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3-07)

통신설비기능장
(2015-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1. ESS No.1A 전자교환기 프로세서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중앙제어부
  2. 프로그램 기억부
  3. 파일 기억부
  4. 자기테이프 장치
(정답률: 92%)
  • 자기테이프 장치는 ESS No.1A 전자교환기 프로세서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주로 데이터 백업 및 보관을 위한 보조 기기로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ESS No.1A 전자교환기 프로세서의 주요 구성요소는 중앙제어부, 프로그램 기억부, 파일 기억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자교환기의 가 입자 정합기능의 종류를 약어로 정리하면 'BORSCHT'일 때,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B : 통화 전류 공급
  2. O : 과전압 보호
  3. H : 2선/4선 상호 변환
  4. T : 전송
(정답률: 85%)
  • 정답은 "T : 전송"입니다. BORSCHT는 전화망에서 사용되는 전자교환기의 가입자 정합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약어입니다. 각 알파벳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나타냅니다.

    B : Battery (통화 전류 공급)
    O : Overvoltage (과전압 보호)
    R : Ringing (벨 울림)
    S : Supervision (감시)
    C : Codec (음성 인코딩/디코딩)
    H : Hybrid (2선/4선 상호 변환)
    T : Test (시험)

    따라서, "T : 전송"이라는 설명은 BORSCHT에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표본화 주파수가 높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초당 샘플 수가 낮다.
  2. 전송하려는 정보의 양이 적다.
  3. 채널 용량이 커진다.
  4. 초당 프레임 수가 낮다.
(정답률: 91%)
  • 표본화 주파수가 높다는 것은 초당 샘플 수가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채널에서 전송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증가하게 되므로 채널 용량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PCM 통신 방식에서 신장이 이루어지는 단계는?

  1. 전송로 사이
  2. 양자화와 부호화 사이
  3. 표본화와 양자화 사이
  4. 복호화와 여파기 사이
(정답률: 77%)
  • PCM 통신 방식에서 신장이 이루어지는 단계는 "표본화와 양자화 사이"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이후에는 디지털 신호가 전송로를 통해 전송됩니다. 그리고 수신측에서는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복호화하여 원래의 아날로그 신호를 복원합니다. 따라서 복호화와 여파기 사이는 PCM 통신 방식에서 신장이 이루어지는 단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반송 전화장치의 구성에서 고군과 저군을 분리ㆍ결합하는 장치는 무엇인가?

  1. 선로 여파기
  2. 방향 여파기
  3. 3권 변성기
  4. 평형 회로망
(정답률: 86%)
  • 반송 전화장치의 구성에서 고군과 저군을 분리ㆍ결합하는 장치는 "방향 여파기"입니다. 이는 전화 신호가 들어오는 방향과 나가는 방향을 구분하여, 들어오는 신호를 저군으로 보내고 나가는 신호를 고군으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전화 신호의 왕복 시간을 단축시켜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위상 등화기(보상기)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는 경우는?

  1. 장하 케이블
  2.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영상 신호 전송
  3. 나선로를 사용한 반송 전화
  4. PCM 중계 회선 선로
(정답률: 69%)
  • 나선로를 사용한 반송 전화는 위상 차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위상 등화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나선로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케이블로, 신호가 전달되는 동안 나선 모양으로 감겨 있어서 전파가 퍼지는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신호가 전달되는 동안 위상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위상 등화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비동기 전송 방식에서 Start와 Stop 신호의 가장 적합한 필요성은?

  1. bit와 bit 사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2. bit 정보를 샘플링하기 위하여
  3. 각 문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4. 정보 단위의 통일성을 위하여
(정답률: 86%)
  • 비동기 전송 방식에서 Start와 Stop 신호는 각 문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필요합니다. 이는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 단위로 전송하기 때문입니다. Start 신호는 새로운 문자의 시작을 알리고, Stop 신호는 문자의 끝을 알리며, 이를 통해 수신측에서 각 문자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무선통신 채널의 신호대잡음비(S/N)가 31이고 채널대역폭이 125[kHz]일 때, 최대 전송용량[kbps]은?

  1. 432
  2. 500
  3. 625
  4. 750
(정답률: 93%)
  • 최대 전송용량은 채널대역폭과 신호대잡음비에 의해 결정됩니다. 채널대역폭이 125[kHz]이고, 신호대잡음비가 31이므로, 최대 전송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최대 전송용량 = 채널대역폭 x log2(1 + S/N)

    = 125[kHz] x log2(1 + 31)

    = 125[kHz] x 4.98

    ≈ 625[kbps]

    따라서, 정답은 "6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디지털 변조방식에서 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ASK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동기, 비동기 ASK 검파가 가능하다.
  2. 비동기 검파시 정합 여파기를 사용한다.
  3. 대역폭은 기저대역 신호의 최대주파수의 2배가 된다.
  4. 진폭변조이므로 페이딩과 잡음의 영향에 약하여 오류 발생 확률이 크다.
(정답률: 63%)
  • 정답: "비동기 검파시 정합 여파기를 사용한다."

