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5-24)

통신설비기능장
(2020-05-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1. 다음 중 ATM 교환기 중계선 정합회로 기능인 것은?

  1. 과전압 보호(Over Voltage Protection)
  2. 경보처리(Alarm Processing)
  3. 내외선 시험(Testing)
  4. 호출신호 송출(Ringing)
(정답률: 81%)
  • ATM 교환기에서 중계선은 다른 장비와의 연결을 위한 회선으로 사용됩니다. 이 중계선의 정합을 확인하는 기능은 경보처리(Alarm Processing)입니다. 이 기능은 중계선의 정합이 올바르지 않을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경보처리가 ATM 교환기 중계선 정합회로의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전자 교환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축적 프로그램 제어 기술을 사용한다.
  2. 통화로와 제어계로 명확히 구별되어 있다.
  3. 신뢰성은 높으나 잔고장이 많고 수명이 짧다.
  4. 새로운 서비스의 적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정답률: 88%)
  • 전자 교환기에 대한 설명 중 '신뢰성은 높으나 잔고장이 많고 수명이 짧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전자 교환기는 축적 프로그램 제어 기술을 사용하여 통화로와 제어계로가 명확하게 구별되어 있으며, 신뢰성이 높습니다. 또한, 전자 교환기는 잔고장이 적고 수명이 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전자 교환기의 프로그램 제어 기술 덕분에 새로운 서비스의 적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점이 맞습니다. 따라서 '신뢰성은 높으나 잔고장이 많고 수명이 짧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시분할 방식을 사용하는 전자교환기는?

  1. AXE-10 ESS
  2. M10CN ESS
  3. No. 1A ESS
  4. X-bar 교환기
(정답률: 85%)
  • 시분할 방식은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전화를 걸어도 서로 간섭 없이 통화할 수 있도록 시간을 분할하여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을 사용하는 전자교환기는 AXE-10 ESS입니다. AXE-10 ESS는 시분할 방식을 사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M10CN ESS, No. 1A ESS, X-bar 교환기는 다른 방식의 교환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데이터 신호속도 4,800[bps]인 모뎀에서 4위상 PSK를 사용할 때 변조속도는?

  1. 1,200 [bps]
  2. 2,400 [bps]
  3. 1,200 [baud]
  4. 2,400 [baud]
(정답률: 67%)
  • 4위상 PSK에서는 2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800 [bps]의 모뎀에서는 2,400 [baud]의 변조속도를 사용하여 1초당 2,400 번의 심볼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는 1초당 4,800 [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2,400 [bau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가정의 수상기로 인입하는 드롭선(Drop wire)이 분기되기 직전 지점에 부착되어 있으며 대부분 전주에 금속(Aluminum) 케이스로 설치되어 가정의 유선방송으로 분기시작이 되는 것은?

  1. Tap off
  2. DLNA
  3. LMDS
  4. Head-end
(정답률: 73%)
  • 가정의 수상기로 인입하는 드롭선이 분기되기 직전 지점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Tap off"라고 합니다. 이는 분기되는 지점에서 일부 신호를 떼어내어 다른 장치로 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Tap off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데이터 전송 제어를 위해 패리티 검사(Parity-Check)를 사용하는 이유는?

  1. 데이터 링크를 확립
  2. 전송 용량을 확대
  3. 전송된 부호의 오류를 검출
  4. 통신 속도를 향상
(정답률: 92%)
  • 패리티 검사는 데이터 전송 중에 전송된 데이터의 비트 수를 세어서 홀수 개의 비트가 전송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검사할 수 있습니다. 만약 전송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다면, 패리티 비트가 일치하지 않아 오류가 검출됩니다. 따라서 패리티 검사는 전송된 부호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시분할 다중화 방식에서 신호파의 최고 주파수를 6[kHz]라고 하면, 최소의 표본화 주파수는?

  1. 6[kHz]
  2. 12[kHz]
  3. 18[kHz]
  4. 24[kHz]
(정답률: 75%)
  • 시분할 다중화 방식에서는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전송하므로, 표본화 주파수는 전체 주파수 대역폭의 절반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최소의 표본화 주파수는 12[kHz]가 됩니다. 이유는 최고 주파수가 6[kHz]이므로, 전체 주파수 대역폭은 12[kHz]이며, 이를 절반 이상인 6[kHz] 이상의 표본화 주파수로 설정해야 신호를 충분히 복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표본화주파수=2f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데이터 전송시 발생되는 에러를 수신측에서 검출 및 정정이 가능한 방식은 무엇인가?

