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10-03)

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10-10-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조냉동안전관리

1. 다음 중 불안전한 상태라 볼 수 없는 것은?

  1. 환기 불량
  2. 위험물의 방치
  3. 안전교육의 미숙
  4. 기계기구의 정비 불량
(정답률: 79%)
  • 안전교육의 미숙은 불안전한 상태가 아니라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제대로 알지 못하거나 이행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안전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이행되면 불안전한 상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환기 불량, 위험물의 방치, 기계기구의 정비 불량은 모두 불안전한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응축기에서 응축 액화된 냉매가 수액기로 원활히 흐르지 못하는 가장 큰 원인은?

  1. 액 유입관경이 크다.
  2. 액 유출관경이 크다.
  3. 안전밸브의 구경이 적다.
  4. 균압관의 관경이 적다.
(정답률: 85%)
  • 응축기에서 액화된 냉매는 수액기로 이동하기 위해 균압관을 통과해야 합니다. 균압관의 역할은 액체가 수액기와 응축기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압력을 균형시켜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균압관의 관경이 적으면 액체의 이동이 제한되어 원활한 유동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연료계통의 화재 발생 시 가장 적합한 소화작업에 해당되는 것은?

  1. 물을 붓는다.
  2. 산소를 공급해 준다.
  3. 점화원을 차단한다.
  4. 가연성 물질을 차단한다.
(정답률: 73%)
  • 연료계통의 화재 발생 시 가장 적합한 소화작업은 "가연성 물질을 차단한다." 입니다. 이는 화재의 연료원을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더 큰 화재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물을 붓는 것은 연료를 더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으며, 산소를 공급해 주는 것은 화재를 더 크게 만들 수 있습니다. 점화원을 차단하는 것은 화재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지 화재를 진압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가연성 물질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소화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냉동 제조 설비의 안전관리자의 인원에 대한 설명 중 바른 것은?

  1. 냉동능력 300톤 초과(냉매가 프레온일 경우는 600톤 초과)인 경우 안전관리원은 3명 이상이어야 한다.
  2. 냉동능력이 100톤 초과 300톤 이하(냉매가 프레온일 경우는 200톤 초과 600톤 이하)인 경우 안전관리원은 1명 이상이어야 한다.
  3. 냉동능력 50톤 초과 100톤 이하(냉매가 프레온인 경우 100톤 초과 200톤 이하)인 경우 안전관리 총괄자는 없어도 상관없다.
  4. 냉동능력 50톤 이하(냉매가 프레온인 경우 100톤 이하)인 경우 안전관리 책임자는 없어도 상관없다.
(정답률: 78%)
  • 냉동 제조 설비의 안전관리원 인원은 냉동능력에 따라 결정되며, 냉동능력이 100톤 초과 300톤 이하(냉매가 프레온일 경우는 200톤 초과 600톤 이하)인 경우 안전관리원은 1명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해당 냉동 제조 설비의 규모와 위험성에 따라 적절한 안전관리를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인원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아크용접작업 기구 중 보호구와 관계없는 것은?

  1. 용접용 보안면
  2. 용접용 앞치마
  3. 용접용 홀더
  4. 용접용 장갑
(정답률: 93%)
  • 용접용 홀더는 보호구가 아닙니다. 용접용 홀더는 용접봉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용접작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반면, 용접용 보안면, 앞치마, 장갑은 용접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스파크, 열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펌프의 보수 관리 시 점검 사항 중 맞지 않는 것은?