    해설: ASK는 진폭 변조 방식 중 하나로, 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켜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ASK는 동기 및 비동기 검파가 가능하며, 대역폭은 기저대역 신호의 최대 주파수의 2배가 됩니다. ASK는 진폭 변조 방식이므로 페이딩과 잡음의 영향에 약하여 오류 발생 확률이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비동기 검파시에는 정합 여파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오류 발생 확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수신측에서 전송에러가 발생할 경우 송신측으로 손상된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구하는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1. ARQ
  2. 해밍 코드
  3. CRC
  4. 에러 정정 코드
(정답률: 89%)
  • ARQ는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약자로, 자동 재전송 요구 프로토콜을 의미합니다. 수신측에서 전송에러가 발생하면, 송신측으로 손상된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구합니다. 따라서 ARQ가 정답입니다. 해밍 코드, CRC, 에러 정정 코드는 모두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한 코드이지만, ARQ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수신기의 초단 증폭기 이득이 10, 잡음지수가 2이고, 후단 증폭기의 이득이 20, 잡음지수가 4일 때 종합잡음 지수는?

  1. 0.7
  2. 1.2
  3. 2.3
  4. 4.1
(정답률: 72%)
  • 종합잡음 지수는 각 증폭기의 잡음지수와 이득에 따라 계산됩니다.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합잡음 지수 = 10^(잡음지수1/10) + 10^(잡음지수2/10) - 1 + (후단 증폭기 이득/초단 증폭기 이득)

    여기서는 초단 증폭기의 이득이 10, 잡음지수가 2이므로 10^(2/10) = 1.58입니다. 후단 증폭기의 이득이 20, 잡음지수가 4이므로 10^(4/10) = 2.51입니다. 따라서 종합잡음 지수는 1.58 + 2.51 - 1 + (20/10) = 2.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전파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파는 횡파이며 평면파이다.
  2. 전파의 속도는 투자율이나 유전율이 클수록 속도가 빨라진다.
  3. 전파는 빛의 성질과 유사하다.
  4. 전파는 전계와 자계가 수직으로 존재한다.
(정답률: 77%)
  • 전파의 속도는 투자율이나 유전율과는 무관하며, 매질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전파의 속도는 투자율이나 유전율이 클수록 속도가 빨라진다."는 설명은 적합하지 않다.

    전파의 속도는 매질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공기보다는 고체나 액체에서 더 빠르게 전파된다. 또한, 전파의 속도는 전파의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라디오 파장은 빠르게 전파되지만, 라디오 파장보다 짧은 마이크로파 파장은 느리게 전파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안테나의 고유주파수를 높게 하려고 한다.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안테나와 직렬로 콘덴서를 접속한다.
  2. 안테나와 병렬로 콘덴서를 접속한다.
  3. 안테나와 직렬로 코일을 접속한다.
  4. 안테나와 병렬로 코일을 접속한다.
(정답률: 88%)
  • 안테나와 직렬로 콘덴서를 접속하는 것은 안테나의 고유주파수를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콘덴서가 안테나와 직렬로 연결되면 안테나의 유전율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안테나의 고유주파수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안테나와 병렬로 콘덴서를 접속하거나 코일을 접속하는 것은 안테나의 고유주파수를 높이는 효과가 덜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파라볼라(Parabola)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지향성이 예민하고 이득이 높다.
  2. 이득은 안테나의 개구면적에 비례한다.
  3. 비교적 소형이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다.
  4. 부엽(Side Lobe)이 비교적 적고 광대역성이다.
(정답률: 80%)
  • 정답은 "부엽(Side Lobe)이 비교적 적고 광대역성이다." 이다. 파라볼라 안테나는 지향성이 예민하고 이득이 높으며, 이득은 안테나의 개구면적에 비례한다. 또한 비교적 소형이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다. 하지만 부엽(Side Lobe)이 적고 광대역성이라는 설명은 잘못되었다. 파라볼라 안테나는 주파수 대역폭이 좁고, 주파수가 변할 때마다 안테나의 형태를 바꿔야 하기 때문에 광대역성이 아니다. 또한 부엽(Side Lobe)은 파라볼라 안테나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안테나의 지향성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페이딩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버시티가 아닌 것은?

  1. 공간 다이버시티
  2. 산란 다이버시티
  3. 주파수 다이버시티
  4. 편파 다이버시티
(정답률: 82%)
  • 산란 다이버시티는 페이딩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버시티가 아닙니다. 산란 다이버시티는 다중경로 환경에서 신호가 반사되어 도달하는 시간차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주로 레이더나 초음파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위성의 궤도조건과 배치방식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정지위성 방식
  2. 랜덤위성 방식
  3. 위상위성 방식
  4. 주파수위성 방식
(정답률: 79%)
  • 주파수위성 방식은 위성의 궤도조건과 배치방식과는 관련이 없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방식으로, 위성의 역할은 주파수 신호를 중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위성의 궤도조건과 배치방식과는 무관하며, 다른 방식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위성체에서 사용되는 안테나와 거리가 먼 것은?

