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7-19)

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15-07-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조냉동안전관리

1. 수공구 사용방법 중 옳은 것은?

  1. 스패너에 너트를 깊이 물리고 바깥쪽으로 밀면서 풀고 죈다.
  2. 정 작업 시 끝날 무렵에는 힘을 빼고 천천히 타격 한다.
  3. 쇠톱 작업 시 톱날을 고정한 후에는 재조정을 하지 않는다.
  4. 장갑을 낀 손이나 기름 묻은 손으로 해머를 잡고 작업해도 된다.
(정답률: 77%)
  • 정답은 "정 작업 시 끝날 무렵에는 힘을 빼고 천천히 타격 한다."입니다. 이유는 작업을 끝낼 때 힘을 빼고 천천히 타격하는 것은 작업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갑자기 힘을 줘서 작업물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작업을 끝낼 때는 조심해서 마무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공기압축기를 가동할 때, 시작 전 점검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기저장 압력용기의 외관상태
  2. 드레인밸브의 조작 및 배수
  3. 입력방출장치의 기능
  4. 비상정지장치 및 비상하강방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정답률: 66%)
  • 비상정지장치 및 비상하강방지장치는 공기압축기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이며, 이상이 있을 경우 사고 발생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점검사항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공기저장 압력용기의 외관상태, 드레인밸브의 조작 및 배수, 입력방출장치의 기능은 모두 공기압축기의 정상적인 작동을 위한 필수적인 점검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화재 시 소화제로 물을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산소를 잘 흡수하기 때문에
  2. 증발잠열이 크기 때문에
  3. 연소하지 않기 때문에
  4. 산소공급을 차단하기 때문에
(정답률: 83%)
  • 물은 증발할 때 많은 열을 흡수하므로, 화재를 직접적으로 냉각시키면서 동시에 증발잠열로 인한 열을 흡수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화제로 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각 작업조건에 맞는 보호구의 연결로 틀린 것은?