  1. 윤활유 작동 확인
  2. 축수 온도 확인
  3. 스타핑 박스의 누설 확인
  4. 다단 펌프에 있어서 프라이밍 누설 확인
(정답률: 65%)
  • 다단 펌프는 여러 개의 impeller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impeller마다 프라이밍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다단 펌프에서는 프라이밍 누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펌프의 성능 저하나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단 펌프에서는 프라이밍 누설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보일러의 부식원인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온수에 불순물이 포함될 때
  2. 부적당한 급수처리 시
  3. 더러운 물을 사용 시
  4. 증기 발생량이 적을 때
(정답률: 86%)
  • 보일러의 부식원인은 대부분 물과의 반응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증기 발생량이 적을 때는 보일러 내부의 물의 양이 적어 부식원인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증기 발생량이 적을 때는 보통 보일러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거나 보일러의 크기가 작은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전기의 접지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화재 방지
  2. 설비 증설 방지
  3. 감전 방지
  4. 기기손상 방지
(정답률: 86%)
  • 전기의 접지는 화재, 감전, 기기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설비 증설 방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설비 증설 방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전기용접 작업할 때에 안전관리 사항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우천 시에는 옥외작업을 하지 않는다.
  2. 피 용접물은 완전히 접지시킨다.
  3. 옥외용접 시에는 헬멧이나 핸드실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4. 용접봉은 홀더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정확히 끼운다.
(정답률: 92%)
  • 옥외용접 시에는 헬멧이나 핸드실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사항입니다. 외부에서 작업을 할 때는 자외선, 먼지, 불꽃 등으로부터 눈과 얼굴을 보호하기 위해 헬멧이나 핸드실드를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으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구와 그 사용법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바이스 - 암나사 내기
  2. 그라인더 - 공작물 연마
  3. 리머 - 공작물을 고정
  4. 핸드 탭 - 구멍 내면의 다듬질
(정답률: 82%)
  • 그라인더는 공작물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공구입니다. 따라서 그라인더와 공작물 연마가 바르게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아세틸렌 용기의 사용설명에 대한 내용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1. 화기나 열기를 멀리한다.
  2. 충돌이나 충격을 주면 안 된다.
  3. 용기 저장소는 옥외의 환기가 안 되는 곳이어야 한다.
  4. 가스 조정기나 용기의 밸브에 호스를 연결시킬 때는 바르게 한다.
(정답률: 91%)
  • "용기 저장소는 옥외의 환기가 안 되는 곳이어야 한다."가 적절치 못한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위험한 조건이며, 옥외의 환기가 잘 되는 장소에 보관해야 합니다. 이유는 아세틸렌은 공기와 반응하여 폭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옥외의 환기가 잘 되는 장소에서 보관하여 화재나 폭발 등의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사업주는 안전을 위해 작업조건에 적합한 보호구를 지급하여야 한다. 이 때 사업주가 보호구를 지급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동시에 작업하는 근로자의 수 이하
  2. 동시에 작업하는 근로자의 수 이상
  3. 월 평균 작업근로자의 수 이상
  4. 연 평균 작업근로자의 수 이상
(정답률: 82%)
  • 사업주가 보호구를 지급하는 기준은 "동시에 작업하는 근로자의 수 이상"입니다. 이는 작업환경이나 위험성에 따라 보호구가 필요한 근로자 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위험한 공사 현장에서는 한 명의 근로자도 보호구를 지급해야 하지만, 비교적 안전한 사무실에서는 일정 수 이상의 근로자가 모여야 보호구를 지급해야 합니다. 따라서, 보호구를 지급하는 기준은 동시에 작업하는 근로자의 수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산업안전기준에 관란 규칙상 작업장의 계단의 폭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50㎝
  2. 100㎝
  3. 150㎝
  4. 200㎝
(정답률: 85%)
  • 산업안전기준에 따르면, 작업장의 계단의 폭은 최소 100㎝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고 작업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계단의 경사각과 높이 등도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하며, 이는 작업장 안전을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컨베이어 등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작업 시작 전 점검사항이다.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원동기 및 풀리기능의 이상 유무
  2. 이탈 등의 방지장치기능의 이상 유무
  3.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4. 작업면의 기울기 또는 요철유무
(정답률: 80%)
  • 작업면의 기울기 또는 요철유무는 컨베이어 작업 전에 점검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다른 항목들은 모두 컨베이어 작업 전에 점검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안전점검의 종류에 대한 설명이 바르지 않은 것은?

  1. 정기점검은 작업 전에 실시하는 점검이다.
  2. 수시점검은 작업 전, 작업 중, 작업 후에 수시로 실시하는 점검이다.
  3. 임시점검은 일상 발견 시 또는 재해 발생 시실시하는 점검이다.
  4. 특별점검은 기계기구의 신설, 변경, 수리 등에 의해 부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점검이다.
(정답률: 72%)
  • 정답: "정기점검은 작업 전에 실시하는 점검이다."

    해설: 정기점검은 일정한 주기로 실시하는 점검으로, 작업 전이 아닌 작업 중 또는 작업 후에도 실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점검은 작업 전에 실시하는 점검이다."라는 설명이 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기계

16. 응축기의 발열량 Q1, 증발기의 흡수열량 Q2, 압축소요 열당량 Aw이라면 올바른 관계식은?

  1. Aw = Q1 - Q2
  2. Aw = Q1 + Q2
  3. Aw = Q2 - Q1
  4. Aw = Q1 / Q2
(정답률: 56%)
  • 정답은 "Aw = Q1 - Q2"입니다.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발열량 Q1은 냉매가 압축됨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열입니다. 즉, 냉매가 응축되면서 발생한 열입니다.

