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10-14)

통신설비기능장
(2017-10-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1. 다음 중 디지털 교환기의 가입자 정합장치의 기본 기능은 무엇인가?

  1. 가입자선 상태 감시 (Supervision)
  2. 프레임 식별(Hsnt During Reframe)
  3. 프레임 정렬(Alignment of Frame)
  4. 클럭 복구(Clock Recovery)
(정답률: 92%)
  • 디지털 교환기의 가입자 정합장치의 기본 기능은 가입자선 상태 감시입니다. 이는 가입자선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통화 중에도 연결이 유지되는지, 끊어졌는지 등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처리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가입자선 상태 감시는 디지털 통신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ATM 교환기 중계선 정합회로 기능인 것은?

  1. 과전압 보호( Over Voltage Protecion)
  2. 경보처리(Alarm Processing)
  3. 내외선 시험(Testing)
  4. 호출신호 송(Ringing)
(정답률: 80%)
  • ATM 교환기에서 중계선은 다수의 회선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계선의 정합회로는 회선의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경보처리는 이러한 중계선의 정합회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감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TM 교환기 중계선 정합회로 기능 중 경보처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발신국 제어 (End-to-End)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발신국 교환기는 중계국까지만 신호를 전송하면 중계국이 다음 중계국이나 착신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2. 이 신호방식은 타 신호방식과 의 접합이 어렵다.
  3. 발신측 교환기에서 다음 중계교환기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신호만 보내주어 착신측 교환기에 연결될 때까지 발신측 교환기의 신호기가 계속 제어를 담당하는 방식이다.
  4. 중계국의 신호장치는 신호수신 기능만 갖고 신호의 재생중계가 없으므로 신호전송시 전송로 품질에 크게 영향을 받고 발신국 신호 송신기는 광범위한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79%)
  • "발신국 교환기는 중계국까지만 신호를 전송하면 중계국이 다음 중계국이나 착신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발신국 교환기에서 다음 중계교환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보내주어 중계국에서 다음 중계교환기나 착신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즉, 발신국 교환기에서도 일부 제어가 이루어지며 중계국에서도 신호의 재생 및 중계가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양자화 방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선형 양자화
  2. 비선형 양자화
  3. 적응형 양자화
  4. 쌍곡선 양자화
(정답률: 85%)
  • 쌍곡선 양자화는 양자화 방식 중 하나가 아닙니다. 쌍곡선은 수학적으로 곡선의 일종으로, 양자화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쌍곡선 양자화는 양자화 방식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HDLC의 필드는?

  1. 플래그 필드
  2. 주소 필드
  3. 제어 필드
  4. FCS 필드
(정답률: 58%)
  • HDLC에서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플래그 필드와 프레임의 목적지를 식별하는 주소 필드는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하는 데에는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제어 필드는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제어 필드는 프레임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HDLC는 정보 프레임, 제어 프레임, 또는 에러 프레임 등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어 필드는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위상편이변조방식(PSK)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위상의 왜곡현상으로 일정 이상의 속도를 내기는 어렵다.
  2. QPSK 방식의 경우 진폭이 동일한 4가지의 위상점이 발생한다.
  3. BPSK 방식은 QPSK 방식 보다 데이터 전송속도가 2배 빠르다.
  4. PSK 계열의 경우 진수 (Level)를 올리면 회로가 복잡해지며 속도는 증가된다.
(정답률: 79%)
  • "BPSK 방식은 QPSK 방식 보다 데이터 전송속도가 2배 빠르다." 인 이유는, BPSK 방식은 1비트당 1개의 위상점을 사용하고, QPSK 방식은 1비트당 2개의 위상점을 사용하기 때문에, BPSK 방식은 QPSK 방식보다 더 높은 데이터 전송속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SK 계열의 경우 진수 (Level)를 올리면 회로가 복잡해지며 속도는 증가된다." 가장 적합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무선통신 채녈의 신호대잡음비(S/N)가 31이고 채널재역폭이 125[kHz] 일 때 최대 전송용량은?

  1. 432[kbps]
  2. 500[kbps]
  3. 625[kbps]
  4. 750[kbps]
(정답률: 88%)
  • 최대 전송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최대 전송용량 = 채널재역폭 x log2(1 + S/N)

    여기서 채널재역폭은 125[kHz], S/N은 31입니다.

    최대 전송용량 = 125[kHz] x log2(1 + 31) = 625[kbps]

    따라서 정답은 625[kbp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디지털 형태를 원래의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비는?