  1.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있는 작업 : 안전모
  2. 고열에 의한 화상 등의 위험이 있는 작업 : 방열복
  3. 선창 등에서 분진이 심하게 발생하는 하역작업 : 방한복
  4. 높이 또는 깊이 2미터 이상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하는 작업 : 안전대
(정답률: 91%)
  • 선창 등에서 분진이 심하게 발생하는 하역작업에는 방한복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에서는 호흡기 보호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선창 등에서 분진이 심하게 발생하는 하역작업 : 방진마스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연삭작업의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1. 작업 도중 진동이나 마찰면에서의 파열이 심하면 곧 작업을 중지한다.
  2. 숫돌차에 편심이 생기거나 원주면의 메짐이 심하면 드레싱을 한다.
  3. 작업 시 반드시 숫돌의 정면에 서서 작업한다.
  4. 축과 구멍에는 틈새가 없어야 한다.
(정답률: 85%)
  • 작업 시 반드시 숫돌의 정면에 서서 작업한다는 것은 틀린 안전수칙입니다. 숫돌 작업 시에는 숫돌의 측면에서 작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유는 숫돌의 정면에서 작업하면 작업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파열이나 파손 등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숫돌의 측면에서 작업하면 작업 도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마찰면에서의 파열 등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고자 한다. 작업 시작 전의 점검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권과방지장치·브레이크·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2.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橫行)하는 레일의 상태
  3.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4. 압력방출장치의 기능
(정답률: 78%)
  • 압력방출장치는 크레인 작업 중에 유압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할 경우, 압력을 안전 수준으로 조절하여 크레인 파손 및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압력방출장치의 기능은 작업 전에 반드시 점검해야 하는 중요한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일러의 휴지보존법 중 장기보존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석회밀폐건조법
  2. 질소가스봉입법
  3. 소다만수보존법
  4. 가열건조법
(정답률: 75%)
  • 보일러의 휴지보존법 중 가열건조법은 장기보존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가열건조법이 휴지를 단기간에 빠르게 건조시켜 보관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석회밀폐건조법, 질소가스봉입법, 소다만수보존법은 휴지를 오랫동안 보존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관 중에도 휴지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보일러의 역화(back fire)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점화 시 착화를 빨리한 경우
  2. 점화 시 공기보다 연료를 먼저 노 내에 공급하였을 경우
  3. 노 내의 미연소가스가 충만해 있을 때 점화하였을 경우
  4. 연료 밸브를 급개하여 과다한 양을 노 내에 공급하였을 경우
(정답률: 71%)
  • 보일러의 역화는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서 연료가 노 외부로 나오는 현상입니다. 이는 연료와 공기의 비율이 맞지 않거나, 연료가 충분히 연소되지 않아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점화 시 착화를 빨리한 경우"는 보일러의 역화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따른 작업장의 출입구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출입구의 위치·수 및 크기가 작업장의 용도와 특성에 맞도록 할 것
  2. 출입구에 문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근로자가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할 것
  3. 주된 목적이 하역운반기계용인 출입구에는 보행자용 출입구를 따로 설치하지 말 것
  4. 계단이 출입구와 바로 연결된 경우에는 작업자의 안전한 통행을 위하여 그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둘 것
(정답률: 91%)
  • "주된 목적이 하역운반기계용인 출입구에는 보행자용 출입구를 따로 설치하지 말 것"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하역운반기계용 출입구는 보행자가 출입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행자용 출입구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아크 용접의 안전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홀더가 신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2. 절연 부분이 균열이나 파손되었으면 교체한다.
  3. 장시간 용접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반드시 스위치를 차단시킨다.
  4. 1차 코드는 벗겨진 것을 사용해도 좋다.
(정답률: 93%)
  • 1차 코드는 벗겨진 것을 사용하면 전기적인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벗겨진 부분이 노출되면 전기적인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케이블이나 코드의 외부 절연재가 손상되지 않도록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1차 코드는 벗겨진 것을 사용해서는 안 되며, 균열이나 파손된 절연 부분도 교체해야 한다. 또한 홀더가 신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용접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위치를 차단시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차량 계 하역 운반 기계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게차
  2. 화물 자동차
  3. 구내 운반차
  4. 크레인
(정답률: 75%)
  • 크레인은 다른 기계들과 달리 높은 곳에 있는 물건을 옮기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기계들보다 더 멀리 있는 곳에서 작업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보일러의 폭발사고 예방을 위하여 그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유지 관리해야 하는 장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압력방출장치
  2. 감압밸브
  3. 화염검출기
  4. 압력제한스위치
(정답률: 67%)
  • 감압밸브는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너무 높아지면 압력을 안전 수준으로 조절하여 폭발사고를 예방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보일러의 안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장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냉동장치의 안전운전을 위한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압축기와 응축기 간에 스톱밸브가 닫혀있는 것을 확인한 후 압축기를 가동할 것
  2. 주기적으로 유압을 체크할 것
  3. 동절기(휴지기)에는 응축기 및 수배관의 물을 완전히 뺄 것
  4. 압축기를 처음 가동 시에는 정상으로 가동되는가를 확인할 것
(정답률: 75%)
  • "압축기와 응축기 간에 스톱밸브가 닫혀있는 것을 확인한 후 압축기를 가동할 것"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압축기와 응축기 간에 스톱밸브가 닫혀있는 것을 확인한 후 압축기를 가동하는 것은 냉동장치 안전운전을 위한 중요한 주의사항 중 하나입니다. 이는 냉매가 응축기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여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 주의사항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체 산업 재해의 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1. 설비의 미비
  2. 정돈상태의 불량
  3. 계측공구의 미비
  4. 작업자의 실수
(정답률: 88%)
  • 작업자는 산업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작업자의 실수는 설비, 정돈상태, 계측공구 등의 미비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작업자의 실수는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예방조치가 어렵고, 작업자의 안전교육과 규정 준수 등으로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자의 실수는 전체 산업 재해의 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가스용접 시 역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봉식 안전기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하루에 1회 이상 수봉식 안전기의 수위를 점검할 것
  2. 안전기는 확실한 점검을 위하여 수직으로 부착할 것
  3. 1개의 안전기에는 3개 이하의 토치만을 사용할 것
  4. 동결 시 화기를 사용하지 말고 온수를 사용할 것
(정답률: 74%)
  • "1개의 안전기에는 3개 이하의 토치만을 사용할 것"이 틀린 내용입니다. 안전기의 크기와 토치의 개수는 가스 용접 작업의 규모와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안전기의 크기와 토치의 개수는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안전기의 크기와 토치의 개수는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기계

16. 다음에 해당하는 법칙은?