    반면에 증발기에서 흡수하는 열량 Q2은 냉매가 증발됨에 따라 온도가 낮아지면서 흡수하는 열입니다. 즉, 냉매가 증발되면서 흡수한 열입니다.

    따라서, 압축소요 열당량 Aw는 응축기에서 발생한 발열량 Q1에서 증발기에서 흡수한 열량 Q2를 뺀 값이 됩니다. 즉, Aw = Q1 - Q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2단 압축장치의 구성 기기가 아닌 것은?

  1. 고단 압축기
  2. 증발기
  3. 팽창 밸브
  4. 캐스케이드 응축기
(정답률: 77%)
  • 캐스케이드 응축기는 2단 압축장치의 구성 기기가 아닙니다. 2단 압축장치는 고단 압축기와 증발기, 그리고 팽창 밸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캐스케이드 응축기는 다단 압축장치에서 사용되는 기기로, 2단 압축장치와는 구성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회로 내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1. 1A
  2. 2A
  3. 3A
  4. 4A
(정답률: 86%)
  • 전류는 전기회로에서 전하가 이동하는 양을 나타내는데, 이 회로에서는 전류의 크기를 결정하는 저항이 2옴이고 전압이 4V이므로 오므로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류는 전압을 저항으로 나눈 값인 2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냉매가 냉동기유에 다량으로 융해되어 압축기 기동 시 크랭크케이스내의 압력이 급격히 낮아지면서 발생하는 현상은?

  1. 오일흡착 현상
  2. 오일에멀젼 현상
  3. 오일포밍 현상
  4. 오일케비테이션 현상
(정답률: 68%)
  • 냉매가 냉동기유에 다량으로 융해되면 냉동기유와 냉매가 혼합되어 압축기 내부에서 오일과 냉매가 함께 압축되면서 오일이 거품이 되어 오일포밍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압력이 급격히 낮아지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압력이 낮아지면 오일이 거품이 되어 압축기 내부를 흐르면서 오일층이 얇아지고 오일의 윤활성능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압축기의 성능 저하와 오일 누출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수냉식 응축기 냉각관의 일반적인 청소시기로 적당한 것은?

  1. 매월 1회
  2. 매년 1회
  3. 3개월에 1회
  4. 6개월에 1회
(정답률: 65%)
  • 수냉식 응축기 냉각관은 물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부식되고 오염됩니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쌓이면 냉각효율이 저하되고, 냉각관 내부에 노폐물이 쌓이면 냉각수의 유동성이 떨어져 냉각효율이 더욱 떨어집니다. 따라서 매년 1회 정기적인 청소가 필요합니다. 매월 1회나 3개월에 1회, 6개월에 1회는 너무 자주 청소하는 것이고, 냉각관 내부에 쌓이는 오염물질의 양에 따라 청소 주기가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매년 1회 정기적인 청소가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완전 기체에서 단열 압축 과정에 나타나는 현상은?

  1. 비체적이 커진다.
  2. 전열량이 변화가 없다.
  3. 엔탈피가 증가한다.
  4. 온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72%)
  • 단열 압축 과정에서는 외부에서 열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내부 에너지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엔탈피 증가로 나타나며, 따라서 정답은 "엔탈피가 증가한다." 입니다. 비체적이 커지는 것은 등압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전열량이 변화하지 않는 것은 등압 과정에서만 해당되는 개념입니다. 온도가 낮아지는 것은 일반적으로 등압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수소, 염소, 불소, 탄소로 구성된 냉매계열은?

  1. HFC계
  2. HCFC계
  3. CFC계
  4. 할론 계
(정답률: 87%)
  • 정답은 "HCFC계"입니다. HCFC는 Hydrochlorofluorocarbon의 약자로, 수소, 염소, 불소, 탄소 원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CFC와는 달리 염소의 함량이 적어지고 대신 수소나 불소가 추가되어 환경오염의 위험이 줄어들었습니다. 따라서 HCFC는 CFC보다는 환경 친화적인 냉매계열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회전식 압축기(rotary compressor)의 특징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왕복동식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다.
  2. 기동 시 무부하로 기동될 수 있으며 전력소비가 크다.
  3. 압축비에 비하여 체적효율이 높다.
  4. 진동 및 소음이 적다
(정답률: 47%)
  • 회전식 압축기는 기동 시 무부하로 기동될 수 있으며 전력소비가 적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동 시 무부하로 기동될 수 있으며 전력소비가 크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온도 자동팽창 밸브에서 감온통의 부착위치는?