  1. MODEM
  2. CCU
  3. DSU
  4. CODEC
(정답률: 81%)
  • CODEC는 COder-DECoder의 약자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하고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디코딩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디지털 형태를 원래의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MODEM은 모뎀, CCU는 중앙 제어 유닛, DSU는 디지털 서비스 유닛으로, 이들은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장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에서 디지털 변조가 아닌 것은?

  1. ASK
  2. FSK
  3. PSK
  4. DSB
(정답률: 87%)
  • DSB는 직교 변조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디지털 변조가 아닙니다. ASK, FSK, PSK는 모두 직교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변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RFC(Request For Comments) 문서 표준화 단계로 알맞은 것은?

  1. Internet Draft - Draft Standard - Dtandard
  2. Internet Draft - Experimental - Dtandard
  3. Proposed Standard - Draft Standard - Standard
  4. Proposed Standard - Experimental - Standard
(정답률: 78%)
  • RFC 문서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알고리즘, 기술 등을 표준화하기 위한 문서입니다. 이러한 RFC 문서는 표준화 단계를 거쳐야만 인터넷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posed Standard은 RFC 문서가 처음 제안되어 검토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문서가 기술적으로 유효하고 실용적인지 검토됩니다.

    Draft Standard은 Proposed Standard 단계에서 검토를 거쳐 수정된 문서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문서가 구현 가능하고 안정적인지 검토됩니다.

    Standard는 Draft Standard 단계에서 검토를 거쳐 최종적으로 승인된 문서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문서가 인터넷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공식적으로 표준화됩니다.

    따라서, RFC 문서의 표준화 단계는 Proposed Standard - Draft Standard - Standar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PLL(Phase Locked Loop)의 주요 구성이 아닌 것은?

  1. AGC
  2. VCO
  3. LPF
  4. 위상비교기
(정답률: 85%)
  • AGC는 PLL의 주요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AGC는 Automatic Gain Control의 약자로, 입력 신호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회로입니다. PLL은 위상비교기, VCO, LPF 등으로 구성되며, 입력 신호와 VCO 출력 신호의 위상 차이를 감지하여 VCO 주파수를 조절하여 입력 신호와 VCO 출력 신호의 위상 차이를 최소화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중간주파수가 455[kHz]이면, 860[kHz]의 방송에 대한 영상주파수는 얼마인가?

  1. 1,570[kHz]
  2. 1,770[kHz]
  3. 1,970[kHz]
  4. 2,170[kHz]
(정답률: 82%)
  •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는 입력된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처리합니다. 이때, 입력된 고주파 신호와 중간주파수 사이의 차이를 IF (Intermediate Frequency) 라고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중간주파수가 455[kHz]이므로, 860[kHz]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405[kHz]의 IF가 필요합니다. 이때, 영상주파수는 IF와 입력된 고주파 신호의 합 또는 차이가 됩니다.

    따라서, 860[kHz]의 방송에 대한 영상주파수는 1,770[kHz]가 됩니다. 이는 IF인 405[kHz]와 입력된 고주파 신호인 1,365[kHz]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770[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안테나의 손실저항이 발생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접지저항
  2. 도체저항
  3. 복사저항
  4. 유전체 저항
(정답률: 74%)
  • 안테나의 손실저항이 발생하는 원인은 접지저항, 도체저항, 유전체 저항입니다. 그러나 복사저항은 안테나의 손실저항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복사저항은 전자기파가 공간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파동의 에너지 손실로 인한 저항입니다. 이는 안테나의 손실과는 관련이 없으며, 전파의 전달 거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복사저항은 안테나의 손실저항이 발생하는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GP(Ground Plane) 안테나의 지선 레이디얼(Radial)은 무슨 역할을 하는가?

  1. 접지(카운트 포이즈)
  2. 페이딩 방지
  3. 지향성 증가
  4. 혼신방지
(정답률: 84%)
  • GP(Ground Plane) 안테나의 지선 레이디얼(Radial)은 접지(카운트 포이즈) 역할을 합니다. 지선 레이디얼은 안테나의 기준점인 지면과 연결되어 안테나의 전기적인 균형을 맞추고, 안테나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안테나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불필요한 혼신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수직접지 안테나가 공진하고 있을 때 실효고(he)는?