  1. 쿨롱의 법칙
  2. 옴의 법칙
  3.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4.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
(정답률: 74%)
  •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노드(접점)에서 전류의 합은 0이 되는 법칙이다. 즉, 전류가 들어오는 쪽과 나가는 쪽의 합이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2개 이상의 엘보를 사용하여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는 신축이음은?

  1. 루프형 이음
  2. 벨로즈형 이음
  3. 슬리브형 이음
  4. 스위블형 이음
(정답률: 68%)
  • 스위블형 이음은 2개 이상의 엘보를 사용하여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는 이음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엘보와 엘보 사이에 스위블(회전 가능한 연결부)을 사용하여 배관이 신축될 때 발생하는 응력을 흡수하고, 배관의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신축을 흡수합니다. 따라서 스위블형 이음은 배관의 신축에 대한 유연성과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냉동장치에서 압축기의 이상적인 압축 과정은?

  1. 등엔트로피 변화
  2. 정압 변화
  3. 등온 변화
  4. 정적 변화
(정답률: 75%)
  • 냉동장치에서 압축기의 이상적인 압축 과정은 "등엔트로피 변화"입니다. 이는 엔트로피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과정으로, 압축기에서 가스를 압축할 때 엔트로피가 변하지 않도록 압축 과정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이상적인 등엔트로피 변화 과정은 열 효율을 최대화하고, 냉동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원심식 압축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임펠러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속도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바꾼다.
  2. 임펠러 속도가 빠르면 유량흐름이 감소한다.
  3. 1단으로 압축비를 크게 할 수 있어 단단 압축방식을 주로 채택한다.
  4. 압축비는 원주 속도의 3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69%)
  • 원심식 압축기는 임펠러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속도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바꾸는 기계입니다. 이는 임펠러가 회전함으로써 유체가 원심력에 의해 압축되어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임펠러 속도가 빠를수록 압력이 증가하며, 압축비는 원주 속도의 3제곱에 비례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1단으로 압축비를 크게 할 수 있어 단단 압축방식을 주로 채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온도 작동식 자동팽창 밸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실온을 써모스탯에 의하여 감지하고, 밸브의 개도를 조정한다.
  2. 팽창밸브 직전의 냉매온도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개도를 조정한다.
  3. 증발기 출구의 냉매온도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개도를 조정한다.
  4. 압축기의 토출 냉매온도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개도를 조정한다.
(정답률: 55%)
  • 온도 작동식 자동팽창 밸브는 증발기 출구의 냉매온도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개도를 조정합니다. 이는 증발기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냉매온도가 낮아지면 밸브가 자동으로 개도를 조정하여 적정한 냉매 유량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냉동기에서 압축기의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냉매를 순환시킨다.
  2. 응축기에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3. 냉매의 응축을 돕는다.
  4. 저압을 고압으로 상승시킨다.
(정답률: 58%)
  •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냉매의 온도가 높아지면 응축기에서 냉각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응축기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냉매의 온도를 낮추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파이프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고무링은 더욱 파이프 벽에 밀착되어 누설을 방지하는 접합 방법은?

  1. 기계적 접합
  2. 플랜지 접합
  3. 빅토릭 접합
  4. 소켓 접합
(정답률: 66%)
  • 빅토릭 접합은 파이프 내부 압력이 높아질수록 고무링이 파이프 벽에 더욱 밀착되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접합 방법입니다. 이는 고무링이 파이프 벽에 밀착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압력이 높아질수록 더욱 견고한 접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표준 냉동사이클에서 과냉각도는 얼마인가?