  1. FEC 방식
  2. ARQ 방식
  3. CRC 방식
  4. 블록합검사 방식
(정답률: 74%)
  • FEC 방식은 전송 데이터에 일정한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수신측에서는 추가된 패리티 비트를 이용하여 에러를 검출하고, 필요한 경우 정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FEC 방식은 수신측에서 에러를 검출 및 정정이 가능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메시지 교환방식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속도와 코드가 상이한 다른 단말기의 통신은 불가능하다.
  2. 축적 및 처리기능을 이용하여 메시지의 방송 및 동시 전송이 가능하다.
  3. 실시간 또는 상호 대화형식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부적합하다.
  4. 통신회선상에서 메시지 단위의 빈 시간이 있어야 전송 가능하므로 전송지연이 매우 크다.
(정답률: 68%)
  • "속도와 코드가 상이한 다른 단말기의 통신은 불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프로토콜의 존재로 인해 서로 다른 속도와 코드를 사용하는 단말기 간에도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터넷에서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단말기 간에도 통신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데이터 단말장치(DTE)의 입력 장치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키보드
  2. 프린터
  3. OCR(Optical Character Reader)
  4. OMR(Optical Mark Reader)
(정답률: 89%)
  • 데이터 단말장치(DTE)의 입력 장치부에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들이 포함되는데, 키보드, OCR(Optical Character Reader), OMR(Optical Mark Reader)은 모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입니다. 하지만 프린터는 출력 장치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프린터는 데이터 단말장치(DTE)의 입력 장치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통신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착·발신 신호 송출 기능
  2. 타 사업자망과의 망연동 기능
  3. 위치 등록 기능
  4. 과금 및 통계 데이터의 저장 기능
(정답률: 67%)
  • 이동통신교환국(MSC)의 주요 기능 중 "착·발신 신호 송출 기능"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MSC는 이동통신망에서 중앙 제어 역할을 하며, 타 사업자망과의 망연동 기능, 위치 등록 기능, 과금 및 통계 데이터의 저장 기능 등을 수행합니다. "착·발신 신호 송출 기능"은 이동단말과 기지국 간의 통신을 위한 기능으로, 기지국에서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MSC로 전달하고, MSC에서는 이를 다시 기지국으로 송출합니다. 이는 MSC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파수 공용 통신 시스템(TRS)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통화 범위가 넓다.
  2. 통화 요금이 비싸다.
  3. 혼신이 적다.
  4. 즉시 음성 통화가 가능하다.
(정답률: 88%)
  • '통화 요금이 비싸다'는 주파수 공용 통신 시스템(TRS)의 특징이 아닌 것입니다.

    TRS는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주파수를 공동으로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통화 범위가 넓고, 혼신이 적으며, 즉시 음성 통화가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그러나 통화 요금이 비싸다는 것은 TRS의 특성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TRS의 요금 구조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 서비스 제공자의 정책, 그리고 지역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TRS 자체의 특성으로 '통화 요금이 비싸다'를 꼽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루프(Loop) 안테나는 어떤 지향성을 갖는가?

  1. 단방향 지향성
  2. 전방향 지향성
  3. 8자 지향성
  4. 무지향성
(정답률: 87%)
  • 루프 안테나는 8자 지향성을 갖습니다. 이는 안테나의 형태가 8자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테나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모두에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CDMA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전력 세기에 따라 이동국 출력을 조정하여 근사적으로 기지국에 도달하는 이동국 출력을 최소화하는 전력제어 방식은?

  1. 개방루프 전력제어(Open Loop Power Control)
  2. 페루프 전력제어(Closed Loop Power Control)
  3. 내부루프 전력제어(Inner Loop Power Control)
  4. 외부루프 전력제어(Outer Loop Power Control)
(정답률: 84%)
  • CDMA 시스템에서 개방루프 전력제어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전력 세기에 따라 이동국 출력을 조정하여 근사적으로 기지국에 도달하는 이동국 출력을 최소화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전력 세기가 강할수록 이동국의 출력을 낮추어 기지국에 도달하는 전력을 최소화하고, 수신전력 세기가 약할수록 이동국의 출력을 높여 기지국에 도달하는 전력을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단순하고 빠르게 동작하며,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실시간 전력제어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주요 기술 부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MIMO 기술
  2. SDR 기술
  3. QAM 기술
  4. 스마트 안테나 기술
(정답률: 76%)
  • QAM 기술은 주파수 변조 방식 중 하나로, 4세대 이동통신에서 사용되는 주요 기술 부류에는 속하지 않습니다. QAM 기술은 주로 유선 통신에서 사용되며, 이동통신에서도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일부 적용될 수는 있지만, 주요 기술 부류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AM 변조에서 반송파 신호가 20[W]이고 변조도가 50[%]일 때 변조신호는 얼마인가?

  1. 20.5[W]
  2. 22.5[W]
  3. 24.5[W]
  4. 26.5[W]
(정답률: 79%)
  • AM(진폭 변조)에서 변조도(modulation index)는 진폭 변조된 신호의 최대 진폭과 반송파만의 진폭 사이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변조도가 50% (또는 0.5)인 경우, 변조되는 신호의 진폭은 반송파 진폭의 절반입니다.

    AM에서 총 전력은 반송파 전력 + 상측 밴드 전력 + 하측 밴드 전력으로 구성됩니다. 변조도(m)가 주어졌을 때, 상측 밴드 및 하측 밴드 각각은 반송파 전력의 (m^2)/4 만큼의 전력을 가집니다. 따라서 총 전력(Pt)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습니다:

    Pt = Pc + 2 * (Pc * (m^2)/4)

    여기서 Pc는 반송파 전력이고, Pt는 총 변조 신호의 전력입니다.