  1. 팽창밸브 출구
  2. 증발기 입구
  3. 증발기 출구
  4. 수액기 출구
(정답률: 69%)
  • 온도 자동팽창 밸브는 증발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따라서 감온통은 증발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증발기 출구에 부착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는 증발기 내부의 온도 변화를 빠르게 감지하고, 적절한 시기에 밸브가 작동하여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증발기 출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압축기의 톱 클리어런스가 크면 어떠한 영향이 나타나는가?

  1. 체적효율이 증대한다.
  2. 냉동능력이 감소한다.
  3. 토출가스 온도가 저하한다.
  4. 윤활유가 열화하지 않는다.
(정답률: 57%)
  • 압축기의 톱 클리어런스가 크면 압축기 내부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체적이 증가하게 되어 체적효율이 증대합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압축기 내부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밀도가 감소하게 되어 냉동능력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냉동능력이 감소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파이프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고무링은 더욱 파이프 벽에 밀착되어 누설을 방지하는 접합 방법은?

  1. 기계적 접합
  2. 플랜지 접합
  3. 빅토릭 접합
  4. 소켓 접합
(정답률: 70%)
  • 빅토릭 접합은 파이프 내부 압력이 높아질수록 더욱 밀착되는 접합 방법입니다. 이는 고무링이 파이프 벽에 밀착되어 누설을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이프 내부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빅토릭 접합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브라인의 종류 중 무기질 브라인은?

  1. 에틸알콜
  2. 에틸렌글리콜
  3. 프로필렌글리콜
  4. 염화나트륨수용액
(정답률: 63%)
  • 무기질 브라인은 유기물이 아닌 물질로 만들어진 브라인을 말합니다. 따라서 에틸알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은 유기물로 만들어진 브라인이므로 무기질 브라인이 아닙니다. 반면에 염화나트륨수용액은 물과 염화나트륨으로 만들어진 무기물 브라인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냉동톤(RT)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한국 1냉동톤은 미국 1냉동톤보다 크다.
  2. 한국 1냉동톤은 3024kcal/h이다.
  3. 제빙기가 1일 동안 생산할 수 있는 얼음의 톤수를 1냉동톤이라고 한다.
  4. 1냉동톤은 0℃의 얼음이 1시간에 0℃의 물이 되는데 필요한 열량이다.
(정답률: 70%)
  • 정답은 "한국 1냉동톤은 3024kcal/h이다."입니다.

    한국과 미국에서 냉동톤의 크기가 다른 이유는 각 나라에서 사용하는 열단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서는 1냉동톤이 3024kcal/h이지만, 미국에서는 1냉동톤이 12000BTU/h입니다. 따라서, 한국 1냉동톤은 미국 1냉동톤보다 작습니다.

    제빙기가 1일 동안 생산할 수 있는 얼음의 톤수를 1냉동톤이라고 하는 것은 맞지만, 이는 냉동톤의 크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1냉동톤이 0℃의 얼음이 1시간에 0℃의 물이 되는데 필요한 열량이라는 설명은 냉동톤의 크기와 관련이 있지만, 정확한 설명이 아닙니다. 1냉동톤은 0℃의 물을 1시간에 1℃ 냉각하는데 필요한 열량과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시퀀스 제어에 사용되는 무접점 릴레이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작동 속도가 빠르다.
  2. 온도 특성이 양호하다.
  3.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4. 진동에 의한 오작동이 적다.
(정답률: 48%)
  • 온도 특성이 양호하다는 것은 무접점 릴레이가 작동하는 온도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무접점 릴레이가 일반적으로 작은 전류와 전압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무접점 릴레이는 일반적으로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으며,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냉동장치의 온도 관계에 대한 사항 중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단, 표준냉동 사이클을 기준으로 할 것)

  1. 응축온도는 냉각수 온도보다 낮다.
  2. 응축온도는 압축기 토출가스 온도와 같다.
  3. 팽창밸브 직후의 냉매온도는 증발온도보다 낮다.
  4. 압축기 흡입가스 온도는 증발온도와 같다.
(정답률: 51%)
  • 정답은 "압축기 흡입가스 온도는 증발온도와 같다."입니다.