(정답률: 72%)
  • 실효고(he)는 안테나의 길이와 관련이 있으며, 안테나 길이가 반파장의 정수배일 때 공진이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에서 안테나 길이가 1/4파장이므로, 실효고(he)는 반파장의 절반인 2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해서 수진점의 위치, 이동 방향,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2. 4개의 궤도에 12기 정지위성을 구성되어 있으며 4기의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용한다.
  3. 위치 정보와 지고 정보를 조합해서 자동차용 자동 운항 시스템에 이용한다.
  4. 위성에 탑재된 세슘 원자 시계를 기준으로 동기를 맞추고 위치 정보를 계산한다.
(정답률: 90%)
  • 4개의 궤도에 12기 정지위성을 구성되어 있으며 4기의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용한다. -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GPS는 지구 주위를 도는 24개의 위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12개는 주요 위성이고, 나머지 12개는 예비 위성입니다. 이들 위성은 6개의 궤도에 각각 4개씩 분산되어 있습니다. GPS 수신기는 이들 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수신기의 위치, 이동 방향, 속도 등을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델린저(Dellingre) 현상의 전반적인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15일 주기로 발생하고 전자 밀도가 증가한다.
  2. 저위도보다 고위도 지방이 심하다.
  3. 소실 현상 (Fade Out)이라고 한다.
  4. 지속 시간은 2~5일간 계속된다.
(정답률: 75%)
  • 델린저 현상은 소실 현상 (Fade Out)이라고도 불리며, 일정한 주기로 발생하며 전자 밀도가 갑자기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소실 현상 (Fade Out)이라고 한다."가 옳은 선택지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델린저 현상과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제4세대 이동통신의 핵심 기술이 아닌 것은?

  1. OFDM
  2. MIMO
  3. 스마트 안테나
  4. 레이크 수신기
(정답률: 83%)
  • OFDM, MIMO, 스마트 안테나는 모두 제4세대 이동통신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이지만, 레이크 수신기는 그렇지 않습니다. 레이크 수신기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하드웨어 장치로, 제4세대 이동통신의 핵심 기술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IS-95 CDMA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 액세스 채널의 용도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단말기에서 전화를 걸 때
  2. 위치 등록을 실시할 때
  3. 기지국으로부터의 호출에 대해 응답할 때
  4. 통화 중에 기지국에 특정한 제어신호를 보낼 때
(정답률: 69%)
  • 역방향 링크 액세스 채널은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로, 통화 중에 기지국에 특정한 제어신호를 보내는 것은 역방향 링크 액세스 채널의 용도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통화 중에는 주로 전화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인 역방향 링크 음성 채널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이동통신에서 이동국이 다른 이동통신 교환기 서비스 영역 또는 다른 사업자 영역으로 이동하여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은?

  1. 위치등록
  2. 로밍
  3. 핸드오버
  4. 호출
(정답률: 89%)
  • 로밍은 이동통신 사용자가 자신의 소속 사업자가 아닌 다른 사업자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화, 문자, 데이터 통신 등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동통신 교환기 서비스 영역이나 다른 사업자 영역으로 이동해도 통화가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로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21. 다음 중 다원 접속방식에서 이동통신 가입자 수용 용량이 가장 많은 것은?

  1. FDMA
  2. SDMA
  3. CDMA
  4. TDMA
(정답률: 85%)
  • CDMA는 다른 방식들과 달리 주파수 대역폭을 공유하여 사용하므로, 다른 방식들에 비해 더 많은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DMA가 이동통신 가입자 수용 용량이 가장 많은 다원 접속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IPv4 C클래스에서 네트워크 식별자를 27비트만 사용한다면 서브넷 마스크는?

  1. 255.255.255.224
  2. 255.255.255.240
  3. 255.255.255.248
  4. 255.255.255.255
(정답률: 81%)
  • IPv4 C 클래스에서 네트워크 식별자를 27비트만 사용한다면, 나머지 5비트는 호스트 식별자로 사용됩니다. 5비트는 2^5=32개의 호스트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브넷 마스크는 27비트를 모두 1로 채우고, 나머지 5비트를 모두 0으로 채운 "255.255.255.224"가 됩니다. 이는 32개의 호스트를 지원하는 서브넷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IPv4 주소체계에서 [보기]의2진 표현을 10진수로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192.36.30.21
  2. 192.36.30.22
  3. 192.18.15.12
  4. 192.18.15.11
(정답률: 88%)
  • 보기에서 주어진 2진수 표현을 10진수로 변환하면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 11000000 00010010 00001111 00001011 → 192.18.15.11
    - 11000000 00100100 00011110 00010101 → 192.36.30.21
    - 11000000 00100100 00011110 00010110 → 192.36.30.22
    - 11000000 00010010 00001111 00001100 → 192.18.15.12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92.18.15.11"입니다. 이는 2진수 표현에서 첫 번째 바이트가 11000000으로 시작하므로, 이는 192에 해당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바이트는 00010010으로, 이는 18에 해당합니다. 세 번째 바이트는 00001111으로, 이는 15에 해당합니다. 마지막 바이트는 00001011으로, 이는 11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주소는 192.18.15.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화통신망(PSTN) 구성요소 중 통신 채널을 상호 연결시켜 기능을 하는 것은?