    이 경우 반송파 전력(Pc)이 20W이고, 변조도(m)가 0.5(50%)이므로:

    Pt = 20W + 2 * (20W * (0.5^2)/4)
    = 20W + 2 * (20W * 0.25/4)
    = 20W + 2 * (20W * 0.0625)
    = 20W + 2 * 1.25W
    = 20W + 2.5W
    = 22.5W

    즉, 변조 신호의 총 전력은 22.5W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22.5[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페이딩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버시티가 아닌 것은?

  1. 공간 다이버시티
  2. 산란 다이버시티
  3. 주파수 다이버시티
  4. 편파 다이버시티
(정답률: 78%)
  • 다이버시티(Diversity) 방식은 무선 통신에서 신호 경로의 다양성을 통해 페이딩이나 간섭과 같은 신호의 품질 저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다이버시티에는 여러 유형이 있는데, 여기에 제시된 유형 중에서 '산란 다이버시티'는 일반적인 다이버시티 방식 가운데 하나로 꼽히지 않습니다.

    -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진 위치에 안테나를 배치함으로써 각기 다른 경로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입니다.
    -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한 정보를 전송하여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는 페이딩의 영향을 줄이는 방식입니다.
    - 편파 다이버시티(Polarization Diversity): 서로 다른 편파(polarization)를 가진 안테나를 사용하여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입니다. 편파는 전기장(E-field)의 진동 방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산란 다이버시티'는 다이버시티 유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신호의 산란은 보통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수단이 아니라 무선 신호 경로에 영향을 주는 현상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위성의 상태, 거리, 위치 등의 데이터를 위성제어센터에 전달하고, 위성제어센터의 명령신호를 받아 위성에 보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1. 원격상태 추적명령(TT&C) 시스템
  2. 통신망 제어센터(NCC)
  3. 궤도내 시험(IOT) 시스템
  4. 위성 버스(BUS)
(정답률: 83%)
  • 위성의 상태, 거리, 위치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위성제어센터의 명령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원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격상태 추적명령(TT&C) 시스템"이 수행하는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AM 송신기의 기본이 되는 반송파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무엇인가?

  1. 증폭부
  2. 변조부
  3. 발진부
  4. 안테나
(정답률: 70%)
  • AM 송신기에서 반송파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발진부입니다. 발진부는 고주파 진동회로로,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반송파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AM 송신기에서는 발진부가 없으면 반송파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위성통신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주로 SHF주파수를 이용하여 위성의 중계를 거쳐 먼 거리까지 통신하는 방식이다.
  2. 정지궤도위성은 지구의 공전주기와 같아서 지표면에서 보면 위성이 상공의 한 지점에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위성이다.
  3. 지구의 정지 궤도에 떠 있는 위성이 중계소 역할을 한다.
  4. 다중접속 기술을 이용해 여러 지상국이 위성을 공유한다.
(정답률: 76%)
  • 정지궤도 위성은 지구의 '자전'주기와 같기때문에 "정지궤도위성은 지구의 공전주기와 같아서 지표면에서 보면 위성이 상공의 한 지점에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위성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 지구의 자전주기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21. 다음 중 UADSL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가입자 양단에 설치하는 스플리터를 사용하지 않고 전송 속도를 줄여 장비 가격을 낮출 DSL 기술이다.
  2. 광케이블의 종단점에서 가입자 댁내까지만의 가입자 선로를 고속화한 DSL 기술이다.
  3. 2쌍의 동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양 방향 대칭으로 TI/EI속도를 제공하는 DSL 기술이다.
  4. 날씨 영향 등 회선 상태에 영향을 줄 때도 최대한의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게 조정하는 DSL 기술이다.
(정답률: 65%)
  • "가입자 양단에 설치하는 스플리터를 사용하지 않고 전송 속도를 줄여 장비 가격을 낮출 DSL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서브넷마스크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별하는 구별자 역할을 한다.
  2. 32비트로 이루어져 있다.
  3. 서브넷 비트열이 ‘0’이면 네트워크 부분으로 인식된다.
  4. 서브넷 비트열이 ‘0’이면 호스트 주소로 인식된다.
(정답률: 79%)
  • 서브넷 비트열이 ‘0’이면 네트워크 부분으로 인식된다는 설명이 맞지 않습니다. 서브넷 비트열이 ‘0’이면 해당 비트 위치에서는 서브넷이 구분되지 않고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기본적인 클래스마스크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서브넷 비트열이 ‘0’이면 해당 비트 위치에서는 네트워크 부분으로도 호스트 주소로도 인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MAC주소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데이터 링크계층에 속한다.
  2. 32비트의 길이를 사용한다.
  3. 물리적 구조를 나타낸다.
  4.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 발송 시 MAC 주소로 변경된다.
(정답률: 61%)
  • '32비트의 길이를 사용한다.'는 MAC 주소에 대한 설명으로서 맞지 않는 내용입니다.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로,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 NIC)에 할당되며, 물리적 구조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MAC 주소의 길이는 32비트가 아닌 48비트입니다. 이는 6바이트로 표현되며, 16진수 12자리(2진수 48자리)로 구성됩니다.