    냉동 사이클에서 냉매는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높은 압력과 온도로 변합니다. 이때 압축기 흡입가스는 증발기에서 증발한 냉매의 상태와 같은 온도로 유지됩니다. 이는 냉매가 압축기에 들어가기 전에 이미 증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축기 흡입가스 온도는 증발온도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핀 튜브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관내에 냉각수, 관외부에 프레온 냉매가 흐를 때 관외측에 부착한다.
  2. 증발기에 핀 튜브를 사용하는 것은 전열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함이다.
  3. 핀은 열전달이 나쁜 유체 쪽에 부착한다.
  4. 관내에 냉각수, 관외부에 프레온 냉매가 흐를 때 관내측에 부착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관내에 냉각수, 관외부에 프레온 냉매가 흐를 때 관외측에 부착한다."입니다.

    이유는 핀 튜브는 열전달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열전달이 나쁜 유체인 냉매 쪽에 핀을 부착해야 합니다. 따라서 핀은 관외부에 부착되어 냉매와 열을 교환하게 됩니다. 반면 냉각수는 열전달이 좋은 유체이므로 관내측에 부착되어 냉각수와 열을 교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냉동장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고압 차단스위치 작동압력은 안전밸브 작동압력보다 조금 높게 한다.
  2. 온도식 자동 팽창밸브의 감은통은 증발기의 입구측에 붙인다.
  3. 가용전은 프레온 냉동장치의 응축기나 수액기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4. 파열판은 암모니아 왕복동 냉동장치에만 사용된다.
(정답률: 62%)
  • 가용전은 냉동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압을 제어하여 응축기나 수액기 등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냉매의 고압이 너무 높아져서 냉동장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간접 팽창식과 비교한 직접 팽창식 냉동장치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요동력이 적다.
  2. 냉동톤(RT)당 냉매 순환량이 적다.
  3. 감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방법이다.
  4. 냉매의 증발 온도가 높다.
(정답률: 57%)
  • "감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방법이다."가 틀린 이유는, 직접 팽창식 냉동장치는 냉매가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열이 발생하고, 이 열을 냉매가 흡수하여 증발하면서 냉각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감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압축과 증발을 이용한 냉각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흡수식 냉동장치와 증기분사식 냉동장치의 냉매로 사용되는 것은?

  1. 공기
  2. 프레온
  3. 탄산가스
(정답률: 69%)
  • 정답은 "물"입니다.

    흡수식 냉동장치와 증기분사식 냉동장치는 냉매로서 물을 사용합니다. 이는 물이 냉매로서 가지는 높은 열흡수능력과 열전달능력 때문입니다. 또한 물은 저렴하고 환경친화적인 재료이기 때문에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열펌프에서 압축기 이론 축동력이 3kW이고, 저온부에서 얻은 열량이 7kW일 때 이론 성적계수는 약 얼마인가?

  1. 1.43
  2. 1.75
  3. 2.33
  4. 3.33
(정답률: 41%)
  • 이론 성적계수는 출력(축동력) 대비 입력(저온부에서 얻은 열량)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이론 성적계수는 3kW/7kW = 0.43이 됩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 보기는 모두 소수점 이하 둘째자리까지 주어져 있으므로, 이 값을 100으로 나누어 소수점 이하 둘째자리까지 표현한 값인 0.43을 100으로 곱한 43을 각 보기에 곱해보면, 1.43, 1.75, 2.33, 3.33이 나옵니다. 따라서 정답은 3.3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다원 냉동장치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은?

  1. 불응축가스퍼저
  2. 중간 냉각기
  3. 캐스케이드열교환기
  4. 부스터
(정답률: 69%)
  • 다원 냉동장치는 일반적으로 냉매 순환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압축기를 사용하여 냉매를 압축하고, 여러 개의 냉각기를 사용하여 냉매를 냉각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중 캐스케이드열교환기는 다원 냉동장치에서만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이는 캐스케이드열교환기가 다원 냉동장치에서만 사용되는 특수한 열교환기이기 때문입니다. 캐스케이드열교환기는 냉매 순환 시스템에서 냉매의 온도를 더욱 낮추기 위해 사용되며, 냉매 간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의 온도를 조절합니다. 따라서 캐스케이드열교환기는 다원 냉동장치에서만 볼 수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얼음두께 280mm, 브라인 온도 -9℃일 때 결빙에 소요된 시간으로 맞는 것은?

