 급유식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터보 펌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냉동 사이클에서 액관 여과기의 규격은 보통 몇 매쉬(mash)인가?

  1. 40
  2. 60∼70
  3. 80∼100
  4. 150
(정답률: 71%)
  • 액관 여과기의 규격은 보통 80∼100 매쉬이다. 이는 냉동 사이클에서 사용되는 냉매의 미세한 입자나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80∼100 매쉬의 여과기는 미세한 입자를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40 매쉬는 입자가 크고, 60∼70 매쉬는 입자가 중간 정도이며, 150 매쉬는 입자가 매우 작은 경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기체를 액화시키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임계압력 이하로 압축한 후 냉각시킨다.
  2. 임계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압력을 높인다.
  3. 임계압력 이상으로 가압하고 임계온도 이하로 냉각한다.
  4. 임계온도 이하로 냉각하고 임계압력 이하로 감압한다.
(정답률: 60%)
  • 기체를 액화시키기 위해서는 기체를 압축하여 분자 간 거리를 좁히고, 동시에 온도를 낮추어 분자 운동에너지를 줄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임계압력 이상으로 가압하고 임계온도 이하로 냉각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는 기체의 상태를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증발열을 이용한 냉동법이 아닌 것은?

  1. 증기분사식 냉동법
  2. 압축 기체 팽창 냉동법
  3. 흡수식 냉동법
  4. 증기 압축식 냉동법
(정답률: 56%)
  • 압축 기체 팽창 냉동법은 증발열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과 팽창을 이용하여 냉각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증발열을 이용한 냉동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위차가 높을수록 전류는 잘 흐르지 않는다.
  2. 물체의 마찰 등에 의하여 대전된 전기를 전하라 한다.
  3. 1초 동안에 1[C]의 전기량이 이동하면 전류는 1[A]이다.
  4.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전기저항이라 한다.
(정답률: 67%)
  • "전위차가 높을수록 전류는 잘 흐르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전위차가 높을수록 전류는 오히려 잘 흐릅니다. 전위차는 전기를 움직이는 힘을 나타내는데, 전위차가 높을수록 전기를 움직이는 힘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위차가 높을수록 전류는 더 잘 흐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LNG 냉열이용 동결장치의 특징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식품과 직접 접촉하여 급속동결이 가능하다.
  2. 외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3. 공기에 분산되어 있는 먼지를 철저히 제거하여 장치내부에 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4. 저온공기의 풍속을 일정하게 확보함으로써 식품과의 열전달계수를 저하시킨다.
(정답률: 63%)
  • 저온공기의 풍속을 일정하게 확보함으로써 식품과의 열전달계수를 저하시킨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공기의 흐름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식품과의 열전달이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LNG 냉열이용 동결장치의 특징 중 하나가 맞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고온부에서 방출하는 열량을 이용하여 난방을 행하는 열펌프의 고온부 온도가 30℃이고, 저온부 온도가 -10℃일 때 이 열펌프의 성적계수는?

  1. 약 4.5
  2. 약 5.5
  3. 약 6.5
  4. 약 7.5
(정답률: 36%)
  • 열펌프의 성적계수는 고온부와 저온부의 온도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고온부 온도가 30℃이고, 저온부 온도가 -10℃이므로, 온도 차이는 40℃이다.

    일반적으로, 열펌프의 성적계수는 온도 차이가 클수록 높아진다. 따라서, 온도 차이가 40℃인 경우, 성적계수는 약 7.5 정도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1 BTU는 몇 kcal 인가?

  1. 3.968
  2. 0.252
  3. 252
  4. 1.8
(정답률: 53%)
  • 1 BTU는 252 칼로리(kcal)입니다. 이는 열량의 단위로, 1 파운드(lb)의 물을 1도 온도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입니다. 따라서 1 BTU는 252 칼로리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압축기 보호장치 중 고압차단 스위치(HPS)의 작동압력은 정상적인 고압에 몇 kgf/cm2 정도 높게 설정하는가?