    나머지 세 가지 설명은 모두 MAC 주소에 대한 올바른 내용입니다. MAC 주소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 속하며, 물리적 구조를 나타내고,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 발송 시 MAC 주소로 변경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IPTV에서 1[GB] 용량의 영화를 1[Gbps] 전송속도로 다운로드하면 소요시간은?

  1. 1초
  2. 2초
  3. 4초
  4. 8초
(정답률: 83%)
  • 1GB(기가바이트)의 영화를 1Gbps(기가비트/초)의 전송속도로 다운로드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려면 먼저 기가바이트(GB)를 기가비트(Gb)로 변환해야 합니다. 1GB는 8Gb와 같습니다. 그러므로, 1GB 영화를 다운로드하는데는 8Gb를 1Gbps로 전송하는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따라서, 다운로드에 필요한 시간은 8초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변은 '8초' 입니다.

    1Byte = 8bit
    1GB = 8Gb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애드혹(ad-hoc) 및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ANET은 이동 노드만으로 구성된 자율적이로 수평적인 네트워크 형태의 구성을 제공한다.
  2. MANET은 네트워크의 토폴로지가 빈번하게 변화하지 않으므로 안정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3. USN 구현 기술은 센서 및 노드 기술, USN 센서 네트워크 기술, BcN 연동 기술, USN 미들웨어 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4. USN 미들웨어 기술은 응용 서비스 시스템과 센서도느 중간에 위치하여 이들의 원활한 상호 동작을 지원한다.
(정답률: 71%)
  • 정답: MANET(Mobile Ad hoc Network)은 네트워크의 토폴로지가 빈번하게 변화하지 않으므로 안정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옳은 설명)

    해설:
    - 애드혹(ad-hoc) 네트워크는 인프라 없이 이동 노드끼리 직접 통신하는 네트워크이다.
    - 센서 네트워크는 센서들이 서로 통신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전달하는 네트워크이다.
    - MANET(Mobile Ad hoc Network)은 이동 노드만으로 구성된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네트워크 형태의 구성을 제공한다. 이동 노드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노드의 이동이나 추가/제거 등으로 인해 네트워크의 토폴로지가 빈번하게 변화할 수 있다.
    - USN 구현 기술은 센서 및 노드 기술, USN 센서 네트워크 기술, BcN 연동 기술, USN 미들웨어 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 USN 미들웨어 기술은 응용 서비스 시스템과 센서들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의 원활한 상호 동작을 지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사람을 비방할 목적으로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공공연하게 거짓의 사실을 드러내어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한 자의 벌칙은?

  1. 1년 이하의 징역, 5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7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3. 5년 이하의 징역, 7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4. 7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70%)
  • 사람을 비방할 목적으로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공공연하게 거짓의 사실을 드러내어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는 명예훼손죄로 처벌됩니다. 이때, 처벌의 기준은 피해자의 명예훼손 정도와 가해자의 범행 의도, 수단, 방법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적절한 답은 가해자에게 7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를 설명한 것이다. 다음 중 신뢰성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프로토콜(TCP)은?

  1.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2.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3. FTP(File Transfer Protocol)
  4. SMTP(Simple Mail Trasfer Protocol)
(정답률: 69%)
  • "HTTP, FTP, SMTP"는 TCP기반의 신뢰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 입니다. 반면, SNMP는 UDP를 기반으로 하며, 신뢰성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SNM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암호화 방식인 비밀키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암호키는 공개하고 해독키는 비밀로 한다.
  2.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한다.
  3. 암호화, 복호화 속도가 느리며 알고리즘이 복잡하다.
  4. 키의 분배가 용이하고 관리해야 할 키의 개수가 적다.
(정답률: 71%)
  • 정답은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한다." 입니다.

    비밀키 알고리즘은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이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때 동일한 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키가 유출되지 않는 한 안전하게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키의 분배가 용이하고 관리해야 할 키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대규모 시스템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자서명 사용시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노출에 대한 보호와 전자화폐 이용시 사용자의 신원노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은?

  1. 은닉서명
  2. 암호서명
  3. 비밀서명
  4. 이중서명
(정답률: 74%)
  • 은닉서명은 전자서명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개인키를 직접 노출시키지 않고, 임의의 무작위 값인 블라인드(blinding factor)를 이용하여 전자서명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키가 노출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며, 동시에 전자화폐 이용시 사용자의 신원노출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 개인의 컴퓨터나 휴대폰, 사내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이나 문서, 이미지, 영상 파일 등을 암호화하여 열지 못하도록 만든 후 온라인 전자화폐 지불시 해독용 암호 키를 주겠다며 금품을 요구하는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Ransomware
  2. Spyware
  3. DDoS
  4. Dropper
(정답률: 89%)
  • Ransomware는 파일을 암호화하여 열지 못하도록 만든 후 금전적 이득을 위해 해독용 암호 키를 요구하는 악성 소프트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광파이버에서 광의 입사각 조건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1. 코어
  2. 클래드
  3. 편심률
  4. 개구수(Numerical Aperture)
(정답률: 79%)
  • 개구수는 광섬유에서 광을 전달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광섬유의 코어와 클래드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결정되며, 광섬유에 입사하는 광의 최대 입사각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광파이버에서 광의 입사각 조건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개구수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통신선로 공사 시 루트 선정 조건을 알맞지 않은 것은?