  1. 약 25시간
  2. 약 49시간
  3. 약 60시간
  4. 약 75시간
(정답률: 58%)
  • 얼음이 결빙하는데에는 온도와 얼음의 두께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이 다릅니다. 이 문제에서는 얼음의 두께가 280mm이고, 브라인 온도가 -9℃이므로 약 49시간이 소요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빙 시간 계산식인 "결빙시간 = (두께^2) / 16"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280^2) / 16 = 4,900 / 16 = 약 306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를 브라인 온도가 -9℃일 때의 결빙 시간으로 변환하면 약 49시간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배관도시 기호 중 유체의 종류에 따른 문자 기호가 서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공기-A
  2. 가스-G
  3. 유류-O
  4. 물-S
(정답률: 88%)
  • 물은 액체 상태의 유체이므로 "S" (액체) 기호와 짝지어져야 합니다. "O" (유류) 기호는 액체 상태의 유체뿐만 아니라 기름, 윤활유 등 다양한 유체를 나타내는 기호이므로, 물과 같은 특정한 유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물-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암모니아 냉매 배관을 설치할 때 시공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관이음 패킹재료는 천연고무를 사용한다.
  2. 흡입관에는 U트랩을 설치한다.
  3. 토출관의 합류는 Y 접속으로 한다.
  4. 액관의 트랩부에는 오일 드레인 밸브를 설치한다.
(정답률: 72%)
  • 흡입관에는 U트랩을 설치한다는 것은 틀린 방법입니다. 올바른 방법은 토출관에 U트랩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U트랩은 냉매가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토출관에 설치하여 냉매가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흡입관에는 일반적으로 오일 분리기를 설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냉동장치의 장기간 정지 시 운전자의 조치사항으로서 옳지 않는 것은?

  1. 냉각수는 다음에 사용 시 필요함으로 누설되지 않게 밸브 및 플러그의 잠김 상태를 확인하여 잘 잠가 둔다.
  2. 저압측 냉매를 전부 수액기에 회수하고, 수액기에 전부 회수할 수 없을 때에는 냉매통에 회수한다.
  3. 냉매 계통 전체의 누설을 검사하여 누설 가스를 발견했을 때에는 수리해 둔다.
  4. 압축기의 축봉 장치에서 냉매가 누설될 수 있으므로 압력을 걸어 둔 상태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66%)
  • "냉각수는 다음에 사용 시 필요함으로 누설되지 않게 밸브 및 플러그의 잠김 상태를 확인하여 잘 잠가 둔다."가 옳은 이유는 냉각수는 냉동장치 내부에서 열을 흡수하여 냉각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냉동장치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냉각수는 그대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냉각수가 누설되지 않도록 밸브 및 플러그를 잠그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과 같은 P-h 선도에서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83%)
  • P-h 선도에서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포화증기선과 액체선이 만나는 지점입니다. 이 지점을 살펴보면, 압력이 가장 높은 지점이기도 하고, 이곳에서 액체와 증기가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온도가 가장 높은 지점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암모니아 불응축 가스 분리기의 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분리되어진 공기는 수조로 방출된다.
  2. 암모니아 가스는 냉각되어 응축액으로 되어 유분리기로 되돌아간다.
  3. 분리기내에서 분리되어진 공기는 온도가 상승한다.
  4. 분리된 암모니아 가스는 압축기로 흡입되어진다.
(정답률: 41%)
  • 암모니아 불응축 가스 분리기는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공기를 분리합니다. 분리기 내에서 공기는 압력이 낮아지면서 암모니아 가스와 다른 기체로 분리됩니다. 이렇게 분리되어진 공기는 압력이 높은 수조로 방출됩니다. 이유는 압력이 높은 수조로 방출되는 것이 분리기의 목적인 암모니아 가스가 아니라, 분리기에서 분리되어진 공기 전체를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입형 셀 앤 튜브식 응축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옥외 설치가 가능
  2. 액냉매의 과냉각도가 쉬움
  3. 과부하에 잘 견딤
  4. 운전 중 청소 가능
(정답률: 51%)
  • 액냉매의 과냉각도가 쉬움은 입형 셀 앤 튜브식 응축기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유는 입형 셀 앤 튜브식 응축기는 액냉매가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하므로, 과냉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액냉매의 과냉각도가 쉬움이라는 특징은 해당 응축기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분해조립이 필요한 부분에 사용하는 배관연결 부속은?

  1. 부싱, 티이
  2. 플러그, 캡
  3. 소켓, 엘보
  4. 플랜지, 유니온
(정답률: 83%)
  • 플랜지와 유니온은 분해조립이 필요한 부분에서 사용되는 배관연결 부속으로, 플랜지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를 연결할 때 사용되며, 유니온은 두 개의 파이프를 분해조립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두 부속은 파이프의 연결 및 분해조립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교류회로의 주기 T(sec)를 옳게 표현한 것은? (단, 주파수 f[Hz], 각도 θ[rad]로 한다.)