  1. 혼 안테나
  2. 파라볼라 안테나
  3. 위상배열 안테나
  4. 역L형 안테나
(정답률: 92%)
  • 역L형 안테나는 다른 안테나들과 달리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지 않고, 안테나의 일부분이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거리가 먼 안테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역L형 안테나"가 아닌 다른 안테나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위성지구국 송신기의 체계도 순서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지상계 IF → 변조 → 다중화 → 고전력증폭기(HPA) → RF MUX → 안테나
  2. 지상계 IF → 다중화 → 변조→ 저잡음증폭기(LNA) → RF MUX → 안테나
  3. 지상계 IF → 변조 → 다중화 → 저잡음증폭기(LNA) → RF MUX → 안테나
  4. 지상계 IF → 다중화 → 변조→ 고전력증폭기(HPA) → RF MUX → 안테나
(정답률: 83%)
  • 위성지구국 송신기의 체계도는 지상계 IF 신호를 받아 변조하고, 다중화하여 고전력증폭기(HPA)로 증폭한 후 RF MUX를 거쳐 안테나로 전송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상계 IF → 다중화 → 변조→ 고전력증폭기(HPA) → RF MUX → 안테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위성지구국에 사용되는 비선형 증폭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3.5[GHz], 4.5[GHz]일 때 출력 가능한 신호의 주파수가 아닌 것은?

  1. 1[GHz]
  2. 7[GHz]
  3. 8[GHz]
  4. 10[GHz]
(정답률: 81%)
  • 위성지구국에 사용되는 비선형 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비선형 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출력 신호의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는 비선형 증폭기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10[GHz]은 입력 신호의 주파수와는 크게 다른 값입니다. 따라서 비선형 증폭기는 10[GHz]의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지 못하고 출력으로 내보내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G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CDMA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 부터의 수신전력 세기에 따라 이동국 출력을 조정하여 근사적으로 기지국에 도달하는 이동국 출력을 최소화하는 전력제어 방식은?

  1. 개방루프 전력제어(Open Loop Power Control)
  2. 폐루프 전력제어(Close Loop Power Control)
  3. 내부루프 전력제어(Inner Loop Power Control)
  4. 외부루프 전력제어(Outer Loop Power Control)
(정답률: 87%)
  • 개방루프 전력제어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전력 세기에 따라 이동국 출력을 조정하여 근사적으로 기지국에 도달하는 이동국 출력을 최소화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이동국이 기지국과의 거리에 따라 일정한 출력을 유지하며,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이동국 출력을 조절합니다. 이 방식은 단순하고 빠르게 동작하며,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 구현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21. 다음 중 CDMA시스템에서의 파일롯 채널(Pilot Channe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항상 왈쉬 코드 “0”번에 할당된다.
  2. 어떠한 정보도 실리지 않은 상태에서 PN코드와 확산 변조된다.
  3. 이동국에서 시간 및 위상 기준을 제공하며, 기지국을 구분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4. 기지국 초기 동기에 필요한 정보를 이동국에 내려준다.
(정답률: 59%)
  • 정답: "항상 왈쉬 코드 “0”번에 할당된다."

    해설: 파일롯 채널은 CDMA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초기 동기화를 위해 사용되는 채널입니다. 파일롯 채널은 항상 왈쉬 코드 "0"번에 할당되며, 어떠한 정보도 실리지 않은 상태에서 PN 코드와 확산 변조됩니다. 이동국에서는 파일롯 채널을 통해 시간 및 위상 기준을 제공하며, 기지국을 구분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기지국 초기 동기에 필요한 정보를 이동국에 내려준다."는 설명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네트워크 종단 시스템(End to End) 간의 투명한 데이터 전송에 관련된 계층은?

  1. 응용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트랜스포트 계층
  4. 물리 계층
(정답률: 78%)
  • 트랜스포트 계층은 종단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며, 데이터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보장합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각 세그먼트에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분실을 검출하고 복구합니다. 또한, 흐름 제어와 혼잡 제어를 통해 네트워크의 혼잡 상태를 감지하고 대처합니다. 따라서, 종단 시스템 간의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트랜스포트 계층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데이터교환망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하나의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정확하게 오류 없이 송수신측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은?