  1. 가입자 선로 접속부
  2. 교환 회로망
  3. 교환 제여부
  4. 신호망 접속부
(정답률: 60%)
  • 교환 회로망은 PSTN의 핵심 구성요소로, 가입자 간에 통신 채널을 상호 연결시켜 기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가입자들은 상호간에 통화를 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교환 회로망이 PSTN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상위계층의 데이터에 헤더나 트레일러와 같은 각종 제어 정보를 추가하여 하위계층으로 내려 보내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흐름제어(Flow Control)
  2. 오류제어(Error Control)
  3. 동기화(Synchronous)
  4. 캡슐화(Encapsulation)
(정답률: 87%)
  • 상위계층의 데이터에 제어 정보를 추가하여 하위계층으로 내려 보내는 과정을 캡슐화(Encapsulation)이라고 합니다. 이는 데이터를 보호하고,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즉, 데이터를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추가하여 하위계층으로 전달하는 것이 캡슐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서브넷마스크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IP주소에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별하는 구별자 역할을 한다.
  2. 32비트로 이루어져 있다.
  3. 서브넷 비트열이 ‘0’이면 네트워크 부분으로 인식한다.
  4. 서브넷 비트열이 ‘0’이면 호스트 주소로 인식된다.
(정답률: 85%)
  • 서브넷 비트열이 ‘0’이면 호스트 주소로 인식된다는 설명이 맞지 않습니다. 서브넷 비트열이 ‘0’이면 해당 비트 위치에서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며, ‘1’이면 서브넷 부분을 구분하는 기준이 됩니다. 이는 IP 주소의 클래스에 따라 기본 서브넷 마스크가 정해져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멀티캐스트
  2. 브로드캐스트
  3. 유니캐스트
  4. 애니캐스트
(정답률: 84%)
  • 이미지에서 보이는 컴퓨터는 다른 모든 컴퓨터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있으므로 "브로드캐스트"가 정답입니다. "멀티캐스트"는 특정 그룹의 컴퓨터들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고, "유니캐스트"는 특정한 하나의 컴퓨터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것입니다. "애니캐스트"는 특정한 그룹 중에서 가장 가까운 컴퓨터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사용하는 컴퓨터의 IP Adderss가 165.132.10.21이라면 그 컴퓨터가 속한 Class 와 해당 Class의 등록 가능한 호스트 수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Class B : 216-2
  2. Class B : 28-2
  3. Class C : 216-2
  4. Class C : 28-2
(정답률: 64%)
  • 정답은 "Class B : 216-2"입니다.

    IP 주소의 첫 번째 숫자에 따라 Class A, B, C 등으로 구분됩니다. 주어진 IP 주소 165.132.10.21은 첫 번째 숫자가 128보다 크고 192보다 작으므로 Class B에 속합니다.

    Class B는 첫 번째 두 숫자가 네트워크 주소를 나타내고, 나머지 두 숫자가 호스트 주소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165.132.x.x에서 네트워크 주소는 165.132이고, 호스트 주소는 x.x입니다.

    Class B에서는 호스트 주소를 나타내는 두 숫자가 216-2개의 주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첫 번째 두 숫자를 제외한 나머지 두 숫자가 0과 255일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의 수입니다. 따라서 등록 가능한 호스트 수는 216-2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침입자로부터의 모든 공격을 별도의 시스템으로 유도하여 공격이 성공적으로 보이도록 하면서 침입자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침입탐지시스템의 도구는 무엇인가?

  1. Firewall
  2. Honeypot
  3. Tripwire
  4. Elgamal
(정답률: 88%)
  • Honeypot은 침입자를 유인하여 공격을 받는 척 보이면서 실제로는 가짜 시스템으로 유도하는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침입자의 행동을 추적하고, 공격 패턴을 분석하여 보안 대책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정보보호시스템의 종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방화벽 (Firewall)
  2.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3. VPN(Virtual Private Network)
  4. DoS(Denial of Service)
(정답률: 87%)
  • 정답: DoS(Denial of Service)