  1. 45℃
  2. 30℃
  3. 15℃
  4. 5℃
(정답률: 65%)
  • 표준 냉동사이클에서 과냉각도는 일반적으로 5℃입니다. 이는 냉매가 압축되어 압력이 높아지면 온도도 상승하게 되는데, 이 상승된 온도를 다시 냉각기에서 낮춰주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과냉각도가 너무 높으면 냉매가 결정체로 변하거나, 냉각기 내부에 얼음이 형성되어 성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NH3, R-12, R-22 냉매의 기름과 물에 대한 용해도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 ㉡, ㉢
  2. ㉡, ㉢
(정답률: 74%)
  • NH3, R-12, R-22 냉매는 모두 물과 용해되지만, 기름과는 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NH3, R-12, R-22 냉매의 기름과 물에 대한 용해도는 모두 "기름에는 용해되지 않고, 물에는 용해된다"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인 이유는 NH3, R-12, R-22 냉매 모두 기름에는 용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냉동장치 운전 중 유압이 너무 높을 때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압계가 불량일 때
  2. 유배관이 막혔을 때
  3. 유온이 낮을 때
  4. 유압조정밸브 개도가 과다하게 열렸을 때
(정답률: 52%)
  • 유압조정밸브는 유압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개도가 과다하게 열리면 유압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냉동장치 운전 중 유압이 너무 높아지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압조정밸브 개도가 과다하게 열렸을 때"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냉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물질의 온도를 인위적으로 주위의 온도보다 낮게 하는 것을 말한다.
  2. 열이 높은데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을 말한다.
  3. 물체 자체의 열을 이용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4. 기체가 액체로 변화할 때의 기화열에 의한 것을 말한다.
(정답률: 85%)
  • 냉동은 물질의 온도를 인위적으로 주위의 온도보다 낮게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냉동기 등을 이용하여 물질의 열을 흡수하고 내보내면서 온도를 낮추는 과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양측의 표면 열전달율이 3000kcal/m2·h·℃인 수냉식 응축기의 열관류율은? (단, 냉각관의 두께는 3mm이고, 냉각관 재질의 열전도율은 40kcal/m2·h·℃이며, 부착 물때의 두께는 0.2mm, 물때의 열전도율은 0.8kcal/m2·h·℃이다.)

  1. 978kcal/m2·h·℃
  2. 988kcal/m2·h·℃
  3. 998kcal/m2·h·℃
  4. 1008kcal/m2·h·℃
(정답률: 39%)
  • 열관류율은 열전달율과 열저항의 역수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냉각관의 열저항은 두께와 열전도율의 역수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냉각관의 열저항은 3mm / (40kcal/m2·h·℃) = 0.075m2·℃/kcal 입니다.

    부착 물때의 열저항도 마찬가지로 구할 수 있습니다. 부착 물때의 열저항은 0.2mm / (0.8kcal/m2·h·℃) = 0.025m2·℃/kcal 입니다.

    따라서 전체 열저항은 냉각관의 열저항과 부착 물때의 열저항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전체 열저항은 0.075m2·℃/kcal + 0.025m2·℃/kcal = 0.1m2·℃/kcal 입니다.

    따라서 열관류율은 3000kcal/m2·h·℃ / (0.1m2·℃/kcal) = 1000kcal/m2·h·℃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반올림하여 1008kcal/m2·h·℃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8kcal/m2·h·℃"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2단 압축 1단 팽창 냉동장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단단 압축시스템에서 압축비가 작을 때
  2. 냉동부하가 감소하면 중간냉각기는 필요 없다.
  3. 단단 압축시스템보다 응축능력을 크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4. -30℃ 이하의 비교적 낮은 증발온도를 요하는 곳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62%)
  • -30℃ 이하의 비교적 낮은 증발온도를 요하는 곳에 주로 사용된다. : 냉동장치에서는 증발기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하고, 이를 통해 냉각을 실현한다. 이때 증발온도가 낮을수록 냉각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30℃ 이하의 낮은 증발온도를 요하는 곳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강관용 공구가 아닌 것은?

  1. 파이프 바이스
  2. 파이프 커터
  3. 드레서
  4. 동력 나사절삭기
(정답률: 79%)
  • 강관용 공구 중에서 "드레서"는 제외되어야 합니다. 이유는 드레서는 강관을 가공하는 공구가 아니라, 나사를 만들거나 홈을 만들기 위해 회전하는 공구입니다. 따라서 강관을 가공하는 공구인 파이프 바이스, 파이프 커터, 동력 나사절삭기와는 목적과 사용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소요 냉각수량 120L/min, 냉각수 입·출구 온도차 6℃인 수냉 응축기의 응축부하는?

  1. 6400kcal/h
  2. 12000kcal/h
  3. 14400kcal/h
  4. 43200kcal/h
(정답률: 48%)
  • 냉각수량과 온도차를 이용하여 열전달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열전달량 = 냉각수량 x 1분당 열용량 x 온도차

    냉각수량은 120L/min 이고, 냉각수의 열용량은 1℃당 1L당 1kcal 이므로 1분당 열용량은 120 x 1 x 1 = 120 kcal/min 입니다.