  1. 스트리밍(Streaming)
  2.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
  3. 패킷(Packet)
  4. 비트스터핑(Bit Stuffing)
(정답률: 75%)
  • 비트스터핑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이를 위해 데이터 전송 시 일정한 규칙에 따라 0 또는 1의 비트를 추가하거나 제거하여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표시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송수신측에서 오류 없이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LAN의 데이터 전송률이 100[Mbps], 한 패킷의 크기가 1,500[byte], MAC 프로토콜의 효율이 60[%]인 경우의 전송시간과 LAN의 처리율을 계산한 값으로 적당한 것은?

  1. 0.12[ms], 6[Mbps]
  2. 0.12[ms], 60[Mbps]
  3. 1.20[ms], 6[Mbps]
  4. 1.20[ms], 60[Mbps]
(정답률: 76%)
  • 먼저, MAC 프로토콜의 효율이 60[%]이므로, 실제 전송 가능한 데이터 전송률은 100[Mbps] * 60[%] = 60[Mbps]가 됩니다.

    한 패킷의 크기가 1,500[byte]이므로, 전송에 필요한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500[byte] * 8[b/byte] / 60[Mbps] = 0.2[ms]

    하지만, MAC 프로토콜은 전송할 데이터에 대해 일정한 크기의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각 프레임에 대해 헤더와 트레일러를 추가합니다. 이로 인해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보다 더 많은 비트가 전송되므로, 전송 시간은 더 길어집니다.

    MAC 프로토콜의 효율이 60[%]이므로,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가 1,500[byte]일 때 전송되는 비트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1,500[byte] * 8[b/byte] / 60[%] = 20,000[b]

    따라서, 전송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20,000[b] / 60[Mbps] = 0.333[ms]

    하지만, 이 시간에는 패킷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시간뿐만 아니라,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대기하는 시간, 충돌 검사를 위한 추가적인 시간 등이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송 시간은 더욱 더 길어집니다.

    따라서, 적당한 답은 "0.12[ms], 60[Mbps]"입니다. 이는 패킷 전송에 필요한 시간만을 고려한 값이며, LAN의 처리율은 60[Mbps]로 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협대역 ISDN의 기본접속인터페이스(BRI) 구조에 대한 전송효율을 계산한 값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약 44[%]
  2. 약 67[%]
  3. 약 75[%]
  4. 약 89[%]
(정답률: 70%)
  • 협대역 ISDN의 기본접속인터페이스(BRI)는 2B+D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2개의 B채널과 1개의 D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채널의 전송속도는 64Kbps입니다. 따라서 B채널 2개의 전송속도는 128Kbps이고, D채널의 전송속도는 16Kbps입니다. 이를 합산하면 총 전송속도는 144Kbps가 됩니다. 이를 기준으로 전송효율을 계산하면, 144Kbps 중에서 실제 데이터가 전송되는 128Kbps의 비율을 계산하면 약 89%가 됩니다. 하지만, 이론적인 최대 전송속도와 실제 전송속도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실제 전송효율은 이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BRI의 전송효율은 약 75% 정도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B-ISDN)의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비동기전송모드를 사용하여 대용량 고속서비스를 지원한다.
  2. 셀 단위의 전송을 통해 고정 및 가변속도 서비스를 지원한다.
  3. 전송로의 다중화 방식은 동기식디지털계위(SDH)를 사용한다.
  4. 대화형, 검색형, 메시지형과 같은 분배성 서비스를 지원한다.
(정답률: 67%)
  • 전송로의 다중화 방식은 동기식디지털계위(SDH)를 사용한다. (B-ISDN은 분배성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SDH는 전송로의 다중화 방식에 대한 기술이므로 B-ISDN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괄호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프로토콜 이름은 무엇인가?

  1. ARP
  2. PARP
  3. IGMP
  4. ICMP
(정답률: 79%)
  • 이미지에서 보이는 패킷은 ICMP 패킷입니다.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며,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이미지에서 보이는 패킷은 ICMP 패킷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OSI 7 Layer 중 데이터링크 레이어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단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패킷
  2. 프레임
  3. 비트
  4. 세그먼트
(정답률: 87%)
  • 데이터링크 레이어에서는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프레임이라는 데이터 단위를 사용합니다. 프레임은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로,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와 에러 검출 및 수정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링크 레이어에서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측에서는 프레임을 해석하여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TCP Header Fla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YN은 연결시작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Flag 이다.는
  2. RST 리턴하도록 지시하는 Flag이다.
  3. FIN은 종료하도록 지시하는 Flag이다.
  4. PSH는 데이터 패킷을 최대한 빨리 보내도록 지시하는 Flag이다.
(정답률: 75%)
  • PSH는 데이터 패킷을 최대한 빨리 보내도록 지시하는 Flag이 아니다. PSH는 데이터를 즉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Flag이다.

    RST는 연결을 강제로 종료하고 초기화하는 Flag이다. 따라서 "RST 리턴하도록 지시하는 Flag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인터넷상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클래스 B에서 한 네트워크 내의 최대 호스트 수는?