  1. 1
  2. 4
  3. 10
  4. 25
(정답률: 69%)
  • 고압차단 스위치(HPS)는 압축기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이 스위치의 작동압력은 정상적인 고압에 비해 높게 설정됩니다. 이는 압축기가 정상적인 운전 상태에서는 작동하지 않고, 과부하 상태에서만 작동하여 압축기를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보기에서 "4"가 정답인 이유는, 일반적으로 압축기의 정상적인 고압은 7~8 kgf/cm2 정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압차단 스위치의 작동압력을 4 kgf/cm2로 설정하면, 압축기가 과부하 상태에서만 작동하여 보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작동압력을 높게 설정하면, 정상적인 운전 상태에서도 스위치가 작동하여 압축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시트 모양에 따라 삽입형, 흡꼴형, 유합형 등으로 구분되는 배관 이음방법은?

  1. 플레어 이음
  2. 나사 이음
  3. 납땜 이음
  4. 플렌지 이음
(정답률: 66%)
  • 플렌지 이음은 시트 모양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음 방법으로, 플렌지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플렌지는 파이프의 끝에 부착되어 있으며, 다른 파이프와 플렌지를 이용하여 볼트로 고정합니다. 이 방법은 분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높은 압력과 온도에도 견딜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원심(Turbo)식 압축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진동이 적다.
  2. 1대로 대용량이 가능하다.
  3. 접동부(摺動部)가 없다.
  4. 용량에 비해 대형이다.
(정답률: 60%)
  • 원심식 압축기는 회전하는 원판과 고정된 커버 사이에서 가스를 압축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때문에 접동부(摺動部)가 없으며, 진동이 적습니다. 또한 1대로 대용량을 처리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하지만 원심식 압축기는 회전하는 원판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용량에 비해 대형이라는 특징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프레온 냉동장치에서 오일 포밍 현상이 일어나면 실린더내로 다량의 오일이 올라가 오일을 압축하여 실린더 헤드부에서 이상 음이 발생하게 되는 현상은?

  1. 에멀죤 현상
  2. 동부착 현상
  3. 오일 포밍 현상
  4. 오일 해머 현상
(정답률: 78%)
  • 프레온 냉동장치에서 오일 포밍 현상이 일어나면 오일이 공기와 혼합되어 거품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거품은 실린더 내부에서 압축되면서 큰 압력을 발생시키고, 이는 실린더 헤드부에서 이상 음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오일 해머 현상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수냉식 응축기의 능력은 냉각수 온도와 냉각수량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응축기의 능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냉각수온을 낮춘다.
  2. 응축기의 냉각관을 세척한다.
  3. 냉각수량을 줄인다.
  4. 냉각수 유속을 적절히 조절한다.
(정답률: 71%)
  • 냉각수량을 줄이는 것은 응축기의 능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는 냉각수가 응축기 내부를 통과하는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냉각수량을 줄이는 것은 응축기의 능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냉동장치의 냉각기에 적상이 심할 때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냉동능력 감소
  2. 냉장고내 온도 저하
  3. 냉동 능력당 소요동력 증대
  4. 리키드 백 발생
(정답률: 60%)
  • 적상이 심한 경우 냉각기의 냉동능력이 감소하고, 냉동 능력당 소요동력이 증가하며, 리키드 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냉장고내 온도 저하는 냉동기의 냉각능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고속다기통 압축기 유압계의 정상유압으로 옳은 것은?

  1. 정상 저압 + 4∼6kgf/cm2
  2. 정상 고압 + 1.5∼3kgf/cm2
  3. 정상 고압 + 4∼6kgf/cm2
  4. 정상 저압 + 1.5∼3kgf/cm2
(정답률: 55%)
  • 고속다기통 압축기는 유압계의 정상유압이 정상 저압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이는 고속다기통 압축기가 작동할 때 유압계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상 저압 + 1.5∼3kgf/cm2"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시퀀스도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부품의 배치 배선 상태를 구성에 맞게 그린 것이다.
  2. 동작 순서대로 알기 쉽게 그린 접속도를 말한다.
  3. 기기 상호간 및 외부와의 전기적인 접속관계를 나타낸 접속도를 말한다.
  4. 전기 전반에 관한 계통과 전기적인 접속관계를 단선으로 나타낸 접속도이다.
(정답률: 69%)
  • 시퀀스도는 기기나 부품들의 동작 순서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따라서 "동작 순서대로 알기 쉽게 그린 접속도를 말한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전기적인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시퀀스도는 동작 순서를 중심으로 그려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증발온도와 응축온도가 일정하고 과냉각도가 없는 냉동사이클에서 압축기에 흡입되는 냉매 증기의 상태가 변화했을 때 선도 중 건조 포화압축 냉동사이클은?