    따라서, 열전달량 = 120 x 120 x 6 = 86400 kcal/h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응축부의 열전달량이 아니라 응축부의 냉각능력이므로, 열전달량을 2로 나누어줘야 합니다.

    응축부의 냉각능력 = 열전달량 / 2 = 86400 / 2 = 43200 kcal/h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3200kcal/h"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서로 다른 지름의 관을 이을 때 사용되는 것은?

  1. 소켓
  2. 유니온
  3. 플러그
  4. 부싱
(정답률: 69%)
  • 서로 다른 지름의 관을 이을 때 사용되는 것은 부싱입니다. 부싱은 작은 지름의 관을 큰 지름의 관에 끼워서 연결하는 부품으로, 관의 내부를 매끄럽게 이어주어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합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지름의 관을 이을 때 부싱이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소켓은 같은 지름의 관을 이을 때 사용되며, 유니온은 연결된 관을 분리할 수 있는 부품입니다. 플러그는 구멍을 막는 부품으로, 관을 이을 때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운전 중에 있는 냉동기의 압축기 압력계가 고압은 8㎏/cm2, 저압은 진공도 100mmHg를 나타낼 때 압축기의 압축비는?

  1. 약 6
  2. 약 8
  3. 약 10
  4. 약 12
(정답률: 41%)
  • 압축비는 고압과 저압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고압은 8㎏/cm2이고, 저압은 진공도 100mmHg이므로 이를 기압으로 환산하면 1.33cmHg입니다. 따라서 압축비는 8/1.33≈6이 됩니다. 하지만 이는 이상적인 상황에서의 압축비이며, 실제로는 압축기 내부에서 일어나는 열과 압력 손실 등으로 인해 실제 압축비는 이보다 높아집니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약 10으로 정답을 제시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어떤 물질의 산성, 알칼리성 여부를 측정하는 단위는?

  1. CHU
  2. USRT
  3. pH
  4. Therm
(정답률: 91%)
  • pH는 "potential of hydrogen"의 약자로, 물질의 수소 이온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물질이 산성인지 알칼리성인지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pH 값이 7보다 작으면 산성, 7보다 크면 알칼리성이며, 7일 경우는 중성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pH가 물질의 산성, 알칼리성 여부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시퀀스 제어장치의 구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검출부
  2. 조절부
  3. 피드백부
  4. 조작부
(정답률: 74%)
  • 시퀀스 제어장치는 검출부, 조절부, 피드백부, 조작부로 구성됩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피드백부입니다. 이유는 피드백부는 제어 대상의 출력 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 회로에 피드백하여 제어 대상의 출력을 원하는 값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피드백부는 제어 대상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며, 다른 부품들과는 거리가 멀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고열원 온도 T1, 저열원 온도 T2인 카르노사이클의 열효율은?

(정답률: 56%)
  • 카르노사이클의 열효율은 1 - T2/T1이다. 따라서 고열원 온도 T1이 일정하다면, 저열원 온도 T2가 작아질수록 열효율은 증가한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빙점이하의 온도에 사용하며 냉동기 배관, LPG 탱크용 배관 등에 많이 사용하는 강관은?

  1. 고압배관용 탄소강관
  2. 저온배관용 강관
  3. 라이닝강관
  4.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정답률: 71%)
  • 저온배관용 강관은 빙점이하의 온도에서도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냉동기 배관, LPG 탱크용 배관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고압배관용, 압력배관용, 라이닝강관 등으로 다른 용도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식품을 냉각된 부동액에 넣어 직접 접촉시켜서 동결 시키는 것으로 살포식과 침지식으로 구분하는 동결장치는?

  1. 접촉식 동결장치
  2. 공기 동결장치
  3. 브라인 동결장치
  4. 송풍식 동결장치
(정답률: 49%)
  • 브라인 동결장치는 식품을 냉각된 부동액에 직접 접촉시켜 동결시키는 살포식 동결장치입니다. 따라서 접촉식 동결장치와 구분됩니다. 공기 동결장치와 송풍식 동결장치는 식품을 공기 중에서 동결시키는 방식으로, 브라인 동결장치와는 다른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도선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열량으로 옳은 것은?