  1. T = 1/f
  2. T = f/1
  3. T = θ/f
  4. T = f/θ
(정답률: 54%)
  • 정답: T = 1/f

    설명: 주기 T는 한 주기를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주파수 f는 1초당 완료되는 주기의 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한 주기를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 T는 주파수 f의 역수인 1/f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6. 인체가 느끼는 온열 감각에 대한 온도, 습도, 기류의 영향을 하나로 모아서 만든 쾌감지표는?

  1. 실내건구온도
  2. 실내습구온도
  3. 상대습도
  4. 유효온도
(정답률: 80%)
  • 유효온도는 인체가 느끼는 온열 감각에 대한 종합적인 지표로, 온도, 습도, 기류 등의 영향을 모두 고려하여 계산된 값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실내건구온도, 실내습구온도, 상대습도는 각각 온도, 습도에 대한 지표이지만, 유효온도는 이들을 종합하여 인체의 쾌적한 온열감각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어떤 실내의 취득 현열량을 구하였더니 30000kcal/h, 잠열이 10000kcal/h이었다. 실내를 25℃, 50% 유지하기 위해 취출온도차 10℃로 송풍하고자 한다. 이때 현열비는?

  1. 0.7
  2. 0.75
  3. 0.8
  4. 0.85
(정답률: 75%)
  • 현열비는 취득 현열량과 취출 잠열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현열비를 구하기 위해서는 취득 현열량과 취출 잠열을 알아야 합니다.

    취득 현열량은 30000kcal/h이고, 취출 잠열은 10000kcal/h입니다. 따라서 취득 현열비는 30000/10000 = 3입니다.

    송풍을 통해 실내를 25℃, 50%로 유지하기 위해 취출온도차가 10℃이므로, 취출 온도는 25+10=35℃가 됩니다.

    이제 현열비를 구하기 위해 실내의 열량을 계산해야 합니다. 실내의 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실내 열량 = 취득 현열량 - 취출 잠열 - 송풍 열량

    송풍 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송풍 열량 = 실내 부피 x 공기밀도 x 1.005 x 취출온도차

    여기서 실내 부피는 알 수 없으므로, 일단 공기밀도를 대략적으로 1.2kg/m³으로 가정하고 계산해보겠습니다.

    송풍 열량 = 100 x 1.2 x 1.005 x 10 = 1206kcal/h

    따라서 실내 열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내 열량 = 30000 - 10000 - 1206 = 18794kcal/h

    이제 현열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현열비 = 실내 열량 / 취출 잠열 = 18794 / 10000 = 1.8794

    하지만, 현열비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1.8794를 1.88로 반올림하면,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0.7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덕트재료 중에서 고온의 공기 및 가스가 통과하는 덕트 및 방화댐퍼, 보일러의 연도 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는?

  1. 열간 압연 박강판
  2. 동판
  3. 아연도금 강판
  4. 염화비닐판
(정답률: 57%)
  • 고온의 공기 및 가스가 통과하는 덕트 및 방화댐퍼, 보일러의 연도 등에는 내구성과 내열성이 중요한데, 열간 압연 박강판은 내구성과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열간 압연 과정을 거쳐 강도가 높아지고, 용접성이 좋아져서 제작이 용이하며, 경제적인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공기냉각 코일의 설치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공기의 풍속은 2~3m/s가 되도록 한다.
  2. 물의 속도는 일반적으로 1m/s 전후가 되도록 한다.
  3. 코일의 설치는 관이 수직으로 놓이게 한다.
  4. 공기류와 수류의 방향은 역류가 되도록 한다.
(정답률: 58%)
  • "코일의 설치는 관이 수직으로 놓이게 한다."가 틀린 것이며, 이유는 공기와 냉각수의 흐름을 최대한 맞닿게 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코일은 수평으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송풍량을 결정하는 것은?

  1. 실내취득열량 + 기기 내 취득열량
  2. 실내취득열량 + 재열량
  3. 기기내 취득열량 + 외기부하
  4. 재열량 + 외기부하
(정답률: 74%)
  • 송풍량은 실내와 기기 내에서 취득한 열량의 합으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실내취득열량과 기기 내 취득열량을 더한 값이 송풍량을 결정하는 요소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공조방식 중에서 개별 공기조화 방식에 해당되는 것은?