  1. 65,534
  2. 254
  3. 1,024
  4. 128
(정답률: 79%)
  • 네트워크 클래스 B는 첫 번째 2비트가 10으로 시작하는 IP 주소 범위를 가지며, 이는 첫 번째 16비트가 네트워크 ID, 나머지 16비트가 호스트 ID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한 네트워크 내에서는 16비트의 호스트 I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2의 16승에서 2를 뺀 값인 65,534개의 호스트를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이더넷 프레임(IEEE 802.3) 형식에서 항목이 순서대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Preable - Destination Address - Source Address - FCS
  2. Preable - Source Address - Destination Address - FCS
  3. FCS - Destination Address - Source Address - Preable
  4. FCS - Source Address - Destination Address - Preable
(정답률: 71%)
  • 이더넷 프레임은 전송하기 전에 Preable(프리앰블)을 보내서 수신측에서 이더넷 프레임이 전송되고 있다는 것을 알리고, 그 다음에 Destination Address(목적지 주소)와 Source Address(출발지 주소)를 전송합니다. 마지막으로 FCS(Frame Check Sequence)를 보내서 전송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Preable - Destination Address - Source Address - FCS"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커버로스(Kerberos)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인증절차는 3단계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2. 암호화는 DES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3. 티켓(Ticket)을 발급하는 별도의 서버가 사용된다.
  4. 폐쇄형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합한 인증 시스템이다.
(정답률: 72%)
  • 폐쇄형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합한 인증 시스템이다. - 이 설명은 오히려 적합한 설명이다. 커버로스는 폐쇄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인증 시스템으로, 외부에서의 침입을 막고 내부에서의 인증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통신선로 정수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1차 정수에서 저항, 인덕턴스, 정전용량 등이 있다.
  2. 2차 정수는 전파정수, 감쇠정수, 위상정수 등이 있다.
  3. 1차 정수에서 병렬적 요소는 정전용량, 누설 컨덕턴스이다.
  4. 1차 정수에서 R, L, G의 사용 단위는 같다.
(정답률: 90%)
  • 1차 정수에서 R, L, G의 사용 단위는 같다는 설명이 맞지 않습니다. R은 저항을 나타내는 단위인 옴(Ω)으로 표시되고, L은 인덕턴스를 나타내는 단위인 헨리(H)로 표시됩니다. G는 전도도를 나타내는 단위인 시멘스(S)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R, L, G의 사용 단위는 서로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송선로의 종단이 단락되었을 경우 전압 반사계수(m)는 얼마인가?

  1. -2
  2. -1
  3. 0
  4. 무한대
(정답률: 86%)
  • 전송선로의 종단이 단락되면 전파는 종단에서 반사되어 돌아오게 됩니다. 이때 전압 반사계수는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와 단락된 부분의 임피던스의 차이에 의해 결정됩니다. 만약 단락된 부분의 임피던스가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와 같다면 전압 반사계수는 0이 됩니다. 반면에 단락된 부분의 임피던스가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보다 크면 전압 반사계수는 양수가 되고, 작으면 음수가 됩니다. 따라서 전송선로의 종단이 단락되었을 때 전압 반사계수가 -1인 것은 단락된 부분의 임피던스가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보다 작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전파는 단락된 부분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면서 전압이 반대로 바뀌게 되므로 전압 반사계수는 -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비굴절률 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굴절률 차가 클수록 광이 코어 내에 입사하기 쉽다.
  2. 비굴절률 차가 적을수록 광이 코어 내에 입사하기 쉽다.
  3. 비굴절률 차가 클수록 광이 클래드 내에 입사하기 쉽다.
  4. 비굴절률 차가 적을수록 광이 클래드 내에 입사하기 쉽다.
(정답률: 80%)
  • 비굴절률 차가 클수록 광이 코어와 클래드 경계면에서 굴절되는 각도가 크기 때문에 광이 코어 내에 더 쉽게 입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굴절률 차가 클수록 광이 코어 내에 입사하기 쉽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광섬유 케이블의 일반적인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광대역 전송이 가능하다.
  2. 전송손실이 적어 중계기간의 설치 간격이 길다.
  3. 채널간 상호 전자기적인 누화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4. 초다중화가 가능하다.
(정답률: 86%)
  • "전송손실이 적어 중계기간의 설치 간격이 길다."는 광섬유 케이블의 일반적인 특징이 맞습니다. 하지만 "채널간 상호 전자기적인 누화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광섬유 케이블은 광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자기적인 누화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는 광섬유 케이블의 큰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광섬유 케이블의 전송 원리는 빛의 어떤 성질을 이용한 것인가?