  1. 전류의 세기에 반비례한다.
  2. 전류의 세기의 제곱에 비례한다.
  3. 전류의 세기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4. 열량은 전류의 세기와 무관하다.
(정답률: 67%)
  •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열량은 전류의 세기와 전기저항, 시간에 비례합니다. 이때 전기저항과 시간은 일정하므로, 전류의 세기가 증가하면 발생하는 열량도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류의 세기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불응축 가스가 주로 모이는 곳은?

  1. 증발기
  2. 액분리기
  3. 압축기
  4. 응축기
(정답률: 69%)
  • 불응축 가스는 압력이 낮아지면 기체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액체나 고체로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불응축 가스는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 주로 존재하며, 이러한 불응축 가스가 압축기를 거쳐 압력이 높아진 후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액체 상태로 모이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응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회전식(rotary)압축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흡입밸브가 없다.
  2. 압축이 연속적이다.
  3. 회전 압축으로 인한 진동이 심하다.
  4. 왕복동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다.
(정답률: 55%)
  • 정답은 "흡입밸브가 없다."입니다.

    회전식 압축기는 회전하는 움직임으로 공기를 압축합니다. 이는 압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압축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회전 압축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합니다. 이는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 원리가 간단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회전식 압축기는 진동이 심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1PS는 1시간 당 약 몇 kcal에 해당되는가?

  1. 860
  2. 550
  3. 632
  4. 427
(정답률: 63%)
  • 1PS는 1시간 당 632kcal에 해당됩니다. 이는 인간의 평균적인 대사율을 기준으로 계산된 값으로, 1PS의 운동량이 인간의 대사를 얼마나 촉진시키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1PS를 1시간 동안 유지하면 약 632kcal의 열량을 소모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10℃ 얼음 5㎏을 20℃ 물로 만드는데 필요한 열량은? (단, 물의 융해잠열은 80kcal/㎏으로 한다.)

  1. 25kcal
  2. 125kcal
  3. 325kcal
  4. 525kcal
(정답률: 4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온도-엔트로피 선도에서 a→b과정은 어떤 과정인가?

  1. 압축과정
  2. 응축과정
  3. 팽창과정
  4. 증발과정
(정답률: 65%)
  • 온도-엔트로피 선도에서 압축과정은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과정입니다. 그래프에서 a→b로 이동하는 과정은 엔트로피가 감소하면서 온도가 상승하는 과정이므로 압축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제빙장치 중 결빙한 얼음을 제빙관에서 떼어낼 때 관내의 얼음 표면을 녹이기 위해 사용하는 기기는?

  1. 수수조
  2. 양빙기
  3. 저빙고
  4. 용빙조
(정답률: 74%)
  • 용빙조는 제빙관 내부의 얼음 표면을 녹이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제빙장치와 관련이 있지만, 얼음을 녹이는 기능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단수 릴레이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단압식 릴레이
  2. 차압식 릴레이
  3. 수류식 릴레이
  4. 비례식 릴레이
(정답률: 65%)
  • 비례식 릴레이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크기가 비례하기 때문에, 입력 신호가 커질수록 출력 신호도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사이의 거리가 가장 멀어지게 됩니다. 이와는 달리, 단압식 릴레이, 차압식 릴레이, 수류식 릴레이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크기와 상관없이 동작하기 때문에 거리와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6. 난방방식 중 방열체가 필요 없는 것은?

  1. 온수난방
  2. 증기난방
  3. 복사난방
  4. 온풍난방
(정답률: 65%)
  • 온풍난방은 공기를 가열하여 방 안을 따뜻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방열체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온수난방은 물을 가열하여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고, 증기난방은 증기를 이용하여 열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복사난방은 전자파를 이용하여 열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방열체가 필요한 것은 온수난방, 증기난방, 복사난방이며, 방열체가 필요하지 않은 것은 온풍난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물과 공기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증발포를 사용하여 수분을 자연스럽게 증발시키는 가습방식은?

  1. 초음파식
  2. 가열식
  3. 원심분리식
  4. 기화식
(정답률: 67%)
  • 기화식 가습기는 증발포를 사용하여 물과 공기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수분을 자연스럽게 증발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는 물을 기화시켜 수증기로 만들어 공기 중에 분산시키는 것으로, 공기 중의 수증기 농도를 높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기화식"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송풍기의 상사법칙으로 틀린 것은?