    설명: DoS(Denial of Service)는 공격자가 대상 시스템에 대량의 데이터를 보내거나, 시스템 자원을 고갈시켜서 서비스를 정지시키는 공격 방식입니다. 따라서 정보보호시스템의 종류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방화벽은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차단하고, IDS는 내부 또는 외부에서의 침입을 탐지하고, VPN은 인터넷을 통해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DES 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64비트 블록암호이다.
  2. 키의 길이는 56비트이다.
  3. 암호화 과정과 복호화 과정이 상이하다.
  4. 16라운드를 반복한다.
(정답률: 77%)
  • 암호화 과정과 복호화 과정이 상이하다는 설명이 맞지 않습니다. DES 알고리즘에서는 암호화와 복호화 과정이 거의 동일합니다. 다만, 라운드 키의 순서가 반대로 적용되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이는 암호화 과정에서 생성된 라운드 키를 역순으로 적용하여 복호화를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안티-주트킷(Anti-RooKit)의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숨긴 파일 찾기
  2. 수정된 레지스트리 찾기
  3. 보호 해제된 프로세스 탐지
  4. 로그파일 수정
(정답률: 85%)
  • 안티-주트킷의 주요 기능은 숨겨진 파일 찾기, 수정된 레지스트리 찾기, 보호 해제된 프로세스 탐지입니다. 이들은 루트킷이 시스템에 침투하고 숨어있는 상태에서 작동하는 것을 탐지하고 제거하는 데 필요한 기능입니다. 반면, 로그파일 수정은 루트킷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능으로, 로그파일을 수정하는 것은 시스템 보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로그파일 수정은 안티-주트킷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화국 간에 설치되는 시내 통신용 케이블로 관로용과 직매용으로 사용되며 전기적 특성 향상을 위해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2중 절연되어 있어 케이블 심선에 물,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젤리로 충진된 케이블은 무엇인가?

  1. CCP케이블
  2. PVC케이블
  3. FS케이블
  4. PIC케이블
(정답률: 80%)
  • FS케이블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2중 절연되어 있어 전기적 특성 향상을 위해 설치되는 시내 통신용 케이블로, 젤리로 충진되어 물, 습기 침투를 방지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CCP케이블, PVC케이블, PIC케이블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서술한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전송 선로는 무엇인가?

  1. UTP케이블
  2. FS케이블
  3. 광케이블
  4. 동축케이블
(정답률: 92%)
  • 이미지에서 보이는 건물들이 멀리 떨어져 있고, 광케이블은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도 신호 감쇠가 적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전송 선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케이블 포설시 허용 장력이 250[kg], 케이블 무게 4[kg], 지하관로의 마찰계수가 0.5일 때 맨홀의 설치 간격은?

  1. 31.25[m]
  2. 125[m]
  3. 500[m]
  4. 2,000[m]
(정답률: 78%)
  • 케이블의 중력은 4[kg] × 9.8[m/s²] = 39.2[N] 입니다.
    따라서 케이블에 작용하는 최대 장력은 250[kg] × 9.8[m/s²] = 2,450[N] 입니다.

    맨홀 간의 거리를 x[m] 라고 하면, 케이블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0.5 × 9.8[m/s²] × 4[kg] × x[m] / 2 = 19.6x[N] 입니다. (맨홀 중간 지점에서의 마찰력)

    케이블에 작용하는 장력과 마찰력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케이블이 맨홀에 닿아야 합니다.
    따라서 2,450[N] = 19.6x[N] 이므로, x = 125[m] 입니다.

    즉, 맨홀의 설치 간격은 125[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굴절률이 1.5인 유리로 빛이 공기 중에서 수직으로 입사할 때 공기와 유리의 경계에서 반사되는 전력은 몇[%]인가?

  1. 1[%]
  2. 2[%]
  3. 4[%]
  4. 10[%]
(정답률: 68%)
  • 공기와 유리의 경계에서 반사되는 전력은 반사율과 일치합니다. 반사율은 (n1-n2)^2 / (n1+n2)^2 으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n1은 공기의 굴절률인 1이고, n2는 유리의 굴절률인 1.5입니다. 따라서 반사율은 (1-1.5)^2 / (1+1.5)^2 = 0.04, 즉 4%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장거리 광통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가장 알맞게 연결된 것은?

  1. 발광소자 : LD, 수광소자 : APD
  2. 발광소지 : LED, 수광소자 : PIN-PD
  3. 발광소자 : APD, 수광소자 : LD
  4. 발광소자 : PD, 수광소자 : LED
(정답률: 82%)
  • 장거리 광통신 시스템에서는 광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광소자와 광 신호를 감지하는 수광소자가 필요합니다. 발광소자로는 LD(Laser Diode)가 가장 적합하며, 수광소자로는 APD(Avalanche Photodiode)가 가장 적합합니다. LD는 좁은 스펙트럼 폭과 높은 출력을 가지며, APD는 높은 감도와 낮은 잡음 수준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발광소자 : LD, 수광소자 : APD가 가장 알맞게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어떤 광섬유에서 코어의 굴절률(n1)이 1.535이고, 클래드의 굴절률(n2)이 1.490일 때 최대 수광각은 얼마인가?