  1. 팬코일 유닛 방식
  2. 2중덕트 방식
  3. 복사·냉난방 방식
  4. 패키지 유닛 방식
(정답률: 78%)
  • 패키지 유닛 방식은 각각의 공간마다 독립적인 공기조화 시스템을 설치하는 개별 공기조화 방식입니다. 즉, 각각의 공간마다 패키지 유닛(냉난방기)을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개별 공기조화 방식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의 습공기 선도에서 비체적을 나타내는 선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64%)
  • 습공기 선도에서 비체적을 나타내는 선은 "C" 입니다. 이는 습공기 선도에서 상대습도와 온도를 나타내는 선인 이슬점선과 건조공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건조단열선이 만나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이 지점에서의 온도와 상대습도는 혼합비와 비체적을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주철제 보일러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내식성 및 내열성이 좋다.
  2. 내압강도 및 열 충격에 강하다.
  3. 복잡한 구조도 제작이 용이하다.
  4. 조립식으로 반입 또는 해체가 용이하다.
(정답률: 54%)
  • 주철제 보일러는 내압강도 및 열 충격에 강하다는 특징이 없습니다. 이는 주철 자체가 비교적 부서지기 쉬운 재질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압강도 및 열 충격에 강한 보일러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른 재질을 사용하거나, 주철을 강화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밸브 중 유체의 역류방지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1. 게이트 밸브(gate valve)
  2. 글로브 밸브(globe valve)
  3. 앵글 밸브(angle valve)
  4. 체크 밸브(check valve)
(정답률: 78%)
  • 체크 밸브는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설계된 밸브입니다. 이는 밸브 내부에 있는 구조물이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체의 역류를 막는 역할을 하며, 역류방지용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난방을 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의 열원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보일러
  2. 급수펌프
  3. 환수탱크
  4. 냉각수펌프
(정답률: 60%)
  • 난방을 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에서 냉각수펌프는 열원설비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냉각수펌프가 냉각기기에서 냉각재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보일러는 열원설비로서 물을 가열하여 난방을 제공하고, 급수펌프는 물을 공급하여 보일러가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합니다. 환수탱크는 냉각기기에서 사용된 냉각재를 저장하고 재활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흡수식 감습장치에서 주로 사용하는 흡수제는?

  1. 아드 소울
  2. 리튬염화
  3. 실리카겔
  4. 활성 알루미나
(정답률: 62%)
  • 리튬염화는 물에 대한 흡수력이 매우 높은 물질로, 습기를 흡수하여 물의 양이 증가하면서 공기 중의 습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흡수식 감습장치에서 주로 사용되는 흡수제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방열기의 표준발열량은 표준상태에 있어서 실내온도 및 열매온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증기방열기의 표준발열량으로 옳은 것은?

  1. 450kcal/m2h
  2. 440kcal/m2h
  3. 650kcal/m2h
  4. 750kcal/m2h
(정답률: 60%)
  • 증기방열기는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열을 전달하는 장치이므로, 표준발열량은 증기의 온도와 압력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증기방열기의 표준발열량으로 옳은 것은 "650kcal/m2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팬의 효율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전압효율에 대한 올바른 정의는?

  1. 축동력 / 공기동력
  2. 공기동력 / 축동력
  3. 회전속도 / 송풍기크기
  4. 송풍기크기 / 회전속도
(정답률: 60%)
  • 팬의 전압효율은 공기동력과 축동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즉, 팬이 소비한 전력 중에서 실제로 공기를 움직이는 데 사용되는 공기동력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동력 / 축동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덕트의 열손실방지를 위해 반드시 보온을 필요로 하는 부분은?

  1. 환기 덕트
  2. 외기 덕트
  3. 배기 덕트
  4. 급기 덕트
(정답률: 50%)
  • 급기 덕트는 외부에서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이로 인해 열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온재로 감싸 보온을 유지하여 열손실을 방지해야 합니다. 반면 환기 덕트, 외기 덕트, 배기 덕트는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보온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파이프 코일을 바닥이나 천장 등에 설치하고, 냉수 또는 온수를 보내어 냉난방을 하는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전 공기방식
  2. 패키지 유닛방식
  3. 유인유닛방식
  4. 복사 냉난방식
(정답률: 77%)
  • 파이프 코일에 냉수나 온수를 보내어 바닥이나 천장 등을 통해 열을 전달하는 방식을 "복사 냉난방식"이라고 합니다. 이는 열을 직접 전달하는 방식으로, 공기를 통해 열을 전달하는 "전 공기방식"이나 패키지 유닛방식, 유인유닛방식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