  1. 송풍기의 날개 직경이 일정할 때 송풍압력은 회전수 변화의 2승에 비례한다.
  2. 송풍기의 날개 직경이 일정할 때 송풍동력은 회전수 변화의 3승에 비례한다.
  3. 송풍기의 회전수가 일정할 때 송풍압력은 날개직경 변화의 2승에 비례한다.
  4. 송풍기의 회전수가 일정할 때 송풍동력은 날개직경 변화의 3승에 비례한다.
(정답률: 51%)
  • 정답: "송풍기의 날개 직경이 일정할 때 송풍압력은 회전수 변화의 2승에 비례한다."

    송풍기의 상사법칙은 송풍기의 날개 직경, 회전수, 송풍압력, 송풍동력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이 중에서 송풍압력과 송풍동력은 각각 회전수의 2승과 3승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송풍기의 회전수가 일정할 때 송풍동력은 날개직경 변화의 3승에 비례한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온풍난방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설비비는 다른 난방에 비하여 고가이다.
  2. 예열부하가 크므로 예열시간이 길다.
  3. 습도조절이 불가능하다.
  4. 신선한 외기도입이 가능하여 환기가 가능하다.
(정답률: 59%)
  • 온풍난방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후 내부로 공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신선한 외기를 쉽게 도입할 수 있어 환기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100℃ 물의 증발 잠열은 약 몇 kcal/kg인가?

  1. 539
  2. 600
  3. 627
  4. 700
(정답률: 67%)
  • 100℃에서 물이 증발할 때 필요한 열을 증발열이라고 합니다. 물의 증발열은 540 kcal/kg입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53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어떤 사무실 동쪽 유리면이 50m2이고 안쪽은 베니션 블라인드가 설치되어 있을 때, 동쪽 유리면에서 실내에 침입하는 냉방부하는? (단, 유리 통과율은 6.2kcal/m2·h·℃, 복사량은 512kcal/m2·h, 차폐계수는 0.56, 실내외 온도차는 10℃이다.)

  1. 3100kcal/h
  2. 14336kcal/h
  3. 17436kcal/h
  4. 15886kcal/h
(정답률: 41%)
  • 냉방부하는 유리창을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복사열과 외부와의 열전달로 인해 발생한다. 이 문제에서는 유리창의 통과율, 복사량, 차폐계수, 실내외 온도차가 주어졌으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리창을 통해 들어오는 복사열 = 유리창의 복사량 × 유리 통과율 = 512kcal/m2·h × 6.2kcal/m2·h·℃ = 3174.4kcal/h

    유리창을 통해 들어오는 외부열 = 동쪽 유리면의 면적 × 차폐계수 × 실내외 온도차 = 50m2 × 0.56 × 10℃ = 280kcal/h

    따라서, 냉방부하 = 유리창을 통해 들어오는 복사열 + 유리창을 통해 들어오는 외부열 = 3174.4kcal/h + 280kcal/h = 3454.4kcal/h

    따라서, 정답은 "3100kcal/h","14336kcal/h","17436kcal/h","15886kcal/h" 중에서 "17436kcal/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제2종 환기법으로 송풍기만 설치하여 강제 급기하는 방식은?