  1. 15.4°
  2. 19.1°
  3. 21.7°
  4. 25.3°
(정답률: 62%)
  • 최대 수광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sin⁡θ = n₂/n₁

    여기서 n₁은 코어의 굴절률, n₂는 클래드의 굴절률입니다. 따라서,

    sin⁡θ = 1.490/1.535

    sin⁡θ ≈ 0.970

    θ ≈ sin⁻¹(0.970)

    θ ≈ 21.7°

    따라서, 정답은 "21.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광섬유 모드의 종류에 따라 계단형 광섬유와 언덕형 광섬유로 구분한다. 이는 무엇의 기준으로 구분하는가?

  1. 입사광과 반사광의 세기 차
  2. 코어와 클래드의 직경 차
  3. 단일모드와 다중모드 형태
  4. 코어와 클래드의 굴절률 차(분포 형태)
(정답률: 81%)
  • 계단형 광섬유와 언덕형 광섬유는 코어와 클래드의 굴절률 차(분포 형태)에 따라 구분합니다. 계단형 광섬유는 굴절률 차가 크고, 언덕형 광섬유는 굴절률 차가 작습니다. 이는 광섬유 내부에서 광파가 전파될 때 코어와 클래드의 굴절률 차이가 광의 전파 방향에 따라 변화하는데, 이 변화가 계단 형태인지 언덕 형태인지에 따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광단국장치의 광출력 -3.2[dBm], 광재생중계기의 수신 감도 -45[dBm], 광재생중계기의 접속손실 3.5[dB], 시스템 마진 5.5[dB], 광섬유케이블의 광파장 손실이 1.2[dB]일 때 광재생중계기의 설치 간격은 약 얼마인가?

  1. 27.3[㎞]
  2. 35.2[㎞]
  3. 40.7[㎞]
  4. 81.4[㎞]
(정답률: 59%)
  • 광섬유케이블의 광파장 손실이 1.2[dB]이므로, 1[km]당 0.2[dB]의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광섬유케이블의 길이가 L[km]일 때, 광파장 손실은 0.2L[dB]이 된다.

    시스템 마진은 5.5[dB]이므로, 광재생중계기의 입력 신호는 -45[dBm] - 5.5[dB] = -50.5[dBm] 이상이어야 한다.

    광재생중계기의 접속손실이 3.5[dB]이므로, 광재생중계기의 출력 신호는 -50.5[dBm] + 3.5[dB] = -47[dBm] 이상이어야 한다.

    광단국장치의 광출력이 -3.2[dBm]이므로, 광섬유케이블을 통과한 후 광재생중계기의 입력 신호는 -3.2[dBm] - 1.2L[dB] = -50.5[dBm]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L = 27.3[k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41. 수신 신호 레벨이 -15[dBm]인 회선 종단에서 S/N비를 측정했을 때 40[dB]였다. 이 회선의 잡음 레벨은?

  1. -30[dBm]
  2. -55[dBm]
  3. 30[dBm]
  4. 55[dBm]
(정답률: 86%)
  • S/N비는 수신 신호 레벨과 잡음 레벨의 차이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S/N비가 40[dB]이면 수신 신호 레벨과 잡음 레벨의 차이는 40[dB]입니다. 수신 신호 레벨이 -15[dBm]이므로, 잡음 레벨은 -15[dBm] - 40[dB] = -55[dB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5[dB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케이블 매설위치를 탐색하고자 측정기를 매설위치 바로 위의 대지에 놓았을 때 발진음의 상태는?

  1. 수직으로 놓았을 때 최대음, 수평으로 놓았을 때 최소가 된다.
  2. 수직으로 놓았을 때 최소음, 수평으로 놓았을 때 최대가 된다.
  3. 수직, 추평 모두 최대음이 된다.
  4. 수직, 수평 모두 발진음이 나타나지 않는다.
(정답률: 90%)
  • 측정기를 케이블 매설위치 바로 위에 놓았을 때, 측정기와 케이블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어 소리의 진동이 가장 크게 전달되기 때문에 최대음이 발생합니다. 이때 측정기를 수직으로 놓으면 측정기와 케이블 사이의 거리가 가장 작아지기 때문에 최대음이 더욱 크게 발생하게 됩니다. 반면에 측정기를 수평으로 놓으면 측정기와 케이블 사이의 거리가 더 멀어지기 때문에 최소음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수직으로 놓았을 때 최대음, 수평으로 놓았을 때 최소가 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수신기의 감도 측정시 필요하지 않는 것은?