  1. A-B-C-D-A
  2. A'-B'-C-D-A'
  3. A"-B"-C-D-A''
  4. A'-B'-B''-A"-A'
(정답률: 68%)
  • 선도 중 건조 포화압축 냉동사이클에서는 증발온도와 응축온도가 일정하고 과냉각도가 없으므로, 압축기에 흡입되는 냉매 증기의 상태가 변화하더라도 압축기의 흡입부에서는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압축기의 흡입부에서는 항상 상태 A (건조상태)가 유지되며, 이후 압축과 압축 후 냉매의 상태 변화에 따라 B, C, D, A 순서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A-B-C-D-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냉동장치 배관 설치시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냉매의 종류, 온도 등에 따라 배관재료를 선택한다.
  2. 온도변화에 의한 배관의 신축을 고려한다.
  3. 기기 조작, 보수, 점검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4. 굴곡부는 가능한 적게 하고 곡률 반경을 작게 한다.
(정답률: 83%)
  • 굴곡부가 많아지면 배관 내부의 냉매 유동이 원활하지 않아 냉동장치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곡률 반경이 크면 배관 내부의 냉매 유동이 느려져 냉동장치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굴곡부는 가능한 적게 하고 곡률 반경을 작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6. 수정 유효온도는 유효온도에 무엇의 영향을 고려한 것인가?

  1. 온도
  2. 습도
  3. 기류
  4. 복사열
(정답률: 63%)
  • 수정 유효온도는 복사열의 영향을 고려한 것입니다. 복사열은 물체 간에 발생하는 열 전달 방식 중 하나로, 물체와 물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 전달입니다. 따라서 수정 유효온도는 물체의 온도뿐만 아니라 주변 물체와의 복사열까지 고려하여 측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설비공사 비용 중 차지하는 비용(%)이 가장 큰 것은?

  1. 급배수 설비
  2. 공기조화기 및 덕트
  3. 전기 설비
  4. 승강기 설비
(정답률: 73%)
  • 공기조화기 및 덕트는 건물 내부의 공기를 조절하고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건물 내부의 환경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공기조화기 및 덕트는 건물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건물 내부의 안락성을 높이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설비공사 비용 중에서 가장 큰 비용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고성능 필터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험입자를 사용하여 입자의 수를 계측하는 방법은?

  1. 중량법
  2. 비색법
  3. 점착법
  4. 계수법
(정답률: 79%)
  • 시험입자를 사용하여 입자의 수를 계측하는 방법은 계수법이라고 합니다. 이는 입자의 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여 필터의 성능을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입자의 크기, 색상, 점착성 등을 이용하여 필터의 성능을 추정하는 방법이지만, 계수법은 입자의 수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보다 정확한 성능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온수 베이스 보드 난방(hot water base board heating)에서 가열면의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는?

  1. 라지에터
  2. 드레인 밸브
  3. 그릴
  4. 서모스텟
(정답률: 50%)
  • 온수 베이스 보드 난방에서 가열면의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는 그릴입니다. 그릴은 베이스 보드의 가열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여 방 안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릴은 베이스 보드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제작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감습장치에 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압축 감습장치는 동력소비가 적다.
  2. 냉각 감습장치는 노점온도 제어로 감습한다.
  3. 흡수식 감습장치는 흡수성이 큰 용액을 이용한다.
  4. 흡착식 감습장치는 고체 흡수제를 이용한다.
(정답률: 54%)
  • 압축 감습장치는 동력소비가 적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압축 감습장치는 공기를 압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이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소비됩니다. 따라서 압축 감습장치는 다른 감습장치에 비해 동력소비가 높은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난방 부하가 3000kcal/h인 온수 난방시설에서 방열기의 입구온도가 85℃, 출구온도가 25℃, 외기온도가 -5℃일 때, 온수의 순환량은 얼마인가? (단, 물의 비열은 1kcal/kg℃이다.)