  1. 선로의 거리가 최단거리인 도로
  2. 유도방행, 전식 또는 화학 부식이 적은 도로
  3. 지질이 양호하여 함몰, 붕괴, 유출될 염려가 없는 도로
  4. 지하매설물이 많고 또한 지하관로 공사가 쉬운 도로
(정답률: 86%)
  • 통신선로 공사 시 루트 선정 조건에 대한 설명 중 '지하매설물이 많고 또한 지하관로 공사가 쉬운 도로'는 알맞지 않은 조건입니다.

    통신선로 공사 시 루트 선정은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선로의 거리가 최단인 도로, 유도방행이나 전식, 화학 부식이 적은 도로, 그리고 지질이 양호하여 함몰, 붕괴, 유출될 염려가 없는 도로 등이 기본적인 고려사항입니다.

    그러나 '지하매설물이 많은 도로'는 통신선로 공사에 어려움을 주는 요소로, 지하매설물이 많다는 것은 공사 시 충돌이나 손상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지하매설물이 적고, 지하관로 공사가 용이한 도로를 선정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괌섬유 접속 방법에서 접속손실이 가장 적은 것은?

  1. 기계식 접속
  2. 융착 접속
  3. 슬리브 접속
  4. 커넥터 접속
(정답률: 84%)
  • 융착 접속은 광섬유를 녹여서 연결하는 방식으로, 다른 방식에 비해 접속부위가 적어 접속손실이 가장 적습니다. 또한, 접속부위가 적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광케이블을 포설 후 융찹접속을 하고자 한다. 작업순서가 알맞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8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UTP 케이블 종류에 따른 카테로기별 쓰임이 틀린 것은

  1. CAT2 : 인터넷 백본망
  2. CAT3 : 10BaseT Ethernet 데이터 및 음성 전송
  3. CAT5 : 100[Mbps] Fast Ethernet Network
  4. CAT6 : 1[Gbps] 네트워크 구성
(정답률: 77%)
  • 주어진 카테고리별 UTP 케이블의 쓰임 중에서 'CAT2 : 인터넷 백본망'이 잘못된 정보입니다.

    CAT2 UTP 케이블은 주로 전화선이나 저속의 데이터 네트워크에 사용되며, 최대 4 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합니다. 따라서 인터넷 백본망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다른 카테고리별 UTP 케이블의 쓰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AT3: 주로 전화선으로 사용되며, 10 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여 10BaseT Ethernet 데이터 및 음성 전송에 사용됩니다.
    2. CAT5: 최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여 100BaseT (Fast Ethernet) 네트워크에 사용됩니다.
    3. CAT6: 최대 1 G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여 1 Gbps 네트워크 구성에 사용됩니다. 또한, 특정 조건에서는 10 G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굴절률이 1.5 인 유리로 빛이 공기중에서 수직으로 입사할 때 공기와 유리의 경계에서 반사되는 전력은 몇 [%]인가? (단, 공기의 굴절율은 1이다.)

  1. 1[%]
  2. 2[%]
  3. 4[%]
  4. 10[%]
(정답률: 71%)
  • 공기와 유리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전력은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은 경우에 최대가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공기와 유리의 경계면에서 빛이 수직으로 입사하므로, 입사각은 0도이다. 따라서 반사각도 0도이며, 이는 경계면에서 수직으로 반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사되는 전력은 반사율에 의해 결정된다. 반사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반사율 = (반사광의 세기) / (입사광의 세기)

    반사광의 세기는 반사되는 빛의 세기를 의미하며, 입사광의 세기는 입사하는 빛의 세기를 의미한다.

    수직으로 입사하는 경우, 반사율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다.

    반사율 = ((n1 - n2) / (n1 + n2))^2

    여기서 n1은 입사하는 매질의 굴절률이고, n2는 반사하는 매질의 굴절률이다.

    공기의 굴절률은 1이고, 유리의 굴절률은 1.5이므로,

    반사율 = ((1 - 1.5) / (1 + 1.5))^2 = 0.04 = 4%

    따라서, 공기와 유리의 경계에서 반사되는 전력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송선로의 종단이 단락 되었을 경우 전압 반사계수(m)는 얼마인가?

  1. -2
  2. -1
  3. 0
  4. 무한대
(정답률: 82%)
  • 전송선로의 종단이 단락(Short) 되었을 경우, 전압 반사계수(reflection coefficient)는 '-1'이 됩니다.

    전압 반사계수는 전송선로의 종단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반사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종단이 개방(Open)일 경우 전압 반사계수는 '1'이며, 종단이 단락(Short)일 경우 전압 반사계수는 '-1'이 됩니다. 이는 전송선로의 종단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반사가 전송선로의 입력 신호와 반대 방향으로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신기의 감도 측정은 다음 중 어느 상태에서 하는가?