  1. 표준 신호 발생기
  2. 의사안테나
  3. 진공관 전압계(VTVM)
  4. 안테나 전류계
(정답률: 70%)
  • 수신기의 감도는 안테나와 수신기 사이의 신호 전달 효율성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안테나 전류계는 안테나의 전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수신기의 감도 측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안테나 전류계는 수신기의 감도 측정시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수신기의 특성 측정에 의사안테나(Dummy Antenna)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수신기의 압력 전압이 너무 커지기 때문에 사용한다.
  2. 표준 사용상태의 특성을 알기 위하여 사용한다.
  3. 수신기의 입력전압이 너무 작아지기 떄문에 사용한다.
  4. 잡음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69%)
  • 수신기의 특성을 측정할 때, 실제 안테나를 사용하면 외부 잡음이나 신호의 영향을 받아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의사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기의 표준 사용상태의 특성을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수신기의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광섬유 케이블의 포설이 끝난 후 접속 부분의 손실 정도를 비파괴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1. INF 방법
  2. 파필드 방법
  3. RNF 방법
  4. OTDR 방법
(정답률: 94%)
  • OTDR 방법은 광섬유 케이블의 끝에서 발생한 광 신호를 측정하여 광섬유 케이블 내부의 손실 정도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의 포설이 끝난 후 접속 부분의 손실 정도를 비파괴적으로 알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INF 방법, 파필드 방법, RNF 방법은 광섬유 케이블의 손실을 측정하는 다른 방법들이지만, OTDR 방법에 비해 정확도와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OTDR로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광섬유의 거리
  2. 광섬유의 접속손실
  3. 광섬유의 절단점(파단점)
  4. 광섬유의 분산
(정답률: 79%)
  • OTDR은 광섬유의 거리, 접속손실, 절단점(파단점)을 측정할 수 있지만, 광섬유의 분산은 측정할 수 없습니다. 광섬유의 분산은 광신호가 전송되면서 시간에 따라 퍼지는 현상으로, OTDR은 광섬유 내부의 반사 신호를 측정하여 거리와 손실을 계산하는데, 분산은 이러한 반사 신호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광섬유의 분산을 측정하려면 다른 장비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직류 출력 전압이 무부하일 때 250[V], 전부하일 때 225[V]이면 이 정류기의 전압변동률은 약 몇 [%]인가?

  1. 10.0
  2. 11.1
  3. 15.1
  4. 22.2
(정답률: 74%)
  • 전압변동률은 ((무부하전압-전부하전압)/무부하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50-225)/250) x 100 = 10%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되어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11.1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정류 회로의 직류 전압이 400[V]이고 리플 전압이 4[V]였다. 이 회로의 이플률은 몇 [%]인가?

  1. 1
  2. 2
  3. 3
  4. 5
(정답률: 85%)
  • 정류 회로에서 리플 전압은 정류된 직류 전압의 변동폭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회로의 리플 전압이 4[V]이므로, 정류된 직류 전압의 변동폭은 4[V]이며, 이는 400[V]의 1%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회로의 이플률은 1%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방송통신 재난에 대비하기 위하여 수립하여 방송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1. 비상용 무선통신 중계망 구성 및 운용
  2. 우회 방송통신 경로의 확보
  3. 방송통신설비의 연계 운용을 위한 정보체계의 구성
  4. 피해복구 물자의 확보
(정답률: 60%)
  • 비상용 무선통신 중계망 구성 및 운용은 방송통신 재난 대응을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재난 발생 시 통신망이 마비되었을 때 대안적인 통신망을 구성하여 응급 상황에서의 통신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방송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에서 정하는 “통신설비 공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통신선로 설비공사
  2. 방송전송∙선로 설비 공사
  3. 고정무선통신 설비 공사
  4. 이동통신 설비 공사
(정답률: 74%)
  • 방송전송∙선로 설비 공사는 방송과 관련된 설비 공사이기 때문에,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에서 정하는 "통신설비 공사"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통신관련 시설의 접지저항을 100[Ω] 이하로 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선로설비 중 선로∙케이블에 대하여 일전 간격으로 시설하는 접지
  2. 국선 수용 회선이 200회선 이상인 주배선반
  3. 보호기를 설치하지 않는 구내통신단자함
  4. 철탑이외 전주 등에 시설하는 이동통신용 중계기
(정답률: 82%)
  • 국선 수용 회선이 200회선 이상인 주배선반은 대규모 통신 시설이므로 접지저항을 100[Ω] 이하로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대규모 통신 시설은 전기적인 노이즈와 간섭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통신을 위해 접지저항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지만, 회선이 많은 주배선반은 접지저항을 100[Ω] 이하로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접지저항을 100[Ω] 이하로 유지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및 기술기준」 에서 정하는 원격제어기가 아닌 것은?