  1. 50kg/h
  2. 75kg/h
  3. 150kg/h
  4. 450kg/h
(정답률: 31%)
  • 먼저 방열기에서 전달되는 열량을 계산해보면,

    Q = m × c × ΔT

    여기서 Q는 열량, m은 물의 질량, c는 물의 비열, ΔT는 온도차이를 나타냅니다.

    입구온도가 85℃이고 출구온도가 25℃이므로,

    ΔT = 85℃ - 25℃ = 60℃

    따라서 방열기에서 전달되는 열량은,

    Q = m × 1 × 60 = 60m kcal/h

    이 됩니다.

    다음으로, 외기와 방열기 사이에서 전달되는 열량을 계산해보면,

    Q = m × c × ΔT

    여기서 ΔT는 외기온도와 방열기 출구온도의 차이입니다. 외기온도가 -5℃이므로,

    ΔT = 25℃ - (-5℃) = 30℃

    따라서 외기와 방열기 사이에서 전달되는 열량은,

    Q = m × 1 × 30 = 30m kcal/h

    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방열기에서 전달되는 열량과 외기와 방열기 사이에서 전달되는 열량이 같으므로,

    60m = 30m

    m = 0.5 kg/h

    따라서 온수의 순환량은 0.5 kg/h, 즉 50kg/h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난방 방식의 분류에서 간접 난방에 해당하는 것은?

  1. 온수난방
  2. 증기난방
  3. 복사난방
  4. 히트펌프난방
(정답률: 59%)
  • 간접 난방은 물이나 공기를 통해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공간을 가열하지 않습니다. 히트펌프난방은 공기나 지하수 등에서 열을 추출하여 실내 공간을 가열하는 간접 난방 방식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히트펌프난방이 간접 난방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자연환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자연환기는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부력과 외기의 풍압에 의한 실내외의 압력차에 의해 이루어진다.
  2. 자연환기에 의한 방의 환기량은 그 방의 바닥 부근과 천장 부근의 공기 온도차에 의해 결정되는데, 급기구 및 배기구의 위치에는 무관하다.
  3. 자연환기는 자연력을 이용하므로 동력은 필요하지 않지만 항상 일정한 환기량을 얻을 수 없다.
  4. 자연환기로 공장 등에서 다량의 환기량을 얻고자 할 경우는 벤틸레이터를 지붕면에 설치한다.
(정답률: 73%)
  • 정답은 "자연환기에 의한 방의 환기량은 그 방의 바닥 부근과 천장 부근의 공기 온도차에 의해 결정되는데, 급기구 및 배기구의 위치에는 무관하다."입니다.

    이유는 자연환기는 바람이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자연적인 원리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에 급기구와 배기구의 위치는 환기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환기량은 실내외의 온도차와 압력차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바람이나 동력과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급기구와 배기구의 위치는 환기 효율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지만, 환기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2중 덕트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실의 냉·난방 부하가 감소되어도 취출공기의 부족현상이 없다.
  2. 실내습도의 완전한 조절이 가능하다.
  3. 부하특성이 다른 다수의 실에 적용할 수 있다.
  4. 설비비 및 운전비가 많이 든다.
(정답률: 55%)
  • "실내습도의 완전한 조절이 가능하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2중 덕트 방식은 공조기에서 나오는 냉·난방 공기와 외기를 따로 처리하여 실내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완전한 조절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건축물의 벽이나 지붕을 통하여 실내로 침입하는 열량을 구할 때 관계없는 요소는?