  1. 흡수
  2. 투과
  3. 전반사
  4. 회절
(정답률: 92%)
  • 광섬유 케이블의 전송 원리는 전반사를 이용한 것입니다. 광섬유 케이블 안에 있는 광섬유는 빛을 내부로 반사시켜 전달합니다. 이때, 빛이 광섬유와 만나는 각도가 일정한 각도보다 작으면 전반사가 일어나고, 이를 이용하여 빛을 광섬유 안에서 전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광케이블에서 비굴절률 차(Δ)를 나타내는 식은?(단, n1 : 코어 굴절률, n2 : 클래드 굴절률)

(정답률: 88%)
  • 광섬유에서 광파장이 변할 때, 코어와 클래드의 굴절률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광섬유 내부에서 광파장의 속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이 때, 광섬유에서 광파장의 속도가 달라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 바로 비굴절률 차(Δ)입니다. 따라서 Δ는 코어와 클래드의 굴절률 차이를 나타내는 값이며, Δ = n1 - n2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광섬유 케이블 손실 중 내적인 손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레일리 산란손실
  2. 구조불완전에 의한 손실
  3. 흡수손실
  4. 구부러짐(휨)에 의한 손실
(정답률: 81%)
  • 광섬유 케이블이 구부러지면 광섬유 내부에서 광의 진행 방향이 바뀌어 굴절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광의 진행 경로가 일부분 손실되어 구부러짐(휨)에 의한 손실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구부러짐(휨)에 의한 손실은 내적인 손실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광학 파라미터(Parameter) 중 광케이블이 단일모드 파이버(Single Mode Fiber)와 다중모드 파이버(Multi Mode Fiber)를 구분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1. 개구수
  2. 비굴절률차
  3. 수광각
  4. 규격화 주파수
(정답률: 67%)
  • 단일모드 파이버와 다중모드 파이버는 광의 전파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이 필요합니다. 이를 구분하는 광학 파라미터 중 하나인 규격화 주파수는 광 파동의 진폭과 주파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광 파동이 광케이블 내에서 전파될 때 파동의 형태가 유지되는 최대 주파수를 의미합니다. 단일모드 파이버는 규격화 주파수가 높아서 좁은 대역폭을 가지며, 멀리 전송할수록 감쇠가 적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다중모드 파이버는 규격화 주파수가 낮아서 넓은 대역폭을 가지며, 멀리 전송할수록 감쇠가 많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규격화 주파수는 단일모드 파이버와 다중모드 파이버를 구분하는 중요한 광학 파라미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41. 참값이 100[V]인 전압을 측정하였더니 101.5[V]였다. 오차 백분율로 표시하면 몇 [%]인가?

  1. 0.15
  2. 1.5
  3. 15
  4. 150
(정답률: 89%)
  • 오차 백분율은 (실제값-측정값)/실제값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00-101.5)/100 x 100 = -1.5% 이므로, 오차 백분율은 1.5%이다. 즉, 측정값이 실제값보다 1.5%만큼 높게 측정되었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부하 임피던스와 전송선의 특성 임피던스의 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정규화 임피던스
  2. 정규화 저항
  3. 정규화 전류
  4. 정규화 전압
(정답률: 95%)
  • 부하 임피던스와 전송선의 특성 임피던스의 비를 정규화 임피던스라고 합니다. 이는 전송선에서 발생하는 반사파의 크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값으로, 전송선의 특성 임피던스와 부하 임피던스가 일치할 때 1의 값을 가집니다. 따라서 정규화 임피던스는 전송선에서 발생하는 반사파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이며, 이를 통해 전송선의 최적화와 신호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광섬유 케이블의 손실을 측정하는 방법은?

  1. 컷백(Cut Back) 방법
  2. RNF(Refracted Near Field) 방법
  3. 펄스 지연 방법
  4. 파필드(Far-field) 방법
(정답률: 85%)
  • 컷백(Cut Back) 방법은 광섬유 케이블의 손실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광섬유 케이블의 일부를 절단하여 광섬유 케이블의 끝부분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광섬유 케이블의 손실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광섬유 케이블의 손실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광섬유 케이블의 측정방식인 후방산란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섬유의 균열 및 결함이 생긴 지점을 찾는데 사용하는 방법이다.
  2. 출력 단에서 광전력을 측정하며 계산하는 방법이다.
  3. 입력 단에서만 측정하므로 측정작업이 간단하다.
  4. 거리에 따른 손실계수의 측정이 가능한 방법이다.
(정답률: 78%)
  • 정답은 "입력 단에서만 측정하므로 측정작업이 간단하다."입니다. 후방산란방법은 광섬유 케이블 내부에서 광이 산란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측정하여 광섬유의 균열 및 결함이 생긴 지점을 찾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출력 단에서 광전력을 측정하며 계산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복잡한 계산과 장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어느 전화가입자 선로에 통화전류가 전화국에서 60[mA]의 전류를 보냈던 바, 전화 가입자 댁에 도착된 전류는 60[μA]이었다. 이 가입자 선로의 통화 감쇠량은 얼마인가?