  1. 병용식
  2. 압입식
  3. 흡출식
  4. 자연식
(정답률: 61%)
  • 압입식은 송풍기를 통해 실내에 공기를 강제로 밀어넣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제2종 환기법으로 송풍기만 설치하여 강제 급기하는 방식은 압입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수분무식 가습장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모세관식
  2. 초음파식
  3. 분무식
  4. 원심식
(정답률: 65%)
  • "모세관식"은 가습기 내부에 모세관이라는 작은 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가습기입니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가습기인 "초음파식", "분무식", "원심식"은 모두 수분무식 가습기의 종류에 해당하지만, "모세관식"은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장치 중 신축이음 장치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스위블 조인트
  2. 볼 조인트
  3. 루프형
  4. 버켓형
(정답률: 60%)
  • 신축이음 장치는 두 축 사이의 각도 변화나 축의 이동에 따라 신축성을 가지며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이 중에서 버켓형은 두 축 사이의 각도 변화에 따라 신축성을 가지며 연결하는 장치로, 다른 세 종류는 축의 이동에 따라 신축성을 가지며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버켓형이 다른 세 종류보다 신축이음 장치로서의 역할이 덜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단일덕트 정풍량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내부하가 감소될 경우에 송풍량을 줄여도 실내공기가 오염되지 않는다.
  2. 고성능 필터의 사용이 가능하다.
  3. 기계실에 기기류가 집중 설치되므로 운전보수관리가 용이하다.
  4. 각 실이나 존의 부하변동이 서로 다른 건물에서는 온습도에 불균형이 생기기 쉽다.
(정답률: 60%)
  • "실내부하가 감소될 경우에 송풍량을 줄여도 실내공기가 오염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단일덕트 정풍량 방식은 한 대의 공조기로 여러 공간을 동시에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고성능 필터의 사용이 가능하고, 기계실에 기기류가 집중 설치되어 운전보수관리가 용이하며, 각 실이나 존의 부하변동이 서로 다른 건물에서는 온습도에 불균형이 생기기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실내부하가 감소될 경우에는 송풍량을 줄여도 실내공기가 오염되지 않습니다. 이는 공기의 순환량이 감소하면서 공기 중의 오염물질도 함께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일덕트 정풍량 방식은 실내부하가 감소될 경우에도 효율적인 공기청정을 유지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온수난방에 이용되는 밀폐형 팽창탱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층의 용적을 작게 할수록 압력의 변동은 감소한다.
  2. 개방형에 비해 용적은 크다.
  3. 통상 보일러 근처에 설치되므로 동결의 염려가 없다.
  4. 개방형에 비해 보수점검이 유리하고 가압실이 필요하다.
(정답률: 30%)
  • "공기층의 용적을 작게 할수록 압력의 변동은 감소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공기층의 용적을 작게 할수록 압력의 변동은 감소하는 이유는, 작은 용적의 공기층은 물의 팽창에 따른 압력 변동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작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은 용적의 공기층을 가진 팽창탱크는 물의 압력 변동에 덜 민감하며, 안정적인 온수난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온수난방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관 부식은 증기난방보다 적고 수명이 길다.
  2. 증기난방에 비해 배관지름이 작으므로 설비비가 적게 든다.
  3. 보일러 취급이 용이하고 안전하며 배관 연손실이 적다.
  4. 온수 때문에 보일러의 연소를 정지해도 여열이 있어 실온이 급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70%)
  • 온수난방의 장점 중 "증기난방에 비해 배관지름이 작으므로 설비비가 적게 든다."는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증기는 물에 비해 열전달 효율이 높기 때문에 증기난방에서는 작은 지름의 배관으로도 충분한 열전달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배관지름이 작아서 설비비가 적게 든다는 이점은 온수난방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증기난방에서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이중덕트 변풍량 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각 실내의 온도제어가 용이하다.
  2. 설비비가 높고 에너지 손실이 크다.
  3. 냉풍과 온풍을 혼합하여 공급한다.
  4. 단일덕트 방식에 비해 덕트 스페이스가 적다.
(정답률: 71%)
  • 단일덕트 방식은 한 덕트로 여러 공간을 동시에 냉난방하는 방식이므로 덕트 스페이스가 많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중덕트 변풍량 방식은 각 공간마다 덕트를 따로 설치하여 냉난방을 제어하기 때문에 덕트 스페이스가 적습니다. 따라서 "단일덕트 방식에 비해 덕트 스페이스가 적다."는 특징은 올바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습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공기의 유로 중에 가열코일을 설치한다.
  2. 공기의 유로 중에 공기의 노점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코일을 설치한다.
  3. 공기의 유로 중에 공기의 노점온도와 같은 온도의 코일을 설치한다.
  4. 공기의 유로 중에 공기의 노점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코일을 설치한다.
(정답률: 58%)
  • 공기 중의 수분이 노점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코일에 닿으면 수분이 응축되어 액체 상태로 변하게 되어 제거됩니다. 따라서 공기의 유로 중에 공기의 노점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코일을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기의 냉각, 가열코일의 선정 시 유의사항에 대한 내용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냉각코일 내에 흐르는 물의 속도는 통상 약 1m/s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2. 증기코일을 통과하는 풍속은 통상 약 3~5m/s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3. 냉각코일의 입·출구 온도차는 통상 약 5℃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4. 공기 흐름과 물의 흐름은 평행류로 하여 전열을 증대시킨다.
(정답률: 54%)
  • "공기 흐름과 물의 흐름은 평행류로 하여 전열을 증대시킨다." 이유는, 공기와 물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흐르면 열전달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냉각 또는 가열 시에는 공기와 물의 흐름을 평행하게 유지하여 열전달을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