  1. 구조체의 면적
  2. 구조체의 열관류율
  3. 상당외기 온도차
  4. 차폐계수
(정답률: 77%)
  • 차폐계수는 건축물의 벽이나 지붕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열 전달을 막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실내로 침입하는 열량을 구할 때는 차폐계수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구조체의 면적, 열관류율, 상당외기 온도차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용어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대기 중에는 습공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공기조화에서 취급되는 공기는 모두 건공기이다.
  2. 절대습도는 습공기에서 수증기의 중량을 건조공기의 중량으로 나눈 값이다.
  3. 습구온도는 온도계의 감열부를 물에 젖은 헝겊으로 싼 상태에서 가리키는 온도를 말한다.
  4. 노점온도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하기 시작할 때의 온도, 즉 공기가 수증기 포화상태로 될 때의 온도를 말한다.
(정답률: 76%)
  • 절대습도는 습공기에서 수증기의 중량을 건조공기와 습공기의 중량의 합으로 나눈 값이다. 대기 중에는 건공기와 습공기가 혼합되어 있으므로 공기조화에서 취급되는 공기는 건공기와 습공기가 혼합된 공기이다. 따라서 "대기 중에는 습공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공기조화에서 취급되는 공기는 모두 건공기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패키지형 공조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자동운전이며 개별제어 및 유지관리가 쉽다.
  2.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품질도 안정되어 있다.
  3. 특별한 기계실이 필요 없고 설치면적도 작다.
  4. 실내 설치는 가능하지만 덕트 접속은 불가능하다.
(정답률: 63%)
  • 패키지형 공조방식은 모든 부품이 하나의 패키지로 묶여 있어 설치가 간편하고 기계실이 필요하지 않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품질도 안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덕트 접속이 불가능한 이유는 패키지형 공조기에는 덕트가 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덕트 접속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공조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난방공조에서 실내온도(코일의 입구온도)가 23℃, 현열량 4000kcal/h, 풍량이 2400kg/h이면 코일의 출구온도는 약 얼마인가?

  1. 26.95℃
  2. 29.94℃
  3. 33.42℃
  4. 36.52℃
(정답률: 46%)
  • 코일에서 발생한 열은 풍량과 현열량에 비례하므로, 코일의 출구온도는 현열량과 풍량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열량 = 현열량 × 풍량 = 4000kcal/h × 2400kg/h = 9600000 kcal/h

    코일의 입구온도가 23℃이므로, 코일에서 발생한 열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열량 = (코일의 출구온도 - 23℃) × 1.2kg/m³ × 1005J/kg·℃ × 2400kg/h

    여기서 1.2kg/m³는 공기의 밀도, 1005J/kg·℃는 공기의 비열이다.

    따라서, 코일의 출구온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코일의 출구온도 - 23℃) × 1.2kg/m³ × 1005J/kg·℃ × 2400kg/h = 9600000 kcal/h

    코일의 출구온도를 구하기 위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코일의 출구온도 - 23℃ = 9600000 kcal/h ÷ (1.2kg/m³ × 1005J/kg·℃ × 2400kg/h)

    코일의 출구온도 - 23℃ = 3.5℃

    따라서, 코일의 출구온도는 23℃ + 3.5℃ = 26.5℃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6.95℃이 아니라 29.94℃가 정답이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하지 않고 정확한 값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확한 계산 결과는 29.9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동일한 용량의 다른 보일러에 비해 전열면적이 크고 기동시간이 짧으며, 고압증기를 만들기 쉬워서 대용량에 적합한 것은?

  1. 주철제 보일러
  2. 입형 보일러
  3. 노통 보일러
  4. 수관 보일러
(정답률: 50%)
  • 수관 보일러는 다른 보일러에 비해 전열면적이 크고 기동시간이 짧으며, 고압증기를 만들기 쉬워서 대용량에 적합합니다. 이는 수관 보일러가 수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연소를 하기 때문에 물의 공급이 원활하고 안정적이며, 이에 따라 고압증기를 만들기 쉽고 대용량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석면으로 만든 박판 등의 소재에 흡수제로 염화리튬을 침투시킨 판을 사용하여 현열과 잠열을 동시에 열교환하는 공기 대 공기 열교환기는?

  1. 판형 열교환기
  2. 쉘 앤드 튜브형 열교환기
  3. 히트 파이프형 열교환기
  4. 전열 열교환기
(정답률: 41%)
  • 석면으로 만든 박판 등의 소재에 흡수제로 염화리튬을 침투시킨 판을 사용하여 현열과 잠열을 동시에 열교환하는 공기 대 공기 열교환기는 전열 열교환기입니다. 이는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다른 열교환기들은 간접적인 방식으로 열을 전달하기 때문에 전열 열교환기와는 구조와 작동 원리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