  1. 무의 최대 출력시
  2. 신호대 잡음비를 규정한 상태에서
  3. 이득 조정기를 최대로 한 상태에서
  4. 최대 출력시
(정답률: 82%)
  • 수신기의 감도 측정은 신호대 잡음비를 규정한 상태에서 하는 것이다. 이는 수신기가 신호를 받을 때 잡음과 같은 불필요한 신호도 함께 받게 되는데, 이 때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해 신호대 잡음비를 규정하여 감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다른 상태에서 감도를 측정하면 신호와 잡음의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감도를 측정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화 중계기의 입력측 전류가 100[mA]이고, 출력측 전류가 10[mA]이면 통화 감쇄량은 얼마가 되는가?

  1. 1[dB]
  2. 10[dB]
  3. 20[dB]
  4. 50[dB]
(정답률: 62%)
  • 전화 중계기의 통화 감쇄량은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강도 차이로 나타납니다. 이 문제에서는 입력측 전류가 100[mA], 출력측 전류가 10[mA]이므로 강도 차이는 100[mA] - 10[mA] = 90[mA]가 됩니다.

    dB는 데시벨의 약자로, 강도 비율을 로그 스케일로 표현한 단위입니다. dB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0log(10) = 20[dB]

    따라서, 이 문제에서의 통화 감쇄량은 20[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수신기의 성능 중 얼마나 미약한 전파까지를 수신할 수 있는가의 극한을 표시하는 양으로 종합 이득과 내부의 잡음에 결정되는 것은?

  1. 감도
  2. 선택도
  3. 충실도
  4. 안정도
(정답률: 86%)
  • 감도는 수신기가 얼마나 미약한 전파까지 수신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양으로, 수신기의 성능 중 가장 기본적인 것입니다. 감도는 종합 이득과 내부의 잡음에 결정되는데, 종합 이득이 높고 내부 잡음이 적을수록 감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감도는 수신기의 기본적인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감도(Sensitivity) : 수신기가 얼마만큼 미약한 전파까지 수신할 수 있는 가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선택도(Selectivity) : 희망파 이외의 불요파를 얼마만큼 제거할 수 있는가의 능력을 선택도라고 함

    -충실도(Fidelity) : 전파된 통신 내용을 수신하였을 때 본래의 신호를 어느 정도 정확하게 재생시키느야 하는 능력을 표시하는 지표

    -안정도(Stability) : 수신기에 일정한 주파수 및 진폭의 희망파를 가한 때에, 어느 정도 장시간 일정 출력이 얻어지는가의 능력을 표시하는 지표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41. 다음 중 VoLTE(Voice over LT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음성을 데이터 패킷으로 바꿔서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데이터 사용량 단위로 요금을 부과한다
  2. 넓은 주파수 대역폭과 고음질 음성코덱을 사용해 통화품질이 우수하다.
  3. 통화연결 시간은 3G 비해 최대 20배 정도 빠르다.
  4. 음성통화를 하면서 영상통화로 전환하거나 사진, 영상, 위치정보 등을 공유할 수 없다.
(정답률: 84%)
  • 음성통화를 하면서 영상통화로 전환하거나 사진, 영상, 위치정보 등을 공유할 수 없다는 설명은 VoLTE와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VoLTE는 음성을 데이터 패킷으로 바꿔서 전달하는 방식이며, 넓은 주파수 대역폭과 고음질 음성코덱을 사용해 통화품질이 우수하며, 통화연결 시간은 3G 비해 최대 20배 정도 빠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첨단교통 관리 시스템(ATM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도로정보를 감지하여 신호주기 조절
  2. 버스도착 예정시간 안내
  3. 고속도로 유입 교통량 자동 조절
  4. 무인 자동 단속, 통행료 자동 징수
(정답률: 75%)
  • 정답은 "버스도착 예정시간 안내"입니다.
    "버스도착 예정시간 안내"는 첨단대중교통시스템(APTS: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의 기능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송신단의 저항 ZS=300이고, 수신단의 저항 ZR=600인 선로를 접속할 경우 부정합 감쇠량은?

  1. 3.21 [dB]
  2. 5.46 [dB]
  3. 7.47 [dB]
  4. 9.54 [dB]
(정답률: 47%)
  • 부정합 감쇠량 또는 반사 손실은 송신단과 수신단의 저항이 다를 경우 발생하는 손실입니다. 이는 다음의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VSWR (전압 정속파비, Voltage Standing Wave Ratio) = (Z1 + Z2) / (Z1 - Z2)

    여기서 Z1은 송신단의 저항(ZS)이고, Z2는 수신단의 저항(ZR)입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절댓값을 사용하여 계산해야 하므로, Z1이 Z2보다 큰 경우와 Z2가 Z1보다 큰 경우를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VSWR을 데시벨(dB)로 변환하여 부정합 감쇠량을 얻습니다:

    부정합 감쇠량 (dB) = 20 * log10(VSWR)

    이 경우, ZS = 300, ZR = 600이므로,

    VSWR = (600 + 300) / (600 - 300) = 900 / 300 = 3

    부정합 감쇠량 = 20 * log10(3) = 9.54 dB

    따라서, 부정합 감쇠량은 '9.54 [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광섬유 케이블의 손실을 측정하는 방법은?