  1. 가스벨브제어기
  2. 조명제어기
  3. 창문개폐제어기
  4. 난방제어기
(정답률: 87%)
  • 창문개폐제어기는 원격으로 조작할 수 없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및 기술기준」에서 정하는 원격제어기가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원격으로 조작 가능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방송통신설비의 안전성 및 신뢰성에 대한 기술기준」의 통신국사 및 통신기계실의 조건 관련 항목이 아닌 것은?

  1. 우량 및 적설량 관리
  2. 출입제한 기능
  3. 화재의 경보∙소화
  4. 온∙습도 관리
(정답률: 77%)
  • "우량 및 적설량 관리"는 기상상황과 관련된 내용으로, 방송통신설비의 안전성 및 신뢰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해당 기준의 통신국사 및 통신기계실의 조건 관련 항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감리란 누구의 위탁을 받은 용역업자가 설계도서 및 관련규정의 내용대로 시공되는 감독하는 것은?

  1. 공사업자
  2. 점검업자
  3. 조사업자
  4. 발주자
(정답률: 84%)
  • 감리는 발주자가 용역업자에게 공사를 위탁할 때, 발주자가 설계도서 및 관련 규정에 따라 시공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감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감리는 발주자의 책임하에 이루어지는 것이며, 발주자가 감리를 통해 공사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합격할 로트의 품질(AQL)을 정하고 이 수준보다 높은 품질의 로트에 대해 함격시킬 것을 공급자측에 보증하는 샘플링 기법은?

  1. 계수값 샘플링 검사
  2. 조정형 샘플링 검사
  3. 규준형 샘플링 검사
  4. 선별형 샘플링 검사
(정답률: 69%)
  • 계수값 샘플링 검사는 합격할 로트의 품질(AQL)을 정하고 이 수준보다 높은 품질의 로트에 대해 함격시킬 것을 공급자측에 보증하는 샘플링 기법입니다. 이는 로트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샘플에서 불량품의 수를 계산하여 AQL에 따라 합격 또는 불합격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계수값"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며, 이는 샘플에서 불량품의 수를 계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공수계획의 기본적인 방침이 아닌 것은?

  1. 부하와 능력의 균형화
  2. 가동률의 향상
  3. 일정별 부하의 변동방지
  4. 가공방법의 합리화
(정답률: 69%)
  • 가공방법의 합리화는 공수계획의 기본적인 방침이 아니라는 것은, 공수계획의 목적이 생산성 향상과 일정 관리에 있기 때문입니다. 가공방법의 합리화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법 중 하나이지만, 공수계획의 기본적인 방침은 부하와 능력의 균형화, 가동률의 향상, 일정별 부하의 변동방지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가공방법의 합리화는 공수계획의 보조적인 요소로서 고려될 수 있지만, 기본적인 방침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동일한 종류의 제품을 대량 생상하는 산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제조형태로 20세기초 포드자동차가 기존의 간속생상시스템을 탈피하고 대량 생상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시스템을 도입한 것에서 시작된 것은?

  1. 고정생산시스템
  2. 단속생산시스템
  3. 유연생산시스템
  4. 연속생산시스템
(정답률: 88%)
  •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품을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방식을 연속생산시스템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포드자동차가 대량 생산을 위해 도입한 컨베이어 시스템은 연속생산시스템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표준시간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로와 지연을 수반하지 않은 최상의 페이스를 기준으로 한다.
  2. 적정한 숙련도를 지닌 작업자를 기준으로 한다.
  3. 주어진 작업조건하에서의 구정된 작업방법을 기준으로 한다.
  4. 규정된 품질을 만족시기는 1단위 작업의 수행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정답률: 82%)
  • 정답은 "규정된 품질을 만족시기는 1단위 작업의 수행시간을 기준으로 한다."입니다. 이유는 표준시간은 작업자의 능력이나 작업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와 지연을 고려하지 않은 최상의 페이스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옳습니다. 하지만 규정된 품질을 만족시키는 1단위 작업의 수행시간을 기준으로 삼는 것은 작업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작업시간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작업관리에서 공정분석 기호 표시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작업 : ○
  2. 저장 : ◇
  3. 검사 : □
  4. 운반 : →
(정답률: 79%)
  • 저장은 작업의 일부가 아니므로 작업과 연결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저장 : ◇이 올바른 표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생산관리에서 설비보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보전예방
  2. 예방보전
  3. 사후보전
  4. 개량경영
(정답률: 73%)
  • 보전예방, 예방보전, 사후보전은 모두 설비보전의 종류에 해당하지만, 개량경영은 생산관리에서의 다른 개념이므로 설비보전의 종류가 아닙니다. 개량경영은 제조공정의 개선과 혁신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경영 방법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