  1. -20[dB]
  2. -40[dB]
  3. -50[dB]
  4. -60[dB]
(정답률: 72%)
  • 통화 감쇠량은 입력 전류와 출력 전류의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입력 전류 60[mA]와 출력 전류 60[μA]의 비율을 계산하여 로그를 취한 후, -dB 단위로 변환하면 통화 감쇠량이 나옵니다.

    60[mA] / 60[μA] = 1000
    log(1000) = 3
    -10*log(1000) = -30[dB]

    따라서, 이 가입자 선로의 통화 감쇠량은 -30[dB]입니다. 이 보기에서 정답이 "-60[dB]" 인 이유는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신호 레벨이 -10[dBm], 잡음 레벨이 -49[dBm]일 때, 신호대 잡음비는?

  1. 10[dB]
  2. 49[dB]
  3. 39[dB]
  4. 59[dB]
(정답률: 88%)
  • 신호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는 신호의 강도와 잡음의 강도를 비교한 값입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신호와 잡음의 레벨을 동일한 단위로 변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dBm 단위를 사용하므로, 먼저 잡음 레벨을 dBm으로 변환합니다.

    - 잡음 레벨: -49[dBm]

    다음으로, 신호대 잡음비를 계산합니다.

    - 신호대 잡음비: 신호 레벨 - 잡음 레벨 = -10[dBm] - (-49[dBm]) = 39[dB]

    따라서, 정답은 "39[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정류 회로의 직류 전압이 400[V]이고 리플 전압이 4[V]였다. 이 회로의 리플률은 몇 [%]인가?

  1. 1
  2. 2
  3. 3
  4. 5
(정답률: 80%)
  • 리플률은 리플 전압과 직류 전압의 비율로 나타낸 값이다. 따라서 리플률은 (리플 전압 / 직류 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리플률 = (4[V] / 400[V]) x 100 = 1[%] 이다.

    따라서 정답은 "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단상 전파 정류기의 DC출력 전력은 단상 반파 정류기 DC출력 전력의 몇 배인가?

  1. 같다.
  2. 2배
  3. 3배
  4. 4배
(정답률: 84%)
  • 단상 전파 정류기는 입력 전압의 절반만을 이용하여 DC 전압을 출력하므로, 단상 반파 정류기의 DC 출력 전력의 절반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단상 전파 정류기의 DC 출력 전력은 단상 반파 정류기의 DC 출력 전력의 2배가 됩니다. 즉, 4배가 아닌 "2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법」에 따라 용역업자에게 감리를 발주하여야 하는 공사에 해당하는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2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른 전기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기 위한 공사로서 총공사금액이 1억원 이상 2억원 미만인 공사
  2. 6층 미만으로서 연면적 5천 제곱미터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정보통신설비의 설치공사
  3. 대ㆍ개체되는 기존 설비 외의 신설 부분이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 제4조 제1항에 따른 경미한 공사의 범위에 해당되는 공사
  4. 그 밖에 공중의 통신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정보통신설비의 설치공사로서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공사
(정답률: 85%)
  •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른 전기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기 위한 공사로서 총공사금액이 1억원 이상 2억원 미만인 공사는 법적으로 감리를 발주하여야 하는 공사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통신관련 시설의 접지저항을 100[Ω] 이하로 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선로설비 중 선조ㆍ케이블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시설하는 접지
  2. 국선 수용 회선이 200회선 이상인 주배선반
  3. 보호기를 설치하지 않는 구내통신단자함
  4. 철탑이외 전주 등에 시설하는 이동통신용 중계기
(정답률: 87%)
  • 국선 수용 회선이 200회선 이상인 주배선반은 대규모 통신시설이므로 접지저항을 100[Ω] 이하로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는 대규모 통신시설의 특성상 접지저항이 높아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접지저항을 100[Ω] 이하로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홈네트워크 설비 중 폐쇄회로텔레비전 장비의 설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폐쇄회로텔레비전 장비의 카메라는 주차장, 주동출입구, 어린이놀이터, 엘리베이터 등에 설치할 것을 권장한다.
  2. 폐쇄회로텔레비전 장비를 설치하는 때에는, 설치되는 대상시설의 주요부분 등이 조망될 수 있게 설치하여야 한다.
  3. 폐쇄회로텔레비전의 영상은 보안용으로만 사용하고 거주자에게 제공하여서는 아니 된다.
  4. 렌즈를 포함한 폐쇄회로텔레비전 장비는 결로되거나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93%)
  • "폐쇄회로텔레비전의 영상은 보안용으로만 사용하고 거주자에게 제공하여서는 아니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폐쇄회로텔레비전은 거주자의 안전과 보안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거주자에게 제공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개인정보 보호 등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관리와 사용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정보통신공사업법에서 발주 받은 공사에 대한 감리결과를 발주자에게 서면으로 알려야 하는 자는?