  1. 컷백(Cut Back) 방법
  2. RNF(Refracted Near field) 방법
  3. 펄스 지연 방법
  4. 파필드(Far-Field) 방법
(정답률: 83%)
  • 광섬유 케이블의 손실을 측정하는 방법 중 컷백(Cut Back) 방법은 광섬유 케이블의 일부를 절단하여 광섬유 케이블의 손실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광섬유 케이블의 손실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광섬유 케이블의 손실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75[Ω]계에서 0[dBm]이 되려면 P=1[mW]이다. 전류(I)가 3.65[mA]일 때 부하 양단전압은?

  1. 0.274[V]
  2. 1.274[V]
  3. 0.775[V]
  4. 1.775[V]
(정답률: 5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방송통신설비가 기술기준에 적합하게 설치·운영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속 공무원으로 하여금 방송통신설비를 설치·운영하는 자의 설비를 조사하거나 시험하게 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방송통신설비 관련 시책을 수립하기 위한 경우
  2. 국가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
  3. 재해·재난 예방을 위한 경우 및 재해·재난이 발생한 경우
  4. 방송통신설비의 이상으로 광범위한 방송통신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정답률: 65%)
  • 국가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에는 방송통신설비의 운영이 긴급하게 필요한 상황이므로, 이를 방해할 수 있는 조사나 시험을 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공무원으로 하여금 방송통신설비를 조사하거나 시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홈네크워크 설비 중 월패드의 설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월패드에는 조작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2. 월패드는 사용자의 조작을 고려한 위치 및 높이에 설치하여야 한다.
  3. 월패드에서 원격제어 되는 조명제어기, 난방제어기 등 모든 원격 제어기기에는 수동으로 조작하는 스위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4. 월패드에는 이상전원 발생시 제품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내장하여야 한다.
(정답률: 89%)
  • "월패드에서 원격제어 되는 조명제어기, 난방제어기 등 모든 원격 제어기기에는 수동으로 조작하는 스위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원격 제어기기에는 월패드 외에도 수동으로 조작하는 스위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패드로 조명을 켜고 끌 수 있지만, 방 안에 있는 스위치로도 조명을 켜고 끌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월패드가 고장나거나 인터넷 연결이 끊어졌을 때에도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방송통신기술의 진흥을 통한 방송통신서비스 발전을 위하여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방송통신기술의 수출입에 관한 사항
  2. 방송통신 기술협력, 기술지도 및 기술이전에 관한 사항
  3. 방송통신기술의 표준화에 관한 사항
  4. 방송통신기술의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정답률: 79%)
  • 정답인 "방송통신기술의 수출입에 관한 사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역할과 관련이 없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방송통신기술의 진흥을 위해 기술협력, 기술지도, 기술이전, 표준화, 국제협력 등 다양한 방면에서 시책을 수립하고 시행합니다. 하지만 수출입은 외교, 무역 등 다른 분야에서 담당하는 사항이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구내간선 케이블
  2. 건물간선 케이블
  3. 수평배선 케이블
  4. 성형배선
(정답률: 7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과학기술정보통신장관이 방송통신설비의 운용자의 이용자의 안전 및 방송통신서비스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단말장치의 기술기준을 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방송통신망 및 방송통신망 운용장에 대한 위해방지에 관한 사항
  2. 방송통신망에 대한 일반인의 용이한 접근에 관한 사항
  3. 단말장치와 단말장치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사항
  4. 전화역무 간의 상호운용에 관한 사항
(정답률: 73%)
  • 정답은 "방송통신망에 대한 일반인의 용이한 접근에 관한 사항"입니다. 이유는 이는 단말장치의 기술기준과는 관련이 없으며, 방송통신망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성과 관련된 사항으로서, 이는 다른 법령이나 규정에서 다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는 정보통신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권리와 의무,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책임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공사의 목적물 소유자는 공사에 대한 실시·준공설계도서를 언제까지 보관하여야 하는가?

  1. 공사의 목적물이 착공될 때까지
  2. 공사의 목적물이 사용전검사를 받을 때까지
  3. 공사의 목적물이 준공될 때까지
  4. 공사의 목적물이 폐지될 때까지
(정답률: 77%)
  • 공사의 목적물 소유자는 공사에 대한 실시·준공설계도서를 공사의 목적물이 폐지될 때까지 보관하여야 합니다. 이는 공사의 목적물이 폐지될 때까지 해당 건물이나 시설물이 존재하고 유지보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시·준공설계도서는 해당 건물이나 시설물이 폐지될 때까지 보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정보통신공사업법에서 설계도서의 보관의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사를 설계한 용역업자는 그가 작성 또는 제공한 실시설계도서를 해당 공사가 준공될 때까지 보관
  2. 공사의 목적물의 소유자는 공사에 대한 실시·준공설계도서를 공사의 목적물이 폐지될 때까지 보관
  3. 소유자가 보관하기 어려운 사유가 있을 떄는 관리주체가 보관
  4. 공사를 감리한 영역업자는 그가 감리한 공사의 준공설계도서를 하자담보책임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보관
(정답률: 74%)
  • '공사를 감리한 업자는 그가 감리한 공사의 준공설계도서를 하자담보책임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보관'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정보통신공사업법에 따르면, 공사를 감리한 업자는 감리한 공사의 준공설계도서를 공사 목적물이 폐지될 때까지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방송통신설비의 안전성 및 신뢰성에 대한 기술기준」에서 정하는 옥외설비 설치 시 마련하야야 할 대책이 아닌 것은?