  1. 설계업자
  2. 점검업자
  3. 용역업자
  4. 시공업자
(정답률: 83%)
  • 정보통신공사업법에서 발주 받은 공사에 대한 감리결과를 발주자에게 서면으로 알려야 하는 자는 용역업자입니다. 이는 용역업자가 발주자와 직접 계약을 체결하고, 공사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감리결과에 대한 책임도 용역업자에게 있으며, 발주자에게 알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공사업자와 용역업자가 동일인임에도 불구하고 공사와 감리를 함께 한 자에게 처해지는 벌칙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4.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90%)
  • 공사와 감리를 함께 한 자는 공사업자와 용역업자가 동일인이기 때문에, 이는 공사법상 금지되는 행위인 "자기계약"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를 위반한 경우, 공사법 제74조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정보통신설비공사 중 용역업자에게 설계를 발주하지 않아도 되는 경미한 공사는?

  1. 고주파이용 통신설비의 설비공사
  2. 폐쇄회로 TV 설치공사
  3. 간이무선국, 아마추어국 및 실험국 무선설비설치공사
  4. 전력유도방지의 설비공사
(정답률: 84%)
  • 간이무선국, 아마추어국 및 실험국 무선설비설치공사는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고 간단한 설비공사이기 때문에, 별도의 설계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역업자에게 설계를 발주하지 않아도 되는 경미한 공사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도수 분포표로 정리된 데이터를 막대그래프로 표시함으로써 수평이나 수직으로 상호 비교가 쉽도록 나타낸 것은?

  1. 체크시트(Check Sheet)
  2. 파레토도(Pareto Diagram)
  3. 특성요인도(Cause and Effects Diagram)
  4. 히스토그램(Histogram)
(정답률: 88%)
  • 도수 분포표로 정리된 데이터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을 히스토그램이라고 합니다. 히스토그램은 데이터의 분포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각 구간별 빈도수를 쉽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평이나 수직으로 상호 비교가 쉽도록 나타내는 것이 히스토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샘플링 검사 목적에 의한 분류 중 랜덤샘플링 검사 방법에 해당되는 것은?

  1. 층별샘플링검사
  2. 2단계샘플링검사
  3. 취락샘플링검사
  4. 계통샘플링검사
(정답률: 68%)
  • 랜덤샘플링 검사는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모든 개체가 동등한 확률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계통샘플링 검사는 랜덤샘플링 검사 방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계통샘플링 검사는 모집단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개체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모집단의 구조나 패턴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검사하는 시료의 면적이나 길이 등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하는 관리도는?

  1. C관리도
  2. X관리도
  3. U관리도
  4. X-R관리도
(정답률: 78%)
  • U관리도는 검사하는 시료의 면적이나 길이 등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하는 관리도입니다. 이는 이산적인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되며, C관리도나 X-R관리도는 연속적인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됩니다. X관리도는 평균값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리도이며, U관리도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U관리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작업시간연구의 범위에 포하되지 않는 것은?

  1. 간접측정
  2. 마이크로모션연구
  3. 표준자료법
  4. 실적자료법
(정답률: 83%)
  • 마이크로모션연구는 작업시간연구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작업시간연구는 작업의 특성, 작업자의 능력, 작업환경 등을 고려하여 작업시간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마이크로모션연구는 작업자의 근육활동, 관절운동 등을 분석하여 작업의 물리적 요소를 연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마이크로모션연구는 작업시간연구와는 다른 분야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기업정보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회계, 설계, 생산, 자재, 영업 등의 기능을 포괄하는 전사적기업정보시스템의 개념이다.
  2.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는 사물에 부착된 태그를 이용하는 비접촉 무선인식 기술로써 정보를 읽고 관리하는 개념이다.
  3. SCM(Supply Chain Management)은 원재료의 조달부터 제품의 생산 및 배송까지 공급체인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개념이다.
  4.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은 고객의 확보, 고객의 유지, 고객 충실도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통합적 고객관리의 개념이다.
(정답률: 85%)
  •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는 사물에 부착된 태그를 이용하는 비접촉 무선인식 기술로써 정보를 읽고 관리하는 개념이 아니다. KMS는 조직 내에서 지식을 수집, 저장, 공유, 활용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유: KMS는 지식관리 시스템으로, 조직 내에서 지식을 수집, 저장, 공유, 활용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사물에 부착된 태그를 이용하는 비접촉 무선인식 기술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중장기 기술 전력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익명이 보장된 전문가 집단에 대하여 반복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기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브레인스토밍
  2. 명목 그룹 기법
  3. 델파이 기법
  4. 친화도
(정답률: 87%)
  • 델파이 기법은 익명성이 보장된 전문가 집단에 대하여 반복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기법이다. 이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중장기 기술 전력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브레인스토밍은 자유로운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기법, 명목 그룹 기법은 집단 내 의견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법, 친화도는 집단 내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