  1. 풍해 대책
  2. 낙뢰 대책
  3. 화재 대책
  4. 저습도 대책
(정답률: 86%)
  • 저습도 대책은 방송통신설비의 안전성 및 신뢰성에 대한 기술기준에서 정하는 옥외설비 설치 시 마련해야 할 대책이 아닙니다. 이는 습기가 적은 건조한 환경에서는 오히려 설비의 안전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습도 대책은 오히려 불필요한 대책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방송통신설비의 지진대책의 적용을 위한 시험 및 확인방법 등에 대한 세부사항은 누가 정하여 공고하는가?

  1.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장
  2. 방송통신위원장
  3. 국가재난대책본부장
  4. 국립전파연구원장
(정답률: 68%)
  • 방송통신설비의 지진대책은 전자파에 대한 연구와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담당하는 국립전파연구원장이 정하여 공고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정답은 "국립전파연구원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홈네트워크 설비(기기)중 세대내의 홈네트워크 기기들 및 단지 서버간의 상호 연동 기능이 요구되는 것은?

  1. 원격검침시스템
  2. 주동출입시스템
  3. 홈게이트웨이
  4. 가스 및 개폐감지기
(정답률: 79%)
  • 세대내의 홈네트워크 기기들과 단지 서버간의 상호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홈게이트웨이입니다. 홈게이트웨이는 다양한 홈네트워크 기기들을 연결하고 관리하는 중앙 제어 장치로서,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격검침시스템이나 주동출입시스템, 가스 및 개폐감지기 등 다양한 홈네트워크 기기들과의 상호 연동을 위해서는 홈게이트웨이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공정분석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레이아웃의 개선
  2. 개인별 작업 능력 평가
  3. 공정의 개선
  4. 공정관리 시스템의 개선
(정답률: 79%)
  • 공정분석의 목적은 공정의 개선과 공정관리 시스템의 개선입니다. 개인별 작업 능력 평가는 개인의 역량과 능력을 파악하는 것으로, 공정분석의 목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작업계획은 생산계획의 단계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1. 실시계획
  2. 실행계획
  3. 준비계획
  4. 절차계획
(정답률: 76%)
  • 작업계획은 생산계획의 마지막 단계인 실시계획에 해당합니다. 이는 생산계획에서 수립된 계획을 실제로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며, 생산 일정, 생산량, 생산 방법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작업계획은 생산계획의 최종 실행 단계로, 실제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경영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점관리방법으로 1951년 GE사의 M.F.Deckie에 의해 제창된 것으로 Pareto 분석기법 또는 통계적 선택법이라고도 불리는 것은?

  1. ABC 분석기법
  2. 경영 분석기법
  3. RCA 분석기법
  4. 품목별 분석기법
(정답률: 79%)
  • ABC 분석기법은 품목이나 서비스 등을 중요도에 따라 A, B, C 등급으로 분류하여 중요도에 따라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경영자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중요도가 높은 품목이나 서비스에 집중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영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점관리방법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워크팩터(Work Factor)법에서 작업동작을 행하는 신체사용 부분이 아닌 것은?

  1. 몸통
  2. 허리
  3. 손이나 손가락
  4. 앞팔 선회
(정답률: 73%)
  • 워크팩터(Work Factor)법에서는 작업동작을 행하는 신체사용 부분 중에서도 주로 상체를 사용하며, 허리는 상체 중 하나이지만 다리와 함께 사용되는 부분이므로 정답은 "허리"입니다.

    워크팩터(Work Factor)법의 신체 사용 부위:
    손가락, 손, 앞팔 선회, 몸통, 다리, 발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급사슬 관리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 중 하나로 이것은 제품에 대한 수요정보가 공급사슬 상의 참여 주체를 하나씩 거쳐서 전달 될 때마다 계속 왜곡됨을 의미한다. 이런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도플러 효과
  2. 플라시보 효과
  3. 채찍 효과
  4. 온실 효과
(정답률: 67%)
  • 채찍 효과는 수요정보가 공급사슬 상의 참여 주체를 거쳐 전달될 때마다 왜곡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마치 채찍을 휘둘러 맨 끝에서는 큰 힘이 가해지지만 그 위로 올라갈수록 힘이 약해지는 것과 비슷하다. 즉, 공급사슬의 상위 단계에서는 수요정보가 왜곡되지 않지만 하위 단계로 내려갈수록 왜곡되어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